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552B1 -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552B1
KR102533552B1 KR1020220078263A KR20220078263A KR102533552B1 KR 102533552 B1 KR102533552 B1 KR 102533552B1 KR 1020220078263 A KR1020220078263 A KR 1020220078263A KR 20220078263 A KR20220078263 A KR 20220078263A KR 102533552 B1 KR102533552 B1 KR 102533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frastructure
history management
equip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8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석규
Original Assignee
우석규
(주)혜윰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석규, (주)혜윰아이씨티 filed Critical 우석규
Priority to KR1020220078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5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소기업, 관공서 등에서 운영하는 중소 규모의 IT 인프라 환경에 적합한 IT 인프라 통합 관리 솔루션으로 IT 인프라에 등록된 장비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이력관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안정적 운영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과 고객사의 IT 인프라 장비에서 생성되는 각종 데이터를 수집, 가공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데이터 연동 API를 통하여 이력관리 시스템과 모니터링 시스템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수집서버를 통합한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IT 인프라 통합 이력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들(100a ~ 100n) 각각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수집, 가공하여 저장하는 수집서버(200)와, 상기 수집된 데이터에서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들(100a ~ 100n)의 이력을 관리하는 이력관리 시스템(300)과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들(100a ~ 100n)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시스템(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500)을 이용한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방법에 잇어서, 고객사 장비들(100a ~ 100n)에 대한 데이터가 고객사 장비들(100a ~ 100n) 각각에 설치된 데이터 수집 모듈들(110a)(110n)에서 수집되어 수집서버(200)로 전송되는 단계(S100); 상기 수집서버(200)의 데이터 가공부(210)는 데이터 수집 모듈들(110a)(110n)에서 전송된 데이터가 가공되어(S110), 데이터 저장부(220)에 저장되는 단계(S120); 상기 데이터 저장부(220)에 저장된 데이터는 데이터 연동 API부(230)를 통해 이력관리 시스템(300)으로 전송되는 단계(S130); 상기 이력관리 시스템(300)의 이력관리부(310)는 수집서버(200)의 데이터 연동 API부(230)에서 전송된 데이터에 대하여 점검관리부(320)와 연동하여 설정된 방식에 따라 점검보고서가 작성되는 단계(S140); 상기 수집서버(200)에 저장된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연동 API부(230)를 통해 상기 이력관리 시스템(300)의 장비정보 변경 내역이 확인을 거쳐 장비 동기화에 활용되는 단계(S150); 및 상기 수집서버(200)의 데이터 연동 API부(230)와 연동하여 등록된 IT인프라 고객사 장비들(100a, 100n)의 현황을 시각화하여(S200), 상기 IT인프라 장비들(100a, 100n)의 장애에 대비하여 설정한 임계점을 초과하면, 알람을 알리고(S204), 모니터링 시스템(400)을 통해 시각화하며(S205), 담당 엔지니어에게 이메일이나 SMS, 카톡등을 통해 장애 발생을 전송하는 단계(S2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방법{IT infrastructure integrated history management method using the IT infrastructure integrated history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소기업, 관공서 등에서 운영하는 중소 규모의 IT 인프라 환경에 적합한 IT 인프라 통합 관리 솔루션으로 IT 인프라에 등록된 장비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이력관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안정적 운영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과 고객사의 IT 인프라 장비에서 생성되는 각종 데이터를 수집, 가공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데이터 연동 API를 통하여 이력관리 시스템과 모니터링 시스템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수집서버를 통합한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IT 인프라 통합 이력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중소/중견 기업은 사업에 필요한 자체 IT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다. 예를 들면 사내 그룹웨어(groupware)를 운영하기 위한 서버, 또는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제품 정보와 설명서 파일 등을 제공하기 위한 홈페이지 서버 등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중소/중견 기업은 IT 인프라의 설치나 운영 등과 관련된 전문적인 지식을 보유한 인력을 가지고 있지는 못하거나, 전담운영인력이 부족하고, IT 인프라 장비의 이력관리 내역을 파일 또는 문서로 관리하고 있어 인력의 입사/퇴사 시 인수인계가 정확히 되지 않아 이력관리 내역이 누락되거나 분실된다. 