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2512B1 - 내용물 용기 - Google Patents

내용물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2512B1
KR102532512B1 KR1020220149856A KR20220149856A KR102532512B1 KR 102532512 B1 KR102532512 B1 KR 102532512B1 KR 1020220149856 A KR1020220149856 A KR 1020220149856A KR 20220149856 A KR20220149856 A KR 20220149856A KR 102532512 B1 KR102532512 B1 KR 102532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ackaging sheet
contents
holder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9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성
정정모
최영민
계성봉
한상근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3/00424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191527A1/ko
Priority to TW112112449A priority patent/TW202404505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6Refill sticks; Moulding devices for producing 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9/00Sacks or like containers made of fabrics; Flexible containers of open-work, e.g. net-lik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6Opening arrangements or device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containers
    • B65D3/261Opening arrangements or device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containers the opening arrangement being located in the container side wall
    • B65D3/266Opening arrangements or device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containers the opening arrangement being located in the container side wall forming a helical line of weaknes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25Details of lipstick or like ca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01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the container being a bag
    • B65D2231/004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the container being a bag comprising rods or tubes provided with radial openings, ribs or the like, e.g. dip-tubes, spiral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내용물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용기는, 내측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갖도록 포장 시트가 권취되어 형성되는 용기부;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용기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용기부를 지지하는 홀더부; 및 상기 수용 공간에서 유체 상태로 충전 및 경화되는 고상의 조성물인 상기 내용물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용물 용기{CONTAINER}
본 발명은 내용물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립스틱, 립밤, 아이브로우, 아이라이너 등의 스틱형 내용물 용기는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자의 입술, 피부 등에 직접 도포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스틱형 내용물 용기는 사용할수록 화장료 조성물의 크기/부피가 작아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화장료 조성물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화장료 조성물을 승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용기를 사용하거나, 또는 목재 등의 재질로 화장료 조성물을 감싼 연필형으로 제조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화장료 조성물을 승강시킬 수 있는 용기의 경우, 화장료 조성물이 수용되는 내용기 및 내용기를 감싸는 외용기로 이루어지고, 내용기 및 외용기의 내측에 회전 또는 슬라이드 방식 등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승강시킬 수 있는 회전부재 또는 슬라이딩부재 등을 구비하여야 하는 등, 다수의 부품이 필요하여 용기의 구성이 복잡하고, 제작 비용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화장료 조성물을 승강시킬 수 있는 용기의 경우, 주로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의 재질로 구성되기 때문에 폐기 시에 분리 폐기가 어려우며, 환경오염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내용물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내용물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용기는, 내측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갖도록 포장 시트가 권취되어 형성되는 용기부;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용기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용기부를 지지하는 홀더부; 및 상기 수용 공간에서 유체 상태로 충전 및 경화되는 고상의 조성물인 상기 내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부의 전체 영역이 상기 용기부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부의 적어도 일부는,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부피가 줄어든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용기부의 내측으로 삽입된 후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부의 적어도 