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5620B1 - 마스크용 공기오염도 측정 감지패드 - Google Patents

마스크용 공기오염도 측정 감지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5620B1
KR102535620B1 KR1020210016218A KR20210016218A KR102535620B1 KR 102535620 B1 KR102535620 B1 KR 102535620B1 KR 1020210016218 A KR1020210016218 A KR 1020210016218A KR 20210016218 A KR20210016218 A KR 20210016218A KR 102535620 B1 KR102535620 B1 KR 102535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mask
air pollution
detection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2542A (ko
Inventor
안경모
Original Assignee
안경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경모 filed Critical 안경모
Priority to KR1020210016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5620B1/ko
Publication of KR20220112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2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6Indicators or warning devices, e.g. of low pressure, conta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용 공기오염도 측정 감지패드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현의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마스크에 선택적으로 결착 사용할 수 있는 오염감지 패드유닛을 형성하고, 그 오염감지 패드유닛을 통해 마스크 착용자가 호흡하는 공기, 예컨대, 들이마시는 흡입공기와 내쉬는 배출공기의 오염도를 체크 감지토록하여 사용자가 머무는 지역 내지 장소의 청정성 여부를 실시간 인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오염된 주변환경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한 마스크용 공기오염도 측정 감지패드를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흡기유도공과 플렉시블 제어기판과 제1마그네틱부재로 형성된 노출패드부재;
배기유도공과, 제2마그네틱부재로 형성된 수용패드부재;
그리고, 상기 노출패드부재와 수용패드부재를 접철유도편에 의해 대칭하는 힌지 회동구조로 일체화 연결하여 오염감지 패드유닛을 형성하여 달성한다.

Description

마스크용 공기오염도 측정 감지패드{Air pollution measurement detection pad for mask}
본 발명은 공기오염도 측정 감지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로 호흡을 함에 있어, 들이마시는 흡입공기와 내쉬는 배출공기의 오염도를 실시간 체크 감지하고, 감지된 공기의 오염농도 및 오염성분을 측정 분석하며, 재차, 측정된 공기의 오염농도 및 오염성분에 관한 분석정보를 시각적 확인신호와 청각적 확인신호로 표출되게 하여, 사용자가 머무는 지역 내지 장소의 안전성 여부는 물론 마스크의 교체여부 또한 실시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마스크용 공기오염도 측정 감지패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급속한 산업의 발달과 폭발적인 인구의 증가로 인하여, 천혜의 자원인 물과 공기는 날로 심각한 상태로 훼손 오염되고 있는 상황이며, 이러한 자연자원의 훼손과 오염의 원인으로 인해, 우리 생활주변의 대기환경 또한 그 오염상태가 위험수위를 넘어, 이제는 우리의 신체건강에 이르기까지 위협을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우리나라의 경우에 있어서는, 전술한, 일반적인 대기오염의 영향뿐만 아니라, 중국, 몽골 등 아시아 대륙 중심부의 사막과 황토 지대에서 발생하여 날아오는 황사, 예컨대, 작은 모래나 황토 또는 미세먼지 등의 직접적인 영향으로 대기환경이 날로 심각하게 악화 되고 있는 현실임을 알 수 있다.
황사로 인한 대기오염과 그로 인한 인체피해가 심각한 이유인 즉, 황사에는 흙먼지를 비롯해 카드뮴,납,알루미늄,구리 등 각종 중금속 및 발암물질뿐 아니라 세균과 곰팡이 등이 함께 혼합되어 있고, 따라서 황사에 노출될 경우, 노약자와 어린이는 물론 건강한 사람의 경우에 있어서도, 호흡기나 피부 질환, 또는 눈병 등에 쉽게 걸릴 수밖에 없는 것이 그 대표적인 이유라 하겠다.
한편, 또 다르게, 최근에 있어, 더욱 심각한 것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과 같은 병원체에 의해 발병하는 질환, 예컨대, 코로나19 등과 같은 매우 심각한 감염병이 전세계적으로 확산되며 수 많은 사람들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고 있는 현실이다.
