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5624B1 - 상품 운반용 종이 손잡이 및 그를 구비하는 종이 손잡이 조립체 - Google Patents
상품 운반용 종이 손잡이 및 그를 구비하는 종이 손잡이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35624B1 KR102535624B1 KR1020230024926A KR20230024926A KR102535624B1 KR 102535624 B1 KR102535624 B1 KR 102535624B1 KR 1020230024926 A KR1020230024926 A KR 1020230024926A KR 20230024926 A KR20230024926 A KR 20230024926A KR 102535624 B1 KR102535624 B1 KR 1025356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folding
- layer
- layers
- pap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08—Handle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46024—Straps used as handles with anchoring elements fixed in slo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81—Forming or attaching accessories, e.g. opening devices, closures or tear strings
- B31B50/86—Forming integral handles; Attaching separate hand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08—Handle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46032—Handles with anchoring elements, e.g. formed by folding a bl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로 만들어진 상품 운반용 종이 손잡이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그립 유닛; 및 상기 그립 유닛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적층된 강화층을 갖는 적층강화부와, 상기 적층강화부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그립 유닛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걸림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적층된 강화층은, 상기 그립 유닛과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근위 층; 상기 그립 유닛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하는 원위 층; 및 상기 근위 층과 상기 원위 층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중위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적층강화부는, 상기 복수의 적층된 강화층 중 어느 하나의 층이 상기 복수의 적층된 강화층 중 인접한 다른 하나의 층에 대해 접힘 연결되게 하는 접힘 연결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힘 연결부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접힘 방향을 따라 접힌 경우에, 상기 접힘 연결부들 중 나머지는 상기 제1 접힘 방향과 반대되는 제2 접힘 방향을 따라 접힌 것인, 상품 운반용 종이 손잡이 및 그의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품 운반용 종이 손잡이 및 그를 구비하는 종이 손잡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믹스나 작은 가전제품을 수용하는 포장박스는 통상적으로 종이로 제작되고 있다. 종이재 포장박스 상부에는, 포장박스의 휴대성을 높이기 위한 손잡이가 구비되기도 한다.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박스로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뉜다. 하나는 종이재 포장박스에 합성수지재 손잡이가 별도로 장착된 것이다. 다른 하나는 종이재 포장박스의 일 부분을 손잡이 형태로 만든 것이다.
전자는 포장박스의 폐기시 소비자가 종이재 박스와 합성수지재 손잡이를 분리 배출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유발한다. 소비자가 분리 배출하지 않은 경우, 재활용 공장은 그들을 분리하기 위한 추가 인력을 투입해야 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별도의 합성수지재 손잡이의 재질을 종이재로 바꾸기 위한 시도가 진행 중에 있다. 다만, 종이재 손잡이는 포장박스에 걸리는 걸림 부분의 강도가 부족한 문제가 있다. 종이는 플라스틱에 비해 강도가 약하기에 발생되는 문제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걸림 부분에 별도 부재인 보강 부재를 결합시켜 걸림 부분의 강도를 보강하는 방식도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상품의 운반 중에 가해지는 반복 하중에 의해 보강 부재가 걸림 부분에서 이탈하는 경우에, 강도 보강이 제대로 구현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걸림 부분의 보강 상태가 반복 하중에도 견고하게 유지되게 하면서도, 보강된 걸림 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을 경감시켜 보강 상태의 유지력이 보다 강화되게 하는, 상품 운반용 종이 손잡이 및 그를 구비하는 종이 손잡이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품 운반용 종이 손잡이는, 종이로 만들어진 상품 운반용 종이 손잡이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그립 유닛; 및 상기 그립 유닛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적층된 강화층을 갖는 적층강화부와, 상기 적층강화부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그립 유닛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걸림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적층된 강화층은, 상기 그립 유닛과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근위 층; 상기 그립 유닛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하는 원위 층; 및 상기 근위 층과 상기 원위 층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중위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적층강화부는, 상기 복수의 적층된 강화층 중 어느 하나의 층이 상기 복수의 적층된 강화층 중 인접한 다른 하나의 층에 대해 접힘 연결되게 하는 접힘 연결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힘 연결부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접힘 방향을 따라 접힌 경우에, 상기 접힘 연결부들 중 나머지는 상기 제1 접힘 방향과 반대되는 제2 접힘 방향을 따라 접힌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중위 층 간의 접힘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복수의 적층된 강화층 중 나머지 층 간의 