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502B1 - 정수기 및 정수기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정수기 및 정수기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502B1
KR102530502B1 KR1020210060760A KR20210060760A KR102530502B1 KR 102530502 B1 KR102530502 B1 KR 102530502B1 KR 1020210060760 A KR1020210060760 A KR 1020210060760A KR 20210060760 A KR20210060760 A KR 20210060760A KR 102530502 B1 KR102530502 B1 KR 102530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quality
quality measurement
filte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7926A (ko
Inventor
박지훈
홍진혁
Original Assignee
애터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터미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애터미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37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7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Customer relationship services
    • G06Q30/015Providing customer assistance, e.g. assisting a customer within a business location or via helpdesk
    • G06Q30/016After-sa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정수기 및 정수기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 제어 방법은, 정수기로 입수되는 원수 및 정수의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 측정부를 향하는 제 1-1 방향 또는, 원수를 필터링하여 정수를 출력하는 필터부를 향하는 제 1-2 방향 중 하나로 이동하도록 제 1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와, 수질 측정부로부터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와, 정수가 수질 측정부를 향하는 제 2-1 방향 또는 음용을 위해 출수되도록 정수기 외부로 향하는 제 2-2 방향 중 하나로 이동하도록 제 2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와, 수질 측정부로부터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질 측정부로부터 수신한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 및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정수기의 상태를 진단하고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 및 정수기 제어 방법{WATER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TER PURIFIER}
본 개시는 정수기 자체의 수질 측정 기능을 통한 원수 및 정수의 수질 판단에 기초하여 정수기 상태를 진단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 및 정수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물리적 및 화학적 과정을 거쳐 물을 마실 수 있도록 정화하는 기구를 의미하는 것이다. 형태로 분류하면 수도꼭지에 직접 연결하는 직수형과 물을 용기에 담아서 필터를 통과하도록 하는 저장형이 있다. 정수원리나 방식에 따라 분류하면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이온교환수지식, 증류식, 역삼투압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정수기는 수돗물을 수종의 필터를 거쳐 정수하고 온냉수로 공급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원수인 수돗물이 들어와서 침전필터에서 이물질이 제거되고 카본필터를 거쳐 정수되고 자외선필터를 거쳐서 살균되어 음용 가능한 온냉수탱크로 분할 공급되는 구조이다.
정수기의 구조에 있어, 필터는 가장 핵심이 되는 구성으로, 필터의 교체 시기를 정확히 파악하여야 최적의 상태로 정수기의 수질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종래에는 유효 정수량으로 필터 수명을 추정하였으며, 정기적으로 각 가정을 직접 방문해 필터를 교체해주거나 사용자가 유효 정수량에 기초한 필터 주기에 따라 직접 필터를 교체해야 했다. 여기서, 유효 정수량은 유리 잔류염소 2.0mg/L 인 유입수를 통과 시켜 유출수 유리 잔류염소가 0.4mg/L (80% 제거)될 때까지의 최대 통과 수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유효 정수량을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들의 사용 평균치에 따른 필터 수명을 추정할 수 있었다. 정기적으로 각 가정을 직접 방문해 필터를 교체해주거나 사용자가 직접 필터를 교체해야 한다.
그러나 지역마다 상수도의 수질이 다를 수 있다. 즉, 정수기가 각기 다른 외부 환경에서 사용되고 있어, 정수기 필터의 실제 정화력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지역에 따른 수도관 노후 등의 지역적 편차를 고려할 수 없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필터 교체를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각 가정을 직접 방문하여 정수기를 점검해야 하는 등의 인력 및 비용의 낭비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환경오염이 가속화되고 건강에 관한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정수기 소비자들에게 정확한 필터의 교체 시기뿐만 아니라, 정수기 자체의 수질 및 집에 공급되는 원수의 수질 정보 등 보다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개시의 실시 예의 일 과제는, 정수기 자체의 수질 측정 기능을 통해 원수 및 정수의 수질 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정수기 진단 및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의 일 과제는, 정수기 자체의 자가 진단 기능을 통해 원수 및 정수의 수질 정보와 필터별 교체 시기를 파악하여 사용자가 제품의 이상을 인지하기 전에 정수기 상태를 사전 진단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의 일 과제는, 가정에 공급된 원수와 필터를 거친 정수간 수질 분석을 통해 센서 계측값으로 필터 상태를 파악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각기 다른 환경에서도 객관적인 필터오염/교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의 일 과제는, 입수 시 수질 및 정수 후 수질 판단을 이용하여 수질이 나쁨 단계 진입 시, 필터 교체 알람 또는 급수 차단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제품 만족도 및 신뢰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의 일 과제는, 정수기 내부의 잔류수가 배수될 수 있도록 하고, 살균수 및 소독수의 효과를 검증하여 정수기 배관 및 저수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의 일 과제는, 정수기 자체에서 자가 진단 후 실시간으로 정수기 상태를 제공하여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을 감소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의 일 과제는, 전세계의 나라별/지역별 수질 공공데이터와 가정에 공급되는 원수 수질 측정 비교 분석을 통해 옥내외 배관 상태를 진단하여 미리 알림 서비스 및 세척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의 일 과제는, 고객별 센서 데이터 수집 및 빅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여 고객 맞춤 필터 선정 및 필터 상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 제어 방법은, 정수기 자체의 자가 진단 기능을 통해 수질 정보 및 필터별 교체 시기를 파악하여 정수기 상태를 사전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 제어 방법은, 정수기로 입력되는 원수 및 정수의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 측정부를 향하는 제 1-1 방향 또는, 원수를 필터링하여 정수를 출력하는 필터부를 향하는 제 1-2 방향 중 하나로 이동하도록 제 1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와, 수질 측정부로부터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와, 정수가 수질 측정부를 향하는 제 2-1 방향 또는 음용을 위해 출수되도록 정수기 외부로 향하는 제 2-2 방향 중 하나로 이동하도록 제 2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와, 수질 측정부로부터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질 측정부로부터 수신한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 및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정수기의 상태를 진단하고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 제어 방법을 통하여, 정수기 자체의 수질 측정 기능을 통해 원수 및 정수의 수질 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정수기 진단 및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하면, 정수기 자체의 자가 진단 기능을 통해 원수 및 정수의 수질 정보와 필터별 교체 시기를 파악하여 정수기 상태를 사전 검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수기 진단 및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정에 공급된 원수와 필터를 거친 정수간 수질 분석을 통해 유효 정수량으로 필터 수명을 추정하는 방식이 아닌 센서 계측값으로 필터 상태를 파악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각기 다른 환경에서도 보다 정확한 필터오염/교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입수 시 수질 및 정수 후 수질 판단을 이용하여 수질이 나쁨 단계 진입 시, 필터 교체 알람 또는 급수 차단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의 제품 만족도 및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정수기 내부에 잔류하고 있는 잔류수를 배수하고, 정수기 내부에 공급되는 살균수 및 소독수를 배수하여, 정수기 배관의 오염을 방지하고 잔압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잔류수의 수질을 측정하여 배관 오염 방지를 위한 배관 상태를 파악하고, 정수기 내부의 살균수 및 소독수의 공급 전후 수질 측정 비교를 통해 살균 및 소독 효과를 검증하여, 필터 유지 시간을 늘릴 수 있고 수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정수기 자체에서 자가 진단 후 실시간으로 정수기 상태를 제공하여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전세계의 나라별/지역별 수질 공공데이터와 가정에 공급되는 원수 수질 측정 비교 분석을 통해 옥내외 배관 상태를 진단하여 미리 알림 서비스 및 세척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정수기의 성능 및 제품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세계의 나라별/지역별 수질 공공데이터를 반영하여 글로벌 워터 맵 빅데이터를 구축함으로써, 글로벌 수질정보 분석을 통해 공공 이익을 실현하고 제품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객별 센서 데이터 수집 및 빅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여 고객 맞춤 필터 선정 및 필터 상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기반의 실시간 정수기 사용 패턴, 필터별 상태, 수질 상태를 고려한 정수기 관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제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정수기 자체는 대량 생산된 획일적인 제품이지만, 사용자는 정수기를 개인화된 장치로 인식하므로 사용자 맞춤형 제품의 효과를 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밸브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필터에 대한 제어부의 밸브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물의 흐름 순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 제어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필터에 대한 정수기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정수기 제어 시스템(1)은 정수기(100), 서버(200), 사용자 단말(300) 및 네트워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정수기 제어 시스템(1)은 정수기(100)의 수질 정보를 수집하여 정수기(100)의 진단 및 사전 관리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가정에 공급되는 원수의 수질 정보, 정수된 물의 수질 정보, 각각의 필터를 통과한 후의 수질 정보 등을 수집하여 정수기(100)의 상태를 자가 진단하고, 수질 오염 발생 시 필터 교체 알림 기능이나 오염 농도 초과 시 급수 차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정수기 제어 시스템(1)은 정수기(100)의 밸브들을 제어하여 필터별 기능 검사가 가능하도록 하여 필터별로 최적의 교체 시기에 따라 교체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정수기는 크게 구분하면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미도시)와, 케이스 내부에 구비된 입수부(101), 출수부(102), 수질 측정부(103) 및 필터부(104)를 포함하는 정수기 본체로 구성될 수 있다. 정수기 본체의 외형은 케이스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모양은 한정되지 않는다.
