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317B1 - Lifting system for utility rack module - Google Patents

Lifting system for utility rack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317B1
KR102536317B1 KR1020230000783A KR20230000783A KR102536317B1 KR 102536317 B1 KR102536317 B1 KR 102536317B1 KR 1020230000783 A KR1020230000783 A KR 1020230000783A KR 20230000783 A KR20230000783 A KR 20230000783A KR 102536317 B1 KR102536317 B1 KR 102536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utility
utility rack
rack modul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07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기만
장동익
강운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후레씨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후레씨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후레씨네코리아
Priority to KR1020230000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31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3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틸리티 랙의 최외곽 포스트 외측에 결합된 승강장치를 구동함에 따라 승강장치가 리프트와이어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서 유틸리티 랙모듈을 양중함으로써, 별도의 양중지그 없이 유틸리티 랙모듈을 양중하면서도 랙 부재의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유틸리티 랙모듈 리프팅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유틸리티 랙모듈 리프팅 시스템은 복수 열의 포스트를 빔으로 연결하여 조립된 유틸리티 랙 및 상기 유틸리티 랙의 빔 상부에 거치되는 유틸리티 배관으로 구성되는 유틸리티 랙모듈을 양중하여 상부 슬래브의 하부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유틸리티 랙의 최외곽 포스트 외측에 구비되는 제1양중러그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는 승강장치; 및 하단은 상기 승강장치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부 슬래브에 고정되는 리프팅와이어; 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장치의 구동에 의해 승강장치가 리프팅와이어를 따라 상승하면서 유틸리티 랙모듈을 양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lifts the utility rack module while moving upward along the lift wire as the lifting device coupled to the outermost post of the utility rack is driven, thereby lifting the utility rack module without a separate lifting jig and deforming the rack member. It is about a utility rack module lifting system that can prevent damage.
The utility rack module lif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lifting a utility rack module composed of a utility rack assembl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rows of posts with a beam and a utility pipe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eam of the utility rack to install it o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slab. , an elevating device having one side hinged to a first lifting lug provided outside the outermost post of the utility rack; and a lifting wire having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lifting device and an upper end fixed to the upper slab. Consisting of,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ting device lifts the utility rack module while rising along the lifting wire by the driving of the lifting device.

Description

유틸리티 랙모듈 리프팅 시스템{Lifting system for utility rack module}Utility rack module lifting system {Lifting system for utility rack module}

본 발명은 유틸리티 랙의 최외곽 포스트 외측에 결합된 승강장치를 구동함에 따라 승강장치가 리프트와이어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서 유틸리티 랙모듈을 양중함으로써, 별도의 양중지그 없이 유틸리티 랙모듈을 양중하면서도 랙 부재의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유틸리티 랙모듈 리프팅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lifts the utility rack module while moving upward along the lift wire as the lifting device coupled to the outermost post of the utility rack is driven, thereby lifting the utility rack module without a separate lifting jig and deforming the rack member. It is about a utility rack module lifting system that can prevent damage.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등의 제조 공장 또는 플랜트나 제철소 등에서는 각 제조 공정을 지원하기 위한 기체 및 액체 이송용 파이프, 공조용 덕트, 전선 등 각종 유틸리티 배관이 대규모로 설치된다(등록특허 제10-1461465호 등).Various utility piping, such as gas and liquid transfer pipes, air conditioning ducts, and electric wires, is installed on a large scale to support each manufacturing process in manufacturing factories, plants, or steel mills, such as semiconductors or displays (Patent No. 10-1461465, etc.) ).

이때 공장 내부 작업 공간 확보를 위해 유틸리티 배관을 상부 슬래브의 하부에 매달아 설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대개 철골 랙을 상부 슬래브의 하부 즉, 천장 하면에 고정 설치하고 유틸리트 배관을 랙에 거치한다.At this time, in many cases, utility pipes are hu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upper slab to secure a working space inside the factory. In general, a steel frame rack is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slab, that is,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eiling, and the utility pipes are mounted on the rack.

그런데 랙 설치 작업과 유틸리티 배관 설치 작업을 별도로 실시하는 경우에는 공기가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천장에 랙을 먼저 설치한 후 유틸리티 배관을 설치하여야 하는데, 천장에 고정된 랙의 빔 상부로 유틸리티 배관을 이동하여 거치하기 곤란하다.However, when the rack installation work and the utility pipe installation work are performed separately,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 lot of air is consum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first install the rack on the ceiling and then install the utility pipe, but it is difficult to move the utility pipe to the top of the beam of the rack fixed to the ceiling.

따라서 하부층 슬래브 상부에서 사전 조립된 랙 상부에 미리 유틸리티 배관을 거치시켜 모듈화한 다음, 각 모듈을 양중하여 상부 슬래브 하부에 랙을 고정 설치하고, 상부에서 각 모듈 간 랙과 유틸리티 배관을 연결하여 설치한다.Therefore, modularization is performed by placing utility pipes on the top of the pre-assembled rack at the top of the lower slab, lifting each module and fixing the rack to the bottom of the upper slab, and connecting the rack and utility pipe between each module at the top. .

등록특허 제10-2462279호에서는 상부 슬래브를 관통하도록 스트랜드 와이어를 설치하고, 스트랜드 와이어를 파이프랙의 빔에 직접 연결한 후 상부 슬래브 상부에서 유공압잭에 의해 스트랜드 와이어를 수직 인양함으로써 파이프랙 모듈을 양중한다.In Patent Registration No. 10-2462279, strand wire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upper slab, the strand wir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beam of the pipe rack, and then the strand wire is lifted vertically by a pneumatic jack from the top of the upper slab to lift the pipe rack module. do.