특히, 코로나19는 호흡기 감염질환의 일종으로, 이는,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된 확진자의 비말(침방울)이 호흡기나 눈, 코, 입 등을 통해 타인의 인체내로 침투하는 과정으로 전염되고, 이와 같이, 전염된 코로나19는 발열과 기침, 호흡곤란, 폐렴 등을 주 증상으로 발현시키며, 심한 경우, 감염자를 사망에 이르게 까지하는 무서운 전염병의 하나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대기오염 및 황사현상으로부터 안전하게 신체를 보호하고, 아울러, 각종 유해 바이러스 의한 호흡기 감염병의 확산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으로 마스크가 하나의 대안 책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마스크는 사용환경에 따른 용도별 구분으로, 통상 일반적인 보건용 마스크와, 특수목적의 마스크, 예컨대, 방진마스크, 방역마스크, 황사마스크 등으로 구분되어 제공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마스크는 황사 등의 미세먼지 및 각종 오염공기를 필터링하는 기능이 주요 역할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착용한 마스크가 실질적으로 원활한 필터링 작용을 행하고 있는지의 여부는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마스크는 황사마스크, 방역마스크, 방진마스크 등과 같이 종류별로 필터링 기능이 서로 다르고, 또한, 도로, 공원, 공공이용시설, 공사현장 등과 같이 마스크 착용자가 머무는 실내외 공간은 환경적 요인에 따라 공기오염도가 서로 다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종류에 상관없이 단지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다는 심리적 안도감에 마스크의 기능적 한계를 인지하지 못한채 온전하게 필터링 되지 못한 오염공기를 흡입하며 인체에 악영향을 줄수 있음이 그 이유라 하겠다.
또 다르게, 마스크의 착용이 일상화된 최근의 생활환경 변화로 인해 마스크를 주기적으로 교체 사용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육안으로 판단하기에 마스크가 깨끗하다는 이유로 사용횟수 내지 교환주기를 넘어 마스크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경우, 타액이나 인체분비물, 기타 피부각질 등에 노출된 마스크의 내부상태, 예컨대, 호흡기(코,입)와 접촉하는 마스크의 내부 오염정도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채 지속적적 사용관계를 갖게 됨에 따라 오히려 인체 건강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상존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2173772호(2020.10.28.등록)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7-0115750호(2017.10.18.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오염공기의 필터링 기능을 인지할 수 없는 종래 마스크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마스크에 선택적으로 결착 사용할 수 있는 오염감지 패드유닛을 형성하고, 그 오염감지 패드유닛을 통해 마스크 착용자가 호흡하는 공기, 예컨대, 들이마시는 흡입공기와 내쉬는 배출공기의 오염도를 체크 감지토록하여 사용자가 머무는 지역 내지 장소의 청정성 여부를 실시간 인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오염된 주변환경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한 마스크용 공기오염도 측정 감지패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염감지 패드유닛을 통해 감지된 호흡공기의 오염농도와 오염성분을 실시간 측정 및 추출분석하고, 그와 같이, 측정 및 추출된 호흡공기의 오염농도와 오염성분에 관한 분석정보를 숫자와 문자 그리고 발광표시에 의한 시각적 확인신호 및 음향출력에 의한 청각적 확인신호로 표출되게 하여, 사용자가 머무는 지역 내지 장소의 청정성 여부는 물론, 마스크의 교체여부 또한 실시간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효율성과 안전성을 극히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마스크용 공기오염도 측정 감지패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염감지 패드유닛을 사용자 스마트단말과 무선연결하여 측정된 호흡공기의 오염농도와 오염성분에 관한 분석정보를 사용자 스마트단말을 통해 기록 및 저장관리 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가 빈번하게 방문하는 지역 내지 장소에 대한 청정도를 체계적으로 모니터링하게 함으로써, 그들 지역 내지 장소를 재방문하는 경우에 있어, 오염된 해당환경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 마스크용 공기오염도 측정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공기오염도 측정 감지장치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중앙부에 제1살균통기망과 흡기감지모듈이 장착된 흡기유도공을 노출 형성하고, 내측 일면에 감지정보 분석모듈과 엘이디램프와, 축전지와, 음향출력칩이 탑재된 플렉시블 제어기판을 몰딩 수용구조로 결합 형성하며, 외측 하부면에 제1마그네틱부재를 일체화 적층 구조로 더 형성한 노출패드부재;