정수기(100)의 케이스에는, 사용자에 의해 정수기 제어를 위한 조작 신호가 선택 입력되는 조작부(미도시)와, 정수기 수질 상태, 정수기 설정 모드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표시부는 외부로 정수기 수질 상태 등에 따른 알림을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알림부는 외부로 빛을 출력하는 LED 모듈, 알림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정수기 수질 상태 등에 따른 알림을 표시부를 통해 출력할 때, 동시에 사용자 단말(300)에도 알림 내용에 대해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정수기(100)의 본체에 포함되는 내부 구성을 살펴보면, 정수기(100)는 수돗물인 원수가 입수되는 입수부(101), 음용을 위해 정수된 물이 출수되는 출수부(102), 정수기 내 물(원수, 정수 등)의 수질을 측정하고 배수하는 수질 측정부(103) 및 외부에서 유입된 원수를 필터링하여 정수를 출력하는 필터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입수부(101)는 외부로부터 원수가 입수되는 입수라인과 입수된 원수의 이동을 조절하는 제 1 밸브(101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입수라인을 통과한 원수가 제 1 밸브(1011)의 개폐 동작에 의해 필터부(104) 또는 수질 측정부(103)를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 예에서는 원수가 수질 측정부(103)를 향하는 방향을 제 1-1 방향, 원수가 필터부(104)를 향하는 방향을 제 1-2 방향으로 명명할 수 있다.
제 1 밸브(1011)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3 Way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즉, 제 1 밸브(1011)는 세 개의 파이프 접속구와 두 개의 오리피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세 개의 파이프 접속구는 각각 원수가 입수되는 원수 입수라인, 제 1-1 방향의 유로 및 제 1-2 방향의 유로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오리피스는 제 1-1 방향의 유로 및 제 1-2 방향의 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 1-1 방향의 오리피스가 개방되고 제 1-2 방향의 오리피스가 폐쇄되면, 입수된 원수는 제 1-1 방향으로 흐를 수 있으며, 제 1-1 방향의 오리피스가 폐쇄되고 제 1-2 방향의 오리피스가 개방되면, 입수된 원수는 제 1-2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출수부(102)는 음용수가 출수되는 출수라인과 정수의 이동을 조절하는 제 2 밸브(102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원수가 필터부(104)를 통과하여 정화 완료된 정수가 제 2 밸브(1021)의 개폐 동작에 의해 수질 측정부(103) 또는 출수라인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 예에서는 정수가 수질 측정부(103)를 향하는 방향을 제 2-1 방향, 정수가 출수라인을 향하는 방향을 제 2-2 방향으로 명명할 수 있다.
제 2 밸브(1021)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3 Way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즉, 제 2 밸브(1021)는 세 개의 파이프 접속구와 두 개의 오리피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세 개의 파이프 접속구는 각각 필터부(104)로부터 정수가 입수되는 유로, 제 2-1 방향의 유로 및 제 2-2 방향의 출수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오리피스는 제 2-1 방향의 유로 및 제 2-2 방향의 출수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 2-1 방향의 오리피스가 개방되고 제 2-2 방향의 오리피스가 폐쇄되면, 정수는 제 2-1 방향으로 흐를 수 있으며, 제 2-1 방향의 오리피스가 폐쇄되고 제 2-2 방향의 오리피스가 개방되면, 정수는 제 2-2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수질 측정부(103)는 원수 및 정수의 수질을 측정하는 것으로, 저수조(1032) 내의 원수 또는 정수를 보관 유지 또는 배수하는 제 3 밸브(1031)와, 원수 또는 정수를 보관하는 저수조(1032)와, 저수조(1032) 내에 위치하여 원수 또는 정수의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 측정 센서(103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 3 밸브(1031)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2 Way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즉, 수질 측정을 위해 저수조(1032) 내에 원수 또는 정수가 보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 3 밸브(1031)가 폐쇄될 수 있고, 수질 측정 이후에는 제 3 밸브(1031)가 개방되어 원수 또는 정수가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저수조(1032)는 수질 측정을 위한 것으로, 그 형태 및 소재는 한정되지 않으며, 부식에 강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저수조(1032) 내에 UV 램프(미도시) 및 히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으며, UV 램프 및 히터를 통해 저수조(1032)를 건조 및 소독하여 살균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저수조(1032) 내에 교반기 역할을 하는 팬(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으며, 팬을 통해 저수조(1032) 내 원수 또는 정수의 정확한 수질 측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팬은 센서 보호를 위해 센서와 반대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배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밸브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수질 측정 센서(1033)는 복수 개 구비되어 원수 및 정수의 오염 정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TDS(Total Dissolved Solids) 센서 및 pH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수질 측정 센서(1033)는 수소이온농도, 용존산소량, 화학적 산소요구량, 오니농도, 슬러지농도, 전도도, 비저항, 염분농도, 잔류염소량, 탁도 등의 수질 측정 항목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TDS(Total Dissolved Solids) 센서는 물의 TDS를 측정하는 것으로, TDS는 활동성을 가진 충전된 이온의 총량, 즉 물 속에 들어 있는 용해성 고형물질의 총량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DS는 미네랄, 염분, 금속 등도 포함할 수 있다. 측정단위는 mg/L로 표시하거나, ppm(Parts Per Million) 단위로 표시될 수 있다.
즉, TDS 값은 물 1리터에 몇 밀리그램의 고형물질(광물, 염, 금속, 양이온, 음이온 등)이 들어있는가를 보여주는 것으로, 순수한 물 이외의 모든 물질을 나타내는 값이며 이는 수질을 나타내는 지표로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TDS 값이 낮을수록 중금속(크롬, 납, 아연, 구리 등)이나 가용성 염류(칼슘, 마그네슘, 이온 등), 이온(암모늄, 아세트산나트륨 등) 등이 적어 순수한 물(수질)에 가깝다. TDS는 물의 전기 전도도 값을 기초로 할 수 있다. 순수한 물은 전도도 값이 0이며, TDS는 정도에 따라서 EC(전기 전도도, Electrical Conductivity) 값에 일정한 상수를 곱해서 계산할 수 있다. 대체로 EC의 값이 높으면 TDS를 결정하는 변환상수의 값도 커진다.
TDS 값은 일반적으로 300 이하는 good(좋음), 300-600은 fair(적합), 600-900은 poor(나쁨), 900-1200 혹은 1200 이상은 unacceptable(부적합)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TDS 값은 300 이하를 먹는 물 수질기준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이는 변경 가능할 수 있다.
pH 센서는 pH로 알려진 용액의 산도 또는 알칼리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pH는 산도 또는 알칼리도의 정도를 보여주는 측정 단위이다. 0에서 14까지의 척도로 측정될 수 있다. 이때, 적정 pH 값은 6.5 ~ 8.5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이는 변경 가능할 수 있다.
