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633B1 -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633B1
KR102531633B1 KR1020210114146A KR20210114146A KR102531633B1 KR 102531633 B1 KR102531633 B1 KR 102531633B1 KR 1020210114146 A KR1020210114146 A KR 1020210114146A KR 20210114146 A KR20210114146 A KR 20210114146A KR 102531633 B1 KR102531633 B1 KR 102531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chnology
asset
value
index
con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1671A (ko
Inventor
오현정
이성규
박성준
정혜윤
엄보영
Original Assignee
한국보건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보건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한국보건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210114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633B1/ko
Publication of KR20230031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1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3Score-carding, benchmarking or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제약 산업의 평가 대상 기술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형성되는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주요 변수를 입력받도록 형성되는 변수 획득부; 주요 변수를 이용하여 상기 평가 대상 기술에 대한 수익의 현재 가치값을 산출하는 수익 가치값 산출부; 상기 주요 변수를 이용하여 상기 평가 대상 기술에 대한 개발 과정 지출 비용의 현재 가치인 지출 비용값을 산출하는 지출 비용값 산출부; 상기 평가 대상 기술에 대한 기술 자산 기여도를 산출하는 기술자산 기여도 산출부; 및 상기 수익 가치값, 상기 지출 비용값 및 상기 기술자산 기여도를 이용하여 상기 평가 대상 기술의 기술가치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기술 가치평가 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요 변수는 상기 평가 대상 기술에 대한 수익 변수 및 비용 변수를 포함하고, 상기 수익 변수는 여유 현금 흐름, 승인 가능성, 상기 평가 대상 기술의 기술 수명 및 할인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비용 변수는 각 임상 단계별 개발 비용, 임상 기간, 임상 성공확률 및 할인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변수 획득부는, 상기 평가 대상 기술의 기술 수명을 상기 평가 대상 기술의 특허 만료까지의 기간으로 설정한다.

Description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시스템 및 방법{Pharmaceutical industry technology asset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echnology asset contribution}
본 발명은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약 산업에서 특정 기술에 대한 기술자산 기여도를 평가 지표 및 가중치를 이용하여 도출하여 기술자산평가에 반영하도록 형성되는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가치평가 모형은 위험조정순현재가치(r-NPV) 방법을 활용하고 있으며, 연도별 현금흐름에 발행할 수 있는 위험가능성을 적용한 '위험 조정 미래 예상 현금흐름'으로써, 미래의 현금흐름을 할인율로 할인하여 현재가치로 변환한 것을 의미한다. r-NPV방법의 경우 매년 현금흐름으로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는 값을 적용할 수 있어서 약물 개발과정에서 단계별로 달라질 수 있는 성공가능성과 비용, 기간을 적용하기 쉬운 장점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 가치평가 모형의 경우, 기술자산에 대한 가치를 반영하지 않으며, 신약 출시 이후 사업화 주체가 사업을 수행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현금흐름 중에서 매출액과 매출원가, 그리고 판관비 이외에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현금흐름의 유입액과 유출액에 대한 반영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 매출액 추정을 위하여 시장점유율을 반영하는데 있어서, 신약출시이후 Ramp-up하는 기간 동안 최고점의 시장점유율을 등비율 증가로 적용하기 때문에 시장점유율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는 다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나아가, 국내의 제약산업과 관련하여 신약개발을 위한 임상비용과 소요비용에 대한 가치평가 인프라가 확보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점과, 제약산업의 특성상 사업화를 위한 미래 불확실성 요소가 상당히 많이 존재하고 있는 상황에 있어서, 가치평가 산출을 위해 필요한 입력변수들을 확정적(deterministic) 방법에 의한 추정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문제점이 더 존재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58376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약 산업에서의 특정 업체의 특정 기술에 대한 기술자산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해당 기술에 대한 기술자산 기여도를 평가 지표, 가중치 및 산업요소지수의 누적확률분포를 이용하여 도출할 수 있는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약 산업의 평가 대상 기술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형성되는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주요 변수를 입력받도록 형성되는 변수 획득부; 상기 주요 변수를 이용하여 상기 평가 대상 기술에 대한 수익의 현재 가치값을 산출하는 수익 가치값 산출부; 상기 주요 변수를 이용하여 상기 평가 대상 기술에 대한 개발 과정 지출 비용의 현재 가치인 지출 비용값을 산출하는 지출 비용값 산출부; 상기 평가 대상 기술에 대한 기술 자산 기여도를 산출하는 기술자산 기여도 산출부; 및 상기 수익 가치값, 상기 지출 비용값 및 상기 기술자산 기여도를 이용하여 상기 평가 대상 기술의 기술가치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기술 가치평가 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요 변수는 상기 평가 대상 기술에 대한 수익 변수 및 비용 변수를 포함하고, 상기 수익 변수는 여유 현금 흐름, 승인 가능성, 상기 평가 대상 기술의 기술 수명 및 할인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비용 변수는 각 임상 단계별 개발 비용, 임상 기간, 임상 성공확률 및 할인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변수 획득부는, 상기 평가 대상 기술의 기술 수명을 상기 평가 대상 기술의 특허 만료까지의 기간으로 설정한다.
상기 수익 가치값 산출부, 상기 지출 비용값 산출부, 상기 기술자산 기여도 산출부 및 상기 기술가치평가 산출부는 하기 [수식 1]을 이용하여 각각 수익 가치값(LOANPVrev), 지출 비용값(proNPVdev), 기술자산 기여도(D) 및 기술가치평가 결과(rNPVCon)를 산출할 수 있다.
[수식 1]
Figure 112023035935835-pat00218
삭제
삭제
Figure 112021099506680-pat00002
Figure 112021099506680-pat00003
Figure 112021099506680-pat00004
Figure 112021099506680-pat00005
(여기서, rLOA: 승인 가능성, FCFt: 출시 이후 여유 현금 흐름, Propt: 각 개발단계별 성공가능성, Cpt: 각 개발단계별 개발비용, t: 특허 만료까지의 기간, pt: 각 개발단계별 기간, r: 할인율, icdf: 산업기술요소에 대한 누적확률분포의 역함수, PD: 확률분포함수의 모수(parameter), P: 개별기술지수)
상기 수익 가치값 산출부는, 현 개발 단계부터 승인까지의 단계별 성공 확률의 총 곱으로 산출되는 승인 가능성을 획득하는 승인 가능성 계산 모듈; 시장 규모, 시장 점유율 및 수익률을 이용하여 여유 현금 흐름을 획득하는 여유 현금 흐름 계산 모듈; 및 상기 승인 가능성과 상기 여유 현금 흐름을 이용하여 상기 수익 가치값을 산출하는 수익 가치값 산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인 가능성 계산 모듈은 하기 [수식 2]를 이용하여 상기 승인 가능성을 획득하며, 상기 여유 현금 흐름 계산 모듈은 하기 [수식 3]을 이용하여 상기 여유 현금 흐름을 계산하고, 상기 수익 가치값 산출 모듈은 상기 [수식 1]을 이용하여 상기 수익 가치값을 산출할 수 있다.
[수식 2]
Figure 112021099506680-pat00006
Figure 112021099506680-pat00007
[수식 3]
Figure 112021099506680-pat00008
Figure 112021099506680-pat00009
Figure 112021099506680-pat00010
또는
Figure 112021099506680-pat00011
Figure 112021099506680-pat00012
상기 지출 비용값 산출부는, 임상시험 규모, 임상 시험 단계 및 약물 특성을 이용하여 개발 단계별 개발 비용을 계산하는 개발 단계별 개발비용 계산 모듈; 상기 대상 기술 특성 및 상기 대상 기술이 표적으로 하는 질병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개발 단계별 성공확률을 계산하는 개발 단계별 진입 가능성 계산 모듈; 및 상기 개발 단계별 개발 비용 및 상기 개발 단계별 진입 가능성을 이용하여 상기 지출 비용값을 계산하는 지출 비용값 산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발 단계별 개발 비용 계산 모듈은 하기 [수식 4]의 수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개발 비용을 계산하고, 상기 개발 단계별 진입 가능성 계산 모듈은 하기 [수식 5]를 이용하여 상기 성공확률을 계산하며, 상기 지출 비용값 산출 모듈은 상기 [수식 1]을 이용하여 상기 지출 비용값을 계산할 수 있다.
[수식 4]
Figure 112021099506680-pat00013
Figure 112021099506680-pat00014
[수식 5]
Figure 112021099506680-pat00015
상기 기술자산 기여도 산출부는, 개별기술지수 및 산업기술요소지수를 획득하여 상기 기술자산 기여도를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지수 정보들을 획득하도록 형성되는 지수 정보 획득 모듈; 획득한 상기 개별기술지수 평가결과로부터 상기 개별기술지수를 생성하도록 형성되는 개별기술지수 생성 모듈;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복수개의 제약 업체를 선정하고, 선정한 상기 제약 업체들의 산업요소지수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한 상기 산업요소지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산업기술요소지수를 획득하고, 그에 대한 누적확률분포를 획득하도록 형성되는 산업기술요소지수 처리 모듈; 및 상기 개별기술지수 및 상기 산업기술요소지수를 이용하여 특정 업체의 특정 기술에 대한 상기 기술자산 기여도를 획득하도록 형성되는 기술자산 기여도 획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수 정보 획득 모듈은, 개별기술지수 평가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산업기술요소지수를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산업기술요소지수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개별기술지수 평가결과는, 기 획득된 평가자 풀에 포함된 평가자 중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복수의 평가자를 선정하여 상기 평가자들로부터 기 설정된 평가표를 이용하여 획득한 특정 개별기술에 대한 평가 결과일 수 있다.
상기 개별기술지수 생성 모듈은, 상기 지수 정보 획득보에서 획득되는 개별기술지수 평가결과를 처리하기 위해 기술지수 가중치를 획득하고, 상기 기술지수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개별기술지수를 획득하며, 상기 기술지수 가중치는 제1가중치 및 제2가중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중치는 복수개의 제1평가항목들 사이의 중요도를 나타내며, 상기 제2가중치는 각각의 상기 제1평가항목 그룹에 포함된 복수개의 제2평가항목들 사이의 상대적 중요도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기술지수 가중치는, 기 획득된 평가자 풀에 포함된 평가자 중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복수의 평가자를 선정하여 상기 평가자들에게 기 설정된 평가표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상기 평가항목들을 제공하고, 상기 평가자들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평가항목들 사이의 상기 상대적 중요도를 획득한 후, 상기 상대적 중요도를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상기 개별기술지수는 하기 [수식 6]으로 표현될 수 있다.
[수식 6]
Figure 112023035935835-pat00222

