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746B1 - 항균 글라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균 글라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746B1
KR102536746B1 KR1020200006890A KR20200006890A KR102536746B1 KR 102536746 B1 KR102536746 B1 KR 102536746B1 KR 1020200006890 A KR1020200006890 A KR 1020200006890A KR 20200006890 A KR20200006890 A KR 20200006890A KR 102536746 B1 KR102536746 B1 KR 102536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glass composition
antibacterial
antibacterial glas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3120A (ko
Inventor
김남진
김대성
김영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6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746B1/ko
Priority to PCT/KR2021/000602 priority patent/WO2021145724A1/ko
Priority to AU2021208266A priority patent/AU2021208266B2/en
Priority to EP21741910.0A priority patent/EP4091996A4/en
Priority to CN202180009528.3A priority patent/CN114981223B/zh
Priority to US17/793,231 priority patent/US20230104004A1/en
Publication of KR20210093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3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7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62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 C03C3/06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 C03C3/06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containing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9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4/00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03/00Production processes
    • C03C2203/10Melting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04/00Glasses, glazes or enamels with special properties
    • C03C2204/02Antibacterial glass, glaze or enamel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 글라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글라스 조성물은 SiO2 15~40 중량%; B2O3 20~40 중량%; Na2O, K2O 및 Li2O 가운데 1종 이상 10~30 중량%; MgO 및 TiO2 가운데 1종 이상 0.1~15 중량%; ZnO 및 CaO 가운데 1종 이상 5~40 중량%; CuO 0.1~10 중량%; 및 Ag2O 0.1~3 중량%;를 포함하여 항바이오필름 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항균 글라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ANTIBACTERIAL GLASS COMPOSI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항균 특성을 갖는 항균 글라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균, 균류, 박테리아와 같은 미생물은 세면대, 냉장고 선반, 또는 세탁기와 같은 우리의 생활 공간에 편재해 있다. 만일 이러한 미생물이 우리의 몸에 들어가게 되면, 이들은 생명을 위협하는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세면대, 냉장고 선반, 오븐 또는 세탁기 등과 같은 생활용품에 미생물의 확산을 제어할 수 있는 항균 글라스 조성물이 요구된다.
항미생물성 글라스 분말이 알려져 있다. 종래의 항미생물성 글라스 분말은 P2O5 및 Al2O3의 함량을 제어하여 금속 이온을 방출시키고, 이를 통해 항균성을 발현하였다. 하지만, 인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식품이나 화장품 등에 이런 항균제가 포함된다면 금속 이온이 체내에 흡수되어 해로울 수 있다.
또한 항균성 글라스 분말은 플라스틱 사출물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사출물은 가전제품 등에 사용된다. 항균성 글라스 분말이 적용된 사출물의 표면에는 항균력이 있다. 사출물의 표면에만 항균력이 발현되면 그 항균력에 의해 표면에 존재하는 초기 균들은 죽게 된다. 하지만, 죽은 초기 균들이 사출물 표면 위에 쌓이고 죽은 균들에 의해서 이후에 생기는 균들이 잘 살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진다. 이처럼 죽은 균들이 쌓여서 필름 형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를 바이오필름이라 한다.
플라스틱 사출물의 표면에만 항균력을 발현시키는 것으로는 바이오필름을 저감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없다. 플라스틱 사출물이 물에 접촉할 때 주변의 물까지도 균이 살 수 없는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항균성 글라스는 위에서 언급한 효과를 가질 수 없다.
