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2932B1 - 완구체 - Google Patents

완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2932B1
KR102532932B1 KR1020210003354A KR20210003354A KR102532932B1 KR 102532932 B1 KR102532932 B1 KR 102532932B1 KR 1020210003354 A KR1020210003354 A KR 1020210003354A KR 20210003354 A KR20210003354 A KR 20210003354A KR 102532932 B1 KR102532932 B1 KR 102532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ain body
toy
model toy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3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1395A (ko
Inventor
김선일
이사오 고쿠분
Original Assignee
대원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3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2932B1/ko
Publication of KR20220101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1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03Convertible toys, e.g. robots convertible into rockets or vehicles convertible into pla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comprising magnetic interaction means, e.g. holding together by magnetic at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7/00Toy figures led or propelled by the user
    • A63H7/02Toy figures led or propelled by the user by pushing or drawing
    • A63H7/04Toy figures led or propelled by the user by pushing or drawing moving together with a toy vehicle or together with wheels rolling on the ground, i.e. driven by vehicle or wheel movement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체는 모형 완구; 상기 모형 완구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커버; 및 상기 커버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에 걸림되어 결합된 제1 상태와,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로부터 걸림 해제되고 상기 모형 완구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상기 모형 완구와 결합되는 제2 상태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가 되도록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모형 완구가 배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구성되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완구체{TOY ASSEMBLY}
본 개시는 완구체에 관한 것이다.
유아 또는 어린이의 놀이 및 지능 발달을 위한 완구체가 알려져 있다. 완구체는 유아 또는 어린이의 창작성과 상상력을 자극하여 두뇌 활동, 지능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통상적인 완구체는 형상 및/또는 결합 구조가 단순하다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시중의 완구체는 형상 및/또는 결합 구조가 단순할 수 있다. 완구체의 형상 및/또는 결합 구조가 단순할 경우, 유아 또는 어린이의 흥미가 쉽게 떨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다양한 형상 및 결합 구조를 통해 사용자에게 차별적이고 창의적인 경험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완구체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복수의 구성 요소를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완구체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변형될 수 있는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완구체를 제공한다.
본 개시는 실시예로서 완구체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완구체는 모형 완구; 상기 모형 완구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커버; 및 상기 커버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에 걸림되어 결합된 제1 상태와,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로부터 걸림 해제되고 상기 모형 완구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상기 모형 완구와 결합되는 제2 상태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가 되도록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모형 완구가 배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구성되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2 상태가 되도록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모형 완구가 배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커버를 상측 방향으로도 이동시키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본체의 일 부분이 상기 모형 완구의 일 부분에 소정 거리 이내로 가까워질 때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모형 완구가 배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가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모형 완구가 배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로부터 걸림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상태에서 폴딩되어 상기 본체와 일체로서 외관을 형성하는 제1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모형 완구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신장되는 제2 형태를 가지도록 변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이동부를 잠금 및 잠금 해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잠금부로부터 잠금되었을 때의 제1 회전 위치와 상기 잠금부로부터 잠금 해제되었을 때의 제2 회전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는 상기 본체의 상기 일 부분이 상기 모형 완구의 상기 일 부분에 소정 거리 이내로 가까워질 때 상기 이동부를 잠금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이동부가 상기 잠금부로부터 잠금 해제되었을 때 상기 이동부를 상기 제1 회전 위치에서 상기 제2 회전 위치로 변위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부의 일 단부에 위치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본체에서 상기 이동부의 상기 일 단부의 위치는 상기 본체의 상기 일 부분으로 편향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1 회전 위치일 때보다 상기 제2 회전 위치일 때 상기 이동부의 타 단부가 상기 본체의 저면으로부터 더 멀어지며 상기 본체의 상기 일 부분과 더 가까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의 타 단부 및 상기 커버 중 어느 하나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의 타 단부 및 상기 커버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의 상기 일 부분이 상기 모형 완구에 소정 거리 이내로 가까워질 때, 상기 돌기가 상기 홈에 삽입된 채 상기 제1 형태에서 상기 제2 형태로 변형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상기 일 부분과 상기 모형 완구의 상기 일 부분의 접촉이 해제될 때, 상기 돌기를 상기 홈으로부터 이탈시키며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상기 일 부분 및 상기 모형 완구의 상기 일 부분 중 어느 하나에는 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상기 일 부분 및 상기 모형 완구의 상기 일 부분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해 견인되는 자력 대응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형 완구는 공룡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본체는 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와 상기 본체는 일체로서 자동차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모형 완구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갑옷 형상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다양한 형상 및 분리 구조를 통해 차별적이고 창의적인 경험을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본 개시의 실시예의 복수의 구성 요소를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할 때, 사용자의 두뇌가 자극되고 지능이 발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간단한 조작으로 변형 가능한 구성 요소를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체가 제1 상태일 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완구체의 