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4990B1 - 권취 장치 - Google Patents

권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4990B1
KR102534990B1 KR1020200168113A KR20200168113A KR102534990B1 KR 102534990 B1 KR102534990 B1 KR 102534990B1 KR 1020200168113 A KR1020200168113 A KR 1020200168113A KR 20200168113 A KR20200168113 A KR 20200168113A KR 102534990 B1 KR102534990 B1 KR 102534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core
core
winding
groov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8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8879A (ko
Inventor
황주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와이티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와이티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와이티씨
Priority to KR1020200168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990B1/ko
Publication of KR20220078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8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01M10/0409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for cells with wound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권취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권취 장치는 시트형 적층제의 권취 안정성과 분리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권취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권취 장치{Winding device}
본 발명은 이차전지로 사용되는 전극조립체를 안정적으로 권취하기 위해 사용되는 권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 서의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상기 이차전지 중 높은 에너지 밀도와 방전 전압의 리튬 이차전지에 대해 많은 연구가 주로 행해졌고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이차전지는 전지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조립체가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 전지 및 각형 전지와, 전극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된다.
상기 전극조립체는 양극/분리막/음극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 충방전이 가능한 발전소자로서, 활물질이 도포된 긴 시트형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하여 권취한 젤리-롤형과, 소정 크기의 다수의 양극과 음극을 분리막에 개재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으로 분류된다.
그 중 젤리-롤형 전극조립체는 제조가 용이하고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젤리-롤형 전극조립체의 제조 과정에는 양극/분리막/음극의 적층체의 단부에 권심을 끼워 원통형으로 권취한 후 권심을 제거하는 공정이 포함되어 있다. 이때 사용되는 종래기술에 따른 권심의 구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권심(10)은 봉형의 부재로서, 시트형 적층체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적층체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분리되어 있다. 상기 권심(10)은 단면상으로 두 개의 반원들(11a, 11b)이 대면하고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권심(10)은 전체가 초경 합금으로 제작되면서 제조 단가가 상승되었고, 사용 중에 일측 단부에 탭 홀에서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되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 경우 전극조립체는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전지의 성능을 저하 시키며, 전극의 단선 및 내부 쇼트(short)와 같은 상기 전지의 안전성을 저하시킬 수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본등록특허 JP 4841568 B2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시트형 적층제의 권취 안정성을 위해 이종 재질로 권심부를 구성하여 안정적인 권취를 가능하게 하는 권취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에 개시된 권취 장치(1)는 시트형 적층체(2)와 물림 접촉되는 제1 권심부(110)와, 상기 제1 권심부(110)와 서로 마주보며 위치된 제2 권심부(120)를 포함하는 권심부(100); 상기 제1,2 권심부(110, 120)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지지부(200); 상기 지지부(200)의 외측을 커버하기 위해 결합되는 커버부(300, 400); 및 상기 커버부(300, 400)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제1 홀더부(500)와, 상기 커버부(300, 400)와 이격되어 상기 제1,2 권심부(110, 120)의 연장된 타측 단부에 결합된 제2 홀더부(6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권심부(110)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외측에 위치된 제1 아웃터 권심부(112)와, 상기 제1 아웃터 권심부(112)와 결합되는 제1 인너 권심부(114)의 내측 길이 방향에 형성된 홈부(113)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인너 권심부(114)와 상이한 이종 재질로 이루어진 제1 인너 권심(115)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인너 권심(115)은 초경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인너 권심부(114)는 열간용 공구강(SKD6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인너 권심(115)은 상기 시트형 적층체(2)와 마주보는 상대면에 치형(115a)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인너 권심부(114)는 상기 홈부(113)의 내측 수직면(V1)에 형성된 제1 삽입 홈(113a); 상기 홈부(113)의 내측 수평면(H1)에 형성된 제2 삽입 홈(113b)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인너 권심(115)는 상기 제1 삽입 홈(113a)에 끼움 결합되도록 수직면(V2)에 형성된 제1 돌기(115a); 상시 제2 삽입 홈(113b)에 끼움 결합되도록 수평면(H2)에 형성된 제2 돌기(115b)를 더 포함한다.
상기 홈부(113)의 내측 수평면(H1)에는 길이 방향 내측으로 제4 삽입 홈(113c)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인너 권심(115)에는 상기 제4 삽입 홈(113c)과 마주보는 위치에 제3 돌기(115d)가 형성된다.
본 실시 예들은 전극조립체에 사용되는 권심부의 파손 및 변형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되고,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고장으로 인한 문제점 발생이 최소화 된다.
