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384B1 -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384B1
KR102531384B1 KR1020190013765A KR20190013765A KR102531384B1 KR 102531384 B1 KR102531384 B1 KR 102531384B1 KR 1020190013765 A KR1020190013765 A KR 1020190013765A KR 20190013765 A KR20190013765 A KR 20190013765A KR 102531384 B1 KR102531384 B1 KR 102531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ayer
disaster safety
spatial
informat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5866A (ko
Inventor
이혜선
양회성
이강복
이학준
진준호
한규원
홍상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13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384B1/ko
Publication of KR20200095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대상 영역에 대한 재난 안전 융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대상 영역에 대한 재난 안전 정보를 기초로 제1 엔티티를 포함하는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을 생성하는 단계, 대상 영역에 대한 실내 공간 정보 및 실외 공간 정보를 기초로 제2 엔티티를 포함하는 공간 정보 계층을 생성하는 단계 및 제1 엔티티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제2 엔티티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재난 안전 정보 계층 및 공간 정보 계층을 맵핑하여 재난 안전 융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SASTER SAFETY CONVERGENCE INFORMATION}
본 발명은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간 정보와 재난 안전 정보를 맵핑하여 재난 안전 융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재난 상황 발생에 대하여 효과적인 예측이 어려워 재난이 발생한 경우 사회적으로 많은 피해가 발생하였으며, 복구에도 많은 자원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 ICT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를 재난 관리에 적용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예측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ICT 기술을 이용하여 재난 상황과 관련된 정보를 모니터링하며, 재난 발생을 예측하고, 이에 대응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며, 일본, 미국, 한국 및 유럽 등에서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다만, 이러한 연구들은 실외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자연 재해를 예측하는 기술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재난 상황 발생 시의 대응 방안은 실내 공간에 따라 다르게 규정되는 경우가 다수이므로, 이를 반영하지 못하여 재난 상황 발생 시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 영역에 대한 재난 안전 융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대상 영역에 대한 재난 안전 정보를 기초로 제1 엔티티를 포함하는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을 생성하는 단계, 대상 영역에 대한 실내 공간 정보 및 실외 공간 정보를 기초로 제2 엔티티를 포함하는 공간 정보 계층을 생성하는 단계 및 제1 엔티티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제2 엔티티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재난 안전 정보 계층 및 공간 정보 계층을 맵핑하여 재난 안전 융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의 좌표 체계를 공간 정보 계층의 좌표 체계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 영역에 대한 실내 공간 정보 및 실외 공간 정보를 기초로 제2 엔티티를 포함하는 공간 정보 계층을 생성하는 단계는, 실내 공간 정보의 좌표 체계 및 실외 공간 정보의 좌표 체계를 통일하여 실내 공간 정보와 실외 공간 정보를 통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은, 대상 영역에 대한 소방 활동 정보 계층, 피난 경로 정보 계층, 소방 점검 정보 계층 및 소방 시설 정보 계층 중 적어도 하나의 하위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엔티티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제2 엔티티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재난 안전 정보 계층 및 공간 정보 계층을 맵핑하여 재난 안전 융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계층의 각각이 공간 정보 계층과 맵핑하여 적어도 하나의 하위 재난 안전 융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은, 제1 엔티티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제1 엔티티 간의 관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공간 정보 계층은, 제2 엔티티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제2 엔티티 간의 관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 영역에 대한 변경된 재난 안전 정보, 변경된 실내 공간 정보 및 변경된 실외 공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정보를 획득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변경 정보를 기초로 재난 안전 정보 계층 및 공간 정보 계층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재난 안전 정보 계층 및 공간 정보 계층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에 따라 재난 안전 정보 계층 및 공간 정보 계층 간의 매핑 관계의 갱신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정에 따라 매핑 관계를 갱신하는 경우, 갱신한 매핑 관계를 기초로 재난 안전 융합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 영역에 대한 재난 안전 융합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는, 프로세서(processor) 및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memory)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대상 영역에 대한 재난 안전 정보를 기초로 제1 엔티티를 포함하는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을 생성하도록 실행되고, 대상 영역에 대한 실내 공간 정보 및 실외 공간 정보를 기초로 제2 엔티티를 포함하는 공간 정보 계층을 생성하도록 실행되고, 제1 엔티티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제2 엔티티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재난 안전 정보 계층 및 공간 정보 계층을 맵핑하여 재난 안전 융합 정보를 생성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의 좌표 체계를 공간 정보 계층의 좌표 체계로 