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4755B1 - 대기 중의 유해 물질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대기 중의 유해 물질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4755B1
KR102534755B1 KR1020210078637A KR20210078637A KR102534755B1 KR 102534755 B1 KR102534755 B1 KR 102534755B1 KR 1020210078637 A KR1020210078637 A KR 1020210078637A KR 20210078637 A KR20210078637 A KR 20210078637A KR 102534755 B1 KR102534755 B1 KR 102534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ensor unit
optical fiber
reference ligh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8756A (ko
Inventor
방영운
김건우
Original Assignee
위아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아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아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8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755B1/ko
Priority to PCT/KR2022/002097 priority patent/WO2022265183A1/ko
Publication of KR20220168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14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with comparison of measurements at specific and non-specific wavelength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02Details
    • G01J3/0205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otherwise, e.g. optical manifolds, diffusers, windows
    • G01J3/0208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otherwise, e.g. optical manifolds, diffusers, windows using focussing or collimating elements, e.g. lenses or mirrors; performing aberration corr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02Details
    • G01J3/0205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otherwise, e.g. optical manifolds, diffusers, windows
    • G01J3/021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otherwise, e.g. optical manifolds, diffusers, windows using plane or convex mirrors, parallel phase plates, or particular refl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02Details
    • G01J3/0205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otherwise, e.g. optical manifolds, diffusers, windows
    • G01J3/0218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otherwise, e.g. optical manifolds, diffusers, windows using optical fib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02Details
    • G01J3/0264Electrical interface; User interfa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02Details
    • G01J3/0291Housings; Spectrometer accessories; Spatial arrangement of elements, e.g. folded path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12Generating the spectrum; Monochromators
    • G01J3/18Generating the spectrum; Monochromators using diffraction elements, e.g. gr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28Investigating the spectrum
    • G01J3/42Absorption spectrometry; Double beam spectrometry; Flicker spectrometry; Reflection spectr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255Details, e.g. use of specially adapted sources, lighting or optical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검사 대상 공간에 분포하는 대기 중의 유해 물질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기준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제1 광 파이버를 통해 상기 광원부와 연결되어 상기 기준광을 전달받고, 상기 기준광이 상기 검사 대상 공간을 통과하도록 가이드하는 센서부; 상기 검사 대상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센서부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검사 대상 공간을 통과한 상기 기준광을 상기 센서부를 향해 반사하는 반사부; 제2 광 파이버를 통해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며, 상기 반사부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센서부에 수광된 반사광을 상기 제2 광 파이버를 통해 전달받고, 전달받은 상기 반사광을 분광시키는 분광부; 및 분광된 상기 반사광의 특성과 상기 기준광의 특성을 비교하여 상기 대기 중의 유해 물질을 검출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대기 중의 유해 물질 검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대기 중의 유해 물질 검출 장치{DEVICE FOR DETECTING CONTAMINANTS IN AIR}
본 발명은 대기 중의 유해 물질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검사 대상 공간 내의 대기에 분포하는 바이러스나 유해 가스와 같은 유해 물질을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으면서도 소형인 유해 물질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해 물질 검출 장치는 특정 공간 내의 바이러스나 유해 가스와 같은 유해 물질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이다. 유해 물질의 검출은 주로 광학적인 방식을 이용한다. 바이러스와 같은 유해 물질은 인간의 지문처럼 각 물질의 분자 구조에 따른 고유한 특정 파장대와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러한 광학적 특징을 검출해 내는 것이다.
일 예로, 유해 물질의 검출은 특정 공간 내에 반사판을 부착하고, 광원에서 조사되어 반사판을 거쳐 돌아온 광의 특성과 최초 조사된 광의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광이 지나온 공간 내의 유해 물질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유해 물질의 검출율을 높이기 위해 특정 공간 내에 다수의 반사판을 부착하는 방식이 이용되기도 한다.
