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4497B1 - 원거리 통신 장치들 및 방법들 - Google Patents

원거리 통신 장치들 및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4497B1
KR102534497B1 KR1020187007872A KR20187007872A KR102534497B1 KR 102534497 B1 KR102534497 B1 KR 102534497B1 KR 1020187007872 A KR1020187007872 A KR 1020187007872A KR 20187007872 A KR20187007872 A KR 20187007872A KR 102534497 B1 KR102534497 B1 KR 102534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node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7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3070A (ko
Inventor
유신 웨이
히데지 와카바야시
신이치로 츠다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63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using selective relaying for reaching a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or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제1 이동 단말기, 제2 이동 단말기 및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이동 노드를 포함하는 이동 원거리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대-단말기 통신을 릴레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제1 이동 단말기와 제2 이동 단말기 사이의 제1 링크 품질을 측정하는 단계 - 제1 이동 단말기와 제2 이동 단말기는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확립하고 있거나 또는 확립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함 -; 적어도 측정된 제1 링크 품질에 기초하여, 이동 노드가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기 위해 적합한 후보라는 것을 식별하는 단계; 및 이동 노드가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거리 통신 장치들 및 방법들
본 개시내용은 원거리 통신 장치들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 제공된 "배경" 설명은 본 개시내용의 맥락을 일반적으로 제시하는 목적을 위한 것이다. 달리 출원 시에 종래 기술이라고 할 만한 것이 아닐 수 있는 설명의 양태들뿐만 아니라, 본 배경 설명에서 설명된 정도까지의 본 발명자들의 연구는 명시적으로나 암시적으로 본 발명에 대한 종래 기술로서 인정하는 것은 아니다.
3GPP 정의된 UMTS 및 롱 텀 에볼루션(LTE) 및 롱 텀 에볼루션 어드밴스트(LTE-A) 아키텍처에 기초한 것들과 같은 이동 원거리 통신 시스템들은 이전 세대들의 이동 원거리 통신 시스템들에 의해 제공된 간단한 음성 및 메시징 서비스들보다 더 정교한 서비스들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시스템들에 의해 제공된 개선된 무선 인터페이스 및 향상된 데이터 속도들로, 사용자는 이전에는 단지 고정된 라인 데이터 접속을 통해 가능했었을 이동 통신 디바이스들 상에서 비디오 스트리밍 및 화상 회의와 같은 높은 데이터 속도 응용들을 즐길 수 있다.
4세대 네트워크들을 구축하려는 수요가 그러므로 강하고 이들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영역, 즉 네트워크들에의 액세스가 가능한 지리적 위치들이 급속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4세대 네트워크들의 커버리지 및 능력이 이전 세대들의 통신 네트워크들의 것들을 상당히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러한 네트워크들에 의해 서비스될 수 있는 네트워크 능력 및 지리적 영역들에 여전히 제한들이 있다. 이들 제한은 예를 들어, 단말기 디바이스들(통신 디바이스들)의 그룹이 빠르고 신뢰성있는 방식으로 서로 정보를 교환하려는 요망이 있는 상황들에 특히 관련될 수 있다. 이들 제한을 해결하는 것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 무선 원거리 통신 시스템 내의 단말기 디바이스들이 기지국과 같은 인프라 장비 요소를 통해 통과하는 일부 또는 모든 그들의 통신들 없이 서로 직접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방식들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통신들을 보통 일반적으로 디바이스-대-디바이스(D2D) 통신들이라고 한다. 많은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들은 브로드캐스트형 방식으로 한 디바이스에 의해 복수의 다른 디바이스들에 송신되고 그래서 그런 의미에서 문구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들"은 또한 "디바이스-대-디바이스들 통신들"을 커버한다.
그러므로, D2D 통신들은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을 때와 (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범위에 대한 지리적 제한들로 인해 또는 네트워크가 실패했고 또는 네트워크가 오버로드되므로 실제로 단말기 디바이스에 가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커버지리 영역 밖에 있을 때 모두에서, 충분히 가깝게 인접하여 있는 통신 디바이스들이 서로 직접 통신하게 한다. D2D 통신들은 사용자 데이터가 기지국과 같은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릴레이될 필요를 없앰으로써 사용자 데이터가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보다 효율적이고 빠르게 통신되게 할 수 있다. D2D 통신들은 또한 하나 또는 2개의 디바이스들이 네트워크의 신뢰성있는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지 않을 때에도 통신 디바이스들이 서로 통신하게 한다. 통신 디바이스들이 커버리지 영역들 안과 밖 모두에서 동작하는 능력은 D2D 능력들을 포함하는 무선 원거리 통신 시스템들이 예를 들어, 공중 보호 / 안전 및 재난 구조(PPDR)와 같은 응용들에 잘 맞게 한다. PPDR 관련 통신들은 고도의 강건성으로부터 이점을 얻을 수 있음으로써 디바이스들이 혼잡한 네트워크들에서 및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을 때 서로 계속 통신할 수 있다. 3GPP는 릴리스 12에서 LTE 네트워크들에서의 이러한 공중 안전 D2D 사용을 위한 일부 제안들을 개발하였다.
동시에, 원거리 통신 시스템 내의 릴레이 노드들의 개발은 기지국들과의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고 단말기 디바이스들과 기지국들 사이의 통신들을 릴레이함으로써 기지국들의 커버리지의 범위를 잠재적으로 확장시키는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D2D 구성들의 복잡성 및 특히 (통상적인 이동 네트워크 내의 기지국들과 같은) 집중화된 제어 점들의 부족으로 인해, D2D 통신들에 대한 릴레잉 해결책이 현재 없다.
제1 예시적인 양태에 따르면, 제1 이동 단말기, 제2 이동 단말기 및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이동 노드를 포함하는 이동 원거리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대-단말기 통신을 릴레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사이의 제1 링크 품질을 측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확립하고 있거나 또는 확립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함 -; 적어도 상기 측정된 제1 링크 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노드가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기 위해 적합한 후보라는 것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노드가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의 청구범위 및 조항들에서 논의된 이들 방법 단계 및 가능한 추가의 구성들 중 어느 것은 적절한 경우에 이동 단말기, 이동 노드 및/또는 기지국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할 만하다. 또한, 제1 예시적인 양태에 대한 논의들 및 교시들이 기타 예시적인 양태, 예를 들어 아래에 논의된 제2 내지 제12 예시적인 양태들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동등하게 적용한다.
제2 예시적인 양태에 따르면, 제1 이동 단말기, 제2 이동 단말기 및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이동 노드를 포함하는 원거리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이동 단말기를 동작시키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사이의 제1 링크 품질을 측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확립하고 있거나 또는 확립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함 -; 적어도 상기 측정된 제1 링크 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노드가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기 위해 적합한 후보라는 것을 식별하는 단계; 및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로서 상기 이동 노드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예시적인 양태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 제2 이동 단말기 및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이동 노드를 포함하는 이동 원거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가 제공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사이의 제1 링크 품질을 측정하고 -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확립하고 있거나 또는 확립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함 -; 적어도 상기 측정된 제1 링크 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노드가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기 위해 적합한 후보라는 것을 식별하고;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로서 상기 이동 노드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제4 예시적인 양태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 제2 이동 단말기 및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이동 노드를 포함하는 이동 원거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용 회로가 제공되고, 상기 회로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사이의 제1 링크 품질을 측정하고 -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확립하고 있거나 또는 확립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함 -; 적어도 상기 측정된 제1 링크 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노드가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기 위해 적합한 후보라는 것을 식별하고;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로서 상기 이동 노드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해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된 제어기 요소 및 송수신기 요소를 포함한다.
제5 예시적인 양태에 따르면, 제1 이동 단말기, 제2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노드를 포함하는 이동 원거리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대-단말기 통신을 릴레이하는 이동 노드를 동작시키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이동 노드는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가능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이동 노드가 적어도 측정된 제1 링크 품질에 기초하여 - 상기 제1 링크 품질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사이에서 측정되고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확립하고 있거나 또는 확립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함 -, 상기 이동 노드가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기 위해 적합한 후보라는 것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6 예시적인 양태에 따르면, 제1 이동 단말기, 제2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노드를 포함하는 이동 원거리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대-단말기 통신을 릴레이하는 이동 노드가 제공되고, 상기 이동 노드는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가능하고 적어도 측정된 제1 링크 품질에 기초하여 - 상기 제1 링크 품질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사이에서 측정되고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확립하고 있거나 또는 확립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함 -, 상기 이동 노드가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기 위해 적합한 후보라는 것을 식별하고;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제7 예시적인 양태에 따르면, 제1 이동 단말기, 제2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노드를 포함하는 이동 원거리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대-단말기 통신을 릴레이하는 이동 노드용 회로가 제공되고, 상기 회로는 적어도 측정된 제1 링크 품질에 기초하여 - 상기 제1 링크 품질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사이에서 측정되고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확립하고 있거나 또는 확립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함 -, 상기 이동 노드가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기 위해 적합한 후보라는 것을 식별하고;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기 위해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된 제어기 요소 및 송수신기 요소를 포함한다.
제8 예시적인 양태에 따르면, 제1 이동 단말기, 제2 이동 단말기 및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이동 노드를 포함하는 이동 원거리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대-단말기 통신을 릴레이하는 기지국을 동작시키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사이의 제1 링크 품질에 관한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확립하고 있거나 또는 확립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함 -; 적어도 상기 측정된 제1 링크 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노드가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기 위해 적합한 후보라는 것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이동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이동 노드에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상기 이동 노드를 사용하라고 명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9 예시적인 양태에 따르면, 제1 이동 단말기, 제2 이동 단말기 및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이동 노드를 포함하는 이동 원거리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대-단말기 통신을 릴레이하는 기지국이 제공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사이의 제1 링크 품질에 관한 측정 보고를 수신하고 -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확립하고 있거나 또는 확립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함 -; 적어도 상기 측정된 제1 링크 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노드가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기 위해 적합한 후보라는 것을 식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이동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이동 노드에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상기 이동 노드를 사용하라고 명령하도록 구성된다.
제10 예시적인 양태에 따르면, 제1 이동 단말기, 제2 이동 단말기 및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이동 노드를 포함하는 이동 원거리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대-단말기 통신을 릴레이하는 기지국용 회로가 제공되고, 상기 회로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사이의 제1 링크 품질에 관한 측정 보고를 수신하고 -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확립하고 있거나 또는 확립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함 -; 적어도 상기 측정된 제1 링크 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노드가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기 위해 적합한 후보라는 것을 식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이동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이동 노드에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상기 이동 노드를 사용하라고 명령하기 위해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된 제어기 요소 및 송수신기 요소를 포함한다.
