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108B1 - Portable water sampling apparatus which can be remote controlled - Google Patents

Portable water sampling apparatus which can be remote controll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108B1
KR102531108B1 KR1020220099756A KR20220099756A KR102531108B1 KR 102531108 B1 KR102531108 B1 KR 102531108B1 KR 1020220099756 A KR1020220099756 A KR 1020220099756A KR 20220099756 A KR20220099756 A KR 20220099756A KR 102531108 B1 KR102531108 B1 KR 102531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ump
water sampling
body housing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97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랑규
Original Assignee
(주)에코베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베이스 filed Critical (주)에코베이스
Priority to KR1020220099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10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1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80Arrangements for signal proces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02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fluids or granular materials capable of flow
    • G01K13/026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fluids or granular materials capable of flow of moving liqu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2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for flowing or falling mater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31Sampling from special places
    • G01N2001/1043Sampling from special places from sewers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 하우징과, 본체 하우징에 구비된 통신부와 측정부 및 채수부를 포함하여,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서 하수 관거의 오폐수 수위 측정과 각종 측정값 및 채수를 위한 제반 제어가 가능하고, 휴대 및 운반과 설치가 간편하며 오폐수 샘플의 채수 및 각종 측정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도록 한 원격 제어가 가능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ousing, a communication unit, a measuring unit, and a water sampling unit provided in the body housing, so that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level of wastewater in a sewage pipe from a short distance or a long distance, and to perform various controls for various measurement values and water sampling, carrying and transporting It relates to a portable automatic water sampling device that is easy to install and can be remotely controlled to automate sampling of wastewater samples and various measurement tasks.

Figure R1020220099756
Figure R1020220099756

Description

원격 제어가 가능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PORTABLE WATER SAMPLING APPARATUS WHICH CAN BE REMOTE CONTROLLED}Portable automatic water sampling device with remote control {PORTABLE WATER SAMPLING APPARATUS WHICH CAN BE REMOTE CONTROLLED}

본 발명은 원격 제어가 가능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서 하수 관거의 오폐수 수위 측정과 각종 측정값 및 채수를 위한 제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원격 제어가 가능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automatic water sampling device capable of remote control,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motely controllable portable automatic water sampling device capable of measuring the level of sewage and wastewater in a sewage pipe from a short distance or a long distance and controlling various measured values and water sampling. It's about the device.

하수 관거를 흐르는 오폐수의 온도나 전기전도도 또는 화공플랜트나 폐수처리과정에서 처리된 물질의 온도, 탁도, pH, DO, COD, TOC, TN, TP 등의 분석은 통상적으로 수작업에 의존해온 실정이었다.Analysis of the temperature or electrical conductivity of wastewater flowing through sewage pipes, or the temperature, turbidity, pH, DO, COD, TOC, TN, TP, etc. of materials treated in chemical plants or wastewater treatment processes has generally been dependent on manual work.

다시말해, 하수 관거의 오폐수나 화공플랜트 또는 폐수처리과정의 다수의 지점으로부터 작업자가 시료를 샘플링함에 따라 기상 등의 환경조건이나 작업자의 실수 등으로 인하여 샘플링한 시료가 오염되거나 변질 되는 경우가 있었다.In other words, as workers sample samples from wastewater in sewage pipes, chemical plants, or multiple points in the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the samples sampled may be contaminated or deteriorated due to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weather or operator mistakes.

이렇듯 작업자의 수작업에 따른 분석은 샘플링 주기, 장소 등이 수시로 변동되어 오차가 크며 정확한 분석이 어려웠다.As such,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manual work of the operator had a large error due to frequent changes in the sampling period and location, and it was difficult to accurately analyze the sample.

또한, 측정장치에 투입할 시료를 적정상태로 조제하기 위한 전처리 공정에서 수동으로 처리, 조작하기 때문에 오조작의 가능성이 컸고, 분석자의 주관이나 의도에 따라 분석결과가 달라질 수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sample to be put into the measuring device is manually processed and manipulated in the pretreatment process to prepare it in an appropriate stat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erroneous manipulation, and the analysis result may vary depending on the analyst's subjectivity or intention.

무엇보다도, 분석결과를 수작업으로 기록 보관하는 경우, 더욱 신뢰성이 떨어지고, 기록의 유실이나 훼손의 가능성이 컸으며, 원격지에서 감시하는 것이 더욱 불가능하였다.Above all, if the analysis results were recorded manually, the reliability was lowered, the possibility of loss or damage of the records was high, and it was more impossible to monitor from a remote location.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채수 장치는 하천, 호수, 바다 등의 오염도, 세균, 생물 등을 조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From the above point of view, the water sampling device is used to investigate contamination levels, bacteria, organisms, and the like of rivers, lakes, and seas.

따라서, 이러한 채수장치는 최근 통신기술과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기술이 발전하고 있는 측면에서 이러한 통신기기들과의 연계에 따른 원격 제어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한 것이다. Therefore, in view of the recent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echnology of portable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it is urgent to develop a device and system capable of providing the convenience of remote control according to connection with these communication devices. .