[특허문헌]
(특허문헌1)
일본등록특허 3845975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한 성분의 용출을 이용한 신규의 항균 글라스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항바이오필름 효과가 탁월한 신규의 항균 글라스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항균 글라스 조성물은 Cu와 Ag 성분의 함량과 타성분의 조성비를 적절히 제어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항균 글라스 조성물은 SiO2 15~40 중량%; B2O3 20~40 중량%; Na2O, K2O 및 Li2O 가운데 1종 이상 10~30 중량%; MgO 및 TiO2 가운데 1종 이상 0.1~15 중량%; ZnO 및 CaO 가운데 1종 이상 5~40 중량%; CuO 0.1~10 중량%; 및 Ag2O 0.1~3 중량%;를 포함하여, 특히 항바이오필름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균 글라스 조성물은 상기 B2O3의 함량이 SiO2의 함량 이상일 수 있고 또한 LiO를 3 중량%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글라스 조성물은 조성비를 조절하여 우수한 항바이오필름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항균 글라스 조성물은 다양한 제품군에 적용할 수 있는 다목적 항균제로 활용이 가능하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항균 글라스 조성물, 그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항균 글라스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항균 글라스 조성물은 SiO2 15~40 중량%; B2O3 20~40 중량%; Na2O, K2O 및 Li2O 가운데 1종 이상 10~30 중량%; MgO 및 TiO2 가운데 1종 이상 0.1~15 중량%; ZnO 및 CaO 가운데 1종 이상 5~40 중량%; CuO 0.1~10 중량%; 및 Ag2O 0.1~3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글라스 조성물은 특히 항바이오필름 효과가 우수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항균 글라스 조성물의 성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SiO2는 유리 구조를 형성하는 핵심적인 성분으로 유리 구조의 골격 역할을 하는 성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글라스 조성물은 SiO2를 15~40 중량% 포함한다. 상기 SiO2가 4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유리 용융시 점도가 높아짐에 따라 퀀칭 과정에서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상기 SiO2가 1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유리의 구조가 약화되어 내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B2O3는 SiO2와 함께 글라스 조성물의 유리화가 가능하도록 유리 형성제로서의 역할을 하는 성분이다. B2O3는 녹는점이 낮기 때문에 용융물의 공융점(eutectic point)을 낮출 뿐만 아니라, 글라스 조성물의 유리화가 쉽게 될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성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글라스 조성물은 B2O3를 20~40 중량% 포함한다. 상기 B2O3가 4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타 성분의 함량을 방해함에 따라 오히려 항균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상기 B2O3가 2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유리의 구조가 약화되어 내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항균 글라스 조성물은 상기 B2O3의 함량이 상기 SiO2의 함량 이상일 수 있다. 상기 SiO2의 함량이 상기 B2O3의 함량보다 클 경우 금속 이온이 충분히 용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B2O3의 함량이 상기 SiO2의 함량이 같거나, 또는 상기 B2O3의 함량이 상기 SiO2의 함량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Na2O, K2O, Li2O와 같은 alkali oxide는 유리 조성 내에서 비가교결합을 하는 망목수식제 역할을 하는 산화물이다. 상기 성분들 가운데 단독으로는 유리화가 불가능하지만, SiO2 및 B2O3 등과 같은 망목형성제와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면 유리화가 가능해진다. 상기 성분들 가운데 한가지 성분만이 글라스 조성에 포함되면, 유리화가 가능한 영역 내에서는 유리의 내구성을 약화시킬 수 있다. 하지만, 두가지 이상의 성분이 글라스 조성에 포함되면 비율에 따라 유리의 내구성이 다시 향상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글라스 조성물은 Na2O, K2O 및 Li2O 가운데 1종 이상을 10~30 중량% 포함한다. Na2O, K2O 및 Li2O 가운데 1종 이상이 30 중량%를 초과하여 조성물에 포함되면, 글라스 조성물의 내구성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다. 반대로 Na2O, K2O 및 Li2O 가운데 1종 이상이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유리화가 어려워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항균 글라스 조성물은 Li2O 3중량%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Li2O이 3중량%를 초과하면 포함되면 유리화가 어렵고 실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MgO 및 TiO2는 유리의 화학적 내구성 및 내열성 등을 증진시키는 성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글라스 조성물은 MgO 및 TiO2 가운데 1종 이상을 0.1~15 중량% 포함한다. MgO 및 TiO2 가운데 1종 이상이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유리의 내구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대로 MgO 및 TiO2 가운데 1종 이상이 1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유리 용융 과정에서 실투가 발생할 수 있다.
