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4647B1 -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4647B1
KR102534647B1 KR1020230016221A KR20230016221A KR102534647B1 KR 102534647 B1 KR102534647 B1 KR 102534647B1 KR 1020230016221 A KR1020230016221 A KR 1020230016221A KR 20230016221 A KR20230016221 A KR 20230016221A KR 102534647 B1 KR102534647 B1 KR 102534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switching
data
period
switching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6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윤
Original Assignee
(주)위드샤인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드샤인코리아 filed Critical (주)위드샤인코리아
Priority to KR1020230016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6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vehicle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On-board control or communication systems
    • B61L15/0081On-board diagnosis or mainten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vehicle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On-board control or communication systems
    • B61L15/0072On-board train data hand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8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air- or spacecraft, railway rolling stock or sea-going vess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1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high voltage or medium voltage devices
    • G01R31/3272Apparatus, systems or circuits therefor
    • G01R31/3274Details related to measuring, e.g. sensing, displaying or computing; Measuring of variables related to the contact pieces, e.g. wear, position or resis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1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high voltage or medium voltage devices
    • G01R31/3275Fault detection or status ind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은,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 서버, 입출력 모듈 및 관리 서버 및 입출력 모듈에 작동적으로(operatively)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메모리는, 실행되었을 때 입출력 모듈이, 철도차량용 배전반에 포함되고 전류가 입력되는 제1 단 및 전류가 출력되는 제2 단을 포함하는 제1 스위칭 회로에 대해, 제2 단에서 제1 스위칭 회로의 제1 스위칭 횟수 및 제1 스위칭 회로가 닫힌 상태를 유지한 제1 스위칭 시간을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식별하여 모니터링하고, 입출력 모듈이 제1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관리 서버가, 제1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스위칭 회로의 제1 검수 주기 및 제1 교체 주기와, 제1 스위칭 회로의 상기 제2 단과 연결된 제1 회로의 제2 검수 주기 및 제2 교체 주기를 식별하고, 관리 서버가, 제1 스위칭 횟수와 기준 스위칭 횟수를 비교하여, 제1 검수 주기, 제1 교체 주기, 제2 검수 주기 및 제2 교체 주기 각각의 도래 여부를 판단한 제1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결과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1 확인 알람을 외부로 전송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한다.

Description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of switchboard for railway vehicles}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배전반에 포함된 모듈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철도차량용 배전반을 관리하기 위한,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철도차량에 포함되는 철도차량용 배전반에는 수많은 회로 및 모듈들이 포함되고, 회로 및 모듈들의 복잡한 배선 연결로 인해 회로 및 모듈들의 오동작(예: 고장 여부), 검수 및 교체 주기 파악이 어려웠다. 또한 철도차량에는 철도차량에 배치되는 각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일반 배전반 및 냉난방을 제어하는 냉난방 배전반이 별도로 구비되어, 각 배전반에 대해 검수 주기 및 교체 주기 파악에 어려움이 있었고, 설치공간 부족의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철도차량용 배전반에 포함되는 모듈의 동작 상태를 파악하고, 모듈 및/또는 회로의 검수 주기 및 교체 주기를 파악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니즈가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철도차량용 배전반에 포함되는 회로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철도차량용 배전반에 포함되는 회로에 대해 교체 주기 및 검수 주기를 파악할 수 있는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은,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 서버, 입출력 모듈 및 상기 관리 서버 및 상기 입출력 모듈에 작동적으로(operatively)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되었을 때 상기 입출력 모듈이, 상기 철도차량용 배전반에 포함되고 전류가 입력되는 제1 단 및 상기 전류가 출력되는 제2 단을 포함하는 제1 스위칭 회로에 대해, 상기 제2 단에서 상기 제1 스위칭 회로의 제1 스위칭 횟수 및 상기 제1 스위칭 회로가 닫힌 상태를 유지한 제1 스위칭 시간을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식별하여 모니터링하고, 상기 입출력 모듈이 상기 제1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스위칭 회로의 제1 검수 주기 및 제1 교체 주기와, 상기 제1 스위칭 회로의 상기 제2 단과 연결된 제1 회로의 제2 검수 주기 및 제2 교체 주기를 식별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스위칭 횟수와 기준 스위칭 횟수를 비교하여, 상기 제1 검수 주기, 상기 제1 교체 주기, 상기 제2 검수 주기 및 상기 제2 교체 주기 각각의 도래 여부를 판단한 제1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결과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1 확인 알람을 외부로 전송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1 회로의 일단은 상기 제1 스위칭 회로의 상기 제2 단과 연결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입출력 모듈이, 상기 제1 스위칭 회로의 상기 제2 단에서 상기 제1 스위칭 회로에 대한 제1 판단 데이터를 식별하고, 상기 제1 회로의 타단에서 상기 제1 회로에 대한 제2 판단 데이터를 식별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판단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스위칭 회로의 오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판단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회로의 오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결과 데이터에서, 도래 된 상기 제1 검수 주기, 상기 제1 교체 주기, 상기 제2 검수 주기 및 상기 제2 교체 주기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상기 제1 스위칭 회로 및 상기 제1 회로 중 적어도 하나가 오동작이 아닌 것에 기반하여, 상기 기준 스위칭 횟수를 재설정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결과 데이터에서, 도래 되지 않은 상기 제1 검수 주기, 상기 제1 교체 주기, 상기 제2 검수 주기 및 상기 제2 교체 주기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상기 제1 스위칭 회로 및 상기 제1 회로 중 적어도 하나가 오동작인 것에 기반하여, 상기 기준 스위칭 횟수를 재설정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입출력 모듈 및 상기 제1 스위칭 회로가 포함되는 회로는, 하나의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하나의 기판은 상기 철도차량용 배전반 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입출력 모듈이, 상기 철도차량용 배전반에 포함되고 상기 전류가 입력되는 제3 단 및 상기 전류가 출력되는 제4 단을 포함하는 릴레이 회로에 대해, 상기 제3 단에서 상기 릴레이 회로의 동작 횟수 및 동작 시간에 관한 제2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식별하여 모니터링하고, 상기 입출력 모듈이 상기 제2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릴레이 회로의 제3 검수 주기 및 제3 교체 주기와, 상기 릴레이 회로와 연결된 제2 회로의 제4 검수 주기 및 제4 교체 주기를 식별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동작 횟수와 기준 동작 횟수를 비교하여, 상기 제3 검수 주기, 상기 제3 교체 주기, 상기 제4 검수 주기 및 상기 제4 교체 주기 각각의 도래 여부를 판단한 제2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결과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2 확인 알람을 외부로 전송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 회로의 일단은 상기 릴레이 회로의 상기 제4 단과 연결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입출력 모듈이, 상기 릴레이 회로의 상기 제4 단에서 상기 릴레이 회로에 대한 제3 판단 데이터를 식별하고, 상기 제2 회로의 타단에서 상기 제2 회로에 대한 제4 판단 데이터를 식별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3 판단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릴레이 회로의 오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4 판단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회로의 오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결과 데이터에서, 도래 된 상기 제3 검수 주기, 상기 제3 교체 주기, 상기 제4 검수 주기 및 상기 제4 교체 주기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상기 릴레이 회로 및 상기 제2 회로 중 적어도 하나가 오동작이 아닌 것에 기반하여, 상기 기준 동작 횟수를 재설정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결과 데이터에서, 도래 되지 않은 상기 제3 검수 주기, 상기 제3 교체 주기, 상기 제4 검수 주기 및 상기 제4 교체 주기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상기 릴레이 회로 및 상기 제2 회로 중 적어도 하나가 오동작인 것에 기반하여, 상기 기준 동작 횟수를 재설정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입출력 모듈 및 상기 릴레이 회로는, 하나의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하나의 기판은 상기 철도차량용 배전반 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스위칭 