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569B1 - 통신중계장치 및 이의 접속설정방법 - Google Patents

통신중계장치 및 이의 접속설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569B1
KR102533569B1 KR1020227042001A KR20227042001A KR102533569B1 KR 102533569 B1 KR102533569 B1 KR 102533569B1 KR 1020227042001 A KR1020227042001 A KR 1020227042001A KR 20227042001 A KR20227042001 A KR 20227042001A KR 102533569 B1 KR102533569 B1 KR 102533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line
monitoring server
candidate
re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2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3209A (ko
Inventor
코지 하세가와
모리마사 요코타
타케히사 미와
코키 이와무라
타카히사 에노모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03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3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빌딩설비와, 빌딩설비를 원격감시하는 감시서버(40)를 중계하는 통신중계장치(10)로서, 통신회선의 하드웨어정보에 의거해서, 접속 가능한 통신회선후보와 감시서버후보를 적어도 1개씩 추출하는 예측부(12)와, 추출한 하나의 통신회선후보를 이용해서 추출한 하나의 감시서버후보와의 사이에서 시험통신을 실행하고, 하나의 감시서버후보와의 통신에 성공하면 하나의 통신회선후보와 하나의 감시서버후보를 각각 사용 통신회선과 사용 감시서버로 특정하는 판정부(13)와, 사용 감시서버와의 접속설정을 행하는 설정부(1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중계장치 및 이의 접속설정방법
현지기기와, 현지기기를 원격감시하는 감시서버를 중계하는 통신중계장치 및, 통신중계장치와 감시서버와의 접속설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지에 설치된 설비 등 기기와, 감시서버를 통신회선으로 접속해서 현지에 설치된 기기의 원격감시를 행하는 원격감시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원격감시시스템에서는, 통신회선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조기에 통신회선을 복구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에서는, 기기감시장치가 현지의 기기와 접속된 통신장치와의 무선통신상태를 일정 주기로 감시하고, 일정 기간 신호를 수신하지 않을 경우에 기기감시장치와의 사이의 통신 경로를 재확립하기 위한 소정의 복구용 신호를 기기감시장치에 송신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스마트폰 등의 단말장치와 외부네트워크의 통신중계장치에 있어서, 접속설정 등의 단말장치의 정보와, 통신강도 등의 외부네트워크의 정보에 의거해서 최적인 접속 회선을 선택하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JP 2018-113627 A JP 2010-183376 A
그런데, 현지기기와 감시서버를 중계하는 통신중계장치가 감시서버와 통신을 행할 경우, 사용할 수 있는 통신회선과 접속처의 감시서버는 계약내용 등에 의해 일의적으로 정해져 있다. 그러나, 통신회선과 접속처의 감시서버의 후보는 다수 존재하므로, 통신중계장치의 초기 설정을 행할 경우에는, 각 통신회선을 이용해서 각 감시서버와의 사이에서 통신시험을 행하고, 사용 가능한 통신회선을 특정하는 것이 필요했다. 이 때문에, 통신중계장치의 초기 설정에 시간이 걸려버리는 동시에, 불필요한 통신을 행하기 위하여 보안(security) 상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효율적으로 통신중계장치의 초기 설정을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통신중계장치는, 현지기기와 상기 현지기기를 원격감시하는 감시서버를 중계하는 통신중계장치로서, 접속되어 있는 통신회선의 하드웨어정보에 의거해서, 접속 가능한 통신회선후보와 감시서버후보를 적어도 1개씩 추출하는 예측부와, 추출한 하나의 통신회선후보를 이용해서 추출한 하나의 감시서버후보와의 사이에서 시험통신을 실행하고, 상기 하나의 감시서버후보와의 통신에 성공하면 상기 하나의 통신회선후보와 상기 하나의 감시서버후보를 각각 사용 통신회선과 사용 감시서버로 특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사용 통신회선과 상기 사용 감시서버의 접속설정을 행하는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예측부에서 접속 가능한 통신회선후보와 감시서버후보를 추출하고, 좁힌 통신회선후보와 감시서버후보에 대해서 통신시험을 행하고, 그 결과에 의거해서 접속설정을 행하므로, 통신시험의 횟수를 저감시킬 수 있고, 효율적으로 통신중계장치의 초기 설정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중계장치에 있어서, 감시서버와, 통신회선과, 접속 가능한 통신회선의 하드웨어정보를 결부시켜서 격납한 통신회선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예측부는, 상기 통신회선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해서 접속 가능한 통신회선후보와 감시서버후보를 적어도 1개씩 추출해도 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단시간에 통신회선후보와 감시서버후보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중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외부기기로부터 외부정보를 취득하고, 외부정보와 접속되어 있는 통신회선의 하드웨어정보에 의거해서, 접속 가능한 통신회선후보와 감시서버후보를 적어도 1개씩 추출해도 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정보는, 통신회선의 계약정보와 상기 외부기기의 위치정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포함해도 된다.
