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222B1 - Sustainable sea forest construction apparatus using float - Google Patents

Sustainable sea forest construction apparatus using flo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222B1
KR102533222B1 KR1020220170215A KR20220170215A KR102533222B1 KR 102533222 B1 KR102533222 B1 KR 102533222B1 KR 1020220170215 A KR1020220170215 A KR 1020220170215A KR 20220170215 A KR20220170215 A KR 20220170215A KR 102533222 B1 KR102533222 B1 KR 102533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rope
fixing means
sea
sea fo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02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곽철우
이순이
Original Assignee
곽철우
이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철우, 이순이 filed Critical 곽철우
Priority to KR1020220170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22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2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프에 식재된 해조류에서 방출되는 포자가 로프와 연결된 부구에 착생되어 성장되면서 바다숲을 조성하고자 하는 장치로서,
상하를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 부구와, 상기 부구의 상단과 하단에 위치하는 제1 및 제 2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 일단에 연결되는 로프를 포함하는 부구유닛이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프에 해조류가 심어져 해조류로부터 방출된 포자가 상기 부구에 착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creating a sea forest as spores released from seaweeds planted on a rope are attached to a float connected to a rope and grow,
At least one float unit including a float formed with a hole passing through the top and bottom, first and second fixing means locat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float, and a rop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xing mean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seaweed is planted on the rope and spores released from the seaweed adhere to the float.

Description

부구를 이용한 지속가능한 바다숲 조성장치{SUSTAINABLE SEA FOREST CONSTRUCTION APPARATUS USING FLOAT}Sustainable sea forest creation device using floats {SUSTAINABLE SEA FOREST CONSTRUCTION APPARATUS USING FLOAT}

본 발명은 바다숲 조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방향으로 연결된 다수의 부구에 포자가 착생되어 성장되면서 바다숲을 조성하고자 하는 장치로서 일회성인 포자백을 이용한 기존 포자 착생 장치에 비해 본 장치는 다회성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이며, 장치의 이동성이 좋아 본 장치로 조성된 바다숲 공간을 바다숲 조성을 위한 씨드 공간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부구를 이용한 지속가능한 바다숲 조성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reating a sea forest, and more specifically, as a device for creating a sea forest while spores epiphyte and grow on a plurality of floats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mpared to the existing spore epiphytic apparatus using a one-time spore bag, this invention The device is eco-friendly because it can be used multiple times, and the device's mobility is good, so the sea forest space created with this device can be used as a seed space for creating a sea forest. it's about

해중림, 즉 바다숲은 해양 수중으로 산소를 공급하고 해양 환경을 정화하며, 각종 어패류의 산란장과 성육장을 제공하여 해양 생태계의 일차 생산자로서 그 기능이 매우 중요하다.Marine forests, that is, sea forests, supply oxygen to the marine water, purify the marine environment, and provide spawning grounds and breeding grounds for various fish and shellfish, so their functions as primary producers of the marine ecosystem are very important.

그러나 최근 들어 국내 연안 어장에서 무성했던 미역, 다시마, 감태, 모자반 의 다년생 해조류 군락이 고수온, 저염분, 해양오염, 조식성 동물의 과다 섭생 등으로 생태계가 파괴되어 갯녹음 현상(즉, 백화현상)이 발생되고 있으며, 그 피해면적은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고, 또한 지나친 해안선 개발, 항만 공사, 레저 활동, 수중 관람 등으로 인한 해조 군락의 훼손이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in recent years, seaweed, kelp, Ecklonia cava, and perennial seaweed colonies that have flourished in coastal fisheries in Korea have been destroyed by high temperature, low salinity, marine pollution, and excessive feeding of saprophytic animals, causing whitening (i.e., bleaching) of the ecosystem. The damage area is rapidly expanding, and damage to seaweed colonies due to excessive development of coastlines, port construction, leisure activities, underwater viewing, etc. is intensifying.

이러한 갯녹음 현상이 발생된 해역에서는 수산자원의 고갈을 물론 부영양화도 촉진되어 이를 인위적으로 회복시키려는 노력 없이는 자연적인 치유가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바다숲을 인위적으로 조성하여 복원하는 사업 즉 바다숲 조성사업이 정부사업의 하나로 많은 예산을 들여가며 매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It is known that natural healing is almost impossible without efforts to artificially restore the depletion of fishery resources as well as eutrophication in sea areas where this whitening phenomenon has occurred. As one of the government projects, it is being carried out every year with a lot of budget.

