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750B1 - 진동 특성을 이용한 침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진동 특성을 이용한 침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750B1
KR102531750B1 KR1020220162814A KR20220162814A KR102531750B1 KR 102531750 B1 KR102531750 B1 KR 102531750B1 KR 1020220162814 A KR1020220162814 A KR 1020220162814A KR 20220162814 A KR20220162814 A KR 20220162814A KR 102531750 B1 KR102531750 B1 KR 102531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tool
vibration
medical
invasiv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2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어스메디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어스메디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어스메디컬
Priority to KR1020220162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7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53Details for enhanced collection of blood or interstitial fluid at the sample site, e.g. by applying compression, heat, vibration, ultrasound, suction or vacuum to tissue; for reduction of pain or discomfort; Skin piercing elements, e.g. blades, needles, lancets or canulas, with adjustable piercing speed
    • A61B5/150106Means for reducing pain or discomfort applied before puncturing; desensitising the skin at the location where body is to be pierced
    • A61B5/150137Means for reducing pain or discomfort applied before puncturing; desensitising the skin at the location where body is to be pierced by vib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6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06"Over-the-needle" catheter assemblies, e.g. I.V.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5Guide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2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desensitising skin, for protruding skin to facilitate piercing, or for locating point where body is to be pierced
    • A61M5/422Desensitising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6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64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easuring force, pressure or mechanical tension
    • A61B2090/065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easuring force, pressure or mechanical tension for measuring contact or contact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23Operational features of calibration, e.g. protocols for calibrating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ma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특성을 이용한 침습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장치는, 침습을 위한 제 1 의료 도구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제 1 의료 도구에 전달되는 진동을 생성하는 제 1 진동 모듈;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 1 의료 도구에 대한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제 1 의료 도구에 전달되는 진동의 주파수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동 특성을 이용한 침습 장치 및 방법{INVASIVE APPARATUS, AND METHOD USING VIBRATION CHARACTERISTICS}
본 개시는 침습을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진동 특성을 이용하여 채혈 등을 위한 의료 술기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혈관 등의 신체 조직에 침습을 수행해야 하는 다양한 의료 술기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정맥 주사(IV: intravenous)는 정맥을 바늘로 천자하여 약물을 직접 혈관 속에 투입하는 방식이다. 경구적으로 수분을 충분히 투여할 수 없는 경우, 정맥 주사는 수분이나 염분, 그 밖에 필요한 전해질을 보급하기 위하여, 또는 출혈 후의 혈액보급을 비롯하여 해독제 등의 약제를 혈액 속에 주입하거나 빠른 약효를 기대할 경우 등에 쓰인다.
정맥 주사는 약물 투여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가이드 니들(guide needle)과 카테터 쉬스(catheter sheath)가 겹쳐진 상태로 수행된다. 즉, 의료진은 가이드 니들과 카테터 쉬스를 겹친 상태에서 주사를 수행하고, 카테터 쉬스를 정맥 내로 더 밀어넣는 동작을 통해 약물이 투입될 공간을 확보한다. 그리고, 의료진은 카테터 쉬스를 통해 확보된 공간으로 약물을 일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정맥 주사는 가이드 니들과 카테터 쉬스가 겹쳐진 상태에서 수행되므로, 침습 과정에서 환자가 고통, 불편함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정맥 주사는 가이드 니들과 카테터 쉬스가 겹쳐진 상태에서 수행되므로, 침습 과정에서 혈관, 신경 혹은 조직이 손상되는 문제가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11135호(2014.09.18.)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진동 특성을 이용하여 의료 도구와 신체 조직 간의 마찰을 최소화 하고, 진동이 필요한 지점을 목표로 진동을 가할 수 있는 침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개시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를 근거로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습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장치는, 침습을 위한 제 1 의료 도구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제 1 의료 도구에 전달되는 진동을 생성하는 제 1 진동 모듈;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 1 의료 도구에 대한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제 1 의료 도구에 전달되는 진동의 주파수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 1 의료 도구에 관한 제 1 이미지를 토대로, 상기 제 1 의료 도구의 길이를 파악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의료 도구의 소정의 지점에서, 상기 진동과 침습 목표 지점에 인입된 제 1 의료 도구의 끝단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반사파에 의해 생성된 정상파의 보강 간섭이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파악된 제 1 의료 도구의 길이를 기초로, 상기 제 1 의료 도구에 전달되는 진동의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 1 의료 도구의 소정의 지점은, 침습 과정에서 상기 제 1 의료 도구가 신체 부위에 맞닿아 발생하는 마찰력이 작용하는 지점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제 1 의료 도구와 상이한 제 2 의료 도구에 전달되는 진동을 생성하는 제 2 진동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의료 도구에 관한 제 1 이미지와 상기 제 2 의료 도구에 관한 제 2 이미지 간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의료 도구의 소정의 지점에서 발생하는 보강 간섭의 진폭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 1 이미지와 캘리브레이션 된 제 2 이미지를 토대로 파악된 제 2 의료 도구의 길이를 기초로, 상기 제 2 의료 도구에 전달되는 진동의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제 1 의료 