KR102536872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872B1
KR102536872B1 KR1020210010329A KR20210010329A KR102536872B1 KR 102536872 B1 KR102536872 B1 KR 102536872B1 KR 1020210010329 A KR1020210010329 A KR 1020210010329A KR 20210010329 A KR20210010329 A KR 20210010329A KR 102536872 B1 KR102536872 B1 KR 102536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housing
storage tank
liquid carbon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7559A (ko
Inventor
박정식
김양규
이장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0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872B1/ko
Priority to PCT/KR2022/095014 priority patent/WO2022158955A1/en
Publication of KR20220107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3/00Dry-cleaning apparatus or methods using volatile solvents
    • D06F43/08Associated apparatus for handling and recovering the solv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7/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from pressure vessel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F17C7/02Discharging liquefied ga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3/00Dry-cleaning apparatus or methods using volatile solvents
    • D06F43/04Dry-cleaning apparatus or methods using volatile solvents having more than one rotary cleaning recepta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이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된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하우징; 및 상기 드럼에 공급하는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저장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에는 이산화탄소가 투입되어서 세탁이 이루어지고, 상기 저장 탱크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저장된 액체 이산화탄소의 높이보다 높게 토출구가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로 액체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공급관을 포함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산화탄소를 이용해서 세탁 등의 의류 처리를 수행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이산화탄소를 이용하는 세탁기는 세탁 및 헹굼시 세탁조 내부 전체에 기체 이산화탄소와 액체 이산화탄소가 채워져 있다. 이산화탄소를 이용해서 세탁을 하기 위하여 저장조에서 세탁조에 이산화탄소를 채우고, 세탁이 끝나면 세탁조에서 증류조로 이산화탄소를 배수하고, 저장조로 넣어 이산화탄소를 재사용한다. 또한 세탁조는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구동축에 풀리가 연결되어 있고, 벨트로 모터 풀리와 드럼 풀리를 연결해서, 드럼을 회전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산화탄소를 이용하는 세탁기는 외부차징, 공급, 세탁, 증류, 충전 사이클로 순환하게 되는데, 저장 탱크는 액상의 이산화탄소를 보관하다가 세탁이 필요하면 세탁조에 액상의 이산화탄소를 공급하고, 증류 후 액화된 이산화탄소를 충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탱크 옆에는 수위센서가 있어서 저장탱크 내의 액상 이산화탄소의 높이를 감지하는데, 컴프레서를 거치면서 가스 이산화탄소가 액상 이산화탄소로 변화되면서 저장 탱크로 분출되는 액상 이산화탄소는 압력 변화가 커서 수위값을 측정하기 어렵다.
또한 저장 탱크로 가스 이산화탄소가 이동되는 입출구구조가 저장 탱크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저장탱크 장착 높이가 높아져, 전체적인 시스템의 크기가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저장 탱크로 액상 이산화탄소가 들어오는 경우에 액상 유면이 유동이나 증발에 의해 흔들리지 않도록 저장 탱크 액상 입구 구조 개선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기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세탁 등의 의류처리시에 사용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줄여서,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줄여서,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내압용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을 수용하면서 회전하는 드럼을 수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 어셈블리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여서, 세탁기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이 배치되는 세탁 공간과 모터가 배치되는 구동 공간에 압력을 동일하게 유지해서, 세탁기를 안정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 탱크의 하부를 통해서 액상 이산화탄소가 이동하고, 상부를 통해서 기체 이산화탄소가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저장탱크 내부로 삽입된 공급관은 최대 액상 유면 이상으로 올라와 있어서 액상 이산화탄소가 저장 탱크 내부로 토출되는 경우에도 저장 탱크 상면을 따라 흘러내리기 때문에 액상 유면을 흔들지 않아 안정된 유면을 유지하고, 이에 따라 안정적인 수위값을 측정할 수 있어서 제어를 신뢰성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저장탱크 내부 액상 입구측 공급관 끝단을 최대 유면 이상까지 올려서 액상 이산화탄소가 저장탱크 내측을 따라 흐르게 함으로써 수위가 안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저장 탱크 가스 흡토출부는 저장 탱크 측면에 위치하고, 흡토출부와 연결된 내부 파이프 출구는 저장탱크 상면에 위치하여 저장탱크 높이가 줄어들어, 전체적으로 컴팩트한 세탁기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탁조 내부를 세탁부와 모터부로 공간 분리하여 세탁 용매로 사용되는 액체 이산화탄소가 모터부로 넘어가지 않도록 격벽을 설치한다. 격벽은 분리가 가능한 부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모터부의 불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세탁 드럼 회전축에 직접 모터를 설치하여 의류를 처리할 때에 상ㅇ하는 이산화탄소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증류탱크과 저장탱크를 소형화할수 있어서 세탁기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다.
격벽에 배치되는 열교환기의 파이프가 통과되도록 격벽 상부에 관통공을 설치해서, 기체 이산화탄소가 세탁부와 모터부를 이동할 수 있어 세탁부와 모터부 사이 압력 평형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이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된 제1하우징;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고,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는 격벽; 상기 격벽의 일면을 밀폐하고,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이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된 제1하우징;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고,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는 격벽; 상기 격벽의 일면을 밀폐하고,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격벽에 의해서 마련된 공간에 투입된 액체 이산화탄소가 상기 제2하우징과 상기 격벽에 의해서 마련된 공간에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이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된 제1하우징;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고,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는 격벽; 상기 격벽의 일면을 밀폐하고,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의 크기는 상기 드럼의 단면의 크기보다 큰 세탁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작업자가 드럼에 접근해서 드럼을 유지보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이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된 제1하우징;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고,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는 격벽; 상기 격벽의 일면을 밀폐하고,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개구부를 따라 형성된 제1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제1플랜지에 결합되는 제2플랜지를 포함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이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된 제1하우징;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고,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는 격벽; 상기 격벽의 일면을 밀폐하고,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모터의 회전축이 통과하는 제1관통홀과, 기체 이산화탄소가 이동하는 제2관통홀을 포함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이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된 제1하우징;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고,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는 격벽; 상기 격벽의 일면을 밀폐하고,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에는 내부에 냉매가 이동하는 열교환기가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격벽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상기 격벽에 결합되는 모터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어셈블리는, 스테이터와, 로터와, 베어링 하우징를 포함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이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된 제1하우징;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고,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는 격벽; 상기 격벽의 일면을 밀폐하고,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에는 내부에 냉매가 이동하는 열교환기가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격벽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상기 격벽에 결합되는 모터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어셈블리는, 스테이터와, 로터와, 베어링 하우징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는 외부 공기의 유입 또는 유출이 가능한 연통홀이 형성된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이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된 제1하우징;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고,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는 격벽; 상기 격벽의 일면을 밀폐하고,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에는 내부에 냉매가 이동하는 열교환기가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격벽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상기 격벽에 결합되는 모터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어셈블리는, 스테이터와, 로터와, 베어링 하우징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하우징이 상기 격벽에 결합되는 부분에는 오링이 배치되고, 상기 오링은 액체 이산화탄소가 상기 격벽의 반대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이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된 제1하우징;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고,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는 격벽; 상기 격벽의 일면을 밀폐하고,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에 공급하는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저장 탱크를 