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5760B1 - 스마트 책상 - Google Patents

스마트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5760B1
KR102535760B1 KR1020220140403A KR20220140403A KR102535760B1 KR 102535760 B1 KR102535760 B1 KR 102535760B1 KR 1020220140403 A KR1020220140403 A KR 1020220140403A KR 20220140403 A KR20220140403 A KR 20220140403A KR 102535760 B1 KR102535760 B1 KR 102535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body
frame
unit
main fram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0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원
Original Assignee
이봉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원 filed Critical 이봉원
Priority to KR1020220140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57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760B1/ko
Priority to PCT/KR2023/016836 priority patent/WO202409105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2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vertical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2097/005Monitor mounted supports or stand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면이 지면에 지지되어 지면에서 기립되며, 높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는 프레임부; 상기 가이드레일이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의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몸체부; 상기 슬라이드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부에는 사용자의 물건이 올려지고 하부면에는 모니터가 구비되는 테이블부; 상기 프레임부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 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부에서 상기 슬라이드 몸체부를 승하강시키는 슬라이드 몸체 승하강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측과 하부측 및 상기 테이블부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유산소 운동 및 근력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운동기구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책상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공부, 독서 등 업무의 종류에 따라 테이블부를 프레임부에서 상하로 승하강시킨 후 업무를 수행할 수 있고, 테이블부의 높낮이 및 테이블부 높낮이 조절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휴식 시에는 테이블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TV를 이용하여 영상을 시청할 수 있고, 휴식 시 프레임부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는 운동기구부를 이용하여 상체 운동 및 하체 운동을 복합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책상{Smart desk}
본 발명은 스마트 책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학습활동과 사무업무를 수행하면서 휴식 시에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을 실시하면서 TV 또는 모니터부를 이용하여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디자인 및 다기능을 갖도록 개발되며, 최, 중, 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이 사용하는 책상의 경우, 책상판과 그 아래의 수납공간과 이를 지지하는 책상다리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이와 같은 책상은 제조 시에 그 높이가 정해져 규격화된 크기로 공급되기 때문에, 성장속도가 빨라 체형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학생들의 체형을 받쳐주지 못하고 일정한 크기의 책상에 학생들이 맞춰서 생활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책상에 책과 필기도구를 올려놓고 고개를 숙인 자세로 오래도록 앉아 있어야 하므로 신체에 무리가 뒤따르고 특히 목부위에 디스크로 발전하는 등의 질환이 유발되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2086709호에는, 신체구조에 맞도록 책상의 높낮이와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더욱 편리하고 간편하게 동작되어 실용적인 책상을 실생활에 적용하기 위한 높이조절과 각도조절이 용이한 책상이 게재된 바 있다.
한편, 근래들어 건강과 헬스에 관련하여 일반인들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추세이고, 이에 따라 헬스와 관련된 다양한 운동기구와 장치가 출시되어 주목받고 있다.
상기한 운동기구는 전문적인 체력단련장이나 헬스장 등의 장소에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일반 가정에서 편리한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일반인들이 편리하게 사용하여 체력과 건강증진, 각종 질병 또는 성인병 예방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운동기구는 평상 시 주로 책상과 의자에서 생활을 하는 직장인 등의 사용자에게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따르기 때문에 일반인의 일상에서 편리하게 운동할 수 있는 기회가 적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상의 많은 시간을 책상에서 업무 및 공부를 실시하는 직장인 및 학생이 활용할 수 있고, 수요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운동기구가 구비된 책상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에 부합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공부, 독서 등 업무의 종류에 따라 프레임부에서 승하강되는 테이블부의 높낮이 및 높낮이 조절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가 휴식 시에는 테이블부를 회전시킨 후 테이블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TV를 영상을 시청하거나 프레임부의 상부와 하부 및 테이블부에 구비되는 운동기구부를 이용하여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복합기능을 갖는 스마트 책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면이 지면에 지지되어 지면에서 기립되며, 높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는 프레임부; 상기 가이드레일이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의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몸체부; 상기 슬라이드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부에는 사용자의 물건이 올려지고 하부면에는 모니터가 구비되는 테이블부; 상기 프레임부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 