그러나 파이프랙 모듈은 중량이 매우 크기 때문에, 양중 시 양중하중에 의해 파이프랙의 빔이 변형 또는 파괴될 수 있다. 따라서 파이프랙 모듈의 양중 시 빔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빔의 단면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 경우 물량이 많이 소요되어 경제성이 떨어지고 자중이 증가하여 양중 부담이 증가된다. However, since the pipe rack module is very heavy, the beam of the pipe rack may be deformed or destroyed by the lifting load during liftin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sider a method of increasing the cross section of the beam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beam when lifting the pipe rack module, but in this case, a large amount of material is required, which reduces economic feasibility and increases the load burden due to increased self-weight.

또한 등록특허 제10-1852518호에서는 파이프랙 양중 시 파이프랙을 구성하는 부재의 변형 또는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철골 양중지그를 조립하여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양중지그의 상부에 파이프랙을 거치하는 한편, 상부 슬래브에 상단이 고정된 스트랜드 와이어의 하부를 양중지그의 단부에 구비된 유압실린더에 연결한다. 이후 스트랜드 와이어에 결합된 유압실린더를 구동하여 양중지그를 양중함으로써 파이프랙을 상승시킨다.In addition, in Patent Registration No. 10-1852518, a separate steel frame lifting jig is assembled and installed to prevent deformation or damage to members constituting the pipe rack when lifting the pipe rack. And while the pipe rack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lifting jig, the lower part of the strand wire whose upper end is fixed to the upper slab is connected to the hydraulic cylinder provided at the end of the lifting jig. Thereafter, the pipe rack is raised by lifting the lifting jig by driving the hydraulic cylinder coupled to the strand wire.

그러나 상기 기술은 별도의 철골 양중지그가 투입되어야 하므로, 본 구조물 외에 투입되어야 하는 강재량이 과도해져 경제성이 떨어진다. 또한 각 랙모듈의 조립 작업이 슬래브 상면이 아니라 파이프랙 상부에서 수행되므로, 랙 조립 작업의 작업성이 떨어진다.However, since the above technology requires a separate steel frame lifting jig to be put in, the amount of steel to be put in other than the main structure is excessive, resulting in poor economic feasibility. In addition, since the assembly work of each rack module is performed no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but on the upper part of the pipe rack, the workability of the rack assembly work is reduc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별도의 철골 양중지그 없이 유틸리티 랙모듈을 양중하면서도 랙을 구성하는 부재의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유틸리티 랙모듈 리프팅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tility rack module lifting system that can prevent deformation or damage to members constituting the rack while lifting the utility rack module without a separate steel frame lifting jig.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복수 열의 포스트를 빔으로 연결하여 조립된 유틸리티 랙 및 상기 유틸리티 랙의 빔 상부에 거치되는 유틸리티 배관으로 구성되는 유틸리티 랙모듈을 양중하여 상부 슬래브의 하부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유틸리티 랙의 최외곽 포스트 외측에 구비되는 제1양중러그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는 승강장치; 및 하단은 상기 승강장치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부 슬래브에 고정되는 리프팅와이어; 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장치의 구동에 의해 승강장치가 리프팅와이어를 따라 상승하면서 유틸리티 랙모듈을 양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틸리티 랙모듈 리프팅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is to lift a utility rack module composed of a utility rack assembl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rows of posts with a beam and a utility pipe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eam of the utility rack to install it o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slab. , an elevating device having one side hinged to a first lifting lug provided outside the outermost post of the utility rack; and a lifting wire having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lifting device and an upper end fixed to the upper slab. Consisting of, it provides a utility rack module lif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ting device lifts the utility rack module while rising along the lifting wire by the driving of the lifting device.

삭제delete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승강장치는 리프팅와이어의 하단이 연결되는 승강잭; 및 상기 승강잭의 양측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지지부재와 상기 한 쌍의 수직지지부재 상단을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리프팅와이어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승강잭의 상단이 밀착되는 상부수평지지부재와 상기 한 쌍의 수직지지부재 전면에 수직지지부재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하부수평지지부재와 상기 하부수평지지부재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양중러그와 힌지 결합되는 제2양중러그로 구성되는 리프팅프레임;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틸리티 랙모듈 리프팅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ing device is a lifting jack 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wire is connected; And by connecting a pair of vertical support members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lifting jack and an upper end of the pair of vertical support member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lifting wire passes is formed, and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jack is formed at the bottom. An upper horizontal support member in close contact with a lower horizontal support member provided to connect the vertical support member to the front of the pair of vertical support members and a second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lower horizontal support member and hinged with the first lifting lug A lifting frame composed of lifting lugs; It provides a utility rack module lif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상부수평지지부재의 관통공 상부에는 중앙에 상부 입구 측이 확장된 가이드공이 형성되어 리프팅와이어가 관통하는 가이드배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틸리티 랙모듈 리프팅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is a utility rack module lif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guide hole with an upper entrance side extended in the center is formed at the upper part of the through hole of the upper horizontal support member and a guide barrel through which the lifting wire passes is provided. provides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승강장치의 전면에는 포스트의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제1양중러그가 결합되는 위치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편심지지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틸리티 랙모듈 리프팅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ccentric support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lifting device at a position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lifting lug is coupled to support the outer surface of the post, the utility rack module A lifting system is provided.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편심지지구는 승강장치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틸리티 랙모듈 리프팅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provides a utility rack module lif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eccentric support is rotatably hinged to the front of the elevator.

