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279B1 - Modular pier capable of realizing high girder height and long column spans - Google Patents

Modular pier capable of realizing high girder height and long column spa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279B1
KR102530279B1 KR1020210133272A KR20210133272A KR102530279B1 KR 102530279 B1 KR102530279 B1 KR 102530279B1 KR 1020210133272 A KR1020210133272 A KR 1020210133272A KR 20210133272 A KR20210133272 A KR 20210133272A KR 102530279 B1 KR102530279 B1 KR 102530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rame
vertical
modular pier
de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32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50045A (en
Inventor
한택희
김성원
홍혜민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10133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279B1/en
Publication of KR20230050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00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2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24Bridges or similar structures, based on land or on a fixed structure and designed to give access to ships or other floating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형고 장지간 구현이 가능한 모듈형 잔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정된 간격으로 해안 지반에 관입 및/또는 고정되는 복수의 파일; 판상 모듈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파일의 상단에 결합되는 복수의 데크; 및 상호 인접한 복수의 데크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데크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하부로 연장되고,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체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는, 상호 인접한 복수의 상기 체결프레임의 절곡된 단부를 감싸며 상기 체결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잔교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 pier that can be implemented with high solidity and long span, 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iles that penetrate and / or are fixed to the coastal ground at set intervals; A plurality of decks formed of plate-shaped modules and coupled to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piles;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connecting a plurality of mutually adjacent decks,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decks includes a fastening frame extending downward from at least one side surface and having an end bent inwardly, The member provides a modular pier,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fastening frame while surrounding the bent ends of the plurality of mutually adjacent fastening frames.

Description

고형고 장지간 구현이 가능한 모듈형 잔교{Modular pier capable of realizing high girder height and long column spans}Modular pier capable of realizing high girder height and long column spans

본 발명은 모듈형 잔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형고(high girder height) 및 장지간(long column spans)이 구현이 가능한 모듈형 잔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 p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dular pier capable of realizing high girder height and long column spans.

주로 해안가에서 접안시설로 사용되고 있는 잔교는 강재나 콘크리트로된 기둥 위에 판상의 데크가 거더를 이용하거나 직접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된다.The pier, which is mainly used as a berthing facility on the coast, is composed of a structure in which a plate-shaped deck is connected directly or using a girder on a steel or concrete pillar.