특허출원 제10-1998-0033575호Patent Application No. 10-1998-003357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서 하수 관거의 오폐수 수위 측정과 각종 측정값 및 채수를 위한 제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원격 제어가 가능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portable automatic water sampling device that can be remotely controlled to measure the level of wastewater in a sewage pipe from a short distance or a long distance, and to perform various measurements and various controls for water sampling. it is for

그리고, 본 발명은 휴대 및 운반과 설치가 간편하며 오폐수 샘플의 채수 및 각종 측정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 제어가 가능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automatic water sampling device that is easy to carry, transport, and install, and is remotely controllable to automate sampling of wastewater samples and various measurement task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하며 하수 관거에 형성된 맨홀에 배치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 구비되어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이나 서버 또는 관제 시스템과 근거리 또는 원거리 통신이 가능케 하는 시리얼포트와, 상기 시리얼포트와 별도로 구비되어 라우터와 케이블 연결 가능하며 상기 본체 하우징 주변에서 검색된 WiFi 망을 이용하여 LTE 또는 WiFi 통신이 가능케 하는 LTE포트를 포함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과 연동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이나 상기 서버 또는 상기 관제 시스템으로부터 하수 관거의 오폐수 수위를 측정 가능케 하는 수위레벨 센서를 포함하는 측정부; 및 상기 본체 하우징에 내장되어 상기 통신부와 상기 수위레벨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수위레벨 센서의 실시간 오폐수 수위의 측정값에 따라, 또는 일정 시간마다 일정량만큼 상기 하수 관거의 오폐수를 끌어올리는 채수펌프를 포함하는 채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가 가능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on-off switch body housing disposed in the manhole formed in the sewage pipe; A serial port provided in the body housing to enable short-distance or long-distance communication with a manager's portable terminal, server, or control system, and a router and cable connection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serial port, and using a WiFi network searched around the body housing A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an LTE port enabling LTE or WiFi communication; a measuring unit including a water level sensor that interworks with the communication unit to measure the level of wastewater in the sewage pipe from the portable terminal or the server or the control system; and a water sampling pump built into the body hous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water level sensor, and raising the wastewater of the sewage pipe by a predetermined amount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of the wastewater level in real time by the water level sensor or at regular intervals.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a portable automatic water sampling device capable of remote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water sampling unit comprising a.

여기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을 통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의 전원 연결 상태 및 통신 연결 상태 파악을 가능케하는 블루투스 통신을 상기 휴대용 단말과 가능케 하거나, 상기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과 상기 본체 하우징 주변의 WiFi 망 확보에 따른 상기 WiFi 통신을 가능케 하도록, 블루투스 및 WiFi을 포함하는 통신 모드의 절환 선택을 가능케 하는 통신모드 스위치와, 상기 시리얼포트에 케이블 연결되는 RS 485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RS 485 통신 모듈과 연결되는 외부 유량계와 연결하여 상기 하수 관거를 유동하는 오폐수의 유량 측정값을 상기 휴대용 단말과 상기 서버 또는 상기 관제 시스템과 공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communication un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housing, and enables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to enable grasping the power connection status and communication connection status of the main body housing through the manager's portable terminal, or A communication mode switch that enables switching and selection of communication modes including Bluetooth and WiFi to enable the WiFi communication according to securing the WiFi network around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body housing, and an RS 485 communication module connected to the serial port with a cable The communication unit is connected to an external flow meter connected to the RS 485 communication module to share the measured value of the flow rate of wastewater flowing through the sewage pipe with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server or the control system.

이때, 상기 측정부는, 상기 하수 관거의 오폐수 온도와 전기전도도를 측정가능한 온도전기전도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t this time, the measur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emperature and electrical conductivity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he temperature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wastewater of the sewage pipe.

그리고, 상기 채수부는, 상기 채수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채수펌프를 가동시키거나, 상기 채수펌프의 가동을 정지하거나, 휴대용으로 운반 가능한 상기 본체 하우징의 전원공급을 위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에 내장된 축전지를 충전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절환 가능한 작동선택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water sampling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ater sampling pump, and is built into the main body housing to operate the water sampling pump, stop the operation of the water sampling pump, or supply power to the portablely transportable main body hous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operation selection switch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to charging the storage battery.

그리고, 상기 맨홀의 내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을 받침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채수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맨홀을 거쳐 상기 하수 관거의 바닥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펌프 배관과, 상기 본체 하우징과 연결되어 상기 하수 관거의 바닥면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펌프 배관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내주면을 가진 이탈방지 보호관과, 상기 펌프 배관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수 관거에 유입되는 이물질로 인한 막힘 현상으로부터 상기 펌프 배관의 말단부와 상기 하수 관거를 유동하는 상기 오폐수의 연통을 유지시키는 채수팁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support fram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nhole to support and support the body housing, a pump pipe connected to the water collection pump and extending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wage pipe through the manhole, and the main body A separation prevention protective pipe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extending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wage pipe and hav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fac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mp pipe, and a clogging phenomenon caused by foreign substances that are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pump pipe and flow into the sewage pip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ater sampling tip module for maintain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distal end of the pump pipe and the wastewater flowing through the sewage pipe.

또한, 상기 본체 하우징의 하부측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원통 형상의 컨테이너 하우징과, 상기 컨테이너 하우징에 출입 가능하게 수납되며, 상기 채수펌프의 가동에 의하여 일정 시간마다 일정량만큼 채수된 상기 하수 관거의 오폐수를 각각 수용 가능한 복수의 채수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cylindrical container housing detachably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housing, and the wastewater of the sewage pipe, which is received in and out of the container housing, and which is collected by a predetermined amount at a predetermined time by the operation of the water collection pump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collection containers that can accommodate each.

