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862B1 - 농업용 드론의 정보수집장치 및 정보수집방법. - Google Patents

농업용 드론의 정보수집장치 및 정보수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862B1
KR102530862B1 KR1020220118181A KR20220118181A KR102530862B1 KR 102530862 B1 KR102530862 B1 KR 102530862B1 KR 1020220118181 A KR1020220118181 A KR 1020220118181A KR 20220118181 A KR20220118181 A KR 20220118181A KR 102530862 B1 KR102530862 B1 KR 102530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gricultural drone
agricultural
drone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8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이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이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이슨
Priority to KR1020220118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8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용 드론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농업용 드론의 수행정보를 일관되게 수집 보관할 수 있게 지원하는 농업용 드론의 정보수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업용 드론의 정보수집장치 및 정보수집방법.{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and information collection method for agricultural drones.}
본 발명은 농업용 드론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농업용 드론의 수행정보를 일관되게 수집 보관할 수 있게 지원하는 농업용 드론의 정보수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을 재배할 때에는 잡초나 해충, 세균으로부터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살충제 살균제 제초제 등과 같은 농약을 살포하게 되는데, 과거에는 농약을 살포할 때에 저장통에 농약을 넣고 사용자가 분무기의 분무노즐을 이동시켜 가면서 농작물에 충분히 농약이 젖셔질 정도로 살포하였다.
그런데 농약 살포 작업이 악성 노동인데다가 농촌인구가 전체적으로 크게 감소하면서 고령화된 노인들끼리 무거운 저장통을 매고 농약을 살포하는 작업을 수행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최근에는 원격조정 가능한 드론에 저장통과 분무노즐을 설치하여 유량펌프 동작시 저장통의 농약이 분무노즐을 통해 공중 살포할 수 있게 구성한 농업용 드론을 개발하여 고령의 노인도 쉽게 논이나 밭에 농약을 살포할 수 있게 지원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농로 주변에는 전봇대, 가로등이 설치되어 있고 논이나 밭의 규모 및 형상이 제각각이라 조종사가 논이나 밭의 규모 및 형상에 맞춰 수동 농업용 드론을 조작하여 농약을 살포하게 되는데,
이때 육안으로 농업용 드론(100)의 움직임을 확인하고 살포하면서 비행경로를 정확하게 확인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비행 중인 드론의 비행속도, 고도, 바람의 세기 및 방향에 의해 방제간격 등이 변하면서 어떠한 지역(110)은 중복 방제되어 농약이 과다 살포되고 어떠한 지역(120)은 누락되면서 몇 달이 지난 후 누락된 지역에 병해충이 재발하게 되었으며, 특히 상기와 같이 중복 방제된 지역과 누락된 지역의 구분이 불명확하여 제3자(예, 논밭 주인)가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드론을 통해 농약을 공중할 때에 바람에 의해 비산하면서 주변 농가로 잘못 뿌려져 피해를 주는 경우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드론 조종사는 방제작업 후 반드시 드론의 비행정보와 언제 어느 때에 얼마만큼 농약이 살포되었는 확인할 수 있는 방제정보를 수집하고, 수기로 실적보고서를 작성하여 관계기관에 제출하였는데,
통상적으로 농업용 드론의 종류 및 수가 수 백가지이고 제조회사 및 모델에 따라 비행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로그정보 및 방제정보가 제각각이어서 관계기관에서 사실상 모든 농업용 드론의 비행정보 및 방제정보를 확인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것이었다.
따라서 드론 조종사는 드론의 비행정보 및 방제정보를 별도로 엑셀파일로 변환한 후 일부 수정된 비행정보 및 방역정보와 함께 수기로 작성된 실적 보고서를 제출하였고, 이에 관계기관에서 별도로 확인해 보았을 때에 수집된 비행정보 및 방역정보가 부정확하거나 혹은 그 정보들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는 측면이 있었던 것이다.
KR 10-2225260 B1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농업용 드론을 이용해 작업을 진행할 때에 관계기관에서는 서로 다른 종류의 농업용 드론일지라도 일관되게 비행정보 및 방제정보를 수집 보관하고 확인할 수 있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1실시 예로 본 발명은 투하물을 공중 살포하는 농업용 드론과, 상기 농업용 드론의 움직임 및 투하물의 살포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농업용 드론과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는 한편, GPS와 고도센서를 구비한 상태로 상기 농업용 드론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집기와,
상기 농업용 드론의 수행정보를 수집 보관하는 한편 확인할 수 있게 서비스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수집기가 탈착된 후 또 다른 종류의 농업용 드론에 구비되더라도 관리서버는 수집기를 통해 또 다른 종류의 농업용 드론에 대한 수행정보도 일관되게 전송받아 수집 보관하고 확인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2실시 예로 본 발명은 투하물을 공중 살포하는 농업용 드론과, 상기 농업용 드론의 움직임 및 투하물의 살포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농업용 드론과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는 한편, GPS와 고도센서를 구비한 상태로 상기 농업용 드론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집기와,
상기 수집기와 무선연결되어 비행중인 농업용 드론에 대한 수행정보를 전송받아 비행경로를 따라 투하물의 분사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농업용 드론의 수행정보를 수집 보관하는 한편 확인할 수 있게 서비스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수집기가 탈착된 후 또 다른 종류의 농업용 드론에 구비되더라도 관리서버는 상기 수집기에 의해 수집 전송된 또 다른 종류의 농업용 드론에 대한 수행정보를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전송받아 일관되게 수행정보를 수집 보관하고 확인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3실시 예로 본 발명은 투하물을 공중 살포하는 농업용 드론과, 상기 농업용 드론의 움직임 및 투하물의 살포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농업용 드론과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는 한편, GPS와 고도센서를 구비한 상태로 상기 농업용 드론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집기와,
상기 수집기와 페어링을 이루는 한편 사용자단말기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집기를 통해 수집된 수행정보를 전송받았을 때에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수신기와,
상기 정보수신기로부터 전송받은 비행중인 농업용 드론에 대한 수행정보를 토대로 비행경로를 따라 투하물의 분사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수행정보를 확보하여 농업용 드론의 수행정보를 수집 보관하는 한편 확인할 수 있게 서비스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수집기가 탈착된 후 또 다른 종류의 농업용 드론에 구비되더라도 관리서버는 상기 수집기에 의해 수집 전송된 또 다른 종류의 농업용 드론에 대한 수행정보를 정보수신기와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전송받아 일관되게 수행정보를 수집 보관하고 확인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농업용 드론에 수집기를 부착하기만 하면 관리서버는 일관되게 수행정보를 수집 보관할 수 있게 되면서 어떠한 농업용 드론이라도 수행정보를 일관되게 수집 보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많은 기회비용을 아낄 수 있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범용성을 가지게 되었다.
