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523B1 - 명세서 내용을 함께 표시하는 부호 기반 도면 표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명세서 내용을 함께 표시하는 부호 기반 도면 표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523B1
KR102533523B1 KR1020210052654A KR20210052654A KR102533523B1 KR 102533523 B1 KR102533523 B1 KR 102533523B1 KR 1020210052654 A KR1020210052654 A KR 1020210052654A KR 20210052654 A KR20210052654 A KR 20210052654A KR 102533523 B1 KR102533523 B1 KR 102533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relevance
description
displays
reference numer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5706A (ko
Inventor
이상찬
이송호
정미경
Original Assignee
(주)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윕스 filed Critical (주)윕스
Priority to KR1020210052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523B1/ko
Publication of KR20220145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3Querying
    • G06F16/532Query formulation, e.g. graphical 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06F16/5846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using extracted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4Image acquisition
    • G06V30/148Segmentation of character regions
    • G06V30/153Segmentation of character regions using recognition of characters or w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6/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dditional aspects of information retrieval not explicitly covered by G06F16/00 and subgroups
    • G06F2216/11Patent retriev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12Applications of a database
    • Y10S707/923Intellectual property
    • Y10S707/937Intellectual property intellectual property sear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특허 문서의 도면에서 도면 부호에 대한 부호 설명을 특허 문서의 텍스트 내용에서 추출하여 해당 도면에 해당 부호 설명을 표시하되, 해당 도면 또는 특정 부호 설명과 관련된 청구범위 또는 상세한 설명의 단락을 추출하여 화면 상에 함께 표시하는, 명세서 내용을 함께 표시하는 부호 기반 도면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출력 화면을 다수의 창으로 분할하는 화면 구성부; 특허문서의 도면을 획득하는 도면 획득부; 도면에서 도면부호를 검출하는 도면부호 검출부; 도면 부호에 대한 부호 설명을 추출하는 부호설명 추출부; 각 부호설명에 대해 각 청구항 또는 상세한 설명의 단락(이하 청구항 등)의 관련도를 산출하되, 해당 청구항 등에서 출현되는 해당 부호설명의 빈도수가 높을수록 상기 관련도가 높도록 설정되는 관련도 산출부; 및, 선정된 도면의 하나의 부호설명이 선택되면, 해당 부호설명과 관련도를 가지는 청구항 등을 출력 화면에 표시하는 청구항등 표시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에 의하면, 도면의 도면 부호의 관련도가 높은 청구항 또는 상세한 설명의 단락을 해당 도면과 함께 표시함으로써, 해당 도면 부호의 기술 내용을 보다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Description

명세서 내용을 함께 표시하는 부호 기반 도면 표시 시스템 { A drawing display system based on reference numerals that displays the contents of the specification together }
본 발명은 특허 문서의 도면에서 도면 부호에 대한 부호 설명을 특허 문서의 텍스트 내용에서 추출하여 해당 도면에 해당 부호 설명을 표시하되, 해당 도면 또는 특정 부호 설명과 관련된 청구범위 또는 상세한 설명의 단락을 추출하여 화면 상에 함께 표시하는, 부호 기반 도면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허문서는 요약, 청구범위, 기술분야, 배경기술,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 도면의 간단한 설명,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 내용 등으로 구성되는 텍스트 부분과, 특허의 내용과 작용을 시각적으로 설명하는 그림, 그리고 그림에서 인출선을 통하여 특정부위를 지시하는 참조부호로 구성되는 이미지 형태의 도면부분으로 구성된다.
특허의 도면에서 그림은 특허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는 텍스트 부분을 보충 설명하고, 제3자가 발명이나 고안의 구성을 직관적이고 형상적으로 신속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하므로 특허내용의 이해하는데 대단히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 특허문서의 도면에서는 특허의 내용을 시각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 형태의 그림과, 그림에서 특정부위를 나타내는 참조부호 만이 표시되어 있으며, 참조부호가 의미하는 명칭이나 도면에 대한 간략설명이 직접적으로 도면에 표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도면을 이해하고 파악하기 위하여는 특허문서 내의 텍스트 내에서 도면에 대한 해당부호의 명칭과 간략설명을 파악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으며, 특히 특허문서에서 도면의 수가 많거나, 도면 내의 참조부호의 수가 많을수록 특허도면의 내용을 파악하는데 더욱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즉, 사용자가 특허 문서를 통해 발명을 파악하려면 명세서에 포함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읽으면서 도면을 함께 파악해야 하나, 도면에는 숫자로 표시된 도면 부호만 존재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도면만으로는 발명을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또한, 특허 문서를 검색할 수 있는 사이트에서 찾고자 하는 기술 키워드를 통해 검색하는 경우, 발명의 키워드를 통해 발명을 검색하고, 검색된 특허 문서의 도면을 열람할 수 있는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검색된 특허문서의 도면에서,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키워드에 해당하는 부분이 어디인지 파악하기 어렵다. 또한, 해당 도면을 파악하기 위하여, 부호의 설명 등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살펴보아야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면의 도면 부호에 대한 설명을 추출하는 기술[특허문헌 1]이나, 도면에 도면 부호에 관한 설명을 표시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2,3]. 특히, 상기 선행기술들은 도면 상에서 도면 부호가 인식된 위치에 도면부호 설명을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도면 부호에 대한 명칭 등 부호 설명만 기재하므로, 해당 도면 부호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이 결여되어 있다. 도면의 도면 부호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특허 문서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도면과 함께, 해당 도면(또는 도면부호의 부호 설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의 내용을 함께 표시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13130호(2020.02.06.공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5931호(2016.11.01.공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07707호(2018.10.02.