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508B1 - 다기능성 하의류 - Google Patents

다기능성 하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508B1
KR102530508B1 KR1020200073424A KR20200073424A KR102530508B1 KR 102530508 B1 KR102530508 B1 KR 102530508B1 KR 1020200073424 A KR1020200073424 A KR 1020200073424A KR 20200073424 A KR20200073424 A KR 20200073424A KR 102530508 B1 KR102530508 B1 KR 102530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cle
knitted
manufactured
woven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5925A (ko
Inventor
임호선
장희경
Original Assignee
(주)베르셰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베르셰바 filed Critical (주)베르셰바
Priority to KR1020200073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508B1/ko
Publication of KR20210155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8Threads in which fibres, filaments, or yarns are wound with other yarns or filaments, e.g. wrap yarns, i.e. strands of filaments or staple fibres are wrapped by a helically wound binder yar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10Knitte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20Wove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2Under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혈액이나 체액의 원활한 흐름 유도를 통해 하지 부종, 하지 정맥류 등과 같은 질환이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형 보정효과가 동시에 제공될 수 있고 착용자의 활동 시에 바른 자세로 교정될 수 있도록 한 다기능성 하의류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은 착용자의 하체 중 양 다리에 각각 착용되고 발 또는 발목에서 허벅지 쪽으로 갈수록 압박강도가 점진적 또는 단계적으로 감소되게 제조되는 다리부; 상기 다리부를 일체로 연결하고 착용자의 둔부, 하복부 및 허리에 착용되며 특정 압박강도를 갖도록 제조되는 몸통부; 및 상기 다리부 및 몸통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하체의 근육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근육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배열되며 상기 근육에 대해 길항작용을 하는 방향으로 장력이 발생되도록 제조되는 근육길항부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하의류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Description

다기능성 하의류{MULTI-FUNCTIONAL BOTTOMS}
개시된 내용은 예를 들어 레깅스 등과 같이 인체의 하반신에 밀착되게 착용되는 기능성 하의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백화점 판매원, 마트 계산원 등과 같이 하루 종일 서서 일하는 작업자들은 혈액이나 체액의 정체로 인해 하지 부종, 하지 정맥류 등과 같은 질환에 노출되기 쉽다.
이러한 하지 부종, 하지 정맥류 등과 같은 질환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압박 스타킹이 널리 사용된다.
압박 스타킹을 착용하게 되면, 체조직의 압력이 증가되면서 인체의 여과억제 작용이 유도되어 부종의 제거 및 예방이 가능하고, 만선정맥부전증 및 지방피부경화증의 완화가 가능하며, 염증성 부종, 심장성 부종, 이상단백질성 부종, 신장 부종, 림프부종, 주기성 부종 등의 비정맥성 부종이 개선될 수 있고, 정체된 림프액의 흐름을 자극하여 림프 부종이 감소될 수 있으며, 하지의 표재 및 심부 정맥가 압박되어 혈액의 역류가 방지되고, 모세혈관 내 미세순환 혈류가 개선되는 등의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이러한 압박 스타킹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079587호(2020.04.07. 공고)에는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 뱃살 라인을 보정해 주도록 상단의 둘레를 따라 하측으로 갈수록 탄성이 높아지는 링 형태의 압박 밴드가 배치되는 허리부와, 사용자의 다리를 감싸도록 형성된 다리부와, 사용자의 발을 감싸도록 형성된 발커버부와, 사용자의 골반을 감싸도록 형성된 골반부와, 상기 골반부와 상기 다리부 사이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허벅지를 감싸도록 상단의 둘레를 따라 하측으로 갈수록 탄성이 높아지는 링 형태의 압박 밴드가 배치되는 허벅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허리부, 상기 다리부, 상기 발커버부, 상기 골반부 및 상기 허벅지부는, 신축성을 가지고 있는 폴리에스터로 형성된 스판사로 구성되는 압박 스타킹이 개시된다.
한편 최근 필라테스, 요가, 운동 등과 같은 여성활동의 증가로 인해 레깅스가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레깅스는 통상 하반신에 착용되는 타이츠 형태의 신축성 하의로, 주로 발 부분이 아예 없거나 발 부분 대신에 발을 끼울 수 있는 고리가 구비된다.