포함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이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된 제1하우징;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고,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는 격벽; 상기 격벽의 일면을 밀폐하고,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에서 사용한 액체 이산화탄소를 증류하는 증류 챔버를 포함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이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된 제1하우징;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고,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는 격벽; 상기 격벽의 일면을 밀폐하고,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이 결합되어서, 밀폐된 공간을 이루고, 상기 밀폐된 공간은 상기 격벽에 의해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이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된 제1하우징;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고,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는 격벽; 상기 격벽의 일면을 밀폐하고,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에는 이산화탄소가 투입되어서 세탁이 이루어지고, 상기 격벽은,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격벽에 의해서 마련된 공간에 투입된 액체 이산화탄소가 상기 제2하우징과 상기 격벽에 의해서 마련된 공간에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상기 개구부의 크기는 상기 드럼의 단면의 크기보다 큰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개구부의 크기는 상기 드럼의 최대 단면의 크기보다 큰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개구부의 크기는 상기 제1하우징의 공간의 최대 단면의 크기보다 큰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개구부의 크기는 상기 제1하우징의 중앙부까지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개구부를 따라 형성된 제1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제1플랜지에 결합되는 제2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플랜지에는 상기 격벽이 결합되는 안착홈이 상기 개구부를 따라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플랜지에는 상기 안착홈의 둘레 보다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제1안착면이 마련되고, 상기 제2플랜지에는 상기 제1안착면에 면접촉해서 결합되는 제2안착면이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격벽은, 모터의 회전축이 통과하는 제1관통홀과, 기체 이산화탄소가 이동하는 제2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관통홀은 상기 제1관통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격벽에 결합되는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관통홀에는 상기 열교환기에서 이동하는 냉매관이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관통홀은 두 개의 분리된 구멍인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격벽에는 내부에 냉매가 이동하는 열교환기가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격벽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격벽의 사이에는 단열 부재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격벽에 결합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격벽을 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결합되는 캡 너트에 의해서 상기 격벽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격벽에 결합되는 모터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어셈블리는, 스테이터와, 로터와, 베어링 하우징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 배치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의 일단은 상기 로터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의 타단은 상기 드럼에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는 실링부가 배치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격벽에 의해 마련된 공간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링부는 액체 이산화탄소가 상기 격벽의 반대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는 외부 공기의 유입 또는 유출이 가능한 연통홀이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회전축에는 공기의 유입 또는 유출이 가능한 제1유로와 제2유로가 이격되게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는 상기 회전축의 중심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를 연결하는 연결 유로가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 유로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 중심에 배치되어,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와 각각 수직하게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이 상기 격벽에 결합되는 부분에는 오링이 배치되고, 상기 오링은 액체 이산화탄소가 상기 격벽의 반대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오링에는 오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오링 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드럼에 공급하는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저장 탱크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드럼에서 사용한 액체 이산화탄소를 증류하는 증류 챔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드럼에서 사용한 액체 이산화탄소를 배출할 때에 오염물을 거르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드럼 내부의 압력을 감압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이 결합되어서, 밀폐된 공간을 이루고, 상기 밀폐된 공간은 상기 격벽에 의해서 분할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 탱크 내부로 토출되는 액체 이산화탄소가 저장 탱크에 내부에 저장된 액체 이산화탄소의 수위에 큰 변화를 발생시키지 않아, 정확한 수위 감지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 탱크의 크기가 줄어들 수 있어서, 세탁기가 설치되는 데 필요한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줄어들어서 사용 후에 재처리를 해야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줄일 수 있고, 전체 시스템의 에너지 효율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줄기 때문에, 사용하기 전에 보관해야 하는 이산화탄소를 보관하는 탱크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서, 전체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크기를 개선할 수 있다.
특히 종래 기술에 비해서 사용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줄어든다. 따라서 사용한 후에 재처리해야 하는 이산화탄소의 양도 줄어든다. 사용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에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탱크의 용량은 물론, 이산화탄소를 이용하기 위한 세탁기의 전체 크기도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사용후에 재처리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에, 세탁 또는 헹굼이 수행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드럼 등과 같이 다양한 부품을 전체 부품에서 분리해서 작업자가 접근해 수리를 위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부품을 결합해서 실제 제품으로 생산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해서, 작업자가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세탁기를 쉽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스테이터와 로터가 함께 배치되기 때문에, 모터 어셈블리가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어서, 세탁기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 또한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의 결합관계가 간단해져서 드럼을 회전시킬 때에 소음을 줄일 수 있고, 동력 전달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액체 이산화탄소는 모터가 배치되는 구동 공간에는 유입되지 않지만, 기체 이산화탄소는 구동 공간에 유입될 수 있어서 세탁 공간과 구동 공간의 압력 평형이 유지된 상태에서 드럼이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기가 동작될 때에 드럼이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구동 공간에는 기체 이산화탄소가 차 있기 때문에, 세탁 등의 의류처리를 할 때에 사용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줄어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개념을 설명한 도면.
도 2는 일 실시예의 요부의 외관을 설명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단면도.
도 5는 도 2에서 제2하우징이 분리된 도면.
도 6은 도 5에서 드럼의 일부가 후방으로 탈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드럼과 일부 구성요소를 설명한 도면.
도 8은 도 7의 단면도.
도 9는 도 7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7의 요부를 상세히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11은 격벽을 설명한 도면.
도 12는 제2관통홀의 기능을 설명한 도면.
도 13은 열교환기가 격벽에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한 도면.
도 14는 격벽에 설치되는 오링과 오링 커버를 설명한 도면.
도 15는 도 14의 구성이 다른 구성요소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한 도면.
도 16은 회전축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도 16의 회전축이 다른 구성요소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한 도면.
도 18은 저장 탱크와 수위 센서를 설명한 도면.
도 19는 저장 탱크의 단면을 설명한 도면.
도 20은 공급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 도면.
도 21은 공급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 도면.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개념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세탁기는 이산화탄소를 이용해서 세탁, 헹굼 등의 다양한 의류처리를 하기 때문에, 이산화탄소를 저장하거나 이산화탄소를 처리할 수 있는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의 세탁기는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의류를 처리하는 세탁부, 사용한 이산화탄소를 처리하는 재생부로 구분할 수 있다. 공급부는 액체 이산화탄소를 보관하기 위한 탱크와, 기체 이산화탄소를 액화 시키기 위한 컴프레서를 포함할 수 있다. 탱크는 보충 탱크와 저장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부는 이산화탄소와 의류가 함께 투입될 수 있는 세탁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재생부는 세탁 후 액체 이산화탄소에 녹아있는 오염물질을 분리를 위한 필터와 기체 이산화탄소를 액체 상태로 만들기 위한 냉각기, 액체 이산화탄소에 녹아 있는 오염 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증류 챔버, 증류 후 분리된 오염을 보관하기 위한 오염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충 탱크(20)는 상기 세탁 챔버(10)에 공급할 이산화탄소를 저장할 수수 있다. 물론, 상기 보충 탱크(20)는 이산화탄소의 부충이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저장 탱크로, 이산화탄소의 보충이 필요없는 상황에서는 구비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통상적인 상황에서는 보충 탱크를 구비하지 않다가, 필요에 따라 보충 탱크가 결합되면서 이산화탄소의 보충이 이루어지고, 보충이 완료되면 보충 탱크를 세탁기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저장 탱크(30)는 상기 세탁 챔버(10)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하고, 상기 증류 챔버(50)를 통해 회수된 이산화탄소를 보관한다.