그렇기 때문에 IT 인프라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어렵다. 예를 들면, 장애가 발생하거나 외부 공격을 받은 경우에는 장비 공급사나 별도의 컨설팅 업체에 의뢰하여 이를 해결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장비 공급사의 경우 특정 분야에 한정된 일회성 진단을 제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인프라의 진단이 필요한 경우 해당 제품을 판매한 공급사에 요청을 하면, 대부분 단발성으로 해당 제품과 관련된 진단만을 수행한다. 이렇게 진단 범위가 각 공급사의 제품과 관련된 분야로 한정되기 때문에, 다양한 서버를 이용하는 경우 각각 진단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통합적인 관점의 분석을 제공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IT 인프라의 진단은 대부분 오프라인(offline) 형태로 진행되었다. 즉 해당 중소/중견 업체를 방문하여 현장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대안 방안을 제시하기까지, 오프라인 진단이라는 한계상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IT 인프라를 구성하는 다양한 제품을 진단하는 경우, 각 공급사별로 진단 비용이 발생하며, 데이터 수집과 분석에 많은 시간이 소모된다는 단점이 있다. 즉 IT 인프라의 진단을 수행하기 위해서 비용과 시간이 소모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53101호 - 인프라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064722호 - IT인프라의 유지보수 서비스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중소기업, 관공서 등에서 운영하는 중소 규모의 IT 인프라 환경에 적합한 IT 인프라 통합 관리 솔루션으로 IT 인프라에 등록된 장비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이력관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안정적 운영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과 고객사의 IT 인프라 장비에서 생성되는 각종 데이터를 수집, 가공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데이터 연동 API를 통하여 이력관리 시스템과 모니터링 시스템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수집서버를 통합한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IT 인프라 통합 이력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들(100a ~ 100n) 각각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수집, 가공하여 저장하는 수집서버(200)와, 상기 수집된 데이터에서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들(100a ~ 100n)의 이력을 관리하는 이력관리 시스템(300)과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들(100a ~ 100n)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시스템(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500)을 이용한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방법에 잇어서, 고객사 장비들(100a ~ 100n)에 대한 데이터가 고객사 장비들(100a ~ 100n) 각각에 설치된 데이터 수집 모듈들(110a)(110n)에서 수집되어 수집서버(200)로 전송되는 단계(S100); 상기 수집서버(200)의 데이터 가공부(210)는 데이터 수집 모듈들(110a)(110n)에서 전송된 데이터가 가공되어(S110), 데이터 저장부(220)에 저장되는 단계(S120); 상기 데이터 저장부(220)에 저장된 데이터는 데이터 연동 API부(230)를 통해 이력관리 시스템(300)으로 전송되는 단계(S130); 상기 이력관리 시스템(300)의 이력관리부(310)는 수집서버(200)의 데이터 연동 API부(230)에서 전송된 데이터에 대하여 점검관리부(320)와 연동하여 설정된 방식에 따라 점검보고서가 작성되는 단계(S140); 상기 수집서버(200)에 저장된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연동 API부(230)를 통해 상기 이력관리 시스템(300)의 장비정보 변경 내역이 확인을 거쳐 장비 동기화에 활용되는 단계(S150); 및 상기 수집서버(200)의 데이터 연동 API부(230)와 연동하여 등록된 IT인프라 장비들(100a, 100n)의 현황을 시각화하여(S200), 상기 IT인프라 장비들(100a, 100n)의 장애에 대비하여 설정한 임계점을 초과하면, 알람을 알리고(S204), 모니터링 시스템(400)을 통해 시각화하며(S205), 담당 엔지니어에게 이메일이나 SMS, 카톡등을 통해 장애 발생을 전송하는 단계(S2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점검보고서가 작성되는 단계(S140)는, 상기 이력관리 시스템(300)의 양식등록/관리부(321)에 저장된 보고서 작성 메뉴에서 필요한 보고서 양식이 선택되고(S141), 상기 수집서버(200)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의 점검항목이 입력되는 단계(S142)와, 상기 이력관리 시스템(300)의 보고서 작성/관리부(322)를 통해 주요점검항목에 대한 점검의견과 이외의 항목이 입력되어 점검의견이 작성되고(S143), 보고서가 상신되면(S144), 점검 보고서 상신에 대한 알람(이메일, SMS)이 발생되고(S145). 