외부정보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통신회선후보와 감시서버후보를 보다 크게 좁힐 수 있어, 통신시험을 행하는 횟수를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보다 효율적으로 통신중계장치의 초기 설정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속설정방법은, 현지기기와 상기 현지기기를 원격감시하는 감시서버를 중계하는 통신중계장치의 감시서버의 접속설정방법으로서, 접속되어 있는 통신회선의 하드웨어정보에 의거해서, 접속 가능한 통신회선후보와 감시서버후보를 적어도 1개씩 추출하는 예측 단계와, 추출한 하나의 통신회선후보를 이용해서 추출한 하나의 감시서버후보 사이에서 시험통신을 실행하고, 상기 하나의 감시서버와의 통신에 성공하면 상기 하나의 통신회선후보와 상기 하나의 감시서버후보를 각각 사용 통신회선과 사용 감시서버로 특정하는 판정 단계와, 상기 사용 통신회선과 상기 사용 감시서버와의 접속설정을 행하는 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통신시험의 횟수를 저감시킬 수 있고, 효율적으로 통신중계장치의 초기 설정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속설정방법으로서, 상기 판정 단계는, 외부기기로부터 외부정보를 취득하고, 외부정보와 접속되어 있는 통신회선의 하드웨어정보에 의거해서, 접속 가능한 통신회선후보와 감시서버후보를 적어도 1개씩 추출해도 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정보는, 통신회선의 계약정보와 상기 외부기기의 위치정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상기 판정 단계는, 외부정보와 접속되어 있는 통신회선의 하드웨어정보 사이에 모순이 있을 경우에는, 처리를 중단해서 경보를 발행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보다 통신시험의 횟수를 저감시킬 수 있고, 보다 효율적으로 통신중계장치의 초기 설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외부정보에 의해 통신회선의 잘못을 빠른 시기에 발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효율적으로 통신중계장치의 초기 설정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의 통신중계장치를 이용한 빌딩설비의 원격감시시스템을 나타내는 계통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의 통신중계장치의 기능 블록도로서, 통신중계장치를 제K 감시서버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실시형태의 통신중계장치의 기능 블록도로서, 통신중계장치를 제M 감시서버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통신회선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통신설정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형태의 통신중계장치의 초기설정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다른 실시형태의 통신중계장치의 기능 블록도로서, 다른 통신중계장치를 제K 감시서버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다른 실시형태의 통신중계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의 통신중계장치(10)에 대해서 설명한다. 최초에 도 1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의 통신중계장치(10)를 이용한 빌딩설비(67)의 원격감시시스템(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원격감시시스템(100)은, 빌딩(60)에 설치되어 있는 현지기기인 공조기(64), 조명기(65), 입퇴출 관리장치(66) 등의 빌딩설비(67)를 감시서버(40)로 원격감시하는 시스템이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감시서버(40), 통신회선(21, 22), 통신회선망(30)은 복수 존재하고, 각 감시서버(40), 통신회선(21, 22), 통신회선망(30)을 구별해서 설명할 때에는, 각 부호의 뒤에 괄호를 붙여서 번호를 나타내고, 구별하지 않을 경우에는, 각 감시서버(40), 통신회선(21, 22), 통신회선망(30)으로 표기한다.
빌딩(60)에 설치된, 공조기(64), 조명기(65), 입퇴출 관리장치(66) 등의 빌딩설비(67)는, 각각 로컬 컨트롤러(63)(이하, LCC(63)라 칭함)을 개재해서 빌딩 중앙감시시스템(61)에 접속되어 있다. 빌딩 중앙감시시스템(61)과 각 LCC(63) 사이에는, 근거리통신망(62)(이하, LAN(62)이라 칭함)으로 접속되어 있다. 통신중계장치(10)의 일단부는 LAN(6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통신중계장치(10)의 타단부는, 제K 통신회선(21(K), 22(K)), 제K 통신회선망(30(K))을 개재해서 제K 감시서버(40(K))에 접속되어 있다. 통신중계장치(10)는, 제K 감시서버(40(K))에 접속되어 있는 제K 통신회선(21(K), 22(K)), 제K 통신회선망(30(K))과 LAN(62)의 프로토콜의 변환을 행하고, 제K 통신회선(21(K), 22(K)), 제K 통신회선망(30(K))과 LAN(62)을 접속하는 기기이다.
빌딩(60)의 빌딩설비(67)를 감시 가능한 감시서버(40)는 복수 존재한다. 그리고, 각 감시서버(40)에는 각각 각 통신회선(21, 22), 각 통신회선망(30)이 접속되어 있다. 도 1에서는, 제1로부터 제N까지 N개의 감시서버(40), 통신회선(21, 22), 통신회선망(30)이 존재할 경우를 나타낸다.