그러나, 기존의 잔교는 기후 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과, 태풍 및 폭풍 해일과 같은 이상 기후에 대비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짧은 지간으로 유지 보수가 어려운 경우도 종종 발견된다.However, existing piers have limitations in preparing for abnormal weather such as rising sea levels and typhoons and storm surges due to climate change, and maintenance is often difficult due to a short span.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잔교의 효율적인 시공과 이용을 위해서는 고형고, 장지간, 모듈화가 필요하며, 잔교의 고강도 기둥 및 상부 구조물의 개발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nd efficiently construct and use piers, solid height, long spans, and modularization are required, which can be realiz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high-strength columns and superstructures of piers.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213262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21326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성능 기둥 사용 및 모듈화를 통해 고형고 및 장지간이 구현이 가능하고, 시공성과 확장성이 크게 향상되는 고형고 장지간 구현이 가능한 모듈형 잔교를 제공하는 것이다.A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dular pier capable of realizing solid high and long spans through the use of high-performance pillars and modularization, and greatly improving workability and scalability.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후 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 및 이상기후에도 안전하며, 해상공간 창출을 통하여 국토 확장이 가능하고, 다목적 해상 모듈러 구조물로의 활용이 가능하도록 고형고 장지간 구현이 가능한 모듈형 잔교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safe even in sea level rise and abnormal weather due to climate change, to expand the national territory through the creation of sea space, and to implement a solid high-end long span so that it can be used as a multi-purpose marine modular structure. It is to provide a possible modular pier.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정된 간격으로 해안 지반에 관입 및/또는 고정되는 복수의 파일; 판상 모듈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파일의 상단에 결합되는 복수의 데크; 및 상호 인접한 복수의 데크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데크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하부로 연장되고,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체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는, 상호 인접한 복수의 상기 체결프레임의 절곡된 단부를 감싸며 상기 체결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잔교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iles penetrated and / or fixed to the coastal ground at set intervals; A plurality of decks formed of plate-shaped modules and coupled to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piles;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connecting a plurality of mutually adjacent decks,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decks includes a fastening frame extending downward from at least one side surface and having an end bent inwardly, The member provides a modular pier,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fastening frame while surrounding the bent ends of the plurality of mutually adjacent fastening fram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프레임은, 평면상 상기 데크의 측변를 따라 설정된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데크의 모서리으로부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고, 수직 단면이 'L'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frame is extended to a set length along the side of the deck on a plane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edge of the deck by a set distance, and a vertical cross section may be formed in an 'L' shap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제1 방향으로 이웃한 제1 및 제2 데크 각각의 일측에서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맞닿은 제1 및 제2 세로프레임 각각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1 및 제2 데크 각각의 측면 모서리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가로프레임 각각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member is coupled to the end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frames that extend in the second direction from one sid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eck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and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 first connector; and a second connector coupled to an end portion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verse frames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from side edges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eck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제1 및 제2 세로프레임의 길이에 대응하는 제1 길이(L1)로 연장된 각재로 형성되고, 상부면에서 제1 폭(W1)으로 형성된 제1 홈부 및 상기 제1 홈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제2 폭(W2)으로 형성된 제2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nector is formed of a rectangular member extending to a first length L1 corresponding to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frames, and has a first width W1 at the top surface. It may include a first groove portion formed as , and a second groove portion extending further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first groove portion and formed to have a second width W2 .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가로프레임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2 가로프레임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영역의 수직 단부가 'ㄷ'자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영역의 수직 단부가 역 'ㄷ'자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nector is divided into a first region coupled to an end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and a second region coupled to an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frame based on a vertical center line, , The vertical end of the first area may be formed in a 'c' shape, and the vertical end of the second area may be formed in an inverted 'c' shap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세로프레임 각각은, 상기 단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제1 및 제2 프레임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제1 및 제2 영역 각각에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홀과 동일축 상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커넥터홀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frames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frame holes penetrating the end portion, and the first connector comprises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 holes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connector holes formed on the same axis as the first and second frame holes to correspond to the first and second frame hol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프레임홀과 상기 제1 커넥터홀에 삽입되는 제1 볼트; 및 상기 제2 프레임홀과 상기 제2 커넥터홀에 삽입되는 제2 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member may include: a first bolt inserted into the first frame hole and the first connector hole; and a second bolt inserted into the second frame hole and the second connector ho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1 및 제2 데크의 일측 모서리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제1 가로프레임과 상기 제2 가로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제2 길이(L2)로 연장된 각재로 형성되고, 일측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3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nnector has a second length to connect the first horizontal frame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from one edge of the first and second decks ( It is formed of a rectangular member extending to L2) and may include a third groove formed concave inward from one si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1 및 제2 가로프레임 각각의 단부에 결합되는 부분의 수직 단부가 'ㄷ'자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cond connector, a vertical end of a portion coupled to each end of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frames may be formed in a 'c' shap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로프레임 각각은, 상기 단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제3 및 제4 프레임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3및 제4 프레임홀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제3 및 제4프레임홀과 동일축 상에 형성되는 제3 커넥터홀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frames includes a plurality of third and fourth frame holes penetrating the end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or comprises the third and fourth frame holes. Corresponding to each hole, a third connector hole formed on the same axis as the third and fourth frame holes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3 및 제4 프레임홀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3 커넥터홀에 체결되는 제3 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third bolt fastened to at least one of the third and fourth frame holes and the third connector ho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데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측 모서리에서 상기 모서리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직각 배치된 상기 제1 세로프레임 및 상기 제1 가로프레임 각각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3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member, the first vertical frame disposed at right angl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corner at the other corner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ecks And a third connector coupled to each end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커넥터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 각각으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제1 및 제2 서브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커넥터는 상기 모서리의 꼭지점에서 상기 제1 세로프레임 또는 상기 제2 세로프레임까지의 빈 공간에 대응하도록 제3 길이(L3)로 연장된 각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서브 커넥터는 상기 모서리의 꼭지점에서 상기 제1 가로프레임 또는 상기 제2 가로프레임까지의 빈공간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3 길이(L3)로 연장된 각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커넥터 각각은 일측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4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connector includes first and second sub-connectors disposed separately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first sub-connector is a vertex of the corner. is formed of a rectangular member extending to a third length (L3) to correspond to the empty space from the first vertical frame or the second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sub-connector is formed from a vertex of the corner to the first horizontal frame or It is formed of a rectangular member extending to the third length (L3) to correspond to the empty space up to the second horizontal frame, and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ub-connectors includes a fourth groove formed concave inward from one side surface. can do.