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5972B1 -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 Google Patents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5972B1
KR102535972B1 KR1020180051065A KR20180051065A KR102535972B1 KR 102535972 B1 KR102535972 B1 KR 102535972B1 KR 1020180051065 A KR1020180051065 A KR 1020180051065A KR 20180051065 A KR20180051065 A KR 20180051065A KR 102535972 B1 KR102535972 B1 KR 102535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lifting device
shipbuilding
winch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0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27021A (en
Inventor
권순도
오형순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1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5972B1/en
Publication of KR20190127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70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9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53Procedure or protocol for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66B11/043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with a gearless driving, e.g. integrated sheave, drum or winch in the stator or rotor of the cag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03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for lateral transfer of car or frame, e.g. between vertical hoistways or to/from a parking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체의 외측면으로 개방된 반입구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며, 내부의 작업공간으로 출입 가능하도록 바닥면에 개폐도어가 구비되는 고정 플렛폼과, 상기 고정 플렛폼의 하방에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작업공간의 내부로 진입시 상기 개폐도어를 개방시키는 반면 상기 작업공간의 하부로 이탈시 상기 개폐도어를 폐쇄시키는 승강 플렛폼 및,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에너지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승강 플렛폼을 선택된 높이로 승강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and relates to a fixed platform fixedly installed at a loading port open to the outer surface of a hull and equipp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door on the bottom surface to allow entry and exit to an interior work space, and the fixed platform It is arrang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from the bottom of the work space, and opens the door when entering the inside of the work space, while it is driven by an elevating platform that closes the door when leaving the bottom of the work space, and is driven by energy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nd a driving unit that lifts the lifting platform to a selected height.

Description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Lifting device for ship building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본 발명은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체의 반입구 높이에 설치된 고정 플렛폼의 작업공간으로 승강 가능한 승강 플렛폼을 설치함으로써, 반입구의 높이에 구애 받지 않아 자재 투입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고, 비 사용시 승강 플렛폼이 고정 플렛폼의 하단에 장착되므로 육상의 장비들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by installing an elevating platform that can be moved up and down in the work space of a fixed platform installed at the height of the loading port of the hull, it is easy to input materials regardless of the height of the loading port. It relates to a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that can be secured and does not interfere with equipment on land because the lifting platform is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fixed platform when not in use.

일반적으로, 안벽에서 선박 건조시 사용되는 각종 자재(단열박스, 멤브레인 등)는 선체의 측면에 마련되는 반입구(opening)를 통해 투입하였다.In general, various materials (insulation boxes, membranes, etc.) used when building ships in the quay were introduced through opening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hull.

이처럼, 종래에는 안벽 높이에서 선박의 반입구를 통해 자제가 투입되는데, 이 경우 선체의 반입구 높이에 가설 플렛폼을 설치한 후, 안벽 높이에서 지게차 등의 장비를 이용해 각종 자재를 가설 플렛폼의 작업공간으로 투입시켰다.In this way, in the prior art, materials are put in through the loading port of the ship at the height of the quay. In this case, after installing the temporary platform at the height of the loading port of the hull, various materials are transported using equipment such as a forklift at the height of the quay to the working space of the temporary platform. was put into

이후, 가설 플렛폼의 작업공간으로 투입된 자제를 다시 반입구를 통해 선체의 내부로 이동시킨 후 선박 건조를 위한 과정을 진행한다.Thereafter, the material put into the workspace of the temporary platform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hull through the carry-in again, and then the process for ship construction is performed.

그런데, 종래에는 선체에 형성된 반입구가 높게 위치(육상으로부터 약 13m)되는 경우, 지게차 등의 장비를 이용해 자재를 투입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때문에 타워 크레인을 이용해 반입구로 자재를 투입시키고 있었으나, 타워 크레인은 다른 작업에도 사용되는 장비이고 자재를 리프팅 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자재 투입 과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However, conventionally, when the entrance formed in the hull is located high (about 13 m from the land), there is a limit to inputting materials using equipment such as a forklift. For this reason, a tower crane was used to input materials into the entrance, but since the tower crane is a device used for other tasks and it takes a lot of time to lift materials, the material input process took a lot of time.

또한, 종래에는 지게차나 크레인 등의 장비를 이용해 가설 플렛폼의 작업공간으로 투입시키는 과정에서 자재의 위치를 정확하게 정렬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it was difficult to accurately align the position of the material in the process of inputting it into the work space of the temporary platform using equipment such as a forklift or a crane.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국내 공개특허 제20-2017-0000881호(2017년 03월 08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선박의 사이드 쉘 블록 탑재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As prior literatur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2017-0000881 (March 08, 2017), which discloses a side shell block mounting device and method of a ship.

본 발명의 목적은 선체의 반입구 높이에 작업공간이 형성된 고정 플렛폼을 고정적으로 설치하고, 고정 플렛폼의 하부에 작업공간과 육상으로 이동 가능한 승강 플렛폼을 설치함으로써, 반입구의 높이에 구애 받지 않아 자재 투입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고, 비 사용시 승강 플렛폼이 고정 플렛폼의 하단에 장착되므로 육상의 장비들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fixed platform with a work space at the height of the loading port of the hull, and to install a work space and an elevating platform movable on land under the fixed platform, so that the material is not restricted by the height of the loading port.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ease of input, and since the elevating platform is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fixed platform when not in use, it is to provide a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equipment on land.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구동용 모터를 이용해 다수의 윈치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승강 플렛폼의 높이에 따라 작업공간으로 개폐도어가 자동으로 개폐되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장치의 구조가 단순하므로 제작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rive a plurality of winches using one driving motor and to apply a structure in which opening and closing doors are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in the work space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lifting platform, so that the structure of the device is simple. Therefore, it is to provide a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that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승강 플렛폼이 대기 위치 또는 최대 상승 위치에서 가이드홀과 가이드바 및 안전핀에 의해 고정적으로 위치되므로, 비 사용시와 자재 투입 과정에서 승강 플렛폼의 유동 및 낙하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since the elevating platform is fixedly positioned by the guide hole, the guide bar, and the safety pin at the standby position or the maximum elevation position, the movement and falling of the elevating platform can be prevented during non-use and material input. It is to provide a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that can secure safety.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는, 선체의 외측면으로 개방된 반입구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며, 내부의 작업공간으로 출입 가능하도록 바닥면에 개폐도어가 구비되는 고정 플렛폼과, 상기 고정 플렛폼의 하방에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작업공간의 내부로 진입시 상기 개폐도어를 개방시키는 반면 상기 작업공간의 하부로 이탈시 상기 개폐도어를 폐쇄시키는 승강 플렛폼 및,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에너지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승강 플렛폼을 선택된 높이로 승강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platform fixedly installed at a loading port open to the outer surface of a hull and equipp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door on the bottom surface so as to be able to enter and exit the interior work space, and the fixed platform. An elevating platform arranged to be liftable from the bottom, opening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when entering the inside of the work space, while closing the door when leaving the lower part of the work space, and driven by energy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rive unit for elevating the elevating platform to a selected height.

여기서, 상기 고정 플렛폼은 일측의 결합면이 상기 선체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면에는 상기 반입구와 상기 작업공간을 연결하는 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ed platform has one coupling surfac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ull, and an opening connecting the carry-in and the work space is formed on the coupling surface.

또한, 상기 고정 플렛폼의 바닥면에는 상기 개폐도어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승강 플렛폼이 승강 가능하도록 승강통로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ed platform is opened and clos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and an elevation passage is vertically formed to allow the elevation platform to ascend and descend.

또한, 상기 개폐도어는 수평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자유단이 수평하게 회동 위치시 상기 승강통로를 폐쇄시키고, 상기 자유단이 상방으로 회동 위치시 상기 승강통로를 개방시키며, 상기 승강 플렛폼은 상기 작업공간으로 진입시 접촉 방식에 의해 상기 개폐도어를 상방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작업공간의 하방으로 이탈시 상기 개폐도어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pening/closing door closes the elevator passage when the free end rotates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rotation center, and opens the elevator passage when the free end rotates upward, and the elevating platform provides the work space. It is preferable to rotate the opening/closing door upward by a contact method when entering into, and to rotate the opening/closing door downward by its own weight when leaving the working space downward.

