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8944B1 - 반사광 거리센서를 이용한 깊이 조절 의료 도구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반사광 거리센서를 이용한 깊이 조절 의료 도구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8944B1
KR101678944B1 KR1020150038973A KR20150038973A KR101678944B1 KR 101678944 B1 KR101678944 B1 KR 101678944B1 KR 1020150038973 A KR1020150038973 A KR 1020150038973A KR 20150038973 A KR20150038973 A KR 20150038973A KR 101678944 B1 KR101678944 B1 KR 101678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distance sensor
living body
distance
optical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2733A (ko
Inventor
김창석
정명영
김도원
김규정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38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944B1/ko
Publication of KR20160112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within the blood, pH-value of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4Endoscopic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 경계막에서 반사되는 빛에 의하여 측정되는 거리의 정보를 바탕으로 정확한 깊이까지 주사 바늘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한 반사광 거리센서를 이용한 깊이 조절 의료 도구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주사기 본체를 구성하는 핸드피스;상기 핸드피스에 고정되어 생체내로 삽입되는 일측 끝이 노출되는 주사바늘;상기 주사바늘의 가장 끝부분과 고정된 거리를 갖고 주사바늘에 부착되어 주사바늘의 삽입에 따른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 광섬유;상기 주사바늘을 통해 생체 내부와 유체의 이동을 조절하는 유체이동용 압력부;상기 거리센서 광섬유를 통하여 생체외부경계막 밖에 위치한 광섬유 끝을 이용하여 생체외부경계막 안에 위치한 주사바늘 끝과 생체내부경계막의 상대적 거리를 측정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거리센서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반사광 거리센서를 이용한 깊이 조절 의료 도구 및 그의 제어 방법{Depth Adjustable Medical Instrument using Reflection Distance Sens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의료 기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생체 경계막에서 반사되는 빛에 의하여 측정되는 거리의 정보를 바탕으로 정확한 깊이까지 주사 바늘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한 반사광 거리센서를 이용한 깊이 조절 의료 도구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료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인체를 직접 절개하지 않고 인체의 최소 부위에만 구멍을 낸 뒤 영상을 보며 병변이 있는 부위에 애블레이터(ablator), 생체 바늘(biopsy needle), 초음파 프로브(ultrasound probe) 등의 의료용 도구를 삽입하여 치료 또는 진단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이와 같이 의료 분야에서 치료용 또는 생체검사(biopsy)용으로 주사기(syringe)를 포함하는 의료장치가 이용된다.
그런데 의료인이 주사기를 이용하는 경우 환자의 신체에 주사기를 삽입했을 때 신체의 내부를 전혀 볼 수 없으므로 삽입된 주사기 바늘의 위치나 그 삽입 정도를 파악하기가 어렵다.
예를 들면 의료인이 환자의 특정 혈관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고자 할 경우 정확한 혈관의 위치를 파악하거나 주사기의 침투 정도를 결정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의료인은 주사기 바늘의 삽입 위치 및 그 삽입 정도를 진료 경험에 따른 개인적 판단에 따라 결정해야만 한다. 따라서 의료인이 진료 경험이 부족하면 주사할 정확한 위치를 찾지 못하여 환자에 여러 번 주사기 바늘을 삽입할 수 있으며, 이는 환자에게 고통을 주는 원인이 된다.
또한 의료인의 잘못된 결정으로 인하여 의료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늘 삽입시 의료인의 실수로 주변의 중요한 신경을 건드리는 경우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장기간의 치료로 목이나 허벅지와 같은 동맥 또는 정맥에 주사를 해야 하는 경우 의료인의 실수는 환자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
이러한 의료 사고는 의료인이 치료 또는 진단시 기존에 촬영한 X-Ray 등을 활용하기도 하지만, 환자의 신체 내부를 실시간으로 직접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발생한다.