한편, 현재 사용되는 유해 물질 검출 장치는 과거에 비해서는 사이즈가 축소되었으나, 여전히 차량에 기기를 싣고 다녀야 할 만큼 크기가 큰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유해 물질 검출 장치는 100W 이상의 광원을 사용하여 광원 자체의 크기 또한 매우 크다
이에, 컴팩트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일반적인 병원이나 사무실 또는 교실과 같은 제한적인 크기의 공간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소형의 유해 물질 검출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검사 대상 공간 내의 대기에 분포하는 바이러스나 유해 가스와 같은 유해 물질을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으면서도 소형인 유해 물질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장치의 검출 결과에 따라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공기 정화기를 동작시킴으로써 제한적인 공간을 갖는 사무실, 병실, 교실 등에서의 공기 청정은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검사 대상 공간에 분포하는 대기 중의 유해 물질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기준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제1 광 파이버를 통해 상기 광원부와 연결되어 상기 기준광을 전달받고, 상기 기준광이 상기 검사 대상 공간을 통과하도록 가이드하는 센서부; 상기 검사 대상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센서부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검사 대상 공간을 통과한 상기 기준광을 상기 센서부를 향해 반사하는 반사부; 제2 광 파이버를 통해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며, 상기 반사부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센서부에 수광된 반사광을 상기 제2 광 파이버를 통해 전달받고, 전달받은 상기 반사광을 분광시키는 분광부; 및 분광된 상기 반사광의 특성과 상기 기준광의 특성을 비교하여 상기 대기 중의 유해 물질을 검출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대기 중의 유해 물질 검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광원부는, 상기 제1 광 파이버 일단의 개구를 향해 상기 기준광을 조사하는 발광 유닛; 및 상기 발광 유닛과 상기 제1 광 파이버 일단의 개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기준광을 상기 제1 광 파이버 일단의 개구로 집광시키는 집광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 광 파이버 타단의 개구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광 파이버 타단의 개구는 상기 반사부의 반대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기준광을 방출하고, 방출된 상기 기준광은 상기 센서부에 구비된 오목 반사경에 반사되어 평행화 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에 수광된 상기 반사광은 상기 오목 반사경에 반사되어 상기 제2 광 파이버 일단의 개구로 집광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 파이버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복수의 제1 광 파이버의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2 광 파이버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제1 광 파이버는 상기 센서부와 연결된 타단이 상기 제2 광 파이버의 일단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광 파이버의 일단은 상기 센서부에 구비된 오목 반사경의 중심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광 파이버와 상기 제2 광 파이버를 내부에 수용하여 일체화시키는 광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광부는 상기 제2 광 파이버의 타단으로부터 방출된 상기 반사광을 반사하여 평행화 시키는 제1 광학부재; 상기 제1 광학부재로부터 반사된 광을 파장별로 분산시켜 반사하는 회절격자; 및 상기 회절격자로부터 반사된 광을 상기 분석부를 향해 집광시키는 제2 광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광학부재를 통해 상기 분석부에 집광되는 광의 파장은 상기 회절격자의 회전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는 레트로 리플렉터(Retro-reflector)일 수 있다.
상기 광원부와 상기 분광부는 제3 광 파이버를 통해 광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분광부는 상기 제3 광 파이버를 통해 상기 기준광을 전달받아 분광시키고, 분광된 상기 기준광을 상기 분석부로 전달하고, 상기 분석부는 분광된 상기 기준광으로부터 상기 기준광의 특성을 수집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 센서부, 반사부 및 분광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검사 대상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검사 대상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센서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반사부를 고정시키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는 상기 검사 대상 공간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해 물질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검사 대상 공간 또는 상기 검사 대상 공간과 인접한 공간에 미리 마련된 공기 정화기에 구동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유닛은 발광다이오드 또는 레이저 광원으로 이루어지므로, 광원부는 