변경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실내 공간 정보의 좌표 체계 및 실외 공간 정보의 좌표 체계를 통일하여 실내 공간 정보와 실외 공간 정보를 통합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은, 대상 영역에 대한 소방 활동 정보 계층, 피난 경로 정보 계층, 소방 점검 정보 계층 및 소방 시설 정보 계층 중 적어도 하나의 하위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적어도 하나의 하위 계층의 각각이 공간 정보 계층과 맵핑하여 적어도 하나의 하위 재난 안전 융합 정보를 생성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은, 제1 엔티티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제1 엔티티 간의 관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공간 정보 계층은, 제2 엔티티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제2 엔티티 간의 관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대상 영역에 대한 변경된 재난 안전 정보, 변경된 실내 공간 정보 및 변경된 실외 공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정보를 획득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변경 정보를 기초로 재난 안전 정보 계층 및 공간 정보 계층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재난 안전 정보 계층 및 공간 정보 계층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에 따라 재난 안전 정보 계층 및 공간 정보 계층 간의 매핑 관계의 갱신 여부를 결정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결정에 따라 매핑 관계를 갱신하는 경우, 갱신한 매핑 관계를 기초로 재난 안전 융합 정보를 갱신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외 공간 정보와 재난 안전 정보를 융합하여 효과적으로 재난을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계층으로 구성된 재난 안전 융합 정보 모델을 이용하여 추후 새로운 재난 안전 정보 또는 수정된 공간 정보가 발생한 경우, 이를 용이하게 반영 및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안전 융합 정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정보 계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안전 융합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활동 정보 계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된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안전 융합 정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안전 융합 정보는 재난 안전 정보 계층 및 공간 정보 계층에 기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재난 안전 융합 정보는 재난 안전 정보 계층 및 공간 정보 계층으로 구성된 복수 계층(multi-layer) 모델을 통해 재난 안전 정보 계층과 공간 정보 계층 간의 맵핑(mapping)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계층 모델은 공간 정보 계층 위에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이 추가된 형태일 수 있고, 재난 안전 정보 계층 위에 공간 정보 계층이 추가된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은 소방 대원의 활동을 위한 정보를 정의한 소방 활동 정보 계층, 재난 발생 시 대피를 위한 경로 정보를 정의한 피난 경로 정보 계층, 건축 구조물의 소방 점검 결과 정보를 정의한 소방 점검 정보 계층 및 건축 구조물에 위치한 소방 시설의 정보를 정의한 소방 시설 정보 계층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하위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위 계층은 나열한 계층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재난 안전 정보 및 재난 관리 정보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에 의해 추가 계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의 적어도 하나의 하위 계층은 해당 하위 계층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하위 계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의 하위 계층인 소방 활동 정보 계층은 자료 조사 정보, 훈련 정보, 현장 대응 정보 및 이력 복구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자료 조사 정보 계층, 훈련 정보 계층, 현장 대응 정보 계층 및 이력 복구 정보 계층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계층은 하위 계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위 계층은 더욱 세분화하여 추가적인 하위 계층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재귀적 또는 반복적으로(recursively) 정의될 수 있다.
공간 정보 계층은 실내 공간 정보 계층 및 실외 공간 정보 계층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하위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위 계층은 나열한 계층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간 정보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에 의해 추가 계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간 정보 계층은 복수의 하위 계층 간의 맵핑을 통한 통합 공간 정보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통합 공간 정보 계층의 생성 방법은 도 3과 함께 상세히 후술하겠다.
여기서, 실내 공간 정보 계층 및 실외 공간 정보 계층은 대상 영역 또는 특정 영역 내의 건축 구조물에 대한 실내 및 실외의 2차원 및/또는 3차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차원 정보는 2차원 도면 정보를, 3차원 정보는 3차원 속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계층은 적어도 하나의 엔티티(entity)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엔티티가 복수인 경우 엔티티 간의 관계(relationship)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재난 안전 정보 계층 및 공간 정보 계층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각각 도 2 및 도 3과 함께 후술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은 소방 활동 정보 계층, 피난 경로 정보 계층, 소방 점검 정보 계층 및 소방 시설 정보 계층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계층은 관련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정보들은 속성에 따라 엔티티를 형성할 수 있고, 엔티티는 각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계층은 복수의 엔티티를 포함하는 경우, 각 엔티티간의 관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난 경로 정보 계층의 엔티티의 경우, 비상구 존재 정보 및 비상구의 위치 정보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소방 점검 정보 계층의 엔티티의 경우, 소방 점검 내역 정보 및 점검한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소방 시설 정보는 소화기의 