이러한 이유로 인위적으로 바다숲을 조성하여 복원하려는 기술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시도되고, 본 발명의 발명자 역시 과거 여러 기술들을 고안해서 등록받은 바 있어 이와 관련하여 등록특허 제10-1080239호(2011.10.31)『해조류이식체 및 상기 해조류이식체를 이용한 바다숲조성방법』, 등록특허 제10-1213463호(2012.12.12)『포자보호가 강화된 바다숲 조성장치』, 등록특허 제10-1161782호(2012.06.26)『바다숲 조성을 위한 포자이식장치』등을 들 수 있다.For this reason, various techniques for artificially creating and restoring sea forests have been developed and attempted, and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lso devised and registered several techniques in the past. 『Seaweed implant and method of creating sea forest using said seaweed implant』, Patent Registration No. 10-1213463 (2012.12.12) 『Sea Forest Creation Device with Enhanced Spore Protection』, Registration Patent No. 10-1161782 (2012.06.26) ) 『Spore Transplantation Device for Sea Forest Creation』.

바다숲을 조성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씨(협의 개념의 포자)를 바다속에 뿌려 발아가 이루어져 성장하여 성체가 되면서 바다숲을 조성시키는 방법과, 바다속에 처음부터 다 자란 성체를 이식시켜 성체(成體)에서부터 포자방출을 유도하여 바다숲을 조성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는데, 작업성이나 효과면에서는 후자가 더 바람직하다.Methods for creating a sea forest include a method in which seeds (spores in a narrow sense) are sown in the sea, where they germinate, grow and become an adult, and a method in which a sea forest is created, and a grown adult is transplanted into the sea ), there may be a method of creating a sea forest by inducing spore release, but the latter is more preferable in terms of workability and effectiveness.

그리고 다 자란 성체 즉, 해조류를 바다 속으로 이식시키는 경우 수중 바닥에서 일정 높이의 지점에서 횡방향으로 여러 방향으로 연결된 로프에 성체를 고정시키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해조류에서 포자가 방출되고 포자가 바닥을 포함하여 수중의 다양한 구조물에 착생되고 성장함으로써 바다숲이 조성된다.In addition, when transplanting a grown adult, that is, seaweed into the sea, the adult is fixed to a rope connected in various direction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a point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bottom of the water, and over time, spores are released from the seaweed and the spores are released from the bottom. Sea forests are formed by growing and attaching to various structures in the water, including .

그러나 다수의 로프가 횡방향으로 연결되다보니 어망이나 통발 등에 의해 로프 연결이 쉽게 끊어지는 문제가 종종 발생하고,However, since many ropes are connec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re is often a problem that the rope connection is easily broken due to fishing nets or traps.

바다속 환경에 따라 해조류의 성장이 잘 이루어지는 깊이가 상이한데, 특히 동일 위치라 하더라도 환경 변화에 따라 성장이 잘 이루어지는 깊이가 달라질 수 있어 일관된 횡방향 로프 배열로는 효율적인 포자 성장을 기대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Depending on the environment in the sea, the depth at which algae grow well is different. In particular, even at the same location, the depth at which growth is well established can vary depending on environmental changes. Therefore, efficient spore growth cannot be expected with a consistent transverse rope arrangement there was.

뿐만 아니라 로프에 해조류를 고정시켜 포자 방출을 유도하는 것이 아니라, 포자가 수용된 포자백을 바로 로프에 고정시켜 포자 방출을 유도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포자백이 소모성이기에 한 번 사용하면 사용된 포자백은 폐기시켜야 한다는 환경적 문제도 있다.In addition, instead of fixing seaweed to a rope to induce spore release, the spore bag containing the spores is directly fixed to the rope to induce spore release. There are also environmental issues that need to be addressed.

본 발명은 기존 바다숲 조성에 따른 문제점 내지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구를 이용하여 보다 친환경적이면서 포자 방출 및 해조류 성장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바다숲 조성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r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ea forest creation, and to provide a sea forest creation device that is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spore release and seaweed growth using a float.

또한 장치의 지속적 사용이 가능함과 아울러 이동성이 갖추어진 바다숲 조성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ea forest creation device equipped with mobility as well as continuous use of the device.