본 발명에 따르면 유틸리티 랙의 최외곽 포스트 외측에 결합된 승강장치를 구동함에 따라 승강장치가 리프트와이어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서 유틸리티 랙모듈을 양중할 수 있는 유틸리티 랙모듈 리프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utility rack module lifting system capable of lifting a utility rack module while the lifting device moves upward along a lift wire as the lifting device coupled to the outermost outer post of the utility rack is driven.

이때 승강장치가 축 부재인 유틸리티 랙의 포스트에 결합되므로, 양중하중 작용 시 유틸리티 랙을 구성하는 빔의 변형이나 손상 없이 유틸리티 랙모듈을 양중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elevating device is coupled to the post of the utility rack, which is a shaft member, the utility rack module can be lifted without deformation or damage to beams constituting the utility rack when a lifting load is applied.

또한 유틸리티 랙모듈 양중을 위한 별도의 양중지그 프레임이 불필요하므로 투입되는 강재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separate lifting jig frame for lifting the utility rack module is unnecessary, the amount of steel input can be minimized.

도 1은 유틸리티 랙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유틸리티 랙모듈 리프팅 시스템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리프팅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리프팅프레임 내부에 승강잭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가이드배럴을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
도 7은 가이드배럴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편심지지구가 포스트에 지지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9는 편심지지구가 접힌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utility rack;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utility rack module lif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of Figure 2;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fting frame.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jack is installed inside the lifting frame.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guide barrel.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uide barrel is installed.
8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ccentric support is supported on a post;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eccentric support.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도 1은 유틸리티 랙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유틸리티 랙모듈 리프팅 시스템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utility rack,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ed state of the utility rack module lif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ront view of FIG. 2 .

도 2,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유틸리티 랙모듈 리프팅 시스템은 복수 열의 포스트(211)를 빔(212a, 212b)으로 연결하여 조립된 유틸리티 랙(21) 및 상기 유틸리티 랙(21)의 빔(212a, 212b) 상부에 거치되는 유틸리티 배관(22)으로 구성되는 유틸리티 랙모듈(2)을 양중하여 상부 슬래브(1)의 하부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유틸리티 랙(21)의 최외곽 포스트(211) 외측에 결합되는 승강장치(3); 및 하단은 상기 승강장치(3)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부 슬래브(1)에 고정되는 리프팅와이어(4); 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장치(3)의 구동에 의해 승강장치(3)가 리프팅와이어(4)를 따라 상승하면서 유틸리티 랙모듈(2)을 양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utility rack module lif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a plurality of rows of posts 211 with beams 212a and 212b, and the assembly of the utility rack 21 and the utility rack 21 It is for installing the utility rack module 2 composed of the utility pipe 22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eams 212a and 212b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slab 1, and the outermost post of the utility rack 21 (211) an elevating device 3 coupled to the outside; And a lifting wire 4 having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lifting device 3 and an upper end fixed to the upper slab 1; It is composed of,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ting device (3) lifts the utility rack module (2) while rising along the lifting wire (4) by the driving of the lifting device (3).

본 발명은 별도의 철골 양중지그 없이 유틸리티 랙모듈(2)을 양중하면서도 유틸리티 랙(21)을 구성하는 부재의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유틸리티 랙모듈 리프팅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tility rack module lifting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deformation or damage to members constituting the utility rack 21 while lifting the utility rack module 2 without a separate steel frame lifting jig.

본 발명은 선조립된 유틸리티 랙모듈(2)을 양중하여 상부 슬래브(1)의 하부에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lift the pre-assembled utility rack module (2) and install it i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slab (1).

상기 유틸리티 랙모듈(2)은 유틸리티 랙(21) 상부에 유틸리티 배관(22)을 적재한 것으로, 일정한 길이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각 유틸리티 랙모듈(2)은 본 발명 유틸리티 랙모듈 리프팅 시스템에 의해 양중되어 상부 슬래브(1) 하부에 서로 인접하도록 고정 설치된다. 이후 인접하는 유틸리티 배관(22)들을 연결할 수 있다.The utility rack module 2 is one in which utility pipes 22 are loaded on top of the utility rack 21, and may be formed in plurality with a certain length. Each utility rack module (2) is lifted by the utility rack module lif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xedly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under the upper slab (1). Thereafter, adjacent utility pipes 22 may be connected.

상기 유틸리티 랙(21)은 포스트(211)를 복수 열로 배치하고, 이웃하는 포스트(211)를 빔(212a, 212b)으로 연결하여 구성된다(도 1). 이때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포스트(211)는 종방향빔(212a)으로 연결되고, 횡방향으로 이웃하는 포스트(211)는 횡방향빔(212b)으로 연결된다.The utility rack 21 is configured by arranging posts 211 in a plurality of rows and connecting neighboring posts 211 with beams 212a and 212b (FIG. 1). At this time, the posts 211 neighbor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beam 212a, and the posts 211 neighboring to the lateral direction are connected to the transverse beam 212b.

상기 포스트(211)와 빔(212a, 212b)은 H형강 등 철골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The post 211 and the beams 212a and 212b may be formed of steel members such as H-beams.

상기 유틸리티 랙(21)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utility rack 21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layers.

상기 유틸리티 랙(21)의 빔(212a, 212b) 상부에는 각종 유틸리티 배관(22)이 거치된다.Various utility pipes 22 are mounted on top of the beams 212a and 212b of the utility rack 21 .

