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587B1 - 폭발 방지를 위한 전자식 압력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폭발 방지를 위한 전자식 압력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587B1
KR102531587B1 KR1020220032706A KR20220032706A KR102531587B1 KR 102531587 B1 KR102531587 B1 KR 102531587B1 KR 1020220032706 A KR1020220032706 A KR 1020220032706A KR 20220032706 A KR20220032706 A KR 20220032706A KR 102531587 B1 KR102531587 B1 KR 102531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ge
pressure
explosion
unit
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2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업
이기수
이선호
이태삼
이재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이씨티
Priority to KR1020220032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5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20Control of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방폭형 전기기기가 설치된 IP4X 이상의 용기에 설치 함으로써 해당 용기를 압력방폭구조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폭발 방지를 위한 전자식 압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압력 방폭 용기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 방폭 용기의 내부 공간의 압력을 조절하는 퍼지 유닛; 및 상기 압력 방폭 용기에 설치되며, 상기 압력 방폭 용기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는 압력을 일정 압력 이하로 제한하거나, 상기 퍼지 유닛에 의한 퍼지절차 시 보호가스의 환기출구 역할을 수행하는 릴리프 벨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폭발 방지를 위한 전자식 압력 제어 장치{Electronic Pressure Control For Explosion Protection}
본 발명은 폭발 방지를 위한 전자식 압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방폭형 전기기기가 설치된 IP4X 이상의 용기에 설치 함으로써 해당 용기를 압력방폭구조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폭발 방지를 위한 전자식 압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설비(기기)의 방폭(explosion-Proof, anti-explosion)이란 정유공장이나 석유화학공장 및 가스 제조공장과 같이 위험지역(Hazardous area)에서 사용되는 전기제품이 원인이 되어 가연성 가스나 증기 또는 분진에 인화되거나 착화되어 발생되는 폭발사고를 방지하는 것이다.
전기설비로 인한 화재폭발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위험 분위기와 점화원이 공존하여야 하며, 이 조건이 성립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방폭의 기본이고, 이를 위해 위험 분위기가 생성되는 확률과 전기설비가 점화원으로 되는 확률과의 곱이 0이 되도록 해야 한다.
통상 인화성 또는 가연성 물질이 화재.폭발을 발생시킬 수 있는 농도로 대기 중에 존재하거나 존재할 우려가 있는 장소를 방폭지역이라 하고, 이 방폭지역은 가스 방폭지역과 분진 방폭지역으로 구분하여 위험분위기가 존재하는 시간과 빈도에 따라 그 종별을 결정한다. 방폭지역을 구분하는 목적은 해당 지역의 위험도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전기기기를 설치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방폭지역에 사용되는 전기기기는 소정의 방폭 규격을 만족해야 하며, 가스 방폭지역은 위험분위기의 조건에 따라 지속적인 위험분위기의 0종 장소, 통상상태에서 간헐적인 위험 분위기의 1종 장소, 이상 상태 하에서 위험 분위기의 2종 장소로 구분된다.
이와 같이 위험지역에서 사용되는 전기기기의 방폭 구조로는 본질안전 방폭구조, 및 압력 방폭구조가 있다.
비점화 방폭구조(type of protection; n)는 전기기기의 정상작동 및 특정된 정기적 예상고장 발생 시 주위 폭발성 가스 분위기를 점화시길 수 없도록 전기기기에 적용되는 방폭구조이다.
본질안전 방폭구조(intrinsic safety type; i)는 방폭지역에서 전기(전기기기와 권선 등)에 의한 스파크, 접점 단락 등에서 발생되는 전기적 에너지를 제한하여 사고를 예방 또는 차단하는 구조이다.
