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021B1 -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 및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의 소독 방법 - Google Patents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 및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의 소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021B1
KR102533021B1 KR1020210031580A KR20210031580A KR102533021B1 KR 102533021 B1 KR102533021 B1 KR 102533021B1 KR 1020210031580 A KR1020210031580 A KR 1020210031580A KR 20210031580 A KR20210031580 A KR 20210031580A KR 102533021 B1 KR102533021 B1 KR 102533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pressure
pass box
door
inner do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1245A (ko
Inventor
박혜린
김지효
김영훈
Original Assignee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1/00415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124485A1/ko
Publication of KR20220081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05Isolators, i.e. enclosures generally comprising flexible walls for maintaining a germ-free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2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with artificial climate; with means to maintain a desired pressure, e.g. for germ-free rooms
    • A61G10/023Room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at over- or under-pressure or at a variable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7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rus or bacteriophag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08Hospitals, infirmaries, or the like; Schools; Pri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Zo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Vir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hysiolog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검체 채취 모듈, 냉장고, 샘플 분류 모듈, 추출 모듈, PCR 처리 모듈, 출입 모듈, 음압 발생기를 포함한다. 출입 모듈은 제1 출입문 및 제2 출입문을 순차적으로 구동하여 컨테이너의 내부 압력이 음압을 유지하도록 한다. 음압 발생기는 컨테이너의 내부 압력을 음압으로 유지시킨다. 글러브 유닛은 컨테이너 내부에서 외부의 검사 대상자의 검체를 채취할 수 있도록 한다. 패스 박스에 의해 채취한 검체를 하우징 내부로 유입할 수 있으며, 검체 인출 후 패스 박스 내부에 소독제를 분사하여 바이러스의 내외부 이동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이에 따라 코로나 검사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컨테이너 내부를 음압으로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 및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의 소독 방법 {High performance compact smart container having negative pressure, pass box thereof and sterilizing method of pass box}
본 발명은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 및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의 소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사스와 메르스에 이어 새롭게 인류를 위협하는 호흡기 감염병으로, 현재 전세계의 많은 인구를 감염시키고 있다. 감염병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의심 증상시 코로나 진단을 시행하고 있으며, 의심 증상이 없더라도 선제적으로 진단을 시행하여 확진자를 조기 발견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병원 또는 보건소 등에 설치된 일반적인 진료소에서는 다수의 검사 인원에 대한 검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어려우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식 검사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이동식 검사 시스템에서는 검사 인원의 검체 채취 후 지속적으로 소독을 수행해야 하고, 이 때문에 하루에 검사를 할 수 있는 횟수가 제한된다. 따라서, 1인당 검사 및 소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검사 횟수를 늘릴 수 있는 이동식 검사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감염병의 외부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검사 시스템 내부의 공기 압력을 외부의 공기 압력보다 낮게 하여야 하는바, 검사 시스템 내부의 압력이 음압으로 유지되고, 내부의 공기를 필터링하여 배출할 수 있는 이동식 검사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등록특허 제10-2172044호 (명칭: 모듈러 건축공법을 이용한 모듈러 부스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내부의 음압을 효율적으로 유지하고,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검체를 검사 시스템 내부로 유입시킬 때 내외부로의 바이러스의 이동없이 살균성과 차단성을 강화한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검체 채취 모듈, 샘플 분류 모듈, 추출 모듈, PCR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검체 채취 모듈은 컨테이너의 일측에 위치하며, 글러브 유닛 및 패스 박스를 구비한다. 