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부에서 상기 슬라이드 몸체부를 승하강시키는 슬라이드 몸체 승하강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측과 하부측 및 상기 테이블부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유산소 운동 및 근력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운동기구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책상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책상은, 상기 슬라이드 몸체 승하강부와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드 몸체부를 상기 프레임부에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상기 슬라이드 몸체 승하강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부와, 상기 슬라이드 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컴퓨터와 연결되는 모니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책상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슬라이드 몸체부와 상기 슬라이드 몸체 승하강부가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 이격되게 배치되어 바닥면이 지면에 지지되며 사각형상을 가지는 제1보조 프레임 및 제2보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몸체부와 연결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보조 프레임 및 상기 제2보조 프레임의 하부면에는 길이가 조절되는 복수개의 잠금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몸체부가 이동하는 좌측 가이드레일과 우측 가이드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몸체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좌측면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높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1슬라이드 몸체와, 상기 제1슬라이드 몸체와 대응되게 상기 메인 프레임의 우측면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높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2슬라이드 몸체와,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상기 제1슬라이드 몸체와 상기 제2슬라이드 몸체의 전단측을 연결하며 상기 테이블부를 지지하는 제1연결편과, 상기 제1연결편과 대응되게 상기 제1슬라이드 몸체와 상기 제2슬라이드 몸체의 후단측을 연결하며 상기 슬라이드 몸체 승하강부와 연결되는 제2연결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슬라이드 몸체와 상기 제2슬라이드 몸체에는 상기 테이블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편은 상기 슬라이드 몸체 승하강부와 체결편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체결편은 상기 제2연결편과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몸체 승하강부에 의해 상기 제2연결편이 승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2연결편에 의해 연결된 상기 제1슬라이드 몸체와 상기 제2슬라이드 몸체가 상기 메인 프레임에서 승하강할 수 있다.
상기 제1슬라이드 몸체와 상기 제2슬라이드 몸체는 상기 연결편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테이블부가 장착되는 장착공이 형성되는 제1슬라이드 본체 및 제2슬라이드 본체와, 상기 제1슬라이드 본체 및 제2슬라이드 본체의 일면에 장착되며 상기 좌측 가이드레일 및 상기 우측 가이드레일에 연결되는 제1연결몸체 및 제2연결몸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좌측 가이드레일 및 상기 우측 가이드레일에는 가이드돌기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몸체 및 제2연결몸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이블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제1보조 프레임 및 제2보조 프레임의 전면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제1고정테이블 및 제2고정테이블과, 상기 프레임부의 메인 프레임 전면에서 상기 제1슬라이드 몸체와 상기 제2슬라이드 몸체의 장착공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테이블은 상기 장착공을 중심으로 90~120°각도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테이블 및 제2고정테이블은 상기 제1연결편에 장착되어 상기 제1연결편의 외측으로 대응되게 돌출되는 제1장착케이스 및 제2장착케이스와, 상기 제1장착케이스 및 제2장착케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제1고정테이블 및 제2고정테이블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1지지단 및 제2지지단과, 상기 제1지지단 및 제2지지단에 지지되는 제1테이블 및 제2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장착케이스와 상기 제2장착케이스에는 상기 회전테이블을 지지하는 제1지지홈과 제2지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테이블은 상기 제1슬라이드 몸체와 상기 제2슬라이드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지지홈과 상기 제2지지홈에 지지되는 제1회전케이스 및 제2회전케이스와, 상기 제1회전케이스 및 상기 제2회전케이스를 상기 제1슬라이드 몸체와 상기 제2슬라이드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수단과, 상기 제1회전케이스 및 제2회전케이스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3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회전케이스와 상기 제2회전케이스에는 상기 장착수단이 장착되는 제1장착홀과 제2장착홀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제1장착홀과 제2장착홀에 장착되는 장착핀과, 상기 장착핀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슬라이드 몸체와 상기 제2슬라이드 몸체의 장착공에 장착되는 장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몸체 승하강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메인 프레임의 좌측면과 우측면의 상부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 기어와, 상기 상부 기어와 이격되게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부 기어와, 상기 상부 기어와 상기 하부 기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상부 기어와 회전축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상부 기어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에 상기 체결편이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 몸체 승하강부와 상기 제2연결편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의 좌측면에 구비되는 상부 기어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우측면에 구비되는 상부 기어는 연결축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는 타이밍벨트, 체인, 