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2514B1 - 쓴메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쓴메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2514B1
KR102532514B1 KR1020220121787A KR20220121787A KR102532514B1 KR 102532514 B1 KR102532514 B1 KR 102532514B1 KR 1020220121787 A KR1020220121787 A KR 1020220121787A KR 20220121787 A KR20220121787 A KR 20220121787A KR 102532514 B1 KR102532514 B1 KR 102532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ter buckwheat
extract
hangover
composition
a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1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희
김경대
이기연
장은하
함진관
Original Assignee
강원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도 filed Critical 강원도
Priority to KR1020220121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25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5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48Ultrasonic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쓴메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 활성 및 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ehyde dehydrogenase, ALDH) 활성을 촉진시켜 인체에 부작용을 일으키는 아세트알데히드의 생성을 억제시킴으로써 숙취해소에 효과가 우수하며, 독성이 없으므로 식품의 형태로 섭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쓴메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ameliorating hangover comprising Fagopyrum tataricum extract}
본 발명은 쓴메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알코올은 적당히 섭취하면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고, 스트레스를 해소시킬 수 있는 수단이 되지만, 지나치게 과량 섭취하게 되면 갈증, 전신권태, 피로감, 기억상실, 복부팽만감, 소화불량, 구토, 설사 및 비타민 결핍 등의 숙취 현상으로 고생하게 된다. 또한, 알코올은 혈액을 팽창시키고 미세한 혈관파열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과다한 알코올 섭취는 얼굴과 몸에 가는 실핏줄을 나타나게 한다. 또한 세포조직에서도 수분을 제거시키므로 중성, 지성피부로 각화현상이 생기고 거칠어 진다. 이외에도 보통 과음한 다음날이면 얼굴이나 눈이 붓고 뾰루지도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은 숙취현상은 간세포와 체내에 축적된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섭취된 에탄올은 소화관을 통해 흡수되어 섭취 후 20-120분 사이에 최고 혈중 농도에 도달한다. 흡수된 에탄올은 간을 비롯한 모든 장기들에서 대사되는데 일부는 호흡, 소변 또는 땀으로 배설된다.
간내로 들어온 에탄올은 세포질내의 알코올탈수소효소(ADH: alcohol dehydrogenase)와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H: aldehyde dehydrogenase)의 작용에 의해 아세테이트로 전환되고, 이는 순화계를 통해 간세포 밖으로 배설된다. 즉, 알코올은 간에서 알코올탈수소효소(ADH)와 조효소인 NAD+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로 산화되며, 아세트알데히드는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H)와 NAD+에 의해서 아세트산으로 분해된다.
또한 사이토크롬 P-450 type 2E1 (CYP2E1)과 카탈라아제에 의해서도 아세트알데히드로 산화되는데, 아세트알데히드와 아세트산은 지질 과산화반응 등을 통해 세포독성, 두통이나 복통, 삼투압 변화에 따른 탈수현상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아세트알데히드는 독성물질로서, 심장에서 대동맥을 거쳐 몸 구석구석으로 보내진다. 거미줄처럼 촘촘하게 짜여진 혈관을 거쳐 인체 곳곳에 있는 근육이나 지방조직으로 스며들게 된다. 이 과정에서 아세트알데히드는 혈관에 충격을 주는데, 적당히 술을 마셨을 경우에는 이런 충격이 혈관을 확장시켜 피의 흐름을 도와주지만, 흡수한 알코올 양이 간의 능력을 초과해 미처 분해되지 못한 알코올과 아세트알데히드가 혈액을 타고 전신을 돌게 되면 인체의 여러 장기에 치명적인 해를 끼치게 된다.