상신된 보고서에 대하여 결재, 거부, 보류 중 하나가 수행되되, 전자결재 시에 서명을 포함하여 결재가 완료되면(S146), 전자결재 완료된 보고서가 전자문서 형태로 변환되어, 상기 이력관리 시스템(300)의 전자결재부(331)에 해당 보고서가 저장(등록)되는 단계(S147) 및 해당 보고서는 상신한 엔지니어의 이메일로 결재 완료가 되었다고 전달되는 단계(S14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장비 동기화에 활용되는 단계(S150)는, 상기 IT인프라 장비들(100 ~ 100n)을 이력관리 시스템(300)의 기본코드부(340)에 미리 설정한 코드에 따라 자산등록/관리부(341)를 통해 등록하는 단계(S151)와, 등록된 장비들(100 ~ 100n)에 대한 동기화 기능이 실행되면(S152), 상기 수집서버(200)의 데이터 연동 API부(230)와 연동하여 데이터가 불러와 현재 등록된 장비의 정보와 불러온 데이터의 장비정보 변경 내역이 확인되는 단계(S153)와, 변경 내역이 확인되면 변경정보를 적용할 것인가를 비교하는 단계(S154)와, 상기 비교에 따라 해당 장비의 정보가 같으면 장비의 정보를 유지하고(S155), 변경된 정보가 있으면 변경내역을 모니터링 시스템(400)에 표시하고 장비 정보가 변경되는 단계(S1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장비 동기화에 활용되는 단계(S150)에서, 상기 장비정보 변경여부는 담당자가 모니터링 시스템(400)을 통해 보면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의 도입에서 폐기까지 각종 이력정보의 통합관리 및 신속한 현황 파악이 가능하고,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의 데이터를 수집, 저장 및 이력관리 시스템, 모니터링 시스템과 연동 가능하며,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 운영을 위한 모니터링 및 경고 등으로 장애를 사전에 예방하는 신뢰 있는 시스템 구현 가능하여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의 데이터를 모니터링에 효과적으로 시각화하여 IT 인프라의 상태를 확인하고 장비의 사용자원, 트래픽정보 등과 같은 각종 현황 통계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운영중인 IT 인프라의 상세 이력 분석을 통해 장비의 재활용 및 효용 극대화 방안을 마련하여 향후 신규 장비 도입 및 업그레이드 비용절감이 가능하고,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의 관리 인력, 비용, 시간 절감으로 운영비용 절감이 가능하며, 중복 투자 방지 및 효과적인 IT 인프라 운영관리가 가능하다.
셋째, IT 인프라의 하드웨어 상태, 서비스 운영상태 등 데이터를 수집, 저장하여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IT 인프라의 운영상태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경고 기능으로 사전예방기능을 확대하여 IT 인프라 다운타임을 최소화할 수 있며, 유지보수 담당자와 유기적인 연계를 통한 장애예방 및 대응절차 확보가 가능하므로,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IT 인프라 운영이 가능하다.
넷째, Web 기반으로 언제 어디서나 접근 가능한 업무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의 구성관리 동기화로 관리업무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며, 단순 통계, 현황, 출력 등 수작업 업무의 감소가 가능함은 물론 온라인에서 보고서 작성 및 전자결재를 통한 업무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다섯째, 고객사는 보유하고 있는 IT 인프라 장비의 점검, 장애, 기술지원 등의 이력관리에 대한 보고서를 데이터 연동을 통하여 온라인으로 작성하고, 전자결재하여 이력관리시스템에 저장함으로써 해당 장비의 이력관리내역을 DB화하여 관리내역의 누락을 방지하고 적은 인력으로도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다.
여섯째, 관리담당자 및 유지보수 엔지니어등 관리인력의 변경에도 IT인프라의 기술적, 운영적인 이슈의 인수인계가 쉽고 간단하게 처리되어 인력변화에 따르는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방법에서 보고서 결재요청 알람과 이메일/SMS 알람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방법에 대한 웹기반 화면의 실시예이고, 도 7은 장비자산, 인프라 및 이력관리 현황에 대한 이력리스트 화면의 실시예이며, 도 8은 사용자 계정에 대한 등록/관리를 위한 화면의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방법에 대한 IT 인프라 장비 이력관리를 위한 화면의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방법에서 보고서 양식관리 화면의 실시예, 도 11은 보고서의 파일 변환의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방법에서 전자결재를 위한 보관함의 실시예, 도 13에서는 보고서에 대한 서명의 실시예, 도 14는 보고서 반려시 반려 및 회수 페이지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500)의 실시예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데, 수집서버(200), 이력관리 시스템(300) 및 모니터링 시스템(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중소기업, 관공서 등과 같은 다수의 고객사에서 운영하는 50~100 node의 중소 규모의 IT 인프라 환경에 적합한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솔루션으로 IT 인프라에 등록된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들(100a ~ 100n)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수집서버(200), 이력관리 시스템(300)과 IT 인프라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400)으로 구성된다.
수집서버(200)는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들(예를 들어, CPU, Memory, Disk, Temperature Weblog, Machine log)(100a ~ 100n) 각각에서 생성되는 데이터(헬스체크 데이터, 장비 정보 등)를 수집, 가공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저장된 데이터는 데이터 연동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하여 이력관리 시스템(300)과 모니터링 시스템(400)에 제공된다.
즉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들(100a ~ 100n)에서 생성하는 데이터를 수집서버(200)에서 수집, 가공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는 수집서버(200)에 구성된 데이터 연동 API를 통해 이력관리 시스템(300) 및 모니터링 시스템(400)과 연동된다. 한편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의 데이터 수집 주기 및 경보를 위한 데이터 임계치가 미리 설정된다.