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커넥터는,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절곡된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모서리의 꼭지점에서 상기 제1 세로프레임 및 상기 제1 가로프레임까지의 빈 공간에 대응하도록 제3 길이(L3)로 절곡 연장되거나, 상기 모서리의 꼭지점에서 상기 제2 세로프레임 및 상기 제2 가로프레임까지의 빈 공간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3 길이(L3)로 절곡 연장되고, 일측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4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connector is formed integrally bent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nd has an empty space from a vertex of the corner to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first horizontal frame. It is bent and extended to a third length (L3) to correspond to the space, or bent and extended to the third length (L3) to correspond to the empty space from the vertex of the corner to the second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It may include a fourth groove formed concave inward from one si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듈형 잔교는, 상기 제2 커넥터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가로프레임 및 상기 제2 가로프레임 사이의 빈 공간을 채우는 제1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ular pier may further include a first block disposed above the second connector to fill an empty space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frame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듈형 잔교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3 커넥터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모서리의 꼭지점에서 상기 제1 세로프레임 및 상기 제1 가로프레임까지의 빈 공간 또는 상기 모서리의 꼭지점에서 상기 제2 세로프레임 및 상기 제2 가로프레임까지의 빈 공간을 채우는 제2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ular pier is formed by b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nd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third connector to form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first vertical frame at the vertex of the corner. A second block filling the empty space up to the first horizontal frame or the empty space from the vertex of the corner to the second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성능 기둥 사용 및 모듈화를 통해 고형고 및 장지간이 구현이 가능하고, 시공성과 확장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lid height and long span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use of high-performance pillars and modularization, and constructability and scalability can be greatly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후 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 및 이상기후에도 안전하며, 해상공간 창출을 통하여 국토 확장이 가능하고, 다목적 해상 모듈러 구조물로의 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afe even in sea level rise and abnormal weather due to climate change,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national territory through the creation of sea space, and it can be used as a multi-purpose marine modular structure.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잔교의 설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측면 사시도, (b)는 하부 평면도, (c)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잔교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넥터의 체결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수직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b)는 제1 커넥터의 체결 이전 세로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 (c)는 제1 커넥터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넥터의 체결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제2 커넥터가 설치된 잔교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 (b)는 제2 커넥터의 체결 이전 가로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 (c)는 제2 커넥터가 체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넥터 및 제1 블록의 설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제1 블록이 설치된 잔교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 (b)는 제1 블록의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c)는 제1 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커넥터 및 제2 블록의 설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제2 블록이 설치된 데크의 모서리를 나타내는 도면, (b)는 제2 블록의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c)는 제3 커넥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파일의 수직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b)는 수평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and 2 are views showing the installation of a modular p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de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side perspective view, (b) is a lower plan view, (c) is a side view.
4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 modular p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fastening state of a first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view showing a vertical cross-sectional structure, (b) is a view showing a vertical frame before fastening of the first connector, ( c)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is fastened.
6 is a view showing the fastening of the second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view showing the side of the pier where the second connector is installed, (b) is a horizontal frame before the second connector is fastened. , (c)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connector is fastened.
7 is a view showing installation of a second connector and a first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view showing the side of a pier where the first block is installed, (b) is a view of the first block A drawing show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c) is a drawing showing the installed state of the first block.
8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a third connector and a second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view showing the corner of the deck on which the second block is installed, (b) is a view of the second block A drawing show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c) is a drawing showing the installed state of the third connector.
9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view showing a vertical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pile, (b) is a view showing a horizontal cross-sectional structure.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therefo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mbined)" with another part, this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 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잔교의 설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측면 사시도, (b)는 하부 평면도, (c)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잔교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넥터의 체결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수직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b)는 제1 커넥터의 체결 이전 세로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 (c)는 제1 커넥터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넥터의 체결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제2 커넥터가 설치된 잔교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 (b)는 제2 커넥터의 체결 이전 가로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 (c)는 제2 커넥터가 체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넥터 및 제1 블록의 설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제1 블록이 설치된 잔교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 (b)는 제1 블록의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c)는 제1 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커넥터 및 제2 블록의 설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제2 블록이 설치된 데크의 모서리를 나타내는 도면, (b)는 제2 블록의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c)는 제3 커넥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파일의 수직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b)는 수평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and 2 are views showing the installation of a modular p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de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side perspective view, (b) is a lower plan view, (c) is a side view. 4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 modular p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fastening state of a first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view showing a vertical cross-sectional structure, (b) is a view showing a vertical frame before fastening of the first connector, ( c)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is fastened. 6 is a view showing the fastening of the second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view showing the side of the pier where the second connector is installed, (b) is a horizontal frame before the second connector is fastened. , (c)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connector is fastened. 7 is a view showing installation of a second connector and a first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view showing the side of a pier where the first block is installed, (b) is a view of the first block A drawing show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c) is a drawing showing the installed state of the first block. 8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a third connector and a second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view showing the corner of the deck on which the second block is installed, (b) is a view of the second block A drawing show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c) is a drawing showing the installed state of the third connector. 9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view showing a vertical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pile, (b) is a view showing a horizontal cross-sectional structure.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형고 장지간 구현이 가능한 모듈형 잔교(10)는 설정된 간격으로 해안 지반에 관입 및/또는 고정되는 복수의 파일(100), 판상 모듈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파일(100)의 상단에 결합되는 복수의 데크(200-1,200-2,200-3,200-4) 및 상호 인접한 복수의 데크(200-1,200-2,200-3,200-4)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8, the modular pier 10 capable of implementing a solid long sp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iles 100 that penetrate and / or are fixed to the coastal ground at set intervals, Connecting a plurality of decks (200-1,200-2,200-3,200-4) and a plurality of decks (200-1,200-2,200-3,200-4) adjacent to each other formed of plate-shaped modules and coupled to the top of the plurality of piles (100)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300 to.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파일(100)은 상기 복수의 데크(200-1,200-2,200-3,200-4) 각각의 하부면에 부착된 거더(230)에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데크(200-1,200-2,200-3,200-4) 각각을 지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piles 1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coupled to the girder 230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ecks 200-1,200-2,200-3,200-4, and the plurality of decks (200-1,200-2,200-3,200-4) each can be supported.