더불어 본 발명은 관리자 입장에서는 일관된 비행정보와 수행정보 수집으로 정보 관리가 용이하게 되었으며, 관리서버에 접속한 제3자도 드론의 비행정보 또는 수행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정보수신기와 연결된 사용자단말기가 수집기를 통해 수집된 분사정보 위치정보 고도정보를 토대로 농업용 드론의 비행경로를 확인할 수 있게 되면서 투하물을 살포한 면적 및 간격과, 중복 살포한 지역 및 누락된 지역 등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게 되었고,
특히 이러한 사실을 드론 조종사뿐만 아니라 제3자도 확인 가능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드론 조정자는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용이하게 실적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에에 따른 농업용 드론의 정보수집장치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에에 따른 농업용 드론의 정보수집장치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에에 따른 농업용 드론의 정보수집장치의 예시도.
도 4은 서로 다른 종류의 농업용 드론에 수집기가 장착될지라도 범용성 있게 수행정보가 관리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도 1의 수집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6은 도 2의 수집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7은 도 3의 수집기와 정보수신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8은 도 2와 도 3의 사용자단말기의 화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드론의 정보수집장치의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
먼저,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의 "구성된다." 또는 "형성된다."는 폐쇄적인 의미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포함한다." 또는 "구비한다"와 같이 개방된 의미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드론의 정보수집장치 구성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농업용 드론(10)과 컨트롤러(15)를 포함하되, 상기 농업용 드론에 구비되는 수집기(20)와, 관리서버(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농업용 드론(10)은 공중에 정지비행 혹은 저속비행하면서 저장통의 투하물을 분사수단을 통해 공중 살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투하물은 액체 상태의 농약이 바람직하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가루 상태의 농약이나 비료 혹은 씨앗 등을 논이나 밭에 공중 살포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농업용 드론(10)은 바디에 수집기(20)가 탈부착되도록 평평한 안착면을 구비하고 있으며, 특히 일측에는 수집기(20)와 유선연결되어 구동모터 동작시 분사정보를 수집기로 출력할 수 있게 인터페이스를 형성하고 있다.
이때 분사정보는 구동모터를 통해 확보된 PWM 신호 등와 같은 정보일 수도 있지만, 상기 농업용 드론과 호환성 있게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면 상기 분사수단 에 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센서를 통해 분사정보를 확보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컨트롤러(15)는 농업용 드론의 비행이나 투하물의 낙하여부 등을 컨트롤할 수 있는 것이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농업용 드론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통해 투하물의 투하상태 등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며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수집기(20)는 농업용 드론(10)에 교체 가능하게 탈부착되는 한편 상기 농업용 드론에 부착되어 비행하였을 때에 시간정보 위치정보 고도정보 분사정보를 수집하여 일정한 포맷의 수행정보를 생성한 후 이동통신망을 통해 지정된 관리서버(50)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때 탈부착수단은 케이스 하단에 구비된 큐방이나 석션기에 의해 진공흡착되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농업용 드론의 바디에 교체 가능하게 탈부착되는 것이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브라켓이나 나사 볼트 등과 같은 고정수단이거나 양면테이프 등과 같은 부착수단일 수도 있으며, 한정하지는 않는다.
더불어 상기 수집기(20)는 GPS와 고도센서를 통해 시간정보를 토대로 위치정보와 고도정보를 확보하여 농업용 드론의 비행경로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인터페이스(21)를 통해 농업용 드론(10)과 연결되어 상기 농업용 드론(10)으로부터 분사정보를 인가받거나 혹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센서가 분사수단에 설치되면서 실시간으로 분사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관리서버가 인식할 수 있게 일정한 포맷의 수행정보를 생성한 후 이동통신망을 통해 지정된 관리서버(50)로 전송하는 것이다.