회로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단과 연결되는 제5 단 및 상기 제5 단의 타단인 제6 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6 단은 다이오드와 연결되는 제2 스위칭 회로에 대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입출력 모듈이, 상기 제6 단에서 상기 제2 스위칭 회로의 제2 스위칭 횟수 및 상기 제2 스위칭 회로가 닫힌 상태를 유지한 제2 스위칭 시간을 포함하는 제3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식별하여 모니터링하고, 상기 입출력 모듈이 상기 제3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3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스위칭 회로의 제5 검수 주기 및 제5 교체 주기를 식별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스위칭 횟수와 상기 기준 스위칭 횟수를 비교하여, 상기 제5 검수 주기 및 상기 제5 교체 주기 각각의 도래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상기 제1 결과 데이터에 포함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입출력 모듈이, 미리 학습된 딥러닝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검수 주기, 상기 제1 교체 주기, 상기 제2 검수 주기 및 상기 제2 교체 주기 각각의 도래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방법은, 철도차량용 배전반에 포함되고 전류가 입력되는 제1 단 및 상기 전류가 출력되는 제2 단을 포함하는 제1 스위칭 회로에 대해, 상기 제2 단에서 상기 제1 스위칭 회로의 제1 스위칭 횟수 및 상기 제1 스위칭 회로가 닫힌 상태를 유지한 제1 스위칭 시간을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식별하여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스위칭 회로의 제1 검수 주기 및 제1 교체 주기와, 상기 제1 스위칭 회로의 상기 제2 단과 연결된 제1 회로의 제2 검수 주기 및 제2 교체 주기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1 스위칭 횟수와 기준 스위칭 횟수를 비교하여, 상기 제1 검수 주기, 상기 제1 교체 주기, 상기 제2 검수 주기 및 상기 제2 교체 주기 각각의 도래 여부를 판단한 제1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결과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1 확인 알람을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스위칭 회로의 상기 제2 단에서 상기 제1 스위칭 회로에 대한 제1 판단 데이터를 식별하고, 상기 제1 회로의 타단에서 상기 제1 회로에 대한 제2 판단 데이터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1 판단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스위칭 회로의 오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판단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회로의 오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결과 데이터에서, 도래 된 상기 제1 검수 주기, 상기 제1 교체 주기, 상기 제2 검수 주기 및 상기 제2 교체 주기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상기 제1 스위칭 회로 및 상기 제1 회로 중 적어도 하나가 오동작이 아닌 것에 기반하여, 상기 기준 스위칭 횟수를 재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결과 데이터에서, 도래 되지 않은 상기 제1 검수 주기, 상기 제1 교체 주기, 상기 제2 검수 주기 및 상기 제2 교체 주기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상기 제1 스위칭 회로 및 상기 제1 회로 중 적어도 하나가 오동작인 것에 기반하여, 상기 기준 스위칭 횟수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은, 철도차량용 배전반에 포함되는 회로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가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은, 철도차량용 배전반에 포함되는 회로에 대해 교체 주기 및 검수 주기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유지 보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내용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대상인 철도차량용 배전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및 딥러닝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딥러닝 모듈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딥러닝 모듈을 학습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일반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나 단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이 실현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전부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및 응용 가능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 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100)은, 입출력 모듈(110), 메모리(120) 및 관리 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철도차량용 배전반은 예를 들어, 철도차량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철도차량용 배전반은 예를 들어, 철도차량에 설치된 냉난방 장치를 제외한 장치를 제어하는 일반 모듈과, 냉난방 장치를 제어하는 냉난방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스위칭 회로 및 릴레이 회로는, 일반 모듈 및 냉난방 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는 회로일 수 있다. 또는, 스위칭 회로 및 릴레이 회로는, 일반 모듈 및 냉난방 모듈과 별도로 철도차량용 배전반에 설치되어, 일반 모듈 및 냉난방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회로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입출력 모듈(110)은 철도차량용 배전반에 포함되는 회로(예: 스위칭 회로 및 릴레이 회로)에 대해, 회로의 동작 상태에 관한 데이터(예: 스위칭 횟수, 스위칭 시간, 동작 횟수, 동작 시간 등)를 실시간으로 식별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10)은 데이터를 메모리(120)에 저장하여 적산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10)은 데이터를 관리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입출력 모듈(110) 및 관리 서버(130)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입출력 모듈(110) 및 관리 서버(130)에 작동적으로(operatively)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의 동작과 연관된 명령,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실행 시에, 입출력 모듈(110)이 본 문서에 기재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를 실행하여 관리 서버(130)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관리 서버(130)는 다른 구성요소(예: 입출력 모듈(11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메모리(120)에 로드하고, 메모리(120)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메모리(120)에 저장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1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메모리(120) 및 입출력 모듈(110)과 작동적으로(operatively) 연결될(coupled)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입출력 모듈(예: 프로세서)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관리 서버(130)는 예를 들어,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 ISP),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또는 통신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CP)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관리 서버(130)는 입출력 모듈(110)로부터 스위칭 횟수, 스위칭 시간, 동작 횟수 및 동작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철도차량용 배전반에 포함된 스위칭 회로, 스위칭 회로와 연결된 다른 회로, 릴레이 회로, 릴레이 회로와 연결된 다른 회로 각각의 검수 주기 및 교체 주기를 식별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철도차량용 배전반에 포함된 스위칭 회로, 스위칭 회로와 연결된 다른 회로, 릴레이 회로, 릴레이 회로와 연결된 다른 회로 각각의 교체 주기 및 검수 주기 각각의 도래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스위칭 횟수와 기준 스위칭 횟수를 비교하고, 동작 횟수와 기준 동작 횟수를 비교하여, 스위칭 회로, 스위칭 회로와 연결된 다른 회로, 릴레이 회로, 릴레이 회로와 연결된 다른 회로 각각의 교체 주기 및 검수 주기 각각의 도래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관리 서버(130)는, 스위칭 회로, 스위칭 회로와 연결된 다른 회로, 릴레이 회로, 릴레이 회로와 연결된 다른 회로 각각의 오동작 여부(즉,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관리 서버(130)는, 검수 주기 및 교체 주기 중 적어도 하나가 도래 되고, 오동작이 판단되는 경우, 외부 서버(400)에 교체, 검수, 및 고장 확인을 요청하는 확인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검수 주기 및 교체 주기 중 적어도 하나가 도래 되고, 오동작으로 판단되지 않는 경우, 외부 서버(400)에 검수 주기 및 교체 주기의 도래를 알리는 확인 알람을 전송하고, 기준 스위칭 횟수 또는 기준 동작 횟수를 재설정(예: 증가)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검수 주기 및 교체 주기 중 적어도 하나가 도래 되지 않고, 오동작으로 판단되는 경우, 외부 서버(400)에 고장 확인을 요청하는 확인 알람을 전송하고, 기준 스위칭 횟수 또는 기준 동작 횟수를 재설정(예: 감소)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검수 주기 및 교체 주기 중 적어도 하나가 도래 되지 않고, 오동작으로 판단되지 않는 경우, 외부 서버(400)에 검수 주기 및 교체 주기가 도래 되지 않았고 고장도 아님을 알리는 확인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서버(400)는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100) 외부에 위치하는 서버일 수 있다. 외부 서버(400)는 복수개일 수 있다. 외부 서버(400)가 복수개인 경우,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100)은 복수개의 외부 서버(400) 각각으로 확인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서버(400)는 예를 들어 기관사용 모니터링, 검수용 메모리 장치, 열차종합관리시스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앞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것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100)은, 철도차량용 배전반(200)에 포함될 수 있다. 철도차량용 배전반(200)은 철도차량 각각에 배치된 배전반일 수 있다. 철도차량용 배전반(200)은 제1 모듈(2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듈(210)은 제1 스위칭 회로(211) 및 제1 회로(21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위칭 회로(211)는 입출력 모듈(110)이 실시간으로 제1 스위칭 횟수 및 제1 스위칭 시간을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얻는 대상 회로일 수 있다.