접힘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근위 층은, 상기 그립 유닛의 일 측방으로 연장하도록 배열되는 일측부; 및 상기 그립 유닛의 타 측방으로 연장하도록 배열되는 타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부는, 상기 그립 유닛에서 연장되는 부분이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타측부에서 연장되는 부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 유닛은, 상기 복수의 적층된 강화층에서 인접한 층을 접착시키며, 수용성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된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립 유닛 및 상기 걸림 유닛을 형성하는 종이 부재는, 복수의 원사가 나란히 배열된 후에 수용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밴드 형태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상품 운반용 종이 손잡이 조립체는, 이상의 상품 운반용 종이 손잡이; 및 상기 걸림 유닛이 삽입되어 걸리는 프레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유닛은, 종이로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 유닛은, 곡선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유닛은, 상기 걸림 유닛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몸체에 오목 형성되는 수용 그루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상품 운반용 종이 손잡이는, 종이로 만들어진 상품 운반용 종이 손잡이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그립 유닛; 및 일 단은 상기 그립 유닛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타 단은 상기 그립 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일 단과 상기 타 단 사이에는 상기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적층된 강화층을 구비하는 걸림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적층된 강화층은, 연속적으로 이어지며 하나의 층이 인접한 다른 층에 대해 접혀서 적층된 네 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고, 상기 인접한 다른 층에 대한 상기 하나의 층의 접힘 중 적어도 한 번은 접힘 방향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 유닛은, 상기 복수의 적층된 강화층에서 인접한 층을 접착시키며, 수용성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된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운반용 종이 손잡이 및 그를 구비하는 종이 손잡이 조립체에 의하면, 그립 유닛에 연결되는 걸림 유닛 중 복수의 적층된 강화층은 그립 유닛에서 연장되며 적어도 네 층으로 적층된 것이고 각 층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 층과 다른 방향으로 인접한 층에 대해 접힘 연결됨에 따라 복수의 강화층은 다시 그립 유닛과 결합될 수 있기에, 강도가 보강된 걸림 유닛은 반복 하중에도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걸림 유닛에 걸리는 하중 자체가 그립 유닛으로 분산되어 걸림 유닛의 보강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운반용 종이 손잡이(10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종이 손잡이(100)의 걸림 유닛(150)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걸림 유닛(150)의 적층강화부(151)의 강화층이 접히는 과정을 단순화하여 보인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2의 걸림 유닛(150)의 일 변형예에 따른 걸림 유닛(150A)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걸림 유닛(150)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걸림 유닛(150B)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걸림 유닛(150)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걸림 유닛(150C)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유닛(200)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이 손잡이 조립체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종이 손잡이(100)의 걸림 유닛(150)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걸림 유닛(150)의 적층강화부(151)의 강화층이 접히는 과정을 단순화하여 보인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2의 걸림 유닛(150)의 일 변형예에 따른 걸림 유닛(150A)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걸림 유닛(150)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걸림 유닛(150B)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걸림 유닛(150)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걸림 유닛(150C)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유닛(200)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이 손잡이 조립체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운반용 종이 손잡이(100)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손잡이(100)는, 그립 유닛(110)과 걸림 유닛(150)을 가진다. 그립 유닛(110)이 사용자가 손으로 쥐는 부분이라면, 걸림 유닛(150)은 포장박스의 구멍에 삽입되어 포장박스의 상판에 걸리는 부분이다. 걸림 유닛(150)은 그립 유닛(110)의 양단부에 하나씩 연결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걸림 유닛(150)은 그립 유닛(110)의 일 단부에만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립 유닛(110)과 걸림 유닛(150)은 종이 재질로 만들어진다. 그들은 하나의 종이 부재가 복수 회에 걸쳐서 접혀서 만들어진 것이다. 상기 종이 부재는, 복수의 원사(S)가 나란히 배열된 후에 수용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밴드 형태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종이 부재는 원사의 연장 방향을 따라 하중을 분산시키기에 높은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립 유닛(110)은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된다. 길이 방향(L)은 그립 유닛(110) 내에서 원사(S)가 연장하는 방향이다. 그립 유닛(110)은 포장박스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에 쥔 상태에서는 상방으로 볼록한 형태가 될 것이다.
