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875B1 - Camera bracket for unmanned parking fare calculating system, having camera assembly, and unmanned parking fare calculating system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amera bracket for unmanned parking fare calculating system, having camera assembly, and unmanned parking fare calculating system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875B1
KR102531875B1 KR1020220160157A KR20220160157A KR102531875B1 KR 102531875 B1 KR102531875 B1 KR 102531875B1 KR 1020220160157 A KR1020220160157 A KR 1020220160157A KR 20220160157 A KR20220160157 A KR 20220160157A KR 102531875 B1 KR102531875 B1 KR 102531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bracket
hole
hous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01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용찬
Original Assignee
권용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용찬 filed Critical 권용찬
Priority to KR1020220160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87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8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무인 주차 정산 시스템용 카메라 브라켓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중앙부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의 주변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메인 브라켓; 상기 개구에 삽입되며 홀이 형성된 전면판 및 상기 전면판의 테두리로부터 후방이 개방되게 연장된 측면판을 포함하는 카메라 브라켓; 상기 메인 브라켓의 후면에 상기 메인 브라켓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카메라 브라켓의 후면과 이격되고 상기 제1 관통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위치 조절용 브라켓;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들을 통과하며 나사부가 형성된 체결 나사; 및 상기 위치 조절용 브라켓을 관통한 상기 체결 나사에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 브라켓에 카메라 모듈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브라켓의 상하 좌우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 조절 너트를 포함한다.The camera bracket for the unmanned parking payment system includes a main bracket having an opening formed in a central portion in a plate shape and a first through hole formed around the opening; a camera bracket including a front plate inserted into the opening and formed with a hole, and a side plate extending from an edge of the front plate so that a rear side thereof is open; a position adjustment bracket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racket parallel to the main bracket,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amera bracket, and including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fastening screws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and having threaded portions; and a position adjusting nut coupled to the fastening screw penetrating the position adjusting bracket to adjust vertical and horizontal angles of the camera bracket in a state in which the camera module is coupled to the camera bracket.

Description

무인 주차 정산 시스템용 카메라 브라켓, 이를 갖는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들을 갖는 무인 주차 정산 시스템{CAMERA BRACKET FOR UNMANNED PARKING FARE CALCULATING SYSTEM, HAVING CAMERA ASSEMBLY, AND UNMANNED PARKING FARE CALCULATING SYSTEM HAVING THE SAME}Camera bracket for unmanned parking settlement system, camera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unmanned parking settlement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인 주차 정산 시스템용 카메라 브라켓, 이를 갖는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들을 갖는 무인 주차 정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bracket for an unmanned parking settlement system, a camera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an unmanned parking settlement system having the same.

최근 들어, 도로변의 유료 주차장 등에서는 인건비 절감을 위해 주차요금 무인 징수 시스템이 폭넓게 시행되고 있다.Recently, an unmanned parking fee collection system has been widely implemented in pay parking lots along roadsides to reduce labor costs.

기존 유인 요금징수 시스템은 차량이 출차 할때 주차 관리원이 주차 요금을 직접 정산하는 방식이고, 무인 요금 징수 시스템은 주차권 또는 무인 정산기를 이용하여 주차요금을 지불한후 출차하는 방식이다.The existing manned toll collection system is a method in which a parking manager directly settles the parking fee when a vehicle leaves the vehicle, and the unmanned toll collection system is a method in which a parking fee is paid using a parking ticket or an unmanned calculator and then exited.

무인 요금 징수 시스템은 주로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하우징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차된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고 이를 통해 주차 요금을 징수한다.An unmanned toll collection system mainly recognizes a license plate of a parked vehicle using a camera installed in a housing formed in a column shape and collects a parking fee therethrough.

무인 요금 징수 시스템의 하우징에 카메라를 설치할 때 하우징이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해야 하우징에 장착된 카메라가 차량의 번호판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When the camera is installed on the housing of the unmanned toll collection system, the housing must be plac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so that the camera mounted on the housing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number plate of the vehicle.

반면, 하우징이 지면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배치되거나 하우징에 장착된 카메라가 지정된 위치로부터 기울어지게 장착될 경우 카메라가 차량의 번호판을 정확하게 촬영하지 못하게 되고, 따라서 하우징을 지면에 설치한 후 카메라의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을 필요로 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housing is placed tilt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or the camera mounted on the housing is installed tilted from the designated position, the camera cannot accurately capture the license plate of the vehicle. process is required.

그러나, 기둥 형상을 갖는 하우징의 내부가 매우 협소하고 하우징으로부터 카메라를 분리한 후 카메라의 위치를 조정한 후 하우징에 다시 카메라를 고정하기 매우 어렵고 작업에 매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갖는다.However, the interior of the housing having a columnar shape is very narrow, and after separating the camera from the housing,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amera, it is very difficult to fix the camera to the housing again, and it takes a lot of time.

등록특허 10-1283839, 보안기능을 구비한 플레이백 방식 차량번호 인식 노상주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등록일자 2013년07월02일)Registered Patent No. 10-1283839, Playback Type Vehicle Number Recognition On-Street Parking System with Security Function and its Control Method, (registration date July 2, 2013) 등록특허 10-2012799, 차량인식기 및 이 차량인식기를 이용한 무인주차시스템 및 이 무인주차시스템의 무인주차방법, (등록일자 2019년08월14일)Registered Patent No. 10-2012799, vehicle recognizer, unmanned parking system using the vehicle recognizer, and unmanned parking method of the unmanned parking system, (registration date August 14, 2019) 등록특허 10-1729450,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등록일자 2017년04월17일)Registered Patent No. 10-1729450, LPR device equipped with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and vehicle number recognition function, a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and its operation method, (Registration date April 17, 2017)

본 발명은 기둥 형상을 갖는 하우징의 내부가 매우 협소한 상태에서 카메라를 하우징으로 분리하지 않고 간단한 동작에 의하여 카메라의 위치를 미세 조정할 수 있어 카메라 화면 방향 조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무인 주차 정산 시스템용 카메라 브라켓, 이를 갖는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들을 갖는 무인 주차 정산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camera can be fine-tuned by a simple operation without separating the camera from the housing in a state where the inside of the housing having a columnar shape is very narrow, so that the time required for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camera screen can be greatly reduced. A camera bracket for a parking settlement system, a camera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an unmanned parking settlement system having the same are provided.