Figure 112023035935835-pat00223

Figure 112023035935835-pat00224
(여기서, si, kj: 제1평가항목들 각각의 제2평가항목들에 대한 평점, pi, qj: 제1평가항목들 각각의 제2평가항목들에 대한 가중치, w1, w2: 제1평가항목들에 대한 가중치, A, B: 제1평가항목들 각각의 합산점수, P: 개별기술지수,
Figure 112023035935835-pat00225
,
Figure 112023035935835-pat00226
,
Figure 112023035935835-pat00227
)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산업기술요소지수 처리 모듈은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복수개의 제약 업체들을 선정하고, 상기 산업요소지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산업요소지수 정보를 이용하여 자산 정보를 계산하며, 상기 자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산업기술요소지수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산업기술요소지수를 분석하여 누적확률분포를 획득하고, 상기 제약 업체를 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준은 기간, 업종, 상장여부 및 자산 가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간은 최근 5년 범위이고, 상기 업종은 제조업, 도매 및 소매업,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상장 여부는 유가증권 또는 코스닥 시장의 상장 여부이고, 상기 자산 가치는 순자산과 무형자산 가치가 양수일 수 있다.
상기 자산 정보를 계산하기 위해 획득한 복수개의 상기 제약 업체들을 세부 업종으로 재분류하여 상기 세부 업종별 자산 정보를 계산하고, 상기 자산 정보는 무형자산가치비율 또는 기술자산 비중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술자산 기여도 획득 모듈은 상기 누적확률분포를 전달받아 상기 특정 업체가 포함된 업종의 상기 산업기술요소지수를 분석하고, 해당 산업기술요소지수 분석결과로부터 상기 특정 기술의 상기 개별기술지수에 대응하는 상기 기술자산 기여도를 획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술 가치평가 산출부는, 상기 수익 가치값과 상기 지출비용값의 곱으로 산출되는 기준 가치평가를 계산하는 기준 가치평가 계산 모듈; 및 상기 기준 가치평가에 상기 기술자산 기여도를 적용하여 상기 [수식 1]의 상기 기술가치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기술 자산 기여도 적용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약 산업의 평가 대상 기술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형성되는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방법은, 변수 획득부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주요 변수를 입력받는 단계; 수익 가치값 산출부에서 상기 주요 변수를 이용하여 상기 평가 대상 기술에 대한 수익의 현재 가치값인 수익 가치값을 산출하는 단계; 지출 비용값 산출부에서 상기 주요 변수를 이용하여 상기 평가 대상 기술에 대한 개발 과정 지출 비용의 현재 가치인 지출 비용값을 산출하는 단계; 기술자산 기여도 산출부에서 상기 평가 대상 기술에 대한 기술 자산 기여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기술 가치평가 산출부에서 상기 수익 가치값, 상기 지출 비용값 및 상기 기술자산 기여도를 이용하여 상기 평가 대상 기술의 기술가치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주요 변수는 상기 평가 대상 기술에 대한 수익 변수 및 비용 변수를 포함하고, 상기 수익 변수는 여유 현금 흐름, 승인 가능성, 상기 평가 대상 기술의 기술 수명 및 할인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비용 변수는 각 임상 단계별 개발 비용, 임상 기간, 임상 성공확률 및 할인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변수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평가 대상 기술의 기술 수명을 상기 평가 대상 기술의 특허 만료까지의 기간으로 설정한다.
상기 수익 가치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지출 비용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기술자산 기여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기술가치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단계는 하기 [수식 7]을 이용하여 각각 수익 가치값(LOANPVrev), 지출 비용값(proNPVdev), 기술자산 기여도(D) 및 기술가치평가 결과(rNPVCon)를 산출할 수 있다.
[수식 7]
Figure 112023035935835-pat00219
삭제
삭제
Figure 112021099506680-pat00023
Figure 112021099506680-pat00024
Figure 112021099506680-pat00025
Figure 112021099506680-pat00026
(여기서, rLOA: 승인 가능성, FCFt: 출시 이후 여유 현금 흐름, Propt: 각 개발단계별 성공가능성, Cpt: 각 개발단계별 개발비용, t: 특허 만료까지의 기간, pt: 각 개발단계별 기간, r: 할인율, icdf: 산업기술요소에 대한 누적확률분포의 역함수, PD: 확률분포함수의 모수(parameter), P: 개별기술지수)
상기 수익 가치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현 개발 단계부터 승인까지의 단계별 성공 확률의 총 곱으로 산출되는 승인 가능성을 획득하는 단계; 시장 규모, 시장 점유율 및 수익률을 이용하여 여유 현금 흐름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승인 가능성과 상기 여유 현금 흐름을 이용하여 상기 수익 가치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인 가능성을 계산하는 단계는 하기 [수식 8]을 이용하여 상기 승인 가능성을 획득하며, 상기 여유 현금 흐름을 계산하는 단계는 하기 [수식 9]를 이용하여 상기 여유 현금 흐름을 계산하고, 상기 수익 가치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수식 7]을 이용하여 상기 수익 가치값을 산출할 수 있다.
[수식 8]
Figure 112021099506680-pat00027
Figure 112021099506680-pat00028
[수식 9]
Figure 112021099506680-pat00029
Figure 112021099506680-pat00030
Figure 112021099506680-pat00031
또는
Figure 112021099506680-pat00032
Figure 112021099506680-pat00033
상기 지출 비용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임상시험 규모, 임상 시험 단계 및 약물 특성을 이용하여 개발 단계별 개발 비용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대상 기술 특성 및 상기 대상 기술이 표적으로 하는 질병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개발 단계별 성공확률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개발 단계별 개발 비용 및 상기 개발 단계별 진입 가능성을 이용하여 상기 지출 비용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발 단계별 개발 비용을 계산하는 단계는 하기 [수식 10]의 수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개발 비용을 계산하고, 상기 개발 단계별 진입 가능성을 계산하는 단계는 하기 [수식 11]을 이용하여 상기 성공확률을 계산하며, 상기 지출 비용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수식 7]을 이용하여 상기 지출 비용값을 계산할 수 있다.
[수식 10]
Figure 112021099506680-pat00034
Figure 112021099506680-pat00035
[수식 11]
Figure 112021099506680-pat00036
상기 기술자산 기여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개별기술지수 및 산업기술요소지수를 획득하여 상기 기술자산 기여도를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지수 정보들을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기 개별기술지수 평가결과로부터 상기 개별기술지수를 생성하는 단계;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복수개의 제약 업체를 선정하고, 선정한 상기 제약 업체들의 산업요소지수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한 상기 산업요소지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산업기술요소지수를 획득하고, 그에 대한 누적확률분포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개별기술지수 및 상기 산업기술요소지수를 이용하여 특정 업체의 특정 기술에 대한 상기 기술자산 기여도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수 정보들을 획득하는 단계는, 개별기술지수 평가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산업기술요소지수를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산업기술요소지수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개별기술지수 평가결과는, 기 획득된 평가자 풀에 포함된 평가자 중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복수의 평가자를 선정하여 상기 평가자들로부터 기 설정된 평가표를 이용하여 획득한 특정 개별기술에 대한 평가 결과일 수 있다.
상기 개별기술지수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지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획득되는 개별기술지수 평가결과를 처리하기 위해 기술지수 가중치를 획득하고, 상기 기술지수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개별기술지수를 획득하며, 상기 기술지수 가중치는 제1가중치 및 제2가중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중치는 복수개의 제1평가항목들 사이의 중요도를 나타내며, 상기 제2가중치는 각각의 상기 제1평가항목 그룹에 포함된 복수개의 제2평가항목들 사이의 상대적 중요도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기술지수 가중치는, 기 획득된 평가자 풀에 포함된 평가자 중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복수의 평가자를 선정하여 상기 평가자들에게 기 설정된 평가표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상기 평가항목들을 제공하고, 상기 평가자들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평가항목들 사이의 상기 상대적 중요도를 획득한 후, 상기 상대적 중요도를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상기 개별기술지수는 하기 [수식 12]로 표현될 수 있다.
[수식 12]
Figure 112023035935835-pat00228