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허 문서의 도면에서 도면 부호에 대한 부호 설명을 특허 문서의 텍스트 내용에서 추출하여 해당 도면에 해당 부호 설명을 표시하되, 해당 도면 또는 특정 부호 설명과 관련된 청구범위 또는 상세한 설명의 단락을 추출하여 화면 상에 함께 표시하는, 부호 기반 도면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도면 부호의 부호 설명이 나타나는 빈도를 이용하여 각 도면 부호에 대한 각 청구항 또는 상세한 설명의 단락의 관련도를 산출하고, 특정한 도면 부호가 선택되면 관련도에 따라 단락을 선정하여 표시하는, 부호 기반 도면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한 도면 부호가 선택되면 관련도에 따라 청구항의 단락을 선정하여 표시하되, 관련도가 있는 청구항들의 계층 구조를 함께 표시하는, 부호 기반 도면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명세서 내용을 함께 표시하는 부호 기반 도면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출력 화면을 다수의 창으로 분할하는 화면 구성부; 특허문서의 도면을 획득하는 도면 획득부; 도면에서 도면부호를 검출하는 도면부호 검출부; 도면 부호에 대한 부호 설명을 추출하는 부호설명 추출부; 각 부호설명에 대해 각 청구항 또는 상세한 설명의 단락(이하 청구항 등)의 관련도를 산출하되, 해당 청구항 등에서 출현되는 해당 부호설명의 빈도수가 높을수록 상기 관련도가 높도록 설정되는 관련도 산출부; 및, 선정된 도면의 하나의 부호설명이 선택되면, 해당 부호설명과 관련도를 가지는 청구항 등을 출력 화면에 표시하는 청구항등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명세서 내용을 함께 표시하는 부호 기반 도면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출력 화면을 다수의 창으로 분할하는 화면 구성부; 특허문서의 도면을 획득하는 도면 획득부; 도면에서 도면부호를 검출하는 도면부호 검출부; 도면 부호에 대한 부호 설명을 추출하는 부호설명 추출부; 각 도면에 대해 각 청구항 또는 상세한 설명의 단락(이하 청구항 등)의 관련도를 산출하되, 해당 도면의 부호설명 중에서 해당 청구항 등에서 출현되는 부호설명의 개수가 높을수록 상기 관련도가 높도록 설정되는 관련도 산출부; 및, 하나의 도면이 선택되면, 해당 도면과 관련도를 가지는 청구항 등을 출력 화면에 표시하는 청구항등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명세서 내용을 함께 표시하는 부호 기반 도면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련도 산출부는 상기 관련도를 해당 부호설명의 빈도수에 비례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명세서 내용을 함께 표시하는 부호 기반 도면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련도 산출부는 상기 관련도를 해당 청구항 등에서 출현되는 부호설명의 개수와 총 빈도수를 가중하여 평균하거나 합산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명세서 내용을 함께 표시하는 부호 기반 도면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청구항등 표시부는 상기 관련도가 가장 높은 청구항 등을 상기 출력화면의 청구항등 표시창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명세서 내용을 함께 표시하는 부호 기반 도면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청구항등 표시부는 상기 관련도가 높을수록 해당 청구항 등의 우선순위를 높게 책정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관련도가 있는 청구항 등의 목록을 상기 출력화면의 청구항등 목록창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명세서 내용을 함께 표시하는 부호 기반 도면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청구항등 표시부는 청구항들의 인용과 피인용 관계에 의한 계층 구조를 상기 출력화면의 청구항등 목록창에 표시하되, 관련도가 있는 청구항을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하거나 관련도가 있는 청구항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명세서 내용을 함께 표시하는 부호 기반 도면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청구항등 표시부는 관련도가 있는 청구항을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할 때, 관련도의 크기에 따라 하이라이트의 색상 또는 색상의 농도를 달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명세서 내용을 함께 표시하는 부호 기반 도면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해당 부호설명과 관련도를 가지는 청구항 등을 해당 도면과 함께 저장하는 청구항등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명세서 내용을 함께 표시하는 부호 기반 도면 표시 시스템에 의하면, 도면의 도면 부호의 관련도가 높은 청구항 또는 상세한 설명의 단락을 해당 도면과 함께 표시함으로써, 해당 도면 부호의 기술 내용을 보다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명세서 내용을 함께 표시하는 부호 기반 도면 표시 시스템에 의하면, 도면 부호와 관련도를 가진 청구항들을 계층 구조로 표시함으로써, 해당 도면 부호와 관련된 청구범위 구조를 한눈에 파악하고 관련 청구범위의 내용을 보다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명세서 내용을 함께 표시하는 부호 기반 도면 표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력 화면을 분할하여 구성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면에 대한 예시도로서, (a) 원래의 도면, (b) 회전하여 전처리한 도면에 대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 도면 부호를 검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도면 부호 및 그 부호 설명을 검출한 예시 표.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면의 여백 영역을 검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면 부호의 인접한 여백에 배치한 부호 설명에 대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면 부호의 인접하지 않은 여백에 배치한 부호 설명에 대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구항에서 출현되는 부호설명을 표시한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호설명에 대한 각 청구항의 빈도수와 관련도의 결과를 예시한 표.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구항에서 출현되는 도면의 부호설명들을 표시한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면에 대한 각 청구항의 부호 개수, 빈도수, 관련도의 결과를 예시한 표.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의 단락에서 출현되는 도면의 부호설명들을 표시한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의 단락의 부호 개수, 빈도수, 관련도의 결과를 예시한 표.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련도를 가진 청구항 및 그 목록을 표시한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련도를 가지는 청구항의 계층구조를 표시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면표시 창(C)에 표시된 도면 설명을 예시한 화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일례는 사용자 단말(10)과 도면표시 시스템(30)으로 구성되고 서로 네트워크(80)로 연결된다. 또, 특허 문서 등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특허 문서의 도면 표시 시스템(30)은 네트워크 상의 서버 시스템 또는 웹 어플리케이션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례로서, 본 발명에 따른 특허 문서의 도면 표시 시스템(30)은 특허문서를 열람하기 위한 특허열람 서버(50)와 연동하거나, 부속 기능의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특허열람 서버(50)가 사용자 단말(10)과 주된 인터페이스 및, 특허문서의 열람을 위한 주된 기능을 제공하고, 특허 도면과 관련하여 명세서 내용을 함께 표시하는 기능을 추가로 제공한다. 이때, 추가적인 도면 표시 기능을 도면표시 시스템(30)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면 표시 시스템(30)은 독자적 기능의 시스템으로 구현되어 특허열람 서버(50)와 연동되거나, 특허열람 서버(50)의 부속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특허열람 서버(50)는 특허 문서의 열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특허문서를 보유하고, 보유한 특허문서의 검색, 열람 등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특허 문서는 공개특허공보 또는 등록특허공보를 지칭한다. 특허 문서는 특허만이 아니라 실용신안도 포함될 수 있다. 실용신안은 권리의 내용만 다를 뿐 특허공보와 항목이 거의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특허 문서를 지칭할 때는 실용신안공보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한편, 특허 문서는 국내 또는 국외 특허공보를 모두 포함한다. 즉, 각국 특허청 또는 WIPO에서 발행되는 특허공보를 모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특허문서는 서지사항, 청구범위, 상세한 설명, 도면 등 세부 항목으로 구분되어 저장된다. 또한, 특허문서는 세부 항목별로 데이터로 구분 관리되므로, 해당 항목으로 검색되거나 참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특허문서에서, 도면은 각 도 별로 이미지(이하 도면 이미지)로 저장되어 관리되고, 그 외 서지사항,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는 텍스트로 저장되어 관리된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등의 항목에 대해 텍스트 검색 등이 서비스 된다. 또한, 서지사항은 특허번호, IPC 분류, 출원인, 발명자, 출원일 등으로 구성되고, 이들 항목별로 검색 등이 제공된다.