일실시예로서, 무인 주차 정산 시스템용 카메라 브라켓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중앙부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의 주변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메인 브라켓; 상기 개구에 삽입되며 홀이 형성된 전면판 및 상기 전면판의 테두리로부터 후방이 개방되게 연장된 측면판을 포함하는 카메라 브라켓; 상기 메인 브라켓의 후면에 상기 메인 브라켓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카메라 브라켓의 후면과 이격되고 상기 제1 관통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위치 조절용 브라켓;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들을 통과하며 나사부가 형성된 체결 나사; 및 상기 위치 조절용 브라켓을 관통한 상기 체결 나사에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 브라켓에 카메라 모듈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브라켓의 상하 좌우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 조절 너트를 포함한다.As an embodiment, the camera bracket for the unmanned parking settlement system includes a main bracket having a plate-shaped opening formed in a central portion and a first through-hole formed around the opening; a camera bracket including a front plate inserted into the opening and formed with a hole, and a side plate extending from an edge of the front plate so that a rear side thereof is open; a position adjustment bracket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racket parallel to the main bracket,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amera bracket, and including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fastening screws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and having threaded portions; and a position adjusting nut coupled to the fastening screw penetrating the position adjusting bracket to adjust vertical and horizontal angles of the camera bracket in a state in which the camera module is coupled to the camera bracket.

무인 주차 정산 시스템용 카메라 브라켓의 상기 카메라 브라켓의 마주하는 상기 측면들에는 상기 카메라 브라켓의 내외부를 연결하는 슬릿이 각각 형성된다.A slit connect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amera bracket is formed on the facing side surfaces of the camera bracket for the unmanned parking payment system, respectively.

무인 주차 정산 시스템용 카메라 브라켓의 상기 나사부의 직경은 상기 제2 관통홀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된다.The diameter of the screw portion of the camera bracket for the unmanned parking payment system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무인 주차 정산 시스템용 카메라 어셈블리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중앙부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의 주변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메인 브라켓; 상기 개구에 삽입되며 홀이 형성된 전면판 및 상기 전면판의 테두리로부터 후방이 개방되게 연장된 측면판을 포함하는 카메라 브라켓; 상기 카메라 브라켓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측면판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카메라 하우징 및 상기 카메라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홀을 통해 노출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메인 브라켓의 후면에 상기 메인 브라켓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카메라 브라켓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카메라 모듈의 후면과 접촉되고 상기 제1 관통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위치 조절용 브라켓;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들을 통과하며 나사부가 형성된 체결 나사; 및 상기 위치 조절용 브라켓을 관통한 상기 체결 나사에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가 결합된 상기 카메라 브라켓의 상하 좌우 각도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 너트를 포함한다.A camera assembly for an unmanned parking settlement system includes a main bracket having a plate-shaped opening formed in a central portion and a first through-hole formed around the opening; a camera bracket including a front plate inserted into the opening and formed with a hole, and a side plate extending from an edge of the front plate so that a rear side thereof is open; a camera module including a camera housing inserted into the camera bracket and contacting an inner surface of the side plate and a camera embedded in the camera housing and exposed through the hole; a position adjustment bracket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main bracket in parallel with the main bracket, contacting a rear surface of the camera module protruding from the camera bracket, and including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fastening screws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and having threaded portions; and a position adjusting nut that is coupled to the fastening screw penetrating the position adjusting bracket and adjusts vertical and horizontal angles of the camera bracket to which the camera is coupled.

무인 주차 정산 시스템용 카메라 어셈블리의 상기 카메라 브라켓의 마주하는 상기 측면판들에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노출하는 슬릿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슬릿에 의하여 노출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하우징에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결합 부재가 상기 슬릿 및 상기 결합홀을 통해 카메라 하우징에 체결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카메라 브라켓에 고정한다.A slit exposing a side surface of the housing is formed on the side plates facing the camera bracket of the camera assembly for the unmanned parking settlement system, and a coupling hole is formed in the housing of the camera module exposed by the slit. , A coupling member is fastened to the camera housing through the slit and the coupling hole to fix the camera module to the camera bracket.

