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848B1 - 냉각수 리저버 - Google Patents

냉각수 리저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848B1
KR102536848B1 KR1020210022097A KR20210022097A KR102536848B1 KR 102536848 B1 KR102536848 B1 KR 102536848B1 KR 1020210022097 A KR1020210022097 A KR 1020210022097A KR 20210022097 A KR20210022097 A KR 20210022097A KR 102536848 B1 KR102536848 B1 KR 102536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partition wall
water inlet
coolant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8218A (ko
Inventor
문제혁
우명진
Original Assignee
지엠비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비코리아(주) filed Critical 지엠비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210022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848B1/ko
Publication of KR20220118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2Liquid-coolant filling, overflow, venting, or draining devices
    • F01P11/0295Condensers for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20Cooling circuits not specific to a single part of engine or mach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50/00Applications
    • F01P2050/22Motor-ca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단일 냉각수주입구로 복수의 냉각수저장공간에 냉각수 주입시, 리저버 내부에서 냉각수주입구를 마주하는 지점에 분배공간이 형성되어 냉각수가 분배공간에서 각 저장공간으로 분배된다. 또한, 냉각수주입구를 통해 주입되는 냉각수의 유속이 안정화되어 냉각수가 더욱 균일하게 분배되는 냉각수 리저버가 소개된다.

Description

냉각수 리저버 {COOLANT RESERVOIR}
본 발명은 단일 주입기로 복수개의 냉각수 저장소에 편측되지 않게 냉각수를 분배하는 냉각수 리저버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는 자동차의 구동 에너지를 기존의 자동차와 같이 화석 연료의 연소로부터가 아닌 전기에너지로부터 얻는 자동차이다. 전기자동차는 배기가스가 전혀 없으며, 소음이 아주 작은 장점이 있으나, 배터리의 무거운 중량, 충전에 걸리는 시간 등의 문제 때문에 실용화되지 못하다가 최근 공해문제의 심각화, 화석 연료의 고갈 등의 문제가 제기되면서 그 개발이 다시 가속화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모터로 구동하는 전기자동차에서는 인버터와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LDC 및 충전기등이 구비되고, 이들의 발열특성으로 인해 적정한 온도를 항상 유지할 수 있는 냉각계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를 위해 냉각계에는 냉각수 순환을 위한 워터펌프가 구비되고, 워터펌프에서 토출된 냉각수는 모터와 이에 관련된 전장기기들을 경유한 후 히트소스를 거쳐 순환됨으로써 발열특성을 갖는 각종 전장기기들이 과온으로부터 보호된다.
이렇게, 각종 전자기기들을 보호하기 위한 냉각수는 리저버에 저장되는데, 냉각수가 냉각이 필요한 각 부품들로 유통되어야 함에 따라 냉각수 리저버는 내부가 분할된다. 다만, 냉각수 리저버 내부에서 저장소를 분할할 경우 각 저장소에 대해 냉각수를 각기 주입해야함에 따라 냉각수 주입시 불편함이 발생된다. 또한, 냉각수가 냉각수 리저버 내에 불안정하게 유입됨에 따라 냉각수의 균등한 분배가 어렵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8-0099007 A (2018.09.05)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냉각수 저장소가 복수개 구비된 리저버 내부에 단일 주입기로 각각의 냉각수 저장소 중 어느 한나의 냉각수 저장소에 편측되지 않게 냉각수를 분배하는 냉각수 리저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리저버는 상면에 냉각수주입구가 형성되고 하면이 개방된 상부파트; 및 상부파트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부파트와 함께 저장공간을 형성하고, 저장공간은 내부의 격벽에 의해 복수개로 구획되며, 냉각수주입구를 마주하는 지점에 형성된 분배공간이 격벽과 중첩되도록 위치되어 분배공간으로 유입된 냉각수가 복수개의 저장공간으로 각각 분배되도록 이루어진 하부파트;를 포함한다.
