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806B1 - 직접 커플링 및 교호 크로스 커플링을 갖는 유전체 도파관 필터 - Google Patents

직접 커플링 및 교호 크로스 커플링을 갖는 유전체 도파관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806B1
KR102531806B1 KR1020177033569A KR20177033569A KR102531806B1 KR 102531806 B1 KR102531806 B1 KR 102531806B1 KR 1020177033569 A KR1020177033569 A KR 1020177033569A KR 20177033569 A KR20177033569 A KR 20177033569A KR 102531806 B1 KR102531806 B1 KR 102531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material
block
blocks
signal
resona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3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0192A (ko
Inventor
알랙산드르 로고지네
레디 반갈라
Original Assignee
시티에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4/842,920 external-priority patent/US9431690B2/en
Application filed by 시티에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시티에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80010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02Dielectric waveguid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12Hollow waveguides
    • H01P3/122Dielectric loaded (not air)

Landscapes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RF 신호 전송용 도파관 필터는 조합된 병렬의 적층된 관계로 함께 접속되는 복수의 유전체 재료 블록을 포함한다. 각 블록은 공진기를 형성하고 도전 재료의 층으로 덮힌 외부 표면을 포함하며 함께 접속된 블록과 함께 내측 도전 재료의 층을 형성한다. 내측 도전 재료의 층은 병렬의 적층된 블록 내의 공진기 사이에서 RF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내측창을 형성하는 도전 재료가 없는 영역을 포함한다. 내측 도전 재료의 층은 또한 적층 블록 내의 공진기 사이에서 RF 신호를 간접 전송하기 위한 격리된 도전 재료의 패드를 형성하는 도전 재료가 없는 영역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직접 커플링 및 교호 크로스 커플링을 갖는 유전체 도파관 필터
관련 출원 및 동시 계류 중인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1년 12월 3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3/373,862호, 현재 2015년 5월 12일자로 발행된 미국 특허 제9,030,279호의 출원일 및 개시의 이익을 청구하는 2015년 5월 11일에 출원한 미국 특허 출원 제14/708,870호의 출원일 및 개시의 이익을 청구하는 일부 계속 출원이며, 이의 개시 내용은 인용된 모든 인용 문헌이 거기에 있는 것처럼 참조로서 본 출원에 통합된다.
본 출원은 또한 2013년 11월 25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4/088,471호, 현재 2015년 9월 8일자로 발행된 미국 특허 제9,130,255호의 출원일 및 개시의 이익을 청구하는 2015년 9월 2일에 출원한 미국 특허 출원 제14/842,920호의 출원일 및 개시의 이익을 청구하는 일부 계속 출원이며, 이의 개시 내용은 인용된 모든 인용 문헌이 거기에 있는 것처럼 참조로서 본 출원에 통합된다.
본 출원은 또한 2015년 5월 22일에 출원한 미국 가출원 제 62/165,657호의 출원일 및 개시의 이익을 청구하며, 이의 개시 내용은 인용된 모든 인용 문헌이 거기에 있는 것처럼 참조로서 본 출원에 통합된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유전체 도파관 필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직접 커플링 및 교호 크로스 커플링을 갖는 유전체 세라믹 도파관 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이네 등(Heine et al.)에게 발행된 미국 특허 제5,926,079호에 개시된 종류의 유전체 도파관 필터에 관한 것으로, 해당 특허에서의 복수의 공진기는 유전체/세라믹 재료 블록의 길이를 따라서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복수의 슬롯/노치는 이들 블록의 길이를 따라서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복수의 공진기 사이에서 직접(direct) 유도성(inductive)/용량성(capacitive) 커플링을 제공하는 복수의 RF 신호 유전체 재료 브리지(bridge)를 형성하고 있다.
하이네 등에게 발행된 미국 특허 제5,926,079호에 개시된 종류의 도파관 필터의 감쇠 특성은 도파관 필터의 한쪽 또는 양쪽 단부에 추가적인 공진기를 위치시키는 형태로 영점(zero)을 수용하여 증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추가적인 공진기를 설치하면 이 때문에 필터의 길이가 증가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일부 경우에 있어서는 바람직하지 못하거나 또는 고객의 장치 본체 상의 공간 제약에 따라서 불가능할 수도 있다.
필터의 감쇠 특성은 또한, 예컨대, 방갈라 등(Vangala et al.)에게 발행된 미국 특허 제7,714,68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공진기의 직접 및 크로스 커플링 모두에 의해서 향상될 수 있으며, 해당 특허는 필터의 상면 상에 형성된 각각의 금속 배선 처리 패턴에 의해서 일부 생성되고 공진기 관통홀 중의 선택된 관통홀 사이에서 연장되는 유도성 직접 커플링 및 쿼드라플릿(quadruplet) 크로스 커플링 모두를 갖는 블록 필터를 개시하고 있으며, 이에 의해서 공진기의 직접 및 크로스 커플링을 제공하고 있다.
