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5499B1 -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 - Google Patents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5499B1
KR102535499B1 KR1020220056516A KR20220056516A KR102535499B1 KR 102535499 B1 KR102535499 B1 KR 102535499B1 KR 1020220056516 A KR1020220056516 A KR 1020220056516A KR 20220056516 A KR20220056516 A KR 20220056516A KR 102535499 B1 KR102535499 B1 KR 102535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irculation
air
circulation groove
lower body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6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수
박주석
Original Assignee
박주석
주식회사 베스트앤베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석, 주식회사 베스트앤베드 filed Critical 박주석
Priority to KR1020220056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54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2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21/04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 active means, e.g. by using air blowers or liquid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5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 하부 몸체 및, 접착층에 의해 상기 하부 몸체의 상면에 부착되는 상부 몸체를 포함하는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로서, 하부 몸체의 상면을 따라 길이를 가지면서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공기 순환홈과, 제1공기 순환홈과 대응되도록 상부 몸체의 하면을 따라 길이를 가지면서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외부에서 공급된 공기가 순환되도록 제1공기 순환홈과의 사이에 유로를 형성시키는 제2공기 순환홈 및, 제2공기 순환홈의 상부로 관통되고, 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를 상부 몸체의 상부로 배출시키는 다수의 공기 배출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air circulation type functional mattress}
본 발명은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를 순환시켜 사용자의 인체를 향해 균일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매트리스는 사용자가 앉거나 누울 수 있도록 일정 면적으로 형성되고, 전력 인가시 열선의 발열에 의해 일정 면적을 따듯하게 유지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종래의 전기 매트리스는 단선이 발생하거나 제어기의 오작동이 발생하는 경우 열선의 과부화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염려가 있었고, 열선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로 인해 인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감소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열선을 대신 보일러를 이용해 온수를 순환시킬 수 있는 온수 순환식 매트리스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온수 순환식 매트리스는 일정 면적으로 형성되는 상판 및 하판과, 상판 및 하단의 사이에 설치되어 온수를 순환시키는 튜브와, 내부에 저장된 물을 설정 온도로 가열시키면서 튜브를 따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와, 튜브의 내부로 순환되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온도센서로부터 온도 감지신호가 전달되고 순환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등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온수 순환식 매트리스는 물을 설정 온도까지 가열한 후 순환시키는 방식을 사용하므로 온수를 가열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튜브와 연결되는 순환펌프의 부피가 크기 때문에 설치공간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순환펌프에 저장된 물이 부족한 경우 물을 수시로 보충해줘야 하므로 유지관리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여름철과 같이 외기의 온도가 높은 조건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구조가 아니므로 사용 시기가 겨울철에만 국한되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103282호(2004년 12월 08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온수 매트리스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를 순환시켜 사용자의 인체를 향해 균일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는 하부 몸체 및, 접착층에 의해 상기 하부 몸체의 상면에 부착되는 상부 몸체를 포함하는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로서, 상기 하부 몸체의 상면을 따라 길이를 가지면서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공기 순환홈과, 상기 제1공기 순환홈과 대응되도록 상기 상부 몸체의 하면을 따라 길이를 가지면서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외부에서 공급된 공기가 순환되도록 상기 제1공기 순환홈과의 사이에 유로를 형성시키는 제2공기 순환홈 및, 상기 제2공기 순환홈의 상부로 관통되고, 상기 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를 상기 상부 몸체의 상부로 배출시키는 다수의 공기 배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 배출홀은 상기 제2공기 순환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공기 순환홈의 하면으로부터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공기 순환홈의 폭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는 제1곡면부 및, 상기 제2공기 순환홈의 하면으로부터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공기 순환홈의 폭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는 제2곡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는 형틀의 성형공간 내에서 발포 성형 가능한 탄성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몸체에 설정된 저탄성영역에 상하로 관통되고,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저탄성영역의 수직방향 탄성력을 국부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몸체의 상면과 상기 제1공기 순환홈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성형시 외부에서 가해지는 열에 의해 용융 후 냉각에 의해 설정경도로 경화되는 제1경화층 및, 상기 상부 몸체의 하면과 상기 제2공기 순환홈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성형시 외부에서 가해지는 열에 의해 용융 후 냉각에 의해 설정경도로 경화되는 제2경화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유로의 입구측과 출구측이 각각 연결되고, 송풍 구동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유로의 입구측으로 강제 이동시키는 송풍유닛 및, 전원 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송풍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기를 순환시켜 사용자의 인체를 향해 균일하게 배출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인체와 몸체의 사이에 땀이나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쾌적한 사용이 가능하고, 탄성 지지력이 저감된 일부영역이 사용자의 인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되므로 사용자의 척추 건강을 해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성형 과정에서 유로의 내주면이 일정경도로 보강되므로 하부 몸체 및 상부 몸체의 탄성 변형에 의해 유로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1, 2경화층에 의해 유로의 표면 마찰력이 감소되므로 공기를 원활히 순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의 송풍유닛의 장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의 몸체를 일부분 절개하여 유로와 공기 배출홀을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의 하부 몸체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의 상부 몸체를 보여주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의 하부 몸체와 상부 몸체 및 송풍유닛를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의 유로와 공기 배출홀을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A-A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의 송풍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의 송풍유닛이 온풍모드로 구동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의 송풍유닛이 온풍모드로 구동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의 송풍유닛이 냉풍모드로 구동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의 송풍유닛이 냉풍모드로 구동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의 송풍유닛과 제어유닛 및 전원 공급부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의 송풍유닛의 장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의 몸체를 일부분 절개하여 유로와 공기 배출홀을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의 하부 몸체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의 상부 몸체를 보여주기 위한 저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의 하부 몸체와 상부 몸체 및 송풍유닛를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의 유로와 공기 배출홀을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A-A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의 송풍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의 송풍유닛이 온풍모드로 구동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의 송풍유닛이 온풍모드로 구동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의 송풍유닛이 냉풍모드로 구동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의 송풍유닛이 냉풍모드로 구동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의 송풍유닛과 제어유닛 및 전원 공급부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는 하부 몸체(100)와, 접착층(200)에 의해 하부 몸체(100)의 상면에 부착되는 상부 몸체(300)와, 송풍유닛(400) 및, 제어유닛(500)을 포함하는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로서, 제1공기 순환홈(110)과, 제2공기 순환홈(120)과, 다수의 공기 배출홀(130)을 포함한다.