나아가 환자를 치료하거나 진단하는 일은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일이므로 의료인에게 상당한 경험과 기술을 요구하기 때문에 환자에게 정확히 바늘을 삽입하기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
종래 기술에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14102호는 의료용 영상을 접목하여 주사기 바늘을 삽입하는 방식은 바늘의 이미지와 결합하는 제어부가 필요하므로 데이터 양이 방대하고 3차원 정보의 오인식률이 높은 문제가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92560호는 표면의 추적을 통하여 생체 경계면 밖의 수술도구의 움직임 보정이 가능하지만 주사기 바늘의 생체 내부 삽입에는 적용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13-0092560호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09-0114102호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13-0092560호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주사기 바늘의 삽입 위치 제어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생체 경계막에서 반사되는 빛에 의하여 측정되는 거리의 정보를 바탕으로 정확한 깊이까지 주사 바늘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한 반사광 거리센서를 이용한 깊이 조절 의료 도구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정확한 깊이까지 주사바늘을 삽입할 수 있으며, 그 주사바늘을 통하여 안전하게 외부의 액체나 기체를 생체 내에 삽입하거나 안전하게 생체 내부의 액체나 기체를 외부로 채취할 수 있도록 한 반사광 거리센서를 이용한 깊이 조절 의료 도구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거리센서 광섬유를 포함하는 주사기를 구성하고 유체이동용 압력부를 통하여 주사바늘을 통해 생체 내부와 유체의 이동을 조절하여 정확한 깊이까지의 주사 바늘 삽입 및 안전하게 외부의 액체나 기체를 생체 내에 삽입하거나 외부로 채취할 수 있도록 한 반사광 거리센서를 이용한 깊이 조절 의료 도구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주사바늘의 가장 끝부분과 고정된 거리를 갖고 주사바늘에 부착되는 광섬유를 포함하고 구성되어 생체외부경계막 밖에 위치한 광섬유 끝을 이용하여 생체외부경계막 안에 위치한 주사바늘 끝과 생체내부경계막의 상대적 거리를 측정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반사광 거리센서를 이용한 깊이 조절 의료 도구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사광 거리센서를 이용한 깊이 조절 의료 도구는 주사기 본체를 구성하는 핸드피스;상기 핸드피스에 고정되어 생체내로 삽입되는 일측 끝이 노출되는 주사바늘;상기 주사바늘의 가장 끝부분과 고정된 거리를 갖고 주사바늘에 부착되어 주사바늘의 삽입에 따른 축방향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 광섬유;유체를 생체내로 주입하기 위한 압력을 가하거나, 유체를 생체외부로 채취하기 위한 압력을 가하여 상기 주사바늘을 통해 유체의 이동을 조절하는 유체이동용 압력부;상기 거리센서 광섬유를 통하여 생체외부경계막 밖에 위치한 광섬유 끝을 이용하여 생체외부경계막 안에 위치한 주사바늘 끝과 생체내부경계막의 상대적 거리를 측정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거리센서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사바늘에 부착된 거리센서 광섬유를 통하여 생체 경계막에서 반사되는 빛에 의하여 측정되는 거리의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주사 바늘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핸드피스는, 주사바늘과 직접 부착되고 상기 거리센서 측정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기준으로 주사바늘 끝의 축방향 깊이를 손의 움직임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거리의 측정을 위하여 상기 거리센서 측정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거리센서 측정부와 통신하는 데이터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그리고 상기 거리센서 측정부는, 상기 거리센서 광섬유와 광학적으로(optically) 연결되는 광원 및 상기 거리센서 광섬유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광 검출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광원은 초발광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광원은 파장 가변 레이저(wavelength swept laser)이고, 상기 광 검출기는 광 디텍터(photodetecto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광 검출기는 분광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유체는 기체 또는 액체 또는 기체와 액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사광 거리센서를 이용한 깊이 조절 의료 도구의 제어 방법은 주사기 본체를 구성하는 핸드피스에 고정되어 생체내로 삽입되는 일측 끝이 노출되는 주사바늘과, 상기 주사바늘의 가장 끝부분과 고정된 거리를 갖고 주사바늘에 부착되어 