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958B1 -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모터사이클 플랫폼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모터사이클 플랫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958B1
KR102531958B1 KR1020220144705A KR20220144705A KR102531958B1 KR 102531958 B1 KR102531958 B1 KR 102531958B1 KR 1020220144705 A KR1020220144705 A KR 1020220144705A KR 20220144705 A KR20220144705 A KR 20220144705A KR 102531958 B1 KR102531958 B1 KR 102531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data
motorcycle
inform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4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동희
나인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클릭앤라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클릭앤라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클릭앤라이드
Priority to KR1020220144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9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6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type of event, e.g. in case of fire phone the fire service, in case of medical emergency phone the ambul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모터사이클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빅데이터 기반의 모터사이클 여가문화 콘텐츠 제공을 통해 이륜차 문화산업 발전을 도모하고, 인공지능 기반의 자동 응급 호출 기능을 통해 외상율이 높은 라이더들의 인명사고 최소화에 기여하며, 법규를 준수하는 라이더 참여형 콘텐츠를 제공하여 네거티브 한 모터사이클 인식을 개선하는데 있다.
일례로, 휴대통신단말에 설치되고, 네비게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네비게이션으로부터 모터사이클의 주행데이터 및 주행경로에 따른 교통정보를 각각 수집하고, 상기 주행데이터와 상기 교통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별 안전주행점수를 계산하고, 상기 주행데이터와 휴대통신단말의 자세센싱데이터를 실시간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주행데이터와 상기 자세센싱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주행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 별 주행특징을 분석하고, 미리 정의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상기 주행특징 분석결과에 따른 사용자 별 라이딩 큐레이션 정보를 생성하고, 미리 구축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자세센싱데이터를 분석하여 모터사이클의 사고를 감지하고, 모터사이클의 사고 감지 시 구조요청을 실시하는 중앙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모터사이클 플랫폼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모터사이클 플랫폼 시스템{MOTORCYCLE PLATFORM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모터사이클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비대면 관련 산업이 활성화되면서 1인 교통수단으로서 배달산업과 및 여가문화 분야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수요 확대에 따라 이륜차 산업발전이 매년 6.2%(14만대 신규 등록)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국내 주요 수요자가 생계형(배달) 라이더에 많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꾸준한 이륜차 증가율에 비해 이륜차 관련 문화 및 서비스 시장 발전이 더딘 현상이 특징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일부 미성숙한 라이더들의 교통법 미준수 사례와, 교통 사고 시 외상율이 크다는 이유가 크다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인해 사회적 네거티브가 형성됨에 따라 국민들이 이륜차에 대한 거부감을 느끼고 있어 이륜차에 대한 강한 법적 규제가 마련되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OECD 가입국 중 고속도로와 자동차 전용 도로에서 오토바이 통행이 금지된 유일한 국가이며, 이에 문제사항을 개선할 수 있는 모터사이클 관련 기술개발이 시장에 없음에 따라 성숙한 라이딩 문화 정착과 대한민국 모터사이클 관련 콘텐츠 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기술 개발을 필요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2201757호(등록일자: 2021년01월06일)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64288호(공개일자: 2015년06월11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빅데이터 기반의 모터사이클 여가문화 콘텐츠 제공을 통해 이륜차 문화산업 발전을 도모하고, 인공지능 기반의 자동 응급 호출 기능을 통해 외상율이 높은 라이더들의 인명사고 최소화에 기여하며, 법규를 준수하는 라이더 참여형 콘텐츠를 제공하여 네거티브 한 모터사이클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모터사이클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모터사이클 플랫폼 시스템은, 휴대통신단말에 설치되고, 