그리고 부구에 착생된 포자 및 이후 성장된 해조류가 조식동물로부터 섭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바다숲 조성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creating a sea forest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spores attached to the float and seaweed grown thereafter from being eaten by foraging animals.

그리고 조식동물만이 아니라 소라 및 전복 등으로부터의 포자 및 해조류 초기 섭식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부구를 갖춘 가진 바다숲 조성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ea forest creation device equipped with a structure that can prevent early feeding of spores and seaweed from conch and abalone as well as birds of prey.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다숲 조성장치는. Sea forest cre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상하를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 부구와, 상기 부구의 상단과 하단에 위치하는 제1 및 제 2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 일단에 연결되는 로프를 포함하는 부구유닛이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로프에 해조류가 심어져 해조류로부터 방출된 포자가 상기 부구에 착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At least one floatation unit including a float formed with a hole passing through the top and bottom, first and second fixing means locat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loat, and a rop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xing means is composed of one or more floats, and the seaweed is attached to the rope. Is planted and spores released from seaweed are attached to the float,

상기 부구의 표면에는 연속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으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grooves are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loat.

그리고 상기 부구유닛은 양 단이 각각 제1 및 제2 고정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부구의 홀에 위치하는 스프링과, 상기 부구의 홀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의 인장 제한용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float unit further includes a spring whose both ends ar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means and positioned in the hole of the float, and a wire positioned in the hole of the float for limiting tension of the spring. to be

다르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다숲 조성장치는, Alternatively, the sea forest cre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하를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 부구와, 상기 부구의 상단과 하단에 위치하는 제1 및 제 2 고정수단과, 양 단이 각각 제1 및 제2 고정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부구의 홀에 위치하는 스프링과, 상기 부구의 홀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의 인장 제한용 와이어를 포함하는 부구유닛이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A float formed with a hole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parts, first and second fixing means locat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float, and both end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means, respectively, and a spring positioned in the hole of the float And, one or more float units located in the hole of the float and including a wire for limiting the tension of the spring,

상기 부구의 표면에는 연속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으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grooves are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loat.

그리고 상기한 바다숲 조성장치에서의 홈은 단면이 V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groove in the above sea forest creation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 section is V-shaped.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바다숲 조성장치에 의하면, According to the sea forest cre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포자 착생 도구로 부구를 이용하였는바 소모성이 아닌 지속적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며, 본 장치를 종방향으로 배열하는 구조이기에 수중 환경에 따라 해조류 성장이 잘 이루어지는 깊이로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Since the float is used as a spore growth tool,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not consumable and can be used continuously, and since the device 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installed at a depth where algae growth is well established depending on the underwater environment.

또한 부구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 및 인장 제한용 와이어로 인해 부구에 연결된 로프의 움직임을 활발히 하여 부구로의 조식동물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movement of the rope connected to the float is activated due to the spring installed inside the float and the wire for limiting tension, thereby preventing access of birds of prey to the float.

또한 부구 표면에 형성된 홈에 의하여 포자 내지 해조류에 대한 소라 내지 전복의 초기섭식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groov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loat has an effect of preventing early feeding of conch or abalone on spores or seawe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부구유닛은 이동성이 좋아 본 장치로 조성된 바다숲 공간을 바다숲 조성을 위한 씨드 공간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즉 다음 조성지에 부착된 부구에서 성체로 성장한 해조류가 천이가 될 수 있도록 해조가 부착된 부구를 옮겨서 바다숲을 조성하고 조성된 지역에는 다시 새로운 부구를 설치하여 자연체묘를 시켜 소위 해조인큐베이터를 만들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In addition, the bugu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being able to utilize the sea forest space created by the present device as a seed space for creating a sea forest because of its good mobility. In other words, the seaweed attached to the seaweed is moved to create a sea forest so that the seaweed that has grown into an adult in the float attached to the next site can be succeeded. has the advantage of

도 1은 본 발명인 바다숲 조성장치 즉 부구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인 부구유닛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인 부구유닛을 구성하는 부구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의한 부구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인 부구유닛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다숲 조성장치 설치 후 시간 변화에 따른 바다숲 조성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구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the inventors of the sea forest creation device, that is, a float unit.
2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floa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float constituting the floa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float according to Figure 3;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ors float unit.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sea forest composition state according to the time change after installing the sea forest cre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loa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다숲 조성장치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ea forest cre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에 의한 바다숲 조성장치는 부구(10)와 상기 부구이 일단에 연결되는 로프(30)로 이루어진 부구 유닛(U)이 하나 이상 종방향으로 수중에 설치되고, 이러한 조성장치가 일정 면적 내에서 다수 설치되는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바다숲이 조성된다.In the sea forest cre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float units (U) made of a float 10 and a rope 3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loat are installed in the wa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uch a composition device is installed within a certain area Many of them are installed, and over time, sea forests are created.