정보 및 소화기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소방 활동 정보 계층은 속성에 따라 4개의 엔티티(Ed1, Ed2, Ed3 및 Ed4)를 포함할 수 있으며, Ed1 및 Ed2 간의 관계 정보, Ed2 및 Ed3 간의 관계 정보 및 Ed2 및 Ed4 간의 관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4개의 엔티티는 각각 자신의 속성 정보와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피난 경로 정보 계층은 속성에 따라 4개의 엔티티(Ed'1, Ed'2, Ed'3 및 Ed'4)를 포함할 수 있으며, Ed'1 및 Ed'2 간의 관계 정보, Ed'2 및 Ed'3 간의 관계 정보, Ed'3 및 Ed'4 간의 관계 정보 및 Ed'2 및 Ed'4 간의 관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4개의 엔티티는 각각 자신의 속성 정보와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소방 점검 정보 계층은 속성에 따라 3의 엔티티(Ed"1, Ed"2 및 Ed"3)를 포함할 수 있으며, Ed"1 및 Ed"2 간의 관계 정보 및 Ed"2 및 Ed"3 간의 관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3개의 엔티티는 각각 자신의 속성 정보와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방 시설 정보 계층도 3개의 엔티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 자신의 속성 정보와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소방 활동 정보 계층 등과 같은 하위 계층은 추가적인 복수의 하위 계층 간에 맵핑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와 함께 후술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정보 계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정보 계층은 실내 공간 정보 계층 및 실외 공간 정보 계층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계층은 관련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정보들은 속성에 따라 엔티티를 형성할 수 있고, 엔티티는 각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계층은 복수의 엔티티를 포함하는 경우, 각 엔티티간의 관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 공간 정보 계층의 엔티티의 경우, 방(room) 정보 및 방의 위치 정보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방에 대한 엔티티가 복수인 경우, 방 간의 연결 구성과 같은 관계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실외 공간 정보 계층의 엔티티의 경우, 다리(bridge) 정보 및 다리의 위치 정보, 터널 정보 및 터널의 위치 정보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공간 정보 계층의 엔티티의 경우, 다리, 터널, 빌딩 및 수역(waterbody)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방(room), 경계면(boundary surface) 및 다중 표면(multi surface)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실내 공간 정보 계층은 속성에 따라 3개의 엔티티(Ed1, Ed2 및 Ed3)를 포함할 수 있으며, Ed1 및 Ed2 간의 관계 정보 및 Ed1 및 Ed3 간의 관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3개의 엔티티는 각각 자신의 속성 정보와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 공간 정보 계층은 속성에 따라 3개의 엔티티(Ed'1, Ed'2 및 Ed'3)를 포함할 수 있으며, Ed'1 및 Ed'2 간의 관계 정보 및 Ed'1 및 Ed'3 간의 관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3개의 엔티티는 각각 자신의 속성 정보와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정보 계층은 복수의 하위 계층을 통합하여 하나의 통합 공간 정보 계층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간 정보 계층이 실내 공간 정보 계층과 실외 공간 정보 계층을 포함하는 경우, 실내 공간 정보 계층과 실외 공간 정보 계층을 통합하여 통합 공간 정보 계층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실내 공간 정보 계층 및 실외 공간 정보 계층은 해당 계층 생성을 위한 원시 데이터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계층의 엔티티는 상대적인 위치 정보만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실내 공간 정보 계층 및 실외 공간 정보 계층은 각각의 좌표 체계가 다를 수 있으며, 이를 하나의 좌표 체계로 통합한 후, 동일한 좌표 체계 상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실내 공간 정보 계층과 실외 공간 정보 계층의 엔티티를 맵핑할 수 있다.
여기서, 좌표 체계의 통합은 실내 공간 정보 계층의 좌표 체계를 실외 공간 정보 계층의 좌표 체계로 변환할 수 있으며, 실외 공간 정보 계층의 좌표 체계를 실내 공간 정보 계층의 좌표 체계로 변환할 수 있고, 제3의 좌표 체계로 실내 공간 정보 계층과 실외 공간 정보 계층의 좌표 체계를 변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에 따라 생성된 통합 공간 정보 계층은 실내 공간 정보 계층의 정보 및 실외 공간 정보 계층의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통합 공간 정보 계층은 실내 공간 정보 계층의 엔티티 정보 및 실외 공간 정보 계층의 엔티티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계층에 따른 복수의 엔티티 간의 관계 정보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술한 실외 공간 정보 계층 및 실내 공간 정보 계층을 통합한 통합 공간 정보 계층은 속성에 따라 5개의 엔티티(Ed"1, Ed"2, Ed"3, Ed"4 및 Ed"5)를 포함할 수 있으며, Ed"1 및 Ed"2 간의 관계 정보, Ed"2 및 Ed"3 간의 관계 정보, Ed"1 및 Ed"5 간의 관계 정보 및 Ed"2 및 Ed"4 간의 관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Ed"1은 실외 공간 정보 계층의 Ed'1에 대응할 수 있으며, Ed"2는 실내 공간 정보 계층의 Ed1 및 실외 공간 정보 계층의 Ed'2에 대응할 수 있고, Ed"3은 실내 공간 정보 계층의 Ed2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Ed"4는 실내 공간 정보 계층의 Ed3에 대응할 수 있고, Ed"5는 실외 공간 정보 계층의 Ed'3에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Ed"1 및 Ed"2 간의 관계 정보는 실외 공간 정보 계층의 Ed'1 및 Ed'2 간의 관계 정보에 대응할 수 있으며, Ed"2 및 Ed"3 간의 관계 정보는 실내 공간 정보 계층의 Ed1 및 Ed2 간의 관계 정보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Ed"1 및 Ed"5 간의 관계 정보는 실외 공간 정보 계층의 Ed'1 및 Ed'3 간의 관계 정보에 대응할 수 있고, Ed"2 및 Ed"4 간의 관계 정보는 실내 공간 정보 계층의 Ed1 및 Ed3 간의 관계 정보에 대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안전 융합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안전 융합 정보는 재난 안전 정보 계층과 공간 정보 계층을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안전 융합 정보는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의 적어도 하나의 하위 계층과 공간 정보 계층의 통합 공간 정보 계층 간의 매핑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의 