제1 회로(2111)는 제1 모듈(210)에 포함되고, 제1 스위칭 회로(211)와 연결된 회로일 수 있다. 제1 회로(2111)는 예를 들어, 제1 스위칭 회로(211)의 동작에 의해 가동 여부 및 가동 시간이 제어될 수 있다.
도면에서 철도차량용 배전반(200)이 하나의 모듈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철도차량용 배전반(200)은 복수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입출력 모듈(110)은, 철도차량용 배전반(200)이 복수의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모듈 각각에 포함되어 있는 대상 회로에 대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식별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스위칭 회로(211)는 일단인 제1 단(291)과, 타단인 제2 단(29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291)과 제2 단(292) 각각에는 다른 회로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위칭 회로(211)의 동작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경우(예를 들어, 제1 스위칭 회로(211)가 닫히는 경우), 전류는 제1 스위칭 회로(211)의 제1 단(291)에서 제2 단(292)을 향해 흐를 수 있다. 전류는 제1 스위칭 회로(211)의 제1 단(291)으로 입력되어, 제1 스위칭 회로(211)의 제2 단(292)으로 출력될 수 있다.
제1 회로(2111)는 제1 스위칭 회로(211)의 제2 단(292)과 연결되는 회로일 수 있다. 제1 회로(2111)의 일단(2911)은 제2 단(292)과 연결되고, 제1 회로(2111)의 타단(2921)은 다른 회로와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입출력 모듈(110)은 제2 단(292)에서 제1 스위칭 회로(211)의 제1 스위칭 횟수 및 제1 스위칭 회로(211)가 닫힌 상태를 유지한 제1 스위칭 시간을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식별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10)은 제1 데이터를 메모리(120)에 저장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10)은 실시간으로 식별되는 제1 데이터를 메모리(120)에 계속 저장하여 적산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10)은 제1 데이터를 관리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관리 서버(130)는 제1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스위칭 회로(211)의 제1 검수 주기 및 제1 교체 주기와, 제1 회로(2111)의 제2 검수 주기 및 제2 교체 주기를 식별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10)이 제2 단(292)에서 제1 데이터를 식별하는 경우, 제1 회로(2111)는 제1 스위칭 회로(211)의 동작에 의해 가동 여부 및 가동 시간이 제어될 수 있으므로, 관리 서버(130)는 제1 스위칭 회로(211)에 대한 제1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1 스위칭 회로(211)와 연결된 제1 회로(2111)의 제2 검수 주기 및 제2 교체 주기를 식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관리 서버(130)는 제1 스위칭 횟수와 기준 스위칭 횟수를 비교하여, 제1 검수 주기, 제1 교체 주기, 제2 검수 주기 및 제2 교체 주기 각각의 도래 여부를 판단한 제1 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입출력 모듈(110)은 제1 스위칭 회로(211)의 제2 단(292)에서 제1 스위칭 회로(211)에 대한 제1 판단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다. 제1 판단 데이터는, 제1 스위칭 회로(211)로 인가되는 입력값이 제1 스위칭 회로(211)를 거쳐 출력되는 경우, 오차 범위 내의 일정한 출력값이 출력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판단 데이터는, 제1 스위칭 회로(211)로 전압 및/또는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제1 스위칭 회로(211)의 제2 단(292)에서 오차 범위 내의 일정한 출력값이 출력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판단 데이터는, 제1 스위칭 회로(211)의 제2 단(292)에서 온도가 오차 범위 내에서 일정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10)은 제1 회로(2111)의 타단(2921)에서 제1 회로(2111)에 대한 제2 판단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다. 제2 판단 데이터는, 제1 회로(2111)로 인가되는 입력값이 제1 회로(2111)를 거쳐 출력되는 경우, 입력값에 대한 오차 범위 내의 출력값이 출력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판단 데이터는, 제1 회로(2111)로 전압 및/또는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제1 회로(2111)의 일단(2911)에서 인가된 전압 및/또는 전류가 제1 회로(2111)의 타단(2921)에서 오차 범위 내에서 일정한 출력값으로 출력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판단 데이터는, 제1 회로(2111)의 타단(2921)에서 온도가 오차 범위 내에서 일정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제1 판단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1 스위칭 회로(211)가 오동작(즉, 고장)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제2 판단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1 회로(2111)가 오동작(즉, 고장)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판단 데이터에 에러가 있는 경우는 예를 들어, 오차 범위 내의 일정한 출력값이 출력되지 않는 경우, 온도가 오차 범위 내에서 일정하지 않은 경우일 수 있다. 제2 판단 데이터에 에러가 있는 경우는 예를 들어, 입력값에 대한 오차 범위 내의 출력값이 출력되지 않는 경우, 인가된 전압 및/또는 전류가 오차 범위 내에서 일정한 출력값으로 출력되지 않는 경우, 온도가 오차 범위 내에서 일정하지 않은 경우일 수 있다.