도 2, 도 3에는 종방향빔(212b)의 상부에 유틸리티 배관(22)이 거치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었으나, 횡방향빔(212a)의 상부에 유틸리티 배관(22)이 거치될 수도 있다.2 and 3 show an embodiment in which the utility pipe 22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ngitudinal beam 212b, but the utility pipe 22 may be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verse beam 212a.

상기 유틸리티 배관(22)은 파이프 또는 덕트 등일 수 있다.The utility piping 22 may be a pipe or duct.

상기 유틸리티 랙모듈(2)은 양중 무게를 고려하여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The size of the utility rack module 2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weight of the lift.

본 발명 유틸리티 랙모듈 리프팅 시스템은 승강장치(3)와 리프팅와이어(4)로 구성된다.The utility rack module lif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lifting device (3) and a lifting wire (4).

상기 리프팅와이어(4)는 상단이 상부 슬래브(1)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승강장치(3)에 연결된다.The upper end of the lifting wire 4 is fixed to the upper slab 1, and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lifting device 3.

이를 위해 상기 리프팅와이어(4)의 상단에는 고정러그(40)가 구비될 수 있다.To this end, a fixing lug 40 may b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lifting wire 4 .

상기 리프팅와이어(4)는 스트랜드 와이어, 강봉, 쓰레드 바 등일 수 있다.The lifting wire 4 may be a strand wire, a steel rod, a thread bar, or the like.

상기 승강장치(3)는 유틸리티 랙(21)의 최외곽 포스트(211) 외측에 결합된다.The elevating device 3 is coupled to the outermost outer post 211 of the utility rack 21 .

상기 승강장치(3)는 복수 개가 유틸리티 랙(21)의 좌우에 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lifting devices 3 may be symmetrically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tility rack 21 .

도 2, 도 3에는 상기 승강장치(3)가 유틸리티 랙(21)의 횡방향 양측에 설치된 실시예가 도시된다.2 and 3 show an embodiment in which the elevating device 3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tility rack 21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상기 승강장치(3)를 구동하면 승강장치(3)가 리프팅와이어(4)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서 유틸리티 랙모듈(2)을 상부로 양중한다.When the elevating device 3 is driven, the elevating device 3 moves upward along the lifting wire 4 and lifts the utility rack module 2 upward.

이때 상기 승강장치(3)는 축 부재인 포스트(211)에 결합되므로, 양중하중 작용 시 빔(212a, 212b)의 변형없이 유틸리티 랙모듈(2)을 양중 가능하다.At this time, since the elevating device 3 is coupled to the post 211, which is a shaft member, it is possible to lift the utility rack module 2 without deformation of the beams 212a and 212b when a lifting load is applied.

이에 따라 빔(212a, 212b)은 양중하중에 대한 고려 없이 거치되는 유틸리티 랙(21)의 하중에 대해서만 설계하면 되므로, 빔(212a, 212b)의 단면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beams 212a and 212b need only be designed for the load of the utility rack 21 to be mounted without considering the lifting load, the cross section of the beams 212a and 212b can be minimized.

또한 별도의 양중지그 프레임이 불필요하므로 본 구조물 이외에 투입되는 강재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separate lifting jig frame is unnecessary, the amount of steel input other than the main structure can be minimiz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장치(3)가 결합되는 최외곽 포스트(211)의 외측에는 제1양중러그(213)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장치(3)는 제1양중러그(213)에 일측이 힌지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a first lifting lug 213 is provided outside the outermost post 211 to which the lifting device 3 is coupled, and the lifting device 3 has a first lifting lug 213. ) One side may be hinged.

종래 랙의 빔에 리프팅 장치를 연결하는 기술은 양중 장치와 포스트의 간섭이 없다. 반면, 본 발명은 상기 유틸리티 랙(21)의 빔(212a, 212b)이 아닌 포스트(211)에 승강장치(3)를 결합하여 양중하므로, 리프팅와이어(4) 및 승강장치(3)가 포스트(211)와 간섭된다.In the conventional technique of connecting a lifting device to a beam of a rack, there is no interference between the lifting device and the post.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ifting device 3 is coupled to the post 211 rather than the beams 212a and 212b of the utility rack 21 to lift, the lifting wire 4 and the lifting device 3 are lifted by the post ( 211) interfered with.

따라서 상기 포스트(211)에 승강장치(3)를 간섭 없이 결합하기 위해 리프팅와이어(4)와 승강장치(3)를 포스트(211)의 외측으로 편심 배치하고, 승강장치(3)가 결합되는 포스트(211)의 외측에 제1양중러그(213)를 돌출되게 구비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couple the elevating device 3 to the post 211 without interference, the lifting wire 4 and the elevating device 3 are eccentrically disposed outside the post 211, and the post to which the elevating device 3 is coupled A first lifting lug 213 may be provided on the outside of 211 so as to protrude.

상기 승강장치(3)는 제1양중러그(213)와 힌지 결합하여 유틸리티 랙모듈(2)의 양중 시 승강장치(3) 및 포스트(211)에 작용하는 하중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lifting device 3 is hingedly coupled to the first lifting lug 213 to minimize the load applied to the lifting device 3 and the post 211 when the utility rack module 2 is lifted.