격벽에는 냉각수주입구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개방되며 분배공간을 형성하는 받이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부파트에는 냉각수주입구로부터 받이부를 향해 연장되며 분배공간과 연통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가이드부의 측면에는 각 저장공간으로 개통된 개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받이부와 가이드부는 내측 폭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커짐에 따라 받이부와 가이드부의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받이부는 내측 폭이 냉각수주입구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격벽은 하부파트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받이부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며 격벽이 삽입되는 슬릿홈이 형성된 결합용리브가 형성됨으로써 받이부가 격벽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부파트는 측면의 일부가 돌출되어 분배공간을 형성하는 하부주입부가 형성되고, 상부파트는 측면의 일부가 하부주입부에 매칭되도록 돌출되어 하부주입부와 함께 분배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주입부가 형성되며 상부주입부에 냉각수주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격벽은 분배공간과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분배공간과 저장공간을 구획하되 분배공간의 내측 폭보다 작게 연장되어 양측으로 유로를 형성하는 분배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격벽은 하부파트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하단격벽부와 상부파트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단격벽부와 매칭되는 상단격벽부로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단격벽부는 하단격벽부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단격벽부와 상단격벽부는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삽입되는 요철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격벽은 하부파트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되 상부파트와 하부파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파트와 이격되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분배막에는 하부주입부 및 상부주입부의 분배공간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되어 냉각수주입구의 중심상에 배치되는 추가분배막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부주입부는 하면이 저장공간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부주입부는 하면이 냉각수주입구를 향해 돌출되어 냉각수주입구를 중심으로 양측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부파트는 각 저장공간의 측면과 하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각수유입구 또는 냉각수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냉각수 리저버는 단일 냉각수주입구로 복수의 냉각수저장공간에 냉각수 주입시, 리저버 내부에서 냉각수주입구를 마주하는 지점에 분배공간이 형성되어 냉각수가 분배공간에서 각 저장공간으로 분배된다. 또한, 냉각수주입구를 통해 주입되는 냉각수의 유속이 안정화되어 냉각수가 더욱 균일하게 분배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통합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냉각수 리저버를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6은 받이부의 각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리저버를 나타낸 도면.
도 8 내지 11은 격벽의 각 살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냉각수 리저버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통합모듈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냉각수 리저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 내지 6은 받이부의 각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리저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 내지 11은 격벽의 각 살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냉각수주입구(110)가 형성되고 하면이 개방된 상부파트(100); 및 상부파트(100)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부파트(100)와 함께 저장공간(S1)을 형성하고, 저장공간(S1)은 내부의 격벽(210)에 의해 복수개로 구획되며, 냉각수주입구(110)를 마주하는 지점에 형성된 분배공간(S2)이 격벽과 중첩되도록 위치되어 분배공간(S2)으로 유입된 냉각수가 복수개의 저장공간(S1)으로 각각 분배되도록 이루어진 하부파트(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부파트(100)와 하부파트(200)로 구성되며, 상부파트(100)와 하부파트(200)가 각기 성형된 후 융착되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부파트(100)에는 냉각수 주입을 위한 냉각수주입구(110)가 형성되며, 냉각수주입구(110)에는 별도의 캡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하부파트(200)는 상부파트(100)의 하측에 결합되며, 내부가 격벽에 의해 복수의 저장공간(S1)으로 구획된다. 특히, 하부파트(200)는 냉각수주입구(110)를 마주하는 지점에 형성된 분배공간(S2)이 격벽(210)과 중첩되도록 위치됨으로써, 냉각수주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냉각수가 분배공간(S2)에서 복수개의 저장공간(S1)으로 분배된다. 