아울러, 상기 채수팁 모듈은, 상기 펌프 배관의 말단부에 배치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말단부에 결합되는 중실 원기둥 형상의 마감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water sampling tip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il spring disposed at the distal end of the pump pipe, and a solid cylindrical closing piece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coil spring.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및 운반과 설치가 간편하며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서 하수 관거의 오폐수 수위 측정과 각종 측정값 및 채수를 위한 각종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는 특장점을 가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easy to carry, transport, and install, and has the advantage of automating various operations for measuring the level of wastewater in a sewage pipe and collecting various measured values and water sampling at a short distance or a long dista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가 가능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가 가능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가 맨홀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측단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가 가능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의 주요부인 본체 하우징과 컨테이너 하우징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
도 4는 도 2의 iv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가 가능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의 주요부인 채수펌프와 연결된 펌프 배관 말단부에 구비된 채수팁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가 가능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의 주요부인 채수펌프와 연결된 펌프 배관 말단부에 구비된 채수팁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remotely controllable portable automatic water samp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cross-sectional conceptual view showing that a remotely controllable portable automatic water sampling device is installed in a man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conceptu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main body housing and a container housing, which are main parts of a portable automatic water dispensing device capable of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part iv of FIG. 2, and shows the structure of a water sampling tip module provided at the end of a pump pipe connected to a water sampling pump, which is a main part of a portable automatic water sampling device capable of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cept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water sampling tip module provided at the end of a pump pipe connected to a water sampling pump, which is a main part of a portable automatic water sampling device capable of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complete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Thus, in some embodiments, well-known components, well-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have not been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to avoid obscur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terms used (referred to)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nd components and operations referred to as 'comprising (or includ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nd operations. .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they are defin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가 가능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First,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remotely controllable portable automatic water samp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가 가능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가 맨홀(610)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측단면 개념도이다. And, 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conceptual view showing that a remotely controllable portable automatic water sampling device is installed in a manhole 6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가 가능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의 주요부인 본체 하우징(100)과 컨테이너 하우징(440)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이다.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conceptu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main body housing 100 and a container housing 440, which are main parts of a portable automatic water dispensing device capable of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4는 도 2의 iv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가 가능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의 주요부인 채수펌프(410)와 연결된 펌프 배관(411) 말단부에 구비된 채수팁 모듈(430)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In addition,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part iv of FIG. 2, and is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pump pipe 411 connected to the water sampling pump 410,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portable automatic water sampling device capable of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water sampling tip module 430.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가 가능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의 주요부인 채수펌프(410)와 연결된 펌프 배관(411) 말단부에 구비된 채수팁 모듈(430)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water sampling tip module 430 provided at the end of a pump pipe 411 connected to a water sampling pump 410, which is a main part of a portable automatic water sampling device capable of remote contr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

참고로, 도 4 및 도 5에서 곡선으로 표시된 점선 화살표는 하수 관거(600)를 흐르는 오폐수가 채수되는 방향을 가리킨다. For reference, dotted arrows indicated as curves in FIGS. 4 and 5 indicate directions in which wastewater flowing through the sewage conduit 600 is collected.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본체 하우징(100)과 통신부(200)와 측정부(300) 및 채수부(400)를 포함하는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embodiment including a body housing 100, a communication unit 200, a measuring unit 300, and a water sampling unit 400 as shown in FIGS. 1 to 3 .

우선, 본체 하우징(100)은 온오프 스위치(110)를 구비하며 하수 관거(600)에 형성된 맨홀(610)에 배치되는 것이다. First, the body housing 100 has an on/off switch 110 and is disposed in the manhole 610 formed in the sewage conduit 600.

그리고, 통신부(200)는 본체 하우징(100)에 구비되어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910)이나 서버(920) 또는 관제 시스템(930)과 근거리 또는 원거리 통신이 가능케 하는 시리얼포트(210)와, 시리얼포트(210)와 별도로 구비되어 라우터와 케이블 연결 가능하며 본체 하우징(100) 주변에서 검색된 WiFi 망을 이용하여 LTE 또는 WiFi 통신이 가능케 하는 LTE포트(220)를 포함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200 includes a serial port 210 provided in the body housing 100 to enable short-distance or long-distance communication with the manager's portable terminal 910, server 920, or control system 930, and the serial port It is provided separately from 210 and can be connected to a router with a cable, and includes an LTE port 220 that enables LTE or WiFi communication using a WiFi network found around the body housing 100.

또한, 측정부(300)는 통신부(200)과 연동하여 휴대용 단말(910)이나 서버(920) 또는 관제 시스템(930)으로부터 하수 관거(600)의 오폐수 수위를 측정 가능케 하는 수위레벨 센서(310)를 포함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measuring unit 300 interlocks with the communication unit 200 to measure the level of wastewater in the sewage pipe 600 from the portable terminal 910 or the server 920 or the control system 930. The water level sensor 310 is to include

여기서, 수위레벨 센서(310)는 초음파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Here, the water level sensor 310 may use an ultrasonic sensor.

아울러, 채수부(400)는 본체 하우징(100)에 내장되어 통신부(200)와 수위레벨 센서(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수위레벨 센서(310)의 실시간 오폐수 수위의 측정값에 따라, 또는 일정 시간마다 일정량만큼 하수 관거(600)의 오폐수를 끌어올리는 채수펌프(410)를 포함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water sampling unit 400 is built into the body housing 10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200 and the water level sensor 310,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of the wastewater level in real time by the water level sensor 310, or It includes a water sampling pump 410 that raises the wastewater of the sewage conduit 600 by a certain amount at a certain tim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embodiments as follows.