도구의 탈부착을 위한 제 1 어댑터(adaptor); 및 상기 제 2 의료 도구의 탈부착을 위한 제 2 어댑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 1 의료 도구는, 채혈을 위한 바늘, 혹은 정맥 주사를 위한 카테터 쉬스(catheter sheath)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의료 도구는, 상기 채혈을 위한 주사기, 상기 채혈을 위한 튜브(tube), 혹은 상기 정맥 주사를 위한 가이드 니들(guide needle)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장치는, 침습 과정에서 상기 제 1 의료 도구, 혹은 상기 제 1 의료 도구와 상이한 제 2 의료 도구 중 적어도 하나의 마찰력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침습 과정에서 측정된, 상기 제 1 의료 도구 혹은 상기 제 2 의료 도구 중 적어도 하나의 마찰력을 기초로, 상기 제 1 의료 도구 혹은 상기 제 2 의료 도구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되는 진동의 진폭을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 1 의료 도구의 탈부착을 위한 제 1 어댑터가 결합되는 제 1 프레임(frame)에 구비되는 제 1 센서 모듈; 및 상기 제 2 의료 도구의 탈부착을 위한 제 2 어댑터가 결합되는 제 2 프레임에 구비되는 제 2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습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침습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침습을 위한 제 1 의료 도구 혹은 상기 제 1 의료 도구와 상이한 제 2 의료 도구 중 적어도 하나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의료 도구 혹은 상기 제 2 의료 도구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되는 진동의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채혈 등을 위한 의료 도구의 침습 시 진동 특성을 이용하여 의료 도구와 신체 조직 간의 마찰을 최소화 하고, 환자의 고통, 불편함, 연조직 외상 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의료 도구와 신체 조직 간의 마찰을 최소화 하고 진동이 필요한 지점을 목표로 진동을 가함으로써, 조직의 눌림을 감소시켜 침습의 정확도 및 침습 수행 과정의 효율성을 상승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습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습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습 장치의 진동 특성을 이용한 동작 방식을 표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개시의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본 개시에서 제시된 실시예들은 당업자가 본 개시의 내용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즉,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본 개시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면 부호는 생략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또는" 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또는" 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 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본 개시에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그 의미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그 의미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 는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혹은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로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개념들 중 하나 이상의 개념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 이라는 용어는, 특정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만,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 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다른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에 대한 조합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 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 N(N은 자연수)" 이라는 용어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을 기능적 관점, 구조적 관점, 혹은 설명의 편의 등 소정의 기준에 따라 상호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서 서로 다른 기능적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들은 제 1 구성요소 혹은 제 2 구성요소로 구별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분되어야 하는 구성요소들도 제 1 구성요소 혹은 제 2 구성요소로 구별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연결" 이라는 용어는,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 하는 경우와,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 "모듈(module)", 또는 "부(unit)" 는 하드웨어(hardware) 혹은 그 일부, 소프트웨어(software)와 하드웨어의 조합 등과 같은 독립적인 기능 단위를 지칭하는 용어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모듈", 또는 "부"는 단일 요소로 구성된 단위일 수도 있고, 복수의 요소들의 조합 혹은 집합으로 표현되는 단위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협의의 개념으로서 "모듈", 또는 "부"는 특정 목적을 위한 장치의 하드웨어 요소 또는 그 집합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광의의 개념으로서 "모듈", 또는 "부"는 특정 목적을 위한 장치 그 자체를 지칭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개념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므로, "모듈", 또는 "부"의 개념은 본 개시의 내용을 기초로 당업자가 이해 가능한 범주에서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전술한 용어의 설명은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용어를 본 개시의 내용을 한정하는 사항으로 명시적으로 기재하지 않은 경우, 본 개시의 내용을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의미로 사용하는 것이 아님을 주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습 장치의 블록도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습 장치는 의료용 로봇의 일부 혹은 의료용 로봇 그 자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침습 장치는 질병의 진단, 수혈 등을 위한 채혈 혹은 정맥 주사(IV: intravenous) 기능을 포함하는 의료용 로봇에 포함된 하드웨어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침습 장치는 채혈 혹은 정맥 주사를 위해 필요한 엔드-이펙터(end-effector) 및 하드웨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침습 장치는 정맥 주사를 위해 필요한 엔드-이펙터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100), 침습 과정에서 진동 특성을 이용하기 위한 센서부(200) 및 진동부(300), 그리고 침습 과정에 필요한 데이터 처리 및 관리를 담당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00)는 침습을 위해 필요한 제 1 의료 도구 혹은 제 1 의료 도구와 상이한 제 2 의료 도구 중 적어도 하나를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100)는 제 1 의료 도구와 제 2 의료 도구 중 적어도 하나를 촬영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혈을 위한 침습을 수행한다고 가정하면, 제 1 의료 도구는 채혈 바늘, 제 2 의료 도구는 주사기 혹은 채혈 튜브(tube)일 수 있다. 카메라(100)는 채혈 바늘, 주사기 혹은 채혈 튜브 중 적어도 하나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정맥 주사를 위한 침습을 수행한다고 가정하면, 제 1 의료 도구는 카테터 쉬스(catheter sheath), 제 2 의료 도구는 가이드 니들(guide needle) 일 수 있다. 카메라(100)는 가이드 니들 혹은 카테터 쉬스 중 적어도 하나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카테터 쉬스는 카테터 튜브 혹은 카테터 허브(hub)로 지칭될 수도 있는데, 본 개시에서는 카테터 쉬스로 통일하여 지칭하도록 한다.