무인 주차 정산 시스템은 삼각 기둥 형상으로 상호 둔각의 각도로 배치된 한 쌍의 측벽마다 복수개의 체결홀 및 상기 체결홀들에 의하여 형성된 영역의 중앙부에 카메라 설치용 개구가 형성된 시스템 하우징; 상기 측벽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체결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 설치용 개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가 형성되는 메인 브라켓; 상기 개구에 삽입되며, 홀이 형성된 전면판 및 상기 전면의 테두리로부터 후방이 개방되게 연장된 측면판을 포함하는 카메라 브라켓; 상기 카메라 브라켓의 상기 후방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카메라 설치용 개구를 통해 노출되며 상기 측면판들과 접촉되는 카메라 하우징 및 상기 카메라 하우징에 내장된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메인 브라켓의 후면에 상기 메인 브라켓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카메라 브라켓의 후면과 접촉되고 상기 제1 관통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위치 조절용 브라켓; 상기 체결홀에 걸리는 헤드부 및 상기 체결홀,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들을 통과하며 나사부가 형성된 체결 나사; 및 상기 위치 조절용 브라켓의 후면에서 상기 체결 나사에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의 상하 좌우 각도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 너트를 포함한다.The unmanned parking settlement system includes a system housing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for each pair of side walls arranged at an obtuse angle in a triangular prism shape and an opening for installing a camera in the center of an area formed by the fastening holes; a main bracket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idewall, having a plate shape, a first through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 and an opening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amera installation opening; a camera bracket inserted into the opening and including a front plate having a hole and a side plate extending from an edge of the front surface so that a rear side thereof is open; a camera module including a camera housing inserted through the rear of the camera bracket, exposed through the camera installation opening, and contacting the side plates, and a camera embedded in the camera housing; a position adjusting bracket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racket parallel to the main bracket, contacting the rear surface of the camera bracket, and including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a fastening screw having a threaded portion passing through the head part caught in the fastening hole, the fastening hole, and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and a positioning nut coupled to the fastening screw at the rear of the positioning bracket to adjust the vertical and horizontal angles of the camera.

무인 주차 정산 시스템은 상기 시스템 하우징의 상기 카메라 설치용 개구를 덮는 투명 덮개; 및 상기 카메라가 상기 투명 덮개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측벽의 내측면 및 상기 메인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체결홀과 대응하는 제3 관통홀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한다.The unmanned parking settlement system includes a transparent cover covering an opening for installing the camera of the system housing; and a spacer dis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wall and the main bracket to prevent the camera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transparent cover and including a third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

본 발명에 따르면 기둥 형상을 갖는 하우징의 내부가 매우 협소한 상태에서 카메라를 하우징으로 분리하지 않고 간단한 동작에 의하여 카메라의 위치를 미세 조정할 수 있어 카메라 화면 방향 조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camera can be finely adjusted by a simple operation without separating the camera from the housing in a state where the inside of the housing having a columnar shape is very narrow,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time required to adjust the direction of the camera screen. have an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주차 정산 시스템용 카메라 브라켓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 후 종 방향으로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주차 정산 시스템용 카메라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조립 후 종 방향으로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주차 정산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 부분 확대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mera bracket for an unmanned parking settl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take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fter assembly of Figure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mera assembly for an unmanned parking settl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take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fter assembly of Figure 3;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nmanned parking settl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5 .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6 .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may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ncludes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특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특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patent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patent,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classify and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본 특허에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실시예들이 각각 기재되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별다른 기재가 없더라도 각 실시예들은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호 병합 및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t least two different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this patent, all or part of the components of each embodiment can be merged and mixed with each other, even if there is no specific description, within the scope of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주차 정산 시스템용 카메라 브라켓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 후 종 방향으로 절단한 종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mera bracket for an unmanned parking settl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take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fter assembly of Figure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무인 주차 정산 시스템용 카메라 브라켓(100)은 메인 브라켓(10), 카메라 브라켓(20), 위치 조절용 브라켓(30), 체결 나사(40) 및 위치 조절 너트(50)를 포함한다.1 and 2, the camera bracket 100 for the unmanned parking settlement system includes a main bracket 10, a camera bracket 20, a positioning bracket 30, a fastening screw 40, and a positioning nut 50. ).

메인 브라켓(1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브라켓(10)의 중앙부에는 후술될 카메라 브라켓(20)이 삽입되기에 적합한 개구(12)가 형성된다.The main bracket 10 is formed in a plate shape, for example,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 opening 12 suitable for inserting a camera bracket 20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main bracket 10 .

메인 브라켓(10)의 개구(12)의 주변에는, 예를 들어, 4개의 제1 관통홀(13,14,15,16; 17)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관통홀(17)이 4개로 형성된 것은 후술될 카메라 브라켓(20)을 상하 좌우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round the opening 12 of the main bracket 10, for example, four first through holes 13, 14, 15, 16; 17 are form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hrough-holes 17 are formed in four to allow the camera bracket 20 to be described later to be adjusted to a desired angle up, down, left, or right.

메인 브라켓(10)은, 예를 들어, 제작이 쉬운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되거나 방열 특성이 우수한 경량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main bracket 10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at is easy to manufacture or a lightweight metal with excellent heat dissipation characteristics.

카메라 브라켓(20)은, 예를 들어, 동영상 또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미도시)을 수납 및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The camera bracket 20, for example, serves to accommodate and fix a camera module (not shown) that creates a video or image.

카메라 브라켓(20)은 전면판(22) 및 측면판(24)을 포함한다.The camera bracket 20 includes a front plate 22 and a side plate 24.

전면판(22)은 메인 브라켓(10)의 개구(12)에 삽입되는 형상 및 사이즈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전면판(22)에는 홀(hole,21)이 형성된다.The front plate 22 has a plate shape having a shape and size to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12 of the main bracket 10. A hole 21 is formed in the front plate 22 .

측면판(24)은 전면판(22)의 4개의 테두리로부터 후방이 개방되게 연장된다. 측면판(24) 중 마주하는 한 쌍의 측면판(24)들에는 슬릿(25)이 각각 형성되는데, 슬릿(25)은 후술될 카메라 모듈을 고정하기 위해 형성된다.The side plate 24 extends from the four edges of the front plate 22 so that the rear side is open. A pair of facing side plates 24 of the side plates 24 are formed with slits 25, respectively, and the slits 25 are formed to fix a camera module to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카메라 브라켓(20)은, 예를 들어, 제작이 쉬운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되거나 방열 특성이 우수한 경량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bracket 20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at is easy to manufacture or a lightweight metal with excellent heat dissipation characteristics.

