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4211B1 - 아이(i)자형으로 철근을 보강한 콘슬라트 받침대 - Google Patents

아이(i)자형으로 철근을 보강한 콘슬라트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4211B1
KR102534211B1 KR1020220149665A KR20220149665A KR102534211B1 KR 102534211 B1 KR102534211 B1 KR 102534211B1 KR 1020220149665 A KR1020220149665 A KR 1020220149665A KR 20220149665 A KR20220149665 A KR 20220149665A KR 102534211 B1 KR102534211 B1 KR 102534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s
concrete
reinforcing bar
bars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9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영희
Original Assignee
주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희 filed Critical 주영희
Priority to KR1020220149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2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1Grids; Gratings; Slatted flo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209Feeding pens for pigs or catt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2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low bending resistan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이(I)자형으로 철근을 보강한 콘슬라트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축사의 바닥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성형되는 콘슬라트 받침대의 내부에 배근되는 상부철근과 하부철근을 지지 및 보강하기 위해 아이(I)자형 보강철근(늑근)으로 결합함으로서, 보강철근에서 콘크리트가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내구성 및 상부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아이(I)자형으로 철근을 보강한 콘슬라트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콘크리트의 압축력을 보강하여 인장력을 높여 줄 수 있도록 내부 양측에 배근되는 상부철근(20)과 하부철근(30);
상기 상부철근(20)과 하부철근(30)을 지지하면서 전단력 및 콘크리트(50)와의 분리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철근(20)과 하부철근(30)을 연결하는 상부연결철근(41)과 하부연결철근(42) 사이에 수직으로 고정하는 고정철근(43)을 결합하여 이루어진 아이(I)자형 보강철근(40);
상기 상부철근(20)과 하부철근(30) 및 보강철근(40)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 타설하여 성형되는 콘슬라트 받침대(1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이(I)자형으로 철근을 보강한 콘슬라트 받침대{the cone slat supporting board with reinforced I shape of a character the steel reinforcement}
본 발명은 아이(I)자형으로 철근을 보강한 콘슬라트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축사의 바닥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성형되는 콘슬라트 받침대의 내부에 배근되는 상부철근과 하부철근을 지지 및 보강하기 위해 아이(I)자형 보강철근(늑근)으로 결합함으로서, 보강철근에서 콘크리트가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내구성 및 상부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아이(I)자형으로 철근을 보강한 콘슬라트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가축의 사육을 위한 시설로 축사가 있다.
특히, 가축 중에서 돼지를 사육하기 위한 축사는 돼지의 특성 즉, 돼지가 다식성임에 따라 많은 양의 대변과 소변을 배출하기 때문에 이 분뇨의 처리를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지어져야 한다.
이러한 돼지의 환경을 고려하여 지어진 돼지 축사는 통상적으로 축사의 바닥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배출되는 분뇨가 어느 일측으로 모아지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기울어지게 만들어진 바닥을 갖는 돼지 축사는 바닥이 기울어져 있음에 따라 돼지가 불안함을 느껴 생식에 영향을 줄 수 있고, 특히 육돈의 경우 아주 작은 스트레스에도 생육에 지장을 주어 출하시기가 늦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바닥을 평평하게 설치하되 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 설치하여 배설된 분뇨가 바닥의 아래로 떨어져 일측으로 모이게 한 축사가 많이 지어지고 있고, 이렇게 바닥을 소정 높이로 높여 지어지는 축사의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재는 파손과 변형 등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철근이 가로와 세로로 배열되며, 배열된 철근으로 콘크리트가 씌워져 철근이 내장되게 성형하는 콘크리트 바닥재(일명 '콘슬라트'라 함)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일예로, 특허문헌 1의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5833호에는 원하는 형태의 주조틀에 철근 용접 결속된 뼈대를 깔고, 자갈과 모래가 혼합된 골재에 시멘트와 물을 배합한 후, 고강도를 위해 증기 양생으로 형성되며, 부식 및 불연성을 가지고, 원활한 분뇨의 배출을 위해 일측이 좁고 타측으로 점차 넓어지는 경사 구조를 갖는 다수의 분뇨 배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돈사 또는 우사의 