상기 복수의 데크(200-1,200-2,200-3,200-4) 각각은 판상으로 형성된 상판(210) 및 상기 상판(21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하부로 연장되고,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체결프레임(220)을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decks 200-1,200-2,200-3,200-4 has a top plate 210 formed in a plate shape and a fastening frame extending downward from at least one side surface of the top plate 210 and having an end bent inward ( 220) may be included.

여기서, 상기 체결프레임(220)은 평면상 상기 데크(200)의 측변을 따라 설정된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데크(200)의 모서리으로부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고, 수직 단면이 'L'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astening frame 220 is extended to a set length along the side of the deck 200 on a plane, spaced apart from the edge of the deck 200 by a set distance, and has a vertical cross section formed in an 'L' shape. c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의 데크(200-1,200-2,200-3,200-4)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렬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열(2열 이상)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1 방향(D1)에 교차하는 제2 방향(D2) 중 적어도 하나로 연결을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데크(200-1,200-2,200-3,200-4) 각각은 제1 내지 제n 데크(200-1 ~ 200-n)(여기서, n은 자연수)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크(200)의 네 측면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복수의 체결프레임(220)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세로프레임(222)과,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가로프레임(224)으로 구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decks (200-1,200-2,200-3,200-4) may be connected in one row as shown in FIG. 1 or in multiple rows (two or more rows) as shown in FIG. , The connection may be extend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direction D1 and the second direction D2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D1. 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decks 200-1,200-2,200-3,200-4 may be divided into first to nth decks 200-1 to 200-n (where n is a natural number).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fastening frames 22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our sides of the deck 200 include a vertical frame 222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D2 and a vertical frame 222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1. It can be divided into a horizontal frame 224.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300)는 상호 인접한 복수의 상기 체결프레임(220)의 절곡된 단부를 감싸며 상기 체결프레임(220)에 결합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300 may be coupled to the fastening frame 220 while surrounding bent ends 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frames 220 adjacent to each other.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300)는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웃한 제1 및 제2 데크(200-1,200-2) 각각의 일측에서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서로 맞닿은 제1 및 제2 세로프레임(222-1,222-2) 각각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커넥터(310), 상기 제1 및 제2 데크(200-1,200-2) 각각의 측면 모서리에서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가로프레임(224-1,224-2) 각각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 커넥터(320)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nnecting member 300 extends from one sid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ecks 200-1 and 200-2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D1 in the second direction D2 and abuts on each other. and a first connector 310 coupled to the respective ends of the second vertical frames 222-1 and 222-2, and the first and second decks 200-1 and 222-2 at side edges of each of the first direction D1. ) It may include a second connector 320 coupled to the respectiv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frames 224-1 and 224-2 extending in a direction.

