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4642B1 - 항균시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균시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4642B1
KR102534642B1 KR1020200142291A KR20200142291A KR102534642B1 KR 102534642 B1 KR102534642 B1 KR 102534642B1 KR 1020200142291 A KR1020200142291 A KR 1020200142291A KR 20200142291 A KR20200142291 A KR 20200142291A KR 102534642 B1 KR102534642 B1 KR 102534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acterial
extrusion die
weight
hopper
sil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2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7236A (ko
Inventor
이혁렬
최성규
임형균
고영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Priority to KR1020200142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642B1/ko
Publication of KR20220057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항균성능이 반영구적으로 지속되는 공압출 다층 항균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항균시트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형성되며, 은계 항균제가 내첨된 제1 및 제2 항균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재층과 상기 제1 및 제2 항균층은 압출기에 의한 공압출 성형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항균시트 및 그 제조방법 {ANTI-MICROBIA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항균성능이 반영구적으로 유지되는 공압출 다층 항균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최근 코로나 19로 세균감염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스마트폰 항균필름, 항균탈취제, 항균도마, 항균행주 등 다양한 항균제품에 대한 인기 및 소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특히, 감염과 관련하여 관공서, 기업, 병원, 호텔, 마트, 백화점, 아파트 차원에서는 엘리베이터 및 문 손잡이 등 사람의 손이 닿는 곳에 항균필름을 설치하고 있다. 아울러 면역력이 취약한 아이들이 생활하는 학교, 유치원, 어린이집, 학원에서는 책상, 손잡이 및 식당테이블 등에 항균필름을 설치하여 바이러스, 박테리아와 같은 병원체의 증식을 억제하고 있다. 이러한 항균필름의 항균성능에 대해 일부에서는 의문을 제기하고 있으며, 해당제품의 제조사들은 앞다투어 문제점 개선과 더 좋은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제품 연구 및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기술의 일 예로서, 특허문헌 1에는 PP원단과 PET원단을 합지하고, 상기 PET원단에 은나노 코팅 수지를 도포하여 코팅하는 은나노 코팅 표면재의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고, 특허문헌 2에는 문자, 무늬모양, 로고가 외면에 그라비아 인쇄되고, 내면은 항균처리가 된 내측필름과 상기 내측필름의 인쇄면에 합지되는 외측필름과 상기 내측필름과 외측필름으로 형성된 포장재필름의 외측필름 외면에 투명 은나노가 코팅된 외부 은나노 코팅부를 형성하여 구성되는 그라비아 인쇄된 은나노 항균 포장재 필름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는 필름을 합지하는 방식으로 제조하여 물성과 같은 물리적 특성이 떨어지고, 외측필름의 외면에 은나노를 코팅타입으로 제공함으로써 외부와의 마찰에 의해 항균성능이 쉽게 소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53752호(2007.08.2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00611호(2008.01.28)
공압출 방법을 적용하여 물성감소를 최소화하면서 항균성능이 반영구적으로 유지되는 다층 구조의 항균시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항균시트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형성되며, 은계 항균제가 내첨된 제1 및 제2 항균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재층과 상기 제1 및 제2 항균층은 압출기에 의한 공압출 성형법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기재층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PES),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1~15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항균층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PES),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지 80~99중량% 및 항균 마스터배치 1~20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항균 마스터배치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100중량부, 은계 항균제 1~10중량부, 산화방지제 0.1~1중량부 및 활제 0.01~0.5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항균층의 두께는 각각 10~2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은계 항균제의 평균입경은 1.0㎛ 내지 1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출기는 시트 형상을 만드는 압출다이, 상기 압출다이에 결합되고, 기재층의 원료를 공급하는 제1 공급부, 상기 압출다이에 결합되고, 제1 및 제2 항균층의 원료를 공급하는 제2 공급부 및 상기 압출다이로부터 압출된 항균시트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공급부는 제1 호퍼 및 상기 제1 호퍼와 상기 압출다이 간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호퍼로부터 상기 압출다이에 기재층의 원료를 이송하는 제1 이송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공급부는 제2 호퍼 및 상기 제2 호퍼와 상기 압출다이 간에 구비되어 상기 제2 호퍼로부터 상기 압출다이에 제1 및 제2 항균층의 원료를 각각 이송하는 제2 및 제3 이송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출다이는 제1 유로, 상기 제1 유로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2 및 제3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로에는 상기 기재층의 원료가 공급되고, 제2 및 제3 유로에는 제1 및 제2 항균층의 원료가 각각 공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항균시트는 공압출 성형법에 의해 은계 항균제가 기재층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됨으로써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항균성능이 반영구적으로 지속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1.0㎛ 내지 10㎛의 입경을 갖는 은계 항균제를 적용함으로써 병원체간에 접촉할 수 있는 면적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소량의 은계 항균제 함유만으로도 병원체에서 항균력 및 살균력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항균시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압출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압출다이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실험예 2의 항균성능 평가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시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시트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항균시트(100)는 기재층(110), 상기 기재층(11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형성되며, 은계 항균제(140)가 내첨된 제1 및 제2 항균층(120, 1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기재층(110)과 상기 제1 및 제2 항균층(120, 130)은 압출기(1)에 의한 공압출 성형법, 구체적으로는 캘린더롤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항균시트(100)의 두께는 2~15mm, 바람직하게는 5~12mm의 범위일 수 있다.
