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834B1 - 인입 결합 방식을 가지는 결합구를 포함하는 수납용 박스 패키지 - Google Patents

인입 결합 방식을 가지는 결합구를 포함하는 수납용 박스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0834B1
KR102560834B1 KR1020210021889A KR20210021889A KR102560834B1 KR 102560834 B1 KR102560834 B1 KR 102560834B1 KR 1020210021889 A KR1020210021889 A KR 1020210021889A KR 20210021889 A KR20210021889 A KR 20210021889A KR 102560834 B1 KR102560834 B1 KR 102560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storage box
cover
box body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8130A (ko
Inventor
황기찬
Original Assignee
에코라이프패키징 주식회사
황기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라이프패키징 주식회사, 황기찬 filed Critical 에코라이프패키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1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834B1/ko
Publication of KR20220118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25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 folding of flaps and securing them by means of a tongue integral with one of the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adjacent sides interconnected by gusset folds
    • B65D5/24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adjacent sides interconnected by gusset folds and the gussets fold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of hook-and-loop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인입 결합 방식을 가지는 결합구를 포함하는 수납용 박스 패키지는, 내부에 상부가 개구된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기 설정된 위치에 제2결합구가 형성된 수납박스 본체 및 상기 수납박스 본체의 개구된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수납박스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수납박스 본체의 외측으로 겹쳐지는 영역에 상기 제2결합구에 대응되어 서로 결속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결합구가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구 및 상기 제2결합구는, 둘레 하단부가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고, 나머지 둘레가 절취된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제1결합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결합구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구와 상기 제2결합구는 접힘선을 기준으로 상기 수납박스 본체의 내측으로 함께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구가 상기 제2결합구의 둘레 외측 영역에 걸려 결합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인입 결합 방식을 가지는 결합구를 포함하는 수납용 박스 패키지{Storage Box Package Having Inlet Fastening Type Fastener}
본 발명은 수납용 박스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입 결합 방식을 가지는 결합구가 형성되어 커버를 수납박스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수납용 박스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목적의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다양한 형태의 박스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고경도를 가지는 금속, 플라스틱 형태의 박스 외에도 골판지, 도화지 등과 같은 지류(紙類)의 재질을 전개도 상태에서 입체적으로 접어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는 접이식 박스가 널리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접이식 박스는 재질이 저렴하며, 가벼운 무게를 가지고 있는 것은 물론 누구나 손쉽게 접어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활용도가 방대하다.
그리고 접이식 박스는 형태에 따라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는 용도의 박스 본체와, 박스 본체에 구비되는 수납공간을 덮어 폐쇄시키는 커버로 구성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커버가 의도치 않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수단이 요구된다.
종래에는 커버 측에 절취선에 의해 일부가 절취된 돌기를 형성하고, 박스 본체 측에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홀을 형성하는 방법 등과 같은 고정 방식이 사용되고 있었으나, 현재까지 제한되고 있는 고정 방식들은 결합력이 떨어지는 형태가 많아 커버가 쉽게 열려 수납된 내용물이 쏟아지는 사고가 생기는 경우가 많았으며, 특히 복수 회 사용 시에는 돌기와 삽입홀에 피로 파단이 발생하여 더 이상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08070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커버와 박스 본체 간의 결합 고정력을 향상시켜 의도치 않게 커버가 개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를 수행할 수 있는 수납용 박스 패키지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입 결합 방식을 가지는 결합구를 포함하는 수납용 박스 패키지는, 내부에 상부가 개구된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기 설정된 위치에 제2결합구가 형성된 수납박스 본체 및 상기 수납박스 본체의 개구된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수납박스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수납박스 본체의 외측으로 겹쳐지는 영역에 상기 제2결합구에 대응되어 서로 결속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결합구가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구 및 상기 제2결합구는, 둘레 하단부가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고, 나머지 둘레가 절취된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제1결합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결합구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구와 상기 제2결합구는 접힘선을 기준으로 상기 수납박스 본체의 내측으로 함께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구가 상기 제2결합구의 둘레 외측 영역에 걸려 결합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결합구는, 하단부가 상기 커버에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고, 양측이 상기 커버로부터 절취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1접힘부 및 상기 제1접힘부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접힘부와 연결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둘레부가 상기 커버로부터 절취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1결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결합구는,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납박스 본체에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고, 양측이 상기 수납박스 본체로부터 절취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2접힘부 및 상기 