Figure 112023035935835-pat00229

Figure 112023035935835-pat00230
(여기서, si, kj: 제1평가항목들 각각의 제2평가항목들에 대한 평점, pi, qj: 제1평가항목들 각각의 제2평가항목들에 대한 가중치, w1, w2: 제1평가항목들에 대한 가중치, A, B: 제1평가항목들 각각의 합산점수, P: 개별기술지수,
Figure 112023035935835-pat00231
,
Figure 112023035935835-pat00232
,
Figure 112023035935835-pat00233
)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산업기술요소지수를 처리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복수개의 제약 업체들을 선정하고, 상기 산업요소지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산업요소지수 정보를 이용하여 자산 정보를 계산하며, 상기 자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산업기술요소지수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산업기술요소지수를 분석하여 누적확률분포를 획득하고, 상기 제약 업체를 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준은 기간, 업종, 상장여부 및 자산 가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간은 최근 5년 범위이고, 상기 업종은 제조업, 도매 및 소매업,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상장 여부는 유가증권 또는 코스닥 시장의 상장 여부이고, 상기 자산 가치는 순자산과 무형자산 가치가 양수일 수 있다.
상기 자산 정보를 계산하기 위해 획득한 복수개의 상기 제약 업체들을 세부 업종으로 재분류하여 상기 세부 업종별 자산 정보를 계산하고, 상기 자산 정보는 무형자산가치비율 또는 기술자산 비중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술자산 기여도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누적확률분포를 전달받아 상기 특정 업체가 포함된 업종의 상기 산업기술요소지수를 분석하고, 해당 산업기술요소지수 분석결과로부터 상기 특정 기술의 상기 개별기술지수에 대응하는 상기 기술자산 기여도를 획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술 가치평가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수익 가치값과 상기 지출비용값의 곱으로 산출되는 기준 가치평가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가치평가에 상기 기술자산 기여도를 적용하여 상기 [수식 7]의 상기 기술가치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시스템 및 방법은, 개별기술지수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기술자산 기여도를 획득하였기 때문에, 종래의 기술자산 기여도보다 높은 신뢰도를 가지는 기술자산 기여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시스템 및 방법은, 기술자산 기여도를 획득하기 위해 산업기술요소지수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누적확률분포를 통한 정규화(Normalized)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보다 높은 신뢰도를 가지는 기술자산 기여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시스템 및 방법은, 기술 수명을 특허 수명으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제약 산업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기술자산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의약품의 실제 매출 곡선으로, 실제 자누비야 시장점유율과 BASS 기반 시장점유율 추정 결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시스템 및 시스템과 정보를 주고받는 외부 장치들과의 연결을 간단히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도 2의 수익 가치값 산출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지출 비용값 산출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의 기술자산 기여도 산출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2의 기술 가치평가 산출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단계 S110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7의 단계 S120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단계 S130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도 7의 단계 S140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a는 의약용 화합물 및 항생물질 제조업의 산업요소지수 분석결과이다.
도 12b는 생물학적 제제 제조업의 산업요소지수 분석결과이다.
도 12c는 완제 의약품 제조업의 산업요소지수 분석결과이다.
도 12d는 의약품 도매업의 산업요소지수 분석결과이다.
도 12e는 의학 및 약학 연구 개발업의 산업요소지수 분석결과이다.
도 12f는 제약산업 관련 제조업 전체의 산업요소지수 분석결과이다.
도 12g는 제약산업 관련 제조업 대기업의 산업요소지수 분석결과이다.
도 12h는 제약산업 관련 제조업 중기업의 산업요소지수 분석결과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의약품의 실제 매출 곡선으로, 실제 자누비야 시장점유율과 BASS 기반 시장점유율 추정 결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시스템 및 시스템과 정보를 주고받는 외부 장치들과의 연결을 간단히 나타낸 도이고, 도 3은 도 2의 수익 가치값 산출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4는 도 2의 지출 비용값 산출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2의 기술자산 기여도 산출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6은 도 2의 기술 가치평가 산출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6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시스템(이하 기술자산평가 시스템이라 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기술자산평가 시스템(10)은 후술되는 기술자산 기여도 산출부(120)에서 요구하는 평가자를 획득하기 위해 외부의 평가자 Pool(20)과 연결될 수도 있고, 외부 서버 DB(30)와도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기술자산평가 시스템(10)은 제약 산업에서 평가 대상 기술의 기술자산평가를 위해 구비되며, 수익 가치값, 지출 비용값 및 기술자산 기여도를 각각 산출하여 평가 대상 기술에 대한 기술가치평가를 수행하는 rNPV 방식을 이용하여 기술가치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기술자산평가 시스템(10)은 수익 가치값과 지출 비용값을 획득하기 위해 주요 변수를 외부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변수 획득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는 일 예로 사용자 단말기일 수 있다.
변수 획득부(100)는 외부로부터 주요 변수를 입력받도록 형성되며, 변수 획득부(100)에서 획득된 다양한 변수들은 후술되는 수익 가치값 산출부(110), 지출 비용값 산출부(120), 기술자산 기여도 산출부(130) 및 기술 가치평가 산출부(140)로 전달되어 각각의 산출부에서 사용될 수 있다.
주요 변수는 평가 대상 기술에 대한 수익 변수 및 비용 변수를 포함한다. 수익 변수는 여유 현금 흐름, 대상 기술의 승인 가능성, 대상 기술의 기술 수명 및 할인율을 포함할 수 있다. 비용 변수는 각 임상 단계별 개발 비용, 임상 기간, 임상 성공확률 및 할인율을 포함할 수 있다.
변수 획득부(100)는 후술되는 기술 가치평가를 산출하기 위해 대상 기술의 기술 수명을 특허 만료까지의 기간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는, 제약산업의 특수성에 기반한 것이다. 제약 회사에서 개발되는 다양한 의약품들은 해당 의약품들에 대한 특허 등록이 이루어지면, 특허 보호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 다른 제약 회사들이 복제약을 생산하기 어렵다는 특징이 존재한다. 따라서 특허 보호 기간 동안은 일정 수준 이상의 매출이 충분히 발생할 수 있지만, 특허 보호 기간이 종료되면, 시중에 판매되게 되는 복제약들에 의해 매출 감소율이 최대 판매 시점을 기준으로 70 내지 80%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제약산업에서는 일반적으로 특허 보호 기간이 종료된 이후의 매출액은 해당 의약품에 대한 사업성 분석에서 제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변수 획득부(100)에서 기술 수명을 특허 만료까지의 기간으로 설정하는 근거인 법적 제도, 실제 매출 및 개발 통계와 관련된 설명을 제시하여 변수 획득부(100)에서 기술 수명을 특허 만료까지의 기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높은 효과를 가지는 것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변수 획득부(100)는 대상 기술에 대한 기술 수명을 특허 만료까지의 기간으로 설정하기 위해 현실의 법적 제도, 실제 매출 및 의약품 개발 통계를 포함하는 3가지 근거를 이용하였으며, 3가지 근거는 각각 1) 의약품허가-특허 연계제도, 2) 의약품의 개발 기간 분석 및 3) 의약품의 실제 매출 곡선이다.
의약품허가-특허연계제도(이하 연계제도라 함)는 의약품이 특허 보호 기간의 종료까지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있는 제도이다. 연계제도는 신약 품목 허가 절차 과정에 특허권 침해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추가함으로써 신약의 안정성 유효성 자료 이용을 확대함과 동시에 신약에 대한 특허권을 보다 적극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도입된 법적 제도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한-미 FTA 후속조치를 위해 '약사법'을 개정하여 2015년 3월부터 연계제도가 전면 시행되었다.
연계제도는 총 4가지의 절차로 이루어지며, 이중 3가지 절차는 한-미 FTA 협정문 규정을 반영한 것이며, 나머지 하나의 절차는 소송에 따른 위험 및 비용 부담을 감수하고 연구개발을 통해 시장에 진입하는 제약 업체에 대한 보상을 위해 도입된 절차이다.
이러한 연계제도를 통해 제약 업체에서 생산되는 의약품은 특허 보호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 법적인 보호를 받을 수 있게 되었으며 따라서 이를 근거로 본 발명의 변수 획득부(100)는 기술 수명을 특허 만료까지의 기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의약품의 개발 기간 역시 본 발명에서 기술 수명으로 특허 만료까지의 기간을 설정하는 하나의 근거로 사용될 수 있다. 과거 개발된 의약품들의 개발 기간과 매출을 분석하면, 의약품들을 개발하기 위한 후보물질 발굴부터 임상시험 완료까지를 의미하는 개발의 전주기는 평균적으로 12년으로 분석된다. 또한, 개발이 완료된 의약품은, 의약품 시장에서의 개발 기간이라는 높은 진입 장벽으로 인해 상당기간 매출이 정점을 유지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해당 의약품의 매출을 잠식할 수 있는 후속 약물이 나타나기까지의 시간은 개발 기간을 포함하여 특허 존속 기간인 20년을 초과하는 경우도 종종 확인되고 있다.
즉, 이러한 의약품의 긴 개발 기간(평균 12년)으로 인해 의약품 시장에서는 특허 보호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 매출이 유지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를 근거로 본 발명의 변수 획득부(100)는 기술 수명을 특허 만료까지의 기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의약품의 실제 매출 곡선 역시 본 발명에서 기술 수명으로 특허 만료까지의 기간을 설정하는 하나의 근거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의약품의 실제 매출 곡선으로, 실제 자누비야 시장점유율과 BASS 기반 시장점유율 추정 결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은, 자누비아가 10년 이상의 개발 기간 이후 10년 가까이 일정 비율 이상 시장점유율을 유지하는 양상에 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의약품의 평균 개발 기간은 12년이며, 도 1을 참고하면, 자누비아는 개발 기간 이후 10년 가까이 일정 비율 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근거로 본 발명의 변수 획득부(100)는 기술 수명을 특허 만료까지의 기간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기술자산평가 시스템(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익 가치값 산출부(110), 지출 비용값 산출부(120), 기술자산 기여도 산출부(130) 및 기술 가치평가 산출부(1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수익 가치값 산출부(110)는 주요 변수 중 수익 변수를 이용하여 평가 대상 기술에 대한 수익의 현재 가치값을 산출하기 위해 구비된다. 수익 가치값 산출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인 가능성 계산 모듈(111), 여유 현금 흐름 계산 모듈(112) 및 수익 가치값 산출 모듈(113)을 이용하여 평가 대상 기술에 대한 수익의 현재 가치값을 산출할 수 있다.
승인 가능성 계산 모듈(111)은 현 개발 단계부터 승인까지의 단계별 성공 확률의 총 곱으로 산출되는 승인 가능성을 계산하도록 형성된다. 승인 가능성 계산 모듈(111)은 현재의 개발 단계에서 승인까지의 모든 과정이 성공한다는 것을 전제로 승인 가능성을 계산한다. 이는 중간에 승인을 받지 못하는 경우 해당 기술의 판매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승인 가능성의 계산이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승인 가능성 계산 모듈(111)은 현 개발단계로부터 출시까지 모든 성공확률의 곱으로 승인 가능성을 계산할 수 있다.
각 개발단계에서의 성공 확률은 해당 질병에 대한 평가 대상 기술의 평균 개발 기간동안 수행된 임상시험을 바탕으로 전체 임상 시험에서 다음 단계로 진행된 임상시험의 비율로 표현된다.
승인 가능성 계산 모듈(111)에서 계산되는 승인 가능성 및 각 개발단계에서의 성공 확률은 하기 수학식 1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21099506680-pat00043
Figure 112021099506680-pat00044
여유 현금 흐름 계산 모듈(112)은 시장 규모, 시장 점유율 및 수익률을 이용하여 여유 현금 흐름을 획득하도록 형성된다. 여유 현금 흐름 계산 모듈(112)은 여유 현금 흐름을 계산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시장 점유율법으로 매출액을 추정하며, 시장분석 결과인 시장 점유율을 이용한 추정 방법을 이용하는 매출액은 시장규모, 시장점유율 및 수익률을 이용하여 추정된다. 여유 현금 흐름 계산 모듈(112)은 추정매출액과 수익률의 곱으로 계산될 수 있으며, 추정매출액은 시장규모와 시장점유율의 곱으로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여유 현금 흐름 계산 모듈(112)은 시장 규모를 전년도 총 매출액을 이용하거나 잠재적 환자수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여유 현금 흐름 계산 모듈(112)에서 계산되는 여유 현금 흐름과 관련된 수식은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21099506680-pat00045
Figure 112021099506680-pat00046
Figure 112021099506680-pat00047
또는
Figure 112021099506680-pat00048
Figure 112021099506680-pat00049
수익 가치값 산출 모듈(113)은 승인 가능성과 여유 현금 흐름을 이용하여 수익 가치값을 산출하기 위해 형성된다. 수익 가치값 산출 모듈(113)은 승인 가능성 계산 모듈(111)과 여유 현금 흐름 계산 모듈(112)에서 각각 획득한 승인 가능성 및 여유 현금 흐름을 전달 받고, 이를 이용하여 수익 가치값인 LOANPVrev를 획득할 수 있으며, 수익 가치값은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하기 수학식 3의 특허 만료까지의 기간은 상술한 바와 같이 평가 대상 기술의 기술 수명을 의미한다.
Figure 112023035935835-pat00220
(여기서, rLOA: 승인 가능성, FCFt: 출시 이후 여유 현금 흐름, t: 특허 만료까지의 기간, r: 할인율)
한편, 도 2의 지출 비용값 산출부(120)는 주요 변수 중 비용 변수를 이용하여 평가 대상 기술에 대한 개발 과정 지출 비용의 현재 가치인 지출 비용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출 비용값 산출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발 단계별 개발비용 계산 모듈(121), 개발 단계별 진입 가능성 계산 모듈(122) 지출 비용값 산출 모듈(123)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개발 단계별 개발비용 계산 모듈(121)은 임상 시험 규모, 임상 시험 단계 및 약물 특성을 이용하여 개발 단계별 개발 비용을 계산하도록 형성된다. 개발비용은 제약 기술 개발의 각 단계(전 임상 및 임상 1,2,3상)에서의 임상시험 비용을 지칭하며, 개발비용은 기업에서 경험적으로 축정한 제약 기술 개발의 전반적인 단계별 비용내역이 있으면 해당 내역을 사용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집행 예산을 기준으로 단계별 개발 비용의 비율을 이용하여 개발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발 단계별 개발비용 계산 모듈(121)은 단계별 개발 비용의 비율을 이용하여 개발비용을 산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단계별 개발비용은 각 단계 비용의 총합이며 개발단계가 몇 년에 걸쳐서 진행되는 경우 해당 기간으로 나눈 비용을 매년 적용할 수 있으며 개발 비용을 전체 프로젝트 개발비용과 해당 임상 단계의 지출 비율을 이용하여 획득될 수도 있고 이는 하기 수학식 4로 표현되어 개발 단계별 개발비용 계산 모듈(121)에서 획득될 수 있다.
Figure 112021099506680-pat00051
Figure 112021099506680-pat00052
Figure 112021099506680-pat00053
개발 단계별 진입 가능성 계산 모듈(122)은 평가 대상 기술 특성 및 평가 대상 기술이 표적으로 하는 질병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개발 단계별 성공 확률을 획득하도록 구비된다. 진입 가능성은 해당 단계로 진입할 수 있는 확률을 의미하며 이전의 모든 개발 단계가 성공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개발 단계별 진입 가능성 계산 모듈(122)은 i개발 단계(임상i상)에서의 진입 가능성을 임상i-1단계의 진입 가능성과 임상i-1단계의 성공 확률의 곱으로 산출할 수 있으며 하기 수학식 5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21099506680-pat00054
지출 비용값 산출 모듈(123)은 개발 단계별 개발 비용 및 개발 단계별 진입 가능성을 이용하여 지출 비용값을 계산하도록 형성된다. 지출 비용값 산출 모듈(123)은 개발 단계별 개발 비용 계산 모듈(121)과 개발 단계별 진입 가능성 계산 모듈(122)에서 각각 획득한 개발 단계별 개발 비용 및 개발 단계별 진입 가능성을 전달 받고 이를 이용하여 지출 비용값인 proNPVdev를 획득할 수 있으며 지출 비용값은 하기 수학식 6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21099506680-pat00055
(여기서, Propt: 각 개발단계별 성공가능성, Cpt: 각 개발단계별 개발비용, pt: 각 개발단계별 기간, r: 할인율)
도 2의 기술자산 기여도 산출부(130)는 평가 대상 기술에 대한 기술 자산 기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술자산 기여도 산출부(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수 정보 획득 모듈(131), 개별기술지수 생성 모듈(132), 산업기술요소지수 처리 모듈(133) 및 기술자산 기여도 획득 모듈(134)을 이용할 수 있다.
지수 정보 획득 모듈(131)는 개별기술지수 및 산업기술요소지수를 획득하여 기술자산 기여도를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지수 정보들을 획득하도록 형성된다. 기술자산 기여도는 현재 다양한 공개된 방법들을 이용하여 획득된다. 기술자산 기여도를 추정하는 방법으로는 초과수익 배분방법, 로열티 수준을 이용하는 분석적 접근방법, 요소분해법, 초과이익 배분방식, 순이익 배분방식, 결정수익 환원 방식, 경험법칙에 의한 실무적 추정, 기술요소법, 산업요소를 반영한 기술요소 측정, 기술-산업 특성 매트릭스(그리드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현재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중이다. 이러한 방법들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기술자산 기여도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방법에서 요구하는 정보들을 획득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지수 정보 획득 모듈(131)는 이러한 지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개별기술지수 평가결과를 획득한 후 산업기술요소지수 정보를 획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별기술지수 평가결과는, 기 획득된 평가자 풀(30)에 포함된 평가자 중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복수의 평가자를 선정하여 획득한 결과로서, 지수 정보 획득 모듈(131)은 특정 업체의 특정 기술이 선정되면, 해당 기술에 대한 개별기술지수 평가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평가자 풀(30)로부터 복수의 평가자를 선정할 수 있다. 선정된 복수의 평가자는 기 설정된 평가표를 이용하여 특정 기술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고, 수행 결과는 지수 정보 획득 모듈(131)이 개별기술지수 평가결과로 획득할 수 있다.
하기 표 1은 이러한 기설정된 평가지의 예시이다. 또, 이하에서는 개별기술지수 평가결과에 관련된 내용을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아래의 표 1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개별기술지수 평가결과는 반드시 표 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함이 자명하다.
제1평가항목 제2평가항목 평점 점수
0 0.25 0.5 0.75 1
법적인
보호 강도
권리보호의 중요성
권리범위 및 강도
권리의 안정성
경쟁기술대비 방어정도
상업적
우위성
기술상용화 단계
(임상시험단계)
기능적 우위성
기술의 생산력
기술의 자립도
기술의 파급효과
유사기술의 성공사례
시장진입 용이성
시장확보 가능성
가격/원가 우위성
이익구조상 우위성
평가자들은 상기 표 1에 표시되고 있는 각각의 소항목에 대한 평점을 기재하여 작성완료 된 평가지를 개별기술지수 평가결과로 생성하고, 생성된 개별기술지수 평가결과는 지수 정보 획득 모듈(131)이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표 1의 항목들은, 종래의 TVMS 또는 산업통상자원부 등에서 공개하는 기술 평가 지표와 달리 기술상용화 단계에서의 우위성을 보다 세분화하기 위해 임상시험 단계를 기준으로 하도록 작성되었다.
다음으로 지수 정보 획득 모듈(131)은 산업기술요소지수를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산업기술요소지수 정보를 획득하며, 이때 지수 정보 획득 모듈(131)은 외부 서버 DB(30)를 이용하여 해당 지수 정보를 획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수 정보 획득 모듈(131)에서 획득하는 지수 정보는 업체 및 기술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으며, 해당 업체의 자산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개별기술지수 생성 모듈(132)은 획득한 개별기술지수 평가결과로부터 개별기술지수를 생성하도록 형성된다. 개별기술지수 생성 모듈(132)은 기술지수 가중치를 제1가중치 및 제2가중치로 구분하여 획득할 수 있다. 제1가중치는 상기 표 1에 표현된 제1평가항목들 사이의 상대적 중요도를 나타내며, 제2가중치는 상기 표 1에 표현된 제2평가항목들 사이의 상대적 중요도를 의미한다. 또, 바람직하게는 제1가중치 및 제2가중치는 정규화 된 가중치로 표현될 수 있다. 즉 제1가중치 및 제2가중치 각각의 합은 1 또는 100%로 표현될 수 있다.
개별기술지수 생성 모듈(132)은, 제1가중치 및 제2가중치를 획득하기 위해 기 획득된 평가자 풀(30)에 포함된 평가자 중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복수의 평가자를 선정하고, 선정한 복수의 평가자로부터 상기 표 1의 평가항목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획득할 수도 있다.
즉, 선정된 복수의 평가자는, 제1평가항목 사이의 상대적 중요도를 평가할 수 있고, 개별기술지수 생성 모듈(132)은 그 평가 결과를 전달 받아 제1가중치로 표현할 수 있으며, 선정된 복수의 평가자가 각각의 제1평가항목에 표현된 제2평가항목들 사이의 상대적 중요도를 각각 평가하면, 개별기술지수 생성 모듈(132))은 그 평가 결과를 전달 받아 제2가중치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평가자가 상대적 중요도를 평가하는 방법은 흔히 알려진 AHP 분석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제2가중치는, 동일한 제1평가항목에 포함된 서로 다른 제2평가항목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의미한다. 즉, 상기 표 1에서 하나의 예시를 선정하면, 제2가중치는 제1평가항목인 법적인 보호 강도와 상업적 우위성 사이에서는 연관관계가 나타나지 않고, 법적인 보호 강도 항목 내의 제2평가항목인 권리보호의 중요성, 권리범위 및 강도, 권리의 안정성 및 경쟁기술대비 방어정도로 표현되는 총 4개의 제2평가항목 사이의 상대적 가중치를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개별기술지수 생성 모듈(132)은 제1가중치 및 제2가중치를 개별기술지수 평가결과에 적용하여 해당 특정 기술에 대한 개별기술지수를 획득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표 1에 대하여 보다 가중치가 반영되는 내용을 보다 상세히 표현하면 하기 표 2와 같이 나타난다. 하기 표 2는 개별기술지수 평가결과를 정량화 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식을 상기 표 1에 더 포함하도록 작성된 표이다.
제1평가항목 제2평가항목 평점 점수
0 0.25 0.5 0.75 1
법적인
보호 강도
(w1)
권리보호의 중요성(p1) S1
권리범위 및 강도(p2) S2
권리의 안정성(p3) S3
경쟁기술대비 방어정도(p4) S4
소계(A)
Figure 112023035935835-pat00240