도 4는 리프팅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리프팅프레임 내부에 승강잭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fting frame,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jack is installed inside the lifting frame.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장치(3)는 리프팅와이어(4)의 하단이 연결되는 승강잭(31); 및 상기 승강잭(31)의 양측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지지부재(321)와 상기 한 쌍의 수직지지부재(321) 상단을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리프팅와이어(4)가 관통하는 관통공(H1)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승강잭(31)의 상단이 밀착되는 상부수평지지부재(322)와 상기 한 쌍의 수직지지부재(321) 전면에 수직지지부재(321)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하부수평지지부재(323)와 상기 하부수평지지부재(323)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양중러그(213)와 힌지 결합되는 제2양중러그(324)로 구성되는 리프팅프레임(32); 으로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s 4 and 5, the lifting device 3 is a lifting jack 31 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wire 4 is connected; And a pair of vertical support members 321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lifting jack 31 and the upper end of the pair of vertical support members 321 are connected, through which the lifting wire 4 passes. A ball (H 1 ) is formed, and the vertical support member 321 is connec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horizontal support member 322 and the pair of vertical support members 321 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jack 31 is in close contact. A lifting frame 32 composed of a lower horizontal support member 323 and a second lifting lug 324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horizontal support member 323 and hinged with the first lifting lug 213 ); may consist of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장치(3)는 포스트(211)의 외측에서 포스트(211)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승강장치(3)가 유틸리티 랙(21)에 양중하중을 전달하여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elevating device 3 is install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post 211 on the outside of the post 211 so that the elevating device 3 must transfer a lifting load to the utility rack 21.

이를 위해 상기 승강장치(3)는 구동에 의해 리프팅와이어(4)를 따라 상승하는 것으로 리프팅와이어(4)의 하단이 연결되는 승강잭(31)과 상기 승강잭(31)과 포스트(211)를 연결하여 승강잭(31) 상승 시 유틸리티 랙(21)을 양중하는 리프팅프레임(32)으로 구성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lifting device 3 rises along the lifting wire 4 by driving, and the lifting jack 31 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wire 4 is connected, the lifting jack 31 and the post 211 It can be configured as a lifting frame 32 that lifts the utility rack 21 when the lifting jack 31 is raised by connecting.

상기 승강잭(31)은 유압 또는 공압 등에 의해 구동되는 유공압잭일 수 있다.The elevating jack 31 may be a hydraulic or pneumatic jack driven by hydraulic pressure or pneumatic pressure.

상기 리프팅와이어(4)는 상기 승강잭(31)을 관통하여 승강잭(31) 하부의 앵커헤드에 구비된 웨지에 물려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잭(31)의 실린더 전진에 의해 앵커헤드를 하향 이동시키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면서 승강잭(31)을 상향 이동시킬 수 있다.The lifting wire 4 may pass through the elevating jack 31 and be bitten and fixed to a wedge provided in an anchor head below the elevating jack 31, and the anchor head is lifted by the cylinder advancement of the elevating jack 31. The elevating jack 31 may be moved upward while repeatedly performing the downward movement process.

상기 리프팅프레임(32)은 양측의 수직지지부재(321)와 양측 수직지지부재(321)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수평지지부재(322)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역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lifting frame 32 is configured to include vertical support members 321 on both sides and upper horizontal support members 322 connecting upper ends of the vertical support members 321 on both sides, and may be formed in an inverted U shape as a whole. .

상기 승강잭(31)은 상부수평지지부재(322)의 하부에 상단이 밀착되게 구비될 수 있으며, 리프팅와이어(4)가 결합된 승강잭(31)의 신장 시 승강잭(31)의 반력에 의해 상부수평지지부재(322)를 상향 가압한다.The upper end of the lifting jack 31 may be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upper horizontal support member 322, and when the lifting jack 31 to which the lifting wire 4 is coupled is extended, the reaction force of the lifting jack 31 By pressing the upper horizontal support member 322 upward.

상기 리프팅와이어(4)는 상부수평지지부재(322)의 관통공(H1)을 관통하여 승강잭(31)에 연결될 수 있다.The lifting wire 4 may be connected to the elevating jack 31 through the through hole H 1 of the upper horizontal support member 322 .

상기 상부수평지지부재(322)의 양측에는 승강잭(31)에 의해 상부수평지지부재(322)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유틸리티 랙(21)의 포스트(211)에 전달하기 위한 수직지지부재(321)가 각각 구비된다. 즉, 한 쌍의 수직지지부재(321)는 승강잭(3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On both sides of the upper horizontal support member 322, vertical support members 321 for transmitting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upper horizontal support member 322 by the lifting jack 31 to the post 211 of the utility rack 21 are provided respectively. That is, a pair of vertical support members 321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elevating jack 31, respectively.

상기 수직지지부재(321)는 한 쌍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므로, 수직지지부재(321)의 하중을 포스트(211)로 전달하기 위해 수직지지부재(321)의 전면 하측에는 하부수평지지부재(323)가 구비된다.Since the pair of vertical support members 32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lower horizontal support member 323 is provided on the lower front side of the vertical support member 321 to transfer the load of the vertical support member 321 to the post 211. is provided

즉, 상기 하부수평지지부재(323)는 한 쌍의 수직지지부재(321)를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구비된다.That is, the lower horizontal support member 323 is provided to cross the pair of vertical support members 32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승강장치(3)가 포스트(211)의 외측으로 포스트(211)와 이격되도록 구비되므로, 승강장치(3)를 포스트(211)와 연결하기 위해 상기 하부수평지지부재(323)는 수직지지부재(321)에서 포스트(211)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할 수 있다.Since the elevating device 3 i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ost 211 to the outside of the post 211, the lower horizontal support member 323 is a vertical support member to connect the elevating device 3 with the post 211. It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321 toward the post 211 side.

