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945B1 - 프로파일용 비노출형 연결구 - Google Patents

프로파일용 비노출형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945B1
KR102530945B1 KR1020210050376A KR20210050376A KR102530945B1 KR 102530945 B1 KR102530945 B1 KR 102530945B1 KR 1020210050376 A KR1020210050376 A KR 1020210050376A KR 20210050376 A KR20210050376 A KR 20210050376A KR 102530945 B1 KR102530945 B1 KR 102530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groove
hole
shape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4120A (ko
Inventor
배동인
배온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광테크
주식회사 와이케이신터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광테크, 주식회사 와이케이신터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광테크
Priority to KR1020210050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945B1/ko
Publication of KR20220144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7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with sliding nuts or other additional connecting members for joining profiles provided with grooves o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5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in channels, e.g. sliding bolts, channel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파일용 비노출형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요홈, 걸림턱 및 중앙공이 각각 형성되는 수평프로파일 및 수직프로파일을 상호 수직되게 고정하기 위한 프로파일용 비노출형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로파일의 요홈 상에 삽입됨과 아울러 걸림턱에 의해 요홈 상에서의 이탈이 방지되는 지지대가 구비되며, 지지대의 내측에는 요홈의 수직으로 관통됨과 아울러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속공이 형성되는 결속구와, 상기 결속구의 상부에 단부의 형상이 수직프로파일의 요홈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적층 구비되며, 수직프로파일의 요홈 상에 삽입됨과 아울러 걸림턱에 의해 요홈 상에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비되고, 상부 내측에는 장공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하측으로 관통되는 슬라이딩공이 형성되며, 전방 양측에는 각각 후방측으로 단턱지게 내입되는 제1단턱부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경사면을 갖는 슬라이딩구와, 상기 슬라이딩구의 상부에 단부의 형상이 수직프로파일의 요홈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적층 구비되며, 수직프로파일의 요홈 상에 삽입됨과 아울러 걸림턱에 의해 요홈 상에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비되고, 상부 내측에는 하측으로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전방 양측에는 각각 후방측으로 단턱지게 내입되는 제2단턱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1경사면과 대응되게 후방에서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경사면을 갖는 압착구와, 상기 압착구의 상부에 나사산으로 형성된 몸체 및 헤드를 갖는 볼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몸체가 관통공 및 슬라이딩공을 관통하여 결속공과 나사산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구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프로파일용 비노출형 연결구{Connector of non-exposed type for profile}
본 발명은 프로파일용 비노출형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량으로 양산되는 프로파일에 타공 작업을 하지 않고 2개의 프로파일들을 상호 수직으로 연결 고정함에 있어, 연결 부위마다 하나의 체결구만을 조작하여 용이하게 프로파일들을 빠른 시간 내에 연결 및 고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프로파일들이 상호 수직으로 연결 고정됨에 있어 프로파일의 외부로 연결구가 노출되지 않아 연결구의 노출로 인한 사용자의 안전사고가 방지될 뿐만 아니라 연결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 프로파일들이 연결 고정된 부위의 외관 또한 미려한 프로파일용 비노출형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알루미늄 프로파일은 경량이면서 강도가 높고 다양한 형태와 규격으로 표준화되어 경하중의 선반은 물론 중하중의 기계장치 프레임에 이르기까지 활용도가 높다.
따라서, 상기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활용하여 여러 분야에서 물품 적재 선반용 프레임이나 기타 다양한 종류의 프레임을 형성하고 있으며, 산업현장에서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각종의 자동화 설비의 구조물 또는 산업용 기구 등을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알루미늄 프로파일은 산업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각종의 자동화 설비를 제작하기 위한 구조물인 반도체 장비 제작, 산업용 가구 등을 제작할 때도 사용되는 것으로 사용용도는 어느 특정 부위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일례로 반도체 제작 설비 등의 클린룸의 프레임(골격)을 형성하기 위해서도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주로 활용한다.