필터부(104)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을 여과하여 정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물을 여과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필터와 밸브, 즉 N 개의 필터(1042-(N))와, N 개의 필터(1042-(N)) 각각의 사이에 물의 이동을 조절하는 N-1 개의 제 4 밸브(1041-(N-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필터가 2개 구비되는 경우, 필터부(104)는 제 4 밸브(1041)와 제 1 필터(1042-1) 및 제 2 필터(104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터가 4개 구비되는 경우, 필터부(104)는 제 4-1 밸브(1041-1), 제 4-2 밸브(1041-2) 및 제 4-3 밸브(1041-3)와, 제 1 필터(1042-1), 제 2 필터(1042-2), 제 3 필터(1042-3) 및 제 4 필터(1042-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제 1 필터(1042-1), 제 2 필터(1042-2), 제 N 필터(1042-(N)) 등은 필터(1042)로 통칭될 수 있으며, 제 4-1 밸브(1041-1), 제 4-2 밸브(1041-2), 제 4-(N-1) 밸브(1041-(N-1)) 등은 제 4 밸브(1041)로 통칭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원수가 필터부(104)에 유입되면 제 4 밸브(1041)의 개폐 동작에 의해 수질 측정부(103) 또는 다음 필터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 예에서는 필터부(104)에 유입된 물이 수질 측정부(103)를 향하는 방향을 제 4-1 방향, 필터부(104)에 유입된 물이 다음 필터로 향하는 방향을 제 4-2 방향으로 명명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제 4 밸브(1041)에서 수질 측정부(103)로 물이 흐르도록 하는 유로의 방향을 모두 제 4-1 방향으로 통칭하고, 각각의 필터(1042)에서 다음 필터로 물이 흐르도록 하는 유로의 방향을 모두 제 4-2 방향으로 통칭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필터부(104)의 필터들 중 마지막 필터를 제외하고, 필터의 후단에 해당 필터에 대응하는 밸브가 연결되도록 구비하므로, N 개의 필터가 구비되면 N-1 개의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가 4개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필터부(104)는 제 1 필터(1042-1), 제 2 필터(1042-2), 제 3 필터(1042-3) 및 제 4 필터(1042-4)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필터부(104)는 세디먼트(sediment) 필터, 프리 카본(pre carbon) 필터, 멤브레인(membrane) 필터, 포스트 카본(post carbon) 필터, 중공사막(Ultrafiltration, UF) 필터, 역삼투압(Reverse Osmosis, R/O) 필터 및 나노(nano) 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세디먼트 필터는 5 마이크로미터 이상의 오염물질(녹물, 흙, 모래)을 제거하는 것으로, 교체 시기에 필터 미 교체 시 솔레노이드 밸브, 펌프, 필터 등의 고장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프리 카본 필터는 잔류염소 및 트리할로메탄 등의 유기화학물질을 흡착 제거하는 것으로, 필터 미 교체 시 멤브레인이 손상되거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멤브레인은 환경호르몬, 중금속,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 물 속에 용해된 모든 이물질 등을 미세기공 또는 정전흡착방식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것으로, 필터 미 교체 시 수질이 악화될 수 있으며, 포스트 카본 필터는 가스와 냄새 성분을 제거하여 신선한 물맛으로 향상시키는 것으로, 필터 미 교체 시 물맛의 변화 및 세균 번식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 또한, UF 필터는 대나무같이 중간부분이 빈 필터로 머리카락 굵기의 만분의 일에 해당하는 0.01~0.04미크론 이하의 구멍이 뚫려 있어 세균을 걸러내면서 미네랄은 통과시키는 기능을 하며, 수압에 의해 물이 마이크로 필터 및 활성탄 필터 등을 강제로 지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R/O 필터는 생물 현상인 삼투압 현상을 모방 응용한 방식으로, 각종 불순물이 섞여 있는 물에 압력을 가해 반투막인 멤브레인을 통과할 때 미생물, 바이러스, 중금속, 무기물질, 방사선물질 등 불순물은 걸러주고 순수한 물과 용존 산소, 미량의 미네랄만 통과시켜 주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부(104)는 제 4-1 밸브(1041-1), 제 4-2 밸브(1041-2) 및 제 4-3 밸브(104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4-1 밸브(1041-1), 제 4-2 밸브(1041-2) 및 제 4-3 밸브(1041-3)는 각각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3 Way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즉, 제 4-1 밸브(1041-1), 제 4-2 밸브(1041-2) 및 제 4-3 밸브(1041-3)는 세 개의 파이프 접속구와 두 개의 오리피스로 구성될 수 있다.
제 4-1 밸브(1041-1)의 세 개의 파이프 접속구는 각각 제 1 필터(1042-1)의 출수구, 제 2 필터(1042-2)의 입수구 및 제 4-1 방향의 유로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오리피스는 제 4-1 방향의 유로 및 제 4-2 방향의 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 4-1 방향의 오리피스가 개방되고 제 4-2 방향의 오리피스가 폐쇄되면, 제 1 필터(1042-1)를 통과한 물이 수질 측정부(103)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4-2 밸브(1041-2)의 세 개의 파이프 접속구는 각각 제 2 필터(1042-2)의 출수구, 제 3 필터(1042-3)의 입수구 및 제 4-1 방향의 유로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두 개의 오리피스는 제 4-1 방향의 유로 및 제 4-2 방향의 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 4-1 방향의 오리피스가 개방되고 제 4-2 방향의 오리피스가 폐쇄되면, 제 2 필터(1042-2)를 통과한 물이 수질 측정부(103)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 4-3 밸브(1041-3)의 세 개의 파이프 접속구는 각각 제 3 필터(1042-3)의 출수구, 제 4 필터(1042-4)의 입수구 및 제 4-1 방향의 유로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오리피스는 제 4-1 방향의 유로 및 제 4-2 방향의 유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 4-1 방향의 오리피스가 개방되고 제 4-2 방향의 오리피스가 폐쇄되면, 제 3 필터(1042-3)를 통과한 물이 수질 측정부(103)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의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정수기(100)가 저장형인 경우에는 정수탱크(미도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정수탱크는 필터부(104)에 의해 제공되는 정수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필터부(104)와 출수부(102)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정수탱크에 저장된 물은 정수탱크에 연결된 출수부(102)를 통해 사용자 등에게 제공되거나, 수질 측정부(103)를 통과하여 배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제어부(170)에 의해 제 1 밸브(1011), 제 2 밸브(1021), 제 3 밸브(1031) 및 제 4 밸브(1041)의 개폐 동작이 제어되어, 원수 및 정수의 수질을 측정하고, 각각의 필터를 통과한 물의 수질을 측정한 후 음용수가 출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수질 측정 결과에 대해 서버(200) 및/또는 제어부(170)에 전송하여 정수기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게 수질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정수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200)는 정수기 제어 시스템(1)을 운용하기 위한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정수기(100)의 신규등록, 수질 상태 확인, 필터 교체 등을 관리하여 필요한 정보를 원활하게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제반 디바이스 운영을 담당하는 운영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각종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적용하는데 필요한 빅데이터와, 정수기 제어 시스템(1)을 동작시키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일 수 있다. 그 밖에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300)에 설치된 정수기 제어 어플리케이션 또는 정수기 제어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정수기 제어 시스템(1)의 동작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웹 서버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공 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은, 인간의 지능으로 할 수 있는 사고, 학습, 자기계발 등을 컴퓨터가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컴퓨터 공학 및 정보기술의 한 분야로, 컴퓨터가 인간의 지능적인 행동을 모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인공 지능은 그 자체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 과학의 다른 분야와 직간접적으로 많은 관련을 맺고 있다. 특히 현대에는 정보기술의 여러 분야에서 인공 지능적 요소를 도입하여, 그 분야의 문제 풀이에 활용하려는 시도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은 인공 지능의 한 분야로, 컴퓨터에 명시적인 프로그램 없이 배울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는 연구 분야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머신 러닝은, 경험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을 하고 예측을 수행하고 스스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시스템과 이를 위한 알고리즘을 연구하고 구축하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머신 러닝의 알고리즘들은 엄격하게 정해진 정적인 프로그램 명령들을 수행하는 것이라기보다, 입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측이나 결정을 이끌어내기 위해 특정한 모델을 구축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서버(200)는 정수기 제어 시스템(1)으로부터 서비스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서비스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응답 정보를 생성하여 정수기 제어 시스템(1)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정수기(100)에서 음성 인식 서비스가 가능한 경우, 서버(200)는 정수기 제어 시스템(1)으로부터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발화 음성을 수신하고, 음성 인식 처리를 통하여 발화 음성의 처리 결과를 서비스 응답 정보로 생성하여 정수기 제어 시스템(1)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정수기 제어 어플리케이션 또는 정수기 제어 사이트에 접속한 후 인증 과정을 통하여 정수기 제어 시스템(1)을 작동 또는 제어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인증 과정을 마친 사용자 단말(300)은 정수기 제어 시스템(1)을 작동시키고, 정수기 제어 시스템(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가 조작하는 데스크 탑 컴퓨터,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가전기기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은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시계, 안경, 헤어 밴드 및 반지 등의 웨어러블 단말기 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상술한 내용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단말기는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400)는 정수기 제어 시스템(1)에서 정수기(100),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300)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400)는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네트워크(400)는 근거리 통신 및/또는 원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Wi-Fi(Wireless fidelity) 기술을 포함할 수 있고, 원거리 통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400)는 허브, 브리지, 라우터, 스위치 및 게이트웨이와 같은 네트워크 요소들의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400)는 인터넷과 같은 공용 네트워크 및 안전한 기업 사설 네트워크와 같은 사설 네트워크를 비롯한 하나 이상의 연결된 네트워크들, 예컨대 다중 네트워크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400)에의 액세스는 하나 이상의 유선 또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네트워크(400)는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 및/또는 5G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및 도 2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정수기(100)는 통신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120), 수질 측정 수신부(130), 밸브 구동부(140), 메모리(150), 처리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네트워크(400)와 연동하여 정수기 제어 시스템(1)에서 정수기(100), 사용자 단말(300) 및/또는 서버(200)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각종 사물 지능 통신(IoT(internet of things), IoE(internet of everything), IoST(internet of small things) 등)을 지원할 수 있으며, M2M(machine to machine) 통신, V2X(vehicle to everything communication) 통신, D2D(device to device) 통신 등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통신부(110)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20)는 정수기(100)의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정수기(100)의 전체 동작 및 제어와 관련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구성으로, 예를 들어, 입력 인터페이스는 음성 인식을 위한 마이크(미도시), 터치 입력을 위한 터치 스크린(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는 일 실시 예로, 그 위치 및 구현 방법이 한정되지 않으며,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입력 수단은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도 일 실시 예로, 그 위치 및 구현 방법이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요청 신호 입력을 위한 입력 수단은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출력 인터페이스는 스피커(미도시), 디스플레이 화면(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정수기(100)의 동작과 관련한 정보를 청각 데이터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스피커는 정수기(100)의 동작과 관련한 정보를 오디오 데이터로 출력할 수 있는데,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경고음, 알림음, 수질 상태, 에러상태 등의 알림 메시지와,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정보, 사용자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처리 결과 등을 오디오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는 일 실시 예로, 그 위치 및 구현 방법이 한정되지 않으며, 오디오 신호 출력을 위한 출력 수단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정수기(100)의 전체 동작 및 제어와 관련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구성이다. 즉,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구성이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120)는 사용자가 정수기(100)와 관련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수기(100)와 관련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구성으로, 입력 및 출력이 가능한 컨트롤패널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20)는 예를 들어 터치 인식이 가능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LED(light emitting display)와 같은 소정의 디스플레이 부재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20)는 사용자 단말(도 1의 300)에서 구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단말(300)의 정수기 제어 어플리케이션 또는 정수기 제어 사이트의 접속 화면을 통해 사용자 입력 및 정보 출력 등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수질 측정 수신부(130)는 정수기(100) 내 수질 측정부(도 2의 103)에서 측정한 원수 및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를 수신하여 제어부(17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수질 측정 수신부(130)는 생략 가능하거나 제어부(17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수질 측정 수신부(130)가 생략되는 경우 제어부(170)는 수질 측정부(도 2의 103)로부터 수질 측정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밸브 구동부(140)는 제어부(1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원수를 유입시키고, 필터부(도 2의 104)를 통과한 정수를 출수시키거나, 원수 및 정수의 수질을 측정하도록 유로를 전환시키는 것으로, 음용수가 출수되거나 원수 및 정수의 수질을 측정할 수 있도록 제 1 밸브(도 2의 1011), 제 2 밸브(도 2의 1021), 제 3 밸브(도 2의 1031) 및 제 4 밸브(도 2의 1041)의 개폐를 동작시킬 수 있다.