여기서,
Figure 112023035935835-pat00057
상업적
우위성
(w2)
기술상용화 단계
(임상시험단계) (q1)
K1
기능적 우위성(q2) K2
기술의 생산력(q3) K3
기술의 자립도(q4) K4
기술의 파급효과(q5) K5
유사기술의 성공사례(q6) K6
시장진입 용이성(q7) K7
시장확보 가능성(q8) K8
가격/원가 우위성(q9) K9
이익구조상 우위성(q10) K10
소계(B)
Figure 112023035935835-pat00241

여기서,
Figure 112023035935835-pat00059
Figure 112023035935835-pat00060

여기서,
Figure 112023035935835-pat00061
상기 표 2를 확인하면, 개별기술지수 P는 제1평가항목 각각에 가중치가 반영된 합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제1평가항목 각각의 가중치 w1 및 w2는 각각의 제1평가항목 내부의 제2평가항목들의 소계에 반영된다. 제2평가항목들은 해당 평가항목들이 포함된 그룹내에서의 가중치가 반영된다.
보다 쉽게 설명하면, 평가자들은 상기 표 2의 제2평가항목 각각에 대한 평점을 기록한다. 각각의 제2평가항목들은 가중치가 표현되고 있으며, 점수는 해당 평가항목의 가중치와 평점의 곱으로 표현된다.
개별기술지수 생성 모듈(132)은 각각의 제2평가항목에 대한 평점(sn, kn)을 확인하고, 해당 평점과 해당 제2평가항목의 가중치를 곱하여 점수 Sn 또는 Kn을 획득한다. 획득된 점수는 각각의 제1평가항목별로 합산되어 제1합산점수 A 및 제2합산점수 B로 획득된다. 이후, 제1평가항목들 사이에서의 가중치를 각각의 합산점수에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개별기술지수 P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은 하기 수학식 7로 정리될 수 있다.
Figure 112023035935835-pat00234