전동실린더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운동기구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메인 프레임에 상기 테이블부 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사용자가 파지 후 상체 근력운동을 실시하는 철봉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측에 상기 철봉의 하부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유산소운동을 실시하는 워킹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워킹패드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서 상기 테이블부측 방향으로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워킹패드는 접이식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운동기구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 이격되게 배치되어 바닥면이 지면에 지지되고 사각형상을 가지는 제1보조 프레임 및 제2보조 프레임의 전면에 고정되는 제1고정테이블 및 제2고정테이블에 회전되게 구비되며 사용자의 어깨회전운동 및 팔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책상은 상기 메인 프레임부와 이격되게 구비되고, 사용자가 상기 테이블부를 이용 시 사용자가 착석하며, 사용자가 착석 시 하체 근력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페달이 구비되는 의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책상에 의하면,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공부, 독서 등 업무의 종류에 따라 테이블부를 프레임부에서 상하로 승하강시킨 후 업무를 수행할 수 있고, 테이블부의 높낮이 및 테이블부 높낮이 조절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휴식 시에는 테이블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TV를 이용하여 영상을 시청할 수 있고, 휴식 시 프레임부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는 운동기구부를 이용하여 상체 운동 및 하체 운동을 복합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책상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책상 및 사용자가 착석하는 의자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마트 책상 및 의자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슬라이드 몸체부에 테이블부가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테이블부가 장착된 슬라이드 몸체부가 슬라이드 몸체 승하강부에 의해 승하강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책상(100)은 학습활동과 사무업무를 수행하면서 휴식 시에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 및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부(1100)와, 슬라이드 몸체부(1200)와, 테이블부(1300)와, 슬라이드 몸체 승하강부(1400)와, 윤동기구부(1500)를 포함하고, 조작부(1600)와, 모니터부(1700)와, 의자부(1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부(1100)는 하부면이 지면에 지지되어 지면에서 기립되며, 상기 프레임부(1100)는 메인 프레임(1110)과, 제1보조 프레임(1120)과, 제2보조 프레임(1130)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1110)에는 후술되는 슬라이드 몸체부(1200)와 슬라이드 몸체 승하강부(1400)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1110)의 좌측과 우측에는 각각 제1보조 프레임(1120)과 제2보조 프레임(1130)이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1보조 프레임(1120)과 상기 제2보조 프레임(1130)은 바닥면이 지면에 지지되어 지면에서 기립되며, 상기 제1보조 프레임(1120)과 상기 제2보조 프레임(1130)은 내부가 빈 사각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보조 프레임(1120)과 상기 제2보조 프레임(1130)의 하부면에는 복수개의 잠금스토퍼(S)가 구비된다.
상기 잠금스토퍼(S)의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제1보조 프레임(1120)과 상기 제2보조 프레임(1130)이 지지되는 지면이 평탄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제1보조 프레임(1120)과 상기 제2보조 프레임(1130)이 지면에 지지되어 기립되게 되며, 상기 제1보조 프레임(1120)과 상기 제2보조 프레임(1130)은 다스의 책을 수납하는 책장 및 장식품을 수납하는 장식장으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제1보조 프레임(1120)과 상기 제2보조 프레임(1130)에는 후술되는 모니터부(1700)와 연결되는 컴퓨터(미도시)가 수납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111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후술되는 슬라이드 몸체부(1200)와 연결되는 가이드레일(1111)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1111)은 좌측 가이드레일(1112)와 우측 가이드레일(1113)을 포함한다.
상기 좌측 가이드레일(1112)와 상기 우측 가이드레일(1113)은 상기 메인 프레임(111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서 높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레일(1111)에 연결되는 슬라이드 몸체부(1200)는 상기 가이드레일(1111)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1100)의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레일(1111)에는 슬라이드 몸체부(1200)가 연결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1110)의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상기 슬라이드 몸체부(1200)는 제1슬라이드 몸체(1210)와, 제2슬라이드 몸체(1220)와, 제1연결편(1230)과, 제2연결편(1240)을 포함하고, 체결편(1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슬라이드 몸체(1210)는 상기 메인 프레임(1110)의 좌측면에 설치되는 좌측 가이드레일(1112)과 연결되어 상기 좌측 가이드레일(1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1110)의 좌측면에서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상기 제2슬라이드 몸체(1220)는 상기 제1슬라이드 몸체(1210)와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1110)의 우측면에 설치되는 우측 가이드레일(1113)과 연결되어 상기 우측 가이드레일(1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1120)의 우측면에서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1110)에 이격되게 구비되는 상기 제1슬라이드 몸체(1210)와 상기 제2슬라이드 몸체(1220)는 제1연결편(1230)과 제2연결편(124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편(1240)은 체결수단(미도시)에 의해 체결편(1240)과 체결된다. 상기 제1연결편(1230)은 상기 제1슬라이드 몸체(1210)와 상기 제2슬라이드 몸체(1220)의 전단측을 연결하고, 상기 제2연결편(1240)은 상기 제1슬라이드 몸체(1210)와 상기 제2슬라이드 몸체(1220)의 후단측을 연결한다.
