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849B1 - 거치수단을 이용한 복합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거치수단을 이용한 복합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849B1
KR102533849B1 KR1020220148079A KR20220148079A KR102533849B1 KR 102533849 B1 KR102533849 B1 KR 102533849B1 KR 1020220148079 A KR1020220148079 A KR 1020220148079A KR 20220148079 A KR20220148079 A KR 20220148079A KR 102533849 B1 KR102533849 B1 KR 102533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ing
sensor unit
mounting means
chamb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8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철
이승철
Original Assignee
더블유에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블유에스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더블유에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48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8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2Checking intermittent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08B29/14Checking intermittent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checking the detection circuits
    • G08B29/145Checking intermittent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checking the detection circuits of fire detection circu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17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by using a detection device for specific gases, e.g. combustion products, produced by the fi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극을 발생시켜 센서유닛에서 감지하도록 밀폐공간을 제공하는 챔버, 상기 챔버 내부에 형성되고 센서유닛을 거치시키는 제1 거치수단 및 상기 챔버 외부에 형성되고 모니터링유닛을 거치시키는 제2 거치수단을 포함하는 거치수단을 이용한 복합 시험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거치수단을 이용한 복합 시험장치{COMBINED TEST APPARATUS USING MOUNTING MEANS}
본 발명은 설정된 수준의 자극을 감지하는지 센서유닛을 시험하고, 설정된 동작시간 안에 센서유닛의 감지값에 대응하는 모니터링정보를 출력하는지 모니터링유닛을 시험하는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열방식에 따른 시험장치에 대하여>
종래에는 특허문헌 1과 같이 전기절연물을 직접 가열하는 방식으로 시험장치를 활용하였고, 전기절연물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센서의 성능을 시험하였다. 종래에는 특허문헌 2와 같이 도체 간의 접속을 제공하는 도체접속 어셈블리에 표출재가 형성되고, 절연물처럼 도체의 열을 받아 열분해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도체에 열을 가하는 방식이 아닌 직접적으로 절연체를 가하는 방식으로 신뢰성이 있는 실험데이터를 획득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인증시험을 위한 시험장치에 대하여>
종래에는 특허문헌 1과 같이 센서와 모니터링 기능이 함께 구비된 일체형의 감시장치를 챔버 내부에 배치하고, 시험가스를 주입하거나 전기절연물을 연소시켜 센서가 잘 가스를 잘 감지하는지 시험하였다. 즉 종래에는 제품의 품질인증을 위해 센서의 성능만 시험하였다.
전기시설 중 하나인 배전반은 주 차단기가 설치된 메인 배전반과 부하를 위한 부하 배전반 등 복수의 외함을 포함할 수 있고, 통상적으로 최대 5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각의 외함별로 화재징후를 감시하기 위해 외함별로 센서유닛을 설치할 수 있고, 메인 배전반에 복수의 센서유닛과 통신이 가능한 모니터링유닛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일체형 감시장치보다 적은 비용으로 다수의 외함을 감시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본 발명처럼 하나의 모니터링유닛에 복수의 센서유닛을 하나의 세트로 구성하여 배전반의 제조에 활용하였으므로, 하나의 세트에 대한 품질인증을 하기 위한 시험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최근에는 모니터링유닛과 센서유닛이 분리됨에 따라 설정된 동작시간 안에 센서유닛의 감지값에 대응하는 모니터링정보를 출력하는지 모니터링유닛을 시험하는 시험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유지보수 및 제품개선을 위한 시험장치에 대하여>