카메라 브라켓(20)의 측면판(24)들의 외측면은 메인 브라켓(10)의 개구(12)에 의하여 형성된 내측면에 끼워지게 삽입된다. 즉, 카메라 브라켓(20)은 메인 브라켓(10)의 개구(12)에 의하여 형성된 내측면에 움직일 수 있도록 삽입된다.The outer surfaces of the side plates 24 of the camera bracket 20 are fitted into the inner surfaces formed by the openings 12 of the main bracket 10 . That is, the camera bracket 20 is movably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formed by the opening 12 of the main bracket 10 .

위치 조절용 브라켓(30)은 메인 브라켓(20)의 후면에 메인 브라켓(20)과 마주하거나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bracket 30 for positioning may be disposed facing the main bracket 20 or parallel to the rear of the main bracket 20 .

위치 조절용 브라켓(30)은 메인 브라켓(20)과 이격되게 배치되며, 이로 인해 카메라 브라켓(20)도 위치 조절용 브라켓(30)과 이격된다.The positioning bracket 30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ain bracket 20, and thus the camera bracket 20 is also spaced apart from the positioning bracket 30.

한면, 카메라 브라켓(20)에 카메라 모듈(미도시)이 결합될 경우, 카메라 모듈의 후면은 위치 조절용 브라켓(30)에 접촉된다.On one side, when a camera module (not shown) is coupled to the camera bracket 20, the rear surface of the camera module contacts the bracket 30 for position adjustment.

위치 조절용 브라켓(30)은 메인 브라켓(20)과 대응하는 형상 및 대응하는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The bracket 30 for position adjustment may be formed in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main bracket 20 .

위치 조절용 브라켓(30)에는 4개의 제2 관통홀(33,34,35,36; 37)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관통홀(37)이 4개로 형성된 것은 후술될 카메라 브라켓(20)을 상하 좌우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Four second through holes 33, 34, 35, 36; 37 are formed in the bracket 30 for position adjustmen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son why the second through-holes 37 are formed in four is to allow the camera bracket 20 to be described later to be adjusted to a desired angle up, down, left, or right.

위치 조절용 브라켓(30)에 형성된 제2 관통홀(37)들의 형상 및 위치는 제1 관통홀(17)과 동일하다.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second through holes 37 formed in the bracket 30 for position adjustment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through holes 17 .

체결 나사(40)는 헤드부(42) 및 기둥 형상으로 일부에 숫나사가 형성된 나사부(44)를 포함한다. 체결 나사(40)는 제1 및 제2 관통홀(17,37)들을 각각 관통한다.The fastening screw 40 includes a head portion 42 and a threaded portion 44 having a male thread partially formed in a columnar shape. The fastening screw 40 passe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17 and 37, respectively.

체결 나사(40)의 나사부(44)의 직경은 제2 관통홀(37)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데, 이로써 위치 조절용 브라켓(30)은 메인 브라켓(20)에 대하여 상호 평행하거나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threaded portion 44 of the fastening screw 40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37, so that the brackets 30 for position adjustment can be arranged in parallel or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main bracket 20. there is.

위치 조절 너트(50)는 제1 및 제2 관통홀(17,37)들을 관통한 체결 나사(40)의 나사사부(44)에 각각 체결되며, 위치 조절 너트(50)의 체결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카메라 브라켓(20)에 카메라 모듈(미도시)이 결합된 상태에서 카메라 브라켓(20)의 상하 좌우 각도를 원하는 방향으로 작업자가 쉽고 빠르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The position adjusting nut 50 is fastened to the screw portion 44 of the fastening screw 40 penetrating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17 and 37, respectively, by adjusting the degree of fastening of the position adjusting nut 50. In a state where a camera module (not shown) is coupled to the camera bracket 20, the operator can easily and quickly adjust the vertical, horizontal, and horizontal angles of the camera bracket 20 in a desired direc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주차 정산 시스템용 카메라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조립 후 종 방향으로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무인 주차 정산 시스템용 카메라 어셈블리는 카메라 모듈을 제외하면 앞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무인 주차 정산 시스템용 카메라 브라켓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중복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mera assembly for an unmanned parking settl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take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fter assembly of Figure 3; The camera assembly for the unmanned parking settlement system shown in FIGS. 3 and 4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amera bracket for the unmanned parking settlement system shown in FIGS. 1 and 2 except for the camera module. Therefore, the same name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given to the same element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overlapping elements will be omitted.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무인 주차 정산 시스템용 카메라 어셈블리(200)는 메인 브라켓(10), 카메라 브라켓(20), 위치 조절용 브라켓(30), 체결 나사(40) 및 위치 조절 너트(50) 및 카메라 모듈(60)을 포함한다.3 and 4, the camera assembly 200 for the unmanned parking settlement system includes a main bracket 10, a camera bracket 20, a positioning bracket 30, a fastening screw 40, and a positioning nut 50. ) and a camera module 60.

카메라 모듈(60)은 카메라 하우징(62) 및 카메라(68)를 포함한다.The camera module 60 includes a camera housing 62 and a camera 68 .