하부 몸체(100)는 설치면에 안착되는 부분으로 상면과 하면이 수평하게 형성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4개의 변이 형성된 사각 패널 형상(정사각형, 직사각형 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하부 몸체(100)의 전후 방향에 2개의 변이 나란하게 형성되고, 하부 몸체(100)의 좌우 방향에 2개의 변이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몸체(100)는 형틀(미도시)의 성형공간 내에서 발포 성형(foaming)이 가능하고, 상면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형태 변형 후 하중이 제거되었을 때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이 가능하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폴리우레탄: polyurethane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제1공기 순환홈(110)은 하부 몸체(100)의 상면을 따라 길이를 가지면서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하부 몸체(100)와 후술될 상부 몸체(300)를 상하 방향으로 부착시키는 경우 제1공기 순환홈(110)과 후술될 제2공기 순환홈(110)의 사이 간격에 공기(A)를 순환시키기 위한 유로(H)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공기 순환홈(110)과 후술될 제2공기 순환홈(310)이 형성하는 유로(H)는 수평하게 길이를 가지면서 일정한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고, 제1공기 순환홈(110)의 방향이 전환되는 부위는 공기(A)가 원활히 이동될 수 있도록 곡선 형태로 벤딩될 수 있다. 이때 유로(H)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개방되는 입구측이 후술될 송풍유닛(400)의 배출측(공기 배출 방향)과 연통될 수 있고, 유로(H)의 입구측과 반대되는 출구측이 송풍유닛(400)의 입구측(공기 유입 방향)과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제1공기 순환홈(110)의 하면으로부터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1공기 순환홈(110)의 폭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는 제1곡면부(11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1곡면부(111)는 제1공기 순환홈(110)의 폭방향으로 반원 형상의 아치(arch)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공기 순환홈(110)의 하면이 아치(arch) 형상을 가지므로, 하부 몸체(100)의 상면으로 하중이 전달되는 경우 제1곡면부(111)가 곡률 방향으로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고, 제1곡면부(111)가 하부로 볼록한 곡률을 형성하므로 제1공기 순환홈(110)이 하부로 압축 변형되는 경우에도 유로(H)가 전체적으로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도 7과 8에서처럼 하부 몸체(100)의 상면과 제1공기 순환홈(11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발포 성형(foaming)시 외부에서 가해지는 열에 의해 용융 후 냉각에 의해 설정경도로 경화되는 제1경화층(120)이 일정 두께로 더 형성될 수 있고, 발포 성형시 형틀의 내주면으로부터 하부 몸체(100)의 상면으로 전달되는 열에 의해 제1경화층(1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경화층(120)은 성형시 열에 의해 용융 후 냉각되어 일정 강도로 경화되므로, 하부 몸체(100)에 비해 높을 강도를 갖고,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으므로 하부 몸체(100)의 상면으로 일정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제1공기 순환홈(110)의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경화층(120)이 제1공기 순환홈(110)의 내주면을 보강하므로 외력에 의한 압축 변형에 의해 유로(H)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경화층(120)의 표면은 용융 후 냉각되는 과정에서 미세한 기공들이 제거되므로 제1공기 순환홈(110)의 내주면을 매끄럽게 형성시킬 수 있고, 유로(H)를 따라 공기(A)가 순환될 때 제1공기 순환홈(110)의 내주면과 공기(A)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어 공기(A)를 원활히 순환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 몸체(100)의 상면에 형성된 제1경화층(120)의 상면에 접착층(200)이 도포되는데, 하부 몸체(100)의 상면에 형성된 제1경화층(120)은 미세한 기공들이 제거된 상태로 매끄럽게 형성되므로 접착층(200)을 균일한 두께로 도포할 수 있고, 제1경화층(120)은 하부 몸체(100)보다 높은 강도를 가지므로 하부 몸체(100)의 접착면이 외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하부 몸체(100)를 발포 성형하는 과정에서 제1경화층(120)을 형성시킬 수 있어 제1공기 순환홈(110)의 내주면과 하부 몸체(100)의 상면을 용이하게 보강할 수 있고, 제1공기 순환홈(100)의 표면 마찰력이 감소되므로 유로(H)의 공기(A) 순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경화층(120)에 의해 제1공기 순환홈(1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미세 기공들이 제거되므로 제1공기 순환홈(110)의 내주면에 이물질(먼지 등) 등이 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물질 등의 유착으로 인해 유로(H)의 단면적이 불규칙하게 형성되지 않으므로 공기(A)를 원활히 순환시킬 수 있다.