특히, 레깅스는 신축성이 뛰어난 소재의 원단을 바지 형태로 재단 후 봉제한 것으로, 착용 시에 하체를 전체적으로 조금씩 조여주는 역할을 함에 따라 하체를 얇게 보이도록 함과 동시에 각선미를 돋보이게 한다. 또한 레깅스는 소재에 따라 보온성이 뛰어나고 땀을 흡수하여 건조하는 기능이 뛰어나기 때문에, 여성들이 필라테스, 요가 등과 같은 운동시에 운동복으로만 착용하는 것이 아니라 평상 시에 일반 바지 대용으로도 많이 착용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레깅스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2-0127169호(2012.11.21. 공개)에는 하체 전체를 지압할 뿐만 아니라 특정부위를 더욱 지압 및 지지하여 혈액순환 및 하체의 바른 자세 교정을 하여 균형을 잡도록 하기 위한 기능성 레깅스에 관한 것으로, 신축성이 뛰어난 메인 겉감을 전면과 후면으로 나뉘어 바지 형태로 재단되어진 메인 겉감과, 상기 전면과 후면으로 나뉘어진 메인 겉감(10a,10b)의 내측면의 아랫배와 허벅지의 측면과 엉덩이 부분의 부위에 따라서 중첩되게 봉재되어 지압하고 지지하는 지지원단과, 상기 전면과 후면으로 나뉘어진 메인 겉감의 내측면의 허벅지의 전,후면과 정강이와 종아리 부분에 중첩되게 봉재되는 지압밴드로 봉재되어 하체를 바르게 교정하면서 혈액순환을 잘 되도록 하는 기능성 레깅스가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8-0002101호(2018.07.09. 공개)에는 상복부와 허리 및 골반을 견고하게 잡아주어 바른 자세로 보정 해줌은 물론 엉덩이와 허벅지 측면을 압박하고 지지하여 볼륨감을 돋보이게 할 뿐만 아니라 하체를 테이핑 요법으로 잡아주어 신체의 균형을 잡아 교정하므로 피로회복 및 하지정맥류와 같은 질병을 사전에 예방하고, 복부 및 허리를 지압해주어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며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신체의 기능을 활성화해주는 기능성 레깅스에 관한 것으로,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전면과 후면으로 나뉘어 바지 형태로 재단되는 메인 겉감과, 상기 메인 겉감 내측면의 허벅지 측면과 엉덩이 밑 라인 부위를 따라서 덧대어 봉제되어 착용자의 허벅지 측면과 엉덩이 밑 라인 부위를 압박하는 지지안감과, 상기 메인 겉감 내측면의 허벅지와 종아리 부분에 나선형으로 중첩되게 봉제되어 착용자의 다리를 감아주어 근육의 균형을 조절하여 하체를 교정해주는 압박밴드과, 상기 메인 겉감 내측면의 골반부위에 봉제되어 골반을 강하게 압박하여 잡아주어 골반을 보정해주는 골반밴드과, 상기 메인 겉감 내측면의 허리부위 둘레를 따라 허리를 받쳐주어 지지해주는 복수 개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레깅스가 개시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능성 하의류의 경우에는 원단의 신축성을 통해 하체 전체를 압박하되 압박밴드 또는 지지원단 등의 배열을 통해 특정부위를 압박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혈류를 개선하는 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능성 하의류의 경우에는 하지 부종, 하지 정맥류 등과 같은 질환 완화를 위한 압박에만 촛점이 맞춰져 있을 뿐, 하체 근육에 대한 길항작용을 통해 자세까지 교정할 수 있는 기능이나 피부를 지속적으로 보호하는 기능 등이 고려되지 않아 기능성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079587호(2020.04.07. 공고)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2-0127169호(2012.11.21. 공개) 3.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8-0002101호(2018.07.09. 공개)
혈액이나 체액의 원활한 흐름 유도를 통해 하지 부종, 하지 정맥류 등과 같은 질환이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형 보정효과가 동시에 제공될 수 있고 착용자의 활동 시에 바른 자세로 교정될 수 있도록 한 다기능성 하의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착용 시에 피부보습성분이 하체의 전 영역에 걸쳐 지속적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한 다기능성 하의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은 착용자의 하체 중 양 다리에 각각 착용되고 발 또는 발목에서 허벅지 쪽으로 갈수록 압박강도가 점진적 또는 단계적으로 감소되게 제조되는 다리부; 