주사바늘의 삽입에 따른 축방향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 광섬유를 포함하는 주사기를 생체에 삽입하면서, 생체외부경계막 밖에 위치한 거리센서 광섬유 끝을 이용하여 생체외부경계막 안에 위치한 주사바늘 끝과 생체내부경계막의 상대적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거리센서 측정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기준으로 주사바늘 끝의 축방향 깊이를 조절하여 생체 내부로 삽입시키는 단계;거리센서 측정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기준으로 주사바늘이 원하는 깊이까지 삽입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주사바늘이 원하는 깊이까지 삽입된 것으로 판단되면 주사바늘을 통하여 유체를 생체내로 주입하거나, 유체를 생체외부로 채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주사바늘에 부착된 거리센서 광섬유를 통하여 생체 경계막에서 반사되는 빛에 의하여 측정되는 거리의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주사 바늘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는 것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주사바늘의 깊이 조절은, 거리센서 측정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기준으로 주사바늘 끝의 축방향 깊이를 시술자의 손의 움직임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반사광 거리센서를 이용한 깊이 조절 의료 도구 및 그의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생체 경계막에서 반사되는 빛에 의하여 측정되는 거리의 정보를 바탕으로 정확한 깊이까지 주사 바늘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정확한 깊이까지 주사바늘을 삽입할 수 있으며, 그 주사바늘을 통하여 안전하게 외부의 액체나 기체를 생체 내에 삽입하거나 생체 내부의 액체나 기체를 외부로 채취할 수 있다
셋째, 거리센서 광섬유를 포함하는 주사기를 구성하고 유체이동용 압력부를 통하여 주사바늘을 통해 생체 내부와 유체의 이동을 조절하여 정확한 깊이까지의 주사 바늘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넷째, 생체외부경계막 밖에 위치한 광섬유 끝을 이용하여 생체외부경계막 안에 위치한 주사바늘 끝과 생체내부경계막의 상대적 거리를 측정하는 신호를 출력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사광 거리센서를 이용한 깊이 조절 의료 도구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광 거리센서를 이용한 깊이 조절 의료 도구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사광 거리센서를 이용한 깊이 조절 의료 도구의 제어를 위한 플로우 차트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반사광 거리센서를 이용한 깊이 조절 의료 도구 및 그의 제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광 거리센서를 이용한 깊이 조절 의료 도구 및 그의 제어 방법의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의 각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사광 거리센서를 이용한 깊이 조절 의료 도구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광 거리센서를 이용한 깊이 조절 의료 도구의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주사바늘의 생체 내 삽입 시 깊이를 안전하게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생체 경계막에서 반사되는 빛에 의하여 측정되는 거리의 정보를 바탕으로 정확한 깊이까지 주사바늘을 삽입할 수 있으며, 그 주사바늘을 통하여 안전하게 외부의 액체나 기체를 생체 내에 삽입하거나 안전하게 생체 내부의 액체나 기체를 외부로 채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깊이조절 주사기 시스템은 핸드 피스 및 주사바늘을 포함하는 주사기와, 상기 핸드 피스에 대하여 상기 주사바늘이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주사바늘과 상기 핸드 피스를 연결하는 구동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깊이조절 주사기 시스템은 또한 일단이 상기 주사바늘의 가장 끝부분과 고정된 거리를 갖고 상기 주사바늘에 부착되는 광섬유를 포함하는 거리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거리센서는 상기 주사바늘의 상기 가장 끝부분에서부터 대상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반사광 거리센서를 이용한 깊이 조절 의료 도구는 도 1,2에서와 같이, 주사기 본체를 구성하는 핸드피스(11)와, 핸드피스(11)에 고정되어 생체내로 삽입되는 일측 끝이 노출되는 주사바늘(10)과, 주사바늘(10)의 광섬유 부착부(12)를 통하여 주사바늘(10)에 부착되어 주사바늘(10)의 삽입에 따른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 광섬유(13)와, 상기 주사바늘(10)을 통해 생체 내부와 유체의 이동을 조절하는 유체이동용 압력부(14)와, 상기 주사바늘(10)의 가장 끝부분과 고정된 거리를 갖고 주사바늘(10)에 부착되는 거리센서 광섬유(13)를 통하여 생체외부경계막(A) 밖에 위치한 광섬유 