이를 위하여 IT 인프라 고객사의 장비들(100a ~ 100n)에는 데이터 수집모듈들(110a ~ 110n)이 설치된다. 데이터 수집모듈들(110a ~ 110n)은 고객사 장비들(100a ~ 100n)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수집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때, 데이터 수집모듈들(110a ~ 110n)은 CPU, 메모리, HDD 사용량, 기기 온도 등 데이터를 수집한다.
수집서버(200)는 데이터 수집모듈들(110a ~ 110n)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수집, 가공, 저장한다. 이러한 수집서버(200)는 데이터 분석(가공)부(210), 데이터 저장부(220) 및 데이터 연동 API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집서버(200)의 데이터 저장부(220)에 저장된 데이터는 데이터 연동 API부(230)를 통해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500)의 이력관리 시스템(300)및 모니터링 시스템(400)으로 전송되어 보고서 작성 및 모니터링에 활용된다.
이력관리 시스템(300)은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들(100a ~ 100n)의 보고서(점검, 기술지원, 장애처리) 작성 및 결재가 수행된다. 이를 위한 이력관리 시스템(300)은 이력관리부(310), 점검관리부(320), 결재관리부(330), 기본코드부(340), 환경설정부(350) 및 장애알림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들(100a ~ 100n)을 점검하는 엔지니어는 이력관리 시스템(300)에서 제공하는 보고서 작성 메뉴에서 필요한 보고서 양식을 선택하는데, 보고서의 주요점검항목은 수집서버(200)의 데이터 연동 API부(230)와 연동하여 데이터가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설정되고, 엔지니어는 자동으로 입력된 데이터를 확인하고, 주요점검항목에 대한 점검의견과 이외의 항목을 직접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작성된 보고서는 상신하여 전자결재가 요청된다(도 5 참조).
보고서가 상신되면 알람(이메일, SMS 등)이 자동발송(도 5 참조)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담당자는 상신된 보고서를 자신의 단말기에서 결재, 거부, 보류 중 하나를 하게 된다.
결재된 보고서는 서명을 포함하여 전자문서 형태(예로써 .pdf)로 변환되어 해당 장비의 이력관리 시스템(300)에 등록되고, 보고서를 상신한 엔지니어에게 전달(예로써, e-mail)된다.
또한 수집서버(200)에 저장된 데이터는 데이터 연동 API를 통해 이력관리 시스템(300)의 이력관리부(310)에 장비 동기화에 활용된다.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들(100a ~ 100n)을 이력관리부(310)에 등록 후 등록된 장비들(100a ~ 100n)에 대한 동기화를 실행하면 수집서버(200)의 데이터 연동 API와 연동하여 수집서버(200)의 데이터저장부(220)에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와 이력관리부(310)는 현재 등록된 장비들(100a ~ 100n)의 정보와 불러온 데이터의 정보를 비교한다.
해당 장비들(100a ~ 100n)의 정보가 동일하면 장비들(100a ~ 100n)의 정보를 유지하고, 변경된 정보가 있으면 모니터링 시스템(400)에 변경내역을 표시하고 담당자는 변경여부를 결정한다.
수집서버(200)에 저장된 데이터는 데이터 연동 API를 통해 모니터링 시스템(400)에서 활용된다.
모니터링 시스템(대시보드)(400)은 도 6과 같이 웹기반으로 개발되어 등록된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들(100a ~ 100n)에 대한 자산, 인프라 및 이력관리 현황을 도 7과 같이 모니터링(확인)한다. 이를 위하여 도 8에서와 같이 사용자 계정에 대한 등록/관리가 수행된다.
한편 IT 인프라 장비 이력관리를 위한 화면의 실시예는 도 9와 같은데, 웹 기반에서 이력관리부(310)를 통해 자산 ID, 자산명, S/N, 장비명, 제조사, IP주소/Mac 주소 등이 입력된다.
수집서버(200)의 데이터 연동 API와 연동하여 등록된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들(100a ~ 100n)의 현황을 모니터링 시스템(대시보드)(400)에서 시각화한다.
즉 수집서버(200)에 저장된 IT인프라 장비들(100a ~ 100n)의 데이터는 모니터링에 효과적으로 시각화하여 IT인프라 장비들(100a ~ 100n)의 상태를 확인하고 IT인프라 장비의 자원활용 상태, 트래픽과 같은 각종 현황 통계를 제공한다.
IT인프라 장비들(100a ~ 100n)의 구성현황을 시각화(토폴로지 맵)하는데, 등록된 장비의 상태를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장애발생을 대비한 알람을 관리 담당자에게 발송(이메일, SMS, 카톡 등)한다.