하나의 하위 계층은 통합 공간 정보 계층과 매핑되어, 하위 재난 안전 융합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재난 안전 융합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재난 안전 융합 정보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하위 재난 안전 융합 정보 간의 통합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의 각 하위 계층은 해당 계층 생성을 위한 원시 데이터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계층의 엔티티는 상대적인 위치 정보만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의 각 하위 계층은 좌표 체계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통합 공간 정보 계층의 좌표 체계와도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의 각 하위 계층은 좌표 체계를 통합 공간 정보 계층의 좌표 체계로 변환한 후, 각 하위 계층의 엔티티의 위치 정보 및 통합 공간 정보 계층의 엔티티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각 하위 계층과 통합 공간 정보 계층의 각 엔티티와 관계 정보 간의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19012260263-pat00001
수학식 1에서, SL은 통합 공간 정보 계층 내의 엔티티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고, DLi는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의 i번째 하위 계층 내의 엔티티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es는 통합 공간 정보 계층 내의 하나의 엔티티를 의미할 수 있으며, SL에 포함될 수 있고, edi는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의 i번째 하위 계층 내의 하나의 엔티티를 의미할 수 있으며, DLi에 포함될 수 있다. ps는 통합 공간 정보 계층의 좌표 체계 Ps를 따르는 es의 위치 정보를 의미할 수 있고, pdi는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의 i번째 하위 계층의 좌표 체계 Pdi를 따르는 edi의 위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T(x)는 좌표 체계 Pdi상의 위치 정보 x를 좌표 체계 Ps상의 값으로 변환하는 변환 함수를 의미할 수 있고, MSL - DLi는 SL 및 DLi 간의 매핑 관계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의 각 하위 계층과 통합 공간 정보 계층은 서로 매핑을 수행하여, 그 결과로서 매핑 관계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매핑 관계는 각 하위 계층의 엔티티 및/또는 관계 정보과 통합 공간 정보 계층의 엔티티 및/또는 관계 정보 간의 대응 관계 또는 연결 관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학식 1을 참조하는 경우,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엔티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활동 정보 계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안전 융합 정보는 재난 안전 정보 계층 및 공간 정보 계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호 매핑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은 적어도 하나의 하위 계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하위 계층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하위 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의 적어도 하나의 하위 계층은 개별적으로 통합 공간 정보 계층과 매핑될 수 있으나,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의 하위 계층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하위 계층은 우선적으로 서로 맵핑되어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의 하위 계층을 형성 또는 생성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의 하위 계층 중 소방 활동 정보 계층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소방 활동 정보 계층은 자료 조사 정보 계층, 훈련 정보 계층, 현장 대응 정보 계층 및 이력 복구 정보 계층 중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하위 계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하위 계층은 각각 엔티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엔티티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엔티티 간의 관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소방 활동 정보 계층은 자료 조사 정보 계층, 훈련 정보 계층, 현장 대응 정보 계층 및 이력 복구 정보 계층 중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하위 계층 간의 맵핑을 통해 형성 또는 생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자료 조사 정보 계층은 속성에 따라 2개의 엔티티(Ed1 및 Ed2)를 포함할 수 있으며, Ed1 및 Ed2 간의 관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엔티티는 각각 자신의 속성 정보와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훈련 정보 계층은 속성에 따라 2개의 엔티티(Ed'1 및 Ed'2)를 포함할 수 있으며, Ed'1 및 Ed'2 간의 관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엔티티는 각각 자신의 속성 정보와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장 대응 정보 계층은 속성에 따라 2개의 엔티티(Ed"1 및 Ed"2)를 포함할 수 있으며, Ed"1 및 Ed"2 간의 관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엔티티는 각각 자신의 속성 정보와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력 복구 정보 계층은 속성에 따라 3개의 엔티티(Ed
Figure 112019012260263-pat00002
1, Ed
Figure 112019012260263-pat00003
2 및 Ed
Figure 112019012260263-pat00004
3)를 포함할 수 있으며, Ed
Figure 112019012260263-pat00005
1 및 Ed
Figure 112019012260263-pat00006
2 간의 관계 정보 및 Ed
Figure 112019012260263-pat00007
2 및 Ed
Figure 112019012260263-pat00008
3 간의 관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3개의 엔티티는 각각 자신의 속성 정보와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자료 조사 정보 계층, 훈련 정보 계층, 현장 대응 정보 계층 및 이력 복구 정보 계층은 해당 계층 생성을 위한 원시 데이터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계층의 엔티티는 상대적인 위치 정보만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자료 조사 정보 계층, 훈련 정보 계층, 현장 대응 정보 계층 및 이력 복구 정보 계층은 각각의 좌표 체계가 다를 수 있으며, 이를 하나의 좌표 체계로 통합한 후, 동일한 좌표 체계 상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자료 조사 정보 계층, 훈련 정보 계층, 현장 대응 정보 계층 및 이력 복구 정보 계층의 엔티티를 맵핑할 수 있다.