상기 다리부를 일체로 연결하고 착용자의 둔부, 하복부 및 허리에 착용되며 특정 압박강도를 갖도록 제조되는 몸통부; 및 상기 다리부 및 몸통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하체의 근육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근육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으로 배열되며 상기 근육에 대해 길항작용을 하는 방향으로 장력이 발생되도록 제조되는 근육길항부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하의류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근육길항부는 대응되는 근육의 주 작용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도록 직조 또는 편직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다리부, 상기 몸통부 및 상기 근육길항부는 피부보습캡슐이 혼합된 수지원료의 방적을 통해 형성된 커버링사를 심사의 둘레에 꼬아 감은 복합가연사로 직조 또는 편직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피부보습캡슐은 마이크로캡슐체 내에 알로에겔, 히알루론산, 글리세린, 스쿠알렌, 세라마이드, 천연보습인자(NMF), 식물성오일 중 하나 이상의 피부보습성분이 충전되어 형성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커버링사의 방적시에 상기 수지원료에는 맥반석, 게르마늄, 옥, 일라이트, 세리사이트, 토르말린 중 적어도 하나가 분말화된 원적외선방출분말이 혼합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커버링사의 방적시에 상기 수지원료에는 상기 마이크로캡슐체 내에 알테로모나스 발효 추출물이 포함되는 미세먼지반발캡슐이 더 혼합된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하의류에 의하면, 비록 둔부와 하복부 그리고 허리에 대응되는 몸통부에서는 압박강도가 증가되기는 하지만, 몸통부의 경우 피하지방이 상대적으로 많고 해부학적으로 혈관이 체내 깊이 위치되고 특히 다리부에서 압박강도가 발 또는 발목에서부터 허벅지로 갈수록 점진적 또는 단계적으로 감소됨에 따라 혈액이나 체액의 원활한 흐름 유도를 통해 하지 부종, 하지 정맥류 등과 같은 질환이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형 보정효과가 동시에 제공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하의류에 의하면, 하체의 근육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지되 하체의 근육에 대해 길항작용을 하는 근육길항부가 하체의 근육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열됨에 따라 착용자의 활동 시에 바른 자세로 교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하의류에 의하면, 피부보습캡슐이 혼합된 수지원료의 방적을 통해 형성된 커버링사를 심사의 둘레에 꼬아 감은 복합가연사로 직조 또는 편직됨에 따라 착용 시에 피부보습성분이 하체의 전 영역에 걸쳐 지속적으로 방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하의류의 착용상태도.
도 2 및 도 3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하의류의 압박강도 예시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하의류에 있어서, 근육길항부의 배열구조도.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하의류의 직조 또는 편직에 사용되는 복합가연사의 개략구조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하의류의 착용상태도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하의류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착용자의 하체 중 양 다리에 각각 착용되는 다리부(10)와, 착용자의 둔부, 하복부 및 허리에 착용되고 다리부(10)를 일체로 연결하는 몸통부(20)를 포함하되, 다리부(10)와 몸통부(20) 중 적어도 하나에 근육길항부(30)가 배열되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다리부(10)는 착용자의 하체 중 양 다리에 각각 착용되는 부분으로 착용자의 발 또는 발목에서부터 허벅지에 대응된다. 다리부(10)는 발에서부터 허벅지까지의 신체부위에 대응될 수도 있고, 발 부분을 제외하고 발목에서부터 허벅지까지의 신체부위에 대응될 수도 있다.