일 측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체가 제2 상태일 때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완구체의 일 측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체가 제1 상태일 때 본체의 이동부, 저면부 및 잠금부를 도 1의 라인 S-S'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체가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될 때 이동부의 움직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 측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체가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될 때 커버의 변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서 본체가 나머지 구성 요소와 분리되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에서 본체가 나머지 구성 요소와 분리되었을 때의 일 측면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나 이들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해당 구성 "만으로 구성되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구성 외에 다른 구성을 포함할 가능성을 배제하는 폐쇄형 용어(closed-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상측", "상" 등의 방향지시어는 도 2를 참조하여, 본체(300)를 기준으로 커버(200)가 위치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하측", "하" 등의 방향지시어는 이와 반대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전방"은 도 2를 참조하여, 본체(300)를 기준으로 모형 완구(100)가 위치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은 이와 반대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면들에서 상술한 상측 방향은 "U"로, 하측 방향은 "D"로, 전방 방향은 "F"로, 후방 방향은 "R"로서 예시적으로 도시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개시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기준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상측 및 하측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체(1)가 제1 상태일 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완구체(1)의 일 측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체(1)는 모형 완구(10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형 완구(100)는 독립적으로 조작될 수 있다. 모형 완구(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 부분(101), 다리 부분(102), 꼬리 부분(103) 및 몸통 부분(104)을 포함하는 공룡 형상일 수 있다. 다만, 모형 완구(100)의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공룡 형상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체(1)는 모형 완구(100)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커버(200) 및 커버(200)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본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200)는 본체(300)의 상부에서 본체(300)와 결합될 수 있다. 커버(200)와 본체(300)는 결합되어 일체로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300)와 커버(200)는 결합되어 일체로서 자동차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300)는 자동차 형상의 일 부분을 형성하고, 커버(200)는 자동차 형상의 다른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300)가 자동차 형상의 일 부분을 형성할 때, 본체(300)는 복수 개의 바퀴(301)를 포함할 수 있다.
완구체(1)는 제1 상태와 제2 상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완구체(1)는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될 수 있다. 완구체(1)가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완구체(1)의 제1 상태는 커버(200)가 본체(300)에 걸림되어 결합된 상태로서, 도 1 및 도 2와 같이 도시될 수 있다. 완구체(1)의 제2 상태는 커버(200)가 본체(300)로부터 걸림 해제되고 모형 완구(100)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모형 완구(100)와 결합되는 상태로서, 도 3 및 도 4와 같이 도시될 수 있다. 다만, 완구체(1)의 제1 및 제2 상태에 따른 형상, 배치 및 크기 등은 일 예시로서 도면에 도시될 뿐, 도시된 바에 제한되지 않고 형상, 배치 및 크기 등은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완구체(1)의 제1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체(1)는 제1 상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상태는 커버(200)가 본체(300)에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커버(200)는 폴딩된 제1 형태로 본체(300)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200)는 본체(300)에 걸림되어 결합될 수 있다. 커버(200)는 본체(300)의 걸림부(302)에 의해 본체(300)에 걸림되어 결합될 수 있다. 커버(200)는 본체(300)의 걸림부(302)에 의해 폴딩된 제1 형태로 유지될 수 있다. 걸림부(302)는 커버(200)의 일부와 접촉함으로써 커버(200)를 폴딩된 형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커버(200)는 폴딩된 제1 형태로서 본체(300)와 일체로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200)가 본체(300)에 걸림되어 결합된 제1 상태일 때, 모형 완구(100)는 나머지 구성 요소(커버(200) 및 본체(3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완구체(1)가 제1 상태일 때 커버(200) 및 본체(300)는 모형 완구(100)와 분리되어 별도로 조작될 수 있다. 완구체(1)가 제1 상태일 때 모형 완구(100)는 커버(200) 및 본체(300)와 분리되어 별도로 조작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상태에서 본체(300)의 일 부분(305)과 모형 완구(100)의 일 부분(105)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본체(300)를 모형 완구(100)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모형 완구(100)를 본체(300)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바퀴(301)의 회전을 통해 본체(300)를 모형 완구(100) 방향으로 이동시켜, 본체(300)의 일 부분(305)과 모형 완구(100)의 일 부분(105)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300)의 일 부분(305)은 본체(300)의 일 측 말단 부분일 수 있으며, 모형 완구(100)의 일 부분(105)은 본체(300)의 이동에 따라 본체(300)의 일 부분(305)과 접촉 가능한 모형 완구(100)의 일 측 말단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방향을 참조하여 모형 완구(100)와 본체(300)의 이동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는 제1 상태에서 모형 완구(100)를 본체(300)의 전방(F)에 위치시킬 수 있다. 모형 완구(100)와 본체(300)는 모두 지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본체(3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본체(300)의 일 부분(305)과 모형 완구(100)의 일 부분(105)이 가까워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300)의 일 부분(305)은 본체(300)의 전방 측 말단 부분일 수 있으며, 모형 완구(100)의 일 부분(105)은 모형 완구(100)의 후방(R) 측 말단 부분일 수 있다. 사용자는 본체(300)의 일 부분(305)과 모형 완구(100)의 일 부분(105)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본체(3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본체(300)의 바퀴(301)를 이용하여 본체(3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본체(300)의 일 부분(305)과 모형 완구(100)의 일 부분(105)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모형 완구(100)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본체(300)의 일 부분(305)과 모형 완구(100)의 일 부분(105)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300)와 모형 완구(100)가 지면에 있을 때, 본체(300)의 일 부분(305)과 모형 완구(100)의 일 부분(105)은 서로 대응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본체(300)의 일 부분(305)과 모형 완구(100)의 일 부분(105)은 본체(300)의 이동에 의해(또는 모형 완구(100)의 이동에 의해) 소정 거리 이내로 가까워질 수 있다. 본체(300)의 일 부분(305) 및 모형 완구(100)의 일 부분(105) 중 어느 하나에는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본체(300) 일 부분 및 모형 완구(100)의 일 부분(105) 중 다른 하나에는 자석의 자력에 의해 견인되는 자력 대응부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자력 대응부는 자석에 의해 견인될 수 있는 금속 종류이거나 다른 자석일 수 있다.