소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유해 물질 검출 장치는 소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광은 검사 대상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센서부와 반사부의 사이를 왕복하므로, 기준광의 스펙트럼이 검사 대상 공간에 분포하는 유해 물질의 특성을 보다 정확히 반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반사부는 레트로 리플렉터(Retro-reflector)로 이루어지므로, 반사부에 입사된 광은 입사된 경로 방향으로 반사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부 내 오목 반사경에서 반사되고 반사부에 도달 및 반사된 기준광은 높은 확률로 오목 반사경에 수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광 파이버의 타단은 제2 광 파이버의 일단이 오목 반사경의 중심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2 광 파이버 일단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므로, 제1 광 파이버에서 방출된 기준광은 오목 반사경에 고른 분포로 입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광 파이버의 일단은 오목 반사경에서 반사 및 집광된 반사광의 초점에 위치하므로, 오목 반사경에 입사한 반사광은 높은 확률로 제2 광 파이버 일단의 개구로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반사부를 포함하는 유해 물질 검출 장치의 각 구성이 하우징 내에 수용되므로, 유해 물질 검출 장치는 소형의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해 물질 검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파이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해 물질 검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해 물질 검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해 물질 검출 장치는 광원부(100), 센서부(200), 반사부(300), 분광부(400) 및 분석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100)는 기준광을 조사할 수 있으며 회로부(110), 발광 유닛(120), 및 집광 렌즈(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유닛(120)은 기준광을 조사하는 광원으로, 회로부(110)에 실장될 수 있다. 발광 유닛(120)은 제1 광 파이버(LF1) 일단의 개구를 향해 기준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 유닛(120)은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또는 레이저 광원일 수 있다. 발광 유닛(120)이 발광다이오드 또는 레이저 광원일 경우, 광원부(100)는 100W 이상의 광원을 사용하는 종래의 분석 장치에 비해 소형의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집광 렌즈(130)는 발광 유닛(120)에서 조사된 기준광을 집광하여 제1 광 파이버(LF1)의 일단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예로, 집광 렌즈(130)는 볼록 렌즈일 수 있다.
이때 제1 광 파이버(LF1)는 광을 전송할 수 있는 부재로, 일단과 타단에 개구가 형성된 관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광 파이버(LF1)는 광원부(100)와 센서부(200)를 광학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광 파이버(LF1)는 일단이 광원부(100)와 연결되고 타단이 센서부(2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광 파이버(LF1)는 복수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 광 파이버(LF1)는 후술하는 제2 광 파이버(LF2)와 함께 광 파이프(LP)에 내장될 수 있다. 일 예로, 광 파이프(LP)는 제1 광 파이버(LF1)와 제2 광 파이버(LF2)를 내부에 수용하여 일체화 시킬 수 있다. 도 1에서는 광 파이프(LP)가 광원부(100)와 센서부(200)를 연결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센서부(200)는 제1 광 파이버(LF1)를 통해 기준광을 전달받을 수 있다.
그리고 기준광은 제1 광 파이버(LF1)의 타단에서 방출되어 센서부(200)에 구비된 오목 반사경(210)으로 향할 수 있다. 이때, 제1 광 파이버(LF1) 타단의 개구는 반사부(300)가 위치한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즉, 기준광은 반사부(300)가 위치한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방출될 수 있다.
그리고 오목 반사경(210)은 입사된 기준광을 검사 대상 공간을 향해 반사할 수 있다. 즉, 오목 반사경(210)은 기준광을 가이드하여 검사 대상 공간을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검사 대상 공간에는 유해 물질의 검출이 필요한 공기, 즉 대기가 분포한 상태이다.
또한, 오목 반사경(210)은 기준광을 반사할 시, 기준광의 광로를 평행화 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광 파이버(LF1)의 타단에서 방출된 기준광은 오목 반사경(210)을 향하며 산광될 수 있다. 그리고 오목 반사경(210)은 기준광을 반사하는 과정에서 산광된 기준광을 평행화시킬 수 있다. 즉, 오목 반사경(210)은 일종의 콜리메이터(collimator)로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반사부(300)는 검사 대상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센서부(200)와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사부(300)는 오목 반사경(210)의 오목한 면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기준광은 오목 반사경(210)에서 반사되어 검사 대상 공간을 통과한 후 반사부(300)에 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반사부(300)는 검사 대상 공간을 통과하여 반사부(300)에 도달한 기준광을 반사할 수 있다.