이러한 다리부(10)는 발 또는 발목에서 허벅지 쪽으로 갈수록 압박강도가 점진적 또는 단계적으로 감소되게 직조, 편직 또는 원단 재봉 등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이 경우에 다리부(10)는 발가락부에서 허벅지 상단부에 이르기까지 예를 들어 39mmHg의 압박강도에서부터 예를 들어 10mmHg의 압박강도로 점진적으로 감소되게 직조 또는 편직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하의류에 있어서, 다리부의 압박강도가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다리부(10)는 실시예에 따라 발부, 발목부, 하부종아리부, 상부종아리부, 무릎하부, 무릎부, 무릎상부, 하부허벅지부, 상부허벅지부로 구분되게 직조 또는 편직되되, 발부에서부터 상부허벅지부로 갈수록 압박강도가 단계적으로 감소되게 직조, 편직 또는 원단 재봉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발부는 예를 들어 36~39mmHg의 압박강도를 갖도록 직조 또는 편직되고, 발목부는 예를 들어 33~35mmHg의 압박강도를 갖도록 직조 또는 편직되며, 하부종아리부는 예를 들어 30~32mmHg의 압박강도를 갖도록 직조 또는 편직되고, 상부종아리부는 예를 들어 26~29mmHg의 압박강도를 갖도록 직조 또는 편직되며, 무릎하부는 예를 들어 23~25mmHg의 압박강도를 갖도록 직조 또는 편직되고, 무릎부는 예를 들어 20~22mmHg의 압박강도를 갖도록 직조 또는 편직되며, 무릎상부는 예를 들어 17~19mmHg의 압박강도를 갖도록 직조 또는 편직되고, 하부허벅지부는 예를 들어 14~16mmHg의 압박강도를 갖도록 직조 또는 편직되며, 상부허벅지부는 예를 들어 10~13mmHg의 압박강도를 갖도록 직조 또는 편직될 수 있다.
다리부(10)는 실시예에 따라 발부가 없는 상대로 발목부, 하부종아리부, 상부종아리부, 무릎하부, 무릎부, 무릎상부, 하부허벅지부, 상부허벅지부로 구분되게 직조 또는 편직되되, 발목부에서부터 상부허벅지부로 갈수록 압박강도가 단계적으로 감소되게 직조, 편직 또는 원단 재봉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발목부는 예를 들어 33~35mmHg의 압박강도를 갖도록 직조 또는 편직되며, 하부종아리부는 예를 들어 30~32mmHg의 압박강도를 갖도록 직조 또는 편직되고, 상부종아리부는 예를 들어 26~29mmHg의 압박강도를 갖도록 직조 또는 편직되며, 무릎하부는 예를 들어 23~25mmHg의 압박강도를 갖도록 직조 또는 편직되고, 무릎부는 예를 들어 20~22mmHg의 압박강도를 갖도록 직조 또는 편직되며, 무릎상부는 예를 들어 17~19mmHg의 압박강도를 갖도록 직조 또는 편직되고, 하부허벅지부는 예를 들어 14~16mmHg의 압박강도를 갖도록 직조 또는 편직되며, 상부허벅지부는 예를 들어 10~13mmHg의 압박강도를 갖도록 직조 또는 편직될 수 있다.
또한 다리부(10)는 실시예에 따라발부, 발목부, 종아리부, 무릎부, 허벅지부로 구분되게 직조 또는 편직되되, 발부에서부터 허벅지부로 갈수록 압박강도가 단계적으로 감소되게 직조 또는 편직될 수 있다.
발부 또는 발목부에서 허벅지 상단부 쪽으로 갈수록 압박강도가 점진적 또는 단계적으로 감소되게 다리부(10)가 제조될 경우에는 착용자의 다리 중 심장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되는 하체부위일수록 더 강한 압박강도로 압박됨에 따라 다리의 표재 및 심부 정맥을 압박하여 혈액 또는 체액의 역류가 방지될 수 있고, 모세혈관 내 미세순환 혈류를 개선될 수 있으며, 하지 부종, 하지 정맥류 등의 질환이 완화될 수 있다.
전술한 다리부(10)는 몸통부(20)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다. 몸통부(20)는 착용자의 둔부, 하복부 및 허리에 착용되는 부분으로 착용자의 둔부, 하복부 및 허리에 대응되는 1개의 슬리브 형태를 가진다.