제11 및 제12 예시적인 양태에 따르면, 각각,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방법들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추가의 각각의 양태들 및 특징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전술한 단락들은 일반적 소개에 의해 제공되었고, 다음의 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추가 장점들과 함께, 설명된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취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최상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내용 및 그것의 부수적인 장점들 중 많은 것의 보다 완전한 이해가 유사한 참조 번호들이 여러 도면에 걸쳐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부분들을 지시하는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고려될 때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됨에 따라 용이하게 이루어질 것이다.
도 1은 이동 원거리 통신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개략도를 제공하고;
도 2-5는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지원의 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6은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를 선택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예시를 제공하고;
도 7은 트리거 기준들의 예시적인 유형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8은 측정-기반 이벤트의 예를 도시하고;
도 9는 릴레이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데스티네이션들의 예를 도시하고;
도 10은 MAC PDU의 예를 도시하고;
도 11은 가능한 릴레이 선택 기준들을 도시하고;
도 12는 가능한 릴레이 통지 유형들의 예를 도시하고;
도 13은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를 선택하는 또 하나의 예시적인 방법의 예시를 제공한다.
도 1은 LTE 원리들에 따라 일반적으로 동작하고, 아래에 더 설명되는 것과 같은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도록 적응될 수 있는, 본 예에서, 이동(셀룰러)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 / 시스템의 일부 기본적 기능성을 도시한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1의 다양한 요소들 및 그들 각각의 동작 모드들은 널리 공지되어 있고 3GPP(RTM) 기구에 의해 관리되는 관련 표준들에서 정의되고, 또한 그 주제에 관한 많은 책들, 예를 들어, Holma H. and Toskala A. [1]에서 설명된다. 아래에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 양태들이 임의의 공지된 기술들에 따라, 예를 들어 관련된 표준들 및 그것의 공지된 변화들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또한, 여기에 설명된 일부 특정한 예들이 특정한 3GPP 구현들 주위에 기초한 구현들을 참조할 수 있지만, 동일한 원리들이 네트워크의 기본적인 동작 원리들에 관계없이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즉, 동일한 원리들이 과거, 현재 또는 아직 특정되지 않은 것이든 간에, 다른 표준들에 따라 동작하는 무선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들에 적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코어 네트워크(102)에 접속된 복수의 기지국들(101)을 포함한다. 각각의 기지국은 데이터가 단말기 디바이스들(104)과 통신될 수 있는 커버리지 영역(103)(즉, 셀)을 제공한다. 데이터는 무선 다운링크를 통해 그들 각각의 커버리지 영역들(103) 내에서 기지국들(101)로부터 단말기 디바이스들(104)로 송신된다. 데이터는 무선 업링크를 통해 단말기 디바이스들(104)로부터 기지국들(101)로 송신된다. 업링크 및 다운링크 통신들은 네트워크의 운영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무선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코어 네트워크(102)는 각각의 기지국들(101)을 통해 단말기 디바이스들(104)에 및 그들로부터 데이터를 라우트하고 인증, 이동성 관리, 과금 등과 같은 기능들을 제공한다. 기지국들(101) 및 단말기 디바이스들(104) 외에,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들 / 디바이스들(105)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관련 셀(들)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 디바이스들에 대한 커버리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들의 위치들에 대한) 릴레이 노드들의 구축은 무선 원거리 통신 시스템들에서 커버리지를 지원하기 위해 릴레이 노드들을 사용하는 일반적으로 확립된 기술들을 따를 수 있다. 용어에 대해서, 단말기 디바이스들은 또한 이동국들, 사용자 장비(UE), 사용자 단말기, 이동 무선기, 이동 단말기, 이동 디바이스 등을 지칭할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유사하게, 기지국들은 또한 송수신국들 / nodeB들 / e-nodeB들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릴레이 노드들은 또한 릴레이 디바이스들 / 릴레이들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다른 단말기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통신들을 지원하는 것을 돕기 위해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할 수 있다. 즉, 릴레이 디바이스의 기능성은 적합하게 구성된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3GPP 정의된 롱 텀 에볼루션(LTE) 아키텍처에 따라 구성된 것들과 같은 이동 원거리 통신 시스템들은 무선 다운링크(소위 OFDMA) 및 무선 업링크(소위 SC-FDMA)를 위한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스(OFDM) 기반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도 2-5는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지원의 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의 예에서, 릴레이(때때로 릴레이 노드 또는 "RN"이라고 함)로서 동작하는 이동 노드 및 2개의 단말기들 UE1 및 UE2는 모두 기지국(eNB)의 커버리지 내에 있고, 단말기들은 셀의 에지에 배치된다. 통상적인 구성에서, UE1 및 UE2가 기지국의 커버리지 하에 있고 D2D 통신을 셋업하기를 원하면, 그들은 기지국으로부터 리소스들을 요청하여야 하고 그들이 D2D 통신을 완전히 확립할 수 있기 전에 기지국의 할당을 대기한다. UE1 또는 UE2 중 하나가 리소스 할당을 지시하는 기지국으로부터, 때때로 업링크 허가라고 하는, 허가를 수신하면, 통상적으로 그것은 브로드캐스트 스케줄링 할당에서의 할당된 리소스들을 알릴 것이다. UE1 및 UE2 중 다른 하나가 이 리소스 할당 정보를 얻을 때, 그들은 둘 다 이들 특정한 리소스 상에서 D2D 통신을 시작할 수 있다. UE1 및/또는 UE2와 기지국 사이의 링크가 나쁜 품질(예를 들어, 약한 전력들 및/또는 다른 신호들로부터의 간섭들이 있음)인 경우들에서, (스케줄링 할당의 송신 및 D2D 통신 데이터 둘 다를 위한) 업링크 허가가 항상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지 않을 수 있고 기지국으로부터의 임의의 미래의 제어 시그널링은 또한 동일한 문제에 직면할 수 있다. 또 하나의 단말기, 또는 기타 유형의 이동 모드 또는 디바이스가 기지국과 셀 에지 단말기들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에, 이 단말기는 D2D 링크의 확립 및 임의의 후속하는 D2D 데이터 통신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지원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RN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N 이동 노드가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한다면, 기지국은 UE1-RN 통신들을 위한 리소스들 및 UE2-RN 동작들을 위한 또 하나의 리소스에 대한 허가를 송신할 수 있고 다음에 RN은 UE1과 UE2 사이의 단말기-대-단말기 통신들을 셋업하는 것과 수행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또한, UE1과 UE2 사이의 릴레이를 사용함으로써, 셀의 에지에 있든 아니든 간에, 이들 UE들에 의해 사용된 송신 전력이 감소됨으로써 전력 소비 및 간섭들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또 하나의 예에서, 단말기들 UE1 및 UE2가 기지국의 커버리지 밖에 있다. 도 3의 예에서, UE1 및 UE2는 기지국의 셀 밖에 배치되고 RN은 셀 내에 배치되는 반면 UE1 및 UE2는 기지국의 셀 내에 배치되고 RN은 (기지국의 유무가 관련성을 갖지 않도록) 기지국의 범위 밖에 배치된다. 통상적인 D2D 시스템에서, UE1 및 UE2가 D2D 통신을 확립하기를 결정하면, 2개의 단말기들 중 하나는 제어 및/또는 데이터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들을 송신하기 위해 리소스 풀로부터 리소스들을 선택할 수 있다. 리소스 풀은 사전 구성되고/되거나, 반-정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2개의 단말기들에 근접하여 다른 D2D 통신들과의 일부 리소스 충돌이 이 유형의 자율 선택 방식으로 발생할 수 있지만, 이것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 밖이다. 또 하나의 단말기(또는 또 하나의 이동 노드)가 2개의 이들 단말기의 범위 내에 배치되면,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의 이러한 이동 노드의 지원은 2개의 단말기들 사이의 D2D 통신들을 도울 수 있다. 또한, 일부 예들에서, 이러한 RN은 D2D 리소스 풀로부터의 D2D 리소스의 할당을 위한 중앙 제어기로서 또한 동작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UE1과 UE2 사이의 D2D 통신 링크의 품질은 릴레이 노드를 사용하여 개선될 수 있고, 잠재적으로 영역 내의 다른 D2D 통신들의 품질이 리소스들 충돌 및/또는 간섭들의 레벨이 감소될 수 있다면 또한 개선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또 다른 예에서, 단말기들 UE1-UE3 및 이동 노드 RN은 동일한 영역 내에 배치된다. 이들 4개의 이동 노드의 어느 것도 기지국의 범위 내에 있지 않을 수 있거나 이들 중 일부 또는 모두가 (셀의 에지 상에 있든 아니든) 기지국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고 또는 커버리지 밖에 있을 수 있다.
서로로부터 상대적으로 멀 수 있는 UE2 및 UE3은 D2D 링크를 확립하거나 유지하는 일부 어려움을 가질 수 있다. 상황을 개선시키기 위한 가능한 선택들 중 하나는 단말기들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어 그들 각각의 송신들이 다른 단말기에 보다 쉽게 도달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선택은 UE의 전력 소비를 증가시킬 것이고 또한 영역 내의 다른 통신들과의 간섭들(또는 그 영향의 증가)을 야기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적어도 하나의 이동 노드가 UE2와 UE3 (예를 들어, 도 5 내의 RN과 UE1) 사이 내에 놓이고 그들의 D2D 통신으로 이들 단말기를 지원할 수 있다면, 상기 단점들의 일부의 영향이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D2D 단말기들(예를 들어, UE2, UE3) 사이 내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예를 들어, RN, UE1)가 이들 2개의 D2D 단말기들을 위한 릴레이로서 동작하거나 이들 2개의 D2D UE들을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로서 또 하나의 단말기(예를 들어, UE1, RN)를 할당할 수 있으면, D2D 통신들이 개선될 수 있다. 한 예에서, 그리고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RN이 디폴트로 또는 선택에 의해, UE2와 UE3 사이의 D2D 통신들을 위한 릴레이로서 동작할 수 있고, 이 이동 노드는 또한 UE1이 UE1과 UE2 사이의 D2D 통신들을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가 되도록 UE1에 릴레이 기능을 할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단말기는 또한 영역 내의 하나 이상의 D2D 단말기에 대한 리소스 할당을 관리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를 사용하면 네트워크의 에너지 효율 및 스펙트럼 효율에의 나쁜 영향을 제한하면서 전체적인 네트워크 성능을 개선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들로 지원하는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를 선택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도 6은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를 선택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예시를 제공한다. 방법(600)이 시작하고 S601에서, 하나 이상의 트리거 이벤트가 하나 이상의 이동 노드에서 구성된다. 일부 예들에서, 트리거 이벤트들이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되거나 업데이트될 수 있고, 이동 노드들에서 사전 구성될 수 있고/있거나 기타 적합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이벤트와 함께 사용될 임계들이 전용 시그널링으로,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로의 reportConfig 정보 요소(IE)를 통해 네트워크에 의해 통신될 수 있다. 다음에, S602에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선택을 개시하기 위해 이들 이벤트(들)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 노드에서 트리거되었는지가 결정되거나 모니터된다. 이러한 이벤트가 트리거되지 않았다면, 이동 노드는 이벤트(들)를 계속 모니터한다. 그러나 이벤트가 트리거되었다면, 방법은 S603으로 이동하여 여기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가 선택된다. 일부 예들에서 S603은 S602에서의 동일 이동 노드에 의해 수행될 것이지만, 다른 예들에서 그것은 상이한 이동 노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할 만하다. 예를 들어, 트리거 이벤트(들) 모니터링은 단말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지만 릴레이 선택은 기지국, 또 하나의 단말기, 또는 기타 이동 노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릴레이 노드가 이동 노드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 관련 당사자들에게 선택된 릴레이 노드가 통지된다(S604). 예를 들어 2개의 단말기들이 D2D 통신을 하고 이동 노드가 이 D2D 통신을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로서 식별되었다면, 이들 3개의 당사자들 각각은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로서 동작하게 될 이동 노드를 알게 되어야 한다. 이동 노드가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로서 자체로 식별된 경우에, 이것은 예를 들어 릴레이 노드, 네트워크(예를 들어, 기지국) 등에 의해 2개의 단말기들에 통지될 수 있다. 단말기들 중 제1 단말기가 릴레이 노드로서 이동 노드를 식별한 경우에, 이것은 예를 들어 제1 단말기에 의해, 네트워크 등에 의해, 다른 단말기 및 이동 노드에 통지될 수 있다.