압력 방폭구조(Pressurized type; p)는 전기설비 용기 내부에 공기, 질소, 탄산가스 등의 보호가스를 봉입하여 해당 용기의 내부에 가연성 가스 또는 증기가 침입하지 못하도록 한 구조로서, 용기 내로 위험물질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점화원을 격리하는 것으로 정상운전에 필요한 운전실과 같이 큰 용기와 기기에 사용된다. 즉, 압력 방 폭구조는 용기 내의 압력을 외부 대기압보다 높게 유지하여 대기에 혼합되어 있는 폭발이 가능한 물질 - 아세틸렌, 수소, 에틸렌, 프로판, 먼지 등-이 용기 내로 진입하지 못하게 하는 구조로서, 용기 내에 불활성 기체 혹은 깨끗한 공기를 계속적으로 공급하는 방식이고, 압력방폭을 이용한 용기의 최대 내부 압력은 2.5kPa을 넘지 않아야 하며, 전원 인가 전 불활성 기체 혹은 깨끗한 공기로 폭발 가능한 혼합공기 혹은 물질을 퍼지하고 해당 압력을 유지해야 한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55711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비방폭형 전기기기가 설치된 IP4X 이상의 용기에 설치 함으로써 해당 용기를 압력방폭구조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폭발 방지를 위한 전자식 압력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폭발 방지를 위한 전자식 압력 제어 장치는, 압력 방폭 용기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 방폭 용기의 내부 공간의 압력을 조절하는 퍼지 유닛; 및 상기 압력 방폭 용기에 설치되며, 상기 압력 방폭 용기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는 압력을 일정 압력 이하로 제한하거나, 상기 퍼지 유닛에 의한 퍼지절차 시 보호가스의 환기출구 역할을 수행하는 릴리프 벨브;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폭발 방지를 위한 전자식 압력 제어 장치는, 상기 압력 방폭 용기로 공급될 보호가스를 공급받아 압력을 조절하는 레귤레이터; 및 상기 레귤레이터로부터 압력이 조절된 보호가스를 전달받으며, 상기 퍼지 유닛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압력 방폭 용기로 보호가스를 공급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퍼지 유닛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구동 제어를 통해 상기 압력 방폭 용기 내부로 보호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압력 방폭 용기의 내부 압력을 상기 압력 방폭 용기의 외부 압력보다 높게 유지시킴으로써 외부의 폭발성 가스 및 증기가 상기 압력 방폭 용기의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가압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퍼지 유닛은, 상기 압력 방폭 용기의 초기 운전하는 경우 또는 상기 압력 방폭 용기를 개방한 후 다시 전원을 투입하는 경우 퍼지절차에 따라서 상기 압력 방폭 용기 내의 용적의 5 배에 해당하는 퍼지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퍼지 유닛은, 상단이 개방 형성되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 개구부가 상기 압력 방폭 용기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압력 방폭 용기에 타공된 사각홀에 설치되는 퍼지 케이스; 상기 퍼지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면서 상기 퍼지 케이스의 상단 개구부를 덮고 설치되는 덮개; 및 상기 퍼지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레귤레이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및 상기 릴리프 벨브의 구동을 제어하는 퍼지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퍼지 유닛은, 상기 퍼지 제어부로부터 이격되면서 상기 퍼지 케이스의 내측 벽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이너 레일; 및 상기 퍼지 제어부와 대향하는 상기 이너 레일의 일측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퍼지 제어부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청소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너 레일은, 상기 퍼지 제어부로부터 이격되면서 상기 퍼지 케이스의 내측 벽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레일 본체; 상기 레일 본체의 상측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 렉기어; 및 상기 퍼지 제어부와 대향하는 상기 레일 본체의 일측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청소 유닛은, 상기 상부 렉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함에 따라 상기 상부 렉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주는 구동 모터;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구동 모터의 하측에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딩홈의 내부 공간까지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지지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피니언 기어가 상기 상부 렉기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라이딩 롤러; 상기 구동 모터의 일측에 설치되는 청소 모터; 및 상기 청소 모터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청소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상기 퍼지 제어부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와이어형 브러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어형 브러쉬는, 상기 청소 모터의 회전 구동축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회전 구동축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회전 와이어; 상기 회전 와이어의 외측을 덮고 설치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외측을 따라 반복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회전 와이어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되어 상기 퍼지 제어부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와이어는,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의 지그재그 패턴을 형성하면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는, 상기 회전 와이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정유공장이나 석유화학공장 및 가스제조공장과 같이 위험지역(Hazardous area)에서 압력 방 폭 구조를 구현하여 폭발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폭발 방지를 위한 전자식 압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폭발 방지를 위한 전자식 압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퍼지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1의 릴리프 벨브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퍼지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이너 레일과 청소 유닛 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청소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청소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폭발 방지를 위한 전자식 압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폭발 방지를 위한 전자식 압력 제어 장치(10)는, 퍼지 유닛(100) 및 릴리프 벨브(200)를 포함한다.