입출력 모듈(110)이 제1 스위칭 회로(211)의 제2 단(292)에서 제1 판단 데이터를 식별하고, 제1 회로(2111)의 타단(2921)에서 제2 판단 데이터를 식별하는 경우, 제1 회로(2111)와 제1 스위칭 회로(211) 간의 연결 상태 및 어느 회로가 오동작(즉, 고장)인지 파악할 수 있다. 나아가 입출력 모듈(110)이 제1 판단 데이터 및 제2 판단 데이터를 식별하여 오동작(즉,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철도차량이 정차 중에는 스위칭이 정상으로 동작하지만, 철도차량이 운행 중에 진동 등 다른 요인에 의해 스위칭이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와 같은 현상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철도차량이 정차 중에는 출력값이 정상적으로 출력되지만 철도차량이 운행 중에 진동 등 다른 요인에 의해 스위칭이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아 출력값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는 경우, 관리 서버(130)는 출력값을 출력한 회로가 오동작(즉, 고장)임을 판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관리 서버(130)는, 주기의 도래 여부 및 오동작 여부에 기반하여, 기준 스위칭 횟수를 재설정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제1 결과 데이터에서, 도래 된 제1 검수 주기, 제1 교체 주기, 제2 검수 주기 및 제2 교체 주기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제1 스위칭 회로(211) 및 제1 회로(2111) 중 적어도 하나가 오동작이 아닌 것에 기반하여, 기준 스위칭 횟수를 재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130)는 제1 검수 주기, 제1 교체 주기, 제2 검수 주기 및 제2 교체 주기 중 도래 된 주기를 식별하고, 식별된 주기가 어느 회로에 대한 것인지 식별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도래 된 주기와 관련된 회로에 대해, 판단 데이터에 기반하여 판단한 오동작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130)는 도래 된 주기와 관련된 회로에 대해 검수 주기 및 교체 주기 중 적어도 하나가 도래하였고 오동작으로 판단된 경우, 외부 서버(400)로 제1 확인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제1 확인 알람은 예를 들어, 도래 된 주기와 관련된 회로에 대해 교체 주기 및 검수 주기가 도래하였고, 도래 된 주기와 관련된 회로에 대한 고장 여부 확인을 요청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130)는 도래 된 주기와 관련된 회로에 대해 검수 주기 및 교체 주기 중 적어도 하나가 도래하였으나 오동작으로 판단되지 않은 경우, 외부 서버(400)로 제2 확인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제2 확인 알람은 예를 들어, 도래 된 주기와 관련된 회로에 대해 검수 주기 및 교체 주기가 도래하였다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기준 횟수를 재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 서버(130)는 기준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제1 검수 주기, 제1 교체 주기, 제2 검수 주기 및 제2 교체 주기 중 도래 되지 않은 주기를 식별하고, 식별된 주기가 어느 회로에 대한 것인지 식별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도래 되지 않은 주기와 관련된 회로에 대해, 판단 데이터에 기반하여 판단한 오동작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도래 되지 않은 주기와 관련된 회로에 대해 오동작으로 판단된 경우, 외부 서버(400)로 제3 확인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제3 확인 알람은 예를 들어, 도래 되지 않은 주기와 관련된 회로에 대한 고장 여부 확인을 요청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기준 횟수를 재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 서버(130)는 기준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도래 되지 않은 주기와 관련된 회로에 대해 오동작으로 판단되지 않은 경우, 외부 서버(400)로 확인 알람을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은 스위칭 회로(예: 제1 스위칭 회로(211))로부터 얻은 데이터에 기반하여 스위칭 회로 및 스위칭 회로와 연결된 다른 회로(예: 제1 회로(2111))에 대한 검수 주기 및 교체 주기를 식별함으로써, 스위칭 회로 및 다른 회로의 장기 사용을 사전에 파악하여 고장을 예방하고, 실제 사용 횟수 및 사용 시간으로 보아 검수 및 교체 대상이 아님에도 검수 및 교체를 불필요하게 시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은 제1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식별하여 모니터링함으로써, 스위칭 회로(예: 제1 스위칭 회로(211)) 자체뿐만 아니라 스위칭 회로와 연결된 다른 회로(예: 제1 회로(2111))에 대한 오동작을 예측하여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은 제1 데이터로부터 제1 데이터를 식별한 회로와 연결된 다른 회로(예: 제1 회로(2111))의 고장을 예측함으로써, 스위칭 회로(예: 제1 스위칭 회로(211)) 자체뿐만 아니라 스위칭 회로와 연결된 다른 회로(예: 제1 회로(2111))에 대한 사전 정비가 가능하도록 하여, 철도차량 운행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고, 회로의 적정 사용 연한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조기 교체를 방지할 수 있으며, 노후 회로의 장기간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앞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것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100) 은, 철도차량용 배전반(200)에 포함될 수 있다. 철도차량용 배전반(200)은 철도차량 각각에 배치된 배전반일 수 있다.
철도차량용 배전반(200)은 릴레이 회로(220) 및 제2 회로(2201)를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회로(220)는 입출력 모듈(110)이 실시간으로 동작 횟수 및 동작 시간을 포함하는 제2 데이터를 얻는 대상 회로일 수 있다. 릴레이 회로(220)는 불활성 가스가 주입된 컨택(contact)이 적용된 회로로써, 다른 회로들 간의 접점에 발생될 수 있는 녹을 방지하여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2 회로(2201)는 릴레이 회로(220)와 연결된 회로일 수 있다. 제2 회로(2201)는 예를 들어, 릴레이 회로(220)의 동작에 의해 가동 여부 및 가동 시간이 제어될 수 있다.
도면에서 철도차량용 배전반(200)이 하나의 모듈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철도차량용 배전반(200)은 복수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입출력 모듈(110)은, 철도차량용 배전반(200)이 복수의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모듈 각각의 대상 회로에 대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릴레이 회로(220)는 일단인 제3 단(293)과, 타단인 제4 단(294)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단(293)과 제4 단(294) 각각에는 다른 회로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릴레이 회로(220)의 동작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경우, 전류는 릴레이 회로(220)의 제3 단(293)에서 제4 단(294)을 향해 흐를 수 있다. 전류는 릴레이 회로(220)의 제3 단(293)으로 입력되어, 릴레이 회로(220)의 제4 단(294)으로 출력될 수 있다.
제2 회로(2201)는 릴레이 회로(220)의 제4 단(294)과 연결되는 회로일 수 있다. 제2 회로(2201)의 일단(2931)은 제4 단(294)과 연결되고, 제2 회로(2201)의 타단(2941)은 다른 회로와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입출력 모듈(110)은 제3 단(293)에서 릴레이 회로(220)의 동작 횟수 및 동작 시간을 포함하는 제2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식별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10)은 제2 데이터를 메모리(120)에 저장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10)은 실시간으로 식별되는 제2 데이터를 메모리(120)에 계속 저장하여 적산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10)은 제2 데이터를 관리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데이터는 릴레이 회로(220)의 동작 상태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제2 데이터는 예를 들어, 릴레이 회로(220)에 포함되는 코일(coil)의 동작 횟수와 관련된 데이터일 수 있다. 제2 데이터는 예를 들어, 릴레이 회로(220)에 전류가 흐르고 있는 지와 관련된 데이터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관리 서버(130)는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릴레이 회로(220)의 제3 검수 주기 및 제3 교체 주기와, 제2 회로(2201)의 제4 검수 주기 및 제4 교체 주기를 식별할 수 있다.