접착층(200)은 성형이 완료된 하부 몸체(100)의 상면과 상부 몸체(200)의 하면을 상호 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친환경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고, 하부 몸체(100)의 상면과 상부 몸체(200)의 하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도포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접착층(200)은 제1공기 순환홈(110)과 후술될 제2공기 순환홈(310) 및 송풍유닛(400)의 수용부(410)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도포될 수 있으나, 접착층(200)이 도포되는 영역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하부 몸체(100)의 상면에 제1경화층(120)을 형성시키는 경우 접착층(200)은 제1경화층(120)의 상면에 도포될 수 있고, 제1경화층(120)은 미세한 기공들이 제거된 상태로 매끄럽게 형성되므로 접착층(200)을 균일한 두께로 도포할 수 있다.
상부 몸체(300)는 사용자의 인체를 지지하기 위한 부분으로 하부 몸체(100)의 상면에 대응되게 부착되고, 상부 몸체(300)는 상면과 하면이 수평하게 형성되며, 가장자리를 따라 4개의 변이 형성된 사각 패널 형상(정사각형, 직사각형 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부 몸체(300)의 전후 방향에 2개의 변이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부 몸체(300)의 좌우 방향에 2개의 변이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몸체(300)는 형틀(미도시)의 성형공간 내에서 발포 성형(foaming)이 가능하고, 상면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형태 변형 후 하중이 제거되었을 때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이 가능하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폴리우레탄: polyurethane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제2공기 순환홈(310)은 제1공기 순환홈(110)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 몸체(300)의 하면을 따라 길이를 가지면서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부 몸체(300)와 전술한 하부 몸체(100)를 상하 방향으로 부착시키는 경우 제2공기 순환홈(310)과 전술한 제1공기 순환홈(110)의 사이 간격에 공기(A)를 순환시키기 위한 유로(H)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2공기 순환홈(310)과 제1공기 순환홈(110)이 형성하는 유로(H)는 수평하게 길이를 가지면서 일정한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고, 유로(H)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개방되는 입구측이 후술될 송풍유닛(400)의 배출측(공기 배출 방향)과 연통될 수 있고, 유로(H)의 입구측과 반대되는 출구측이 송풍유닛(400)의 입구측(공기 유입 방향)과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제2공기 순환홈(310)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2공기 순환홈(310)의 폭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는 제2곡면부(31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2곡면부(311)는 제1공기 순환홈(110)의 폭방향으로 반원 형상의 아치(arch)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2공기 순환홈(310)의 상면이 아치(arch) 형상을 가지므로, 상부 몸체(300)의 상면으로 하중이 전달되는 경우 제2곡면부(311)가 곡률 방향으로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고, 제2곡면부(311)가 상부로 볼록한 곡률을 형성하므로 제2공기 순환홈(310)이 하부로 압축 변형되는 경우에도 유로(H)가 전체적으로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도 7과 8에서처럼 상부 몸체(300)의 하면과 제2공기 순환홈(31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발포 성형(foaming)시 외부에서 가해지는 열에 의해 용융 후 냉각에 의해 설정경도로 경화되는 제2경화층(340)이 일정 두께로 더 형성될 수 있고, 발포 성형시 형틀의 내주면으로부터 상부 몸체(300)의 상면으로 전달되는 열에 의해 제2경화층(3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경화층(320)은 성형시 열에 의해 용융 후 냉각되어 일정 강도로 경화되므로, 상부 몸체(300)에 비해 높을 강도를 갖고,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으므로 상부 몸체(300)의 상면으로 일정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제2공기 순환홈(310)의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2경화층(320)이 제2공기 순환홈(310)의 내주면을 보강하므로 외력에 의한 압축 변형에 의해 유로(H)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경화층(320)의 표면은 용융 후 냉각되는 과정에서 미세한 기공들이 제거되므로 제2공기 순환홈(310)의 내주면을 매끄럽게 형성시킬 수 있고, 유로(H)를 따라 공기(A)가 순환될 때 제2공기 순환홈(310)의 내주면과 공기(A)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어 공기(A)를 원활히 순환시킬 수 있다.