상기 체결수단(미도시)에 의해 체결되는 상기 제2연결편(1240)과 상기 체결편(1250)의 사이에 후술되는 슬라이드 몸체 승하강부(1400)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몸체 승하강부(140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2연결편(1240)에 의해 연결된 상기 제1슬라이드 몸체(1210)와 상기 제2슬라이드 몸체(1220)가 상기 메인 프레임(1110)의 높이방향으로 승하강하게 된다.
상기 제1슬라이드 몸체(1210)와 상기 제2슬라이드 몸체(1220)에는 후술되는 테이블부(130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슬라이드 몸체(1210)는 제1슬라이드 본체(1211)와, 제1연결몸체(12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슬라이드 본체(1211)는 상기 제2연결편(1240)의 일단과 체결수단(미도시)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제1슬라이드 본체(1211)에는 후술되는 테이블부(1300)의 회전테이블(133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공(1211a)이 형성된다.
상기 제1슬라이드 본체(1211)의 일면에는 제1연결몸체(1212)가 장착되며, 상기 제1연결몸체(1212)는 상기 메인 프레임(1110)의 좌측면에 설치되는 좌측 가이드레일(1112)과 연결된다.
상기 좌측 가이드레일(1112)에는 가이드돌기(1112a)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좌측 가이드레일(1112)과 연결되는 상기 제1연결몸체(1212)에는 상기 가이드돌기(1112a)가 삽입되는 가이드홈(1212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슬라이드 몸체(1220)는 제2슬라이드 본체(1221)와, 제2연결몸체(1222)를 포함하며, 상기 제2슬라이드 본체(1221)와 상기 제2연결몸체(1222)는 상기 제1슬라이드 본체(1211)와 상기 제1연결몸체(1212)와 동일한 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슬라이드 몸체(1210)와 상기 제2슬라이드 몸체(1220)에는 테이블부(1300)가 장착되며, 상기 테이블부(1300)는 상기 프레임부(1100)의 제1보조 프레임(1120) 및 제2보조 프레임(1130)의 전면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제1고정테이블(1310) 및 제2고정테이블(1320)과, 상기 메인 프레임(111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테이블(13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테이블(1310) 및 제2고정테이블(1320)과 상기 회전테이블(1330)의 상부에는 사용자의 물건이 올려지고, 상기 회전테이블(1330)의 하부면에는 사용자가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TV(T)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테이블(1330)은 상기 장착공(1211a,1221a)을 중심으로 90~120°각도범위 내에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고정테이블(1310) 및 제2고정테이블(1320)의 상부에는 사용자의 물건이 올려진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되는 운동기구부(1500)의 회전바(153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테이블(1310)은 제1장착케이스(1311)와, 복수개의 제1지지단(1312)과, 제1테이블(1313)을 포함한다. 상기 제1장착케이스(1311)은 상기 제1연결편(1230)에 장착되어 상기 제1연결편(1230)의 일단측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장착케이스(1311)에는 복수개의 제1지지단(1312)이 장착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1지지단(1312)의 상부에는 제1테이블(1313)이 안착된다. 상기 제1테이블(1313)의 상부에는 사용자의 물건이 올려지고, 상기 제1장착케이스(1311)에는 상기 회전테이블(1330)을 지지하는 지지홈(1311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슬라이드 몸체(12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회전테이블(1330)이 상기 지지홈(1311a)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회전테이블(1330)의 회전이 억제되게 된다.
상기 제2고정테이블(1320)은 상기 제1연결편(1230)에 장착되어 상기 제1연결편(1230)의 타단측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고정테이블(1320)는 상기 제1연결편(1230)에 장착되는 부위만 상기 제1고정테이블(1310)과 상이할 뿐 상기 제1고정테이블(1310)과 구성이 동일한 바, 상기 제2고정테이블(13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회전테이블(1330)은 상기 제1슬라이드 몸체(1210)와 상기 제2슬라이드 몸체(12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회전테이블(1330)은 제1회전케이스(1331) 및 제2회전케이스(1332)와, 장착수단(1333)과, 제3테이블(1334)를 포함하고, 상기 제3테이블(1334)의 하부면에 사용자가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TV(T)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회전케이스(1331) 및 상기 제2회전케이스(1332)는 상기 장착수단(1333)에 의해 상기 제1슬라이드 몸체(1210)와 상기 제2슬라이드 몸체(12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회전케이스(1331) 및 상기 제2회전케이스(1332)는 회전 시 상기 제1지지홈(1311a) 및 상기 제2장착케이스(1321)의 제2지지홈(1321a)에 지지되어 회전이 억제된다.
