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148B1 - 창호용 모헤어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창호용 모헤어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148B1
KR102531148B1 KR1020220110812A KR20220110812A KR102531148B1 KR 102531148 B1 KR102531148 B1 KR 102531148B1 KR 1020220110812 A KR1020220110812 A KR 1020220110812A KR 20220110812 A KR20220110812 A KR 20220110812A KR 102531148 B1 KR102531148 B1 KR 102531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hair
window frame
plate
guide
chu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0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강규
Original Assignee
박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강규 filed Critical 박강규
Priority to KR1020220110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1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5Manufactu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창호용 모헤어 장착장치를 개시하며,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모헤어의 장착을 위하여 창호프레임이 안착되는 창호프레임안착레일과, 상기 창호프레임안착레일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모헤어를 상기 창호프레임의 양측단을 향하여 연속 공급하는 모헤어공급부와, 상기 모헤어공급부로부터 상기 모헤어를 인출시킴과 동시에 상기 창호프레임안착레일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창호프레임의 양측단 삽입홈을 따라 상기 모헤어를 장착시키는 모헤어장착부, 및 상기 모헤어장착부에 의하여 상기 모헤어가 상기 삽입홈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모헤어공급부로부터 상기 창호프레임의 길이에 맞추어 상기 모헤어를 절단하는 모헤어절단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창호용 모헤어 장착장치{Mohair mounting device for windows}
본 발명은 창호용 모헤어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호 제작용 프레임의 양측단으로 기밀유지를 위한 모헤어(Mohair)를 용이하게 삽입 고정할 수 있는 창호용 모헤어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서기 창호에는 기밀 유지 및 방음 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창호 프로파일과 창짝의 결합 틈새에 모헤어(Mohair)가 적용된다.
모헤어는 창짝 측면의 결합홈부 내에 구비된 모헤어 결합홈에 서로 대향 돌출되도록 끼움 결합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종래의 모헤어 삽입 작업은 창호 프로파일이 압출 성형된 다음 진행되며, 일일이 수작업으로 모헤어를 삽입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생산량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 점을 개선하기 위해 종래에 등록실용신안 제20-0340034호 및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3821호 등으로 '모헤어 삽입장치'가 선출원된 바 있다.
상기 선출원된 종래 모헤어 삽입장치는 대개 프로파일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장치이다.
그러나, 양측단으로 모헤어의 장착이 요구되는 프레임들이 생산되고 있기에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종래 모헤어 삽입 장치들의 문제점 및 한계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창호 제작용 프레임의 양측단으로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모헤어를 장착시킬 수 있는 창호용 모헤어 자동화 장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다양한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창호용 모헤어 장착장치에서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모헤어의 장착을 위하여 창호프레임이 안착되는 창호프레임안착레일과, 상기 창호프레임안착레일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모헤어를 상기 창호프레임의 양측단을 향하여 연속 공급하는 모헤어공급부와, 상기 모헤어공급부로부터 상기 모헤어를 인출시킴과 동시에 상기 창호프레임안착레일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창호프레임의 양측단 삽입홈을 따라 상기 모헤어를 장착시키는 모헤어장착부, 및 상기 모헤어장착부에 의하여 상기 모헤어가 상기 삽입홈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모헤어공급부로부터 상기 창호프레임의 길이에 맞추어 상기 모헤어를 절단하는 모헤어절단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창호프레임안착레일의 상측으로 실린더에 의하여 승하강 작동되어 상기 창호프레임안착레일 상에 안착된 상기 창호프레임을 가압하여 이동을 방지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창호프레임안착레일의 일측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창호프레임의 정위치 안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위치감지센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모헤어공급부는 양측 하단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모헤어권취부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모헤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판, 및 상기 가이드판 중 어느 하나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인출되는 상기 모헤어를 일시적으로 가압하는 가이드판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모헤어장착부는 상기 모헤어공급부의 전단부까지 진입 이동하고, 상기 모헤어공급부를 향한 수평이동으로 상기 모헤어를 척킹하는 척킹모듈과, 상기 척킹모듈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창호프레임안착레일의 하측에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된 LM레일을 따라 상기 척킹모듈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LM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LM플레이트에 