여기서, 좌표 체계의 통합은 자료 조사 정보 계층, 훈련 정보 계층, 현장 대응 정보 계층 및 이력 복구 정보 계층 중 어느 하나의 좌표 체계로 다른 계층들의 좌표 체계를 변환할 수 있고, 제3의 좌표 체계로 자료 조사 정보 계층, 훈련 정보 계층, 현장 대응 정보 계층 및 이력 복구 정보 계층의 좌표 체계를 모두 변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에 따라 소방 활동 정보 계층은 각 하위 계층의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소방 활동 정보 계층은 자료 조사 정보 계층, 훈련 정보 계층, 현장 대응 정보 계층 및 이력 복구 정보 계층의 각 엔티티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계층에 따른 복수의 엔티티 간의 관계 정보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적어도 둘의 계층 간의 맵핑 및 통합 방법은 서로 유사한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장치는 재난 안전 정보 구축 모듈, 공간 정보 구축 모듈 및 매핑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모듈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능으로 구분한 것이므로, 명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난 안전 정보 구축 모듈은 재난 안전 정보 원시 데이터를 기초로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을 생성할 수 있다. 재난 안전 정보 구축 모듈은 다양한 재난 안전 정보 원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원시 데이터를 분류하여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의 적어도 하나의 하위 계층을 생성할 수 있다. 재난 안전 정보 원시 데이터는 관련 계층에 적합한 형식이 아닐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원시 데이터는 관련 계층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의 적어도 하나의 하위 계층은 미리 결정될 수 있으며, 재난 안전 정보 구축 모듈은 획득한 원시 데이터를 미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하위 계층 중 적합한 하위 계층으로 분류하여 해당 하위 계층에 관련 데이터를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재난 안전 정보 구축 모듈은 분류되지 않는 원시 데이터를 기초로 새로운 하위 계층을 생성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재난 안전 정보 구축 모듈은 재난 안전 정보 원시 데이터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하위 계층을 포함하는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을 생성할 수 있다.
공간 정보 구축 모듈은 공간 정보 원시 데이터를 기초로 공간 정보 계층을 생성할 수 있다. 공간 정보 구축 모듈은 대양한 공간 정보 원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원시 데이터를 분류하여 공간 정보 계층의 적어도 하나의 하위 계층을 생성할 수 있다. 공간 정보 원시 데이터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도면 및 CAD(Computer Aided Design) 도면과 같이 관련 계층에 적합한 형식이 아닐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원시 데이터는 관련 계층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될 수도 있다.
여기서, 공간 정보 계층의 적어도 하나의 하위 계층은 미리 결정될 수 있으며, 공간 정보 구축 모듈은 획득한 원시 데이터를 미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하위 계층 중 적합한 하위 계층으로 분류하여 해당 하위 계층에 관련 데이터를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공간 정보 구축 모듈은 분류되지 않는 원시 데이터를 기초로 새로운 하위 계층을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공간 정보 구축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하위 계층을 통합하여 하나의 통합 공간 정보 계층을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공간 정보 구축 모듈은 원시 데이터로부터 생성한 적어도 하나의 하위 계층 간에 좌표 체계를 통일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하위 계층 간에 맵핑을 수행하여 하나의 통합 공간 정보 계층을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공간 정보 구축 모듈은 공간 정보 원시 데이터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하위 계층을 포함하는 공간 정보 계층을 생성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하위 계층을 통합하여 통합 공간 정보 계층을 생성할 수 있다.
매핑 모듈은 재난 안전 정보 계층과 공간 정보 계층을 맵핑하여 재난 안전 융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매핑 모듈은 재난 안전 정보 구축 모듈에 의해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하위 계층을 포함하는 재난 안전 정보 계층과 공간 정보 구축 모듈에 의해 생성된 통합 공간 정보 계층을 맵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매핑 모듈은 재난 안전 정보 계층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하위 계층 각각의 좌표 체계를 통합 공간 정보 계층의 좌표 체계로 변환할 수 있으며, 재난 안전 정보 계층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하위 계층 각각과 통합 공간 정보 계층을 맵핑할 수 있다.
매핑 모듈은 상술한 과정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하위 재난 안전 융합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 안전 융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하위 재난 안전 융합 정보는 재난 안전 정보 계층 내의 하나의 하위 계층과 통합 공간 정보 계층을 맵핑하여 생성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된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된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장치는 재난 안전 정보 구축 모듈, 공간 정보 구축 모듈 및 매핑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데이터와의 연계를 위해 재난 안전 정보 원시 데이터 획득 모듈, 공간 정보 원시 데이터 획득 모듈, 재난 안전 정보 가시화 모듈, 공간 정보 가시화 모듈, 재난 안전 융합 정보 가시화 모듈 및 재난 관리 공통 서비스 연계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모듈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능으로 구분한 것이므로, 명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난 안전 정보 구축 모듈, 공간 정보 구축 모듈 및 매핑 모듈은 도 6과 함께 설명한 각 모듈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겠다.