종래에는 일부 제품에서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오작동이 일어날 수 있고, 이러한 오작동을 파악하여 유지보수를 하거나 제품개선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제품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성능을 위한 시험이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시험장치를 활용하여 제품의 성능이나 결함을 시험하는 기술이 미비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2454315호 한국등록특허 제10-2375495호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설정된 수준의 자극을 감지하는지 센서유닛을 시험하고, 설정된 동작시간 안에 센서유닛의 감지값에 대응하는 모니터링정보를 출력하는지 모니터링유닛을 시험하는 거치수단을 이용한 복합 시험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수단을 이용한 복합 시험장치는, 자극을 발생시켜 센서유닛(500)에서 감지하도록 밀폐공간을 제공하는 챔버(110); 상기 챔버 내부에 형성되고 센서유닛을 거치시키는 제1 거치수단(150) 및 상기 챔버 외부에 형성되고 모니터링유닛(600)을 거치시키는 제2 거치수단(160)을 포함하여, 설정된 수준의 자극을 감지하는지 센서유닛을 시험하고, 설정된 동작시간 안에 센서유닛의 감지값에 대응하는 모니터링정보를 출력하는지 모니터링유닛을 시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거치수단은 N개의 감시구역으로 나눠진 1세트 감시구역에 설치가 가능한 N개의 센서유닛을 거치시키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수단을 이용한 복합 시험장치는, N개의 센서유닛에서 동일한 수준의 자극을 감지하는지 비교하는 품질 인증시험으로 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수단을 이용한 복합 시험장치는, 상기 챔버 내부에 형성되고 자극을 감지하는 기능이 구비된 감지용 기준장치(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용 기준장치와 센서유닛의 감지값을 비교하여 센서유닛의 성능이나 결함을 시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수단을 이용한 복합 시험장치는, 상기 챔버 외부에 형성된 모니터링용 기준장치(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용 기준장치와 모니터링유닛의 동작시간을 비교하여 모니터링용유닛의 성능이나 결함을 시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설정된 수준의 자극을 감지하는지 센서유닛을 시험하고, 설정된 동작시간 안에 센서유닛의 감지값에 대응하는 모니터링정보를 출력하는지 모니터링유닛을 시험함으로써, 공간적으로 분리된 센서유닛과 모니터링유닛의 성능이나 품질을 함께 시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험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시험장치에 화재징후 표출대상, 센서유닛 및 모니터링유닛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시험장치에 기준장치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험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시험장치에 화재징후 표출대상, 센서유닛 및 모니터링유닛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시험장치(100)는 챔버(110), 도체부(120), 가열부(130), 제1 거치수단(150) 및 제2 거치수단(160)을 포함한다.
챔버(110)는 센서유닛의 배치공간을 제공한다. 챔버(110)는 자극을 발생시켜 센서유닛(500)에서 감지하도록 밀폐공간을 제공한다. 챔버(110)는 전기시설의 외함의 축소형 또는 실제 크기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체부(120)는 챔버(110) 내부에 형성되고, 전기를 전달하는 도체를 재현하기 위한 것이다. 가열부(130)는 도체부(120)의 발열을 재현하기 위한 것이다. 도체부(120)는 설정된 결합위치에서 자신의 발열을 전달받는 화재징후 표출대상과 결합된다.
시험장치(100)는 전기시설의 도체부(120)에 관한 재현 환경을 제공하고, 도체부(120)를 통한 간접 가열방식으로 화재징후 표출대상에서 가스를 발생하며, 화재징후 표출대상의 가스를 감지하는 시험을 제공한다.
시험장치(100)는 간접 가열방식으로 화재징후 표출대상에서 가스를 발생하여 가스발생 시기에 대응하는 가열온도를 알아내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체부(120)는 결합위치가 포함된 수평 도체부(121) 및 일단을 가열부(130)와 연결되고 타단은 수평 도체부(121)와 연결된 수직 도체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재징후 표출대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위치에 끼워질 수 있는 전기절연체일 수 있고, 결합위치에 감겨질 수 있는 전기절연체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일면에 대한 전기절연체를 직접 가열하는 종래의 방식(특허문헌 1의 방식)과 대비하여 전기절연체의 접촉면을 증가시킬 수있고, 접촉면의 증가로 낮은 온도에서 전기절연체의 열변형이나 열분해가 발생할 수 있다.
화재징후 표출대상은 결합위치에서 결합되는 표출재가 형성된 도체접속 어셈블리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도체부(120)의 발열을 재현할 수 있고, 도체부(120)읠 열을 전달받은 도체접속 어셈블리에 형성된 표출재의 열변형이나 열분해의 온도에 대한 시험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온도에 대한 시험데이터는 표출재가 목표온도에서 열변형이나 가스발생을 표출하는지 표출재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시험장치(100)는 도체부(120)의 외부에 형성되고, 고분자로 인한 도체부(120)의 오염을 방지하면서, 도체부(120)의 열전달을 유지하는 보호커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커버는 대표적으로 은박지 등 호일일 수 있다.