이에, 상기와 같은 다양한 사이즈 및 형태를 갖는 각종 자동화 설비의 구조물, 산업용 기구, 클린룸용 프레임(골격) 등을 만들기 위해 알루미늄 프로파일이 조립식으로 제작되고 있다.
이때, 상기 알루미늄 프로파일로 상기한 바와 같은 각종 프레임을 형성하려면 각 프로파일이 직각으로 교차하는 코너 부분에 브라켓을 대고, 프로파일에 형성된 볼트 헤드홈에는 볼트의 헤드를 삽입한 상태에서 브라켓에 형성된 볼트홀에 상기 볼트가 삽입되도독 한 다음, 브라켓의 볼트홀 위에서 너트를 체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기존에는 브라켓의 볼트홀에 볼트를 먼저 끼우고 볼트에 너트를 결합하여 약간 조여주는 볼트의 가조립을 미리 한 상태에서 프로파일의 끝단(단부)에서부터 볼트 헤드홀에 볼트의 헤드를 밀어넣고, 두 개의 직각으로 교차하는 프로파일에 기역자 형상의 브라켓의 밑면이 맞닿은 상태에서 볼트에 가결합되어 있는 너트를 완전히 조여 직각으로 교차한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서로 연결하여야 하므로, 프로파일을 브라켓으로 연결하는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프로파일용 비노출형 연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1. 등록특허공보 제10-1278856호 2. 등록특허공보 제10-1770767호 3.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0886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대량으로 양산되는 프로파일들을 상호 수직으로 연결 고정함에 있어, 연결 부위마다 하나의 체결구만을 조작하여 용이하게 프로파일들을 빠른 시간 내에 상호 수직으로 연결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프로파일들이 수직으로 연결 고정된 부위가 프로파일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프로파일용 비노출형 연결구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요홈, 걸림턱 및 중앙공이 각각 형성되는 수평프로파일 및 수직프로파일을 상호 수직되게 고정하기 위한 프로파일용 비노출형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로파일의 요홈 상에 삽입됨과 아울러 걸림턱에 의해 요홈 상에서의 이탈이 방지되는 지지대가 구비되며, 지지대의 내측에는 요홈의 수직으로 관통됨과 아울러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속공이 형성되는 결속구와, 상기 결속구의 상부에 단부의 형상이 수직프로파일의 요홈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적층 구비되며, 수직프로파일의 요홈 상에 삽입됨과 아울러 걸림턱에 의해 요홈 상에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비되고, 상부 내측에는 장공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하측으로 관통되는 슬라이딩공이 형성되며, 전방 양측에는 각각 후방측으로 단턱지게 내입되는 제1단턱부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경사면을 갖는 슬라이딩구와, 상기 슬라이딩구의 상부에 단부의 형상이 수직프로파일의 요홈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적층 구비되며, 수직프로파일의 요홈 상에 삽입됨과 아울러 걸림턱에 의해 요홈 상에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비되고, 상부 내측에는 하측으로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전방 양측에는 각각 후방측으로 단턱지게 내입되는 제2단턱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1경사면과 대응되게 후방에서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경사면을 갖는 압착구와, 상기 압착구의 상부에 나사산으로 형성된 몸체 및 헤드를 갖는 볼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몸체가 관통공 및 슬라이딩공을 관통하여 결속공과 나사산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구로 이루어지는 프로파일용 비노출형 연결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로파일용 비노출형 연결구는 대량으로 양산되는 프로파일들을 상호 수직으로 연결 고정함에 있어, 하나의 체결구만을 조작하여 용이하게 프로파일들을 빠른 시간 내에 연결 및 고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프로파일들이 수직으로 연결 고정된 부위가 프로파일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사용자의 안전사고가 방지될 뿐만 아니라 프로파일들이 연결 고정된 부위의 외관 또한 미려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로파일용 비노출형 연결구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프로파일용 비노출형 연결구의 개략 측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프로파일용 비노출형 연결구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결속구가 