본체(300)의 이동에 의해(또는 모형 완구(100)의 이동에 의해) 본체(300)의 일 부분(305)과 모형 완구(100)의 일 부분(105)이 소정 거리 이내로 가까워지면 자석과 자력 대응부는 서로 상호작용할 수 있다. 본체(300)의 일 부분(305)과 모형 완구(100)의 일 부분(105)이 소정 거리 이내로 가까워지면 자석은 자력 대응부를 견인할 수 있다. 자석이 자력 대응부를 견인함에 따라 본체(300)의 일 부분(305)과 모형 완구(100)의 일 부분(105)은 서로 가까워지고 접촉할 수 있다.
본체(300)의 일 부분(305)과 모형 완구(100)의 일 부분(105)이 소정 거리 이내로 가까워지면 완구체(1)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가 될 수 있다. 본체(300)의 일 부분(305)과 모형 완구(100)의 일 부분(105)이 소정 거리 이내로 가까워져 상호작용할 때, 완구체(1)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가 될 수 있다. 소정 거리는 미리 정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완구체(1)의 제2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체(1)가 제2 상태일 때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완구체(1)의 일 측면도이다.
본체(300)는,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가 되도록 커버(200)를 본체(300)에 대해 모형 완구(100)가 배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구성되는 이동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상태가 되도록 이동부(310)가 커버(200)를 본체(300)에 대해 모형 완구(100)가 배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이동부(310)는 커버(200)를 상측(U) 방향으로도 이동시키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이동부(310)는 커버(200)를 본체(300)에 대해 모형 완구(100)가 배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커버(200)를 상측 방향으로도 이동시키게 구성될 수 있다. 이동부(310)는 커버(200)와 연결된 채 커버(200)를 이동시키게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방향을 참조하여 이동부(310)의 동작을 예시로서 설명하면, 모형 완구(100)가 본체(300)의 전방(F)에 위치할 때, 이동부(310)는 커버(2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부(310)가 커버(2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때, 이동부(310)는 커버(200)를 상측 방향으로도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이동부(310)는 커버(2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커버(200)를 상측 방향으로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부(310)가 커버(200)를 본체(300)에 대해 모형 완구(100)가 배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커버(200)에 대한 본체(300)의 걸림부(302)의 고정이 풀릴 수 있다.
커버(200)를 폴딩된 형태(도 1 및 도 2 참조)로 유지시키는 걸림부(302)의 고정이 풀림에 따라 커버(200)는 본체(300)로부터 걸림 해제될 수 있다. 커버(200)에 대한 걸림부(302)의 걸림이 해제됨에 따라 커버(200)는 제1 형태에서 변형될 수 있다. 커버(200)는 제1 형태로부터 제2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완구체(1)가 제2 상태일 때, 커버(200)는 제2 형태일 수 있다. 제2 형태는 커버(200)가 모형 완구(100)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형태일 수 있다. 커버(200)가 제2 형태일 때, 커버(200)는 모형 완구(100)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신장될 수 있다. 커버(200)가 제2 형태일 때, 커버(200)는 모형 완구(100)의 상측에서 모형 완구(10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커버(200)가 제2 형태일 때 커버(200)는 모형 완구(100)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모형 완구(100)와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커버(200)와 모형 완구(100)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접촉한 채로 유지될 수 있다. 커버(200)가 제2 형태일 때, 커버(200)는 이동부(310)와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200)가 제2 형태일 때, 커버(200)와 본체(300)와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커버(200)는 모형 완구(10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갑옷 형상일 수 있으나, 커버(20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커버(200)는 모형 완구(100)의 일 부분을 감싸는 제1 커버 부분(201)과, 모형 완구(100)의 다른 부분을 감싸는 제2 커버 부분(202)과, 모형 완구(100)의 또 다른 부분을 감싸는 제3 커버 부분(203)과, 모형 완구(100)의 또 다른 부분을 감싸는 제4 커버 부분(204)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200)가 제2 형태일 때, 제1 커버 부분(201), 제2 커버 부분(202), 제3 커버 부분(203) 및 제4 커버 부분(204)은 서로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펼쳐지도록 연결될 수 있다.