특히, 상기 아세트알데히드는 미주신경, 교감신경 내의 구심성 신경섬유를 자극해 구토, 어지럼증, 동공확대, 심장박동 및 가쁜 호흡 등 알코올 영향(숙취)을 유발하게 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상기 아세트알데히드는 매우 독성이 강해 동물 실험의 경우 암을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숙취해소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81995호(배합식품에 의한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제와 그 제조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64151호(헛개나무로부터 분리된 간독성 및 숙취해소 활성을 갖는 저급 알코올 불용성 추출 분획 및 다당체 물질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등이 숙취에 효능이 있다고 보고되어 있긴 하지만, 이들은 음주에 의해 유발되는 다양한 변화들 중에서 일부 항목에만 효과가 있거나 미미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천연물을 이용하여 이러한 아세트알데히드의 생성을 억제시킴으로써 숙취해소를 수행할 수 있는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8199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6415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쓴메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쓴메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쓴메밀(Fagopyrum tataric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쓴메밀 추출물은 쓴메밀 껍질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쓴메밀 추출물은 쓴메밀과 용매를 혼합한 후 20 내지 50 kHz의 진동수 및 50 내지 700 W의 파워의 초음파기로 2 내지 9시간 동안 처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처리 시 추출온도는 50 내지 90 ℃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은 쓴메밀(Fagopyrum tataric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캡슐, 정제, 분말, 과립, 액상, 환,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및 바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혈액 내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의 분해를 촉진시키며, 알코올 탈수소효소(ADH) 및 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H)의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숙취를 해소 또는 개선시킬 수 있으며, 독성이 없으므로 건강기능식품의 형태로 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쓴메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쓴메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상기 쓴메밀(Fagopyrum tataricum)은 메밀의 하나로서, 일반 메밀보다 더 쓴맛이 강하여 쓴메밀이라고도 불리며, 루틴의 함량이 많다.
본 발명에서 쓴메밀로는 쓴메밀 껍질, 통 쓴메밀 또는 쓴메밀 쌀을 들 수 있지만, 우수한 숙취해소 효과면에서 쓴메밀 껍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쓴메밀 추출물은 추출용매 하에서 초음파처리를 통해 추출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쓴메밀과 추출용매가 1 : 5 내지 25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10 내지 20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20 내지 50 kHz,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 kHz의 진동수 및 50 내지 700 W,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400 W 파워의 초음파기로 50 내지 90 ℃,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0 ℃하에서 2 내지 9시간,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시간 동안 처리된 것이다.
쓴메밀을 추출 시 초음파로 추출하는 것이 아니라 용매로 추출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이 소량 추출되어 숙취해소 효과가 낮을 수 있으며, 초고압으로 추출하는 경우에는 독성을 유발시킬 수 있고, 숙취해소 효과가 낮거나 효과가 없을 수 있다.
상기 쓴메밀과 추출용매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추출물에 쓴메밀의 유효성분이 적은 양으로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초음파기의 진동수 및 파워가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쓴메밀의 유효성분이 적은 양으로 추출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유효성분 외에 다른 물질도 다량으로 추출되어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쓴메밀의 유효성분이 적은 양으로 추출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열에 의한 변형으로 인해 기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들 수 있다. 상기 저급알코올로는 20 내지 99 부피%의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프로판올 수용액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우수한 숙취해소 효과를 위하여 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쓴메밀 추출물은 건강기능식품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쓴메밀을 언급하면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얻은 조추출물뿐만 아니라 쓴메밀 추출물의 가공물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쓴메밀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이란 쓴메밀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예로, 상기 쓴메밀 추출물은 10 내지 1500 ㎍/㎖,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 ㎍/㎖의 농도로 사용된다. 쓴메밀 추출물은 천연물로서 과량 사용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쓴메밀 추출물의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쓴메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건강기능식품이란, 쓴메밀 추출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이와 같은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의 쓴메밀 추출물의 첨가량은, 대상인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따라 달라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식품 본래의 맛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하면 되며, 대상 식품에 대하여 통상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20 중량%의 범위이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일상식사에서 부족할 수 있는 영양소를 보충하거나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 원료를 보충할 목적으로 캡슐, 정제, 분말, 과립, 액상, 환,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및 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어 1회 섭취가 용이하게 제조 및 가동된 것이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제형에 따라 포도당, 구연산, 액상 올리고당, 옥수수 시럽(corn syrup), 대두 레시틴, 버터, 식물성 경화류, 탈지우유, 설탕, 마가린, 식염, 전분, 밀가루, 물엿, 맥아당, 중조 및 당 에스테르 등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간 손상을 방지할 목적으로 지구자(헛개나무) 및/또는 실리마린(밀크씨슬) 등을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제조예. 쓴메밀 껍질 및 쓴메밀 쌀 제조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에서 재배한 쓴메밀(대관3-3호)을 15% 이하 수분이 되도록 건조시킨 후 석발기에 넣고 돌, 검불 등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탈피기로 탈피시키고 밀도에 따라 분리하는 선별기에 투입하여 쓴메밀 껍질과 쓴메밀 쌀을 구분하였다. 상기 쓴메밀 껍질과 쓴메밀 쌀은 분쇄하여 분말로 이용한다.