기존에는 1~15mm 두께의 항균시트 내에 항균제를 넣어 제조하였는데, 이 경우 항균제 함량이 높아져 단가가 상승하고, 광투과도가 감소하며, 헤이즈(haze)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압출기(1)를 이용한 공압출 방법을 적용하여 기재층의 상면 및 하면에 적용 시 얇은 두께에 소량의 항균제 첨가만으로도 항균, 투과율 및 헤이즈의 성능을 확보함과 동시에 원가 절감이 가능하다.
상기 기재층(110)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PES),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강성 및 투명성을 부여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그 사용에 있어서 크게 제한하지 아니한다.
한편, 기재층(110)의 두께(t1)는 1~15mm, 바람직하게는 1.8~14.8mm일 수 있다. 기재층(110)의 두께(t1)가 1 mm 미만이면,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고, 15mm를 초과하면, 내구성은 확보할 수 있으나, 원하는 신율을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기재층(110)이 상기 언급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적절한 가공성 및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항균층(120, 130)은 항균 성능을 갖는 층으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PES),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지 80~99중량% 및 항균 마스터배치 1~2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지가 80중량% 미만이면, 내구성이 좋지 못할 수 있고, 99중량%를 초과하면, 난연성 및 가공성이 좋지 못할 수 있다.
상기 항균 마스터배치가 1중량% 미만이면, 항균력이 미미할 수 있고, 20중량%를 초과하면, 필요 이상의 함량에 따른 상승효과는 그다지 크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함량 범위로 혼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항균 마스터배치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100중량부, 은계 항균제 1~10중량부, 산화방지제 0.1~1중량부 및 활제 0.01~0.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은계 항균제(140)가 1중량부 미만이면, 항균력이 미미할 수 있고, 10중량부를 초과하면, 필요이상의 함량에 따른 상승효과는 그다지 크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은계 항균제(140)는 은계 유기항균제, 은계 무기항균제 및 은계 이온교환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바람직하게는 무기 은계 항균제를 사용할 수 있다. 무기 은계 항균제로는 은계 지르코늄 포스페이트, 은계 제올라이트, 은계 유리계 또는 은계 유리 및 제올라이트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은계 유리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의 나노 사이즈의 은계 항균제의 경우 사이즈가 작아 인체에 쉽게 유입되어 인체에 유해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은계 항균제(140)의 평균입경을 1.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2.5㎛로 입자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인체 내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인체에 무해하다. 은의 전도성은 백금을 제외한 모든 금속 가운데 제일 크고, 이 말은 전기 저항이 제일 작다는 말과도 같다. 이러한 은계 항균제(140)는 세균, 진균, 바이러스와 같은 병원체간에 접촉할 수 있는 면적이 증가되며, 은과 접촉해서 6분 이상 생존할 수 있는 세균은 없다고 알려져 있을 정도로 항균 및 살균 효과가 탁월하다.
한편, 제1 항균층(120)의 두께(t2)와 제2 항균층(130)의 두께(t3)는 각각 10~200㎛일 수 있다. 이는 제1 및 제2 항균층(120, 130)의 두께(t2, t3)가 10㎛ 미만이면, 항균성능 및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고, 200㎛를 초과하면, 항균성능 및 내구성은 확보할 수 있으나 전체 두께가 두꺼워지며, 원하는 신율을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제1 및 제2 항균층(120, 130)이 상기 언급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적절한 가공성 및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수지가 공기와 반응하여 쉽게 산화 반응되는 것을 막아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하는 물질로 페놀계, 아민계, 유황계, 포스페이트계 및 인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시판중인 산화방지제 중 페놀계로는 Irganox 1076(BASF), AO-60/AO-60G(ADEKA), ETHANOX® 310(ALBEMARLE) 등이 있고, 포스페이트계로는 Irgafos 168(BASF), ETHAPHOSTM 368(ALBEMARLE), Hostanox® P-EPQ® FF(Clariant) 등이 있다.