네비게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네비게이션으로부터 모터사이클의 주행데이터 및 주행경로에 따른 교통정보를 각각 수집하고, 상기 주행데이터와 상기 교통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별 안전주행점수를 계산하고, 상기 주행데이터와 휴대통신단말의 자세센싱데이터를 실시간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주행데이터와 상기 자세센싱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주행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 별 주행특징을 분석하고, 미리 정의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상기 주행특징 분석결과에 따른 사용자 별 라이딩 큐레이션 정보를 생성하고, 미리 구축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자세센싱데이터를 분석하여 모터사이클의 사고를 감지하고, 모터사이클의 사고 감지 시 구조요청을 실시하는 중앙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교통신호정보 및 규정속도정보를 포함한 교통정보를 반영하여 모터사이클 전용 네비게이션을 실행하는 네비게이션 실행부; 상기 네비게이션 실행부로부터 모터사이클의 GPS위치, 방문장소, 주행경로, 주행시간, 주행속도, 날씨, 사고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주행데이터와, 상기 주행경로에 따른 상기 교통정보를 각각 수집하고, 상기 교통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주행데이터에 대한 교통신호 및 규정속도의 위반여부를 판단하고, 위반판단결과에 따라 사용자 별 안전주행점수를 계산하는 안전주행 모니터링부; 상기 네비게이션 실행부로부터 상기 주행데이터를 수집하고, 휴대통신단말의 자세센서를 통해 상기 자세센싱데이터를 수집하는 사고감시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주행데이터 및 상기 자세센싱데이터를 상기 중앙 관리 서버로 실시간 전송하고, 상기 중앙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라이딩 큐레이션 정보를 수신하는 앱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비게이션 실행부는, 통행제한구간을 회피한 길안내정보를 제공하되, 상기 GPS 위치를 기반으로 모터사이클이 통행제한구간에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진입한 경우 진입경고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비게이션 실행부는, 출발지점과 도착지점에 따른 길안내정보를 제공하되, 상기 라이딩 큐레이션 정보를 기반으로 여행 및 문화에 대한 주행목적에 따라 분류된 길안내정보를 추가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비게이션 실행부는, 도착지점 설정 시 사용자로부터 여행 및 문화 중 어느 하나의 주행목적을 상기 주행데이터에 포함되도록 선택 받고, 상기 중앙 관리 서버는, 휴대통신단말로부터 상기 주행데이터와 상기 자세센싱데이터를 수신하고, 휴대통신단말로 상기 라이딩 큐레이션 정보를 전송하고, 미리 등록된 기관 및 개인 연락처로 구조요청신호를 전송하는 서버 송수신부; 상기 주행데이터에 포함된 주행목적, 방문장소, 주행경로 및 날씨를 기반으로 사용자 별 주행특징을 분석하고, 타 사용자들의 주행목적 및 날씨에 따른 방문장소 및 주행경로에 대하여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상기 주행특징 분석결과에 따른 상기 라이딩 큐레이션 정보를 생성하는 라이딩 큐레이션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주행데이터에 포함된 주행속도가 기준속도범위 내에서, 상기 자세센싱데이터에 포함된 모터사이클의 기울기 각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각도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기준각도초과 시 기준각도 초과상태가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으로 유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기준각도 초과상태가 기준시간 이상유지 시 모터사이클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사고발생판단 시 상기 구조요청신호를 발생시키는 모터사이클 사고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사이클 사고 감지부는, 상기 주행데이터, 상기 자세센싱데이터 및 사고이력정보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상기 기준속도범위, 상기 기준각도 및 상기 기준시간을 각각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주행 모니터링부는, 사용자 별로 상기 안전주행점수를 갱신하고, 갱신된 안전주행점수데이터를 상기 앱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중앙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관리 서버는, 상기 안전주행점수데이터를 사용자 별로 관리하고, 안전주행점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점수에 도달한 경우 사용자에게 마일리지를 제공하는 안전주행 보상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빅데이터 기반의 모터사이클 여가문화 콘텐츠 제공을 통해 이륜차 문화산업 발전을 도모하고, 인공지능 기반의 자동 응급 호출 기능을 통해 외상율이 높은 라이더들의 인명사고 최소화에 기여하며, 법규를 준수하는 라이더 참여형 콘텐츠를 제공하여 네거티브 한 모터사이클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모터사이클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모터사이클 플랫폼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동작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 관리 서버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딩 큐레이션 정보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사이클 사고 