또한, 관리서버(50)는 각 농업용 드론의 수행정보, 실적보고서 등을 데이터베이스하고 있는 서버이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수행정보 또는 실적보고서를 분석하여 회원 가입한 제3자(예, 논밭 주인, 등등)도 확인할 수 있게 서비스하고,
특히 수행정보 또는 실적보고서를 토대로 각각의 논밭에 농업용 드론이 어떠한 경로로 비행하였고 얼마만큼의 투하물을 살포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게 서비스하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공공데이터서버 통해 맵정보를 로드하거나 혹은 오픈 API를 통해 기상청의 날씨정보를 가져와 온도, 습도, 바람의 세기 및 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드론의 정보수집장치 구성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농업용 드론(100)과, 컨트롤러(150)를 포함하되, 상기 농업용 드론에 구비되는 수집기(200)와, 사용자단말기(400)와 관리서버(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농업용 드론(100)은 공중에 정지비행 혹은 저속비행하면서 투하물을 투하할 있는 것으로, 상술한 농업용 드론(100) 및 컨트롤러(150)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드론(10) 및 컨트롤러(15)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수집기(200)는 탈부착 수단에 의해 농업용 드론(100)에 교체 가능하게 탈부착되는 한편 투하물의 량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일정한 포맷에 맞춰 사용자단말기(400)이 인식할 수 있게 수행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때 수집기(200)는 GPS와 고도센서를 통해 시간정보를 토대로 위치정보와 고도정보를 확보하여 농업용 드론의 비행경로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농업용 드론(100)과 연결되어 상기 농업용 드론(100)으로부터 분사정보를 인가받거나 혹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센서가 분사수단에 설치되면서 실시간으로 분사정보를 확보하여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단말기(400)는 수집기(200)를 통해 전송받은 수행정보를 토대로 농업용 드론(100)의 비행경로를 확인하고 투하물의 살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실시 예에 따라서는 조종사가 상기 수행정보를 토대로 실적 보고서를 작성하고 관리서버(500)로 제출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는 것이다.
더불어 사용자단말기(400)는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500)와 연결 가능한 동시에 수집기와 근거리 통신 가능한 단말기로서, 대표적으로 스마트폰, 타블릿 PC, 노트북 중 어느 하나이며,
특히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 후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고, 농업용 드론에 구비된 수집기(200)와 무선 연결하였을 때에 상기 수집기(200)으로부터 비행정보 또는 수행정보를 전송받아 맵 상에 비행경로를 연산하여 표출하여 주면서 투하물의 살포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서비스하여 주는 것이다.
또한, 관리서버(500)는 각 농업용 드론의 비행정보 또는 수행정보와, 실적보고서 등을 데이터베이스하고 있는 서버이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접속한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확인한 후 실적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게 지원하고,
상기 수행정보 또는 실적보고서를 분석하여 회원 가입한 제3자(예, 논밭 주인, 등등)도 특정 논밭에 농업용 드론이 어떠한 경로로 비행하였고 얼마만큼의 투하물을 살포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게 서비스한다.
이때 비행정보는 시간정보를 토대로 위치정보와 고도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농업용 드론의 비행경로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이고, 수행정보는 상기 비행정보를 토대로 투하물 살포시 수집된 분사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드론의 정보수집장치 구성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농업용 드론(1000)과, 컨트롤러(1500)를 포함하되, 상기 농업용 드론에 구비되는 수집기(2000)와, 정보수신기(3000)와, 사용자단말기(4000)와 관리서버(50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농업용 드론(1000)은 공중에 정지비행 혹은 저속비행하면서 투하물을 투하할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 또는 제2실시 예의 농업용 드론(10) 및 컨트롤러(15)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수집기(2000)는 농업용 드론(1000)에 교체 가능하게 탈부착되는 한편 투하물의 량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정보수신기(3000)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때 탈부착수단으로는 케이스 하단에 구비된 큐방이나 석션기에 의해 진공흡착되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농업용 드론의 바디에 교체 가능하게 탈부착되는 것이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브라켓이나 나사 볼트 등과 같은 고정수단이거나 양면테이프 등과 같은 부착수단일 수도 있으며,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수집기(2000)는 탈부착 수단에 의해 농업용 드론(1000)에 교체 가능하게 탈부착되는 한편 투하물의 량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일정한 포맷에 맞춰 정보수신기(3000)가 인식할 수 있게 수행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정보수신기(3000)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때 수집기(2000)는 GPS와 고도센서를 통해 시간정보를 토대로 위치정보와 고도정보를 확보하여 농업용 드론의 비행경로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인터페이스(2100)를 통해 농업용 드론(1000)과 연결되어 상기 농업용 드론(1000)으로부터 분사정보를 인가받거나 혹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센서가 분사수단에 설치되면서 실시간으로 분사정보를 확보하여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정보수신기(3000)로 전송하는 것이다.
또한, 정보수신기(3000)는 수집기(2000)와 페어링을 이뤄 1:1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채널을 형성하여 주변의 전파간섭을 최소한 상태로 안정적으로 수집기의 비행정보 또는 수행정보를 전송받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사용자단말기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사용자단말기(4000)는 상기 정보수신기(3000)를 통해 전송받은 수집기의 수행정보를 토대로 농업용 드론(1000)의 비행경로를 확인하고 특정 논밭의 투하물의 살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조종사가 상기 수행정보를 토대로 실적 보고서를 작성하고 관리서버(5000)로 제출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사용자단말기(4000)는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5000)와 연결 가능한 동시에 정보수신기(30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단말기로, 대표적으로 스마트폰, 타블릿 PC, 노트북 중 어느 하나이며,
특히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 후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고, 정보수신기(3000)와 유무선 연결되었을 때에 수집기(2000)를 통해 농업용 드론의 비행정보 또는 수행정보를 전송받아 맵 상에 비행경로를 연산하여 표출하여 주는 동시에 살포반경을 토대로 투하물의 살포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서비스하여 주는 것이다.