일부는 연질 또는 경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부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포장 시트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절개하는 절취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취실은 절곡 영역을 중심으로 일측이 상기 포장 시트의 일 면에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포장 시트의 타 면에 배치되되, 양 단부가 동일한 방향에 위치하면서,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취실의 일 단부는 상기 포장 시트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절취실의 타 단부는 상기 용기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홀더부와 상기 포장 시트에 의해 끼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취실에서는 서로 이격하는 복수의 파단부가 형성되어, 상기 절취실의 절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부는, 상기 포장 시트에서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절취선 및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절취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부의 길이는 4 내지 13 cm이고, 상기 용기부의 내경 지름은 4 내지 22 mm이며, 상기 용기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홀더부의 길이는 1 내지 5 c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부의 길이는 6 내지 9 cm이고, 상기 용기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홀더부의 길이는 상기 용기부의 상기 길이의 1/5 내지 1/2 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홀더부의 단부는 둘레를 따라 1 내지 3R의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 시트의 재질은 종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 시트와 상기 홀더부는 동일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용물은 20 내지 150 dyne/cm2의 경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용물은 경화 시의 수축률이 20% 미만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용기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속마개 및 상기 용기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용물을 감싸는 포장 시트가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추가적인 도구 없이도, 내용물을 감싸고 있는 포장 시트를 순차적으로 절취하는 방법으로 내용물을 필요한 만큼 노출시키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휴대성 및 사용편의성이 높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홀더부를 통해 내용물을 밀폐하고, 용기부를 지지할 수 있다. 특히, 홀더부를 통한 파지가 용이하고, 홀더부가 절취실을 고정함으로써 절취실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용기부의 하단까지 내용물이 충전되더라도, 파지/지지가 어려워 실질적으로 내용물을 사용할 수 없게 되어, 내용물이 낭비될 수 밖에 없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홀더부의 적어도 일부가 용기부의 하단 내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용기부의 하단에는 내용물이 충전되지 않도록 하여, 내용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용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기재되는 편의상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해당 방향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내용물 용기(1000)는, 용기부(100), 홀더부(200) 및 절취실(300)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부(100)는 내용물(C)을 둘러싸면서, 내용물(C)을 외부 오염 등으로부터 보호할 뿐만 아니라, 내용물(C)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내용물(C)은 고상 또는 반고상의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료 조성물은 고상 또는 반고상의 제형을 갖는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미백 에센스, 톤업크림, 자외선 차단액, 선크림, 선밀크, 비비크림, 베이스, 파운데이션, CC크림, 컨실러, 블러셔, 쉐딩, 아이크림, 프라이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은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료 조성물은 멀티밤, 립밤, 립스틱, 선스틱, 파운데이션, 아이새도우, 블러셔, 클렌징, 아이크림, 아이브로우, 아이라이너, 헤어왁스, 헤어컬러, 풋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화장료 조성물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라 다른 제형/종류의 화장료 조성물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내용물(C)에는 화장료 조성물이 아니라, 건강보조용, 의료용 내용물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내용물(C)로 지칭될 수 있다.