바닥제로 사용되는 콘슬라트가 공개되어 있고,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특허문헌 2의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2014253호에는 상부면에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가 형성된 사각의 판체 형상으로 상협하광 형상의 배출공이 종횡으로 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며, 일측단부에 상협하광 형상이며 상단에 뚜껑지지턱을 갖는 대변배출구가 형성되고, 뚜껑지지턱에는 다수의 봉을 종횡으로 연결하여 구비된 뚜껑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돈사용 콘슬라트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과 특허문헌 2의 콘슬라트들은 모두 내부에 철근이 내장되어 제조되는데 얇은 철근만 내장되어 제조되는 콘슬라트는 하중을 받치는 강도가 높지 않아 강도를 높이기 위해 콘크리트를 두껍게 타설하여 제작하므로 콘슬라트의 전체적인 무게가 무거워지고 그로 인해 콘슬라트의 이동과 설치작업에 어려움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하여 본 출원인은 공개특허 10-2022-0117510의 "I-BAR를 사용한 돈사용 바닥구조물"를 개발하였다. 그러나 상기 구성은 철근을 사용하지 않고 바를 사용하여 평철로 연결한 것으로, 콘크리트가 바 및 평철에서 분리되어 콘슬라트 받침대가 크랙이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583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1425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11751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축사의 바닥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성형되는 콘슬라트 받침대의 내부에 인장력과 전단력을 형성하기 위해 내부에 상부철근과 하부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의 피복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간격을 두고 아이(I)자형으로 형성되는 보강철근을 연결하여 배근함으로써, 콘슬라트 받침대를 양생 한 후에는 콘크리트가 아이자형 보강철근에서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때문에, 내구성과 강도를 크게 향상시키고, 콘슬라트 상부에서 가해지는 돼지의 하중에도 콘슬라트 받침대가 쉽게 파손되지 않고 높은 지지력이 발휘되게 하며, 강도향상이 용이한 콘슬라트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돈사의 바닥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인 콘슬라트와 받침대를 성형시 종래의 I-BAR 및 평철을 사용하지 않고 주 철근을 아이자형 보강철근으로 보강하여 배근함으로써, 콘슬라트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I)자형으로 철근을 보강한 콘슬라트 받침대의 구성은, 콘크리트의 압축력을 보강하여 인장력을 높여 줄 수 있도록 내부 양측에 배근되는 상부철근(20)과 하부철근(30);
상기 상부철근(20)과 하부철근(30)을 지지하면서 전단력 및 콘크리트(50)와의 분리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철근(20)과 하부철근(30)을 연결하는 상부연결철근(41)과 하부연결철근(42) 사이에 수직으로 고정하는 고정철근(43)을 결합하여 이루어진 아이(I)자형 보강철근(40);
상기 상부철근(20)과 하부철근(30) 및 보강철근(40)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 타설하여 성형되는 콘슬라트 받침대(1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철근(20)과 하부철근(30)은 길이방향으로 배근하고, 상기 아이자형 보강철근(40)은 간격을 두고 다수 배근하여 상부철근(20)과 하부철근(30)에 용접으로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콘슬라트 받침대를 성형하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내부에 인장강도를 유지하도록 배근되는 상부철근과 하부철근의 피복두께 유지와 강도 유지를 위하여 상부철근과 하부철근 사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아이자형 보강철근을 환봉 및 이형철근으로 배근함으로써, 아이자형 보강철근에서 콘크리트가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콘슬라트 받침대의 내구성 및 강도를 높혀주기 때문에, 상부의 콘슬라트에서 가해지는 돼지의 하중에도 콘슬라트 받침대가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강도 향상이 용이하여 콘슬라트 받침대의 원가절감 및 제품의 공정을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슬라트 받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슬라트 받침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슬라트 받침대 설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자형 보강철근의 또 다른 실시예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슬라트 받침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콘슬라트 정단면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I)자형으로 철근을 보강한 콘슬라트 받침대의 주된 구성은, 콘크리트(50)로 성형되는 콘슬라트 받침대(10)의 내부에 콘크리트(50)의 압축강도를 보강함과 아울러 콘크리트(50)와의 분리현상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근되는 상부철근(20)과 하부철근(30)을 지지 및 연결하는 아이자형 보강철근(40)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콘슬라트 받침대(10)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에는 콘크리트(50)의 압축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인장강도 및 전단강도를 갖도록 상부철근(20)과 하부철근(30) 및 아이자형 보강철근(40)이 배근되어 콘크리트(50)로 성형되는 축사의 바닥구조물인 콘슬라트 받침대(10)로 구성된다.