카메라 하우징(62)은 카메라(68)를 수납 및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카메라 하우징(62)은 상면이 개구된 육면체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카메라 하우징(62)의 바닥면에는 카메라(68)와 연결된 전원선 또는 신호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된다.The camera housing 62 serves to accommodate and fix the camera 68, and the camera housing 62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exahedral box with an open top. An opening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mera housing 62 so that a power line or a signal line connected to the camera 68 can pass therethrough.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카메라 하우징(62)은 카메라 브라켓(20)의 전면판(22) 및 측면판(24)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수납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카메라 하우징(62)의 외측면은 카메라 브라켓(20)의 측면판(24)의 내측면에 접촉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housing 62 is formed in a shape accommodat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front plate 22 and the side plate 24 of the camera bracket 20. For example, the outer surface of the camera housing 62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plate 24 of the camera bracket 20 .

카메라 하우징(62)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는 카메라(68)가 삽입된다. 카메라(68)는 주차된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동영상 또는 이미지를 생성한다.A camera 68 is inserted into a space formed inside the camera housing 62 . The camera 68 captures the license plate of the parked vehicle and creates a video or image.

카메라(68)가 결합된 카메라 하우징(62)은 카메라 브라켓(20)에 결합된다.The camera housing 62 to which the camera 68 is coupled is coupled to the camera bracket 20 .

카메라 브라켓(20)의 슬릿(25)과 대응하는 카메라 하우징(62)에는 결합홀(63)이 형성되며, 결합홀(63)의 내부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A coupling hole 63 is formed in the camera housing 62 corresponding to the slit 25 of the camera bracket 20, and a female screw portion may be formed inside the coupling hole 63.

나사와 같은 결합 부재(64)는 슬릿(25) 및 결합홀(63)을 통해 카메라 하우징(62)에 체결되어 카메라 모듈(60)이 카메라 브라켓(20)에 체결되도록 하며, 이로 인해 카메라 모듈(60)은 카메라 브라켓(20)에 대해서는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다.The coupling member 64 such as a screw is fastened to the camera housing 62 through the slit 25 and the coupling hole 63 so that the camera module 60 is fastened to the camera bracket 20, and thereby the camera module ( 60) is fixed so as not to move with respect to the camera bracket 20.

카메라 하우징(62)의 길이는 카메라 브라켓(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이로 인해 카메라 하우징(62)의 일부는 카메라 브라켓(20)의 후방으로 돌출된다. The length of the camera housing 62 is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camera bracket 20, and because of this, a part of the camera housing 62 protrudes from the rear of the camera bracket 20.

카메라 브라켓(20)의 후방으로부터 돌출된 카메라 하우징(62)의 후면은 위치 조절용 브라켓(30)과 접촉되고, 위치 조절용 브라켓(30)의 위치를 체결 나사(40) 및 위치 조절 너트(50)를 통해 조절함으로써 카메라 브라켓(20)은 고정되는 메인 브라켓(10)에 대하여 상하로 각각 θ1의 각도 또는 θ2의 각도로 움직일 수 있고, 좌우 각도 또한 조절할 수 있다.The back of the camera housing 62 protruding from the rear of the camera bracket 20 is in contact with the bracket 30 for position adjustment, and the position of the bracket 30 is adjusted by using a fastening screw 40 and a position adjustment nut 50. By adjusting through the camera bracket 20 can be moved up and down at an angle of θ1 or θ2 with respect to the fixed main bracket 10, respectively, and the left and right angles can also be adjusted.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주차 정산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무인 주차 정산 시스템(300)의 메인 브라켓, 카메라 브라켓, 카메라 모듈, 위치 조절용 브라켓, 체결 나사 및 위치 조절 너트는 도 3 및 도 4에 도시 및 설명된 무인 주차 정산 카메라 어셈블리(2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중복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nmanned parking settl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5 .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6 . The main bracket, the camera bracket, the camera module, the position adjusting bracket, the fastening screw, and the position adjusting nut of the unmanned parking settlement system 300 shown in FIGS. 5 to 7 are the unmanned parking settlement camera shown and described in FIGS. 3 and 4 Substantially the same as assembly 200 . Therefore, the same name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given to the same element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overlapping elements will be omitted.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무인 주차 정산 시스템(300)는 시스템 하우징(310), 메인 브라켓(10), 카메라 브라켓(20), 위치 조절용 브라켓(30), 체결 나사(40) 및 위치 조절 너트(50) 및 카메라 모듈(60)을 포함한다. 참조부호 330는 외부광을 차단하는 차양이다.5 to 7, the unmanned parking settlement system 300 includes a system housing 310, a main bracket 10, a camera bracket 20, a bracket for position adjustment 30, a fastening screw 40, and a position adjustment It includes a nut 50 and a camera module 60. Reference numeral 330 is a sunshade that blocks external light.

시스템 하우징(310)은 삼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하 상호 둔각의 각도를 갖는 2개의 측벽들은 제1 측벽(312) 및 제2 측벽(314)로서 정의된다.The system housing 310 is formed in a triangular prism shape. Hereinafter, two side walls having an obtuse angle with each other are defined as a first side wall 312 and a second side wall 314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 측벽(312) 및 제2 측벽(314)의 내측면에 각각 도 3 및 도 4에 도시 및 설명된 무인 주차 정산 시스템용 카메라 어셈블리(40)가 장착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assembly 40 for the unmanned parking settlement system shown and described in FIGS. 3 and 4 is mount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side wall 312 and the second side wall 314, respectively.

제1 측벽(312)에는 체결 나사(40)가 삽입되는 체결홀(312a) 및 카메라 설치용 개구(312b)이 형성된다.A fastening hole 312a into which the fastening screw 40 is inserted and an opening 312b for installing a camera are formed in the first sidewall 312 .