감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사이클 기울기 각도에 따른 사고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모터사이클 플랫폼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개요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동작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 관리 서버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딩 큐레이션 정보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사이클 사고 감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사이클 기울기 각도에 따른 사고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모터사이클 플랫폼 시스템(1000)은 어플리케이션(100) 및 중앙 관리 서버(2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100)은, 사용자(라이더)의 휴대통신단말(10)에 설치되고, 네비게이션을 실행하고, 해당 네비게이션으로부터 모터사이클(20)의 주행데이터 및 주행경로에 따른 교통정보를 각각 수집하고, 수집된 주행데이터와 교통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라이더) 별 안전주행점수(또는 안전주행레벨)를 계산하고, 주행데이터와 휴대통신단말(10)의 자세센싱데이터를 중앙 관리 서버(200)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어플리케이션(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실행부(110), 안전주행 모니터링부(120), 사고감시데이터 수집부(130) 및 앱 송수신부(1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비게이션 실행부(110)는, 교통신호정보 및 규정속도정보를 포함한 교통정보를 반영하여 모터사이클 전용 네비게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터사이클 전용 네비게이션은 GPS위치 기반의 현재지점으로부터 목적지 또는 도착지 설정에 따라 그래픽(시각적)정보 및 음성안내정보를 포함한 길안내정보를 기본적으로 제공하며, 교통신호정보 및 규정속도정보를 포함한 교통정보를 반영해 모터사이클(20)의 주행 중에 필요한 적색, 황색, 녹색, 좌회전, 우회전, 신호변경잔여시간 등을 포함한 교통신호정보와, 최대규정속도 및 해당 규정속도 대비 현재 모터사이클(20)의 과속여부, 과속 상태에서의 초과속도(또는 필요한 감속속도) 등의 규정속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 실행부(110)는, 주행경로 상에 통행제한구간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통행제한구간을 회피하기 위한 길안내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휴대통신단말(10)의 GPS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모터사이클(20)이 통행제한구간에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진입한 경우 진입경고신호(시각적, 청각적 경고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 실행부(110)는, 도착지점 설정 시 사용자로부터 여행 및 문화 중 어느 하나의 주행목적을 선택 받아 주행데이터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으며, 중앙 관리 서버(200)에 주행데이터를 전송할 때 또는 도착지점 설정 시점에서 주행목적에 대한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 실행부(110)는, 주행경로 상 출발지점과 도착지점에 따른 길안내정보를 기본적으로 제공하되, 주행목적에 대한 선택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중앙 관리 서버(200)로부터 라이딩 큐레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라이딩 큐레이션 정보를 수신한 경우 해당 정보를 기반으로 여행 및 문화에 대한 주행목적에 따라 분류된 길안내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발지점 A에서 도착지점 B이 설정될 때 여행(명소, 숙소 등) 또는 문화(축제, 맛집 등)에 대한 주행목적이 선택되면, 출발지점 A 및 도착지점 B 정보와 함께 주행목적정보가 중앙 관리 서버(200)로 전송되며, 전송된 해당 정보와 관련하여 중앙 관리 서버(200)로부터 사용자(라이더) 맞춤 라이딩 큐레이션 정보(명소, 숙소, 축제, 맛집 등)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맞춤 라이딩 큐레이션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의 주행목적에 맞는 부가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단순한 길안내 서비스의 이용을 넘어 여가 생활 또는 여가 문화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안전주행 모니터링부(120)는, 네비게이션 실행부(110)로부터 모터사이클(20)의 GPS현재위치, 방문장소, 주행경로, 주행시간, 주행속도, 날씨, 사고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주행데이터와, 주행경로에 따른 교통정보를 각각 수집하고, 수집된 교통정보를 기준으로 주행데이터에 대한 교통신호 및 규정속도의 위반여부를 판단하고, 위반판단결과에 따라 사용자 별 안전주행점수를 계산할 수 있으며, 사용자 별로 안전주행점수를 갱신하고, 갱신된 안전주행점수데이터를 앱 송수신부(140)를 통해 중앙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설정 및 실행 후 모터사이클(20)의 주행이 시작되면, 네비게이션으로부터 모터사이클(20)의 주행데이터(GPS현재위치, 방문장소, 주행경로, 주행시간, 주행속도, 날씨, 사고정보), 교통정보(교통신호정보 및 규정속도정보)를 실시간 수집하고, 휴대통신단말(10)의 자세센서(미도시)로부터 자세센싱데이터를 실시간 수집할 수 있다. 수집된 주행데이터와 교통정보는 주행이 종료되면 안전주행점수 계산을 위해 이용되는데, 구체적으로는 해당 사용자(라이더)가 주행경로를 이동하면서 주행경로 상에 포함된 교통신호, 규정속도를 얼마나 잘 준수하였는지를 체크하여 그에 따른 점수를 부여해 안전주행점수를 계산할 수 있다.