또한, 상기 개폐도어는 상기 승강통로의 양측에 상호 반대되는 결합단을 기준으로 반대되는 자유단이 수평 또는 상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도어패널 및, 상기 도어패널들의 결합단과 상기 작업공간의 바닥면을 연결시켜 수평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한 쌍의 힌지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includes a pair of door panels having opposite free ends on both sides of the hoisting passage on the basis of mutually opposite coupling ends that are horizontally or upwardly rotatably disposed, and the coupling ends of the door panels and the work space. It is preferable that a pair of hinges are provided to form a horizontal center of rotation by connec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고정 플렛폼의 전후 방향측 하단에는 한 쌍의 가이드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승강 플렛폼의 전후 방향측 상면에는 상기 승강 플렛폼이 상기 고정 플렛폼의 하부에 위치되는 대기 위치 또는 상기 개폐도어를 상방으로 개방시키는 위치로 상승시 상기 가이드홀들의 하방을 통해 삽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pair of guide holes are formed vertically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fixed platform, 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lift platform, a standby position where the lift platform is located below the fixed platform or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It is preferable that a pair of guide bars inserted through the lower portions of the guide holes protrude upward when rising to a position of opening upward.

또한, 상기 가이드바들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 플렛폼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안내면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guide surfaces inclined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fixed platform are further formed at upper ends of the guide bars.

또한, 상기 가이드바들에는 상기 승강 플렛폼이 사용 대기 위치로 상승시 상기 가이드홀들의 상방에 위치되는 상부 결합홀 및, 상기 상부 결합홀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승강 플렛폼이 최대 상승 위치로 상승시 상기 가이드홀들 상방에 위치되는 하부 결합홀이 좌우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상부 결합홀과 상기 하부 결합홀에는 상기 가이드홀의 상단에 걸림 위치되도록 안전핀이 선택적으로 관통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guide ba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n upper coupling hole positioned above the guide holes when the elevating platform rises to a standby position for use, an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coupling hole, and when the elevating platform rises to a maximum elevation position, the guide bars It is preferable that a lower coupling hole positioned above the guide holes is formed through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safety pin is selectively coupled through the upper coupling hole and the lower coupling hole so as to be caught at the upper end of the guide hole.

또한, 상기 승강 플렛폼은 상기 개폐도어를 상방으로 개방시키는 위치로 상승시 가장자리가 상기 고정 플렛폼의 하면과 밀착되며, 상면이 상기 승강통로의 하방을 폐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elevation platform is raised to a position where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is opened upward, an edge of the elevating platform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xed platform, and the upper surface preferably closes the lower portion of the elevating passage.

또한, 상기 승강 플렛폼의 상면에는 전후 좌우 방향에 안전 난간이 더 결합되며, 상기 안전 난간은 상기 승강 플렛폼이 상기 작업공간으로 진입시 상기 개폐도어의 하면과 밀착되면서 상방으로 회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safety handrails are further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platform in front and rear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safety handrail is preferably rotated upward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when the elevating platform enters the work space.

또한, 상기 안전 난간은 상기 승강 플렛폼의 전후 방향에 각각 설치되며, 상하로 길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길이조절 난간 및, 상기 승강 플렛폼의 좌우 방향에 각각 설치되며, 하단이 상기 승강 플렛폼의 상면으로부터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탈부착 난간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afety handrail is install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elevating platform, respectively, and a pair of length-adjustable handrails installed to be able to adjust the length up and down, and install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elevating platform, respectively, and the lower end of the elevating platform.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with a pair of detachable handrails that are detachably coupled from the upper surface.

또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고정 플렛폼의 상부에 결합되는 모터와, 상기 고정 플렛폼의 상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모터의 구동축과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방측 윈치와, 상기 후방측 윈치의 전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후방측 윈치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모터의 구동축과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방측 윈치와, 상단이 상기 후방측 윈치에 권취되며, 하단이 상기 고정 플렛폼의 후방을 통해 상기 승강 플렛폼의 후방측에 연결되는 후방측 케이블 및, 상단이 상기 전방측 윈치에 권취되며, 하단이 상기 고정 플렛폼의 전방을 통해 상기 승강 플렛폼의 전방측에 연결되는 전방측 케이블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includes a moto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xed platform, at least one rear side winch coupled to be rotatably coupled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xed platform and organically connected to a drive shaft of the motor; At least one front winch coupled to be rotatably forward and backward in the front of the rear winch and organically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so as to ro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ear winch, and an upper end of the rear winch A rear-side cable, the low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lifting platform through the rear of the fixed platform, and the upper end of which is wound around the front-side winch, the low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lifting platform through the front of the fixed platform. It is preferable to have a front side cable connected to the front side.

또한, 상기 후방측 윈치와 상기 전방측 윈치의 회전중심에는 전후 방향으로 맞물림 결합되는 한 쌍의 피동기어가 동일한 회전중심으로 결합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는 동일한 회전중심으로 결합되며, 상기 후방측 윈치 또는 상기 전방측 윈치의 상기 피동기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림 결합되는 구동기어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pair of driven gears engag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are coupled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rear winch and the front winch with the same rotation center, and are coupled to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with the same rotation center, and the rear side It is preferable that a winch or a driving gear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driven gear of the front winch is further provided.

또한, 상기 고정 플렛폼의 상부에는 상기 후방측 윈치의 후방에 이격 위치되며, 상기 후방측 케이블을 하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방측 풀리 및, 상기 전방측 윈치의 전방에 이격 위치되며, 상기 전방측 케이블의 하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방측 풀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platform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of the rear winch, and a rear pulley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rear c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from the bottom, and spaced apart from the front of the front winch, It is preferable that a front side pulley rotatably supporting the front side c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s further provided below the front side cable.

또한, 상기 구동유닛에는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이 전기적으로 더 연결되며, 상기 고정 플렛폼에는 상기 작업공간을 출입하는 자재의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제어유닛으로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유닛이 더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is furth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and at least on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for recognizing information on materials entering and exiting the work space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on the fixed platform. It is preferable to combine more.

또한, 상기 근거리 통신유닛은 판독기(reader)와 전자 태그(tag)를 이용한 알에프아이디(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preferably uses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method using a reader and an electronic tag.

본 발명은 선체의 반입구 높이에 작업공간이 형성된 고정 플렛폼을 고정적으로 설치하고, 고정 플렛폼의 하부에 작업공간과 육상으로 이동 가능한 승강 플렛폼을 설치함으로써, 반입구의 높이에 구애 받지 않아 자재 투입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고, 비 사용시 승강 플렛폼이 고정 플렛폼의 하단에 장착되므로 육상의 장비들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fixedly installs a fixed platform on which a work space is formed at the height of the loading port of the hull, and installs a work space and an elevating platform movable on land under the fixed platform,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material input regardless of the height of the loading port. Ease of use can be secured, and since the elevating platform is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fixed platform when not in use, it has the effect of not causing interference with equipment on land.

그리고,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용 모터를 이용해 다수의 윈치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승강 플렛폼의 높이에 따라 작업공간으로 개폐도어가 자동으로 개폐되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장치의 구조가 단순하므로 제작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rives a plurality of winches using one driving motor and applies a structure in which opening and closing doors are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in the work space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lifting platform, so that the structure of the device is simple, so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has the effect of reducing

또한, 본 발명은 승강 플렛폼이 대기 위치 또는 최대 상승 위치에서 가이드홀과 가이드바 및 안전핀에 의해 고정적으로 위치되므로, 비 사용시와 자재 투입 과정에서 승강 플렛폼의 유동 및 낙하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levating platform is fixedly positioned by the guide hole, the guide bar, and the safety pin at the standby position or the maximum elevation pos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evating platform from moving and falling during non-use and material input, ensuring safety. have an effect that ca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가 선체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가 선체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의 승강 플렛폼이 육상으로 하강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의 좌우측 탈부착 난간을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의 승강 플렛폼에 자재를 적재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의 좌우측 탈부착 난간을 재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의 승강 블렛폼이 개폐도어를 상방으로 밀어 열면서 작업공간으로 진입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의 승강 플렛폼이 자재를 적재한 상태에서 최대 높이로 상승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의 안전핀을 결합시키고, 탈부착 난간을 분리시킨 후 자재를 반입구를 통해 선체의 내부로 이동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의 안전핀을 분리시킨 후 승강 플렛폼을 하강시키는 상태를 보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에서 안전 난간의 길이조절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hull.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for showing a lifting device for building a sh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device for building a sh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hull.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vating platform of the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wered to land.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detachable handrails of the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materials are loaded on the lifting platform of the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detachable handrails of the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reinstalled.
9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platform of the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ters the work space while pushing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upward.
10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vating platform of the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aised to the maximum height in a state in which materials are loaded.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afety pin of the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and the detachable handrail is separated and then the material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hull through the inlet.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state of lowering the elevating platform after separating the safety pin of the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for showing a structure for adjusting the length of a safety handrail in a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hieve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가 선체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ifting device for building a sh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hull,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fting device for building a sh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front view to show the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according to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가 선체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의 승강 플렛폼이 육상으로 하강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의 좌우측 탈부착 난간을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hull,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platform of the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wered to land.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detachable handrails of the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의 승강 플렛폼에 자재를 적재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의 좌우측 탈부착 난간을 재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의 승강 플랫폼이 개폐도어를 상방으로 밀어 열면서 작업공간으로 진입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materials are loaded on the lifting platform of the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shows a stat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detachable handrails of the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reinstalled. It is a perspective view for giving,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platform of the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ters the work space while pushing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upward.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의 승강 플렛폼이 자재를 적재한 상태에서 최대 높이로 상승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의 안전핀을 결합시키고, 탈부착 난간을 분리시킨 후 자재를 반입구를 통해 선체의 내부로 이동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platform of the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aised to the maximum height in a state in which materials are loaded, and FIG. 11 is a safety pin of the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to show the state in which the materials are moved to the inside of the hull through the loading port after the materials are combined and the detachable handrail is separated.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의 안전핀을 분리시킨 후 승강 플렛폼을 하강시키는 상태를 보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에서 안전 난간의 길이조절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state of lowering the elevating platform after separating the safety pin of the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length adjustment structure of the safety railing in the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lumbar part to show.