제2접힘부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2접힘부와 연결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둘레부가 상기 수납박스 본체로부터 절취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2결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속부의 폭은 상기 제1접힘부의 폭 및 상기 제2결속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며, 상기 제2접힘부의 폭은 상기 제2결속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구와 상기 제2결합구는 접힘선을 기준으로 상기 수납박스 본체의 내측으로 함께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결속부가 상기 제2결속부 양측 둘레의 외측 영역에 걸려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접힘부는, 하단부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연장된 소정 길이가 상기 수납박스 본체에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고, 하단부의 나머지 길이는 상기 수납박스 본체로부터 절취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접힘부의 높이는 상기 수납박스 본체 및 상기 커버를 이루는 재질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결속부의 높이는 상기 수납박스 본체 및 상기 커버를 이루는 재질의 두께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는, 천장을 형성하는 천장부, 상기 천장부의 양측에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어 측벽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1측면부 및 상기 천장부의 일측에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1측면부가 형성하는 측벽과 수직한 측벽을 형성하는 제1전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박스 본체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양측에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1측면부와 함께 측벽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2측면부, 상기 바닥부의 타측에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1전면부와 함께 측벽을 형성하는 제2전면부 및 상기 바닥부 및 상기 천장부 사이에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1전면부와 상기 제2전면부가 형성하는 측벽에 대향되는 측벽을 형성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구는 상기 제1전면부 및 상기 한 쌍의 제1측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구는 상기 제2전면부 및 상기 한 쌍의 제2측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입 결합 방식을 가지는 결합구를 포함하는 수납용 박스 패키지는, 커버와 수납박스 본체에 서로 결속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결합구 및 제2결합구가 형성되며, 특히 제1결합구 및 제2결합구는 둘레 하단부가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고, 나머지 둘레가 절취된 형태로 형성되되, 제1결합구는 적어도 일부가 제2결합구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1결합구와 제2결합구는 접힘선을 기준으로 수납박스 본체의 내측으로 함께 인입된 상태에서 제1결합구가 제2결합구의 둘레 외측 영역에 걸려 결합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되므로, 커버와 수납박스 본체 간의 결합 고정력을 향상시켜 의도치 않게 커버가 개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제1결합구와 제2결합구는 서로의 분리 및 결합 구조가 심플하게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결합 및 분리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박스 패키지의 전개도를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박스 패키지를 접어 완성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박스 패키지에 있어서, 제1결합구 및 제2결합구의 결합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박스 패키지에 있어서, 제1결합구 및 제2결합구의 모습을 자세히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박스 패키지의 전개도를 나타낸 도면;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박스 패키지를 접어 완성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박스 패키지의 전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박스 패키지의 전개도는 접어 완성시킨 상태의 모습을 기준으로 하여, 내부에 상부가 개구된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기 설정된 위치에 제2결합구(20)가 형성된 수납박스 본체(200)와, 이와 같은 수납박스 본체(200)의 개구된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수납박스 본체(200)에 연결되며, 수납박스 본체(200)의 외측으로 겹쳐지는 영역에 제2결합구(20)에 대응되어 서로 결속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결합구(10)가 형성된 커버(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결합구(10) 및 제2결합구(20)는, 둘레 하단부가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고, 나머지 둘레가 절취된 형태로 형성되며, 특히 제1결합구(10)는 적어도 일부가 제2결합구(20)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결합구(10)와 제2결합구(20)는 접힘선을 기준으로 수납박스 본체(200)의 내측으로 함께 인입된 상태에서 제1결합구(10)가 제2결합구(20)의 둘레 외측 영역에 걸려 결합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결합구(10) 및 제2결합구(20)의 세부적인 형상 및 특징에 대해서는 커버(100) 및 수납박스 본체(200)에 대한 설명 이후에 보다 자세히 서술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박스 패키지를 접어 완성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과 함께 도 1을 함께 참조하면, 커버(100)는 천장을 형성하는 천장부(110)와, 천장부(110)의 양측에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어 측벽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1측면부(140)와, 천장부(110)의 일측에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어 제1측면부(140)가 형성하는 측벽과 수직한 측벽을 형성하는 제1전면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이와 더불어 커버(100)는 제1전면부(120)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보강부(130)와, 한 쌍의 제1측면부(140)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1보조날개부(150)를 더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이때 제1보강부(130)의 일측 단부에는 천장부(110)의 둘레에서 제1전면부(120)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 제1삽입홀(111)에 삽입되는 제1삽입돌기(131)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수납박스 본체(200)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210)와, 바닥부(210)의 양측에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어 제1측면부(140)와 함께 측벽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2측면부(240)와, 바닥부(110)의 타측에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어 제1전면부(120)와 함께 측벽을 형성하는 제2전면부(220)와, 바닥부(210) 및 천장부(110) 사이에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어 제1전면부(120)와 제2전면부(220)가 형성하는 측벽에 대향되는 측벽을 형성하는 연결부(260)를 포함한다.