시험장치(100)는 받침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침대(140)는 결합위치의 하부에 형성되어 화재징후 표출대상에서 열변형 또는 열분해에 의해 떨어지는 고분자를 받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챔버(110) 내부의 하부면에 대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기시설의 도체부(120)에 관한 재현 환경을 제공하고, 도체부(120)를 통한 간접 가열방식으로 화재징후 표출대상에서 가스를 발생하며, 화재징후 표출대상의 가스를 감지하는 시험을 제공함으로써, 온도나 가스농도 등 신뢰성이 있는 실험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거치수단(150)은 챔버(110) 내부에 형성되고 센서유닛(500)을 거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2 거치수단(160)은 챔버(110) 외부에 형성되고 모니터링유닛(600)을 거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시험장치(100)는 설정된 수준의 자극을 감지하는지 센서유닛(500)을 시험하고, 설정된 동작시간 안에 센서유닛(500)의 감지값에 대응하는 모니터링정보를 출력하는지 모니터링유닛(600)을 시험함으로써, 공간적으로 분리된 센서유닛(500)과 모니터링유닛(600)의 성능이나 품질을 함께 시험할 수 있다.
제1 거치수단(150)은 N개의 감시구역으로 나눠진 1세트 감시구역에 설치가 가능한 N개의 센서유닛(500)을 거치시킬 수 있고, 시험장치(100)는 N개의 센서유닛(500)에서 동일한 수준의 자극을 감지하는지 비교하는 품질 인증시험으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개의 감시구역은 5개의 외함을 의미하고, 1세트 감시구역은 5개의 외함으로 구성된 수배전반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최근 감시 트렌드에 부합하여 공간적으로 분리된 1개의 모니터링유닛(600)과 N개의 센서유닛(500) 등 하나의 세트에 대한 품질인증을 하기 위한 시험장치(100)로 활용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시험장치에 기준장치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시험장치(100)는 제품의 유지보수나 개선 또는 성능이나 결함을 시험하기 위하여 감지용 기준장치(50) 또는 모니터링용 기준장치(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용 기준장치(50)는 챔버 내부에 형성되고 자극을 감지하는 기능이 구비된다. 시험장치(100)는 감지용 기준장치(50)와 센서유닛(500)의 감지값을 비교하여 센서유닛(500)의 성능이나 결함을 시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감지용 기준장치(50)의 감지값이 60ppm으로 나오고, 센서유닛(500)의 감지값이 62ppm으로 나오면, 2ppm 정도의 성능오차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모니터링용 기준장치(60)는 챔버 외부에 형성되고, 대표적으로 PC와 같은 기기이다. 시험장치(100)는 모니터링용 기준장치(60)와 모니터링유닛(600)의 동작시간을 비교하여 모니터링용유닛(600)의 성능이나 결함을 시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감지용 기준장치(50) 또는 모니터링용 기준장치(60)를 통하여 센서유닛(500) 또는 모니터링유닛(600)의 성능을 비교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품의 품질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인증시험의 표준화에 기여할 수 있다.
50: 감지용 기준장치 60: 모니터링용 기준장치
100: 시험장치 110: 챔버
120: 도체부 121: 수평 도체부
122: 수직 도체부 130: 가열부
140: 받침대 150: 제1 거치수단
160: 제2 거치수단 500: 센서유닛
600: 모니터링유닛

Claims (4)

  1. 자극을 발생시켜 센서유닛(500)에서 감지하도록 밀폐공간을 제공하는 챔버(110);
    상기 챔버 내부에 형성되고 센서유닛을 거치시키는 제1 거치수단(150) 및
    상기 챔버 외부에 형성되고 모니터링유닛(600)을 거치시키는 제2 거치수단(160)을 포함하고,
    설정된 수준의 자극을 감지하는지 센서유닛을 시험하고, 설정된 동작시간 안에 센서유닛의 감지값에 대응하는 모니터링정보를 출력하는지 모니터링유닛을 시험하여, 공간적으로 분리된 센서유닛과 모니터링유닛의 성능을 함께 시험하며,
    상기 제1 거치수단은 N개의 감시구역으로 나눠진 1세트 감시구역에 설치가 가능한 N개의 센서유닛을 거치시키고,
    N개의 센서유닛에서 동일한 수준의 자극을 감지하는지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수단을 이용한 복합 시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내부에 형성되고 자극을 감지하는 기능이 구비된 감지용 기준장치(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용 기준장치와 센서유닛의 감지값을 비교하여 센서유닛의 성능이나 결함을 시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수단을 이용한 복합 시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외부에 형성된 모니터링용 기준장치(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용 기준장치와 모니터링유닛의 동작시간을 비교하여 모니터링용유닛의 성능이나 결함을 시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수단을 이용한 복합 시험장치.