제 1 의료 도구와 제 2 의료 도구는 종류 별로 직경과 길이 등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제 1 의료 도구와 제 2 의료 도구를 모두 제어해야 하는 경우, 각 도구의 효과적인 제어를 위해서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카메라(100)는 이러한 캘리브레이션을 위해 제 1 의료 도구와 제 2 의료 도구를 각각 촬영하여, 개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맥 주사를 위한 침습을 위해 가이드 니들과 카테터 쉬스를 함께 제어해야 하는 경우, 카메라(100)는 가이드 니들과 카테터 쉬스를 촬영하여 각각에 대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채혈을 위한 침습을 위해 채혈 바늘과 주사기를 함께 제어해야 하는 경우, 카메라(100)는 채혈 바늘과 주사기를 촬영하여 각각에 대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센서부(200)는 진동 특성을 이용하기 위해 침습 과정에서 제 1 의료 도구 혹은 제 2 의료 도구 중 적어도 하나에 가해지는 마찰력을 측정할 수 있다. 센서부(200)는 침습 과정에서 제 1 의료 도구 혹은 제 2 의료 도구 중 적어도 하나가 신체 부위에 접촉해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200)는 제 1 의료 도구 혹은 제 2 의료 도구 중 적어도 하나에 가해지는 마찰력에 대한 수치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부(200)에 의해 측정된 마찰력은 침습 과정에서 제 1 의료 도구 혹은 제 2 의료 도구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되는 진동의 크기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200)는 시어 로드셀(shear loadcell)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센서부(200)의 종류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므로, 센서부(200)의 종류는 본 개시의 내용을 기초로 당업자가 이해 가능한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진동부(300)는 침습 과정에서 제 1 의료 도구 혹은 제 2 의료 도구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되는 진동을 생성할 수 있다. 진동부(300)는 후술할 제어부(400)에 의해 결정되는 신호에 따라 제 1 의료 도구 혹은 제 2 의료 도구 중 적어도 하나의 침습 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진동을 생성할 수 있다. 진동부(300)는 제 1 의료 도구에 전달되는 진동을 생성하는 제 1 진동 모듈 및 제 2 의료 도구에 전달되는 진동을 생성하는 제 2 진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부(300)는 제 1 의료 도구와 제 2 의료 도구 각각에 적합한 진동을 개별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부(300)는 압전 액추에이터(piezoelectric actuator)와 같이 전원을 인가하면 기계적인 운동을 통해 진동을 생성하는 구조물일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진동부(300)의 종류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므로, 진동부(300)의 종류는 본 개시의 내용을 기초로 당업자가 이해 가능한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임상적 연구 결과에 따르면, 바늘이 침습될 때 신체에 가해지는 힘이 적을수록 환자의 고통, 불편함 및 연조직 외상 등은 감소한다. 그리고, 바늘에 진동을 주면서 침습이 이루어지는 경우, 바늘이 침습될 때 신체에 가해지는 힘이 감소한다. 따라서, 침습 과정에서 진동부(300)에서 침습을 위한 의료 도구들에 각각 전달되는 진동을 생성하면, 침습 장치가 의료 도구들을 통해 신체에 가하는 힘이 감소되어 환자의 고통, 불편함 및 연조직 외상 등과 같은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어부(400)는 카메라(100)를 통해 생성된 이미지와 센서부(200)를 통해 측정된 마찰력을 토대로, 진동부(300)에서 생성되는 진동의 진폭 혹은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결정된 진폭 혹은 주파수에 따라 진동부(300)에서 진동을 생성하도록 진동부(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카메라(100)를 통해 촬영된, 제 1 의료 도구와 제 2 의료 도구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토대로 진동부(300)에서 생성되는 진동의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센서부(200)에 의해 측정된, 제 1 의료 도구와 제 2 의료 도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마찰력을 토대로, 진동부(300)에서 생성되는 진동의 진폭을 결정할 수 있다.