IT인프라 장비들(100a ~ 100n)의 등록현황과 장비의 이력처리현황(진행, 예정, 종료), 점검보고서 결재현황 등의 정보 역시 모니터링 시스템(대시보드)(400)표시된다. 이때, IT인프라 장비들(100a ~ 100n)의 분류, 도입일, 변동 내역, 유지보수 계약상태 및 기간 등 장비의 상세 변경 이력내역에 대한 관리기능을 제공하며, 유지보수 관리업체의 권한을 조정하고, 계약 현황을 파악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IT인프라 장비들(100a ~ 100n)을 관리하는 기술지원 담당자(엔지니어)는 온라인(웹)으로 점검보고서를 작성하는데, 점검보고서는 수집서버(200)의 데이터 저장부(220)에 저장된 데이터를 데이터 연동 API부(230)와 연동하여 점검장비의 상태정보 및 기타 점검사항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입력하게 되고, 작성된 보고서는 온라인으로 등록하여 관리 담당자가 전자결재를 하며, 전자결재된 보고서는 PDF파일로 변환되어 장비의 이력관리 시스템(300)에 등록, 보관되고 엔지니어에게 이메일로 전송되어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0에서는 보고서 양식관리 화면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고, 도 11에서는 보고서의 파일 변환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2에서는 전자결재를 위한 보관함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고, 도 13에서는 보고서에 대한 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4에서는 보고서 반려시 반려 및 회수 페이지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한편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들(100a ~ 100n)의 장애에 대비하여서는 임계점을 미리 설정함으로써, 연동된 데이터가 임계점에 도달하면 이를 해당 장비들의 장애로 인식하고 모니터링 시스템(대시보드)(400)에서는 장애경보를 시각화하여 표시하고 장애알림부(360)를 통해 장애를 알람하고, 이메일, SMS 등을 통해 알람을 전송하게 된다.
한편 환경설정부(350)는 IT인프라 장비들(100a ~ 100n)의 장비환경(설치 위치, 장소, 온도 등)에 대한 설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환경설정부(350)의 설정에 따라 IT인프라 장비들(100a ~ 100n)의 장애원인을 파악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방법의 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고객사 장비들(100a ~ 100n)에 대한 데이터가 고객사 장비들(100a ~ 100n) 각각에 설치된 데이터 수집 모듈들(110a)(110n)에서 수집되어 수집서버(200)로 전송된다(S100).
수집서버(200)의 데이터 가공부(210)는 데이터 수집 모듈들(110a)(110n)에서 전송된 데이터가 가공되어(S110), 데이터 저장부(220)에 저장된다(S120). 그리고 데이터 저장부(220)에 저장된 데이터는 데이터 연동 API부(230)를 통해 이력관리 시스템(300)으로 전송된다(S130).
이력관리 시스템(300)의 이력관리부(310)는 수집서버(200)의 데이터 연동 API부(230)에서 전송된 데이터에 대하여 점검관리부(320)와 연동하여 설정된 방식에 따라 점검보고서(점검, 기술지원, 장애처리 등)를 자동으로 작성하게 된다(S140).
이를 위하여 IT인프라 장비를 점검하는 엔지니어에 의해 양식등록/관리부(321)에 저장된 보고서 작성 메뉴에서 필요한 보고서 양식이 도 10에서와 같이 선택되고(S141), 데이터 연동 API부(230)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불러오면, 해당 데이터에 따라 주요점검항목이 자동입력된다(S142). 즉 데이터 연동 API부(230)에서 전송된 데이터에 따라 엔지니어가 모니터링 시스템(400)을 통해 양식 등록/관리부(321)의 등록된 양식을 선택하면 보고서 작성/관리부(322)에서는 주요 점검항목이 자동으로 작성 관리된다. 이때, 고객사의 여러 장비(장비 A ~ 장비 N)에 대하여 자동입력된다. 그러면 엔지니어는 자동으로 입력된 데이터를 모니터링 시스템(400)을 통해 확인하고, 보고서 작성/관리부(322)를 통해 주요점검항목에 대한 점검의견과 이외의 항목을 직접 입력하여 점검의견을 작성한다(S143). 그리고 작성된 점검 보고서가 도 5에서와 같이 상신되면(S144), 점검 보고서 상신에 대한 알람(이메일, SMS, 카톡 등)이 발생되고(S145). 담당자는 상신된 보고서에 대하여 도 12 내지 도 14에서와 같이 결재, 거부, 보류를 하는데, 전자결재 시에는 도 13에서와 같이 서명을 포함하여 결재가 완료되면(S146), 전자결재 완료된 보고서는 도 11에서와 같이 전자문서 형태로 변환되어, 이력관리 시스템(300)의 전자결재부(331)에 해당 보고서가 저장(등록)된다(S147). 그리고 해당 보고서는 상신한 엔지니어에게 결재 완료가 되었다고 전달(이메일)된다(S148).