실시예 1. 1차 추출물 + 2차 추출물
상기 제조예에서 수득된 쓴메밀 껍질 분말과 물을 1 : 10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60 ℃ 하에서 초음파(40 kHz, 250 W)를 이용하여 4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추출물을 13,0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회수하여 1차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상등액을 제외한 침전물과 물을 1 : 10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60 ℃ 하에서 초음파(40 kHz, 250 W)를 이용하여 4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추출물을 13,0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2차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1차 추출물 및 2차 추출물을 혼합하여 여과함으로써 쓴메밀 껍질 초음파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1차 추출물
쓴메밀 껍질 분말과 물을 1 : 10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60 ℃ 하에서 초음파(40 kHz, 250 W)를 이용하여 4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추출물을 13,0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회수하여 쓴메밀 껍질 초음파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통 쓴메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쓴메밀 껍질 대신 통 쓴메밀을 사용하여 통 쓴메밀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 쓴메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쓴메밀 껍질 대신 상기 제조예에서 수득된 쓴메밀 쌀을 이용하여 쓴메밀 쌀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용매 열수 추출물
쓴메밀 껍질 분말과 물을 1 : 10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90 ℃ 하에서 4시간 동안 환류시켜 쓴메밀 껍질 열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시험예>
대조군 1로는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시험예 1. 알코올 탈수소효소(ADH) 활성 및 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H) 활성 측정
1-1. 알코올 탈수소효소(ADH) 활성: 시험관에 증류수, 완충액(0.1M-phosphate buffer, pH 7.0), NAD+(6.25 mg/mL buffer soln.), ADH(3 mg/mL buffer soln.) 및 추출물을 30 ℃에서 5분 동안 Preincubation시킨 후 에탄올을 투입하여 30 ℃에서 5분 동안 반응을 수행한 다음 반응을 종료시키고 아이스워터로 냉각시킨 다음 3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알코올 탈수소효소 활성(%)을 측정하였다.
ADH효소는 알코올에서 수소를 이탈시켜 알데하이드 또는 케톤을 생성하는 반응을 가역적으로 촉매하는 효소로서, 흡수된 대부분의 알코올 분해 최종단계에 관여하며, ADH효소의 활성이 높을수록 알코올 분해능이 우수한 것으로 인정될 수 있다.
저해활성 측정 조건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활성(%) = {[(T-CC) - (T-TC)/C-CC]} x 100
T : 시료구의 흡광도, TC : 시료 대조구의 흡광도
C : 효소 반응구의 흡광도, CC : 시료 및 효소 반응 대도구의 흡광도
구분 T TC C CC
증류수 (ml) 0.5 0.5 0.5 0.6
완충액 0.5 0.6 0.6 0.6
NAD 0.15 0.15 0.15 0.15
ADH 0.1 - 0.1 -
추출물 0.10 0.10 - -
에탄올(99.9%) 0.15 0.15 0.15 0.15
1-2. 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H) 활성: 시험관에 증류수, 완충액(1M-Tris-HCl, pH 8.0), 3 M-KCl, 0.33 M-2-Mercaptoethanol, NAD+(20 mM, 6.75 mg/ml in buffer), ALDH(2.5 mg/mL buffer soln.) 및 추출물을 25 ℃에서 5분 동안 반응시킨 후 아세트알데히드(1 M)를 투입하여 25 ℃에서 5분 동안 반응을 수행한 다음 반응을 종료시키고 아이스워터로 냉각시킨 다음 3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표 3]의 활성(%)은 대조구에 대한 상대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활성 측정 조건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으며,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2]
활성(%) = {[(T-CC) - (T-TC)/C-CC]} x 100
T : 시료구의 흡광도, TC : 시료 대조구의 흡광도
C : 효소 반응구의 흡광도, CC : 시료 및 효소 반응 대도구의 흡광도
구분 T TC C CC
증류수 (ml) 0.5 0.5 0.5 0.55
완충액 0.5 0.55 0.55 0.55
3M-KCl 0.1 0.1 0.1 0.1