즉, 상부 몸체(300)를 발포 성형하는 과정에서 제2경화층(320)을 형성시킬 수 있어 제2공기 순환홈(310)의 내주면과 상부 몸체(300)의 상면을 용이하게 보강할 수 있고, 제2공기 순환홈(310)의 표면 마찰력이 감소되므로 유로(H)의 공기(A) 순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경화층(320)에 의해 제2공기 순환홈(3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미세 기공들이 제거되므로 제2공기 순환홈(310)의 내주면에 이물질(먼지 등) 등이 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물질 등의 유착으로 인해 유로(H)의 단면적이 불규칙하게 형성되지 않으므로 공기(A)를 원활히 순환시킬 수 있다.
공기 배출홀(320)은 제2공기 순환홈(310)의 상부로 관통되고, 유로(H)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A)를 상부 몸체(300)의 상부로 배출시킨다. 여기서 공기 배출홀(320)은 제2공기 순환홈(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즉, 유로(110)를 따라 공기(A)를 순환시키는 경우 공기 배출홀(120)의 상부로 공기(A)가 배출되고, 몸체(100)의 상부에 위치된 사용자의 인체로 바람이 전달될 수 있고, 사용자의 인체와 몸체(100)의 사이 간격으로 공기(A)가 배출되므로 여름철 등과 같이 온도가 높은 환경에서 매트리스를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인체와 몸체(100)의 접촉 부위에 땀이나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 내지 8에서처럼 상부 몸체(300)에 설정된 저탄성영역(S)에 상하로 관통되고,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관통홀(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저탄성영역(S)은 사용자의 엉덩이 등이 안착되는 부분으로, 사용자가 상부 몸체(300)의 상면에 눕는 경우 엉덩이 부분을 더 낮은 위치에서 지지할 수 있다.
관통홀(330)들은 저탄성영역(S)의 탄성 지지력을 국부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한 것으로, 관통홀(330)의 직경과 간격 및 개수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고, 관통홀(330)은 유로(H)와 어긋난 위치에 배열될 수 있으며, 관통홀(330)의 직경과 간격 및 개수 등을 조절하여 저탄성역역(S)의 탄성 지지력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관통홀(330)에 의해 저탄성영역(S)의 단면적이 감소되므로 사용자의 인체를 대응되는 형상으로 지지할 수 있고, 관통홀(330)들에 의해 상부 몸체(300)와 인체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인체와 몸체(100)의 접촉 부위에 땀이나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척추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지지가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허리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아울러, 도 1에서처럼 하부 몸체(100)와 상부 몸체(200)의 외부에 결합되고, 직물 등의 소재로 구비되며, 하부 몸체(100)와 상부 몸체(30)를 내부에 삽입시키거나 외부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일측에 개폐부재(지퍼 구조 등)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내측 커버(30) 및, 내측 커버(30)의 외부에 결합되고, 직물 등의 소재로 구비되며, 하부 몸체(100)와 상부 몸체(30) 및 내측 커버(30)를 내부에 삽입시키거나 외부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일측에 개폐부재(지퍼 구조 등)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외측 커버(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내측 커버(30)와 외측 커버(40)를 하부 몸체(100) 및 상부 몸체(300)의 외부에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어 하부 몸체(100) 및 상부 몸체(30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커버(30)만을 세탁할 수 있어 관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송풍유닛(400)은 유로(H)를 따라 공기(A)를 강제 순환시키기 위한 것으로, 송풍유닛(400)의 입구측은 유로(H)의 출구측과 연결되고, 송풍유닛(400)의 출구측은 유로(H)의 입구측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송풍유닛(400)이 구동하는 경우 입구측으로 흡입된 공기(A)를 출구측으로 배출시키면서 유로(H)를 따라 강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송풍유닛(400)은 하부 몸체(100)와 상부 몸체(300)의 사이에 일정 두께로 형성되어 유로(H)의 입구측과 출구측이 각각 연통되는 수용부(410)와, 수용부(410)에 구비되고, 내부의 설치공간(421)과 하부 몸체(100) 및 상부 몸체(400)의 외부로 연통된 흡기홀(424)이 형성되며, 설치공간(421)의 전방과 하부 몸체(100) 및 상부 몸체(400)의 외부로 연통된 배기홀(423)이 형성되는 하우징(420)과, 하우징(420)의 일측으로 돌출되고, 내부의 배출 통로(431)가 설치공간(421)과 유로(H)의 입구측으로 연통되는 배출관(430)과, 수용부(410)에 구비되고, 구동시 유로(H)의 출구측과 흡기홀(424)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배출 통로(431)를 통해 유로(H)의 입구측으로 강제 이동시키는 송풍부(440)와, 설치공간(421)에 구비되고, 구동시 배출 통로(431)를 통과하는 공기(A)를 기설정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부(450) 및, 설치공간(421)에 구비되고, 구동시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에 의해 냉각된 공기(A)를 송풍부(440)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배기홀(423)을 통해 열을 배출시키는 냉각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410)는 