걸림 유닛(150)은 그립 유닛(110)의 연장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걸림 유닛(150)은 교차 방향(I)을 따라 배열된다. 교차 방향(I)은 길이 방향(L)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이다. 일 실시예에서 교차 방향(I)은 길이 방향(L)에 대해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걸림 유닛(150)의 일 단(150')은 그립 유닛(110)에서 연장하고 타 단(150")은 그립 유닛(110)에 결합되는 것이다.
걸림 유닛(150)은, 구체적으로, 적층강화부(151)를 가진다. 적층강화부(151)는 일 단(150')과 타 단(150") 사이의 부분, 혹은 일 단(150')과 타 단(150")을 포함한 부분이다. 적층강화부(151)는 복수의 적층된 강화층(152,153,155, 도 2 참조)으로 이루어진다. 적층강화부(151)은 네 개의 층 이상으로 구비되어, 걸림 유닛(150)이 그에 걸리는 동적 하중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게 한다.
걸림 유닛(150)은 또한 결합부(161)와 접착층(165)을 가질 수 있다.
결합부(161)는 적층강화부(151)로부터 연장하여 그립 유닛(110)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결합부(161)는 그립 유닛(110)에 대해 적층된 형태로 결합되고, 그를 위해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된다. 결합부(161)는 적층강화부(151)에 걸리는 하중을 그립 유닛(110)으로 전달하여, 위 하중이 그립 유닛(110)으로 분산되게 한다. 결합부(161)는 수용성 접착제에 의해 그립 유닛(110)에 접착될 수 있다.
접착층(165)은 복수의 적층된 강화층 중 인접한 층들을 서로 접착시키는 것이다. 접착층(165)은 수용성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적층강화부(151)의 구체적 구조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종이 손잡이(100)의 걸림 유닛(150)을 보인 정면도이다.
본 도면을 추가로 참조하면, 적층강화부(151)는 네 개의 강화층(152,153,155<155a,155b>)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네 개의 강화층은 근위 층(152), 원위 층(153), 그리고 중위층(155)이다. 여기서, 중위층(155)은 두 개의 층, 다시 말해 제1 중위층(155a)과 제2 중위층(155b)을 가진다.
근위 층(152)은 그립 유닛(110)과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층이다. 근위 층(152)은 일측부(152a)와 타측부(152b)를 가질 수 있다. 일측부(152a)가 그립 유닛(110)의 일 측방으로 연장하도록 배열되는 것이라면, 타측부(152b)는 그에 반대되는 타 방으로 연장하도록 배열되는 것이다. 일측부(152a)와 타측부(152b)는 서로 직접 연결되지는 않는다. 일측부(152a)는 그립 유닛(110)에서 연장되는 부분이고, 타측부(152b)는 결합부(161)에 연결되는 부분이다. 원위 층(153)은 그립 유닛(110)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하는 층이다. 중위층(155)은 근위 층(152)과 원위 층(153) 사이에 위치하며, 복수의 층(155a,155b)을 가진다.
네 개의 강화층(152,153,155<155a,155b>)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립 유닛(110)과 하나를 이루는 종이 부재가 연속적으로 이어진 것이다. 네 개의 강화층(152,153,155<155a,155b>)은 그들 중 하나의 층이 인접한 다른 층에 대해 접혀져서 적층된 형태를 이룬다. 하나의 층과 인접한 다른 층을 접힘 연결하는 부분은 접힘 연결부(157)라 칭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접힘 연결부(157) 역시 네 개(157a 내지 157d)로 구비된다.