재난 안전 정보 원시 데이터 획득 모듈은 외부의 미리 구축된 재난 안전 정보로부터 재난 안전 정보 원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외부의 소방 활동 정보 카드 저장 장치 및 소방 조사 점검 단말 등과 연동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간 정보 원시 데이터 획득 모듈은 외부의 미리 구축된 공간 데이터로부터 공간 정보 원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세움터 및 V-world 등과 연동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난 안전 정보 가시화 모듈은 재난 안전 정보 구축 모듈이 생성한 재난 안전 정보 계층에 포함된 정보를 가시화할 수 있으며,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의 적어도 하나의 하위 계층 별로 가시화할 수 있고, 공간 정보 가시화 모듈은 공간 정보 구축 모듈이 생성한 공간 정보 계층에 포함된 정보를 가시화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난 안전 융합 정보 가시화 모듈은 매칭 모듈에 의해 생성된 재난 안전 융합 정보를 가시화할 수 있으며, 재난 관리 공통 서비스 연계 모듈은 재난 안전 융합 정보를 외부의 재난 관리 서비스가 공통으로 요구하는 형식에 맞추어 변환할 수 있고, 각 재난 관리 서비스가 요구하는 형식이 다른 경우, 이에 맞추어 변환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재난 관리 서비스는 재난 대응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장치는 복수의 계층을 이용하여 재난 안전 융합 정보를 제공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재난 안전 융합 정보를 갱신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장치는 재난 안전 정보 및 공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변경 정보를 획득한 경우, 이를 기초로 재난 안전 정보 계층 및 공간 정보 계층 중 적어도 하나를 수정할 수 있다.
이후,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장치는 수정에 의해 재난 안전 정보 계층 및 공간 정보 계층 간의 매핑 관계의 갱신이 요구되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 매핑 관계의 갱신이 요구되는 경우에만 매핑 관계를 갱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장치는 기존의 매핑 관계가 수정된 재난 안전 정보 계층 및 수정된 공간 정보 계층로 인해 변경되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 기존의 매핑 관계가 변경되는 경우에만 매핑 관계를 갱신하며, 기존 매핑 관계가 변경되지 않는 경우에는 매핑 관계를 갱신하지 않을 수 있다.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장치는 매핑 관계를 갱신한 경우, 이를 기초로 재난 안전 융합 정보를 갱신하거나 새로운 재난 안전 융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상 영역에 대한 재난 안전 융합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8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810), 메모리(820) 및 저장 장치(8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메모리(820) 및/또는 저장 장치(830)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s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820)와 저장 장치(830)는 휘발성 저장 매체 및/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8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및/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820)는 프로세서(810)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대상 영역에 대한 재난 안전 정보를 기초로 제1 엔티티를 포함하는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을 생성하는 명령, 대상 영역에 대한 실내 공간 정보 및 실외 공간 정보를 기초로 제2 엔티티를 포함하는 공간 정보 계층을 생성하는 명령 및 제1 엔티티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제2 엔티티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재난 안전 정보 계층 및 공간 정보 계층을 맵핑하여 재난 안전 융합 정보를 생성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의 좌표 체계를 공간 정보 계층의 좌표 체계로 변경하는 명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 영역에 대한 실내 공간 정보 및 실외 공간 정보를 기초로 제2 엔티티를 포함하는 공간 정보 계층을 생성하는 명령은, 실내 공간 정보의 좌표 체계 및 실외 공간 정보의 좌표 체계를 통일하여 실내 공간 정보와 실외 공간 정보를 통합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은, 대상 영역에 대한 소방 활동 정보 계층, 피난 경로 정보 계층, 소방 점검 정보 계층 및 소방 시설 정보 계층 중 적어도 하나의 하위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엔티티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제2 엔티티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재난 안전 정보 계층 및 공간 정보 계층을 맵핑하여 재난 안전 융합 정보를 생성하는 명령은, 적어도 하나의 하위 계층의 각각이 공간 정보 계층과 맵핑하여 적어도 하나의 하위 재난 안전 융합 정보를 생성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은, 제1 엔티티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제1 엔티티 간의 관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공간 정보 계층은, 제2 엔티티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제2 엔티티 간의 관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대상 영역에 대한 변경된 재난 안전 정보, 변경된 실내 공간 정보 및 변경된 실외 공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정보를 획득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변경 정보를 기초로 재난 안전 정보 계층 및 공간 정보 계층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명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재난 안전 정보 계층 및 공간 정보 계층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에 따라 재난 안전 정보 계층 및 공간 정보 계층 간의 매핑 관계의 갱신 여부를 결정하는 명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결정에 따라 매핑 관계를 갱신하는 경우, 갱신한 매핑 관계를 기초로 재난 안전 융합 정보를 갱신하는 명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방법은 간략히 정리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우선,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장치는 재난 안전 정보 원시 데이터를 획득하여 이를 기초로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을 생성할 수 있다(S910). 여기서,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은 적어도 하나의 하위 계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하위 계층은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하위 계층을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하나의 하위 계층은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하위 계층의 통합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나,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은 적어도 하나의 하위 계층을 개별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장치는 공간 정보 원시 데이터를 획득하여 이를 기초로 공간 정보 계층을 생성할 수 있다(S920). 여기서, 공간 정보 계층은 적어도 하나의 하위 계층을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하위 계층을 통합한 하나의 통합 공간 정보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S910 단계 및 S920 단계는 역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으므로, 두 단계 간의 선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장치는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의 좌표 체계 및 공간 정보 계층을 좌표 체계를 통일할 수 있으며(S930), 하나의 통일된 좌표 체계 상에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재난 안전 정보 계층 및 공간 정보 계층을 맵핑하여(S940), 재난 안전 융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나의 동일한 좌표 체계 상에서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의 하위 계층에 포함된 엔티티의 위치 정보 및 통합 공간 정보 계층에 포함된 엔티티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의 하위 계층과 통합 공간 정보 계층을 맵핑할 수 있다.