방갈라 등(Vangala et al.)에게 발행된 미국 특허 제7,714,680호에 개시되고 상면 금속 배선 처리 패턴을 포함하는 종류의 직접 및 크로스 커플링은 슬롯만을 포함하고 있고 어떠한 상면 금속 배선 처리 패턴도 포함하고 있지 않은 하이네 등(Heine et al.)에게 발행된 미국 특허 제5,926,079호에는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직접(direct) 및 선택적인(optional) 또는 교호(alternative) 크로스 커플드 공진기 모두를 갖는 유전체 도파관 필터에 관한 것이며, 이 필터는 도파관 필터의 길이 증가를 회피하면서 도파관 필터의 감쇠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대략적으로 병렬의 적층된 관계로 함께 접속된 복수의 유전체 재료 블록, 상기 블록들의 각각은 공진기를 형성하고 도전 재료의 층으로 덮힌 외부 표면을 포함하며 병렬의 적층된 복수의 유전체 재료 블록 사이에서 내측 도전 재료의 층을 형성하고, 도전 재료가 없고 병렬의 적층된 복수의 유전체 재료 블록 내의 공진기 사이에서 RF 신호의 직접(direct) 전송을 위한 제 1 내측창을 형성하는 내측 도전 재료의 층 내의 제 1 영역, 및 도전 재료가 없고 적층된 복수의 유전체 재료 블록 내의 공진기 사이에서 RF 신호의 간접(indirect) 전송을 위한 제 2 내측 수단을 형성하는 내측 도전 재료의 층 내의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RF 신호 전송용 도파관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RF 신호의 간접 전송을 위한 제 2 내측 수단은 내측 도전 재료의 층 내의 격리된(isolated) 도전 재료의 패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조합된 병렬의 적층된 관계로 함께 접속된 복수의 유전체 재료 블록으로서, 도전 재료의 층으로 덮힌 외부 표면을 포함하고 복수의 공진기를 형성하는 복수의 유전체 재료 블록, 복수의 유전체 재료 블록의 각각의 외부 표면을 덮는 도전 재료의 층에 의해서 병렬의 복수의 유전체 재료 블록 각각의 사이에 형성된 제 1 내측 도전 재료의 층, 복수의 유전체 재료 블록의 각각의 외부 표면을 덮는 도전 재료의 층에 의해서 적층된 복수의 유전체 재료 블록 각각의 사이에 형성된 제 2 내측 도전 재료의 층, 복수의 유전체 재료 블록 중의 제 1 블록에 형성된 RF 신호 입력부, 복수의 유전체 재료 블록 중의 제 2 블록에 형성되는 RF 신호 출력부로서, RF 신호가 RF 신호 입력부와 RF 신호 출력부 사이의 유전체 재료 블록 내의 복수의 공진기를 통해서 전송되는 RF 신호 출력부, 복수의 유전체 재료 블록 중 하나의 블록에 공진기와 복수의 유전체 재료 블록 중 다른 하나의 블록에 공진기 사이에서 RF 신호의 직접 전송을 위해서 제 1 및 제 2 내측 도전 재료의 층의 선택된 영역 내에 형성된 내측 직접 RF 신호 전송 수단, 및 복수의 유전체 재료 블록 중 하나의 블록에 공진기와 복수의 유전체 재료 블록 중 다른 하나의 블록에 공진기 사이에서 RF 신호의 간접 전송을 위해서 제 1 내측 도전 재료의 층의 선택된 영역 내에 형성된 내측 간접 RF 신호 전송 수단,을 포함하는 RF 신호 전송용 도파관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내측 직접 RF 신호 전송 수단은 도전 재료가 없는 제 1 및 제 2 내측 도전 재료의 층 내의 창(window)에 의해서 형성되고 내측 간접 RF 신호 전송 수단은 제 1 내측 도전 재료의 층 내에 형성된 격리된 도전 재료의 패드에 의해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유전체 재료 블록은 병렬 관계로 함께 접속된 제 1 및 제 2 유전체 재료 블록 및 병렬 관계로 함께 접속된 제 3 및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을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유전체 재료 블록은 적층 관계로 제 3 및 제 4 블록들에 접속되며, RF 신호 입력부 및 RF 신호 출력부는 각각 제 1 및 제 2 유전체 재료 블록 내에 형성되며, 내측 직접 RF 신호 전송 수단은 제 1 및 제 3 유전체 재료 블록 사이에 형성된 제 1 내부창, 및 제 3 및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 사이에 형성된 제 2 내부창, 및 제 4 및 제 2 유전체 재료 블록 사이에 형성된 제 3 내부창에 의해서 형성되며, 내측 간접 RF 신호 전송 수단은 제 1 및 제 3 유전체 재료 블록 사이의 제 1 내측 격리된 도전 재료의 패드 및 제 2 및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 사이의 제 2 내측 격리된 도전 재료의 패드에 의해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RF 신호 입력부 및 출력부의 각각은 복수의 유전체 재료 블록 중의 제 1 및 제 2 블록을 각각 관통하여 연장되는 RF 신호 전송 관통홀에 의해서 형성되며, 내측 간접 RF 신호 전송 수단은 내부 도전 재료의 층 내의 격리된 도전 재료의 패드이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 제 1 및 제 2 유전체 재료 블록으로서, 병렬 관계로 함께 접속되고, 각각 복수의 공진기를 형성하며 도전 재료의 층으로 덮힌 외부 표면을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유전체 재료 블록, 제 3 및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으로서, 병렬 관계로 함께 접속되고, 각각 복수의 공진기를 형성하며 도전 재료의 층으로 덮힌 외부 표면을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유전체 재료 블록과 서로 적층 관계로 접속되는 제 3 및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을 덮는 도전 재료의 층에 의해서 제 1 및 제 2 유전체 재료 블록 및 제 3 및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내부 도전 재료의 층,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을 덮는 도전 재료의 층에 의해서 제 1 및 제 3 유전체 재료 블록 및 제 2 및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내부 도전 재료의 층, 제 1 유전체 재료 블록 내에 형성되는 RF 신호 입력 전송 관통홀, 제 2 유전체 재료 블록에 형성된 RF 신호 출력 전송 관통홀로서, RF 신호가 RF 신호 입력 전송 관통홀 및 RF 신호 출력 전송 관통홀 사이에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 내의 복수의 공진기를 관통하여 전달되는 RF 신호 출력 전송 관통홀, 제 1 및 제 3 유전체 재료 블록 사이에 및 제 1 유전체 재료 블록 내의 복수의 공진기 중의 하나와 제 3 유전체 재료 블록 내의 복수의 공진기 중의 하나 사이에서의 RF 신호의 직접 전송을 위해서 도전 재료가 없는 제 1 내부 도전 재료의 층 내의 제 1 영역에 의해서 형성되는 제 1 내측 직접 RF 신호 전송창, 제 2 및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 사이에 및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 내의 복수의 공진기 중의 하나와 제 2 유전체 재료 블록 내의 복수의 공진기 중의 하나 사이에서의 RF 신호의 직접 전송을 위해서 도전 재료가 없는 제 1 내부 도전 재료의 층 내의 제 2 영역에 의해서 형성되는 제 2 내측 직접 RF 신호 전송창, 제 3 및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 사이에 및 제 3 유전체 재료 블록 내의 복수의 공진기 중의 하나와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 내의 복수의 공진기 중의 하나 사이에서의 RF 신호의 직접 전송을 위해서 제 2 내부 도전 재료의 층 내의 제 1 영역에 의해서 형성되는 제 3 내측 직접 RF 신호 전송창, 제 1 및 제 3 유전체 재료 블록 사이에 및 제 1 유전체 재료 블록 내의 복수의 공진기 중의 다른 공진기와 제 3 유전체 재료 블록 내의 복수의 공진기 중의 다른 공진기 사이에서 RF 신호의 간접 전송을 위해서 도전 재료가 없는 제 1 내부 도전 재료의 층 내의 제 3 영역에 의해서 형성되는 제 1 내측 간접 RF 신호 전송 수단, 및 제 2 및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 사이에 및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 내의 복수의 공진기 중의 다른 공진기와 제 2 유전체 재료 블록 내의 복수의 공진기 중의 다른 공진기 사이에서 RF 신호의 간접 전송을 위해서 도전 재료가 없는 제 1 내부 도전 재료의 층 내의 제 4 영역에 의해서 형성되는 제 2 내측 간접 RF 신호 전송 수단,을 포함하는 RF 신호 전송용 도파관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내측 간접 RF 신호 전송 수단은 제 1 내부 도전 재료의 층 내의 제 3 및 제 4 영역에 의해서 형성된 제 1 및 제 2 격리된 도전 재료의 패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 내의 복수의 공진기는 슬릿(slit) 및 RF 신호 전송 브리지에 의해서 분리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3 유전체 재료 블록 내에 형성된 슬릿은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 내에 형성된 슬릿을 마주보며(face), 제 1 유전체 재료 블록 내에 형성된 슬릿은 제 2 유전체 재료 블록 내에 형성된 슬릿을 마주하지 않는다(face away).