중앙부에 제2살균통기망과 배기감지모듈이 장착된 통공구조의 배기유도공을 노출 형성하고, 외측 하부면에 제2마그네틱부재를 일체화 적층구조로 더 형성한 수용패드부재;
그리고, 상기 노출패드부재와 수용패드부재를 접철유도편에 의해 대칭하는 힌지 회동구조로 일체화 연결하여 오염감지 패드유닛을 형성하여 달성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공기오염도 측정 감지패드는, 다양한 종류의 마스크에 선택적으로 결착 사용이 가능한 오염감지 패드유닛을 형성하고, 그 오염감지 패드유닛을 통해 마스크 착용자가 호흡하는 공기의 오염도를 체크 감지하여 사용자가 머무는 지역 내지 장소의 청정성 여부를 실시간 인지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오염된 주변환경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공기오염도 측정 감지패드는, 오염감지 패드유닛을 통해 감지된 호흡공기의 오염농도와 오염성분을 실시간 측정 및 추출분석하고, 측정 및 추출된 호흡공기의 오염농도와 오염성분에 관한 분석정보를 시각적 확인신호 및 청각적 확인신호로 표출하여, 사용자가 머무는 지역 내지 장소의 청정성 여부는 물론 마스크의 교체여부 또한 실시간 확인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는, 사용효율성과 안전성을 증대되게 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 다르게,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공기오염도 측정 감지패드는, 오염감지 패드유닛을 사용자 스마트단말과 근거리 무선통신망으로 연결하여 측정된 호흡공기의 오염농도와 오염성분에 관한 분석정보를 사용자 스마트단말을 통해 기록 및 저장관리 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오염된 환경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공기오염도 측정 감지패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공기오염도 측정 감지패드의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공기오염도 측정 감지패드의 주요부 회로연결상태를 나타낸 블럭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공기오염도 측정 감지패드의 사용상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공기오염도 측정 감지패드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공기오염도 측정 감지패드의 이실시예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공기오염도 측정 감지패드의 바람직한 실시예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을 참고로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공기오염도 측정 감지패드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노출패드부재(1)와, 수용패드부재(2)와 접철유도편(3)으로 이루어진 마스크용 공기오염도 측정 감지패드(100)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 먼저, 첫번째 구성요소인 상기 노출패드부재(1)는, 마스크를 착용한 사용자가 호흡을 함에 있어, 들이쉬는 외부공기(흡기)의 오염농도와 오염성분을 감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수단인바, 이와 같은 노출패드부재(1)는 인체에 무해한 연질의 친환경 수지, 예컨대, 실리콘 수지재를 이용하여 몰딩성형되며, 그 중앙부에 도 1 또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구조를 취하는 흡기유도공(11)을 노출형성하고, 상기 흡기유도공(11)과 근접하는 내측 일면에 플렉시블 제어기판(12)을 몰딩 수용구조로 결합형성하며, 상기 흡기유도공(11)과 플렉시블 제어기판(12)을 형성한 노출패드부재(1)의 외측 하부면에 제1마그네틱부재(13), 즉, 연질의 합성수지소재로 이루어진 고무자석을 일체화 적층구조로 더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노출패드부재(1)로 형성되는 흡기유도공(11)은, 그 통공된 부위에 도 1 또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은 항미생 소재, 예컨대, 동(Cu) 또는 은(Ag) 소재가 코팅처리된 제1살균통기망(111)을 설치하고, 상기 제1살균통기망(111) 전방 중앙부에 오염농도 감지센서(S1)와 오염물질 감지센서(S2)가 탑재된 흡기감지모듈(112)을 결합 형성한다.