그리고, 반사부(300)에서 반사된 기준광은 다시 오목 반사경(210)을 향할 수 있다. 이때, 반사부(300)는 반사부(300)에서 반사된 기준광이 오목 반사경(210)에 입사될 확률을 높이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반사부(300)는 레트로 리플렉터(Retro-reflecto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반사부(300)에서 반사되어 오목 반사경(210)에 입사된 기준광은 검사 대상 공간 내 분포한 유해 물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사 대상 공간 내에 유해 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검사광은 유해 물질과 충돌하여 산란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유해 물질의 특성이 기준광의 스펙트럼에 반영될 수 있다.
또한, 산란된 기준광은 반사부(300)에서 반사되어 다시 검사 대상 공간을 통과하게 되므로, 기준광은 센서부(200)와 반사부(300)의 사이를 왕복하게 된다. 이에 따르면, 기준광의 스펙트럼은 유해 물질의 특성을 보다 정확히 반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반사부(300)에서 반사되어 센서부(200)에 수광된 광을 반사광이라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반사광은 오목 반사경(210)에서 반사 및 집광되어 제2 광 파이버(LF2)의 일단에 형성된 개구로 가이드될 수 있다.
이때 제2 광 파이버(LF2)는 제1 광 파이버(LF1)와 마찬가지로 광을 전송할 수 있는 부재로, 일단과 타단에 개구가 형성된 관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광 파이버(LF2)는 센서부(200)와 분광부(400)를 광학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광 파이버(LF2)는 일단이 센서부(200)와 연결되고 타단이 분광부(4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광 파이버(LF2)는 반사광을 분광부(400)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분광부(400)는 반사광의 스펙트럼을 분석하기 위해 반사광을 분광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분광부(400)는 제1 광학부재(410), 회절격자(420) 및 제2 광학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학부재(410)는 반사광을 반사할 수 있으며, 반사광은 제1 광학부재(410)에서 반사되는 과정에서 평행화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광학부재(410)는 오목거울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광학부재(410)에서 반사된 반사광은 회절격자(420)에 입사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절격자(420)는 제1 광학부재(410)로부터 반사된 광을 파장별로 분산하여 반사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절격자(420)에서 반사된 광은 제2 광학부재(430)에 입사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광학부재(430)는 입사된 광을 분석부(500)를 향해 반사할 수 있으며, 반사되는 과정에서 광은 집광될 수 있다.
이때, 회절격자(420)는 회전할 수 있다. 회절격자(420)의 회전 각도에 따라 분석부(500)로 가이드되는 광의 파장별 경로가 달라지므로(예컨대 L1과 L2), 회절격자(420)의 회전각에 따라 분석부(500)에 입사되는 광의 파장이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분석부(500)는 입사된 광을 분석함으로써 반사광의 파장별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분석부(500)는 분석부(500)에 입사된 반사광의 특성과 기준광의 특성을 비교하여 대기 중의 유해 물질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준광의 특성은 분석부(500)에 미리 저장된 상태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유해 물질 검출 장치는 광원부(100)와 분광부(400)를 연결하는 제3 광 파이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준광은 제3 광 파이버를 통해 분광부(400)로 직접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기준광은 분광부(400)에서 분광되어 분석부(500)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분석부(500)는 분광된 기준광으로부터 기준광의 특성을 직접 수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광원부(100)는 도 1의 광원부(100)에서 집광 렌즈(130)가 생략된 구조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유닛(120)은 제1 광 파이버(LF1)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제1 광 파이버(LF1)의 내부로 기준광을 조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파이프(LP)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파이프(LP)는 제1 광 파이버(LF1)와 제2 광 파이버(LF2)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광 파이버(LF1)는 복수가 구비된 상태이다.
그리고, 복수의 제1 광 파이버(LF1)의 타단은 제2 광 파이버(LF2) 일단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광 파이버(LF2)의 일단은 복수의 제1 광 파이버(LF1)의 타단들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를 다시 참조하면, 센서부(200)는 제1 광 파이버(LF1)의 타단 및 제2 광 파이버(LF2)의 일단과 연결된 상태이다.
이때 제2 광 파이버(LF2)의 일단이 오목 반사경(210)의 중심축 상에 위치하는 경우, 복수의 제1 광 파이버(LF1)의 타단은 오목 반사경(210)의 중심축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므로, 제1 광 파이버(LF1)에서 방출된 기준광이 오목 반사경(210)에 고른 분포로 입사될 수 있다.