끝을 이용하여 생체외부경계막(A) 안에 위치한 주사바늘 끝과 생체내부경계막(B)(C)의 상대적 거리를 측정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거리센서 측정부(1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핸드피스(11)는 주사바늘(10)과 직접 부착되어 상기 거리센서 측정부(15)에서 출력된 신호를 이용하여 주사바늘(10) 끝의 축방향 깊이를 손의 움직임으로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핸드피스(11)는 주사바늘(10)과 구동어셈블리를 통하여 부착되어 상기 거리센서 측정부(15)에서 출력된 신호를 이용하여 주사바늘(10) 끝의 축방향 깊이를 구동어셈블리의 움직임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사광 거리센서를 이용한 깊이 조절 의료 도구의 주사바늘(10)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어셈블리와 통신하는 구동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압전(piezo-electric) 마이크로 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반사광 거리센서를 이용한 깊이 조절 의료 도구는 거리의 측정을 위하여 상기 거리센서 측정부(15)에서 출력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거리센서 측정부(15)와 통신하는 데이터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상기 데이터 프로세서는 상기 구동어셈블리와 상기 구동컨트롤러와 통신하여 상기 거리의 측정 결과에 따라 주사바늘 끝의 축방향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유체이동용 압력부(14)는 유체를 생체내로 주입하기 위한 압력을 가하거나, 유체를 생체외부로 채취하기 위한 압력을 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리센서 측정부(15)는 상기 거리센서 광섬유(13)와 광학적으로(optically) 연결되는 광원 및 상기 거리센서 광섬유(13)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광 검출기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광원은 초발광 다이오드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광원은 파장 가변 레이저(wavelength swept laser)이고, 상기 광 검출기는 광 디텍터(photodetector)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광 검출기는 분광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주사바늘(10)은 외부의 유체를 생체외부 경계막 안에 삽입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거나, 내부의 유체를 생체외부 경계막 밖으로 채취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유체는 기체 또는 액체 또는 기체와 액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광 거리센서를 이용한 깊이 조절 의료 도구의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사광 거리센서를 이용한 깊이 조절 의료 도구의 제어를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먼저, 핸드피스(11) 및 주사바늘(10)과 거리센서 광섬유(13)를 포함하는 주사기를 생체에 삽입하면서(S301), 생체외부경계막(A) 밖에 위치한 거리센서 광섬유 끝을 이용하여 생체외부경계막(A) 안에 위치한 주사바늘(10) 끝과 생체내부경계막(B)(C)의 상대적 거리를 측정한다.(S302)
이어, 거리센서 측정부(15)에서 출력된 신호를 기준으로 주사바늘(10) 끝의 축방향 깊이를 조절하여 생체 내부로 삽입시킨다.(S303)
그리고 생체외부경계막(A) 밖에 위치한 거리센서 광섬유 끝을 이용하여 생체외부경계막(A) 안에 위치한 주사바늘(10) 끝과 생체내부경계막(B)(C)의 상대적 거리를 측정하여 주사바늘(10)이 원하는 깊이까지 삽입되었는지 판단한다.(S304)
주사바늘(10)이 원하는 깊이까지 삽입된 것으로 판단되면 주사바늘(10)을 통하여 유체를 생체내로 주입하는 것인지를 판단한다.(S304)
유체를 생체내로 주입하는 것이면(S305), 유체이동용 압력부(14)를 구동하여 유체를 생체내로 주입하기 위한 압력 인가한다.(S306)
그리고 유체를 생체 외부로 채취하는 것이면(S307), 유체이동용 압력부(14)를 구동하여 유체를 생체외부로 채취하기 위한 압력 인가한다.(S308)
이와 같은 제어 동작에서 주사바늘(10)의 깊이 조절은, 핸드피스(11)를 시술자가 움직여 거리센서 측정부(15)에서 출력된 신호를 기준으로 주사바늘(10) 끝의 축방향 깊이를 손의 움직임으로 조절하거나, 구동어셈블리가 구성된 것이면 거리센서 측정부(15)에서 출력된 신호를 기준으로 주사바늘(10) 끝의 축방향 깊이를 구동어셈블리의 움직임으로 조절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반사광 거리센서를 이용한 깊이 조절 의료 도구 및 그의 제어 방법은 주사바늘의 생체 내 삽입 시 깊이를 안전하게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생체 경계막에서 반사되는 빛에 의하여 측정되는 거리의 정보를 바탕으로 정확한 깊이까지 주사바늘을 삽입할 수 있으며, 그 주사바늘을 통하여 안전하게 외부의 액체나 기체를 생체 내에 삽입하거나 안전하게 생체 내부의 액체나 기체를 외부로 채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이 구현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명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주사 바늘 11. 핸드피스