도 1 내지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는 선체(10)의 외측면(사이드 쉘)에 형성된 반입구(11)를 통해 선박 건조시 사용되는 각종 자재(단열박스, 멤브레인 등, 1)를 투입하기 위한 것이다.As shown in FIGS. 1 to 13, the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various materials (insulation box) used in shipbuilding through the inlet 11 formed on the outer surface (side shell) of the hull 10. , membrane, etc., for inputting 1).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는, 도 2 내지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플렛폼(100)과, 승강 플렛폼(200)과, 구동유닛(300) 및, 제어유닛(400)을 포함한다.For this purpose, the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platform 100, an elevating platform 200, a driving unit 300, and a control unit 400, as shown in FIGS. 2 to 4. .

먼저, 상기 고정 플렛폼(100)은 선체(1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 플렛폼(100)은 선체(10)의 외측면으로 개방된 반입구(11)의 입구 부위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First, the fixed platform 100 is installed at a certain height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hull 10, and the fixed platform 100 is the entrance of the loading port 11 open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ull 10. I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site.

여기서, 상기 고정 플렛폼(100)은 금속 등의 소재를 이용해 상하면이 수평하게 형성되고, 전후좌우면이 수직하게 형성된 6면체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플렛폼(100)의 내부에는 일정 넓이의 작업공간(101)이 형성된다.Here, the fixed platform 100 can be manufactured in a hexahedral shap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formed horizontally and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urfaces are formed vertically using a material such as metal. A space 101 is formed.

이 경우, 상기 고정 플렛폼(100)의 일측 결합면이 선체(10)의 외측면(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결합(용접 또는 체결부재에 의한 결합 방식 등)된다.In this case, one side coupling surface of the fixed platform 100 is coupled to the outer side (left side or right side) of the hull 10 (joining method by welding or fastening member, etc.).

이때, 상기 고정 플렛폼(100)의 일측 결합면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체(10)의 반입구(11)와 작업공간(101)을 연결시키기 위한 개방부(110)가 측방으로 관통 형성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3, on one side coupling surface of the fixed platform 100, an opening 110 for connecting the inlet 11 of the hull 10 and the work space 101 is formed through the side. do.

그리고, 상기 고정 플렛폼(100)의 전면 및 후면과 개방부(110)와 반대되는 일측면은 외부로 수평하게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차단된 상태로도 제작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ixed platform 100 and one side opposite to the opening 110 are horizontally opened to the outside, but may also be manufactured in a blocked state if necessary.

특히, 상기 고정 플렛폼(100)의 하부 바닥면에는 후술 될 승강 플렛폼(200)이 작업공간(101)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승강통로(120)가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In particular, an elevation passage 120 is vertically formed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ed platform 100 so that the elevation platform 200 to be described below can be elevated to the work space 101 .

상기 승강통로(120)는, 후술 될 개폐도어(130)에 의해 개폐 가능하며, 상기 승강통로(120)는 후술 될 승강 플렛폼(200)의 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elevation passage 120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n opening/closing door 13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elevation passage 12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a side surface of an elevation platform 200 to be described later.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공간(101)의 바닥면에는 승강통로(120)를 개폐시키기 위한 회동 방식의 개폐도어(130)가 설치된다.As described above, a pivoting opening/closing door 13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levator passage 120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ork space 101 .

상기 개폐도어(130)는, 수평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수평하게 회동 위치시 승강통로(120)를 폐쇄하고, 상방으로 회동 위치시 승강통로(120)를 개방시킨다.The opening/closing door 130 closes the hoistway 120 when rotat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center of rotation, and opens the hoistway 120 when rotated upward.

더 상세히 설명하면, 작업공간(101)의 바닥면에 설치된 개폐도어(130)는 한 쌍의 도어패널(131) 및, 한 쌍의 힌지부(132)로 구비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30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workspace 101 may include a pair of door panels 131 and a pair of hinge parts 132 .

상기 도어패널(131)들은, 승강통로(120)의 양측에 상호 반대되는 결합단을 기준으로 반대되는 자유단이 수평 또는 상방으로 회동된다.The free ends of the door panels 131 that are opposite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hoist passage 120 are rotated horizontally or upward based on mutually opposite coupling ends.

여기서, 상기 도어패널(131)들은 금속 소재를 이용해 일정 넓이로 제작할 수 있고, 상기 도어패널(131)들은 승강통로(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전방 및 후방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Here, the door panels 131 may be manufactured to have a certain width using a metal material, and the door panels 131 may be installed in shapes corresponding to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hoist passage 120 .

이때, 상기 승강통로(120)의 후방측에 배치된 도어패널(131)의 후방측 결합단이 작업공간(101)의 바닥면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rear coupling end of the door panel 131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elevator passage 1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ork space 101 .

또한, 상기 승강통로(120)의 전방측에 배치된 도어패널(131)의 전방측 결합단이 작업공간(101)의 바닥면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In addition, the front side coupling end of the door panel 131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elevator passage 1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ork space 101 .

예를 들어, 상기 도어패널(131)들이 수평하게 회동 위치되는 경우, 도 2에서처럼 상기 도어패널(131)들의 자유단이 전후 방향에서 수평하게 밀착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oor panels 131 are rotated horizontally, as shown in FIG. 2 , free ends of the door panels 131 may be horizontal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이와 같이, 상기 도어패널(131)들이 수평하게 회동 위치되는 경우, 상기 도어패널(131)들의 가장자리가 승강통로(120)의 가장자리측 상단에 걸림 위치된다.In this way, when the door panels 131 are rotated horizontally, the edges of the door panels 131 are caught at the upper end of the edge side of the hoisting passage 120 .

이때, 상기 도어패널(131)들이 승강통로(120)를 수평하게 차단하므로, 상기 도어패널(131)들이 승강통로(120) 위치에서 작업공간(101)의 바닥면을 형성한다.At this time, since the door panels 131 horizontally block the lift passage 120, the door panels 131 form the bottom surface of the work space 101 at the position of the lift passage 120.

힌지부(132)들은, 도어패널(131)들의 결합단과 작업공간(101)의 바닥면을 연결시켜 수평 회전중심을 형성하며, 상기 힌지부(132)들은 도어패널(131)들의 회동 방향과 직각 방향(좌우 방향)에 대응되게 설치된다.The hinge parts 132 form a horizontal center of rotation by connecting the mating ends of the door panels 131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work space 101, and the hinge parts 132 are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oor panels 131. It is installed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

한편, 고정 플렛폼(100)의 전후 방향측 하단에는 도 2와 10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 될 고정빔(231)이 수직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홀(140)이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2 and 10 in detail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fixed platform 100, a pair of guide holes 140 into which a fixing beam 231 to be described later is vertically inserted can be formed through vertically. there is.

상기 가이드홀(140)들은, 상기 고정 플렛폼(100)의 전후 방향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홀(140)의 내주면은 후술 될 가이드바(210)과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된다.The guide holes 140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fixed platform 10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holes 140 is formed with a width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guide bar 210 to be described later.

여기서, 상기 고정 플렛폼(100)의 후방측에 위치된 가이드홀(140)은 고정 플렛폼(100)의 후방으로 개방되며, 상기 고정 플렛폼(100)의 전방측에 위치된 가이드홀(140)은 고정 플렛폼(100)의 전방으로 개방된다.Here, the guide hole 140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fixed platform 100 is open to the rear of the fixed platform 100, and the guide hole 140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xed platform 100 is fixed. It is open to the front of the platform 100.

이와 같은 가이드홀(140)은 후술 될 승강 플렛폼(200)이 대기 위치에 위치되거나 최대 상승 위치로 상승하는 경우, 후술 될 가이드바(210)을 측방에서 흔들림 없이 지지한다.Such a guide hole 140 supports the guide bar 210 to be described later without shaking from the side when the elevating platform 200 to be described later is located in a standby position or rises to the maximum elevation position.