본 실시 예들은 이종 재질을 이용하여 제1 권심부를 조립함으로써 제1 인너 권심부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의 권심 및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권취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권취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제1,2 권심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권취 장치의 측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1 권심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권취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권취 장치(1)는 일 예로 전극조립체로 사용되는 시트형 적층체(2)(도 6참조)를 롤 형태로 안정적으로 권취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시트형 적층체(2)는 일 예로 이차전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양극과, 음극과, 분리막 및 리틈염 함유 비수 전해액으로 구성된다.
권취 장치(1)는 제1,2 권심부(110, 120)로 이루어진 권심부(100)와, 지지부(200)와, 커버부(300, 400) 및 제1,2 홀더부(500, 6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권심부(110) 상기 제2 권심부(120)와 상이한 이종 재질로 이루어져 변형 및 파손 발생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권취 장치(1)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권심부(100)는 시트형 적층체(2)와 물림 접촉되는 제1 권심부(110)와, 상기 제1 권심부(110)와 서로 마주보며 위치된 제2 권심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시트형 적층제(2)는 제1,2 권심부(110, 120)의 마주보는 사이로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된 후에 상기 제2 홀더부(600)에 상기 제1,2 권심부(110, 120)가 결합되면서 상기 시트형 적층제(2)가 상기 제1,2 권심부(110, 120)에 맞물린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제1,2 권심부(110, 120)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200)의 외측을 커버하기 위해 커버부(300, 400)가 결합된다.
또한 제1 홀더부(500)는 상기 커버부(300, 400)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기 위해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300, 400)와 이격되어 상기 제1,2 권심부(110, 120)의 연장된 타측 단부에 결합되기 위해 제2 홀더부(600)가 구비된다.
본 실시 예는 특히 상기 제1 권심부(110)를 상부에서 바라볼 때 외측에 위치된 제1 아웃터 권심부(112)와, 상기 제1 아웃터 권심부(112)와 결합되는 제1 인너 권심부(114)의 내측 길이 방향에 형성된 홈부(113)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인너 권심부(114)와 상이한 이종 재질로 이루어진 제1 인너 권심(115)을 통해 상기 제1 인너 권심부(114)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는 시트형 적층제(2)에 대한 권취 작업 도중에 제1 인너 권심부(114)에 대한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 안전성이 향상된다.
상기 제1 권심부(110)에서 아웃터와 인너의 기준은 도면 기준으로 후술할 지지부(200)에 결합될 때 상면을 기준으로 외측은 아웃터에 해당되고, 상기 아웃터의 내측은 인너에 해당된다.
제1 아웃터 권심부(112)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구성되고, 제1 인너 권심부(114)는 후술할 지지부(200)의 제1 지지부(210)에 단부가 고정되도록 복수개의 볼트 홀(114a)이 형성된다.
제1 아웃터 및 제1 인너 권심부(112, 114)는 상기 제2 홀더부(600)에 단부가 삽입되도록 길이 방향에서 소정의 길이로 두께가 감소된 제1 두께 감소부(112b, 114b)가 형성된다.
제1 인너 권심부(114)는 다각형으로 구성되고, 본 실시 예는 일 예로 직육면체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제2 권심부(120)는 상기 권심부(100)를 상부에서 바라볼 때 외측에 위치된 제2 아웃터 권심부(122)와, 상기 제2 아웃터 권심부(122)의 내측 길이 방향에 위치된 제2 인너 권심부(124)와, 상기 제1 인너 권심부(114)를 바라보는 상대면에 구비된 탄지 바(128)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아웃터 권심부(122)는 제1 아웃터 권심부(112)와 동일한 길이로 연장된다.
일 예로 상기 제1 인너 권심(115)은 초경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인너 권심부(114)는 열간용 공구강(SKD61)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종 재질로 구성되는 이유는 초경 합금의 장점에 따른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 시트형 적층제(2)와 맞물리는 제1 인너 권심(115)만 초경 합금을 사용하고, 나머지 제1 인너 권심부(114)는 열간용 공구강을 사용하여 제조 원가 절감과 동시에 복수개의 볼트 홀(114a)이 형성된 위치에서의 파손 및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다.
이 경우 시트형 적층제(2)에 대한 권취 작업 중에 상기 제1 아웃터 권심부(112)의 볼트 홀(114a)에서 파손이 발생되지 않아 정확한 권취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인너 권심(115)은 상기 시트형 적층체(2)와 마주보는 상대면에 요철형태의 치형(115a)이 형성되어 있어 시트형 적층체(2)와 맞물릴 경우 미끄러짐 없이 정확하게 물림이 가능해 진다.