용기부(100)는, 내측에 내용물(C)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갖도록 포장 시트(110)가 권취되어 형성될 수 있다. 포장 시트(110)는 겹겹이 층을 이루도록 권취될 수 있다. 권취 상태에서 포장 시트(110)는 내측으로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용물(C)의 적어도 일부는 포장 시트(110)에 의해 둘러싸여 외부로부터 차폐되고, 다른 적어도 일부(특히, 화장료 조성물의 단부)는 외부에 노출되며,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내용물(C) 전체가 포장 시트(110)에 의해 둘러싸여 외부로부터 차폐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포장 시트(110)의 적어도 일부가 절취되어 내용물 용기(1000)로부터 분리되면서, 내용물(C)의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포장 시트(110)가 권취되어 수용 공간이 형성된 이후에, 수용 공간에 유체 상태의 내용물(C)이 충전 및 경화되면서 고상 또는 반고상의 내용물(C)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내용물(C)은 용기부(100)의 수용 공간의 적어도 일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즉, 내용물(C)은 수용 공간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용기부(100)의 상단 및/또는 하단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부(100)의 하단의 공간에는 홀더부(20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용기부(100)의 상단의 공간에는 속마개(도 9의 500 참조)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공간은 내용물(C)의 충전 시에 내용물(C)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 부재(도시되지 않음)로 인하여 형성되는 공간일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용기부(100)의 하단으로 홀더부(20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며, 따라서 용기부(100)의 하단에는 내용물(C)이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종래에는 용기 내의 모든 공간에 내용물이 충전되었는데, 이 경우, 용기 하단의 위치한 화장료는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불편함이 있어 버려지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버려지던 내용물이 위치하던 공간(즉, 용기부(100)의 하단)에 홀더부(20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됨으로써, 내용물(C)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 포장 시트(110)는 종이 재질일 수 있다. 즉, 포장 시트(110)는 종이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장 시트의 재질은 도공지, 미도공지(MFC), 비도공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공지는 코터 등을 통해 도공처리를 한 종이로서, 아트지, 스노우지, 코트지, 경면광택지, 엠보스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미도공지(MFC)는 모조지(백상지) 또는 중질지의 초지공정 중 사이즈프레스에서 1m2당 양면에 10g 전후의 도공처리를 한 종이이고, 비도공지는 도공처리를 하지 않은 종이로서, 모조지(백상지), 중질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가적으로, 포장 시트(110)의 적어도 일면에는 코팅 물질이 도포되어,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코팅은 유광라미네이팅, 무광라미네이팅, UV코팅, 클리어코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포장 시트(110)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lay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이어는 포장 시트(110)의 강도, 내구성, 방수 등을 개선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한 다양한 기능성 물질 등이 포장 시트(110)에 도포됨으로써, 레이어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어는 방수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어는 묻어남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층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레이어는 경도 강화층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레이어는 포장 시트(110)의 전체 영역 또는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권취 상태의 포장 시트(110)에서 적어도 최외측에 해당하는 포장 시트(110)에 레이어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기부(100)는 절취선(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절취선(120)은 포장 시트(110)의 절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포장 시트(110)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절취선(120)을 따라 포장 시트(110)의 적어도 일부가 절취됨으로써 포장 시트(110)에 의해 둘러싸였던 내용물(C)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취선(120)은 포장 시트(110)의 표면에 형성되는 일련의 통공 및/또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일련의 통공 및/또는 홈을 따라 포장 시트(110)의 적어도 일부가 절취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절취선(120)의 형성 방향에 따라 절취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취선(120)은 포장 시트(110)의 폭 방향(즉, 수평 방향) 또는 포장 시트(110)의 권취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포장 시트(110)의 적어도 일부를 권취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절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포장 시트(110)에는 복수의 절취선(120)이 형성될 수 있다. 절취선(120) 간의 간격이 포장 시트(110)의 절취 단위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취선(120) 사이의 간격은 1 내지 5 mm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홀더부(200)는, 내용물 용기(1000)의 일 단부에 구비되어, 용기부(10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기부(10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홀더부(200)는 용기부(100)의 내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삽입되어, 용기부(100)의 빈 공간을 막고, 내용물(C)이 뒤로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홀더부(200)는 용기부(100)를 내측에서 지지할 수 있으며, 특히, 내용물(C)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경질의 홀더부(200)가 용기부(100)의 내측에 구비되기 때문에, 해당 영역을 통해 내용물 용기(1000)를 파지할 수 있다.