상기 냉각기(40)는 기체 이산화탄소를 다시 액화하여 상기 저장 탱크(30)에 저장한다.
상기 증류 챔버(50)는 상기 세탁 챔버(10)에서 사용한 액체 이산화탄소를 증류한다. 증류과정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기화시켜 오염을 분리하고, 제거한다.
상기 컴프레셔(80)는 가압된 상기 세탁 챔버(10)의 내부를 대략 1.5bar까지 감압할 수 있다.
상기 오염 챔버(60)는 상기 증류 챔버(50)에서 증류를 통해 걸러진 오염물을 보관한다.
상기 필터부(70)는 상기 세탁 챔버(10)에서 사용된 액체 이산화탄소를 상기 증류 챔버(50)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오염물을 걸러낼 수 있다. 상기 필터부(70)는 미세한 구멍이 다수 개가 뚫린 필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세탁 챔버(10)는 의류가 투입되어 세탁 또는 헹굼을 한다. 상기 세탁 챔버(10)와 연결된 상기 저장 탱크(30)의 밸브가 유로를 개방하면 상기 세탁 챔버(10)와 상기 저장 탱크(30) 내 기압이 유사해진다. 이때 기체 이산화탄소가 먼저 주입되고 이후 펌프 등의 장비를 통해 상기 세탁 챔버(10) 내부를 가압하며 액체 이산화탄소가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세탁 챔버(10) 내부는 대략 45~51bar, 10~15℃ 조건에서 세탁은 10~15분, 헹굼은 3~4분 동안 진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세탁 또는 헹굼이 완료되면, 액체 이산화탄소를 상기 세탁 챔버(10)에서 상기 증류 챔버(50)로 배출한다.
밸브(90)는 세탁을 시작하기 전, 상기 세탁 챔버(10)의 내부 공기를 제거하여 상기 세탁 챔버(10) 내 수분동결을 방지한다. 상기 세탁 챔버(10)의 내부에 수분이 동결되면 세탁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의 요부의 외관을 설명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정면도고이고, 도 4는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 챔버(10)는 도어(300), 제1하우징(100), 제2하우지(20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세탁 챔버(10)는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고 의류에 대한 세탁 또는 헹굼 등의 다양한 의류 처리가 수행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세탁 챔버는 세탁 챔버 내에 수용된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어셈블리가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300)는 상기 제1하우징(100)의 일 측에 마련되어서, 상기 제1하우징에 마련된 투입구(102)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300)가 상기 투입구(102)를 개방하면 사용자는 상기 제1하우징(100)에 처리가 필요한 의류를 투입하거나 처리가 완료된 의류를 꺼내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하우징(100)에는 내측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350)이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드럼(350)은 회전이 가능하게 마련되어서, 내부에 세탁물이 수용된 상태로 액체 이산화탄소와 의류가 서로 혼합이 되도록 한다.
상기 제1하우징(100)에는 상기 투입구(102)외에 개구부(104)가 마련된다. 상기 개구부(100)는 상기 투입구(102)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투입구(102)의 크기보다 크다.
상기 제1하우징(100)은 전체적으로 원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 측에는 원형 형상을 가진 상기 투입구(10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원형 형상을 가진 상기 개구부(100)가 마련된다.
상기 드럼(350)은 상기 제1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의 형상과 유사하게 원기둥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제1하우징(100) 내부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되는 것이 가능하다.
작업자 또는 사용자가 상기 개구부(104)를 통해서 상기 드럼(350)을 꺼내서 수리를 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104)의 크기는 상기 드럼(350)의 단면의 크기보다 큰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개구부(104)의 크기는 상기 드럼(350)의 최대 단면의 크기보다 큰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작업자 등은 상기 개구부(104)를 개방해서 상기 드럼(350)을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104)를 통해서 상기 드럼(350)을 상기 제1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개구부(104)의 크기는 상기 제1하우징(100)의 공간의 최대 단면의 크기보다 큰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개구부(104)의 크기는 상기 제1하우징(100)의 중앙부까지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작업자 등이 상기 드럼(350)을 상기 제1하우징(100)으로 꺼내거나 삽입할 때에, 상기 드럼(350)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서 상기 제1하우징(100)에 의류의 투입은 상기 투입구(102)를 이용하고, 상기 드럼(350)의 유지 보수 또는 조립은 상기 개구부(104)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투입구(102)와 상기 개구부(104)는 상기 제1하우징(100)의 반대편에 서로 마주보게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하우징(100)에는 이산화탄소가 상기 제1하우징(100)으로 공급되는 유입관(110)이 마련된다. 상기 유입관(110)은 상기 제1하우징(100)의 외측으로 노출된 관으로 도 1에서 설명한 구성요소들에 이산화탄소가 이동할 수 있는 관이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하우징(100)에는 상기 필터부(70)를 고정할 수 있는 필터 고정부(130)가 마련된다. 상기 필터 고정부(130)는 상기 제1하우징(100)의 원기둥 형상으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서 필터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필터 고정부(130)에는 상기 필터부(70)를 통과해서 걸러진 이산화탄소가 상기 제1하우징(100)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는 배출관(132)이 마련된다. 상기 배출관(132)을 통해서 상기 제1하우징(100)에서 사용된 이산화탄소가 상기 제1하우징(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100)은 상기 개구부(104)를 따라 형성된 제1플랜지(1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플랜지(120)는 상기 제1하우징(100)의 원기둥 형상과 유사하게 상기 제1하우징(100)의 외주면을 따라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플랜지(120)는 상기 제1하우징(100)의 반지름이 커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하우징(100)의 둘레를 따라 고르게 배치된다.
상기 제2하우징(200)은 상기 제1하우징(100)에 결합되어서, 하나의 세탁 챔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세탁 챔버는 의류 처리가 이루어지는 공간과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어셈블리가 설치되는 공간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200)은 상기 제1플랜지(120)에 결합되는 제2플랜지(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2하우징(200)은 상기 제1하우징(100)의 단면과 유사한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제1하우징(100)의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제2플랜지(220)는 상기 제1플랜지(120)에 다수 개의 볼트 등에 의해서 결합되어서, 상기 제2하우징(200)이 상기 제1하우징(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내부 압력이 외부 대기 압력보다 큰 압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하우징(200)에 마련된 상기 제1필터 고정부(130)에는 이물질을 거를 수 있는 필터(140)가 배치된다. 상기 필터(140)는 복수 개의 작은 구멍들을 포함해서, 이물질은 구멍들을 통과하지 못하는 반면에, 액체 이산화탄소는 구멍들을 통과해서 상기 배출관(132)을 통해서 상기 제1하우징(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구부(104)를 밀폐하고, 상기 제1하우징(100)에 결합되는 격벽(400)을 포함한다. 상기 제2하우징(200)은 상기 격벽(400)의 일면을 밀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를 기준으로 상기 격벽(400)의 좌측 공간에는 상기 드럼(350)이 배치되어서 의류 등과 액체 이산화탄소가 혼합되면서 세탁 또는 헹굼 등의 의류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격벽(400)의 우측 공간에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500)이 배치되어서, 상기 드럼(350)이 회전될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터 어셈블리(500)는 일부가 상기 격벽(400)을 관통해서, 상기 드럼(350)에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격벽(400)은 상기 개구부(104)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04)에 맞닿게 배치되어서, 상기 개구부(104)를 밀폐한다. 상기 격벽(400)과 상기 개구부(140)는 상기 제1하우징(100)의 형상과 유사하게 대략 원형을 이루는데, 상기 개구부(104)의 지름(L)은 상기 격벽(400)의 지름보다 작다. 상기 개구부(104)의 지름(L)은 상기 드럼(350)의 지름보다는 크다. 따라서 상기 드럼(350)의 단면의 크기가 가장 작고, 상기 개구부(104)의 단면이 중간 크기이고, 상기 격벽(400)의 크기가 가장 크다.