또한, 관리서버(5000)는 각 농업용 드론의 비행정보 또는 수행정보와, 실적보고서 등을 데이터베이스하고 있는 서버이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접속한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확인한 후 실적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게 지원하고, 상기 수행정보 또는 실적보고서를 분석하여 회원 가입한 제3자(예, 논밭 주인, 등등)도 특정 논밭에 농업용 드론이 어떠한 경로로 비행하였고 얼마만큼의 투하물을 살포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게 서비스한다.
이때 비행정보는 시간정보를 토대로 위치정보와 고도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농업용 드론의 비행경로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이고, 수행정보는 상기 비행정보를 토대로 투하물 살포시 수집된 분사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집기가 농업용 드론으로부터 탈착된 후 또 다른 모델의 농업용 드론에 구비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농업용 드론(10,100,1000)은 투하물의 종류(씨앗뿌리기, 비료살포, 농약살포 등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와 모델의 농업용 드론이 구비되거나 혹은 각 농업용 드론의 로그파일이나 정보 포맷이 서로 다를 지라도, 각각의 농업용 드론(10,100,1000)에 수집기(20,200,2000)가 구비되기만 하면 관리서버(50,500,5000)는 일관되게 수행정보를 수집 보관할 수 있어 새로 농업용 드론으로 모두 교체할 필요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많은 재화와 비용을 아낄 수 있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범용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수집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때의 수집기(20)는 복수의 인터페이스(21)와 고도센서(22)와 GPS(23)와 SD메모리(24)와 프로세서(25)와 통신모듈(26)과 상태등(27)과 배터리(28)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기(20)는 내장된 GPS(23)를 통해 농업용 드론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동시에 고도센서(22)를 통해 투하물이 살포되는 반경을 연산할 수 있게 고도정보를 수집한다.
더불어 수집기(20)는 인터페이스(21)를 통해 농업용 드론(10)과 연결되어 상기 농업용 드론(10)의 구동모터 동작시 분사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지만,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센서가 분사수단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를 통해 투하물의 분사량 또는 토출량되는 양에 대한 분사정보를 수집 확보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인터페이스(21)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표적으로 카메라와 연결되어 영상정보를 확보하거나 혹은 온도센서, 습도센서, 풍향센서 풍속센서 등과 연결되어 투하물 살포시 영향을 주는 온도, 습도, 바람의 세기 및 방향에 대한 정보도 같이 수집하여 비산하는 투하물이 어느방향으로 얼마만큼 퍼지는지 연산할 수 있게 분사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는 것이다.
더불어 수집기(20)의 통신모듈(26)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지정된 관리서버로 수행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모듈이며, 대표적으로 4세대 이동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LTE모듈이며, 한정하지는 않는다.
더불어 수집기(20)의 프로세서(25)는 인터페이스(21)를 통해 수집된 투하물에 대한 분사정보와 내장된 GPS(23)를 통해 수집된 위치정보와 고도센서(22)를 통해 수집된 고도정보를 시간정보를 토대로 매칭시켜 지정된 통신규약에 따라 상기 관리서바가 인식할 수 있게 비행정보 또는 수행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통신모듈을 통해 관리서버(50)로 전송하도록 컨트롤하는 것이다. 이때 프로세서(25)는 실시 예에 따라 온도, 습도, 바람의 세기와 방향에 대한 관련 분사정보도 같이 수집 전송하도록 컨트롤할 수도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프로세서(25)는 전원이 온되었을 때에 상태등(27)을 통해 전원의 온/오프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한편 상기 상태등(27)이 특정 색상으로 광신호를 표출하였을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수집기(20)는 인터페이스(21)를 통해 농업용 드론(10)과 연결되어 상기 농업용 드론(10)의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할 수도 있지만, 자체 내장된 배터리(28)를 통해 동작할 수도 있는 것이다.
더불어 수집기의 SD메모리는 수집된 분사정보와 위치정보와 고도정보를 지정된 위치에 저장하고, 지자체나 관공서 등에 직접 SD메모리를 제출할 수도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SD메모리에 폼웨어나 특정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수집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수집기(200)는 복수의 인터페이스(210)와 고도센서(220)와 GPS(230)와 SD메모리(240)와 프로세서(250)와 근거리통신모듈(260)과 상태등(270)과 배터리(280)를 포함한다.