본 발명의 다른 장점 및 특징은 이하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첨부 도면, 및 첨부 청구 범위로부터 더욱 즉각적으로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특징 및 기타 특징은 이하 첨부 도면의 설명에 의해서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도파관 필터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유전체 도파관 필터의 확대된 부분 투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전체 도파관 필터의 별개의 솔리드 유전체 블록들의 각각의 확대된 부분 투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2, 및 3은 직접 커플링 및 교호 크로스 커플링 형상 모두를 수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유전체 도파관 필터(100)를 나타낸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도파관 필터(100)는 네 개의 별도의 대략 평행한 파이프라인 형상의 고체 유전체 재료 블록 또는 블록들(101, 103, 201, 및 203)로 형성되며, 이들은 병렬의 적층된 관계로 함께 조합되어 접속되고 고정되어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도파관 필터(100)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하부 블록(101 및 103)은 병렬 관계로 함께 접속되며 상부 블록(201 및 203)은 하부 블록(101 및 103) 상에 및 위에 적층된 상부 블록(201 및 203)과 병렬 관계로 함께 접속되며, 이때 상부 블록(201)은 하부 블록(101) 상에 및 위에 적층되고 상부 블록(203)은 하부 블록(103) 상에 및 위에 적층된다.
각각의 하부 블록(101 및 103)은, 예를 들면, 세라믹과 같은 적절한 고체 유전체 재료 블록을 포함하며, 이 블록은 종축(L1)을 형성하고, 종축(L1) 방향과 동일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대향 종방향 수평 외부 하부 및 상부면(102 및 104)을 포함하고, 종축(L1) 방향과 동일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대향 종방향 측면 수직 외부 표면(106 및 108), 및 각 블록(101 및 103)의 종축(L1)에 대해서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하는 대향 횡방향 측면 수직 외부 단부면(110 및 112),을 포함한다.
각 블록(101 및 103)은 복수의 공진부(또한 캐비티 또는 셀 또는 공진기로도 통칭됨)(114, 116, 및 118, 120)를 각각 포함하며, 이들은,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각 블록(101 및 103)의 길이 및 종축(L1)을 따라서 종방향으로 이격되고 연장되며 각각의 수직 슬릿 또는 슬롯(124 및 126)에 의해서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이들 슬릿 또는 슬롯은 각각 각 블록(101 및 103)의 표면(102, 104, 106, 및 108) 및 각각의 유전체 재료 RF 신호 브리지(128 및 130)를 절단한다.
슬롯(124 및 126)은 종축(L1)에 대해서 대략 수직인 관계로 각 블록(101 및 103)의 각 측면(106 및 108)의 길이를 따라서 연장된다. 각각의 슬롯(124 및 126)은 각각의 측면(106 및 108) 및 대향 수평면(102 및 104)을 관통 절단하고 본체와 각각의 유전체 재료 블록(101 및 103)을 부분적으로 관통 절단한다. 슬롯(124 및 126)은 대향 횡방향 외부 단부면(110 및 112)의 사이에 및 이들에 대해서 평행한 관계로 각 블록(101 및 103)의 대략 중앙에 위치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슬롯(124 및 126)은 각 블록(101 및 103)의 전체 폭까지 연장되지 않으며 따라서 블록(101 및 103)은 블록(101 및 103) 내의 각각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는 각각의 RF 신호 브리지(128 및 130)를 형성하며, 이들 브리지는 각각 각 블록(101 및 103)의 각 종축(L1)에 대해서 대략 수직인 관계 및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 블록(101 및 103) 내의 각각의 공진기(114, 116) 및 공진기(118 및 120)를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하는 각 블록(101 및 103) 내의 유전체 재료 브리지 또는 아일랜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블록(101) 상의 유전체 재료 브리지(128)는 공진기(114)의 유전체 재료을 공진기(116)의 유전체 재료에 연결(bridge)하고 상호 접속하고 있으며, 반면에 블록(103) 상의 유전체 재료 브리지(130)는 공진기(118)의 유전체 재료을 공진기(120)의 유전체 재료에 연결하고 상호 접속하고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유전체 재료로 형성된 각각의 RF 신호 브리지 또는 아일랜드(128 및 130)의 폭은 각각의 슬롯(124 및 126)이 각 블록(101 및 103) 내로 연장되는 거리에 따라서 결정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슬롯(124 및 126)은 각 블록(101 및 103)의 폭의 절반을 초과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각각의 RF 신호 전송 브리지(128 및 130)는 각 블록(101 및 103)의 폭의 절반 이하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임의의 도면들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슬롯(124 및 126)의 두께 또는 폭 또는 길이를 특정 용도에 따라서 변동시켜 RF 신호 브리지(128 및 130)의 폭 및 길이가 이에 따라서 변동되도록 하여 도파관 필터(100)의 전기적인 접속 및 밴드폭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파관 필터(100)의 성능 특성을 제어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블록(101 및 103)은 추가적으로 각각 대략 그 종축(L1)에 대해서 수직인 관계로 각 블록(101 및 103) 본체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각각의 관통홀(146)의 형태로서의 전기적 RF 신호 입/출력 전극을 포함하고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각 블록(101 및 103) 내에 형성된 각각의 단부 공진기(114 및 118) 본체를 관통하고 각 블록(101 및 103)의 각각의 대향 수평 상부 및 하부 외부 표면(102 및 104) 내의 각각의 개구 또는 홀(147) 내에서 종단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관통홀(146)은 각 블록(101 및 103)의 각각의 횡방향 단부 외부 표면(110)으로부터 이격되고 이들을 따라서 대략 중앙에 위치하는 관계로 각 블록(101 및 103)의 동일한 단부에 위치한다.
블록(101 및 103)의 외측면(102, 104, 106, 108, 110, 및 112) 및 슬롯(124 및 126)의 내측면, 및 입/출력 관통홀(146)의 내측면 모두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외부 표면의 일부 영역을 제외하고는, 예컨대 은(silver)과 같은 적절한 도전 재료로 덮혀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 블록(101 및 103)의 외부 상부 수평면(104)은 도전 재료가 없는 각각의 영역(400a 및 402a)을 포함하고 있으며, 따라서 각 블록(101 및 103)의 외부 상부 수평면(104) 상에 유전체 재료 영역(400a 및 402a)을 형성한다.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영역(400a)은 블록(201)이 블록(101) 상부에 적층되고 이에 접속될 때 블록(101)으로부터 블록(201)으로의 RF 신호의 직접 커플링 및 전송을 위한 수단 또는 창을 형성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인 영역(400a)은 각 블록(101 및 103)의 횡방향 단부 외부 표면(112)에 대해서 인접하고, 이격되고, 평행한 관계로 각각의 공진기(116 및 120) 영역 내에 위치하며, 더욱 더 구체적으로는, 각 블록(101 및 103) 내의 각각의 횡방향 단부 외부 표면(112) 및 각각의 슬롯(124 및 126) 사이에 및 이들로부터 이격되고 이들에 대해서 평행한 관계로 위치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영역 또는 창(400a)은 종축(L1)을 교차하고 이에 대해서 대략 수직인 관계로 각 블록(101 및 103)의 대략 중앙에 배치된다.