정맥 주사를 위해 제 1 의료 도구인 카테터 쉬스에 대한 제어가 수행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카메라(100)를 통해 촬영된 카테터 쉬스의 이미지를 토대로, 카테터 쉬스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카테터 쉬스의 길이를 토대로, 진동부(300)에 포함된 제 1 진동 모듈에서 생성되는 진동의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카테터 쉬스에서 마찰 저감이 필요한 지점을 목표로 하여 진동이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카테터 쉬스의 길이에 맞추어 카테터 쉬스에 전달되는 진동의 주파수를 결정 및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센서부(200)에 의해 측정된 카테터 쉬스의 마찰력을 토대로, 카테터 쉬스에 가해지는 진동의 진폭을 결정할 수 있다. 침습 과정에서 카테터 쉬스에 가해지는 마찰력은 변화하므로, 제어부(400)는 센서부(200)를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마찰력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마찰력의 크기에 맞추어 카테터 쉬스에 전달되는 진동의 진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카테터 쉬스에 가해지는 마찰력에 맞추어 진동에 대한 적응적(adaptive)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정맥 주사를 위해 제 1 의료 도구인 카테터 쉬스와 제 2 의료 도구인 가이드 니들에 대한 제어가 함께 수행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카메라(100)를 통해 촬영된 가이드 니들과 카테터 쉬스 각각에 대한 이미지를 토대로, 가이드 니들과 카테터 쉬스에 대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가이드 니들과 카테터 쉬스는 종류 별로 직경과 길이가 다르기 때문에, 가이드 니들과 카테터 쉬스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현재 침습에 사용되는 가이드 니들과 카테터 쉬스를 이미지 상에서 표준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제어부(400)는 카메라(100)를 통해 생성된 가이드 니들의 이미지와 카테터 쉬스의 이미지에 대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캘리브레이션 결과를 토대로 가이드 니들의 길이를 파악하여, 진동부(300)에 포함된 제 1 진동 모듈과 제 2 진동 모듈에서 개별적으로 생성되는 진동의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이와 같이 캘리브레이션 결과를 토대로 카테터 쉬스에 가해지는 진동도 생성함으로써, 가이드 니들에서 마찰 저감이 필요한 지점을 목표로 하여 전달되는 진동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0)는 프로세서(processor) 및 메모리(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에 포함된 프로세서는 컴퓨팅 연산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침습 장치의 제어를 위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마찰력을 산출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진동의 진폭 혹은 주파수를 결정 및/또는 조절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등과 같은 연산 과정을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범용 그래픽 처리 장치(GPGPU: general purpose graphics processing unit), 텐서 처리 장치(TPU: tensor processing unit),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혹은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프로세서의 종류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므로, 프로세서의 종류는 본 개시의 내용을 기초로 당업자가 이해 가능한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400)에 포함된 메모리는 침습 장치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로 이해될 수 있다. 즉, 메모리는 프로세서가 생성하거나 결정한 임의의 형태의 데이터 및 네트워크부가 수신한 임의의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는 프로세서가 연산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데이터의 조합, 및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code) 등을 구조화 및 조직화 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 램(RAM: random access memory), 에스램(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이이피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피롬(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데이터를 소정의 체제로 통제하여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메모리의 종류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므로, 메모리의 종류는 본 개시의 내용을 기초로 당업자가 이해 가능한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습 장치의 개념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습 장치는 제 1 의료 도구가 장착되고 제 1 의료 도구의 움직임을 구현하기 위한 제 1 파트(part) 및 제 2 의료 도구가 장착되고 제 2 의료 도구의 움직임을 구현하기 위한 제 2 파트로 구분될 수 있다. 침습 장치는 제 1 파트와 제 2 파트를 통해 침습 과정에서 각 의료 도구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침습 장치는 전후 선형 움직임을 통해 제 1 의료 도구의 침습 및 제 2 의료 도구의 침습을 제어하는 2자유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침습 장치는 구동부(700)를 통해 2자유도 구조의 제 1 파트와 제 2 파트의 전후 선형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정맥 주사를 위한 침습을 수행하기 위해 제 1 의료 도구로 카테터 쉬스(CS), 제 2 의료 도구로 가이드 니들(GN)를 함께 사용하는 것을 가정하여, 침습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침습 장치의 제 1 파트는 카테터 쉬스의 탈부착을 위한 제 1 어댑터(adaptor)(510), 제 1 어댑터(510)가 결합되는 제 1 프레임(610), 제 1 프레임(610)이 결합되는 제 1 연결 모듈(641), 제 1 연결 모듈(641)이 결합되고 전후 선형 움직임을 구현하는 제 1 이동 모듈(661), 구동부(700)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제 1 이동 모듈(661)의 움직임을 전후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 1 가이드 모듈(65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어댑터(510)의 일 면은 카테터 쉬스의 모양에 맞추어 카테터 쉬스가 안착되는 내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카테터 쉬스의 모양에 맞춘 내부 형상을 갖는 제 1 어댑터(510)의 일 면을 통해, 카테터 쉬스는 제 1 어댑터(510)에 자연스럽게 탈부착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테터 쉬스는 사용자에 의해 제 1 어댑터(510)의 일 면으로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제 1 어댑터(510)에 부착될 수 있다. 제 1 어댑터(510)의 일 면에 삽입된 카테터 쉬스는 사용자에 의해 분리되어 제 1 어댑터(510)로부터 탈락될 수 있다.
제 1 어댑터(510)는 침습 과정에서 가이드 니들 및 카테터 쉬스에 전달되는 진동을 생성하는 제 1 진동 모듈(310)을 구비할 수 있다. 제 1 진동 모듈(310)은 제 1 어댑터(510)에 구비됨으로써 제 1 어댑터(510)에 부착된 카테터 쉬스와 카테터 쉬스에 인입된 가이드 니들에 진동을 최대한 손실없이 전달할 수 있다.