모든 당사자들에게 릴레이 선택이 통지되었을 때, 관련된 2개의 단말기들 사이의 D2D 통신이 릴레이 노드의 지원으로 셋업 및/또는 수행될 수 있다(S605).
다음의 논의에서, 릴레잉이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잉을 위해 어떻게 셋업될 수 있는지에 관한 상이한 양태들이 논의될 것이다. 그들이 기술적으로 달성가능한 한, 교시들의 임의의 가능한 조합이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서 이와 관련하여 제공되는 것이 의도되고, 통상의 기술자가 본 개시내용으로부터 이해하는 바와 같이, 일부 조합들이 상황 및/또는 가까이의 구성에 따라 다른 것보다 적합하거나 유리할 수 있다.
도 7은 이벤트(또는 적절한 경우에 측정 보고)를 트리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상이한 유형들의 기준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의 예에서, 예시적인 기준들은 채널 품질 및 특히 2개의 링크들: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Uu 링크 및 2개의 단말기들 사이의 PC5 링크에 대한 채널 품질에 관련된다. 본 개시내용에서, 용어 "요청" UE 또는 단말기는 D2D 링크를 확립하기를 원하거나 적어도 또 하나의 (또한 "요청") 단말기와 D2D 링크를 이미 확립한 단말기를 지칭할 것이다. 아래에 논의되는 일부 예들에서 단지 2개의 요청 UE들이 (예를 들어, D2D 유니캐스트 통신을 위해) 고려되지만, 다른 예들에서 3개 이상의 요청 UE들이 (예를 들어, 2개 이상의 다른 단말기들과의 D2D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위해) 고려될 수 있다. 하나의 상황에 대해 제공된 교시들이 그것이 기술적으로 가능한 한, 역시 다른 상황을 위해 적용하는 것으로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예시적인 측정들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을 포함한다:
(1) Uu 링크 품질은 RSRP_Uu라고 하고, 이는 요청 UE와 네트워크 사이의 링크 품질을 지시하고, 요청 UE가 기지국(예를 들어, eNobdeB)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경우이고;
(2) 2개의 요청 UE들 사이의 PC5 링크 품질은 RSRP_ReqU_PC5라고 하고;
(3) 이웃 UE와 요청 UE 사이의 PC5 링크 품질은 RSRP_NeighU_PC5라고 한다.
RSRP_ReqU_PC5로 참조된 측정은 요청 UE들 사이의 현재의(또는 잠재적인) D2D 통신을 위한 D2D 링크 품질을 측정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RSRP_NeighU_PC5 측정은 잠재적인 UE-대-UE 릴레이 후보들의 식별을 지원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이전의 구성들에서, 이동 시스템을 고려한 측정들은 Uu 링크(1) 또는 UE와 이웃 UE 사이의 PC5 링크(3)를 포함한다는 점에 주목할 만하지만 2개의 요청 UE들 사이의 PC5 링크(2)는 이전에 고려되지 않았다고 생각된다. 이 유형의 측정이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 구성의 확립을 위해 본 개시내용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제1 유형(1)의 측정을 위해, 채널 참조 신호(CRS) 또는 채널 상태 정보-참조 신호(CSI-RS)에 기초한 통상적인 RSRP 또는 RSRQ 측정이 채택될 수 있거나 기타 적합한 유형의 채널 품질 측정이 채택될 수 있다. 제2 및 제3 유형들(2) 및 (3)의 측정을 위해, 물리적 사이드링크 발견 또는 공유된 채널(PSDCH 또는 PSSCH) 상의 복조 참조 신호(DMRS)의 통상적인 RSRP 또는 RSRQ 측정, 디바이스-대-디바이스 발견 또는 공유된 채널 상의 RSRP-유사 또는 RSRQ-유사 측정, 사이드링크 동기화 시그널링의 RSRP 측정, 또는 기타 적합하고 적절한 유형의 측정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측정의 명칭이 "RSRP"를 포함하지만, 이 명칭은 단지 예시적인 명칭이고 여기에 제공된 교시들이 RSRP 또는 RSRP-유사 측정들로 제한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할 만하다.
릴레이 선택을 위한 트리거들(및 릴레이 선택)이 이들 측정 중 어느 것에 기초할 수 있다. 이들 트리거는 예를 들어:
- 하나 이상의 이동 노드로부터의 측정 보고들
- 그것이 릴레이 검색을 개시하여야 한다는 것을 검출하는 요청 단말기들 중 하나
- 그것이 D2D 릴레잉을 제공함으로써 지원할 수 있다는 것을 검출하는 이웃 단말기 및
- D2D 릴레잉이 선호된다는 것을 검출하는 네트워크(예를 들어, 기지국)
에 기초하여 작동될 수 있다.
트리거링 이벤트의 예("event1"용)가 도 8과 관련하여 아래에 논의된다.
Event1: RSRP_ReqU_PC5가 임계보다 나쁘게 되는 것
RSRP_ReqU_PC5가 모니터되는 동안, 그것은 임계 "T"와 비교되고 그것이 임계 T 아래로 떨어지면, 이 이벤트는 트리거된다. 이벤트들의 다른 예들이 아래에 제공되지만, 통상의 기술자는 더 많거나 적은 수의 이벤트들이 사용될 수 있고 상이한 이벤트들이 역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8의 예에서, 이벤트는 측정 보고를, 단말기가 커버리지 내에 있는 경우에 예를 들어 기지국에 또는 (다른 예들에서 측정 보고들이 송신될 수 없지만, 예를 들어 단말기가 릴레이 노드를 결정하면) 또 하나의 이동 노드에 트리거한다. 도 8의 예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이벤트의 조건이 맞는 것과 보고의 송신 간에 일반적으로 지연이 있다.
추가의 트리거 이벤트들이 아래에 논의된다.
Event2: RSRP_NeighU_PC5가 임계보다 좋게 되는 것
이 이벤트는 이웃 단말기가 요청 단말기들 중 하나와 잠재적으로 매우 좋은 링크 품질을 가지어 이 단말기가 나중에 릴레이에 대한 필요가 생기는 경우에 잠재적으로 적합한 릴레이 노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Event3: RSRP_NeighU_PC5가 RSRP_ReqU_PC5보다 좋게 되는 것
Event4: RSRP_NeighU_PC5가 RSRP_ReqU_PC5보다 오프셋만큼 좋게 되는 것
이들 이벤트에서, 2개의 요청 단말기들 사이의 링크 품질은 이웃 단말기와의 링크보다 나쁠 수 있거나, 오프셋 인자가 고려되더라도 이 링크보다 나쁘게 된다. 또한, 이것은 측정 요청 단말기가 또 하나의 요청 단말기보다 이 이웃 단말기와 더 좋게 이미 통신할 수 있음에 따라 이웃 단말기가 요청 단말기들 사이의 통신을 위한 잠재적으로 유용한 릴레이 노드 후보로서 자신을 제시할 수 있다는 것을 잠재적으로 지시할 수 있다.
Event5: RSRP_ReqU_PC5가 임계 5-1보다 나쁘게 되고 RSRP_NeighU_PC5가 임계 5-2보다 좋게 되는 것
이 예에서, 요청 단말기들 사이의 링크의 품질이 소정의 미리 결정된 품질 아래로 떨어지는 반면에, 동시에, 요청 단말기와 이웃 단말기 사이의 링크 품질이 임계보다 높다. D2D 링크 상에서의 품질의 이 조합된 손실 및 이웃 링크에 대한 높은 품질은 D2D 링크가 나쁜 품질을 겪고 이웃 단말기가 D2D 링크 상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Event6: RSRP_Uu가 임계 6-1보다 나쁘게 되고, RSRP_ReqU_PC5가 임계 6-2보다 나쁘게 되고, RSRP_NeighU_PC5가 임계 6-3보다 좋게 되는 것
이 경우에, 요청 단말기와 (i) 한편으로 또 하나의 요청 단말기 사이와 (ii) 다른 한편으로 기지국 사이의 링크가 현재 낮은 품질이지만 이웃 단말기와의 링크는 비교적 좋은 품질이다. 결과적으로, D2D 링크는 일부 품질 요건들에 계속 맞게 되도록 지원을 요구할 수 있고 요청 단말기들은 요청 UE와 기지국 사이의 나쁜 링크에 비추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유용한 지원을 획득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동시에, 그러나 이웃 UE와의 링크는 비교적 좋으므로, 이 이웃 노드는 2개의 요청 단말기들 사이의 단말기-대-단말기 통신을 릴레이하는 후보일 수 있다.