영역(402a)은 대략 고리 형상이며 ,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블록(201)이 블록(101) 상부에 적층되고 이에 접속될 때 블록(101)으로부터 블록(201)으로의 RF 신호의 크로스 또는 간접 커플링 및 전송을 위한 수단을 형성하는 원형 격리된 도전 재료의 패드(403a)를 형성한다. 영역(402a) 및 패드(403a)는 각 블록(101 및 103) 내의 각각의 관통홀(146) 및 각각의 슬롯(124 및 126) 사이에 및 이들로부터 이격되는 관계로 각각의 공진기(114 및 118) 영역 내에 위치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영역 또는 패드(402a)는 종축(L1)을 교차하는 관계로 각 블록(101 및 103)의 대략 중앙에 배치된다.
더 나아가, 도시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영역(400a 및 402a)은 서로에 대해서 공통 직선에(co-linearly) 배치되고 각 블록(101 및 103) 상의 각각의 슬롯(124 및 126)의 대향 측면 상에 및 이들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한다.
도 1 및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블록(101 및 103)은 이하의 관계로 함께 접속되고 고정된다 : 블록(101)의 수직 종방향 외부 측면(108)은 블록(103)의 수직 종방향 외부 측면(106)에 맞대어지고 고정됨으로써, 접속된 블록(101 및 103)의 종축(L2)과 공선형적인 관계로 각 블록(101 및 103) 사이로 연장하는 내부 도전 재료의 층 또는 도전 재료 스트립(500a)을 형성하며; 각 블록(101 및 103)의 각각의 수평 외부 표면(102 및 104)은 서로 공통 직선에 정렬되며; 각 블록(101 및 103)의 각각의 수직 외부 단부면(106 및 108)은 서로 공통 직선에 정렬되며; 각각의 슬롯(124 및 126)은 서로 공통 직선에 정렬되고 마주 보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개구되며, 내부 도전 재료 스트립(500a) 및 종축(L2)의 대향 측면 상에 및 이들로부터 이격되고 이들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 위치하며; 각각의 영역(400a)은 서로 공통 직선에 정렬되고 내부 도전 재료 스트립(500) 및 종축(L2)의 대향 측면 상에 또한 이들로부터 이격되고 이들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 위치하며; 또한 각각의 영역(402a) 및 패드(403a)는 서로 공통 직선에 정렬되고 내부 도전 재료 스트립(500) 및 종축(L2)의 대향 측면 상에 위치하고 이들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각각의 상부 블록(201 및 203)은, 예를 들면, 세라믹과 같은 적절한 고체 유전체 재료 블록을 포함하며; 이 블록은 종축(L1)을 형성하고; 종축(L1) 방향과 동일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대향 종방향 수평 외부 하부 및 상부면(202 및 204)을 포함하고; 종축(L1) 방향과 동일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대향 종방향 측면 수직 외부 표면(206 및 208); 및 각 블록(201 및 203)의 종축(L1)에 대해서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하는 대향 횡방향 측면 수직 외부 단부면(210 및 212);을 포함한다.
각 블록(201 및 203)은 복수의 공진부(또한 캐비티 또는 셀 또는 공진기로도 통칭됨)(214, 216, 및 218, 220)를 각각 포함하며, 이들은,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각 블록(201 및 203)의 길이 및 종축(L1)을 따라서 종방향으로 이격되고 연장되며 각각의 수직 슬릿 또는 슬롯(224 및 226)에 의해서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이들 슬릿 또는 슬롯은 각각 각 블록(201 및 203)의 표면(102, 104, 106, 및 108) 및 각각의 유전체 재료 RF 신호 브리지(128 및 132)를 절단한다.
슬롯(224 및 226)은 대략 종축(L1)에 대해서 수직인 관계로 각 블록(201 및 203)의 각 측면(106 및 108)의 길이를 따라서 연장된다. 각각의 슬롯(224 및 226)은 각각의 측면(106 및 108) 및 대향 수평면(102 및 104)을 관통 절단하고 본체와 각각의 유전체 재료 블록(201 및 203)을 부분적으로 관통 절단한다. 슬롯(224 및 226)은 대향 횡방향 외부 단부면(110 및 112)의 사이에 및 이들에 대해서 평행한 관계로 각 블록(201 및 203)의 대략 중앙에 위치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슬롯(224 및 226)은 각 블록(201 및 203)의 전체 폭까지 연장되지 않으며 따라서 블록(201 및 203)은 블록(201 및 203) 내의 각각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는 각각의 RF 신호 브리지(228 및 230)를 형성하며, 이들 브리지는 각각 각 블록(201 및 203)의 각 종축(L1)에 대해서 대략 수직인 관계 및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 블록(201 및 203) 내의 각각의 공진기(214, 216) 및 공진기(218 및 220)를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하는 각 블록(201 및 203) 내의 유전체 재료 브리지 또는 아일랜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블록(201) 상의 유전체 재료 브리지(228)는 공진기(214)의 유전체 재료을 공진기(216)의 유전체 재료에 연결(bridge)하고 상호 접속하고 있으며, 반면에 블록(203) 상의 유전체 재료 브리지(230)는 공진기(218)의 유전체 재료을 공진기(220)의 유전체 재료에 연결하고 상호 접속하고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유전체 재료로 형성된 각각의 RF 신호 브리지 또는 아일랜드(228 및 230)의 폭은 각각의 슬롯(224 및 226)이 각 블록(201 및 203) 내로 연장되는 거리에 따라서 결정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슬롯(224 및 226)은 각 블록(201 및 203)의 폭의 절반을 초과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각각의 RF 신호 전송 브리지(228 및 230)는 각 블록(201 및 203)의 폭의 절반 이하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임의의 도면들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슬롯(224 및 226)의 두께 또는 폭 또는 길이를 특정 용도에 따라서 변동시켜 RF 신호 브리지(228 및 230)의 폭 및 길이가 이에 따라서 변동되도록 하여 도파관 필터(100)의 전기적인 접속 및 밴드폭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파관 필터(100)의 성능 특성을 제어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블록(201 및 203)의 외측면(202, 204, 206, 208, 210, 및 212) 및 슬롯(224 및 226)의 내측면 모두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외부 표면의 일부 영역을 제외하고는, 예컨대 은(silver)과 같은 적절한 도전 재료로 덮혀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 블록(201 및 203)의 하부 외부 수평면(202)은 도전 재료가 없는 각각의 영역(400b 및 402b)을 포함하고 있으며, 따라서 각 블록(201 및 203)의 하부 외부 수평면(202) 상에 유전체 재료 영역(400b 및 402b)을 형성한다.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영역(400b)은 블록(201)이 블록(101) 상부에 적층되고 이에 접속될 때 블록(101 및 201) 사이에서의 RF 신호의 직접 커플링 및 전송을 위한 수단 또는 창을 형성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인 영역(400b)은 각 블록(201 및 203)의 횡방향 단부 외부 표면(212)에 대해서 인접하고, 이격되고, 평행한 관계로 각각의 공진기(216 및 220) 영역 내에 위치하며, 더욱 더 구체적으로는, 각 블록(201 및 203) 내의 각각의 횡방향 단부 외부 표면(212) 및 각각의 슬롯(224 및 226) 사이에 및 이들로부터 이격되고 이들에 대해서 평행한 관계로 위치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영역 또는 창(400b)은 종축(L1)을 교차하고 이에 대해서 대략 수직인 관계로 각 블록(201 및 203)의 대략 중앙에 배치된다.