하부 몸체(100) 및 상부 몸체(300)의 전면에 형성된 1개의 변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고, 하부 몸체(100) 및 상부 몸체(300)의 좌측면과 우측면의 중심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유로(H)는 수용부(410)를 기준으로 하부 몸체(100) 및 상부 몸체(300)의 좌측과 우측 방향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로(H)들의 입구측은 수용부(410)의 후방에 각각 연결될 수 있고, 유로(H)들의 출구측은 일정 형상으로 연장된 후 수용부(410)의 전방을 통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420)의 흡기홀(424)은 외부의 공기(A)와 유로(H)의 출구측으로 배출되는 공기(A)를 설치공간(421)으로 함께 유입시키기 위한 것으로, 설치공간(421)의 전방과 하부 몸체(100) 및 상부 몸체(300)의 전면으로 개방될 수 있고, 유로(H)들의 출구측은 하부 몸체(100) 및 상부 몸체(300)의 전방으로 연장된 후 하우징(420)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흡기홀(424)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즉 흡기홀(424)을 통해 외부의 공기(A)가 설치공간(421)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유로(H)의 출구측으로 배출되는 공기(A)가 설치공간(421)으로 함께 유입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하우징(420)의 전면에는 후술될 조작 스위치(511)를 하부 몸체(100) 및 상부 몸체(300)의 전면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돌출부(423)가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흡기홀(424)이 돌출부(423)의 좌우 방향으로 각각 관통된 후 전방으로 방향이 전환되어 하부 몸체(100) 및 상부 몸체(300)의 전면으로 관통될 수 있으며, 유로(H)들의 출구측은 하부 몸체(100) 및 상부 몸체(300)의 전방으로 연장된 후 돌출부(423)의 좌우 방향에서 양측의 흡기홀(424)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423)의 전면은 하부 몸체(100) 및 상부 몸체(300)의 전면을 통해 노출될 수 있고, 돌출부(423)의 전면에는 후술될 조작부(510)의 조작 스위치(511)가 조작 가능하게 노출될 수 있다.
하우징(420)의 배기홀(425)은 냉각부(460)에서 발생된 열을 하부 몸체(100) 및 상부 몸체(30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설치공간(421)의 전방과 하부 몸체(100) 및 상부 몸체(300)의 전면으로 개방될 수 있고, 흡기홀(424)을 기준으로 하우징(420)의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에 위치될 수 있으며, 유로(H)와 연결되지 않도록 유로(H)의 출구측보다 낮은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420)의 상부에는 설치공간(421)을 개폐시키기 위한 덮개(426)가 더 결합될 수 있고, 하우징(420)의 상단과 덮개(426)의 가장자리에 체결부재를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는 구조를 형성시킬 수 있다.
배출관(430)은 설치공간(421)의 공기(A)를 유로(H)들의 입구측으로 각각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420)의 후방으로 돌출되고, 내부의 배출 통로(431)가 설치공간(421)과 유로(H)의 입구측으로 연통된다. 여기서 배출관(430)은 하우징(420)의 좌우 방향에 각각 배치되어 유로(H)들의 입구측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관(430)은 하우징(420)과 유로(H)의 입구측으로 길이를 갖고, 폭방향이 원주를 이루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배출관(430)이 돌출되는 각도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배출 통로(431)의 내주면에는 오목 또는 볼록하게 형성되고, 배출관(430)의 폭방향을 따라 나선을 이루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력 발생부(4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력 발생부(432)는 배출관(430)을 통과하는 공기(A)의 유속과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배출관(430)의 전후 방향으로 나선을 이루면서 연장되므로, 설치공간(421)의 공기(A)가 배출 통로(431)를 통과하는 공기(A)를 나선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공기(A)가 배출 통로(431)의 후방으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A)가 나선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유로(H)의 입구측으로 이동하는 공기(A)의 유속과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공기(A)를 유로(H)를 따라 빠른 속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송풍부(440)는 설치공간(421)의 공기(A)를 배출관(430)을 통해 유로(H)의 입구측으로 강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배출관(430)의 전방에 배치되고, 내부에 송풍 통로가 형성되며, 송풍 통로의 입구측과 출구측이 양 방향에 형성되는 본체 및, 본체에 설치되어 후술될 제어유닛(50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고, 구동축에 결합된 회전 날개가 송풍 통로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송풍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 통로의 출구측은 배출관(430)의 전방을 향해 개방될 수 있고, 송풍부(440)의 송풍 모터는 후술될 제어유닛(500)에 의해 온(ON)/오프(OFF) 상태가 전환될 수 있다. 즉 송풍 모터를 구동시키는 경우 회전 날개가 회전되면서 송풍 통로의 출구측으로 공기(A)가 배출되고, 송풍 통로의 출구측으로 배출되는 공기(A)가 배출관(430)을 통해 유로(H)의 입구측으로 투입될 수 있다.