즉, 본 발명은 복수개의 저장공간(S1) 대비 냉각수주입구(110)가 단일로 구성되는데, 하부파트(200)에 형성된 분배공간(S2)이 단일 냉각수주입구(110)에서 주입된 냉각수를 각각의 저장공간(S1)으로 분배시킴에 따라, 냉각수가 어느 한쪽의 저장공간(S1)으로 편측되지 않고 각각의 저장공간(S1)으로 고르게 분배될 수 있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의 분배공간(S2)은 하기의 다양한 실시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격벽(210)에는 냉각수주입구(110)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개방되며 분배공간(S2)을 형성하는 받이부(211)가 마련된다.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210)에는 분배공간(S2)을 형성하는 받이부(211)가 형성된다. 이러한 받이부(211)는 격벽(210)의 상단에서 냉각수주입구(110)와 마주하는 방향인 상방으로 개방됨에 따라 컵 형태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주입구(110)를 통해 냉각수가 주입되면, 냉각수가 받이부(211)에 형성된 분배공간(S2)으로 유입되고, 받이부(211)의 분배공간(S2)에 냉각수가 일정량 이상 채워지면 각각의 저장공간(S1)으로 분배된다. 이렇게, 각 저장공간(S1)으로 분배된 냉각수는 격벽(210)에 의해 구획되며, 받이부(211)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냉각수가 분배됨에 따라 각각의 저장공간(S1)으로 냉각수를 고르게 분배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파트(100)에는 냉각수주입구(110)로부터 받이부(211)를 향해 연장되며 분배공간(S2)과 연통되는 가이드부(120)가 형성되고, 가이드부(120)의 측면에는 각 저장공간(S1)으로 개통된 개통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상부파트(100)에서 받이부(211)를 향해 연장된 가이드부(120)는 받이부(211)의 상단에 매칭되도록 형성되며 받이부(211)와 매칭시 받이부(211)와 함께 분배공간(S2)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부(120)는 상부파트(100)와 하부파트(200)의 융착시 함께 받이부(211)에 융착되어 결합된다. 이로 인해, 냉각수는 각각의 저장공간(S1)으로 분배된 상태에서, 격벽(210), 받이부(211), 가이드부(120)에 의해 다른 저장공간(S1)으로 이동이 제한되어 섞임이 방지된다.
여기서, 가이드부(120)의 측면에는 저장공간(S1)으로 개통된 개통홀(121)이 형성된다. 이러한 개통홀(121)은 가이드부(120)의 최상단에 형성되어 각각의 저장공간(S1)으로 분배된 냉각수가 개통홀(121)을 통해 다른 저장공간(S1)으로 이동되는 것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냉각수주입구(110)를 통해 냉각수가 주입되면, 가이드부(120)와 받이부(211)에 의해 형성된 분배공간(S2)으로 냉각수가 채워지고, 분배공간(S2)에 냉각수가 일정량 이상 채워져 개통홀(121)까지 도달하면 개통홀(121)을 통해 각각의 저장공간(S1)으로 고르게 분배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이부(211)와 가이드부(120)는 내측 폭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커짐에 따라 받이부(211)와 가이드부(120)의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받이부(211)와 가이드부(120)는 경사를 가지고 연장됨에 따라 개통홀(121)을 통해 분배되는 냉각수가 각각의 저장공간(S1)으로 분배되어 이동될 수 있다. 이는, 받이부(211)만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으며, 냉각수가 경사면을 타고 흐름에 따라 냉각수의 유속이 안정화되어 냉각수가 각 저장공간(S1)으로 균일하게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받이부(211)는 내측 폭이 냉각수주입구(1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받이부(211)의 내측 폭이 냉각수주입구(1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냉각수주입구(110)를 통해 주입되는 냉각수가 받이부(211)의 분배공간(S2)에 정확히 유입될 수 있다. 만약, 받이부(211)의 내측 폭이 냉각수주입구(110)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작을 경우, 냉각수주입구(110)를 통해 주입된 냉각수의 일부가 받이부(211)의 분배공간(S2)을 거치지 않고 바로 저장공간(S1)으로 이동됨에 따라 냉각수의 분배가 불균형해질 수 있다. 따라서, 받이부(211)의 내측 폭이 냉각수주입구(1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사출 성형을 통해 하부파트(200)에 격벽(210)을 성형할 수 있다. 또한, 하부파트(200)를 성형시 격벽(210)에 받이부(211)를 성형하기 위해 슬라이드코어가 사용될 수 있다.
하부파트(200)에 격벽(210) 및 받이부(211)를 형성하기 위한 다른 방안으로, 격벽(210)에 받이부(211)를 조립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210)은 하부파트(200)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받이부(211)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며 격벽(210)이 삽입되는 슬릿홈(213)이 형성된 결합용리브(212)가 형성됨으로써 받이부(211)가 격벽(21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즉, 격벽(210)이 하부파트(200)의 하면에서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하부파트(200)의 제작성을 확보한다. 또한, 받이부(211)는 상측으로 분배공간(S2)을 형성하고 하면에는 슬릿홈(213)을 가지는 결합용리브(212)가 형성되도록 제작한다. 이렇게, 별도 제작된 하부파트(200)와 받이부(211)는 받이부(211)의 결합용리브(212)를 슬릿홈(213)을 통해 격벽(210)에 조립하는 것으로, 하부파트(200)의 격벽(210)에 받이부(211)를 결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부파트(200)의 제작을 위한 코어의 크기가 감소되어 제조 단가가 감소되고, 하부파트(200)와 받이부(211)의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여 제작성이 향상된다.