상기 격벽(400)은 복수 개의 단차를 가지도록 배치되어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1플랜지(120)에는 상기 격벽(400)이 결합되는 안착홈(122)이 상기 개구부(104)를 따라 형성된다. 즉 상기 개구부(104)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에 상기 안착홈(122)이 마련된다. 상기 안착홈(122)은 상기 격벽(400)의 두께만큼 함몰되어서, 상기 제1플랜지(120)와 상기 제2플랜지(220)가 서로 맞닿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안착홈(122)은 상기 격벽(400)의 외주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안착홈(122)에 상기 격벽(400)이 안착되면, 상기 제1플랜지(120)의 면이 평평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플랜지(120)에는 상기 안착홈(122)의 둘레 보다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제1안착면(124)이 마련되고, 상기 제2플랜지(220)에는 상기 제1안착면(124)에 면접촉해서 결합되는 제2안착면(224)이 마련된다. 상기 제1안착면(124)과 상기 제2안착면(224)은 서로 맞닿게 배치되어서, 상기 제1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의 주입된 이산화탄소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제1안착면(124)과 상기 제2안착면(224)은 상기 제1하우징(100)과 상기 제2하우징(200)의 외주면에 배치되어서, 서로 면접촉을 하면서 두 개의 하우징이 볼트로 결합될 수 있는 결합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격벽(400)에는 내부에 냉매가 이동하는 열교환기(600)가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600)는 상기 제1하우징(100)과 상기 격벽(400)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열교환기(600)는 상기 제1하우징(100)의 공간의 온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10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온도를 낮게 변화시켜서 상기 제1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의 습도를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열교환기(600)와 상기 격벽(400)의 사이에는 단열 부재(650)가 배치된다. 상기 단열 부재(650)는 상기 열교환기(600)의 온도가 상기 격벽(400)으로 그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단열 부재(650)은 상기 열교환기(600)의 온도 변화가 상기 격벽(400)에 발생시키는 영향을 줄인다. 상기 단열 부재(650)는 상기 열교환기(600)의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되어서, 상기 열교환기(600)의 전체 면적을 가리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도 2에서 제2하우징이 분리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서 드럼의 일부가 후방으로 탈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하우징(200)이 상기 제1하우징(100)으로 분리되면, 상기 격벽(400)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격벽(400)은 상기 제1하우징(100)의 상기 안착홈에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제2하우징(200)이 상기 제1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되더라도, 상기 제1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격벽(400)은 상기 제2하우징(200)에 다수 개의 볼트 등에 의해서 결합된다.
상기 격벽(400)의 중앙부에는 모터 어셈블리(500)가 결합되고, 상기 모터 어셈블리(500)의 상측에는 제2관통홀(420)이 형성된다. 상기 제2관통홀(420)에는 상기 열교환기(600)에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매관(610)이 관통한다.
상기 격벽(400)이 상기 제1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개구부(104)가 노출된다. 이때 상기 드럼(350)이 상기 개구부(104)를 통해서 외부로 인출가능하다. 상기 개구부(104)의 크기는 상기 드럼(350)의 크기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개구부(104)를 통해서 상기 드럼(350)의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상기 격벽(400)과 상기 안착홈(122)의 사이에는 개스킷(320)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격벽(400)이 상기 제1하우징(100)에 결합될 때에 그 사이로 이산화탄소가 누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격벽(400)이 상기 안착홈(122)에 안착될 때에, 상기 개스킷(320)을 압착하면서 복수 개의 볼트에 의해서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격벽(400)에는 상기 제1하우징(100)에 결합되기 위한 다수 개의 결합공이 외주면을 따라 고르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드럼과 일부 구성요소를 설명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7의 요부를 상세히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에서는 상기 제1하우징(100)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해서, 상기 드럼(350)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드럼(350)도 전체적으로 원통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전방에 상기 투입구(102)를 통해서 투입된 의류가 상기 드럼(350)의 내부로 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격벽(400)을 사이에 두고 좌측에는 상기 드럼(350), 상기 열교환기(600), 상기 단열 부재(650)가 배치된다. 상기 격벽(400)의 우측에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500)가 배치된다.
도 9에서는 상기 드럼(350)과 상기 격벽(400)을 분리한 도면이다. 상기 드럼(350)의 후방에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500)의 회전축(510)이 상기 드럼(350)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510)이 회전되면 상기 드럼(350)도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510)의 회전 방향이 변화되면, 상기 드럼(350)의 회전 방향도 함께 변환된다.
상기 격벽(400)에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500)가 결합되어서, 상기 드럼(35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별도의 벨트 등을 이용해서 전달받지 않는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는 모터의 회전력이 바로 전달되기 때문에 힘의 손실이나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도 10에서는 도 9에서 격벽에 설치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분해 사시도를 제공한다.
상기 열교환기(600)는 상기 개구부(104)의 형상과 유사하게 전체적으로 도넛 모양을 이루게 형성된다. 상기 열교환기(600)의 중앙에는 모터의 회전축(51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원형의 관통공(602)이 형성된다.
상기 단열 부재(650)는 상기 열교환기(60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열교환기(600)에서 발생되는 온도 변화가 상기 격벽(40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단열 부재(650)는 온도 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교환기(600)와 상기 격벽(400)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단열 부재(650)의 중앙에는 모터의 회전축(51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원형의 관통공(652)이 형성된다.
상기 열교환기(600)의 관통공(602)과 상기 단열 부재(650)의 관통공(652)는 유사한 크기의 원형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상기 관통공(652)은 열교환기(600)에 냉매를 제공하는 냉매관(610)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홈(654)이 추가로 마련된다.