첨부된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제1,2 인너 권심부(114, 224)는 상기 제2 홀더부(600)와 결합되기 이전에는 상기 탄성 부재(700)에 의해 탄지 되어 상기 물림부(221)를 기준으로 상기 제1,2 인너 권심부(114, 224)에서 상기 제2 홀더부(600)로 갈수록 외측으로 각각 소정의 각도로 벌어진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제1,2 인너 권심부(114, 224)가 벌어질 경우 시트형 적층체(2)의 삽입과 분리가 보다 용이해 질 수 있다. 일 예로 시트형 적층체(2)는 롤 형태로 권취가 완료된 이후에는 바 형태로 연장된 권심부(100)에서 분리되어야 한다.
상기 제1,2 아웃터 권심부(112, 222)는 상기 제1,2 회전축(230, 240)을 기준으로 상기 제1,2 아웃터 권심부(112, 222)에서 상기 제2 홀더부(600)로 갈수록 내측으로 각각 소정의 각도로 오므라진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제2 홀더부(600)에 상기 제1,2 권심부(110, 120)가 결합될 경우 상기 제1,2 인너 권심부(114, 224)와, 상기 제1,2 아웃터 권심부(112, 222)는 길이 방향에서 상기 제2 홀더부(600) 방향으로 평행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제2 홀더부(600)는 상기 제1,2 인너 권심부(114, 224)의 단부와 접촉되어 삽입 위치를 내측 중앙으로 가이드 하기 위해 내측 원주 방향에서 중심을 향해 제1 경사부(602)가 형성된 제1 삽입부(610)와, 상기 제1,2 아웃터 권심부(112, 222)의 단부와 접촉되어 삽입 위치를 내측 중앙으로 가이드 하기 위해 내측 원주 방향에서 중심을 향해 제2 경사부(604)가 형성된 제2 삽입부(6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2 권심부(110, 120)는 제2 홀더부(600)로 삽입될 때 단부가 중심을 향해 이동되도록 상기 제1,2 경사부(602, 604)가 형성되어 있어 경사면을 따라 용이하게 삽입된다.
제2 커버(400)는 제1 커버(300)의 상하좌우 사방에서 결합되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다수개의 볼트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부(200)와 제1 커버(300)에 조립된다.
따라서 상기 제1,2 권심부(110, 120)가 작동되는 도중 결합 안정성이 저하되지 않고 시트형 적층체(2)의 안정적인 권취가 이루어진다.
참고로 제2 커버(400)는 제1 커버(300)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 및 좌측과 우측에 각각 조립된다.
첨부된 도 7을 참조하면, 제1 인너 권심부(114)는 상기 홈부(113)의 내측 수직면(V1)에 형성된 제1 삽입 홈(113a)과, 상기 홈부(113)의 내측 수평면(H1)에 형성된 제2 삽입 홈(113b)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인너 권심(115)은 제1 인너 권심부(114)와 접착제를 매개로 서로 간에 결합되는데, 일 예로 상기 홈부(113)에 접착제가 도포된 후에 상기 제1 인너 권심(115)이 상기 홈부(113)에 삽입되어 결합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상기 제1 인너 권심(115)이 상기 제1 삽입 홈(113a)에 끼움 결합되도록 수직면(V2)에 형성된 제1 돌기(115a)와, 상시 제2 삽입 홈(113b)에 끼움 결합되도록 수평면(H2)에 제2 돌기(115b)가 형성되어 결합된 이후에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상기 제1,2 삽입 홈(113a, 113b)은 제1,2 돌기(115a, 115b)가 삽입되도록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며 특별히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 예는 이와 같은 접착제 결합 방식과 함께 상기 제1 인너 권심부(114)에 제1,2 삽입 홈(113a, 113b)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인너 권심(115)에 제1,2 돌기(115a, 115b)를 형성하여 상기 제1,2 삽입 홈(113a, 113b)에 결합되므로 시트형 적층제(2)에 대한 권취 작업 중에 이탈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 제2 삽입 홈(113b)은 도면에 도시된 위치로 한정하지 않고 다른 위치에 형성되거나 개수가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 삽입 홈(113a)은 홈부(113)의 내측 수직면(V1)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 인너 권심(115)이 홈부(113)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현상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제1 인너 권심부(114)와 제1 인너 권심(115) 사이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제2 삽입 홈(113b)은 내측 수평면(H1)에 제2 삽입 홈(113b)이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 인너 권심(115)가 결합될 경우 상기 제1 인너 권심부(114)의 어느 위치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홈부(11)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첨부된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제1 돌기(115a)는 수직면(V2)에 위치되어 제1 삽입 홈(113a)에 삽입되고, 기 도포된 접착제의 일부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1 돌기(115a)의 내측으로 제1 보조 홈부(115aa)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보조 홈부(115aa)는 소량의 접착제가 유입되도록 상기 제1 삽입 홈(113a)을 향해 방사형태로 복수개가 형성되어있어 상기 제1 인너 권심(115)이 홈부(113)로 삽입될 경우 일부의 접착제가 상기 제1 보조 홈부(115aa)의 개구된 내측으로 유입된다.