또한 이와 더불어 수납박스 본체(200)는 제2전면부(220)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보강부(230)와, 한 쌍의 제2측면부(24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2보조날개부(250)를 더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이때 제2보강부(230)의 타측 단부에는 바닥부(210)의 둘레에서 제2전면부(220)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 제2삽입홀(111)에 삽입되는 제1삽입돌기(13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수납용 박스 패키지의 형태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제시된 것이며, 커버(100) 및 수납박스 본체(200)는 본 실시예의 형태만이 아닌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수납용 박스 패키지의 제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모든 제1보조날개부(150) 및 제2보조날개부(250)를 각각 제1측면부(140) 및 제2측면부(240)로부터 접어 올린 상태에서, 제1측면부(140) 및 제2측면부(240)를 각각 천장부(110) 및 바닥부(210)로부터 직각으로 접어 올린다.
이후 제1전면부(120) 및 제2전면부(220)를 각각 천장부(110) 및 바닥부(210)로부터 직각으로 접어 올리고, 제1보강부(130) 및 제2보강부(230)를 각각 제1전면부(120) 및 제2전면부(220)로부터 제1보조날개부(150) 또는 제2보조날개부(250)를 감싸는 형태로 접어 제1삽입돌기(131)는 제1삽입홀(111)에, 제2삽입돌기(231)는 제2삽입홀(211)에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그리고 연결부(250)와 천장부(110), 연결부와 바닥부(210) 사이의 접힘선을 접어 커버(100)가 수납박스 본체(200)을 덮도록 한 뒤, 제1결합구(10) 및 제2결합구(20)를 서로 결합하여 수납용 박스 패키지의 완성된 형태를 갖출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결합구(10)는 제1전면부(120) 및 한 쌍의 제1측면부(140)에 형성되며, 제2결합구(20)는 제2전면부(220) 및 한 쌍의 제2측면부(240)에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제1결합구(10) 및 제2결합구(20)는 총 3개소가 형성되나, 이는 본 실시예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제1결합구(10) 및 제2결합구(2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박스 패키지에 있어서, 제1결합구(10) 및 제2결합구(20)의 결합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박스 패키지에 있어서, 제1결합구(10) 및 제2결합구(20)의 모습을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1결합구(10) 및 제2결합구(20)는 각각 제1전면부(120) 및 제2전면부(220)에 구비되는 것을 대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제1결합구(10) 및 제2결합구(20)의 형상 및 특징은 모든 제1결합구(10) 및 제2결합구(20)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결합구(10) 및 제2결합구(20)는, 둘레 하단부가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고, 나머지 둘레가 절취된 형태로 형성되며, 특히 제1결합구(10)는 적어도 일부가 제2결합구(20)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결합구(10)와 제2결합구(20)는 접힘선을 기준으로 수납박스 본체(200)의 내측으로 함께 인입된 상태에서 제1결합구(10)가 제2결합구(20)의 둘레 외측 영역에 걸려 결합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1결합구(10)는, 하단부가 커버(110)의 제1전면부(120)에 접힘선(13)에 의해 연결되고, 양측이 커버(100)의 제1전면부(120)로부터 절취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1접힘부(12)와, 제1접힘부(12)의 상단에 연결되며, 제1접힘부(120)와 연결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둘레부가 커버(100)의 제1전면부(120)로부터 절취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1결속부(11)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2결합구(20)는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납박스 본체(200)의 제2전면부(220)에 접힘선(23)에 의해 연결되고, 양측이 수납박스 본체(200)의 제2전면부(220)로부터 절취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2접힘부(22)와, 제2접힘부(22)의 상단에 연결되며, 제2접힘부(22)와 연결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둘레부가 수납박스 본체(200)의 제2전면부(220)로부터 절취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2결속부(21)를 포함한다.