상기 하부수평지지부재(323)의 전면 중앙에는 제1양중러그(213)와 힌지 결합되는 제2양중러그(324)가 구비될 수 있다. A second lifting lug 324 hinged with the first lifting lug 213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horizontal support member 323 .

도 6은 가이드배럴을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이고, 도 7은 가이드배럴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ure 6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guide barrel,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uide barrel is installed.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수평지지부재(322)의 관통공(H1) 상부에는 중앙에 상부 입구 측이 확장된 가이드공(H2)이 형성되어 리프팅와이어(4)가 관통하는 가이드배럴(325)이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6 and 7, a guide hole (H 2 ) with an upper inlet side extended in the center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through hole (H 1 ) of the upper horizontal support member 322 to lift the lifting wire (4). A guide barrel 325 passing through may be provided.

상기 승강장치(3)는 포스트(211)와 이격되어 제1, 2양중러그(213, 324)에 의해 포스트(211)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하중의 작용점이 리프팅와이어(4)의 축선과 편심되게 작동한다.The elevating device 3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post 211 and hinged to the post 211 by first and second lifting lugs 213 and 324 . Therefore, the point of application of the load operates eccentrically with the axis of the lifting wire 4.

이에 따라 승강잭(31)의 구동에 의해 리프팅와이어(4)에 인장력이 작용하면, 승강장치(3)가 포스트(211)와 결합된 힌지점을 중심으로 미세하게 회전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a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lifting wire 4 by driving the lifting jack 31, the lifting device 3 is slightly rotated around the hinge point coupled to the post 211.

이 경우 리프팅와이어(4)가 승강잭(31)에 똑바로 인입되지 못하고, 경사지게 인입되면서 리프팅와이어(4)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승강잭(31)에 횡방향 하중이 작용하여 승강잭(31)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In this case, the lifting wire 4 is not directly drawn into the lifting jack 31, and there is a concern that the lifting wire 4 may be damaged while being drawn in at an angle. In addi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lifting jack 31 may be damaged due to a lateral load acting on the lifting jack 31 .

따라서 상기 리프팅와이어(4)가 승강잭(31)에 똑바른 방향으로 인입되고, 인입 지점에서 리프팅와이어(4)가 손상되지 않도록 상부수평지지부재(322)의 상부에 가이드배럴(325)을 설치할 수 있다.Therefore, the guide barrel 325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horizontal support member 322 so that the lifting wire 4 is introduced into the lifting jack 31 in a straight direction and the lifting wire 4 is not damaged at the insertion point. can

상기 가이드배럴(325)은 중앙에 가이드공(H2)이 관통 구비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공(H2)은 상부가 입구 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확장되는 상광하협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The guide barrel 325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rough which a guide hole H 2 is provided in the center. The guide hole (H 2 ) may be formed in an upper and lower narrow shape, the diameter of which increases toward the inlet side of the upper part.

이에 따라 상기 리프팅와이어(4)가 경사지게 가이드배럴(325)에 인입되더라도 가이드배럴(325)을 통해 수직 방향으로 안내되어 승강잭(31)에 인입될 수 있다.Accordingly, even if the lifting wire 4 is introduced into the guide barrel 325 at an angle, it can be guided in a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guide barrel 325 and introduced into the elevating jack 31 .

또한 상기 가이드공(H2)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리프팅와이어(4)가 걸려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guide hole (H 2 ) is formed inclined so that the diameter becomes narrower from top to bottom,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fting wire 4 from being caught and damaged.

도 8은 편심지지구가 포스트에 지지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8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ccentric support is supported on the post.

도 4,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장치(3)의 전면에는 포스트(211)의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제1양중러그(213)가 결합되는 위치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편심지지구(33)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8, the front surface of the elevating device 3 is bent at a position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lifting lug 213 is coupled to support the outer surface of the post 211. A wick support 33 may be provided.

하중 작용점의 편심 배치로 인한 승강장치(3)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승강장치(3)의 전면에 편심지지구(33)가 구비될 수 있다.An eccentric support 33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lifting device 3 to prevent rotation of the lifting device 3 due to the eccentric arrangement of the load application point.

상기 편심지지구(33)는 승강장치(3)가 포스트(211)와 접합되는 지점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장치(3)가 포스트(211)와 상하 2점에서 지지되어 승강장치(3)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The eccentric support member 33 is installed so as to b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the point where the elevating device 3 joins the post 211 . Accordingly, the elevating device 3 is supported by the post 211 at two points above and below, and rotation of the elevating device 3 can be prevented.

상기 편심지지구(33)는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포스트(211)의 외측면을 지지한다.The eccentric support member 33 is provided to protrud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supports the outer surface of the post 211 .

상기 유틸리티 랙모듈(2)은 리프팅와이어(4)에 의해 양중되는 과정에서 흔들릴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편심지지구(33)가 포스트(211)에 충돌하여 포스트(211)에 손상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편심지지구(33)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유압 댐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포스트(211)와 접하는 전단에 완충패드(331)를 구비할 수도 있다.The utility rack module 2 may be shaken while being lifted by the lifting wire 4. In this case, the eccentric support 33 may collide with the post 211 to damage the post 211 . Therefore, the eccentric support member 33 may use a hydraulic damper capable of absorbing shock, and may have a buffer pad 331 at a front end in contact with the post 211 .

상기 편심지지구(33)는 가이드배럴(325)과 병행하여 사용 가능하다.The eccentric support (33) can be used in parallel with the guide barrel (325).

도 9는 편심지지구가 접힌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eccentric support.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심지지구(33)는 승강장치(3)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 the eccentric support member 33 may be rotatably hing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elevating device 3 .