여기서, 통신중계장치(10)는, 계약에 의해, 사용할 수 있는 통신회선(21, 22), 통신회선망(30)과, 접속 가능한 감시서버(40)는 각각 1개로 한정되어 있다. 도 1에서는, 예로서, 통신중계장치(10)가 제K 통신회선(21(K), 22(K)), 제K 통신회선망(30(K))을 개재해서 제K 감시서버(40(K))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통신중계장치(10)는, 제K 이외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다른 각 통신회선(21, 22), 각 통신회선망(30), 감시서버(40)에는 접속할 수는 없다.
통신중계장치(10)는, 프로토콜의 변환을 행하는 통신 중계기(11)와, 통신 중계기(11)에 접속되어서 정보처리를 행하는 프로세서인 CPU(51)와, CPU(51)에 접속되는 기억부(52)를 포함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중계장치(10)는, 내부에 예측부(12), 판정부(13), 설정부(14)의 3개의 기능 블록과 통신회선 데이터베이스(15), 통신설정 데이터베이스(16)의 2개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있다. 예측부(12), 판정부(13), 설정부(14)의 3개의 기능 블록은, 프로세서인 CPU(51)가 기억부(52)에 격납되어 있는 동작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통신회선 데이터베이스(15), 통신설정 데이터베이스(16)는 기억부(52)에 소정의 데이터를 격납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중계장치(10)는 3개의 외부통신포트(17a, 17b, 17c)와, 1개의 LAN측 포트(18a)를 포함하고 있다. 외부통신포트(17a)는 이더넷 케이블 접속용의 포트이다. 외부통신포트(17b)는 동축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동축 케이블용 포트이다. 또한, 외부통신포트(17c)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WiFi 어댑터용의 무선통신기(25(M))를 접속 가능한, 예를 들어, USB 접속 포트이다. 이와 같이, 외부통신포트(17a, 17b)는 유선 통신회선을 접속하는 포트이며, 외부통신포트(17c)는 무선 통신회선을 접속하기 위한 포트이다.
여기서, 도 3은, 통신중계장치(10)의 외부통신포트(17c)에 WiFi 어댑터용의 무선통신기(25(M))를 접속하고, WiFi에 의해 통신회선망(30)(M)을 개재해서 제M 감시서버(40(M))와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통신중계장치(10)를 제M 감시서버(40(M))에 접속했을 경우에는, 통신중계장치(10)는 앞서 설명한 제K 감시서버(40(K))에는 접속되지 않는다.
예측부(12)는 외부통신포트(17a 내지 17c)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어느 외부통신포트(17a 내지 17c)에 통신회선이 접속되어 있는지에 의해 통신회선 하드웨어정보를 취득하고, 나중에 설명하는 통신회선 데이터베이스(15)를 참조하면서 취득한 통신회선 하드웨어정보에 의거해서, 도 1에 나타낸 N개의 감시서버(40), 통신회선(21, 22), 통신회선망(30) 중에서, 통신중계장치(10)가 접속 기능한 적어도 1개의 통신회선후보와, 적어도 1개의 감시서버후보의 데이터를 추출해서 판정부(13)에 출력한다.
판정부(13)는, 통신 중계기(11)에 예측부(12)로부터 입력된 통신회선후보와 감시서버후보 중 하나의 통신회선후보를 이용해서 하나의 감시서버후보와의 사이에서 시험통신을 실행시킨다. 그리고, 통신 중계기(11)로부터 시험통신에 성공한 신호를 수신하면 그 통신회선후보와 감시서버를 사용 통신회선과 사용 감시서버로 특정해서 설정부(14)에 출력한다.
설정부(14)는, 나중에 설명하는 통신설정 데이터베이스(16)를 참조해서, 통신 중계기(11)의 사용 감시서버와의 접속설정을 행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회선 데이터베이스(15)는, 감시서버(40)와, 통신회선(21, 22)과, 통신회선 하드웨어정보를 결부시켜서 격납한 데이터베이스이다. 감시서버명 필드에는, "제1 감시서버", "제2 감시서버" 등의 감시서버의 명칭이 격납되어 있다. 사용 회선 필드에는 "A사 A회선", "B사 B회선"과 같이, 통신회선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기업 명칭과 회선 명칭을 조합시킨 사용 회선 명칭이 격납되어 있다. 통신회선 하드웨어정보는, 유선과 무선의 구별과, 사용되는 케이블, 무선통신기 등의 종류를 나타내는 통신회선 하드웨어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통신회선 데이터베이스(15)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제1 감시서버(40(1))는, 이더넷 케이블로 유선에 의한 통신회선인 A사 A회선을 이용해서 접속 가능하다. 또, 제3 감시서버는, WiFi 어댑터에서 무선에 의한 통신회선인 C사 C회선을 이용해서 접속 가능하다. 또한, 도 4에서는, 1종류의 통신회선 하드웨어가 접속 가능한 감시서버(40)가 하나씩 존재하는 것처럼 기재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1종류의 통신회선 하드웨어로 접속 가능한 감시서버(40)는 복수 존재하고, 통신회선 데이터베이스(15)에는, 도 1에 나타낸 제1 감시서버(40(1)) 내지 제N 감시서버(40(N))까지의 N개의 감시서버(40) 사용 회선과 통신회선 하드웨어정보가 격납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설정 데이터베이스(16)는, 감시서버와, 프로토콜과, IP 어드레스와, 어카운트명, 패스워드를 결부시켜서 격납한 데이터베이스다.