0.33M-2-머캅토에탄올 0.1 0.1 0.1 0.1
NAD 0.1 0.1 0.1 0.1
ALDH 0.05 - 0.05 -
추출물 0.05 0.05 - -
아세트알데히드 0.1 0.1 0.1 0.1
구분 대조군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ADH활성
(%)
25 ug/ml 100 103.15±0.43b 101.94±0.38a 102.35±0.37a 101.85±0.54a 100.64±0.53a
50 ug/ml 101.21±0.71a 100.69±0.29a 101.00±0.52a 100.96±0.66a 100.01±0.48a
100 ug/ml 108.45±0.24c 104.48±0.61b 106.85±0.49b 105.65±0.10b 102.02±0.61a
ALDH
활성(%)
25 ug/ml 100 110.18±0.52c 105.15±0.43b 107.28±0.60b 106.72±0.46b 101.56±0.45a
50 ug/ml 113.72±0.49c 106.02±0.53b 108.22±0.72b 107.63±0.82b 102.11±0.81a
100 ug/ml 111.83±0.28c 107.48±0.72b 108.68±0.32b 107.54±0.61b 103.68±0.59a
위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은 비교예 1에 비하여 알코올 분해효소인 알코올 탈수소효소(ADH)의 활성을 증가시키므로 알코올 분해를 촉진시키고, 독성을 해소하기 위한 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H)의 활성을 증가시키므로 숙취해소 또는 개선에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1이 다른 군에 비하여 알코올 탈수소효소(ADH)의 활성 및 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H)의 활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혈중 알코올 농도 및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측정
수컷 6주령(n=5) SD 랫트를 14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첫 번째 그룹은 아무것도 투여하지 않은 정상군(control)이고, 두 번째 그룹은 20%(v/v) 에탄올을 경구투여한 후 물을 투여한 에탄올 투여군(alcohol+vehicle)이며, 세 번째 내지 열 네번째 그룹은 추출물을 각각 투여한 투여군이다. 상기 실험군들은 에탄올을 경구투여하고 30분 후 물 또는 추출물(실시예 및 비교예)을 농도별로 경구투여한 다음 90분이 경과하면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마우스의 복대정맥에서 채혈한 혈액을 30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획득한 혈청에 함유된 에탄올의 농도를 에탄올 측정키트(abcam, ab65343)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아세트알데히드는 알데히드(aldehyde) 정량(quantification) 어세이 키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분 정상군 에탄올 투여군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혈중 알코올 농도
(%)
50 ug/ml 0.12±0.05 0.23±0.02c 0.17±0.01b 0.21±0.02b 0.20±0.03b 0.21±0.02b 0.23±0.02c
100 ug/ml 0.08±0.02a 0.14±0.03a 0.11±0.01a 0.13±0.01a 0.20±0.01b
250 ug/ml 0.17±0.01b 0.20±0.02b 0.19±0.01b 0.20±0.01b 0.23±0.02c
아세트알데히드 농도(mM) 50 ug/ml 0.41±0.07 0.63±0.04c 0.24±0.04a 0.40±0.06b 0.35±0.06b 0.39±0.03b 0.60±0.09c
100 ug/ml 0.11±0.03a 0.49±0.07b 0.29±0.04a 0.41±0.06b 0.55±0.10c
250 ug/ml 0.42±0.06a 0.50±0.09b 0.49±0.05b 0.49±0.02b 0.62±0.06c
위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은 비교예 1에 비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 및 아세트알데히드 농도가 낮으므로 숙취해소 또는 개선에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1이 다른 군에 비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 및 아세트알데히드 농도가 낮으며, 실시예 1의 100 ug/ml 농도가 더욱 혈중 알코올 농도 및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낮추며 이는 정상군에 비해서도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숙취해소 관련 관능 검사
평소 음주가 잦은(소주 반병 내지 2병 정도 평균 주 3회 음주) 27∼48세 남녀 40명을 대상으로 음주 전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혼합물을 섭취하도록 한 후 숙취 및 피로 개선 효과를 측정하였다.
숙취 개선 효과 21
두통 개선 11
피로 개선 3
아침기상 용이 4
효과 없음 1
위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추출물을 섭취 시 임상대상자 중 50% 이상이 숙취 개선 효능을 인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두통이 개선되고 아침에 일어나기가 쉽다는 의견이 다수인 것을 확인하였다.