몸통부(20)는 특정 압박강도를 갖도록 직조, 편직 또는 원단 재봉 등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이 때 몸통부(20)는 둔부 및 하복부에 대응되는 부분이 특정 압박강도를 갖도록 제조됨에 따라 착용자의 둔부 및 하복부의 압박을 통해 착용자의 체형이 보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몸통부(20)는 허벅지부 보다 더 큰 압박강도를 가질 수 있다.
몸통부(20)가 둔부 및 하복부의 체형 보정을 위해 특정 압박강도를 가지는 경우라 하더라도 신체부위 중에서 몸통부(20)에 대응되는 둔부와 하복부 그리고 허리는 피하지방이 상대적으로 많고 해부학적으로도 혈관이 상대적으로 체내 깊이 위치됨에 따라 혈액 또는 체액이 역류없이 허벅지에서 몸통을 거쳐 상체로 원활하게 순환될 수 있다.
전술한 다리부(10) 및 몸통부(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근육길항부(30)가 구비된다. 근육길항부(30)는 하체의 근육에 대해 길항작용을 제공함에 따라 착용자의 자세를 바르게 교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하체의 근육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위치에 해당 근육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배열되며 해당 근육에 대해 길항작용을 하는 방향으로 장력(고신축성)이 발생되도록 직조 또는 편직될 수 있다. 이 때 해당 근육에 대해 길항작용을 하는 방향이란 해당 근육의 주 작용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인체의 동작시에 수축을 주로 하는 근육의 경우 근이완방향이 길항작용을 하는 방향이고, 인체의 동작시에 이완을 주로 하는 근육의 경우 근수축방향이 길항작용을 하는 방향이다.
도 4에는 이러한 근육길항부의 배열구조가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근육길항부(30)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전면치골에서 대퇴골까지 뻗은 대내전근과 유사한 긴 삼각형 모양으로, 다리부(10)의 대내전근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대내전근에 대응되는 근육길항부(30)는 전면치골을 향하는 방향으로 장력, 즉 고신축성을 가지도록 직조 또는 편직될 수 있다.
또한 근육길항부(30)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허벅지의 배면측에 길게 위치되는 대퇴이두근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다리부(10)의 대퇴이두근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대퇴이두근에 대응되는 근육길항부(30)는 상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장력, 즉 고신축성을 가지도록 직조 또는 편직될 수 있다.
또한 근육길항부(30)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허벅지의 전면 양측에 길게 위치되는 대퇴삼두근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다리부(10)의 대퇴삼두근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대퇴삼두근에 대응되는 근육길항부(30)는 상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장력, 즉 고신축성을 가지도록 직조 또는 편직될 수 있다.
또한 근육길항부(30)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종아리의 비복근과 가자미근이 합해진 형상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몸통부(20) 중 종아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비복근과 가자미근에 대응되는 근육길항부(30)는 상부 방향으로 장력, 즉 고신축성을 가지도록 직조 또는 편직될 수 있다.
또한 근육길항부(30)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엉덩이의 대부분을 덮는 대둔근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몸통부(20) 중 둔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대둔근에 대응되는 근육길항부(30)는 상부 중앙을 향해 경사지는 방향으로 장력, 즉 고신축성을 가지도록 직조 또는 편직될 수 있다.
이러한 근육길항부(30)는 대내전근, 대퇴이두근, 대퇴삼두근, 비복근과 가자미근 및 대둔근 뿐만 아니라, 대퇴반건양근, 대퇴반막양근, 봉공근, 박근 전경골근, 장지신근, 중둔근, 대퇴근막장근, 이상근 등과 같은 다른 하체 근육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해당 근육에 대한 길항작용을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근육길항부(30)는 실시예에 따라 하체 근육뿐만 아니라 장경인대와 같은 인대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해당 인대에 대한 길항작용을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근육길항부(30)는 다리부(10) 및 몸통부(20)의 직조 또는 편직 시에 다리부(10) 및 몸통부(20)의 특정 위치에 특정형상으로 다리부(10) 및 몸통부(20)의 일부분을 형성하도록 직조, 편직되거나 또는 재봉되되, 특정 방향으로 고신축성을 갖도록 직조 또는 편직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다리부(10) 및 몸통부(20)와 개별적으로 제조되어 다리부(10) 및 몸통부(20)의 특정위치에 덧대어지도록 재봉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다리부(10), 몸통부(20) 및 근육길항부(30)는 심사의 둘레에 커버링사를 꼬아감는 통상의 복합가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복합가연사로 직조 또는 편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하의류의 직조 또는 편직에 사용되는 복합가연사의 개략구조가 도시된다.