의하여 상기 척킹모듈이 상기 창호프레임의 길이만큼 이동하면서 상기 척킹모듈에 의하여 척킹된 상기 모헤어가 상기 창호프레임의 상기 삽입홈을 따라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모헤어 장착장치에서는, 창호 제작용 프레임의 양측단으로 모헤어가 동시에 장착되어 비용 및 시간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모헤어의 장착이 자동화 장치를 통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모헤어 장착장치의 전체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모헤어 장착장치에서 베이스프레임과 가림막을 분리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병렬로 복수개 설치된 모헤어 장착장치에서 장치 하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모헤어 장착장치에서 모헤어공급부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모헤어공급부의 구동부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모헤어 장착장치에서 모헤어장착부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모헤어장착부의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a 내지 도 8c는 모헤어장착부의 작동 관계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모헤어 장착장치에서 모헤어절단부의 부분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단", "하단", "전방", "후방"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모헤어 장착장치의 전체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모헤어 장착장치에서 베이스프레임과 가림막을 분리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병렬로 복수개 설치된 모헤어 장착장치에서 장치 하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모헤어 장착장치에서 모헤어공급부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모헤어공급부의 구동부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모헤어 장착장치에서 모헤어장착부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모헤어장착부의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a 내지 도 8c는 모헤어장착부의 작동 관계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모헤어 장착장치에서 모헤어절단부의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창호용 모헤어 장착장치는, 창호프레임(10)에 모헤어(1)를 장착하는 인서트 장치로서, 크게 베이스프레임(100)과, 베이스프레임(100) 상에 설치되어 창호프레임(10)이 안착되는 창호프레임안착레일(120)과, 창호프레임안착레일(120)의 전단에 설치되어 모헤어(1)를 연속 공급하는 모헤어공급부(200)와, 모헤어(1)를 창호프레임(10)의 양측단에 장착하는 모헤어장착부(300) 및 창호프레임(10)의 길이에 맞추어 모헤어(1)를 절단하는 모헤어절단부(400)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도 1 또는 도 2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프레임(100)은, 금속재로 이루어진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 및 중간프레임들이 용접 등으로 결합되어 일정한 직육면체 형태로 제작되며, 내부 공간은 빈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하단 모서리측에는 바퀴(미도시)가 설치되어 이동이 가능할 수도 있다.
그리고 베이스프레임(100)에는 전기적 제반 설비나 모헤어장착부(30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00)에는 내장된 장비들의 보호와 사용자의 안전 사고를 방지하고자 사방과 상면으로 가림막(도면 번호 미부여)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도 2에서는 가림막과 베이스프레임(100)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도 2에서는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할 창호프레임안착레일(120), 모헤어공급부(200), 모헤어장착부(300) 및 모헤어절단부(400)로 구성되는 일련의 유닛 장치가 병렬로 2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이들 유닛장치의 설치 개수는 한정하지는 않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에서는 하나의 장치만을 분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전단측에 동일 선상으로 모헤어권취부(20)가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모헤어권취부(20)는 다수개의 권취롤러(22)가 구비되어 권취되어 있는 모헤어(1)를 일정한 장력으로 가이드하면서 모헤어공급부(200)측으로 공급하게 된다.
다시 도 3에서와 같이, 창호프레임안착레일(120)은 모헤어(1)의 장착을 위하여 창호프레임(10)이 안착되는 부분으로 베이스프레임(100)으로부터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지대(102)에 의하여 베이스프레임(100)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창호프레임안착레일(120)은 베이스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전장 길이 보다는 짧거나 동일하게 설치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일반적인 창호프레임(10)의 길이 보다는 긴 길이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창호프레임안착레일(120)은 금속재의 바(bar) 형태로 상면이 편평하여 창호프레임(10)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으며, 선단이 모헤어공급부(200)까지 이어진다.
모헤어공급부(200)는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모헤어공급부(200)는 모헤어권취부(20)로부터 공급되는 모헤어(1)를 인계받아 창호프레임안착레일(120)상에 안착된 창호프레임(10)의 양측단을 향하여 연속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먼저, 도시된 창호프레임(10)은 창호 프로파일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거나 별도로 창틀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프레임으로, 양측단으로 길이 방향 양단부와 일측이 개방되어 “ㄷ”자 형상과 유사한 삽입홈(12:도 1에 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12)을 따라 모헤어(1)가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삽입홈(12)에 별도의 접착수단 없이 모헤어(1)가 장착될 수 있다.