한편, 분배공간(S2)을 형성하는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파트(200)는 측면의 일부가 돌출되어 분배공간(S2)을 형성하는 하부주입부(220)가 형성되고, 상부파트(100)는 측면의 일부가 하부주입부(220)에 매칭되도록 돌출되어 하부주입부(220)와 함께 분배공간(S2)을 형성하는 상부주입부(130)가 형성되며 상부주입부(130)에 냉각수주입구(110)가 형성된다.
이렇게, 하부파트(200)에 하부주입부(220)를 형성하고, 상부파트(100)에 상부주입부(130)를 형성하여 분배공간(S2)을 분리함으로써, 냉각수주입구(110)를 통해 주입된 냉각수가 하부주입부(220)를 통해 이동되어 격벽(210)으로 구획된 각각의 저장공간(S1)으로 이동될 수 있다. 특히, 냉각수주입구(110)를 통해 냉각수를 주입하기 위한 냉각수주입건이 삽입되더라도, 하부주입부(220)와 상부주입부(130)를 통해 형성되는 분배공간(S2) 내에는 냉각수주입건의 삽입에 간섭될만한 구성이 존재하지 않음에 따라 냉각수주입건의 삽입 및 냉각수 주입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210)은 분배공간(S2)과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분배공간(S2)과 저장공간(S1)을 구획하되 분배공간(S2)의 내측 폭보다 작게 연장되어 양측으로 유로를 형성하는 분배막(2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격벽(210)에는 분배막(214)이 형성되어 분배공간(S2)과 저장공간(S1)을 구획함에 따라 분배공간(S2)으로 주입된 냉각수가 바로 저장공간(S1)으로 이동되지 않고 체류되도록 한다. 특히, 분배막(214)은 분배공간(S2)의 내측 폭보다 작게 연장되어 양측으로 유로가 형성됨으로써, 분배공간(S2)에 체류되는 냉각수가 분배막(214)의 양측 유로를 통해 각각의 저장공간(S1)으로 분배된다.
한편, 하부파트(200)와 상부파트(100)의 결합시 내부에 위치되는 격벽(210) 구조에 대한 실시예는 하기와 같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도 8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210)은 하부파트(200)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하단격벽부(210a)와 상부파트(100)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단격벽부(210a)와 매칭되는 상단격벽부(210b)로 분할될 수 있다.
이렇게, 격벽(210)이 하부파트(200)에 형성된 하단격벽부(210a)와 상부파트(100)에 형성된 상단격벽부(210b)로 분할됨으로써, 하부파트(200)와 상부파트(100)의 결합시 하단격벽부(210a)와 상단격벽부(210b)도 함께 결합되어 전체 강성이 확보된다. 아울러, 하단격벽부(210a)와 상단격벽부(210b)가 하부파트(200)와 상부파트(100)에 연결됨에 따라 각각의 저장공간(S1)에 저장된 냉각수가 격벽(210)에 의해 다른 저장공간(S1)으로 이동되지 못한다.