전술한 다리부(10), 몸통부(20) 및 근육길항부(30)는 특히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피부보습캡슐(130)이 혼합된 수지원료의 방적을 통해 형성된 커버링사(120)를 심사(110)의 둘레에 꼬아 감은 복합가연사로 직조 또는 편직됨에 따라 커버링사(120)의 외부면에 피부보습캡슐(130)이 노출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심사(110)는 고신축성과 압박강도의 구현을 위해 예를 들어 스판덱스(spandex)사로 통칭되는 폴리우레탄계 섬유사가 적용 가능하며, 커버링사(120)는 나일론과 같은 합성섬유사가 적용 가능하다.
커버링사(120)의 방적시에 수지원료에 혼합되는 피부보습캡슐(130)은 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한 마찰에 의해 파괴되면서 내부의 피부보습성분이 방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통상의 마이크로캡슐 내에 알로에겔, 히알루론산, 글리세린, 스쿠알렌, 세라마이드, 천연보습인자(NMF), 식물성오일 중 하나 이상의 피부보습성분이 충전되어 형성된다.
피부보습캡슐(130)은 커버링사(120)의 방적시에 수지원료 100 중량부에 대해 0.1 내지 5.0 중량부의 양으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피부보습캡슐(130)이 0.1 중량부 미만으로 수지원료에 혼합될 경우에는 피부보습효과가 미미한 문제점이 있고, 피부보습캡슐(130)이 5.0 중량부를 초과하여 수지원료에 혼합될 경우에는 커버링사(120)의 방적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커버링사(120)의 방적시에 수지원료에는 피부보습캡슐(130) 외에 원적외선방출분말(140)이 추가적으로 혼합될 수 있다. 원적외선방출분말(140)은 착용차의 체열과 마찰열을 통해 가열되면서 피부에 원적외선 또는 음이온을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맥반석, 게르마늄, 옥, 일라이트, 세리사이트, 토르말린 중 적어도 하나가 분말화, 특히 미세분말화되어 형성 가능하다.
원적외선방출분말(140)은 커버링사(120)의 방적시에 수지원료 100 중량부에 대해 0.1 내지 5.0 중량부의 양으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원적외선방출분말(140)이 0.1 중량부 미만으로 수지원료에 혼합될 경우에는 원적외선방출효과가 미미한 문제점이 있고, 원적외선방출분말(140)이 5.0 중량부를 초과하여 수지원료에 혼합될 경우에는 커버링사(120)의 방적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커버링사(120)의 방적시에 수지원료에는 피부보습캡슐(130) 외에 미세먼지반발캡슐(150)이 추가적으로 혼합될 수 있다. 미세먼지반발캡슐(150)은 마이크로캡슐체 내에 알테로모나스 발효 추출물이 충전되어 형성된다.
커버링사(120)의 방적시에 수지원료에 혼합되는 미세먼지반발캡슐(150)은 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한 마찰에 의해 파괴되면서 내부의 알테로모나스 발효 추출물이 방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 때 알테로모나스 발효 추출물은 커버링사(120)의 표면에 양이온 막을 형성하여 미세먼지가 피부에 달라붙는 것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피부보습효과를 제공한다.