우선, 본체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상태표시 램프(120)를 더 구비하여 전원 연결과 통신부(200)와 측정부(300) 및 채수부(400)의 가동 상태를 시각적으로 인지 가능케 할 수도 있다.First of all, a status display lamp 120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housing 100 to visually recognize power connection and operating states of the communication unit 200, measurement unit 300, and water sampling unit 400. .

한편, 통신부(200)는, 본체 하우징(100)의 일측에 구비된 통신모드 스위치(230)와, 시리얼포트(210)에 케이블 연결되는 RS 485 통신 모듈(211)을 더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mmunication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mode switch 23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housing 100 and an RS 485 communication module 211 connected to the serial port 210 with a cable.

통신모드 스위치(230)는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910)을 통하여 본체 하우징(100)의 전원 연결 상태 및 통신 연결 상태 파악을 가능케하는 블루투스 통신을 휴대용 단말(910)과 가능케 하거나,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910)과 본체 하우징(100) 주변의 WiFi 망 확보에 따른 WiFi 통신을 가능케 하도록, 블루투스 및 WiFi을 포함하는 통신 모드의 절환 선택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The communication mode switch 230 enables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910, which enables grasping the power connection state and communication connection status of the main body housing 100 through the manager's portable terminal 910, or the manager's portable terminal ( 910) and the body housing 100 to enable WiFi communication according to securing a WiFi network around the main body housing 100, enabling switching and selection of communication modes including Bluetooth and WiFi.

따라서, 통신부(200)는 RS 485 통신 모듈(211)과 연결되는 외부 유량계(500)와 연결하여 하수 관거(600)를 유동하는 오폐수의 유량 측정값을 휴대용 단말(910)과 서버(920) 또는 관제 시스템(930)과 공유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the communication unit 200 connects the external flow meter 500 connected to the RS 485 communication module 211 to transmit the flow rate measurement value of the wastewater flowing through the sewage conduit 600 to the portable terminal 910 and the server 920 or It may be shared with the control system 930.

한편, 측정부(300)는, 하수 관거(600)의 오폐수 온도와 전기전도도를 측정가능한 온도전기전도도 센서(32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measurement unit 300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and electrical conductivity sensor 320 capable of measuring the temperature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wastewater in the sewage conduit 600 .

또한, 채수부(400)는, 채수펌프(4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채수펌프(410)를 가동시키거나, 채수펌프(410)의 가동을 정지하거나, 휴대용으로 운반 가능한 본체 하우징(100)의 전원공급을 위하여 본체 하우징(100)에 내장된 축전지를 충전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절환 가능한 작동선택 스위치(이하 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water sampling unit 4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ater sampling pump 410, operates the water sampling pump 410, stops the operation of the water sampling pump 410, or provides a portable body housing 100 In order to supply power, an operation selection switch (hereinafter not shown)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charging a storage battery built into the main body housing 100 may be further provided.

여기서, 본체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축전지의 충전을 위하여 충전포트(14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Here, of course, one side of the body housing 100 may further include a charging port 140 for charging the storage battery.

다시 도 2와 함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체 하우징(100)은 맨홀(610)의 내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 프레임(700)에 의하여 받침 지지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S. 4 and 5 together with FIG. 2 , the body housing 100 may be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700 detachably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nhole 610 .

여기서, 펌프 배관(411)이 채수펌프(410)와 연결되어 맨홀(610)을 거쳐 하수 관거(600)의 바닥면측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Here, the pump pipe 411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collection pump 410 and extend toward the bottom side of the sewage pipe 600 through the manhole 610.

이때, 이탈방지 보호관(412)이 본체 하우징(100)과 연결되어 하수 관거(600)의 바닥면측을 향하여 연장된다.At this time,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ection pipe 412 is connected to the body housing 100 and extends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wage conduit 600.

이탈방지 보호관(412)은 펌프 배관(411)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내주면을 가질 수 있다.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ection pipe 412 may have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fac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mp pipe 411 .

또한, 펌프 배관(411)의 말단부에는 채수팁 모듈(430)이 구비되어 하수 관거(600)에 유입되는 이물질로 인한 막힘 현상으로부터 펌프 배관(411)의 말단부와 하수 관거(600)를 유동하는 오폐수의 연통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a water collection tip module 430 is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pump pipe 411 to prevent clogging caused by foreign substances flowing into the sewage pipe 411 and wastewater flowing between the distal end of the pump pipe 411 and the sewage pipe 600. It plays a role in maintaining the communication of

여기서, 이탈방지 보호관(412)은 하수 관거(600) 내에서 오폐수의 급속한 유량 및 유속 증가로 인하여 펌프 배관(411)이 요동하거나 유실되어 채수가 불가능하게 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코자, 펌프 배관(411)을 내부에 수용하여 채수펌프(410)가 펌프 배관(411)을 통하여 안정적인 채수를 수행할 수 있게 도움을 주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Here,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ection pipe 412 is designed to prevent the pump pipe 411 from shaking or being lost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flow rate and flow rate of wastewater in the sewage pipe 600, making it impossible to collect water in advance, the pump pipe ( 411) is accommodated inside to help the water sampling pump 410 perform stable water sampling through the pump pipe 411.