또한, 상기 고정 플렛폼(100)의 전후면에는 후술 될 후방 케이블(360)과 전방 케이블(370)이 대응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홈(150)이 오목하게 더 형성된다.In addition, cable insertion grooves 150 into which a rear cable 360 and a front cable 370 to be described later are correspondingly inserted are further concavely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ixed platform 100.

상기 케이블 삽입홈(150)은, 전술한 가이드홀(140)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에 각각 이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cable insertion groove 150 may be formed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ased on the guide hole 140 described above.

여기서, 고정 플렛폼(100)의 후방측에 위치된 케이블 삽입홈(150)은 고정 플렛폼(100)의 후방으로 개방되며, 상기 고정 플렛폼(100)의 전방측에 위치된 케이블 삽입홈(150)은 고정 플렛폼(100)의 전방으로 개방된다.Here, the cable insertion groove 150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fixed platform 100 is open to the rear of the fixed platform 100, and the cable insertion groove 150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xed platform 100 is It is open to the front of the fixed platform 100.

이와 같은 상기 케이블 삽입홈(150)은, 후술 될 후방 케이블(360)과 전방 케이블(370)을 측방에서 흔들림 없이 지지한다.The cable insertion groove 150 supports the rear cable 360 and the front cable 370 from the side without shaking.

승강 플렛폼(200)은, 고정 플레이트(100)의 하부 대기 위치(A1)에서 후술 될 구동유닛(300)의 구동력에 의해 작업공간(101)과 육상(20)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elevating platform 200 is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from the working space 101 and the land 20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at the lower standby position A1 of the fixed plate 100.

여기서, 상기 승강 플렛폼(200)은 일정 넓이로 수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승강 플렛폼(200)의 상면에는 선박 건조시 사용되는 각종 자재(1)가 적재된다.Here, the elevating platform 200 is formed horizontally with a certain width, and various materials 1 used in shipbuilding are loa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platform 200.

그리고, 상기 승강 플렛폼(200)을 개폐도어(130)를 상방으로 개방시키는 위치로 상승시키는 경우, 도 10과 11에서처럼 상기 승강 플렛폼(200)의 가장자리가 고정 플렛폼(100)의 하면과 밀착된다.And, when the lifting platform 200 is raised to a position where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30 is opened upward, the edge of the lifting platform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xed platform 100 as shown in FIGS. 10 and 11 .

이 경우, 상기 승강 플렛폼(200)의 상면이 승강통로(120)의 하방을 폐쇄시키는데, 상기 승강 플렛폼(200)은 승강통로(120) 위치에서 작업공간(101)의 바닥면을 형성한다.In this case,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platform 200 closes the lower portion of the elevating passage 120, and the elevating platform 200 forms the bottom surface of the work space 101 at the position of the elevating passage 120.

또한, 상기 승강 플렛폼(200)의 상면에는 수평한 돌출면(201)이 상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면(201)은 승강 플렛폼(200)을 개폐도어(130)를 상방으로 개방시키는 위치로 상승시 승강통로(120)에 삽입된다.In addition, a horizontal protruding surface 201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platform 200, and the protruding surface 201 opens the elevating platform 200 to open and close the door 130 upward. When ascending to the position, it is inserted into the hoisting passage 120.

이때, 상기 돌출면(201)은 승강통로(1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삽입되며, 상기 돌출면(201)이 승강통로(120) 위치에서 작업공간(101)의 바닥면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한다.At this time, the protruding surface 201 is insert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oisting passage 120, and the protruding surface 201 forms the same plane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work space 101 at the position of the hoisting passage 120. .

이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 플렛폼(200)의 돌출면(201)이 승강통로(120)에 대응되게 삽입되므로, 최대 상승 위치(A2)까지 상승된 승강 플렛폼(200)은 측방이 지지된 상태로 흔들림 없이 위치된다.In this state, since the protruding surface 201 of the elevating platform 200 is inserted correspondingly to the elevating passage 120, the elevating platform 200 raised to the maximum elevation position A2 shakes while being supported on its side. positioned without

예를 들어, 상기 승강 플렛폼(200)은 작업공간(101)으로 진입(상승)시 개폐도어(130)를 개방시키는 반면, 상기 작업공간(101)의 하방으로 이탈(하강)시 개폐도어(130)를 폐쇄시킨다.For example, the elevating platform 200 opens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30 when entering (raising) into the work space 101, while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130 when departing (falling) downward from the work space 101. ) is closed.

이때, 상기 승강 플렛폼(200)은 작업공간(101)으로 상승시 도 9 내지 11에서처럼 접촉 방식에 의해 개폐도어(130)를 상방으로 밀어 올려 회동시킨다.At this time, when the elevating platform 200 ascends to the work space 101, as shown in FIGS. 9 to 11, the opening/closing door 130 is pushed upward and rotated by a contact method.

이 상태에서는, 개폐도어(130)가 승강 플렛폼(20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승강통로(120)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거치된다.In this state, the opening/closing door 130 is inclined toward the elevation passage 120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elevation platform 200 .

반면, 상기 승강 플렛폼(200)은 작업공간(101)의 하방으로 하강시 상기 개폐도어(130)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elevating platform 200 allows the opening/closing door 130 to rotate downward by its own weight when descending downward in the work space 101 .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승강 플렛폼(200)의 전후 방향측 상면에는 가이드바(210)가 수직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바(210)는 전술한 가이드홀(140)의 하부에 동일 선상으로 위치된다.More specifically, the guide bar 210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platform 200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guide bar 210 is located on the same line at the lower part of the guide hole 140 described above. do.

상기 가이드바(210)들은, 측면이 원주를 이루는 원형 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가이드홀(140)은 상기 가이드바(210)와 동일한 폭을 형성한다.The guide bars 210 may have a circular beam shape with sides forming a circumference, and the guide hole 140 has the same width as the guide bar 210 .

여기서, 작업공간(101)에 위치된 가이드홀(140)의 일측면은 상기 가이드바(210)의 외면과 대응되도록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 one side surface of the guide hole 140 located in the work space 101 may be formed as a concave curved surface to correspon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bar 210 .

즉, 상기 가이드홀(140)의 일면이 가이드바(210)의 외면을 수평하게 감싸는 상태로 밀착되므로, 상기 가이드홀(140)에 삽입된 가이드바(210)는 측방으로 흔들림 없이 위치될 수 있다.That is, since one surface of the guide hole 1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bar 210 horizontally, the guide bar 210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140 can be positioned without shaking in the lateral direction. .

이와 같은 상기 가이드바(210)는, 승강 플렛폼(200)이 고정 플렛폼(100)의 하부에 위치되는 대기 위치(A1) 또는, 개폐도어(130)를 상방으로 개방시키는 위치로 상승시 가이드홀(140)들에 각각 삽입된다.When the guide bar 210 is raised to a standby position (A1) in which the elevating platform 200 is located below the fixed platform 100 or a position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30 is opened upward, the guide hole ( 140) are inserted into each.

그리고, 상기 가이드바(210)들의 상단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플렛폼(10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안내면(211)이 각각 형성된다.And, as shown in FIG. 2, guide surfaces 211 inclined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fixed platform 100 are formed at the upper ends of the guide bars 210, respectively.

이 경우, 상기 가이드바(210)들의 상단은 상부로 갈수록 전후 방향의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므로, 상기 가이드바(210)들의 상단이 가이드홀(140)의 하방을 통해 삽입시 상기 가이드바(210)의 상단이 상기 가이드홀(140)의 하단과 걸림 없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width of the upper ends of the guide bars 210 in the front-back direction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top, when the upper ends of the guide bars 210 are inserted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guide hole 140, the guide bars 210 ) can be easily inserted without jamming the upper end of the guide hole 140.

또한, 상기 가이드바(210)들이 가이드홀(140)과 일치되지 않는 경우, 안내면(211)에 의해 상기 가이드바(210)가 정 위치로 이동되므로, 상기 가이드바(210)를 정확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guide bars 210 do not coincide with the guide holes 140, the guide bar 210 is moved to the correct position by the guide surface 211, so that the guide bar 210 can be accurately inserted. there is.

아울러, 상기 가이드바(210)들에는 승강 플렛폼(200)이 사용 대기 위치(A1)로 상승시 가이드홀(140)들의 상방에 위치되는 상부 결합홀(212)이 좌우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In addition, upper coupling holes 212 located above the guide holes 140 are formed through the guide bars 21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en the elevating platform 200 is raised to the standby position A1.