샘플 분류 모듈에서는 검체 채취 모듈에서 채취된 검체로부터 샘플을 분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추출 모듈에서는 샘플에서 중합효소유전자를 추출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PCR 처리 모듈에서는 추출된 중합효소유전자를 증폭시키는 작업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는 제1 출입문 및 제2 출입문을 구비하는 출입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에서 제1 출입문 및 제2 출입문은 동시에 개방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는 음압 발생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압 발생기는 컨테이너의 내부를 음압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에서 음압 발생기는 광촉매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에서 패스 박스는 하우징, 상판, 팬, 소독제 분사 노즐을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의 일측에는 내부 도어가 형성될 수 있다. 상판은 하우징의 상단을 밀폐하며, 외부 도어가 형성될 수 있다. 팬은 하우징의 타측에 장착될 수 있다. 소독제 분사 노즐은 하우징 내측벽 상부에 적어도 하나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는 하우징과 상판을 포함한다. 하우징의 일측에는 내부 도어가 형성될 수 있다. 상판은 하우징의 상단을 밀폐하며, 외부 도어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는 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팬은 하우징의 타측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는 소독제 분사 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소독제 분사 노즐이 하우징의 내측벽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에서 외부 도어는 수평 이동하여 개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에서 내부 도어는 패스 박스 외측으로 이동하여 개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에서 내부 도어는 서랍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 내부 소독 방법은 내부 도어를 개방하여 패스 박스 내에 저장된 검체를 인출하는 단계, 내부 도어의 개방과 동시에 팬을 동작시키는 단계, 내부 도어가 닫히면 소독제 노즐이 소독제를 미세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 내부 소독 방법에서 팬은 패스 박스의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시켜 내부 도어측으로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 내부 소독 방법에서 소독제를 미세 분사하는 단계는 내부 도어의 개방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 내부 소독 방법에서 패스 박스의 내부는 외부 도어 및 내부 도어의 폐쇄시 음압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는 음압을 효율적으로 유지하고,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에서 글러브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에서 글러브 유닛의 개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에서 출입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의 내부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의 내부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의 외부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 내부 소독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 내부 소독 방법에서 팬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 내부 소독 방법에서 소독제를 분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 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에서 글러브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에서 글러브 유닛의 개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1000)는 컨테이너(1000'), 검체 채취 모듈(1100), 냉장고(1200), 제1 작업 모듈(1300), 추출 모듈(1400), 제2 작업 모듈(1500), PCR 처리 모듈(1600), 냉동고(1700), 출입 모듈(1800), 음압 발생기(1900)를 포함한다.
컨테이너(1000')에는 검체를 채취하고 진단하기 위한 복수의 모듈이 수용된다.
검체 채취 모듈(1100)은 글러브 유닛(1110) 및 패스 박스(1120)를 구비한다. 글러브 유닛(1110)은 컨테이너(1000')의 일측 벽에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러브 유닛(1110)은 개구(1111)와 글러브(1113)를 구비한다. 한 쌍의 개구(1111)가 컨테이너(1000')의 일측 벽에 형성된다. 한 쌍의 개구(1111)를 통해 검체 채취를 위한 의료진의 두 팔이 통과할 수 있다.
개구(1111)에는 글러브(1113)가 밀폐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글러브(1113)의 재질은 실리콘, 고무 등일 수 있다. 개구(1111)에는 글러브(1113)의 밀착을 위한 원형의 돌출부(1115)나 클램핑 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글러브(1113)는 수회 사용 후 교체될 수 있다.
글러브 유닛(1110)에 의해 컨테이너(1000') 내부에서 컨테이너(1000') 외부에 위치한 검사 대상자의 검체를 채취할 수 있다.
패스 박스(1120)는 글러브 유닛(1110) 하방에 이격되어 위치한다. 패스 박스(1120) 상에는 검체 채취를 위한 도구 등이 놓일 수 있으며, 패스 박스(1120) 내부에 채취된 검체가 수용된다. 패스 박스(1120) 부근에는 사용한 도구 등을 버릴 수 있는 수거함(미도시)이 구비될 수도 있다.
패스 박스(112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한다.
한편, 냉장고(1200)는 검체 채취 모듈(1100)에서 채취된 검체를 저장할 수 있다. 진단을 해야 하는 검체 수가 많아지는 경우, 검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부 검체를 냉장 보관할 수 있다.
샘플 분류 모듈(1300)에서는 검체로부터 샘플을 분류하는 작업을 할 수 있다. 면봉 등에 함유된 검체 샘플을 시험관 등에 분류하며, 검사 대상자의 정보를 부착한다.
추출 모듈(1400)에서는 분류된 샘플로부터 RNA 중합효소유전자를 추출한다.