ZnO 및 CaO는 유리의 구조적인 측면에서 망목형성제와 망목수식제의 역할을 모두 수행하는 성분이다. 또한, 이들은 글라스 조성의 항균성을 발현하는 성분 가운데 하나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글라스 조성물은 ZnO 및 CaO 가운데 1종 이상을 5~40 중량% 포함한다. ZnO 및 CaO 가운데 1종 이상이 5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글라스 조성의 항균성 발현이 어렵다. 반대로 ZnO 및 CaO 가운데 1종 이상이 4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글라스 조성의 내구성이나 열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CuO와 Ag2O는 본 발명에서 글라스 조성의 항균성을 발현하는 핵심 성분이다. 위 2개 성분은 바이오필름의 주요 원인균인 녹농균에 대해 높은 항균력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글라스 조성물은 CuO 0.1~10 중량% 및 Ag2O 0.1~3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CuO가 10 중량%를 초과하면 유리 표면에 Cu가 석출되어 불균질한 유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g2O가 3 중량%를 초과하면 유리 표면에 Cu가 석출되어 불균질한 유리가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성분들이 최소 성분 미만으로 함유되면 항균력이 저하된다.
< 항균 글라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항균 글라스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글라스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항균 글라스 조성물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항균 글라스 조성물 재료를 멜팅하는 단계; 및 상기 멜팅된 항균 글라스 조성물 재료를 퀀칭 롤러에서 냉각하여, 항균 글라스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항균 글라스 조성물 재료를 충분히 혼합한 후, 상기 항균 글라스 조성물 재료는 멜팅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균 글라스 조성물 재료는 전기로에서 1200~1300℃의 온도범위에서 멜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균 글라스 조성물 재료는 10~60분 동안 멜팅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멜팅 된 항균 글라스 조성물 재료는 칠러 등이 사용되어, 퀀칭 롤러에 의해 급냉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항균 글라스 조성물이 형성될 수 있다.
<항균 글라스 조성물의 적용 방법 >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항균 글라스 조성물은 대상 물체의 일 표면에 코팅될 수 있다. 상기 대상 물체는 금속 플레이트, 강화 유리 플레이트, 조리기기의 일부, 또는 전부일 수 있다. 코팅 방법은 코팅액을 대상 물체의 표면에 바르고 소성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스프레이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코팅 방법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항균 글라스 조성물은 700~750℃의 온도범위에서 300~450초 동안 소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균 글라스는 플라스틱 수지 사출물에 첨가제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글라스 분말을 플라스틱 수지 사출품에 적정량 포함시켜, 사출물의 표면에 항균력을 부여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태양을 살펴보기로 한다.
<실시예>
<항균 글라스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비를 갖는 항균 글라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각 성분의 원재료들을 V-혼합기(V-mixer)에서 3시간 동안 충분히 혼합하였다. 여기서, Na2O, K2O, Li2O 및 CaO의 원재료는 각각 Na2CO3, K2CO3, Li2CO3 및 CaCO3를 사용하였으며, 나머지 성분은 표 1에 기재된 성분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혼합된 재료를 1300℃에서 30분 동안 충분히 용융시키고, 퀀칭 롤러(quenching roller)에서 급냉 시킨 후 유리 컬릿을 수득하였다.
상기 과정으로 수득한 유리 컬릿을 분쇄기(ball mill)로 초기 입도를 제어 후 젯밀을 이용하여 약 5시간 동안 분쇄 후 325 메쉬 시브(ASTM C285-88)에 통과시켜 D50 입경을 5~15㎛로 제어하여, 최종적으로 항균 글라스 분말을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SiO2 25.2 19.1 26 41 30.5 32.3
B2O3 27.9 24.7 25 20 23.5 22.8
Na2O 9.5 10.4 11 10.5 12.9 4.7
K2O 6.3 5.7 6 6 7.1 4.8
Li2O 1.2 0.9 1 2 2.4 0
MgO 0.5 0.5 0.3 0 0.8 0.6
TiO2 0.5 0.7 0.5 0.5 0.5 1.6
ZnO 20.4 28.4 20 20 22.3 29.2
CaO 6 0 5 0 0 0
Ag2O 0.5 0.1 0.2 0 0 0
CuO 2 9.5 5 0 0 4
<항균 글라스 첨가 플라스틱 사출물 제조 >
폴리프로필렌수지를 이용하여 200mm×100mm 및 두께 3mm 수준의 사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3의 항균 글라스 분말이 각각 4 중량% 포함된 사출물 3개와, 비교예 1~3의 항균 글라스 분말이 각각 4 중량% 포함된 사출물 3개를 제작하였다. 위 사출물 6개에 대해 항바이오필름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예-항균도, 항바이오필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사출물에 대해 하기와 같이 항균 특성을 평가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글라스 조성물의 항균력을 확인하기 위해 ASTM E2149-13a 진탕플라스크법을 이용하였다.