메모리(15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로 하여금, 정수기 제어 시스템(1)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들을 저장할 수 있다. 즉 메모리(150)는 정수기 제어 시스템(1)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정수기 제어 시스템(1)의 동작을 위한 정보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50)는 정수기 제어 시스템(1)과 인터랙션을 수행하려는 한 명 이상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정보는 인식된 사용자가 누구인지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승인 정보들(예를 들어, 얼굴 정보 및 체형 정보, 음성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서는 정수기 관리자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가 각각 저장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저장된 사용자 정보로 사용자를 인식하여 해당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50)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예를 들어, 정수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 등)에 대응하여 정수기 제어 시스템(1)이 수행해야 할 작업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메모리(150)는 제어부(17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15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메모리(150)는 내장 메모리 및/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DRAM, SRAM, 또는 SD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NAND 플래시 메모리, 또는 NOR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SSD, CF(compact flash) 카드, SD 카드, Micro-SD 카드, Mini-SD 카드, Xd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과 같은 플래시 드라이브, 또는 HDD와 같은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부(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 외부에 구비될 수도 있고, 제어부(170) 내부에 구비되어 제어부(170)처럼 동작할 수도 있으며, 도 1의 서버(200)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처리부(160)는 정수기 제어 시스템(1)의 전반적인 프로세싱을 위한 것으로, 서버(200)에서 처리되는 것들을 정수기 자체에서도 처리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처리부(160)는 생략 가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메모리(150)에 탑재된 제어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정수기 제어 시스템(1) 전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정수기(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특히 제 1 밸브(1011), 제 2 밸브(1021), 제 3 밸브(1031) 및 제 4 밸브(1041)의 개폐 제어를 통해 원수 및 정수가 흐르는 방향을 조정하여 수질을 측정하고, 정수기(100)의 상태를 진단하고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고객 위치 별 원수의 수질 데이터, 정수기(100)의 원수의 수질 데이터 및 정수의 수질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여 정수기(100) 내외부의 오염도를 추출하도록 훈련된 머신 러닝 기반의 제 1 학습 모델에 기반하여, 정수기(100) 내부 및 외부의 오염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고객 위치 별 원수의 수질 데이터는 수질 공공데이터 개방 사이트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집할 수 있으며, API는 특정 프로그램의 데이터에 다른 프로그램이 접근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한 통신 기술이며, 데이터 또는 플랫폼을 외부에 공개하고 외부 프로그램 개발자와 사용자가 이를 활용해 새롭고 다양한 서비스를 만들어 내는 것을 말한다. 수질 공공데이터 개방 사이트는 전국의 수질 정보에 대해 관리 및 제공하는 웹 사이트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고객 위치 별 원수의 수질 데이터, 정수기(100)의 원수 수질 데이터, 정수 수질 데이터 및 상기 제 1 학습 모델을 통해 출력된 정수기(100) 내외부 오염도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여 해당 정수기(100)에 필요한 필터 종류를 추출하도록 훈련된 머신 러닝 기반의 제 2 학습 모델에 기반하여, 고객 별 정수기(100)에 필요한 필터 종류를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정수기(100)의 원수의 수질 데이터, 정수의 수질 데이터, 개별 필터 통과 후 수질 데이터, 개별 필터 교체 후 경과 시간 데이터 및 사용자 정수기 이용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여 정수기(100)의 개별 필터 수명 추정 값을 추출하도록 훈련된 머신 러닝 기반의 제 3 학습 모델에 기반하여, 정수기(100)의 개별 필터들의 수명을 추정하고 교체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딥러닝(Deep Learning) 등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을 수행할 수 있고, 메모리(150)는, 머신 러닝에 사용되는 데이터, 결과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학습 모델은 정수기(100)의 일정 기간에 따른 원수의 수질 데이터 및 정수의 수질 데이터를 훈련 데이터로 하여 훈련된 학습 모델일 수 있으며, 제 2 학습 모델은 일정 기간 정수기(100)에 등록된 고객의 위치에 따른 고객 위치 별 원수의 수질 데이터와, 정수기(100)의 일정 기간에 따른 정수기(100)의 원수의 수질 데이터 및 정수의 수질 데이터를 훈련 데이터로 하여 훈련된 학습 모델일 수 있다. 또한, 제 3 학습 모델은 정수기(100)의 일정 기간에 따른 원수의 수질 데이터, 정수의 수질 데이터, 개별 필터 통과 후 수질 데이터, 개별 필터 교체 후 경과 시간 데이터 및 사용자 정수기 이용 데이터를 훈련 데이터로 하여 훈련된 학습 모델일 수 있다.
한편, 머신 러닝의 일종인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단계로 깊은 수준까지 내려가 학습할 수 있다. 딥러닝은 단계를 높여갈수록 복수의 데이터들로부터 핵심적인 데이터를 추출하는 머신 러닝 알고리즘의 집합을 나타낼 수 있다.