한편 수집서버(200)에 저장된 데이터는 데이터 연동 API부(230)를 통해 이력관리 시스템(300)의 장비 동기화에 활용된다(S150).
이러한 장비 동기화(S150)는, 우선 IT인프라 장비들(100 ~ 100n)을 기본코드부(340)에 미리 설정한 코드에 따라 자산등록/관리부(341)를 통해 등록 후(S151), 등록된 장비들(100 ~ 100n)에 대한 동기화 기능을 실행하면(S152), 수집서버(200)의 데이터 연동 API부(230)와 연동하여 데이터를 불러와 현재 등록된 장비의 정보와 불러온 데이터의 장비정보 변경 내역이 확인된다(S153).
그리고 변경 내역이 확인되면 변경정보를 적용할 것인가를 비교하고(S154), 비교결과에 따라 해당 장비의 정보가 같으면 장비의 정보를 유지하고(S155), 변경된 정보가 있으면 변경내역을 표시하고 장비 정보를 변경한다(S156). 이러한 장비비정보 변경여부는 담당자가 모니터링 시스템(400)을 통해 보면서 결정한다.
한편 수집서버(200)의 데이터 저장부(220)에 저장된 데이터는 데이터 연동 API부(23)를 통해 모니터링 시스템(대시보드)(400)에 활용된다.
여기서 모니터링 시스템(400)은 일명 대시보드(계기판)라 할 수 있는데, 대시보드는 등록된 IT인프라 장비들(100a, 100n)에 대한 자산 모니터링, 인프라 모니터링과 이력관리 현황을 모니터링한다.
이러한 모니터링을 위하여 우선 수집서버(200)의 데이터 연동 API부(230)와 연동하여 등록된 IT인프라 장비들(100a, 100n)의 현황을 시각화한다(S200).
이러한 IT인프라 장비들(100a, 100n)에 대한 대시보드 시각화를 위하여 우선 IT인프라 장비들(100a, 100n)의 장애에 대비하여 임계점을 설정한다.
그리고 데이터 연동 API부(230)를 통해 불러온 데이터에서 IT인프라 장비들(100a, 100n)에 대한 장애 현황을 파악한다(S201).
한편 IT인프라 장비의 장애에 대비하여 임계점을 미리 설정해 둔다(202).
그리고 설정된 임계점과 데이터 연동 API부(230)를 통해 불러온 데이터에서 IT인프라 장비들(100a, 100n)에 대한 장애 현황을 비교하여 데이터가 임계점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고(S203), 판단결과 임계점을 초과하였다면, 알람을 알리고(S204), 대시보드에 시각화하며(S205), 담당 엔지니어에게 이메일이나 SMS, 카톡등을 통해 장애 발생을 전송한다(S206). 물론, 임계점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태를 유지한다(S207).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a ~ 100n :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들
110a ~ 110n : 데이터 수집 모듈들
200 : 수집서버 210 : 데이터 분석(가공)부
220 : 데이터 저장부 230 : 데이터 연동 API부
300 : 이력관리 시스템 310 : 이력관리부
320 : 점검관리부 321 : 양식등록/관리부
322 : 보고서 작성/관리부
330 : 결재관리부 331 : 전자결재부
340 : 기본코드부 341 : 자산 등록/관리부
350 : 환경설정부 360 : 장애알림부
400 : 모니터링 시스템 500 :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

Claims (4)

  1.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들(100a ~ 100n) 각각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수집, 가공하여 저장하는 수집서버(200)와, 상기 수집된 데이터에서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들(100a ~ 100n)의 이력을 관리하는 이력관리 시스템(300)과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들(100a ~ 100n)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시스템(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500)을 이용한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방법에 있어서,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들(100a ~ 100n)에 대한 데이터가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들(100a ~ 100n) 각각에 설치된 데이터 수집 모듈들(110a ~ 110n)에서 수집되어 수집서버(200)로 전송되는 단계(S100);
    상기 수집서버(200)의 데이터 가공부(210)는 데이터 수집 모듈들(110a ~ 110n)에서 전송된 데이터가 가공되어(S110), 데이터 저장부(220)에 저장되는 단계(S120);
    상기 데이터 저장부(220)에 저장된 데이터는 데이터 연동 API부(230)를 통해 이력관리 시스템(300)으로 전송되는 단계(S130);
    상기 이력관리 시스템(300)의 이력관리부(310)는 수집서버(200)의 데이터 연동 API부(230)에서 전송된 데이터에 대하여 점검관리부(320)와 연동하여 설정된 방식에 따라 점검보고서가 작성되는 단계(S140);
    상기 수집서버(200)에 저장된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연동 API부(230)를 통해 상기 이력관리 시스템(300)의 장비정보 변경 내역이 확인을 거쳐 장비 동기화에 활용되는 단계(S150); 및
    상기 수집서버(200)의 데이터 연동 API부(230)와 연동하여 등록된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들(100a, 100n)의 현황을 시각화하여(S200), 상기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들(100a, 100n)의 장애에 대비하여 설정한 임계점을 초과하면, 알람을 알리고(S204), 모니터링 시스템(400)을 통해 시각화하며(S205), 담당 엔지니어에게 이메일이나 SMS, 카톡을 통해 장애 발생을 전송하는 단계(S2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점검보고서가 작성되는 단계(S140)는,
    상기 이력관리 시스템(300)의 양식등록/관리부(321)에 저장된 보고서 작성 메뉴에서 필요한 보고서 양식이 선택되고(S141), 상기 수집서버(200)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의 점검항목이 입력되는 단계(S142)와, 상기 이력관리 시스템(300)의 보고서 작성/관리부(322)를 통해 주요점검항목에 대한 점검의견과 이외의 항목이 입력되어 점검의견이 작성되고(S143), 보고서가 상신되면(S144), 점검 보고서 상신에 대한 알람(이메일, SMS)이 발생되고(S145). 상신된 보고서에 대하여 결재, 거부, 보류 중 하나가 수행되되, 전자결재 시에 서명을 포함하여 결재가 완료되면(S146), 전자결재 완료된 보고서가 전자문서 형태로 변환되어, 상기 이력관리 시스템(300)의 전자결재부(331)에 해당 보고서가 저장(등록)되는 단계(S147) 및 해당 보고서는 상신한 엔지니어의 이메일로 결재 완료가 되었다고 전달되는 단계(S14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장비 동기화에 활용되는 단계(S150)는,