전처리 모듈(1500)에서는 추출 모듈(1400)에서 추출된 RNA 중합효소유전자를 PCR 처리할 수 있도록 전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PCR 처리 모듈(1600)에서는 추출된 RNA 중합효소유전자를 증폭시키는 PCR 처리를 한다.
냉동고(1700)는 진단 과정에서 보관이 필요한 시료, 검체 등을 보관할 수 있다.
출입 모듈(1800)에 의해 의료진 등이 출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 모듈(1800)은 제1 출입문(1810) 및 제2 출입문(1820)을 구비한다. 제1 출입문(1810)과 제2 출입문(1820) 사이에 전실이 형성된다. 제1 출입문(1810)에 의해 의료진은 컨테이너(1000') 외측으로부터 컨테이너(1000') 내측 전실로 들어올 수 있다. 제2 출입문(1820)에 의해 의료진은 전실로부터 컨테이너(1000') 내측의 검사 공간으로 들어올 수 있다. 제1 및 제2 출입문(1810, 1820)은 순차적으로 개방되며, 동시에 개방되지 않는다. 컨테이너 출입 모듈에 전실을 형성함으로써, 컨테이너 내부를 음압으로 더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전실 상부에는 에어 커튼 등이 장착될 수도 있다.
컨테이너(1000')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컨테이너(1000') 내부의 공기 압력은 음압으로 유지된다.
컨테이너(1000') 내부의 공기 압력을 음압으로 유지하기 위해,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1000)는 음압 발생기(1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압 발생기(1900)는 컨테이너(10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보다 컨테이너(1000') 외부로 유출되는 공기량이 많도록 공기의 유동을 조절하여 컨테이너 내부의 압력을 컨테이너 외부의 압력보다 낮게 형성한다. 이 때, 내부의 공기는 여과되어 배출된다.
내부 공기의 여과를 위하여 음압 발생기(1900)에 광촉매 제올라이트 필터를 적용할 수 있다. 컨테이너(1000') 외부로 배출되는 오염된 공기는 광촉매 제올라이트 필터를 통과하여 배출된다.
구체적으로, 컨테이너 내부 공기는 헤파 필터를 통과한 후 또는 바로 광촉매 제올라이트 필터에 유입될 수 있다. 광촉매 제올라이트 필터는 복수의 광촉매 필터가 층상으로 배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광촉매 필터는 서로 이격되어, 필터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공기가 충분히 살균되도록 할 수 있다.
광촉매 제올라이트 필터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광화학 반응이 이렁나고, 이에 의해 오염 물질이 분해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필터는 주기적으로 교체할 수 있다.
음압 발생기(1900)는 컨테이너(1000')의 측벽 또는 천장에 위치될 수 있다. 컨테이너(1000') 내외부의 압력 차이는 2.5~5Pa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의 내부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의 내부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의 외부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스 박스(1120)는 하우징(1121), 상판(1124), 팬(1126), 소독제 분사 노즐(1127)을 구비한다. 하우징(1121)은 패스 박스(1120)의 몸체를 형성하며, 내부에 채취한 검체를 수용할 수 있다. 패스 박스(1120)는 충격에 잘 견디고, 내부가 밀폐될 수 있도록, 내구성이 좋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21)의 일부는 컨테이너(1000')의 외측에, 일부는 컨테이너(1000'의 내측에 위치된다.
하우징(1121)의 일측에는 하우징(1121) 내부의 검체(2000)를 인출할 수 있도록 내부 도어(112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도어(1122)는 하우징(1121)의 외측, 즉 컨테이너(1000') 내부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내부 도어(1122)는 하우징(1121)의 일측과 힌지 결합을 하여 회동하여 개방되거나, 슬라이딩 이동하여 개방될 수 있다. 하우징(1121)의 하단에는 유입된 검체(2000)를 인출하기 용이하도록 트레이(1123)가 배치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서 내부 도어(1122A)는 서랍식으로 형성되어, 수평 방향으로 인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내부 도어(1122A)를 컨테이너(1000') 내부쪽으로 당김으로써 검체(2000)도 함께 컨테이너(1000') 내부쪽으로 이동하여 검체(2000)를 인출하기 용이하다.