딥러닝 구조는 인공신경망(ANN)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딥러닝 구조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DBN(deep belief network) 등 심층신경망(DNN)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딥러닝 구조는 공지된 다양한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딥러닝 구조는 CNN, RNN, DB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NN은, 자연어 처리 등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는 시계열 데이터(time-series data) 처리에 효과적인 구조로 매 순간마다 레이어를 쌓아올려 인공신경망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DBN은 딥러닝 기법인 RBM(restricted boltzman machine)을 다층으로 쌓아 구성되는 딥러닝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RBM 학습을 반복하여, 일정 수의 레이어가 되면 해당 개수의 레이어를 가지는 DBN을 구성할 수 있다. CNN은 사람이 물체를 인식할 때 물체의 기본적인 특징들을 추출한 다음 뇌 속에서 복잡한 계산을 거쳐 그 결과를 기반으로 물체를 인식한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사람의 뇌 기능을 모사한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인공신경망의 학습은 주어진 입력에 대하여 원하는 출력이 나오도록 노드간 연결선의 웨이트(weight)를 조정(필요한 경우 바이어스(bias) 값도 조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인공신경망은 학습에 의해 웨이트(weight) 값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시킬 수 있다. 또한, 인공신경망의 학습에는 역전파(back propagation)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정수기 제어 시스템(1)에는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이 탑재될 수 있으며, 즉 제어부(170)는 인공신경망, 예를 들어, CNN, RNN, DBN 등 심층신경망(deep neural network: DN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공신경망의 머신 러닝 방법으로는 자율학습(unsupervised learning)과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설정에 따라 학습 후 인공신경망 구조를 업데이트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정수기(100) 내부에 포함되는 것으로 개시되고 있으나, 정수기(100) 외부에 정수기(100)와 연결된 마더보드로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도 정수기(100) 내부에 포함될 수 있으나, 정수기(100) 외부에 정수기(100)와 연결된 마더보드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제어부(17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밸브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필터에 대한 제어부의 밸브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물의 흐름 순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입수된 원수가 필터부(104) 또는 수질 측정부(103)로 향하도록 제 1 밸브(1011)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필터부(104)에서 배출된 정수가 수질 측정부(103) 또는 출수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제 2 밸브(102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수질 측정부(103)에서 원수 및 정수의 수질 측정을 위해 원수 및 정수가 저장되도록 하거나 수질 측정 완료 후 배수되도록 제 3 밸브(103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제 1 필터(1042-1)를 통과한 물이 수질 측정부(103) 또는 제 2 필터(1042-2)로 향하도록 제 4-1 밸브(1041-1)를 제어할 수 있으며, 제 2 필터(1042-2)를 통과한 물이 수질 측정부(103) 또는 제 N-1 필터(1042-(N-1))로 향하도록 제 4-2 밸브(1041-2)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제 N-1 필터(1042-(N-1))를 통과한 물이 수질 측정부(103) 또는 제 N 필터(1042-(N))로 향하도록 제 4-(N-1) 밸브(1041-(N-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 N 필터(1042-(N))를 통과한 물은 정화가 완료된 정수로, 제어부(170)의 제 2 밸브(1021) 제어에 따라 수질 측정부(103)로 향하거나 출수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필터부(104) 전체를 통과한 정수의 수질을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필터를 통과한 물의 수질을 측정하여, 필터들의 성능 상태를 개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원수가 수질 측정부(103)를 향하는 제 1-1 방향 또는 필터부(104)를 향하는 제 1-2 방향 중 하나로 이동하도록 제 1 밸브(101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정수가 수질 측정부(103)를 향하는 제 2-1 방향 또는 음용을 위해 출수되도록 정수기 외부로 향하는 제 2-2 방향 중 하나로 이동하도록 제 2 밸브(102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저수조(1032) 내의 원수 또는 정수를 저장 유지 또는 배수할 수 있도록 제 3 밸브(1031)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원수가 입수되면 원수의 수질 측정을 위해 저수조(1032)에 원수가 임시로 저장되도록 제 1 밸브(1011)를 제 1-1 방향으로 개방 제어하고 제 3 밸브(1031)를 폐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수질 측정 센서(1033)로부터 원수에 대한 수질 측정 완료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원수가 배수되도록 제 1 밸브(1011)의 제 1-1 방향을 폐쇄 제어하고 제 3 밸브(1031)를 개방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가 기설정된 원수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원수 오염 및 옥내외 배관 오염 중 하나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원수 기준 범위는 수질 공공데이터 개방 사이트의 API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집된 고객 위치 별 원수 수질 데이터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70)는 원수의 필터링을 위해 제 1 밸브(1011)를 제 1-2 방향으로 개방 제어하여, 원수가 필터부(104)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필터부(104)를 통과한 정수의 수질 측정을 위해 저수조(1032)에 정수가 임시로 저장되도록 제 2 밸브(1021)를 제 2-1 방향으로 개방 제어하고 제 3 밸브(1031)를 폐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수질 측정 센서(1033)로부터 정수에 대한 수질 측정 완료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정수가 배수되도록 제 2 밸브(1021)의 제 2-1 방향을 폐쇄 제어하고 제 3 밸브(1031)를 개방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수질 측정부(103)로부터 수신한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 및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정수기(100)의 상태를 진단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 및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의 비교에 기초하여 그 차이가 기준값을 초과하고,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가 기설정된 정수 기준 범위 이내임에 따라, 제 2 밸브를 제 2-2 방향(출수)으로 개방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수 및 정수 수질 측정 차이의 기준값은 TDS 값은 100, pH 값은 1이며, 정수 기준 범위는 TDS 값은 0~300, pH 값은 6.5~8.5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원수의 TDS 값이 410, pH 값이 9.6 이고, 정수의 TDS 값이 300, pH 값이 8.5 이면,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와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의 차이가 기준값을 초과하고,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가 기설정된 정수 기준 범위 이내이므로, 제어부(170)는 필터부(104)에서 제대로 필터링 되었으며, 정수의 수질이 기준치 이상이라고 판단하여, 정수를 사용자에게 음용수로서 출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수 및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의 차이가 기준값 이하이더라도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가 기설정된 정수 기준 범위 이내이면 정수가 출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반면, 제어부(170)는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 및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의 비교에 기초하여 그 차이가 기준값 이하이거나,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가 기설정된 정수 기준 범위를 벗어남에 따라, 제 2 밸브(1021)의 제 2-2 방향을 폐쇄하여 음용을 위한 출수를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제 2 밸브(1021)의 제 2-2 방향을 폐쇄하여 음용을 위한 출수를 차단 제어한 후, 필터부(104)의 필터 교체를 요청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 및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의 비교에 따른 그 차이가 기준값 이하이면 필터의 수명이 다 되어 필터링이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 및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의 비교에 따른 그 차이에 대한 조건과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에 대한 조건을 둘 다 확인하여 음용수 출수 차단 여부를 결정하므로 그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수의 TDS 값이 410, pH 값이 9.6 이고, 정수의 TDS 값이 350, pH 값이 9.0 이면,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와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의 차이가 기준값 이하이거나,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가 기설정된 정수 기준 범위를 벗어남에 따라, 제어부(170)는 필터부(104)에서 제대로 필터링 되지 않았으며, 정수의 수질이 기준치 미만이라고 판단하여, 정수가 사용자에게 출수되지 않도록 출수를 차단하고 필터 교체 요청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와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의 차이가 기준값 이하이거나,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가 기설정된 정수 기준 범위 이내이면 출수를 차단하지 않고 필터 교체 요청 신호만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와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의 차이가 기준값 이하일 때, 원수의 수질이 깨끗하여 그 차이가 작은 경우에는 출수 차단 및 필터 교체 요청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원수의 수질이 깨끗하다고 판단되는 범위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원수에 대한 수질 측정을 완료한 후 원수가 필터부(104)에 유입될 때, 필터부(104)의 각각의 필터를 통과한 물의 수질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제 4-1 밸브(1041-1)의 전단에 위치한 제 1 필터(1042-1)를 통과한 물이 수질 측정부(103)를 향하는 제 4-1 방향 또는 제 1 필터(1042-1)를 통과한 물이 다음 제 2 필터(1042-2)를 향하는 제 4-2 방향 중 하나로 이동하도록 제 4-1 밸브(1041-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제 4-1 밸브(1041-1)를 제 4-1 방향으로 개방 제어하고 제 3 밸브(1031)를 폐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수질 측정 센서(1033)로부터 제 1 필터(1042-1)를 통과한 물에 대한 수질 측정 완료 신호와 함께 수질 측정 결과를 수신함에 따라, 제 1 필터(1042-1)를 통과한 물이 배수되도록 제 4-1 밸브(1041-1)의 제4-1 방향을 폐쇄 제어하고 제 3 밸브(1031)를 개방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 및 제 1 필터(1042-1)를 통과한 물의 수질 측정 결과를 비교하여 제 1 필터(1042-1)의 교체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제 1 필터(1042-1)를 통과한 물의 수질 측정 결과 및 제 2 필터(1042-2)를 통과한 물의 수질 측정 결과를 비교하여 제 2 필터(1042-2)의 교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더불어, 제어부(170)는 제 2 필터(1042-2)를 시작으로 하여 제 N-1 필터(1042-(N-1))까지, 이전 필터를 통과한 물의 수질 측정 결과 및 현재 필터를 통과한 물의 수질 측정 결과를 비교하여 현재 필터의 교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부(104)의 마지막 필터인 제 N 필터(1042-(N))의 교체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제어부(170)는 제 N-1 필터(1042-(N-1))를 통과한 물의 수질 측정 결과 및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를 비교하여 제 N 필터(1042-(N))의 교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정수기(100) 내 배관 잔류수가 수질 측정부(103)로 이동되도록 제 1 밸브(1011)를 제 1-1 방향으로 개방 제어하고, 제 2 밸브(1021)를 제 2-1 방향으로 개방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조건은 사용자로부터의 출수 신호가 입력된 지 일정시간이 경과하거나 기설정된 잔류수 배수 주기가 도래한 경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로부터의 출수 신호가 입력된 지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배관 잔류수가 일정시간이 경과하는 동안 배관 내에 잔류되어 있는 상태(원수가 입수되지 않은 상태)가 일정시간 경과하였다고 판단하여 배관 잔류수의 오염도 판단 및 제거를 위해 배관 잔류수가 수질 측정부(103)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음용수 출수 요청 신호가 입력되지 않더라도, 주기적으로 수질 측정을 위해 원수가 입수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기설정된 조건에는 수질 측정을 위한 원수 입수 설정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대해서도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수질 측정부(103)로부터 수신한 정수기(100) 내 배관 잔류수의 수질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정수기(100) 내 배관의 오염도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배관 잔류수를 제거하여 수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관의 오염도를 파악하여 배관이 오염되기 전에 배관 세척 등의 요청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정수기(100)는 일반적인 음용수(온수, 냉수, 정수 등) 출수를 위한 일반 모드 및 저수조(1032)의 살균 및 소독을 위한 살균/소독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수기(100)의 살균/소독 모드 시, 제어부(170)는 살균 및 소독수가 수질 측정부(103)로 흐르도록 제 1 밸브(1011)를 제 1-1 방향으로 개방하고, 제 3 밸브(1031)를 폐쇄 제어하여 살균 및 소독수가 저수조(1032)에 보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설정 시간 경과 후 제 3 밸브(1031)를 개방 제어하여 살균 및 소독수가 배수되도록 하고 살균/소독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살균/소독 모드를 수행할 수 있으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살균/소독 모드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에서는, 수질 측정부(103)에서 원수 및 정수의 수질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잔압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3)는 살균/소독 모드 전 원수 또는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와 살균/소독 모드 후 원수 또는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를 비교하여 살균 및 소독 성능을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6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S100단계에서, 정수기(100) 내로 원수가 입수된다. 이때, 사용자로부터 음용수 출수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원수가 입수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로부터 음용수 출수 요청 신호가 입력되지 않더라도, 주기적으로 수질 측정을 위해 원수가 입수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S200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원수 수질 측정 결과를 수신한다. 이때, 제어부(170)는 제 1 밸브(1011) 및 제 3 밸브(1031)의 개폐 제어를 수행하여 수질 측정 센서(1033)로부터 원수에 대한 수질 측정 완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S300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원수를 정수로 필터링한다. 즉, 제어부(170)는 원수가 필터부(104)로 향하도록 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를 통과하여 정수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필터부(104)는 물을 여과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필터와 밸브, 즉 N 개의 필터(1042-(N))와, N 개의 필터(1042-(N)) 각각의 사이에 물의 이동을 조절하는 N-1 개의 제 4 밸브(1041-(N-1))를 포함할 수 있다.