    상기 IT인프라 고객사 장비들(100 ~ 100n)을 이력관리 시스템(300)의 기본코드부(340)에 미리 설정한 코드에 따라 자산등록/관리부(341)를 통해 등록하는 단계(S151)와, 등록된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들(100 ~ 100n)에 대한 동기화 기능이 실행되면(S152), 상기 수집서버(200)의 데이터 연동 API부(230)와 연동하여 데이터가 불러와 현재 등록된 장비의 정보와 불러온 데이터의 장비정보 변경 내역이 확인되는 단계(S153)와, 변경 내역이 확인되면 변경정보를 적용할 것인가를 비교하는 단계(S154)와, 상기 비교에 따라 해당 장비의 정보가 같으면 장비의 정보를 유지하고(S155), 변경된 정보가 있으면 변경내역을 모니터링 시스템(400)에 표시하고 장비 정보가 변경되는 단계(S156)를 포함하며,
    상기 장비정보 변경여부는 담당자가 모니터링 시스템(400)을 통해 보면서 결정되고,
    상기 수집서버(200)는 상기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들의 CPU, Memory, Disk, Temperature Weblog, Machine log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인 헬스체크 데이터, 장비 정보를 수집, 가공하여 저장하며, 저장된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연동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부(230)를 통하여 상기 이력관리 시스템(300)과 모니터링 시스템(400)에 제공되되,
    상기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의 데이터 수집 주기 및 경보를 위한 데이터 임계치가 미리 설정되고,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들(110a ~ 110n)은 상기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들(100a ~ 100n)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인 CPU, 메모리, HDD 사용량, 기기 온도 데이터를 상기 수집서버(200)로 전송하며,
    상기 수집서버(200)에 저장된 데이터는 데이터 연동 API부(230)를 통해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400)에서 활용되고,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400)의 대시보드는 웹기반으로 개발되어 등록된 상기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들(100a ~ 100n)에 대한 자산, 인프라 및 이력관리 현황을 모니터링하도록 하며, 사용자 계정에 대한 등록/관리가 수행되고,
    상기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들(100a ~ 100n) 이력관리를 위한 화면은 웹 기반에서 상기 이력관리부(310)를 통해 자산 ID, 자산명, S/N, 장비명, 제조사, IP주소/Mac 주소가 입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집서버(200)에 저장된 상기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들(100a ~ 100n) 의 데이터는 모니터링에 효과적으로 시각화하여 상기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들(100a ~ 100n)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들(100a ~ 100n) 의 자원활용 상태, 트래픽과 같은 각종 현황 통계를 제공하고,
    상기 IT인프라 고객사 장비들(100a ~ 100n)의 등록현황과 장비의 진행, 예정, 종료를 포함하는 이력처리현황, 점검보고서 결재현황 정보가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400) 대시보드에 표시되고, 상기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들(100a ~ 100n)의 분류, 도입일, 변동 내역, 유지보수 계약상태 및 기간의 상세 변경 이력내역에 대한 관리기능을 제공하며, 유지보수 관리업체의 권한 조정, 계약 현황을 관리할 수 있도록 상기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들(100a ~ 100n)을 관리하는 기술지원 담당자인 엔지니어가 온라인(웹)으로 작성하는 점검보고서는 상기 수집서버(200)의 데이터 저장부(220)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연동 API부(230)와 연동하여 점검장비의 상태정보 및 기타 점검사항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입력하게 되고, 작성된 보고서는 온라인으로 등록하여 관리 담당자가 전자결재를 하도록 되며, 전자결재된 보고서는 PDF파일로 변환되어 상기 이력관리 시스템(300)에 등록, 보관되고 엔지니어에게 이메일로 전송되어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도록 되고,
    상기 이력관리 시스템(300)에는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들(100a ~ 100n)의 설치 위치, 장소, 온도에 대한 장비환경 설정을 통해 상기 IT 인프라 고객사 장비들(100a ~ 100n)의 장애원인을 파악하는데 이용되는 환경설정부(350)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20078263A 2022-06-27 2022-06-27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방법 KR102533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263A KR102533552B1 (ko) 2022-06-27 2022-06-27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263A KR102533552B1 (ko) 2022-06-27 2022-06-27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3552B1 true KR102533552B1 (ko) 2023-05-17

Family