한편,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체 하우징(100)의 하부측에는 원통 형상의 컨테이너 하우징(440)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3 , a cylindrical container housing 440 may be detachably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housing 100 .

컨테이너 하우징(440)에는 복수의 채수통(450)들이 출입 가능하게 수납되며, 채수펌프(410)의 가동에 의하여 일정 시간마다 일정량만큼 채수된 하수 관거(600)의 오폐수를 각각 수용할 수 있다.In the container housing 440, a plurality of water collection containers 450 are accommodated so as to be able to come in and out, and by the operation of the water collection pump 410, wastewater from the sewage pipe 600 sampled by a certain amount every certain time can be accommodated.

이러한 채수통(450)은, 부채꼴 형상의 상면 및 하면을 가지며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채수 케이스(451)와, 채수 케이스(451)의 상면에 관통 형성되어 채수 펌프(410)로 채수된 오폐수가 유입되는 채수 유입구(452)와, 채수 케이스(451)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파지 가능한 손잡이(453)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sampling container 450 has fan-shaped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a water sampling case 451 radially disposed, and is form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ampling case 451 so that wastewater collected by the water sampling pump 410 flows in. A water sampling inlet 452 and a grippable handle 453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ampling case 451 may be included.

여기서 채수통(450)의 개수는 하루 24시간 중 일정 시간인 n 시간(n은 1 이상의 양의 정수)마다 가동되는 채수펌프(410)의 동작에 대응하여 24/n 개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Here, the number of water collection containers 450 may be 24/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water collection pump 410 operated every n hours (n is a positive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1) of 24 hours a day.

한편, 채수팁 모듈(430)은, 도 4를 참조하면, 펌프 배관(411)의 말단부에 배치되는 코일스프링(431)과, 코일스프링(431)의 말단부에 결합되는 중실 원기둥 형상의 마감편(432)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4, the water sampling tip module 430 includes a coil spring 431 disposed at the distal end of the pump pipe 411 and a solid cylindrical closing piece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coil spring 431 ( 432) may be included.

여기서, 마감편(432)은 중실체의 금속재 등으로 제작하여 무게추 역할을 수행하면서 요동없이 펌프 배관(411)이 채수할 수 있게 도움을 주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Here, the closing piece 432 is made of a solid metal material and is provided to help the pump pipe 411 to collect water without shaking while serving as a weight.

이때, 채수팁 모듈(430)은, 펌프 배관(411)의 말단부에 끼워져 코일스프링(431)의 내주면에 대하여 용접되는 외주면을 가지는 연결관(433)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the water sampling tip module 430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ipe 433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at is inserted into the distal end of the pump pipe 411 and weld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il spring 431 .

연결관(433)은 펌프 배관(411)의 말단부에 코일스프링(431)의 외주면이 끼워지더라도 코일스프링(431)의 구조적 특성상 펌프 배관(411)의 말단부로부터 쉽게 이탈해버리는 것을 감안하여 제공된 것이다.The connecting pipe 433 is provided considering that even i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il spring 431 is fitted to the distal end of the pump pipe 411, it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distal end of the pump pipe 411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oil spring 431. .

즉, 연결관(433)은 펌프 배관(411)의 말단부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펌프 배관(411)과 연통되는 내부 유로를 가지면서, 코일스프링(431)을 용접 고정하여 코일스프링(431)이 펌프 배관(41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That is, the connection pipe 433 is firmly fixed to the distal end of the pump pipe 411 by an interference fit method, has an internal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pump pipe 411, and fixes the coil spring 431 by welding to form a coil spring ( 431) is provided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pump pipe 411.

또한, 코일스프링(431)의 나선 형상을 형성하는 하나의 나선과 이웃한 나선 사이의 간격은 코일스프링(431)을 형성하는 코일 외경의 0.1 내지 1배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응용 및 변형 설계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one spiral forming the spiral shape of the coil spring 431 and the adjacent spiral is appropriately applied, deformed, designed, and manufactured within a range of 0.1 to 1 times the outer diameter of the coil forming the coil spring 431. will be available

코일스프링(431)의 구조적 특성상 도 4(b) 및 도 5(b)와 같이 코일스프링(431)의 외주면으로부터 전방향으로 오폐수가 유입되어 펌프 배관(411)측으로 이송되므로 오폐수에 혼입되는 비교적 크기가 큰 입자나 오염물질이 코일스프링(431)의 일부분을 가리더라도 코일스프링(431)의 나머지 개방된 외주면을 통하여 오폐수 유입에 지장이 없이 채수 작업을 지속할 수 있는 것이다.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oil spring 431, as shown in FIGS. 4(b) and 5(b), wastewater flows in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il spring 431 in all directions and is transferred to the pump pipe 411, so that the relatively large size mixed in the wastewater Even if large particles or contaminants cover a part of the coil spring 431, the water sampling operation can be continued through the remaining ope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il spring 431 without hindrance to the inflow of wastewater.

한편, 채수팁 모듈(430)은, 도 5와 같이 펌프 배관(411)에 구비되며, 하수 관거(600)의 수위에 맞게 펌프 배관(411)으로부터 코일스프링(431)이 노출된 길이를 증감시키는 채수가이드 수단(460)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 sampling tip module 430 is provided in the pump pipe 411 as shown in FIG. 5 and increases or decreases the exposed length of the coil spring 431 from the pump pipe 411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sewage conduit 600. Of course, a water sampling guide unit 460 may be further provided.