이와 함께, 상기 가이드바(210)에는 상부 결합홀(212)의 하부에 이격 배치된 하부 결합홀(213)이 좌우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In addition, lower coupling holes 213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coupling holes 212 are formed through the guide bar 21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하부 결합홀(213)은, 승강 플렛폼(200)이 개폐도어(130)를 완전 개방시키는 최대 상승 위치(A2)로 상승시 가이드홀(140)들의 상방에 위치된다.The lower coupling hole 213 is located above the guide holes 140 when the elevating platform 200 rises to the maximum elevation position A2 at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30 is fully opened.

이와 같은 상부 결합홀(212)과 하부 결합홀(213)에는, 도 10과 11에서처럼 가이드홀(140)의 상단에 걸림 위치되도록 안전핀(220)이 선택적으로 관통 결합된다.In the upper coupling hole 212 and the lower coupling hole 213, as shown in FIGS. 10 and 11, a safety pin 220 is selectively penetrated so as to be caught at the top of the guide hole 140.

여기서, 상부 결합홀(212)과 하부 결합홀(213)들은 안전핀(220)이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으나, 상기 상부 결합홀(212)과 하부 결합홀(213) 및 안전핀(220)의 직경은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Here, the upper coupling hole 212 and the lower coupling hole 213 may have the same diameter so that the safety pin 220 can be used in common, but the upper coupling hole 212 and the lower coupling hole 213 and the safety pin ( 220)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또한, 가이드홀(140)의 좌우 방향측 상면에는 도 2와 10에서처럼 안전핀(220)의 양단이 각각 안착되도록 안착홈(141)이 하부로 오목하게 각각 형성된다.In add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hole 14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s shown in FIGS. 2 and 10 , seating grooves 141 are formed concave downward so that both ends of the safety pin 220 are respectively seated.

상기 안착홈(141)은, 안전핀(220)의 양단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안전핀(220)의 양단이 하부로 걸림 위치되므로, 가이드홀(140)에 삽입된 가이드바(210)가 하방으로 분리되지 않는다.The seating groove 141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both ends of the safety pin 220, and since both ends of the safety pin 220 are engaged downward, the guide bar 210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140 is It is not separated downward.

반면, 승강 플렛폼(200)을 하강시키고자 하는 경우, 안전핀(220)을 상부 결합홀(212) 또는 하부 결합홀(213)로부터 측방으로 분리시킨 후, 가이드바(210)를 가이드홀(140)의 하방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vating platform 200 is to be lowered, the safety pin 220 is separated laterally from the upper coupling hole 212 or the lower coupling hole 213, and then the guide bar 210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140. can be separated from the lower part of

아울러, 상기 승강 플렛폼(200)의 상면에는 안전 난간이 더 결합되며, 상기 안전 난간은 승강 플렛폼(200)의 전후 좌우 방향에 각각 결합된다.In addition, safety handrails are further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platform 200, and the safety handrails are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elevating platform 200, respectively.

상기 안전 난간은, 상하로 길이를 가지며, 승강 플렛폼(200)이 작업공간(101)으로 진입시 개폐도어(130)의 하면과 밀착되면서 상방으로 회동시킨다.The safety handrail has a vertical length, and when the elevating platform 200 enters the work space 101, it rotates upward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30.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안전 난간은 한 쌍의 길이조절 난간(230) 및, 한 쌍의 탈부착 난간(240)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safety handrail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length-adjustable handrails 230 and a pair of detachable handrails 240.

상기 길이조절 난간(230)은, 도 13에서처럼 승강 플렛폼(200)의 전후 방향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길이조절 난간(230)의 상단은 상하로 길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length-adjustable handrail 230 is install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elevating platform 200,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13, and the upper end of the length-adjustable handrail 230 is vertically adjustable.

여기서, 상기 길이조절 난간(230)은 하단이 상기 승강 플렛폼(200)의 상면에 결합되는 고정빔(231) 및, 상기 고정빔(231)의 상단을 통해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길이조절빔(232)이 구비된다.Here, the length-adjustable handrail 230 includes a fixed beam 231 whos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platform 200, and a length-adjustable beam inserted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fixed beam 231 and capable of sliding vertically. (232) is provided.

상기 고정빔(231)들은, 하단이 승강 플렛폼(200)의 전후 좌우 방향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고정빔(231)의 내부에는 상방으로 개방된 홈이 형성된다.The fixed beams 231 have lower ends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elevating platform 200, respectively, and grooves open upwards are formed inside the fixed beams 231.

여기서, 상기 고정빔(231)들은 승강 플렛폼(20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빔(231)들을 다수로 적용시 상기 고정빔들의 측부는 수평한 가로바의 양단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fixed beam 231 may be disposed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elevating platform 200, and when a plurality of the fixed beams 231 are applied, the sides of the fixed beams are of a horizontal horizontal bar. It can be connected by both ends.

길이조절빔(232)들은, 고정빔(231)의 상단을 통해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길이조절빔(232)들의 상단은 수평한 가로바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The length adjustment beams 232 are inserted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fixed beam 231 and coupled to be slidable up and down, and the upper ends of the length adjustment beams 232 may be connected by a horizontal horizontal bar.

여기서, 상기 길이조절빔(232)은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고정빔의 상단에 설정 높이로 고정될 수도 있다.Here, the length-adjusting beam 232 may be fixed at a set height to the upper end of the fixed beam by a separate fastening member (not shown).

예를 들어, 승강 플렛폼(200)을 최대 상승 위치(A2)로 상승 위치시키는 경우, 도 10에서처럼 상기 길이조절빔(232)들의 상단이 도어패널(131)들의 하면을 상방으로 밀어 연다.For example, when the elevating platform 200 is raised to the maximum lifting position A2, the upper ends of the length adjusting beams 232 push the lower surfaces of the door panels 131 upward as shown in FIG.

탈부착 난간(240)은, 승강 플렛폼(200)의 좌우 방향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탈부착 난간의 하단이 상기 승강 플렛폼의 상면으로부터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detachable handrail 240 is install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elevating platform 200, and the lower end of the detachable handrail is detachably coupl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platform.

또한, 승강 플렛폼(200)의 상면에는, 안전 난간(230)의 하단이 암수로 대응 삽입되도록 하부로 오목한 결합홈(250)이 각각 형성된다.In add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platform 200, coupling grooves 250 concave downward are forme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safety handrail 230 is inserted into the male and female correspondingly.

구동유닛(300)은, 후술 될 제어유닛(40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고,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구동되어 승강 플렛폼(200)을 선택된 높이로 승강시킨다.The driving unit 300 is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400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driven by electric energy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o lift the elevating platform 200 to a selected height.

이를 위한 상기 구동유닛(300)은, 모터(310)와, 구동기어(320)와, 후방측 윈치(330)와, 전방측 윈치(340)와, 피동기어(350) 및, 후방측 케이블(360)과, 전방측 케이블(370)로 구비될 수 있다.The drive unit 300 for this purpose includes a motor 310, a drive gear 320, a rear winch 330, a front winch 340, a driven gear 350, and a rear cable ( 360) and a front side cable 370.

상기 모터(310)는 고정 플렛폼(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모터(310)의 구동축에는 구동기어(320)가 동일한 회전 중심으로 결합된다.The motor 31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platform 100, and a driving gear 320 is coupled to the driving shaft of the motor 310 with the same rotational center.

상기 구동기어(320)는, 후술 될 피동기어(350)들 중 어느 하나와 맞물림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기어(320)의 원주에는 다수의 톱니(미도시)가 형성된다.The driving gear 320 is engaged with any one of the driven gears 350 to be described later, and a plurality of teeth (not shown) are formed on the circumference of the driving gear 320.

후방측 윈치(330)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고정 플렛폼(100)의 좌우 방향을 따르는 수평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고정 플렛폼(100)의 전후 방향으로 정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rear winch 330 has a cylindrical shape and is coupled to be rotatably forward and backward of the fixed platform 100 based on a horizontal center of rotation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fixed platform 100 .

여기서, 상기 후방측 윈치(330)는 모터(310)의 구동축과 유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회전되며, 상기 후방측 윈치(330)의 외부에는 후술 될 후방측 케이블(360)의 상단이 권취된다.Here, the rear winch 330 is rotated while being organically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310, and the upper end of the rear cable 360 to be described later is wound around the outside of the rear winch 330.

전방측 윈치(340)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고정 플렛폼(100)의 좌우 방향을 따르는 수평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고정 플렛폼(100)의 전후 방향으로 정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front side winch 340 has a cylindrical shape and is coupled to be rotatably forward and backward of the fixed platform 100 based on a horizontal center of rotation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fixed platform 100 .