상기 제1 커넥터(310)는 상기 제1 및 제2 세로프레임(222-1,222-2)의 길이에 대응하는 제1 길이(L1)로 연장된 각재로 형성되고, 상부면에서 제1 폭(W1)으로 형성된 제1 홈부 및 상기 제1 홈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제2 폭(W2)으로 형성된 제2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or 310 is formed of a rectangular member extending to a first length L1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frames 222-1 and 222-2, and has a first width W1 at the upper surface. ) and a second groove extending further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first groove and having a second width W2.

이러한 상기 제1 커넥터(310)는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가로프레임(224-1)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2 가로프레임(224-2)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영역의 수직 단부가 'ㄷ'자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영역의 수직 단부가 역 'ㄷ'자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or 310 has a first region coupled to an end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224-1 based on a vertical center line, and a first region coupled to an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frame 224-2. It may be divided into two areas, a vertical end of the first area may be formed in a 'c' shape, and a vertical end of the second area may be formed in an inverted 'c' shape.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세로프레임(222-1,222-2) 각각은 상기 단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제1 및 제2 프레임홀(226,227)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가로프레임(224-1,224-2) 각각은 상기 단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제3 및 제4 프레임홀(228,229)을 포함할 수 있다.Her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frames 222-1 and 222-2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frame holes 226 and 227 penetrating the ends. 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frames 224-1 and 224-2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ird and fourth frame holes 228 and 229 penetrating the ends.

상기 제1 커넥터(310)는 상기 제1 및 제2 영역 각각에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홀(226,227)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홀(226,227)과 동일축 상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커넥터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or 310 corresponds to the first and second frame holes 226 and 227 in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respectively, and is formed coaxially with the first and second frame holes 226 and 227. First and second connector holes (not shown) may be included.

이때, 상기 연결부재(300)는 상기 제1 프레임홀(226)과 상기 제1 커넥터홀에 체결되는 제1 볼트(410), 및 상기 제2 프레임홀(227)과 상기 제2 커넥터홀에 체결되는 제2 볼트(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member 300 is fastened to the first bolt 410 fastened to the first frame hole 226 and the first connector hole, and fastened to the second frame hole 227 and the second connector hole. A second bolt 420 may be further included.

다음, 상기 제2 커넥터(320)는 상기 제1 및 제2 데크(200-1,200-2)의 일측 모서리에서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 상기 제1 가로프레임(224-1)과 상기 제2 가로프레임(224-2)을 연결하도록 제2 길이(L2)로 연장된 각재로 형성되고, 일측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3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커넥터(320)는 상기 제1 및 제2 가로프레임(224-1,224-2) 각각의 단부에 결합되는 부분의 수직 단부가 'ㄷ'자로 형성될 수 있다.Next, the second connector 320 connects the first horizontal frame 224-1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1 from one corner of the first and second decks 200-1 and 200-2 and the second connector 320. It is formed of a rectangular member extending to the second length L2 to connect the second horizontal frame 224-2, and may include a third groove formed concave inward from one side surface. At this time, the vertical end of the second connector 320 coupled to the respectiv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frames 224-1 and 224-2 may be formed in a 'c' shape.