알테로모나스 발효 추출물은 3℃ 내지 15℃의 온도에서 발효산물을 생성하는 저온 미생물인 알테로모나스(alteromonas) 속 균주의 발효산물을 추출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발효 대상 물질은 한약재, 천연약용물질, 야채, 과일, 곡물, 및 해조류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알테로모나스 속 균주는 알테로모나스 아르티카(alteromonas arctica), 알테로모나스 사이테리아(alteromonas citrea), 알테로모나스 엘야코비(alteromonas elyakovii), 알테로모나스 할로플랭크티스(alteromonas haloplanktis), 알테로모나스 데니트리피칸스(alteromonas denitrificans), 알테로모나스 강휀시스(alteromonas ganghwensis), 알테로모나스 니그리파시엔스(alteromonas nigrifaciens) 및 알테로모나스 엔탁티카(alteromonas antarctic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세먼지반발캡슐(150)은 커버링사(120)의 방적시에 수지원료 100 중량부에 대해 0.1 내지 5.0 중량부의 양으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미세먼지반발캡슐(150)이 0.1 중량부 미만으로 수지원료에 혼합될 경우에는 미세먼지 반발을 위한 양이온막 형성효과가 미미한 문제점이 있고, 미세먼지반발캡슐(150)이 5.0 중량부를 초과하여 수지원료에 혼합될 경우에는 커버링사(120)의 방적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하의류의 전체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하의류의 경우에는 비록 둔부와 하복부 그리고 허리에 대응되는 몸통부(20)에서 압박강도가 증가되기는 하지만, 몸통부(20)에 대응되는 둔부와 하복부 그리고 허리의 경우 피하지방이 상대적으로 많고 해부학적으로 혈관이 체내 깊이 위치되고 특히 다리부(10)에서 압박강도가 발 또는 발목에서부터 허벅지로 갈수록 점진적 또는 단계적으로 감소됨에 따라 혈액이나 체액의 원활한 흐름 유도를 통해 하지 부종, 하지 정맥류 등과 같은 질환이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둔부와 하복부에 대해 체형 보정효과가 동시에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하의류의 경우에는, 하체의 근육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지되 하체의 근육에 대해 길항작용을 하는 근육길항부(30)가 하체의 근육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열됨에 따라 착용자의 활동 시에 근육길항부(30)의 길항작용으로 한해 바른 자세로 교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근력운동 강도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하의류에 의하면, 피부보습캡슐(130)이 혼합된 수지원료의 방적을 통해 형성된 커버링사(120)를 심사(110)의 둘레에 꼬아 감은 복합가연사에 의해 직조 또는 편직되거나, 이렇게 직조 또는 편직된 원단이 재봉되어 제조됨에 따라 착용 시에 피부보습성분이 하체의 전 영역에 걸쳐 지속적으로 방출된다.
또한 커버링사(120)의 방적을 위한 수지원료에 피부보습캡슐(130) 외에 원적외선방출분말(140)이 추가적으로 혼합될 경우에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하의류의 착용 시에 원적외선이 하체의 전 영역에 걸쳐 지속적으로 방출될 수 있다. 또한 커버링사(120)의 방적을 위한 수지원료에 피부보습캡슐(130) 외에 미세먼지반발캡슐(150)이 추가적으로 혼합될 경우에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하의류의 착용 시에 다리부(10), 몸통부(20) 및 근육길항부(30)의 표면에 양이온 막을 형성하는 알테로모나스 발효 추출물이 전 영역에 걸쳐 방출됨에 따라 미세먼지가 달라붙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다리부
20 : 몸통부
30 : 근육길항부
100 : 복합가연사
110 : 심사
120 : 커버링사
130 : 피부보습캡슐
140 : 원적외선방출분말
150 : 미세먼지반발캡슐

Claims (6)

  1. 착용자의 하체 중 양 다리에 각각 착용되고 발 또는 발목에서 허벅지 쪽으로 갈수록 압박강도가 점진적 또는 단계적으로 감소되게 제조되는 다리부;
    상기 다리부를 일체로 연결하고 착용자의 둔부, 하복부 및 허리에 착용되며 특정 압박강도를 갖도록 제조되는 몸통부; 및
    상기 다리부 및 몸통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하체의 근육인 대내전근, 대퇴이두근, 대퇴삼두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근육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배열되며 상기 근육의 주 작용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인 길항작용을 하는 방향으로 장력이 발생되게 신축성을 갖도록 직조 또는 편직된 근육길항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내전근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근육길항부는 전면치골을 향하는 방향으로 장력을 갖도록 제조되며,
    상기 대퇴이두근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근육길항부 및 상기 대퇴삼두근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근육길항부는 상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장력을 갖도록 제조되고,
    상기 다리부, 상기 몸통부 및 상기 근육길항부는 피부보습캡슐이 혼합된 수지원료의 방적을 통해 형성된 커버링사를 심사의 둘레에 꼬아 감은 복합가연사로 직조 또는 편직되며,
    상기 커버링사의 방적시에 상기 수지원료에는 마이크로캡슐체 내에 알테로모나스 발효 추출물이 포함되어 형성되는 미세먼지반발캡슐이 더 혼합되는 다기능성 하의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부보습캡슐은 마이크로캡슐체 내에 알로에겔, 히알루론산, 글리세린, 스쿠알렌, 세라마이드, 천연보습인자(NMF), 식물성오일 중 하나 이상의 피부보습성분이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하의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사의 방적시에 상기 수지원료에는 맥반석, 게르마늄, 옥, 일라이트, 세리사이트, 토르말린 중 적어도 하나가 분말화된 원적외선방출분말이 더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하의류.