항바이오필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규격시험법 ASTM E2562-12를 이용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2
항균도(ASTM E2149-13a 진탕플라스크법)
Staphylococcus aureus
99.9 % 99.9 % 99.9 % 67.0 % 40.0 % 98.1 %
항균도(ASTM E2149-13a 진탕플라스크법)
Escherichia coil
99.9 % 99.9 % 99.9 % 47.5 % 42.9 % 71.2 %
항균도(ASTM E2149-13a 진탕플라스크법)
Klebsiella pneumoniae
99.9 % 99.9 % 99.9 % 68.8 % 73.8 % 99.9 %
항바이오필름(ASTM E2562-12)
Pseudomonas aeruginasa
99.9 % 99.9 % 99.9 % 79.0 % 91.2 % 99.9 %
pH (상온수 32h 침지 후 평가, 초기값 7.5±0.2) 8.8 9.1 8.4 7.6 8.1 7.6
상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항균 성능이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비교예들은 실시예와 비교하여 항균성능이 매우 불만족스러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Claims (6)

  1. SiO2 15~40 중량%;
    B2O3 20~40 중량%;
    Na2O, K2O 및 Li2O 가운데 1종 이상 10~30 중량%;
    MgO 및 TiO2 가운데 1종 이상 0.5~15 중량%;
    ZnO 및 CaO 가운데 1종 이상 20~40 중량%;
    CuO 0.1~10 중량%; 및
    Ag2O 0.1~3 중량%;를 포함하는
    항균 글라스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2O3의 함량이 상기 SiO2의 함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글라스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Na2O, K2O 및 Li2O 가운데 2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Li2O가 0 초과 3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글라스 조성물.
  4. SiO2 15~40 중량%;
    B2O3 20~40 중량%;
    Na2O, K2O 및 Li2O 가운데 1종 이상 10~30 중량%;
    MgO 및 TiO2 가운데 1종 이상 0.5~15 중량%;
    ZnO 및 CaO 가운데 1종 이상 20~40 중량%;
    CuO 0.1~10 중량%; 및
    Ag2O 0.1~3 중량%;를 포함하는 항균 글라스 조성물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항균 글라스 조성물 재료를 멜팅하는 단계; 및
    상기 멜팅된 항균 글라스 조성물 재료를 퀀칭 롤러에서 냉각하여, 항균 글라스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항균 글라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B2O3의 함량이 상기 SiO2의 함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글라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글라스 조성물 재료는
    상기 Na2O, K2O 및 Li2O 가운데 2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Li2O가 0 초과 3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글라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00006890A 2020-01-17 2020-01-17 항균 글라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36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890A KR102536746B1 (ko) 2020-01-17 2020-01-17 항균 글라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21/000602 WO2021145724A1 (ko) 2020-01-17 2021-01-15 항균 글라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U2021208266A AU2021208266B2 (en) 2020-01-17 2021-01-15 Antibacterial glass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EP21741910.0A EP4091996A4 (en) 2020-01-17 2021-01-15 ANTIBACTERIAL GLASS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IT
CN202180009528.3A CN114981223B (zh) 2020-01-17 2021-01-15 抗菌玻璃组合物及其制造方法
US17/793,231 US20230104004A1 (en) 2020-01-17 2021-01-15 Antibacterial glass composi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890A KR102536746B1 (ko) 2020-01-17 2020-01-17 항균 글라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120A KR20210093120A (ko) 2021-07-27
KR102536746B1 true KR102536746B1 (ko) 2023-05-24

Family

ID=76864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890A KR102536746B1 (ko) 2020-01-17 2020-01-17 항균 글라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04004A1 (ko)
EP (1) EP4091996A4 (ko)
KR (1) KR102536746B1 (ko)
CN (1) CN114981223B (ko)
AU (1) AU2021208266B2 (ko)