상기 콘슬라트 받침대(10)는 일정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의 블록형상으로 상기 콘슬라트 받침대(10)는 상부에 안착하여 형성되는 콘슬라트(60)를 지지하기 위하여 돈사의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 지주(70) 위에 설치된다. 그리고 콘슬라트(60)는 분뇨의 배출이 용이하게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배수공(6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콘슬라트 받침대(10)는 내부에 상부철근(20)과 하부철근(30) 및 보강철근(40)의 주변으로 콘크리트(50)가 타설되어 성형된다.
또한, 콘슬라트(60)는 배수공(61)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하부로 갈수록 넓은 폭을 갖도록 하기 위해 콘슬라트(60)의 상부면에서 하부로 소정높이 수직 연장된 수직구(61a)와 상기 수직구(61a)의 하부에서 소정높이로 연장되며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게 형성된 제1확장구(61b)와 상기 제1확장구(61b)의 하부에서 콘슬라트(60)의 바닥면까지 연장되며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게 형성된 제2확장구(61c)로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확장구(61b)는 상기 수직구(61a) 보다 1cm 정도 하단의 폭이 넓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확장구(61c)는 상기 제1확장구(61b) 보다 2cm 또는 4cm 정도 하단의 폭이 넓어지게 형성하여 수직구(61a), 제1확장구(61b), 제2확장구(61c)를 갖는 각 배수공(61)은 각 제1확장구(61b) 및 제2확장구(61c)의 경사진면을 타고 분뇨의 자연스러운 배출이 이루어지면서 분뇨의 배출이 용이해지며, 상기 제1확장구(61b)와 제2확장구(61c)는 경사면이 2단으로 형성되면서 콘슬라트(60)의 성형과정에서 성형틀에 콘크리트 몰탈을 양생시킨 후 양생된 콘슬라트(60)를 성형틀에서 제거시 2단의 경사면에 의해 콘슬라트(60)의 분리가 용이해지게 한다.
통상적으로, 콘슬라트(60)는 성형시 콘크리트(50) 몰탈을 성형틀에서 양생시킨 후 양생이 완료되면 성형틀에 공기를 주입하여 성형틀에서 콘슬라트(60)를 분리하게 되는데, 이때 공기는 콘슬라트(60)에 형성되는 배수공(61)들의 주위로 주입되어 주입된 공기가 콘슬라트(60)를 성형틀에서 밀어내 콘슬라트(60)의 분리가 이루어지게 하는데, 종래의 콘슬라트에 형성되는 배수공들은 경사면이 없거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속적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성형틀에서 콘슬라트의 분리가 쉽지 않고 그로인해 배수공의 크기를 크게 형성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으나,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콘슬라트(60)에 형성되는 배수공(61)들은 상기 확장구(61b)와 제2확장구(61c)에 의해 2단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성형된 콘슬라트(60)를 성형틀에서 분리시 2단의 경사면에 의해 공기가 들어가는 공간의 확보가 용이하여 콘슬라트(60)의 분리가 손쉽게 이루지게 되며, 또한, 상기 확장구(61b)와 제2확장구(61c)를 갖는 배수공(61)의 구조는 성형틀에서 콘슬라트(60)의 분리가 손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므로 종래의 콘슬라트에 비해 배수공의 구멍크기를 작게 성형할 수 있어 종래의 콘슬라트에 비해 배수공의 개수를 늘려서 형성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콘슬라트의 생산효율과 배수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슬라트 받침대(10)의 내부에 배근되는 철근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콘크리트(50)로 성형되는 콘슬라트 받침대(10)의 내부에는 콘크리트(50)의 압축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인장강도 및 전단강도를 갖는 철근이 배근되는데 콘슬라트 받침대(10)의 상부측에는 상부철근(20)을 양측 모서리 부근에 배근하고, 하부측에는 하부철근(30)을 양측 모서리 부근에 배근한다.