퍼지 유닛(100)은, 압력 방폭 용기(P)에 설치되며, 후술하는 릴리프 벨브(200), 레귤레이터(300) 및 솔레노이드 밸브(400) 등의 구성들을 제어함으로써 압력 방폭 용기(P)의 내부 공간의 압력을 조절한다.
일 실시예에서, 퍼지 유닛(100)은, 하이 퍼지 시 또는 정상 운전 시 내부 압력을 조절함. 정상 운전시 내부압력을 25 Pa 이상으로 설정함. 압력의 경시변화에 대처하고 안정적인 운전을 위하여 내부압력이 100 Pa 이상이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퍼지 유닛(100)은, 비방폭형 전기기기가 설치된 IP4X 이상(KS C IEC 60529에 따른 보호등급)의 용기에 설치 함으로써 해당 용기를 압력방폭구조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퍼지유닛이다.
릴리프 벨브(200)는, 압력 방폭 용기(P)에서 퍼지 유닛(100)으로부터 대각선 방향에 설치되며, 압력 방폭 용기(P)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는 압력을 일정 압력 이하로 제한하거나, 퍼지 유닛(100)에 의한 퍼지절차 시 보호가스의 환기출구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릴리프 벨브(200)는, 보호가스의 환기출구 역할을 수행하는 벨브 본체(210), 벨브 본체(210)를 덮고 설치되는 보호 커버(220), 압력 방폭 용기(P)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벨브 본체(210)의 나사산으로 삽입되어 압력 방폭 용기(P)의 내측면에 안착되는 트프론 와셔(230), 및 벨브 본체(210)의 나사산을 체결하는 고정 볼트(24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폭발 방지를 위한 전자식 압력 제어 장치(10)는, 압력방폭구조의 pz 형식으로써 일반 사업장 및 화학 플랜트의 가스, 증기를 대상으로 하는 Group II에 속하며, Zone 2(2종 위험장소)에 사용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폭발 방지를 위한 전자식 압력 제어 장치(10)는, Zone 2에 설치되는 용기 내부에 보호가스를 공급하여 용기 내부압력을 외부압력보다 높게 유지함(최소 25 Pa)으로써, 외부의 폭발성 가스 및 증기가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가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폭발 방지를 위한 전자식 압력 제어 장치(10)는, 정유공장이나 석유화학공장 및 가스제조공장과 같이 위험지역(Hazardous area)에서 압력 방 폭 구조를 구현하여 폭발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폭발 방지를 위한 전자식 압력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폭발 방지를 위한 전자식 압력 제어 장치(20)는, 퍼지 유닛(100), 릴리프 벨브(200), 레귤레이터(300) 및 솔레노이드 밸브(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퍼지 유닛(100) 및 릴리프 벨브(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레귤레이터(300)는, 압력 방폭 용기(P)로 공급될 압력이 1 Mpa 이하로 형성되는 보호가스를 공급받아 압력 방폭 용기(P)에 적합한 압력(예를 들어, 1 Mpa(10 bar) 등)으로 조절시킨 뒤 솔레노이드 밸브(400)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서, 레귤레이터(300)는, 구비되는 압력조절 다이얼을 조절하여 압력 방폭 용기(P)의 내부압력이 목표 퍼지압력으로 계산된 퍼지 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퍼지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레귤레이터(300)의 압력조절 다이얼을 조절하여 압력 방폭 용기(P)의 내부압력이 25 Pa 이상이 되도록 조절한다. 고용노동부고시 상에는 25 Pa 이상을 요구하고 있으나, 경시변화에 대처하고 안정적인 사용을 위하여 100 Pa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을 권고한다.