Figure 112023035935835-pat00235
삭제
Figure 112021099506680-pat00064
(여기서, A, B: 제1평가항목들 각각의 합산점수, P: 개별기술지수,
Figure 112023035935835-pat00065
,
Figure 112023035935835-pat00066
,
Figure 112023035935835-pat00067
)
상기 수학식 7의 경우에는, 상기 표 1 및 표 2와 같이 제1평가항목이 2개 항목으로 한정되어 표현된 것이며, 보다 일반적인 식은 하기 수학식 8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23035935835-pat00236
Figure 112021099506680-pat00069
(여기서, An: 제n평가항목의 평가 점수, P: 개별기술지수,
Figure 112021099506680-pat00070
,
Figure 112021099506680-pat00071
)
산업기술요소지수 처리 모듈(133)은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복수개의 제약 업체를 선정하고, 선정한 제약 업체들의 산업요소지수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한 산업요소지수 정보를 이용하여 산업기술요소지수를 획득하고 그에 대한 누적확률분포를 획득하도록 형성된다.
산업기술요소지수 처리 모듈(133)은 지수 정보 획득 모듈(131)에서 획득한 산업기술요소지수 정보로부터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복수개의 제약 업체들을 선정하고, 산업요소지수 정보를 획득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약 업체들을 선정하여 산업요소지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기 설정된 기준으로, 기간, 업종, 상장여부 및 자산 가치 등을 이용하였다. 또한, 이하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 설정된 기준을 각각 고정하여 설명하도록 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기준은 변경될 수 있다.
즉, 아래의 한 실시예에서는 기간을 5년 범위로 제한하고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기간을 20년 범위로 제한할 수도 있고, 한 실시예에서 업종은 제조업, 도매 및 소매업,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 업으로 한정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더 적거나 많은 업종으로 한정할 수 있다.
또, 한 실시예에서 상장 여부는 유가증권 또는 코스닥 시장에의 상장 여부를 의미하며, 자산 가치는 순자산과 무형자산 가치가 양수로 나타나는 것을 의미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와 다른 상장 여부 또는 자산 가치로 한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간은 최근 5년 범위로 제한하였으며, 업종은 제조업, 도매 및 소매업,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 업으로 한정하였고, 상장 여부는 유가증권 또는 코스닥 시장에의 상장 여부를 의미하며, 자산 가치는 순자산과 무형자산 가치가 양수로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정리하면, 산업기술요소지수 처리 모듈(133)은 산업요소지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최근 5년 범위동안 제조업, 도매 및 소매업,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을 수행하는 제약 업체 중, 유가증권 또는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업체를 선정하고, 그 중 순자산과 무형자산 가치가 양수로 나타나는 업체를 확인하고, 해당 업체들을 선정한 후 해당 업체들의 산업요소지수 정보를 산업기술요소지수 정보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하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2011년 총 107개사, 2012년 115개사, 2013년 132개사, 2014년 135개사 및 2015년 173개사가 각각 년도별로 획득될 수 있었다.
또, 산업기술요소지수 처리 모듈(133)은 산업요소지수 정보를 이용하여 자산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자산 정보는, 해당 업체의 무형자산가치비율 또는 기술자산 비중일 수 있다.
산업기술요소지수 처리 모듈(133)은 자산 정보를 계산하기 위해 복수개의 제약 업체들을 상술한 제조업, 도매 및 소매업,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하 제1업종이라함)이 아닌 세부 업종(이하 제2업종이라 함)으로 재분류를 수행한 후 제2업종별 자산 정보를 계산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2업종은 총 5개의 업종으로 재분류되었으며, 제2업종은 각각 의약용 화합물 및 항생물질 제조업, 생물학적 제제 제조업, 완제 의약품 제조업, 의약품 도매업, 의학 및 약학 연구개발업으로 나타났다.
산업기술요소지수 처리 모듈(133)은 자산 정보 및 제2업종 분류를 이용하여 제2업종별 산업기술요소지수를 획득하고, 획득한 산업기술요소지수를 분석하여 누적 확률분포를 획득한다. 산업기술요소지수 처리 모듈(133)이 이러한 누적확률분포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기술과 산업의 성장 또는 위축의 관계를 반영하여 보다 정확한 기술 자산 기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산업기술요소지수 처리 모듈(133)은 각각의 제2업종 분류에 포함된 기업들의 자산 정보를 이용하여 산업요소지수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데이터에 대한 분포적합(distribution fitting)을 수행하여 어떤 분포로 해당 데이터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고, 적합한 분포 결과에 따른 확률분포 모수(parameter)값을 각각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산업요소지수 데이터는 각각 계산된 무형자산 가치비율과 기술자산비중의 곱을 의미할 수 있다.
산업기술요소지수 처리 모듈(133)은, 각 제약산업의 업종내 개별기업의 재무자료를 분석하여 산업기술요소지수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산업기술요소지수 처리 모듈(133)이 제2업종별 산업기술요소지수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1) 상장기업의 시장 가치를 계산하고(연평균 주가 x 발행 주식 수), 2) 해당 기업의 순자산가액(자기자본의 장부가치)을 계산한 후, 3) 해당 기업의 무형자산 가치를 계산하고(기업의 시장가치-순자산가액), 4) 해당 기업의 무형자산 가치비율(기업의 무형가산장치/시장가치)을 계산한 후, 5) 해당 기업이 포함된 제2업종별 무형자산 가치비율을 결정하고, 6) 해당 제2업종에 포함된 기업들에 대한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율, 광고비 비율, 교육훈련비 비율을 계산하여 해당 제2업종의 기술자산비중을 계산할 수 있다. 이를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하기 수학식 9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21099506680-pat00072
Figure 112021099506680-pat00073
Figure 112021099506680-pat00074
Figure 112021099506680-pat00075
상기 수학식 9을 이용하여 개별기업의 기술무형자산비중을 획득하면, 산업기술요소지수 처리 모듈(133)은 7) 개별 기업의 산업기술요소지수 데이터(개별기업 무형자산가치비율×개별기업 기술자산 비중)를 이용하여 각 제2업종별 산업기술요소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산업요소지수 데이터는, 기술무형자산이 어떤 산업 내에서 기업 또는 기술의 사업가치에 공헌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하기 표 3 내지 표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획득한 5개의 제2업종 분류의 산업지수 확률분포 적합 결과다.
구분 적합분포 검정통계량
(앤더슨 달링)
P-Value
적합1순위 Lognormal
distribution
0.7787 0.015
적합 확률분포 모수(Parameter)
최소 최대 위치 평균 표준편차
0.0030 0.8752 -0.1 0.41 0.39
구분 적합분포 검정통계량
(앤더슨 달링)
P-Value
적합1순위 Minimum extreme
value distribution
0.8054 0.0035
적합 확률분포 모수(Parameter)
최소 최대 최고가능성 스케일
0.1602 0.9505 0.80 0.14
구분 적합분포 검정통계량
(앤더슨 달링)
P-Value
적합1순위 Triangular distribution 0.8083 -
적합 확률분포 모수(Parameter)
최소 최고가능성 최대
0.00 0.00 0.88
구분 적합분포 검정통계량
(앤더슨 달링)
P-Value
적합1순위 Weibull distribution 0.6273 0.056
적합 확률분포 모수(Parameter)
위치 스케일 형태
-177.87 178.58 989.44181
구분 적합분포 검정통계량
(앤더슨 달링)
P-Value
적합1순위 Minimum extreme
value distribution
0.3234 0.548
적합 확률분포 모수(Parameter)
최고가능성 스케일
0.78 0.15
표 3은 제2업종 중 의약용 화합물 및 항생물질 제조업에 대한 산업지수 확률분포 적합 결과이며, 표 4는 제2업종 중 생물학적 제제 제조업에 대한 산업지수 확률분포 적합 결과이고, 표 5는 제2업종 중 완제 의약품 제조업에 대한 산업지수 확률분포 적합 결과이며, 표 6은 제2업종 중 의약품 도매업에 대한 산업지수 확률분포 적합 결과이고, 표 7은 제2업종 중 의학 및 약학 연구개발업에 대한 산업지수 확률분포 적합 결과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산업기술요소지수 처리 모듈(133)은 제약산업과 관련된 제조업 전체를 대상으로 산업지수 확률분포를 더 획득하였으며, 특히 기업의 규모를 기준으로 전체 제조업/대기업/중기업의 확률분포를 각각 더 획득하였다. 여기서, 제약산업과 관련된 제조업은 제2업종 중 의약용 화합물 및 항생물질 제조업, 생물학적 제제 제조업 및 완제 의약품 제조업을 통합하여 형성된 그룹이다. 그 결과가 하기 표 8 내지 표 10에 표시되고 있다.
구분 적합분포 검정통계량
(앤더슨 달링)
P-Value
적합1순위 Beta distribution 0.9057 -
적합 확률분포 모수(Parameter)
최소 최대 알파 베타
0.00 0.99 1.01558306881371 1.5014413707948
구분 적합분포 검정통계량
(앤더슨 달링)
P-Value
적합1순위 Beta distribution 0.5317 -
적합 확률분포 모수(Parameter)
최소 최대 알파 베타
0.01 0.98 1.18132331217982 1.84341070556051
구분 적합분포 검정통계량
(앤더슨 달링)
P-Value
적합1순위 Uniform distribution 1.0994 0.265
적합 확률분포 모수(Parameter)
최소 최대 - -
-0.01 0.96 - -
기술자산 기여도 획득 모듈(134)은 개별기술지수 및 산업기술요소지수를 이용하여 특정 업체의 특정 기술에 대한 기술자산 기여도를 획득하여 평가 대상 기술의 기술자산 기여도를 획득하도록 형성된다. 기술자산 기여도 획득 모듈(134)은 산업지수 확률분포를 전달받아, 기술자산 기여도를 확인하고자 하는 기업(특정 기업)이 포함된 제2업종의 산업요소지수를 분석하고, 해당 산업요소지수 분석 결과로부터 확인 기술(특정 기술)의 개별기술지수에 대응하는 기술자산 기여도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표 3 내지 표 10로 표현된 산업지수 확률분포 결과는 도 12a 내지 도 12h에 도시된 표와 같이 분석될 수 있다. 따라서, 기술자산 기여도 획득 모듈(134)은 도 12a 내지 도 12h에 도시된 표를 각각의 제2업종의 산업요소지수 분석 결과로 획득하고, 획득한 분석 결과에 특정 기술의 개별기술지수(P)를 대입하여 해당 개별기술지수에 대응하는 기술자산 기여도를 획득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기술자산 기여도 획득 모듈(134)의 기술자산 기여도 획득 방법은 직관적으로 표현되는 도 12a 내지 도 12h를 통해 획득될 수도 있지만, 보다 이론적으로는 하기 수학식 10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Figure 112021099506680-pat00076
(여기서, icdf: 산업기술요소에 대한 누적확률분포의 역함수, PD: 확률분포함수의 모수(parameter)
마지막으로 도 2의 기술 가치평가 산출부(140)는 수익 가치값, 지출 비용값 및 기술자산 기여도를 이용하여 평가 대상 기술의 기술가치평가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술 가치평가 산출부(140)는 기준 가치평가 계산 모듈(141) 및 기술 자산 기여도 적용 모듈(142)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기준 가치평가 계산 모듈(141)은 수익 가치값과 지출 비용값의 곱으로 산출되는 기준 가치평가값을 획득하도록 형성된다. 기준 가치평가 계산 모듈(141)은 수익 가치값 산출부(110)로부터 수익 가치값을 획득하고, 지출 비용값 산출부(120)로부터 지출 비용값을 획득한다. 기준 가치평가 계산 모듈(141)은 수익 가치값과 지출 비용값의 차이값을 기준 가치평가값으로 산출하며 이는 하기 수학식 11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21099506680-pat00077
(여기서, LOANPVrev: 수익 가치값, proNPVdev: 지출 비용값)
기술자산 기여도 적용 모듈(142)은 기준 가치평가값에 기술자산 기여도를 적용하여 기술가치평가 결과를 산출하도록 형성된다. 기술자산 기여도 적용 모듈(142)은 기술자산 기여도 산출부(130)로부터 기술자산 기여도를 획득하고, 기준 가치평가값에 기술자산 기여도를 반영하여 평가 대상 기술에 대한 최종 기술가치평가 결과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는 하기 수학식 12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21099506680-pat00078
한편, 도 7 내지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방법의 순서도가 도시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술한 도 2 내지 도 6의 기술자산평가 시스템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방법(이하 기술자산평가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사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시스템, 단말기 또는 장치 등에서 동작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단계 S110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9는 도 7의 단계 S120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0은 도 7의 단계 S130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11은 도 7의 단계 S140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기술자산평가 방법(S10)은 제약 산업에서 평가 대상 기술의 기술자산평가를 위해 구비되며, 수익 가치값, 지출 비용값 및 기술자산 기여도를 각각 산출하여 평가 대상 기술에 대한 기술가치평가를 수행하는 rNPV 방식을 이용하여 기술가치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기술자산평가 방법(S10)은 수익 가치값과 지출 비용값을 획득하기 위해 변수를 획득하는 단계(S100)를 후술되는 단계들을 수행하기 전에 먼저 수행하여 주요 변수를 외부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외부는 일 예로 사용자 단말기일 수 있다.
변수를 획득하는 단계(S100)는 외부로부터 주요 변수를 입력받기 위해 수행되며, 변수를 획득하는 단계(S100)에서 획득된 다양한 변수들은 후술되는 수익 가치값을 산출하는 단계(S110), 지출 비용값을 산출하는 단계(S120), 기술자산 기여도를 산출하는 단계(S130) 및 기술 가치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단계(S140) 중 어느 하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주요 변수는 평가 대상 기술에 대한 수익 변수 및 비용 변수를 포함한다. 수익 변수는 여유 현금 흐름, 대상 기술의 승인 가능성, 대상 기술의 특허 만료까지의 기간 및 할인율을 포함할 수 있다. 비용 변수는 각 임상 단계별 개발 비용, 임상 기간, 임상 성공확률 및 할인율을 포함할 수 있다.
변수를 획득하는 단계(S100)는 후술되는 기술 가치평가를 산출하기 위해 대상 기술의 기술 수명을 특허 만료까지의 기간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는, 제약산업의 특수성에 기반한 것이다. 제약 회사에서 개발되는 다양한 의약품들은 해당 의약품들에 대한 특허 등록이 이루어지면, 특허 보호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 다른 제약 회사들이 복제약을 생산하기 어렵다는 특징이 존재한다. 따라서 특허 보호 기간 동안은 일정 수준 이상의 매출이 충분히 발생할 수 있지만, 특허 보호 기간이 종료되면, 시중에 판매되게 되는 복제약들에 의해 매출 감소율이 최대 판매 시점을 기준으로 70 내지 80%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제약산업에서는 일반적으로 특허 보호 기간이 종료된 이후의 매출액은 해당 의약품에 대한 사업성 분석에서 제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변수를 획득하는 단계(S100)에서 기술 수명을 특허 만료까지의 기간으로 설정하는 근거인 법적 제도, 실제 매출 및 개발 통계와 관련된 설명을 제시하여 변수를 획득하는 단계(S100)에서 기술 수명을 특허 만료까지의 기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높은 효과를 가지는 것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변수를 획득하는 단계(S100)는 대상 기술에 대한 기술 수명을 특허 만료까지의 기간으로 설정하기 위해 현실의 법적 제도, 실제 매출 및 의약품 개발 통계를 포함하는 3가지 근거를 이용하였으며, 3가지 근거는 각각 1) 의약품허가-특허 연계제도, 2) 의약품의 개발 기간 분석 및 3) 의약품의 실제 매출 곡선이다.
의약품허가-특허연계제도(이하 연계제도라 함)는 의약품이 특허 보호 기간의 종료까지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있는 제도이다. 연계제도는 신약 품목 허가 절차 과정에 특허권 침해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추가함으로써 신약의 안정성 유효성 자료 이용을 확대함과 동시에 신약에 대한 특허권을 보다 적극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도입된 법적 제도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한-미 FTA 후속조치를 위해 '약사법'을 개정하여 2015년 3월부터 연계제도가 전면 시행되었다.
연계제도는 총 4가지의 절차로 이루어지며, 이중 3가지 절차는 한-미 FTA 협정문 규정을 반영한 것이며, 나머지 하나의 절차는 소송에 따른 위험 및 비용 부담을 감수하고 연구개발을 통해 시장에 진입하는 제약 업체에 대한 보상을 위해 도입된 절차이다.
이러한 연계제도를 통해 제약 업체에서 생산되는 의약품은 특허 보호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 법적인 보호를 받을 수 있게 되었으며 따라서 이를 근거로 본 발명의 변수를 획득하는 단계(S100)는 기술 수명을 특허 만료까지의 기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의약품의 개발 기간 역시 본 발명에서 기술 수명으로 특허 만료까지의 기간을 설정하는 하나의 근거로 사용될 수 있다. 과거 개발된 의약품들의 개발 기간과 매출을 분석하면, 의약품들을 개발하기 위한 후보물질 발굴부터 임상시험 완료까지를 의미하는 개발의 전주기는 평균적으로 12년으로 분석된다. 또한, 개발이 완료된 의약품은, 의약품 시장에서의 개발 기간이라는 높은 진입 장벽으로 인해 상당기간 매출이 정점을 유지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해당 의약품의 매출을 잠식할 수 있는 후속 약물이 나타나기까지의 시간은 개발 기간을 포함하여 특허 존속 기간인 20년을 초과하는 경우도 종종 확인되고 있다.
즉, 이러한 의약품의 긴 개발 기간(평균 12년)으로 인해 의약품 시장에서는 특허 보호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 매출이 유지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를 근거로 본 발명의 변수를 획득하는 단계(S100)는 기술 수명을 특허 만료까지의 기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의약품의 실제 매출 곡선 역시 본 발명에서 기술 수명으로 특허 만료까지의 기간을 설정하는 하나의 근거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의약품의 실제 매출 곡선으로, 실제 자누비야 시장점유율과 BASS 기반 시장점유율 추정 결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은, 자누비아가 10년 이상의 개발 기간 이후 10년 가까이 일정 비율 이상 시장점유율을 유지하는 양상에 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의약품의 평균 개발 기간은 12년이며, 도 1을 참고하면, 자누비아는 개발 기간 이후 10년 가까이 일정 비율 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근거로 본 발명의 변수를 획득하는 단계(S100)는 기술 수명을 특허 만료까지의 기간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기술자산평가 방법(S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익 가치값을 산출하는 단계(S110), 지출 비용값을 산출하는 단계(S120), 기술자산 기여도를 산출하는 단계(S130) 및 기술 가치평가를 수행하는 단계(S1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수익 가치값을 산출하는 단계(S110)는 수익 가치값 계산 모듈에서 주요 변수 중 수익 변수를 이용하여 평가 대상 기술에 대한 수익의 현재 가치값을 산출하기 위해 구비된다. 수익 가치값을 산출하는 단계(S1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인 가능성을 계산하는 단계(S111), 여유 현금 흐름 계산 모듈(112) 및 수익 가치값을 산출하는 단계(S113)을 이용하여 평가 대상 기술에 대한 수익의 현재 가치값을 산출할 수 있다.
승인 가능성을 계산하는 단계(S111)는 현 개발 단계부터 승인까지의 단계별 성공 확률의 총 곱으로 산출되는 승인 가능성을 계산하도록 형성된다. 승인 가능성을 계산하는 단계(S111)는 현재의 개발 단계에서 승인까지의 모든 과정이 성공한다는 것을 전제로 승인 가능성을 계산한다. 이는 중간에 승인을 받지 못하는 경우 해당 기술의 판매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승인 가능성의 계산이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승인 가능성을 계산하는 단계(S111)는 현 개발단계로부터 출시까지 모든 성공확률의 곱으로 승인 가능성을 계산할 수 있다.
각 개발단계에서의 성공 확률은 해당 질병에 대한 평가 대상 기술의 평균 개발 기간동안 수행된 임상시험을 바탕으로 전체 임상 시험에서 다음 단계로 진행된 임상시험의 비율로 표현된다.
승인 가능성을 계산하는 단계(S111)에서 계산되는 승인 가능성 및 각 개발단계에서의 성공 확률은 하기 수학식 13으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21099506680-pat00079
Figure 112021099506680-pat00080
여유 현금 흐름을 계산하는 단계(S112)는 시장 규모, 시장 점유율 및 수익률을 이용하여 여유 현금 흐름을 획득하도록 형성된다. 여유 현금 흐름을 계산하는 단계(S112)는 여유 현금 흐름을 계산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시장 점유율법으로 매출액을 추정하며, 시장분석 결과인 시장 점유율을 이용한 추정 방법을 이용하는 매출액은 시장규모, 시장점유율 및 수익률을 이용하여 추정된다. 여유 현금 흐름을 계산하는 단계(S112)는 추정매출액과 수익률의 곱으로 계산될 수 있으며, 추정매출액은 시장규모와 시장점유율의 곱으로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여유 현금 흐름을 계산하는 단계(S112)는 시장 규모를 전년도 총 매출액을 이용하거나 잠재적 환자수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여유 현금 흐름을 계산하는 단계(S112)에서 계산되는 여유 현금 흐름과 관련된 수식은 하기 수학식 14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21099506680-pat00081
Figure 112021099506680-pat00082
Figure 112021099506680-pat00083
또는
Figure 112021099506680-pat00084
Figure 112021099506680-pat00085
수익 가치값을 산출하는 단계(S113)는 승인 가능성과 여유 현금 흐름을 이용하여 수익 가치값을 산출하기 위해 형성된다. 수익 가치값을 산출하는 단계(S113)는 승인 가능성을 계산하는 단계(S111)과 여유 현금 흐름을 계산하는 단계(S112)에서 각각 획득한 승인 가능성 및 여유 현금 흐름을 전달 받고, 이를 이용하여 수익 가치값인 LOANPVrev를 획득할 수 있으며, 수익 가치값은 하기 수학식 15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23035935835-pat00221
(여기서, rLOA: 승인 가능성, FCFt: 출시 이후 여유 현금 흐름, t: 특허 만료까지의 기간, r: 할인율)
한편, 도 7의 지출 비용값을 산출하는 단계(S120)는 지출 비용값 산출부를 이용하여 주요 변수 중 비용 변수를 이용하여 평가 대상 기술에 대한 개발 과정 지출 비용의 현재 가치인 지출 비용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출 비용값을 산출하는 단계(S1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발 단계별 개발비용을 계산하는 단계(S121), 개발 단계별 진입 가능성을 계산하는 단계(S122) 및 지출 비용값을 산출하는 단계(S123)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개발 단계별 개발비용을 계산하는 단계(S121)는 임상 시험 규모, 임상 시험 단계 및 약물 특성을 이용하여 개발 단계별 개발 비용을 계산하도록 형성된다. 개발비용은 제약 기술 개발의 각 단계(전 임상 및 임상 1,2,3상)에서의 임상시험 비용을 지칭하며, 개발비용은 기업에서 경험적으로 축정한 제약 기술 개발의 전반적인 단계별 비용내역이 있으면 해당 내역을 사용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집행 예산을 기준으로 단계별 개발 비용의 비율을 이용하여 개발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발 단계별 개발비용을 계산하는 단계(S121)는 단계별 개발 비용의 비율을 이용하여 개발비용을 산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단계별 개발비용은 각 단계 비용의 총합이며 개발단계가 몇 년에 걸쳐서 진행되는 경우 해당 기간으로 나눈 비용을 매년 적용할 수 있으며 개발 비용을 전체 프로젝트 개발비용과 해당 임상 단계의 지출 비율을 이용하여 획득될 수도 있고 이는 하기 수학식 16으로 표현되어 개발 단계별 개발비용을 계산하는 단계(S121)에서 획득될 수 있다.
Figure 112021099506680-pat00087
Figure 112021099506680-pat00088
Figure 112021099506680-pat00089
개발 단계별 진입 가능성을 계산하는 단계(S122)는 평가 대상 기술 특성 및 평가 대상 기술이 표적으로 하는 질병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개발 단계별 성공 확률을 획득하도록 구비된다. 진입 가능성은 해당 단계로 진입할 수 있는 확률을 의미하며 이전의 모든 개발 단계가 성공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개발 단계별 진입 가능성을 계산하는 단계(S122)는 i개발 단계(임상i상)에서의 진입 가능성을 임상i-1단계의 진입 가능성과 임상i-1단계의 성공 확률의 곱으로 산출할 수 있으며 하기 수학식 17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21099506680-pat00090
지출 비용값을 산출하는 단계(S123)는 개발 단계별 개발 비용 및 개발 단계별 진입 가능성을 이용하여 지출 비용값을 계산하도록 형성된다. 지출 비용값을 산출하는 단계(S123)는 개발 단계별 개발 비용 계산 모듈(121)과 개발 단계별 진입 가능성을 계산하는 단계(S122)에서 각각 획득한 개발 단계별 개발 비용 및 개발 단계별 진입 가능성을 전달 받고 이를 이용하여 지출 비용값인 proNPVdev를 획득할 수 있으며 지출 비용값은 하기 수학식 18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21099506680-pat00091
(여기서, Propt: 각 개발단계별 성공가능성, Cpt: 각 개발단계별 개발비용, pt: 각 개발단계별 기간, r: 할인율)
도 7의 기술자산 기여도를 산출하는 단계(S130)는 기술자산 기여도 산출부를 이용하여 평가 대상 기술에 대한 기술 자산 기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술자산 기여도를 산출하는 단계(S130)는 지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31), 개별기술지수를 생성하는 단계(S132), 산업기술요소지수를 처리하는 단계(S133) 및 기술자산 기여도를 획득하는 단계(S134)을 이용할 수 있다.
지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31)는 개별기술지수 및 산업기술요소지수를 획득하여 기술자산 기여도를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지수 정보들을 획득하도록 형성된다. 기술자산 기여도는 현재 다양한 공개된 방법들을 이용하여 획득된다. 기술자산 기여도를 추정하는 방법으로는 초과수익 배분방법, 로열티 수준을 이용하는 분석적 접근방법, 요소분해법, 초과이익 배분방식, 순이익 배분방식, 결정수익 환원 방식, 경험법칙에 의한 실무적 추정, 기술요소법, 산업요소를 반영한 기술요소 측정, 기술-산업 특성 매트릭스(그리드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현재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중이다. 이러한 방법들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기술자산 기여도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방법에서 요구하는 정보들을 획득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지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31)는 이러한 지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개별기술지수 평가결과를 획득한 후 산업기술요소지수 정보를 획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별기술지수 평가결과는, 기 획득된 평가자 풀에 포함된 평가자 중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복수의 평가자를 선정하여 획득한 결과로서, 지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31)는 특정 업체의 특정 기술이 선정되면, 해당 기술에 대한 개별기술지수 평가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평가자 풀로부터 복수의 평가자를 선정할 수 있다. 선정된 복수의 평가자는 기 설정된 평가표를 이용하여 특정 기술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고, 수행 결과는 지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31)이 개별기술지수 평가결과로 획득할 수 있다.
하기 표 11은 이러한 기설정된 평가지의 예시이다. 또, 이하에서는 개별기술지수 평가결과에 관련된 내용을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아래의 표 11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개별기술지수 평가결과는 반드시 표 1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함이 자명하다.
제1평가항목 제2평가항목 평점 점수
0 0.25 0.5 0.75 1
법적인
보호 강도
권리보호의 중요성
권리범위 및 강도
권리의 안정성
경쟁기술대비 방어정도
상업적
우위성
기술상용화 단계
(임상시험단계)
기능적 우위성
기술의 생산력
기술의 자립도
기술의 파급효과
유사기술의 성공사례
시장진입 용이성
시장확보 가능성
가격/원가 우위성
이익구조상 우위성
평가자들은 상기 표 11에 표시되고 있는 각각의 소항목에 대한 평점을 기재하여 작성완료 된 평가지를 개별기술지수 평가결과로 생성하고, 생성된 개별기술지수 평가결과는 지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31)이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표 11의 항목들은, 종래의 TVMS 또는 산업통상자원부 등에서 공개하는 기술 평가 지표와 달리 기술상용화 단계에서의 우위성을 보다 세분화하기 위해 임상시험 단계를 기준으로 하도록 작성되었다.
다음으로 지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31)는 산업기술요소지수를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산업기술요소지수 정보를 획득하며, 이때 지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31)는 외부 서버 DB를 이용하여 해당 지수 정보를 획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31)에서 획득하는 지수 정보는 업체 및 기술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으며, 해당 업체의 자산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개별기술지수를 생성하는 단계(S132)는 획득한 개별기술지수 평가결과로부터 개별기술지수를 생성하도록 형성된다. 개별기술지수를 생성하는 단계(S132)는 기술지수 가중치를 제1가중치 및 제2가중치로 구분하여 획득할 수 있다. 제1가중치는 상기 표 1에 표현된 제1평가항목들 사이의 상대적 중요도를 나타내며, 제2가중치는 상기 표 1에 표현된 제2평가항목들 사이의 상대적 중요도를 의미한다. 또, 바람직하게는 제1가중치 및 제2가중치는 정규화 된 가중치로 표현될 수 있다. 즉 제1가중치 및 제2가중치 각각의 합은 1 또는 100%로 표현될 수 있다.
개별기술지수를 생성하는 단계(S132)는, 제1가중치 및 제2가중치를 획득하기 위해 기 획득된 평가자 풀에 포함된 평가자 중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복수의 평가자를 선정하고, 선정한 복수의 평가자로부터 상기 표 1의 평가항목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획득할 수도 있다.
즉, 선정된 복수의 평가자는, 제1평가항목 사이의 상대적 중요도를 평가할 수 있고, 개별기술지수를 생성하는 단계(S132)는 그 평가 결과를 전달 받아 제1가중치로 표현할 수 있으며, 선정된 복수의 평가자가 각각의 제1평가항목에 표현된 제2평가항목들 사이의 상대적 중요도를 각각 평가하면, 개별기술지수를 생성하는 단계(S132)는 그 평가 결과를 전달 받아 제2가중치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평가자가 상대적 중요도를 평가하는 방법은 흔히 알려진 AHP 분석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제2가중치는, 동일한 제1평가항목에 포함된 서로 다른 제2평가항목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의미한다. 즉, 상기 표 11에서 하나의 예시를 선정하면, 제2가중치는 제1평가항목인 법적인 보호 강도와 상업적 우위성 사이에서는 연관관계가 나타나지 않고, 법적인 보호 강도 항목 내의 제2평가항목인 권리보호의 중요성, 권리범위 및 강도, 권리의 안정성 및 경쟁기술대비 방어정도로 표현되는 총 4개의 제2평가항목 사이의 상대적 가중치를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개별기술지수를 생성하는 단계(S132)는 제1가중치 및 제2가중치를 개별기술지수 평가결과에 적용하여 해당 특정 기술에 대한 개별기술지수를 획득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표 11에 대하여 보다 가중치가 반영되는 내용을 보다 상세히 표현하면 하기 표 12와 같이 나타난다. 하기 표 12는 개별기술지수 평가결과를 정량화 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식을 상기 표 11에 더 포함하도록 작성된 표이다.
제1평가항목 제2평가항목 평점 점수
0 0.25 0.5 0.75 1
법적인
보호 강도
(w1)
권리보호의 중요성(p1) S1
권리범위 및 강도(p2) S2
권리의 안정성(p3) S3
경쟁기술대비 방어정도(p4) S4
소계(A)
Figure 112023035935835-pat00242