체결홀(312a)은,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4개가 사각 형태로 배치될 수 있고, 체결홀(312a)은 앞서 설명된 메인 브라켓(10)의 제1 관통홀(17)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카메라 설치용 개구(312b)는 체결홀(312a)의 중앙부에 형성된다.Four fastening holes 312a may be arranged in a square shape when viewed from a plane, and the fastening holes 312a ar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first through hole 17 of the main bracket 10 described above. . The camera installation opening 312b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astening hole 312a.

제1 측벽(312)에 대하여 둔각의 각도로 배치되는 제2 측벽(314)에는 체결 나사(40)가 삽입되는 체결홀(314a) 및 카메라 설치용 개구(314b)이 형성된다.A fastening hole 314a into which the fastening screw 40 is inserted and an opening 314b for installing a camera are formed in the second sidewall 314 disposed at an obtuse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sidewall 312 .

체결홀(314a)은,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4개가 사각 형태로 배치될 수 있고, 체결홀(314a)은 앞서 설명된 메인 브라켓(10)의 제1 관통홀(17)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카메라 설치용 개구(314b)는 체결홀(314a)의 중앙부에 형성된다.Four fastening holes 314a may be arranged in a square shape when viewed from a plane, and the fastening holes 314a ar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first through hole 17 of the main bracket 10 described above. . The camera installation opening 314b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astening hole 314a.

한편, 제1 측벽(312) 및 제2 측벽(314) 중 카메라 설치용 개구(312b, 314b)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이물질이 제1 및 제2 측벽(312,314)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투명 덮개(320)가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a portion of the first sidewall 312 and the second sidewall 314 corresponding to the camera installation openings 312b and 314b is transparent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first and second sidewalls 312 and 314. Cover 320 may be coupled.

또한 카메라 모듈(60)의 카메라(62)가 투명 덮개(320)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1 및 제2 측벽(312,314)의 내측면 및 메인 브라켓(10)의 사이에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스페이서(318)가 배치된다. 스페이서(318)에는 체결홀(312a,314a), 제1 관통홀(17)과 대응하는 제3 관통홀(319)이 형성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camera 62 of the camera module 60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transparent cover 320, a plate-shaped spacer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312 and 314 and the main bracket 10. (318) is placed. A third through hole 319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s 312a and 314a and the first through hole 17 is formed in the spacer 318 .

제1 측벽(312) 및 제2 측벽(314)의 내측면에는 스페이서(318) 및 메인 브라켓(10)에 배치된다. 메인 브라켓(10)에는 카메라 브라켓(20)이 장착되고, 카메라 브라켓(20)에는 카메라 모듈(60)이 결합된다. 이때, 메인 브라켓(10)은 고정된 상태이나 카메라 브라켓(20)은 메인 브라켓(10)에 대하여 미세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spacer 318 and the main bracket 10 ar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side wall 312 and the second side wall 314 . A camera bracket 20 is mounted on the main bracket 10 , and a camera module 60 is coupled to the camera bracket 20 . At this time, the main bracket 10 is in a fixed state, but the camera bracket 20 is coupled to the main bracket 10 to enable fine angle adjustment.

제1 및 제2 측벽(312,314)들의 체결홀(312a,314a), 메인 브라켓(10)의 제1 관통홀(17)을 통해 체결 나사(40)가 삽입된 상태에서 메인 브라켓(10)의 후방으로는 위치 조절용 브라켓(30)이 배치되며, 체결 나사(40)는 위치 조절용 브라켓(30)의 제2 관통홀(37)로 삽입되고, 체결 나사(40)에는 위치 조절 너트(50)가 결합된다.The rear side of the main bracket 10 in a state where the fastening screw 40 is inserted through the fastening holes 312a and 314a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312 and 314 and the first through hole 17 of the main bracket 10 The bracket 30 for position adjustment is disposed as, the fastening screw 4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37 of the bracket 30 for position adjustment, and the position adjustment nut 50 is coupled to the fastening screw 40. do.

이어서, 작업자는 카메라 모듈(60)로부터 발생된 영상을 보면서 위치 조절 나트(50)를 조이거나 풀면서 카메라 모듈(60)의 화면을 미세 조정함으로써 쉽고 빠르게 카메라 모듈(60)의 화면 방향을 상하 또는 좌우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Then, while watching the image generated from the camera module 60, the operator finely adjusts the screen of the camera module 60 while tightening or loosening the position adjusting nut 50 to easily and quickly move the screen direction of the camera module 60 up and down or down. You can adjust left and right.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기둥 형상을 갖는 하우징의 내부가 매우 협소한 상태에서 카메라를 하우징으로 분리하지 않고 간단한 동작에 의하여 카메라의 위치를 미세 조정할 수 있어 카메라 화면 방향 조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the camera position can be finely adjusted by a simple operation without separating the camera from the housing in a state where the inside of the column-shaped housing is very narrow, greatly reducing the time required to adjust the camera screen direction. have a shortening effect.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drawings are only presented as specific examples to aid understanding,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ed example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메인 브라켓 20...카메라 브라켓
30...위치 조절용 브라켓 40...체결 나사
50...위치 조절 너트 60...카메라 모듈
10 ... Main bracket 20 ... Camera bracket
30...bracket for position adjustment 40...fastening screw
50 ... position adjusting nut 60 ... camera module

Claims (7)