상기 편심지지구(33)는 승강장치(3)에서 수평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편심지지구(33)는 포스트(211)에 지지되도록 승강장치(3)와 포스트(211) 사이 거리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장치(3)와 포스트(211)의 결합 시, 편심지지구(33)의 간섭으로 인해 승강장치(3)와 포스트(211)의 간격을 조절하기 어려워 제1양중러그(213)와 제2양중러그(324)를 체결하기 어려울 수 있다.The eccentric support member 33 is provid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lifting device 3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eccentric support member 33 may be formed with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elevating device 3 and the post 211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post 211 . Accordingly, when the elevating device 3 and the post 211 are coupled,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elevating device 3 and the post 211 due to the interference of the eccentric support 33, and the first lifting lug 213 And it may be difficult to fasten the second lifting lug 324.

따라서 상기 편심지지구(33)를 승강장치(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승강장치(3) 설치 시에는 편심지지구(33)를 하향으로 회전시켜 접어두었다가 유틸리티 랙모듈(2)의 양중 시에는 편심지지구(33)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여 포스트(211)에 지지되게 구성할 수 있다.Therefore, the eccentric support member 33 is rotatably coupled to the elevating device 3, and when the elevating device 3 is installed, the eccentric support member 33 is rotated downward and folded, and then the utility rack module 2 is lifted. When the eccentric support (33) rotat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can be configured to be supported by the post (211).

이를 위해 상기 한 쌍의 수직지지부재(321) 전면에는 수직지지부재(321)를 가로지르는 중간수평부재(326)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중간수평부재(326)에 편심지지구(33)의 일단을 힌지 결합할 수 있다.To this end, an intermediate horizontal member 326 crossing the vertical support member 321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pair of vertical support members 321, and the intermediate horizontal member 326 of the eccentric support 33 One end can be hinged.

상기 중간수평부재(326)는 하부수평지지부재(323)와 상부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The intermediate horizontal member 326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horizontal support member 323 at a predetermined interval upward.

상기 중간수평부재(326)의 하부에 한 쌍의 접합플레이트(327)를 고정 설치하고, 한 쌍의 접합플레이트(327) 사이에 편심지지구(33)의 일단을 삽입하여 힌지 결합할 수 있다.A pair of junction plates 327 are fixedly installed under the intermediate horizontal member 326, and one end of the eccentric support 33 is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junction plates 327 to be hinged.

상기 유틸리티 랙모듈(2)의 양중 시 편심지지구(33)가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접합플레이트(327)에 스토퍼(328)를 결합할 수 있다(도 4). A stopper 328 may be coupled to the joint plate 327 so that the eccentric support 33 can maintain a horizontal state when the utility rack module 2 is lifted (FIG. 4).

상기 스토퍼(328)는 편심지지구(33)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양측 접합플레이트(327)를 관통하여 편심지지구(33)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결합되는 볼트일 수 있다.The stopper 328 may be a bolt coupled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eccentric support member 33 by penetrating both side joint plates 327 in a state in which the eccentric support member 33 is kept horizontal.

1: 상부 슬래브 2: 유틸리티 랙모듈
21: 유틸리티 랙 211: 포스트
212a: 종방향빔 212b: 횡방향빔
213: 제1양중러그 22: 유틸리티 배관
3: 승강장치 31: 승강잭
32: 리프팅프레임 321: 수직지지부재
322: 상부수평지지부재 323: 하부수평지지부재
324: 제2양중러그 325: 가이드배럴
326: 중간수평부재 327: 접합플레이트
328: 스토퍼 33: 편심지지구
331: 완충패드 4: 리프팅와이어
40: 고정러그 H1: 관통공
H2: 가이드공
1: upper slab 2: utility rack module
21: utility rack 211: post
212a: longitudinal beam 212b: transverse beam
213: first lifting lug 22: utility piping
3: lifting device 31: lifting jack
32: lifting frame 321: vertical support member
322: upper horizontal support member 323: lower horizontal support member
324: second lifting lug 325: guide barrel
326: intermediate horizontal member 327: joining plate
328: stopper 33: eccentric support
331: buffer pad 4: lifting wire
40: fixed lug H 1 : through hole
H 2 : Guide ball

Claims (6)