카테터 쉬스의 손쉬운 교체를 위해, 제 1 어댑터(510)는 제 1 프레임(610)에 결합 혹은 분리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제 1 어댑터(510)의 일 면과 제 1 프레임(610)의 일 면이 접촉하여, 제 1 어댑터(510)는 제 1 프레임(61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제 1 프레임(610)의 일 면에 접촉된 제 1 어댑터(510)의 일 면이 떨어지면서, 제 1 어댑터(510)는 제 1 프레임(6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제 1 어댑터(510)와 제 1 프레임(610)의 결합은 기계적 결합 방식 혹은 전기적 결합 방식을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 1 프레임(610)은 침습 과정에서 카테터 쉬스에 가해지는 마찰력을 감지하는 제 1 센서 모듈(210)을 구비할 수 있다. 침습 과정에서 침습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마찰력이 발생하게 되고, 해당 마찰력은 제 1 어댑터(510)가 결합되어 일체로 움직이는 제 1 프레임(610)에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센서 모듈(210)은 제 1 프레임(610)에 구비됨으로써 침습 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제 1 연결 모듈(641)은 제 1 프레임(610)과 제 1 이동 모듈(661)이 일체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제 1 프레임(610)과 제 1 이동 모듈(661)을 연결할 수 있다. 제 1 연결 모듈(641)은 제 1 이동 모듈(661)의 움직임에 따라 안정적으로 제 1 프레임(610)도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지 모듈(630)에 장착될 수 있다. 제 1 연결 모듈(641)은 후술할 제 1 가이드 모듈(651)과 평행하게 배치된 지지 모듈(630)에 장착되어 전후 방향으로 움직임이 유도 및 제한될 수 있다. 즉, 제 1 연결 모듈(641)이 지지 모듈(630)에 장착됨으로써, 카테터 쉬스, 제 1 어댑터(510), 제 1 프레임(610) 및 제 1 이동 모듈(661)이 일체로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제 1 이동 모듈(661)은 제 1 가이드 모듈(651)에 장착되어 제 1 가이드 모듈(651)의 동작에 따라 제 1 가이드 모듈(6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700)에서 동력이 생성되어 제 1 가이드 모듈(651)이 회전하면, 제 1 가이드 모듈(651)의 회전에 따라 제 1 이동 모듈(661)은 제 1 가이드 모듈(6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움직일 수 있다. 이때, 제 1 가이드 모듈(651)은 슬라이드 스크류(slide screw)일 수 있다. 그리고, 제 1 이동 모듈(661)은 슬라이드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움직이는 슬라이더(slider)일 수 있다.
침습 장치의 제 2 파트는 가이드 니들의 탈부착을 위한 제 2 어댑터(520), 제 2 어댑터(520)가 결합되는 제 2 프레임(620), 제 2 프레임(620)이 결합되는 제 2 연결 모듈(645), 제 2 연결 모듈(645)이 결합되고 전후 선형 움직임을 구현하는 제 2 이동 모듈(665), 구동부(700)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제 2 이동 모듈(665)의 움직임을 전후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 2 가이드 모듈(655)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어댑터(520)의 일 면은 가이드 니들의 모양에 맞추어 가이드 니들이 안착되는 내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니들의 모양에 맞춘 내부 형상을 갖는 제 2 어댑터(520)의 일 면을 통해, 가이드 니들은 제 2 어댑터(520)에 자연스럽게 탈부착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니들은 사용자에 의해 제 2 어댑터(520)의 일 면으로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제 2 어댑터(520)에 부착될 수 있다. 제 2 어댑터(520)의 일 면에 삽입된 가이드 니들은 사용자에 의해 분리되어 제 2 어댑터(520)로부터 탈락될 수 있다.
제 2 어댑터(520)는 침습 과정에서 가이드 니들과 카테터 쉬스에 전달되는 진동을 생성하는 제 2 진동 모듈(320)을 구비할 수 있다. 제 2 진동 모듈(320)은 제 2 어댑터(520)에 구비됨으로써 제 2 어댑터(520)에 부착된 가이드 니들과 가이드 니들이 인입된 카테터 쉬스에 진동을 최대한 손실없이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 2 진동 모듈(320)은 제 1 진동 모듈(310)과 달리 가이드 니들에 직접 진동을 전달할 수 있으므로, 제 1 진동 모듈(310)과 제 2 진동 모듈(320)은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 1 진동 모듈(310)과 제 2 진동 모듈(320)이 동시에 사용되면, 1개의 진동 모듈을 사용할 때와 대비하여 가이드 니들과 카테터 쉬스에 전달되는 진동을 더욱 증폭시킬 수 있다.
가이드 니들의 손쉬운 교체를 위해, 제 2 어댑터(520)는 제 2 프레임(620)에 결합 혹은 분리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제 2 어댑터(520)의 일 면과 제 2 프레임(620)의 일 면이 접촉하여, 제 2 어댑터(520)는 제 2 프레임(62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제 2 프레임(620)의 일 면에 접촉된 제 2 어댑터(520)의 일 면이 떨어지면서, 제 2 어댑터(520)는 제 2 프레임(62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제 2 어댑터(520)와 제 2 프레임(620)의 결합은 기계적 결합 방식 혹은 전기적 결합 방식을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 2 프레임(620)은 침습 과정에서 가이드 니들에 가해지는 마찰력을 감지하는 제 2 센서 모듈(220)을 구비할 수 있다. 침습 과정에서 침습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마찰력이 발생하게 되고, 해당 마찰력은 제 2 어댑터(520)가 결합되어 일체로 움직이는 제 2 프레임(620)에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센서 모듈(220)은 제 2 프레임(620)에 구비됨으로써 침습 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제 2 연결 모듈(645)은 제 2 프레임(620)과 제 2 이동 모듈(665)이 일체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제 2 프레임(620)과 제 2 이동 모듈(665)을 연결할 수 있다. 제 2 연결 모듈(645)은 제 2 이동 모듈(665)의 움직임에 따라 안정적으로 제 2 프레임(620)도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지 모듈(630)에 장착될 수 있다. 