사익 안전주행점수는 사용자(라이더)마다 계산되며, 계산되는 점수는 최초 라이딩 시 0점에서부터 시작하여 주행마다 누적되는 방식으로 갱신되며, 안전주행점수의 구간 별 레벨이 미리 정의되어 있어 해당 사용자(라이더)의 안전주행레벨 또한 책정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전주행점수 및 안전주행레벨에 대한 데이터는 주행완료 시 계산되어 중앙 관리 서버(200)로 전송되며, 안전주행점수 또는 안전주행레벨에 따라 특정 점수를 초과하였거나 레벨 상승 시 해당 사용자(라이더)에 대한 마일리지가 적립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일리지는 모터사이클을 수리 또는 정비, 부품구입 또는 교체, 주유를 위한 할인쿠폰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고감시데이터 수집부(130)는, 네비게이션 실행부(110)로부터 주행데이터를 수집하고, 휴대통신단말(10)의 자세센서(미도시)를 통해 자세센싱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휴대통신단말(10)은 네비게이션 실행 시 모터사이클(20)의 계기판 측에 장착된 상태로 이용되며, 이에 따라 휴대통신단말(10)에 탑재된 자세센서(미도시)를 이용해 모터사이클(20)의 기울기 각도를 감지하여 자세센싱데이터로 생성해 중앙 관리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앱 송수신부(140)는, 주행데이터, 교통정보, 자세센싱데이터, 안전주행점수(또는 안전주행레벨) 등 어플리케이션(100)을 통해 수집, 입력 및 계산되는 모든 데이터를 중앙 관리 서버(200)로 실시간 전송하며, 중앙 관리 서버(200)로부터 라이딩 큐레이션 정보를 수신하여 네비게이션 실행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단말(10)은, 모터사이클 라이딩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한 전용 프로그램(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관리 프로그램)이 설치 또는 탑재되거나, 휴대통신단말(10)의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사이트에 접속하는 방식을 통해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휴대통신단말(10)은,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즉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관리 서버(200)는, 휴대통신단말(10)로부터 주행데이터, 자세센싱데이터, 교통정보 등을 각각 수신하고, 주행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 별 주행특징을 분석하고, 미리 정의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주행특징 분석결과에 따른 사용자 별 라이딩 큐레이션 정보를 생성하고, 미리 구축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세센싱데이터를 분석하여 모터사이클(20)의 사고를 감지하고, 모터사이클(20)의 사고 감지 시 구조요청을 실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앙 관리 서버(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 송수신부(210), 라이딩 큐레이션 정보 생성부(220), 모터사이클 사고 감지부(230) 및 안전주행 보상 관리부(2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 송수신부(210)는, 휴대통신단말(10)로부터 주행데이터, 교통정보 및 자세센싱데이터, 안전주행점수(또는 안전주행레벨) 등을 각각 수신하고, 휴대통신단말(10)로 라이딩 큐레이션 정보를 전송하고, 미리 등록된 구조 기관 서버(30) 및 보호자 통신단말(40)로 구조요청신호를 신속히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라이딩 큐레이션 정보 생성부(220)는, 주행데이터에 포함된 주행목적, 방문장소, 주행경로 및 날씨를 기반으로 사용자 별 주행특징을 분석하고, 타 사용자들의 주행목적 및 날씨에 따른 방문장소 및 주행경로에 대하여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주행특징 분석결과에 따른 라이딩 큐레이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주행목적, 방문장소, 주행경로 및 날씨에 대한 각각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주행데이터를 다수의 사용자들로부터 받아 주행특징에 대하여 분석할 수 있는데, 특정 주행목적을 갖는 대상에 대하여 특정한 방문장소 및 주행경로에 대한 사용자(라이더)들의 선택빈도를 분류 및 파악하고, 추가적으로 그 때의 날씨정보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할 수 있다. 가령, 여행을 주행목적으로 하는 대상자 가운데 A, B, C의 방문장소에 대한 선택빈도가 미리 설정된 수치를 초과하면서, 그때의 날씨(온도도 포함)가 맑음으로 기록되어 있다면, 추후에 날씨가 맑은 어느 날 어떠한 출발지점에서 목적지 또는 도착지점까지 가능한 주행경로들에 있어서, 방문장소 A, B, C를 경유할 수 있는 주행경로로 변경하여 해당 사용자(라이더)의 라이딩 큐레이션 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라이딩 큐레이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사용자(라이더)들의 주행데이터에서 주행특징에 관한 분석을 실시하고,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유사 집단으로 분류한 후, 분류된 유사 집단에 대한 주행특징 즉, 어느 도착지점까지 경유하는데 있어 주행목적에 따라 언제, 어느 방문장소를 경유하였는지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라이딩 큐레이션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또는 빅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으며, 새롭게 수집되는 사용자(라이더)의 주행데이터를 맞게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라이더)의 주행목적에게 맞는 라이딩 큐레이션 정보를 추출 및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모터사이클 사고 감지부(230)는, 주행데이터에 