상기 열교환기(600)는 상기 격벽(400)에 결합하는 브라켓(620)을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620)은 상기 격벽(400)을 관통하는 볼트(624)와 상기 볼트(624)에 결합되는 캡 너트626)에 의해서 상기 격벽(400)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브라켓(620)은 입체적으로 단차진 형상을 가져서, 상기 열교환기(600)의 두께가 얇게 배치되는 면에 배치된다. 단차진 홈 부분에 상기 볼트(624)가 배치되고, 상기 캡 너트(626)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620)은 복수 개가 마련되어서, 상기 열교환기(600)와 상기 단열 부재(650)가 상기 격벽(400)에 다수 개의 점에서 결합되도록 한다. 도 10에서는 상기 브라켓(650)이 세 개로 구성된 실시예를 제공하지만, 더 많은 갯 수의 브라켓이 배치되거나, 더 적은 갯 수의 브라켓이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 개의 브라켓은 상기 열교환기(600)의 다양한 위치에 고르게 배치되어서, 상기 열교환기(600)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격벽(400)에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500)가 결합된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500)는 스테이터(570)와, 로터(550)와, 베어링 하우징(520)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520)은 상기 회전축(510)을 포함하는데, 상기 회전축(510)의 일단은 상기 로터(550)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510)의 타단은 상기 드럼(350)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로터(550)가 상기 스테이터(570)를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회전축(510)도 함께 회전된다.
상기 스테이터(570)는 상기 베어링 하우징(520)에 고정되어서, 상기 로터(550)가 회전되는 환경을 제공한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520)이 상기 격벽(400)에 결합될 때에, 상기 베어링 하우징(520)과 상기 격벽(400)의 사이에 오링(450)이 배치되어서, 상기 제1하우징(100)에 주입되는 액체 이산화탄소가 상기 격벽(400)과 상기 베어링 하우징(520)의 틈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 오링(45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오링 커버(460)가 배치된다. 상기 오링 커버(460)는 상기 오링(450)의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된다. 상기 오링 커버(460)는 상기 오링(450)이 상기 격벽(400)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면을 줄여서, 틈을 더 강하게 밀폐할 수 있다.
도 11은 격벽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1a는 격벽(400)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1b는 격벽(400)의 중앙부의 측단면도이다.
상기 격벽(400)은 측단면도에서와 같이 다 수개의 단차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측에 열교환기(600)가 고정되고, 타측에 모터 어셈블리(500)가 고정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격벽(400)의 중앙에는 모터의 회전축(510)이 통과하는 제1관통홀(410)이 배치된다. 상기 제1관통홀(410)은 원형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관통홀(410)을 통과하는 상기 회전축(510)에 접촉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격벽(400)은 기체 이산화탄소가 이동하는 제2관통홀(420)을 포함한다. 상기 제2관통홀(420)은 상기 제1관통홀(41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관통홀(420)은 냉매관(610)이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2관통홀(420)의 크기는 상기 제1관통홀(41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관통홀(420)은 두 개의 분리된 구멍인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관통홀(420)은 상기 격벽(400)의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격벽(400)은 상기 제1하우징(100)이나 상기 제2하우징(200)과 분리가 가능한 하나의 부품으로, 상기 열교환기(600)와 상기 모터 어셈블리(500)이 결합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400)이 상기 제1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되면 사용자 등이 상기 드럼(350)을 상기 제1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격벽(400)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복수 회 단차지게 형성되고, 강도를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간에서는 곡선면을 갖도록 해서, 다양한 방향의 힘을 견딜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격벽(400)의 가장 바깥쪽 부분은 상기 제1하우징(100)의 상기 안착홈(122)에 결합되는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도 11b를 기준으로 상기 격벽(400)의 가장 바깥부분을 기준으로 중앙부로 이동하면서, 좌측으로 돌출된 후, 우측으로 돌출되고, 다시 좌측으로 돌출되는 등의 다양한 방향으로 다양한 길이만큼 단차져서,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2는 제2관통홀의 기능을 설명한 도면이다.
상기 드럼(350)에는 이산화탄소가 투입되어서 세탁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이산화탄소는 액체 이산화탄소와 기체 이산화탄소가 혼재한다. 액체 이산화탄소는 기체 이산화탄소보다 무겁기 때문에 하부에 위치하고, 그 상측의 빈 공간을 기체 이산화탄소가 위치한다.
상기 드럼(350)이 회전되면서 상기 드럼(350)의 내부에 위치하는 의류 등과 액체 이산화탄소가 섞인다.
상기 격벽(400)은 상기 제1하우징(100)과 상기 격벽(400)에 의해서 마련된 공간에 투입된 액체 이산화탄소가 상기 제2하우징(200)과 상기 격벽(400)에 의해서 마련된 공간에 이동되는 것을 차단한다. 즉 상기 격벽(400)은 상기 개구부(104)를 밀폐하기 때문에 액체 이산화탄소가 상기 격벽(400)의 반대편으로 이동할 수 없다.
세탁 등의 의류처리가 수행되는 동안에 상기 제1하우징(100)과 상기 격벽(400)에 의한 공간과 상기 제2하우징(200)과 상기 격벽(400)에 의한 공간이 서로 분리되는데, 상기 제1하우징(100)과 상기 격벽(400)에 의한 공간에는 액체 이산화탄소와 기체 이산화탄소가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차 있다. 따라서, 세탁 챔버의 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제2하우징(200)과 상기 격벽(400)에 의한 공간에는 액체 이상화탄소가 아닌 기체 이산화탄소만 이동해서, 압력 평형을 이루도록 유지한다.
이때 기체 이산화탄소는 상기 격벽(400)에 마련된 상기 제2관통홀(420)을 통해서 상기 격벽(400)을 넘어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2관통홀(420)은 액체 이산화탄소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2관통홀(420)을 통해서 액체 이산화탄소가 이동할 수 없다.
통상적으로 세탁 또는 헹굼 시에 사용되는 액체 이산화탄소의 양은 상기 드럼(350)의 절반을 넘지 않는다. 즉 상기 드럼(350)에 결합되는 회전축(510)의 높이 이상까지 올라가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2관통홀(420)이 상기 회전축(510)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제2관통홀(420)을 통해서 액체 이산화탄소가 이동되지 않는다. 다만 기체 이산화탄소는 상기 제1하우징(100)과 상기 격벽(400)에 의한 공간에 차 있기 때문에, 자유롭게 상기 제2하우징(200)과 상기 격벽(400)에 의한 공간으로 이동되어서 압력 평형을 이룰 수 있다.
즉 세탁 또는 헹굼 등의 의류처리가 수행되는 동안에는 상기 제1하우징(100)과 상기 격벽(400)에 의해서 구획되는 공간에는 기체 이산화탄소와 액체 이산화탄소가 혼합되어 있다. 반면에 상기 제2하우징(200)과 상기 격벽(400)에 의해서 구획되는 공간에는 액체 이산화탄소는 존재하지 않고, 기체 이산화탄소만 존재하게 된다. 두 개의 공간은 압력 평형이 이루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2하우징(200)과 상기 격벽(400)에 의한 공간에는 액체 이산화탄소가 존재할 필요가 없고, 액체 이산화탄소의 사용량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 또는 헹굼 등에 사용되는 이산화탄소의 전체 양이 감소될 수 있어서, 종래 기술에 비해서 사용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줄어든다. 따라서 사용한 후에 재처리해야 하는 이산화탄소의 양도 줄어든다. 사용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에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탱크의 용량은 물론, 이산화탄소를 이용하기 위한 세탁기의 전체 크기도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사용후에 재처리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에, 세탁 또는 헹굼이 수행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도 감소할 수 있다.
도 13은 열교환기가 격벽에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3에서는 상기 브라켓(620)이 상기 열교환기(600)에 접촉한 부위의 단면 요부를 도시한다.