이때 상부철근(20)과 하부철근(30)은 콘크리트(50)의 피복두께를 유지하도록 배근한다. 즉, 콘크리트(50)의 피복두께 유지는 공기중의 이산화탄소와 수분이 철근을 녹슬게 하는 것을 방지하는 내구성 확보를 유지하고, 공기중의 이산화탄소와 수분이 철근을 녹슬게 하는 것을 방지하고, 콘크리트의 중성화 시간 연기 효과가 있다. 그뿐만 아니라 철근과의 부착을 위한 피복두께가 1.5㎝ 이상의 피복을 확보하여야 철근과의 부착력이 확보되는 것이고, 구조내력 확보를 위해 철근의 공칭지름 1.5배 이상의 피복을 확보하여야 허용부착 응력도에 도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부착 파괴로 인한 콘크리트 균열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콘슬라트 받침대(10)의 압축강도를 보강하는 상부철근(20)과 하부철근(30)은 콘크리트(50)와의 접착력 및 피복두께를 유지하고, 콘크리트(50)와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철근(20)과 하부철근(30) 사이에 아이자형 보강철근(40)을 연결하여 고정하는 구성이다.
상기 아이자형 보강철근(40)의 구성은 상부철근(20)을 지지함은 물론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강하게 견딜 수 있도록 콘슬라트 받침대(10)의 견고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부철근(20)과 하부철근(30)을 보강하는 아이자형 보강철근(40)에 대하여 도 3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이자형 보강철근(40)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부철근(20)을 지지고정하는 상부연결철근(41)이 상부철근(20)의 하부에서 가로로 받쳐주도록 구성한다. 또한,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하부철근(30)을 지지고정하는 하부연결철근(42)이 하부철근(30)의 상부에서 가로로 받쳐주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상부연결철근(41)과 하부연결철근(42)이 상부철근(20)과 하부철근(30)을 고정지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연결철근(41)과 하부연결철근(42) 사이에 수직으로 고정철근(43)을 연결하여 아이자형 보강철근(40)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철근(20)과 하부철근(30)을 지지고정하는 아이자형 보강철근(40)은 서로 용접에 의해 고정하여 구성한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결속선으로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그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철근(20)과 하부철근(30) 및 아이자형 보강철근(40)은 환봉 또는 이형철근으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콘슬라트 받침대(10)에 대하여 설명하면 즉, 콘슬라트 받침대(l0)는 상부철근(20)과 하부철근(30)을 보강하는 아이자형 보강철근(40)의 주변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50)와 접착력을 강화하고, 상부철근(20)과 하부철근(30)을 고정하도록 아이자형으로 보강철근(40)을 구성함으로서, 콘슬라트 받침대(10)는 콘슬라트(60)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받쳐주는 강도가 배로 향상될 수 있도록 강도 향상에 크게 기여한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슬라트 받침대(10)의 양측면에는 연결홈(11)이 형성되어 있다. 즉, 콘슬라트 받침대(10)를 돈사의 바닥에 설치된 바닥지주(70)에 올려 놓고 수평을 잡아(수평이 안 이루어질 수 시에는 보조기구를 콘슬라트 받침대의 하부에 설치하여 수평을 잡아 줌) 설치한 후, 또 다른 콘슬라트 받침대(10)를 연결한 다음 서로 마주하는 연결홈(11)으로 몰탈(80)을 타설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슬라트 받침대(10)의 내부에 배근되는 상부철근(20)과 하부철근(30)을 지지 및 보강하는 아이자형 보강철근(40)의 상부연결철근(41)과 하부연결철근(42)을 연결하는 고정철근(43)을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1개의 고정철근(43)으로 형성하지 않고, 1개 이상인 2~3개의 고정철근(43)을 형성하여 아이자형 보강철근(40)을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콘슬라트 받침대 11. 연결홈