상판(1124)은 하우징(1121)의 상단을 밀폐시킨다. 상판(1124) 위에는 검체 채취를 위한 부품 등을 놓을 수 있다. 상판(1124)에는 외부 도어(1125)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도어(1125)는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개방될 수 있다. 외부 도어(1125)가 상판(1124)을 따라, 또는 상판(1124) 내부에 마련된 수용 공간 내로 수평 이동함에 따라, 패스 박스(1120) 내부에 외부 도어 외측이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외부 도어(1125)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패스 박스(1120) 상단에 레일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
외부 도어(1125)는 페달 등의 물리적 수단이나 전자 신호, 센서 등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외부 도어(1125)는 검체를 수용할 때만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내외부의 바이러스 이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패스 박스(1124)는 일부는 컨테이너(1000')의 외부로 노출되고, 일부는 컨테이너(1000')의 내부에 위치한다. 상판(1124)에 위치한 외부 도어(1125)에 의해 외부에서 패스 박스(1120) 내부로 검체(2000)가 유입되고, 유입된 검체(2000)는 내부 도어(1122)를 개방시켜 컨테이너(1000') 내부로 들어올 수 있다. 이때 컨테이너 내부의 공기는 바이러스를 포함할 우려가 있어 외부로 유출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컨테이너(1000') 내부 공간이 외부와 통하지 않도록 외부 도어(1125)와 내부 도어(1122)는 동시에 개방되지 않는다. 패스 박스(1120)는 외부 도어(1125)가 개방 중일 때는 내부 도어(1122)가 개방되지 않도록 제어되고, 내부 도어(1122)가 개방 중일 때는 외부 도어(1125)가 개방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21)의 다른 측에는 팬(1126)이 장착될 수 있다. 팬(1126)은 내부 도어(1122)와 대향하는 벽면에 장착되며, 내부 도어(1122)가 개방될 때 작동한다. 팬(1126)은 외부 공기를 유입시켜 컨테이너(1000') 내부 쪽으로 공기를 유동시킨다. 이에 따라, 내부 도어(1122)를 개방할 때, 외부 공기가 컨테이너 쪽으로 유동하면서 패스 박스(112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팬(1126)이 구동할 때 팬(1126)의 후면의 배치된 개구(미도시)로부터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개구는 팬(1126)이 구동하는 동안에만 개방되도록 제어된다.
하우징(1121)의 내측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소독제 분사 노즐(1127)이 장착될 수 있다. 소독제 분사 노즐(1127)은 패스 박스(1120) 내부에 소독제를 분사한다. 소독제 분사 노즐(1127)은 내부 도어(1122)가 열렸다 다시 닫히는 때 분사되도록 제어된다. 또는 내부 도어(1122)가 개방될 때, 팬의 구동과 동시에 소독재가 분사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 내부 소독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 내부 소독 방법에서 팬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 내부 소독 방법에서 소독제를 분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패스 박스(1120)는 외부로부터 검체를 유입시키기 위하여 외부 도어(11215)를 개방해야 한다. 이 때 패스 박스(1120) 내부가 오염되어 있다면,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도어(1125)가 개방되더라도 오염된 공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패스 박스(1120) 내부는 항상 소독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패스 박스(1120) 내부의 오염은 내부 도어(1122)를 개방할 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패스 박스(1120) 내부는 내부 도어(1122)를 개방하거나, 개방 후 폐쇄 시에 소독될 수 있다.
패스 박스 소독을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패스 박스(1120) 내의 검체(2000)를 인출하기 위하여 내부 도어를 개방한다(S1100). 내부 도어(1122)는 컨테이너(1000') 내측으로 인출하여 개방될 수 있다.
내부 도어의 개방과 동시에 팬이 동작한다(S1200). 내부 도어(1122)가 개방될 때, 개방된 내부 도어(1122)를 통해 컨테이너(1000')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패스 박스(11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패스 박스(1120) 내부로 컨테이너(1000')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내부 도어(1122)에 대향되는 면에 위치한 팬(1126)이 동작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1126)에 전원을 인가하면, 내부 도어(1122) 측으로 공기를 유동시킨다. 공기의 유동으로 컨테이너 내부 공기가 패스 박스 측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패스 박스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시켜 내부 도어 측으로 유동시킨다. 내부 도어(1122) 개폐와 팬(1126)의 동작이 연계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팬(1126)이 장착된 하우징(1121)의 일측에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시키는 개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는 팬의 동작시에만 개방되도록 제어된다.