접힘 연결부(157)의 구체적 내용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걸림 유닛(150)의 적층강화부(151)의 강화층이 접히는 과정을 단순화하여 보인 개념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근위 층(152), 구체적으로 일측부(152a)에 대해 원위 층(153)은 도면상 시계 방향을 따라 접혀진 것이다. 일측부(152a)와 원위 층(153) 간의 연결 부분은 제1 접힘 연결부(157a)가 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원위 층(153)에 대해 제1 중위 층(155a) 역시 시계 방향을 따라 접혀진 것이다. 원위 층(153)과 제1 중위 층(155a) 간의 연결 부분은 제2 접힘 연결부(157b)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제1 중위층(155a)에 대해 제2 중위층(155b)은, 반시계 방향을 따라 접혀진 것이다. 앞서의 시계 방향 접힘에서 다른 방향(반시계 방향) 접힘으로 전환이 일어난 것이다. 제1 중위층(155a)과 제2 중위층(155b) 간의 연결 부분은 제3 접힘 연결부(157c)이다.
도 3(d)를 참조하면, 제2 중위층(155b)에 대해 근위 층(152), 구체적으로 타측부(152b)는 시계 방향을 따라 접혀진 것이다. 바로 앞에서의 반시계 방향 접힘에서 다시 시계 방향 접힘으로 전환이 일어난 것이다. 제2 중위층(155b)과 타측부(152b) 간의 연결 부분은 제4 접힘 연결부(157d)이다.
결과적으로, 세 개의 접힘 연결부(157a,157b,157d)가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접힌 것인데 반하여, 나머지 하나의 접힘 연결부(157c)는 반시계 방향으로 접힌 것이다. 나머지 하나의 접힘 연결부(157c)는 중위층(155) 내에서의 접힘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제1 중위층(155a)에 대해 제2 중위층(155b)이 반시계 방향을 따라 접힌 것이다. 여기서, 반시계/시계 방향은 제1/제2 접힘 방향이라 칭해질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제1 중위층(155a)과 제2 중위층(155b) 간의 접힘 방향이 다른 부분의 접힘 방향과 다름에 의하여, 결과적으로 결합부(161) 또는 타 단(150", 이상 도 1 참조)은 그립 유닛(110)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그에 의해, 적층강화부(151)에 걸리는 하중은 그립 유닛(110)으로 분산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걸림 유닛(150)의 일 변형예에 따른 걸림 유닛(150A)을 보인 정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걸림 유닛(150A)은 앞선 걸림 유닛(150)과 대체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나, 강화층이 여섯 개로 늘어난 점에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중위층(155)은 네 개로서, 제1 중위층(155a) 내지 제4 중위층(155d)으로 구비된 것이다.
이런 구조에서도, 제1 중위층(155a)에서 제2 중위층(155b)으로의 접힘, 제3 중위층(155c)에서 제4 중위층(155d)으로의 접힘은 반시계 방향을 따라 이루어진다. 이러한 접힘 구조는 다른 접힘 부분이 모두 시계 방향을 따라 이루어지는 것과 차이가 된다. 참고적으로, 중위층(155) 내에서도 제2 중위층(155b)에서 제3 중위층(155c)으로의 접힘은 시계 방향을 따른다.
중위층(155)에서의 접힘 방향 전환에 의해, 타측부(152b), 또는 그에서 연장한 결합부(161)는 그립 유닛(110)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2의 걸림 유닛(150)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걸림 유닛(150B)을 보인 정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걸림 유닛(150B)은 앞선 실시예의 걸림 유닛(150)과 같이 네 개 층의 강화층을 갖는 것이다. 다만, 근위 층(152), 구체적으로 일측부(152a)에서 바로 원위 층(153)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다. 일측부(152a)에 접힘되어 연결되는 층은 제1 중위층(155a)이 된다. 이후에 제2 중위층(155b)이 이어지고, 마지막으로 원위 층(153)이 이어진다. 원위 층(153)은 최종적으로 근위 층(152)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에서도, 제1 중위층(155a)에서 제2 중위층(155b)으로 접히는 방향은 다른 층들 간의 접힘 방향과 다르다. 구체적으로, 전자는 반시계 방향이라면, 후자는 시계 방향이다. 이러한 방향 전환에 의해, 타측부(152b), 또는 그에서 연장한 결합부(161)는 그립 유닛(110)에 결합 가능해진다.