포함된 주행속도가 기준속도범위 내에서, 자세센싱데이터에 포함된 모터사이클(20)의 기울기 각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각도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기준각도초과 시 기준각도 초과상태가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으로 유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기준각도 초과상태가 기준시간 이상유지 시 모터사이클(20)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사고발생판단 시 구조요청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휴대통신단말(10)로부터 수신된 모터사이클(20)의 주행데이터 및 자세센싱데이터를 이용하여 사고 감지를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는데, 이때 주행데이터에 포함된 모터사이클(20)의 주행속도(또는 평균주행속도)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설정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기준속도범위 내에 있으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세센싱데이터에서 모터사이클(20)의 기울기 값(θM)이 빅데이터 분석 결과, 모터사이클(20)이 넘어지거나 중심을 잡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하여 정의된 기준각도 값(θR)를 초과하였다면, 그 각도초과상태를 얼마나 유지했는지에 대한 타이머를 실행시키고, 그 상태의 유지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한 경우(타이머의 초 단위 확인)에 모터사이클(20)의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각도 값(θR)은 60도일 수 있으나, 이러한 각도 값으로만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준속도범위는 위험속도범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필요한 조건은 아니나, 사고 발생의 요인으로서 선택적으로 추가하여 판단 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모터사이클 사고 감지부(230)는, 주행데이터, 자세센싱데이터 및 사고이력정보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기준속도범위, 기준각도 및 기준시간을 각각 정의할 수 있다. 즉, 주행경로, 사고지점, 도로교통법, 통제구간여부, 모터사이클의 모델, 종류 등과, 그와 관련된 사고이력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준속도범위를 위치 또는 상황 별로 조정 또는 업데이트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기준각도와 기준시간 또한 상기와 같은 요소를 고려해 변동 또는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상기 안전주행 보상 관리부(240)는, 안전주행점수데이터를 사용자(라이더) 별로 관리하고, 안전주행점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점수에 도달한 경우 사용자에게 마일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안전주행 보상 관리부(240)는, 안전주행점수 또는 안전주행레벨에 따라 특정 점수를 초과하였거나 레벨 상승 시 해당 사용자(라이더)에 대한 마일리지가 적립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일리지는 모터사이클을 수리 또는 정비, 부품구입 또는 교체, 주유를 위한 할인쿠폰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중앙 관리 서버(200)는, 다수의 휴대통신단말(10)과 연결되어, 모터사이클 라이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중앙 관리 서버(200)는, 하드웨어적으로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안드로이드(Android), 아이오에서(iOS)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의성 있는 데이터를 활용한 모터사이클 라이딩 서비스 제공을 통해 안전한 이륜차 문화 정착에 기여할 수 있고,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이륜차 사고율 감소와 라이더의 생명을 지킬 수 있음에 따라 공공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고, 이륜차 산업 내 여행, 문화, 보험, 교통제도 등 미진한 이륜차 산업 발전의 필요한 데이터 수집 장치를 마련할 수 있으며,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라이딩 큐레이션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높은 여가 문화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모터사이클 플랫폼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모터사이클 플랫폼 시스템
100: 어플리케이션
110: 네비게이션 실행부
120: 안전주행 모니터링부
130: 사고감시데이터 수집부
140: 앱 송수신부
200: 중앙 관리 서버
210: 서버 송수신부
220: 라이딩 큐레이션 정보 생성부
230: 모터사이클 사고 감지부
240: 안전주행 보상 관리부
10: 휴대통신단말
20: 모터사이클
30: 구조기관서버
40: 보호자 통신단말

Claims (8)

  1. 휴대통신단말에 설치되고, 네비게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네비게이션으로부터 모터사이클의 주행데이터 및 주행경로에 따른 교통정보를 각각 수집하고, 상기 주행데이터와 상기 교통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별 안전주행점수를 계산하고, 상기 주행데이터와 휴대통신단말의 자세센싱데이터를 실시간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주행데이터와 상기 자세센싱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주행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 별 주행특징을 분석하고, 미리 정의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상기 주행특징 분석결과에 따른 사용자 별 라이딩 큐레이션 정보를 생성하고, 미리 구축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자세센싱데이터를 분석하여 모터사이클의 사고를 감지하고, 모터사이클의 사고 감지 시 구조요청을 실시하는 중앙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교통신호정보 및 규정속도정보를 포함한 교통정보를 반영하여 모터사이클 전용 네비게이션을 실행하는 네비게이션 실행부;