S400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정수 수질 측정 결과를 수신한다. 즉, 제어부(170)는 제 2 밸브(1021) 및 제 3 밸브(1031)의 개폐 제어를 수행하여, 수질 측정 센서(1033)로부터 필터부(104)를 통과한 정수에 대한 수질 측정 완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S500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원수 수질 측정 결과 및 정수 수질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정수기(100)의 상태를 진단한다. 이때, 제어부(170)는 원수 수질 측정 결과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정수기(100) 옥내외 배관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정수 수질 측정 결과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음용수를 출수할 수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원수 수질 측정 결과와 정수 수질 측정 결과를 비교하여 그 비교에 따른 차이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필터부(104)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여 필터부(104)의 개별 필터들의 교체 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S600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정수기 상태가 정상인 경우, S700단계에서 정수, 즉 음용을 위한 음용수를 출수하고(S600단계의 예), 정수기 상태가 비정상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S800단계에서 정수의 출수를 차단한다(S600단계의 아니오). 즉, 제어부(170)는 원수 수질 측정 결과와 정수 수질 측정 결과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정상이고,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가 정상인 경우 음용 가능하다고 판단하여 출수할 수 있으며, 그 차이가 비정상이고,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가 비정상인 경우 음용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여 출수를 차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음용수 출수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음용수 출수를 대기 상태로 하고, 원수 수질 측정 결과 및 정수 수질 측정 결과에 기초한 정수기 상태를 진단할 수 있으며, 진단 결과에 따라 음용수 출수 또는 차단을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 제어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7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여 정수기의 제어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S110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원수의 수질 측정을 위해 원수가 저수조(1032)에 저장되도록 한다. 즉, 제어부(170)는 원수가 입수되면 원수의 수질 측정을 위해 저수조(1032)에 원수가 임시로 저장되도록 제 1 밸브(1011)를 제 1-1 방향으로 개방 제어하고 제 3 밸브(1031)를 폐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원수가 저수조(1032)에 일정 수위만큼 채워지면 제 1 밸브(1011)의 제 1-1 방향을 폐쇄 제어하여 더 이상 원수가 입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S210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수질 측정 센서(1033)로부터 원수 수질 측정 완료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확인한다.
S220단계에서, 원수 수질 측정 완료 신호가 수신되면(S210단계의 예), 제어부(170)는 원수가 배수되도록 한다. 즉, 제어부(170)는 수질 측정 센서(1033)로부터 원수에 대한 수질 측정 완료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원수가 배수되도록 제 1 밸브(1011)의 제 1-1 방향을 폐쇄 제어하고 제 3 밸브(1031)를 개방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S230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원수의 수질을 검사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가 기설정된 원수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원수 오염 및 옥내외 배관 오염 중 하나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70)는 원수의 필터링을 위해 제 1 밸브(1011)를 제 1-2 방향으로 개방 제어하여, 원수가 필터부(104)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S310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정수의 수질 측정을 위해 정수가 저수조(1032)에 저장되도록 한다. 즉, 제어부(170)는 필터부(104)를 통과한 정수의 수질 측정을 위해 저수조(1032)에 정수가 임시로 저장되도록 제 2 밸브(1021)를 제 2-1 방향으로 개방 제어하고 제 3 밸브(1031)를 폐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정수가 저수조(1032)에 일정 수위만큼 채워지면 제 2 밸브(1011)의 제 2-1 방향을 폐쇄 제어하여 더 이상 정수가 입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S410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수질 측정 센서(1033)로부터 정수 수질 측정 완료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확인한다.
S420단계에서, 정수 수질 측정 완료 신호가 수신되면(S410단계의 예), 제어부(170)는 정수가 배수되도록 한다. 즉, 제어부(170)는 수질 측정 센서(1033)로부터 정수에 대한 수질 측정 완료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정수가 배수되도록 제 2 밸브(1021)의 제 2-1 방향을 폐쇄 제어하고 제 3 밸브(1031)를 개방 제어할 수 있다.
한편, S510단계에서, 제어부(170)는 필터의 성능을 검사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원수에 대한 수질 측정을 완료한 후 원수가 필터부(104)에 유입될 때, 필터부(104)의 각각의 필터를 통과한 물의 수질을 측정할 수 있는데, 필터부(104)를 통과하기 전의 원수의 수질과 필터부(104)의 첫번째 위치하는 필터를 통과한 물의 수질을 비교하여 첫번째 위치하는 필터의 성능을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필터부(104)의 마지막에 위치하는 필터를 통과하기 전의 물의 수질과 필터부(104)를 통과한 정수의 수질을 비교하여 마지막에 위치하는 필터의 성능을 검사할 수 있다.
다음으로, S610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수질 측정부(103)로부터 수신한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 및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정수기(100)의 상태를 진단한다. 이때, 제어부(170)는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 및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의 비교에 기초하여 그 차이가 기준값을 초과하고,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가 기설정된 정수 기준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원수 및 정수 수질 측정 차이의 기준값은 TDS 값은 100, pH 값은 1이며, 정수 기준 범위는 TDS 값은 0~300, pH 값은 6.5~8.5로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원수 수질 측정 결과와 정수 수질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음용수 출수 여부를 결정하고 필터 교체 시기를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원수 수질 측정 결과와 정수 수질 측정 결과 차이가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필터의 성능을 파악할 수 있고, 정수 수질 측정 결과가 기설정된 정수 기준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음용수 출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원수 수질 측정 결과와 정수 수질 측정 결과 차이가 기준값을 초과하고 정수 수질 측정 결과가 기설정된 정수 기준 범위 이내이면(S610단계의 예), S710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 2 밸브를 제 2-2 방향(출수)으로 개방 제어한다. 즉, 제어부(170)는 음용수로 이용 가능한 정수라고 판단하여 정수를 사용자에게 출수할 수 있다.