20. 상부철근
30. 하부철근 40. 보강철근
41. 상부연결철근 42. 하부연결철근
43. 고정철근 50. 콘크리트
60. 콘슬라트 61. 배수공
61a. 수직구 61b. 제 1확장구
61c. 제 2확장구 70. 바닥 지주
80. 몰탈

Claims (5)

  1. 콘크리트의 압축력을 보강하여 인장력을 높여 줄 수 있도록 내부 양측에 배근되는 상부철근(20)과 하부철근(30);
    상기 상부철근(20)과 하부철근(30)을 지지하면서 전단력 및 콘크리트(50)와 접착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부철근(20)과 하부철근(30)을 연결하는 상부연결철근(41)과 하부연결철근(42) 사이에 수직으로 고정하는 고정철근(43)을 결합하여 이루어진 아이(I)자형 보강철근(40);
    상기 상부철근(20)과 하부철근(30) 및 아이자형 보강철근(40)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 타설하여 성형되는 콘슬라트 받침대(1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아이자형 보강철근(40)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부철근(20)을 지지고정하는 상부연결철근(41)이 상부철근(20)의 하부에서 가로로 받쳐주도록 형성하고,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하부철근(30)을 지지고정하는 하부연결철근(42)이 하부철근(30)의 상부에서 가로로 받쳐주도록 형성하고, 상부연결철근(41)과 하부연결철근(42) 사이에 수직으로 고정하는 고정철근(43)을 형성하여, 상부철근(20)을 지지함은 물론 콘슬라트(60)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강하게 견딜 수 있도록 콘슬라트 받침대(10)의 견고성을 유지하도록 형성하고,
    상부철근(20)과 하부철근(30)을 보강하는 아이자형 보강철근(40)의 주변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50)와 접착력 강화로 인하여 콘크리트(50)와의 분리현상 및 파손을 방지하도록 형성하여 내구성을 강화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콘슬라트 받침대(10)의 양측에는 연결홈(11)을 형성하여,
    바닥 지주(70)에 콘슬라트 받침대(10)를 연결하여 설치 한 후 연결홈(11)에 몰탈(80)을 삽입하여 콘슬라트 받침대(10)를 바닥 지주(70) 위에 고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I)자형으로 철근을 보강한 콘슬라트 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철근(20)과 하부철근(30)은 길이방향으로 배근하고, 상기 아이자형 보강철근(40)은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근하여 상부철근(20)과 하부철근(30)에 용접으로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I)자형으로 철근을 보강한 콘슬라트 받침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철근(20)과 하부철근(30) 및 아이자형 보강철근(40)은 환봉 또는 이형철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I)자형으로 철근을 보강한 콘슬라트 받침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자형 보강철근(40)의 고정철근(43)은 1 내지 3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I)자형으로 철근을 보강한 콘슬라트 받침대.