    상기 네비게이션 실행부로부터 모터사이클의 GPS위치, 방문장소, 주행경로, 주행시간, 주행속도, 날씨, 사고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주행데이터와, 상기 주행경로에 따른 상기 교통정보를 각각 수집하고, 상기 교통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주행데이터에 대한 교통신호 및 규정속도의 위반여부를 판단하고, 위반판단결과에 따라 사용자 별 안전주행점수를 계산하는 안전주행 모니터링부;
    상기 네비게이션 실행부로부터 상기 주행데이터를 수집하고, 휴대통신단말의 자세센서를 통해 상기 자세센싱데이터를 수집하는 사고감시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주행데이터 및 상기 자세센싱데이터를 상기 중앙 관리 서버로 실시간 전송하고, 상기 중앙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라이딩 큐레이션 정보를 수신하는 앱 송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실행부는,
    도착지점 설정 시 사용자로부터 여행 및 문화 중 어느 하나의 주행목적을 상기 주행데이터에 포함되도록 선택 받고,
    상기 중앙 관리 서버는,
    상기 주행데이터에 포함된 주행목적, 방문장소, 주행경로 및 날씨를 기반으로 사용자 별 주행특징을 분석하고, 타 사용자들의 주행목적 및 날씨에 따른 방문장소 및 주행경로에 대하여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상기 주행특징 분석결과에 따른 상기 라이딩 큐레이션 정보를 생성하는 라이딩 큐레이션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딩 큐레이션 정보 생성부는,
    특정 주행목적을 갖는 대상에 대하여 특정한 방문장소 및 주행경로에 대한 사용자들의 선택빈도를 분류 및 파악하고, 파악결과와 날씨정보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유사 집단으로 분류한 후, 분류된 유사 집단에 대한 주행특징을 분석하되, 어느 도착지점까지 경유하는데 주행목적에 따라 언제, 어느 방문장소를 경유하였는지에 대해 분석하여 라이딩 큐레이션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새롭게 수집되는 사용자의 주행데이터에 맞게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의 라이딩 큐레이션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모터사이클 플랫폼 시스템.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실행부는,
    통행제한구간을 회피한 길안내정보를 제공하되, 상기 GPS 위치를 기반으로 모터사이클이 통행제한구간에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진입한 경우 진입경고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모터사이클 플랫폼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실행부는,
    출발지점과 도착지점에 따른 길안내정보를 제공하되, 상기 라이딩 큐레이션 정보를 기반으로 여행 및 문화에 대한 주행목적에 따라 분류된 길안내정보를 추가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모터사이클 플랫폼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 서버는,
    휴대통신단말로부터 상기 주행데이터와 상기 자세센싱데이터를 수신하고, 휴대통신단말로 상기 라이딩 큐레이션 정보를 전송하고, 미리 등록된 기관 및 개인 연락처로 구조요청신호를 전송하는 서버 송수신부; 및
    상기 주행데이터에 포함된 주행속도가 기준속도범위 내에서, 상기 자세센싱데이터에 포함된 모터사이클의 기울기 각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각도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기준각도초과 시 기준각도 초과상태가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으로 유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기준각도 초과상태가 기준시간 이상유지 시 모터사이클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사고발생판단 시 상기 구조요청신호를 발생시키는 모터사이클 사고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모터사이클 플랫폼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사이클 사고 감지부는,
    상기 주행데이터, 상기 자세센싱데이터 및 사고이력정보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상기 기준속도범위, 상기 기준각도 및 상기 기준시간을 각각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모터사이클 플랫폼 시스템.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주행 모니터링부는,
    사용자 별로 상기 안전주행점수를 갱신하고, 갱신된 안전주행점수데이터를 상기 앱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중앙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모터사이클 플랫폼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 서버는,
    상기 안전주행점수데이터를 사용자 별로 관리하고, 안전주행점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점수에 도달한 경우 사용자에게 마일리지를 제공하는 안전주행 보상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모터사이클 플랫폼 시스템.