여기서, 채수가이드 수단(460)은, 펌프 배관(411)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코일스프링(431)의 외주면을 가리거나 노출시키도록 신축 가능한 주름관(461)을 포함할수 있다.Here, the water sampling guide means 460 may include a corrugated pipe 461 that is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pump pipe 411 and is flexible to cover or expos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il spring 431 .

이때, 채수가이드 수단(460)은, 펌프 배관(411)에 내장되어 코일스프링(431)의 선단부와 연결되고, 하수 관거(600)의 수위에 따라 코일스프링(431)의 선단부를 펌프 배관(411)의 말단부로부터 선단부측을 향하여 끌어올리거나, 코일스프링(431)의 선단부를 펌프 배관(411)의 말단부측으로 밀어내는 조작 와이어(이하 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At this time, the water sampling guide means 460 is built into the pump pipe 411 and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coil spring 431, and the front end of the coil spring 431 is connected to the pump pipe 411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sewage conduit 600. Of course, i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n operating wire (not shown) that is pulled up from the distal end toward the distal end of the coil spring 431 or pushes the distal end of the coil spring 431 toward the distal end of the pump pipe 411.

즉, 채수가이드 수단(460)은 하수 관거(600)의 수위가 낮은 경우 굳이 코일스프링(431)의 외주면이 전부 노출되게 하여 채수펌프(410)에 의한 흡입력 약화를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That is, when the water level of the sewage conduit 600 is low, the water sampling guide means 460 exposes the entir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il spring 431 to prevent weakening of the suction force by the water sampling pump 410 to some extent.

다시말해, 전술한 바와 같은 주름관(461)이나 조작 와이어에 의하여 코일스프링(431)의 노출된 외주면 면적을 줄이거나 늘리는 등의 조작에 의하여 하수 관거(600) 내부의 오폐수 수위에 맞게 대응하여 채수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In other words, by manipulation such as reducing or increasing the exposed outer circumferential area of the coil spring 431 by the corrugated pipe 461 or the manipulation wire as described above, water collection operation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wastewater inside the sewage pipe 600. will be able to proce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서 하수 관거의 오폐수 수위 측정과 각종 측정값 및 채수를 위한 제반 제어가 가능하고, 휴대 및 운반과 설치가 간편하며 오폐수 샘플의 채수 및 각종 측정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 제어가 가능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measure the level of wastewater in a sewage pipe at a short distance or a long distance, and perform various controls for various measured values and water sampling, and is easy to carry, transport, and install, and can automate water sampling and various measurement tasks of wastewater samples. It can be seen that the basic technical idea is to provide a portable automatic water dispensing device capable of being remotely controlled.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And, of course, many other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본체 하우징
110...온오프 스위치
120...상태표시 램프
140...충전포트
150...안테나
200...통신부
210...시리얼포트
211...RS 485 통신 모듈
220...LTE포트
230...통신모드 스위치
300...측정부
310...수위레벨 센서
320...온도전기전도도 센서
400...채수부
410...채수펌프
411...펌프 배관
412...이탈방지 보호관
430...채수팁 모듈
431...코일스프링
432...마감편
440...컨테이너 하우징
450...채수통
451...채수 케이스
452...채수 유입구
453...손잡이
460...채수가이드 수단
461...주름관
500...외부 유량계
600...하수 관거
610...맨홀
700...지지 프레임
800...네트워크
910...휴대용 단말
920...서버
930...관제 시스템
100...body housing
110 ... on-off switch
120 ... status display lamp
140 ... charging port
150 ... antenna
200...Ministry of Communications
210 ... serial port
211...RS 485 communication module
220...LTE port
230 ... communication mode switch
300 ... measuring part
310 ... water level sensor
320 ... temperature and electrical conductivity sensor
400 ... collection part
410 ... Water Sampling Pump
411...Pump Tubing
412... escape protection tube
430 ... sampling tip module
431... coil spring
432...Closing
440 ... container housing
450 ... water tank
451 ... water sampling case
452 ... water inlet
453 ... handle
460 ... water sampling guide means
461... corrugated pipe
500...external flow meter
600...sewer pipe
610...manhole
700... support frame
800...network
910...portable terminal
920... server
930 ... control system