상기 제1회전케이스(1331) 및 상기 제2회전케이스(1332)는 장착수단(1333)에 의해 상기 제1슬라이드 몸체(1210)와 상기 제2슬라이드 몸체(12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회전케이스(1331) 및 제2회전케이스(1332)의 상부에 제3테이블(1334)가 안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1회전케이스(1331)와 상기 제2회전케이스(1332)에는 상기 장착수단(1333)이 장착되는 제1장착홀(1331a)과 제2장착홀(1332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장착수단(1333)은 상기 제1장착홀(1331a)과 제2장착홀(1332a)에 장착되는 장착핀(1333a)과, 상기 장착핀(1333a)이 관통하는 관통홀(1333c)이 형성되며 상기 제1슬라이드 몸체(1210)와 상기 제2슬라이드 몸체(1220)의 장착공(1211a,1221a)에 장착되는 장착부재(1333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부(1100)에는 슬라이드 몸체 승하강부(1400)가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 몸체 승하강부(1400)는 상기 슬라이드 몸체부(1200)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 몸체부(1200)를 상기 프레임부(1100)의 메인 프레임(1110)에서 승하강시키는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슬라이드 몸체 승하강부(1400)는 상부 기어(1410)와, 하부 기어(1420)와, 연결부재(1430)와, 회전모터(144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기어(1410)는 상기 메인 프레임(1110)의 좌측면과 우측면의 상부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하부 기어(1420)는 상기 상부 기어(1410)와 대응되게 상기 메인 프레임(1110)의 좌측면과 우측면의 하부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1110)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이격되게 구비되는 상기 상부 기어(1410)와 상기 하부 기어(1420)는 연결부재(143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110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구비되는 상기 상부 기어(1420)는 회전축(1441)에 의해 회전모터(1440)와 연결된다.
상기 회전모터(1440)는 상기 회전축(1441)에 의해 연결된 상기 상부 기어(141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연결부재(1430)가 상기 체결편(1250)에 의해 상기 제2연결편(124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몸체 승하강부(1400)와 상기 상기 제1슬라이드 몸체(1210) 및 상기 제2슬라이드 몸체(1220)가 연결되어 상기 상기 회전모터(1440)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연결부재(143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1슬라이드 몸체(1210)와 상기 제2슬라이드 몸체(1220)가 상기 메인 프레임부(1100)에서 승하강하게 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1110)의 죄측면에 구비되는 상부 기어(1410)와 상기 메인 프레임(1110)의 우측면에 구비되는 상부 기어(1410)는 연결축(CS)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회전모터(1440)와 회전축(1441)에 의해 연결되는 상부 기어(141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연결축(CS)에 의해 연결되는 이격된 상부 기어(1410) 역시 상기 회전모터(144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며, 상기 연결부재(1430)로는 타이밍벨트, 체인, 전동실런더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드 몸체 승하강부(1400)의 고장 시 안전을 위해 상기 슬라이드 몸체부(1200) 및 상기 테이블부(1300)가 상기 프레임부(1100)에서 급격하게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브레이크부(미도시)가 상기 슬라이드 몸체부(120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브레이크부(미도시)는 센서가 측정한 가속도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상기 블라이드 몸체부(1200)를 정지시키는 장치 또는 와전류 브레이크 등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프레임(1110)의 상부측과 하부측 및 상기 테이블부(1300)에는 운동기구부(1500)가 구비되며, 상기 운동기구부(1500)에 의해 사용자는 유산소 운동, 근력 운동, 어깨회전운동 및 팔운동을 복합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상기 운동기구부(1500)는 철봉(1510)과, 워킹패드(1520)를 포함하고, 회전바(1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철봉(1510)은 메인 프레임(1110)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테이블부(1300) 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1110)에 상기 철봉(1510)이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철봉(1510)을 파지 후 상체의 근력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철봉(1510)는 상기 메인 프레임(1110)에서 상기 테이블부(1300)의 회전테이블(1330)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사용자가 상기 철봉(1510)을 이용 시 상기 회전테이블(1330)를 회전시켜 상기 메인 프레임(1110)에 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프레임(1110)의 하부측에는 워킹패드(1520)가 구비되며, 상기 워킹패드(1520)는 상기 철봉(15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상기 워킹패드(1520)의 상부에서 뛰거나 빠르게 걸음으로써 유산소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워킹패드(1520)는 상기 메인 프레임(1110)의 하부측에서 상기 테이블부(1300) 측 방향으로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상기 워킹패드(1520)는 접이식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워킹패드(1520)가 접이식 구조를 가짐으로써 보관이 