또한, 전술한 노출패드부재(1)로 형성되는 플렉시블 제어기판(12)은, 유동성을 갖는 주지의 필름형 인쇄회로기판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플렉시블 제어기판(12)을 본 발명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전술한 흡기감지모듈(112)을 통해 감지된 외부 흡입공기의 오염농도와 오염성분, 그리고, 후술하는 배기감지모듈(212)을 통해 감지된 배출가스농도에 대한 감지정보 신호를 수치데이터와 문자데이터로 산출 변환하는 감지정보 분석모듈(121)과;
상기 감지정보 분석모듈(121)을 통해 변환된 수치데이터와 문자데이터를 엘이디 램프에 의한 발광 및 점멸작용에 의해 디스플레이 정보로 출력하는 엘이디 모듈(122)과;
전술한 흡기감지모듈(112)과, 후술하는 배기감지모듈(212)을 통해 감지된 공기오염농도와, 배출가스농도 중 어느 하나의 농도가 설정된 수치를 초과할 경우 경고음을 발생하는 음향출력칩(124)과;
전술한 흡기감지모듈(112)과 후술하는 배기감지모듈(212), 그리고, 플렉시블 제어기판(12)의 작동에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축전지(123)를 도 1 또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탑재 형성한다.
이때, 플렉시블 제어기판(12)에 있어, 상기 음향출력칩(123)이 경고음을 출력하는 조건, 예컨대, 공기오염농도와 배출가스농도에 대한 설정수치는 대한민국 환경정책기본법에서 정한기준, 즉, 아황산가스 평균치 0.02ppm 이하, 일산화탄소 평균치 9ppm 이하, 이산화질소 평균치 0.03ppm 이하, 미세먼지 평균치 50㎍/m3 등과 같은 내용을 기초로, 그 수치정보를 플렉시블 제어기판(12) 제조시 미리 프로그램으로 설계하여 셋팅 입력할 수 있다.
또 다르게, 플렉시블 제어기판(12)에 있어, 상기 축전지(123)는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수단으로, 이는, 제조시 선택인 구성, 예컨대,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패드부재(1)에 상부 일면에 개폐가능한 커버(C)를 형성하여 축전지(123)를 교체 형태로 사용할 수 있고, 그와 달리 무선충전이 가능한 축전지(121)를 노출패드부재(1)에 몰딩구조로 밀폐수용시켜 교체작업 없이 반복적으로 충전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두 번째 구성요소인 상기 수용패드부재(1)는, 마스크를 착용한 사용자가 호흡을 함에 있어, 내쉬는 공기(배기), 예컨대, 마스크 내부 공기에 포함된 유해가스의 농도를 감지하기 위해 마련된 수단인바, 이와 같은 수용패드부재(1)는 인체에 무해한 연질의 친환경 수지, 예컨대, 실리콘 수지재를 이용하여 몰딩성형되며, 그 중앙부에 도 1 또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구조를 취하는 배기유도공(21)을 노출형성하고, 상기 배기유도공(21)을 형성한 수용패드부재(22)의 외측 하부면에 제2마그네틱부재(22), 즉, 연질의 합성수지소재로 이루어진 고무자석을 일체화 적층구조로 더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수용패드부재(2)로 형성되는 배기유도공(21)은, 그 통공된 부위에 도 1 또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은 항미생 소재, 예컨대, 동(Cu) 또는 은(Ag) 소재가 코팅처리된 제2살균통기망(211)을 설치하고, 상기 제1살균통기망(211) 전방 중앙부에 배출가스 농도감지센서(S3)가 탑재된 배기감지모듈(212)을 결합 형성한다.0
끝으로, 본 발명에 있어, 두 번째 구성요소인 상기 접철유도편(3)은, 전술한 노출패드부재(1)와 수용패드부재(2)를 도 1 또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대칭하는 힌지 회동구조로 일체화 연결하는 수단인바, 이와 같은, 접철유도편(3)은, 노출패드부재(1) 및 수용패드부재(2)와 동일한 소재, 예컨대, 인체에 무해한 연질의 실리콘 수지재를 이용하여 상기 노출패드부재(1) 및 수용패드부재(2)와 일체화된 구성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공기오염도 측정 감지패드는, 도 4 또는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철유도편(3)을 중심으로 노출패드부재(1)와 수용패드부재(2)를 