도 6은 도 2의 걸림 유닛(150)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걸림 유닛(150C)을 보인 정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걸림 유닛(150C)은 앞선 걸림 유닛(150B)과 유사한 방식으로 만들어진 것이나, 여섯 개의 강화층을 가진 점에서 차이가 있다. 여섯 개의 강화층 중 네 개는, 중위층(155), 구체적으로 제1 중위층(155a) 내지 제4 중위층(155d)이 된다.
이런 구조에서도, 제1 중위층(155a)에서 제2 중위층(155b)으로의 접힘, 제2 중위층(155b)에서 제3 중위층(155c)으로의 접힘은 반시계 방향을 따라 이루어진다. 이러한 접힘 구조는 다른 접힘 부분이 모두 시계 방향을 따라 이루어지는 것과 차이가 된다. 참고적으로, 중위층(155) 내에서도 제3 중위층(155c)에서 제4 중위층(155d)으로의 접힘은 시계 방향을 따른다. 중위층(155)에서의 접힘 방향 전환에 의해, 타측부(152b), 또는 그에서 연장한 결합부(161)는 그립 유닛(110)에 결합 가능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유닛(200)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프레임 유닛(200)은 종이 손잡이(100)와 함께 사용되기 위하여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 유닛(200)은 포장박스 내, 구체적으로 포장박스의 상판의 저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기 위한 것이다. 프레임 유닛(200)은 종이 손잡이(100)가 걸리는 대상이 되어, 포장박스가 종이 손잡이(100)에 의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프레임 유닛(200)은, 몸체(210)와 힌지부(230)를 가질 수 있다.
몸체(210)는, 종이 손잡이(100)와 마찬가지로, 종이재로 형성된다. 몸체(210)는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몸체(210)의 양 가장자리 영역에는 삽입구(215)가 형성된다. 삽입구(215)는 종이 손잡이(100)의 걸림 유닛(150)이 삽입되어 걸리는 크기를 가진다.
힌지부(230)는 몸체(210)의 일 면에 형성될 수 있다. 힌지부(230)는 몸체(210)의 일부 영역, 구체적으로 중앙 영역이 프레스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힌지부(230)는 몸체(210)의 다른 부분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진다. 그 경우, 힌지부(230) 양측 경계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 돌출된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라인은 몸체(210)의 너비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종이 손잡이(100)가 당겨질 때, 몸체(210)의 가장자리 영역은 힌지부(230)을 중심으로 중앙 영역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종이 재질로 이루어진 몸체(210)가 휘어짐에 버티다가 파손되는 일이 예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이 손잡이 조립체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추가로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이 손잡이(100)의 걸림 유닛(150D)은 프레임 유닛(200)에 삽입되어 걸려져 있다.
걸림 유닛(150D)은 앞선 걸림 유닛(150)과 기본적 구조는 동일하나, 전체적으로 곡선형 단면을 갖는 점이 상이하다. 걸림 유닛(150D)은 상방을 향해 휘어진 형태를 가짐에 의해, 하방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보다 강인한 것이 된다.
이러한 걸림 유닛(150D)에 대응하여, 몸체(210)에는 걸림 유닛(150D)에 대응하는 수용 그루브(250)가 형성된다. 수용 그루브(250)는, 구체적으로 몸체(210)의 단부를 수용하는 것이다. 수용 그루브(250)는 삽입구(215)의 양 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수용 그루브(250)는 또한 몸체(210)의 저면{걸림 유닛(150D)을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다. 수용 그루브(250) 역시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수용 그루브(250)는 걸림 유닛(150D)의 단부를 수용하여, 휘어진 걸림 유닛(150D)의 중앙 영역{그립 유닛(110)이 연결된 부분}이 몸체(210)에 보다 근접할 수 있게 한다. 그에 따라, 걸림 유닛(150D)에 걸린 하중에 의해 그가 펴지면서 파손될 가능성이 낮아지게 된다.