여기서, 상단격벽부(210b)는 하단격벽부(210a)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도록 한다. 즉, 하부파트(200)와 상부파트(100)는 열융착을 통해 결합되는데, 하단격벽부(210a)와 상단격벽부(210b)의 경우 내부에 위치됨에 따라 정확한 매칭이 어렵다. 따라서, 상단격벽부(210b)는 하단격벽부(210a)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단격벽부(210b)와 하단격벽부(210a)가 정확히 매칭되고, 열융착시 상단격벽부(210b)와 하단격벽부(210a)가 강건히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격벽부(210a)와 상단격벽부(210b)는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삽입되는 요철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하단격벽부(210a)와 상단격벽부(210b)는 상호 삽입되는 요철 구조를 이룸에 따라 하부파트(200)와 상부파트(100)의 결합시 하단격벽부(210a)와 상단격벽부(210b)가 매칭되어 조립될 수 있다. 이때, 하단격벽부(210a)가 상단격벽부(210b)에 삽입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하여, 상단격벽부(210b)와 하단격벽부(210a)의 조립틈새 사이로 냉각수가 투입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 격벽(210)은 하부파트(200)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되 상부파트(100)와 하부파트(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파트(100)와 이격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렇게, 격벽(210)은 하부파트(200)에만 형성되며, 하부파트(200)의 하면에서 상부파트(100)까지 연장되어 저장공간(S1)을 구획하도록 한다. 이때, 격벽(210)은 하부파트(200)와 상부파트(100)가 결합되더라도, 상부파트(100)에 접촉되지 않도록 이격시켜, 하부파트(200)와 상부파트(100)가 원활히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격벽(210)과 상부파트(100) 간의 이격거리는 하부파트(200)와 상부파트(100)의 열융착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막(214)에는 하부주입부(220) 및 상부주입부(130)의 분배공간(S2)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되어 냉각수주입구(110)의 중심상에 배치되는 추가분배막(21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냉각수주입구(110)로 주입된 냉각수는 추가분배막(214)에 의해 하부주입부(220) 및 상부주입부(130)의 분배공간(S2)으로 분배되어 각각의 저장공간(S1)으로 원활히 분배되어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분배막(214)은 냉각수주입구(110)의 중심상에 배치되어 냉각수주입구(110)에서 주입된 냉각수가 추가분배막(214)에 의해 양측으로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로, 하부주입부(220)는 하면이 냉각수주입구(110)를 향해 돌출되어 냉각수주입구(110)를 중심으로 양측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하부주입부(220)의 하면에서 냉각수주입구(110)와 마주하는 부분이 돌출됨에 따라 냉각수주입구(110)를 통해 주입된 냉각수가 하부주입부(220)의 돌출된 부분에서 분배됨으로써 각 저장공간(S1)측으로 분배되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하부주입부(220)는 하면이 저장공간(S1)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냉각수주입구(110)에서 주입된 냉각수가 하부주입부(220)의 경사면을 타고 저장공간(S1)측으로 원활히 이동될 수 있다.
이처럼, 하부주입부(220)와 상부주입부(130)를 통해 분배공간(S2)이 저장공간(S1)과 분리됨으로써, 냉각수주입부구(110) 통해 삽입된 냉각수주입건이 다른 구성에 간섭되지 않는다. 또한. 냉각수주입구(110)를 통해 주입된 냉각수가 분배공간(S2)에서 각각의 저장공간(S1)으로 균일하게 분배될 수 있다.
한편, 하부파트(200)는 각 저장공간(S1)의 측면과 하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각수유입구(U1) 또는 냉각수배출구(U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냉각수 리저버는 냉각대상부품들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가 저장되는 것으로, 냉각수 리저버에는 밸브모듈(V), 칠러(C), 매니폴드(M), 밸브모듈(V), 워터펌프(W)가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밸브모듈(V)은 냉각수의 유통경로를 전환하며, 워터펌프(W)가 함께 구성되어 워터펌프(W)의 동작에 의해 냉각수가 유통될 수 있다. 또한, 칠러(C)는 냉매와 냉각수 또는 냉각수와 냉각수 간의 열교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냉각수 리저버는 밸브모듈(V), 칠러(C), 매니폴드(M), 밸브모듈(V) 간에 냉각수가 유통될 수 있도록, 하부파트(200)에는 각 저장공간(S1)의 측면과 하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각수유입구(U1) 또는 냉각수배출구(U2)가 형성된다. 이러한 냉각수유입구(U1) 또는 냉각수배출구(U2)를 통해, 본 발명의 냉각수 리저버는 밸브모듈(V), 칠러(C), 매니폴드(M), 밸브모듈(V) 간에 냉각수가 유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냉각수 리저버는 단일 냉각수주입구(110)로 복수의 냉각수저장공간(S1)에 냉각수 주입시, 리저버 내부에서 냉각수주입구(110)를 마주하는 지점에 분배공간(S2)이 형성되어 냉각수가 분배공간(S2)에서 각 저장공간(S1)으로 분배된다. 또한, 냉각수주입구(110)를 통해 주입되는 냉각수의 유속이 안정화되어 냉각수가 균일하게 분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상부파트 110:냉각수주입구