계속해서 모헤어공급부(200)는 창호프레임안착레일(120)과 마주하여 설치되며, 즉, 베이스프레임(100)과 모헤어권취부(20)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모헤어어공급부(200)는, 가이드바(210)와 가이드바(210)의 양측단으로 설치되는 가이드판(220)과 가이드판(220)을 수평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가이드판구동부(22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판구동부(226)는 베이스프레임(100)에 지지 설치되어 진다.
상기 가이드바(210)는 창호프레임안착레일(120)의 전단에 마주하여 설치되되, 창호프레임안착레일(120) 상에 가이드바(210)의 일부가 겹쳐지도록 설치되어 진다.
상기 가이드바(210)는 금속재의 바 형태를 가지며, 창호프레임(10)의 삽입홈(12)과 동일 선상에서 대응되도록 가이드바(210)에도 가이드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바(210)의 길이 방향 양단부와 일측이 개방되어 “ㄷ”자 형상과 유사한 가이드홈(212)이 형성되어 모헤어권취부(20)로부터 모헤어(1)가 삽입되어 인출을 가이드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바(210)에는 상면부터 양측면까지 절개홈(2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홈(214)에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모헤어절단부(400)의 커터날(410)이 삽입되어 가이드홈(212)을 통과하는 모헤어(1)를 절단하게 된다.
절개홈(214)은 가이드바(210)의 상면 일부부터 측면에서 하면까지 연통되는 홈으로 가이드바(210)에 마주하여 한 쌍으로 형성되어 진다.
그리고 가이드바(210)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가이드판(220)이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판(220)은 창호프레임안착레일(120)의 상면과 가이드바(210)의 사이에 설치되며, 대부분이 창호프레임안착레일(120)의 상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덧붙여서, 창호프레임안착레일(120)의 상면상에 가이드판(220)이 위치되면서 창호프레임안착레일(120)과 가이드판(220)의 설치 상면의 높이를 동일시하기 위하여 창호프레임안착레일(120)에는 단차진 단부면(122)이 형성되고, 상기 단부면(122)에 가이드판(220)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판(220)은 설명의 편의상 제1가이드판(221)과 제2가이드판(224)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가이드판(221)은 도면 상에 가이드바(210)를 기준으로 왼쪽에 배치되고, 오른쪽에 마주하여 제2가이드판(224)이 배치될 수 있다.
제1가이드판(221)과 제2가이드판(224)에는 마주하는 내측 방향으로 “ㄴ”자 형태의 단차면(221a, 224a)이 형성되며, 상기 단차면(221a, 224a)에 가이드바(210)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가이드판(221)은 창호프레임안착레일(120)의 단부면(122)에 다수개의 고정볼트(222)에 의하여 고정 설치되며, 돌출되는 고정볼트(222)의 머리부가 가이드바(210)의 가이드홈(212)을 따라 다수개 배치되어 가이드바(210)의 가이드홈(212)을 관통하는 모헤어(1)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가이드판(221)에도 가이드바(210)의 절개홈(214)과 같이 일부 절개홈(번호 미부여)이 형성되어 커터날(410)이 일부 관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제1가이드판(221)의 전단으로 설치되는 제1가이드지지판(223)에 제1가이드판(221)의 일부 면적이 홈부에 삽입되어 지지 설치될 수 있다.
제2가이드판(224)은 제2가이드판(224)과 면적은 동일하나, 창호프레임안착레일(120)의 단부면(122)에 고정되지 않고 가이드판구동부(226)에 의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제2가이드판(224)에도 가이드바(210)의 절개홈(214)과 같이 일부 절개홈(번호 미부여)이 형성되어 커터날(410)이 일부 관통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제2가이드판(224)의 전단도 제2가이드지지판(225)에 일부 면적이 홈부에 삽입되어 지지 설치될 수 있다.
제2가이드지지판(225)은 제1가이드지지판(223)과 동일 면적을 가지면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마주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지지판(225)의 하면으로 가이드판구동부(226)가 설치되어 제2가이드지지판(225)과 제2가이드판(224)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가이드판구동부(226)는 상기 제2가이드지지판(225)의 하면에 설치되는 LM수평블록(226a)과 LM수평블록(226a)의 이동을 안내하는 LM수평레일(226b)이 설치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LM수평블록(226a)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1실린더(227)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제1실린더(227)의 로드가 LM수평블록(226a)에 연결되어 LM수평레일(226b)을 따라 구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6 또는 도 7에서는 모헤어장착부(300)의 일부 사시도이다.