Claims (7)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하며 하수 관거에 형성된 맨홀에 배치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 구비되어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이나 서버 또는 관제 시스템과 근거리 또는 원거리 통신이 가능케 하는 시리얼포트와, 상기 시리얼포트와 별도로 구비되어 라우터와 케이블 연결 가능하며 상기 본체 하우징 주변에서 검색된 WiFi 망을 이용하여 LTE 또는 WiFi 통신이 가능케 하는 LTE포트를 포함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과 연동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이나 상기 서버 또는 상기 관제 시스템으로부터 하수 관거의 오폐수 수위를 측정 가능케 하는 수위레벨 센서를 포함하는 측정부;
상기 본체 하우징에 내장되어 상기 통신부와 상기 수위레벨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수위레벨 센서의 실시간 오폐수 수위의 측정값에 따라, 또는 일정 시간마다 일정량만큼 상기 하수 관거의 오폐수를 끌어올리는 채수펌프를 포함하는 채수부;
상기 맨홀의 내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을 받침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채수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맨홀을 거쳐 상기 하수 관거의 바닥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펌프 배관;
상기 본체 하우징과 연결되어 상기 하수 관거의 바닥면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펌프 배관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내주면을 가진 이탈방지 보호관; 및
상기 펌프 배관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수 관거에 유입되는 이물질로 인한 막힘 현상으로부터 상기 펌프 배관의 말단부와 상기 하수 관거를 유동하는 상기 오폐수의 연통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상기 펌프 배관의 말단부에 배치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말단부에 결합되는 중실 원기둥 형상의 마감편과, 상기 펌프 배관의 말단부에 끼워져 상기 코일스프링의 내주면에 대하여 용접되는 외주면을 가지는 연결관과, 상기 펌프 배관에 구비되어 상기 하수 관거의 수위에 맞게 상기 펌프 배관으로부터 상기 코일스프링이 노출된 길이를 증감시키는 채수가이드 수단을 포함하는 채수팁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채수가이드 수단은,
상기 펌프 배관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의 외주면을 가리거나 노출시키도록 신축 가능한 주름관과,
상기 펌프 배관에 내장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의 선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하수 관거의 수위에 따라 상기 코일스프링의 선단부를 상기 펌프 배관의 말단부로부터 선단부측을 향하여 끌어올리거나, 상기 코일스프링의 선단부를 상기 펌프 배관의 말단부측으로 밀어내는 조작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나선 형상을 형성하는 하나의 나선과 이웃한 나선 사이의 간격은 상기 코일스프링을 형성하는 코일 외경의 0.1 내지 1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가 가능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
A body housing having an on/off switch and disposed in a manhole formed in a sewage pipe;
A serial port provided in the body housing to enable short-distance or long-distance communication with a manager's portable terminal, server, or control system, and a router and cable connection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serial port, and using a WiFi network searched around the body housing A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an LTE port enabling LTE or WiFi communication;
a measuring unit including a water level sensor that interworks with the communication unit to measure the level of wastewater in the sewage pipe from the portable terminal or the server or the control system;
A water sampling pump built into the body hous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water level sensor, and raising the wastewater of the sewage pipe by a predetermined amount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of the wastewater level in real time by the water level sensor or at regular intervals. Sampling unit containing;
A support fram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nhole to support and support the body housing;
A pump pipe connected to the water collection pump and extending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wage pipe through the manhole;
It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housing and extends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wage conduit, and has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fac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mp pipe; and
It is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pump pipe to maintain communication between the distal end of the pump pipe and the wastewater flowing through the sewage pipe from clogging caused by foreign substances flowing into the sewage pipe, and a coil disposed at the end of the pump pipe. A spring, a solid cylindrical closing piece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coil spring, a connection pipe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eld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il spring by being inserted into the distal end of the pump pipe, and provided in the pump pipe to drain the sewage A water sampling tip module including a water sampling guide means for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length of the coil spring exposed from the pump pipe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conduit,
The water sampling guide means,
A corrugated pipe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pump pipe and extensible to cover or expos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il spring;
It is embedded in the pump pipe and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coil spring, and the front end of the coil spring is raised from the distal end of the pump pipe toward the front en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sewage pipe, or the front end of the coil spring is pulled up toward the front end of the pump pipe. Including an operating wire that is pushed toward the distal end of the pipe,
A remotely controllable portable automatic water samp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between one spiral and the adjacent spiral forming the spiral shape of the coil spring is 0.1 to 1 times the outer diameter of the coil forming the coil spr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을 통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의 전원 연결 상태 및 통신 연결 상태 파악을 가능케하는 블루투스 통신을 상기 휴대용 단말과 가능케 하거나, 상기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과 상기 본체 하우징 주변의 WiFi 망 확보에 따른 상기 WiFi 통신을 가능케 하도록, 블루투스 및 WiFi을 포함하는 통신 모드의 절환 선택을 가능케 하는 통신모드 스위치와,
상기 시리얼포트에 케이블 연결되는 RS 485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RS 485 통신 모듈과 연결되는 외부 유량계와 연결하여 상기 하수 관거를 유동하는 오폐수의 유량 측정값을 상기 휴대용 단말과 상기 서버 또는 상기 관제 시스템과 공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가 가능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mmunication department,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housing, and enables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that enables grasping the power connection state and communication connection state of the main body housing through the manager's portable terminal, or the manager's portable terminal and the main body housing. A communication mode switch that enables switching and selection of communication modes including Bluetooth and WiFi to enable the WiFi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securing of a neighboring WiFi network;
Further comprising an RS 485 communication module connected to the serial port by a cable,
The communication unit is connected to an external flow meter connected to the RS 485 communication module to share the measured value of the flow rate of wastewater flowing through the sewage pipe with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server or the control system. water sampling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하수 관거의 오폐수 온도와 전기전도도를 측정가능한 온도전기전도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가 가능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easuring unit,
A portable automatic water sampling device capable of remote control, further comprising a temperature and electrical conductivity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he temperature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wastewater in the sewage pip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채수부는,
상기 채수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채수펌프를 가동시키거나, 상기 채수펌프의 가동을 정지하거나, 휴대용으로 운반 가능한 상기 본체 하우징의 전원공급을 위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에 내장된 축전지를 충전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절환 가능한 작동선택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가 가능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llection part,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ater sampling pump, and it is optional to charge the storage battery built in the main body housing in order to operate the water sampling pump, stop the operation of the water sampling pump, or supply power to the main body housing that can be transported in a portable manner. A portable automatic water dispensing device capable of remote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operation selection switch that can be switched to.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의 하부측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원통 형상의 컨테이너 하우징과,
상기 컨테이너 하우징에 출입 가능하게 수납되며, 상기 채수펌프의 가동에 의하여 일정 시간마다 일정량만큼 채수된 상기 하수 관거의 오폐수를 각각 수용 가능한 복수의 채수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가 가능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cylindrical container housing detachably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housing;
A remote controllable portab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water collection bin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housing so as to be able to come in and out and accommodating the sewage wastewater of the sewage pipe collected by a certain amount at a certain time every certain amount by the operation of the water collection pump. automatic water dispenser.
삭제delete
KR1020220099756A 2022-08-10 2022-08-10 Portable water sampling apparatus which can be remote controlled KR1025311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756A KR102531108B1 (en) 2022-08-10 2022-08-10 Portable water sampling apparatus which can be remote controll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756A KR102531108B1 (en) 2022-08-10 2022-08-10 Portable water sampling apparatus which can be remote controlle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1108B1 true KR102531108B1 (en) 2023-05-10