또한, 제2 광 파이버(LF2)의 일단은 오목 반사경(210)에서 반사 및 집광된 반사광의 초점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집광된 반사광은 높은 확률로 제2 광 파이버(LF2) 내부를 향해 가이드될 수 있다.
한편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파이프(LP)가 단일의 제1 광 파이버(LF1)와 제2 광 파이버(LF2)를 내부에 수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해 물질 검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600)은 광원부(100), 센서부(200), 반사부(300) 및 분광부(40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검사 대상 공간은 하우징(60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검사 대상인 대기(A)는 하우징(600)에 형성된 공기 흡입구(610)와 공기 배출구(620)를 통해 검사 대상 공간에 유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반사부(300)는 검사 대상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센서부(200)와 마주보는 위치에 하우징(600)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600)이 반사판을 포함하는 유해 물질 검출 장치의 각 구성을 내부에 수용하게 되므로, 유해 물질 검출 장치는 소형의 사이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운반이 간편하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유해 물질 검출 장치는 별도로 마련된 공기 정화기(미도시)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예로, 공기 정화기는 검사 대상 공간 또는 검사 대상 공간과 인접한 공간에 미리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유해 물질 검출 장치는 유해 물질의 검출 결과에 따라 공기 정화기에 구동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검사 대상 공간 또는 검사 대상 공간과 인접한 공간의 공기정화는 유해 물질의 검출 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광원부 110: 회로부
120: 발광 유닛 130: 집광 렌즈
200: 센서부 210: 오목 반사경
300: 반사부 400: 분광부
410: 제1 광학부재 420: 회절격자
430: 제2 광학부재 500: 분석부

Claims (14)

  1. 검사 대상 공간에 분포하는 대기 중의 유해 물질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기준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제1 광 파이버를 통해 상기 광원부와 연결되어 상기 기준광을 전달받고, 상기 기준광이 상기 검사 대상 공간을 통과하도록 가이드하는 센서부;
    상기 검사 대상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센서부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검사 대상 공간을 통과한 상기 기준광을 상기 센서부를 향해 반사하는 반사부;
    제2 광 파이버를 통해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며, 상기 반사부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센서부에 수광된 반사광을 상기 제2 광 파이버를 통해 전달받고, 전달받은 상기 반사광을 분광시키는 분광부; 및
    분광된 상기 반사광의 특성과 상기 기준광의 특성을 비교하여 상기 대기 중의 유해 물질을 검출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부와 상기 분광부는 제3 광 파이버를 통해 광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분광부는 상기 제3 광 파이버를 통해 상기 기준광을 전달받아 분광시키고, 분광된 상기 기준광을 상기 분석부로 전달하고,
    상기 분석부는 분광된 상기 기준광으로부터 상기 기준광의 특성을 수집하는 것인 대기 중의 유해 물질 검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제1 광 파이버 일단의 개구를 향해 상기 기준광을 조사하는 발광 유닛; 및
    상기 발광 유닛과 상기 제1 광 파이버 일단의 개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기준광을 상기 제1 광 파이버 일단의 개구로 집광시키는 집광 렌즈를 포함하는 것인 대기 중의 유해 물질 검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 광 파이버 타단의 개구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광 파이버 타단의 개구는 상기 반사부의 반대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기준광을 방출하고,
    방출된 상기 기준광은 상기 센서부에 구비된 오목 반사경에 반사되어 평행화 되는 것인 대기 중의 유해 물질 검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 수광된 상기 반사광은 상기 오목 반사경에 반사되어 상기 제2 광 파이버 일단의 개구로 집광되는 것인 대기 중의 유해 물질 검출 장치.