여기서,
Figure 112023035935835-pat00093
상업적
우위성
(w2)
기술상용화 단계
(임상시험단계) (q1)
K1
기능적 우위성(q2) K2
기술의 생산력(q3) K3
기술의 자립도(q4) K4
기술의 파급효과(q5) K5
유사기술의 성공사례(q6) K6
시장진입 용이성(q7) K7
시장확보 가능성(q8) K8
가격/원가 우위성(q9) K9
이익구조상 우위성(q10) K10
소계(B)
Figure 112023035935835-pat00243

여기서,
Figure 112023035935835-pat00095
Figure 112023035935835-pat00096

여기서,
Figure 112023035935835-pat00097
상기 표 12를 확인하면, 개별기술지수 P는 제1평가항목 각각에 가중치가 반영된 합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제1평가항목 각각의 가중치 W1 및 W2는 각각의 제1평가항목 내부의 제2평가항목들의 소계에 반영된다. 제2평가항목들은 해당 평가항목들이 포함된 그룹내에서의 가중치가 반영된다.
보다 쉽게 설명하면, 평가자들은 상기 표 12의 제2평가항목 각각에 대한 평점을 기록한다. 각각의 제2평가항목들은 가중치가 표현되고 있으며, 점수는 해당 평가항목의 가중치와 평점의 곱으로 표현된다.
개별기술지수를 생성하는 단계(S132)는 각각의 제2평가항목에 대한 평점(sn, kn)을 확인하고, 해당 평점과 해당 제2평가항목의 가중치를 곱하여 점수 Sn 또는 Kn을 획득한다. 획득된 점수는 각각의 제1평가항목별로 합산되어 제1합산점수 A 및 제2합산점수 B로 획득된다. 이후, 제1평가항목들 사이에서의 가중치를 각각의 합산점수에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개별기술지수 P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은 하기 수학식 19로 정리될 수 있다.
Figure 112023035935835-pat00237