제 2 연결 모듈(645)은 후술할 제 2 가이드 모듈(655)과 평행하게 배치된 지지 모듈(630)에 장착되어 전후 방향으로 움직임이 유도 및 제한될 수 있다. 즉, 제 2 연결 모듈(645)이 지지 모듈(630)에 장착됨으로써, 가이드 니들, 제 2 어댑터(520), 제 2 프레임(620) 및 제 2 이동 모듈(665)이 일체로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제 2 이동 모듈(665)은 제 2 가이드 모듈(655)에 장착되어 제 2 가이드 모듈(655)의 동작에 따라 제 2 가이드 모듈(65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700)에서 동력이 생성되어 제 2 가이드 모듈(655)이 회전하면, 제 2 가이드 모듈(655)의 회전에 따라 제 2 이동 모듈(665)은 제 2 가이드 모듈(65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움직일 수 있다. 이때, 제 2 가이드 모듈(655)은 슬라이드 스크류일 수 있다. 그리고, 제 2 이동 모듈(665)은 슬라이드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움직이는 슬라이더일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습 장치의 진동 특성을 이용한 동작 방식을 표현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정맥 주사를 위한 침습을 수행하기 위해 제 1 의료 도구로 카테터 쉬스(CS), 제 2 의료 도구로 가이드 니들(GN)를 사용하는 것을 가정하여, 침습 장치의 동작 방식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습 장치는, 진동부(300)에서 생성되는 진동과 침습 목표 지점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반사파에 의해 생성되는 정상파의 특성을 활용하여 침습 시 발생하는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침습 장치의 제어부(400)는 카테터 쉬스의 소정의 지점에서, 진동부(300)에서 생성되는 진동과 침습 목표 지점에 인입된 가이드 니들의 끝단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반사파에 의해 생성된 정상파의 보강 간섭이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카테터 쉬스와 가이드 니들 각각의 길이를 기초로 진동의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소정의 지점을 기준으로 각 도구의 길이에 따라 결정된 주파수를 토대로, 진동부(300)에서 생성되는 진동의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카테터 쉬스의 소정의 지점은, 침습 과정에서 카테터 쉬스가 신체 부위에 맞닿아 발생하는 마찰력이 작용하는 지점일 수 있다. 즉, 침습 장치의 제어부(400)는 마찰력이 작용하는 목표 위치에 진동의 정상파의 배(antinode)가 오도록 가이드 니들의 길이를 기반으로 주파수를 조절하여 진동이 크지 않더라도 원하는 위치를 목표로 진동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동부(300)의 제 1 진동 모듈(310)에서 제 1 진동이 생성되면, 제 1 진동은 카테터 쉬스를 통해 가이드 니들의 끝단으로 전달될 수 있다. 가이드 니들의 끝단은 침습 목표 지점인 신체 조직에 비해 밀도가 높은 매질이므로, 가이드 니들의 끝단에서는 자유단 반사가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도 3의 (a)와 같이 2점 쇄선인 제 1 진동이 생성되면, 자유단 반사에 의해 1점 쇄선인 제 1 진동에 대한 제 1 반사파가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의 (b)와 같이 2점 쇄선인 제 1 진동과 1점 쇄선인 제 1 반사파가 간섭을 일으켜 제 1 정상파를 만들어낼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0)는 카테터 쉬스의 길이를 기반으로 제 1 정상파의 보강 간섭이 발생하는 지점이 A가 되도록 제 1 진동의 주파수를 결정 및 조절할 수 있다. 제 1 정상파의 보강 간섭이 발생하는 지점 A는 침습 과정에서 카테터 쉬스가 신체 부위 혹은 조직에 맞닿아 발생하는 마찰력이 최대가 되는 지점일 수 있다.
진동부(300)의 제 2 진동 모듈(320)에서 제 2 진동이 생성되면, 상술한 제 1 진동과 마찬가지로 제 2 진동에 대한 자유단 반사가 가이드 니들의 끝단에서 발생할 수 있다. 즉, 도 3 의 (c)와 같이 2점 쇄선인 제 2 진동이 생성되면, 자유단 반사에 의해 1점 쇄선인 제 2 진동에 대한 제 2 반사파가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의 (d)와 같이 2점 쇄선인 제 2 진동과 1점 쇄선인 제 2 반사파가 간섭을 일으켜 제 2 정상파를 만들어낼 수 있다. 제어부(400)는 가이드 니들의 길이를 토대로 기반으로 제 2 정상파의 보강 간섭이 발생하는 지점이 A가 되도록 제 2 진동의 주파수를 결정 및 조절할 수 있다. 이때, A 지점에 제 2 정상파의 보강 간섭이 발생하면, 도 3의 (e)와 같이 제 1 정상파와 제 2 정상파가 합쳐져 더 큰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제 1 진동에 더해 제 2 진동을 활용하여 지점 A에 전달되는 진동의 최대 진폭을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제어부(400)는 카테터 쉬스의 길이를 토대로 제 1 진동의 주파수를 조절하여, 마찰 저감이 필요한 지점인 A에서 정상파의 보강 간섭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제 1 진동과 함께 가이드 니들의 길이를 토대로 제 2 진동의 주파수를 조절하여, 마찰 저감이 필요한 지점인 A가 정상파의 배(antinode)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침습 장치는 정상파의 보강 간섭을 통해 원하는 지점에 원하는 크기의 진동을 줄 수 있으므로, 진동이 필요하지 않은 구동부(700) 등과 같은 구성에 진동의 영향은 최소화하고, 침습 정확도 등을 높이면서 마찰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습 장치는 침습을 위한 제 1 의료 도구 혹은 제 1 의료 도구와 상이한 제 2 의료 도구 중 적어도 하나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S100). 예를 들어, 정맥 주사를 위해 제 1 의료 도구로 카테터 쉬스, 제 2 의료 도구로 가이드 니들이 침습 장치에 함께 장착되면, 카테터 쉬스 및 가이드 니들은 종류 별로 직경과 길이가 다르므로 진동 제어를 위해서는 캘리브레이션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맥 주사를 위해 카테터 쉬스 및 가이드 니들이 침습 장치에 장착되면, 침습 장치는 캘리브레이션을 위해 카메라를 통해 가이드 니들과 카테터 쉬스를 촬영하여 각각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습 장치는 침습 과정에서 제 1 의료 도구 혹은 제 2 의료 도구 중 적어도 하나에 가해지는 마찰력을 측정할 수 있다(S200). 예를 들어, 카테터 쉬스에 가이드 니들이 인입되어 함께 침습이 수행되면, 가이드 니들과 카테터 쉬스가 신체 조직에 맞닿아 마찰력이 발생할 수 있다. 