내부 도어(1122)가 닫히면, 소독제가 미세 분사된다(S1300). 소독제 분사 노즐(1127)은 하우징(1121) 내측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체가 인출되고 패스 박스 내부가 폐쇄되면, 폐쇄된 패스 박스(1120) 내부에 소독제를 분사하여, 패스 박스(1120) 내부의 공기 및 하우징 내벽 등을 소독한다. 패스 박스(1120) 내부가 소독됨으로써, 다시 검체 유입을 위해 외부 도어가 개방되더라도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될 우려가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 도어(1122)가 폐쇄된 후 소독제가 분사되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내부 도어의 개방, 팬의 동작과 동시에 소독제가 분사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내부 도어(1122) 개폐와 팬(1126)의 동작, 소독제 분사 노즐(1127)의 동작이 연계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내부 도어(1122)의 개방과 동시에 소독까지 실시되어 인출 및 소독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패스 박스의 내부는 폐쇄된 상태에서,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1000)에 구비된 음압 발생기 또는 자체적으로 구비한 음압 발생기에 의해 음압으로 유지될 수 있다. 패스 박스 내부가 음압으로 유지됨으로써, 외부 도어가 개방되는 순간 패스 박스 내부 공기가 외부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패스 박스 내부를 소독함으로써 1차적으로, 패스 박스의 내부를 음압으로 유지함으로써 2차적으로 오염된 공기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0 :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
1100 : 검체 채취 모듈 1110 : 글러브 유닛
1111 : 개구 1112 : 글러브
1115 : 돌출부 1120 : 패스 박스
1121 : 하우징 1122, 1122A : 내부 도어
1123 : 트레이 1124 : 상판
1125 : 외부 도어 1126 : 팬
1127 : 소독제 분사 노즐 1200 : 냉장고
1300 : 샘플 분류 모듈 1400 : 추출 모듈
1500 : 전처리 모듈 1600 : PCR 처리 모듈
1700 : 냉동고 1800 : 컨테이너

Claims (16)

  1.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에 위치하며, 글러브 유닛 및 패스 박스를 구비하는 검체 채취 모듈;
    상기 검체 채취 모듈에서 채취된 검체에서 샘플을 분류하는 샘플 분류 모듈;
    상기 샘플에서 중합효소유전자를 추출하는 추출 모듈;
    추출된 상기 중합효소유전자를 증폭시키는 PCR 처리 모듈;
    제1 출입문 및 제2 출입문을 구비하는 출입 모듈; 및
    상기 컨테이너 내부를 음압으로 유지시키는 음압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출입문 및 상기 제2 출입문은 동시에 개방되지 않고,
    상기 패스 박스는,
    일측에 내부 도어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단을 밀폐하며, 외부 도어가 형성된 상판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상기 내부도어와 대향하는 면에 장착되어, 상기 내부 도어 측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 상부에 적어도 하나가 장착되며, 상기 팬의 동작과 동시에 동작하는 소독제 분사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도어는 수평 이동하여 개폐되고, 상기 내부 도어는 서랍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패스 박스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 발생기는 광촉매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
  6. 삭제
  7. 일측에 내부 도어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단을 밀폐하며, 외부 도어가 형성된 상판;
    상기 하우징 내측에, 상기 내부도어와 대향하는 면에 장착되어, 상기 내부 도어 측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 상부에 적어도 하나가 장착되며, 상기 팬의 동작과 동시에 동작하는 소독제 분사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도어는 수평 이동하여 개폐되고,
    상기 내부 도어는 서랍 형태로 형성되어 패스 박스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일측에 내부 도어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단을 밀폐하며, 외부 도어가 형성된 상판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상기 내부도어와 대향하는 면에 장착되어, 상기 내부 도어 측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 상부에 적어도 하나가 장착되며 상기 팬의 동작과 동시에 동작하는 소독제 분사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도어는 수평 이동하여 개폐되고, 상기 내부 도어는 서랍 형태로 형성되어 패스 박스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개폐되는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 내부 소독 방법으로서,
    내부 도어를 개방하여 패스 박스 내에 저장된 검체를 인출하는 단계;
    상기 내부 도어의 개방과 동시에 팬을 동작시키고, 소독제 노즐이 소독제를 미세 분사하는 단계; 및