보다 구체적으로,More specifically,

본 발명의 장치에 사용되는 부구(1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부구로서, 상기 부구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홀(10a)이 형성된다(다만 상기한 부구는 통상적인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가능함은 물론이다).The float 10 used in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monly used float, and a hole 10a penetrating vertically is formed in the float (however, the float is not limited to the conventional shape and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is of course).

그리고 부구의 일단에 로프(30)가 연결되는데, 부구의 상단과 하단 각각에는 제1 및 제2 고정수단(21, 22)이 위치하고, 로프의 하단에 위치하는 제2 고정수단(22)에 로프(30)가 연결되어 부구와 로프의 연결이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rope 3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loat, and the first and second fixing means 21 and 22 are locat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loat, respectively, and the rope is attached to the second fixing means 22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rope. (30) is connected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float and the rope is made.

상기 제1 및 제2 고정수단(21, 22)은 후술되는 스프링(40)에 의해 부구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고정설치된다.The first and second fixing means 21 and 22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loat by a spring 40 described later.

이와 같은 구성 즉, '제1 고정수단-부구-제2 고정수단-로프'의 구성을 부구유닛(U)이라 칭하고, 이러한 부구 유닛을 하나 이상 바다속에 설치함으로써 바다숲 조성이 시작된다.Such a configuration, that is, the configuration of 'first fixing means - float - second fixing means - rope' is called a float unit (U), and by installing one or more float units in the sea, the creation of the sea forest begins.

즉 상기 로프(30)에 성체 즉 해조류(P)를 심어서 부구 유닛을 바다 속에 설치하게 되는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해조류로부터 포자가 방출되면서 함께 연결된 부구에 포자가 착생되고(물론, 일부는 수중 바닥을 비롯해 수중 구조물에 착생될 것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포자가 해조류로 성장하여 바다숲이 조성되는 것이다.That is, by planting an adult, that is, seaweed (P) on the rope 30, the floating unit is installed in the sea. Over time, as spores are released from the seaweed, spores are attached to the floats connected together (of course, some of them are underwater The spores will grow into algae over time, creating a sea forest.

참고로 도 6에서 본 발명의 조성장치에 의해 부구에 포자가 착생되고 착생된 포자가 해조류로 성장하면서 바다숲이 조성되는 과정을 간략이 도시하였는바, 바다에 본 발명인 조성장치 설치 후 1년차 상태(도6의 [a] 참고), 이후 2년차 상태 및 3년차 상태(도6의 [b] 및 [c] 참고)를 도시하였다.For reference, FIG. 6 schematically shows the process of forming a sea forest as spores are attached to floats by the composi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dherent spores grow into seaweed, showing the state of the first year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composi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a. (See [a] in FIG. 6), and then the 2nd and 3rd year states (see [b] and [c] in FIG. 6) are shown.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부구 유닛(U)은 부구 상단에 위치하는 고정수단(21, 22)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수단과 다른 부구 유닛의 로프를 연결하여 종 방향으로 다수 개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인 것으로, Next, the float unit (U)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that can be installed in a pluralit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connecting the fixing means and the rope of the other float unit using the fixing means (21, 22) located at the top of the float. ,

해조류의 성장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수중의 깊이가 장소마다 다를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장치는 수중에서 부구 유닛이 종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기에, 해조류의 성장이 잘 이루어지는 특정 깊이의 확보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The depth of the water where seaweed grows smoothly may vary from place to place, but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secure a specific depth where seaweed grows well because the float unit is installed longitudinally in the water.

또한 이와 같은 종방향 배열은 기존의 횡방향 배열에 비해 어망이나 통발 등으로부터 파손 위험이 낮다는 장점을 가진다.In addition, such a longitudinal arrangement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risk of damage from fishing nets or traps is lower than that of conventional transverse arrangements.