회전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프로파일용 비노출형 연결구는 요홈(1)(2), 걸림턱(3)(4) 및 중앙공(5)(6)이 각각 형성되는 수평프로파일(7) 및 수직프로파일(8)을 상호 수직되게 고정하기 위한 프로파일용 비노출형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로파일(7)의 요홈(1) 상에 삽입됨과 아울러 걸림턱(3)에 의해 요홈(1) 상에서의 이탈이 방지되는 지지대(10)가 구비되며, 지지대(10)의 내측에는 요홈(1)의 수직으로 관통됨과 아울러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속공(12)이 형성되는 결속구(14)와, 상기 결속구(14)의 상부에 단부의 형상이 수직프로파일(8)의 요홈(2)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적층 구비되며, 수직프로파일(8)의 요홈(2) 상에 삽입됨과 아울러 걸림턱(4)에 의해 요홈(2) 상에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비되고, 상부 내측에는 장공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하측으로 관통되는 슬라이딩공(16)이 형성되며, 전방 양측에는 각각 후방측으로 단턱지게 내입되는 제1단턱부(18)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경사면(20)을 갖는 슬라이딩구(22)와, 상기 슬라이딩구(22)의 상부에 단부의 형상이 수직프로파일(8)의 요홈(2)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적층 구비되며, 수직프로파일(8)의 요홈(2) 상에 삽입됨과 아울러 걸림턱(4)에 의해 요홈(2) 상에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비되고, 상부 내측에는 하측으로 관통되는 관통공(24)이 형성되며, 전방 양측에는 각각 후방측으로 단턱지게 내입되는 제2단턱부(26)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1경사면(20)과 대응되게 후방에서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경사면(28)을 갖는 압착구(30)와, 상기 압착구(30)의 상부에 나사산으로 형성된 몸체(32) 및 헤드(34)를 갖는 볼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몸체가 관통공(24) 및 슬라이딩공(16)을 관통하여 결속공(12)과 나사산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구(36)로 이루어진다.
먼저, 요홈(1)(2), 걸림턱(3)(4) 및 중앙공(5)(6)이 각각 형성되는 수평프로파일(7) 및 수직프로파일(8)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수평프로파일(7) 및 수직프로파일(8)은 대량으로 양산되는 알루미늄 재질의 프로파일들을 지칭하는 것으로 그 형태는 용이하게 응용 가능한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프로파일(7) 및 수직프로파일(8)에 형성되는 각각의 요홈(1)(2), 걸림턱(3)(4) 및 중앙공(5)(6)의 형태, 위치, 수량 또한 응용 가능한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하여 실시 가능한 것이다.
상기 수평프로파일(7)의 요홈(1) 상에 삽입됨과 아울러 걸림턱(3)에 의해 요홈(1) 상에서의 이탈이 방지되는 지지대(10)가 구비되며, 지지대(10)의 내측에는 요홈(1)의 수직으로 관통됨과 아울러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속공(12)이 형성되는 결속구(1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결속구(14)의 지지대(10) 상부 내측에는 수평프로파일(7)의 걸림턱(3) 사이로 연장 돌출되는 가이드돌기(38)가 형성되며, 결속구(14)의 지지대(10) 및 가이드돌기(38)의 외측 상에는 각각 도 4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상호 대각선 방향으로 돌출되는 회전방지돌기(44)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38)로 인해 사용자가 걸림턱(3) 사이로 가이드돌기(38)를 파지한 후 결속구(14)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속구(14) 상에 형성되는 회전방지돌기(44)로 인해 도 7에서와 같이 결속구(14)의 방향에 따라 수평프로파일(7)의 요홈(1) 상에서 결속구(14)의 이동이 용이함과 아울러 결속구(14)와 후술되는 체결구(36)가 결합될 시에는 결속구(14)가 일정 범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어 결속구(14)와 체결구(36)의 결합이 용이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결속구(14)의 가이드돌기(38) 상부에는 도 6에서와 같이 자력을 갖는 자력패드(56)가 구비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며, 이로 인해 후술되는 슬라이딩구(22)가 자력에 반응하는 금속재로 형성될 시에 용이하게 결속구(14)와 슬라이딩구(22)가 자력패드(56)의 자력에 의해 그 위치가 자동으로 맞춰짐으로 사용자가 정밀하게 결속구(14)의 위치를 조절하지 않아도 됨으로 조립 작업이 원활해지는 것이다.