120:가이드부 121:개통홀
130:상부주입부 200:하부파트
210:격벽 210a:하단격벽부
210b:상단격벽부 211:받이부
212:결합용리브 213:슬릿홈
214:분배막 215:추가분배막
220:하부주입부
S1:저장공간 S2:분배공간
U1:냉각수유입구 U2:냉각수출입구

Claims (16)

  1. 상면에 냉각수주입구가 형성되고 하면이 개방된 상부파트; 및
    상부파트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부파트와 함께 저장공간을 형성하고, 저장공간은 내부의 격벽에 의해 복수개로 구획되며, 냉각수주입구를 마주하는 지점에 형성된 분배공간이 격벽과 중첩되도록 위치되어 분배공간으로 유입된 냉각수가 복수개의 저장공간으로 각각 분배되도록 이루어진 하부파트;를 포함하고,
    격벽은 하부파트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격벽의 상단에는 냉각수주입구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개방되고 분배공간을 형성하는 받이부가 마련되며,
    받이부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되고 격벽이 삽입되는 슬릿홈이 형성된 결합용리브가 형성됨으로써 받이부가 격벽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리저버.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파트에는 냉각수주입구로부터 받이부를 향해 연장되며 분배공간과 연통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가이드부의 측면에는 각 저장공간으로 개통된 개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리저버.
  4. 청구항 3에 있어서,
    받이부와 가이드부는 내측 폭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커짐에 따라 받이부와 가이드부의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리저버.
  5. 청구항 1에 있어서,
    받이부는 내측 폭이 냉각수주입구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리저버.
  6. 삭제
  7. 상면에 냉각수주입구가 형성되고 하면이 개방된 상부파트; 및
    상부파트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부파트와 함께 저장공간을 형성하고, 저장공간은 내부의 격벽에 의해 복수개로 구획되며, 냉각수주입구를 마주하는 지점에 형성된 분배공간이 격벽과 중첩되도록 위치되어 분배공간으로 유입된 냉각수가 복수개의 저장공간으로 각각 분배되도록 이루어진 하부파트;를 포함하고,
    하부파트는 측면의 일부가 돌출되어 분배공간을 형성하는 하부주입부가 형성되며,
    상부파트는 측면의 일부가 하부주입부에 매칭되도록 돌출되어 하부주입부와 함께 분배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주입부가 형성되고 상부주입부에 냉각수주입구가 형성되며,
    격벽은 분배공간과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분배공간과 저장공간을 구획하되 분배공간의 내측 폭보다 작게 연장되어 양측으로 유로를 형성하는 분배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리저버.
  8. 삭제
  9. 청구항 7에 있어서,
    격벽은 하부파트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하단격벽부와 상부파트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단격벽부와 매칭되는 상단격벽부로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리저버.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단격벽부는 하단격벽부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리저버.
  11. 청구항 9에 있어서,
    하단격벽부와 상단격벽부는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삽입되는 요철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리저버.
  12. 청구항 7에 있어서,
    격벽은 하부파트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되 상부파트와 하부파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파트와 이격되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리저버.
  13. 청구항 7에 있어서,
    분배막에는 하부주입부 및 상부주입부의 분배공간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되어 냉각수주입구의 중심상에 배치되는 추가분배막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리저버.
  14. 청구항 7에 있어서,
    하부주입부는 하면이 저장공간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리저버.
  15. 청구항 7에 있어서,
    하부주입부는 하면이 냉각수주입구를 향해 돌출되어 냉각수주입구를 중심으로 양측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리저버.
  16. 청구항 7에 있어서,
    하부파트는 각 저장공간의 측면과 하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각수유입구 또는 냉각수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리저버.