이때 복수의 인터페이스(210)와 고도센서(220)와 GPS(230)와 SD메모리(240)와 상태등(270)과 배터리(280)는 도 5의 인터페이스(21)와 고도센서(22)와 GPS(23)와 SD메모리(24)와 상태등(27)과 배터리(28)와 동일한 구성이고,
근거리통신모듈(260)은 사용자단말기와 무선 연결되어 프로세서의 컨트롤에 의해 생성된 수행정보를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대표적으로 와이피아모듈 등이 있으며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프로세서(250)는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수집된 투하물에 대한 분사정보와 내장된 GPS(230)를 통해 수집된 위치정보와 고도센서(220)를 통해 수집된 고도정보를 시간정보를 토대로 매칭시켜 지정된 통신규약에 따라 사용자단말기(400)가 인식할 수 있게 비행정보 또는 수행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근거리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컨트롤하고,
이때 프로세서(250)는 실시 예에 따라 온도, 습도, 바람의 세기와 방향에 대한 관련 분사정보도 같이 수집 전송하도록 컨트롤할 수도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프로세서(250)는 전원이 온되었을 때에 상태등(270)을 통해 전원의 온/오프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한편 상기 상태등(270)의 색상이 특정 색상으로 변환되면서 사용자단말기와 연결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수집기와 정보수신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수집기(2000)는 복수의 인터페이스(2100)와 고도센서(2200)와 GPS(2300)와 SD메모리(2400)와 프로세서(2500)와 근거리통신모듈(2600)과 상태등(2700)과 배터리(2800)를 포함하고,
이때 복수의 인터페이스(2100)와 고도센서(2200)와 GPS(2300)와 SD메모리(2400)와 상태등(2700)과 배터리(2800)는 도 5의 인터페이스(21)와 고도센서(22)와 GPS(23)와 SD메모리(24)와 상태등(27)과 배터리(28)와 동일한 구성이고,
상기 근거리통신모듈(2600)은 정보수신기와 근거리 통신 가능하게 무선 연결되어 프로세서의 컨트롤에 의해 생성된 수행정보를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수집된 정보를 저전력으로 장거리 전송 가능한 LoRa모듈이며, 한정하지는 않는다.
더불어 프로세서(2500)는 인터페이스(2100)를 통해 수집된 투하물에 대한 분사정보와 내장된 GPS(2300)를 통해 수집된 위치정보와 고도센서(2200)를 통해 수집된 고도정보를 시간정보를 토대로 매칭시켜 지정된 통신규약에 따라 상기 정보수신기가 인식할 수 있게 비행정보 또는 수행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정보수신기(3000)로 전송하도록 컨트롤하는 것이다.
이때 프로세서(2500)는 실시 예에 따라 온도, 습도, 바람의 세기와 방향에 대한 관련 분사정보도 같이 수집 전송하도록 컨트롤할 수도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프로세서(2500)는 전원이 온되었을 때에 상태등(2700)을 통해 전원의 온/오프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한편 상기 상태등(2700)이 특정 색상으로 전환되면서 농업용 드론(1000)과 및 정보수신기(3000)와의 연결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정보수신기(3000)는 수집기(2000)로부터 비행정보 또는 수행정보를 전송받아 사용자단말기(4000)로 전송하는 것이며, 이때 정보수신기(3000)는 근거리통신모듈(3100)과, 인터페이스(3200) 또는 유무선인터페이스(3300)와, 배터리(3400)와, 프레세서(3500)와, 메모리(3600)와, 상태등(37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정보수신기의 근거리통신모듈(3100)은 수집기(2000)와 페어링을 이루어 상기 수집기(2000)에 생성된 비행정보 또는 수행정보를 수신받기 위한 것이며, 상기 통신모듈(3100)은 범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저전력으로 장거리 전송 가능한 LoRa모듈이 바람직하며, 한정하지는 않는다.
더불어 정보수신기의 인터페이스(3200) 또는 무선인터페이스(3300)는 사용자단말기(40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프로세서(3500)에 의해 비행정보 또는 수행정보를 사용자단말기(4000)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때 인터페이스(3200)는 USB-C타입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무선인터페이스(3300)은 와이파이모듈 혹은 블루투스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정보수신기의 배터리(3400)는 충방전관리회로에 의해 안전하게 충전 혹은 방전이 이루어지고, 실시 예에 따라서는 일회용 배터리로 교체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더불어 정보수신기의 프로세서(3500)는 근거리통신모듈(3100)을 통해 수집기(2000)와 페어링을 이루어지도록 컨트롤하는 한편, 수집기(2000)와 페어링을 이루었을 때에 근거리통신모듈(3100)을 통해 전송받은 비행정보 또는 수행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단말기(4000)가 인식할 수 있게 지정된 포멧에 맞춰 상기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인터페이스로 전송하도록 컨트롤한다.
이때 메모리(3600)에는 특정 프로그램이 이식되어 있고, 상기 프로세서(3500)는 메모리에 이식된 프로그램에 의해 전원이 온되었을 때에 상태등(3700)을 통해 전원의 온/오프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광신호를 표출하여 주는 한편, 상기 정보수신기(3000)가 수집기(2000)와 페어링을 이루었을 때에 상태등(3700)이 특정 색상으로 변하면서 수집기(2000)와의 연결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게 안내해 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와 제3실시 예의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사용자단말기(400,4000)는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설치한 후,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집기가 농업용 드론의 수행정보를 수집하게 되면, 사용자단말기는 수집기가 수집한 농업용 드론의 수행정보를 확인하고 분석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단밀기(400,4000)는 괸리서버(500,5000)에 로그인 접속하였을 때에 접속한 조종사의 이름이 입력부(410,41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고, 특히 상기 입력부(410,4100)에 투하물을 살포할 신청자(예, 논밭 주인)의 이름 지역(주소) 등을 입력/등록하게 되면, 공공데이터서버를 통해 해당 지역의 맵(420,4200)을 가져와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때 맵(420,4200)은 사용자단말기가 직접 가져올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관리서버를 통해 제공된다.