제2 회로(2201)는 릴레이 회로(220)의 동작에 의해 가동 여부 및 가동 시간이 제어될 수 있으므로, 관리 서버(130)는 릴레이 회로(220)에 대한 제2 데이터에 기반하여, 릴레이 회로(220)와 연결된 제2 회로(2201)의 제4 검수 주기 및 제4 교체 주기를 식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관리 서버(130)는 동작 횟수와 기준 동작 횟수를 비교하여, 제3 검수 주기, 제3 교체 주기, 제4 검수 주기 및 제4 교체 주기 각각의 도래 여부를 판단한 제2 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입출력 모듈(110)은 릴레이 회로(220)의 제4 단(294)에서 릴레이 회로(220)에 대한 제3 판단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다. 제3 판단 데이터는, 릴레이 회로(220)로 인가되는 입력값(예: 전압 및/또는 전류)이 오차 범위 내의 일정한 출력값으로 출력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판단 데이터는, 릴레이 회로(220)의 제4 단(294)에서 온도가 오차 범위 내에서 일정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10)은 제2 회로(2201)의 타단(2941)에서 제2 회로(2201)에 대한 제4 판단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다. 제4 판단 데이터는, 제2 회로(2201)로 인가되는 입력값이 제2 회로(2201)를 거쳐 출력되는 경우, 입력값에 대한 오차 범위 내의 출력값이 출력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판단 데이터는, 제2 회로(2201)로 전압 및/또는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제2 회로(2201)의 일단(2931)에서 인가된 전압 및/또는 전류가 제2 회로(2201)의 타단(2941)에서 오차 범위 내에서 일정한 출력값으로 출력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판단 데이터는, 제2 회로(2201)의 타단(2941)에서 온도가 오차 범위 내에서 일정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제3 판단 데이터에 기반하여, 릴레이 회로(220)가 오동작(즉, 고장)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제4 판단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2 회로(2201)가 오동작(즉, 고장)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3 판단 데이터에 에러가 있는 경우는 예를 들어, 오차 범위 내의 일정한 출력값이 출력되지 않는 경우, 온도가 오차 범위 내에서 일정하지 않은 경우일 수 있다. 제4 판단 데이터에 에러가 있는 경우는 예를 들어, 입력값에 대한 오차 범위 내의 출력값이 출력되지 않는 경우, 인가된 전압 및/또는 전류가 오차 범위 내에서 일정한 출력값으로 출력되지 않는 경우, 온도가 오차 범위 내에서 일정하지 않은 경우일 수 있다.
입출력 모듈(110)이 릴레이 회로(220)의 제3 단(293)에서 제3 판단 데이터를 식별하고, 제2 회로(2201)의 타단(2941)에서 제4 판단 데이터를 식별하는 경우, 릴레이 회로(220)와 제2 회로(2201) 간의 연결 상태 및 어느 회로가 오동작(즉, 고장)인지 파악할 수 있다. 나아가 입출력 모듈(110)이 제3 판단 데이터 및 제4 판단 데이터를 식별하여 오동작(즉,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철도차량이 정차 중에는 스위칭이 정상으로 동작하지만, 철도차량이 운행 중에 진동 등 다른 요인에 의해 스위칭이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와 같은 현상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철도차량이 정차 중에는 출력값이 정상적으로 출력되지만 철도차량이 운행 중에 진동 등 다른 요인에 의해 스위칭이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아 출력값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는 경우, 관리 서버(130)는 출력값을 출력한 회로가 오동작(즉, 고장)임을 판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관리 서버(130)는, 주기의 도래 여부 및 오동작 여부에 기반하여, 기준 동작 횟수를 재설정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제2 결과 데이터에서, 도래 된 제3 검수 주기, 제3 교체 주기, 제4 검수 주기 및 제4 교체 주기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릴레이 회로(220) 및 제2 회로(2201) 중 적어도 하나가 오동작이 아닌 것에 기반하여, 기준 동작 횟수를 재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130)는 제3 검수 주기, 제3 교체 주기, 제4 검수 주기 및 제4 교체 주기 중 도래 된 주기를 식별하고, 식별된 주기가 어느 회로에 대한 것인지 식별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도래 된 주기와 관련된 회로에 대해, 판단 데이터에 기반하여 판단한 오동작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130)는 도래 된 주기와 관련된 회로에 대해 검수 주기 및 교체 주기 중 적어도 하나가 도래하였고 오동작으로 판단된 경우, 외부 서버(400)로 제1 확인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제1 확인 알람은 예를 들어, 도래 된 주기와 관련된 회로에 대해 교체 주기 및 검수 주기가 도래하였고, 도래 된 주기와 관련된 회로에 대한 고장 여부 확인을 요청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130)는 도래 된 주기와 관련된 회로에 대해 검수 주기 및 교체 주기 중 적어도 하나가 도래하였으나 오동작으로 판단되지 않은 경우, 외부 서버(400)로 제2 확인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제2 확인 알람은 예를 들어, 도래 된 주기와 관련된 회로에 대해 검수 주기 및 교체 주기가 도래하였다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기준 횟수를 재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 서버(130)는 기준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제3 검수 주기, 제3 교체 주기, 제4 검수 주기 및 제4 교체 주기 중 도래 되지 않은 주기를 식별하고, 식별된 주기가 어느 회로에 대한 것인지 식별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도래 되지 않은 주기와 관련된 회로에 대해, 판단 데이터에 기반하여 판단한 오동작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도래 되지 않은 주기와 관련된 회로에 대해 오동작으로 판단된 경우, 외부 서버(400)로 제3 확인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제3 확인 알람은 예를 들어, 도래 되지 않은 주기와 관련된 회로에 대한 고장 여부 확인을 요청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기준 횟수를 재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 서버(130)는 기준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도래 되지 않은 주기와 관련된 회로에 대해 오동작으로 판단되지 않은 경우, 외부 서버(400)로 확인 알람을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앞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것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100)의 제1 모듈(210)은 제1 스위칭 회로(211) 및 제2 스위칭 회로(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위칭 회로(212)는 입출력 모듈(110)이 실시간으로 제2 스위칭 횟수 및 제2 스위칭 시간을 포함하는 제3 데이터를 얻는 대상 회로일 수 있다. 제1 스위칭 회로(211) 및 제2 스위칭 회로(212)는 서로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위칭 회로(211)의 제2 단(292)은, 제1 다이오드(281)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스위칭 회로(212)는 일단인 제5 단(295)과, 타단인 제6 단(296)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단(295)은 제1 스위칭 회로(211)의 제1 단(291)과 연결될 수 있다. 제6 단(296)은 제2 다이오드(282)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스위칭 회로(212)의 동작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경우, 전류는 제2 스위칭 회로(212)의 제5 단(295)에서 제6 단(296)을 향해 흐를 수 있다. 전류는 제2 스위칭 회로(212)의 제5 단(295)으로 입력되어, 제2 스위칭 회로(212)의 제6 단(296)으로 출력될 수 있다. 제1 다이오드(281)의 타단과 제2 다이오드(282)의 타단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시의 명확성을 위해 제1 다이오드(281)의 타단 및 제2 다이오드(282)의 타단과 연결되는 다른 회로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데이터 및 제3 데이터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다른 회로의 오동작 여부도 식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다이오드(281) 및 제2 다이오드(282)는, 제1 스위칭 회로(211)와 제2 스위칭 회로(212)가 병렬로 연결됨에 따라, 제1 스위칭 회로(211)를 지나는 전류가 제2 스위칭 회로(212)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 다이오드(281) 및 제2 다이오드(282)는, 제1 스위칭 회로(211)와 제2 스위칭 회로(212)가 병렬로 연결됨에 따라, 제2 스위칭 회로(212)를 지나는 전류가 제1 스위칭 회로(211)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제1 단(291)과 제5 단(295)이 접하는 노드에는 다른 회로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다이오드(281)의 타단과 제2 다이오드(282)의 타단이 접하는 노드에는 다른 회로가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입출력 모듈(110)은 제6 단(296)에서 제2 스위칭 회로(212)의 제2 스위칭 횟수 및 제2 스위칭 회로(212)가 닫힌 상태를 유지한 제2 스위칭 시간을 포함하는 제3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식별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관리 서버(130)는 제3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 스위칭 회로(212)의 제5 검수 주기 및 제5 교체 주기를 식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관리 서버(130)는 제2 스위칭 횟수와 기준 스위칭 횟수를 비교하여, 제5 검수 주기 및 제5 교체 주기 각각의 도래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제1 결과 데이터에 포함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입출력 모듈(110)은 제2 스위칭 회로(212)의 제6 단(296)에서 제2 스위칭 회로(212)에 대한 제5 판단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제5 판단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2 스위칭 회로(212)가 오동작(즉, 고장)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관리 서버(130)는, 주기의 도래 여부 및 오동작 여부에 기반하여, 기준 스위칭 횟수를 재설정할 수 있다.