가열부(450)는 배출관(430)의 배출 통로(431)로 유입되는 공기(A)를 일정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가열부(450)는 배출 통로(431)의 전방에 각각 배치되고, 송풍부(440)의 출구측으로 배출되는 공기(A)를 일정 온도로 가열시킨다. 이때 배출관(430)을 통해 유로(H)의 입구측으로 유입되는 공기(A)는 일정 온도로 가열되므로 온풍을 유로(H)를 따라 순환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가열부(450)는 온도가 적정 이상으로 올라가면 자체적으로 전류의 양을 줄여 적정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PTC 히터(positivetemperature coefficient heater)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열부(450)는 송풍부(440)의 후방에 설치되고, 가열 통로가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는 본체 및,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후술될 제어유닛(500)에 의해 발열 상태가 전환되는 저항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가열부(45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열부(450)는 후술될 제어유닛(500)에 의해 온(ON)/오프(OFF) 상태가 가변되는 것으로, 도 10과 11에서처럼 송풍유닛(400)이 온풍모드로 구동시 구동 온(ON) 상태로 전환되고, 송풍유닛(400)이 냉풍모드로 구동시 구동 오프(0FF) 상태로 전환되며, 도 12과 13에서처럼 가열부(450)의 구동을 중지시킨 상태에서 송풍부(440)와 냉각부(460)만을 구동시킬 수 있다. 즉 가열부(450)와 송풍부(440)만을 구동시키는 경우 도 10과 11에서처럼 배출관(430)을 통과하는 공기(A)가 일정 온도로 가열되므로 유로(H)를 따라 온풍을 순환시킬 수 있다.
냉각부(460)는 송풍부(440)로 냉각된 공기(A)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송풍부(440)의 일측에 배치되고, 냉각부(460)의 전방에 배기홀(425)이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냉각부(460)는 후술될 제어유닛(500)에 의해 온(ON)/오프(OFF) 상태가 가변되는 것으로, 도 10와 11에서처럼 송풍유닛(400)이 온풍모드로 구동시 구동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고, 도 12와 13에서처럼 송풍유닛(400)이 냉풍모드로 구동시 구동 오프(0FF) 상태로 전환된다.
즉, 도 12와 13에서처럼 가열부(450)의 구동을 중지시킨 상태에서 송풍부(440)와 냉각부(460)만을 구동시킬 수 있고, 냉각부(460)와 송풍부(440)만을 구동시키는 경우 배출관(430)을 통과하는 공기(A)가 일정 온도로 냉각되므로 유로(H)를 따라 냉풍을 순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부(460)는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부(461)와, 회로부(461)의 상부에 결합되고,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면에 전극이 형성되는 냉각판(462)과, 회로부(461)의 하부에 결합되고,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면에 전극이 형성되는 발열판(463)과, 발열판(463)의 하부에 결합되고, 금속 소재로 구비되어 발열판(463)의 하부로 방출되는 열을 하방으로 전도시키는 방열부재(464)와, 냉각판(462)의 상면에 결합되고, 회전 날개를 회전시켜 냉각판에 의해 냉각된 공기(A)를 송풍부(440)로 이동시키는 제1보조 송풍부(465) 및, 방열부재(464)의 하면에 결합되고, 회전 날개를 회전시켜 방열부재(464)로부터 배출되는 열을 배기홀(425)로 강제 이동시키는 제2보조 송풍부(466)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판(462)은 도 12와 13에서처럼 회로부(461)에 전류가 흐를 때 흡열에 의해 냉기를 방출하고, 제1보조 송풍부(465)는 회전 날개의 회전을 통해 냉각판(462)의 상부로 방출되는 냉기를 일측의 송풍부(440)로 이동시킨다. 이때 냉각판(462)의 냉기에 의해 냉각된 공기(A)가 송풍부(440)를 통해 배출관(430)으로 전달되므로 유로(H)를 따라 냉풍을 순환시킬 수 있다.
반면, 발열판(463)은 도 12와 13에서처럼 회로부(461)에 전류가 흐를 때 발열에 의해 하부로 열을 방출하고, 발열판(463)의 하부로 방출되는 열은 방열부재(464)에 의해 하부로 배출되며, 제2보조 송풍부(466)는 회전 날개의 회전을 통해 방열부재(464)의 하부로 배출되는 열을 전방의 배기홀(425)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2보조 송풍부(466)의해 발열판(463)에서 발생된 열이 신속히 배출되므로 방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보조 송풍부(465)는 냉각판(462)의 상부에 결합되고, 송풍 통로가 냉각판(462)과 송풍부(440) 방향으로 관통되는 본체 및, 본체에 설치되어 후술될 제어유닛(50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고, 구동축에 결합된 회전 날개가 송풍 통로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송풍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보조 송풍부(466)는 방열부재(464)의 하부에 결합되고, 송풍 통로가 방열부재(464)와 배기홀(425) 방향으로 관통되는 본체 및, 본체에 설치되어 후술될 제어유닛(50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고, 구동축에 결합된 회전 날개가 송풍 통로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송풍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유닛(500)은 송풍유닛(4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 케이블(20)에 의해 외부의 전원 공급부(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송풍유닛(400)의 가열부(450)와 냉각부(460)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온풍모드와 냉풍모드가 기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하우징(420)의 내부에 구비된 보조 설치공간(422)에 설치될 수 있고, 보조 설치공간(422)은 격벽에 의해 설치공간(421)과 구획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500)에는 송풍유닛(4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5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조작부(5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조작 스위치(510)가 하우징(420)의 돌출부(423)에 조작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돌출부(423)의 전면으로 노출된 조작 스위치(511)를 이용해 송풍유닛(4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 스위치(510)의 조작을 통해 온풍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송풍부(440)와 가열부(450)가 구동되고, 냉각부(460)의 구동은 중지된다. 즉 가열부(450)와 송풍부(440)만을 구동시키는 경우 도 10과 11에서처럼 배출관(430)을 통과하는 공기(A)가 일정 온도로 가열되므로 유로(H)를 따라 온풍을 순환시킬 수 있고, 유로(H)를 따라 순환되는 온풍은 공기 배출홀(320)을 통해 상부 몸체(300)의 상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의 인체에 전달된다.