여기서, 상기 전방측 윈치(340)는 모터(310)의 구동축과 유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후방측 윈치(330)와 함께 연동 회전되며, 상기 전방측 윈치(340)의 외부에는 후술 될 전방측 케이블(370)의 상단이 권취된다.Here, the front winch 340 is organically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310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rear winch 330, and the front winch 340 has a front cable to be described later. The top of 370 is wound.

이와 같은 후방측 윈치(330)와 전방측 윈치(340)는, 동일한 수평 회전중심을 갖도록 고정 플렛폼(100)의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A number of the rear winch 330 and the front winch 340 may be arranged in parallel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fixed platform 100 to have the same horizontal center of rotation.

피동기어(350)는, 후방측 윈치(330)와 전방측 윈치(340)의 수평 회전중심에동일한 회전중심으로 각각 결합된다.The driven gear 350 is coupled to the same center of rotation as the horizontal center of rotation of the rear winch 330 and the front winch 340.

여기서, 상기 피동기어(350)들 중 어느 하나는 전술한 구동기어(320)와 맞물림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피동기어(350)의 원주를 따라 다수의 톱니(미도시)가 형성된다.Here, any one of the driven gears 350 is engaged with the aforementioned driving gear 320, and a plurality of teeth (not shown)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driven gear 350.

이와 같은 상기 피동기어(350)들은, 고정 플렛폼(100)의 전후 방향에서 상호 맞물림 결합되며, 구동기어(320)의 회전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된다.The driven gears 35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fixed platform 100, and are rotated forward or backward by the rotation of the drive gear 320.

즉, 상기 피동기어(350)들의 회전에 의해 후방측 윈치(330)와 전방측 윈치(340)가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동 회전된다.That is, by rotation of the driven gears 350, the rear winch 330 and the front winch 340 are interlocked and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후방측 케이블(360)은, 승강 플렛폼(200)을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후방측 케이블(360)의 상단이 후방측 윈치(330)의 외부에 권취된다.The rear cable 360 is for lifting the lifting platform 200, and the upper end of the rear cable 360 is wound around the outside of the rear winch 330.

그리고, 상기 후방측 케이블(360)의 하단이 고정 플렛폼(100)의 후방을 통해 승강 플렛폼(200)의 후방측에 연결된다.And, the lower end of the rear side cable 360 is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elevating platform 200 through the rear side of the fixed platform 100 .

전방측 케이블(370)은, 승강 플렛폼(200)을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전방측 케이블(370)의 상단이 전방측 윈치(330)의 외부에 권취된다.The front cable 370 is for lifting the lifting platform 200, and the upper end of the front cable 370 is wound around the outside of the front winch 330.

그리고, 상기 전방측 케이블(370)의 하단이 고정 플렛폼(100)의 전방을 통해 승강 플렛폼(200)의 전방측에 연결된다.And, the lower end of the front side cable 370 is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elevating platform 200 through the front side of the fixed platform 100 .

한편, 구동유닛(300)에는 후방측 케이블(360)의 상단을 하방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후방측 풀리(380) 및, 전방측 케이블(370)의 상단은 하방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전방측 풀리(390)가 더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driving unit 300 includes a rear pulley 380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upper end of the rear cable 360 from below, and a front end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upper end of the front cable 370 from below. A front side pulley 390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후방측 풀리(380)는, 후방측 윈치(330)의 후방에 이격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후방측 풀리(380)는 고정 플렛폼(100)의 좌우 방향을 따르는 수평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정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rear pulley 380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of the rear winch 330, and the rear pulley 380 rotat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ased on the horizontal center of rotation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fixed platform 100. It is installed so that forward rotation is possible.

여기서, 상기 후방측 풀리(380)의 외주는 회전 방향을 따라 원주를 형성하며, 상기 후방측 풀리(380)의 원주를 따라 후방측 케이블(360)이 안착되는 홈이 오목하게 형성된다.Here,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ear pulley 380 forms a circumference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a groove in which the rear cable 360 is seated is formed concav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ear pulley 380 .

이와 같은 상기 후방측 풀리(380)는, 모터(310)의 구동력에 의해 후방측 윈치(330)가 회전시 후방측 케이블(360)을 지지한 상태로 함께 회전된다.The rear pulley 380 rotates together while supporting the rear cable 360 when the rear winch 330 rotates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310 .

전방측 풀리(390)는, 전방측 윈치(340)의 전방에 이격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전방측 풀리(390)는 고정 플렛폼(100)의 좌우 방향을 따르는 수평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정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front pulley 390 i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of the front winch 340, and the front pulley 390 is horizonta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ased on the horizontal center of rotation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fixed platform 100. installed rotatably.

여기서, 상기 전방측 풀리(390)의 외주는 회전 방향을 따라 원주를 형성하며, 상기 전방측 풀리(390)의 원주를 따라 전방측 케이블(370)이 안착되는 홈이 오목하게 형성된다.Here,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ront pulley 390 forms a circumference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a groove in which the front cable 370 is seated is formed concavel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ront pulley 390 .

이와 같은 상기 전방측 풀리(390)는, 모터(310)의 구동력에 의해 전방측 윈치(340)가 회전시 전방측 케이블(370)을 지지한 상태로 함께 회전된다.The front pulley 390 is rotated together while supporting the front cable 370 when the front winch 340 rotates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310 .

즉, 모터(310)의 구동기어(320)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구동기어(320)와 맞물린 피동기어(350)들이 함께 회전되고, 상기 피동기어(350)들의 회전에 의해 후방측 윈치(330)와 전방측 윈치(340)가 함께 회전된다.That is, when the driving gear 320 of the motor 310 is rotated, the driven gear 350 meshed with the driving gear 320 is rotated together, and the rear side winch 330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driven gear 350. ) and the front side winch 340 are rotated together.

이와 동시에, 후방측 윈치(330)와 전방측 윈치(340)에 권취된 후방측 케이블(360)과 전방측 케이블(370)의 하단이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됨에 따라 승강 플렛폼(200)이 상승 또는 하강된다.At the same time, as the lower ends of the rear side cables 360 and the front side cables 370 wound around the rear side winch 330 and the front side winch 340 are moved up or down, the elevation platform 200 is raised or lowered. it goes down

한편, 구동유닛(300)에는 도 2 내지 4에서처럼 모터(31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400)이 전기적으로 더 연결된다.Meanwhile, a control unit 400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motor 310 is furth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300 as shown in FIGS. 2 to 4 .

상기 제어유닛(400)은, 모터(310)의 구동을 제어하여 승강 플렛폼(200)의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 할 수 있고, 상기 제어유닛(400)에는 승강 플렛폼(20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부(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00 can control the driving of the motor 310 to variably adjust the height of the elevation platform 200, and the control unit 400 includes a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elevation platform 200. A control unit (not shown)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그리고, 고정 플렛폼(100)에는 작업공간(101)을 출입하는 자재(1)의 정보를 인식하여 제어유닛(400)으로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유닛(500)이 더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500 for recognizing information on the material 1 entering and exiting the work space 101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400 may be further coupled to the fixed platform 100 .

상기 근거리 통신유닛(500)은, 판독기(reader)와 전자 태그(tag)를 이용한 알에프아이디(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방식을 사용한다.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500 uses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method using a reader and an electronic tag.

또한, 제어유닛(400)은 근거리 통신유닛(500)으로부터 전달되는 자재(1)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자재(1) 정보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0 may store material (1)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500, and display the material (1) information to the outside.

아울러, 상기 제어유닛(400)은 구동유닛(300)을 구동시 동작 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동작 신호는 소리를 출력하는 알람이나 램프를 점등시키는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0 may output an operation signal to the outside when driving the driving unit 300, and the operation signal may use an alarm outputting a sound or a method of turning on a lamp.

이하, 도 2와 5 내지 12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equenti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5 to 12.

먼저, 도 5에서처럼 상부 결합홀(212)에 결합된 안전핀(220)을 분리시킨 후, 대기 위치(A1)에 위치된 승강 플렛폼(200)을 하강시켜 육상(20)에 위치시킨다.First, as shown in FIG. 5, after separating the safety pin 220 coupled to the upper coupling hole 212, the elevating platform 200 located at the standby position A1 is lowered and placed on the land 20.

다음으로, 도 6에서처럼 승강 플렛폼(200)의 좌우측 탈부착 난간(240)을 분리시키고, 도 7에서처럼 승강 플렛폼(200)의 상면에 해당 자재(1)를 적재한다.Next, as in FIG. 6, the left and right detachable handrails 240 of the elevating platform 200 are separated, and the corresponding material 1 is loa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platform 200 as shown in FIG.

다음으로, 도 8에서처럼 승강 플렛폼(200)에 탈부착 난간(240)을 재설치한 후, 도 9와 10에서처럼 승강 플렛폼(200)을 최대 상승 위치(A2)까지 상승시켜 작업공간(101) 내에 위치된다.Next, after reinstalling the detachable handrail 240 on the elevating platform 200 as shown in FIG. 8,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elevating platform 200 is raised to the maximum lifting position A2 and is located in the work space 101. .