100: 종이 손잡이 110: 그립 유닛
150,150A,150B,150C,150D: 걸림 유닛 151: 적층강화부
152: 근위 층 153: 원위층
155: 중위층 157: 접힘 연결부
161: 결합부 165: 접착층
150,150A,150B,150C,150D: 걸림 유닛 151: 적층강화부
152: 근위 층 153: 원위층
155: 중위층 157: 접힘 연결부
161: 결합부 165: 접착층
Claims (9)
- 종이로 만들어진 상품 운반용 종이 손잡이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그립 유닛; 및
상기 그립 유닛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적층된 강화층을 갖는 적층강화부와, 상기 적층강화부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그립 유닛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걸림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적층된 강화층은,
상기 그립 유닛과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근위 층;
상기 그립 유닛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하는 원위 층; 및
상기 근위 층과 상기 원위 층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중위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적층강화부는,
상기 복수의 적층된 강화층 중 어느 하나의 층이 상기 복수의 적층된 강화층 중 인접한 다른 하나의 층에 대해 접힘 연결되게 하는 접힘 연결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힘 연결부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접힘 방향을 따라 접힌 경우에, 상기 접힘 연결부들 중 나머지는 상기 제1 접힘 방향과 반대되는 제2 접힘 방향을 따라 접힌 것인, 상품 운반용 종이 손잡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중위 층 간의 접힘이 상기 제1 접힘 방향을 따라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복수의 적층된 강화층 중 나머지 층 간의 접힘은 상기 제2 접힘 방향을 따라 이루어진 것인, 상품 운반용 종이 손잡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위 층은,
상기 그립 유닛의 일 측방으로 연장하도록 배열되는 일측부; 및
상기 그립 유닛의 타 측방으로 연장하도록 배열되는 타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부는, 상기 그립 유닛에서 연장되는 부분이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타측부에서 연장되는 부분인, 상품 운반용 종이 손잡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유닛은,
상기 복수의 적층된 강화층에서 인접한 층을 접착시키며, 수용성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된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상품 운반용 종이 손잡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유닛 및 상기 걸림 유닛을 형성하는 종이 부재는,
복수의 원사가 나란히 배열된 후에 수용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밴드 형태를 형성하는 것인, 상품 운반용 종이 손잡이.
- 제1항에 따르는 상품 운반용 종이 손잡이; 및
상기 걸림 유닛이 삽입되어 걸리는 프레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유닛은,
종이로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상품 운반용 종이 손잡이 조립체.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유닛은,
곡선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유닛은,
상기 걸림 유닛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몸체에 오목 형성되는 수용 그루브를 더 포함하는, 상품 운반용 종이 손잡이 조립체.
- 종이로 만들어진 상품 운반용 종이 손잡이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그립 유닛; 및
일 단은 상기 그립 유닛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타 단은 상기 그립 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일 단과 상기 타 단 사이에는 상기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적층된 강화층을 구비하는 걸림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적층된 강화층은, 연속적으로 이어지며 하나의 층이 인접한 다른 층에 대해 접혀서 적층된 네 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고,
상기 인접한 다른 층에 대한 상기 하나의 층의 접힘 중 적어도 한 번은 접힘 방향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인, 상품 운반용 종이 손잡이.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유닛은,