영역(402b)은 대략 고리 형상이며 ,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블록(201)이 블록(101) 상부에 적층되고 이에 접속될 때 블록(101 및 201) 사이에서의 RF 신호의 크로스 또는 간접 커플링 및 전송을 위한 수단을 형성하는 원형 격리된 도전 재료의 패드(403b)를 형성한다. 영역(402b) 및 패드(403b)는 각 블록(201 및 203)의 각 슬롯(224 및 226)과 각 횡방향 외부 단부면(110) 사이에 그리고 이들로부터 이격되는 관계로 각각의 공진기(214 및 218) 영역 내에 위치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영역 또는 패드(402b)는 종축(L1)을 교차하는 관계로 각 블록(201 및 203)의 대략 중앙에 배치된다.
더 나아가,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영역(400b 및 402b)은 서로에 대해서 공통 직선에 배치되고 각 블록(201 및 203) 상의 각 슬롯(224 및 226)의 대향 측면 상에 및 이들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한다.
각 블록(201 및 203)의 측면 수직 외부 표면(208 및 206)은 도전 재료가 없는 각 영역(600a 및 600b)를 포함하므로,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블록(201 및 203)이 병렬 관계로 함께 접속될 때 블록(201 및 203) 사이에서의 RF 신호의 직접 커플링 및 전송을 위한 수단 또는 창(600a 및 600b)을 형성하는 각각의 영역(600a 및 600b)을 형성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영역 또는 창(600a 및 600b)은 각각의 공진기(214 및 218) 및 각각의 패드(402b)를 형성하는 각각의 블록(201 및 203) 영역 상에 위치하며, 각각의 패드(402)와 공선형 관계로 위치하며, 더 나아가 각각의 대향 공진기(216 및 220) 상에 형성되고 각각의 슬롯(224 및 226)에 의해서 분리되는 각각의 창(400b)에 대향하여 및 이로부터 이격되는 관계로 위치한다.
도 1 및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블록(201 및 203)은 이하의 관계로 함께 접속되고 고정된다 : 블록(201)의 수직 종방향 외부 측면(208)은 블록(203)의 수직 종방향 외부 측면(206)에 맞대어지고 고정되고, 이에 의해서 접속된 블록(201 및 203)의 종축(L2)과 공선형적인 관계로 각 블록(201 및 203) 사이로 연장하는 내부 도전 재료의 층 또는 도전 재료 스트립(500b)을 형성하며; 각각의 외부 측면(208 및 206) 상의 각각의 영역 또는 창(600a 및 600b)은 서로에 대해서 정렬되고 맞대어지며; 각 블록(201 및 203)의 각각의 외부 수평면(202 및 204)은 서로 공통 직선에 정렬되며; 각 블록(201 및 203)의 각각의 수직 외부 단부면(206 및 208)은 서로 공통 직선에 정렬되며; 각각의 슬롯(224 및 226)은 서로 공통 직선에 정렬되고 마주 보고 서로를 향해서 개구되며, 내부 도전 재료 스트립(500b) 및 종축(L2)의 대향 측면 상에 및 이들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 위치하고 이들 내에서 종단하며; 각각의 영역(400b)은 서로 공통 직선에 정렬되고 내부 도전 재료 스트립(500b) 및 종축(L2)의 대향 측면 상에 또한 이들로부터 이격되고 이들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 위치하며; 또한 각각의 영역(402b) 및 패드(403b)는 서로 공통 직선에 정렬되고 내부 도전 재료 스트립(500b) 및 종축(L2)의 대향 측면 상에 위치하고 이들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한다.
이어서, 하부 블록(101 및 103) 및 상부 블록(201 및 203)은 이하의 관계로 서로 적층된다 : 각 블록(201 및 203)의 하부 외부 수평면(202)은 하부 블록(101 및 103)의 상부 외부 수평면(104)에 맞대어짐으로써 블록(101 및 103) 및 블록(201 및 203) 사이에 위치하고 내부층 또는 스트립(500a 및 500b)에 대해서 수직하고 교차하는 관계로 연장하는 내부 도전 재료 스트립 또는 내부 도전 재료의 층(500c)을 형성하며; 각 블록(201 및 203) 상의 각각의 영역(400b, 402b), 및 패드(403b)는 각 블록(101 및 103) 상의 각각의 영역(400a, 402a), 및 패드(403a)와 정렬되고 이들과 맞대어지며; 또한 각 블록(201 및 203)의 외부 수직 측면 및 단부면(206, 208, 및 212) 각각은 필터(100)의 전체폭까지 연장되는 필터(100)의 단부에서 가늘고 긴 단차를 형성하고 만드는 각 블록(101 및 103)의 외부 수직 측면 및 단부면(106, 108, 및 112) 각각과 공평면적으로 정렬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블록(201 및 203)은 길이가 동일하고 하부 블록(101 및 103) 보다는 길이가 짧으므로,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 블록(201 및 203)의 수직 외부 단부면(210)은 각 블록(101 및 103) 내의 각각의 관통홀(146)과 공평면적으로 정렬되어 배치되고 블록(101 및 103)의 수직 외부 단면(110)으로부터 이격되고 이에 대해서 대략 평행한 관계로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파관 필터(100)는 도 1 및 2에서 화살표(d)로 대략적으로 지시한 RF 신호용 제 1 자기형(magnetic) 또는 유도형(inductive) 직접 커플링 RF 신호 전송 경로 또는 전송선을 형성하며, 이들 전송 경로 또는 전송선은 계속하여 관통홀(147)이 RF 신호 입력부를 형성하는 하부 블록(101) 내의 관통홀(147)을 내측으로 및 수직 상향으로 관통하며 이후에 블록(101)의 공진기(114)를 수평으로 또한 종축(L2) 방향에 대해서 대략 횡방향으로 관통하며; 이후에 종축(L2)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및 블록(101)의 후방 외부 단부면(112)을 향해서 블록(101) 내의 RF 신호 브리지(128)를 경유 및 관통하여 블록(101) 내의 공진기(116) 내로 수평으로 및 이를 관통하며; 이후에 수직 상향으로 상부 블록(201)의 공진기(216) 내로 관통하여 하부 블록(101)과 상부 블록(201) 사이에 종축(L2)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위치한 내부 도전 재료의 층(500c) 내에 정렬되어 형성된 내측 RF 신호 전송 수단 또는 창(400a 및400b)을 경유 및 관통하며; 이후에 종축(L1)과 동일한 방향으로 공진기(216)를 수평으로 관통하고 블록(201)의 전방 외부 단부면(210)으로 향하며; 이후에 블록(201) 내의 공진기(216)로부터 두 개의 블록(201 및 203) 사이에 종축(L2) 방향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위치한 내부 도전 재료의 층(500b) 내에 형성된 RF 신호 브리지(228)를 경유 및 관통하여 수평으로 블록(201) 내의 공진기(214) 내로 및 이를 관통하며; 이후에 종축(L2)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수평 후방으로 공진기(218)를 관통하며; 이후에 공진기(218 및 220) 사이에 위치한 RF 신호 브리지(230)를 경유 및 관통하여 블록(201) 내의 공진기(220) 내로 및 이를 수평 후방으로 관통하며; 이후에 상부 블록(203) 및 하부 블록(103) 사이에 위치한 내부 도전 재료의 층(500c) 내에 형성되어 있는 정렬된 내부 직접 RF 신호 전송 수단 또는 창(400a 및 400b)을 경유 및 관통하여 상부 블록(203) 내의 공진기(220)로부터 하부 블록(103) 내의 공진기(120)로 종축(L2) 방향에 대해서 횡방향인 방향으로 수직 하향하며; 이후에 종축(L2)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및 관통홀(147)을 향해서 하부 블록(103) 내의 공진기(120)를 수평 전방으로 관통하며; 이후에 공진기(120 및 118) 사이의 하부 블록(103) 상에 위치한 RF 신호 전송 브리지(130)를 경유 및 관통하여 하부 블록(103) 내의 공진기(118) 내로 및 이를 수평 전방으로 관통하며; 또한 이후에 하부 블록(103) 내에 형성된 관통홀(147) 내로 수직 하향으로 및 하부 블록(103) 내의 관통홀(147)이 도파관 필터(100)의 RF 신호 출력부를 형성하는 종축(L2) 방향에 대해서 횡방향인 방향으로 관통한다.