12. 광섬유 부착부 13. 거리센서 광섬유
14. 유체 이동용 입력부 15. 거리센서 측정부

Claims (15)

  1. 주사기 본체를 구성하는 핸드피스;
    상기 핸드피스에 고정되어 생체내로 삽입되는 일측 끝이 노출되는 주사바늘;
    상기 주사바늘의 가장 끝부분과 고정된 거리를 갖고 주사바늘에 부착되어 주사바늘의 삽입에 따른 축방향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 광섬유;
    유체를 생체내로 주입하기 위한 압력을 가하거나, 유체를 생체외부로 채취하기 위한 압력을 가하여 상기 주사바늘을 통해 유체의 이동을 조절하는 유체이동용 압력부;
    상기 거리센서 광섬유를 통하여 생체외부경계막 밖에 위치한 광섬유 끝을 이용하여 생체외부경계막 안에 위치한 주사바늘 끝과 생체내부경계막의 상대적 거리를 측정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거리센서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사바늘에 부착된 거리센서 광섬유를 통하여 생체 경계막에서 반사되는 빛에 의하여 측정되는 거리의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주사 바늘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광 거리센서를 이용한 깊이 조절 의료 도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피스는,
    주사바늘과 직접 부착되고 상기 거리센서 측정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기준으로 주사바늘 끝의 축방향 깊이를 손의 움직임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광 거리센서를 이용한 깊이 조절 의료 도구.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거리의 측정을 위하여 상기 거리센서 측정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거리센서 측정부와 통신하는 데이터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광 거리센서를 이용한 깊이 조절 의료 도구.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센서 측정부는,
    상기 거리센서 광섬유와 광학적으로(optically) 연결되는 광원 및 상기 거리센서 광섬유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광 검출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광 거리센서를 이용한 깊이 조절 의료 도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초발광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광 거리센서를 이용한 깊이 조절 의료 도구.
  10. 제 8 항에 있어서, 광원은 파장 가변 레이저(wavelength swept laser)이고, 상기 광 검출기는 광 디텍터(photodetect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광 거리센서를 이용한 깊이 조절 의료 도구.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검출기는 분광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광 거리센서를 이용한 깊이 조절 의료 도구.
  12. 제 1 항에 있어서, 유체는 기체 또는 액체 또는 기체와 액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광 거리센서를 이용한 깊이 조절 의료 도구.
  13. 주사기 본체를 구성하는 핸드피스에 고정되어 생체내로 삽입되는 일측 끝이 노출되는 주사바늘과, 상기 주사바늘의 가장 끝부분과 고정된 거리를 갖고 주사바늘에 부착되어 주사바늘의 삽입에 따른 축방향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 광섬유를 포함하는 주사기를 생체에 삽입하면서, 생체외부경계막 밖에 위치한 거리센서 광섬유 끝을 이용하여 생체외부경계막 안에 위치한 주사바늘 끝과 생체내부경계막의 상대적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거리센서 측정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기준으로 주사바늘 끝의 축방향 깊이를 조절하여 생체 내부로 삽입시키는 단계;
    거리센서 측정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기준으로 주사바늘이 원하는 깊이까지 삽입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주사바늘이 원하는 깊이까지 삽입된 것으로 판단되면 주사바늘을 통하여 유체를 생체내로 주입하거나, 유체를 생체외부로 채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주사바늘에 부착된 거리센서 광섬유를 통하여 생체 경계막에서 반사되는 빛에 의하여 측정되는 거리의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주사 바늘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광 거리센서를 이용한 깊이 조절 의료 도구의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주사바늘의 깊이 조절은,
    거리센서 측정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기준으로 주사바늘 끝의 축방향 깊이를 시술자의 손의 움직임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광 거리센서를 이용한 깊이 조절 의료 도구의 제어 방법.