반면, 원수 수질 측정 결과와 정수 수질 측정 결과 차이가 기준값 이하이거나,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가 기설정된 정수 기준 범위를 벗어나면(S601단계의 아니오), S810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 2 밸브(1021)의 제 2-2 방향을 폐쇄하여 음용을 위한 출수를 차단 제어한다. 그리고, S900단계에서, 제어부(170)는 필터부(104)의 필터 교체를 요청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제어부(170)는 통신부(110)를 통해 정수기 관리자 및/또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필터 교체 요청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필터 교체 요청 신호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필터부(104)에 필터가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개별 필터에 대해 수질 측정을 수행하여 각각의 필터 교체 시기를 파악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필터 성능 검사 단계(S510단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필터에 대한 정수기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8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S511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 1 필터(1042-1)를 통과한 물의 수질 측정을 위해 제 1 필터(1042-1)를 통과한 물이 수질 측정부(103)로 향하도록 한다. 즉, 제어부(170)는 제 4 밸브(1041)를 제 4-1 방향으로 개방 제어하고, 제 3 밸브(1031)를 폐쇄 제어하여 제 1 필터(1042-1)를 통과한 물이 저수조(1032)에 보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서는 설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필터부(104)에 두 개의 필터, 즉 제 1 필터(1042-1) 및 제 N 필터(1042-N)가 구비되고, 제 1 필터(1042-1) 및 제 N 필터(1042-N) 사이에 제 4 밸브(1041)가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S512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수질 측정 센서(1033)로부터 제 1 필터(1042-1)를 통과한 물에 대한 수질 측정 완료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확인한다.
제 1 필터(1042-1)를 통과한 물에 대한 수질 측정 완료 신호가 수신되면(S512단계의 예), S513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 1 필터(1042-1)를 통과한 물이 배수되도록 한다. 즉, 제어부(170)는 제 4 밸브(1041)의 제 4-1 방향을 폐쇄 제어하고, 제 3 밸브(1031)를 개방 제어할 수 있다.
S514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원수 수질 측정 결과와 제 1 필터(1042-1)를 통과한 물의 수질 측정 결과를 비교한다. 즉 제어부(170)는 원수 수질 측정 결과와 제 1 필터(1042-1)를 통과한 물의 수질 측정 결과의 차이를 산출할 수 있다.
S515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원수 수질 측정 결과와 제 1 필터(1042-1)를 통과한 물의 수질 측정 결과의 차이에 기초하여 제 1 필터(1042-1)의 성능을 검사하고 제 1 필터(1042-1)의 교체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170)는 원수 수질 측정 결과와 제 1 필터(1042-1)를 통과한 물의 수질 측정 결과의 차이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필터 성능이 교체 기준 성능을 초과하여 교체 시기가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원수 수질 측정 결과와 제 1 필터(1042-1)를 통과한 물의 수질 측정 결과의 차이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필터 성능이 교체 기준 성능 이하로 교체 시기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필터의 기본 성능이나 작용 효과가 필터들 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수질 측정 결과 비교에 따른 차이에 대한 기준치는 필터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수질 측정 결과 비교에 따른 차이에 기초하여, 100% 성능 대비 현재 필터의 성능 백분율(%)을 추측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필터(1042-1)를 통과한 물의 수질 측정 결과가 상기 제 1 필터(1042-1)에 대응되는 수질 기준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도 참조하여 제 1 필터(1042-1)의 교체 여부를 추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 1 필터(1042-1)의 종류 및 기능에 대응하여 필터링 후의 수질 기준 범위를 설정하고, 그 수질 기준 범위를 초과하면 필터 성능이 교체 기준 성능을 초과하여 교체 시기가 아니라고 추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필터부(104)의 모든 필터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제 4 밸브(1041)를 제 4-2 방향으로 개방 제어하여, 제 1 필터(1042-1)를 통과한 물이 제 N 필터(1042-N)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S516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제 1 필터(1042-1)를 통과한 물의 수질 측정 결과와 정수 수질 측정 결과를 비교한다. 즉 제어부(170)는 제 1 필터(1042-1)를 통과한 물의 수질 측정 결과와 정수 수질 측정 결과의 차이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와 비교하는 이유는, 제 N 필터(1042-N)는 필터부(104)의 마지막에 위치하는 필터로, 제 N 필터(1042-N)를 통과한 물은 필터부(104)를 통과한 물, 즉 필터링이 완료된 정수이기 때문이다.
S517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수질 측정 결과와 정수 수질 측정 결과를 비교한다. 즉 제어부(170)는 제 1 필터(1042-1)를 통과한 물의 수질 측정 결과와 정수 수질 측정 결과의 차이에 기초하여 제 N 필터(1042-N)의 성능을 검사하고 필터 교체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170)는 제 1 필터(1042-1)를 통과한 물의 수질 측정 결과와 정수 수질 측정 결과의 차이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필터 성능이 정상치로 교체 시기가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170)는 제 1 필터(1042-1)를 통과한 물의 수질 측정 결과와 정수 수질 측정 결과의 차이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필터 성능이 떨어져 교체 시기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정수기 제어 시스템 100 : 정수기
110 : 통신부 120 : 사용자 인터페이스
130 : 수질 측정 수신부 140 : 밸브 구동부
150 : 메모리 160 : 처리부
170 : 제어부 101 : 입수부
1011 : 제 1 밸브 102 : 출수부
1021 : 제 2 밸브 103 : 수질 측정부
1031 : 제 3 밸브 1032 : 저수조
1033 : 수질 측정 센서 104 : 필터부
1041 : 제 4 밸브 1042 : 필터
200 : 서버 300 : 사용자 단말
400 : 네트워크

Claims (20)

  1. 정수기로서,
    상기 정수기로 입수되는 원수를 필터링하여 정수를 출력하는 필터부;
    상기 원수 및 정수의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 측정부;
    상기 원수의 이동을 조절하는 제 1 밸브;
    상기 정수의 이동을 조절하는 제 2 밸브; 및
    상기 제 1 밸브 및 상기 제 2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수가 상기 수질 측정부를 향하는 제 1-1 방향 또는 상기 필터부를 향하는 제 1-2 방향 중 하나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 1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정수가 상기 수질 측정부를 향하는 제 2-1 방향 또는 음용을 위해 출수되도록 상기 정수기 외부로 향하는 제 2-2 방향 중 하나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 2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수질 측정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 및 상기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정수기의 상태를 진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정수기 내 배관 잔류수가 상기 수질 측정부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 1 밸브를 상기 제 1-1 방향으로 개방 제어하고, 상기 제 2 밸브를 상기 제 2-1 방향으로 개방 제어하며,
    상기 수질 측정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정수기 내 배관 잔류수의 수질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정수기 내 배관의 오염도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 측정부는,
    상기 원수 또는 상기 정수가 임시로 저장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 내에 위치하여 상기 원수 또는 상기 정수의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 측정 센서; 및
    상기 저수조 내의 상기 원수 또는 상기 정수를 저장 유지 또는 배수하는 제 3 밸브를 포함하는,
    정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수조에 상기 원수가 저장되도록 상기 제 1 밸브를 상기 제 1-1 방향으로 개방 제어하고 상기 제 3 밸브를 폐쇄 제어하며,
    상기 수질 측정 센서로부터 상기 원수에 대한 수질 측정 완료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원수가 배수되도록 상기 제 1 밸브의 상기 제 1-1 방향을 폐쇄 제어하고 상기 제 3 밸브를 개방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정수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수조에 상기 정수가 저장되도록 상기 제 2 밸브를 상기 제 2-1 방향으로 개방 제어하고 상기 제 3 밸브를 폐쇄 제어하며,
    상기 수질 측정 센서로부터 상기 정수에 대한 수질 측정 완료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정수가 배수되도록 상기 제 2 밸브의 상기 제 2-1 방향을 폐쇄 제어하고 상기 제 3 밸브를 개방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정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 및 상기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의 비교에 기초하여 그 차이가 기준값을 초과하고, 상기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가 기설정된 정수 기준 범위 이내임에 따라, 상기 제 2 밸브를 상기 제 2-2 방향으로 개방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정수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 및 상기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의 비교에 기초하여 그 차이가 기준값 이하이거나, 상기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가 기설정된 정수 기준 범위를 벗어남에 따라, 상기 제 2 밸브의 상기 제 2-2 방향을 폐쇄하여 음용을 위한 출수를 차단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정수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밸브의 상기 제 2-2 방향을 폐쇄하여 음용을 위한 출수를 차단 제어한 후, 상기 필터부의 필터 교체를 요청하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정수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가 기설정된 원수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원수 오염 및 옥내외 배관 오염 중 하나 이상으로 판단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정수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N 개(여기서, N은 자연수)의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N 개의 필터 각각의 사이에 물의 이동을 조절하는 N-1 개의 제 4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4 밸브의 전단에 위치한 제 1 필터를 통과한 물이 상기 수질 측정부를 향하는 제 4-1 방향 또는 상기 제 1 필터를 통과한 물이 다음 제 2 필터를 향하는 제 4-2 방향 중 하나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 4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 4 밸브를 상기 제 4-1 방향으로 개방 제어하여 상기 수질 측정부로부터 상기 제 1 필터를 통과한 물의 수질 측정 결과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정수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 및 상기 제 1 필터를 통과한 물의 수질 측정 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제 1 필터의 교체여부를 판단하고,
    제 1 필터를 통과한 물의 수질 측정 결과 및 제 2 필터를 통과한 물의 수질 측정 결과를 비교하여 제 2 필터의 교체 여부를 판단하며,
    제 2 필터를 시작으로 하여 제 N-1 필터까지, 이전 필터를 통과한 물의 수질 측정 결과 및 현재 필터를 통과한 물의 수질 측정 결과를 비교하여 현재 필터의 교체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N-1 필터를 통과한 물의 수질 측정 결과 및 상기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제 N 필터의 교체 여부를 판단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정수기.