다음에 도 6을 참조하면서 도 1에 나타낸 통신중계장치(10)의 초기설정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의 단계 S10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측부(12)는, 외부통신포트(17a 내지 17c) 중 어느 쪽의 포트에 통신회선이 접속되어 있는지의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이 외부통신포트(17a 내지 17c)의 접속정보에 의거해서 통신회선 하드웨어정보를 취득한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통신포트(17a)로부터 통신회선이 접속되어 있다는 데이터를 취득한 경우, 외부통신포트(17a)는 이더넷 케이블 접속용의 포트이기 때문에 통신회선 하드웨어는 이더넷 케이블에서, 유선에 의한 통신회선에 접속되어 있다는 통신회선 하드웨어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통신포트(17c)로부터 통신회선이 접속되어 있다는 데이터를 취득한 경우, 외부통신포트(17c)는 WiFi용의 무선통신기(25)가 접속되는 포트이기 때문에 통신회선 하드웨어는 WiFi 어댑터에서, 무선에 의한 통신회선에 접속되어 있다는 통신회선 하드웨어정보를 취득한다.
다음에, 예측부(12)는, 도 6의 단계 S102에 있어서, 통신회선 데이터베이스(15)를 참조하면서 통신회선 하드웨어정보에 의거해서 통신회선후보와 감시서버후보를 추출한다. 앞서 설명한 외부통신포트(17a)에 통신회선이 접속되어 있을 경우에는, 예측부(12)는, 통신회선 데이터베이스(15) 중에서, 이더넷 케이블로 유선에 의한 통신회선인 A사 A회선과, A사 A회선을 개재해서 접속되는 제1 감시서버(40(1))를 각각 통신회선후보, 감시서버후보로서 추출한다. 또한, 외부통신포트(17c)에 통신회선이 접속되어 있을 경우에는, 예측부(12)는, 통신회선 데이터베이스(15) 중에서, WiFi 어댑터에서 무선에 의한 통신회선인 C사 C회선과, C사 C회선을 개재해서 접속되는 제3 감시서버(40(3))를 각각 통신회선후보, 감시서버후보로서 추출한다.
그리고, 예측부(12)는, 적어도 1개의 통신회선후보와, 적어도 1개의 감시서버후보를 추출할 수 있었을 경우에는, 도 6의 단계 S103에서 "예"라고 판단해서 단계 S104로 진행하여 통신회선후보, 감시서버후보를 판정부(13)에 출력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Jend개의 후보를 추출한 것으로 해서 설명한다.
한편, 예측부(12)는, 도 6의 단계 S103에서 "아니오"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판정부(13)는, 예측부(12)로부터 통신회선후보, 감시서버후보가 입력되면 도 6의 단계 S105에서 카운터(J)를 초기 값의 1에 세트해서 도 6의 단계 S106으로 진행하여, 통신부에 첫 번째의 통신회선후보를 이용해서 첫 번째의 감시서버후보와의 사이의 시험통신을 통신 중계기(11)에 실행시켜, 시험통신의 결과를 통신 중계기(11)로부터 수신한다.
판정부(13)는, 통신 중계기(11)로부터 시험통신성공이라는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도 6의 단계 S107에서 "예"라고 판단해서 도 6의 단계 S108로 진행하여, 시험통신에 성공한 첫 번째의 통신회선후보와 첫 번째의 감시서버후보를 각각 사용 통신회선, 사용 감시서버로 특정해서 설정부(14)에 출력한다.
설정부(14)는, 판정부(13)로부터 사용 통신회선, 사용 감시서버가 입력되면 도 6의 단계 S109에 있어서, 도 5에 나타낸 통신설정 데이터베이스(16)를 참조해서, 사용 감시서버와의 사이의 프로토콜, IP 어드레스, 어카운트명, 패스워드를 통신 중계기(11)에 설정한다. 설정이 종료되면, 통신중계장치(10)의 초기 설정이 종료된다.