  6. 삭제
KR1020200073424A 2020-06-17 2020-06-17 다기능성 하의류 KR102530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424A KR102530508B1 (ko) 2020-06-17 2020-06-17 다기능성 하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424A KR102530508B1 (ko) 2020-06-17 2020-06-17 다기능성 하의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925A KR20210155925A (ko) 2021-12-24
KR102530508B1 true KR102530508B1 (ko) 2023-05-10

Family

ID=79176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424A KR102530508B1 (ko) 2020-06-17 2020-06-17 다기능성 하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050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912B1 (ko) * 2011-02-21 2013-01-22 지정우 하체의 균형된 자세와 근파워를 증가시겨주는 기능성 의류
KR101989483B1 (ko) * 2019-01-22 2019-09-30 김샤샤 마이크로 캡슐 화장품이 함침되고 경사 또는 'x'자 형상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보정 속옷
KR102105795B1 (ko) * 2019-10-11 2020-04-28 제동욱 압박 레깅스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104B1 (ko) 2011-10-25 2014-11-25 박희진 기능성 레깅스
KR200487233Y1 (ko) 2016-12-29 2018-08-27 오윤경 기능성 레깅스
KR102079587B1 (ko) 2019-10-18 2020-04-07 주식회사 애슬레저 구리 나노 압박 스타킹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912B1 (ko) * 2011-02-21 2013-01-22 지정우 하체의 균형된 자세와 근파워를 증가시겨주는 기능성 의류
KR101989483B1 (ko) * 2019-01-22 2019-09-30 김샤샤 마이크로 캡슐 화장품이 함침되고 경사 또는 'x'자 형상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보정 속옷
KR102105795B1 (ko) * 2019-10-11 2020-04-28 제동욱 압박 레깅스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925A (ko) 2021-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32340B1 (en) Compression garments and method of manufacture
CA2825318C (en) Systems and methods of cosmeto-compression apparel
KR101293698B1 (ko) 압박 의류 및 그 제조 방법
CN107624041A (zh) 利用圆机生产的具有弹性插入物的服装
KR101728958B1 (ko) 기능성 레깅스
KR101540906B1 (ko) 임산부용 압박스타킹
KR102381212B1 (ko)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편직물
KR102530508B1 (ko) 다기능성 하의류
US10869511B2 (en) Garment with localized circulation boosting feature
CN106213605B (zh) 一种具有按摩功能的智能压迫无缝运动紧身裤
KR20220049833A (ko) 기능성 레깅스
WO2010050539A1 (ja) 衣類
KR20110012027U (ko) 체형을 교정하는 의복
JP2005248389A (ja) 脚部を有する衣類
CN208639643U (zh) 一种可调式压缩服
KR200389582Y1 (ko) 기능성 내의
CN208425562U (zh) 一种护髌骨的护膝
CN206933363U (zh) 一种女士文胸
CN108338428A (zh) 一种可调式压缩服
KR200481570Y1 (ko) 태피스트리 자카드 직조법을 이용한 기능성 양말
WO2012120255A1 (en) An article of apparel
KR102358864B1 (ko) 기능성 의류
KR102631511B1 (ko) 자세교정용 의류
KR102465422B1 (ko) 혈액순환 개선을 위하여 하지에 압박력을 부여하기 위한 압박밴드
AU2017204364B2 (en) Compression Garm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