반면, 조작 스위치(510)의 조작을 통해 냉풍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송풍부(440)와 냉각부(460)가 구동되고, 가열부(450)의 구동은 중지된다. 즉 냉각부(460)와 송풍부(440)만을 구동시키는 경우 도 12와 13에서처럼 배출관(430)을 통과하는 공기(A)가 일정 온도로 냉각되므로 유로(H)를 따라 냉풍을 순환시킬 수 있고, 유로(H)를 따라 순환되는 냉풍은 공기 배출홀(320)을 통해 상부 몸체(300)의 상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의 인체에 전달된다.
한편, 제어유닛(500)에는 온풍모드와 냉풍모드 및 일반 송풍모드가 기설정될 수도 있는데, 조작 스위치(510)의 조작을 통해 일반 송풍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송풍부(440)가 구동되고, 가열부(450)와 냉각부(460)의 구동이 중지될 수 있다. 즉 송풍부(440)만을 구동시키는 경우 배출관(430)을 통과하는 공기(A)가 외기의 온도와 동일한 온도를 가지므로 유로(H)를 따라 가열 및 냉각되지 않은 공기(A)를 순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는 제어유닛(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보조 설치공간(422)에 설치되는 통신모듈(520) 및, 통신모듈(520)에 의해 제어유닛(500)에 무선통신 방식으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무선 조작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조작부(600)는 내부에 배터리가 교체 또는 충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무선 조작부(600)에는 사용자가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무선 조작부(600)의 외부에는 송풍유닛(400)의 상태정보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창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조작부(600)는 적외선 통신(Infrared Ray communication) 방식 등으로 통신모듈(520)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통신모듈(520)은 수신된 신호를 제어유닛(500)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어유닛(500)은 통신모듈(52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송풍유닛(4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모듈(520)의 통신 방식은 적외선 통신에 한정하지 않고,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공기(A)를 순환시켜 사용자의 인체를 향해 균일하게 배출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인체와 몸체의 사이에 땀이나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쾌적한 사용이 가능하고, 탄성 지지력이 저감된 일부영역이 사용자의 인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되므로 사용자의 척추 건강을 해치지 않는다. 또한 성형 과정에서 유로(H)의 내주면이 일정경도로 보강되므로 몸체(100)의 변형에 의해 유로(H)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1경화층(120) 및 제2경화층(340)에 의해 유로(H)의 표면 마찰력이 감소되므로 공기(A)를 원활히 순환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전원 공급부 20: 전원 케이블
100: 하부 몸체 110: 제1공기 순환홈
111: 제1곡면부 120: 제1경화층
200: 접착층 300: 상부 몸체
310: 제2공기 순환홈 311: 제2곡면부
320: 공기 배출홀 330: 관통홀
340: 제2경화층 400: 송풍유닛
410: 수용부 420: 하우징
421: 설치공간 422: 보조 설치공간
423: 돌출부 424: 흡기홀
425: 배기홀 426: 덮개
430: 배출관 431: 배출 통로
432: 회전력 발생부 440: 송풍부
450: 가열부 460: 냉각부
461: 회로부 462: 냉각판
463: 발열판 464: 방열부재
465: 제1보조 송풍부 466: 제2보조 송풍부
500: 제어유닛 510: 조작부
511: 조작 스위치 520: 통신모듈
600: 무선 조작부 A: 공기
H: 유로 S: 저탄성영역

Claims (7)

  1. 하부 몸체 및, 접착층에 의해 상기 하부 몸체의 상면에 부착되는 상부 몸체를 포함하는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로서,
    상기 하부 몸체의 상면을 따라 길이를 가지면서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공기 순환홈;
    상기 제1공기 순환홈과 대응되도록 상기 상부 몸체의 하면을 따라 길이를 가지면서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외부에서 공급된 공기가 순환되도록 상기 제1공기 순환홈과의 사이에 유로를 형성시키는 제2공기 순환홈; 및
    상기 제2공기 순환홈의 상부로 관통되고, 상기 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를 상기 상부 몸체의 상부로 배출시키는 다수의 공기 배출홀;을 포함하되,
    상기 제1공기 순환홈의 하면으로부터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공기 순환홈의 폭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는 제1곡면부 및,
    상기 제2공기 순환홈의 하면으로부터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공기 순환홈의 폭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는 제2곡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홀은,
    상기 제2공기 순환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
  3. 삭제
  4. 하부 몸체 및, 접착층에 의해 상기 하부 몸체의 상면에 부착되는 상부 몸체를 포함하는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로서,
    상기 하부 몸체의 상면을 따라 길이를 가지면서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공기 순환홈;
    상기 제1공기 순환홈과 대응되도록 상기 상부 몸체의 하면을 따라 길이를 가지면서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외부에서 공급된 공기가 순환되도록 상기 제1공기 순환홈과의 사이에 유로를 형성시키는 제2공기 순환홈; 및