또한, 특허열람 서버(50)는 특허 문서의 열람을 위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특허번호, 키워드, 세부 항목별 검색 등 다양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특허문서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특허열람 서버(50)는 검색된 특허 문서의 내용을 열람할 수 있는 열람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특허열람 서버(50)는 특허 문서의 전문을 열람하거나, 특허 문서의 세부항목별로 열람하는 등의 열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특허열람 서버(50)는 특허 문서의 도면을 열람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때, 특허열람 서버(50)는 도면표시 시스템(30)과 연동하여, 도면을 가공하여 표시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도면을 표시하는 화면 상에서, 도면 부호의 설명을 추가하고 도면 부호와 관련된 명세서 내용을 도면과 함께 표시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특허열람 서버(50)는 웹 상에서 웹 서비스로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특허열람 서버(50)에 접속하여, 특허 열람 서비스를 이용한다.
그 외에도 특허열람 서버(50)는 사용자 단말(10)에 설치되는 클라이언트(미도시)와 연동하여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구현되어, 특허열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0)에는 전용 특허 열람 클라이언트(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가 설치되어, 클라이언트를 통해 특허열람 서버(50)와 연동하여 특허 열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10)이 모바일 단말인 경우, 클라이언트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어플, 앱) 등 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컴퓨팅 단말로서, PC, 노트북, 넷북, PDA, 스마트포나, 모바일 등의 통상의 컴퓨팅 단말기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특허열람 서버(50)에 접속하여, 특허 검색, 특허 문서의 열람 등의 서비스를 이용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특허문서 열람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므로, 이하에서, 사용자가 어떤 작업을 수행하는 것은 사용자 단말(1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단말(10)에는 웹 브라우저(미도시)나 전용 클라이언트 등이 설치되어, 이들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시스템에 의해 특허열람 서버(50)에 접속하여, 특허 열람 서비스를 이용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10)에서 사용자가 입력된 특허열람을 위한 명령들이 입력되고, 이들 명령은 특허열람 서버(50)로 전달되고, 특허열람 서버(50)로부터 회신된 결과들은 사용자 단말(10)의 화면 상에 표시된다. 그런데, 해당 화면은 특허열람 서버(50)에서 만들어지거나, 특허열람 서버(50)에서 제공된 데이터에 의한 화면이다. 이하에서 편의상 화면 상에 결과가 표시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다음으로, 도면표시 시스템(30)은 네트워크 상의 서버 시스템 또는 웹 어플리케이션으로 실시되거나, 특허열람 서버(50)와 연동하거나, 부속 기능의 시스템으로 구현된다.
특히, 도면표시 시스템(30)은 특허 문서의 도면을 가공하여 화면 상에 표시한다. 즉, 도면표시 시스템(30)은 특허 문서의 도면에서 도면 부호를 인식하고, 도면 부호에 대한 설명을 특허 문서의 내용에서 추출하고, 도면의 여백에 각 도면 부호의 설명을 배치한다. 또한, 도면표시 시스템(30)은 도면 부호의 부호 설명과 관련된 청구범위 또는 상세한 설명의 단락을 추출하여 화면 상에 도면과 함께 표시한다.
다음으로, 데이터베이스(40)는 열람된 특허문서를 저장하는 열람문서DB(41), 및, 특허문서의 각 도면의 도면 부호, 부호 위치, 부호 설명 등을 저장하는 도면정보DB(42), 각 도면 부호와 각 단락의 관련도 정보를 저장하는 관련도DB(43)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데이터베이스(40)의 구성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일 뿐이며, 구체적인 장치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접근과 검색의 용이성 및 효율성 등을 감안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론에 의하여 다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면표시 시스템(30)의 구성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면표시 시스템(30)은 출력 화면을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화면 구성부(31), 특허문서의 도면을 획득하는 도면 획득부(32), 도면에서 도면부호를 검출하는 도면부호 검출부(33), 도면 부호에 대한 부호 설명을 추출하는 부호설명 추출부(34), 각 부호설명에 대해 각 청구항등의 관련도를 산출하는 관련도 산출부(36), 및, 관련도를 가지는 청구항 등을 출력 화면에 표시하는 청구항등 표시부(37)로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도면에서 부호 설명을 표시하는 부호설명 표시부(35), 도면에 대한 설명을 표시하는 도면설명 표시부(38), 또는, 관련도를 가지는 청구항등을 저장하는 청구항등 저장부(3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화면 구성부(31)는 출력 화면을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한다. 각 영역에는 도면, 도면부호의 부호설명, 청구항/상세한 설명 등을 표시하는 창(윈도우)이 각각 출력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출력 화면은 청구항등 표시 영역(A), 청구항등 목록 영역(B), 도면 표시 영역(C), 도면 목록 영역(D), 부호설명 영역(E) 등으로 분할된다.
바람직하게는, 각 영역은 크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3의 영역 A와 C 간의 경계선을 드래그인드롭 형태로 좌우로 끌기를 하면, 영역 A와 C의 경계선이 좌우로 이동하면서 영역의 크기가 변동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각 영역은 화면 상에 표시되는 통상의 창(윈도우) 형태로 구성된다. 다만, 각 영역 내에서의 창(윈도우)의 크기는 영역의 크기에 맞추어진다. 각 영역 내의 창(윈도우)의 크기가 변화되면, 영역의 크기도 변화되고 이에 따라 해당 영역의 주변 영역 간의 영역 크기가 조절된다.
도 3과 도 4의 예에서, 영역 B의 창이 변화됨에 따라 해당 영역 B와 영역 A 간의 경계선이 변경되고, 그에 따라 영역의 크기가 변경된다. 반대로, 영역의 크기가 조절되면, 이에 맞춰 창(윈도우)의 크기도 조절된다.