다음으로 부구 유닛(U)의 구조를 좀 더 설명하면,Next, the structure of the floating unit (U) is explained in more detail,

우선 부구 상단과 하단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고정수단(21, 22)은 로프 등이 쉽게 장착되고 분리될 수 있도록 개폐수단(21a, 22a)을 가지고, 고성수단의 형태를 원형보다는 장착된 로프 등이 특정 지점에 머무를 수 있도록 다각형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삼각형 타입으로 도시하였다.First, the first and second fixing means (21, 22) locat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loat have opening and closing means (21a, 22a) so that the rope or the like can be easily attached and separated, and the shape of the lifting means is mounted rather than circular.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in a polygonal type so that the rope or the like can stay at a specific point, and is shown in a triangular type in the drawings of this specification.

참고로 개폐수(21a, 22a)은 로프 등을 고정수단에 장착 및 분리하기 위해 고정수단의 일면을 개방 및 폐쇄하는 것으로 종래의 일반적인 구성을 채용하기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For reference, the opening and closing numbers 21a and 22a open and close one surface of the fixing means in order to attach and separate the rope or the like from the fixing means, and since a conventional general configuration is employ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로프는 고정수단과의 연결을 위해 양 단부는 고리가 형성된 타입으로 이루어진다.And both ends of the ro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made of a looped type for connection with the fixing means.

다음으로 상기 부구의 홀(10a)에는 스프링(40)과 와이어(50)가 삽입되는데, Next, the spring 40 and the wire 50 are inserted into the hole 10a of the float.

상기 스프링(40)의 양 단이 제1 및 제2 고정수단(21, 22)에 장착됨으로써 제1 및 제2 고정수단이 부구 상단과 하단에 고정되게 된다.Both ends of the spring 40 are attached 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means 21 and 22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ixing means are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loat.

그리고 와이어(50)는 스프링의 인장 제한용 와이어로서, 스프링이 최대 인장되었을 때의 스프링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ire 50 is a wire for limiting the tension of the spring, and preferably has a length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pring when the spring is maximally stretched.

위 구조로 인해 수중에서 로프의 움직임이 원활하게 되어, 로프를 타고 이동하는 조식동물의 이동을 방해할 수 있고, 포자가 착생되어 있는 부구까지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도 2 참조).Due to the above structure, the movement of the rope in the water is smooth, it is possible to hinder the movement of the birds moving on the rop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ess to the buoy where the spores are attached (see FIG. 2).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부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1 및 도 2에서의 부구 표면이 매끄러운 타입이었다면 도 3에서의 부구 표면은 연속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인 홈(10A_을 형성하는 구조임이 확인된다.Next, FIG. 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floa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surface of the float in FIGS. 1 and 2 was a smooth type, the surface of the float in FIG. 3 had continuous or discontinuous grooves 10A_. It is confirmed that the structure is formed.

(도 3에서 두 가지 타입으로 도시하였으나 부구 표면에는 다양한 형태로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인 홈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shown in two types in FIG. 3, it goes without saying that continuous or discontinuous grooves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on the surface of the float.)

포자가 부구에 착생될 때 상기 홈(10A) 내부로도 투입되어 착생이 이루어지는데, 상기한 홈(10A_은 로프를 타고 올라온(물론, 소라 내지 전복의 접근을 방지하는 구조가 설치되어 있으나 이런 장치에도 불구하고 로프를 타고 올라오는 경우가 있다) 소라 내지 전복 등의 해양동물로부터 포자 내지 해조류의 초기 섭식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이다.When the spores are attached to the float, they are also introduced into the groove 10A and the epiphyte occurs. The groove 10A_ climbs up the rope (of course, a structure is installed to prevent the access of conch or abalone, but this It is a structure to prevent early ingestion of spores or algae from marine animals such as conch or abalone.

즉 소라 내지 전복은 상기한 홈(10A) 내부로까지의 먹이 섭식은 불가하기에 부구로까지 타고 올라온 소라 내지 전복이 부구 표면을 훑고 지나간다 하더라도 상기한 홈에 있는 포자 내지 해조류는 보호될 수 있어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해진다.That is, since conch or abalone cannot eat food to the inside of the groove (10A), even if the conch or abalone that has climbed up to the float passes through the surface of the float, the spores or algae in the groove can be protected and continue growth is possible

그리고 상기한 홈(10A)은 다양한 깊이 내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단면이 V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V자 형태와 같이 홈 내주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수중에서도 빛을 받을 수 있어 해조류 성장에 도움이 되기 때문인다.Also, the groove 10A may be formed in various depths or shapes, but preferably has a V-shaped cross section. This is because wh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oove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such as a V-shape, light can be received even underwater, which is helpful for algae growth.