ID=86547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8263A KR102533552B1 (ko) 2022-06-27 2022-06-27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55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2754A (ja) * 2003-11-05 2005-06-02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遠隔監視システム
KR20170022133A (ko) * 2015-08-19 2017-03-02 티클로버(주) 제조 장비 및 설비에 대한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및 이에 관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20180053101A (ko) 2016-11-11 2018-05-2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인프라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64722A (ko) 2017-12-01 2019-06-11 황웅규 It인프라의 유지보수 서비스 시스템
KR20210046227A (ko) * 2019-10-18 2021-04-28 경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웹 기반 검사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304231B1 (ko) * 2021-02-05 2021-09-23 주식회사 인트브리지 계층 구조를 이용한 컴플라이언스 관리 체계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2754A (ja) * 2003-11-05 2005-06-02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遠隔監視システム
KR20170022133A (ko) * 2015-08-19 2017-03-02 티클로버(주) 제조 장비 및 설비에 대한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및 이에 관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20180053101A (ko) 2016-11-11 2018-05-2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인프라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64722A (ko) 2017-12-01 2019-06-11 황웅규 It인프라의 유지보수 서비스 시스템
KR20210046227A (ko) * 2019-10-18 2021-04-28 경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웹 기반 검사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304231B1 (ko) * 2021-02-05 2021-09-23 주식회사 인트브리지 계층 구조를 이용한 컴플라이언스 관리 체계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36930A1 (en) Determining asset associations for data center customers
CN107026894B (zh) 用于通过工业资产递送自动通知的装置和方法
US8788643B2 (en) Site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for operational support service in an internet data center
US20160300029A1 (en) Managing Configurations of Distributed Devices
Bruton et al. Development and alpha testing of a cloud based automated fault detection and diagnosis tool for Air Handling Units
EP1426864A2 (en) Automatically identifying replacement times for limited lifetime components
US9459755B2 (en) Facility operations management and mobile systems
JP2021036247A (ja) 診断分析装置関連情報の集約方法および集約システム
EP3336639B1 (en) Asset management of field devices
US20090265137A1 (en) Computer-based methods and systems for failure analysis
Rachmawati et al. Web-Based Ticketing System Helpdesk Application Using CodeIgniter Framework (Case Study: PT Commonwealth Life)
KR20060057131A (ko) 지능형 플랜트 정보시스템
CN112949798B (zh) 基于rfid技术的实验室设备管理方法及其系统
KR102533552B1 (ko)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it 인프라 통합 이력관리 방법
WO2020075061A1 (en) Asset management
US201501868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mi assets
US7778719B2 (en) Method, system,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providing configure to service for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service guide system
JP2008102669A (ja) 機器情報管理システム
JP2018106492A (ja) イベント情報可視化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Bronack Inventory management system
Kravets et al. Software for predictive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enterprise office equipment
JP2016126560A (ja) 不具合通知システム、不具合通知装置及び不具合通知プログラム
EP3798955A1 (en) Management of tickets and resolution processes for an industrial automation environment
JP4016591B2 (ja) 工程管理方法、工程管理装置、および工程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Yew et al. Software Systems in Implementation of Process Safety at Chemical Process Indus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