또한, 각 창(윈도우)는 창 내에 모든 데이터를 표시하지 못하면, 스크롤바를 표시하여, 전체 데이터를 스크롤링을 통해 볼 수 있도록 제공된다. 도 3의 영역 A에는 스크롤바가 표시되고 있다.
또한, 최소화 명령이 입력되면, 각 창(윈도우)은 타이틀바만 화면 상에 표시되고, 내용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창의 크기 변화되므로 영역의 크기도 변화된다.
또한, 하나의 영역 내의 창 내에 다수의 페이지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탭에 의해, 다수의 페이지 중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도 3의 영역 A에는, 청구항 페이지와, 상세한설명 페이지로 구성되고, 사용자의 탭 선택에 따라, 2개의 페이지 중 하나가 선택되어 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3의 예에서, 각 영역에 청구항등 표시창(A), 청구항등 목록창(B), 도면 표시창(C), 도면 목록창(D), 부호설명창(E) 등이 각각 구성된다. 각각의 영역과 창은 모두 동일한 내용을 나타내므로, 영역과 창(윈도우)의 용어를 혼용한다.
다음으로, 도면 획득부(32)는 열람된 특허문서의 도면을 획득하여 화면 상에 표시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허 문서는 공개특허공보 또는 등록특허공보를 지칭하며, 특허만이 아니라 실용신안도 포함된다. 또한, 국내 또는 국외 특허공보도 모두 대상이 된다.
특히, 특허 문서는 서지사항,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도면 등 세부 항목으로 구분되며, 서지사항은 특허번호, IPC 분류, 출원인, 발명자, 출원일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특허문서에서, 도면은 하나 이상의 다수의 도(그림)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면은 도 전체를 지칭하고, 각 도는 개별적 하나의 그림을 지칭한다. 그러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 도면과 도를 혼용하여 사용한다. 즉, 개별적 하나의 도를 도면으로 혼용한다.
한편, 도면 획득부(32)에서 획득하는 도면은 하나의 특허문서를 대상으로 한다. 즉, 앞서 특허열람 서버(50)에 의해 검색된 하나의 특허 문서에 대해서, 해당 특허 문서의 도면을 열람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도면 부호 등도 해당 특허 문서 내에서 추출된다.
또한, 도면 획득부(32)는 해당 특허 문서의 도면 중에서 하나의 도(또는 도면)를 대상으로 화면 상에 표시한다. 특히,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수의 도면 중에서 선택된 도면을 화면 상에 표시한다.
또한, 다수의 도면(또는 도)은 특허 문서에서 각각 도 번호가 부여된다. 예를 들어, "도 1(Fig. 1)"등과 같이 도 번호가 부여된다.
또한, 도면 획득부(32)는 각 도면에서 도면의 회전 방향을 검출하고, 도면이 회전된 경우 원래 방향으로 되돌린다. 이때, 도면의 회전 방향은 도면 부호의 회전 방향으로 결정한다. 도 5a의 예에서, 도면 부호가 왼쪽으로 90도 회전된 경우, 해당 도면을 그 반대 방향인 오른쪽으로 90도 회전하여, 도 5b와 같이 원래 방향으로 되돌린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도면 상에서 모든 도면 부호를 검출하지 않고 사전에 정해진 2-3개의 도면 부호만 검출하여, 도면 부호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면 획득부(32)는 사전에 정해진 규칙에 따라, 각 도면의 객체와 그 도면 부호만 남겨 두고 나머지(도면 객체와 관련이 없는 객체)를 삭제하여 제외한다. 도 5a의 예에서, "FIG.1" 등과 같이, 도면 객체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객체를 삭제한다. 도면 객체와 관련이 없는 객체는 사전에 규칙으로 정해진다.
즉, 도면 획득부(32)는 도면을 획득하고, 도면을 회전하거나 불필요한 객체를 삭제하는 등 전처리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도면 객체는 도면 상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기술 구성의 대상을 말한다. 도면 객체의 각 구성에 도면 부호가 표시되거나, 도면 부호와 도면 객체의 각 구성 간에 연결선으로 연결되어 표시된다. 따라서 각 도면은 도면 객체와, 도면 부호, 연결선으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면부호 검출부(33)은 도면에서 도면부호 및 그 위치를 검출한다. 즉, 도면에서 도면 부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위치를 해당 도면 부호의 위치로 추정한다.
바람직하게는, 도면부호 검출부(33)은 딥러닝 등 신경망 방식을 기반으로 도면에서 도면 부호의 위치를 감지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딥러닝 방식으로서 레티나넷(RetinaNet) 모델을 이용한다.
즉, 도면부호 검출부(33)은 일반적인 이미지 데이터 처리를 위한 사물 인식 기술과 다르게 흑백의 도형과 숫자만으로 이루어지는 특허 명세서의 도면에 특화된 레티나넷(RetinaNet) 모델을 이용한 사물 인식 기술을 사용하여 도면 내에 도면 부호의 위치를 검출하고, 도면 부호의 좌표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도면부호 검출부(33)은 감지된 도면 부호의 위치에 바운딩 박스(bounding box)를 생성한다. 도면부호 검출부(33)에 의해 생성되는 바운딩 박스는 검출된 도면 부호의 주변에 형성되는 사각형 테두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바운딩 박스는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운딩 박스는 투명색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면에서 도면 부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부호에 바운딩 박스를 표시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면부호 검출부(33)은 특허 명세서의 도면에 특화된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기능을 구비하고, 이를 이용하여 해당 좌표에 위치한 도면 부호를 텍스트 형식의 도면 부호로 인식하여 추출한다. 즉, 도면부호 검출부(33)은 도면 부호에 생성되는 바운딩 박스 내에서 OCR로 숫자 또는 문자를 인식하여 텍스트 형식의 도면 부호를 검출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면부호 검출부(33)은 딥러닝 알고리즘 또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위치가 감지된 도면 부호에서 텍스트 형식의 도면 부호를 추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면부호 검출부(33)은 도면 부호에서 텍스트 형식의 도면 부호를 추출하기 위해 아스터(ASTER) 등 OCR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아스터(ASTER)는 정류(rectification) 네트워크와 인식(recognition) 네트워크로 구성되는 엔드투엔드(end-to-end) 신경망 모델로서, 이미지 또는 바운딩 박스 내에서 텍스트 또는 숫자를 인식하여 추출한다. 도면부호 검출부(33)은 아스터(ASTER)를 사전에 학습시키고, 바운딩 박스를 입력하여 텍스트 형식의 도면 부호를 추출한다.