이 경우 제1 돌기(115a)가 제1 삽입 홈(113a)에 완전 밀착된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결합력이 향상된다.
상기 제1 인너 권심(115)은 전술한 제1 돌기(115a)와 함께 제2 돌기(115b)에도 소량의 접착제가 유입되도록 상기 제2 삽입 홈(113b)을 향해 방사형태로 복수개의 제2 보조 홈부(115bb)가 형성된다.
이 경우 제2 돌기(115b)가 제2 삽입 홈(113b)에 삽입될 경우 일부의 접착제가 상기 제2 보조 홈부(115bb)의 개구된 내측으로 유입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제2 돌기(115b)가 제2 삽입 홈(113b)에 완전 밀착된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결합력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개시된 본 실시 예는 제1 인너 권심(115)의 수직면(V2)과 수평면(H2)에서 상기 홈부(113)의 수직면(V1)과 수평면(H1)과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첨부된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는 제1 인너 권심(115)에 상기 수평면(H2)의 길이 방향에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제3 돌기(115d)가 형성된다.
상기 제3 돌기(115d)는 수평면(H2)에서 직선 형태 또는 지그재그 형태 또는 사선 형태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반원 또는 원형 또는 타원 형태와 같이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 인너 권심(115)은 제3 돌기(115d)가 제4 삽입 홈(113c)에 결합되는 형태로 상기 제1 인너 권심부(114)와 서로 간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인너 권심(115)에 구비된 제3 돌기(115d)가 제1 인너 권심부(114)에 형성된 제4 삽입 홈(113c)에 삽입될 경우 상기 제1 인너 권심(115)과 제1 인너권심부(114) 간에 결합력이 보다 향상되고, 서로 간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외력에 의래 서로 간에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상기 제2 권심부(120)는 상기 권심부(100)를 상부에서 바라볼 때 외측에 위치된 제2 아웃터 권심부(122)와, 상기 제2 아웃터 권심부(122)의 내측 길이 방향에 위치된 제2 인너 권심부(124)와, 탄지 바(128)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제1 권심부(110)와 결합되는 제1 지지부(210)와, 상기 제2 권심부(120)와 결합되는 제2 지지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2 지지부(210, 220)는 서로 마주보며 위치하고, 도면 기준으로 상기 제1,2 권심부(110, 120)의 좌측 단부와 결합 된다.
상기 제1,2 지지부(210, 220)는 상기 제1,2 권심부(110, 120)에 대한 안정적인 고정과 작동을 동시에 도모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제1,2 지지부(210, 220)는 제1 홀더부(500)에 고정될 때 흔들림이 발생되거나, 시트형 적층체(2)를 롤 형태로 감을 때 빗감김이 발생되지 않게 하기 위해 구비된다.
본 실시 예는 이를 위해 상기 수용 홈부(211)에 삽입된 물림부(221)를 매개로 상기 제1,2 회전축(230, 240)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각도로 외측과 내측으로 회전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회전은 360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각도로 한정되게 회전이 된다.