상기 활제는 수지를 가열 성형할 때 유동성을 좋게 하여 가공을 쉽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로, 금속 스테아레이트계(metal stearate), 에스테르계(ester), 아마이드계(amide), 및 파라핀계(paraffin)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바람직하게는 금속 스테아레이트계(metal stearate)를 사용할 수 있다. 시판중인 활제로는 예를 들어 Hi-Lube(신원화학), Mg-St(Songwon), Ca-St(Songwon), Zn-St(Songwon), AX-71(ADEKA사), Loxiol® P-861(Emery사) 등이 있다.
본 실시예에 개시된 제1 및 제2 항균층(120, 130)는 은계 항균제 및 수지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이 아니라 은계 항균제가 포함된 항균 마스터배치 및 수지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으로, 기존 대비 은계 항균제가 수지 내에서 보다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으므로 항균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압출기를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압출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압출다이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압출기(1)는 시트 형상을 만드는 압출다이(10), 상기 압출다이(10)에 결합되고, 기재층(110)의 원료를 공급하는 제1 공급부(20), 상기 압출다이(10)에 결합되고, 제1 및 제2 항균층(120, 130)의 원료를 공급하는 제2 공급부(30) 및 상기 압출다이(10)로부터 압출된 항균시트(50)를 냉각시키는 냉각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출다이(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로(11), 상기 제1 유로(1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이격 형성되는 제2 및 제3 유로(12, 1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로(11)에는 상기 기재층(110)의 원료가 공급되고, 제2 및 제3 유로(12, 13)에는 제1 및 제2 항균층(120, 130)의 원료가 각각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 공급부(20)는 제1 호퍼(21) 및 상기 제1 호퍼(21)와 상기 압출다이(10) 간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호퍼(21)로부터 상기 압출다이(10)에 기재층(110)의 원료를 이송하는 제1 이송 스크류(25)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이송 스크류(25)는 상기 압출다이(10)의 제1 유로(11)에 연결되어 기재층(110)의 원료를 용융 및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송 스크류(25)는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용융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용융온도는 200~300℃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제2 공급부(30)는 제2 호퍼(31) 및 상기 제2 호퍼(31)와 상기 압출다이(10) 간에 구비되어 상기 제2 호퍼(31)로부터 상기 압출다이(10)에 제1 및 제2 항균층(120, 130)의 원료를 각각 이송하는 제2 및 제3 이송 스크류(33, 35)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이송 스크류(33)는 상기 압출다이(10)의 제2 유로(12)에 연결되고, 제3 이송 스크류(35)는 상기 압출다이(10)의 제3 유로(13)에 연결되어 제1 및 제2 항균층(120, 130)의 원료를 각각 용융 및 공급할 수 있다. 제2 및 제3 이송 스크류(33, 35) 역시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용융온도를 조절할 수 있고, 제2 및 제3 이송 스크류(33, 35)의 속도는 서로 동일하나 제1 이송 스크류(25)의 속도보다는 더 느릴 수 있다. 용융온도의 불균일은 압출된 항균시트(50)의 표면에 지그재그패턴 및 물결무늬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속도를 조절하여 일정 온도를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부(40)는 냉각수가 저장된 수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압출다이(10)를 통과함으로써 공압출 성형된 항균시트(50)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압출기(1)의 작동을 살펴보면, 제1 공급부(20)의 제1 호퍼(21)에 투입된 기재층(110)의 원료는 제1 이송 스크류(25)에 의해 압출다이(10)의 제1 유로(11)로 이송되고, 제2 공급부(30)의 제2 호퍼(31)에 투입된 제2 및 제3 항균층(120, 130)의 원료는 제2 및 제3 이송 스크류(33, 35)에 의해 제2 및 제3 유로(12, 13)로 각각 이송될 수 있다. 이송된 각각의 원료들은 압출다이(10)를 통과하여 항균시트(50)로 공압출되고, 냉각부(40)에 의해 냉각됨으로써 최종 항균시트가 수득될 수 있다.