여기서, 좌표 체계의 통일은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의 좌표 체계를 공간 정보 계층의 좌표 체계로 변환할 수 있으나, 그 역도 가능하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은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측면들은 장치의 문맥에서 설명되었으나, 그것은 상응하는 방법에 따른 설명 또한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블록 또는 장치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에 상응한다. 유사하게, 방법의 문맥에서 설명된 측면들은 또한 상응하는 블록 또는 아이템 또는 상응하는 장치의 특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의 몇몇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또는 전자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또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 단계들의 하나 이상은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장치(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가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는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들은 어떤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대상 영역에 대한 재난 안전 융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대상 영역인 건축 구조물에 대한 제1 엔티티를 포함하는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을 생성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제1 엔티티는 상기 건축 구조물에서의 재난 관리를 위한 소방활동정보, 피난경로정보, 소방점검정보, 소방시설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정의되는 세부 재난 안전 정보 계층들을 포함함-;
    상기 건축 구조물에 대한 제2 엔티티를 포함하는 공간 정보 계층을 생성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제2 엔티티는 상기 건축 구조물의 실내 및 실외의 2차원 도면과 3차원 속성정보를 정의하는 실내 공간 정보 및 실외 공간 정보를 포함함-;
    상기 공간 정보 계층을 구성하는 세부 공간정보 계층들을 상기 세부 공간정보 계층들에 대해 미리 설정된 좌표체계를 토대로 통합하여 하나의 통합 공간정보 계층을 생성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통합 공간정보 계층을 구성하는 각 엔티티는 상기 좌표체계를 따르는 좌표를 속성으로 가짐-; 및
    상기 세부 재난 안전 정보 계층들을 구성하는 제1 엔티티들을 상기 제1 엔티티들 각각이 가지고 있는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위치 정보의 좌표와 같은 좌표를 속성을 가지고 있는 상기 통합 공간정보 계층에 있는 대응 엔티티에 맵핑하여 재난 안전 융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간 정보 계층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 공간 정보의 좌표 체계 및 상기 실외 공간 정보의 좌표 체계를 통일하여 상기 실내 공간 정보와 상기 실외 공간 정보를 통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방법.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은,
    상기 제1 엔티티가 복수인 경우, 상기 복수의 제1 엔티티 간의 관계 정보를 더 포함하는,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간 정보 계층은,
    상기 제2 엔티티가 복수인 경우, 상기 복수의 제2 엔티티 간의 관계 정보를 더 포함하는,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상 영역에 대한 변경된 재난 안전 정보, 변경된 실내 공간 정보 및 변경된 실외 공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정보를 획득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경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재난 안전 정보 계층 및 상기 공간 정보 계층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재난 안전 정보 계층 및 상기 공간 정보 계층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에 따라 상기 재난 안전 정보 계층 및 상기 공간 정보 계층 간의 매핑 관계의 갱신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매핑 관계를 갱신하는 경우, 상기 갱신한 매핑 관계를 기초로 상기 재난 안전 융합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방법.
  11. 대상 영역에 대한 재난 안전 융합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memory)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대상 영역인 건축 구조물에 대한 제1 엔티티를 포함하는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을 생성하도록 실행되고-여기서 상기 제1 엔티티는 상기 건축 구조물에서의 재난 관리를 위한 소방활동정보, 피난경로정보, 소방점검정보, 소방시설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정의되는 세부 재난 안전 정보 계층들을 포함함-,
    상기 건축 구조물에 대한 제2 엔티티를 포함하는 공간 정보 계층을 생성하도록 실행되고-여기서 상기 제2 엔티티는 상기 건축 구조물의 실내 및 실외의 2차원 도면과 3차원 속성정보를 정의하는 실내 공간 정보 및 실외 공간 정보를 포함함-,
    상기 공간 정보 계층을 구성하는 세부 공간정보 계층들을 상기 세부 공간정보 계층들에 대해 미리 설정된 좌표체계를 토대로 통합하여 하나의 통합 공간정보 계층을 생성하도록 실행되고-여기서 상기 통합 공간정보 계층을 구성하는 각 엔티티는 상기 좌표체계를 따르는 좌표를 속성으로 가짐-
    상기 세부 재난 안전 정보 계층들을 구성하는 제1 엔티티들을 상기 제1 엔티티들 각각이 가지고 있는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위치 정보의 좌표와 같은 좌표를 속성을 가지고 있는 상기 통합 공간정보 계층에 있는 대응 엔티티에 맵핑하여 재난 안전 융합 정보를 생성하도록 실행되는,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장치.