플레이트 형상으로 중앙부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의 주변에 4개의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메인 브라켓;
상기 개구에 삽입되며 홀이 형성된 전면판 및 상기 전면판의 테두리로부터 후방이 개방되게 연장된 측면판을 포함하며, 카메라 모듈을 수납하기 위한 카메라 브라켓;
상기 메인 브라켓의 후면에 상기 메인 브라켓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카메라 브라켓의 측면판으로부터는 이격되고 상기 제1 관통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의 후면에 접촉되는 위치 조절용 브라켓;
상기 메인 브라켓에 걸리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들을 통과하는 나사부가 형성된 체결 나사; 및
상기 제2 관통홀을 관통한 상기 나사부에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 브라켓에 카메라 모듈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브라켓의 상하 좌우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 조절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브라켓은 상기 메인 브라켓의 상기 개구에 의하여 형성된 내측면에 움직일 수 있도록 삽입되는 무인 주차 정산 시스템용 카메라 브라켓.
A main bracket having an opening formed in a central portion in a plate shape and four first through holes formed around the opening;
a camera bracket including a front plate inserted into the opening and having a hole formed therein, and a side plate extending from an edge of the front plate so that a rear side thereof is opened, and accommodating a camera module;
A second through hol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racket parallel to the main bracket, spaced apart from the side plate of the camera bracket, and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and contacting the rear surface of the camera module. a bracket for adjusting the position;
a fastening screw formed with a head portion hooked to the main bracket and a screw portion extending from the head portion and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and
A position adjusting nut coupled to the threaded portion penetrating the second through hole to adjust the vertical and horizontal angles of the camera bracket in a state in which the camera module is coupled to the camera bracket;
The camera bracket is a camera bracket for an unmanned parking settlement system that is movably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formed by the opening of the main brack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브라켓의 마주하는 상기 측면들에는 상기 카메라 브라켓의 내외부를 연결하는 슬릿이 각각 형성된 무인 주차 정산 시스템용 카메라 브라켓.
According to claim 1,
The camera bracket for the unmanned parking settlement system is formed on the facing side surfaces of the camera bracket, each having a slit connect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amera brack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의 직경은 상기 제2 관통홀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된 무인 주차 정산 시스템용 카메라 브라켓.
According to claim 1,
The diameter of the screw portion is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camera bracket for unmanned parking settlement system.
플레이트 형상으로 중앙부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의 주변에 등간격으로 4개의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메인 브라켓;
상기 개구에 삽입되며 홀이 형성된 전면판 및 상기 전면판의 테두리로부터 후방이 개방되게 연장된 측면판을 포함하는 카메라 브라켓;
상기 카메라 브라켓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측면판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카메라 하우징 및 상기 카메라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홀을 통해 노출되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후면은 상기 카메라 브라켓으로부터 돌출된 카메라 모듈;
상기 메인 브라켓의 후면에 상기 메인 브라켓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카메라 브라켓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후면과 접촉되고 상기 제1 관통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위치 조절용 브라켓;
상기 메인 브라켓에 걸리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들을 통과하는 나사부가 형성된 체결 나사; 및
상기 제2 관통홀을 관통한 상기 나사부에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상하 좌우 각도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브라켓은 상기 메인 브라켓의 상기 개구에 의하여 형성된 내측면에 움직일 수 있도록 삽입되는 무인 주차 정산 시스템용 카메라 어셈블리.
A main bracket having an opening formed in a central portion in a plate shape and four first through holes formed around the opening at equal intervals;
a camera bracket including a front plate inserted into the opening and formed with a hole, and a side plate extending from an edge of the front plate so that a rear side thereof is open;
A camera housing inserted into the camera bracket and contacting an inner surface of the side plate, and a camera embedded in the camera housing and exposed through the hole, wherein a rear surface of the camera housing is a camera protruding from the camera bracket. module;
a position adjustment bracket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main bracket in parallel with the main bracket, contacting the rear surface of the camera housing protruding from the camera bracket, and including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a fastening screw formed with a head portion hooked to the main bracket and a screw portion extending from the head portion and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and
A position adjusting nut coupled to the threaded portion penetrating the second through hole to adjust the vertical and horizontal angles of the camera housing;
The camera bracket is a camera assembly for an unmanned parking settlement system that is movably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formed by the opening of the main bracke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브라켓의 마주하는 상기 측면판들에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노출하는 슬릿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슬릿에 의하여 노출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하우징에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결합 부재가 상기 슬릿 및 상기 결합홀을 통해 카메라 하우징에 체결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카메라 브라켓에 고정하는 무인 주차 정산 시스템용 카메라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4,
A slit exposing a side surface of the housing is formed on the side plates facing the camera bracket, respectively;
A coupling hole is formed in the housing of the camera module exposed by the slit,
A camera assembly for an unmanned parking settlement system in which a coupling member is fastened to the camera housing through the slit and the coupling hole to fix the camera module to the camera bracket.
삼각 기둥 형상으로 상호 둔각의 각도로 배치된 한 쌍의 측벽마다 복수개의 체결홀 및 상기 체결홀들에 의하여 형성된 영역의 중앙부에 카메라 설치용 개구가 형성된 시스템 하우징;
상기 측벽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체결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4개의 제1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 설치용 개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가 형성되는 메인 브라켓;
상기 개구에 삽입되며, 홀이 형성된 전면판 및 상기 전면의 테두리로부터 후방이 개방되게 연장된 측면판을 포함하는 카메라 브라켓;
상기 카메라 브라켓의 상기 후방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카메라 설치용 개구를 통해 노출되며 상기 측면판들과 접촉되는 카메라 하우징 및 상기 카메라 하우징에 내장된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후면은 상기 카메라 브라켓으로부터 돌출된 카메라 모듈;
상기 메인 브라켓의 후면에 상기 메인 브라켓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카메라 브라켓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후면과 접촉되고 상기 제1 관통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위치 조절용 브라켓;
상기 메인 브라켓에 걸리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들을 통과하는 나사부가 형성된 체결 나사; 및
상기 제2 관통홀을 관통한 상기 나사부에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상하 좌우 각도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브라켓은 상기 메인 브라켓의 상기 개구에 의하여 형성된 내측면에 움직일 수 있도록 삽입되는 무인 주차 정산 시스템.
A system housing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for each pair of sidewalls disposed at an obtuse angle in a triangular prism shape and an opening for installing a camera formed at the center of an area formed by the fastening holes;
a main bracket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idewall, in a plate shape, having four first through hole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s and opening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amera installation openings;
a camera bracket inserted into the opening and including a front plate having a hole and a side plate extending from an edge of the front surface so that a rear side thereof is open;
a camera housing inserted through the rear of the camera bracket, exposed through the camera installation opening, and contacting the side plates; and a camera embedded in the camera housing, wherein a rear surface of the camera housing protrudes from the camera bracket. camera module;
a position adjusting bracket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racket in parallel with the main bracket, contacting the rear surface of the camera housing protruding from the camera bracket, and including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a fastening screw formed with a head part hooked on the main bracket and a screw part extending from the head part and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and
A position adjusting nut coupled to the threaded portion penetrating the second through hole to adjust the vertical and horizontal angles of the camera housing;
The camera bracket is movably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formed by the opening of the main bracke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하우징의 상기 카메라 설치용 개구를 덮는 투명 덮개; 및
상기 카메라가 상기 투명 덮개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측벽의 내측면 및 상기 메인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체결홀과 대응하는 제3 관통홀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무인 주차 정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6,
a transparent cover covering the camera installation opening of the system housing; and
An unattended parking settlement system further comprising a spacer dis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wall and the main bracket to prevent the camera from contacting the transparent cover and including a third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
KR1020220160157A 2022-11-25 2022-11-25 Camera bracket for unmanned parking fare calculating system, having camera assembly, and unmanned parking fare calculating system having the same KR1025318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0157A KR102531875B1 (en) 2022-11-25 2022-11-25 Camera bracket for unmanned parking fare calculating system, having camera assembly, and unmanned parking fare calculating system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0157A KR102531875B1 (en) 2022-11-25 2022-11-25 Camera bracket for unmanned parking fare calculating system, having camera assembly, and unmanned parking fare calculating system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1875B1 true KR102531875B1 (en) 2023-05-11