더불어 사용자단말기(400,4000)는 입력된 신청자의 이름과 지역(예, 논밭 주소)을 토대로 해당 오픈 API를 통해 기상청의 날씨정보를 가져와 정보부(430,4300)에 현재의 바람의 세기 및 방향, 온도 등을 표출하여 줌으로써 투하물을 공중에 살포할 때에 어떠한 방향으로 얼마만큼 비산할지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때 날씨정보는 사용자단말기가 직접 가져올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관리서버를 통해 제공되거나 혹은 상기 농업용 드론에 장착된 수집기(200,2000)의 센서들을 통해 수집된 온도, 습도, 바람의 세기 및 방향일 수도 있는 것이다.
더불어 사용자단말기(400,4000)는 전송받은 비행정보 또는 수행정보를 토대로 시간정보와 위치정보를 확인한 후 농업용 드론(100,1000)의 비행경로(440,4400)를 연산하고, 이때 연산된 비행경로(440,4400)는 맵(420,4200)상에 확인할 수 있게 디스플레이하고, 특히 고도정보와 삼각함수를 통해 농업용 드론이 투하물을 살포하는 반경을 연산한 후, 비행경로에 맞춰 살포되는 반경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투하물이 살포되는 반경은 비행경로를 따라 중첩되는 지역(450,4500)과 누락된 지역(460,4600)을 연산한 후 특정색상으로 구분하여 식별할 수 있게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투하물이 살포되는 반경은 실시 예에 따라 바람의 세기와 풍향 등을 고려하여 연산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크기의 상자모델이나 3차원 수치모델 등을 기반으로 바람의 세기 및 방향에 따라 평균적으로 투하물이 퍼지는 정도를 모델링한 정보를 토대로 투하물이 살포되는 반경을 연산하여 디스플레이하여 줄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단말기는 수집된 비행정보 또는 수행정보를 그대로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수집 보관되게 할 수도 있지만,
상기 수행정보를 토대로 연산된 맵상에 비행경로 및 살포반경과 중첩되는 지역 및 누락된 지역을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는 한편, 조종사 정보 신청자 정보 논밭의 위치정보와 날씨정보를 포함하는 실적 보고서를 작성하여 제출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드론의 정보수집장치의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참고하면, 본 발명은 농업용 드론과 수집기와 정보수신기와 사용자단말기의 연결관계를 세팅하는 단계(S110)와,
농업용 드론이 투하물을 살포하는 단계(S120)와,
수집기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30)와,
수집기가 비행정보 또는 수행정보 생성 및 전송하는 단계(S140)와,
관리서버가 비행정보 또는 수행정보를 수집 보관하는 단계(S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연결관계를 세팅하는 단계(S110)는,
수집기(20,200,2000)를 농업용 드론(10,100,100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편 상기 수집기(20,200,2000)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농업용 드론(10,100,1000) 또는 분사수단에 위치한 센서와 연결하고 원거리 전송할 수 있게 연결관계를 세팅하는 단계이다.
이때의 수집기(20,200,2000)는 실시 예에 따라 이동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50,500,5000)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단말기 또는 사용자단말기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정보수신기와 근거리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농업용 드론이 투하물을 살포하는 단계(S120)는.
조정자의 컨트롤러 조작에 따라 농업용 드론이 투하물을 살포하려고 하는 지역으로 비행한 후, 구동모터를 통해 저장통의 투하물을 투하하는 단계이다.
더불어 수집기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30)는,
상기 수집기(20,200,2000)가 시간정보를 토대로 농업용 드론(10,100,1000) 또는 분사수단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투하물의 분사정보와, GPS를 통해 농업용 드론의 위치정보와, 투하반경을 연산하기 위하여 고도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이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각종 센서를 통해 온도 습도 풍속 풍향 등과 관련된 정보도 수집할 수 있다.
더불어 수집기가 비행정보 또는 수행정보 생성 및 전송하는 단계(S140)는,
상기 수집기(20,200,2000)가 시간정보를 토대로 위치정보와 고도정보와 분사정보를 매칭시켜 일정한 포맷에 맞춰 관리서버 또는 사용자단말기 또는 정보수신기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의 수행정보를 생성하고, 지정된 관리서버 또는 사용자단말기 또는 정보수신기로 전송하는 것이다.
더불어 관리서버(50,500,5000)가 비행정보 또는 수행정보를 수집 보관하는 단계(S150)는, 가입한 조종사 혹은 수집기의 식별정보를 토대로 언제 어디서 얼마만큼 투하물을 살포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게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이다.