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제1 스위칭 회로(211)에 대해 설명한 내용은, 제2 스위칭 회로(212)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앞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것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100) 및 관리 대상인 철도차량용 배전반(2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100)은 입출력 모듈(110) 및 관리 서버(130)를 이용하여 철도차량용 배전반(200)을 관리할 수 있다. 철도차량용 배전반(200)은, 제1 모듈(210), 릴레이 회로(220), 입출력 모듈(110), 메모리(120) 및 관리 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10)은 제1 모듈(210) 및 릴레이 회로(220)에 대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식별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제1 모듈(210), 릴레이 회로(220), 입출력 모듈(110), 메모리(120) 및 관리 서버(130) 각각은, 하드웨어 모듈의 형태로 철도차량용 배전반(2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모듈(210), 릴레이 회로(220), 입출력 모듈(110), 메모리(120) 및 관리 서버(130) 각각은 서로 분리된 모듈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철도차량용 배전반(200) 내에 배치되는 입출력 모듈(110)은, 철도차량용 배전반(200)의 외부에 배치되는 외부 서버(400)와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철도차량용 배전반(200)은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모듈(210), 릴레이 회로(220), 입출력 모듈(110), 메모리(120) 및 관리 서버(130)는, 하나의 기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은 예를 들어, PCB(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도면에서 철도차량용 배전반(200)에 제1 모듈(210), 릴레이 회로(220), 입출력 모듈(110), 메모리(120) 및 관리 서버(130)가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철도차량용 배전반(200)은 도시된 모듈 외에 다른 모듈(예: 통신 모듈 및/또는 다른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거나, 도시된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예: 제1 모듈(210) 및/또는 릴레이 회로(22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철도차량용 배전반(200)은 예를 들어, 차량에 설치되는 철도차량용 배전반(200)일 수 있다. 철도차량용 배전반(200)은 예를 들어, 차량에 설치된 냉난방 장치를 제외한 장치를 제어하는 일반 모듈과, 냉난방 장치를 제어하는 냉난방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 모듈 및 냉난방 모듈 각각은 하드웨어 모듈의 형태로 하나의 철도차량용 배전반(200)에 설치될 수 있다. 일반 모듈 및 냉난방 모듈은 하나의 기판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200)은, 내진동으로 설계하고 하드웨어 모듈의 형태로 된 복수의 모듈을 하나의 기판에 조립하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경량화가 가능하고, 부품의 이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 모듈의 형태로 복수의 모듈이 하나의 기판에 조립되므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200)은 오동작이 발생되거나 회로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조립되어 있는 해당 모듈만 교체함으로써 유지보수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고, 철도차량의 운행 시간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스위칭 회로 및/또는 제2 스위칭 회로를 포함하는 제1 모듈(210)은, 일반 모듈 및 냉난방 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는 회로일 수 있다. 릴레이 회로(220)는, 일반 모듈 및 냉난방 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는 회로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스위칭 회로 및/또는 제2 스위칭 회로를 포함하는 제1 모듈(210)은, 일반 모듈 및 냉난방 모듈과 별도로 철도차량용 배전반에 설치되어, 일반 모듈 및 냉난방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회로일 수 있다. 릴레이 회로(220)는, 일반 모듈 및 냉난방 모듈과 별도로 철도차량용 배전반에 설치되어, 일반 모듈 및 냉난방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회로일 수 있다.
이하에서 도 6,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앞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것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100) 및 딥러닝 모듈(3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딥러닝 모듈(300)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딥러닝 모듈(300)을 학습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100)은, 딥러닝 모듈(300)을 이용하여 철도차량용 배전반에 포함되는 스위칭 회로, 릴레이 회로, 스위칭 회로와 연결된 다른 회로 및/또는 릴레이 회로와 연결된 다른 회로에 대한 확인 알람의 종류 및 기준 횟수 재설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확인 알람의 종류는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확인 알람, 제2 확인 알람 및 제3 확인 알람을 포함할 수 있다. 기준 횟수 재설정 여부는, 예를 들어, 기준 스위칭 횟수의 재설정 여부 및 기준 동작 횟수의 재설정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딥러닝 모듈(300)은, 미리 학습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모듈(110)은 철도차량용 배전반에 포함되는 스위칭 회로 및/또는 릴레이 회로로부터 식별된 데이터를 딥러닝 모듈(300)에 입력시킬 수 있다.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100)은, 딥러닝 모듈(300)로부터 출력되는 스위칭 회로, 릴레이 회로, 스위칭 회로와 연결된 다른 회로 및/또는 릴레이 회로와 연결된 다른 회로에 대한 확인 알람의 종류 및 기준 횟수 재설정 여부를 딥러닝 모듈(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10)은 딥러닝 모듈(300)로부터 수신된 결과에 기초하여, 확인 알람을 외부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딥러닝 모듈(300)은 스위칭 회로 및/또는 릴레이 회로로부터 식별한 데이터를 입력노드로 하는 입력 레이어(input)와, 오동작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출력노드로 하는 출력 레이어(Output)와, 입력 레이어와 출력 레이어 사이에 배치되는 M 개의 히든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레이어들의 노드를 연결하는 에지(edge)에는 가중치가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가중치 혹은 에지의 유무는 학습 과정에서 추가, 제거, 또는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따라서, 학습 과정을 통하여, k개의 입력노드와 i개의 출력노드 사이에 배치되는 노드들 및 에지들의 가중치는 업데이트될 수 있다.
딥러닝 모듈(300)이 학습을 수행하기 전에는 모든 노드와 에지는 초기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누적하여 정보가 입력될 경우, 노드 및 에지들의 가중치는 변경되고, 이 과정에서 학습인자로 입력되는 파라미터들(즉, 스위칭 회로 및/또는 릴레이 회로로부터 식별한 데이터)과 출력노드로 할당되는 값(즉, 확인 알람의 종류 및 기준 횟수 재설정 여부) 사이의 매칭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클라우드 서버(미도시)를 이용하는 경우, 딥러닝 모듈(300)은 많은 수의 파라미터들을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딥러닝 모듈(300)은 방대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딥러닝 모듈(300)을 구성하는 입력노드와 출력노드 사이의 노드 및 에지의 가중치는 딥러닝 모듈(300)의 학습 과정에 의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딥러닝 모듈(300)에서 출력되는 파라미터는 오동작 여부를 판단한 결과 외에도 다양한 데이터로 추가 확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모듈(110)은, 딥러닝 모듈(300)이 학습되도록 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10)은 딥러닝 모듈(300)로 학습 데이터를 전송하여, 딥러닝 모듈(300)이 학습되도록 할 수 있다. 학습 데이터는, 스위칭 회로 및/또는 릴레이 회로로부터 식별한 데이터와, 확인 알람의 종류 및 기준 횟수 재설정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딥러닝 모듈(300)은, 스위칭 회로 및/또는 릴레이 회로로부터 식별한 데이터를 학습 입력 데이터로 하고, 스위칭 회로, 릴레이 회로, 스위칭 회로와 연결된 다른 회로 및/또는 릴레이 회로와 연결된 다른 회로에 대한 확인 알람의 종류 및 기준 횟수 재설정 여부를 학습 출력 데이터로 하여 학습될 수 있다.