측정 보고들이 송신되는 경우에, 많은 이동 노드들은 Uu 및/또는 PC5 링크들 측정들에 기초하여 측정 보고들을 송신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잠재적으로 많은 수의 보고들이 송신되게 할 수 있고 결국 무선 및/또는 에너지 리소스들의 낭비 및 데이터 통신들을 위해 가용한 처리율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들의 수가 이들 가능한 부작용을 피하기 위한 관점에서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의 방식들 중 하나 이상이 실시될 수 있다. 먼저 측정을 위해 구성될 UE들의 수가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지 상당히 활성인 D2D 단말기들 및/또는 잠재적인 후보 릴레이들이 측정들을 수행하고 보고들을 송신하는 단말기들로서 구성될 수 있다. (제1 예와 조합될 수 있는) 제2 예에서, 측정 보고들의 수는 송신될 측정 보고들의 수를 제한함으로써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될 측정 보고에 대해, 단지 가장 좋은 것과/가장 나쁜 것이 송신될 수 있고 다른 것들은 송신되지 않을 수 있다. event2를 예로 하면, 제1 단말기가 10개의 이웃 단말기들을 갖고 그들 중 7개가 임계보다 좋은 링크 품질을 가지면, event2에 따라, (그것이 단일 또는 다중 메시지로서 송신되는 것과 관계없이) 측정 보고가 제1 단말기와 임계보다 높은 관련된 7개의 이웃 단말기들 사이의 7개의 링크 품질 측정들 각각을 포함하여야 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예에 따라, 보고들의 수는 예를 들어 보고로 단지 가장 좋은 n개의 링크 품질 측정들을 송신함으로써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3이면, 이 예에서 원래의 7개 중에서 단지 3개의 측정들이 보고될 것이고 - 단지 하나 또는 2개의 측정들이 event2를 트리거하면, 이들 중 모두가 보고될 수 있다. 수 n은 예를 들어 단말기에서 사전 구성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로의 reportConfig 정보 요소(IE)에서,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측정의 양을 제한하는 이러한 방식(들)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가능할 수 있고/있거나 구성 파라미터들이 이웃 단말기들에 의해 송신 또는 전송될 수 있으므로, 그것은 네트워크의 현재 필요들 및 사용에 맞도록 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거나, 단말기에서 사전 구성될 수 있다.
예들 event1-event6이 위에 제공되었지만, 다른 측정 트리거들이, 있다면, 릴레이 선택을 선행할 수 있는 측정 보고 송신을 트리거하기 위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event2는 측정 보고 송신을 트리거할 수 있지만 릴레이 노드에 대한 적합한 후보를 식별하기를 시도하기 위해 릴레이 선택을 자동으로 트리거하지 않을 수 있는 반면, event1은 측정 보고의 송신과 릴레이 선택 둘 다를 트리거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이웃과의 비교적 좋은 링크는 기지국에의 측정 보고를 트리거할 수 있고 기지국은 (예를 들어, 또 하나의 요청 UE로부터) 이것과, 그것이 수신하는 기타 측정 보고들에 기초하여 릴레이로서 이웃을 사용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가 이미 이해하고 있는 바와 같이, 릴레이 노드의 선택이 이동 노드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지만, 실제 선택은 동일한 이동 노드에 의해 또는 또 하나의 이동 노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들을 하는 UE는 다른 것들에 측정 보고를 송신하고/하거나 자체로 릴레이를 선택할 수 있고/있거나 트리거를 또 하나의 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요청 단말기는 다른 요청 UE와의 링크가 임계보다 적을 때, 릴레이 선택을 트리거할 수 있어서 예를 들어 또 하나의 이동 노드로부터 릴레이 선택에 대한 지원을 요청함으로써, 예를 들어 단말기가 릴레이 후보를 발견하기를 시도하게 할 수 있다. 링크 품질 측정들에 기초하여, 단말기가 릴레이 선택을 시작하여야 하는 것을 결정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이동 노드들에 (이후 "트리거들"이라고 하는) 메시지들을 송신할 수 있다. 이것은 단말기가 (예를 들어, S602에 대해 논의된 것과 같은 이벤트 트리거를 따르는) 트리거를 누구에게 송신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도 9에 도시된다.
한 예에서, 트리거가 이웃 단말기들에 송신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이것이 릴레이 노드에 대한 검색이라는 것을 지시하는 이벤트 또는 발견 신호를 통해 모든 이웃 단말기들에 브로드캐스트될 수 있거나 이것은 선택된 또는 제한된 수의 단말기들에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리거 또는 트리거 통지는 RSRP_NeighU_PC5 측정이 임계보다 높은 단말기들에만 송신될 수 있다. 트리거를 수신하는 단말기들은 그 다음에 적절한 경우에, 릴레이 선택에 참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들은 다른 요청 단말기와의 그들의 링크를 측정할 수 있고, 이 링크가 충분히 좋으면, 그들은 이것을 트리거를 송신한 단말기에 보고할 수 있거나 일부 경우들에서 그것이 릴레이로서 동작할 것이라는 것을 단말기들에 통지할 수 있다.
모든 이웃들에 브로드캐스트되는 트리거의 경우에, 릴레이 요청으로서 효과적으로 기능하는 트리거는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대로, 릴레잉 지원을 필요로 하는 타깃 단말기(또는 소스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하나 이상의 다른 요청 단말기, 메시지 크기 등을 지시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청은 MAC 서비스 데이터 단위 "SDU" 내의 상기 정보로 MAC 패킷 데이터 단위 "PDU"(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공유된 채널 "SL-SCH" 상의 D2D MAC PDU, 또는 임의의 적합한 D2D 트랜스포트 다른 트랜스포트 채널) 내에 인캡슐레이트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MAC 제어 요소 "MAC-CE"가 SL-SCH 상의 MAC PDU, 또는 임의의 적합한 D2D 트랜스포트 다른 트랜스포트 채널에서 송신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MAC CE 메시지의 예가 아래 표 1에 예시된다.
Figure 112018027686158-pct00001
이러한 새로운 MAC-CE 메시지는 적합한 형식을 갖는 MAC-CE 메시지에 대한 기존의 LCID로부터 선택될 수 있거나 새로운 LCID로서 선택될 수 있는 미리 정의된 논리적 채널 ID "LCID"를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새로운 MAC-CE 메시지를 정의한다. 메시지는 릴레잉이 브로드캐스트용인지 유니캐스트용인지를 지시하기 위해 "B/U"로서 지시된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이와 관련하여 아래의 논의 참조). 참조를 위해, "R"은 일반적으로 "확보된"을 지칭하지만 여기서 제공된 예시적인 메시지 구조가 지시되고 다른 필드들 및 배열들이 릴레잉이 브로드캐스트용인지 유니캐스트용인지를 지시하고 또는 적절한 것으로서, 타깃, 소스, 릴레이, 또는 데스티네이션 중 어느 것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MAC PDU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서 또는 부가적으로, 요청 UE는 다음에 그것의 이웃들 모두에 브로드캐스트될 상기 정보를 포함하는 발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청을 수신하는 이웃들은 다음에 응답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트리거가 모든 이웃들의 서브셋에 송신되는 경우에, 선택 기준의 예는 이웃들과의 PC5 링크 품질이다. 릴레이 요청은 예를 들어,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대로, 릴레잉 지원을 필요로 하는 타깃 단말기(또는 소스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하나 이상의 다른 요청 단말기, 메시지 크기 등을 지시할 수 있다. 요청은 MAC SDU 내의 상기 정보로 (SL-SCH 상의) D2D MAC PDU 내에 인캡슐레이트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표 1에 예시된 것과 같이, MAC-CE가 SL-SCH 상의 MAC PDU, 또는 임의의 적합한 D2D 트랜스포트 다른 트랜스포트 채널에서 송신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표 1의 논의는 이 선택에 동등하게 적용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요청 UE는 상기 정보를 포함하는 (예를 들어, 요망하는 수신기들을 지정하는) 제한된 발견 메시지를 또한 송신할 수 있고 다음에 이 제한된 발견 메시지들을 그것의 이웃들에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투명한 MAC 송신이 사용되지 않을 수 있고 SL-SCH 상의 MAC PDU - 또는 기타 적합한 트랜스포트 채널 - 이 이러한 제한된 발견 메시지를 위해 채택될 수 있다. 가능한 MAC PDU의 예가 도 10에 예시된다. 다른 경우들에 대해서는, 이러한 요청을 수신한 이웃들이 응답할지 여부 및 지원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어떤 것이 있고 기지국이 릴레이 선택으로 지원하고 릴레이 선택을 수행하는 경우에 서빙 기지국과 같은 네트워크에 트리거가 송신된다. 이러한 트리거 또는 릴레이 요청 메시지는 예를 들어,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대로, 릴레잉 지원을 필요로 하는 타깃 단말기(또는 소스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하나 이상의 다른 요청 단말기, 메시지 크기 등을 지시할 수 있다. 전용 시그널링이 정의될 수 있고/있거나 기존의 시그널링이 재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현재의 사이드링크 버퍼 상태 보고 "BSR" MAC-CE 메시지가 재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MAC-CE 메시지는 새로운 LCID를 가질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다음에, 예를 들어 측정 보고에 따라, 릴레이 노드(예를 들어, 단말기)를 지명할 수 있거나, 측정 보고들 또는 기타 요소들에 기초하여, 후보 릴레이들에, 예를 들어 미리 선택된 이동 노드들에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측정 보고들에 대해서는, 네트워크 상에서 송신된 제어 시그널링의 양을 제한한다는 관점에서 송신되는 릴레이 요청들의 수를 제한하는 것이 일부 경우들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릴레이 선택이 잠재적인 릴레이 노드 자체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노드가 상이한 UE들로부터, 그리고 비교적 좋은 품질로 발견 및 통신 메시지들을 계속 수신하면, 그것은 그것이 근거리 네트워크(예를 들어, UE들의 그룹)에 대한 중심 위치 내에 배치된다고 추정할 수 있다. 그것은 다음에 커버리지 내에 있거나, 근거리 네트워크 내에 UE들 중 하나 이상이 있으면, 네트워크에 이러한 이벤트를 보고할 수 있다. 네트워크에 릴레이가 되려는 그것의 요망을 보고하기 위해,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시그널링, 예를 들어 전용 시그널링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이동 노드는 이 이동 노드로부터의 시그널링의 양을 제한한다는 관점에서 그것이 요청 단말기들 중 2개 이상 사이의 링크 품질이 비교적 낮은(예를 들어, 임계보다 낮은) 것의 지시를 수신할 때 이것에 관해 보고할 것이다. 또한, 일부 예들에서 이동 노드는 미리 정의된 시간 윈도우 내에서, 상이한 UE들로부터 나온 성공적으로 디코드된 D2D 통신 메시지들의 수를 카운트할 수 있고 이동 노드는 다음에 이 수가 미리 정의된 제한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적절한 요소들(예를 들어, 이동 노드, 단말기(들) 등)에 보고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는 릴레이 식별을 트리거하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가 단말기들 중 일부 사이의 잠재적으로 약간 낮은 품질 링크들로 집중된 D2D 트래픽 영역을 식별한 경우에(예를 들어 네트워크가 단말기들에 대한 위치 설정 정보에 액세스하는 경우에), 그것은 다음에 이 영역 내의 D2D 통신들을 개선시킨다는 관점에서, 이 영역에 대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에 대한 검색을 트리거할 수 있다.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에 대한 검색이 작동되었을 때, 하나 이상의 선택 기준이 적합한 릴레이를 식별하기를 시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모든 단말기들 및 잠재적으로 다른 이동 노드들이 그것이 이와 같이 동작하도록 지정되지 않는 것이 아니면, 단말기-대-단말기 통신들로 잠재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이동 노드가 동작할 수 있고/있거나 릴레이로서 동작하기를 원하는지 여부는 그러므로 예를 들어 이동 노드에 대한 능력 정보 내에 지시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상황에서, 링크 품질 측정들이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기 위해 또 하나의 것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고려될 수 있는 어떤 이동 노드에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청된 UE들과의 좋은 PC5 링크들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와의 좋은 품질 Uu 링크(커버리지 내인 경우)를 갖는 이동 노드가 이들 링크들보다 낮은 링크 품질을 갖는 이동 노드보다 릴레이 노드로서 선택될 가능성이 더 높다. 예를 들어, 2개의 요청 단말기들 UE1 및 UE2를 고려하면, 네트워크와의 좋은 링크 품질뿐만 아니라, UE1 및 UE2 둘 다와 더 좋은 링크 품질을 갖는 이동 노드는 하나가 필요하거나 요청되는 경우에 UE1 및 UE2의 릴레이 노드가 될 가능성이 더 높을 것이다.