Figure 112023035935835-pat00238
삭제
Figure 112021099506680-pat00100
(여기서, A, B: 제1평가항목들 각각의 합산점수, P: 개별기술지수,
Figure 112023035935835-pat00101
,
Figure 112023035935835-pat00102
,
Figure 112023035935835-pat00103
)
상기 수학식 19의 경우에는, 상기 표 11 및 표 12와 같이 제1평가항목이 2개 항목으로 한정되어 표현된 것이며, 보다 일반적인 식은 하기 수학식 20으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23035935835-pat00239
Figure 112021099506680-pat00105
(여기서, An: 제n평가항목의 평가 점수, P: 개별기술지수,
Figure 112021099506680-pat00106
,
Figure 112021099506680-pat00107
)
산업기술요소지수를 처리하는 단계(S133)는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복수개의 제약 업체를 선정하고, 선정한 제약 업체들의 산업요소지수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한 산업요소지수 정보를 이용하여 산업기술요소지수를 획득하고 그에 대한 누적확률분포를 획득하도록 형성된다.
산업기술요소지수를 처리하는 단계(S133)는 지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31)에서 획득한 산업기술요소지수 정보로부터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복수개의 제약 업체들을 선정하고, 산업요소지수 정보를 획득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약 업체들을 선정하여 산업요소지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기 설정된 기준으로, 기간, 업종, 상장여부 및 자산 가치 등을 이용하였다. 또한, 이하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 설정된 기준을 각각 고정하여 설명하도록 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기준은 변경될 수 있다.
즉, 아래의 한 실시예에서는 기간을 5년 범위로 제한하고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기간을 20년 범위로 제한할 수도 있고, 한 실시예에서 업종은 제조업, 도매 및 소매업,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 업으로 한정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더 적거나 많은 업종으로 한정할 수 있다.
또, 한 실시예에서 상장 여부는 유가증권 또는 코스닥 시장에의 상장 여부를 의미하며, 자산 가치는 순자산과 무형자산 가치가 양수로 나타나는 것을 의미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와 다른 상장 여부 또는 자산 가치로 한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간은 최근 5년 범위로 제한하였으며, 업종은 제조업, 도매 및 소매업,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 업으로 한정하였고, 상장 여부는 유가증권 또는 코스닥 시장에의 상장 여부를 의미하며, 자산 가치는 순자산과 무형자산 가치가 양수로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정리하면, 산업기술요소지수를 처리하는 단계(S133)는 산업요소지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최근 5년 범위동안 제조업, 도매 및 소매업,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을 수행하는 제약 업체 중, 유가증권 또는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업체를 선정하고, 그 중 순자산과 무형자산 가치가 양수로 나타나는 업체를 확인하고, 해당 업체들을 선정한 후 해당 업체들의 산업요소지수 정보를 산업기술요소지수 정보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하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2011년 총 107개사, 2012년 115개사, 2013년 132개사, 2014년 135개사 및 2015년 173개사가 각각 년도별로 획득될 수 있었다.
또, 산업기술요소지수를 처리하는 단계(S133)는 산업요소지수 정보를 이용하여 자산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자산 정보는, 해당 업체의 무형자산가치비율 또는 기술자산 비중일 수 있다.
산업기술요소지수를 처리하는 단계(S133)는 자산 정보를 계산하기 위해 복수개의 제약 업체들을 상술한 제조업, 도매 및 소매업,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하 제1업종이라함)이 아닌 세부 업종(이하 제2업종이라 함)으로 재분류를 수행한 후 제2업종별 자산 정보를 계산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2업종은 총 5개의 업종으로 재분류되었으며, 제2업종은 각각 의약용 화합물 및 항생물질 제조업, 생물학적 제제 제조업, 완제 의약품 제조업, 의약품 도매업, 의학 및 약학 연구개발업으로 나타났다.
산업기술요소지수를 처리하는 단계(S133)는 자산 정보 및 제2업종 분류를 이용하여 제2업종별 산업기술요소지수를 획득하고, 획득한 산업기술요소지수를 분석하여 누적 확률분포를 획득한다. 산업기술요소지수를 처리하는 단계(S133)이 이러한 누적확률분포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기술과 산업의 성장 또는 위축의 관계를 반영하여 보다 정확한 기술 자산 기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산업기술요소지수를 처리하는 단계(S133)는 각각의 제2업종 분류에 포함된 기업들의 자산 정보를 이용하여 산업요소지수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데이터에 대한 분포적합(distribution fitting)을 수행하여 어떤 분포로 해당 데이터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고, 적합한 분포 결과에 따른 확률분포 모수(parameter)값을 각각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산업요소지수 데이터는 각각 계산된 무형자산 가치비율과 기술자산비중의 곱을 의미할 수 있다.
산업기술요소지수를 처리하는 단계(S133)는, 각 제약산업의 업종내 개별기업의 재무자료를 분석하여 산업기술요소지수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산업기술요소지수를 처리하는 단계(S133)이 제2업종별 산업기술요소지수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1) 상장기업의 시장 가치를 계산하고(연평균 주가 x 발행 주식 수), 2) 해당 기업의 순자산가액(자기자본의 장부가치)을 계산한 후, 3) 해당 기업의 무형자산 가치를 계산하고(기업의 시장가치-순자산가액), 4) 해당 기업의 무형자산 가치비율(기업의 무형가산장치/시장가치)을 계산한 후, 5) 해당 기업이 포함된 제2업종별 무형자산 가치비율을 결정하고, 6) 해당 제2업종에 포함된 기업들에 대한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율, 광고비 비율, 교육훈련비 비율을 계산하여 해당 제2업종의 기술자산비중을 계산할 수 있다. 이를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하기 수학식 21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21099506680-pat00108
Figure 112021099506680-pat00109
Figure 112021099506680-pat00110
Figure 112021099506680-pat00111
상기 수학식 21을 이용하여 개별기업의 기술무형자산비중을 획득하면, 산업기술요소지수를 처리하는 단계(S133)는 7) 개별 기업의 산업기술요소지수 데이터(개별기업 무형자산가치비율×개별기업 기술자산 비중)를 이용하여 각 제2업종별 산업기술요소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산업요소지수 데이터는, 기술무형자산이 어떤 산업 내에서 기업 또는 기술의 사업가치에 공헌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하기 표 13 내지 표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획득한 5개의 제2업종 분류의 산업지수 확률분포 적합 결과다.
구분 적합분포 검정통계량
(앤더슨 달링)
P-Value
적합1순위 Lognormal
distribution
0.7787 0.015
적합 확률분포 모수(Parameter)
최소 최대 위치 평균 표준편차
0.0030 0.8752 -0.1 0.41 0.39
구분 적합분포 검정통계량
(앤더슨 달링)
P-Value
적합1순위 Minimum extreme
value distribution
0.8054 0.0035
적합 확률분포 모수(Parameter)
최소 최대 최고가능성 스케일
0.1602 0.9505 0.80 0.14
구분 적합분포 검정통계량
(앤더슨 달링)
P-Value
적합1순위 Triangular distribution 0.8083 -
적합 확률분포 모수(Parameter)
최소 최고가능성 최대
0.00 0.00 0.88
구분 적합분포 검정통계량
(앤더슨 달링)
P-Value
적합1순위 Weibull distribution 0.6273 0.056
적합 확률분포 모수(Parameter)
위치 스케일 형태
-177.87 178.58 989.44181
구분 적합분포 검정통계량
(앤더슨 달링)
P-Value
적합1순위 Minimum extreme
value distribution
0.3234 0.548
적합 확률분포 모수(Parameter)
최고가능성 스케일
0.78 0.15
표 13은 제2업종 중 의약용 화합물 및 항생물질 제조업에 대한 산업지수 확률분포 적합 결과이며, 표 14는 제2업종 중 생물학적 제제 제조업에 대한 산업지수 확률분포 적합 결과이고, 표 15는 제2업종 중 완제 의약품 제조업에 대한 산업지수 확률분포 적합 결과이며, 표 16은 제2업종 중 의약품 도매업에 대한 산업지수 확률분포 적합 결과이고, 표 17은 제2업종 중 의학 및 약학 연구개발업에 대한 산업지수 확률분포 적합 결과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산업기술요소지수를 처리하는 단계(S133)는 제약산업과 관련된 제조업 전체를 대상으로 산업지수 확률분포를 더 획득하였으며, 특히 기업의 규모를 기준으로 전체 제조업/대기업/중기업의 확률분포를 각각 더 획득하였다. 여기서, 제약산업과 관련된 제조업은 제2업종 중 의약용 화합물 및 항생물질 제조업, 생물학적 제제 제조업 및 완제 의약품 제조업을 통합하여 형성된 그룹이다. 그 결과가 하기 표 18 내지 표 20에 표시되고 있다.
구분 적합분포 검정통계량
(앤더슨 달링)
P-Value
적합1순위 Beta distribution 0.9057 -
적합 확률분포 모수(Parameter)
최소 최대 알파 베타
0.00 0.99 1.01558306881371 1.5014413707948
구분 적합분포 검정통계량
(앤더슨 달링)
P-Value
적합1순위 Beta distribution 0.5317 -
적합 확률분포 모수(Parameter)
최소 최대 알파 베타
0.01 0.98 1.18132331217982 1.84341070556051
구분 적합분포 검정통계량
(앤더슨 달링)
P-Value
적합1순위 Uniform distribution 1.0994 0.265
적합 확률분포 모수(Parameter)
최소 최대 - -
-0.01 0.96 - -
기술자산 기여도를 획득하는 단계(S134)는 개별기술지수 및 산업기술요소지수를 이용하여 특정 업체의 특정 기술에 대한 기술자산 기여도를 획득하여 평가 대상 기술의 기술자산 기여도를 획득하도록 형성된다. 기술자산 기여도를 획득하는 단계(S134)는 산업지수 확률분포를 전달받아, 기술자산 기여도를 확인하고자 하는 기업(특정 기업)이 포함된 제2업종의 산업요소지수를 분석하고, 해당 산업요소지수 분석 결과로부터 확인 기술(특정 기술)의 개별기술지수에 대응하는 기술자산 기여도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표 13 내지 표 20로 표현된 산업지수 확률분포 결과는 도 12a 내지 도 12h에 도시된 표와 같이 분석될 수 있다. 따라서, 기술자산 기여도를 획득하는 단계(S134)는 도 12a 내지 도 12h에 도시된 표를 각각의 제2업종의 산업요소지수 분석 결과로 획득하고, 획득한 분석 결과에 특정 기술의 개별기술지수(P)를 대입하여 해당 개별기술지수에 대응하는 기술자산 기여도를 획득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기술자산 기여도를 획득하는 단계(S134)의 기술자산 기여도 획득 방법은 직관적으로 표현되는 도 12a 내지 도 12h를 통해 획득될 수도 있지만, 보다 이론적으로는 하기 수학식 22로 표현될 수도 있다.
Figure 112021099506680-pat00112
(여기서, icdf: 산업기술요소에 대한 누적확률분포의 역함수, PD: 확률분포함수의 모수(parameter)
마지막으로 도 7의 기술 가치평가를 수행하는 단계(S140)는 기술 가치평가 산출부에서 수익 가치값, 지출 비용값 및 기술자산 기여도를 이용하여 평가 대상 기술의 기술가치평가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술 가치평가를 수행하는 단계(S140)는 기준 가치평가값을 계산하는 단계(S141) 및 기술 자산 기여도를 적용하는 단계(S14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기준 가치평가값을 계산하는 단계(S141)는 수익 가치값과 지출 비용값의 곱으로 산출되는 기준 가치평가값을 획득하도록 형성된다. 기준 가치평가값을 계산하는 단계(S141)는 수익 가치값을 산출하는 단계(S110)로부터 수익 가치값을 획득하고, 지출 비용값을 산출하는 단계(S120)로부터 지출 비용값을 획득한다. 기준 가치평가값을 계산하는 단계(S141)는 수익 가치값과 지출 비용값의 차이값을 기준 가치평가값으로 산출하며 이는 하기 수학식 23으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21099506680-pat00113
(여기서, LOANPVrev: 수익 가치값, proNPVdev: 지출 비용값)
기술 자산 기여도를 적용하는 단계(S142)는 기준 가치평가값에 기술자산 기여도를 적용하여 기술가치평가 결과를 산출하도록 형성된다. 기술 자산 기여도를 적용하는 단계(S142)는 기술자산 기여도를 산출하는 단계(S130)로부터 기술자산 기여도를 획득하고, 기준 가치평가값에 기술자산 기여도를 반영하여 평가 대상 기술에 대한 최종 기술가치평가 결과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는 하기 수학식 24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21099506680-pat00114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시스템
20: 평가자 풀 30: 외부 서버 DB
110: 수익 가치값 산출부 111: 승인 가능성 계산 모듈
112: 여유 현금 흐름 계산 모듈 113: 수익 가치값 산출 모듈
120: 지출 비용값 산출부
121: 개발 단계별 개발 비용 계산 모듈
122: 개발 단계별 진입 가능성 계산 모듈
123: 지출 비용값 산출 모듈
130: 기술자산 기여도 산출부 131: 지수 정보 획득 모듈
132: 개별기술지수 생성 모듈
133: 산업기술요소지수 처리 모듈
134: 기술자산 기여도 획득 모듈 140: 기술 가치평가 산출부
141: 기준 가치평가 계산 모듈
142: 기술 자산 기여도 적용 모듈

Claims (32)

  1. 제약 산업의 평가 대상 기술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형성되는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주요 변수를 입력받도록 형성되는 변수 획득부;
    상기 주요 변수를 이용하여 상기 평가 대상 기술에 대한 수익의 현재 가치값을 산출하는 수익 가치값 산출부;
    상기 주요 변수를 이용하여 상기 평가 대상 기술에 대한 개발 과정 지출 비용의 현재 가치인 지출 비용값을 산출하는 지출 비용값 산출부;
    상기 평가 대상 기술에 대한 기술 자산 기여도를 산출하는 기술자산 기여도 산출부; 및
    상기 수익 가치값, 상기 지출 비용값 및 상기 기술자산 기여도를 이용하여 상기 평가 대상 기술의 기술가치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기술 가치평가 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요 변수는 상기 평가 대상 기술에 대한 수익 변수 및 비용 변수를 포함하고,
    상기 수익 변수는 여유 현금 흐름, 승인 가능성, 상기 평가 대상 기술의 기술 수명 및 할인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비용 변수는 각 임상 단계별 개발 비용, 임상 기간, 임상 성공확률 및 할인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변수 획득부는, 상기 평가 대상 기술의 기술 수명을 상기 평가 대상 기술의 특허 만료까지의 기간으로 설정하며,
    상기 수익 가치값 산출부, 상기 지출 비용값 산출부, 상기 기술자산 기여도 산출부 및 상기 기술가치평가 산출부는 하기 수식1을 이용하여 각각 수익 가치값(LOANPVrev), 지출 비용값(proNPVdev), 기술자산 기여도(D) 및 기술가치평가 결과(rNPVCon)를 산출하는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시스템.
    [수식 1]
    Figure 112023035935835-pat00176

    Figure 112023035935835-pat00177

    Figure 112023035935835-pat00178

    Figure 112023035935835-pat00180

    (여기서, rLOA: 승인 가능성, FCFt: 출시 이후 여유 현금 흐름, Propt: 각 개발단계별 성공가능성, Cpt: 각 개발단계별 개발비용, t: 특허 만료까지의 기간, pt: 각 개발단계별 기간, r: 할인율, icdf: 산업기술요소에 대한 누적확률분포의 역함수, PD: 확률분포함수의 모수(parameter), P: 개별기술지수),
    상기 기술자산 기여도 산출부는,
    개별기술지수 평가결과 및 산업기술요소지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기술자산 기여도를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지수 정보들을 획득하도록 형성되는 지수 정보 획득 모듈;
    획득한 상기 개별기술지수 평가결과로부터 개별기술지수를 생성하도록 형성되는 개별기술지수 생성 모듈;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복수개의 제약 업체를 선정하고, 선정한 상기 제약 업체들의 산업기술요소지수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한 상기 산업기술요소지수 정보를 이용하여 산업기술요소지수를 획득하고, 그에 대한 누적확률분포를 획득하도록 형성되는 산업기술요소지수 처리 모듈; 및
    상기 개별기술지수 및 상기 산업기술요소지수를 이용하여 특정 업체의 특정 기술에 대한 상기 기술자산 기여도를 획득하도록 형성되는 기술자산 기여도 획득 모듈;을 포함하는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익 가치값 산출부는,
    현 개발 단계부터 승인까지의 단계별 성공 확률의 총 곱으로 산출되는 승인 가능성을 획득하는 승인 가능성 계산 모듈;
    시장 규모, 시장 점유율 및 수익률을 이용하여 여유 현금 흐름을 획득하는 여유 현금 흐름 계산 모듈; 및
    상기 승인 가능성과 상기 여유 현금 흐름을 이용하여 상기 수익 가치값을 산출하는 수익 가치값 산출 모듈;을 포함하는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인 가능성 계산 모듈은 하기 수식 2를 이용하여 상기 승인 가능성을 획득하며,
    상기 여유 현금 흐름 계산 모듈은 하기 수식 3을 이용하여 상기 여유 현금 흐름을 계산하고, 상기 수익 가치값 산출 모듈은 상기 수식 1을 이용하여 상기 수익 가치값을 산출하는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시스템.
    [수식 2]
    Figure 112023035935835-pat00181

    Figure 112023035935835-pat00182

    [수식 3]
    Figure 112023035935835-pat00183

    Figure 112023035935835-pat00184

    Figure 112023035935835-pat00185

    또는
    Figure 112023035935835-pat00186

    Figure 112023035935835-pat00187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출 비용값 산출부는,
    임상시험 규모, 임상 시험 단계 및 약물 특성을 이용하여 개발 단계별 개발 비용을 계산하는 개발 단계별 개발비용 계산 모듈;
    상기 평가 대상 기술의 특성 및 상기 평가 대상 기술이 표적으로 하는 질병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개발 단계별 성공확률을 계산하는 개발 단계별 진입 가능성 계산 모듈; 및
    상기 개발 단계별 개발 비용 및 상기 개발 단계별 성공확률을 이용하여 상기 지출 비용값을 계산하는 지출 비용값 산출 모듈;을 포함하는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개발 단계별 개발 비용 계산 모듈은 하기 수식 4의 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개발 비용을 계산하고,
    상기 개발 단계별 진입 가능성 계산 모듈은 하기 수식 5를 이용하여 상기 성공확률을 계산하며,
    상기 지출 비용값 산출 모듈은 상기 수식 1을 이용하여 상기 지출 비용값을 계산하는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시스템.
    [수식 4]
    Figure 112023035935835-pat00188