  5. 검사 대상 공간에 분포하는 대기 중의 유해 물질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기준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제1 광 파이버를 통해 상기 광원부와 연결되어 상기 기준광을 전달받고, 상기 기준광이 상기 검사 대상 공간을 통과하도록 가이드하는 센서부;
    상기 검사 대상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센서부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검사 대상 공간을 통과한 상기 기준광을 상기 센서부를 향해 반사하는 반사부;
    제2 광 파이버를 통해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며, 상기 반사부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센서부에 수광된 반사광을 상기 제2 광 파이버를 통해 전달받고, 전달받은 상기 반사광을 분광시키는 분광부; 및
    분광된 상기 반사광의 특성과 상기 기준광의 특성을 비교하여 상기 대기 중의 유해 물질을 검출하는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광 파이버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복수의 제1 광 파이버의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2 광 파이버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제1 광 파이버는 상기 센서부와 연결된 타단이 상기 제2 광 파이버의 일단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인 대기 중의 유해 물질 검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 파이버의 일단은 상기 센서부에 구비된 오목 반사경의 중심축 상에 배치되는 것인 대기 중의 유해 물질 검출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광 파이버와 상기 제2 광 파이버를 내부에 수용하여 일체화시키는 광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인 대기 중의 유해 물질 검출 장치.
  8. 삭제
  9. 검사 대상 공간에 분포하는 대기 중의 유해 물질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기준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제1 광 파이버를 통해 상기 광원부와 연결되어 상기 기준광을 전달받고, 상기 기준광이 상기 검사 대상 공간을 통과하도록 가이드하는 센서부;
    상기 검사 대상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센서부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검사 대상 공간을 통과한 상기 기준광을 상기 센서부를 향해 반사하는 반사부;
    제2 광 파이버를 통해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며, 상기 반사부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센서부에 수광된 반사광을 상기 제2 광 파이버를 통해 전달받고, 전달받은 상기 반사광을 분광시키는 분광부; 및
    분광된 상기 반사광의 특성과 상기 기준광의 특성을 비교하여 상기 대기 중의 유해 물질을 검출하는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광부는
    상기 제2 광 파이버의 타단으로부터 방출된 상기 반사광을 반사하여 평행화 시키는 제1 광학부재;
    상기 제1 광학부재로부터 반사된 광을 파장별로 분산시켜 반사하는 회절격자; 및
    상기 회절격자로부터 반사된 광을 상기 분석부를 향해 집광시키는 제2 광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광학부재를 통해 상기 분석부에 집광되는 광의 파장은 상기 회절격자의 회전에 따라 선택되는 것인 대기 중의 유해 물질 검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레트로 리플렉터(Retro-reflector)인 것인 대기 중의 유해 물질 검출 장치.
  11. 삭제
  12. 검사 대상 공간에 분포하는 대기 중의 유해 물질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기준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제1 광 파이버를 통해 상기 광원부와 연결되어 상기 기준광을 전달받고, 상기 기준광이 상기 검사 대상 공간을 통과하도록 가이드하는 센서부;
    상기 검사 대상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센서부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검사 대상 공간을 통과한 상기 기준광을 상기 센서부를 향해 반사하는 반사부;
    제2 광 파이버를 통해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며, 상기 반사부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센서부에 수광된 반사광을 상기 제2 광 파이버를 통해 전달받고, 전달받은 상기 반사광을 분광시키는 분광부; 및
    분광된 상기 반사광의 특성과 상기 기준광의 특성을 비교하여 상기 대기 중의 유해 물질을 검출하는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 센서부, 반사부 및 분광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검사 대상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검사 대상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센서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반사부를 고정시키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인 대기 중의 유해 물질 검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는 상기 검사 대상 공간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인 대기 중의 유해 물질 검출 장치.
  14. 검사 대상 공간에 분포하는 대기 중의 유해 물질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기준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제1 광 파이버를 통해 상기 광원부와 연결되어 상기 기준광을 전달받고, 상기 기준광이 상기 검사 대상 공간을 통과하도록 가이드하는 센서부;
    상기 검사 대상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센서부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검사 대상 공간을 통과한 상기 기준광을 상기 센서부를 향해 반사하는 반사부;
    제2 광 파이버를 통해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며, 상기 반사부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센서부에 수광된 반사광을 상기 제2 광 파이버를 통해 전달받고, 전달받은 상기 반사광을 분광시키는 분광부; 및
    분광된 상기 반사광의 특성과 상기 기준광의 특성을 비교하여 상기 대기 중의 유해 물질을 검출하는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해 물질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검사 대상 공간 또는 상기 검사 대상 공간과 인접한 공간에 미리 마련된 공기 정화기에 구동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대기 중의 유해 물질 검출 장치.