용이하며, 접이식 구조를 가지는 상기 워킹패드(1520)는 일반적인 것인 바, 그에 대한 상세한 살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테이블부(1300)의 제1고정테이블(1310)과 제2고정테이블(1320)의 상부에는 회전바(153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사용자가 상기 제1고정테이블(1310)과 제2고정테이블(132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기 회전바(153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어깨회전운동 및 팔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부(1100)에 설치되는 상기 슬라이드 몸체 승하강부(1400)는 조작부(1600)와 연결되며, 상기 조작부(1600)를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몸체부(1200)를 상기 메인 프레임(1110)에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상기 슬라이드 몸체 승하강부(1400)의 동작을 용이하게 제어하게 된다. 상기 조작부(1600)를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상기 프레임부(1100)에서 승하강되는 상기 테이블부(1300)의 높낮이 및 높낮이 조절속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부(1100)의 제1보조 프레임(1120) 또는 제2보조 프레임(1130)에 설치되는 컴퓨터(미도시)는 모니터부(1700)와 연결되며, 상기 모니터부(1700)는 상기 슬라이드 몸체부(1200)와 연결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1110)의 높이방향으로 승하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의 신체조건과 기립 여부 및 공부, 독서 등 업무의 종류에 맞게 상기 모니터부(1700)의 높이를 상기 조작부(1600)를 통해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프레임(1110)과 이격되게 의자부(18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용자가 상기 테이블부(1300)를 이용하여 학습활동과 사무업무를 수행 시 상기 의자부(1800)에 착석하며, 상기 의자부(1800)에는 사용자가 착석 시 하체 근력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페달(181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자부(1800)에 사용자가 착석 후 상기 페달(1810)를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하체 근력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테이블부(1300)를 이용하여 학습활동 및 사무업무를 수행 시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공부, 독서 등 업무의 종류에 따라 상깅 프레임부(1100)에서 승하강되는 테이블부(1300)의 높낮이 및 높낮이 조절속도를 상기 조작부(1600)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휴식 시에는 상기 테이블부(1300)의 하부에 구비되는 TV(T)를 이용하여 영상을 시청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프레임(1110)의 상부와 하부 및 상기 테이블부(1300)에 구비되는 운동기구부(1500)를 이용하여 유산소 운동 및 근력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스마트 책상 1100 : 프레임부
1110 : 메인 프레임 1120 : 제1보조 프레임
1130 : 제2보조 프레임 1200 : 슬라이드 몸체부
1210 : 제1슬라이드 몸체 1220 : 제2슬라이드 몸체
1230 : 제1연결편 1240 : 제2연결편
1250 : 체결편 1300 : 테이블부
1310 : 제1고정테이블 1320 : 제2고정테이블
1330 : 회전테이블 1400 : 슬라이드 몸체 승하강부
1410 : 상부 기어 1420 : 하부 기어
1430 : 연결부재 1440 : 회전모터
1500 : 운동기구부 1510 : 철봉
1520 : 워킹패드 1530 : 회전바
1600 : 조작부 1700 : 모니터부
1800 : 의자부 1810 : 페달

Claims (15)

  1. 하부면이 지면에 지지되어 지면에서 기립되며, 높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는 프레임부;
    상기 가이드레일이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의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몸체부;
    상기 슬라이드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부에는 사용자의 물건이 올려지고 하부면에는 모니터가 구비되는 테이블부;
    상기 프레임부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 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부에서 상기 슬라이드 몸체부를 승하강시키는 슬라이드 몸체 승하강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측과 하부측 및 상기 테이블부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유산소 운동 및 근력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운동기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슬라이드 몸체부와 상기 슬라이드 몸체 승하강부가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 이격되게 배치되어 바닥면이 지면에 지지되며 사각형상을 가지는 제1보조 프레임 및 제2보조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몸체부와 연결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며,
    상기 제1보조 프레임 및 상기 제2보조 프레임의 하부면에는 길이가 조절되는 복수개의 잠금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몸체부가 이동하는 좌측 가이드레일과 우측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스마트 책상.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몸체 승하강부와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드 몸체부를 상기 프레임부에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상기 슬라이드 몸체 승하강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부와,