이때 비행정보 또는 수행정보는 수집기에 의해 직접 전송된 것일 수도 있지만, 사용자단말기 혹은 정보수신기와 연결된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전송받아 저장한 것일 수도 있으며,
특히 데이터베이스화된 수행정보를 토대로 제3자도 확인할 수 있게 서비스하거나 상기 수행정보를 분석하여 투하물 살포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서비스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의 관리서버(50,500,5000)는 투하물의 살포상태를 맵정보를 토대로 농업용 드론의 비행경로 따라 투하물의 살포반경을 연산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동시에 상기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경로를 따라 중첩되는 지역과 누락된 지역을 연산한 후 구분하여 식별할 수 있게 디스플레이하여 준다.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 농업용 드론의 투하물 살포를 완료한 후에는 수집기가 농업용 드론으로부터 탈착된 후 또 다른 종류의 농업용 드론에 장착되어 연결관계를 세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관리서버가 또 다른 종류의 농업용 드론일 지라도 수행정보를 수집 보관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참고로 관리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농업용 드론의 수행정보를 전송받을 때에는,
사용자단말기(400,4000)에 다운로드 설치된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켜 관리서버에 로그인 접속하였을 때에, 관리서버는 사용자단말기에 의해 입력된 신청자의 논밭 위치를 토대로 공공데이터서버에 접속하여 투하물이 살포되는 지역의 지리정보(예, 맵)을 가져와 표출하는 한편 기상청의 서버에 접속하여 투하물이 살포되는 지역의 날씨정보를 가져와 바람의 세기와 풍향과 온도를 확인할 수 있게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단말기는 전송받은 수행정보를 분석하여 농업용 드론의 비행경로를 연산하여 맵상에 디스플레이하되, 고도정보를 토대로 투하물이 살포되는 반경을 연산하여 비행경로를 맞춰 중첩되는 지역이 있는지 혹은 누락된 지역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게 디스플레이하여 줌으로써, 투하물의 살포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 및 균등이론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100,1000:농업용 드론 15,150,1500:컨트롤러
20,200,2000:수집기
3000:정보수신기
40,400,4000:사용자단말기
50,500,5000:관리서버

Claims (7)

  1. 투하물을 공중 살포하는 농업용 드론과, 상기 농업용 드론의 움직임 및 투하물의 살포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농업용 드론의 수행정보를 수집 보관하고 있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농업용 드론에는 GPS와 고도센서를 구비한 상태로 탈부착수단에 의해 농업용 드론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상기 농업용 드론의 인터페이스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수집기가,
    상기 농업용 드론 동작시 농업용 드론의 인터페이스로부터 출력되는 분사정보를 수집 저장하는 동시에 GPS와 고도센서를 통해 이동중인 농업용 드론의 위치 및 고도를 확인하고 시간정보를 토대로 일정한 포멧에 맞춰 분사정보와 위치정보 고도정보를 매칭시켜 관리서버가 인식할 수 있게 수행정보를 생성하여 지정된 관리서버로 전송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수집기가 탈착된 후 상기 농업용 드론과 서로 다른 종류 또는 제조회사의 또 다른 농업용 드론의 인터페이스에 유무선으로 연결된 상태로 탈부착수단에 의해 또 다른 농업용 드론에 구비되더라도, 상기 수집기는 또 다른 농업용 드론의 수행정보를 일관되게 생성하여 관리서버로 전송 가능하게 되면서,
    서로 다른 포멧이나 형식의 로그정보를 저장하는 각각의 농업용 드론을 범용성 있게 사용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편리하게 보고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관리서버는 다양한 종류의 농업용 드론의 수행정보를 일관되게 수집 보관할 수 있게 되는 농업용 드론의 정보수집장치.
  2. 투하물을 공중 살포하는 농업용 드론과, 상기 농업용 드론의 움직임 및 투하물의 살포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농업용 드론의 수행정보를 수집 보관하고 있는 관리서버와,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수집 보관된 수행정보를 토대로 농업용 드론의 비행경로를 따라 투하물의 살포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농업용 드론에는 GPS와 고도센서를 구비한 상태로 탈부착수단에 의해 농업용 드론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상기 농업용 드론의 인터페이스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수집기가,
    상기 농업용 드론 동작시 농업용 드론의 인터페이스로부터 출력되는 분사정보를 수집 저장하는 동시에 GPS와 고도센서를 통해 이동중인 농업용 드론의 위치 및 고도를 확인하고 시간정보를 토대로 일정한 포멧에 맞춰 분사정보와 위치정보 고도정보를 매칭시켜 관리서버가 인식할 수 있게 수행정보를 생성하여 무선 연결된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수집기가 탈착된 후 상기 농업용 드론과 서로 다른 종류 또는 제조회사의 또 다른 농업용 드론의 인터페이스에 유무선으로 연결된 상태로 탈부착수단에 의해 구비되더라도, 상기 수집기는 또 다른 농업용 드론의 수행정보를 일관되게 생성하여 사용자단말기로 전송 가능하게 되면서
    서로 다른 포멧이나 형식의 로그정보를 저장하는 각각의 농업용 드론을 범용성 있게 사용 가능하게 하면서도 편리하게 보고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관리서버는 다양한 종류의 농업용 드론의 수행정보를 일관되게 수집 보관할 수 있게 되는 농업용 드론의 정보수집장치.