모헤어장착부(300)는 모헤어공급부(200)로부터 모헤어(1)를 인출시킴과 동시에 창호프레임안착레일(120)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창호프레임(10)의 양측단 삽입홈(12)을 따라 인출되는 모헤어를 장착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모헤어장착부(300)는 크게 모헤어(1)를 척킹하는 척킹모듈(310)과, 척킹모듈(310)을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LM플레이트(320)로 구성될 수 있다.
척킹모듈(310)은 다시 창호프레임안착레일(120)에 위치되는 창호프레임(10)의 양측으로 제1척킹플레이트(311)와 제2척킹플레이트(316)가 설치되고, 각 제1척킹플레이트(311)와 제2척킹플레이트(316)의 하면으로 수직 방향으로 제1수직플레이트(312)와 제2수직플레이트(317)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척킹플레이트(311)와 제2척킹플레이트(316)는 마주하는 일면으로 톱니 형태를 가지는 제1척킹단(311a)과 제2척킹단(316a)이 일체로 형성되어 모헤어(1)를 보다 안정적으로 척킹할 수 있다.
또한, 제1수직플레이트(312)와 제2수직플레이트(317)에는 각각 제1이동뭉치(314)와 제2이동뭉치(318)가 설치되고, 제1이동뭉치(314)와 제2이동뭉치(318)의 사이에는 제2실린더(315)가 설치될 수 있다.
제2실린더(315)는 제1이동뭉치(314)와 연결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2수직플레이트(317)에는 제2척킹플레이트(316)와 같이 이동플레이트(319)가 설치되고, 이동플레이트(319)에는 제2실린더(315)로부터 연결되는 에어호스(319a)가 연결되어 제2이동뭉치(318)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일예로 제2실린더(315)는 제1이동뭉치(314)와 제2이동뭉치(318)의 사이 양방향 실린더로 설치되어 제1이동뭉치(314)와 제2이동뭉치(318)를 수평 이동시킬 수도 있다.
즉, 제2실린더(315)의 구동에 따라 제1이동뭉치(314)와 제2이동뭉치(318)에 각각 연결된 제1수직플레이트(312)와 제1척킹플레이트(311) 및 제2수직플레이트(317)와 제2척킹플레이트(316)의 구동이 가능하며, 제1척킹플레이트(311)와 제2척킹플레이트(316)가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모헤어(1)를 척킹하게 되고, 제1척킹플레이트(311)와 제2척킹플레이트(316)가 마주하는 방향에서 멀어지면 척킹했던 모헤어(1)를 놓아주게 된다.
계속해서, 제2실린더(315)와 제1이동뭉치(314)와 제2이동뭉치(318)는 LM플레이트(320)상에 설치된다.
앞서 상기 창호프레임안착레일(120)의 하측으로 동일 선상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베이스프레임(100)에 고정되는 LM가이드레일(322)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LM가이드레일(322)상에는 LM블록(324)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그리고 LM블록(324)상에 LM플레이트(320)가 설치되어, 모헤어(1)를 척킹한 척킹모듈(310)을 창호프레임(10)의 길이만큼 이동시키게 된다.
LM블록(324)의 이동은 도면번호 미부여된 모터와 풀리에 연결되어 작동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 확대 도시된 모헤어절단부(400)는, 모헤어장착부(300)에 의하여 모헤어(1)가 창호프레임(10)의 삽입홈(12)에 장착된 상태에서 모헤어공급부(200)로부터 창호프레임(10)의 길이에 맞추어 모헤어(1)를 절단하는 장치이다.
상기 모헤어절단부(400)는 가이드바(210)의 절개홈(214)을 향하는 한 쌍의 커터날(410)이 나란히 설치되고, 각 커터날(410)에는 커터뭉치(412)가 설치되며, 커터뭉치(412)에는 제3실린더(414)가 한 쌍으로 설치된다.