    상기 슬라이드 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컴퓨터와 연결되는 모니터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책상.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몸체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좌측면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높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1슬라이드 몸체와,
    상기 제1슬라이드 몸체와 대응되게 상기 메인 프레임의 우측면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높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2슬라이드 몸체와,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상기 제1슬라이드 몸체와 상기 제2슬라이드 몸체의 전단측을 연결하며 상기 테이블부를 지지하는 제1연결편과,
    상기 제1연결편과 대응되게 상기 제1슬라이드 몸체와 상기 제2슬라이드 몸체의 후단측을 연결하며 상기 슬라이드 몸체 승하강부와 연결되는 제2연결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슬라이드 몸체와 상기 제2슬라이드 몸체에는 상기 테이블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공이 형성되는 스마트 책상.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편은 상기 슬라이드 몸체 승하강부와 체결편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체결편은 상기 제2연결편과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슬라이드 몸체 승하강부에 의해 상기 제2연결편이 승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2연결편에 의해 연결된 상기 제1슬라이드 몸체와 상기 제2슬라이드 몸체가 상기 메인 프레임에서 승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책상.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드 몸체와 상기 제2슬라이드 몸체는,
    상기 제2연결편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테이블부가 장착되는 장착공이 형성되는 제1슬라이드 본체 및 제2슬라이드 본체와,
    상기 제1슬라이드 본체 및 제2슬라이드 본체의 일면에 장착되며 상기 좌측 가이드레일 및 상기 우측 가이드레일에 연결되는 제1연결몸체 및 제2연결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가이드레일 및 상기 우측 가이드레일에는 가이드돌기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몸체 및 제2연결몸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스마트 책상.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제1보조 프레임 및 제2보조 프레임의 전면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제1고정테이블 및 제2고정테이블과,
    상기 프레임부의 메인 프레임 전면에서 상기 제1슬라이드 몸체와 상기 제2슬라이드 몸체의 장착공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테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테이블은 상기 장착공을 중심으로 90~120°각도범위 내에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책상.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테이블 및 제2고정테이블은,
    상기 제1연결편에 장착되어 상기 제1연결편의 외측으로 대응되게 돌출되는 제1장착케이스 및 제2장착케이스와,
    상기 제1장착케이스 및 제2장착케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제1고정테이블 및 제2고정테이블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1지지단 및 제2지지단과,
    상기 제1지지단 및 제2지지단에 지지되는 제1테이블 및 제2테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제1장착케이스와 상기 제2장착케이스에는 상기 회전테이블을 지지하는 제1지지홈과 제2지지홈이 형성되는 스마트 책상.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회전테이블은,
    상기 제1슬라이드 몸체와 상기 제2슬라이드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지지홈과 상기 제2지지홈에 지지되는 제1회전케이스 및 제2회전케이스와,
    상기 제1회전케이스 및 상기 제2회전케이스를 상기 제1슬라이드 몸체와 상기 제2슬라이드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수단과,
    상기 제1회전케이스 및 제2회전케이스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3테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케이스와 상기 제2회전케이스에는 상기 장착수단이 장착되는 제1장착홀과 제2장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제1장착홀과 제2장착홀에 장착되는 장착핀과,
    상기 장착핀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슬라이드 몸체와 상기 제2슬라이드 몸체의 장착공에 장착되는 장착부재를 포함하는 스마트 책상.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몸체 승하강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메인 프레임의 좌측면과 우측면의 상부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 기어와,
    상기 상부 기어와 이격되게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부 기어와,
    상기 상부 기어와 상기 하부 기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상부 기어와 회전축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상부 기어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에 상기 체결편이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 몸체 승하강부와 상기 제2연결편이 연결되는 스마트 책상.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좌측면에 구비되는 상부 기어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우측면에 구비되는 상부 기어는 연결축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타이밍벨트, 체인, 전동실린더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책상.