앞서 도 6의 예에서, 도면 부호는 2, 4, 6, 8, 10, 12, 14, ... 등으로 추출된다.
다음으로, 부호설명 추출부(34)는 도면 부호에 대한 부호 설명을 추출한다.
즉, 부호설명 추출부(34)는 추출된 도면 부호에 대하여, 특허문서의 상세한 설명에서 도면 부호의 설명(부호 설명)을 추출한다.
일 실시예로서, 부호설명 추출부(34)는 특허문서의 "부호 설명"을 하는 섹터로부터 도면부호에 대한 부호 설명을 추출하거나, 사전에 관리자 등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특허문서의 상세한 설명 내에서 도면 부호(또는 텍스트 형태의 도면 부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도면 부호의 직전에 위치된 텍스트 또는 문자열을 부호 설명으로 추출한다.
특히, 도면 부호를 포함하는 문장을 파싱하여, 직전 텍스트 중에서 주어나 목적어로 사용되는 문자열만을 추출한다. 도면 부호를 포함하는 문장이 다수 개이면, 다수의 문장에서 모두 해당 도면 부호의 직전 문자열을 추출하고, 추출된 문자열 중에서 가장 많은 빈도로 중복되는 문자열 부분을 해당 도면 부호의 설명으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red patch 10", "patch 10"가 검출되는데 이때, "patch"의 중복 횟수가 가장 많으면, 도면 부호 "10"의 부호 설명을 "patch"로 정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부호설명 추출부(34)는 부호설명의 문자열을 분석하여, 부호설명의 유사 문자열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특허문서의 상세한 설명 내에서, "sidewall section"은 "sidewall"로도 사용되고 있다. 즉, 통상의 유사 문자열 추출 방법을 적용한다.
도 7은 도면 부호에 대한 부호 설명을 매핑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부호설명 표시부(35)는 도면의 각 부호에 대해 해당 부호의 부호설명을 해당 도면 상에 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도면의 여백을 검출하고, 검출된 도면 여백에 부호설명을 배치한다.
바람직하게는, 부호설명 표시부(35)는 도면 이미지(각 도의 이미지)에서 여백 영역을 검출하되, 영역의 경계가 가로변과 세로변 만으로 이루어진 여백 영역을 검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세로변의 길이는 사전에 정해진 최소 길이 이상으로 길도록 설정한다. 특히, 세로변의 최소 길이는 글자 높이로 설정한다. 또한, 내부 영역의 폭의 길이는 사전에 정해진 최소 길이 이상으로 길도록 설정한다. 이때, 영역 폭의 최소 길이는 사전에 정해진 최소 글자수의 너비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영역의 폭을 최소 4글자의 너비로 설정하면, 최소 4개의 글자를 기재할 수 있는 길이이다. 즉, 세로변의 길이는 글자 높이이므로 한 줄의 글자를 기재할 수 있는 공간이 된다. 글 간격은 줄 간의 간격을 말하고, 글자 높이는 해당 글자의 높이이다. 그러나 글자 높이는 해당 글자가 차지하는 공간의 높이를 의미하므로, 줄 간격과 같은 것으로 본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부호설명 표시부(35)는 도면에서 색상을 이용하여 후보 여백 영역을 검출한다. 즉, 색상이 흰색(또는 바탕색)인 영역을 여백 영역으로 검출한다. 앞서와 같이, 세로변과 가로변으로 이루어진 영역으로 검출하되, 내부 영역의 폭과 세로변의 길이가 최소 길이 이상이 되는 영역을 검출한다.
도 8은 각 도면(각 도) 이미지 내에서 검출된 여백 영역을 예시하고 있다. 도면 내에서 회색 부분이 여백 영역이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면의 객체 내에서도 여백 영역이 검출될 수 있다. 즉, 객체 내부의 바탕색 영역이 일정한 크기가 되면, 여백 영역으로 검출된다.
한편, 도면 객체의 바운딩 박스와, 전체 영역의 캔버스 박스 간의 간격은 조절될 수 있다. 이때, 도면 객체의 크기는 사전에 정해진다. 따라서 캔버스의 크기는 커지거나 줄어드는 등 변경될 수 있다. 즉, 캔버스 박스의 크기가 조절된다. 여기서, 객체의 바운딩 박스는 객체를 포함하는 최소 사각형을 말하고, 캔버스(또는 캔버스 박스)는 도면이 표시되는 화면 상의 영역을 말한다.
도 8의 예에서, A는 객체의 바운딩 박스를 나타내고, B는 캔버스를 나타낸다.
바운딩 박스와 캔버스 박스 간의 간격이 작은 경우, 여백 영역의 최소 길이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여, 여백 영역에서 제외될 수 있다.
또한, 부호설명 표시부(35)는 도면 여백에 부호 설명을 배치한다.
즉, 부호설명 표시부(35)는 각 도면 부호의 부호 설명을 배치할 영역(이하 설명 영역)을 설정하고, 각 설명 영역이 다른 설명 영역과 겹치지 않도록 여백 영역 내에 배치한다.
이때, 설명 영역의 크기는 부호 설명의 글자 크기와 개수 등에 의해 결정된다. 글자 크기는 글자의 높이와 너비로 구성된다. 글자 크기는 한 글자가 차지하는 공간을 말한다. 즉, 글자 크기와 폰트(글꼴)의 크기와는 구별된다.
또한, 부호설명 표시부(35)는 각 도면 부호의 위치에서 인접한 여백에 해당 부호의 설명 영역을 먼저 배치하고, 이후에, 인접한 여백에 배치하지 못한 도면 부호의 설명 영역을 배치한다. 여기서 인접한 여백 위치(또는 인접한 여백)는 해당 도면 부호의 위치(또는 도면 부호의 바운딩 박스)에서 상하 좌우의 인접한 위치를 말한다.
즉, 부호설명 표시부(35)는 각 도면 부호에 대하여, 각 도면 부호의 인접한 여백 공간(여백 영역 내의 공간)에 해당 도면 부호의 설명 영역을 배치할 수 있으면, 해당 도면 부호의 설명 영역을 먼저 배치한다.
도 9는 각 도면 부호의 인접한 여백 공간에 설명 영역을 배치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도 9의 예에서, 도면 부호 "2", "10", "12", "14", "16", "18"만 인접한 위치에 도면 설명을 배치할 수 있다. 이때, 도면 부호 "4"에도 인접한 위치에 여백이 있으나, 해당 여백에는 도면 부호 "4"의 부호 설명 "sidewall section"을 기재할만큼 공간이 크지 않다.