    Figure 112023035935835-pat00189

    [수식 5]
    Figure 112023035935835-pat00190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 정보 획득 모듈은,
    개별기술지수 평가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산업기술요소지수를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산업기술요소지수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개별기술지수 평가결과는, 기 획득된 평가자 풀에 포함된 평가자 중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복수의 평가자를 선정하여 상기 평가자들로부터 기 설정된 평가표를 이용하여 획득한 특정 개별기술에 대한 평가 결과인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기술지수 생성 모듈은,
    상기 지수 정보 획득 모듈에서 획득되는 개별기술지수 평가결과를 처리하기 위해 기술지수 가중치를 획득하고, 상기 기술지수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개별기술지수를 획득하며, 상기 기술지수 가중치는 제1가중치 및 제2가중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중치는 복수개의 제1평가항목들 사이의 중요도를 나타내며, 상기 제2가중치는 각각의 복수개의 상기 제1평가항목들에 포함된 복수개의 제2평가항목들 사이의 상대적 중요도를 나타내는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술지수 가중치는, 기 획득된 평가자 풀에 포함된 평가자 중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복수의 평가자를 선정하여 상기 평가자들에게 기 설정된 평가표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상기 제1평가항목들 및 상기 제2평가항목들을 제공하고, 상기 평가자들로부터 복수개의 상기 제1평가항목들 및 상기 제2평가항목들 사이의 상기 상대적 중요도를 획득한 후, 상기 상대적 중요도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기술지수는 하기 수식 6으로 표현되는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시스템.
    [수식 6]
    Figure 112023035935835-pat00191

    Figure 112023035935835-pat00192

    Figure 112023035935835-pat00193

    (여기서, si, kj: 제1평가항목들 각각의 제2평가항목들에 대한 평점, pi, qj: 제1평가항목들 각각의 제2평가항목들에 대한 가중치, w1, w2: 제1평가항목들에 대한 가중치, A, B: 제1평가항목들 각각의 합산점수, P: 개별기술지수,
    Figure 112023035935835-pat00194
    ,
    Figure 112023035935835-pat00195
    ,
    Figure 112023035935835-pat00196
    )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업기술요소지수 처리 모듈은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복수개의 제약 업체들을 선정하고, 상기 산업기술요소지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산업기술요소지수 정보를 이용하여 자산 정보를 계산하며, 상기 자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산업기술요소지수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산업기술요소지수를 분석하여 누적확률분포를 획득하고,
    상기 제약 업체를 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준은 기간, 업종, 상장여부 및 자산 가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기간은 최근 5년 범위이고, 상기 업종은 제조업, 도매 및 소매업,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상장 여부는 유가증권 또는 코스닥 시장의 상장 여부이고, 상기 자산 가치는 순자산과 무형자산 가치가 양수인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시스템.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자산 정보를 계산하기 위해 획득한 복수개의 상기 제약 업체들을 세부 업종으로 재분류하여 세부 업종별 자산 정보를 계산하고, 상기 자산 정보는 무형자산가치비율 또는 기술자산 비중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시스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술자산 기여도 획득 모듈은
    상기 누적확률분포를 전달받아 상기 특정 업체가 포함된 업종의 상기 산업기술요소지수를 분석하고, 해당 산업기술요소지수 분석결과로부터 상기 특정 기술의 상기 개별기술지수에 대응하는 상기 기술자산 기여도를 획득하도록 형성되는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시스템.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술 가치평가 산출부는,
    상기 수익 가치값과 상기 지출비용값의 곱으로 산출되는 기준 가치평가를 계산하는 기준 가치평가 계산 모듈; 및
    상기 기준 가치평가에 상기 기술자산 기여도를 적용하여 상기 수식 1의 상기 기술가치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기술 자산 기여도 적용 모듈;을 포함하는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시스템.
  17. 제약 산업의 평가 대상 기술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형성되는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방법에 있어서,
    변수 획득부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주요 변수를 입력받는 단계;
    수익 가치값 산출부에서 상기 주요 변수를 이용하여 상기 평가 대상 기술에 대한 수익의 현재 가치값인 수익 가치값을 산출하는 단계;
    지출 비용값 산출부에서 상기 주요 변수를 이용하여 상기 평가 대상 기술에 대한 개발 과정 지출 비용의 현재 가치인 지출 비용값을 산출하는 단계;
    기술자산 기여도 산출부에서 상기 평가 대상 기술에 대한 기술 자산 기여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기술 가치평가 산출부에서 상기 수익 가치값, 상기 지출 비용값 및 상기 기술자산 기여도를 이용하여 상기 평가 대상 기술의 기술가치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주요 변수는 상기 평가 대상 기술에 대한 수익 변수 및 비용 변수를 포함하고,
    상기 수익 변수는 여유 현금 흐름, 승인 가능성, 상기 평가 대상 기술의 기술 수명 및 할인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비용 변수는 각 임상 단계별 개발 비용, 임상 기간, 임상 성공확률 및 할인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주요 변수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평가 대상 기술의 기술 수명을 상기 평가 대상 기술의 특허 만료까지의 기간으로 설정하며,
    상기 수익 가치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지출 비용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기술자산 기여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기술가치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단계는 하기 수식7을 이용하여 각각 수익 가치값(LOANPVrev), 지출 비용값(proNPVdev), 기술자산 기여도(D) 및 기술가치평가 결과(rNPVCon)를 산출하는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방법.
    [수식 7]
    Figure 112023035935835-pat00197

    Figure 112023035935835-pat00198

    Figure 112023035935835-pat00199

    Figure 112023035935835-pat00201

    (여기서, rLOA: 승인 가능성, FCFt: 출시 이후 여유 현금 흐름, Propt: 각 개발단계별 성공가능성, Cpt: 각 개발단계별 개발비용, t: 특허 만료까지의 기간, pt: 각 개발단계별 기간, r: 할인율, icdf: 산업기술요소에 대한 누적확률분포의 역함수, PD: 확률분포함수의 모수(parameter), P: 개별기술지수),
    상기 기술자산 기여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개별기술지수 평가결과 및 산업기술요소지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기술자산 기여도를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지수 정보들을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기 개별기술지수 평가결과로부터 개별기술지수를 생성하는 단계;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복수개의 제약 업체를 선정하고, 선정한 상기 제약 업체들의 산업기술요소지수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한 상기 산업기술요소지수 정보를 이용하여 산업기술요소지수를 획득하고, 그에 대한 누적확률분포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개별기술지수 및 상기 산업기술요소지수를 이용하여 특정 업체의 특정 기술에 대한 상기 기술자산 기여도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방법.
  18. 삭제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익 가치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현 개발 단계부터 승인까지의 단계별 성공 확률의 총 곱으로 산출되는 승인 가능성을 획득하는 단계;
    시장 규모, 시장 점유율 및 수익률을 이용하여 여유 현금 흐름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승인 가능성과 상기 여유 현금 흐름을 이용하여 상기 수익 가치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승인 가능성을 계산하는 단계는 하기 수식 8을 이용하여 상기 승인 가능성을 획득하며,
    상기 여유 현금 흐름을 계산하는 단계는 하기 수식 9를 이용하여 상기 여유 현금 흐름을 계산하고, 상기 수익 가치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수식 7을 이용하여 상기 수익 가치값을 산출하는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방법.
    [수식 8]
    Figure 112023035935835-pat00202

    Figure 112023035935835-pat00203

    [수식 9]
    Figure 112023035935835-pat00204

    Figure 112023035935835-pat00205

    Figure 112023035935835-pat00206

    또는
    Figure 112023035935835-pat00207

    Figure 112023035935835-pat00208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출 비용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임상시험 규모, 임상 시험 단계 및 약물 특성을 이용하여 개발 단계별 개발 비용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평가 대상 기술의 특성 및 상기 평가 대상 기술이 표적으로 하는 질병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개발 단계별 성공확률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개발 단계별 개발 비용 및 상기 개발 단계별 성공확률을 이용하여 상기 지출 비용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발 단계별 개발 비용을 계산하는 단계는 하기 수식 10의 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개발 비용을 계산하고,
    상기 개발 단계별 성공확률을 계산하는 단계는 하기 수식 11을 이용하여 상기 성공확률을 계산하며,
    상기 지출 비용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수식 7을 이용하여 상기 지출 비용값을 계산하는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방법.
    [수식 10]
    Figure 112023035935835-pat00209

    Figure 112023035935835-pat00210

    [수식 11]
    Figure 112023035935835-pat00211
  23. 삭제
  24.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 정보들을 획득하는 단계는,
    개별기술지수 평가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산업기술요소지수를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산업기술요소지수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개별기술지수 평가결과는, 기 획득된 평가자 풀에 포함된 평가자 중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복수의 평가자를 선정하여 상기 평가자들로부터 기 설정된 평가표를 이용하여 획득한 특정 개별기술에 대한 평가 결과인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기술지수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지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획득되는 개별기술지수 평가결과를 처리하기 위해 기술지수 가중치를 획득하고, 상기 기술지수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개별기술지수를 획득하며, 상기 기술지수 가중치는 제1가중치 및 제2가중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중치는 복수개의 제1평가항목들 사이의 중요도를 나타내며, 상기 제2가중치는 각각의 상기 제1평가항목들에 포함된 복수개의 제2평가항목들 사이의 상대적 중요도를 나타내는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기술지수 가중치는, 기 획득된 평가자 풀에 포함된 평가자 중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복수의 평가자를 선정하여 상기 평가자들에게 기 설정된 평가표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상기 제1 평가항목들 및 상기 제2 평가항목들을 제공하고, 상기 평가자들로부터 복수개의 상기 제1 평가항목들 및 상기 제2 평가항목들 사이의 상기 상대적 중요도를 획득한 후, 상기 상대적 중요도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기술지수는 하기 수식 12로 표현되는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방법.
    [수식 12]
    Figure 112023035935835-pat00212

    Figure 112023035935835-pat00213

    Figure 112023035935835-pat00214

    (여기서, si, kj: 제1평가항목들 각각의 제2평가항목들에 대한 평점, pi, qj: 제1평가항목들 각각의 제2평가항목들에 대한 가중치, w1, w2: 제1평가항목들에 대한 가중치, A, B: 제1평가항목들 각각의 합산점수, P: 개별기술지수,
    Figure 112023035935835-pat00215
    ,
    Figure 112023035935835-pat00216
    ,
    Figure 112023035935835-pat00217
    )
  2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확률분포를 획득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복수개의 제약 업체들을 선정하고, 상기 산업기술요소지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산업기술요소지수 정보를 이용하여 자산 정보를 계산하며, 상기 자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산업기술요소지수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산업기술요소지수를 분석하여 누적확률분포를 획득하고,
    상기 제약 업체를 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준은 기간, 업종, 상장여부 및 자산 가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방법.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기간은 최근 5년 범위이고, 상기 업종은 제조업, 도매 및 소매업,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상장 여부는 유가증권 또는 코스닥 시장의 상장 여부이고, 상기 자산 가치는 순자산과 무형자산 가치가 양수인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방법.
  30.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자산 정보를 계산하기 위해 획득한 복수개의 상기 제약 업체들을 세부 업종으로 재분류하여 세부 업종별 자산 정보를 계산하고, 상기 자산 정보는 무형자산가치비율 또는 기술자산 비중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방법.
  3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기술자산 기여도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누적확률분포를 전달받아 상기 특정 업체가 포함된 업종의 상기 산업기술요소지수를 분석하고, 해당 산업기술요소지수 분석결과로부터 상기 특정 기술의 상기 개별기술지수에 대응하는 상기 기술자산 기여도를 획득하도록 형성되는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방법.
  32.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기술 가치평가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수익 가치값과 상기 지출비용값의 곱으로 산출되는 기준 가치평가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가치평가에 상기 기술자산 기여도를 적용하여 상기 수식 7의 상기 기술가치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방법.
KR1020210114146A 2021-08-27 2021-08-27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102531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146A KR102531633B1 (ko) 2021-08-27 2021-08-27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146A KR102531633B1 (ko) 2021-08-27 2021-08-27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671A KR20230031671A (ko) 2023-03-07
KR102531633B1 true KR102531633B1 (ko) 2023-05-11

Family

ID=85513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146A KR102531633B1 (ko) 2021-08-27 2021-08-27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6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7082B1 (ko) * 2023-09-05 2024-03-14 김천규 제약 및 바이오에 특화된 기술가치 평가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8376A (ko) 2009-11-26 2011-06-0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기술의 사업성 평가 시스템 및 방법과, 기술의 사업성 평가 방법을 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1228969B1 (ko) * 2011-05-20 2013-02-0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술기여도 평가방법과 이를 이용한 기술가치평가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08483A (ko) * 2017-07-14 2019-01-24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의약 기술에 대한 가치 평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의약 기술용 가치평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671A (ko)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5222B2 (en) Decision tree machine learning
Lim et al. A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IT investment on firm financial performance
Hurd et al. Stock market expectations of Dutch households
US8370191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quantitative indicators
US8660915B2 (en) Managing an inventory of service parts
WO2006004131A1 (ja) 企業評価装置、企業評価プログラム並びに企業評価方法
Burnie Exploring the interconnectedness of cryptocurrencies using correlation networks
US20100057533A1 (en) Multidimensional method and computer system for patent and technology portfolio rating and related database
CN110766428A (zh) 一种数据价值评估系统以及方法
Brewer et al. Farmers' choice of credit among the farm credit system, commercial banks, and nontraditional lenders
EP3140799A1 (en) An automatic statistical processing tool
US20170270546A1 (en) Service churn model
CN110659926A (zh) 一种数据价值评估系统以及方法
KR102531633B1 (ko) 기술 자산 기여도를 이용한 제약 산업 기술자산평가 시스템 및 방법
Saeed Osman Modeling and simulation for inventory management of repairable items in maintenance systems
US200600852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ng patent data
US8255316B2 (en) Integrated business decision-making system and method
US7917384B2 (en) Analytic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and accelerating sales
WO2014107517A1 (en) Priority-weighted quota cell selection to match a panelist to a market research project
US201302684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relevant entities
AU2014204115A1 (en) Using a graph database to match entities by evaluating Boolean expressions
Tusikov et al. Threat and risk assessments
CN112734255A (zh) 一种企业竞争力分析方法
US2002012885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opulation classification
Bogale et al. The Effect of Logistics Service Attributes on Customer Satisfa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