상기 결속구(14)의 상부에 단부의 형상이 수직프로파일(8)의 요홈(2)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적층 구비되며, 수직프로파일(8)의 요홈(2) 상에 삽입됨과 아울러 걸림턱(4)에 의해 요홈(2) 상에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비되고, 상부 내측에는 장공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하측으로 관통되는 슬라이딩공(16)이 형성되며, 전방 양측에는 각각 후방측으로 단턱지게 내입되는 제1단턱부(18)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경사면(20)을 갖는 슬라이딩구(2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구(22)의 제1단턱부(18) 사이에는 수직프로파일(8)의 걸림턱(4) 사이로 돌출되는 제1가이드돌기(40)가 형성됨으로써, 슬라이딩구(22)가 수직프로파일(8) 상에서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함과 아울러 수직프로파일(8)의 걸림턱(4) 사이로 사용자가 슬라이딩구(22)를 파지하여 이동시키기 용이한 것이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구(22) 상에 형성되는 슬라이딩공(16) 및 제1경사면(20)은 후술되는 체결구(36)가 결속구(14)와 나사산에 의해 결합될 시에 슬라이딩구(22)가 수직프로파일(8)의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수직프로파일(8) 상에 밀착 고정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이로 인해 수평프로파일(7)과 수직프로파일(8)이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구(22)의 제1단턱부(18) 상에는 도 6에서와 같이 미끄럼을 방지하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패드(46)가 구비되어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구(22)의 하부에는 가이드돌기(38) 상에 구비되는 자력패드(56)와 서로 끌어당기는 자력을 갖는 자력패드(58)가 도 6에서와 같이 구비되어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딩구(22)의 상부에 단부의 형상이 수직프로파일(8)의 요홈(2)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적층 구비되며, 수직프로파일(8)의 요홈(2) 상에 삽입됨과 아울러 걸림턱(4)에 의해 요홈(2) 상에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비되고, 상부 내측에는 하측으로 관통되는 관통공(24)이 형성되며, 전방 양측에는 각각 후방측으로 단턱지게 내입되는 제2단턱부(26)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1경사면(20)과 대응되게 후방에서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경사면(28)을 갖는 압착구(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단턱부(28) 사이에는 수직프로파일(8)의 걸림턱(4) 사이로 돌출되는 제2가이드돌기(42)가 형성됨으로써, 압착구(30)가 수직프로파일(8) 상에서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함과 아울러 수직프로파일(8)의 걸림턱(4) 사이로 사용자가 압착구(30)를 파지하여 이동시키기 용이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압착구(30)의 후방에는 도 6에서와 같이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패드(48)가 구비되어 압착구(30)가 수직프로파일(8) 상에 밀착 고정될 시에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제1경사면(20) 상에는 양측으로 이격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슬라이딩돌기(52)가 형성되며, 제2경사면(28) 상에는 양측으로 이격되어 내입됨과 아울러 전후방이 개방 형성되고, 슬라이딩돌기(52)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내입되는 슬라이딩홈(54)이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며, 이로 인해 슬라이딩구(22)와 압착구(30)의 비틀림이 방지됨과 아울러 안정적인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해짐으로 슬라이딩구(22)와 압착구(30)가 수직프로파일(8)에 닿는 면적이 최대화되어 수평프로파일(7)과 수직프로파일(8)의 안정적인 결합 및 고정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상기 압착구(30)의 상부에 나사산으로 형성된 몸체(32) 및 헤드(34)를 갖는 볼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몸체(32)가 관통공(24) 및 슬라이딩공(16)을 관통하여 결속공(12)과 나사산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구(3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체결구(36)의 몸체(32)가 관통공(24) 및 슬라이딩공(16)을 관통하여 결속공(12)과 나사산에 의해 체결될 시에 체결 정도에 따라 슬라이딩구(22)와 결속구(14), 압착구(30), 체결구(36)가 상호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이로 인해 결속구(14)의 지지대(10) 상부면이 