Family

ID=86379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0157A KR102531875B1 (en) 2022-11-25 2022-11-25 Camera bracket for unmanned parking fare calculating system, having camera assembly, and unmanned parking fare calculating system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875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206Y1 (en) * 1991-05-31 1993-04-26 금성통신 주식회사 Angle contrable door video camera
KR930006720Y1 (en) * 1991-07-09 1993-10-06 전한실업 주식회사 Connecting device
JP2005167922A (en) * 2003-12-05 2005-06-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onitoring camera system
KR20100114688A (en) * 2009-04-16 2010-10-26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Camera device
KR101283839B1 (en) 2013-03-05 2013-07-08 엣파크코리아 유한회사 Play back type car number recognition street parking system with security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729450B1 (en) 2016-08-31 2017-04-24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Lpr device having electrical charging device and license plate recognition function and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2012799B1 (en) 2019-04-24 2019-10-21 모바일파킹 유한회사 Vehicle cognition machine and manless parking system using by the same and manless parking method the sam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206Y1 (en) * 1991-05-31 1993-04-26 금성통신 주식회사 Angle contrable door video camera
KR930006720Y1 (en) * 1991-07-09 1993-10-06 전한실업 주식회사 Connecting device
JP2005167922A (en) * 2003-12-05 2005-06-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onitoring camera system
KR20100114688A (en) * 2009-04-16 2010-10-26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Camera device
KR101283839B1 (en) 2013-03-05 2013-07-08 엣파크코리아 유한회사 Play back type car number recognition street parking system with security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729450B1 (en) 2016-08-31 2017-04-24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Lpr device having electrical charging device and license plate recognition function and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2012799B1 (en) 2019-04-24 2019-10-21 모바일파킹 유한회사 Vehicle cognition machine and manless parking system using by the same and manless parking method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3674B1 (en) park blocking apparatus with multi-function
KR102531875B1 (en) Camera bracket for unmanned parking fare calculating system, having camera assembly, and unmanned parking fare calculating system having the same
EP3859722B1 (en) Led display cabinet transport vehicle
CN105590455B (en) A kind of integrated barrier gate with shooting function
US11279298B2 (en) Camera mounting structure
DE102018204206B4 (en) Camera module
CN108111719B (en) Camera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and assembly method
CN208798061U (en) A kind of monitoring camera of manual focusing
JP3039251B2 (en) Optical information reader
KR100939177B1 (en) Antenna bracket for hi-pass system of vehicle
KR102520997B1 (en) Vehicle access control apparatus
JP2023505770A (en) camera device
KR102156147B1 (en) Toll collection apparatus based on multi lane
KR102034824B1 (en) Antenna module assembly for high-pass
DE102018218986A1 (en) camera module
CN215729947U (en) Integrated license plate recognition barrier gate
JP5142898B2 (en) Camera system
CN213571666U (en) License plate of scour protection card is gate for discernment
KR20140141409A (en) monitoring cameras installed in road traffic signs
CN212933774U (en) All-in-one machine capable of integrally adjusting angle of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CN205336388U (en) All -in -one of making a video recording
KR200481044Y1 (en) Vehicle number recognition parking barrier
CN213365592U (en) Vehicle recognition device and barrier gate equipment
CN213594209U (en) Preceding license plate board installation component
CN217426172U (en) Paging on duty all-in-one convenient to adjust installation ang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