다음으로 도 4 [A]/[C]는 도 3에서와 같이 홈이 형성된 부구에 포자가 착생될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 [B]/[D]는 도 3에서와 같이 변형된 부구에 형성된 연속적인 홈에 포자가 초기 생장한 유엽(초기 성장상태의 해조류) 등이 성장한 상태의 유엽실(10B)을 감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Next, FIG. 4 [A] / [C] shows a state in which spores will adhere to the float formed with grooves as in FIG. 3, and FIG. 4 [B] / [D] shows the deformed float as shown in FIG. It shows a state in which the leaf chamber 10B, in which spores have initially grown (seaweed in the initial growth state), etc. has grown, is wound on the continuous groove formed on the .

즉 상기한 부구의 홈에 포자가 바로 투입되어 착생될 수도 있으나, 상기한 홈(10A)에 유엽 등이 성장한 상태의 유엽실(10B)을 감아서 해조류 성장을 유도할 수도 있다. 홈에 의해 실 장착이 용이하며 홈 내부로 유엽이 위치하기에 소라 내지 전복으로부터의 초기섭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spores may be directly put into the groove of the above-mentioned float and epiphyte, but the growth of seaweed may be induced by winding the leaf chamber 10B in a state in which leaves and the like are grown around the groove 10A. It is easy to install the yarn by the groove, and since the leaves are located inside the gro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early feeding from conch or abalone.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50)의 하단은 부구 하단에 위치한 제2 고정수단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로프(30)에 연결시킬 수 있고, 이때 와이어의 하단이 로프를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와이어를 로프에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as shown in FIG. 5, the lower end of the wire 50 can be connected to the rope 30 rather than being installed in the second fixing mean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float, and 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wire goes up and down along the rope. It is desirable to connect the wire to the rope so that it can be moved.

이에 와이어의 단부에는 삽입된 로프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이동링(51)이 장착되고, 이동링이 로프를 따라 상하로 움직이면서 조식동물의 접근이 방지된다.Accordingly, a movable ring 51 that moves up and down along the inserted rope is mounted at the end of the wire, and the movable ring moves up and down along the rope to prevent access of birds of prey.

상기와 같이 구성된 부구 유닛을 이용한 바다숲 조성을 첨부된 도면을 기초하여 설명하면, If the sea forest composition using the bugu uni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described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두 개의 부구유닛(U)이 연결된 바다숲 조성장치를 수중에서 특정 범위 내에서 다수 개 설치한다. 이 때 바닥과 연결되는 로프 단부에는 완충장치(D)를 설치하여 해류나 조류에 의한 충격에 유연하게 대비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완충장치는 공지된 기술로서 본 발명자의 등록특허 제10-1921251호에 기재되어 있는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s shown in FIG. 6, a plurality of sea forest creation devices in which two floating units (U) are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installed underwater within a specific range. At this time, a shock absorber (D)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rope connected to the bottom so that it can be flexibly prepared for the impact caused by the current or current. For reference, the shock absorber is a well-known technology and is described in Patent Registration No. 10-1921251 of the present inventor,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본 발명의 로프(30)에는 해조류가 이식되어 있는 상태이다.In addition, seaweed is transplanted to the rop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시간이 지나면 해조류에서 포자가 방출되고, 방출된 포자는 부구에 착생되어 성장하는데(도 6의 [a]), 시간이 지나면서 해조류로 성장하여 다수로 설치된 조성장치에 의해서 바다숲이 조성된다(도 6의 [b] 및 [c]).Over time, spores are released from seaweeds, and the released spores attach to the float and grow (Fig. 6 [a]). [b] and [c] in Fig. 6).