또한, 상기 제2 커넥터(320)는 상기 제3및 제4 프레임홀(228,229)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제3 및 제4프레임홀(228,229)과 동일축 상에 형성되는 제3 커넥터홀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or 320 may include a third connector hole formed coaxially with the third and fourth frame holes 228 and 229 corresponding to the third and fourth frame holes 228 and 229, respectively. can

이때, 상기 연결부재(300)는 상기 제3 및 제4 프레임홀(228,229)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3 커넥터홀에 체결되는 제3 볼트(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member 3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the third and fourth frame holes 228 and 229 and a third bolt 430 fastened to the third connector hole.

상기 연결부재(300)는 상기 제1 및 제2 데크(200-1,200-2) 중 적어도 하나의 타측 모서리에서 상기 모서리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2 방향(D2)으로 직각 배치된 상기 제1 세로프레임(222-1) 및 상기 제1 가로프레임(224-1) 각각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3 커넥터(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member 300 is at right angles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the second direction D2 corresponding to the corner at the other corner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ecks 200-1 and 200-2. A third connector 330 coupled to each end of the first vertical frame 222-1 and the first horizontal frame 224-1 may be further included.

여기서, 상기 제3 커넥터(330)는 제1 실시예로서,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2 방향(D2) 각각으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제1 및 제2 서브 커넥터(332,334)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third connector 330, as the first embodiment,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sub-connectors 332 and 334 separately disposed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the second direction D2, respectively. can

상기 제1 서브 커넥터(332)는 상기 모서리의 꼭지점에서 상기 제1 세로프레임(222-1) 또는 상기 제2 세로프레임(222-2)까지의 빈 공간에 대응하도록 제3 길이(L3)로 연장된 각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서브 커넥터(334)는 상기 모서리의 꼭지점에서 상기 제1 가로프레임(224-1) 또는 상기 제2 가로프레임(224-2)까지의 빈공간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3 길이(L3)로 연장된 각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커넥터(332,334) 각각은 일측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4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ub-connector 332 extends to a third length L3 corresponding to an empty space from the vertex of the corner to the first vertical frame 222-1 or the second vertical frame 222-2. It can be formed from squared lumber. In addition, the second sub-connector 334 has the third length L3 corresponding to the empty space from the vertex of the corner to the first horizontal frame 224-1 or the second horizontal frame 224-2. ) can be formed as an elongated angle member.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ub-connectors 332 and 334 may include a fourth groove formed concave inward from one side surface.

또는, 상기 제3 커넥터(330)는 제2 실시예로서,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2 방향(D2)으로 절곡된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모서리의 꼭지점에서 상기 제1 세로프레임(222-1) 및 상기 제1 가로프레임(224-1)까지의 빈 공간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3 길이(L3)로 절곡 연장되거나, 상기 모서리의 꼭지점에서 상기 제2 세로프레임(222-2) 및 상기 제2 가로프레임(224-2)까지의 빈 공간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3 길이(L3)로 절곡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3 커넥터(330)는 일측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상기 제4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as the second embodiment, the third connector 330 is formed in an integral shape bent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the second direction D2, and the first vertical frame at the vertex of the corner ( 222-1) and the first horizontal frame 224-1 are bent and extended to the third length L3 to correspond to the empty space, or from the vertex of the corner to the second vertical frame 222-2 and It may be bent and extended to the third length L3 to correspond to the empty space up to the second horizontal frame 224-2. The third connector 330 may include the fourth groove formed concave inward from one side surface.

이러한 상기 제3 커넥터(330)는 상기 제1 프레임홀(226) 또는 상기 제3 프레임홀(228)과 동일축 상에 형성되는 제4 커넥터홀(미도시), 및 상기 제2 프레임홀(227) 또는 상기 제4 프레임홀(229)과 동일축 상에 형성되는 제5 커넥터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connector 330 includes a fourth connector hole (not shown) formed on the same axis as the first frame hole 226 or the third frame hole 228, and the second frame hole 227 ) or a fifth connector hole (not shown) formed on the same axis as the fourth frame hole 229 .