KR1020210022097A 2021-02-18 2021-02-18 냉각수 리저버 KR102536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097A KR102536848B1 (ko) 2021-02-18 2021-02-18 냉각수 리저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097A KR102536848B1 (ko) 2021-02-18 2021-02-18 냉각수 리저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218A KR20220118218A (ko) 2022-08-25
KR102536848B1 true KR102536848B1 (ko) 2023-05-26

Family

ID=83111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097A KR102536848B1 (ko) 2021-02-18 2021-02-18 냉각수 리저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84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10125A1 (en) 2008-11-21 2011-09-01 Zoltan Kardos Expansion tank
KR101934360B1 (ko) 2018-01-31 2019-03-2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냉각수 리저버 탱크
JP2019060275A (ja) 2017-09-26 2019-04-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ザーブタンク
US20190170053A1 (en) * 2017-12-05 2019-06-06 Illinois Tool Works Inc. Coolant Reservoir Tank
KR102115927B1 (ko) 2019-12-05 2020-05-27 주식회사 코렌스 냉각수 제어밸브 조립체
KR102189058B1 (ko) * 2019-07-19 2020-12-09 현대위아(주) 통합 열관리용 리저버 탱크 및 이를 포함한 통합 열관리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8406A (ja) * 1997-02-25 1998-09-08 Suzuki Motor Corp エンジン冷却水循環装置
KR19990025857A (ko) * 1997-09-19 1999-04-06 홍종만 자동차용 통합형 열교환 장치
KR100620122B1 (ko) * 2003-12-29 2006-09-13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증발기의 냉매 유출입 매니폴드
KR100804551B1 (ko) * 2006-07-24 2008-02-20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냉각수 리저버탱크
US10665908B2 (en) * 2016-06-23 2020-05-26 Tesla, Inc. Heating and cooling reservoir for a battery powered vehicle
KR20180099007A (ko) 2017-02-28 2018-09-0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냉각수 리저버 탱크
KR102239253B1 (ko) * 2019-08-01 2021-04-12 현대위아(주) 통합 열관리용 밸브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통합 열관리 모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10125A1 (en) 2008-11-21 2011-09-01 Zoltan Kardos Expansion tank
JP2019060275A (ja) 2017-09-26 2019-04-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ザーブタンク
US20190170053A1 (en) * 2017-12-05 2019-06-06 Illinois Tool Works Inc. Coolant Reservoir Tank
KR101934360B1 (ko) 2018-01-31 2019-03-2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냉각수 리저버 탱크
KR102189058B1 (ko) * 2019-07-19 2020-12-09 현대위아(주) 통합 열관리용 리저버 탱크 및 이를 포함한 통합 열관리 모듈
KR102115927B1 (ko) 2019-12-05 2020-05-27 주식회사 코렌스 냉각수 제어밸브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218A (ko) 202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9058B1 (ko) 통합 열관리용 리저버 탱크 및 이를 포함한 통합 열관리 모듈
KR102314041B1 (ko) 베터리 팩
KR100684769B1 (ko) 이차 전지 모듈
US20180115031A1 (en) Apparatus for cooling battery
CN104916878B (zh) 电池组件
JP5474499B2 (ja) 車両用の電源装置及びこの電源装置を搭載する車両
US20160211561A1 (en) Onboard battery for vehicle
CN110700934A (zh) 组合储存器和脱气瓶
KR20190066731A (ko) 셀 에지 직접 냉각 방식의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JPWO2019021779A1 (ja) バッテリシステム及びこのバッテリシステムを備える車両
KR102346829B1 (ko) 차량의 통합 리저버 탱크
CN110521019A (zh) 用于机动车的电池和机动车
US10135046B2 (en) Temperature regulation structure
KR101173467B1 (ko) 냉각 기능을 구비한 전지 모듈 어셈블리
JP2020023965A (ja) 車両の冷却システム
KR102536848B1 (ko) 냉각수 리저버
US20230311707A1 (en) Reservoir tank for integrated heat management, and integrated heat management module comprising same
KR20220144156A (ko) 차량의 통합 열관리 모듈
KR20130005004A (ko) 배터리 냉각장치
CN111602285B (zh) 集成有用于传输传热流体的通道的电池组的保护壳体
WO2014068881A1 (ja) 電源装置及び電源装置を備える車両
KR102603060B1 (ko) 차량용 배터리 냉각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299298B1 (ko) 차량의 유로 일체형 리저버
KR20200072403A (ko) 전지 모듈 하우징 시스템,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조립 방법
KR20230100867A (ko) 냉각수 리저버 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