또한, 부호설명 표시부(35)는 인접한 여백에 배치한 후, 배치되지 않은 각 도면 부호에 대해, 해당 도면 부호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여백(여백의 위치)에 해당 도면 부호의 설명 영역을 배치한다.
도 10은 인접한 여백에 배치되는 않은 각 도면 부호에 대하여, 가장 가까운 여백에 설명 영역을 배치한 것을 예시한 것이다. 도 10의 예에서, 도면 부호 "4", "6", "8", "20", "22", "24", "26"에 대해 각각 부호 설명을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또한, 부호설명 표시부(35)는 인접하지 않은 위치에 설명 영역을 배치하는 경우, 설명 영역과 해당 도면 부호 간에 연결선으로 연결하여 표시하거나, 도면 부호를 부호 설명에 추가한다. 도면 부호의 부호 설명에 도면 부호를 추가하는 경우, 도면 부호가 추가됨에 따라 설명 영역의 크기도 변경시킨다. 또한, 연결선과 도면 부호를 모두 추가하거나, 선택적으로 하나만 추가한다.
다음으로, 관련도 산출부(36)는 각 부호설명 또는 각 도면에 대해 각 청구항 또는 단락의 관련도를 산출한다.
먼저, 관련도 산출부(36)는 특허문서의 청구범위 또는 상세한 설명을 청구항 단위 또는 단락 단위(이하 청구항등 단위)로 구분하고, 각 단위별로 관련도를 산출한다. 즉, 청구범위는 다수의 청구항으로 구성되는데, 각 청구항을 하나의 단위로 구분한다. 또한, 상세한 설명은 다수의 단락으로 구성되는데, 각 단락을 하나의 단위로 구분한다. 각 청구항 또는 각 단락별로 관련도를 산출한다.
이때, 청구항 또는 상세한 설명의 단락을 "청구항 등"이라 부르기로 한다.
또한, 관련도 산출부(36)는 부호설명의 출현 빈도에 따라, 각 부호설명에 대해 각 청구항등의 관련도를 산출한다. 이때의 관련도를 "부호 관련도"라 부르기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부호설명의 출현 빈도가 높을수록 부호 관련도를 높게 산출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부호 관련도를 해당 부호설명의 빈도수에 비례하여 설정한다. 또한, 해당 청구항등에서 해당 부호설명이 출현되지 않으면, 해당 청구항등의 부호 관련도는 0 또는, 없는 것으로 산출한다.
한편, 부호설명의 출현 빈도를 산출할 때, 부호설명 또는 해당 부호설명의 유사 문자열을 모두 포함하여 출현하는 빈도를 구한다. 예를 들어, "sidewall section"의 유사 문자열이 "sidewall"이면, "sidewall section" 또는 "sidewall"이 나타나는 빈도를 구한다. 유사 문자열이 중복되는 경우, 빈도를 중복하여 산출하지 않는다. 즉, "sidewall section" 에 대해 "sidewall section"에서 1회 카운팅되면, "sidewall"에서는 중복하여 카운팅하지 않는다.
도 11의 예는 청구범위를 나타내고 있고, 부호설명은 "sidewall"이다. 청구항 1항, 4항, 5항, 9항에 "sidewall"이 출현되고 있다.
이때, "sidewall"에 대한 각 청구항의 빈도와 부호 관련도는 도 12에 도시하고 있다. 이때, 관련도를 빈도수로 설정된 예시이다. 도 12에서, 청구항 1항이 가장 높은 관련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관련도 산출부(36)는 출현되는 부호설명의 개수(종류의 개수), 또는, 부호설명의 개수(이하 부호 개수)와 총 빈도수에 따라, 각 도면에 대해 각 청구항등의 관련도를 산출한다. 이때의 관련도를 "도면 관련도"라 부르기로 한다.
도면의 부호설명은 해당 도면에 나타난 도면 부호에 대한 부호설명을 말한다. 각 도면은 다수의 도면 부호를 가지므로, 도면 부호 각각에 해당하는 부호설명을 다수 개 가진다. 도 10의 예에서, 해당 도면은 "tent", "sidewall section", "top portion", "clear trasition" 등 다수의 부호설명을 가진다.
부호설명의 개수(또는 부호 개수)는 해당 도면의 부호설명 중에서 해당 청구항등에 나타난 부호설명의 개수(종류의 개수)를 말한다. 예를 들어, 해당 청구항에 "tent"가 10번 나타나더라도, 부호설명의 개수는 1개가 된다.
부호설명의 빈도수는 해당 도면의 부호설명이 나타난 총 빈도수를 말한다. 즉, 각 부호설명의 빈도수를 합한 것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도면 관련도는 부호 개수에 비례하여 설정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면 관련도는 부호 개수와 총빈도수를 가중 평균 또는 가중 합산하여 설정한다.
도 13의 예는 청구범위를 나타내고 있고, 밑줄친 굵은 용어들은 부호설명을 나타내고 있다. 해당 도면에 대한 각 청구항의 부호 개수와, 총 빈도수, 도면 관련도는 도 14에 도시하고 있다. 이때, 도 14의 도면 관련도는 부호 개수에 0.7의 가중치를, 총빈도수에 0.3의 가중치를 가중하여 합산한 결과이다. 도 14에서, 청구항 1항이 가장 높은 관련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도 15의 예는 상세한 설명의 단락 [0024]와 [0025]를 나타내고 있고, 밑줄친 굵은 용어들은 부호설명을 나타내고 있다. 해당 도면에 대한 각 단락(상세한 설명의 단락)의 부호 개수와, 총 빈도수, 도면 관련도는 도 16에 도시하고 있다. 이때, 도 16의 도면 관련도는 부호 개수에 0.7의 가중치를, 총빈도수에 0.3의 가중치를 가중하여 합산한 결과이다. 도 16에서, 상세한 설명의 단락 [0024]가 가장 높은 관련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청구항등 표시부(37)는 도면 또는 부호설명(또는 부호)이 선택되면, 해당 도면 또는 부호설명과 관련도를 가지는 청구항 또는 상세한 설명의 단락(또는 청구항 등)을 표시한다.