실시예 1. 항균 마스터배치 제조
폴리카보네이트 100중량부에 2.5㎛의 입경을 갖는 은계 유리계 4.5중량부, 산화방지제 0.4중량부 및 활제 0.2중량부를 혼합한 후 트윈압출기(Φ32, L/D=40)로 압출하고 펠렛화하여 항균 마스터배치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중량부)
폴리카보네이트 100
은계 항균제 은계 유리계 4.5
산화방지제 금속 스테아레이트계 0.4
활재 N,N'-ethylene bis stearamide 0.2
실시예 2. 항균시트 제조
압출기를 이용하되, 공압출 성형법을 적용하여 기재층의 원료로 폴리카보네이트 100중량%를 적용하고, 제2 및 제3 항균층의 원료로 폴리카보네이트 90중량% 및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항균 마스터배치 10중량%를 적용하여 항균시트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항균성능 평가
실시예 2의 항균시트의 항균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JIS Z 2801(필름밀착법) 시험방법에 따라 실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균주로는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균주1) 및 Escherichia coli ATCC 8739(균주2)를 사용하였고, 대조군으로는 Stomacher® POLY-BAG을 사용하였다.
먼저, 균주 각각에 대하여 시험균액을 준비하고, 초기 균수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의 항균시트 및 대조군의 Stomacher® POLY-BAG을 각각 5cm×5cm의 크기로 준비하고, 상기 시험 균액 0.4ml를 항균시트 위에 적하한 후 커버필름을 덮었다. 그리고 35±1℃ 및 90% R.H.의 조건 하에서 24시간 동안 정치 배양한 후 균수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 및 도 5, 6에 나타내었다. 표 2에서 균수의 단위는 세균수/cm2이며, 항균활성치의 단위는 log이다. 항균활성치의 %계산은 하기 수학식 1에 적용될 수 있다.
Figure 112020115416699-pat00001
구분 대조군 실시예 1
황색포도상구균 초기 균수 1.8×104 -
24시간 후 3.0×104 <0.63
항균 활성치(%) - 4.6(99.9%)
대장균 초기 균수 1.5×104 -
24시간 후 9.8×105 1.0×10
항균 활성치(%) - 4.9(99.9%)
표 2 및 도 5, 6을 참조하면, 대조군에서는 황색포도상구균 및 대장균에서 모두 항균 활성치가 거의 없는데 반해 실시예 2에서는 황색포도상구균 및 대장균에서 항균 활성치가 각각 99.9%로 나타난 바 높은 항균력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항균시트 110: 기재층
120: 제1 항균층 130: 제2 항균층
140: 은계 항균제 1: 압출기
10: 압출다이 11: 제1 유로
12: 제2 유로 13: 제3 유로
20: 제1 공급부 21: 제1 호퍼
25: 제1 이송 스크류 30: 제2 공급부
31: 제2 호퍼 33: 제2 이송 스크류
35: 제3 이송 스크류 40: 냉각부
50: 항균시트

Claims (10)

  1.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형성되며, 은계 항균제가 내첨된 제1 및 제2 항균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재층과 상기 제1 및 제2 항균층은 압출기에 의한 공압출 성형법에 의해 형성된 것이며,
    상기 기재층은 폴리카보네이트이고,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1.8~14.8mm이고,
    상기 제1 및 제2 항균층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80~99중량% 및 항균 마스터배치 1~20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항균 마스터배치는 폴리카보네이트 100중량부, 은계 항균제 1~10중량부, 금속 스테아레이트계 산화방지제 0.1~1중량부 및 N,N'-ethylene bis stearamide 활제 0.01~0.5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항균층의 두께는 각각 10~200㎛이고,
    상기 은계 항균제의 평균입경은 1.0㎛ 내지 10㎛이고,
    상기 압출기는 시트 형상을 만드는 압출다이, 상기 압출다이에 결합되고, 기재층의 원료를 공급하는 제1 공급부, 상기 압출다이에 결합되고, 제1 및 제2 항균층의 원료를 공급하는 제2 공급부 및 상기 압출다이로부터 압출된 항균시트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급부는 제1 호퍼 및 상기 제1 호퍼와 상기 압출다이 간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호퍼로부터 상기 압출다이에 기재층의 원료를 이송하는 제1 이송 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공급부는 제2 호퍼 및 상기 제2 호퍼와 상기 압출다이 간에 구비되어 상기 제2 호퍼로부터 상기 압출다이에 제1 및 제2 항균층의 원료를 각각 이송하는 제2 및 제3 이송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및 제3 이송 스크류의 속도는 제1 이송 스크류의 속도보다 더 느리고,
    황색포도상구균 및 대장균에 대한 항균 활성치가 99.7 내지 99.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시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다이는,
    제1 유로,
    상기 제1 유로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2 및 제3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로에는 상기 기재층의 원료가 공급되고, 상기 제2 및 제3 유로에는 제1 및 제2 항균층의 원료가 각각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시트.