솔레노이드 밸브(400)는, 레귤레이터(300)로부터 압력이 조절된 보호가스를 전달받으며, 퍼지 유닛(10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어 압력 방폭 용기(P)로 보호가스를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서, 퍼지 유닛(100)은, 솔레노이드 밸브(400)의 구동 제어를 통해 압력 방폭 용기(P) 내부로 보호가스를 공급하여 압력 방폭 용기(P)의 내부 압력을 압력 방폭 용기(P)의 외부 압력보다 높게 유지시킴으로써 외부의 폭발성 가스 및 증기가 압력 방폭 용기(P)의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가압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퍼지 유닛(100)은, 압력 방폭 용기(P)의 초기 운전하는 경우 또는 압력 방폭 용기(P)를 개방한 후 다시 전원을 투입하는 경우 퍼지절차에 따라서 압력 방폭 용기(P) 내의 용적의 5 배에 해당하는 퍼지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폭발 방지를 위한 전자식 압력 제어 장치(20)는, 정유공장이나 석유화학공장 및 가스제조공장과 같이 위험지역(Hazardous area)에서 압력 방 폭 구조를 구현하여 폭발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퍼지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퍼지 유닛(100)은, 퍼지 케이스(110), 덮개(120) 및 퍼지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퍼지 케이스(110)는, 퍼지 제어부(130) 등의 구성들이 설치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단이 개방 형성되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 개구부가 압력 방폭 용기(P)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압력 방폭 용기(P)에 타공된 사각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퍼지 케이스(110)는, 사각홀에 안착된 뒤, 압력 방폭 용기(P)의 내측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단 테두리를 따라 리플레이스 브라켓(111)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덮개(120)는, 퍼지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면서 퍼지 케이스(110)의 상단 개구부를 덮고 설치된다.
퍼지 제어부(130)는, 퍼지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레귤레이터(300), 솔레노이드 밸브(400) 및 릴리프 벨브(20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서, 퍼지 제어부(130)는, , 퍼지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되, 압력 정보 등을 출력하기 위한 LCD 등의 표시 장치(131)가 덮개(120)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퍼지 케이스(110)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퍼지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퍼지 유닛(100a)은, 퍼지 케이스(110), 덮개(120), 퍼지 제어부(130), 이너 레일(14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청소 유닛(150)을 포함한다.
여기서 퍼지 케이스(110), 덮개(120) 및 퍼지 제어부(130)는, 도 4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기로 한다.
이너 레일(140)은, 퍼지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퍼지 제어부(130)로부터 이격되면서 퍼지 케이스(110)의 내측 벽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청소 유닛(150)이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한다.
청소 유닛(150)은, 퍼지 제어부(130)와 대향하는 이너 레일(140)의 일측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퍼지 제어부(130)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퍼지 유닛(100a)은, 회로 유닛에 해당하는 퍼지 제어부(130)에 부착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일정한 주기로 제거함으로써, 먼지 등에 의해 퍼지 제어부(130)의 구동에 이상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이너 레일과 청소 유닛 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을 참조하면, 이너 레일(140)은, 레일 본체(141), 상부 렉기어(142) 및 슬라이딩홈(143)을 포함한다.
레일 본체(141)는, 퍼지 제어부(130)로부터 이격되면서 퍼지 케이스(110)의 내측 벽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측을 따라 상부 렉기어(142)아 형성되고, 퍼지 제어부(130)와 대향하는 일측을 따라 슬라이딩홈(143)이 연장 형성된다.
상부 렉기어(142)는, 피니언 기어(151)가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레일 본체(141)의 상측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슬라이딩홈(143)은, 슬라이딩 롤러(154)가 안착되어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퍼지 제어부(130)와 대향하는 레일 본체(141)의 일측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청소 유닛(150)은, 피니언 기어(151), 구동 모터(152), 지지 프레임(153), 슬라이딩 롤러(154), 청소 모터(155) 및 와이어형 브러쉬(156)를 포함한다.