모형 완구(100)가 머리 부분(101), 다리 부분(102), 꼬리 부분(103) 및 몸통 부분(104)을 포함하는 공룡 형상일 때(도 2 참조), 제1 커버 부분(201)은 모형 완구(100)의 머리 부분(101)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을 수 있고, 제2 커버 부분(202)은 모형 완구(100)의 다리 부분(102)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을 수 있고, 제3 커버 부분(203) 부분은 모형 완구(100)의 꼬리 부분(103)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을 수 있고, 제4 커버 부분(204)은 모형 완구(100)의 몸통 부분(104)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을 수 있다. 모형 완구(100)의 꼬리 부분(103)의 적어도 일부는 제3 커버 부분(203)에 삽입되며 제3 커버 부분(203)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제1 커버 부분(201)은 모형 완구(100)의 머리 부분(101)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2 커버 부분(202)은 모형 완구(100)의 다리 부분(102)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3 커버 부분(203)은 모형 완구(100)의 꼬리 부분(103)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4 커버 부분(204)은 모형 완구(100)의 몸통 부분(104)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커버(200)의 형상 및 크기는 모형 완구(100)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상술한 형상 및 크기는 예시에 불과하다.
본체(300)는 휀더(320)를 포함할 수 있다. 휀더(320)는 휀더(320)의 일 단에 형성된 축(미도시)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동부(310)가 커버(200)를 본체(300)에 대해 모형 완구(100)가 배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휀더(320)는 휀더(320)의 일 단에 형성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휀더(320)가 회전함에 따라 본체(300)의 저면부(304)와 휀더(320)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이동부(310)가 커버(200)를 이동시키는 메커니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체가 제1 상태일 때 본체(300)의 이동부(310), 저면부(304) 및 잠금부(3020)를 도 1의 라인 S-S'를 따라 상하 방향(U-D)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본체(300)는 이동부(310)를 잠금 및 잠금 해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잠금부(3020)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부(3020)는 본체(300)의 일 부분(305)이 모형 완구(100)의 일 부분(105)에 소정 거리 이내로 가까워지면 이동부(310)를 잠금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잠금부(3020)의 일부는 본체(300)의 저면부(304)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잠금부(3020)의 다른 일부는 본체(300)의 저면부(304)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잠금부(3020)의 다른 일부는 이동부(310)에 형성된 수용부(311)에 수용될 수 있다.
잠금부(3020)는 수용부(311) 내부에 수용된 채 소정 거리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잠금부(3020)가 이동하는 방향은 저면부(304)가 연장되는 방향일 수 있다. 잠금부(3020)가 이동하는 방향은 상하 방향을 가로지르는 횡방향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잠금부(3020)가 이동하는 상기 횡방향은 전후 방향(F-R)이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잠금부(3020)는 횡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동함으로써 이동부(310)와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될 수 있다. 잠금부(3020)가 횡방향 중 일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동함으로써 잠금부(3020)와 이동부(310)가 접촉하면 이동부(310)는 잠금부(3020)에 의해 잠금될 수 있다. 잠금부(3020)가 횡방향 중 타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동함으로써 잠금부(3020)와 이동부(310)의 접촉이 해제되면 이동부(310)는 잠금부(3020)로부터 잠금 해제될 수 있다.
도 5에서 실선은 이동부(310)와 잠금부(3020)의 접촉이 해제되었을 때를 도시한다. 도 5에서 점선은 이동부(310)와 잠금부(3020)가 접촉할 때를 도시한다. 잠금부(3020)가 이동부(310)와 접촉하기 위해 이동하는 일 방향과, 이동부(310)와 접촉 해제하기 위해 이동하는 타 방향은 횡방향 중 서로 반대되는 방향일 수 있다. 이하, 잠금부(3020)가 이동부(310)와 접촉하기 위해 이동하는 상기 일 방향은 후방 방향이고, 이동부(310)와 접촉 해제하기 위해 이동하는 타 방향은 전방 방향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동부(310)의 수용부(311) 내부에는 단턱부(3111)가 형성될 수 있다. 잠금부(3020)에는 단턱부(3111)에 대응되는 대응턱부(30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310)의 단턱부(3111)는 잠금부(3020)의 대응턱부(3021)와 접촉할 수 있다. 대응턱부(3021)가 단턱부(3111)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단턱부(3111)와 대응턱부(3021)는 접촉할 수 있다. 대응턱부(3021)가 단턱부(3111)와 가까워지는 방향은 상기 횡방향 중 상기 일 방향일 수 있다. 이동부(310)의 단턱부(3111)와 잠금부(3020)의 대응턱부(3021)가 접촉할 때 이동부(310)는 잠금부(3020)에 의해 잠금될 수 있다. 이동부(310)와 잠금부(3020) 각각에 형성될 수 있는 구조는 딘턱부 및 대응턱부(3021)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동부(310)의 단턱부(3111)는 잠금부(3020)의 대응턱부(3021)와 접촉 해제될 수 있다. 잠금부(3020)의 대응턱부(3021)가 수용부(311) 내부에서 단턱부(31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단턱부(3111)와 대응턱부(3021)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대응턱부(3021)가 단턱부(31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은 상기 횡방향 중 상기 타 방향일 수 있다. 이동부(310)의 단턱부(3111)와 잠금부(3020)의 대응턱부(3021)의 접촉이 해제될 때 이동부(310)는 잠금부(3020)로부터 잠금 해제될 수 있다.