  15. 삭제
KR1020150038973A 2015-03-20 2015-03-20 반사광 거리센서를 이용한 깊이 조절 의료 도구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678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973A KR101678944B1 (ko) 2015-03-20 2015-03-20 반사광 거리센서를 이용한 깊이 조절 의료 도구 및 그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973A KR101678944B1 (ko) 2015-03-20 2015-03-20 반사광 거리센서를 이용한 깊이 조절 의료 도구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733A KR20160112733A (ko) 2016-09-28
KR101678944B1 true KR101678944B1 (ko) 2016-11-23

Family

ID=57101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973A KR101678944B1 (ko) 2015-03-20 2015-03-20 반사광 거리센서를 이용한 깊이 조절 의료 도구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89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2935A1 (ko) * 2016-11-17 2018-05-24 (주)루트로닉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81033B1 (ko) * 2019-11-14 2020-02-24 최은숙 침습 길이 정밀도 향상을 위한 한방 침, 이를 위한 하이브리드 침습장치, 그리고 침습 길이 정밀도 향상을 위한 한방 침 제어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20119A2 (en) 2001-09-04 2003-03-13 Bioluminate, Inc. Multisensor probe for tissue identification
JP2009072425A (ja) 2007-09-21 2009-04-09 Fuji Denki F-Tech Kk 歯科麻酔用注射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768B1 (ko) 2008-04-29 2015-02-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의료용 영상을 접목한 주사기 장치
EP2595586B1 (en) 2010-07-20 2019-09-04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Surface tracking and motion compensating surgical tool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20119A2 (en) 2001-09-04 2003-03-13 Bioluminate, Inc. Multisensor probe for tissue identification
JP2009072425A (ja) 2007-09-21 2009-04-09 Fuji Denki F-Tech Kk 歯科麻酔用注射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733A (ko) 201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00963A1 (zh) 针的超声引导辅助装置及系统
CN101791246B (zh) 一种用于椎弓根钉植入的近红外定位导航装置
EP2944264B1 (en) Photoacoustic image generating device and insertion object
US10646274B2 (en) Laser catheter with use of reflected light and force indication to determine material type in vascular system
Carotenuto et al. Optical guidance systems for epidural space identification
US20160256101A1 (en) Device and System Device and System for Imaging Veins
Gonenc et al. Force-sensing microneedle for assisted retinal vein cannulation
ATE247430T1 (de) Vorrichtung zur führung von perkutanen verrichtungen mittels rechnergestützter tomographe
US20100256483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tissue navigation
CN101171046A (zh) 套管插入系统
WO2008081438A1 (en) Vascular access system and method
RU2017111587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положения между слоями глаза
EP2537551A1 (en) Optical pressure measurement
US10646118B2 (en) Laser catheter with use of reflected light to determine material type in vascular system
JP2022544625A (ja) 可搬型の超音波誘導下カニューレ挿入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10089276A (ko) 정렬 조립체를 가진 외과수술용 레이저 팁 장치
CN106061349A (zh) 用于测量组织区域的装置和方法
KR101678944B1 (ko) 반사광 거리센서를 이용한 깊이 조절 의료 도구 및 그의 제어 방법
Gonenc et al. Force-based puncture detection and active position holding for assisted retinal vein cannulation
EP3653122A1 (en) Catheter with irrigator and/or aspirator and with fiber-optic brain-clot analyzer
He et al. Dual-stiffness force-sensing cannulation tool for retinal microsurgery
US20140221837A1 (en) Ultrasound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203387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fluid management to a patient
WO2018067332A2 (en) Deep tissue probe with oct variable tuning
KR20170061552A (ko) 바이매뉴얼 수술 장치 및 이의 떨림 보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