이때 제1결속부(11)의 폭(d1)은 제1접힘부(12)의 폭(d2) 및 제2결속부(21)의 폭(d4)보다 넓게 형성되며, 제2접힘부(22)의 폭(d5)은 제2결속부(21)의 폭(d4)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결합구(10)와 제2결합구(20)는 각각의 접힘선(13, 23)을 기준으로 수납박스 본체(200)의 내측으로 함께 인입된 상태에서, 제1결속부(11)가 제2결속부(21) 양측 둘레의 외측 영역에 걸려 안정적인 결합력을 제공하게 된다.
결국, 상기 제2결속부(21)는 상기 제1결합구(10)가 상기 수납박스 본체(200)의 내측으로 인입된 경우, 상기 제1 결속부(11)가 상기 제2결속부(21)의 양측 둘레의 외측 영역에 걸려 상기 제2접힘부(2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접힘선(13)을 기준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방향 측에 위치하는 것이며, 상기 제2결합구(20)는 상기 제1결합구(10)가 상기 수납박스 본체(200)의 내측으로 인입된 경우, 상기 제1결속부(11)가 상기 제2결속부(21)의 양측 둘레의 외측 영역에 걸려 상기 제2접힘부(2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접힘선(23)을 기준으로 작용하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결합구(10)를 가압하는 것이다.
더불어 본 실시예의 경우 제1접힘부(12)의 높이(d3)는 수납박스 본체(200) 및 커버(100)를 이루는 재질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결속부(21)의 높이(d6)는 수납박스 본체(200) 및 커버(100)를 이루는 재질의 두께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접힘부(12)의 높이(d3)는 수납박스 본체(200) 및 커버(100)를 이루는 재질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되, 최소한의 높이를 가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수납박스 본체(200) 및 커버(100)를 이루는 재질이 골판지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며, 따라서 제1접힘부(12)의 높이(d3)는 골판지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2결속부(21)의 높이(d6)는 골판지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부적인 제1결합구(10) 및 제2결합구(20)의 형상에 의해, 제1결합구(10)와 제2결합구(20)는 각각의 접힘선(13, 23)을 기준으로 수납박스 본체(200)의 내측으로 함께 인입될 경우, 제1결속부(11)가 제2결속부(21) 양측 둘레의 외측 영역에 걸린 상태에서, 수납박스 본체(200) 및 커버(100)를 이루는 재질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복원력에 의해 수납박스 본체(200)의 내벽면을 가압하며 안정적인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의 경우 제2접힘부(22)는, 하단부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연장된 소정 길이가 수납박스 본체(200)에 접힘선(23)에 의해 연결되고, 하단부의 나머지 길이는 수납박스 본체(200)로부터 절취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2결합구(20)가 내측으로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고, 제1결합구(10)의 인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커버(100)와 수납박스 본체(200) 간의 결합 고정력을 향상시켜 의도치 않게 커버(100)가 개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1결합구(10)와 제2결합구(20)는 서로의 분리 및 결합 구조가 심플하게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결합 및 분리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제1결합구(10)와 제2결합구(20)가 동일하게 적용되는 다른 형태의 수납용 박스 패키지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박스 패키지의 전개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박스 패키지를 접어 완성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 역시 전술한 제1실시예와 대부분의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커버(300)는 천장을 형성하는 천장부(310)와, 천장부(310)의 양측에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어 측벽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1측면부(330)와, 천장부(310)의 일측에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어 제1측면부(130)가 형성하는 측벽과 수직한 측벽을 형성하는 제1전면부(320)를 포함한다.