한 쌍의 제3실린더(414)는 베이스프레임(100)에 지지되는 연결플레이트(104)에 고정되며, 제3실린더(414)의 구동에 따라 실린더로드에 연결된 커터뭉치(412)와 커터날(410)이 승하강 되는 구동으로 가이드바(210)의 가이드홈(212)을 통과하는 모헤어(1)를 절단하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창호프레임안착레일(120)의 상측으로 제4실린더(510)에 의하여 승하강 작동되어 창호프레임안착레일(120) 상에 안착되는 창호프레임(10)을 일시적으로 가압하여 이동을 방지하는 고정부(500)를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상기 고정부(500)는 창호프레임(10)의 삽입홈(12)에 모헤어(1)가 장착되는 동안 창호프레임(10)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며, 제4실린더(510)는 도 1에 도시된 제어패널(110)이 설치되는 제어플레이트(110)의 하면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제4실린더(510)의 로드 단부측에는 비교적 탄성을 가지고서 가압 시 창호프레임(10) 손상을 입히지 않을 재질로 이루어진 고무 또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진 고정뭉치(520)가 설치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창호프레임안착레일(120)의 일측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창호프레임(10)의 정위치 안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위치감지센서(6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위치감지센서(60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며, 창호프레임안착레일(120)에 안착되고, 가이드바(210)에 밀착되어 있는 위치를 확인하게 된다.
위치감지센서(600)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를 제어패널(110)로 보내게 되고, 제어패널(110)에서는 기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창호프레임(10)의 위치가 정위치에서 벗어나면, 경고음을 발생시켜서 창호프레임(10)의 위치를 사용자가 조정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모헤어 장착장치의 작용은, 다시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창호프레임안착레일(120) 상에 작업자에 의해 창호프레임(10)이 안착되며, 안착되는 창호프레임(10)은 가이드바(210)의 선단에 맞추어 안착된다.
창호프레임(10)의 정위치 안착은 위치감지센서(600)에서 확인하게 되며, 제어패널(110)을 통해 이상 신호가 발생하면 작업자가 창호프레임(10)을 파지하여 정위치에 다시 놓게 된다.
그리고 창호프레임(10)의 선단부로는 제4실린더(510)의 작동으로 고정뭉치(520)가 하강하여 고정하게 된다.
계속해서, 가이드바(210)의 절개홈(214)을 지난 위치까지 이동된 모헤어장착부(300)의 척킹모듈(310)로 하여 가이드바(210)의 가이드홈(212)을 관통하고 있는 모헤어(1)를 척킹하게 된다.
여기서 모헤어(1)는 모헤어권취부(20)로부터 공급되며, 일단이 가이드바(210)의 가이드홈(212)을 따라 관통되어 연속 공급되어 진다.
척킹모듈(310)은 제2실린더(315)의 구동에 따라 제1이동뭉치(314)와 제1수직플레이트(312)가 모헤어(1)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1척킹플레이트(311)에서 톱니 형태의 제1척킹단(311a)이 모헤어(1)를 척킹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2실린더(315)로부터 연결되는 에어호스(319a)에 의해 제2이동뭉치(318)와 제2수직플레이트(317)가 모헤어(1)를 향해 수평 방향 이동되고, 제2척킹플레이트(316)에서 톱니 형태의 제2척킹단(316a)이 모헤어(1)를 척킹하게 된다.
따라서 모헤어(1)를 제1척킹플레이트(311)와 제2척킹플레이트(316)에서 척킹한 상태에서 척킹모듈(310) 이동으로 모헤어(1)가 창호프레임(10)의 삽입홈(12)을 따라 장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8a 내지 도 8c에서와 같이, LM플레이트(320)가 LM가이드레일(322)을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척킹모듈(310)의 모헤어(1)를 인출하면서 삽입홈(12)에 장착시키게 된다.
LM플레이트(320)의 이동에 따라 같이 이동된 척킹모듈(310)은 창호프레임(10)의 총 길이에서 설정 위치까지 1차 이동하고, 정지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 가이드바(210)의 절개홈(214)을 향하여 커터날(410)이 하강하여 모헤어(1)를 절단하고, 척킹모듈(310)이 창호프레임(10)의 끝단부까지 한 번더 이동하게 된다.
즉, 척킹모듈(310)의 1차 이동은 가이드바(210)에서 절개홈(214)까지의 길이에 해당하는 창호프레임(10)의 끝단부를 남겨두고 이동되며, 모헤어(1)의 절단 후 가이드바(210)의 절개홈(214)에서 단부 길이만큼 척킹모듈(310)이 더 이동하여 창호프레임(10)의 전체 길이에 모헤어(1)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창호프레임(10)에 모헤어(1)의 장착이 완료되면, 고정뭉치(520)는 승강하고, 척킹모듈(310)에서 제1척킹플레이트(311)와 제2척킹플레이트(316)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여 척킹하고 있던 모헤어(1)를 놓아주게 된다.