브로드캐스트가 고려되는 예에서, 후보 릴레이는 바람직하게는 요청 단말기들에 대해 중심 위치에 가능한 한 더 가깝게 배치된 이동 노드일 것이다. 예를 들어 이동 노드는 요청 단말기들과의 평균된 링크 품질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선형 평균을 사용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링크 품질이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송신하는 요청 단말기 및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수신하는 요청 단말기(들)에 대해 별도로 고려될 수 있다. 브로드캐스트 통신의 경우에, 일부 수신 단말기들은 송신기와의 비교적 나쁜 품질 링크들을 가질 수 있다.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수신하기 위해 비교적 낮은 품질을 지시하는 측정 보고가 수신되었을 때, 릴레이가 이들 단말기만을 지원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릴레이는 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트 송신기와 브로드캐스트 송신들을 수신하는 모든 UE들의 서브셋인 UE들의 그룹 사이의 중간 노드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릴레이는 때때로 단말기-대-단말기 그룹캐스트 릴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룹캐스트가 (모든 수신기 UE들의 서브셋에의) 브로드캐스트로서 고려될 수 있으므로, 브로드캐스트에 대한 선택 기준들 또는 기준에 대한 상기 논의는 그룹캐스트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의 선택에 동등하게 적용할 수 있다.
부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정보는 릴레이 선택을 지원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이동성 상태, 위치, 배터리 상태 및/또는 이력 정보가 적절한 경우에 고려될 수 있다. 요약으로서, 도 11은 릴레이 노드를 선택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가능한 선택 기준들을 도시한다.
D2D 릴레이 노드가 선택 또는 식별되었을 때, 선택이 관련 이동 노드들에 통지될 수 있다. 통지 절차는 그러므로 릴레이 노드에 대해 선택을 하는 노드에 의존할 수 있다. 도 12는 아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논의되는 것과 같이, 릴레이 노드 선택에 관해 어떤 노드가 결정되는지에 따라, 본 개시내용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상이한 가능한 통지 유형들을 도시한다.
결정이 네트워크에 의해 이루어졌다면, 네트워크는 릴레이 노드 및 송신 요청 단말기에, 및 선택적으로 수신 요청 단말기들에도 결정을 통지할 수 있다. 한 예에서, 네트워크는 선택 및 선택된 릴레이 노드가 이제 송신 단말기를 지원할 것이라는 것을 지시하기 위해 선택된 릴레이 노드에의 및 송신 요청 UE에의 전용 RRC 시그널링을 사용할 수 있다. 릴레이에의 시그널링에 있어서, 통지는 릴레잉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캐리어 또는 셀 인덱스 중 하나 이상, 서빙 소스 UE(송신 요청 UE), 서빙 데스티네이션 UE 또는 UE 그룹들, 서비스 유형(브로드캐스트, 유니캐스트), 및 기타 적절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요청 UE에의 시그널링에 있어서, 통지는 릴레잉을 수행하기 위한 캐리어 또는 셀 인덱스 중 하나 이상, 릴레이 노드 식별자(예를 들어, ProSe UE ID), 데스티네이션 UE 또는 UE 그룹들, 서비스 유형(브로드캐스트, 유니캐스트), 및 기타 적절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통지는 관련 이동 노드들에 직접 송신될 수 있고/있거나 모든 단말기들에 브로드캐스트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는 릴레잉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트된 통지는 릴레잉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캐리어 또는 셀 인덱스 중 하나 이상, 릴레이 노드 식별자(예를 들어, ProSe UE ID), 서빙 소스 UE(송신 요청 UE), 서빙 데스티네이션 UE 또는 UE 그룹들, 서비스 유형(브로드캐스트, 유니캐스트), 및 기타 적절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예에서, 네트워크는 또한 릴레이로서 작동될 식별된 릴레이 노드에 대한 조건을 지시할 수 있고: D2D 통신의 품질이 감소하는 경우에, 릴레이가 이 경우에 지정된 릴레이 노드로서 식별된다. 예를 들어, 통지는 다음에 Uu 링크 품질 임계 또는 평균된 PC5 링크 품질 임계와 같은 릴레이를 작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조건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브로드캐스트된 릴레잉 정보는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SI) 송신들에서 네트워크에 의해 통신될 수 있다. 요청 단말기들은 다음에 릴레이 노드를 통지받을 수 있고 그것이 통지되자마자 또는 어떤 것이 설정된 경우에, 조건들 중 하나 이상이 부합되었을 때 릴레이에 그것의 메시지들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는 다른 이동 노드들에게 이제 사용될 또는 나중에 잠재적으로 작동될 디폴트 릴레이로서 고려될 릴레이 노드를 통지할 수 있다.
한 예에서,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MAC-CE를 사용하여 특정한 데스티네이션(예를 들어, 릴레이 노드)에 통지를 송신할 수 있다. 아래 표 2는 릴레이 노드를 통지하기 위해, 미리 정의된 LCID를 갖는, MAC-CE에 대한 형식을 예시한다.
Figure 112018027686158-pct00002
이 예에서, Ci는 릴레이를 위해 작동될 Scell(들)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C0은 서빙 셀을 지칭한다. 네트워크는 UE 릴레잉을 수행하기 위해 상이한 캐리어를 선택할 수 있다. 앞서와 같이, 이 예에서 B/U 필드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유니캐스트 지시자를 지칭한다.
마찬가지로, 통지는 예를 들어 아래의 표 3에 나타낸 것과 같은 형식을 갖는 MAC-CE의 형태로, 요청 UE에 송신될 수 있다.
Figure 112018027686158-pct00003
이 예에서, Ci는 또한 릴레이를 위해 작동될 Scell(들)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C0은 서빙 셀을 지칭하고, 앞서와 같이, B/U 필드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유니캐스트 지시자를 지칭한다.
결정이 예를 들어, 요청 단말기로부터의 릴레이 요청에 응답하여, 릴레이 노드 자체에 의해 이루어지면, 그것은 요청 단말기에 직접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것은 예를 들어 (SL-SCH와 같은 공유된 트랜스포트 채널 상의) MAC PDU에서 MAC CE를 사용할 수 있다. MAC-CE에 대한 가능한 형식이 아래의 표 4에 나타내지는데, 여기서 미리 정의된 LCID가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전용 시그널링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Figure 112018027686158-pct00004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릴레이 노드는 발견 또는 통신 메시지에서 통지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브로드캐스트 통지 방법은 영역 내의 모든 단말기들이 이것을 통지받을 수 있으므로, 릴레이가 영역에 대한 디폴트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할 때 특히 유용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는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네트워크에 통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 통지는 예를 들어 아래 표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전용 시그널링 또는 릴레잉을 위한 양호한 Scell 중 하나 이상, 서비스 유형(브로드캐스트 또는 유니캐스트), 데스티네이션 UE(또는 그룹), 요청 UE(예를 들어, ProSE id) 및 기타 적합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MAC CE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Figure 112018027686158-pct00005
릴레이 노드는 다음에 보다 폭넓은 영역에 및 관련 단말기들에 적절한 릴레잉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네트워크 상에서 릴레이할 수 있다.
선택이 요청 UE에 의해 이루어졌다면, 요청 UE는 예를 들어 표 4에 예시된 것과 같은 또는 그와 유사한 형식으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릴레이 제의 통지를 수신할 수 있었을 것이다. 요청 UE는 다음에 이들 릴레이 제의 통지에 기초하여 적합한 릴레이 노드를 결정할 수 있었을 것이다. 요청 단말기가 릴레이 노드를 결정하였을 때, 그것은 전용 시그널링에 의해 또는 릴레잉을 위한 양호한 Scell 중 하나 이상, 서비스 유형(브로드캐스트 또는 유니캐스트), 데스티네이션 UE(또는 그룹), 릴레이 노드 ID(예를 들어 UE ProSE ID) 및 기타 적합한 정보를 지시하는, MAC-CE 메시지에서 네트워크에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MAC-CE 메시지에 대한 예시적인 형식이 아래 표 6에 예시된다.
Figure 112018027686158-pct00006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표 2에 예시된 것과 같은 메시지로, 릴레이 노드에 통지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요청 UE는 선택된 릴레이 노드에 직접 응답할 수 있다. 통지 응답은 예를 들어, 미리 정의된 LCID로, (SL-SCH와 같은 공유된 트랜스포트 채널 상의) 예를 들어 MAC-PDU 내의 MAC-CE와 같은, 전용 시그널링 또는 기존의 시그널링 형식들을 사용할 수 있다. MAC-CE 형식의 예가 예시 목적들을 위해 표 7에 아래에 나타내진다.