여기서, 먼저 통신회선후보, 감시서버후보로서 추출한 이더넷 케이블로 유선에 의한 통신회선인 A사 A회선을 이용해서, A사 A회선을 개재해서 접속되는 제1 감시서버(40(1))와의 시험통신을 행하여, 시험통신에 성공한 경우, 설정부(14)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토콜을 P1, IP 어드레스를 121.1125.253, 어카운트명을 AAA, 패스워드를 V3yGBYZ로 초기 설정하여, 제1 감시서버(40(1))와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먼저 통신회선후보, 감시서버후보로서 추출한 WiFi 어댑터로 무선통신회선인 C사 C회선을 이용해서, C사 C회선을 개재해서 접속되는 제3 감시서버(40(3))와의 시험통신을 행하고, 시험통신에 성공한 경우, 설정부(14)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토콜을 P3, IP 어드레스를 151.1287.256, 어카운트명을 CCC, 패스워드를 z4RcPW9로 초기 설정하여, 제3 감시서버(40(3))와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도 6의 단계 S107에서 "아니오"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판정부(13)는, 도 6의 단계 S110로 진행하여 카운터(J)가 추출한 통신회선후보, 감시센터후보의 수의 Jend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도 6의 단계 S110에서 "아니오"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도 6의 단계 S111로 진행하여 J를 1만큼 증분해서 도 6의 단계 S106으로 되돌아가, 통신부에 두 번째의 통신회선후보를 이용해서 두 번째의 감시서버후보와의 사이의 시험통신을 통신 중계기(11)에 실행시켜, 시험통신의 결과를 통신 중계기(11)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판정부(13)는, 통신시험에 성공할 때까지, 순차 통신시험을 계속한다. 그리고, 통신시험에 성공한 경우에는, 도 6의 단계 S107에서 "예"라고 판단해서 도 6의 단계 S108로 진행하여 통신시험에 성공한 통신회선후보와 감시서버후보를 각각 사용 통신회선과 사용 감시서버로 특정해서 설정부(14)에 출력한다. 설정부(14)는, 도 6의 단계 S109에서, 도 5에 나타낸 통신설정 데이터베이스(16)를 참조해서, 사용 감시서버와의 사이의 프로토콜, IP 어드레스, 어카운트명, 패스워드를 통신 중계기(11)에 설정한다.
또한, 판정부(13)는, 도 6의 단계 S110에서 "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사용 통신회선과 사용 감시서버를 특정하지 않고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의 통신중계장치(10)는, 예측부(12)에서 접속 가능한 통신회선후보와 감시서버후보를 추출하고, 좁힌 통신회선후보와 감시서버후보에 대해서 판정부(13)에서 통신시험을 행하고, 그 결과에 의거해서 설정부(14)에서 접속설정을 행하므로, 통신시험의 횟수를 저감시킬 수 있어, 효율적으로 통신중계장치(10)의 초기 설정을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의 통신중계장치(10)에서는, 예측부(12)는, 외부통신포트(17a 내지 17c) 중 어느 쪽의 포트에 통신회선이 접속되어 있는지의 정보를 취득하고, 이 외부통신포트(17a 내지 17c)의 접속정보에 의거해서 통신회선 하드웨어정보를 취득하는 것으로 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접속되어 있는 회선의 통신회선 하드웨어정보를 기억부(52) 중에 격납해두고, 기억부(52)로부터 통신회선 하드웨어정보를 판독해서, 통신회선 데이터베이스(15)를 참조하면서 통신회선후보, 감시서버후보의 추출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실시형태의 통신중계장치(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드웨어로서 통신 중계기(11)와, CPU(51)와, 기억부(52)로 구성되는 것으로 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통신 중계기(11) 대신에, 기억부(52)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CPU(51)가 실행하는 것에 의해, 통신 중계기(11)의 기능을 실현하는 통신 중계부의 기능 블록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통신회선 데이터베이스(15)의 통신회선 하드웨어정보는, 유선과 무선의 구별과, 사용되는 케이블, 무선통신기 등의 종류를 나타내는 통신회선 하드웨어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접속 가능한 통신회선후보와 감시서버후보를 좁힐 수 있는 통신회선의 다른 정보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케이블이나 어댑터의 제품번호 등을 격납해두고, 이 정보에 의거해서 접속 가능한 통신회선후보와 감시서버후보를 좁혀도 된다.
다음에, 도 7을 참조하면서 다른 실시형태의 통신중계장치(70)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한 통신중계장치(10)와 마찬가지 부분에는, 마찬가지 부호를 붙여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중계장치(70)는, 예측부(72)에 외부기기(71)로부터 외부정보가 입력되는 점에서 다른 것 이외에는, 앞서 설명한 통신중계장치(10)와 동일하다.