모헤어(1)의 장착이 완료된 창호프레임(10)은 언로딩되고, 수평이동으로 벌어진 제1척킹플레이트(311)와 제2척킹플레이트(316)는 그 상태로 다시 가이드바(210)의 시작 위치까지 다시 이동하게 된다.
상기의 작동의 반복으로 로딩되는 창호프레임(10)을 연속하여 모헤어(1)를 장착하게 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창호 제작용 프레임의 양측단으로 모헤어가 동시에 장착되어 비용 및 시간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모헤어의 장착이 자동화 장치를 통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모헤어공급부(200), 모헤어장착부(300), 모헤어절단부(400), 고정부(500) 및 위치감지센서(600)는 제어패널(1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되며, 상기 제어패널(110)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저장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메모리 및/또는 저장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와 저장 장치는 휘발성 저장 매체 및/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각 구성부의 동작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 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은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측면들은 장치의 문맥에서 설명되었으나, 그것은 상응하는 방법에 따른 설명 또한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블록 또는 장치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에 상응한다. 유사하게, 방법의 문맥에서 설명된 측면들은 또한 상응하는 블록 또는 아이템 또는 상응하는 장치의 특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의 몇몇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또는 전자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또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 단계들의 하나 이상은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장치(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가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는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들은 어떤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모헤어 10 : 창호프레임
12 : 삽입홈 20 :모헤어권취부
22 : 권취롤러 100 : 베이스프레임
102 : 지지대 110 : 제어패널
112 : 제어플레이트 120 : 창호프레임안착레일
122 : 단부면
200 : 모헤어공급부 210 : 가이드바
212 : 가이드홈 214 : 절개홈
220 : 가이드판 221 : 제1가이드판
222 : 고정볼트 223 : 제1가이드지지판
224 : 제2가이드판 225 : 제2가이드지지판
226 : 가이드판구동부 226a : LM수평블록
226b : LM수평레일 227 : 제1실린더
300 : 모헤어장착부 310 : 척킹모듈
311 : 제1척킹플레이트 311a : 제1척킹단
312 : 제1수직플레이트 314 : 제1이동뭉치
315 : 제2실린더 316 : 제2척킹플레이트
316a : 제2척킹단 317 : 제2수직플레이트
318 : 제2이동뭉치 319 : 이동플레이트
319a : 에어호스 320 : LM플레이트
322 : LM가이드레일 324 : LM블록
400 : 모헤어절단부 410 : 커터날
412 : 커터뭉치 414 : 제3실린더
416 : 연결플레이트 500 : 고정부
510 : 제4실린더 520 : 고정뭉치
600 : 위치감지센서

Claims (5)

  1.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에 길이 방향을 따라 지지대에 바 형태로 지지 설치되며 모헤어의 장착을 위하여 창호프레임이 안착되는 창호프레임안착레일;
    상기 창호프레임안착레일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모헤어를 상기 창호프레임의 양측단을 향하여 연속 공급하는 모헤어공급부;
    상기 모헤어공급부로부터 상기 모헤어를 인출시킴과 동시에 상기 창호프레임안착레일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창호프레임의 양측단 삽입홈을 따라 상기 모헤어를 장착시키는 모헤어장착부, 및
    상기 모헤어장착부에 의하여 상기 모헤어가 상기 삽입홈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모헤어공급부로부터 상기 창호프레임의 길이에 맞추어 상기 모헤어를 절단하는 모헤어절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헤어공급부는,
    양측 하단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이 개방된 "ㄷ"자 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모헤어권취부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모헤어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상면 일부부터 측면에서 하면까지 연통되는 홈으로 절개홈이 형성되어 공급되는 상기 모헤어 절단이 이루어지는 가이드바와,
    상기 창호프레임안착레일의 상면으로 상기 가이드바를 중심으로 양측에 제1가이드판과 제2가이드판이 전단부가 지지되도록 각 제1가이드지지판과 제2가이드지지판에 설치되며, 상기 제1가이드판과 상기 제2가이드판의 내측으로 상기 가이드바가 안착될 수 있도록 단차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판에는 고정볼트의 머리부가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바의 상기 가이드홈을 관통하는 상기 모헤어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판, 및