WO (1) WO20211457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469B1 (ko) * 2023-04-17 2024-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항균 유리 조성물 및 그 항균 유리 분말 제조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KR102651316B1 (ko) * 2023-06-07 2024-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항균 유리 조성물 및 그 항균 유리 분말 제조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2918A (ja) * 2004-08-16 2006-02-23 Toagosei Co Ltd 微生物発生防止方法
JP2006520311A (ja) 2003-02-25 2006-09-07 ショット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抗微生物作用ホウケイ酸ガラス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825B2 (ja) * 1989-11-01 1995-02-22 ユー・エイチ・アイ システムズ株式会社 抗菌・殺菌用ガラス
JP3248279B2 (ja) * 1993-01-29 2002-01-21 日本板硝子株式会社 抗菌性ガラス用組成物
JPH08245237A (ja) * 1995-03-09 1996-09-24 Nippon Sheet Glass Co Ltd 抗菌性ガラス用組成物
JPH10218637A (ja) * 1997-01-31 1998-08-18 Nippon Glass Fiber Co Ltd 抗菌・抗かび性ガラス及びそのガラスを含有する樹脂組成物
JP3845975B2 (ja) 1997-08-20 2006-11-1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抗菌性ガラス及び樹脂組成物
DE10141230A1 (de) * 2001-08-22 2003-03-13 Schott Glas Farbzusatz umfassend ein Glas mit antimikrobieller Wirkung
DE112004000094A5 (de) * 2003-02-25 2008-04-03 Schott Ag Antimikrobiell wirkendes Borosilicatglas
DE102004026432A1 (de) * 2004-05-29 2005-12-22 Schott Ag Glaszusammensetzungen als antimikrobieller Zusatz für Dentalmaterialien und deren Verwendung
US10751367B2 (en) * 2016-05-27 2020-08-25 Corning Incorporated Bioactive glass microspheres
KR102547835B1 (ko) * 2018-04-24 2023-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KR102104318B1 (ko) * 2018-04-24 2020-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항균 글라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0311A (ja) 2003-02-25 2006-09-07 ショット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抗微生物作用ホウケイ酸ガラス
JP2006052918A (ja) * 2004-08-16 2006-02-23 Toagosei Co Ltd 微生物発生防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120A (ko) 2021-07-27
WO2021145724A1 (ko) 2021-07-22
AU2021208266A1 (en) 2022-09-15
US20230104004A1 (en) 2023-04-06
EP4091996A4 (en) 2024-03-27
AU2021208266B2 (en) 2024-05-02
CN114981223A (zh) 2022-08-30
CN114981223B (zh) 2023-12-01
EP4091996A1 (en) 2022-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1595B1 (ko) 항균 글라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04318B1 (ko) 항균 글라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36746B1 (ko) 항균 글라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4079696A1 (en) Antimicrobial glass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glass powder preparation method using same
KR102536734B1 (ko) 항균 글라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13570B1 (ko) 항균 글라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135615B (zh) 抗菌玻璃组合物及其制造方法
CN115103821B (zh) 抗菌玻璃组合物及其制造方法
KR102582133B1 (ko) 복합기능 유리 코팅막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KR102613568B1 (ko) 고내구성 항균 유리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출물
KR102549222B1 (ko) 항균 유리 조성물 및 그 항균 유리 분말 제조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KR20210077167A (ko) 항균 유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항균 유리 분말 제조 방법
KR102549391B1 (ko) 항균 유리 조성물 및 그 항균 유리 분말 제조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KR102492940B1 (ko) 항균성 유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항균 유리 코팅막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KR102636690B1 (ko) 비용출성 항균 유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항균 유리 분말 제조 방법
KR20230052701A (ko) 항균 유리 조성물을 포함하는 세라믹 조성물
KR20230152508A (ko) 고내열성 항균 유리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출물
CN115697928A (zh) 抗菌玻璃组合物、该抗菌玻璃粉末制造方法以及包含其的家电产品
AU2021437878A1 (en) Non-elutable antimicrobial glass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antimicrobial glass powder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