딥러닝 모듈(300)이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100)과 별도로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딥러닝 모듈(300)은 관리 서버(130) 내에 배치되어, 관리 서버(130)가 설치된 철도 차량에 대해 딥러닝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딥러닝 모듈(300)은 외부 서버(400) 중 어느 하나로서 철도차량용 배전반(도 5의 200)의 외부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철도차량과 통신할 수 있고, 복수개의 철도 차량 각각에 대한 딥러닝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앞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것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100)의 입출력 모듈(110) 및 관리 서버(130)가 도 9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가정한다. 입출력 모듈(110) 및 관리 서버(13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은 입출력 모듈(110) 및 관리 서버(130)에 의해 수행(혹은, 실행)될 수 있는 인스트럭션(명령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 또는 도 1의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100)의 메모리(12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방법은, 철도차량용 배전반에 포함되고 전류가 입력되는 제1 단 및 전류가 출력되는 제2 단을 포함하는 제1 스위칭 회로에 대해, 제2 단에서 제1 스위칭 회로의 제1 스위칭 횟수 및 제1 스위칭 회로가 닫힌 상태를 유지한 제1 스위칭 시간을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식별하여 모니터링하는 단계(S101)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01)는 예를 들어, 입출력 모듈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방법은, 제1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S10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데이터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단계(S103)는 예를 들어, 입출력 모듈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방법은, 제1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스위칭 회로의 제1 검수 주기 및 제1 교체 주기와, 제1 스위칭 회로의 제2 단과 연결된 제1 회로의 제2 검수 주기 및 제2 교체 주기를 식별하는 단계(S105)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05)는 예를 들어,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방법은, 제1 스위칭 횟수와 기준 스위칭 횟수를 비교하여, 제1 검수 주기, 제1 교체 주기, 제2 검수 주기 및 제2 교체 주기 각각의 도래 여부를 판단한 제1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07)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07)는 예를 들어,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방법은, 제1 결과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1 확인 알람을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S109)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09)는 예를 들어,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앞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것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100)의 입출력 모듈(110) 및 관리 서버(130)가 도 10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가정한다. 입출력 모듈(110) 및 관리 서버(13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은 관리 서버(130)에 의해 수행(혹은, 실행)될 수 있는 인스트럭션(명령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 또는 도 1의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100)의 메모리(12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방법은, 제1 스위칭 회로의 제2 단에서 제1 스위칭 회로에 대한 제1 판단 데이터를 식별하고, 제1 회로의 타단에서 제1 회로에 대한 제2 판단 데이터를 식별하는 단계(S201)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201)는 예를 들어, 입출력 모듈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방법은, 제1 판단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1 스위칭 회로의 오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제2 판단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1 회로의 오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2)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202)는 예를 들어,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방법은, 제1 결과 데이터에서, 도래 된 제1 검수 주기, 제1 교체 주기, 제2 검수 주기 및 제2 교체 주기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제1 스위칭 회로 및 제1 회로 중 적어도 하나가 오동작이 아닌 것에 기반하여, 기준 스위칭 횟수를 재설정하는 단계(S203)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203)는 예를 들어,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방법은, 제1 결과 데이터에서, 도래 되지 않은 제1 검수 주기, 제1 교체 주기, 제2 검수 주기 및 제2 교체 주기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제1 스위칭 회로 및 제1 회로 중 적어도 하나가 오동작인 것에 기반하여, 기준 스위칭 횟수를 재설정하는 단계(S207)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207)는 예를 들어,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은, 입출력 모듈이 철도차량용 배전반에 포함되는 회로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가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은, 관리 서버가 철도차량용 배전반에 포함되는 회로에 대해 교체 주기 및 검수 주기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유지 보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메모리(12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예: 입출력 모듈(11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 서버;
    입출력 모듈; 및
    상기 관리 서버 및 상기 입출력 모듈에 작동적으로(operatively)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되었을 때:
    상기 입출력 모듈이, 상기 철도차량용 배전반에 포함되고 전류가 입력되는 제1 단 및 상기 전류가 출력되는 제2 단을 포함하는 제1 스위칭 회로에 대해, 상기 제2 단에서 상기 제1 스위칭 회로의 제1 스위칭 횟수 및 상기 제1 스위칭 회로가 닫힌 상태를 유지한 제1 스위칭 시간을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식별하여 모니터링하고,
    상기 입출력 모듈이 상기 제1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스위칭 회로의 제1 검수 주기 및 제1 교체 주기와, 상기 제1 스위칭 회로의 상기 제2 단과 연결된 제1 회로의 제2 검수 주기 및 제2 교체 주기를 식별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스위칭 횟수와 기준 스위칭 횟수를 비교하여, 상기 제1 검수 주기, 상기 제1 교체 주기, 상기 제2 검수 주기 및 상기 제2 교체 주기 각각의 도래 여부를 판단한 제1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결과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1 확인 알람을 외부로 전송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의 일단은 상기 제1 스위칭 회로의 상기 제2 단과 연결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입출력 모듈이, 상기 제1 스위칭 회로의 상기 제2 단에서 상기 제1 스위칭 회로에 대한 제1 판단 데이터를 식별하고, 상기 제1 회로의 타단에서 상기 제1 회로에 대한 제2 판단 데이터를 식별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판단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스위칭 회로의 오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판단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회로의 오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결과 데이터에서, 도래 된 상기 제1 검수 주기, 상기 제1 교체 주기, 상기 제2 검수 주기 및 상기 제2 교체 주기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상기 제1 스위칭 회로 및 상기 제1 회로 중 적어도 하나가 오동작이 아닌 것에 기반하여, 상기 기준 스위칭 횟수를 재설정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결과 데이터에서, 도래 되지 않은 상기 제1 검수 주기, 상기 제1 교체 주기, 상기 제2 검수 주기 및 상기 제2 교체 주기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상기 제1 스위칭 회로 및 상기 제1 회로 중 적어도 하나가 오동작인 것에 기반하여, 상기 기준 스위칭 횟수를 재설정하도록 하는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모듈 및 상기 제1 스위칭 회로가 포함되는 회로는, 하나의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하나의 기판은 상기 철도차량용 배전반 내에 배치되는,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입출력 모듈이, 상기 철도차량용 배전반에 포함되고 상기 전류가 입력되는 제3 단 및 상기 전류가 출력되는 제4 단을 포함하는 릴레이 회로에 대해, 상기 제3 단에서 상기 릴레이 회로의 동작 횟수 및 동작 시간에 관한 제2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식별하여 모니터링하고,