KR1020220148079A 2022-11-08 2022-11-08 거치수단을 이용한 복합 시험장치 KR102533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8079A KR102533849B1 (ko) 2022-11-08 2022-11-08 거치수단을 이용한 복합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8079A KR102533849B1 (ko) 2022-11-08 2022-11-08 거치수단을 이용한 복합 시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3849B1 true KR102533849B1 (ko) 2023-05-26

Family

ID=86536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8079A KR102533849B1 (ko) 2022-11-08 2022-11-08 거치수단을 이용한 복합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84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183A (ja) * 1992-07-03 1994-01-28 Fujitsu Ltd 状態表示装置のテスト方式
JP2001343396A (ja) * 2000-06-02 2001-12-1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センサー診断装置
KR20200004637A (ko) * 2018-07-04 2020-01-14 농업기술실용화재단 환경 측정 센서의 성능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29416A (ko) * 2019-05-08 2020-11-1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교정계수를 적용하는 미세먼지 측정장비의 성능평가에 의한 교정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375495B1 (ko) 2021-10-13 2022-03-16 더블유에스테크 주식회사 화재징후 표출용 도체접속 어셈블리
KR20220103871A (ko) * 2021-01-16 2022-07-25 강소영 감시장치
KR102454315B1 (ko) 2020-11-16 2022-10-14 이승철 가스특성 시험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183A (ja) * 1992-07-03 1994-01-28 Fujitsu Ltd 状態表示装置のテスト方式
JP2001343396A (ja) * 2000-06-02 2001-12-1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センサー診断装置
KR20200004637A (ko) * 2018-07-04 2020-01-14 농업기술실용화재단 환경 측정 센서의 성능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29416A (ko) * 2019-05-08 2020-11-1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교정계수를 적용하는 미세먼지 측정장비의 성능평가에 의한 교정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454315B1 (ko) 2020-11-16 2022-10-14 이승철 가스특성 시험장치 및 그 방법
KR20220103871A (ko) * 2021-01-16 2022-07-25 강소영 감시장치
KR102375495B1 (ko) 2021-10-13 2022-03-16 더블유에스테크 주식회사 화재징후 표출용 도체접속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86269B (zh) 故障监测系统和用于检测连接性故障的方法
US718899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hot spots in an electric power conductor
CN101688805B (zh) 测力装置的状况的监测和/或确定方法以及测力装置
KR101423559B1 (ko) 수배전반용 지능형 열화감시영상시스템
US200702076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dition monitoring of electrical connections
KR102533849B1 (ko) 거치수단을 이용한 복합 시험장치
KR101510676B1 (ko) 수배전반용 지능형 방전감시 영상시스템
KR102533848B1 (ko) 도체의 가열을 이용한 시험장치
Durocher et al. Infrared windows applied in switchgear assemblies: Taking another look
CN108760090B (zh) 模拟环境温度测试装置
CN109506708A (zh) 一种高压电气设备内部温度在线监测方法
KR20210034533A (ko) 랙 화재 방지장치
KR102561858B1 (ko) 부분방전 및 부분방전센서의 정상동작 여부에 대한 스마트 감시가 가능한 수배전반 자가진단 시스템
KR101722074B1 (ko) 전자파를 이용하여 배전반을 진단하는 배전반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2573955B1 (ko) 아크 및 코로나방전에 대한 스마트 감시가 가능한 수배전반 자가진단 시스템
KR100977757B1 (ko) 반도체 검사장치의 콜드챔버
KR101600316B1 (ko) 전자파 및 온도를 이용하여 배전반을 진단하는 배전반 진단 방법 및 장치
TW201520550A (zh) 用以檢測物理特性感知器的裝置
EP4215745A1 (en) Wind turbine cable connector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JPH01243327A (ja) 開閉機器の異常監視装置
KR102659945B1 (ko) Gis 부분방전 검출 장치 및 시스템
WO2021029538A1 (ko) 진동신호를 이용한 제어반 모니터링 장치
KR102647655B1 (ko) 수배전반 내 온도 및 아크를 원활히 감시할 수 있는 수배전반 모니터링 장치
CN117405260A (zh) 用于监测电气面板中的温度的系统和方法
BR112018070491B1 (pt) Sistema de monitoramento de falhas, centro de controle de dispositivo, método para detectar falhas de conectividade e memória capaz de ser lida por computad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