특히, 용기부(100)에 내용물(C)을 충전할 경우, 홀더부(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 영역에는 내용물(C)을 충전하지 않게 된다. 즉, 용기부(100)의 단부에는 홀더부(200)의 삽입을 위한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빈 공간의 크기와 홀더부(200)의 크기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더라도, 홀더부(200)를 내용물(C)에 접하도록 삽입한 후, 남는 부분, 즉 용기부(100)의 단부 중 홀더부(200)와 접하는 부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홀더부(200)와 내용물(C)이 밀착하고, 용기부(100)의 단부가 홀더부(200)에 대응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홀더부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도시되지 않음). 포장 시트(110)와의 결합을 견고하기 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 홀더부(200)의 적어도 일부와 용기부(100) 사이에는 접착제 등이 도포될 수 있다. 홀더부(200)와 용기부(100) 간의 결합을 보다 견고히 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에서, 홀더부(200)에는 다양한 재질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홀더부(200)의 특성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부(200)의 적어도 일부는 펄프, 나무, 코르크, 종이,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홀더부(200)의 적어도 일부는 포장 시트(110)와 동일한 재질, 예를 들어, 종이 등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홀더부(200)의 적어도 일부는 연질 또는 경질일 수 있다. 여기서 연질은 외력에 의해 구부러지거나, 압축되는 등 형상 변형되는 성질을 의미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홀더부(200)의 적어도 일부가 연질일 경우, 외력 등에 의해 형상 변형되더라도, 원래의 형상으로 회복을 하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경질은 외력에 저항하여, 형상이 변형되지 않거나, 변형이 정도가 미미한 성질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부(200)는 연질 또는 경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부(200)의 일부는 연질이고, 홀더부(200)의 다른 일부는 경질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홀더부(200)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 재질 또는 신축 가능한 재질(예를 들어, 펄프, 코르크, 종이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홀더부(200)의 적어도 일부는 늘어나고, 구부러지고 및/또는 압축(또는 압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형상 변형되면, 원래 형상으로 회복하기 위한 탄성력(또는 복원력)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부(200)의 적어도 일부가 외력 등에 의해 부피가 줄어든 상태에서 용기부(100)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이후에 줄어든 부피가 원상태로 늘어날 수 있다. 이를 통해 용기부(100)의 내측에 삽입된 홀더부(200)의 적어도 일부가 용기부(100)에 보다 긴밀하게 밀착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용기부(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홀더부(200)(즉, 홀더부)의 단부는 둘레를 따라 소정의 곡률 반경(mm)을 가질 수 있다. 용기부(100) 내측으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홀더부(200)의 단부는 0.1 내지 15R의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부(200)의 단부는 0.1 내지 10R의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부(200)의 단부는 0.1 내지 7R의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부(200)의 단부는 1 내지 3R의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부(200)의 단부는 1.8 내지 2.2R의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용기부(100) 및 홀더부(200)의 하단에는 소정의 코팅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코팅 물질은 용기부(100)의 하단 및 홀더부(200)의 하단을 모두 커버하도록 도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용기부(100)의 하단 및 홀더부(200)의 하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오염이나 파손으로부터 용기부(100)와 홀더부(200)를 보호할 수 있다.
절취실(300)은 포장 시트(110)의 일 영역에 구비되어, 포장 시트(110)의 적어도 일 영역이 절취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취실(300)은 용기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며, 절취실(300)의 적어도 일부는 외부에 노출되고, 다른 적어도 일부는 포장 시트(110)에 의해 둘러싸인 상태에서, 노출된 절취실(300)을 당기거나 내리는 동작을 통해 절취실(300)을 감싸던 포장 시트(110)가 절취실(300)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포장 시트(110)가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절취실(300)에 의해 보다 용이한 절취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절취실(300)에 의해 절취가 이루어지고 나면, 절취된 포장 시트(110)를 중심으로 절취선(120)을 따라 2차 절취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권취되어 서로 중첩되는 포장 시트(110) 중에서 가장 외측에서 위치하는 포장 시트(110)의 내면에 접하도록 절취실(300)이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가장 외측의 포장 시트(110)로부터 2~3번째 포장 시트(110)의 내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절취실(300)은 포장 시트(110)가 권취될 때 함께 적용되어, 포장 시트(110)에 둘러싸이면서 포장 시트(11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권취 고정이 용이하도록 절취실(300)의 적어도 일 영역이 포장 시트(110)에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절취실(300)에는 섬유, 종이 등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절취실(300)에서는 서로 이격하는 복수의 파단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파단부는 절취실(300)의 파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절취실(300)의 적어도 일 영역의 파단 강도(또는 인장 강도)를 다른 적어도 일 영역의 파단 강도와 상이하게 하여 형성될 수 있다. 