이때, 상기 연결부재(300)는 상기 제1 및 제3 프레임홀(226,228)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4 커넥터홀에 체결되거나, 상기 제2 및 제4 프레임홀(227,229)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5 커넥터홀에 체결되는 제4 볼트(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member 300 is fastened to any one of the first and third frame holes 226 and 228 and the fourth connector hole, or to any one of the second and fourth frame holes 227 and 229 and the first connector hole. 5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bolt 440 fastened to the connector hole.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모듈형 잔교(10)는 상기 제2 커넥터(32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가로프레임(224-1) 및 상기 제2 가로프레임(224-2) 사이의 빈 공간을 채우는 제1 블록(360), 및 상기 제1 방향(D1)과 상기 제2 방향(D2)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3 커넥터(33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모서리의 꼭지점에서 상기 제1 세로프레임(222-1) 및 상기 제1 가로프레임(224-1)까지의 빈 공간 또는 상기 모서리의 꼭지점에서 상기 제2 세로프레임(222-2) 및 상기 제2 가로프레임(224-2)까지의 빈 공간을 채우는 제2 블록(3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dular pi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bove the second connector 320 to provide a bridge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frame 224-1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224-2. The first block 360 filling the empty space is formed by being bent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the second direction D2, and is disposed above the third connector 330 at the vertex of the corner. The second vertical frame 222-2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224-2 in the empty space between the first vertical frame 222-1 and the first horizontal frame 224-1 or at the vertex of the corner. 2)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lock 370 filling the empty space.

여기서, 상기 제1 블록(360)은 상기 제3 볼트(430)가 체결되는 제1 블록체결홀(36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록(370)은 상기 제4 볼트(440)가 체결되는 제2 블록체결홀(372)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irst block 360 includes a first block fastening hole 362 to which the third bolt 430 is fastened, and the second block 370 to which the fourth bolt 440 is fastened. A second block fastening hole 372 may be included.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파일(100) 각각은 강으로 구성된 외관부(110), 상기 외관부(110)의 내면에 중공(140)을 형성하면서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콘크리트부(120), 및 상기 콘크리트부(120)의 중공(140)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부(120)를 구속하는 내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9, each of the plurality of piles 100 has an exterior part 110 made of steel, and a concrete part 120 filled with concrete while forming a hollow 14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xterior part 110. ), and an inner pipe part 130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140 of the concrete part 120 to restrain the concrete part 120.

여기서, 상기 외관부(110)는 상기 콘크리트부(120)가 부착되는 내측면에 상기 외관부(110)와 상기 콘크리트부(120)가 일체 거동을 확보케하는 다수의 전단 연결재(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단 연결재는 상기 파일(100)의 축방향으로 판 모양으로 부착되어 상기 파일(100)의 좌굴을 방지하는 스티프너부(미도시)와, 상기 스티프너부와 일체를 이루면서 상기 파일(100)의 반경방향으로 판모양으로 부착되어 상기 콘크리트부(120) 및 상기 외관부(110)의 일체 거동을 확보케하는 스터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exterior part 110 has a plurality of shear connectors (not shown) for securing the integral behavior of the exterior part 110 and the concrete part 120 on the inner surface to which the concrete part 120 is attached. can be attached At this time, the shear connector is attached in a plate shap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pile 100 to prevent the pile 100 from buckling, and the stiffener part (not shown) integrally formed with the pile 100 It may include a stud part (not shown) attached in a plate shap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oncrete part 120 and the exterior part 110 to ensure integral behavior.

상기 내관부(130)는 상기 콘크리트부(120)의 중공(140)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부(120)를 구속하므로 상기 콘크리트부(120)를 3축 응력상태 하에 있게 함으로서 상기 콘크리트부(120)의 중공(140)에 의한 취성 파괴를 방지하여 연성 능력을 확보하고, 휨 모멘트에 대한 강성을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inner pipe part 130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140 of the concrete part 120 and restrains the concrete part 120, so that the concrete part 120 is under a triaxial stress state, and thus the concrete part 120 ) It is possible to perform a function of preventing brittle fracture by the hollow 140 to secure ductility and reinforcing stiffness against a bending moment.