따라서,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RF 신호는 각 블록(101 및 103) 상의 각각의 입/출력 관통홀(146) 사이의 대략 U 형상 패턴 또는 경로의 도파관 필터(100)를 통해서 이동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파관(100)을 관통하여 대략 꼬이면서 또한 사행하는 U 형상의 삼차원 직접 경로로 이동한다.
도파관 필터(100)는 또한 도 1 및 2에서의 화살표(c)에 의해서 대략적으로 지시되는 RF 신호용의 한 쌍의 교호 또는 간접 또는 크로스 커플링 RF 신호 전송 수단 또는 경로를 형성하고 제공한다.
크로스 커플링 또는 간접 RF 신호 전송 경로(c) 중의 하나는 내부 도전 재료의 층(500c) 내에 위치하는 한 쌍의 내부 또는 내측 RF 신호 전송 수단 또는 격리된 도전 패드(403a, 403b)에 의해서 형성되고 생성되며, 이에 의해서, 직접 RF 신호의 일부가 하부 블록(101)의 공진기(114)를 관통하여 종축(L2) 방향에 대해서 횡방향인 방향으로 맞대어진 도전 패드(403a 및 403b)를 경유하고 관통하여 상부 블록(201)의 공진기(214) 내로 상향으로 전송되도록 하며; 또한 직접 RF 신호의 일부가 상부 블록(203)의 공진기(218)를 관통하여 종축(L2) 방향에 대해서 횡방향인 방향으로 맞대어진 도전 패드(403a 및 403b)를 경유하고 관통하여 하부 블록(103)의 공진기(118) 내로 하향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한 RF 신호의 크로스 커플링은 유리하게는 각각의 제 1 및 제 2 전송 영점(zero)을 생성하며, 이 중에서 제 1 전송 영점은 도파관 필터(100)의 패스 밴드 아래에 위치하게 될 것이고 이 중에서 제 2 전송 영점은 도파관 필터(100)의 패스 밴드의 위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도시한 각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참조하여 본 발명을 개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형식 및 상세에 있어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잘 알 것이다. 설명한 각 실시예는 모든 측면에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RF 신호 전송용 도파관 필터에 있어서,
    조합된 병렬의 적층된 관계로 함께 접속된 복수의 유전체 재료 블록들로서, 상기 복수의 유전체 재료 블록들의 각각은 도전 재료의 층으로 덮힌 외부 표면을 포함하고 복수의 공진기들을 형성하는, 상기 복수의 유전체 재료 블록들;
    상기 복수의 유전체 재료 블록들의 각각의 상기 외부 표면을 덮는 상기 도전 재료의 층에 의해서 상기 병렬의 복수의 유전체 재료 블록들 각각의 사이에 형성된 제 1 내측 도전 재료의 층;
    상기 복수의 유전체 재료 블록들의 각각의 상기 외부 표면을 덮는 상기 도전 재료의 층에 의해서 상기 적층된 복수의 유전체 재료 블록들 각각의 사이에 형성된 제 2 내측 도전 재료의 층;
    상기 복수의 유전체 재료 블록들 중의 제 1 블록에 형성된 RF 신호 입력부;
    상기 복수의 유전체 재료 블록들 중의 제 2 블록에 형성되는 RF 신호 출력부로서, 상기 RF 신호가 상기 RF 신호 입력부와 상기 RF 신호 출력부 사이의 상기 복수의 유전체 재료 블록들 내의 상기 복수의 공진기들을 통해서 전송되는, 상기 RF 신호 출력부;
    상기 복수의 유전체 재료 블록들 중 하나의 블록에서의 공진기와 상기 복수의 유전체 재료 블록들 중 다른 하나의 블록에서의 공진기 사이의 상기 RF 신호의 직접 전송을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내측 도전 재료의 층들의 선택된 영역들 내에 형성된 내측 직접 RF 신호 전송 수단; 및
    상기 복수의 유전체 재료 블록들 중 하나의 블록에서의 공진기와 상기 복수의 유전체 재료 블록들 중 다른 하나의 블록에서의 공진기 사이의 상기 RF 신호의 간접 전송을 위해 상기 제 1 내측 도전 재료의 층의 선택된 영역들 내에 형성된 내측 간접 RF 신호 전송 수단;을 포함하는, RF 신호 전송용 도파관 필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직접 RF 신호 전송 수단은 도전 재료가 없는 상기 제 1 및 제 2 내측 도전 재료의 층들 내의 창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내측 간접 RF 신호 전송 수단은 상기 제 1 내측 도전 재료의 층 내에 형성된 격리된 도전 재료의 패드에 의해서 형성되는, RF 신호 전송용 도파관 필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전체 재료 블록들은 병렬 관계(side-by-side relationship)로 함께 접속된 제 1 및 제 2 유전체 재료 블록들 및 병렬 관계로 함께 접속된 제 3 및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유전체 재료 블록들은 적층 관계로 상기 제 3 및 제 4 블록들에 접속되며, 상기 RF 신호 입력부 및 상기 RF 신호 출력부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유전체 재료 블록들 내에 형성되며, 상기 내측 직접 RF 신호 전송 수단은 상기 제 1 유전체 재료 블록과 제 3 유전체 재료 블록 사이에 형성된 제 1 내부창, 상기 제 3 유전체 재료 블록과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 사이에 형성된 제 2 내부창, 및 상기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과 제 2 유전체 재료 블록 사이에 형성된 제 3 내부창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내측 간접 RF 신호 전송 수단은 상기 제 1 유전체 재료 블록과 제 3 유전체 재료 블록 사이의 제 1 내측 격리된 도전 재료의 패드 및 상기 제 2 유전체 재료 블록과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 사이의 제 2 내측 격리된 도전 재료의 패드에 의해서 형성되는, RF 신호 전송용 도파관 필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RF 신호 입력부 및 출력부의 각각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 재료 블록들 중의 제 1 및 제 2 블록들을 각각 관통하여 연장되는 RF 신호 전송 관통홀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내측 간접 RF 신호 전송 수단은 상기 내부 도전 재료의 층 내의 격리된 도전 재료의 패드인, RF 신호 전송용 도파관 필터.