파단부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파단부를 중심으로 절취실(300)의 일 영역을 다른 영역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불필요한 절취실(300)을 내용물 용기(1000)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단부는 절취실(300)의 표면에 형성되는 홈 및/또는 통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절취실(300)의 적어도 일 영역에 기계적, 열적, 화학적 변형을 가하여, 해당 영역의 파단 강도를 다른 영역과 상이하게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파단부 간의 간격은 절취선(120) 간의 간격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파단부 간의 간격은 절취선(120) 간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단부 간의 간격은 절취선(120) 간의 간격의 N 배일 수 있으며, 여기서 N은 1보다 큰 정수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내용물(C)의 노출을 위해 포장 시트(110)에는 1차 절취 및 2차 절취가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용물 용기(1000)의 길이 방향으로 포장 시트(110)의 적어도 일부가 1차 절취되고, 절취된 포장 시트(110)를 중심으로 절취선(120)을 따라 2차 절취될 수 있다. 1차 절취를 위해 포장 시트(110)에는 길이 방향으로 절취실(300) 및/또는 절취공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포장 시트(110)의 크기(폭 및 길이)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장 시트(110)의 폭은 내용물(C)의 용도, 성질, 단면적, 포장 시트(110)의 권취 횟수, 포장 시트(110)의 두께, 포장 시트(110)의 강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장 시트(110)는 내용물 용기(1000)가 적절한 강도를 유지하면서, 만족할 만한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는 두께를 갖도록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포장 시트(110)의 길이는, 내용물 용기(1000)의 길이, 내용물(C)의 양(또는 길이), 홀더부(200)의 크기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포장 시트(110)의 크기는 가로 4 내지 13 cm X 세로 15 내지 70 cm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장 시트(110)는, 0.1 mm 내지 0.5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장 시트(110)는, 0.1 mm 내지 0.5 mm의 두께를 가지며, 평량이 50 내지 300 g/m2 일 수 이다. 또한, 예를 들어, 포장 시트(110)는 6 내지 8회 권취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포장 시트(110)의 일 영역과 다른 일 영역은 두께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권취 상태의 포장 시트(110)에서 적어도 최외측에 해당하는 포장 시트(110)의 두께가 다른 영역의 포장 시트(110)에 비하여 얇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절취선(120), 절취실(300) 등에 의한 절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용기부(100)의 길이는 4 내지 13 cm일 수 있다. 부가적으로, 용기부(100)의 내경 지름은 4 내지 22 mm이며, 용기부(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홀더부(200)의 길이는 1 내지 5 cm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용기부(100)의 길이는 6 내지 9 cm일 수 있다. 부가적으로, 용기부(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홀더부(200)의 길이는 용기부(100)의 길이의 1/5 내지 1/2 배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내용물 용기(1000)는 내용물(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용물(C)은, 내용물 용기(1000)의 수용 공간에서 유체로 충전 및 경화될 수 있다. 내용물(C)이 화장료 조성물인 경우, 내용물 용기(1000)는 화장품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내용물(C)은 고상의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이때, 화장료 조성물의 경화 시에 수축률은 예를 들어, 20% 미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축률은 0.1 내지 20%, 구체적으로 0.1 내지 15 %, 더 구체적으로는 5 내지 15% 일 수 있다. 즉, 액상의 내용물(C)이 경화되면서 수축하여 용기와 이형이 잘되야 엘리베이팅이 잘되고 제품 품질, 안정도가 좋아지는 기존 기술과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내용물(C)의 수축률이 낮도록 형성하여, (특히, 종이를 재질로 하는) 용기부와의 이형을 방지할 수 있다.
부가적/대안적 실시예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20 내지 150 dyne/cm2의 경도를 가질 수 있다(측정 기준: FUDOH 경도계, 1㎜Φ, 200g, 30㎝/mim, 10㎜Depth). 부가적/대안적으로, 내용물(C)은 45 내지 95도의 융점을 가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되는 내용물 용기(1000)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의 내용물 용기(1000')는 도 1 내지 도 3의 내용물 용기(1000)와 마찬가지로 설명되며,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절취실(300')의 일 단부(310)는 포장 시트(110)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절취실(300')의 타 단부(320)는 용기부(10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절취실(300')의 타 단부(320)가 용기부(100)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홀더부(200)가 용기부(100)와 결합하면서, 절취실(300')의 타 단부(320)가 홀더부(200)와 용기부(100) 사이에서 끼움 고정될 수 있다(도 4의 (b) 참조).