    상기 입출력 모듈이 상기 제2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릴레이 회로의 제3 검수 주기 및 제3 교체 주기와, 상기 릴레이 회로와 연결된 제2 회로의 제4 검수 주기 및 제4 교체 주기를 식별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동작 횟수와 기준 동작 횟수를 비교하여, 상기 제3 검수 주기, 상기 제3 교체 주기, 상기 제4 검수 주기 및 상기 제4 교체 주기 각각의 도래 여부를 판단한 제2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결과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2 확인 알람을 외부로 전송하도록 하는,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로의 일단은 상기 릴레이 회로의 상기 제4 단과 연결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입출력 모듈이, 상기 릴레이 회로의 상기 제4 단에서 상기 릴레이 회로에 대한 제3 판단 데이터를 식별하고, 상기 제2 회로의 타단에서 상기 제2 회로에 대한 제4 판단 데이터를 식별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3 판단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릴레이 회로의 오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4 판단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회로의 오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결과 데이터에서, 도래 된 상기 제3 검수 주기, 상기 제3 교체 주기, 상기 제4 검수 주기 및 상기 제4 교체 주기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상기 릴레이 회로 및 상기 제2 회로 중 적어도 하나가 오동작이 아닌 것에 기반하여, 상기 기준 동작 횟수를 재설정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결과 데이터에서, 도래 되지 않은 상기 제3 검수 주기, 상기 제3 교체 주기, 상기 제4 검수 주기 및 상기 제4 교체 주기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상기 릴레이 회로 및 상기 제2 회로 중 적어도 하나가 오동작인 것에 기반하여, 상기 기준 동작 횟수를 재설정하도록 하는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모듈 및 상기 릴레이 회로는, 하나의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하나의 기판은 상기 철도차량용 배전반 내에 배치되는,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회로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단과 연결되는 제5 단 및 상기 제5 단의 타단인 제6 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6 단은 다이오드와 연결되는 제2 스위칭 회로에 대해,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입출력 모듈이, 상기 제6 단에서 상기 제2 스위칭 회로의 제2 스위칭 횟수 및 상기 제2 스위칭 회로가 닫힌 상태를 유지한 제2 스위칭 시간을 포함하는 제3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식별하여 모니터링하고,
    상기 입출력 모듈이 상기 제3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3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스위칭 회로의 제5 검수 주기 및 제5 교체 주기를 식별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스위칭 횟수와 상기 기준 스위칭 횟수를 비교하여, 상기 제5 검수 주기 및 상기 제5 교체 주기 각각의 도래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상기 제1 결과 데이터에 포함시키도록 하는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입출력 모듈이,
    미리 학습된 딥러닝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검수 주기, 상기 제1 교체 주기, 상기 제2 검수 주기 및 상기 제2 교체 주기 각각의 도래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9. 철도차량용 배전반에 포함되고 전류가 입력되는 제1 단 및 상기 전류가 출력되는 제2 단을 포함하는 제1 스위칭 회로에 대해, 상기 제2 단에서 상기 제1 스위칭 회로의 제1 스위칭 횟수 및 상기 제1 스위칭 회로가 닫힌 상태를 유지한 제1 스위칭 시간을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식별하여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스위칭 회로의 제1 검수 주기 및 제1 교체 주기와, 상기 제1 스위칭 회로의 상기 제2 단과 연결된 제1 회로의 제2 검수 주기 및 제2 교체 주기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1 스위칭 횟수와 기준 스위칭 횟수를 비교하여, 상기 제1 검수 주기, 상기 제1 교체 주기, 상기 제2 검수 주기 및 상기 제2 교체 주기 각각의 도래 여부를 판단한 제1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결과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1 확인 알람을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회로의 상기 제2 단에서 상기 제1 스위칭 회로에 대한 제1 판단 데이터를 식별하고, 상기 제1 회로의 타단에서 상기 제1 회로에 대한 제2 판단 데이터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1 판단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스위칭 회로의 오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판단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회로의 오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결과 데이터에서, 도래 된 상기 제1 검수 주기, 상기 제1 교체 주기, 상기 제2 검수 주기 및 상기 제2 교체 주기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상기 제1 스위칭 회로 및 상기 제1 회로 중 적어도 하나가 오동작이 아닌 것에 기반하여, 상기 기준 스위칭 횟수를 재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결과 데이터에서, 도래 되지 않은 상기 제1 검수 주기, 상기 제1 교체 주기, 상기 제2 검수 주기 및 상기 제2 교체 주기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상기 제1 스위칭 회로 및 상기 제1 회로 중 적어도 하나가 오동작인 것에 기반하여, 상기 기준 스위칭 횟수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방법.
KR1020230016221A 2023-02-07 2023-02-07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102534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6221A KR102534647B1 (ko) 2023-02-07 2023-02-07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6221A KR102534647B1 (ko) 2023-02-07 2023-02-07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4647B1 true KR102534647B1 (ko) 2023-05-30

Family

ID=86529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6221A KR102534647B1 (ko) 2023-02-07 2023-02-07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6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9069A (ko) * 2019-06-03 2020-12-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의 통합배전반 시스템
KR20210073739A (ko) * 2019-12-11 2021-06-2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열차내 인터페이스 정보 저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열차내 인터페이스 정보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9069A (ko) * 2019-06-03 2020-12-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의 통합배전반 시스템
KR20210073739A (ko) * 2019-12-11 2021-06-2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열차내 인터페이스 정보 저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열차내 인터페이스 정보 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zzaroni Reliability engineering: basic concepts and applications in ICT
US20200326698A1 (en) Failure prediction device, failure prediction method, computer program, calculation model learning method, and calculation model generation method
Lienig et al. Reliability analysis
US20060238938A1 (en) Relayless and fuseless junction box
US20200020178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he Expected Useful Life of Electrical Apparatus
KR101963305B1 (ko) 물류환경정보 관리 시스템
CN110062918B (zh) 在云端网关中进行软件更新的方法、执行该方法的计算机程序和实施该方法的处理单元
Desforges et al. A prognostic function for complex systems to support production and maintenance co-operative planning based on an extension of object oriented Bayesian networks
JP2012510194A (ja) 安全ステップの判定方法および安全マネージャ
CN110225123A (zh) 一种车辆数据记录方法和装置
Troubitsyna et al. Deriving and formalising safety and security requirements for control systems
KR102534647B1 (ko) 철도차량용 배전반의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US10540218B2 (en) Processor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rocessors
US11761655B2 (en) Zone controller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root cause failure
JPWO2018154845A1 (ja) 管理装置、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8012338A1 (ja) 判断装置、監視装置、エネルギー貯蔵システム、監視システム、判断方法、監視方法、エネルギー貯蔵システムの動作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274771B2 (en) Safety switching device and modular failsafe control system
Chen et al. A model-based approach to dynamic self-assessment for automated performance and safety awareness of cyber-physical systems
KR20200140999A (ko) 항공기 센서들을 모델링하기 위한 데이터 기반 기계 학습
Saro et al. The impact of a single module's MTBF value in modular UPS systems: Technique for its assessment, improvement and final validation
WO2020089968A1 (ja) 情報処理装置
US20240140448A1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On-Vehicle Control System, and Redundant Function Control Method
JP7021928B2 (ja) 制御システム
Rinaldo et al. Hybrid modeling for the assessment of complex autonomous systems-a safety and security case study
US20220171380A1 (en) Automated device mainten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