수평프로파일(7)의 걸림턱(3) 상에 밀착 고정됨과 아울러 슬라이딩구(22)의 제1단턱부(18) 및 압착구(30)의 전방측이 수직프로파일(8)의 요홈(2) 및 걸림턱(4)에 밀착 고정됨으로 수평프로파일(7) 및 수직프로파일(8)이 상호 수직으로 연결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체결구(36)는 육각구멍붙이 볼트, 접시머리볼트, 육각구멍붙이 멈춤나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사용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36)의 헤드(34) 하부에는 내측이 몸체(32)에 축 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수직으로 탄성력을 갖는 풀림방지구(50)가 구비되어 체결구(36)와 결속구(12)의 나사산 체결이 헐거워짐을 방지함이 바람직한 것이며, 풀림방지구(50)는 도 5에서와 같은 코일스프링 형태 또는 미도시된 판스프링 형태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구(22)의 제1단턱부(18) 및 압착구(30)의 후방에는 도 4 내지 도 5에서 같이 각각 상호 이격되어 다수개가 돌출되는 제1돌기(60) 및 제2돌기(62)가 형성되어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며, 제1돌기(60) 및 제2돌기(62)가 형성될 시에는 패드(46)(48)가 구비되지 않음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로파일용 비노출형 연결구는 대량으로 양산되는 프로파일들인 수평프로파일(7) 및 수직프로파일(8)을 상호 수직으로 연결 고정함에 있어, 하나의 체결구(36)만을 조작하여 용이하게 수평프로파일(7) 및 수직프로파일(8)을 빠른 시간 내에 연결 및 고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수평프로파일(7) 및 수직프로파일(8)이 수직으로 연결 고정된 부위가 수평프로파일(7) 및 수직프로파일(8)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사용자의 안전사고가 방지될 뿐만 아니라 수평프로파일(7) 및 수직프로파일(8)이 연결 고정된 부위의 외관 또한 미려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1, 2 : 요홈 3, 4 : 걸림턱
5, 6 : 중앙공 7 : 수평프로파일
8 : 수직프로파일 10 : 지지대
12 : 결속공 14 : 결속구
16 : 슬라이딩공 18 : 제1단턱부
20 : 제1경사면 22 : 슬라이딩구
24 : 관통공 26 : 제2단턱부
28 : 제2경사면 30 : 압착구
32 : 몸체 34 : 헤드
36 : 체결구 38 : 가이드돌기
40 : 제1가이드돌기 42 : 제2가이드돌기
44 : 회전방지돌기 46, 48 : 패드
50 : 풀림방지구 52 : 슬라이딩돌기
54 : 슬라이딩홈 56, 58 : 자력패드
60 : 제1돌기 62 : 제2돌기

Claims (5)

  1. 요홈(1)(2), 걸림턱(3)(4) 및 중앙공(5)(6)이 각각 형성되는 수평프로파일(7) 및 수직프로파일(8)을 상호 수직되게 고정하기 위한 프로파일용 비노출형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로파일(7)의 요홈(1) 상에 삽입됨과 아울러 걸림턱(3)에 의해 요홈(1) 상에서의 이탈이 방지되는 지지대(10)가 구비되며, 지지대(10)의 내측에는 요홈(1)의 수직으로 관통됨과 아울러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속공(12)이 형성되는 결속구(14);
    상기 결속구(14)의 상부에 단부의 형상이 수직프로파일(8)의 요홈(2)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적층 구비되며, 수직프로파일(8)의 요홈(2) 상에 삽입됨과 아울러 걸림턱(4)에 의해 요홈(2) 상에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비되고, 상부 내측에는 장공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하측으로 관통되는 슬라이딩공(16)이 형성되며, 전방 양측에는 각각 후방측으로 단턱지게 내입되는 제1단턱부(18)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경사면(20)을 갖는 슬라이딩구(22);
    상기 슬라이딩구(22)의 상부에 단부의 형상이 수직프로파일(8)의 요홈(2)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적층 구비되며, 수직프로파일(8)의 요홈(2) 상에 삽입됨과 아울러 걸림턱(4)에 의해 요홈(2) 상에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비되고, 상부 내측에는 하측으로 관통되는 관통공(24)이 형성되며, 전방 양측에는 각각 후방측으로 단턱지게 내입되는 제2단턱부(26)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1경사면(20)과 대응되게 후방에서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경사면(28)을 갖는 압착구(30);