먼저, 청구항등 표시부(37)는 도면 목록창(E)에서 도면이 선택되면, 해당 도면과 도면 관련도에 따라 청구항 또는 상세한설명의 단락을 청구항등 표시창(A)에 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도면 관련도가 가장 높은 청구항 등을 먼저 표시한다.
또한, 청구항등 표시부(37)는 해당 도면에 대한 도면 관련도의 높은 순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즉, 관련도가 높을수록 우선순위를 높게 책정한다.
또한, 청구항등 표시부(37)는 우선순위에 따라 청구항 등의 목록을 청구항등 목록창(B)에 표시한다. 도 14의 예에서, 도면 관련도의 우선순위는 1항, 4항, 5항, 나머지 청구항들이다. 따라서 이러한 우선순위에 의해 청구항들을 먼저 목록에 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청구항등 표시부(37)는 청구항등 표시창(A)에 청구항 또는 상세한 설명의 단락에서, 부호설명을 하이라이트 시켜 표시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청구항등 표시부(37)는 청구항등 표시창(A)에 하이라이트 시켜 표시된 부호설명과 동기화 하여, 도면표시 창(C) 또는 부호설명 창(E) 등에 부호설명을 하이라이트 시켜 표시한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청구항등 표시부(37)는 서로 다른 부호설명이면, 서로 다른 색상으로 하이라이트 시켜 표시한다. 특히, 청구항등 표시창(A), 도면표시 창(C) 또는 부호설명 창(E) 등에 표시되는 부호 설명이 서로 동일하면, 동일한 색상으로 표시된다.
다음으로, 청구항등 표시부(37)는 도면 표시창(C) 또는 부호설명창(E)에서 부호설명 또는 부호가 선택되면, 해당 부호설명(또는 해당 부호의 부호설명)의 부호 관련도에 따라 청구항 또는 상세한 설명의 단락을 청구항등 표시창(A)에 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부호 관련도가 가장 높은 청구항 등을 표시한다.
또한, 청구항등 표시부(37)는 해당 부호설명에 대한 부호 관련도의 높은 순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청구항 등의 목록을 청구항등 목록창(B)에 표시한다. 도 12의 예에서, 도면 관련도의 우선순위는 1항, 4항, 5항, 9항들이다. 따라서 이러한 우선순위에 의해 청구항들을 먼저 목록에 표시한다.
도 17은 "sidewall"의 부호설명에 대한 청구항 등을 표시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7과 같이, 청구항등 표시부(37)는 청구항등 표시창(A)에 청구항 또는 상세한 설명의 단락에서, 부호설명을 하이라이트 시켜 표시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청구항등 표시부(37)는 청구항등 표시창(A)에 하이라이트 시켜 표시된 부호설명과 동기화 하여, 도면표시 창(C) 또는 부호설명 창(E) 등에 부호설명을 하이라이트 시켜 표시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청구항등 표시부(37)는 청구항등 목록창(B)에 청구항의 계층 구조를 표시한다. 청구항의 계층 구조는 인용과 피인용 관계에 의한 구조를 나타낸다. 즉, 2개의 청구항의 상하 관계는 피인용과 인용 관계를 나타낸다. 피인용되는 청구항이 해당 청구항을 인용항의 상위 청구항이고, 인용하는 청구항이 피인용항의 하위 청구항이다.
도 17의 청구항등 목록창(B)에 청구항의 계층 구조가 표시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청구항의 계층 구조에서, 부호설명과 관련도를 가지는 청구항(관련도가 0 보다 큰 청구항)을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하거나, 관련도를 가지는 청구항만 표시한다.
한편, 더욱 바람직하게는, 관련도의 크기에 따라 비례하여, 하이라이트 색상을 달리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서, 관련도의 크기가 클수록, 하이라이트 색상의 농도(채도)를 달리 표시한다. 즉, 관련도가 클수록, 색상의 농도 또는 채도를 진하게 표시한다. 또 다른 예로서, 빨강-주황-노랑-초록-파랑-남색-보라색 등 일련의 색상을 설정하고, 관련도의 크기에 따라 해당 색상을 배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청구항등 표시부(37)는 해당 부호설명에 대한 부호 관련도의 높은 순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관련도가 있는 청구항을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하거나 관련도가 있는 청구항을 표시하되, 인용관계의 하위 청구항(인용항)이 우선순위가 높을 경우 해당 하위 청구항과 함께 관련된 상위 청구항(피인용항)을 함께 청구항등 표시창(A)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용관계에서 상위에 있는 모든 청구항을 함께 표시한다.
도 18의 예에서, 청구항 4항이 우선순위가 높아(또는 가장 높아) 해당 청구항의 내용이 청구항등 표시창(A)에 표시될 때, 4항의 피인용항인 1항의 내용도 함께 표시한다. 또한, 청구항 5항이 우선순위가 높은 경우, 5항의 상위 청구항인 4항과 1항을 모두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설명 표시부(38)는 도면표시 창(C)에 도면의 설명을 표시한다.
즉, 특허문서의 상세한 설명에서 "도면의 간단한 설명" 등의 부분에서, 각 도면에 대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해당 도면의 설명을 읽어와서, 해당 도면 설명을 도면표시 창(C)에 표시한다.
도 19는 도면표시 창(C)에 표시된 도면 설명을 예시하고 있다. 도 19의 F 부분이 도면 설명이 표시된 부분이다.