또한 제1,2 회전축(230, 240)은 회전 방향이 상기 제1,2 권심부(110, 120)가 제1,2 지지부(210, 220)에 결합된 상면을 기준으로 외측 또는 내측 방향에 한정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권심부
110, 120 : 제1,2 권심부
200 : 지지부
300 : 제1 커버
400 : 제2 커버
500 : 제1 홀더부
600 : 제2 홀더부
700 : 탄성부재

Claims (7)

  1. 시트형 적층체(2)와 물림 접촉되는 제1 권심부(110)와, 상기 제1 권심부(110)와 서로 마주보며 위치된 제2 권심부(120)를 포함하는 권심부(100);
    상기 제1,2 권심부(110, 120)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지지부(200);
    상기 지지부(200)의 외측을 커버하기 위해 결합되는 커버부(300, 400); 및
    상기 커버부(300, 400)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제1 홀더부(500)와, 상기 커버부(300, 400)와 이격되어 상기 제1,2 권심부(110, 120)의 연장된 타측 단부에 결합된 제2 홀더부(6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권심부(110)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외측에 위치된 제1 아웃터 권심부(112)와, 상기 제1 아웃터 권심부(112)와 결합되는 제1 인너 권심부(114)의 내측 길이 방향에 형성된 홈부(113)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인너 권심부(114)와 상이한 이종 재질로 이루어진 제1 인너 권심(115)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인너 권심(115)은 수직면(V2)에 형성된 제1 돌기(115a)와, 수평면(H2)에 형성된 제2 돌기(115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115a)에는 수직면(V2)의 내측을 향해 방사 형태로 복수개의 제1 보조 홈부(115aa)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돌기(115b)에는 수평면(H2)의 내측을 향해 방사 형태로 복수개의 제2 보조 홈부(115bb)가 형성된 권취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너 권심(115)은 초경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인너 권심부(114)는 열간용 공구강(SKD61)으로 이루어진 권취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너 권심(115)은 상기 시트형 적층체(2)와 마주보는 상대면에 치형(115a)이 형성된 권취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너 권심부(114)는 상기 홈부(113)의 내측 수직면(V1)에 형성된 제1 삽입 홈(113a);
    상기 홈부(113)의 내측 수평면(H1)에 형성된 제2 삽입 홈(113b)을 더 포함하는 권취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113)의 내측 수평면(H1)에는 길이 방향 내측으로 제4 삽입 홈(113c)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인너 권심(115)에는 상기 제4 삽입 홈(113c)과 마주보는 위치에 제3 돌기(115d)가 형성된 권취 장치.
KR1020200168113A 2020-12-04 2020-12-04 권취 장치 KR102534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113A KR102534990B1 (ko) 2020-12-04 2020-12-04 권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113A KR102534990B1 (ko) 2020-12-04 2020-12-04 권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879A KR20220078879A (ko) 2022-06-13
KR102534990B1 true KR102534990B1 (ko) 2023-05-23

Family

ID=81984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113A KR102534990B1 (ko) 2020-12-04 2020-12-04 권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9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0876A (ja) * 2010-07-12 2012-02-02 Jcc Engineering Co Ltd 帯状体の巻取り方法及び装置
KR101956931B1 (ko) * 2013-02-25 2019-03-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조립형 권심을 구비하는 이차전지의 권취장치
KR102106691B1 (ko) * 2018-03-15 2020-05-04 김육중 권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41568B1 (ko) 1968-09-11 1973-12-07
KR101285015B1 (ko) * 2011-07-11 2013-07-10 세방전지(주) 락킹구조를 갖는 리튬전지케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0876A (ja) * 2010-07-12 2012-02-02 Jcc Engineering Co Ltd 帯状体の巻取り方法及び装置
KR101956931B1 (ko) * 2013-02-25 2019-03-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조립형 권심을 구비하는 이차전지의 권취장치
KR102106691B1 (ko) * 2018-03-15 2020-05-04 김육중 권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879A (ko) 202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0454B1 (ko) 원통형 리튬 이차 전지
JP4661257B2 (ja) 集電端子及び該端子を備えた蓄電装置
EP2624356B1 (en) Secondary battery
US9172109B2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JP2006040899A (ja) 二次電池
KR102106691B1 (ko) 권취 장치
EP1717894B1 (en) Cylindrical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9825324B2 (en) Electrode assembly and battery cell including the same
CN102034961A (zh) 电极组件和具有该电极组件的可再充电电池
KR20180133235A (ko) 전극 조립체 제조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82908A (ko) 2개 이상의 음극 탭들을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US10559790B2 (e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onfigured to make best use of an accommodating space in an electronic apparatus
KR20070081549A (ko) 젤리-롤형 전극조립체 제조용 권심
KR20160019230A (ko) 이차 전지
KR102534990B1 (ko) 권취 장치
KR101152643B1 (ko) 전해액 함침성이 향상된 전극조립체 및 그것을 포함하고있는 이차전지
KR20160044322A (ko) 이차 전지용 젤리 롤
WO2023005502A1 (zh) 卷针套管、电池单体、电池、用电装置和卷绕装置
KR101736543B1 (ko) 전극 조립체
US9240582B2 (en) Battery pack
KR20150122340A (ko) 다수의 전극 탭들을 포함하는 젤리-롤형 전극조립체
US20230268619A1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20200064737A (ko) 개선된 전극 탭을 갖는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807353B1 (ko) 원통형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EP3582293B1 (en) Battery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le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