또한 이와 더불어 커버(100)는 한 쌍의 제1측면부(330)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1보조날개부(340)를 더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다음으로, 수납박스 본체(400)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410)와, 바닥부(410)의 양측에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어 제1측면부(330)와 함께 측벽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2측면부(440)와, 바닥부(410)의 타측에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어 제1전면부(320)와 함께 측벽을 형성하는 제2전면부(420)와, 바닥부(410) 및 천장부(310) 사이에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어 제1전면부(320)와 제2전면부(420)가 형성하는 측벽에 대향되는 측벽을 형성하는 연결부(460)를 포함한다.
또한 이와 더불어 수납박스 본체(400)는 제2전면부(420)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2보강부(430)와, 한 쌍의 제2측면부(44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2보조날개부(450)를 더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이때 제2보강부(430)의 타측 단부 양측에는 바닥부(410)의 둘레에서 제2전면부(420)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 제2삽입홀(411)에 삽입되는 제1삽입돌기(431)가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대부분의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형성되나, 제1보강부가 생략되고, 제2보강부(430)는 하나로 통합된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2보조날개부(450)는, 제2측면부(440)로부터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는 삼각형 형태의 비접착부(451)와, 비접착부(451)에서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착부(452)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는 수납용 박스 패키지의 전개도를 접어 제작하는 과정에서, 제2측면부(440)를 바닥부(410) 측으로 완전히 접어 접착부(452)를 연결부(460) 또는 제2전면부(420)에 미리 접착시킨 상태에서, 제2측면부(440), 제2전면부 및 연결부(460)를 수직하게 세워 올리면서 수납박스 본체(400)의 형태를 갖추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제1보조날개부(340)는 제1전면부(320)에 접착되도록 형성되어 커버(300)의 형태를 갖추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제1결합구
11: 제1결속부
12: 제1접힘부
20: 제2결합구
21: 제2결속부
22: 제2접힘부
100, 300: 커버
110, 310: 천장부
120, 320: 제1전면부
130: 제1보강부
140, 330: 제1측면부
150, 340: 제1보조날개부
200, 400: 수납박스 본체
210, 410: 바닥부
220, 420: 제2전면부
230, 430: 제2보강부
240, 440: 제2측면부
250, 450: 제2보조날개부

Claims (8)

  1. 내부에 상부가 개구된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측벽의 기 설정된 위치에 제2결합구가 형성된 수납박스 본체; 및
    상기 수납박스 본체의 개구된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수납박스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수납박스 본체의 외측으로 겹쳐지는 영역에 상기 제2결합구에 대응되어 서로 결속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결합구가 형성된 커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구 및 상기 제2결합구는,
    둘레 하단부가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고, 나머지 둘레가 절취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결합구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구와 상기 제2결합구는,
    접힘선을 기준으로 상기 수납박스 본체의 내측으로 함께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구가 상기 제2결합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규정하는 영역에 걸려 결합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구는,
    하단부가 상기 커버에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고, 양측이 상기 커버로부터 절취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1접힘부, 및 상기 제1접힘부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접힘부와 연결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둘레부가 상기 커버로부터 절취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1결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결합구는,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납박스 본체에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고, 양측이 상기 수납박스 본체로부터 절취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2접힘부, 및 상기 제2접힘부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2접힘부와 연결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둘레부가 상기 수납박스 본체로부터 절취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2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속부의 폭은,
    상기 제1접힘부의 폭 및 상기 제2결속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며,
    상기 제2접힘부의 폭은,
    상기 제2결속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결속부는,
    상기 제1결합구가 상기 수납박스 본체의 내측으로 인입된 경우, 상기 커버에 형성된 접힘선을 기준으로 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결속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2접힘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 제2결합구는,