    상기 제2공기 순환홈의 상부로 관통되고, 상기 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를 상기 상부 몸체의 상부로 배출시키는 다수의 공기 배출홀;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는 형틀의 성형공간 내에서 발포 성형 가능한 탄성 소재로 구비되며,
    상기 상부 몸체에 설정된 저탄성영역에 상하로 관통되고,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관통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저탄성영역의 수직방향 탄성력을 국부적으로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
  5. 삭제
  6. 하부 몸체 및, 접착층에 의해 상기 하부 몸체의 상면에 부착되는 상부 몸체를 포함하는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로서,
    상기 하부 몸체의 상면을 따라 길이를 가지면서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공기 순환홈;
    상기 제1공기 순환홈과 대응되도록 상기 상부 몸체의 하면을 따라 길이를 가지면서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외부에서 공급된 공기가 순환되도록 상기 제1공기 순환홈과의 사이에 유로를 형성시키는 제2공기 순환홈; 및
    상기 제2공기 순환홈의 상부로 관통되고, 상기 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를 상기 상부 몸체의 상부로 배출시키는 다수의 공기 배출홀;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는 형틀의 성형공간 내에서 발포 성형 가능한 탄성 소재로 구비되며,
    상기 하부 몸체의 상면과 상기 제1공기 순환홈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성형시 외부에서 가해지는 열에 의해 용융 후 냉각에 의해 설정경도로 경화되는 제1경화층 및,
    상기 상부 몸체의 하면과 상기 제2공기 순환홈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성형시 외부에서 가해지는 열에 의해 용융 후 냉각에 의해 설정경도로 경화되는 제2경화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유로의 입구측과 출구측이 각각 연결되고, 송풍 구동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유로의 입구측으로 강제 이동시키는 송풍유닛 및,
    전원 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송풍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
KR1020220056516A 2022-05-09 2022-05-09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 KR102535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516A KR102535499B1 (ko) 2022-05-09 2022-05-09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516A KR102535499B1 (ko) 2022-05-09 2022-05-09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5499B1 true KR102535499B1 (ko) 2023-05-26

Family

ID=86536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6516A KR102535499B1 (ko) 2022-05-09 2022-05-09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549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8385A (ko) * 2005-06-10 2006-12-14 차찬열 송풍 기능을 구비한 에어매트
KR101903546B1 (ko) * 2017-12-28 2018-10-04 주식회사 스마트에어로 냉난방 기능을 갖는 에어 매트
KR102305402B1 (ko) * 2020-12-28 2021-09-29 (주)디알에스코퍼레이션 공기 순환식 기능성 에어 매트리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8385A (ko) * 2005-06-10 2006-12-14 차찬열 송풍 기능을 구비한 에어매트
KR101903546B1 (ko) * 2017-12-28 2018-10-04 주식회사 스마트에어로 냉난방 기능을 갖는 에어 매트
KR102305402B1 (ko) * 2020-12-28 2021-09-29 (주)디알에스코퍼레이션 공기 순환식 기능성 에어 매트리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01729A1 (en) Automotive seat air-conditioning system
US20070000255A1 (en) Autonomous air-conditioning module intended particularly for the thermal treatment of an area of a vehicle cabin
KR101302842B1 (ko)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냉난방 방석
EP3736507B1 (en) Foothold including thermoelectric module
KR101993169B1 (ko) 다목적 의자
JP2005023506A (ja) 熱電モジュールを用いた機能性衣服
JP2004338702A (ja) 自動車シート及び自動車シートのための送風装置
KR20060114593A (ko) 냉온기능을 구비한 컵 홀더 및 그를 구비한 시트
KR200444437Y1 (ko) 송풍 및 온열 기능을 구비한 에어 시트
KR102535499B1 (ko) 공기 순환식 기능성 매트리스
JP2003042594A (ja) 温度調節装置
JP5471766B2 (ja) 空気調和機
KR102535500B1 (ko) 냉온풍 살균 송풍장치
KR101681924B1 (ko) 폐쇄형 의복에 적용되는 미세기후 조절기
CN111486510A (zh) 空调室内机和空调器
WO2001030606A1 (en) Coolness and warmth device for car seat using peltier's effect
JP2003034167A (ja) 幼児用補助装置
CN212939012U (zh) 水冷暖垫
JPH07246131A (ja) シート用冷暖房装置
JP2008193971A (ja) 愛玩動物用ベッド
KR20010068322A (ko) 냉난방용 의자
KR20170027964A (ko) 냉온열 송풍베개
KR101610730B1 (ko) 시트 히터 장치
KR20210036425A (ko) 차량시트의 냉난방 공급 시스템
CN219012933U (zh) 送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