피니언 기어(151)는, 상부 렉기어(142)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152)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함에 따라 상부 렉기어(142)를 따라 이동한다.
구동 모터(152)는, 피니언 기어(151)의 일측에 설치되어 피니언 기어(15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주며, 일측에 청소 모터(155)가 설치되고, 하측에 지지 프레임(153)이 설치된다.
지지 프레임(153)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구동 모터(152)의 하측에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1531)과, 수직 프레임(1531)의 하단으로부터 슬라이딩홈(143)의 내부 공간까지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 프레임(1532)으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딩 롤러(154)는, 수평 프레임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홈(143)에 안착되며, 피니언 기어(151)가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딩홈(143)을 따라 이동하면서 피니언 기어(151)가 상부 렉기어(142)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청소 모터(155)는, 구동 모터(152)의 일측에 설치되어 와이어형 브러쉬(156)를 회전 구동시켜 준다.
여기서, 구동 모터(152) 또는 청소 모터(155)는, 기 설정된 주기(예를 들어, 하루 또는 이틀에 한 번 구동 등) 또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리모트 콘트롤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구동 요청이 전달되는 경우에 구동을 시작할 수 있다.
와이어형 브러쉬(156)는, 청소 모터(155)에 연결 설치되어 청소 모터(155)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퍼지 제어부(130)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너 레일(140)과 청소 유닛(150)은, 회로 유닛에 해당하는 퍼지 제어부(130)에 부착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일정한 주기로 제거함으로써, 먼지 등에 의해 퍼지 제어부(130)의 구동에 이상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청소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와이어형 브러쉬(156)는, 회전 와이어(1561), 커버(1562) 및 브러쉬(1563)를 포함한다.
회전 와이어(1561)는, 청소 모터(155)의 회전 구동축(155a)에 연결 설치되어 회전 구동축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되며, 외측에 커버(1562)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회전 와이어(1561)는, 퍼지 제어부(130)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주는 동시에 브러쉬(1563)에 의한 먼지 떨이가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의 지그재그 패턴을 형성하면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커버(1562)는, 회전 와이어(1561)의 외측을 덮고 설치되며, 외측을 따라 브러쉬(1563)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커버(1562)는, 벨크로 또는 버튼 등과 같은 탈부착 수단을 이용하여 회전 와이어(1561)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브러쉬(1563)는, 커버(1562)의 외측을 따라 반복적으로 설치되며, 회전 와이어(1561)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되어 퍼지 제어부(130)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폭발 방지를 위한 전자식 압력 제어 장치
100: 퍼지 유닛
200: 릴리프 벨브
300: 레귤레이터
400: 솔레노이드 밸브

Claims (4)

  1. 압력 방폭 용기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 방폭 용기의 내부 공간의 압력을 조절하는 퍼지 유닛;
    상기 압력 방폭 용기에 설치되며, 상기 압력 방폭 용기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는 압력을 일정 압력 이하로 제한하거나, 상기 퍼지 유닛에 의한 퍼지절차 시 보호가스의 환기출구 역할을 수행하는 릴리프 벨브;
    상기 압력 방폭 용기로 공급될 보호가스를 공급받아 압력을 조절하는 레귤레이터; 및
    상기 레귤레이터로부터 압력이 조절된 보호가스를 전달받으며, 상기 퍼지 유닛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압력 방폭 용기로 보호가스를 공급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퍼지 유닛은,
    상단이 개방 형성되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 개구부가 상기 압력 방폭 용기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압력 방폭 용기에 타공된 사각홀에 설치되는 퍼지 케이스;
    상기 퍼지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면서 상기 퍼지 케이스의 상단 개구부를 덮고 설치되는 덮개;
    상기 퍼지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레귤레이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및 상기 릴리프 벨브의 구동을 제어하는 퍼지 제어부;
    상기 퍼지 제어부로부터 이격되면서 상기 퍼지 케이스의 내측 벽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이너 레일; 및
    상기 퍼지 제어부와 대향하는 상기 이너 레일의 일측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퍼지 제어부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청소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이너 레일은,
    상기 퍼지 제어부로부터 이격되면서 상기 퍼지 케이스의 내측 벽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레일 본체;
    상기 레일 본체의 상측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 렉기어; 및
    상기 퍼지 제어부와 대향하는 상기 레일 본체의 일측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을 포함하며,
    상기 청소 유닛은,