    내부 도어가 닫힌 후 소독제 노즐이 소독제를 미세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팬은 상기 패스 박스의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내부 도어측으로 공기를 유동시키고,
    상기 패스 박스의 내부는 외부 도어 및 내부 도어의 폐쇄시 음압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 내부 소독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210031580A 2020-12-08 2021-03-10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 및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의 소독 방법 KR102533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04154 WO2022124485A1 (ko) 2020-12-08 2021-04-02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 및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의 소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70807 2020-12-08
KR1020200170807 2020-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245A KR20220081245A (ko) 2022-06-15
KR102533021B1 true KR102533021B1 (ko) 2023-05-16

Family

ID=81987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580A KR102533021B1 (ko) 2020-12-08 2021-03-10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 및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의 소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02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4211B2 (ja) * 1995-11-24 2000-10-30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活性化キトサンの製造方法
JP2012037080A (ja) * 2010-08-04 2012-02-23 Daiwa House Industry Co Ltd パスボックス
KR102178101B1 (ko) * 2020-05-18 2020-11-13 송종운 음압 격리실을 갖춘 진료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9521A (ja) * 1993-05-13 1994-11-22 Hitachi Ltd 清浄作業装置
JP3104211U (ja) * 2004-03-25 2004-09-16 日科ミクロン株式会社 安全キャビネット型クリーンベンチ
KR102172044B1 (ko) 2020-04-20 2020-10-30 주식회사 나미 모듈러 건축공법을 이용한 모듈러 부스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4211B2 (ja) * 1995-11-24 2000-10-30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活性化キトサンの製造方法
JP2012037080A (ja) * 2010-08-04 2012-02-23 Daiwa House Industry Co Ltd パスボックス
KR102178101B1 (ko) * 2020-05-18 2020-11-13 송종운 음압 격리실을 갖춘 진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245A (ko) 202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9806B2 (ja) オートクレーブ滅菌を利用した自動細胞培養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CN209780335U (zh) 一种生物安全型可移动模块式负压隔离室
WO2019207894A1 (ja) 滅菌ガス浄化閉鎖系装置
CN104893951B (zh) 聚合酶链式反应工作站的组合
US9446159B2 (en) Flow cytometer biosafety hood and systems including the same
KR102533021B1 (ko)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 및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의 소독 방법
JP2005334771A (ja) 清浄作業台
JP5421203B2 (ja) 細胞培養施設
US20130071300A1 (en) Bills-only sterilizer
CN108624491A (zh) 一种可移动式pcr实验室
CN112246290A (zh) 净气式集成实验柜及其工作方法
KR101763381B1 (ko) 공기청정 기능을 구비하는 의료 폐기물의 안전 처리 장치
JP2004351283A (ja) 安全キャビネット及び空気清浄手段交換後処理方法
CN114480074A (zh) Pcr扩增操作柜及其使用方法
WO2022124485A1 (ko)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 및 고성능 컴팩트 스마트 음압 컨테이너용 패스 박스의 소독 방법
IT201800000749A1 (it) Impianto compatto a contaminazione controllata per il trattamento di linee cellulari
KR102283278B1 (ko) 검체 채취 장치
CN211099163U (zh) 一种抗体制备用无菌操作台
JP5009408B2 (ja) バイオハザード対策用安全キャビネット
KR102503823B1 (ko) 음압 컨테이너
KR102344963B1 (ko)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분리 검진이 가능한 선별진료소
CN217503903U (zh) 核酸采样服务站
KR20210128043A (ko) 글로브 박스
KR102464658B1 (ko) 듀얼타입 워크스루 검체 채취 장치
KR102335025B1 (ko) 비대면 클리닉과 비대면 클리닉을 위한 글로브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