하기에 본 발명의 분말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혼합물 분말 20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액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혼합물 분말 4 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g으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과립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혼합물 분말 1,0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과립제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과립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4. 기능성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혼합물 분말 1,000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 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7)

  1. 쓴메밀(Fagopyrum tataricum) 껍질 초음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로서,
    상기 쓴메밀 껍질 초음파 추출물은 쓴메밀 껍질과 물을 혼합한 후 50 내지 90 ℃하에서 20 내지 50 kHz의 진동수 및 50 내지 700 W의 파워의 초음파기로 2 내지 9시간 동안 처리하여 수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쓴메밀(Fagopyrum tataricum) 껍질 초음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상기 쓴메밀 껍질 초음파 추출물은 쓴메밀 껍질과 물을 혼합한 후 50 내지 90 ℃하에서 20 내지 50 kHz의 진동수 및 50 내지 700 W의 파워의 초음파기로 2 내지 9시간 동안 처리하여 수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캡슐, 정제, 분말, 과립, 액상, 환,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및 바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
KR1020220121787A 2022-09-26 2022-09-26 쓴메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532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787A KR102532514B1 (ko) 2022-09-26 2022-09-26 쓴메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787A KR102532514B1 (ko) 2022-09-26 2022-09-26 쓴메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2514B1 true KR102532514B1 (ko) 2023-05-17

Family

ID=86547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1787A KR102532514B1 (ko) 2022-09-26 2022-09-26 쓴메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25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4151A (ko) 2001-01-31 2002-08-07 (주)생명의나무 헛개나무로부터 분리된 간독성 및 숙취 해소 활성을 갖는저급알콜 불용성 추출 분획 및 다당체 물질 및 이를함유한 조성물
KR20020081995A (ko) 2001-04-23 2002-10-30 (주)드리고 배합 식품에 의한 숙취 해소 및 간기능 개선제와 그제조방법.
KR20020088243A (ko) * 2001-05-19 2002-11-27 이강만 알코올 탈수소효소를 저해하는 천연물 유래의 숙취억제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4151A (ko) 2001-01-31 2002-08-07 (주)생명의나무 헛개나무로부터 분리된 간독성 및 숙취 해소 활성을 갖는저급알콜 불용성 추출 분획 및 다당체 물질 및 이를함유한 조성물
KR20020081995A (ko) 2001-04-23 2002-10-30 (주)드리고 배합 식품에 의한 숙취 해소 및 간기능 개선제와 그제조방법.
KR20020088243A (ko) * 2001-05-19 2002-11-27 이강만 알코올 탈수소효소를 저해하는 천연물 유래의 숙취억제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정재연.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메밀껍질로부터 루틴 추출조건 최적화.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년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24548B (zh) 枸杞复合保健酵素及其制备方法
WO2006132042A1 (ja) 食薬栄養末と油脂
CN107279296A (zh) 一种适合糖尿病的配方食品及其制备方法
US20020018818A1 (en) Sugar decomposition inhibitor, digestive enzyme activity inhibitor, insulin secretion controller, and healthy food and beverage
KR101896024B1 (ko)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활용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H06237735A (ja) 血糖降下作用を有する食品
JP4494033B2 (ja) 血清コレステロール低下剤、飲食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100663A (ja) タマネギ発酵物を含有する酵素阻害剤
JP4368569B2 (ja) 腎機能低下の予防剤及び改善剤
JP2005097222A (ja) タマネギ発酵物
KR102532514B1 (ko) 쓴메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437419B1 (ko) 숙취해소용 조성물
CN114680339A (zh) 一种改善肌肉衰减延缓衰老的营养补充剂及其应用
CN112120083B (zh) 一种白果香橼露及其制备方法
CN115702654A (zh) 辅助降血糖的中老年调制羊奶粉及制备方法
JP4435882B2 (ja) アルコール吸収抑制組成物
JP2009034017A (ja) ダイエット食品
KR102444884B1 (ko) 비타민 b1 및 b2를 고함량으로 함유하는 맥주효모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886171B (zh) 一种复合型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658403B1 (ko) 천연 당 시럽 및 그 제조 방법
JP2005247747A (ja) リパーゼ阻害剤及びリパーゼ阻害飲食物
CN118285433A (en) Coconut beverag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6605918A (zh) 一种含有γ-氨基丁酸的咀嚼片及其制备方法
KR20160058475A (ko) 비타민 b군과 타우린을 함유한 빙과류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16439375A (zh) 一种改良陈米增鲜增香米饭稻米营养强化添加剂及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