대칭구조로 접철시키고, 접철된 노출패드부재(1)와 수용패드부재(2)를 제1마그네틱부재(13)와 제2마그네틱부재(32)에 의한 맞대기식 자력 고정구조에 의해 다양한 마스크(200), 예컨대, 보건용 마스크, 방진마스크, 방역마스크, 황사마스크 등에 선택적으로 탈부착 사용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마스크(200)에 오염감지 패드유닛(100)이 부착될 경우, 노출패드부재(1)는 마스크(200)의 전방 외측면으로 노출되고, 수용패드부재(2)는 마스크(200)의 내측면에 수용된 구조를 취하게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마스크에 오염감지 패드유닛(100)가 부착된 상태하에, 사용자가 호흡을 할 경우, 들이마시는 흡입공기는 노출패드부재(1)로 형성된 흡기유도공(11)을 통과하게 되고, 그 통과과정에 있어, 흡기감지모듈(112)로 탑재된 오염농도 감지센서(S1)와 오염물질 감지센서(S2)는 흡입공기의 오염농도와 오염성분을 감지하여 그 감지된 신호를 플렉시블 제어기판(12)으로 탑재된 감지정보 분석모듈(12)로 전송한다.
또 다르게, 상기 마스크에 오염감지 패드유닛(100)가 부착된 상태하에 사용자가 호흡을 할 경우, 내쉬는 배출공기는 수용패드부재(2)로 형성된 배기유도공(21)을 통과하게 되고, 그 통과과정에 있어 배기감지모듈(212)로 탑재된 배출가스농도 감지센서(S3)는 배출공기 포함된 유해가스, 예컨대, 일산화탄소, 타액 및 신체분비물의 부패로인한 악취가스 등의 오염가스 농도를 감지하고, 그 감지된 신호를 플렉시블 제어기판(12)으로 탑재된 감지정보 분석모듈(12)로 전송한다.
이에, 상기 감지정보 분석모듈(12)은 흡기감지모듈(112)과 배기감지모듈(212)로부터 전송받은 공기오염농도와 공기오염성분, 그리고, 배출가스농도에 대한 감지정보 신호를 수치데이터와 문자데이터로 산출 변환하고, 변환된 정보를 엘이디모듈(121)을 통해 숫자와 문자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정보로 출력하며 그 사용관계를 갖게 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사용관계에 있어, 제1살균통기망(111)과 제2살균통기망(211)은, 동(Cu) 또는 은(Ag) 중 어느 하나의 항미생 소재가 코팅처리되고, 그와 같이 코팅처리된 동(Cu) 또는 은(Ag) 소재는 박테리아, 곰팡이 등의 유해균 박멸은 물론 악취를 없애는 소취 기능이 우수한 주지의 물질특성을 갖는 것인바, 따라서, 이러한, 제1살균통기망(111)과 제2살균통기망(211)은 사용자가 호흡을 함에 있어, 흡입공기와 배기공기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보조적 형태로 살균 및 멸균처리하는 기능을 행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공기오염도 측정 감지패드의 이실시예도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이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전술한 일실시예 구성에 있어, 노출패드부재(1)로 수용설치되는 플렉시블 제어기판(12)에 근거리 무선통신연결수단인 블루투스칩(125)을 더 탑재 형성하여 그 탑재된 블루투스 칩(125)에 의해 오염감지 패드유닛(100)과 사용자 스마트단말(300)을 도 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 무선통신망으로 연결하고;
상기 블루투스 칩(125)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망 연결에 의해 오염감지 패드유닛(100)을 통해 측정된 공기오염농도와 공기오염성분, 그리고, 배출가스농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스마트단말(300)에 기록 저장하여 실시간 확인확인 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오염감지 패드유닛(100)을 통해 측정된 공기오염농도와 공기오염성분, 그리고, 배출가스농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스마트단말(300)에 기록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에 대해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예컨대, 공기오염도 측정 감지패드용 어플리케이션을 별도 구축하여 사용자 스마트단말(300)에 설치 사용할 수 있다.