Family

ID=86386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9756A KR102531108B1 (en) 2022-08-10 2022-08-10 Portable water sampling apparatus which can be remote controll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108B1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575A (en) 1998-04-27 1998-07-25 유형재 How to make fish dried food
KR101328026B1 (en) * 2013-02-06 2013-11-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quatic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using the profiling technology according to water depth and aquatic environment monitoring method
KR101571755B1 (en) * 2015-05-29 2015-11-25 (주)지산종합기술 Portable water sampling apparatus with cleaning function
KR101776163B1 (en) * 2017-02-21 2017-09-08 화인시스템(주) Apparatus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pump interworking with remote control unit for water treatment system and wireless device
KR102037720B1 (en) * 2019-05-21 2019-11-26 에스텍아이앤씨(주) Intelligent pump control device
KR102122492B1 (en) * 2019-06-26 2020-06-1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Automatic mobile lab
KR102211839B1 (en) * 2020-08-24 2021-02-03 (주)청담이엠텍 Auto water sampler apparatus
KR102274262B1 (en) * 2021-02-03 2021-07-07 더본테크 주식회사 System for sample collection of selective filtering based on flexibility
KR102274895B1 (en) * 2021-01-12 2021-07-08 주식회사 에코베이스 System for sampling of water based on pump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575A (en) 1998-04-27 1998-07-25 유형재 How to make fish dried food
KR101328026B1 (en) * 2013-02-06 2013-11-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quatic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using the profiling technology according to water depth and aquatic environment monitoring method
KR101571755B1 (en) * 2015-05-29 2015-11-25 (주)지산종합기술 Portable water sampling apparatus with cleaning function
KR101776163B1 (en) * 2017-02-21 2017-09-08 화인시스템(주) Apparatus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pump interworking with remote control unit for water treatment system and wireless device
KR102037720B1 (en) * 2019-05-21 2019-11-26 에스텍아이앤씨(주) Intelligent pump control device
KR102122492B1 (en) * 2019-06-26 2020-06-1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Automatic mobile lab
KR102211839B1 (en) * 2020-08-24 2021-02-03 (주)청담이엠텍 Auto water sampler apparatus
KR102274895B1 (en) * 2021-01-12 2021-07-08 주식회사 에코베이스 System for sampling of water based on pump information
KR102274262B1 (en) * 2021-02-03 2021-07-07 더본테크 주식회사 System for sample collection of selective filtering based on flexibil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73251A2 (en) Autonomous and remote-controlled multi-parametric buoy for multi-depth water sampling, monitoring, data collection, transmission, and analysis
CN102498405A (en) Analysis device for the automated determination of a measured variable of a fluid sample
CN205352770U (en) Water sample automatic acquisition controlling means suitable for buoy uses
CN110763518A (en) Portable in-situ water body micro-plastic grading sampl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CN105044370A (en) Unattended heavy metal sewage monitoring device
KR102531108B1 (en) Portable water sampling apparatus which can be remote controlled
KR20210125020A (en) Systems for monitoring water quality
CN111656185B (en) Device for detecting the quality of a liquid in a supply pipe
KR102531107B1 (en) Portable water sampling apparatus which be able to act with respect to rapid water level changes
US20210341450A1 (en) Chemical sensor devices and methods for detecting chemicals in flow conduits, pools and other systems and materials used to harness, direct, control and store fluids
RU2507156C1 (en) System for control of water discharges from objects of industrial and household purposes, method of controlling water discharges and robot-sampler for method realisation
CN205691168U (en) Runoff plots silt automatic monitoring system
CN110579374A (en) Water fullness prompting sampling device and method for underwater depth-fixed sampling
CN208239423U (en) Nobody a kind of water sample automatic monitoring system peculiar to vessel
JP2010189873A (en) Water sampler
JP2010190625A (en) Water sampler
US6378362B1 (en) In-situ Vadose zone remote sensor
JP5016864B2 (en) Water quality inspection device for sewage tanks
CN207164038U (en) One kind is easy to COD multiparameter water quality analyzer carrying devices
CN207717430U (en) A kind of outer water quality monitoring sampler of household portable
CN110641629A (en) Automatic detection unmanned ship for black and odorous surface water body
KR20230055462A (en) Sampling device for water quality analysis
KR101953551B1 (en) Portable Small Water Sampler
CN211553391U (en) Portable sewage collection system for detecting environmental pollution
CN210572257U (en) Water quality monitoring device and system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