KR1020210078637A 2021-06-17 2021-06-17 대기 중의 유해 물질 검출 장치 KR102534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637A KR102534755B1 (ko) 2021-06-17 2021-06-17 대기 중의 유해 물질 검출 장치
PCT/KR2022/002097 WO2022265183A1 (ko) 2021-06-17 2022-02-11 대기 중의 유해 물질 검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637A KR102534755B1 (ko) 2021-06-17 2021-06-17 대기 중의 유해 물질 검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756A KR20220168756A (ko) 2022-12-26
KR102534755B1 true KR102534755B1 (ko) 2023-05-26

Family

ID=84527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637A KR102534755B1 (ko) 2021-06-17 2021-06-17 대기 중의 유해 물질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34755B1 (ko)
WO (1) WO202226518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107B1 (ko) * 2015-08-05 2017-05-16 길마기술 주식회사 대기 중 가스를 검출하는 차등 흡수 분광법을 위한 방향성 제어장치
KR101874960B1 (ko) 2017-07-03 2018-07-05 (주)시정 LED 광원과 Long Path Open Cell 방식을 적용한 시정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514B1 (ko) * 2010-07-14 2013-02-27 황정배 차등흡수분광법을 이용한 대기오염물질 원격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101326237B1 (ko) * 2012-01-10 2013-11-11 주식회사 스펙트로 헤이지 상태에서 자외선 다축-차등흡수분광을 사용한 대기 에어로졸 원격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80072585A (ko) * 2016-12-21 2018-06-29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기 물질의 거리별 농도를 계측하는 광원격 계측기의 송수신 시스템
FR3092665A1 (fr) * 2019-02-07 2020-08-14 IFP Energies Nouvelles Procede pour la mesure de la concentration en especes gazeuses dans un biogaz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107B1 (ko) * 2015-08-05 2017-05-16 길마기술 주식회사 대기 중 가스를 검출하는 차등 흡수 분광법을 위한 방향성 제어장치
KR101874960B1 (ko) 2017-07-03 2018-07-05 (주)시정 LED 광원과 Long Path Open Cell 방식을 적용한 시정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65183A1 (ko) 2022-12-22
KR20220168756A (ko) 202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59968T3 (es) Unidad de detección espectrofotométrica y nefelométrica.
US10408745B2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substances in gaseous or fluid media through optical spectroscopy using broadband light sources
US6194735B1 (en) Gas sensor
KR101507474B1 (ko) 유체 분석용 분광기
US5428222A (en) Spectral analyzer with new high efficiency collection optics and method of using same
EP3532823B1 (en) Gas detector system with ring reflector
US7016087B2 (en) Photon efficient scanner
US7209237B2 (en) Optical system for analyzing multi-channel samples and multi-channel sample analyzer employing the same
US5584557A (en) High efficiency compact illumination system
WO2010039091A1 (en) An arrangement adapted for spectral analysis of high concentrations of gas
US6862090B2 (en) Coaxial illumination system
KR102534755B1 (ko) 대기 중의 유해 물질 검출 장치
US7149033B2 (en) UV visual light beam combiner
USRE36489E (en) Spectral analyzer with new high efficiency collection optics and method of using same
JP2016125826A (ja) 分析装置
JP2005055199A (ja) Led照明装置
JP2003164415A (ja) 蛍光スペクトル取得方法および装置
JP2010091428A (ja) 走査光学系
CN213148741U (zh) 一种油料快速定量检测的手持拉曼光谱仪
JPH11142241A (ja) 分光透過率測定装置
US20040218261A1 (en) Conduction and correction of a light beam
CN211347940U (zh) 小型频移激发拉曼检测装置
CN211652523U (zh) 一种非成像光学传感器及气体探测装置
JP2004340589A (ja) 蛍光検出方法および蛍光検出装置
RU2262684C1 (ru) Оптический абсорбционный газоанализа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