  3. 투하물을 공중 살포하는 농업용 드론과, 상기 농업용 드론의 움직임 및 투하물의 살포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농업용 드론의 수행정보를 수집 보관하고 있는 관리서버와,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수집 보관된 수행정보를 토대로 농업용 드론의 비행경로를 따라 투하물의 살포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농업용 드론에는 GPS와 고도센서를 구비한 상태로 탈부착수단에 의해 농업용 드론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상기 농업용 드론의 인터페이스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수집기와,
    상기 수집기와 페어링을 이루는 한편 사용자단말기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집기를 통해 수집된 농업용 드론의 수행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수신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수집기가 농업용 드론의 구동모터 동작시 농업용 드론의 인터페이스로부터 출력되는 분사정보를 수집 저장하는 동시에 GPS와 고도센서를 통해 이동중인 농업용 드론의 위치 및 고도를 확인하고 시간정보를 토대로 일정한 포멧에 맞춰 분사정보와 위치정보 고도정보를 매칭시켜 관리서버가 인식할 수 있는 수행정보로 생성하여 페어링을 이루는 정보수신기로 전송할 수 있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수집기가 탈착된 후 상기 농업용 드론과 서로 다른 종류 또는 제조회사의 또 다른 농업용 드론의 인터페이스에 유무선으로 연결된 상태로 탈부착수단에 의해 구비되더라도, 상기 수집기는 또 다른 농업용 드론의 수행정보를 생성하여 정보수신기로 전송하여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관리서버가 확보할 수 있게 되면서,
    서로 다른 포멧이나 형식의 로그정보를 저장하는 각각의 농업용 드론을 범용성 있게 사용 가능하게 되면서도 편리하게 보고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관리서버는 다양한 종류의 농업용 드론의 수행정보를 일관되게 수집 보관할 수 있게 되는 농업용 드론의 정보수집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기는 모델 또는 제조회사에 따라 농업용 드론의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분사정보를 수집할 수 없는 경우에는,
    별도로 농업용 드론의 분사수단 주변에 센서를 설치하여 투하물의 살포량을 확인하고 분사정보를 수집저장할 수 있는 농업용 드론의 정보수집장치.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수집 보관된 수행정보를 제3자가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수행정보 및 실적보고서를 확인할 수 있게 서비스하는 농업용 드론의 정보수집장치.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수행정보를 토대로 맵 상에 비행경로 및 상기 비행경로에 맞춰 투하물이 살포된 반경을 연산하여 디스플레이하여 주는 동시에 투하물이 중복 살포된 지역과 누락된 지역을 구분하여 식별할 수 있게 디스플레이하여 주는 농업용 드론의 정보수집장치.
KR1020220118181A 2022-09-19 2022-09-19 농업용 드론의 정보수집장치 및 정보수집방법. KR102530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181A KR102530862B1 (ko) 2022-09-19 2022-09-19 농업용 드론의 정보수집장치 및 정보수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181A KR102530862B1 (ko) 2022-09-19 2022-09-19 농업용 드론의 정보수집장치 및 정보수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0862B1 true KR102530862B1 (ko) 2023-05-11

Family

ID=86379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8181A KR102530862B1 (ko) 2022-09-19 2022-09-19 농업용 드론의 정보수집장치 및 정보수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08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4609B1 (ko) * 2015-10-22 2017-12-0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호그린 무인 농약 공급 시스템
KR20190078996A (ko) * 2017-12-27 2019-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운송 수단의 운행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JP2020104814A (ja) * 2018-12-28 2020-07-09 株式会社クボタ 飛行体の支援装置、及び飛行体の支援システム
KR102225260B1 (ko) 2020-12-04 2021-03-11 주식회사 아쎄따 약품 살포용 드론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4609B1 (ko) * 2015-10-22 2017-12-0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호그린 무인 농약 공급 시스템
KR20190078996A (ko) * 2017-12-27 2019-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운송 수단의 운행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JP2020104814A (ja) * 2018-12-28 2020-07-09 株式会社クボタ 飛行体の支援装置、及び飛行体の支援システム
KR102225260B1 (ko) 2020-12-04 2021-03-11 주식회사 아쎄따 약품 살포용 드론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43722B (zh) 飞行控制方法、信息处理装置、程序及记录介质
US10728336B2 (en) Integrated IoT (Internet of Things) system solution for smart agriculture management
US20210000097A1 (en) Integrated system for controlling, detecting, monitoring, evaluating and treating crop pests
CN111990388B (zh) 选择性喷洒系统,地空协同施药系统及协作方法
JP6431395B2 (ja) 空中散布装置
US20180035606A1 (en) Smart Interactive and Autonomous Robotic Property Maintenanc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CN107614121A (zh) 具有液体流量和转速的反馈的喷洒系统
CN113614769A (zh) 在装备上使用天气感测的实时农业建议
WO2021196062A1 (zh) 一种基于无人机的农业除虫装置及方法
CN113232865B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农用无人机喷药系统及方法
JP2019158635A (ja) 飛行経路生成装置及び飛行経路生成方法
Petkovic et al. IoT devices VS. drones for data collection in agriculture
CN114158548B (zh) 一种昆虫生物信息对抗系统
CN106989728A (zh) 一种基于无人机的建筑地面测绘系统
KR102530862B1 (ko) 농업용 드론의 정보수집장치 및 정보수집방법.
CN210503198U (zh) 可搭载于无人机的双腔药箱及基于该药箱的喷施作业装置
KR102225260B1 (ko) 약품 살포용 드론 제어 시스템
Uche et al. UAV for agrochemical application: a review
CN113631027A (zh) 用于独立释放生物制剂以进行精确生物害虫控制的多用途板载系统
KR102101355B1 (ko) 농업용 무인 이동체 및 이의 방제 약품 잔량 측정 시스템
JP2023081814A (ja) 圃場評価装置、圃場評価方法および圃場評価プログラム
JP2008132838A (ja) 農薬散布業務におけるgps利用事務処理
WO2021144988A1 (ja) ドローンの薬剤散布フライト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端末
Sari et al. Development of rapid low-cost LARS platform for oil palm plantation
Sassu et al.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n Ultra-Low Volume (ULV) Spraying Equipment Installed on a Commercial UAV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