  12. 삭제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실내 공간 정보의 좌표 체계 및 상기 실외 공간 정보의 좌표 체계를 통일하여 상기 실내 공간 정보와 상기 실외 공간 정보를 통합하도록 실행되는,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재난 안전 정보 계층은,
    상기 제1 엔티티가 복수인 경우, 상기 복수의 제1 엔티티 간의 관계 정보를 더 포함하는,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장치.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공간 정보 계층은,
    상기 제2 엔티티가 복수인 경우, 상기 복수의 제2 엔티티 간의 관계 정보를 더 포함하는,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장치.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대상 영역에 대한 변경된 재난 안전 정보, 변경된 실내 공간 정보 및 변경된 실외 공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 정보를 획득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경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재난 안전 정보 계층 및 상기 공간 정보 계층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도록 실행되는,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재난 안전 정보 계층 및 상기 공간 정보 계층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에 따라 상기 재난 안전 정보 계층 및 상기 공간 정보 계층 간의 매핑 관계의 갱신 여부를 결정하도록 실행되는,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매핑 관계를 갱신하는 경우, 상기 갱신한 매핑 관계를 기초로 상기 재난 안전 융합 정보를 갱신하도록 실행되는,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장치.
KR1020190013765A 2019-02-01 2019-02-01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31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765A KR102531384B1 (ko) 2019-02-01 2019-02-01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765A KR102531384B1 (ko) 2019-02-01 2019-02-01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866A KR20200095866A (ko) 2020-08-11
KR102531384B1 true KR102531384B1 (ko) 2023-05-12

Family

ID=72048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765A KR102531384B1 (ko) 2019-02-01 2019-02-01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3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276B1 (ko) 2020-12-10 2021-12-07 대한민국 드론을 활용한 웹 기반의 재난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57061A (ja) 2016-03-03 2017-09-07 株式会社東芝 避難支援装置
JP2018169976A (ja) 2017-03-30 2018-11-0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火災対応支援装置、火災対応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174443A (ja) 2017-03-31 2018-11-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消火経路支援装置、消火経路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8860B1 (ko) * 2015-03-31 2017-07-18 (주)이공감 화재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60144559A (ko) * 2015-06-08 2016-12-1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건물 내 대피 경로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840560B1 (ko) * 2016-09-09 2018-03-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 발생에 따른 3차원 경로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64317B1 (ko) * 2017-06-20 2019-04-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소방 관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57061A (ja) 2016-03-03 2017-09-07 株式会社東芝 避難支援装置
JP2018169976A (ja) 2017-03-30 2018-11-0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火災対応支援装置、火災対応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174443A (ja) 2017-03-31 2018-11-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消火経路支援装置、消火経路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혜선 외 3명, "효과적인 소방활동 서비스를 위한 공간정보 기반 재난관리 콘텐츠 생성 및 활용 기술", 2018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5권 제2호, 2018.11.3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866A (ko) 202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1271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2d/3d data for structures of interest in a scene and wireframes generated therefrom
Teo et al. BIM-oriented indoor network model for indoor and outdoor combined route planning
Tran et al. Shape grammar approach to 3D modeling of indoor environments using point clouds
CN109979006B (zh) 室内路网模型构建方法及装置
Khalili et al. IFC-based graph data model for topological queries on building elements
KR101336013B1 (ko) Bim 데이터와 gis 데이터의 연동 처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20259594A1 (en) Bim based 3-d visualization
Ying et al. Construction of 3D volumetric objects for a 3D cadastral system
Boguslawski et al. BIM-GIS modelling in support of emergency response applications
US20220230390A1 (en) Method in constructing a model of a scenery and device therefor
Chen et al. Developing efficient mechanisms for BIM-to-AR/VR data transfer
Rüppel et al. BIM-based immersive indoor graph networks for emergency situations in buildings
KR20230119591A (ko) 3차원 모델링 데이터의 공간정보 설정 및 활용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CN105760570A (zh) 选择对象集的视点
Novelli et al. LOG-IDEAH: LOGic trees for identification of damage due to earthquakes for architectural heritage
Koch et al. BIM-based augmented reality for facility maintenance using natural markers
KR102531384B1 (ko) 재난 안전 융합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Gröger et al. Transaction rules for updating surfaces in 3D GIS
Wagner et al. Methods for geometric data validation of 3D city models
Herman Representation and incremental construction of a three-dimensional scene model
Bock et al. A Visualization‐Based Analysis System for Urban Search & Rescue Mission Planning Support
Liu et al. Semi-automated processing and routing within indoor structures for emergency response applications
Boochs et al. Integration of knowledge to support automatic object reconstruction from images and 3D data
Coors et al. Integrating quality management into a 3D geospatial server
Boguslawski et al. Buildings and terrain unified–multidimensional dual data structure for G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