KR1020220144705A 2022-11-02 2022-11-02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모터사이클 플랫폼 시스템 KR102531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705A KR102531958B1 (ko) 2022-11-02 2022-11-02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모터사이클 플랫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705A KR102531958B1 (ko) 2022-11-02 2022-11-02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모터사이클 플랫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1958B1 true KR102531958B1 (ko) 2023-05-16

Family

ID=86545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4705A KR102531958B1 (ko) 2022-11-02 2022-11-02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모터사이클 플랫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95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2460A (ko) * 2009-12-03 2011-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전거 관리용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30630A (ko) * 2012-09-03 2014-03-12 (주)에스디시스템 차량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교통정보 제공시스템
KR20150064288A (ko) 2013-12-02 2015-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운행 기록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한 차량 운행 기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JP2020006744A (ja) * 2018-07-04 2020-01-16 サンスター技研株式会社 二輪車走行支援方法、二輪車走行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二輪車走行支援システム
KR102201757B1 (ko) 2017-10-12 2021-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56630A (ko) * 2020-10-28 2022-05-06 김광훈 안전 운전 습관 개선 지원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2460A (ko) * 2009-12-03 2011-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전거 관리용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30630A (ko) * 2012-09-03 2014-03-12 (주)에스디시스템 차량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교통정보 제공시스템
KR20150064288A (ko) 2013-12-02 2015-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운행 기록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한 차량 운행 기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201757B1 (ko) 2017-10-12 2021-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JP2020006744A (ja) * 2018-07-04 2020-01-16 サンスター技研株式会社 二輪車走行支援方法、二輪車走行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二輪車走行支援システム
KR20220056630A (ko) * 2020-10-28 2022-05-06 김광훈 안전 운전 습관 개선 지원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7945B1 (en) Vehicular driver warnings
US11242064B1 (en) Vehicle to vehicle telematics
US11030696B1 (en) Methods of providing insurance savings based upon telematics and anonymous driver data
US9477639B2 (en) Safe driving monitoring system
US11783421B2 (en) Traveling-based insurance ratings
JP5447371B2 (ja) 移動体警告装置、移動体警告方法および移動体警告プログラム
KR100824073B1 (ko) 차량 연계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것의 운용방법
JP4913683B2 (ja) 危険度管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危険度管理方法
EP3397925A1 (en) Proactive re-routing to control traffic flow
US11727451B2 (en) Implementing and optimizing safety interventions
KR20150007536A (ko) 운전자 보조 시스템의 경고 기준 설정 방법
US20210334865A1 (en) Used Car Pricing Based on Telematics Information
CN107645703B (zh) 行走安全监控方法和装置
Sridharamurthy et al. Violation detection method for vehicular ad hoc networking
US20230316411A1 (en) Deductible Determination System
CN108122295A (zh) 一种车联网系统
CN111541751A (zh) 一种轨迹监测的方法及装置
CN113352989B (zh) 智能行车安全辅助方法、产品、设备和介质
Ravi et al. A review on it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technology
KR102531958B1 (ko)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모터사이클 플랫폼 시스템
JP2020006744A (ja) 二輪車走行支援方法、二輪車走行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二輪車走行支援システム
JP2022111487A (ja) 経路情報提供装置、経路情報提供方法及び経路情報提供プログラム
Shakib et al. Smart vehicle accident detection for flash floods
JP2021140768A (ja) データ処理方法、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CN112863243B (zh) 道路的限高提示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