그리고 요구되는 상태로 바다숲이 조성되면 고정수단에 장착된 다른 부구 유닛을 분리시켜 바다숲 조성이 필요한 또다른 공간으로 이동 설치하여 기존 조성된 바다숲은 씨드뱅크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바, 본 발명의 조성장치는 반영구적으로 그리고 지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the sea forest is created as required, the other floating unit mounted on the fixing means is separated and moved to another space where the sea forest needs to be created, so that the existing sea forest can serve as a seed bank. The composi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semi-permanently and continuously.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바다숲 조성장치의 부구유닛은 아래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loating unit of the sea forest cre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as follows.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구유닛(U)은 상하를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 부구(10)와, 상기 부구의 상단과 하단에 위치하는 제1 및 제 2 고정수단(21, 22)과, 양 단이 각각 제1 및 제2 고정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부구의 홀에 위치하는 스프링(4)과, 상기 부구의 홀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의 인장 제한용 와이어(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7, the float unit U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oat 10 having a hole passing through the top and bottom, and first and second fixing means 21, 22 position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float. ), a spring 4 having both end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means and located in the hole of the float, and a wire 50 for limiting the tension of the spring positioned in the hole of the float. It is done by

즉 앞서 언급된 부구유닛에서 로프(30) 구성이 생략된 것이고, 도 7에서의 부구 또한 도 3에서 도시된 다양한 홈 구조의 부구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at is, the structure of the rope 30 is omitted from the above-mentioned floatation unit, and the floatation of FIG. 7 and the floatation of various groove structures shown in FIG. 3 can be used, of course.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구유닛(U)을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상하로 다수 개 연결하여 이를 수중에 설치한다.And as shown in Figure 7, a plurality of float units (U) are connected up and down using a fixing means and installed in the water.

이는 자연암반에 바다숲이 조성되었을때, 도 7와 같이 설치해두면 해조류에서 방출된 포자가 부구(10)에 착생하고 해조류로 성장하는데, 해조류 성장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면 해당 부구유닛을 다른 곳으로 옮겨 바다숲 조성을 확대할 수 있게 된다.This is because when a sea forest is formed on natural bedrock, when installed as shown in FIG. 7, spores released from seaweeds attach to the float 10 and grow into seaweed. When the seaweed grows to some extent, the float unit is moved to another place.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creation of sea forests.

그리고 부구유닛을 제거한 자리에는 새로운 부구유닛을 설치하여 동일한 작업을 반복하게 된다. 이를 통해 바다숲 조성 면적이 확대된다.In addition, a new float unit is installed in the place where the float unit is removed, and the same operation is repeated. This will expand the area of marine forests.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바다숲 조성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 forest creation device having a specific shape, structure, and configuration has been main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changed, and repla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and changes and substitutions are to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U: 부구유닛
10: 부구
10A: 홈 10B: 유엽실
30: 로프
21, 22: 제1 및 제2 고정수단
40: 스프링 50: 와이어
*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
U: subunit
10: Bugu
10A: groove 10B: leaf chamber
30: rope
21, 22: first and second fixing means
40: spring 50: wire

Claims (4)

상하를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 부구와, 상기 부구의 상단과 하단에 위치하는 제1 및 제 2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 일단에 연결되는 로프를 포함하는 부구유닛이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프에 해조류가 심어져 해조류로부터 방출된 포자가 상기 부구에 착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부구의 표면에는 연속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으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부구유닛은
양 단이 각각 제1 및 제2 고정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부구의 홀에 위치하는 스프링과, 상기 부구의 홀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의 인장 제한용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구를 이용한 지속가능한 바다숲 조성장치.
At least one float unit including a float formed with a hole passing through the top and bottom, first and second fixing means locat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float, and a rop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xing mean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seaweed is planted on the rope and spores released from the seaweed adhere to the floa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grooves are formed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on the surface of the float,
The subunit is
Both ends ar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means, respectively, and the float is located in the hole of the float, and the wire for limiting the tension of the spring is located in the hole of the float. Sustainable sea forest crea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단면이 V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구를 이용한 지속가능한 바다숲 조성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groove is a sustainable sea forest creation device using a float,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 section is V-shaped.
상하를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 부구와, 상기 부구의 상단과 하단에 위치하는 제1 및 제 2 고정수단과, 양 단이 각각 제1 및 제2 고정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부구의 홀에 위치하는 스프링과, 상기 부구의 홀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의 인장 제한용 와이어를 포함하는 부구유닛이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구의 표면에는 연속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으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구를 이용한 지속가능한 바다숲 조성장치.
A float formed with a hole passing through the top and bottom, first and second fixing means locat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loat, and a spring having both end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means and positioned in the hole of the float And, one or more float units located in the hole of the float and including a wire for limiting the tension of the spring,
Sustainable sea forest creation device using a float, characterized in that grooves are formed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on the surface of the floa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단면이 V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구를 이용한 지속가능한 바다숲 조성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groove is a sustainable sea forest creation device using a float,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 section is V-shaped.
KR1020220170215A 2022-12-08 2022-12-08 Sustainable sea forest construction apparatus using float KR1025332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0215A KR102533222B1 (en) 2022-12-08 2022-12-08 Sustainable sea forest construction apparatus using flo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0215A KR102533222B1 (en) 2022-12-08 2022-12-08 Sustainable sea forest construction apparatus using floa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3222B1 true KR102533222B1 (en) 2023-05-17