본체(300)와 모형 완구(100)의 근접에 따른 이동부(310)에 대한 잠금부(3020)의 잠금 해제 메커니즘을 알아보면, 본체(300)의 일 부분(305)이 모형 완구(100)의 일 부분(105)에 소정 거리 이내로 가까워지면, 대응턱부(3021)는 단턱부(3111)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대응턱부(3021)가 단턱부(3111)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동부(310)는 잠금부(3020)로부터 잠금 해제될 수 있다. 이동부(310)에 대한 잠금부(3020)의 잠금이 해제되면, 이동부(310)는 회전할 수 있다. 이동부(310)는 회전함으로써 커버(200)를 본체(300)에 대해 모형 완구(100)가 배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체(1)가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될 때 이동부(310)의 움직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 측면도이다.
이동부(310)는 이동부(310)의 일 단부에 위치하는 회전축(X-X')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회전축(X-X')은 이동부(310)의 일 단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X-X')은 전후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축(X-X')은 상하 방향(U-D) 및 전후 방향(F-R)을 가로지르는 방향이다.
본 개시에서 언급되는 회전축들(X-X', Y-Y', Z-Z')은 가상의 축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장치의 실제 부품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다. 회전축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와 같이 회전축 상에 배치되는 샤프트(shaft)가 구비될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두 개의 부품 중 어느 하나에서 대응하는 회전축을 따라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서 상기 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는 홈이 형성됨으로써, 회전축의 기능이 제공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부(310)는 이동부(310)의 일 단부에 형성된 샤프트(312)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샤프트(312)는 회전축(X-X')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본체(300)에서 이동부(310)의 일 단부의 위치는 본체(300)의 일 부분(305)으로 편향된 위치일 수 있다. 즉, 이동부(310)의 일 단부는, 본체(300)의 일 부분(305) 및 본체(300)의 일 부분(305)의 반대측인 본체(300)의 타 부분 중 본체(300)의 일 부분(305)에 더 가까운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동부(310)의 일 단부는 전방 단부일 수 있다.
이동부(310)는 회전축(X-X')을 중심으로 제1 회전 위치와 제2 회전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도 6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이동부(310)를 참고하여, 이동부(310)가 제1 회전 위치일 때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완구체(1)가 제1 상태일 때 이동부(310)는 제1 회전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동부(310)는 제1 회전 위치에서 본체(300)의 저면부(304)와 인접할 수 있다. 이동부(310)는 제1 회전 위치에서 잠금부(3020)로부터 잠금된 상태, 또는 잠금부(3020)로부터 잠금 해제된 후 제2 회전 위치로 회전하기 전 상태일 수 있다(도 5 참조).
도 6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이동부(310)를 참고하여, 이동부(310)가 제2 회전 위치일 때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완구체(1)가 제2 상태일 때 이동부(310)는 제2 회전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동부(310)는 제2 회전 위치에서 잠금부(3020)의 잠금이 해제되어 이동부(310)가 제1 회전 위치로부터 소정 각도 회전한 위치일 수 있다(도 5 참조).