구체적으로, 절취실(300')의 타 단부(320) 중 일 영역은 용기부(100)의 하단과 홀더부(200) 사이에서 끼움 고정되고, 및/또는 절취실(300')의 타 단부(320) 중 다른 일 영역은 용기부(100)의 내면과 홀더부(200) 사이에서 끼움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절취실(300')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절취실(300')을 당기거나 내리는 등의 절취 동작을 수행하더라도, 절취실(300')이 용기부(100)로부터 빠지거나 이탈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되는 내용물 용기(1000')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5의 내용물 용기(1000'')는 도 1 내지 도 3의 내용물 용기(1000)와 마찬가지로 설명되며,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내용물 용기(1000'')에서는, 절취실(300'')의 양 단부(310, 320)가 동일한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취실(300'')의 일 단부(310)와 타 단부(320)가 모두 용기부(100)의 상측에 위치하면서,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절취실(300'')에서 일 단부(310)와 타 단부(320) 사이에는 절곡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절곡 영역은 포장 시트(110)의 하단과 접할 수 있으며, 절곡 영역을 중심으로 일측의 절취실(300'')과 타측의 절취실(300'')은 포장 시트(110)의 서로 다른 영역(예를 들어, 외면, 내면 등)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즉, 절곡 영역이 고리 형상을 이루면서 포장 시트(110)에 걸리게 할 수 있으며, 포장 시트(110)와 절취실(300'') 간의 마찰면적 및 마찰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절취실(300'')이 용기부(1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실시예에 따라, 절곡 영역은 용기부(10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즉, 절취실(300'')의 절곡 영역이 용기부(100)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홀더부(200)가 용기부(100)와 결합하면서, 절취실(300'')이 홀더부(200)와 용기부(100) 사이에서 끼움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끼움 고정은 용기부(100)의 하단과 홀더부(200) 사이 및/또는 용기부(100)의 내면과 홀더부(200) 사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되는 내용물 용기(1000'')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의 내용물 용기 (1000''')는 도 1 내지 도 5의 내용물 용기(1000, 1000', 1000'')와 마찬가지로 설명되며,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내용물 용기(1000''')의 용기부(100')는 포장 시트(110)가 포장 시트(110)의 폭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권취되면서,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때, 내용물(C)은, 용기부(100')의 상단까지 형성되거나, 용기부(10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용기부(100')의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깊이 이상으로만 형성될 수 있다. 즉, 용기부(100')의 상단 내측에 소정의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절취실(300)을 이용하여 용기부(100')에 상단에 위치하는 포장 시트(110)를 절취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5의 내용물 용기(100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서 도시되는 내용물 용기(1000''')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용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절취선(120)은 제 1 절취선(1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절취선(121)은 포장 시트(110)의 폭 방향과 소정의 경사를 이루도록 (즉, 사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포장 시트(110)가 폭 방향을 따라 권취될 경우, 절취선(120)은 용기부(100)의 표면을 따라 나선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절취선(120)은 포장 시트(11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절취선(121)과 포장 시트(1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절취선(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절취선(121)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포장 시트(110)를 폭 방향으로 절취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제 2 절취선(122)은 적어도 하나(특히, 하나)로 구성되어, 포장 시트(110)를 길이 방향으로 절취하도록 할 수 있다. 절취실(300)이 제 2 절취선(122)을 따라 위치할 수 있으며, 절취실(300)이 제 2 절취선(122)을 따라 포장 시트(110)를 용이하게 절취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의 (c)를 참조하면, 포장 시트(1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취공(130)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포장 시트(110)를 권취할 경우, 절취공(130)은 외측(특히, 최외측)에 위치하는 포장 시트(110)에 형성될 수 있다. 절취실(300)이 절취공(130)을 따라 위치하도록 하여, 절취실(300)이 절취공(130)을 따라 포장 시트(110)를 절취하도록 할 수 있다. 절취공(130)은 절취실(300)에 의한 절개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절취실(300)에 의한 절취 단위를 한정할 수 있다.