    상기 제1결합구가 상기 수납박스 본체의 내측으로 인입된 경우, 상기 수납박스 본체에 형성된 접힘선을 기준으로 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결속부가 상기 제2결속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결합구를 가압하여, 상기 제1 결속부가 상기 제2접힘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고,
    상기 제1결합구는,
    상기 커버가 상기 수납박스 본체의 개구된 상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에 형성되는 접힘선을 기준으로 절곡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결합구와 함께 자동으로 상기 수납박스 본체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 박스 패키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힘부는,
    하단부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연장된 소정 길이가 상기 수납박스 본체에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고, 하단부의 나머지 길이는 상기 수납박스 본체로부터 절취된 형태로 형성되는,
    수납용 박스 패키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힘부의 높이는 상기 수납박스 본체 및 상기 커버를 이루는 재질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수납용 박스 패키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속부의 높이는 상기 수납박스 본체 및 상기 커버를 이루는 재질의 두께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수납용 박스 패키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천장을 형성하는 천장부;
    상기 천장부의 양측에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어 측벽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1측면부; 및
    상기 천장부의 일측에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1측면부가 형성하는 측벽과 수직한 측벽을 형성하는 제1전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박스 본체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양측에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1측면부와 함께 측벽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2측면부;
    상기 바닥부의 타측에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1전면부와 함께 측벽을 형성하는 제2전면부; 및
    상기 바닥부 및 상기 천장부 사이에 접힘선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1전면부와 상기 제2전면부가 형성하는 측벽에 대향되는 측벽을 형성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수납용 박스 패키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구는 상기 제1전면부 및 상기 한 쌍의 제1측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구는 상기 제2전면부 및 상기 한 쌍의 제2측면부에 형성되는,
    수납용 박스 패키지.
KR1020210021889A 2021-02-18 2021-02-18 인입 결합 방식을 가지는 결합구를 포함하는 수납용 박스 패키지 KR102560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889A KR102560834B1 (ko) 2021-02-18 2021-02-18 인입 결합 방식을 가지는 결합구를 포함하는 수납용 박스 패키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889A KR102560834B1 (ko) 2021-02-18 2021-02-18 인입 결합 방식을 가지는 결합구를 포함하는 수납용 박스 패키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130A KR20220118130A (ko) 2022-08-25
KR102560834B1 true KR102560834B1 (ko) 2023-07-31

Family

ID=83111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889A KR102560834B1 (ko) 2021-02-18 2021-02-18 인입 결합 방식을 가지는 결합구를 포함하는 수납용 박스 패키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083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426Y1 (ko) * 1999-08-04 2000-02-15 배종수 냉동식품용 상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8070A (ko) 2014-03-17 2015-09-25 아이실리콘 (주) 접이식 수납박스
KR102358673B1 (ko) * 2019-07-09 2022-02-07 황기찬 날개부재가 형성된 포장용 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426Y1 (ko) * 1999-08-04 2000-02-15 배종수 냉동식품용 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130A (ko) 202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6518B2 (en) Carton with reinforced hand holes
US6296178B1 (en) Container with triangular corner posts
US20080265008A1 (en) Two Piece Carton
EP1852359A2 (en) Two piece carton
US9278774B2 (en) Clamshell carton with locking tab
US9682795B1 (en) Box container and display
US20130105563A1 (en) Foldable container
US2597846A (en) Container for shipment of eggs
US20070108263A1 (en) Crush-resistant box, box blank,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2560834B1 (ko) 인입 결합 방식을 가지는 결합구를 포함하는 수납용 박스 패키지
KR102049057B1 (ko) 손잡이 일체형 포장박스
JP2007204068A (ja) 物品配送用箱
KR100211329B1 (ko) 포장용 상자
JP5971967B2 (ja) 包装箱
KR102126862B1 (ko) 포장용기
KR102286540B1 (ko) 이중 잠금 구조가 구비된 친환경 포장 박스
KR100922711B1 (ko) 손잡이 일체형 포장상자
KR101579751B1 (ko) 절첩식 골판지 상자
KR200273128Y1 (ko) 원터치 4면 접착식 상자
EP4046932A1 (en) Package for storage of articles
US3017068A (en) Handle assembly
JP3040053U (ja) 把手付包装箱
JP2004359279A (ja) 包装用箱
US20040169068A1 (en) Container with triangular corner posts
KR101647417B1 (ko) 적재 가능한 포장용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