이동부(310)가 제2 회전 위치에 위치할 때, 이동부(310)의 일 단부의 반대측 단부인 이동부(310)의 타 단부는 이동부(310)가 제1 회전 위치일 때보다 본체(300)의 저면부(304)로부터 더 멀어질 수 있다. 제1 회전 위치로부터 제2 회전 위치로 이동부(310)가 회전축(X-X')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방향은 이동부(310)의 타 단부가 본체(300)의 저면부(30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일 수 있다. 이동부(310)가 제2 회전 위치일 때, 이동부(310)의 타 단부는 이동부(310)가 제1 회전 위치일 때보다 본체(300)의 일 부분(305)과 더 가까울 수 있다. 이동부(310)는 제2 회전 위치에서 본체(300)의 걸림부(302)와 접촉할 수 있다. 이동부(310)가 제1 회전 위치에서 제2 회전 위치로 회전함에 따라, 이동부(310)의 타 단부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잠금부(3020)의 잠금 해제에 따른 이동부(310)의 회전을 살펴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300)의 일 부분(305)이 모형 완구(100)의 일 부분(105)에 소정 거리 이내로 가까워지면, 이동부(310)에 대한 잠금부(3020)의 잠금이 해제되고, 이동부(310)는 제1 회전 위치로부터 제2 회전 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본체(300)는 이동부(310)가 잠금부(3020)로부터 잠금 해제되었을 때 이동부(310)를 제1 회전 위치에서 제2 회전 위치로 회전시키는 탄성 부재(3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303)는 이동부(310)의 회전축(X-X')이 가로지르는 일 단부에 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303)는 이동부(310)가 제1 회전 위치에서 제2 회전 위치로 회전하도록 이동부(31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 부재(303)는 예를 들어, 판 스프링 또는 토션 스프링과 같은 스프링의 일 종류일 수 있으나, 이동부(31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한 탄성 부재(303)의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동부(310)는 제1 회전 위치로부터 회전하여 제2 회전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다. 이동부(310)는 걸림부(302)와 접촉함으로써 제2 회전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다. 이동부(310)가 제1 회전 위치에서 제2 회전 위치로 회전할 때, 커버(200)를 본체(300)에 대해 모형 완구(100)가 배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동부(310)는 커버(200)를 상측 방향으로도 이동시킬 수 있다.
커버(200)는 이동부(310)에 의해 모형 완구(100)가 배치된 방향으로 이동하며 본체(300)에 대해 걸림 해제되어 변형될 수 있다. 이동부(310)가 잠금 해제될 때, 커버(200)는 본체(300)의 걸림부(302)로부터 걸림 해제될 수 있다. 커버(200)는 이동부(310)에 의해 모형 완구(100)가 배치된 방향으로 이동하며 제1 형태로부터 제2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동부(310)의 타 단부 및 커버(200) 중 어느 하나에는 홈(315)이 형성되고, 이동부(310)의 타 단부 및 커버(200)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홈(315)에 삽입되는 돌기(21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부(310)의 타 단부에는 홈(315)이 형성되고, 커버(200)에는 홈(315)에 삽입되는 돌기(210)가 형성된다. 이와는 달리, 커버(200)에 홈(315)이 형성되고, 이동부(310)의 타 단부에 홈(315)이 삽입되는 돌기(210)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돌기(210)가 홈(315)에 삽입된 채 이동부(310)는 제1 회전 위치로부터 제2 회전 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돌기(210)가 홈(315)에 삽입된 채 커버(200)는 제1 형태에서 제2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커버(200)가 이동부(310)에 의해 모형 완구(100)가 배치된 방향으로 이동할 때, 커버(200)부의 제1 형태로부터 제2 형태로의 변형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체(1)가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될 때 커버(200)의 변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커버(200)에 대한 본체(300)의 걸림이 해제될 때 커버(200)는 별도의 가압 없이 폴딩된 제1 형태(도 7의 (a) 참조)에서 신장된 제2 형태(도 7의 (c) 참조)로 변형될 수 있다. 완구체(1)가 제1 상태일 때, 커버(200)는 폴딩되어 본체(300)와 일체로서 외관을 형성하는 제1 형태일 수 있다. 이동부(310)가 제1 회전 위치와 제2 회전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할 때(도 6 참조), 커버(200)는 제1 형태와 제2 형태 사이의 중간 형태((도 7의 (b) 참조)일 수 있다.
도 6과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커버(200)가 제1 형태에서 상기 중간 형태로 변형될 때를 살펴보면, 제2 커버 부분(202), 제3 커버 부분(203) 및 제4 커버 부분(204)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축(Y-Y')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축(Y-Y')은 전후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축(Y-Y')은 전후 방향(F-R) 및 상하 방향(U-D)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제1 형태로부터 제2 형태로 변형될 때 제4 커버 부분(204)은 회전축(Y-Y')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4 커버 부분(204)은 제2 커버 부분(202)에 회전축(Y-Y')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4 커버 부분(204)은 제3 커버 부분(203)에 회전축(Y-Y')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회전축(Y-Y')은 제4 커버 부분(204)의 일 단부를 가로지를 수 있다. 제4 커버 부분(204)의 타 단부가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제4 커버 부분(204)이 회전축(Y-Y')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커버 부분(204)의 타 단부는 상측으로 회전 반경을 그리며 전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커버(200)가 제1 형태에서 상기 중간 형태로 변형될 때, 제1 커버 부분(201)은 회전축(Z-Z')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축(Z-Z') 및 회전축(Y-Y')은 전후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회전축(Z-Z')은 회전축(Y-Y')에 평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축(Z-Z')은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회전축(Z-Z')은 제1 커버 부분(201)의 일 단부를 가로지를 수 있다. 회전축(Z-Z')은 제4 커버 부분(204)의 타 단부를 가로지를 수 있다. 제1 커버 부분(201)의 타 단부가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제1 커버 부분(201)이 회전축(Z-Z')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4 커버 부분(204)의 타 단부와 제1 커버 부분(201)의 일 단부는 연결될 수 있다. 제4 커버 부분(204)과 제1 커버 부분(201)은 회전축(Z-Z')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1 커버 부분(201)의 타 단부가 제4 커버 부분(204)의 일 단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제1 커버 부분(201)은 제4 커버 부분(204)에 대해 회전축(Z-Z')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200)가 모형 완구(100)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신장될 수 있다.