KR1020200142291A 2020-10-29 2020-10-29 항균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534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291A KR102534642B1 (ko) 2020-10-29 2020-10-29 항균시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291A KR102534642B1 (ko) 2020-10-29 2020-10-29 항균시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236A KR20220057236A (ko) 2022-05-09
KR102534642B1 true KR102534642B1 (ko) 2023-05-22

Family

ID=81583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291A KR102534642B1 (ko) 2020-10-29 2020-10-29 항균시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6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46196A (zh) * 2023-04-06 2023-07-18 天津市西青区天航临近空间材料科学研究院 一种医用射线防护材料的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7142A (ja) * 2003-08-27 2005-03-17 Takiron Co Ltd ポリエステル樹脂成形体
JP2014125571A (ja) * 2012-12-27 2014-07-07 Sumika Styron Polycarbonate Ltd 表層材用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752B1 (ko) 2006-06-27 2007-08-31 주식회사 한샘 은나노코팅 표면재의 제조방법
KR100800611B1 (ko) 2007-01-22 2008-02-05 이래철 그라비아 인쇄된 은나노 항균 포장재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609129B1 (ko) * 2014-09-12 2016-04-05 신흥화학(주) 다층 필름 제조방법
EP3616910A4 (en) * 2017-04-28 2021-01-27 Kuraray Co., Ltd. MULTI-LAYER FILM OF THERMOPLASTIC RESIN, ITS MANUFACTURING PROCESS, AND LAMINAT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7142A (ja) * 2003-08-27 2005-03-17 Takiron Co Ltd ポリエステル樹脂成形体
JP2014125571A (ja) * 2012-12-27 2014-07-07 Sumika Styron Polycarbonate Ltd 表層材用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236A (ko) 202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70030C (en) Antimicrobial transparent plastic in the form of film or extruded shape
DE602005004267T2 (de) Biozid wirkende zusammensetzungen u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KR102534642B1 (ko) 항균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997000B1 (ko) 항균 필름
CA2483239A1 (en) Multilayer oriented antimicrobial and antifogging films
WO2016182145A1 (ko) 데코타일 표층용 친환경수지 조성물 및 이를 구비한 데코타일
CN111425671B (zh) 一种三层共挤抗菌pp-r给水管及其制备方法
JP2007528439A (ja) 殺生物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21150A (ko) 데코 시트
JP2011236703A (ja) 壁装材用抗菌防汚フィルム及びそれを積層して成る壁装材
KR102413388B1 (ko) 폴리카보네이트 항균필름 및 그 제조방법
TWI718094B (zh) 具有抗微生物/抗真菌板材及清淨空間能力之照明裝置
JP4441414B2 (ja) フッ化ビニリデン系樹脂フィルム
KR20220004875A (ko) 교차오염 및 교차감염 방지를 위한 다층 항균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183573B (zh) 一种抗菌防霉卫生包装袋及其制备工艺
JP3104200B2 (ja) 抗菌性合成樹脂延伸フィルム及び抗菌性ラミネート体
TWM583375U (zh) 防霧貼合膜
CN103333475A (zh) 一种杀菌聚碳酸酯荧光薄膜
Merchan et al. Characterization of antibacterial, mechanical,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polyvinyl chloride/silver nitrate composites prepared by thermoplastic compounding
KR100785172B1 (ko) 내스크래치성 무광 플라스틱 필름
JP4022298B2 (ja) 抗菌性フィルム
KR20170096681A (ko) 3층 구조의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매트 필름
JP2005067142A (ja) ポリエステル樹脂成形体
KR200373774Y1 (ko) 항균 물질을 포함한 표면층이 형성된 bopp 필름
CN220486976U (zh) 一种抗菌聚丙烯板体及墙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