Family

ID=86547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0215A KR102533222B1 (en) 2022-12-08 2022-12-08 Sustainable sea forest construction apparatus using flo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22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717B1 (en) * 2023-09-26 2024-04-01 곽철우 A rope device for seaweed transplantation and a seaweed transplantation device uising i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4491A (en) * 1996-05-08 1997-11-18 Suzuki Motor Corp Tool for creating seaweed bed
JP2002017185A (en) * 2000-07-04 2002-01-22 Okabe Co Ltd Method for investigating aptitude of planned sea area for forming seaweed bed
KR100835369B1 (en) * 2007-01-25 2008-06-09 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Seaweed forest attachment means
KR20130022144A (en) * 2011-08-25 2013-03-06 아쿠아이엔지(주) Apparatus for collecting seeds of sea life and for spawning fish
KR101456702B1 (en) * 2014-07-09 2014-11-05 곽철우 Shellfish control apparatus
KR20170013731A (en) * 2015-07-28 2017-02-07 한국생태연구원 주식회사 Transplanter of seaweed for blocking sea urchi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4491A (en) * 1996-05-08 1997-11-18 Suzuki Motor Corp Tool for creating seaweed bed
JP2002017185A (en) * 2000-07-04 2002-01-22 Okabe Co Ltd Method for investigating aptitude of planned sea area for forming seaweed bed
KR100835369B1 (en) * 2007-01-25 2008-06-09 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Seaweed forest attachment means
KR20130022144A (en) * 2011-08-25 2013-03-06 아쿠아이엔지(주) Apparatus for collecting seeds of sea life and for spawning fish
KR101456702B1 (en) * 2014-07-09 2014-11-05 곽철우 Shellfish control apparatus
KR20170013731A (en) * 2015-07-28 2017-02-07 한국생태연구원 주식회사 Transplanter of seaweed for blocking sea urchi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717B1 (en) * 2023-09-26 2024-04-01 곽철우 A rope device for seaweed transplantation and a seaweed transplantation device uising 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17232B2 (en) Formation method of submerged plant group using artificial floating island for submerged plant
KR100988360B1 (en) Stepped artificial reef for habitation of shellfish and forming sea forest
JP2008271989A (en) Method for forming submerged plant cluster by using artificial floating island for submerged plant
JP2010148521A (en) Culture of sessile marine animal
KR102533222B1 (en) Sustainable sea forest construction apparatus using float
US5884585A (en) Underwater high relief fence habitat
KR101657439B1 (en) The artificial reef for forming a seaweed forest
KR102468951B1 (en) Apparatus for implanting seaweed having Algae spore spread apparatus
KR101001828B1 (en) Artificial reef for habitation of shellfish and forming sea forest
KR101722386B1 (en) H shaped transplanting plate for seaweed
KR101034076B1 (en) Install structure for floating artificial reef
KR102501417B1 (en) Sustainable sea forest construction apparatus using float
KR101974403B1 (en) seed collecting device of seaweed and seed collecting method
KR101427538B1 (en) Artificial fishing banks of sailfin sandfish for spawning and incubation
KR101840602B1 (en) Cultivating block for marine ecosystem
KR200448974Y1 (en) A Nutrition Block Fixing Unit of transplanted of Seaweed Spore
KR101617427B1 (en) Shellfish climbing prevention apparatus
KR102077278B1 (en) Algae spore spread apparatus
KR102200440B1 (en) Aestivating apparatus for sea cucumber
KR100688384B1 (en) Sea grasses saising for breeding ground
KR102003185B1 (en) An underground apparatus for spawning and inhabitation of cephalopod.
KR102495854B1 (en) eco-friendly transplanting apparatus for eelgrass and transplanting method using the same
Appukuttan et al. Culture of brown mussel at Vizhinjam
KR102241451B1 (en) Marine afforestation system and method the same
KR102598212B1 (en) Seeding apparatus for surfgrass and method of seeding using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