Figure 112018027686158-pct00007
따라서, 릴레이 노드가 즉각적인 작동을 위해 또는 나중의 조건부 작동을 위해 선택되었던 결정이 관련 단말기들 및/또는 이동 노드들에 통신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가 상기 논의로부터 이해하는 바와 같이, 통지는 예를 들어 당사자가 (예를 들어, 유니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통해) 직접 수신할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또는 통지 정보를 관련 당사자들에 전송할 수 있는 중간 당사자(예를 들어, 기지국)에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관련 당사자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예에 따라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를 식별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본 예에서, 단지 2개의 요청 단말기들이 고려되지만 동일한 교시들이 2개의 단말기들 UE1 및 UE2보다 많은 것이 (예를 들어, D2D 멀티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통신에서) 고려되는 경우에 적용한다. 방법(1300)이 시작하고 S1301에서 UE1과 UE2 사이의 제1 링크 품질이 측정되고, 여기서 UE1과 UE2는 D2D 통신을 확립하고 있거나 또는 이미 확립된 D2D 통신을 한다. 다음에, 1302에서 D2D 통신을 위한 릴레이 노드 선택을 개시하는 것이 결정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위에 논의된 것과 같은 다른 측정들 및/또는 밀집한 D2D 트래픽 영역에 기초하여) 기타 적합한 트리거로부터의, 2개의 단말기들 사이의 직접적인 송신들로 D2D 통신을 위한 나쁜 링크 품질을 지시하는 제1 링크 품질 측정으로부터 비롯될 수 있다. 단계 1303에서: 이동 노드가 D2D 통신을 위한 UE-대-UE 릴레이 노드로서 선택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제1 링크 품질 측정, 다른 링크 품질 측정들, 다른 측정들 및 D2D 통신 유형(예를 들어,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및 기타 적합한 파라미터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할 수 있다. 한 관점으로부터, 단계들 S1302 및 S1304(및 수행될 수 있는 임의의 추가적인 단계 및 부단계들)는 적합한 릴레이 노드로서 이동 노드를 식별하는 단일 단계로서 고려될 수 있고, 식별(그래서 도 13의 특정한 예에서, S1302 및 S1303 중 적어도 하나)은 제1 링크 품질 측정에 기초한다. 앞서 지시된 바와 같이, 이 상이한 유형의 측정을 사용함으로써, 릴레잉 방식이 릴레이 검색(즉, 릴레잉이 송신들을 지원한다는 것을 식별)의 트리거링 및 릴레이의 선택 중 적어도 하나를 최적화함으로써 최적화될 수 있다. 다음에 S1304에서, 선택된 이동 노드는 릴레이 노드에 D2D 통신을 위한 그것의 D2D 신호들을 송신하는 UE1 및 UE2 중 적어도 하나를 또한 포함할 수 있는 D2D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이것은 UE1, UE2, 이동 및 기지국(모두 가능한 경우에) 중 적어도 하나에의 하나 이상의 통지 메시지들의 송신에 의해 선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D2D 통신들이 제1 D2D 단말기와 하나 이상의 다른 D2D 단말기 사이의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잉을 사용하여 지원될 수 있는 구성이 제공된다. 이러한 릴레잉 지원은 D2D 성능을 개선시키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릴레이 선택 기준들뿐만 아니라 관련 트리거 이벤트들이 정의될 수 있고, 이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D2D 단말기(예를 들어, 송신 D2D UE)와 하나 이상의 다른 D2D 단말기(예를 들어, 수신 D2D 단말기(들)) 사이의 하나 이상의 측정에 기초한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제안된 측정 보고 트리거, 선택 기준들 및 통지 방식을 적절한 대로 사용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동적인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제공한다는 관점으로 제공되었다. 기존의 LTE Rel'12 및 Rel'13 표준이 일부 릴레잉 해결책들의 개요를 서술하지만, 이들은 주로 UE-대-네트워크 릴레이 지향되는 공중 안전 통신들(ProSe)을 다루도록 설계되었으므로, 그들은 특히 유니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D2D 통신들 둘 다 또는 어느 하나에 대해,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잉의 상이한 해결책을 고려할 때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할 만하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릴레이 노드의 선택은 D2D 통신의 유형, 예를 들어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중 하나, 또는 3GPP 컨소시엄에 의해 제안된 현재의 D2D 표준들에 대해, 유니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중 하나에 기초할 수 있다는 점에 또한 주목할 만하다. 이들 예에서, 이것은 예를 들어 릴레이 노드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 선택 기준 또는 기준들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한 예에서, 유니캐스트 D2D 통신을 위해, 릴레이 노드의 선택은 단지 2개의 요청 UE들 사이의 PC5 링크, 잠재적인 릴레이와 2개의 UE들 각각 사이의 PC5 링크들에 기초할 수 있지만, 브로드캐스트(또는 그룹캐스트) 통신을 위해, 단말기들의 관련 그룹에 대한 잠재적인 릴레이 노드의 위치가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릴레이에 대한 요청 및/또는 통지 메시지들은 릴레이될 또는 각각 릴레이될 D2D 통신의 유형의 지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가 단말기로부터 또 하나의 이동 노드(예를 들어, 릴레이 노드 또는 기지국)에 송신되어야 하는 상기 예들에서, 단말기는 항상 이미 접속된 상태에 있지 않을 수 있고 정보를 송신할 접속 모드로 변화하여야 할 수 있고, 단말기는 다음에 비접속 상태로 다시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웃 단말기가 (그것이 요청 단말기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RRC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3GPP 환경에서, 기지국, 단말기 또는 릴레이 노드에 측정 보고를 송신하기를 원하는 경우에, 이웃 단말기는 RRC_CONNECTED 상태에 있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 단말기는 예를 들어 RRC 접속 확립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네트워크(예를 들어, 기지국)를 따르는, RRC_CONNECTED 상태로 전이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는 측정 보고를 송신할 수 있다. 단말기는 다음에 적절한 경우에, RRC_IDLE 상태로 다시 전이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여기서 논의된 방법 단계들은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들은 위에 논의된 예들에서 사용된 순서 또는 가능하거나 적절할 때마다, (청구범위에서) 단계들을 리스트하기 위해 다른 어딘가에서 사용된 지시 순서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일부 경우들에서, 일부 단계들은 상이한 순서로, 동시에 또는 동일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의 방법에서, 단계들 S1302-S1304 중 어느 단계는 단계 S1301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 및/또는 릴레이 노드 선택의 통지는 하나 이상의 사이드링크의 링크 품질이 측정되는(그리고 선택적으로 역시 보고되는)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논의된 임의의 방법의 단계들 중 어느 단계를 수행하는 순서가 기술적으로 실행가능한 한, 그것은 명시적으로 본 개시내용 내에 포함된다.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요소에 정보 또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은 요소에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정보의 나머지와 별도로 정보의 일부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포함된 "메시지들의 수는 또한 고려된 계층 또는 입도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또한, 한 단말기로부터 다른 단말기로의 송신들은 송신될 사용자 데이터, 발견 정보, 제어 시그널링 및 기타 유형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송신들과 관련할 수 있다.
또한, 양태들이 장치 또는 시스템에 대해 개시될 때마다, 교시들은 또한 대응하는 방법에 대해 또한 개시된다. 마찬가지로, 양태가 방법에 대해 개시될 때마다, 교시들은 또한 기타 적합한 대응하는 장치 또는 시스템에 대해 개시된다. 부가적으로, 어떤 요소 또는 요소들이 기능 또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이 명확히 명시되지 않은 방법 또는 시스템에 관한 임의의 교시들에 대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요소 또는 요소들이 이 기능 또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여기에 또한 명시적으로 개시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예를 들어, D2D 단말기), 릴레이 노드(예를 들어,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 기지국 또는 기타 이동 노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그것이 기술적으로 실행가능한 한, 적절한 경우에 그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보다 큰" 또는 "보다 작은" 또는 동등이라는 표현들이 여기에 사용될 때마다, 하나의 대안이 명시적으로 배제되지 않는다면, 그들은 2개의 대안들 "그리고 동일한" 및 "그리고 동일하지 않은"을 개시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개시내용이 LTE 및/또는 D2D의 맥락에서 논의되었지만, 그것의 교시들은 LTE 또는 다른 3GPP 표준들에 적용가능하고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할 만하다. 특히, 여기에 사용된 용어가 일반적으로 LTE 표준들의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하지만, 교시들은 LTE의 현재 버전으로 제한되지 않고 LTE에 기초하지 않고/않거나 LTE 또는 3GPP 또는 다른 표준(예를 들어, 5G 표준들)의 기타 버전에 따르는 임의의 적절한 구성에 동등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정하고 양호한 양태들이 첨부된 독립 및 종속 청구항들에서 기술된다. 종속 청구항들의 특징들은 청구항들에서 명시적으로 기술되지 않은 것들 이외의 조합들로 독립 청구항들의 특징들과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그러므로, 전술한 논의는 본 발명의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개시하고 설명한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그 취지 및 본질적인 특성들에서 벗어나지 않고서 다른 특정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시내용은 예시적이지, 다른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여기의 교시들의 임의의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변형들을 포함하는 본 개시내용은 본 발명의 주제가 대중에 전용되지 않도록 전술한 청구범위 용어의 범위를 부분적으로 정의한다.
본 개시내용의 각각의 특징들이 다음의 번호가 매겨진 조항들에 의해 정의된다.
조항 1. 제1 이동 단말기, 제2 이동 단말기 및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이동 노드를 포함하는 이동 원거리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대-단말기 통신을 릴레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사이의 제1 링크 품질을 측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확립하고 있거나 또는 확립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함 -;
적어도 상기 측정된 제1 링크 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노드가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기 위해 적합한 후보라는 것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노드가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조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단계는 유니캐스트 통신, 멀티캐스트 통신 또는 브로드캐스트 통신 중 하나인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에 더 기초하는 방법.
조항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를 선택하기 위한 릴레이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 요청은 유니캐스트 통신, 멀티캐스트 통신 또는 브로드캐스트 통신 중 하나인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의 지시를 포함하는 방법.
조항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를 선택하기 위한 릴레이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조항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단계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이동 노드 사이의 제2 링크 품질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고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와 상기 이동 노드 사이의 제3 링크 품질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 단계는 상기 측정된 제2 링크 품질 및 상기 측정된 제3 링크 품질 중 상기 적어도 하나에 더 기초하는 방법.
조항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노드 중 하나를 무선 리소스 제어 접속된 상태로 전이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노드 중 상기 하나에 무선 리소스 제어 접속 셋업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리소스 제어 접속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 이동 단말기,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노드 중 상기 하나가 상기 측정된 제2 링크 품질 및 상기 측정된 제3 링크 품질 중 상기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측정 보고를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조항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릴레이 노드 선택을 개시하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상기 이동 노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 단계 및 상기 선택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측정된 제1 링크 품질에 기초하는 방법.