외부기기(71)란, 예를 들어, 통신중계장치(70)의 초기 설정 행하는 기술자가 휴대하는 휴대전화 등의 휴대 단말이다. 외부정보란, 초기 설정하고자 하고 있는 통신중계장치(70)와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회사 사이의 통신회선의 계약정보와, 외부기기(71)의 위치정보 등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포함하는 정보이다. 여기서, 통신회선의 계약정보란, 예를 들어, 계약하고 있는 통신회선이 이더넷 케이블을 이용한 유선 통신회선, 혹은, WiFi 어댑터를 이용한 무선통신회선 등의 정보이다.
다음에, 도 8을 참조하면서 통신중계장치(70)의 초기설정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의 단계 S20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측부(72)는, 앞서 설명한 통신중계장치(10)의 예측부(12)와 같이 외부통신포트(17a 내지 17c)의 통신회선의 접속 상태의 정보로부터 통신회선 하드웨어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도 8의 단계 S202에서 예측부(72)는 외부기기(71)로부터 외부정보를 취득한다.
예측부(72)는, 도 8의 단계 S203에서 취득한 외부정보에 통신회선의 계약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도 8의 단계 S203에서 "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도 8의 단계 S204로 진행하여, 통신회선의 계약정보와 통신회선 하드웨어정보 사이에 모순이 없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회선의 계약정보는, 계약하고 있는 통신회선이 이더넷 케이블을 이용한 유선 통신회선, 혹은 WiFi 어댑터를 이용한 무선통신회선 등의 정보이다. 예측부(72)는, 취득한 통신회선 하드웨어정보가 이더넷 케이블에서 유선에 의한 통신회선에 접속되어 있고, 통신회선의 계약정보도 이더넷 케이블을 이용한 유선 통신회선일 경우에는, 도 8의 단계 S204에서 "예"라고 판단해서 도 8의 단계 S205로 진행한다.
한편, 통신회선의 계약정보가 WiFi 어댑터를 이용한 무선통신회선일 경우에는, 도 8의 단계 S204에서 "아니오"라고 판단해서 단계 S208로 진행하여 경보를 발행해서 처리를 종료한다. 이것에 의해, 통신회선의 계약정보와 다른 통신회선이 접속되어 있을 경우에 통신회선후보, 감시서버후보의 추출, 시험통신의 실행 등을 행하지 않고 처리를 종료하고, 통신회선의 접속을 다시 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통신중계장치(70)의 설치 공사를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예측부(72)는, 도 8의 단계 S203에서 "아니오"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도 8의 단계 S205로 진행한다.
예측부(72)는, 도 8의 단계 S205에 있어서, 외부정보는 외부기기(71)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위치정보를 포함할 경우에는, 도 8의 단계 S206으로 진행하여, 통신회선 하드웨어정보와 위치정보에 의거해서 통신회선 데이터베이스(15)를 참조하면서 통신회선후보, 감시서버후보를 추출한다. 예를 들면, 위치정보가 도 4에 나타낸 A사의 서비스 영역 내일 경우에는, 도 1에 나타낸 제1로부터 제N까지의 N개의 감시서버(40) 내에서, A사의 회선을 이용해서 접속되어 있는 감시서버(40)를 감시서버후보로서 일차 추출하고, 그 다음에 그 안에서, 통신회선 하드웨어정보와 일치하는 통신회선을 이용해서 접속되어 있는 감시서버(40)를 감시서버후보로서 2차 추출한다. 이것에 의해, 최종적으로 추출되는 통신회선후보와 감시서버후보의 수를 적게 할 수 있고, 도 6의 단계 S106에서 실시하는 통신시험의 횟수를 적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보다 효율적으로 통신중계장치(70)의 초기 설정을 행할 수 있다.
한편, 예측부(72)는, 도 8의 단계 S205에서 "아니오"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도 8의 단계 S207로 진행하여, 통신회선 하드웨어정보에 의거해서 통신회선후보, 감시서버후보를 추출한다.
예측부(72)는, 도 8의 단계 S206 또는 S207에서 통신회선후보, 감시서버후보를 추출하면, 도 6의 단계 S103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판정부(13)가 사용 통신회선과 사용 감시서버를 특정하여, 설정부(14)가 사용 감시서버와의 통신 설정을 행한다.