  7. RF 신호 전송용 도파관 필터에 있어서,
    병렬 관계로 함께 접속된 제 1 및 제 2 유전체 재료 블록들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유전체 재료 블록들의 각각은 복수의 공진기들을 형성하며 도전 재료의 층으로 덮힌 외부 표면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및 제 2 유전체 재료 블록들;
    병렬 관계로 함께 접속된 제 3 및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들로서, 상기 제 3 및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들의 각각은 복수의 공진기들을 형성하며 도전 재료의 층으로 덮힌 외부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유전체 재료 블록들 및 상기 제 3 및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들은 서로 적층 관계로 접속되는, 상기 제 3 및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들;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들을 덮는 상기 도전 재료의 층에 의해서 상기 제 1 및 제 2 유전체 재료 블록들과 상기 제 3 및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들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내부 도전 재료의 층;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들을 덮는 상기 도전 재료의 층에 의해서 상기 제 1 및 제 3 유전체 재료 블록들과 상기 제 2 및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들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내부 도전 재료의 층;
    상기 제 1 유전체 재료 블록 내에 형성되는 RF 신호 입력 전송 관통홀;
    상기 제 2 유전체 재료 블록에 형성된 RF 신호 출력 전송 관통홀로서, 상기 RF 신호는 상기 RF 신호 입력 전송 관통홀과 상기 RF 신호 출력 전송 관통홀 사이에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들 내의 상기 복수의 공진기들을 관통하여 전달되는, 상기 RF 신호 출력 전송 관통홀;
    상기 제 1 유전체 재료 블록과 제 3 유전체 재료 블록 사이의 제 1 내측 직접 RF 신호 전송창으로, 상기 제 1 유전체 재료 블록 내의 상기 복수의 공진기들 중의 하나의 공진기와 상기 제 3 유전체 재료 블록 내의 상기 복수의 공진기들 중의 하나의 공진기 사이에서의 상기 RF 신호의 직접 전송을 위해 도전 재료가 없는 상기 제 1 내부 도전 재료의 층 내의 제 1 영역에 의해서 형성되는, 상기 제 1 내측 직접 RF 신호 전송창;
    상기 제 2 유전체 재료 블록과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 사이의 제 2 내측 직접 RF 신호 전송창으로서, 상기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 내의 상기 복수의 공진기들 중의 하나의 공진기와 상기 제 2 유전체 재료 블록 내의 상기 복수의 공진기들 중의 하나의 공진기 사이에서의 상기 RF 신호의 직접 전송을 위해 도전 재료가 없는 상기 제 1 내부 도전 재료의 층 내의 제 2 영역에 의해서 형성되는, 상기 제 2 내측 직접 RF 신호 전송창;
    상기 제 3 유전체 재료 블록과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 사이의 제 3 내측 직접 RF 신호 전송창으로서, 상기 제 3 유전체 재료 블록 내의 상기 복수의 공진기들 중의 하나의 공진기와 상기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 내의 공진기들 중의 하나의 공진기 사이에서의 상기 RF 신호의 직접 전송을 위해 상기 제 2 내부 도전 재료의 층 내의 제 1 영역에 의해서 형성되는, 상기 제 3 내측 직접 RF 신호 전송창;
    상기 제 1 유전체 재료 블록과 제 3 유전체 재료 블록 사이의 제 1 내측 간접 RF 신호 전송 수단으로서, 상기 제 1 유전체 재료 블록 내의 상기 복수의 공진기들 중의 다른 공진기와 상기 제 3 유전체 재료 블록 내의 상기 복수의 공진기들 중의 다른 공진기 사이에서의 상기 RF 신호의 간접 전송을 위해 도전 재료가 없는 상기 제 1 내부 도전 재료의 층 내의 제 3 영역에 의해서 형성되는, 상기 제 1 내측 간접 RF 신호 전송 수단; 및
    상기 제 2 유전체 재료 블록과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 사이의 제 2 내측 간접 RF 신호 전송 수단으로서, 상기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 내의 상기 복수의 공진기들 중의 다른 공진기와 상기 제 2 유전체 재료 블록 내의 상기 복수의 공진기들 중의 다른 공진기 사이에서의 상기 RF 신호의 간접 전송을 위해 도전 재료가 없는 상기 제 1 내부 도전 재료의 층 내의 제 4 영역에 의해서 형성되는, 상기 제 2 내측 간접 RF 신호 전송 수단;을 포함하는, RF 신호 전송용 도파관 필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내측 간접 RF 신호 전송 수단은 상기 제 1 내부 도전 재료의 층 내의 상기 제 3 및 제 4 영역들에 의해서 형성된 제 1 및 제 2 격리된 도전 재료의 패드들을 포함하는, RF 신호 전송용 도파관 필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들 내의 상기 복수의 공진기들은 슬릿 및 RF 신호 전송 브리지에 의해서 분리되는, RF 신호 전송용 도파관 필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유전체 재료 블록 내에 형성된 슬릿은 상기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 내에 형성된 슬릿을 마주보며(face), 상기 제 1 유전체 재료 블록 내에 형성된 슬릿은 상기 제 2 유전체 재료 블록 내에 형성된 슬릿을 마주하지 않는(face away), RF 신호 전송용 도파관 필터.