이 과정에서, 승강 플렛폼(200)의 가이드바(210)가 고정 플렛폼(100)의 가이드홀(140)에 삽입됨과 동시에, 승강 플렛폼(200)의 상면에 설치된 길이조절 난간(230)의 상단이 도어패널(131)들의 하면을 상방으로 밀어 열면서 작업공간(101)으로 진입한다.In this process, the guide bar 210 of the elevating platform 200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140 of the fixed platform 100, and the upper end of the length-adjustable handrail 230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platform 200 The lower surfaces of the door panels 131 are pushed upward to open and enter the work space 101 .

이때, 승강 플렛폼(200)의 가장자리가 고정 플렛폼(100)의 바닥면과 밀착되고, 길이조절 난간(230)이 도어 패널(131)들을 전후 방향으로 경사지게 지지하며, 승강 플렛폼(200)의 돌출면(201)이 승강통로(120)의 바닥면을 형성한다.At this time, the edge of the elevating platform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ed platform 100, the length-adjustable handrail 230 supports the door panels 131 inclin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the protruding surface of the elevating platform 200 201 forms the bottom surface of the lift passage 120.

이 상태에서, 가이드홀(140)의 상방에 위치된 하부 결합홀(213)에 안전핀(220)을 결합시켜, 가이드바(210)를 고정 플렛폼(100)에 걸림 위치시킨다.In this state, the safety pin 220 is coupled to the lower coupling hole 213 located above the guide hole 140, and the guide bar 210 is caught on the fixed platform 100.

다음으로, 도 11에서처럼 승강 플렛폼(200)의 반입구(11)측 탈부착 난간(240)을 분리시킨 후, 승강 플렛폼(200)의 상면에 위치된 자재(1)를 반입구(11)로 투입시킨다.Next, as shown in FIG. 11, after separating the detachable handrail 240 on the loading port 11 side of the lifting platform 200, the material 1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platform 200 is put into the loading port 11. let it

다음으로, 도 12에서처럼 승강 플렛폼(200)의 반입구(11)측 탈부착 난간(240)을 재설치한 후, 승강 플렛폼(200)을 육상(20)으로 재차 하강시킬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12, after reinstalling the detachable handrail 240 on the side of the entrance 11 of the lifting platform 200, the lifting platform 200 can be lowered to the land 20 again.

이때, 승강 플렛폼(200)이 승강통로(120)의 하방으로 이탈되고, 도어패널(131)이 자중에 의해 수평하게 회동되면서 승강통로(120)를 차단한다.At this time, the elevating platform 200 is separated downward from the elevating passage 120, and the door panel 131 blocks the elevating passage 120 while being horizontally rotated by its own weight.

반면, 승강 플렛폼(200)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2에서처럼 승강 플렛폼(200)을 대기 위치(A1)로 상승 위치시킨 후, 가이드홀(140)의 상방에 위치된 상부 결합홀(212)에 안전핀(220)을 결합시켜, 가이드바(210)를 고정 플렛폼(100)에 걸림 위치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vating platform 200 is not in use, after raising the elevating platform 200 to the standby position A1 as shown in FIG. 2, the safety pin is placed in the upper coupling hole 212 located above the guide hole 140. By combining 220, the guide bar 210 is caught on the fixed platform 100.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선체(10)의 반입구(11) 높이에 작업공간이 형성된 고정 플렛폼(100)을 고정적으로 설치하고, 고정 플렛폼(100)의 하부에 작업공간(101)과 육상(20)으로 이동 가능한 승강 플렛폼(200)을 설치함으로써, 반입구(11)의 높이에 구애 받지 않아 자재(1) 투입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고, 비 사용시 승강 플렛폼(200)이 고정 플렛폼(100)의 하단에 장착되므로 육상(20)의 장비들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fixedly installs the fixed platform 100 in which the work space is formed at the height of the entrance 11 of the hull 10, and the work space 101 and the land 20 at the lower part of the fixed platform 100 ) By installing the elevating platform 200 movable,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ease of inputting the material 1 regardless of the height of the entrance 11, and when not in use, the elevating platform 200 is fixed to the fixed platform 100 Since it is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land (20), interference with the equipment does not occur.

그리고,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용 모터(310)를 이용해 후방측 윈치(330) 및 전방측 윈치(340)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승강 플렛폼(200)의 높이에 따라 작업공간(101)으로 개폐도어(130)가 자동으로 개폐되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장치의 구조가 단순하므로 제작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rives the rear side winch 330 and the front side winch 340 using one driving motor 310, and opens and closes the working space 101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lifting platform 200. By applying a structure in which the door 130 automatically opens and closes, the structure of the device is simple, so manufacturing costs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은 승강 플렛폼(200)이 대기 위치(A1) 또는 최대 상승 위치(A2)에서 가이드홀(140)과 가이드바(210) 및 안전핀(220)에 의해 고정적으로 위치되므로, 비 사용시와 자재 투입 과정에서 승강 플렛폼(200)의 유동 및 낙하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levating platform 200 is fixedly positioned by the guide hole 140, the guide bar 210, and the safety pin 220 at the standby position A1 or the maximum elevation position A2, It is possible to secure safety by preventing movement and falling of the elevating platform 200 during the material input process.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So fa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ut it is obvious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limits that do not deviate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등록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등록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conveyed, and should be defined by not only the claims for patent registration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those equivalent to the scope of this patent registration.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등록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등록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at i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patent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meaning of the patent claims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scope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자재 10: 선체
11: 반입구 20: 육상
100: 고정 플렛폼 101: 작업공간
110: 개방부 120: 승강통로
130: 개폐도어 131: 도어패널
132: 힌지부 140: 가이드홀
141: 안착홈 150: 케이블 삽입홈
200: 승강 플렛폼 201: 돌출면
210: 가이드바 211: 안내면
212: 상부 결합홀 213: 하부 결합홀
220: 안전핀 230: 길이조절 난간
231: 고정빔 232: 길이조절빔
240: 탈부착 난간 250: 결합홈
300: 구동유닛 310: 모터
320: 구동기어 330: 후방측 윈치
340: 전방측 윈치 350: 피동기어
360: 후방측 케이블 370: 전방측 케이블
380: 후방측 풀리 390: 전방측 풀리
400: 제어유닛 500: 근거리 통신유닛
A1: 대기 위치 A2: 최대 상승 위치
1: material 10: hull
11: entrance 20: land
100: fixed platform 101: workspace
110: opening 120: lift passage
130: opening and closing door 131: door panel
132: hinge part 140: guide hole
141: seating groove 150: cable insertion groove
200: lifting platform 201: protruding surface
210: guide bar 211: guide surface
212: upper coupling hole 213: lower coupling hole
220: safety pin 230: adjustable handrail
231: fixed beam 232: adjustable length beam
240: detachable handrail 250: coupling groove
300: drive unit 310: motor
320: drive gear 330: rear side winch
340: front side winch 350: driven gear
360: rear side cable 370: front side cable
380: rear pulley 390: front pulley
400: control unit 500: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A1: Standby position A2: Maximum elevation position

Claims (16)