조항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단계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이동 노드 사이의 제2 링크 품질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고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와 상기 이동 노드 사이의 제3 링크 품질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 단계 및 상기 선택 단계 중 상기 적어도 하나는 상기 측정된 제2 링크 품질 및 상기 측정된 제3 링크 품질 중 상기 적어도 하나에 더 기초하는 방법.
조항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 선택을 개시하기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상기 이동 노드 중 하나에 의해 이루어지는 방법.
조항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원거리 통신 시스템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노드와 통신하도록 동작가능한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은 릴레이 노드 선택을 개시하기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 및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상기 이동 노드를 선택하는 상기 단계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방법.
조항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단계는 유니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통신 중 하나인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에 더 기초하는 방법.
조항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 제2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노드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의 상기 이동 노드의 상기 식별을 통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조항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단계는 브로드캐스트된 시그널링, RRC 시그널링 또는 MAC 시그널링 중 하나를 통하는 방법.
조항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단계는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는 특정한 링크 품질 측정에 기초하여 정의된 미리 구성된 조건에 의해 트리거되는 방법.
조항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검출 시에, 상기 특정한 링크 품질 측정에 기초하여 측정 보고를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조항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보고는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이 유니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통신 중 하나라는 지시를 포함하는 방법.
조항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보고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노드 중 하나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노드 중 상기 하나에 의해 측정된 모든 상기 링크 품질들의 세트 중에서 가장 좋은 N(N≥1)개의 링크 품질들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이동 단말기,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노드 중 상기 하나가 상기 선택된 가장 좋은 N개의 링크 품질을 지시하는 상기 측정 보고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조항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노드는 이동 단말기인 방법.
조항 19. 제1 이동 단말기, 제2 이동 단말기 및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이동 노드를 포함하는 원거리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이동 단말기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사이의 제1 링크 품질을 측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확립하고 있거나 또는 확립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함 -;
적어도 상기 측정된 제1 링크 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노드가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기 위해 적합한 후보라는 것을 식별하는 단계; 및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로서 상기 이동 노드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조항 20. 이동 단말기, 제2 이동 단말기 및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이동 노드를 포함하는 이동 원거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로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사이의 제1 링크 품질을 측정하고 -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확립하고 있거나 또는 확립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함 -;
적어도 상기 측정된 제1 링크 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노드가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기 위해 적합한 후보라는 것을 식별하고;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로서 상기 이동 노드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이동 단말기.
조항 21. 이동 단말기, 제2 이동 단말기 및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이동 노드를 포함하는 이동 원거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용 회로로서, 상기 회로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사이의 제1 링크 품질을 측정하고 -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확립하고 있거나 또는 확립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함 -;
적어도 상기 측정된 제1 링크 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노드가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기 위해 적합한 후보라는 것을 식별하고;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로서 상기 이동 노드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해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된 제어기 요소 및 송수신기 요소를 포함하는 회로.
조항 22. 제1 이동 단말기, 제2 이동 단말기 및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이동 노드를 포함하는 이동 원거리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하는 이동 노드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노드는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가능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이동 노드가
적어도 측정된 제1 링크 품질에 기초하여 - 상기 제1 링크 품질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사이에서 측정되고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확립하고 있거나 또는 확립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함 -, 상기 이동 노드가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기 위해 적합한 후보라는 것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조항 23. 제1 이동 단말기, 제2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노드를 포함하는 이동 원거리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대-단말기 통신을 릴레이하는 이동 노드로서, 상기 이동 노드는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가능하고
적어도 측정된 제1 링크 품질에 기초하여 - 상기 제1 링크 품질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사이에서 측정되고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확립하고 있거나 또는 확립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함 -, 상기 이동 노드가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기 위해 적합한 후보라는 것을 식별하고;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이동 노드.
조항 24. 제1 이동 단말기, 제2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노드를 포함하는 이동 원거리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대-단말기 통신을 릴레이하는 이동 노드용 회로로서, 상기 회로는
적어도 측정된 제1 링크 품질에 기초하여 - 상기 제1 링크 품질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사이에서 측정되고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확립하고 있거나 또는 확립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함 -, 상기 이동 노드가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기 위해 적합한 후보라는 것을 식별하고;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기 위해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된 제어기 요소 및 송수신기 요소를 포함하는 회로.
조항 25. 제1 이동 단말기, 제2 이동 단말기 및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이동 노드를 포함하는 이동 원거리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대-단말기 통신을 릴레이하는 기지국을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사이의 제1 링크 품질에 관한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확립하고 있거나 또는 확립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함 -;
적어도 상기 측정된 제1 링크 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노드가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기 위해 적합한 후보라는 것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이동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이동 노드에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상기 이동 노드를 사용하라고 명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조항 26. 제1 이동 단말기, 제2 이동 단말기 및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이동 노드를 포함하는 이동 원거리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대-단말기 통신을 릴레이하는 기지국으로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사이의 제1 링크 품질에 관한 측정 보고를 수신하고 -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확립하고 있거나 또는 확립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함 -;
적어도 상기 측정된 제1 링크 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노드가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기 위해 적합한 후보라는 것을 식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이동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이동 노드에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상기 이동 노드를 사용하라고 명령하도록
구성된 기지국.
조항 27. 제1 이동 단말기, 제2 이동 단말기 및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이동 노드를 포함하는 이동 원거리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대-단말기 통신을 릴레이하는 기지국용 회로로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사이의 제1 링크 품질에 관한 측정 보고를 수신하고 -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확립하고 있거나 또는 확립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함 -;
적어도 상기 측정된 제1 링크 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노드가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기 위해 적합한 후보라는 것을 식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이동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이동 노드에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상기 이동 노드를 사용하라고 명령하기 위해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된 제어기 요소 및 송수신기 요소를 포함하는 회로.
조항 28.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8항, 제19항, 제22항 및 제2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조항 29. 제28항에 따른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
조항 30. 실질적으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것과 같은 단말기-대-단말기 통신을 릴레이하는 방법, 제1 이동 단말기를 동작시키는 방법,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용 회로, 이동 노드를 동작시키는 방법, 이동 노드, 기지국을 동작시키는 방법, 단말기-대-단말기 통신을 릴레이하는 기지국, 단말기-대-단말기 통신을 릴레이하는 기지국용 회로,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또는 저장 매체.
조항 30. 상기 이동 단말기들 및 상기 이동 노드(및 적절한 경우에 상기 기지국)는 3GPP 통신 프로토콜, LTE 통신 프로토콜, 4G 통신 프로토콜 및 5G 통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제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
참고 문헌들
[1] Holma H. and Toskala A., "LTE for UMTS OFDMA and SC-FDMA based radio access", John Wiley and Sons, 2009

Claims (29)

  1. 제1 이동 단말기, 제2 이동 단말기 및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이동 노드를 포함하는 이동 원거리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대-단말기 통신을 릴레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사이의 제1 링크 품질을 측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확립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함 -;
    적어도 상기 측정된 제1 링크 품질에 기초하여, 또한 유니캐스트 통신, 멀티캐스트 통신 또는 브로드캐스트 통신 중 하나인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노드가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기 위해 적합한 후보라는 것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노드가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를 선택하기 위한 릴레이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 요청은 유니캐스트 통신, 멀티캐스트 통신 또는 브로드캐스트 통신 중 하나인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의 지시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이동 노드 사이의 제2 링크 품질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고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와 상기 이동 노드 사이의 제3 링크 품질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제2 링크 품질 및 상기 측정된 제3 링크 품질 중 상기 적어도 하나에 더 기초하는 방법.
  4. 제1 이동 단말기, 제2 이동 단말기 및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이동 노드를 포함하는 원거리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이동 단말기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사이의 제1 링크 품질을 측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확립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함 -;
    적어도 상기 측정된 제1 링크 품질에 기초하여, 또한 유니캐스트 통신, 멀티캐스트 통신 또는 브로드캐스트 통신 중 하나인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노드가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기 위해 적합한 후보라는 것을 식별하는 단계; 및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로서 상기 이동 노드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 이동 단말기, 제2 이동 단말기 및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이동 노드를 포함하는 이동 원거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로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사이의 제1 링크 품질을 측정하고 -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확립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함 -;
    적어도 상기 측정된 제1 링크 품질에 기초하여, 또한 유니캐스트 통신, 멀티캐스트 통신 또는 브로드캐스트 통신 중 하나인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노드가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기 위해 적합한 후보라는 것을 식별하고;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로서 상기 이동 노드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이동 단말기.
  6. 이동 단말기, 제2 이동 단말기 및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이동 노드를 포함하는 이동 원거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용 회로로서, 상기 회로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사이의 제1 링크 품질을 측정하고 -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확립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함 -;
    적어도 상기 측정된 제1 링크 품질에 기초하여, 또한 유니캐스트 통신, 멀티캐스트 통신 또는 브로드캐스트 통신 중 하나인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노드가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기 위해 적합한 후보라는 것을 식별하고;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로서 상기 이동 노드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해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된 제어기 요소 및 송수신기 요소를 포함하는 회로.
  7. 제1 이동 단말기, 제2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노드를 포함하는 이동 원거리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대-단말기 통신을 릴레이하는 이동 노드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노드는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가능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이동 노드가
    적어도 측정된 제1 링크 품질에 기초하여, 또한 유니캐스트 통신, 멀티캐스트 통신 또는 브로드캐스트 통신 중 하나인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에 기초하여, - 상기 제1 링크 품질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사이에서 측정되고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확립된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함 -, 상기 이동 노드가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기 위해 적합한 후보라는 것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 이동 단말기, 제2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노드를 포함하는 이동 원거리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대-단말기 통신을 릴레이하는 이동 노드로서, 상기 이동 노드는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가능하고
    적어도 측정된 제1 링크 품질에 기초하여, 또한 유니캐스트 통신, 멀티캐스트 통신 또는 브로드캐스트 통신 중 하나인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에 기초하여, - 상기 제1 링크 품질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사이에서 측정되고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확립된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함 -, 상기 이동 노드가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기 위해 적합한 후보라는 것을 식별하고;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이동 노드.
  9. 제1 이동 단말기, 제2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노드를 포함하는 이동 원거리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대-단말기 통신을 릴레이하는 이동 노드용 회로로서, 상기 회로는
    적어도 측정된 제1 링크 품질에 기초하여, 또한 유니캐스트 통신, 멀티캐스트 통신 또는 브로드캐스트 통신 중 하나인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에 기초하여, - 상기 제1 링크 품질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사이에서 측정되고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확립된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함 -, 상기 이동 노드가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기 위해 적합한 후보라는 것을 식별하고;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기 위해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된 제어기 요소 및 송수신기 요소를 포함하는 회로.