다음으로, 청구항등 저장부(39)는 선택된 도면 또는 부호설명(또는 부호)에 대하여 해당 도면 또는 부호설명과 관련도를 가지는 청구항 또는 상세한 설명의 단락(또는 청구항 등)을 저장한다. 이때, 저장 메뉴, 저장 버튼(미도시), 단축키 등 사전에 정해진 명령(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청구항등 저장부(39)는 도면 상에서 도면부호가 인식된 도면부호설명이 표시된 관련도가 표시되는 도면표시창(C)과 해당 도면 또는 도면부호의 설명의 가장 높은 관련도를 가지는 상세한 설명의 단락(또는 하이라이트로 하여 표시되는 상세한 설명의 단락), 또는 가장 높은 관련도를 가지는 청구항 단락(또는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되는 청구항 단락) 등을 저장한다. 즉, 청구항등 표시창(A)에 표시되는 단락을 저장한다. 특히, 해당 도면과 함께 청구항 등을 저장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면 부호설명이 표시되는 도면표시창(C)의 도면과 청구항, 상세한 설명의 하이라이트 표시된 단락이 표시되는 청구항등 표시창(A)은 한번에(또는 전체적으로) 또는 선택에 의하여(선택에 의하여 일부를)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장되는 파일은 파워포인트 등 프리젠테이션 파일, 워드 등 워드프로세서 파일, 엑셀 등 스프레드시트 파일, PNG 등 이미지 파일 등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사용자 단말
30 : 도면표시 시스템 31 : 화면 구성부
32 : 도면 획득부 33 : 도면부호 검출부
34 : 부호설명 추출부 35 : 부호설명 표시부
36 : 관련도 산출부 37 : 청구항등 표시부
38 : 도면설명 표시부 39 : 청구항등 저장부
40 : 데이터베이스 41 : 열람문서DB
42 : 도면정보DB 43 : 관련도DB
50 : 특허열람 서버 80 : 네트워크

Claims (9)

  1. 삭제
  2. 명세서 내용을 함께 표시하는 부호 기반 도면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출력 화면을 다수의 창으로 분할하는 화면 구성부;
    특허문서의 도면을 획득하는 도면 획득부;
    도면에서 도면부호를 검출하는 도면부호 검출부;
    도면 부호에 대한 다수의 부호설명들을 추출하는 부호설명 추출부;
    각 도면에 대해 각 청구항 또는 상세한 설명의 단락(이하 청구항 등)의 관련도를 산출하되, 해당 도면의 다수의 부호설명들 중에서 해당 청구항 등에서 출현되는 부호설명의 종류의 개수(이하 종류수)가 높을수록 상기 관련도가 높도록 설정되는 관련도 산출부; 및,
    하나의 도면이 선택되면, 해당 도면과 관련도를 가지는 청구항 등을 출력 화면에 표시하는 청구항등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련도 산출부는 상기 관련도를 해당 청구항 등에서 출현되는 부호설명의 종류수와 총 빈도수를 가중하여 평균하거나 합산하여 산출하고, 해당 도면의 각 부호설명의 빈도수를 합하여 총 빈도수를 산출하고,
    종류수의 가중치를 총 빈도수의 가중치 보다 더 높게 설정하고,
    특정한 하나의 부호설명이 2 이상 출현되어도 해당 부호설명의 종류수는 1개로 산출되고,
    상기 청구항등 표시부는 상기 관련도가 가장 높은 청구항 등을 상기 출력화면의 청구항등 표시창에 표시하고,
    상기 청구항등 표시부는 청구항들의 인용과 피인용 관계에 의한 계층 구조를 상기 출력화면의 청구항등 목록창에 표시하되, 관련도가 있는 청구항만을 표시하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세서 내용을 함께 표시하는 부호 기반 도면 표시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청구항등 표시부는 상기 관련도가 높을수록 해당 청구항 등의 우선순위를 높게 책정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관련도가 있는 청구항 등의 목록을 상기 출력화면의 청구항등 목록창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세서 내용을 함께 표시하는 부호 기반 도면 표시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10052654A 2021-04-22 2021-04-22 명세서 내용을 함께 표시하는 부호 기반 도면 표시 시스템 KR102533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654A KR102533523B1 (ko) 2021-04-22 2021-04-22 명세서 내용을 함께 표시하는 부호 기반 도면 표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654A KR102533523B1 (ko) 2021-04-22 2021-04-22 명세서 내용을 함께 표시하는 부호 기반 도면 표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706A KR20220145706A (ko) 2022-10-31
KR102533523B1 true KR102533523B1 (ko) 2023-05-17

Family

ID=83803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654A KR102533523B1 (ko) 2021-04-22 2021-04-22 명세서 내용을 함께 표시하는 부호 기반 도면 표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52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68011A (ja) * 2018-10-23 2020-04-30 雲拓科技有限公司Integral Search International Ltd. 特許書類図面資料ガイド内容自動獲得表示設備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5931A (ko) 2016-10-11 2016-11-01 이현엽 특허문서의 도면가독성 증진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385457B1 (ko) * 2017-03-20 2022-04-13 (주)광개토연구소 인공 지능 기술 기반의 머신 러닝을 사용하는 도면 부호를 포함하는 특허 도면 이미지에 도면 부호의 설명을 맵핑 처리하는 방법
KR20180107707A (ko) * 2017-03-22 2018-10-02 (주)광개토연구소 인공 지능 기술 기반의 머신 러닝을 사용하는 특허 도면 이미지에 도면 부호의 설명이 표시되도록 맵핑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13130A (ko) 2018-07-12 2020-02-06 (주)광개토연구소 인공 지능 기술 기반의 머신 러닝을 사용하는 특허 도면 이미지의 도면 부호에 대응되는 도면 부호의 설명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68011A (ja) * 2018-10-23 2020-04-30 雲拓科技有限公司Integral Search International Ltd. 特許書類図面資料ガイド内容自動獲得表示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706A (ko) 202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6212B2 (en) Presenting translations of text depicted in images
US9239833B2 (en) Presenting translations of text depicted in images
US9152730B2 (en) Extracting principal content from web pages
US8849725B2 (en) Automatic classification of segmented portions of web pages
US9501540B2 (en) Interactive visualization of big data sets and models including textual data
US948935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mantic search, content correlation and visualization
RU2449357C2 (ru) Диаграмма ранжирования
US8583637B2 (en) Coarse-to-fine navigation through paginated documents retrieved by a text search engine
Sanoja et al. Block-o-matic: A web page segmentation framework
US20190377779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Sectioned Documents
US20130124515A1 (en) Method for document search and analysis
CN103838566A (zh) 信息处理装置和信息处理方法
WO2015069737A2 (en) Presenting translations of text depicted in images
RU2605078C2 (ru) Сегментация изображения для верификации данных
JP2014215911A (ja) 注目領域推定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Hsiao et al. Screenqa: Large-scale question-answer pairs over mobile app screenshots
JP6157965B2 (ja) 電子機器、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533523B1 (ko) 명세서 내용을 함께 표시하는 부호 기반 도면 표시 시스템
US11430166B1 (en) Facilitating generation of number-bullet objects
EP3470993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click thru capability of electronic media
KR20220169099A (ko) 특허 문서에 대한 워드 클라우드 표시 시스템
CN116484126A (zh) 网页中的列表提取和可视化
KR20230109469A (ko) 특허 문서에 대한 워드 관계망 표시 시스템
Zeng et al. A web page segmentation approach using visual semantics
KR101440385B1 (ko) 인디케이터를 이용한 정보 관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