선체의 외측면으로 개방된 반입구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며, 내부의 작업공간으로 출입 가능하도록 바닥면에 개폐도어가 구비되며, 하단에 한 쌍의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고정 플렛폼;
상기 고정 플렛폼의 하방에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작업공간의 내부로 진입시 상기 개폐도어를 개방시키는 반면 상기 작업공간의 하부로 이탈시 상기 개폐도어를 폐쇄시키는, 상면에 한 쌍의 가이드바가 형성되는 승강 플렛폼; 및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에너지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승강 플렛폼을 선택된 높이로 승강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
A fixed platform that is fixedly installed at the entrance open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ull, has an opening and closing door on the bottom so as to be able to enter and exit the interior work space, and has a pair of guide holes formed at the bottom;
A pair of guide bar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platform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opening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when entering the working space, while closing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when leaving the lower part of the working space elevating platform; and
A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comprising: a driving unit driven by energy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o elevate the elevating platform to a selected heigh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렛폼은,
일측의 결합면이 상기 선체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면에는 상기 반입구와 상기 작업공간을 연결하는 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ed platform,
A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a coupling surface of one side is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hull, and an opening portion connecting the inlet and the work space is formed on the coupling surf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렛폼의 바닥면에는,
상기 개폐도어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승강 플렛폼이 승강 가능하도록 승강통로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ed platform,
A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pened and clos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and an elevation passage is formed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ides so that the elevation platform can be moved up and down.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는,
수평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자유단이 수평하게 회동 위치시 상기 승강통로를 폐쇄시키고, 상기 자유단이 상방으로 회동 위치시 상기 승강통로를 개방시키며,
상기 승강 플렛폼은,
상기 작업공간으로 진입시 접촉 방식에 의해 상기 개폐도어를 상방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작업공간의 하방으로 이탈시 상기 개폐도어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opening door,
When the free end rotates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center of rotation, the hoistway is closed, and when the free end is rotated upward, the hoistway is opened.
The elevating platform,
A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when entering the work space,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is rotated upward by a contact method, and when leaving the work space downward,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is rotated downward by its own weight.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는,
상기 승강통로의 양측에 상호 반대되는 결합단을 기준으로 반대되는 자유단이 수평 또는 상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도어패널 및,
상기 도어패널들의 결합단과 상기 작업공간의 바닥면을 연결시켜 수평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한 쌍의 힌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opening door,
A pair of door panels on both sides of the hoisting passage, the free ends of which are opposite to each other on the basis of the mating ends that are opposite to each other and are rotatably disposed horizontally or upward;
A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hinge parts are provided to form a horizontal center of rotation by connecting the coupling ends of the door panels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work sp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홀은 상기 고정 플렛폼의 전후 방향측 하단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는 상기 승강 플렛폼의 전후 방향측 상면에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승강 플렛폼이 상기 고정 플렛폼의 하부에 위치되는 대기 위치 또는 상기 개폐도어를 상방으로 개방시키는 위치로 상승시 상기 가이드홀들의 하방을 통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air of guide holes are formed vertically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fixed platform,
The pair of guide bars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platform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he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elevating platform is raised to a standby position located below the fixed platform or a position to ope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upward, it is inserted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guide holes.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들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 플렛폼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안내면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t the top of the guide bars,
A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a guide surface inclined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fixed platform is further formed.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들에는,
상기 승강 플렛폼이 사용 대기 위치로 상승시 상기 가이드홀들의 상방에 위치되는 상부 결합홀 및, 상기 상부 결합홀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승강 플렛폼이 최대 상승 위치로 상승시 상기 가이드홀들 상방에 위치되는 하부 결합홀이 좌우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상부 결합홀과 상기 하부 결합홀에는,
상기 가이드홀의 상단에 걸림 위치되도록 안전핀이 선택적으로 관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In the guide bars,
When the elevating platform rises to the standby position for use, an upper coupling hole located above the guide holes and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coupling hol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when the elevating platform rises to the maximum elevation position, it is located above the guide holes. The lower coupling hole is formed throug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upper coupling hole and the lower coupling hole,
A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afety pin is selectively coupled through so as to be caught at the top of the guide hol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플렛폼은,
상기 개폐도어를 상방으로 개방시키는 위치로 상승시 가장자리가 상기 고정 플렛폼의 하면과 밀착되며, 상면이 상기 승강통로의 하방을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elevating platform,
A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is raised to an upwardly open position, an edg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xed platform, and the upper surface closes the lower portion of the elevator passag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플렛폼의 상면에는,
전후 좌우 방향에 안전 난간이 더 결합되며,
상기 안전 난간은,
상기 승강 플렛폼이 상기 작업공간으로 진입시 상기 개폐도어의 하면과 밀착되면서 상방으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platform,
Safety handrails are further combin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 safety railing,
A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elevating platform enters the work space, it rotates upward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안전 난간은,
상기 승강 플렛폼의 전후 방향에 각각 설치되며, 상하로 길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길이조절 난간 및,
상기 승강 플렛폼의 좌우 방향에 각각 설치되며, 하단이 상기 승강 플렛폼의 상면으로부터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탈부착 난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safety railing,
A pair of length-adjustable handrails install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elevating platform and install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up and down;
A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pair of detachable handrails install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elevating platform, the lower end of which is detachably coupl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platfor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고정 플렛폼의 상부에 결합되는 모터와,
상기 고정 플렛폼의 상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모터의 구동축과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방측 윈치와,
상기 후방측 윈치의 전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후방측 윈치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모터의 구동축과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방측 윈치와,
상단이 상기 후방측 윈치에 권취되며, 하단이 상기 고정 플렛폼의 후방을 통해 상기 승강 플렛폼의 후방측에 연결되는 후방측 케이블 및,
상단이 상기 전방측 윈치에 권취되며, 하단이 상기 고정 플렛폼의 전방을 통해 상기 승강 플렛폼의 전방측에 연결되는 전방측 케이블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ing unit is
A moto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xed platform;
At least one rear side winch coupled to be rotatably forward and backward on the top of the fixed platform and organically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At least one front winch coupled to be rotatably forward and backward in the front of the rear winch and organically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so as to ro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ear winch;
A rear cable having an upper end wound around the rear winch and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lifting platform through the rear of the fixed platform;
A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a front side cable is provided with an upper end wound around the front side winch and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elevating platform through the front side of the fixed platform.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후방측 윈치와 상기 전방측 윈치의 회전중심에는,
전후 방향으로 맞물림 결합되는 한 쌍의 피동기어가 동일한 회전중심으로 결합되며,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는,
동일한 회전중심으로 결합되며, 상기 후방측 윈치 또는 상기 전방측 윈치의 상기 피동기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림 결합되는 구동기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At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rear winch and the front winch,
A pair of driven gears mesh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re coupled to the same center of rotation,
On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A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a drive gear coupled to the same rotation center and selectively meshed with the driven gear of the rear winch or the front winch is further provided.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렛폼의 상부에는,
상기 후방측 윈치의 후방에 이격 위치되며, 상기 후방측 케이블을 하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방측 풀리 및,
상기 전방측 윈치의 전방에 이격 위치되며, 상기 전방측 케이블의 하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방측 풀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At the top of the fixed platform,
A rear pulley spaced apart from the rear of the rear winch and rotatably supporting the rear c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from the bottom;
A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provided with a front pulley spaced apart from the front of the front winch and rotatably supporti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elow the front cab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에는,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이 전기적으로 더 연결되며,
상기 고정 플렛폼에는,
상기 작업공간을 출입하는 자재의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제어유닛으로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유닛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drive uni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is further electrically connected,
On the fixed platform,
A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for recognizing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of materials entering and exiting the work space to the control unit is further coupled.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유닛은,
판독기(reader)와 전자 태그(tag)를 이용한 알에프아이디(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건조용 리프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5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A lifting device for ship construction, characterized by using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method using a reader and an electronic tag.
KR1020180051065A 2018-05-03 2018-05-03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KR1025359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065A KR102535972B1 (en) 2018-05-03 2018-05-03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065A KR102535972B1 (en) 2018-05-03 2018-05-03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021A KR20190127021A (en) 2019-11-13
KR102535972B1 true KR102535972B1 (en) 2023-05-24

Family

ID=68534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065A KR102535972B1 (en) 2018-05-03 2018-05-03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597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92022B (en) * 2020-11-16 2022-03-25 武汉武船重型装备工程有限责任公司 Rapid maintenance platform for maintenance of water-stopping rubber of ship lift compartment do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174B1 (en) * 2008-03-17 2010-07-27 (주)재경건설 The cage lift
KR20130001787U (en) * 2011-09-06 2013-03-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Hoist for ship and ocean structure
KR20170000881U (en) * 2015-08-31 2017-03-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Apparatus for inserting side shell block of ship and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021A (en) 2019-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38742C2 (en) Elevator structure and method of elevator manufacturing
ES2442142T3 (en) Method of installing an elevator
EP3484807B1 (en) Elevator arrangement for safe maintenance work
US20130233655A1 (en) Method and an elevator arrangement
CN109476456B (en) Elevator device and elevator
US20190119073A1 (en) Elevator arrangement
EP2559647A1 (en) A method for assembling a modular lift apparatus, a method for de-assembling a modular lift apparatus, and a modular lift apparatus
EP1533265A1 (en) Elevator
KR102535972B1 (en) Lifting device for ship-building
KR101766914B1 (en) Upper drive shaft operating system of retractable door-lift vertically for elevator
JP2016013913A (en) Building with elevator
EP1566357B1 (en) Elevator equipment
JP4316514B2 (en) Working device in mechanical parking device and its working method
KR200406013Y1 (en) Appratus for vertical movement
JP2014148854A (en) Unloading device
KR20090099036A (en) Safe open and close device of canvasdoor
CN210214484U (en) Elevator of micro machine room
KR20070046996A (en) Appratus for vertical movement
KR20040017360A (en) Elevator
CN216763943U (en) Construction elevator
EP3765168B1 (en) Performer lift
CN112619977B (en) Device for nano spraying of artware
KR102286398B1 (en) Elevation Drive Assembly of Tower Crane Cage
KR100810698B1 (en) Elevator for vehicle
JP5025516B2 (en)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