  11. 유전체 도파관 필터에 있어서,
    도전재료의 외부층으로 덮힌 대향 종방향 측면 수직 외부 표면과 대향 종방향 수평 외부 표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외부 표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제 1 유전체 재료 블록;
    도전재료의 외부층으로 덮힌 대향 종방향 측면 수직 외부 표면과 대향 종방향 수평 외부 표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외부 표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제 2 유전체 재료 블록으로서, 제 1 및 제 2 유전체 재료 블록은 맞대어진(abutting) 관계로 함께 접속되는, 상기 적어도 제 2 유전체 재료 블록;
    제 1 및 제 2 유전체 재료 블록의 각각에서 형성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진기;
    제 1 또는 제 2 유전체 재료 블록상에 형성된 적어도 제 1 RF 신호 입력/출력 전극; 및
    제 1 유전체 재료 블록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진기와 제 2 유전체 재료 블록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진기 사이에서 RF 신호의 전송을 위한 직접 경로(direct path)를 형성하는 제 1 RF 신호 전송창을 구비하고,
    상기 유전체 도파관 필터는:
    도전 재료의 외부층으로 덮힌 대향 종방향 측면 수직 외부 표면과 대향 종방향 수평 외부 표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외부 표면을 포함하는 제 3 유전체 재료 블록;
    도전 재료의 외부층으로 덮힌 대향 종방향 측면 수직 외부 표면과 대향 종방향 수평 외부 표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외부 표면을 포함하는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으로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은 적층된 병렬의 맞대어진 관계로 서로에 대해 맞대어지고 접속되는, 상기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
    제 3 및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의 각각에서 형성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진기;
    제 3 유전체 재료 블록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진기와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진기 사이에서 RF 신호의 전송을 위한 직접 경로를 형성하는 제 2 RF 신호 전송창; 및
    제 2 유전체 재료 블록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진기와 제 4 유전체 재료 블록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진기 사이에서 RF 신호의 전송을 위한 직접 경로를 형성하는 제 3 RF 신호 전송창을 더 구비하는, 유전체 도파관 필터.
  12. 삭제
KR1020177033569A 2015-05-22 2016-05-13 직접 커플링 및 교호 크로스 커플링을 갖는 유전체 도파관 필터 KR1025318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65657P 2015-05-22 2015-05-22
US62/165,657 2015-05-22
US14/842,920 US9431690B2 (en) 2011-05-09 2015-09-02 Dielectric waveguide filter with direct coupling and alternative cross-coupling
US14/842,920 2015-09-02
PCT/US2016/032254 WO2016191116A1 (en) 2015-05-22 2016-05-13 Dielectric waveguide filter with direct coupling and alternative cross-coupl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192A KR20180010192A (ko) 2018-01-30
KR102531806B1 true KR102531806B1 (ko) 2023-05-16

Family

ID=57393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3569A KR102531806B1 (ko) 2015-05-22 2016-05-13 직접 커플링 및 교호 크로스 커플링을 갖는 유전체 도파관 필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531806B1 (ko)
CN (1) CN107636890B (ko)
WO (1) WO20161911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9321A1 (ja) * 2017-01-27 2018-08-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導波管フィルタ、高周波フロントエンド回路、および、通信装置
KR101939056B1 (ko) * 2017-05-22 2019-01-16 안종석 유전체 도파관 필터
JP6927434B2 (ja) 2018-07-02 2021-09-0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導波管フィルタ
WO2020111396A1 (ko) * 2018-11-26 2020-06-04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필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41217B1 (ko) * 2018-11-26 2021-04-16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필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93435B1 (ko) 2018-11-26 2020-12-21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필터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0111397A1 (ko) * 2018-11-26 2020-06-04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필터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9560355B (zh) * 2018-12-28 2024-05-14 重庆思睿创瓷电科技有限公司 用于5g通信的介质体、介质波导滤波器、射频模块及基站
WO2020171247A1 (en) * 2019-02-19 2020-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 substrate waveguide filter and a coupling inversion structure thereof
US11962055B2 (en) 2019-06-28 2024-04-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Waveguide band-stop filter arrangement
CN110504517B (zh) * 2019-08-19 2021-03-12 京信通信技术(广州)有限公司 介质波导谐振器及其端口耦合量调节方法与滤波器
KR102344664B1 (ko) * 2019-12-11 2021-12-30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필터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77900A1 (en) * 2011-05-09 2014-03-20 Cts Corporation Dielectric Waveguide Filter with Direct Coupling and Alternative Cross-Couplin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6896A (en) * 1977-12-30 1983-08-02 Communications Satellite Corporation Multiple coupled cavity waveguide bandpass filters
US4644343A (en) * 1985-09-30 1987-02-17 The Boeing Company Y-slot waveguide antenna element
JP3405140B2 (ja) * 1996-12-11 2003-05-1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共振器
US9130256B2 (en) * 2011-05-09 2015-09-08 Cts Corporation Dielectric waveguide filter with direct coupling and alternative cross-coupling
US9130258B2 (en) * 2013-09-23 2015-09-08 Cts Corporation Dielectric waveguide filter with direct coupling and alternative cross-coupling
WO2014085383A1 (en) * 2012-11-28 2014-06-05 Cts Corporation Dielectric waveguide filter with direct coupling and alternative cross-coupling
CN105359335B (zh) * 2013-06-03 2017-04-05 Cts公司 具有直接耦合和交替的交叉耦合的介质波导滤波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77900A1 (en) * 2011-05-09 2014-03-20 Cts Corporation Dielectric Waveguide Filter with Direct Coupling and Alternative Cross-Coup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91116A1 (en) 2016-12-01
CN107636890B (zh) 2020-06-30
CN107636890A (zh) 2018-01-26
KR20180010192A (ko) 201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1806B1 (ko) 직접 커플링 및 교호 크로스 커플링을 갖는 유전체 도파관 필터
JP6782745B2 (ja) 直接結合および代替交差結合を伴う誘電体導波管フィルタ
US9130258B2 (en) Dielectric waveguide filter with direct coupling and alternative cross-coupling
US10050321B2 (en) Dielectric waveguide filter with direct coupling and alternative cross-coupling
JP6078064B2 (ja) 直接結合及び代替クロス結合を有する誘電体導波路フィルター
US9130256B2 (en) Dielectric waveguide filter with direct coupling and alternative cross-coupling
US9666921B2 (en) Dielectric waveguide filter with cross-coupling RF signal transmission structure
US10116028B2 (en) RF dielectric waveguide duplexer filter module
JP5675449B2 (ja) 誘電体導波管フィルタ
CN107683546B (zh) Rf电介质波导双工器滤波器模块
US11437691B2 (en) Dielectric waveguide filter with trap resonator
JP2015536624A5 (ko)
KR102579968B1 (ko) Rf 유전체 도파관 듀플렉서 필터 모듈
US11081769B2 (en) RF dielectric waveguide duplexer filter module
KR20160013892A (ko) 직접 결합 및 대안적인 교차-결합을 가진 유전체 도파관 필터
JP5184561B2 (ja) フィンライン型導波管構造、偏波分離器およびフィンライン型導波管構造の製造方法
JP3953447B2 (ja) 誘電体デュプレクサー
JP2019114898A (ja) 電磁波伝送路、共振器、アンテナ、および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