    상기 제2가이드지지판의 하면으로 제1실린더 및 LM수평블록과 상기 LM수평블록의 이동을 안내하는 LM수평레일이 상기 가이드홈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인출되는 상기 모헤어를 일시적으로 가압하는 가이드판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헤어장착부는,
    상기 모헤어공급부의 전단부까지 진입 이동하고, 상기 모헤어공급부를 향한 수평이동으로 상기 모헤어를 척킹하도록 톱니 형태의 제1척킹단이 구비되는 제1척킹플레이트와 상기 제1척킹플레이트와 마주하여 톱니 형태의 제2척킹단이 구비되는 제2척킹플레이트 및 상기 제1척킹플레이트의 하면으로 설치되는 제1수직플레이트와 상기 제2척킹플레이트의 하면으로 설치되는 제2수직플레이트로 구성되는 척킹모듈과,
    상기 척킹모듈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창호프레임안착레일의 하측에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된 LM레일을 따라 상기 척킹모듈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LM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LM플레이트에 의하여 상기 척킹모듈이 상기 창호프레임의 길이만큼 이동하면서 상기 척킹모듈에 의하여 척킹된 상기 모헤어가 상기 창호프레임의 상기 삽입홈을 따라 장착되는, 창호용 모헤어 장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프레임안착레일의 상측으로 실린더에 의하여 승하강 작동되어 상기 창호프레임안착레일 상에 안착된 상기 창호프레임을 가압하여 이동을 방지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창호용 모헤어 장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프레임안착레일의 일측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창호프레임의 정위치 안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위치감지센서가 더 포함되는 창호용 모헤어 장착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220110812A 2022-09-01 2022-09-01 창호용 모헤어 장착장치 KR102531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812A KR102531148B1 (ko) 2022-09-01 2022-09-01 창호용 모헤어 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812A KR102531148B1 (ko) 2022-09-01 2022-09-01 창호용 모헤어 장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1148B1 true KR102531148B1 (ko) 2023-05-10

Family

ID=86386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0812A KR102531148B1 (ko) 2022-09-01 2022-09-01 창호용 모헤어 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14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774B1 (ko) * 2003-06-18 2004-05-03 주식회사 흥성엔지니어링 양단에 경사면을 갖는 플라스틱 창틀의 모헤어 삽입장치
KR101343216B1 (ko) * 2012-11-21 2013-12-18 이대원 창호 모헤어 삽입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774B1 (ko) * 2003-06-18 2004-05-03 주식회사 흥성엔지니어링 양단에 경사면을 갖는 플라스틱 창틀의 모헤어 삽입장치
KR101343216B1 (ko) * 2012-11-21 2013-12-18 이대원 창호 모헤어 삽입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0205B2 (en) Blind and shade cutting center with movable cutting station
CN100482916C (zh) 带有柔性侧缘的卷帘装置
JPH08174094A (ja) プレス用カム型
KR102531148B1 (ko) 창호용 모헤어 장착장치
US5794328A (en) Automated window screen assembly apparatus
CN110948250B (zh) 一种冰箱顶板用自动冲压切割装置及其工作方法
KR20130128178A (ko) 자동화 채널 벤딩기의 소재 공급장치
EP0295346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mechanically assembling a venetian blind
CN213627225U (zh) 自动式升降门机构
EP0483044B1 (en) A bending machine
JP2963315B2 (ja) 工作機械用スライドカバー装置
KR102596503B1 (ko) 샤시 자동 펀칭 및 커팅시스템
JP3884154B2 (ja) 建物用シャッターのシャッターカーテン構成部材へのフック部材取付装置
CN214022971U (zh) 一种冲孔切角模具结构
CN212683036U (zh) 一种便于支撑工件的组角机
KR101610292B1 (ko) 프로파일의 펀칭 가공장치
CN219899860U (zh) 一种围墙护栏加工用冲孔装置
CN215241247U (zh) 一种顶出型吸附棉裁切设备
CN212664710U (zh) 一种手自动化一体的组角机
CN214981361U (zh) 线据切割机
KR20200073067A (ko) 스트립코일용 간지 안내장치
KR100377899B1 (ko) 스틸 도어 제작용 피어싱 머신
JP2963319B2 (ja) スライドカバーを備えた工作機械における連動機構
KR102270636B1 (ko) Pvc 창호용 보강 부재 가공장치
KR102581765B1 (ko) 문틀용 자동 타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