  11. 삭제
  12. 정수기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정수기로 입수되는 원수 및 정수의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 측정부를 향하는 제 1-1 방향 또는, 상기 원수를 필터링하여 정수를 출력하는 필터부를 향하는 제 1-2 방향 중 하나로 이동하도록 제 1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수질 측정부로부터 상기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수가 상기 수질 측정부를 향하는 제 2-1 방향 또는 음용을 위해 출수되도록 상기 정수기 외부로 향하는 제 2-2 방향 중 하나로 이동하도록 제 2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수질 측정부로부터 상기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질 측정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 및 상기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정수기의 상태를 진단하고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정수기 내 배관 잔류수가 상기 수질 측정부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 1 밸브를 상기 제 1-1 방향으로 개방 제어하고, 상기 제 2 밸브를 상기 제 2-1 방향으로 개방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질 측정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정수기 내 배관 잔류수의 수질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정수기 내 배관의 오염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가 임시로 저장되는 저수조에 상기 원수가 저장되도록 상기 제 1 밸브를 상기 제 1-1 방향으로 개방 제어하고, 상기 저수조 내의 상기 원수를 저장 유지 또는 배수하는 제 3 밸브를 폐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저수조 내에 위치하는 수질 측정 센서로부터 상기 원수에 대한 수질 측정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원수에 대한 수질 측정 완료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원수가 배수되도록 상기 제 1 밸브의 상기 제 1-1 방향을 폐쇄 제어하고 상기 제 3 밸브를 개방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 제어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가 임시로 저장되는 저수조에 상기 정수가 저장되도록 상기 제 2 밸브를 상기 제 2-1 방향으로 개방 제어하고, 상기 저수조 내의 상기 정수를 저장 유지 또는 배수하는 제 3 밸브를 폐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저수조 내에 위치하는 수질 측정 센서로부터 상기 정수에 대한 수질 측정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정수에 대한 수질 측정 완료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정수가 배수되도록 상기 제 2 밸브의 상기 제 2-1 방향을 폐쇄 제어하고 상기 제 3 밸브를 개방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 제어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 및 상기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정수기의 상태를 진단하고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 및 상기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의 비교에 기초하여 그 차이가 기준값을 초과하고, 상기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가 기설정된 정수 기준 범위 이내임에 따라, 상기 제 2 밸브를 상기 제 2-2 방향으로 개방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 제어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 및 상기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정수기의 상태를 진단하고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 및 상기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의 비교에 기초하여 그 차이가 기준값 이하이거나, 상기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가 기설정된 정수 기준 범위를 벗어남에 따라, 상기 제 2 밸브의 상기 제 2-2 방향을 폐쇄하여 음용을 위한 출수를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 제어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 및 상기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정수기의 상태를 진단하고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밸브의 상기 제 2-2 방향을 폐쇄하여 음용을 위한 출수를 차단 제어한 후, 상기 필터부의 필터 교체를 요청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제어 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가 기설정된 원수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원수 오염 및 옥내외 배관 오염 중 하나 이상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제어 방법.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N 개(여기서, N은 자연수)의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N 개의 필터 각각의 사이에 물의 이동을 조절하는 N-1 개의 제 4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4 밸브는, 상기 제 4 밸브의 전단에 위치한 제 1 필터를 통과한 물이 상기 수질 측정부를 향하는 제 4-1 방향 또는 상기 제 1 필터를 통과한 물이 다음 제 2 필터를 향하는 제 4-2 방향 중 하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4 밸브를 상기 제 4-1 방향으로 개방 제어하여 상기 수질 측정부로부터 상기 제 1 필터를 통과한 물의 수질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원수의 수질 측정 결과 및 상기 제 1 필터를 통과한 물의 수질 측정 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제 1 필터의 교체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2 필터를 시작으로 하여 제 N-1 필터까지, 이전 필터를 통과한 물의 수질 측정 결과 및 현재 필터를 통과한 물의 수질 측정 결과를 비교하여 현재 필터의 교체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N-1 필터를 통과한 물의 수질 측정 결과 및 상기 정수의 수질 측정 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제 N 필터의 교체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제어 방법.
  20. 삭제
KR1020210060760A 2020-05-11 2021-05-11 정수기 및 정수기 제어 방법 KR1025305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680 2020-05-11
KR20200055680 2020-05-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926A KR20210137926A (ko) 2021-11-18
KR102530502B1 true KR102530502B1 (ko) 2023-05-09

Family

ID=78524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760A KR102530502B1 (ko) 2020-05-11 2021-05-11 정수기 및 정수기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30502B1 (ko)
WO (1) WO20212306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90344A (zh) * 2021-12-13 2022-12-20 青岛海尔施特劳斯水设备有限公司 出水水质控制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518322B1 (ko) * 2022-03-31 2023-04-05 (주)디이산업 실시간 상수도 수질감지 및 수질사고 대응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
KR102648680B1 (ko) * 2023-06-28 2024-03-19 주식회사 에스엠티 실시간 수질분석을 통해 필터 교체와 음용적합여부를 알려주는 무전원 가정용 정수기와 그 시스템
CN117111532B (zh) * 2023-10-09 2024-05-14 佛山市芯耀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净水机的控制电路、pcb板及净水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376B1 (ko) * 2007-04-09 2008-09-2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838A (ko) * 2002-01-21 2003-07-28 정휘동 수질 및 유량측정이 가능한 역삼투압 정수기
KR20040056596A (ko) * 2002-12-24 2004-07-01 주식회사 비에스텍 수질검사 기능을 갖는 정수기 및 그 관리방법
KR20090095052A (ko) * 2008-03-04 2009-09-09 정석동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927149B1 (ko) * 2008-03-04 2009-11-18 정석동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20100264073A1 (en) * 2008-04-01 2010-10-21 Min Chien Teng Water-purifying device for increasing oxygen content
KR101535624B1 (ko) * 2013-12-05 2015-07-13 어영상 수질 자동 측정장치
KR20180103295A (ko) * 2017-03-09 2018-09-19 코웨이 주식회사 수질 관리 시스템 및 수질 관리 서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376B1 (ko) * 2007-04-09 2008-09-2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30627A1 (ko) 2021-11-18
KR20210137926A (ko)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3291B1 (ko) 정수기 및 정수기 제어 방법
KR102530502B1 (ko) 정수기 및 정수기 제어 방법
Teodosiu et al. Neural network models for ultrafiltration and backwashing
Roehl Jr et al. Modeling fouling in a large RO system with artificial neural networks
Ingildsen et al. Smart water utilities: Complexity made simple
Baxter et al. Development of a full-scale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for the removal of natural organic matter by enhanced coagulation
JP5512032B1 (ja) 循環水利用システムの課金装置、循環水利用システム
Madaeni et al. Modeling, optimization, and control of reverse osmosis water treatment in kazeroon power plant using neural network
Ray et al. A holistic review on how artificial intelligence has redefined water treatment and seawater desalination processes
Alver et al. Prediction of full-scale filtration plant performance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based 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JP5563142B1 (ja) 循環水利用システム
KR102634730B1 (ko) 가전제품 자가진단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963124B1 (ko) 도서지에 분산 설치된 소규모 담수화장치의 원격 진단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Raffin et al. Optimising operation of an integrated membrane system (IMS)—A Box–Behnken approach
Im et al. Prediction of forward osmosis membrane engineering factor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pproach
JP4718873B2 (ja) 膜濾過設備の制御装置
Soni et al. Smart water purification technique
JP6361216B2 (ja) 除濁装置の遠隔管理制御システム
Kale et al. Prediction of water filter bed backwash time for water treatment plant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
Mashhadi Meighani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vs. classical approaches: a new look at the prediction of flux decline in wastewater treatment
Chafa et al. Design of a real–time water quality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using Internet of Things (IoT)
Han et al. Knowledge-based fuzzy broad learning algorithm for warning membrane fouling
KR20220039595A (ko) IoT와 AI를 이용한 유독성 하수 무단방류를 감시하는 다점형 블록 원격 감시 시스템
Ramkumar et al. Tertiary treatment using ultrafiltration in an existing sewage treatment plant for industrial reuse: a modelling approach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with uncertainty estimation
Ren et al. Multivariable identification of membrane fouling based on compacted cascade neural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