100 : 오염감지 패드유닛 200 : 마스크
300 : 사용자 스마트단말 1 : 노출패드부재
2 : 수용패드부재 3 : 접철유도편
11 : 흡기유도공 12: 플렉시블 제어기판
13 : 제1마그네틱부재 21 : 배기유도공
22 : 제2마그네틱부재 111: 제1통기망
112 : 흡기감지모듈 121 : 감지정보 분석모듈
122 : 엘이디 램프 123 : 축전지
124 : 음향출력칩 125 : 블루투스 칩
211 : 제2통기망 212 : 배기감지모듈
S1 : 오염농도 감지센서 S2 : 오염물질 감지센서
S3 : 배출가스농도 감지센서

Claims (4)

  1. 중앙부에 제1살균통기망(111)과 흡기감지모듈(112)이 장착된 통공구조의 흡기유도공(11)을 노출 형성하고, 내측 일면에 감지정보 분석모듈(121)과 엘이디모듈(122)과, 축전지(123)와, 음향출력칩(124)이 탑재된 플렉시블 제어기판(12)을 몰딩 수용구조로 결합 형성하며, 외측 하부면에 제1마그네틱부재(13)를 일체화 적층 구조로 더 형성한 노출패드부재(1);
    중앙부에 제2살균통기망(211)과 배기감지모듈(212)이 장착된 통공구조의 배기유도공(21)을 노출 형성하고, 외측 하부면에 제2마그네틱부재(22)를 일체화 적층구조로 더 형성한 수용패드부재(2);
    그리고, 상기 노출패드부재(1)와 수용패드부재(2)를 접철유도편(3)에 의해 대칭하는 힌지 회동구조로 일체화 연결하여 오염감지 패드유닛(100)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공기오염도 측정 감지패드.
  2. 제 1항에 있어서;
    흡기유도공(11)으로 장착된 흡기감지모듈(112)은, 오염농도 감지센서(S1)와 오염물질 감지센서(S2)를 탑재 형성하고;
    배기유도공(21) 배기감지모듈(212)은 배출가스농도 감지센서(S3)를 탑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공기오염도 측정 감지패드.
  3. 제 1항에 있어서;
    플렉시블 제어기판(12)으로 탑재된 감지정보 분석모듈(121)은, 흡기감지모듈(112)과 배기감지모듈(212)을 통해 감지된 공기오염농도, 공기오염성분, 배출가스농도에 대한 감지정보 신호를 수치데이터와 문자데이터로 산출 변환하고;
    상기 감지정보 분석모듈(121)을 통해 변환된 수치데이터와 문자데이터를 엘이디 모듈(122)에 의한 발광 및 점멸작용에 의해 디스플레이 정보로 출력하며;
    플렉시블 제어기판(12)으로 탑재된 음향출력칩(124)은, 흡기감지모듈(112)과 배기감지모듈(212)을 통해 감지된 공기오염농도와, 배출가스농도 중 어느 하나의 농도가 환경기준에 맞추어 설정된 수치를 초과할 경우 경고음을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공기오염도 측정 감지패드.
  4. 제 1항에 있어서;
    플렉시블 제어기판(12)은, 오염감지 패드유닛(100)과 사용자 스마트단말(200)을 근거리 무선통신망으로 연결하는 블루투스 칩(125)을 탑재 형성하고;
    상기 블루투스 칩(125)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망 연결에 의해 오염감지 패드유닛(100)을 통해 측정된 공기오염농도와 공기오염성분과 배출가스농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스마트단말(300)에 기록 저장하고, 확인 관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공기오염도 측정 감지패드.