제4 커버 부분(204)의 일 단부와 제3 커버 부분(203)의 일 단부는 연결될 수 있다. 제4 커버 부분(204)과 제1 커버 부분(201)은 회전축(Y-Y')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3 커버 부분(203)의 타 단부가 제4 커버 부분(204)의 타 단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제3 커버 부분(203)은 제4 커버 부분(204)에 대해 회전축(Y-Y')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커버(200)는 상기 중간 형태에서 제2 형태로 변형되며 모형 완구(100)와 가까워질 수 있다. 커버(200)는 제2 형태로 변형되어 모형 완구(100)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커버(200)는 모형 완구(100)의 적어도 일부를 덮으며 모형 완구(100)와 결합할 수 있다.
도 8은 도 3에서 본체(300)가 나머지 구성 요소와 분리되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에서 본체(300)가 나머지 구성 요소와 분리되었을 때의 일 측면도이다.
완구체(1)가 제2 상태일 때, 본체(300)는 나머지 구성 요소인 커버(200) 및 모형 완구(100)와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200)는 모형 완구(100)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모형 완구(100)와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본체(300)의 일 부분(305)과 모형 완구(100)의 일 부분(105)의 접촉이 해제됨에 따라 본체(300)는 커버(200) 및 모형 완구(100)와 분리될 수 있다.
본체(300)의 일 부분(305)과 모형 완구(100)의 일 부분(105)의 접촉이 해제될 때, 본체(300)와 모형 완구(100)는 분리될 수 있다. 본체(300)의 일 부분(305)과 모형 완구(100)의 일 부분(105)의 접촉이 해제될 때, 커버(200)는 돌기(210)를 홈(315)으로부터 이탈시키며 본체(3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체(300)가 모형 완구(100) 및 커버(200)로부터 분리되면 커버(200)의 돌기(210)는 본체(300)의 홈(315)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본체(30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거나, 모형 완구(1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모형 완구(100)가 본체(3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이동할 때, 본체(300)의 일 부분(305)과 모형 완구(100)의 일 부분(105)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모형 완구(100)가 본체(3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이동할 때, 돌기(210)는 홈(315)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이동하여 이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체(1)는 간단한 조작을 통해 다이나믹한 변형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완구체(1)의 다양한 형상 및 분리 구조를 통해 차별적이고 창의적인 경험을 할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0: 모형 완구, 101: 머리 부분, 102: 다리 부분, 103: 꼬리 부분, 105: 모형 완구의 일 부분, 200: 커버, 201: 제1 커버 부분, 202: 제2 커버 부분, 203: 제3 커버 부분, 210: 돌기, 300: 본체, 301: 바퀴, 302: 걸림부, 303: 탄성 부재, 304: 저면부, 305: 본체의 일 부분, 310: 이동부, 311: 수용부, 3111: 단턱부, 3020: 잠금부, 3021: 대응턱부, 312: 샤프트, 315: 홈, 320: 휀더

Claims (17)

  1. 공룡 형상을 갖는 모형 완구;
    상기 모형 완구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커버; 및
    상기 커버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본체를 포함하는 완구체이며,
    상기 완구체는, 상기 모형 완구가 지면 상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서 전방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본체가 상기 지면 상에서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후방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에 걸림되어 결합된 제1 상태와, 상기 모형 완구와 상기 본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지면 상에서 이동되어 상기 모형 완구의 후방 측 말단 부분과 상기 본체의 전방 측 말단 부분이 서로 가까워지고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로부터 걸림 해제되고 상기 모형 완구의 적어도 상부를 덮도록 상기 모형 완구와 결합되는 제2 상태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모형 완구의 상기 후방 측 말단 부분과 상기 본체의 상기 전방 측 말단 부분이 상기 지면 상에서 소정 거리 이내로 가까워질 때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가 되도록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모형 완구가 배치된 상기 전방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구성되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상태에서 폴딩되어 상기 본체와 일체로서 외관을 형성하는 제1 형태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모형 완구의 상기 적어도 상부를 덮도록 신장되는 제2 형태를 가지도록 변형 가능하고, 상기 이동부에 의해 상기 모형 완구가 배치된 상기 전방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1 형태로부터 상기 제2 형태로 변형되게 구성되고,
    상기 완구체의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제2 형태로 변형되어 상기 모형 완구의 상기 적어도 상부를 덮도록 상기 모형 완구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상기 이동부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완구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가 되도록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모형 완구가 배치된 상기 전방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커버를 상측 방향으로도 이동시키게 구성되는,