상기 브라켓(620)은 단차진 형상을 이루고, 단차진 부분이 열교환기(600)에 접촉되어, 열교환기(600)를 고정할 수 있다. 돌출된 부분은 상기 단열 부재(650)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돌출된 부분으로 상기 볼트(624)가 고정되고, 상기 볼트(624)는 상기 단열 부재(650)와 상기 격벽(400)을 관통한다. 상기 볼트(624)의 반대 편에는 캡 너트(626)가 마련되어서, 상기 볼트(624)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캡 너트(626)는 상기 격벽(400)의 복수 개의 지점에서 접촉해서, 상기 격벽(400)에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캡 너트(626)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되, 상기 격벽(400)에 맞닿는 부분에 결합홈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에는 실링(627)이 배치되어서, 상기 캡 너트(626)가 상기 격벽(400)에 결합될 때에 틈을 밀폐할 수 있다. 즉 상기 캡 너트(626)가 상기 볼트(624)에 결합되면, 상기 실링(627)이 압착되면서 상기 캡 너크(626)가 상기 볼트(624)를 강하게 압박하면서 고정한다. 이때 상기 격벽(400)도 함께 압박되면서 상기 볼트(624)가 관통하는 구멍이 밀폐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620)은 복수 개가 마련되어서, 상기 열교환기(600)를 여러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다. 각각의 방향에서 바라볼 때에 상기 브라켓(620)의 형상을 달라질 수 있지만, 상기 브라켓(620)이 볼트와 캡 너트에 의해서 결합되는 방식은 동일하다.
도 14는 격벽에 설치되는 오링과 오링 커버를 설명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의 구성이 다른 구성요소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520)이 상기 격벽(400)에 결합되는 부분에는 오링(450)이 배치된다. 상기 오링(450)은 액체 이산화탄소가 상기 격벽(400)의 반대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격벽의 제1관통홀(410)에는 회전축(510)이 관통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틈이 존재해야 한다. 상기 회전축(510)은 회전을 하기 때문에, 상기 관통홀(410)과 간격이 있어야 하고, 그 간격은 밀폐할 수 없다. 따라서 베어링 하우징(520)이 상기 격벽(400)에 결합되고, 상기 베어링 하우징(520)과 상기 격벽(400)의 사이 틈을 상기 오링(450)이 밀폐해서, 상기 오링(450)에 의해서 밀폐되는 틈으로 이산화탄소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오링(450)에는 상기 오링(450)의 이탈을 방지하는 오링 커버(460)가 결합된다. 상기 오링 커버(460)는 상기 오링(450)의 일면을 둘러싸서, 상기 오링(450)이 상기 제1하우징(100)에 의해 마련되는 공간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오링 커버(460)는 역압에 의해서 상기 오링(45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은 회전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도 16의 회전축이 다른 구성요소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520)의 중앙에는 일측이 상기 드럼(350)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로터(550)에 결합되는 회전축(510)이 마련된다. 상기 회전축(510)은 상기 베어링 하우징(520)의 중앙을 관통하게 배치된다.
상기 회전축(510)은 제1베어링(521)과 제2베어링(522)에 의해서 상기 베어링 하우징(52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510)은 두 개의 베어링에 의해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이때 두 개의 베어링은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면 다양한 형태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베어링(521)과 상기 제2베어링(522)는 다른 크기를 가져서, 상기 회전축(5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베어링이 지지하는 부분의 회전축(510)의 형상은 다르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베어링(521)의 일측에는 실링부(540)가 구비된다. 상기 실링부(540)는 상기 회전축(51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상기 실링부(540)는 상기 제1하우징(100)과 상기 격벽(400)에 의해 마련된 공간에 노출되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회전축(510)과 상기 베어링 하우징(520)의 틈으로 이산화탄소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실링부(540)는 액체 이산화탄소가 상기 격벽(400)의 반대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540)는 상기 회전축(510)과 회전축이 관통하는 구멍의 사이에 배치되어 틈을 밀폐하는 축실 하우징(542)를 포함한다. 상기 축실 하우징(542)과 상기 회전축(510)이 만나는 부분에는 축실(544)을 배치해서,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축실(544)은 상기 회전축(51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520)에는 외부 공기의 유입 또는 유출이 가능한 연통홀(526)이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520)의 연통홀(526)은 상기 제2하우징(200)과 상기 격벽(400)에 의해서 구획되는 공간에 노출된다.
상기 회전축(510)에는 공기의 유입 또는 유출이 가능한 제1유로(512)와 제2유로(514)가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유로(512) 및 상기 제2유로(514)는 상기 회전축(510)의 중심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유로(512) 및 상기 제2유로(514)를 통해서 상기 제2하우징(200)과 상기 격벽(400)에 의해서 구획되는 공간의 공기가 상기 회전축(510)의 내부로 이동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제1유로(512)와 제2유로(514)를 연결하는 연결 유로(516)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 유로(516)는 상기 회전축(510)의 회전 중심에 배치되어, 상기 제1유로(512) 및 상기 제2유로(514)와 각각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유로(516)가 없다면 상기 제1유로(512)와 상기 제2유로(514)는 상기 회전축(510)의 외면에 구멍은 뚫려있지만, 반대편은 막혀있는 유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공기가 상기 제1유로(512) 또는 제2유로(514)로 이동하기가 어렵다. 이를 위해서 일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유로를 연결하는 상기 연결 유로(516)를 형성해서, 내부 압력이 변화되는 경우에 공기가 좀 더 쉽게 상기 제1유로(512), 상기 제2유로(514) 및 상기 연결 유로(516)로 이동하도록 해서 상기 회전축(510)이 외부 압력 변화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510)은 일측이 상기 드럼(35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로터(550)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을 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510)에서는 소음 또는 진동이 발생할 수 있는 데, 압력 편차가 있는 곳에서 회전을 하게 되면 소음 또는 진동이 커질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어링 하우징(52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연통홀(526)을 구비한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520)은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부품이고, 내부에 공기가 들어와서 순환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공기 유입구와 유출구를 구분하지 않더라도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회전축(510)은 강성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공기가 쉽게 들어올 공간을 확보하기에는 강도가 약해지기 때문에 공기 유로를 크게 형성할 수 없다. 따라서 복수 개의 유로를 서로 연결해서, 유입된 공기가 반대편 유로를 통해서 배출될 수 있는 경로를 마련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세탁 챔버(10)는 상기 제1하우징(100)과 상기 제2하우징(200)이 결합되어서, 밀폐된 공간을 이룬다. 이때 상기 밀폐된 공간은 상기 격벽(400)에 의해서 두 개의 공간으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격벽(400)을 기준으로 일측은 의류 처리를 위한 공간이고, 타측은 모터 등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18은 저장 탱크와 수위 센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액체 이산화탄소와 기체 이산화탄소가 함께 저장되는 저장 탱크(30)에는 액체 이산화탄소가 저장 탱크(30) 내에 저장된 높이, 즉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수위 센서(301)이 마련된다. 상기 수위 센서(301)는 상기 저장 탱크(30)의 내부를 관통하는 관(302)에 설치되어서, 상기 저장 탱크(30)의 내부에 저장된 액체 이산화탄소의 높이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관(302)의 양단은 상기 저장 탱크(30)에 연결되어서, 상기 저장 탱크(30)의 수위와 동일하게 상기 관(302)의 수위가 유지되면서, 상기 수위 센서(301)에서 액체 이산화탄소의 높이를 확인할 수 있다. 물론, 다른 형태의 수위 센서(301)를 이용해서 저장된 액체 이산화탄소의 높이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저장 탱크(30)의 하부에는 액체 이산화탄소를 상기 저장 탱크(30)로 안내하는 공급관(31)이 상기 저장 탱크(30)를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공급관(30)은 상기 증류 챔버(50)와 상기 냉각기(40)를 통과해서 액화된 액체 이산화탄소가 상기 저장 냉크 내부로 이동되도록 안내한다.