  5. 삭제
KR1020220149665A 2022-11-10 2022-11-10 아이(i)자형으로 철근을 보강한 콘슬라트 받침대 KR102534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9665A KR102534211B1 (ko) 2022-11-10 2022-11-10 아이(i)자형으로 철근을 보강한 콘슬라트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9665A KR102534211B1 (ko) 2022-11-10 2022-11-10 아이(i)자형으로 철근을 보강한 콘슬라트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4211B1 true KR102534211B1 (ko) 2023-05-17

Family

ID=86547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9665A KR102534211B1 (ko) 2022-11-10 2022-11-10 아이(i)자형으로 철근을 보강한 콘슬라트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211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119U (ko) * 1998-08-03 1998-11-25 김충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되는 에이치 빔
KR200285833Y1 (ko) 2002-05-17 2002-08-14 오용섭 콘슬랏
KR200383122Y1 (ko) * 2005-02-07 2005-04-29 노병언 양돈장 구조
JP2010088318A (ja) * 2008-10-06 2010-04-22 Tomikawa Sangyo:Kk 畜舎用コンクリート製スノコの強化方法および当該方法により強化された畜舎用コンクリート製強化スノコ
KR101290766B1 (ko) * 2011-10-21 2013-07-29 윤은중 수직구 시공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수직구 시공방법
KR20170053050A (ko) * 2015-11-05 2017-05-15 노병언 양돈장 구조
KR102014253B1 (ko) 2019-03-26 2019-08-26 주영희 돈사용 콘슬라트 성형틀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콘슬라트
KR20210051823A (ko) *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유로하우징 돈사의 슬랏받침바연결구
KR102335429B1 (ko) * 2021-05-21 2021-12-03 황수성 평철을 사용한 콘슬라트
KR20220117510A (ko) 2021-02-17 2022-08-24 황수성 I-bar를 사용한 돈사용 바닥구조물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119U (ko) * 1998-08-03 1998-11-25 김충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되는 에이치 빔
KR200285833Y1 (ko) 2002-05-17 2002-08-14 오용섭 콘슬랏
KR200383122Y1 (ko) * 2005-02-07 2005-04-29 노병언 양돈장 구조
JP2010088318A (ja) * 2008-10-06 2010-04-22 Tomikawa Sangyo:Kk 畜舎用コンクリート製スノコの強化方法および当該方法により強化された畜舎用コンクリート製強化スノコ
KR101290766B1 (ko) * 2011-10-21 2013-07-29 윤은중 수직구 시공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수직구 시공방법
KR20170053050A (ko) * 2015-11-05 2017-05-15 노병언 양돈장 구조
KR102014253B1 (ko) 2019-03-26 2019-08-26 주영희 돈사용 콘슬라트 성형틀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콘슬라트
KR20210051823A (ko) *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유로하우징 돈사의 슬랏받침바연결구
KR20220117510A (ko) 2021-02-17 2022-08-24 황수성 I-bar를 사용한 돈사용 바닥구조물
KR102335429B1 (ko) * 2021-05-21 2021-12-03 황수성 평철을 사용한 콘슬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3048471A1 (en) Embedment-type mould for manufacturing building slab structures
AU626971B2 (en) Prefabricated building foundation element and a method and means for the manufacture of the element
US9045877B2 (en) Assemblable disposable shuttering for constructing modular formworks for making concrete foundations
US5540524A (en) Concrete slab foundation and method of construction
KR101301076B1 (ko) 프리캐스트 전면 및 배면벽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시공방법
US3879914A (en) Method of making a platform structure
US20050204698A1 (en) Fiber-reinforced sandwich panel
KR102534211B1 (ko) 아이(i)자형으로 철근을 보강한 콘슬라트 받침대
KR102335429B1 (ko) 평철을 사용한 콘슬라트
KR20220117510A (ko) I-bar를 사용한 돈사용 바닥구조물
KR102170635B1 (ko) 비용절감형 중공pc 바닥판넬
CN210482391U (zh) 基础底板后浇带的止水钢板支撑结构
US7895960B2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frame for construction and frame thus obtained
KR20100004638U (ko)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
RU2394966C2 (ru) Строительный модуль, в частности нижний этаж или подвал для хозяйственного сооружения или жилого дома
KR101440556B1 (ko)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
EP1092817A2 (en) Improved formwork for the construction of floors, roofings and the like
US20060059835A1 (en) Precast composite floor panel with integrated jois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20170118349A (ko) 지하층 외벽 시공의 벽체 거푸집용 데크
CN105926820A (zh) 一种预制梁钢承板电阻网片组合楼面的施工工法
CN217000459U (zh) 一种装配式建筑用球形空腔楼板
KR101576224B1 (ko) 건축물 시공용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CN213174888U (zh) 一种楼板面加高结构
KR20110070384A (ko) 하부 철근 보강형 집수정
CN210066497U (zh) 一种预制工字梁边跨桥面铺装模板支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