침습 장치는 침습 과정에서 센서부를 통해 가이드 니들과 카테터 쉬스 각각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지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습 장치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기반으로, 제 1 의료 도구 혹은 제 2 의료 도구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되는 진동의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S300). 또한, 침습 장치는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마찰력을 기반으로, 제 1 의료 도구 혹은 상기 제 2 의료 도구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되는 진동의 진폭을 결정할 수 있다(S300). 구체적으로, 침습 장치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 1 의료 도구에 대한 제 1 이미지를 토대로, 제 1 의료 도구의 길이를 파악할 수 있다. 제 1 의료 도구의 소정의 지점에서, 진동과 침습 목표 지점에 인입된 제 1 의료 도구의 끝단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반사파에 의해 생성된 정상파의 보강 간섭이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침습 장치는 파악된 제 1 의료 도구의 길이를 기초로, 제 1 의료 도구에 전달되는 진동의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침습 장치는 제 1 이미지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 2 의료 도구에 대한 제 2 이미지 간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침습 장치는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된 제 2 이미지를 기초로, 제 2 의료 도구의 길이를 파악할 수 있다. 제 1 의료 도구의 소정의 지점에서 발생하는 보강 간섭의 진폭을 조절하기 위해, 침습 장치는 제 2 의료 도구의 길이를 기초로, 제 2 의료 도구에 전달되는 진동의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침습 장치는 침습 과정에서 측정된, 제 1 의료 도구 혹은 제 2 의료 도구 중 적어도 하나의 마찰력을 기초로, 제 1 의료 도구 혹은 제 2 의료 도구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되는 진동의 진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침습 장치는 카테터 쉬스에 관한 제 1 이미지와 가이드 니들에 관한 제 2 이미지에 대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고, 캘리브레이션 결과를 토대로 각 도구의 길이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침습 장치는 각 도구의 길이를 기초로 카테터 쉬스의 소정의 지점에서 진동과 가이드 니들의 끝단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반사파의 보강 간섭이 일어나도록 진동의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침습 장치는 센서부에 의해 감지되는 마찰력의 크기에 맞추어 진동의 진폭을 결정할 수 있다. 침습 장치는 이미지를 통해 파악된 가이드 니들의 길이를 토대로 결정된 주파수와 마찰력의 크기를 토대로 결정된 진폭을 적용하여 진동부에서 진동을 생성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추가 실시예와 결합될 수 있고, 상술한 상세한 설명에 비추어 당업자가 이해 가능한 범주에서 변경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카메라 200: 센서부
210: 제 1 센서 모듈 220: 제 2 센서 모듈
300: 진동부 310: 제 1 진동 모듈
320: 제 2 진동 모듈 400: 제어부
510: 제 1 어댑터 520: 제 2 어댑터
610: 제 1 프레임 620: 제 2 프레임
630: 지지 모듈 641: 제 1 연결 모듈
645: 제 2 연결 모듈 651: 제 1 가이드 모듈
655: 제 2 가이드 모듈 661: 제 1 이동 모듈
665: 제 2 이동 모듈 700: 구동부

Claims (13)

  1. 진동 특성을 이용한 침습 장치로서,
    침습을 위한 제 1 의료 도구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제 1 의료 도구에 전달되는 진동을 생성하는 제 1 진동 모듈;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 1 의료 도구에 대한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제 1 의료 도구에 전달되는 진동의 주파수를 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 1 의료 도구에 관한 제 1 이미지를 토대로, 상기 제 1 의료 도구의 길이를 파악하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의료 도구의 소정의 지점에서, 상기 진동과 침습 목표 지점에 인입된 제 1 의료 도구의 끝단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반사파에 의해 생성된 정상파의 보강 간섭이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파악된 제 1 의료 도구의 길이를 기초로, 상기 제 1 의료 도구에 전달되는 진동의 주파수를 결정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의료 도구의 소정의 지점은,
    침습 과정에서 상기 제 1 의료 도구가 신체 부위에 맞닿아 발생하는 마찰력이 작용하는 지점인,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의료 도구와 상이한 제 2 의료 도구에 전달되는 진동을 생성하는 제 2 진동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의료 도구에 관한 제 1 이미지와 상기 제 2 의료 도구에 관한 제 2 이미지 간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수행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의료 도구의 소정의 지점에서 발생하는 보강 간섭의 진폭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 1 이미지와 캘리브레이션 된 제 2 이미지를 토대로 파악된 제 2 의료 도구의 길이를 기초로, 상기 제 2 의료 도구에 전달되는 진동의 주파수를 결정하는,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의료 도구의 탈부착을 위한 제 1 어댑터(adaptor); 및
    상기 제 2 의료 도구의 탈부착을 위한 제 2 어댑터;
    를 더 포함하는,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의료 도구는,
    채혈을 위한 바늘, 혹은 정맥 주사를 위한 카테터 쉬스(catheter sheath)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의료 도구는,