KR1020210016218A 2021-02-04 2021-02-04 마스크용 공기오염도 측정 감지패드 KR102535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218A KR102535620B1 (ko) 2021-02-04 2021-02-04 마스크용 공기오염도 측정 감지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218A KR102535620B1 (ko) 2021-02-04 2021-02-04 마스크용 공기오염도 측정 감지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542A KR20220112542A (ko) 2022-08-11
KR102535620B1 true KR102535620B1 (ko) 2023-05-22

Family

ID=82803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218A KR102535620B1 (ko) 2021-02-04 2021-02-04 마스크용 공기오염도 측정 감지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562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99829A (ja) 2015-04-13 2016-12-0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衛生マスク
KR101783804B1 (ko) 2017-01-19 2017-10-10 주식회사 스포컴 공기정화필터장치가 부착된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5652B1 (ko) 2016-04-08 2022-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오염도 측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26731B1 (ko) * 2017-03-21 2018-12-07 주식회사 카본디자인 마스크의 재사용 유무 검출장치
KR20190021971A (ko) * 2017-08-24 2019-03-06 박길용 스마트 마스크
KR102319707B1 (ko) * 2018-01-17 2021-11-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반응하는 광방출부를 구비한 마스크
KR102177108B1 (ko) * 2018-09-19 2020-11-11 주식회사 파이산업 스마트 마스크
KR102103221B1 (ko) * 2018-10-01 2020-04-23 김필립 마스크의 오염정보 알림 시스템
KR102393006B1 (ko) * 2020-04-02 2022-05-02 고재정 클립형 날숨 배출기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
KR102173772B1 (ko) 2020-04-06 2020-11-04 정홍규 항균성 황사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99829A (ja) 2015-04-13 2016-12-0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衛生マスク
KR101783804B1 (ko) 2017-01-19 2017-10-10 주식회사 스포컴 공기정화필터장치가 부착된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542A (ko) 2022-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09709A1 (en) Face mask for filtering air and air monitoring system
Geiss Effect of wearing face masks on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breathing zone
US20170323550A1 (en) Air quality detection module
KR102094097B1 (ko) 오존 및 미세먼지가 제거되는 에어 클린 마스크
WO2000045703A1 (en) Device and method to measure inhalation and exhalation air flows
CN107249694B (zh) 呼吸面罩管理系统
CN105457177A (zh) 一种内置检测装置的智能口罩
DE60131996D1 (de) Atemschutzgerät mit integriertem filter, ausatemventil und umlenkelement
ATE353196T1 (de) Atmungsüberwachungsgerät
US20210228920A1 (en) Filtering Mask Assembly
GB2575985A (en) A filtering mask assembly
WO2019172853A1 (en) Integrated fit testing ventilator for facemasks
KR102535620B1 (ko) 마스크용 공기오염도 측정 감지패드
CN113519926A (zh) 一种智能穿戴设备、健康监测方法及系统
JP4295143B2 (ja) 携帯型空気浄化装置
KR20190066432A (ko)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
KR101990427B1 (ko) 3d프린터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황사 마스크를 구비한 휴대용 먼지감지기를 이용한 미세먼지 경보 장치
CN111480908B (zh) 一种智能口罩
DE60327423D1 (de) Vorrichtung zum nachweis und zur bestätigung von atmung
CA2247774A1 (en) Aerobiological sampler for airborne particles
WO2021216116A1 (en) Electronic breathing mask with uvc air purification system and peripherals
WO2021220314A1 (en) System for protecting against, and detecting, elements/agents harmful/hazardous to the human body present in the air
JP2013061159A (ja) 生体情報測定装置
CN216363740U (zh) 一种可显示使用时长的口罩
KR102344042B1 (ko) 마스크 및 신체부착형 실시간 발열측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