    상기 상부 렉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함에 따라 상기 상부 렉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주는 구동 모터;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구동 모터의 하측에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딩홈의 내부 공간까지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지지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피니언 기어가 상기 상부 렉기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라이딩 롤러;
    상기 구동 모터의 일측에 설치되는 청소 모터; 및
    상기 청소 모터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청소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상기 퍼지 제어부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와이어형 브러쉬;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형 브러쉬는,
    상기 청소 모터의 회전 구동축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회전 구동축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회전 와이어;
    상기 회전 와이어의 외측을 덮고 설치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외측을 따라 반복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회전 와이어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되어 상기 퍼지 제어부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와이어는,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의 지그재그 패턴을 형성하면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커버는,
    벨크로 또는 버튼과 같은 탈부착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 와이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폭발 방지를 위한 전자식 압력 제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20032706A 2022-03-16 2022-03-16 폭발 방지를 위한 전자식 압력 제어 장치 KR102531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706A KR102531587B1 (ko) 2022-03-16 2022-03-16 폭발 방지를 위한 전자식 압력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706A KR102531587B1 (ko) 2022-03-16 2022-03-16 폭발 방지를 위한 전자식 압력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1587B1 true KR102531587B1 (ko) 2023-05-16

Family

ID=86545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706A KR102531587B1 (ko) 2022-03-16 2022-03-16 폭발 방지를 위한 전자식 압력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5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711B1 (ko) 2018-02-20 2018-05-08 이춘업 방폭 장비 제어 장치
KR101886868B1 (ko) * 2018-02-20 2018-08-08 이춘업 방폭 장비
KR102007184B1 (ko) * 2019-03-08 2019-08-05 안호재 릴리프밸브를 갖는 압력방폭패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711B1 (ko) 2018-02-20 2018-05-08 이춘업 방폭 장비 제어 장치
KR101886868B1 (ko) * 2018-02-20 2018-08-08 이춘업 방폭 장비
KR102007184B1 (ko) * 2019-03-08 2019-08-05 안호재 릴리프밸브를 갖는 압력방폭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0821A (en) Tank cleaning using remotely controlled manway mounted robotic system
US5273060A (en) Alcohol spray cleaning system
KR102531587B1 (ko) 폭발 방지를 위한 전자식 압력 제어 장치
US6783054B1 (en) System for controllably conducting welding operations adjacent flammable materials and method of welding adjacent flammable materials
US5776257A (en) Gas tight tank cleaning method
US20170370578A1 (en) Device for thermal destruction of organic compounds by an induction plasma
US20070052543A1 (en) Enclosure system allowing for hot work within the vicinity of flammable and combustible material
JP2011173117A (ja) 熱除害反応器の安全、モニタリング及び制御機構
US7518484B2 (en) Enclosure system allowing for hot work within the vicinity of flammable and combustible material
US7091848B2 (en) Enclosure system for hot work within the vicinity of flammable or combustible material
KR101639168B1 (ko) 작업자 편의 시설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외함
US20110204032A1 (en) Automatic shutoff system and method for workspace enclosure environment
ES2273023T3 (es) Metodo para controlar un procedimiento.
KR101503705B1 (ko) 양압형 방폭장치
US2681165A (en) Explosion hatch
CN210072352U (zh) 有毒有害气体检测处置装置
KR20130099101A (ko) 지진 보호책이 마련된 불소 가스 공장
CA2534168A1 (en) Hydrogen generating apparatus
JP2017080023A (ja) エアロゾル消火装置
GB2311847A (en) A working enclosure
JP2002061821A (ja) 燃焼式排ガス処理方法及び装置
US20110282515A1 (en) Zone shut-down control system
JP2006271122A (ja) 可搬式発電装置
CN219964941U (zh) 一种危险化学品分装柜
JP4477590B2 (ja) 燃焼実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