복수 열의 포스트(211)를 빔(212a, 212b)으로 연결하여 조립된 유틸리티 랙(21) 및 상기 유틸리티 랙(21)의 빔(212a, 212b) 상부에 거치되는 유틸리티 배관(22)으로 구성되는 유틸리티 랙모듈(2)을 양중하여 상부 슬래브(1)의 하부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유틸리티 랙(21)의 최외곽 포스트(211) 외측에 구비되는 제1양중러그(213)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는 승강장치(3); 및
하단은 상기 승강장치(3)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부 슬래브(1)에 고정되는 리프팅와이어(4); 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장치(3)의 구동에 의해 승강장치(3)가 리프팅와이어(4)를 따라 상승하면서 유틸리티 랙모듈(2)을 양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틸리티 랙모듈 리프팅 시스템.
A utility composed of a utility rack 21 assembl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rows of posts 211 with beams 212a and 212b and a utility pipe 22 mounted on top of the beams 212a and 212b of the utility rack 21 It is for installing the rack module 2 at the bottom of the upper slab 1 by lifting it,
an elevating device (3) of which one side is hinged to a first lifting lug (213) provided outside the outermost post (211) of the utility rack (21); and
A lifting wire 4 having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lifting device 3 and an upper end fixed to the upper slab 1; The utility rack module lif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by the driving of the lifting device (3), the lifting device (3) lifts the utility rack module (2) while rising along the lifting wire (4).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승강장치(3)는 리프팅와이어(4)의 하단이 연결되는 승강잭(31); 및
상기 승강잭(31)의 양측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지지부재(321)와 상기 한 쌍의 수직지지부재(321) 상단을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리프팅와이어(4)가 관통하는 관통공(H1)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승강잭(31)의 상단이 밀착되는 상부수평지지부재(322)와 상기 한 쌍의 수직지지부재(321) 전면에 수직지지부재(321)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하부수평지지부재(323)와 상기 하부수평지지부재(323)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양중러그(213)와 힌지 결합되는 제2양중러그(324)로 구성되는 리프팅프레임(32);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틸리티 랙모듈 리프팅 시스템.
In paragraph 1,
The lifting device 3 includes a lifting jack 31 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wire 4 is connected; and
A pair of vertical support members 321 provided vertically on both sides of the lifting jack 31 and an upper end of the pair of vertical support members 32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lifting wire 4 passes. (H 1 ) is formed, and the upper horizontal support member 322 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jack 3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art and the vertical support member 321 are connec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pair of vertical support members 321 A lifting frame 32 composed of a lower horizontal support member 323 provided and a second lift lug 324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horizontal support member 323 and hinged with the first lift lug 213 ; Utility rack module lif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3항에서,
상기 상부수평지지부재(322)의 관통공(H1) 상부에는 중앙에 상부 입구 측이 확장된 가이드공(H2)이 형성되어 리프팅와이어(4)가 관통하는 가이드배럴(32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틸리티 랙모듈 리프팅 시스템.
In paragraph 3,
A guide hole (H 2 )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through hole (H 1 ) of the upper horizontal support member 322, the upper entrance side of which is extended in the center, and a guide barrel 325 through which the lifting wire 4 passes is provided. Utility rack module lif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서,
상기 승강장치(3)의 전면에는 포스트(211)의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제1양중러그(213)가 결합되는 위치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편심지지구(3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틸리티 랙모듈 리프팅 시스템.
In paragraph 1,
An eccentric support 33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elevating device 3 at a position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lifting lug 213 is coupled to support the outer surface of the post 211. Utility Rack Modular Lifting System.
제5항에서,
상기 편심지지구(33)는 승강장치(3)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틸리티 랙모듈 리프팅 시스템.
In paragraph 5,
The utility rack module lif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eccentric support (33) is rotatably hinged to the front of the lifting device (3).
KR1020230000783A 2023-01-03 2023-01-03 Lifting system for utility rack module KR1025363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0783A KR102536317B1 (en) 2023-01-03 2023-01-03 Lifting system for utility rack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0783A KR102536317B1 (en) 2023-01-03 2023-01-03 Lifting system for utility rack mod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6317B1 true KR102536317B1 (en) 2023-05-26

Family

ID=86536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0783A KR102536317B1 (en) 2023-01-03 2023-01-03 Lifting system for utility rack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31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1752Y2 (en) * 1989-11-13 1995-09-27 大成建設株式会社 Heavy load transfer device
JPH10338481A (en) * 1997-06-05 1998-12-22 Cosmo Eng Kk Floating method of large heavy structure
JP2001019369A (en) * 1999-07-07 2001-01-23 Taisei Corp Lifting device
KR101852518B1 (en) * 2017-12-01 2018-04-27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lifting pipe rack modu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1752Y2 (en) * 1989-11-13 1995-09-27 大成建設株式会社 Heavy load transfer device
JPH10338481A (en) * 1997-06-05 1998-12-22 Cosmo Eng Kk Floating method of large heavy structure
JP2001019369A (en) * 1999-07-07 2001-01-23 Taisei Corp Lifting device
KR101852518B1 (en) * 2017-12-01 2018-04-27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lifting pipe rack modu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3304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walls of a power boiler
CN1944914B (en) Inspection scaffold of large component for boiler and building method thereof
KR100399426B1 (en) Traction type elevator having cable hitches securing cable ends to guide rails
KR101130129B1 (en) Steel frame structure of factory building
KR101365817B1 (en) Frame structure of factory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2009091123A (en) Crane for steel tower
KR102536317B1 (en) Lifting system for utility rack module
KR20150092230A (en) Cable clamp, and lift system having a cable clamp
KR100930800B1 (en) Construction method of ramen structure in which premoment is introduced
CN101402430B (en) Guide rails support structure of elevator
KR101526141B1 (en) Buckstay system
KR101586376B1 (en) Structure lifting method using steel pipe member with lifting jack
KR101194932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steel beam with essentric prestressing plate
KR100514339B1 (en) Elevator
KR20220059515A (en) Structure of installation of working scaffold in the boiler furnace
CN1076994C (en) Casting blank specially for a slab continuous casting installation
KR200195457Y1 (en) A supporting apparatus for tower crane
KR102653102B1 (en) A mounting structure of gondola supporter for gondola installing an elevator pit
CN220787741U (en) Elevator rope hitch plate installation mechanism
JP6699009B2 (en) Damping structure of tower structure
KR102387045B1 (en) Prefabricated system ceiling for clean room with double variable height structure
CN216043878U (en) Frame-type structure beam device for fixing pipeline in shaft
CN213679428U (en) Box girder lifting appliance
JP2002098304A (en) Boiler framing building method
KR102428380B1 (en) Method for testing loading for loading structure using movable and variable load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