도 19는 저장 탱크의 단면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저장 탱크(3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31a)와, 상기 케이스(31a)에 저장된 액체 이산화탄소의 높이보다 높게 토출구(32)가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31a)로 액체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공급관(31)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31a)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서, 내부에 저장된 액체 이산화탄소가 높은 압력을 유지할 수 있는 내압 용기를 이룬다.
상기 저장 탱크(30)는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측면에 원형면이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저장 탱크(30)는 원기둥이 옆으로 누워있는 형태로 세탁기 내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저장 탱크(30)에 저장된 액체 이산화탄소는 도 19를 기준으로 아래쪽부터 차면서, 저장량이 증가할 수록 상측으로 수위가 높아진다.
상기 공급관(30)은 상기 케이스(30a)의 바닥을 관통하게 배치된다. 상기 공급관(30)은 상기 저장 탱크(30)를 관통하는 부분(3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저장 탱크(30)를 관통하는 부분(33)은 상기 저장 탱크(30)의 바닥을 관통한다. 상기 관통하는 부분(33)은 상기 저장 탱크(30)에 용접되어 결합되어서, 상기 부분(33)과 상기 저장 탱크(30)의 사이로 액체 이산화탄소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공급관(31)은 상기 부분(33)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공급관(31)의 일부와 상기 부분(33)은 상기 저장 탱크(30) 내에 저장된 액체 이산화탄소 내에 항상 잠겨있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공급관(31)은 상기 케이스 (31a)의 바닥으로부터 액체 이산화탄소가 저장되는 최대 높이보다 높게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저장 탱크(30)는 액체 이산화탄소가 안정적으로 보관될 수 있는 압력을 견딜 수 있을 정도로 설계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저장 탱크(30)가 저장할 수 있는 액체 이산화탄소의 양은 정해져 있고, 그러한 액체 이산화탄소의 최대 수위도 정해져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급관은 최대 수위보다 높게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공급관(31)의 끝단에는 토출구(32)가 구비되는데, 상기 토출구(32)는 최대 수위보다 높게 배치된다. 상기 토출구(32)를 통해서, 상기 저장 탱크(30)로 안내되는 액체 이산화탄소가 상기 저장 탱크(30) 내부로 분출된다.
상기 토출구(32)는 상기 저장 탱크의 천장과 간격(G1)을 가지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토출구(32)를 통해서 이동하는 액체 이산화탄소는 상기 토출구(32)까지 상승한 뒤에, 상기 저장 탱크(30) 내부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32)가 액체 이산화탄소의 최대 수위보다 높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토출구(32)를 통해서 공급되는 액체 이산화탄소가 저장 탱크(30)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 이산화탄소의 수위를 요동치게 하는 파동을 만들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토출구(32)를 통해서 흘러내리는 액체 이산화탄소는 저장되어 있는 액체 이산화탄소의 수위를 점차적으로 상승시킬뿐이기 때문에, 상기 수위 센서(301)에서 정확한 수위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토출구(32)를 통해서 공급되는 이산화탄소는 상기 케이스(31a)의 내벽을 따라 흘러내려서, 저장된 액체 이산화탄소에 혼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이미 저장된 액체 이산화탄소를 주기적으로 흔드는 요동을 발생시키지 않아, 수위 센서(301)에서 저장된 액체 이산화탄소의 수위가 상승과 하강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저장 탱크(30)는, 기체 이산화탄소가 상기 저장 탱크(30)를 관통해서 공급되거나 토출되는 파이프(37)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37)는 상기 저장 탱크(30)의 측면을 관통하는 부분(39)을 포함한다.
상기 파이프(37)가 상기 저장 탱크(30)를 관통하는 부분(39)은 상기 저장 탱크(30)의 천장보다 낮다. 관통하는 부분(39)은 상기 저장 탱크(30)의 외부로 돌출되어야 하는데, 상기 파이프(37)는 상기 저장 탱크(30)의 천장을 관통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파이프(37)로 인해서 상기 저장 탱크(3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만들어질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저장 탱크(30)의 외부에 상기 저장 탱크(30)보다 높게 마련되는 구조물이 배치되는 공간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서, 저장 탱크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전체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이프(37)가 상기 저장 탱크(30)를 관통하는 부분(39)은 상기 저장 탱크(30)의 중간보다 높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저장 탱크(30)는 전체적으로 원기둥을 눕혀놓은 형태로 배치되는데, 중간 높이 부분이 가장 폭이 넓기 때문에, 중간에 상기 부분(39)이 배치되면, 저장 탱크가 배치되는 공간의 폭이 즈가되어야 한다.따라서 중간 보다는 높은 위치에 배치하면, 저장 탱크의 증가되어야 하는 폭의 길이가 줄어들어서, 좀 더 좁은 공간에 컴팩트하게 세탁기를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파이프(37)의 관통구(38)는 상기 저장 탱크(30)에 저장 가능한 액체 이산화탄소의 최대 높이보다 높게 배치된다. 상기 관통구(38)를 통해서 상기 저장 탱크(30)로 기체 이산화탄소가 안내되거나, 상기 저장 탱크(30)에서 기체 이산화탄소가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통구(38)가 상기 저장 탱크(30)에 저장된 액체 이산화탄소의 수위 아래에 잠기면, 기체 이산화탄소가 이동할 수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통구(38)가 액체 이산화탄소에 잠기지 않도록 배치해서, 상기 저장 탱크(30)에서 이동하는 기체 이산화탄소의 이동 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이프(37)는 상기 관통되는 부분(39)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관통구(38)가 최대 수위 보다 높게 배치되게 한다. 이때 상기 관통구(38)는 상기 저장 탱크(30)의 천장으로부터 간격(G2)을 가지도록 배치되어서, 기체 이산화탄소가 상기 관통구(38)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관통되는 부분(39)는 상기 관통구(38)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서, 상기 파이프(37)의 일부는 액체 이산화탄소에 잠기는 것도 가능하다.
도 20은 공급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20a, b, c는 동일한 고급관의 단면을 다양한 방향으로 절개해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에 도시된 공급관은 공급관의 일부에 해당해서, 공급관의 중간 위치 정도 부분을 의미하는 것도 가능하고, 공급관 전체를 표현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공급관(31)은 내부에 복수 개의 배플(34, 35)이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배플(34, 35)는 상기 공급관(31)의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공급관(31)은 원형 단면을 가지는데, 상기 배플(34, 35)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배플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제1배플(34)와 제2배플(35)을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배플은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공급관(31)의 내부를 이동하는 액체 이산화탄소에 저항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액체 이산화탄소가 급격한 압력 변화로 인해서 발생될 수 있는 급격한 속도 변화를 줄일 수 있어서, 상기 토출구(37)를 통해서 배출되는 액체 이산화탄소의 높은 압력을 감쇠시킬 수 있다. 즉 내부를 이동하는 액체 이산화탄소의 이동 경로가 길어지게 된다.