도 7의 (d)를 참조하면, 절취선(120)은 포장 시트(11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절취선(121)과 포장 시트(1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절취선(1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장 시트(1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취공(130)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절취공(130)은 제 2 절취선(122)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절취실(300) 또한 제 2 절취선(122) 및 절취공(130)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서 도시되는 용기부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8의 내용물 용기(1000'''')는 도 1 내지 도 7의 내용물 용기(1000, 1000', 1000'', 1000''')와 마찬가지로 설명되며,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내용물 용기(1000'''')는 용기부(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마개(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개(400)는, 내용물 용기(1000'''')의 상단에 구비되어, 내용물(C)을 외부에 차폐함으로써, 내용물(C)의 오염,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마개(400)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개(400)의 적어도 일부는 펄프, 나무, 코르크, 종이, 플라스틱 등을 재질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장 시트(110)의 보호를 위해 마개(400)의 적어도 일부는 고무 등의 연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마개(400)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마개(400)는 홀더부(200)와 동일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부(200)와 마개(400)는 나무를 재질로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마개(400)와 홀더부(200)는 종이를 재질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포장 시트(110) 또한 종이를 재질로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에서 도시되는 내용물 용기(1000'''')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9의 내용물 용기(1000''''')는 도 1 내지 도 8의 내용물 용기(1000, 1000', 1000'', 1000''', 1000'''')와 마찬가지로 설명되며,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내용물 용기(1000''''')는 용기부(100)에 결합하는 속마개(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속마개(500)는 적어도 일 영역이 용기부(10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용기부(100)의 상단에 빈 공간이 형성될 경우, 속마개(500)가 용기부(100)와 결합하면서, 내용물(C)을 보호함과 동시에 빈 공간을 지지하여 용기부(100)를 보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속마개(500)를 제거하고, 포장 시트(110)를 절취한 후 내용물(C)을 사용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도시되지는 않으나, 실시예에 따라 내용물 용기(1000)는 마개(도 8의 400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속마개(500)는 내용물(C)의 사용 전에 내용물(C) 및 용기부(100)의 보호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후 속마개(500)가 제거되면, 마개(도 8의 400 참조)가 용기부(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면서 내용물(C)을 보호할 수 있다.
도 9에서 도시되는 내용물 용기(1000''''')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일 실시예의 일부분들이 서로 조합되어 장치의 동작이 운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용기부 110 포장 시트
120 절취선 130 절취공
200 홀더부 300 절취실
400 마개 500 속마개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내용물 용기

Claims (18)

  1. 내용물 용기로서,
    내측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갖도록 포장 시트가 권취되어 형성되는 용기부; 및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용기부의 내측으로 삽입 및 유지되어 상기 용기부를 지지하는 홀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의 상기 일 영역은 상기 용기부에 의해 둘러싸이면서, 상기 용기부의 내면에 밀착하는,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의 전체 영역이 상기 용기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의 적어도 일부는,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부피가 줄어든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용기부의 내측으로 삽입된 후 늘어나는,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의 적어도 일부는 연질 또는 경질인,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포장 시트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절개하는 절취실을 더 포함하는,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실은 절곡 영역을 중심으로 일측이 상기 포장 시트의 일 면에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포장 시트의 타 면에 배치되되, 양 단부가 동일한 방향에 위치하면서, 외부에 노출되는, 용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실의 일 단부는 상기 포장 시트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절취실의 타 단부는 상기 용기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홀더부와 상기 포장 시트에 의해 끼움 고정되는, 용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실에서는 서로 이격하는 복수의 파단부가 형성되어, 상기 절취실의 절개를 용이하게 하는, 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상기 포장 시트에서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절취선 및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절취선을 더 포함하는, 용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의 길이는 4 내지 13 cm이고, 상기 용기부의 내경 지름은 4 내지 22 mm이며, 상기 용기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홀더부의 길이는 1 내지 5 cm인, 용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의 길이는 6 내지 9 cm이고, 상기 용기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홀더부의 길이는 상기 용기부의 상기 길이의 1/5 내지 1/2 배인, 용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홀더부의 단부는 둘레를 따라 1 내지 3R의 곡률 반경을 갖는, 용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시트의 재질은 종이인, 용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시트와 상기 홀더부는 동일한 재질을 갖는, 용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용기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속마개 및 상기 용기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마개를 더 포함하는, 용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에서 유체 상태로 충전 및 경화되는 고상의 조성물인 상기 내용물을 더 포함하는, 용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은 경화 시에 수축률이 20% 미만인, 용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은 20 내지 150 dyne/cm2의 경도를 갖는, 용기.