이상 설명한 통신중계장치(70)는, 통신회선의 계약정보와 통신회선 하드웨어정보 사이에 모순이 있을 경우에는, 통신회선의 접속에 잘못이 있다고 판단해서 통신회선후보, 감시서버후보의 추출, 시험통신의 실행 등을 행하지 않고 처리를 종료하고, 통신회선의 접속을 다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효율적으로 통신중계장치(70)의 설치 공사를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통신회선 하드웨어정보와 위치정보에 의거해서 통신회선후보, 감시서버후보를 추출하므로 최종적으로 추출하는 통신회선후보, 감시서버후보의 수를 좁히게 되므로, 실시하는 통신시험의 횟수를 적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보다 효율적으로 통신중계장치(70)의 초기 설정을 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외부정보는, 통신회선의 계약정보와 외부기기(71)의 위치정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서 설명했지만, 통신회선의 접속의 잘못을 발견할 수 있거나, 통신회선후보, 감시서버후보의 수를 좁힐 수 있거나 하는 정보이면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초기 설정을 행하는 기술자의 정보 등의 다른 정보이어도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통신중계장치(10, 70)는, 각각 예측부(12 또는 72), 판정부(13), 설정부(14)의 3개의 기능 블록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서 설명했지만, 통신중계장치(10, 70)의 CPU(51)가 실행하는 접속설정방법도 실시형태의 하나이다. 이 경우, 프로세서인 CPU(51)는, 접속되어 있는 통신회선의 하드웨어정보에 의거해서, 접속 가능한 통신회선후보와 감시서버후보를 적어도 1개씩 추출하는 예측 단계와, 추출한 하나의 통신회선후보를 이용해서 추출한 하나의 감시서버후보와의 사이에서 시험통신을 실행하고, 하나의 감시서버와의 통신에 성공하면 하나의 통신회선후보와 하나의 감시서버후보를 각각 사용 통신회선과 사용 감시서버로 특정하는 판정 단계와, 사용 감시서버와의 접속설정을 행하는 설정 단계를 실행한다. 또한, CPU(51)는, 판정 단계에 있어서, 외부기기(71)로부터 외부정보를 취득하고, 외부정보와 접속되어 있는 통신회선의 하드웨어정보에 의거해서, 접속 가능한 통신회선후보와 감시서버후보를 적어도 1개씩 추출한다. 여기서, 외부정보는, 통신회선의 계약정보와 외부기기(71)의 위치정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CPU(51)는, 판정 단계에 있어서, 외부정보와 접속되어 있는 통신회선의 하드웨어정보 사이에 모순이 있을 경우에는, 처리를 중단해서 경보를 발행한다.
이러한 CPU(51)가 실행하는 접속설정방법은, 통신중계장치(10, 70)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실행해서 마찬가지의 효과를 이룬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외부정보는, 통신회선의 계약정보와 외부기기(71)의 위치정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초기 설정을 행하는 기술자의 정보 등의 다른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리고, CPU(51)는, 판정 단계에 있어서 이러한 다른 정보를 외부기기(71)로부터 취득하고, 다른 정보와 통신회선의 하드웨어정보에 의거해서, 접속 가능한 통신회선후보와 감시서버후보를 적어도 1개씩 추출해도 된다.
10, 70: 통신중계장치, 11: 통신 중계기, 12,72: 예측부, 13: 판정부, 14: 설정부, 15: 통신회선 데이터베이스, 16: 통신설정 데이터베이스, 17a 내지 17c: 외부통신포트, 18a: LAN측 포트, 21, 22: 통신회선, 25: 무선통신기, 30: 통신회선망, 40: 감시서버, 51: CPU, 52: 기억부, 60: 빌딩, 61: 빌딩 중앙 감시시스템, 62: LAN(근거리통신망), 63: LCC(로컬 컨트롤러), 64: 공조기, 65: 조명기, 66: 입퇴출 관리장치, 67: 빌딩설비, 71: 외부기기, 100: 원격감시시스템.

Claims (8)

  1. 현지기기와 상기 현지기기를 원격감시하는 감시서버를 중계하는 통신중계장치로서,
    감시서버와, 통신회선과, 상기 통신중계장치가 접속 가능한 통신회선의 하드웨어정보를 결부시켜서 격납한 통신회선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통신회선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통신회선 데이터베이스 중의 상기 통신중계장치가 접속 가능한 통신회선의 하드웨어정보와, 상기 통신중계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통신회선의 하드웨어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통신중계장치가 접속 가능한 통신회선후보와 감시서버후보를 적어도 1개씩 추출하는 예측부;
    추출한 하나의 통신회선후보를 이용해서 추출한 하나의 감시서버후보와의 사이에서 시험통신을 실행하고, 상기 하나의 감시서버후보와의 통신에 성공하면 상기 하나의 통신회선후보와 상기 하나의 감시서버후보를 각각 사용 통신회선과 사용 감시서버로 특정하는 판정부; 및
    상기 사용 감시서버와의 접속설정을 행하는 설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중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외부기기로부터 외부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외부정보와, 상기 통신중계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통신회선의 하드웨어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통신중계장치가 접속 가능한 통신회선후보와 감시서버후보를 적어도 1개씩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중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정보는 통신회선의 계약정보와 상기 외부기기의 위치정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중계장치.