즉 저장 탱크 내부로 삽입된 공급관 내부에 배플을 형성하여 저장 탱크로 유입되는 액상 이산화탄소의 유속과 소음을 줄여서, 액상 유면을 좀 더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21은 공급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21a는 공급관의 상단을 표현한 도면이고, 도 21b는 도 21a의 중앙을 절개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토출구(32)에는 복수 개의 구멍(361)이 형성된 커버(36)가 마련된다. 상기 커버(36)는 상기 토출구(32)가 상기 저장 탱크(30)에 그대로 노출되는 것을 막고, 복수 개의 구멍(361)을 통해서 액체 이산화탄소가 배출되게 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배플과 유사한 기능으로 액체 이산화탄소가 단시간에 저장 탱크(30)내부로 분사되는 것을 방지해서, 상기 저장 탱크(30) 내에 공급되는 액체 이산화탄소에 의해 수위가 요동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상기 수위 센서(301)에서 측정되는 액체 이산화탄소의 수위의 변화가 줄어들어서, 측정되는 수위값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저장 탱크(30) 내부로 삽입된 파이프의 저장 탱크(30) 관통공(38)은 다공을 가진 구조로 되어 있어서, 액상 이산화탄소가 출구 지점에서 다공으로 분출되어 유체 에너지가 분산된다. 따라서, 액체 이산화탄소는 저장 탱크(30)의 내면을 따라 흘러 내리기 때문에 유면 가진력이 작아져서 유면 출렁임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제1하우징 104: 개구부
120: 제1플랜지 200: 제2하우징
220: 제2플랜지 300: 도어
350: 드럼 400: 격벽
410: 제1관통홀 420: 제2관통홀
500: 모터 어셈블리 510: 회전축
520: 베어링 어셈블리 600: 열교환기
650: 단열 부재

Claims (13)

  1. 내부에 의류가 투입되어 의류의 처리가 수행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세탁 챔버; 및
    상기 세탁 챔버에 공급되는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저장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세탁 챔버에는 이산화탄소가 투입되어서 의류의 처리가 이루어지고,
    상기 저장 탱크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로 액체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관은
    상기 케이스의 바닥을 관통하면서 상기 케이스의 바닥에서 상기 케이스에 저장된 액체 이산화탄소 보다 상부로 연장되고, 액체 이산화탄소를 상기 케이스에 저장된 액체이산화탄소 보다 높은 위치에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보관된 액체 이산화탄소의 높이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탱크는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측면에 원형면이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저장된 액체 이산화탄소가 잠기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상기 케이스의 바닥으로부터 액체 이산화탄소가 저장되는 최대 높이보다 높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내부에 복수 개의 배플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서, 내부를 이동하는 액체 이산화탄소의 이동 경로가 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상기 케이스에 저장된 액체 이산화탄소 소바 높게 배치되는 토출구를 통해서 액체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토출구에는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된 커버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탱크는,
    기체 이산화탄소가 상기 저장 탱크를 관통해서 공급되거나 토출되는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저장 탱크의 측면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가 상기 저장 탱크를 관통하는 부분은 상기 저장 탱크의 천장보다 낮고, 중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관통구는 상기 저장 탱크에 저장 가능한 액체 이산화탄소의 최대 높이보다 높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 챔버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이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된 제1하우징;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고,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는 격벽; 및
    상기 격벽의 일면을 밀폐하도록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격벽에 의해서 마련된 공간에 투입된 액체 이산화탄소가 상기 제2하우징과 상기 격벽에 의해서 마련된 공간에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210010329A 2021-01-25 2021-01-25 세탁기 KR102536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329A KR102536872B1 (ko) 2021-01-25 2021-01-25 세탁기
PCT/KR2022/095014 WO2022158955A1 (en) 2021-01-25 2022-01-24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329A KR102536872B1 (ko) 2021-01-25 2021-01-25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559A KR20220107559A (ko) 2022-08-02
KR102536872B1 true KR102536872B1 (ko) 2023-05-26

Family

ID=82548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329A KR102536872B1 (ko) 2021-01-25 2021-01-25 세탁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36872B1 (ko)
WO (1) WO202215895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77562A1 (en) * 2006-04-10 2007-12-06 Aktiebolaget Electrolux Clean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8430A (en) * 1998-03-24 2000-08-08 Micell Technologies, Inc. Cleaning apparatus
KR200215572Y1 (ko) * 2000-09-21 2001-03-15 대우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라디칼 발생장치구조
KR20030046506A (ko) * 2000-10-13 2003-06-12 미셀 테크놀로지즈, 인코포레이티드 이산화탄소 및 분리형 압력용기를 이용하는 드라이크리닝처리용 기구 및 방법
JP2009262016A (ja) * 2008-04-23 2009-11-12 Sharp Corp 二酸化炭素の分離方法および分離装置ならびに洗浄装置
JP2009279117A (ja) * 2008-05-21 2009-12-03 Sharp Corp 洗浄装置
JP2010136860A (ja) * 2008-12-11 2010-06-24 Sharp Corp 洗浄装置
KR102192788B1 (ko) * 2013-11-15 2020-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사용 세제 및 세탁물 처리방법
WO2018038580A1 (ko) * 2016-08-25 2018-03-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421544B1 (ko) * 2017-08-21 2022-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77562A1 (en) * 2006-04-10 2007-12-06 Aktiebolaget Electrolux Clean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58955A1 (en) 2022-07-28
KR20220107559A (ko) 202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3644A (en) Gas exhaust system and pump cleaning system for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KR102536872B1 (ko) 세탁기
EP4001496B1 (en) Washing machine
KR102503951B1 (ko) 세탁기
KR102472995B1 (ko) 세탁기
KR102536873B1 (ko) 세탁기
CN101713406A (zh) 密闭式压缩机的油排出防止装置
US20220235514A1 (en) Washing machine
JP6600667B2 (ja) 回転電機および連通構造
KR102725977B1 (ko) 세탁기
JP7165549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2018123812A (ja) 圧縮機
US20220154387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RU2793002C1 (ru) Способ регенерации поглотителя в системе очистки газа перчаточного бокса
WO2024111194A1 (ja) スクロール圧縮機
US20050123415A1 (en) Fluid machine
KR20230155389A (ko) 의류처리장치
KR102562191B1 (ko) 의류처리장치
CN215595881U (zh) 涡旋压缩机
KR102083965B1 (ko) 압축기
KR20100030696A (ko) 냉각식 진공펌프
KR101964961B1 (ko) 점차적 유로 면적 변화 구조가 구비된 압축기
JP3533962B2 (ja) 液体中ポンプ
KR20180093473A (ko) 밀폐형 압축기
KR0130248Y1 (ko) 횡형 스크롤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