KR1020220149856A 2022-04-01 2022-11-10 내용물 용기 KR102532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4242 WO2023191527A1 (ko) 2022-04-01 2023-03-30 내용물 용기
TW112112449A TW202404505A (zh) 2022-04-01 2023-03-31 內容物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41308 2022-04-01
KR1020220041308 2022-04-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2512B1 true KR102532512B1 (ko) 2023-05-16

Family

ID=865458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9856A KR102532512B1 (ko) 2022-04-01 2022-11-10 내용물 용기
KR1020220149840A KR102532511B1 (ko) 2022-04-01 2022-11-10 내용물 용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9840A KR102532511B1 (ko) 2022-04-01 2022-11-10 내용물 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2532512B1 (ko)
TW (1) TW202404505A (ko)
WO (1) WO2023191527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1097B2 (ja) * 1990-08-11 1998-04-15 三菱鉛筆株式会社 紙巻棒状化粧料の製造方法
JP2002017441A (ja) * 2000-07-04 2002-01-22 Tokiwa Corp 絵柄や文字が現れる紙巻鉛筆型化粧品および紙巻鉛筆型筆記具
KR101775947B1 (ko) * 2015-12-10 2017-09-07 (주)아모레퍼시픽 위생적 사용이 가능한 스틱타입 아이리무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249U (ko) * 1993-06-09 1995-01-04 정수기
GB0000305D0 (en) * 2000-01-08 2000-03-01 Sugarman Steven Writing instrument
KR20180026829A (ko) * 2016-09-05 2018-03-14 서홍식 화장연필 및 화장연필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1097B2 (ja) * 1990-08-11 1998-04-15 三菱鉛筆株式会社 紙巻棒状化粧料の製造方法
JP2002017441A (ja) * 2000-07-04 2002-01-22 Tokiwa Corp 絵柄や文字が現れる紙巻鉛筆型化粧品および紙巻鉛筆型筆記具
KR101775947B1 (ko) * 2015-12-10 2017-09-07 (주)아모레퍼시픽 위생적 사용이 가능한 스틱타입 아이리무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404505A (zh) 2024-02-01
KR102532511B1 (ko) 2023-05-16
WO2023191527A1 (ko)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9302C2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для системы расфасовки продукта, в частности косметического средства
CN106998879A (zh) 具备含浸液态内容物的吸收构件的化妆品容器
KR102532512B1 (ko) 내용물 용기
KR102324556B1 (ko) 화장품 용기
US10799008B2 (en) Low profile medicament container
USRE38016E1 (en) Application unit for a lipstick-type product
KR102019460B1 (ko) 화장 도구
KR102060781B1 (ko)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
KR102617927B1 (ko) 내용물 용기
KR101204360B1 (ko) 일회용 입술화장도구 및 그 입술화장방법
KR102019732B1 (ko) 아이브로우 스탬프
KR20220050262A (ko) 화장도구가 내장된 화장품 용기
KR102185917B1 (ko) 이종 내용물이 수용되고 이중 도포수단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WO2005016438A1 (en) Retractable packaging
JP2021106672A (ja) 塗布具付容器
KR200493058Y1 (ko) 내용물 용기
KR102317747B1 (ko) 화장품 용기
KR102203009B1 (ko) 화장품 용기
KR200482036Y1 (ko) 리무버캡슐이 내장된 면봉을 구비한 리무버 세트
KR102405252B1 (ko) 밀폐 부재
WO2012045992A1 (en) Cosmetics applicator
KR102067149B1 (ko) 도포부가 다양한 방향으로 꺾이는 아이라인 펜슬
JP4557635B2 (ja) 多数のアプリケータ及びアプリケータ間にのびるスペーサーを備えた支持体含む包装装置、該包装装置を用いたトリートメント方法並び該包装装置の製造方法
KR20190139401A (ko) 듀얼 콤팩트 용기
KR102242345B1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