    상기 채혈을 위한 주사기, 상기 채혈을 위한 튜브(tube), 혹은 상기 정맥 주사를 위한 가이드 니들(guide needle)을 포함하는,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침습 과정에서 상기 제 1 의료 도구, 혹은 상기 제 1 의료 도구와 상이한 제 2 의료 도구 중 적어도 하나의 마찰력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
    를 더 포함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침습 과정에서 측정된, 상기 제 1 의료 도구 혹은 상기 제 2 의료 도구 중 적어도 하나의 마찰력을 기초로, 상기 제 1 의료 도구 혹은 상기 제 2 의료 도구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되는 진동의 진폭을 결정하는,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 1 의료 도구의 탈부착을 위한 제 1 어댑터가 결합되는 제 1 프레임(frame)에 구비되는 제 1 센서 모듈; 및
    상기 제 2 의료 도구의 탈부착을 위한 제 2 어댑터가 결합되는 제 2 프레임에 구비되는 제 2 센서 모듈;
    을 포함하는,
    장치.
  13. 진동 특성을 이용한 침습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침습 방법으로서,
    침습을 위한 제 1 의료 도구 혹은 상기 제 1 의료 도구와 상이한 제 2 의료 도구 중 적어도 하나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의료 도구 혹은 상기 제 2 의료 도구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되는 진동의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20162814A 2022-11-29 2022-11-29 진동 특성을 이용한 침습 장치 및 방법 KR102531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2814A KR102531750B1 (ko) 2022-11-29 2022-11-29 진동 특성을 이용한 침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2814A KR102531750B1 (ko) 2022-11-29 2022-11-29 진동 특성을 이용한 침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1750B1 true KR102531750B1 (ko) 2023-05-11

Family

ID=86378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2814A KR102531750B1 (ko) 2022-11-29 2022-11-29 진동 특성을 이용한 침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7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7899A (ko) * 2011-10-14 2014-06-24 인튜어티브 서지컬 오퍼레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카테터 시스템
KR20140111135A (ko) 2013-03-07 2014-09-1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의료용 중재시술장치
KR20200134769A (ko) * 2019-05-23 2020-12-0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이드와이어 접촉상태 추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7899A (ko) * 2011-10-14 2014-06-24 인튜어티브 서지컬 오퍼레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카테터 시스템
KR20140111135A (ko) 2013-03-07 2014-09-1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의료용 중재시술장치
KR20200134769A (ko) * 2019-05-23 2020-12-0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이드와이어 접촉상태 추정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92362B2 (en) Ultrasound-guided alignment and insertion of percutaneous cannulating instruments
Kesner et al. Robotic catheter cardiac ablation combining ultrasound guidance and force control
CN212090424U (zh) 静脉内治疗系统及血管检测系统
JP7397811B2 (ja) 自動構成管理およびヒンジシステムを備える超音波イメージングシステム
US6740048B2 (en) Non-invasive method of determining diastolic intracranial pressure
JP7106270B2 (ja) 穿刺経路設定装置、穿刺制御量設定装置及び穿刺システム
AU2019283798B2 (en) Fundus image capturing
KR102531750B1 (ko) 진동 특성을 이용한 침습 장치 및 방법
JP4455865B2 (ja) 透視撮像システム
US11622886B2 (en) Thermocouple coupled with a piezoelectric crystal for feedback on vibration frequency
US10888455B2 (en) Image-guided delivery of ophthalmic therapeutics
JP2002345839A (ja) 手術装置
WO2024117415A1 (ko) 진동 특성을 이용한 침습 장치 및 방법
US10517679B2 (en) Electromagnetic guiding tube for elongated medical implants
De Lorenzo et al. Miniaturized rigid probe driver with haptic loop control for neurosurgical interventions
KR101678944B1 (ko) 반사광 거리센서를 이용한 깊이 조절 의료 도구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30144867A (ko) 정맥 촉진 및 천자가 가능한 자율 정맥천자 로봇
US20210219950A1 (en) Ultrasound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Tercero et al. Numerical evaluation method for catheter prototypes using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on patient‐specific vascular model
CN109620414B (zh) 一种针对外科手术的机械抓手力反馈方法以及系统
KR20210040990A (ko) 안구 내 주사를 위한 멀티-루멘 주사기
EP4292541A1 (en) Ultrasonic treatment tool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same
US20220096119A1 (en) Hands-Free Ultrasound Probes,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RU2795098C2 (ru) Многопросветные шприцы для внутриглазных инъекций
EP4129174A1 (en) Automatic body-invasiv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