    완구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가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모형 완구가 배치된 상기 전방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로부터 걸림 해제되는,
    완구체.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이동부를 잠금 및 잠금 해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잠금부로부터 잠금되었을 때의 제1 회전 위치와 상기 잠금부로부터 잠금 해제되었을 때의 제2 회전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완구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본체의 상기 전방 측 말단 부분이 상기 모형 완구의 상기 후방 측 말단 부분에 상기 소정 거리 이내로 가까워질 때 상기 이동부를 잠금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완구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이동부가 상기 잠금부로부터 잠금 해제되었을 때 상기 이동부를 상기 제1 회전 위치에서 상기 제2 회전 위치로 변위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완구체.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부의 일 단부에 위치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본체에서 상기 이동부의 상기 일 단부의 위치는 상기 본체의 상기 전방 측 말단 부분으로 편향된,
    완구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1 회전 위치일 때보다 상기 제2 회전 위치일 때 상기 이동부의 타 단부가 상기 본체의 저면으로부터 더 멀어지며 상기 본체의 상기 전방 측 말단 부분과 더 가까워지도록 구성되는,
    완구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의 타 단부 및 상기 커버 중 어느 하나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의 타 단부 및 상기 커버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완구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의 상기 전방 측 말단 부분이 상기 모형 완구에 상기 소정 거리 이내로 가까워질 때, 상기 돌기가 상기 홈에 삽입된 채 상기 제1 형태에서 상기 제2 형태로 변형되게 구성되는,
    완구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상기 전방 측 말단 부분과 상기 모형 완구의 상기 후방 측 말단 부분의 접촉이 해제될 때, 상기 돌기를 상기 홈으로부터 이탈시키며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완구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기 전방 측 말단 부분 및 상기 모형 완구의 상기 후방 측 말단 부분 중 어느 하나에는 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상기 전방 측 말단 부분 및 상기 모형 완구의 상기 후방 측 말단 부분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해 견인되는 자력 대응부가 구비되는,
    완구체.
  15. 삭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와 상기 본체는 일체로서 자동차 형상을 형성하는,
    완구체.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모형 완구의 상기 적어도 상부를 감싸는 갑옷 형상인,
    완구체.
KR1020210003354A 2021-01-11 2021-01-11 완구체 KR102532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354A KR102532932B1 (ko) 2021-01-11 2021-01-11 완구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354A KR102532932B1 (ko) 2021-01-11 2021-01-11 완구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395A KR20220101395A (ko) 2022-07-19
KR102532932B1 true KR102532932B1 (ko) 2023-05-17

Family

ID=82606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3354A KR102532932B1 (ko) 2021-01-11 2021-01-11 완구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293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988B1 (ko) * 2017-06-21 2018-07-24 주식회사 영실업 변신 자동차 완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35591A (en) * 1983-02-28 1984-09-05 Asahi Tsusho Kk Transformable toy vehicle/toy building
JPS60253481A (ja) * 1984-05-30 1985-12-14 株式会社 タカラ 形態変化玩具
JPH0626987U (ja) * 1991-06-05 1994-04-12 株式会社タカラ 合体変形玩具
JP2899783B2 (ja) * 1994-03-14 1999-06-02 株式会社タカラ 形態変化玩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988B1 (ko) * 2017-06-21 2018-07-24 주식회사 영실업 변신 자동차 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395A (ko) 202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07533A (en) Insect simulating mobile toy having flappable wings
CN205964991U (zh) 可变形玩具
KR102164206B1 (ko) 부품을 발사가능한 완구
US4264080A (en) Toy vehicle for children
CN214597219U (zh) 可变形玩具和包括可变形玩具的玩具套件
CN205759671U (zh) 一种可连续翻转的变形玩具车
US11679336B2 (en) Toy set
KR102532932B1 (ko) 완구체
WO2022007605A1 (zh) 儿童安全座椅及可移除式侧撞保护块
CN207941195U (zh) 翻转组合玩具
CN210191235U (zh) 一种儿童安全座椅与底座的连接机构
WO2022042144A1 (zh) 滑移玩具变形车
CN110198770B (zh) 可变形玩具车
CN205391733U (zh) 一种磁性夹持变形玩具车
CN212395837U (zh) 一种充气玩具
WO2019019317A1 (zh) 一种可自动翻转变形的玩具车
CN209475576U (zh) 可组合变形的玩具套装
JPH0617498Y2 (ja) 変形走行玩具
JP2005224253A (ja) 形態変形玩具
CN110251962A (zh) 可组合变形的玩具套装
CN218129934U (zh) 一种能够合拢成汽车的异形机器人玩具
JPH0160271B2 (ko)
CN217311905U (zh) 一种变形机器人
CN220834113U (zh) 一种能快速变形的汽车玩具
CN217489725U (zh) 一种由可变形成数字的单体玩具拼装的合体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