  12. 하부면이 지면에 지지되어 지면에서 기립되며, 높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는 프레임부;
    상기 가이드레일이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의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몸체부;
    상기 슬라이드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부에는 사용자의 물건이 올려지고 하부면에는 모니터가 구비되는 테이블부;
    상기 프레임부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 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부에서 상기 슬라이드 몸체부를 승하강시키는 슬라이드 몸체 승하강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측과 하부측 및 상기 테이블부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유산소 운동 및 근력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운동기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기구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메인 프레임에 상기 테이블부 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사용자가 파지 후 상체 근력운동을 실시하는 철봉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측에 상기 철봉의 하부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유산소운동을 실시하는 워킹패드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 이격되게 배치되어 바닥면이 지면에 지지되고 사각형상을 가지는 제1보조 프레임 및 제2보조 프레임의 전면에 고정되는 제1고정테이블 및 제2고정테이블에 회전되게 구비되며 사용자의 어깨회전운동 및 팔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바를 포함하며,
    상기 워킹패드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서 상기 테이블부측 방향으로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책상.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워킹패드는 접이식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책상.
  14. 삭제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와 이격되게 구비되고, 사용자가 상기 테이블부를 이용 시 사용자가 착석하며, 사용자가 착석 시 하체 근력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페달이 구비되는 의자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책상.
KR1020220140403A 2022-10-27 2022-10-27 스마트 책상 KR102535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403A KR102535760B1 (ko) 2022-10-27 2022-10-27 스마트 책상
PCT/KR2023/016836 WO2024091056A1 (ko) 2022-10-27 2023-10-27 스마트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403A KR102535760B1 (ko) 2022-10-27 2022-10-27 스마트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5760B1 true KR102535760B1 (ko) 2023-05-30

Family

ID=86529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0403A KR102535760B1 (ko) 2022-10-27 2022-10-27 스마트 책상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35760B1 (ko)
WO (1) WO20240910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1056A1 (ko) * 2022-10-27 2024-05-02 이봉원 스마트 책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9267A (ko) * 2012-03-27 2013-10-08 고민규 책상에 앉아 운동할 수 있는 자전거 의자
KR20160088021A (ko) * 2015-01-15 2016-07-25 (주)하나투자정보연구소 다기능책상(헬스침대)
KR20180112613A (ko) * 2017-04-04 2018-10-12 임나희 운동 지원형 높이 조절 책상
US20210228935A1 (en) * 2020-01-23 2021-07-29 Jack Duplechain Transformable Exercise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872A (ko) * 2018-02-03 2019-08-23 김승호 책상 거치형 전자동 높이조절 스텐딩 테이블
KR102535760B1 (ko) * 2022-10-27 2023-05-30 이봉원 스마트 책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9267A (ko) * 2012-03-27 2013-10-08 고민규 책상에 앉아 운동할 수 있는 자전거 의자
KR20160088021A (ko) * 2015-01-15 2016-07-25 (주)하나투자정보연구소 다기능책상(헬스침대)
KR20180112613A (ko) * 2017-04-04 2018-10-12 임나희 운동 지원형 높이 조절 책상
US20210228935A1 (en) * 2020-01-23 2021-07-29 Jack Duplechain Transformable Exercise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1056A1 (ko) * 2022-10-27 2024-05-02 이봉원 스마트 책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91056A1 (ko) 2024-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6661B2 (en) Multi-functional motivating exercise equipment
US9675510B2 (en) Exercise and massage treatment table system
JP3168541U (ja) 開脚運動器
KR102535760B1 (ko) 스마트 책상
JP3205570U (ja) 足部リハビリ機器
US20160082311A1 (en) Multifunctional Cardiovascular Training Device
CN208244007U (zh) 运动健身器材
CN206852991U (zh) 一种健身座椅
US3831935A (en) Movable platform exerciser
US20240139577A1 (en) Training device
KR102115695B1 (ko) 복합헬스기구
CN203400456U (zh) 一种手部力量训练器
CN214860957U (zh) 一种学前舞蹈教学用的韧带训练装置
CN109821200B (zh) 肩部锻炼装置
KR20140052148A (ko) 링크를 이용한 윗몸 일으키기 운동기구
CN207520520U (zh) 一种移动式锻炼腿部肌肉的体育设备
CN111388956A (zh) 一种舞蹈专业素质练习用辅助装置
SU1733021A1 (ru) Силовой тренажер
CN203735636U (zh) 船用便携式多功能健身器械
CN213964999U (zh) 一种多功能运动器材
CN216456718U (zh) 一种滑轨脚踏
CN115316783B (zh) 带健身杆的电动升降桌
CN114504764B (zh) 一种正弦辊筒式体育健身装置
CN203139505U (zh) 健腹椅
CN220513345U (zh) 一种多功能训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