  4. 현지기기와 상기 현지기기를 원격감시하는 감시서버를 중계하는 통신중계장치의 감시서버의 접속설정방법으로서,
    상기 통신중계장치는 감시서버와, 통신회선과, 상기 통신중계장치가 접속 가능한 통신회선의 하드웨어정보를 결부시켜서 격납한 통신회선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통신회선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통신회선 데이터베이스 중의 상기 통신중계장치가 접속 가능한 통신회선의 하드웨어정보와, 상기 통신중계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통신회선의 하드웨어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통신중계장치가 접속 가능한 통신회선후보와 감시서버후보를 적어도 1개씩 추출하는 예측 단계;
    추출한 하나의 통신회선후보를 이용해서 추출한 하나의 감시서버후보와의 사이에서 시험통신을 실행하고, 상기 하나의 감시서버와의 통신에 성공하면 상기 하나의 통신회선후보와 상기 하나의 감시서버후보를 각각 사용 통신회선과 사용 감시서버로 특정하는 판정 단계; 및
    상기 사용 감시서버와의 접속설정을 행하는 설정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설정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단계는, 외부기기로부터 외부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외부정보와, 상기 통신중계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통신회선의 하드웨어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통신중계장치가 접속 가능한 통신회선후보와 감시서버후보를 적어도 1개씩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설정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정보는, 통신회선의 계약정보와 상기 외부기기의 위치정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설정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단계는, 상기 외부정보와, 상기 통신중계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통신회선의 하드웨어정보 사이에 모순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시험통신의 처리를 중단해서 경보를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설정방법.
  8. 삭제
KR1020227042001A 2020-06-03 2020-06-03 통신중계장치 및 이의 접속설정방법 KR1025335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0/021965 WO2021245845A1 (ja) 2020-06-03 2020-06-03 通信中継装置及びその接続設定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3209A KR20230003209A (ko) 2023-01-05
KR102533569B1 true KR102533569B1 (ko) 2023-05-17

Family

ID=78830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2001A KR102533569B1 (ko) 2020-06-03 2020-06-03 통신중계장치 및 이의 접속설정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91271B2 (ko)
KR (1) KR102533569B1 (ko)
CN (1) CN116710903B (ko)
WO (1) WO2021245845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6563A (ja) * 1999-09-17 2001-03-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3264646A (ja) * 2002-03-08 2003-09-19 Sharp Corp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制御装置
KR100833678B1 (ko) * 2006-07-03 2008-05-29 한국전기연구원 전력선통신 통합 게이트웨이
JP5581597B2 (ja) 2009-02-05 2014-09-03 独立行政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携帯式通信中継装置
US8937930B2 (en) * 2009-11-19 2015-01-20 Qualcomm, Incorporated Virtual peripheral hub device and system
JP5714985B2 (ja) * 2011-06-06 2015-05-07 株式会社デンソー 近距離無線通信装置
US10764080B2 (en) * 2015-09-08 2020-09-0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ntrol system and management apparatus
KR101881651B1 (ko) * 2016-10-14 2018-07-26 한국전력공사 데이터 집중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JP2018113627A (ja) 2017-01-12 2018-07-19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機器監視システム及び通信管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91271B2 (ja) 2022-12-16
CN116710903A (zh) 2023-09-05
KR20230003209A (ko) 2023-01-05
WO2021245845A1 (ja) 2021-12-09
JPWO2021245845A1 (ko) 2021-12-09
CN116710903B (zh) 202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5587B1 (ko) 전력시스템의보호및제어시스템과분산제어시스템
CN104598369B (zh) 在移动设备中实现的软件监控方法和装置
CN101091354A (zh) 基于二进制分类的分析及监视
CN101622822A (zh) 分析虚拟专用网故障
CN104917551A (zh) 一种蓝牙设备的配对方法及设备
CN106507501B (zh) 一种蓝牙连接方法及装置
CN114024876A (zh) 一种网络拨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423368A (zh) 网关、智能设备、移动终端、入网、入网辅助方法及系统
CN107395451B (zh) 上网流量异常的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2625230A (zh) 一种楼宇系统通信方法、装置及系统
KR102533569B1 (ko) 통신중계장치 및 이의 접속설정방법
CN108029067A (zh) 无线电通信设备、无线电通信系统、连接管理方法和非瞬时性计算机可读介质
US8897167B2 (en) Diversity monitoring for communication network circuits
US201300672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failures and requesting failure diagnoses
CN108512698B (zh) 一种网络容灾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8306939A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及转发设备
CN111488235B (zh) 一种终端故障处理方法、系统及云平台
CN108124442A (zh) 一种电梯元件参数校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5499861A (zh) 业务同路由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0493818B (zh) 无线保真模块的检测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06339797A (zh) 一种点检数据处理方法及装置
KR101747231B1 (ko) 무선국 검사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무선국 검사 관리 방법
JP7417438B2 (ja) 点検システムおよび点検方法
KR102447590B1 (ko)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이종 프로토콜 자동 연계 시스템 및 방법
CN109842684A (zh) 测量控制方法、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