    상기 압착구(30)의 상부에 나사산으로 형성된 몸체(32) 및 헤드(34)를 갖는 볼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몸체(32)가 관통공(24) 및 슬라이딩공(16)을 관통하여 결속공(12)과 나사산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구(36);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용 비노출형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14)의 지지대(10) 상부 내측에는 수평프로파일(7)의 걸림턱(3) 사이로 연장 돌출되는 가이드돌기(38)가 형성되며, 제1단턱부(18) 및 제2단턱부(28) 사이에는 각각 수직프로파일(8)의 걸림턱(4) 사이로 돌출되는 제1가이드돌기(40) 및 제2가이드돌기(42)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용 비노출형 연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14)의 지지대(10) 및 가이드돌기(38)의 외측 상에는 각각 상호 대각선 방향으로 돌출되는 회전방지돌기(44)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용 비노출형 연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구(22)의 제1단턱부(18) 및 압착구(30)의 후방에는 각각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패드(46)(48)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용 비노출형 연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36)의 헤드(34) 하부에는 내측이 몸체(32)에 축 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수직으로 탄성력을 갖는 풀림방지구(50)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용 비노출형 연결구.
KR1020210050376A 2021-04-19 2021-04-19 프로파일용 비노출형 연결구 KR102530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376A KR102530945B1 (ko) 2021-04-19 2021-04-19 프로파일용 비노출형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376A KR102530945B1 (ko) 2021-04-19 2021-04-19 프로파일용 비노출형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120A KR20220144120A (ko) 2022-10-26
KR102530945B1 true KR102530945B1 (ko) 2023-05-10

Family

ID=83784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376A KR102530945B1 (ko) 2021-04-19 2021-04-19 프로파일용 비노출형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094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856B1 (ko) 2012-03-31 2013-07-05 정재은 체결 및 해체가 용이한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 구조
KR101770767B1 (ko) 2016-06-02 2017-08-23 오용진 프로파일 연결 브라켓 구조
KR20200008865A (ko) 2018-07-17 2020-01-29 박태열 무타공 프로파일 연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120A (ko) 202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35384B1 (en) A connector assembly
US10429002B2 (en) Top-loading mounting track for receiving a mount assembly
US7540472B2 (en) Rail and ramp systems with adjustable fittings
CA2603420A1 (en) Fastener for connecting components and assemblies embodying same
US20120186068A1 (en) Fastener for constructing posts for furniture
US20130215381A1 (en) Nested screw fastener
EP1793129A1 (en) Joint for removably connecting two structural furniture members abutting orthogonally against each other
KR102530945B1 (ko) 프로파일용 비노출형 연결구
AU701713B2 (en) Module support structure
CA2872923A1 (en) Fastening device
DE202006013551U1 (de) Winkelverbinder zur Verbindung von flächenförmigen Abtrennungselementen
US3225807A (en) Nuts
US20090010733A1 (en) Countertop connecting fastener securing device
KR200366190Y1 (ko) 조립식 프레임 체결장치
CN111683564B (zh) 桌子框架组件
WO2004088054A1 (en) A modular connection system for connecting elongate elements
US3328057A (en) Rail system
KR100597475B1 (ko) 가구 조립용 체결 장치
KR101605370B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
EP0239781A1 (en) A coupling for connecting intersecting rod-shaped bodies together
CN111655076B (zh) 用于连接构造元件的卡扣锁系统、方法和用途
US6524025B2 (en) Means for linearly connecting two non-circular pipes
DE19618515A1 (de) Befestigungsvorrichtung
EP1080667A2 (en) An arrangement in a table
JP3217703U (ja) ねじ込み式接合金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