  10. 제1 이동 단말기, 제2 이동 단말기 및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이동 노드를 포함하는 이동 원거리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대-단말기 통신을 릴레이하는 기지국을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사이의 제1 링크 품질에 관한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확립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함 -;
    적어도 상기 측정된 제1 링크 품질에 기초하여, 또한 유니캐스트 통신, 멀티캐스트 통신 또는 브로드캐스트 통신 중 하나인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노드가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기 위해 적합한 후보라는 것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이동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이동 노드에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상기 이동 노드를 사용하라고 명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 이동 단말기, 제2 이동 단말기 및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이동 노드를 포함하는 이동 원거리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대-단말기 통신을 릴레이하는 기지국으로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사이의 제1 링크 품질에 관한 측정 보고를 수신하고 -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확립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함 -;
    적어도 상기 측정된 제1 링크 품질에 기초하여, 또한 유니캐스트 통신, 멀티캐스트 통신 또는 브로드캐스트 통신 중 하나인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노드가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기 위해 적합한 후보라는 것을 식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이동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 및 및 상기 이동 노드에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상기 이동 노드를 사용하라고 명령하도록
    구성된 기지국.
  12. 제1 이동 단말기, 제2 이동 단말기 및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이동 노드를 포함하는 이동 원거리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대-단말기 통신을 릴레이하는 기지국용 회로로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사이의 제1 링크 품질에 관한 측정 보고를 수신하고 -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확립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함 -;
    적어도 상기 측정된 제1 링크 품질에 기초하여, 또한 유니캐스트 통신, 멀티캐스트 통신 또는 브로드캐스트 통신 중 하나인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노드가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동작하기 위해 적합한 후보라는 것을 식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이동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이동 노드에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단말기-대-단말기 릴레이 노드로서 상기 이동 노드를 사용하라고 명령하기 위해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된 제어기 요소 및 송수신기 요소를 포함하는 회로.
  13.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4항, 제7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소프트웨어.
  14.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4항, 제7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KR1020187007872A 2015-10-01 2016-09-21 원거리 통신 장치들 및 방법들 KR1025344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88002 2015-10-01
EP15188002.8 2015-10-01
PCT/EP2016/072452 WO2017055157A1 (en) 2015-10-01 2016-09-21 Telecommunications apparatuses and metho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070A KR20180063070A (ko) 2018-06-11
KR102534497B1 true KR102534497B1 (ko) 2023-05-22

Family

ID=54266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7872A KR102534497B1 (ko) 2015-10-01 2016-09-21 원거리 통신 장치들 및 방법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48174B2 (ko)
EP (1) EP3357296B1 (ko)
KR (1) KR102534497B1 (ko)
CN (1) CN108141900B (ko)
WO (1) WO20170551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11026B (zh) * 2014-12-22 2019-05-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设备直通中继选择的方法、网络控制节点及用户设备
EP3876660B1 (en) 2015-10-02 2023-11-08 Sony Group Corporatio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es and methods
US10609744B2 (en) * 2015-10-22 2020-03-3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method
CN110784899B (zh) * 2015-11-05 2021-10-29 索尼公司 无线通信系统中的电子设备和无线通信方法
JP6907221B2 (ja) * 2016-02-05 2021-07-21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通信リソース割当方法および装置、端末装置、基地局、ならびに通信システム
US10701528B2 (en) * 2016-11-18 2020-06-3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rose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819821B2 (en) * 2017-04-07 2020-10-27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allocating content using a content-based centrality metric
CN108809897A (zh) * 2017-04-28 2018-11-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中继发现及中继转发方法、设备和存储介质
CN109246655A (zh) * 2017-05-04 2019-01-18 索尼公司 用于无线通信的电子设备和方法
US11219054B2 (en) 2017-05-05 2022-01-04 Qualcomm Incorporated Relaying in a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system
US10893557B2 (en) * 2017-05-05 2021-01-12 Qualcomm Incorporated Relaying in a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system
US10912114B2 (en) 2017-05-05 2021-02-02 Qualcomm Incorporated Relaying in a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system
WO2018206124A1 (en) * 2017-05-12 2018-11-15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Wake-up signal transmission on relaying links
CN107493160A (zh) * 2017-08-01 2017-12-19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一种传输信息的方法、基站的工作方法及基站
KR20200031504A (ko) * 2018-09-14 2020-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링크 측정 방법 및 장치
WO2020077578A1 (en) 2018-10-18 2020-04-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Group-based relay selection for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EP3911071A4 (en) * 2019-01-10 2022-03-16 Kyocera Corporation COMMUNICATION ORDERING PROCESS
US11463156B2 (en) 2019-04-05 2022-10-04 Qualcomm Incorporated Repeater communication system with power measurement capability
CN111836333B (zh) * 2019-04-22 2022-07-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通信装置及终端设备
JP7194647B2 (ja) * 2019-06-05 2022-12-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制御装置、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CN110446216A (zh) * 2019-06-28 2019-11-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及终端设备
US20220338129A1 (en) * 2019-08-15 2022-10-20 Lenovo (Beijing)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reference signal receiving power
CN110461020A (zh) * 2019-08-16 2019-11-15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用于辅链路的中继选择方法及装置、存储介质、终端
CN112399404A (zh) * 2019-08-19 2021-02-23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及终端
CN113260087B (zh) * 2020-02-11 2023-04-07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设备到设备中继的处理方法、设备、装置及存储介质
US11825330B2 (en) 2020-03-13 2023-11-21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quality of service support in sidelink communications
US11689957B2 (en) * 2020-03-13 2023-06-27 Qualcomm Incorporated Quality of service support for sidelink relay service
CN111562800A (zh) * 2020-05-22 2020-08-21 浙江省公益林和国有林场管理总站 一种基于智能家居中继终端的木质浴桶水温智能控制方法及系统
CN113747606A (zh) * 2020-05-27 2021-12-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单播通信的方法和装置
KR20230107814A (ko) * 2020-11-25 2023-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빠른 통신 연결 회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6491166A (zh) * 2020-11-30 2023-07-25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配置的方法和通信装置
CN113068207B (zh) * 2021-04-07 2022-01-28 承德石油高等专科学校 一种基于无线通信系统的计算机网络安全管理方法及系统
CN116634522A (zh) * 2022-02-10 2023-08-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方式确定方法、第一终端及中继终端
CN117279121A (zh) * 2022-06-15 2023-12-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唤醒信号传输方法及通信系统
WO2024022986A1 (en) * 2022-07-28 2024-02-01 Sony Group Corporation Methods and communications devic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9142A1 (en) * 2013-01-11 2014-07-17 Nec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EP2833694A2 (en) * 2013-07-29 2015-02-04 HTC Corporation Method of relay discovery and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WO2015119538A1 (en) * 2014-02-04 2015-08-1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wireless device, base station and candidate relay station for supporting d2d communication over relay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96775B (en) * 2002-12-23 2005-04-1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direct communication for mobiles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WO2012125499A1 (en) * 2011-03-11 2012-09-2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relay communications
CN103179575A (zh) 2011-12-23 2013-06-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邻近设备通信的方法和系统、网络侧设备和用户设备
KR101924838B1 (ko) * 2012-08-10 2018-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2 홉 링크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40321367A1 (en) 2013-04-26 2014-10-30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multiple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configurations
US9900931B2 (en) * 2013-05-02 2018-02-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to device relay selection
US9392433B2 (en) * 2013-05-10 2016-07-12 Htc Corporation Method of device discover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319127B2 (en) * 2013-08-09 2016-04-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relay between devices
US20150117299A1 (en) * 2013-10-28 2015-04-30 Beihang University Distributed information source estimation method based on cooperative communication
CN104812025B (zh) * 2014-01-28 2019-12-3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设备间发现及通信方法和系统
CN103747507B (zh) * 2014-01-28 2015-08-12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通信模式的选择方法和选择装置、终端、基站
EP3101946B1 (en) * 2014-02-24 2020-09-16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ensuring continuous reception of a service in user equipment and in wireless network
CN105451282A (zh) * 2014-08-22 2016-03-3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中继终端重选的方法及设备
CN106211024A (zh) * 2015-04-10 2016-12-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通信节点
KR102231492B1 (ko) * 2015-05-15 2021-03-24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에서 중계기 선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E102015115698B4 (de) * 2015-09-17 2023-08-10 Apple Inc. Kommunikation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mpfangen von Signalen in einem Frequenzbereich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9142A1 (en) * 2013-01-11 2014-07-17 Nec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EP2833694A2 (en) * 2013-07-29 2015-02-04 HTC Corporation Method of relay discovery and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WO2015119538A1 (en) * 2014-02-04 2015-08-1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wireless device, base station and candidate relay station for supporting d2d communication over re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57296B1 (en) 2022-05-11
CN108141900B (zh) 2022-05-17
WO2017055157A1 (en) 2017-04-06
CN108141900A (zh) 2018-06-08
US20180242381A1 (en) 2018-08-23
US10548174B2 (en) 2020-01-28
EP3357296A1 (en) 2018-08-08
KR20180063070A (ko) 2018-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4497B1 (ko) 원거리 통신 장치들 및 방법들
US10849004B2 (en) Method for terminal for carrying out V2X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tilizing the method
US11212875B2 (e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es and methods
US10015715B2 (en) Method of receiving MBMS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US201900376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d2d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080182B1 (ko) 리피터 기능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방법 및 사용자 장비
US10085298B2 (en) Method whereby terminals transmit device-to-device (D2D)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5170874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d2d(device-to-device)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KR10205214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d2d(device-to-device)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WO2015065109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d2d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WO2015147618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d2d(device-to-device)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US10327243B2 (en) Device-to-device (D2D) operation method performed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terminal using same
WO2015115822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중계 기능 상태 보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US20180077608A1 (en) Source ID-Based Packet Filtering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Method
WO2015115823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d2d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WO2015142090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d2d(device-to-device)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US10334610B2 (en) Method, carried out by user equipment, for transmitting priority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user equipment utilizing the method
CN106688279B (zh) 在无线通信系统中由终端执行的装置对装置d2d操作方法和使用该方法的终端
US20180132161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iscovery signal for establishing d2d link with relay 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WO2015167305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d2d(device-to-device)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WO2015115861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d2d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WO2016076676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d2d 관련 정보 보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WO2015167304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d2d(device-to-device)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WO2016072797A2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d2d 발견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WO2016022010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d2d(device-to-device) 관련 보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