상기 복수의 적층된 강화층에서 인접한 층을 접착시키며, 수용성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된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상품 운반용 종이 손잡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24926A KR102535624B1 (ko) | 2023-02-24 | 2023-02-24 | 상품 운반용 종이 손잡이 및 그를 구비하는 종이 손잡이 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24926A KR102535624B1 (ko) | 2023-02-24 | 2023-02-24 | 상품 운반용 종이 손잡이 및 그를 구비하는 종이 손잡이 조립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35624B1 true KR102535624B1 (ko) | 2023-05-30 |
Family
ID=86529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24926A KR102535624B1 (ko) | 2023-02-24 | 2023-02-24 | 상품 운반용 종이 손잡이 및 그를 구비하는 종이 손잡이 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35624B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36695A (ko) * | 2018-09-28 | 2020-04-07 | 주식회사 보성산업롤 | 포장 상자용 테이프형 손잡이 |
KR102124725B1 (ko) * | 2019-03-19 | 2020-06-19 | 주식회사 동방플러스페이퍼 | 박스용 종이 손잡이 및 그 제작 방법 |
KR20210031040A (ko) * | 2019-09-10 | 2021-03-19 | 주식회사 지피피 | 종이류 손잡이를 구비한 포장박스 |
KR102330192B1 (ko) * | 2021-06-14 | 2021-11-22 | 이창건 | 포장용 박스의 종이 손잡이 및 그 제조 방법 |
KR102432671B1 (ko) * | 2022-04-28 | 2022-08-12 | 김홍석 | 포장박스용 종이손잡이 및 그 제조방법 |
KR20220115651A (ko) * | 2021-02-08 | 2022-08-18 | 덕천판지 주식회사 | 포장박스용 접이형 종이 손잡이 |
KR20220148987A (ko) * | 2021-04-29 | 2022-11-08 | 덕천판지 주식회사 | 포장박스용 종이 손잡이 |
-
2023
- 2023-02-24 KR KR1020230024926A patent/KR10253562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36695A (ko) * | 2018-09-28 | 2020-04-07 | 주식회사 보성산업롤 | 포장 상자용 테이프형 손잡이 |
KR102124725B1 (ko) * | 2019-03-19 | 2020-06-19 | 주식회사 동방플러스페이퍼 | 박스용 종이 손잡이 및 그 제작 방법 |
KR20210031040A (ko) * | 2019-09-10 | 2021-03-19 | 주식회사 지피피 | 종이류 손잡이를 구비한 포장박스 |
KR20220115651A (ko) * | 2021-02-08 | 2022-08-18 | 덕천판지 주식회사 | 포장박스용 접이형 종이 손잡이 |
KR20220148987A (ko) * | 2021-04-29 | 2022-11-08 | 덕천판지 주식회사 | 포장박스용 종이 손잡이 |
KR102330192B1 (ko) * | 2021-06-14 | 2021-11-22 | 이창건 | 포장용 박스의 종이 손잡이 및 그 제조 방법 |
KR102432671B1 (ko) * | 2022-04-28 | 2022-08-12 | 김홍석 | 포장박스용 종이손잡이 및 그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3677601B (zh) | 盒用纸把手及其制作方法 | |
KR102535624B1 (ko) | 상품 운반용 종이 손잡이 및 그를 구비하는 종이 손잡이 조립체 | |
KR20190067744A (ko) | 포장상자의 바닥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상자 | |
KR102525938B1 (ko) | 포장박스용 접이형 종이 손잡이 | |
ITRM20060073A1 (it) | Contenitore a volume variabile | |
CN105189304A (zh) | 具有手提把手的包装件和用于形成把手的坯件 | |
TWM506802U (zh) | 防護角套 | |
KR200426318Y1 (ko) | 조립식 포장 상자 | |
WO2015079947A1 (ja) | トレイ | |
KR20090011014U (ko) | 포장박스 | |
KR102286540B1 (ko) | 이중 잠금 구조가 구비된 친환경 포장 박스 | |
KR200335554Y1 (ko) | 포장용 상자 | |
KR200494141Y1 (ko) | 가변형 호환 파렛트 | |
KR100937723B1 (ko) | 포장박스 | |
KR100741380B1 (ko) | 포장박스 잠금 방법 및 포장박스 | |
CN109335199B (zh) | 一种免粘胶环保多用鞋盒 | |
KR102472419B1 (ko) | 친환경 박스 구조체 | |
EP1304988B1 (en) | Funerary container made of paper material, and assembly device employed therein | |
KR102560834B1 (ko) | 인입 결합 방식을 가지는 결합구를 포함하는 수납용 박스 패키지 | |
KR102268729B1 (ko) | 환경 친화적 생분해성 조립식 일체형 종이보빈 | |
CN209604875U (zh) | 一种拼接卡板 | |
KR20170001021U (ko) | 원터치 조립 박스 | |
JP3130989U (ja) | 新聞古紙などの結束用紐 | |
KR100883856B1 (ko) | 박스 | |
KR200230808Y1 (ko) | 기판의 인너 포장박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