이러한 상기 파일(100)은 상기 내관부(130)에 의해 휨모멘트에 대한 강성의 증가로 단면, 자중이 감소하고, 자중의 감소에 따라 내진 설계에 효과적이며, 중공(140)에 의한 콘크리트 사용량 감소, 단면의 감소, 거푸집의 불필요, 연성능력 확보를 위한 철근의 사용 불필요, 이에 따른 인건비 절약, 공기단축 등 경제적으로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파일(100)은 좌굴에 저항하는 기능을 하는 스티프너부와, 상기 내관부(130) 및 상기 외관부(110)의 일체 거동을 확보케 하는 스터드부로 상기 전단연결재를 구성하여 상기 내관부(130), 상기 외관부(110) 및 상기 콘크리트부(120)의 일체거동을 확보하고, 좌굴을 방지할 수 있다.The pile 100 has a cross section and self-weight reduced due to an increase in rigidity against bending moment by the inner pipe 130, and is effective in seismic design according to the decrease in self-weight, and the use of concrete is reduced due to the hollow 140 , There are economically advantageous effects such as reduction of cross section, no need for formwork, no need to use reinforcing bars to secure ductility, and consequently saving labor costs and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In addition, the pile 100 is composed of a stiffener portion that resists buckling and a stud portion that secures the integral behavior of the inner pipe portion 130 and the outer portion 110. 130,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integral behavior of the exterior part 110 and the concrete part 120, and to prevent buckl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성능 기둥 사용 및 모듈화를 통해 고형고 및 장지간이 구현이 가능하고, 시공성과 확장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lid height and long span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use of high-performance pillars and modularization, and constructability and scalability can be greatly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후 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 및 이상기후에도 안전하며, 해상공간 창출을 통하여 국토 확장이 가능하고, 다목적 해상 모듈러 구조물로의 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afe even in sea level rise and abnormal weather due to climate change,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national territory through the creation of sea space, and it can be used as a multi-purpose marine modular structur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파일
200: 데크
210: 상판
220: 체결프레임
230: 거더
300: 연결부재
310: 제1 커넥터
320: 제2 커넥터
330: 제3 커넥터
360: 제1 블록
370: 제2 블록
100: file
200: deck
210: top plate
220: fastening frame
230: girder
300: connecting member
310: first connector
320: second connector
330: third connector
360: first block
370: second block

Claims (16)

설정된 간격으로 해안 지반에 관입 및/또는 고정되는 복수의 파일;
판상 모듈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파일의 상단에 결합되는 복수의 데크; 및
상호 인접한 복수의 데크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데크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하부로 연장되고,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체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는,
상호 인접한 복수의 상기 체결프레임의 절곡된 단부를 감싸며 상기 체결프레임에 결합되되,
상기 체결프레임은,
평면상 상기 데크의 측변을 따라 설정된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데크의 모서리로부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고, 수직 단면이 ‘L’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제1 방향으로 이웃한 제1 및 제2 데크 각각의 일측에서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맞닿은 제1 및 제2 세로프레임 각각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1 및 제2 데크 각각의 측면 모서리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가로프레임 각각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 커넥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가로프레임 각각은,
상기 단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제3 및 제4 프레임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3 및 제4 프레임홀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제3 및 제4 프레임홀과 동일축 상에 형성되는 제3 커넥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잔교.
A plurality of piles that penetrate and / or are fixed to the coastal ground at set intervals;
A plurality of decks formed of plate-shaped modules and coupled to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piles;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connecting a plurality of mutually adjacent decks;
Including,
Each of the plurality of decks,
A fastening frame extending downward from at least one side and having an end bent inward,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Wrapped around the bent ends 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frames adjacent to each other and coupled to the fastening frame,
The fastening frame,
It extends to a set length along the side of the deck on a plane, is spaced apart from the edge of the deck by a set distance, and has a vertical cross section formed in an 'L' shape,
The connecting member is
A first connector coupled to each end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frames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from one sid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eck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and contacting each other; and
second connectors coupled to ends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verse frames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from side edges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ecks; including,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frames,
Including a plurality of third and fourth frame holes penetrating the end,
The second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a modular pier comprising a third connector hole formed on the same axis as the third and fourth frame holes corresponding to the third and fourth frame holes, respectively.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제1 및 제2 세로프레임의 길이에 대응하는 제1 길이(L1)로 연장된 각재로 형성되고,
상부면에서 제1 폭(W1)으로 형성된 제1 홈부 및 상기 제1 홈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제2 폭(W2)으로 형성된 제2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잔교.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nector,
It is formed of a rectangular member extending to a first length (L1)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frames,
A modular pi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groove portion formed on an upper surface with a first width W1 and a second groove portion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first groove portion and formed with a second width W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가로프레임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2 가로프레임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영역의 수직 단부가 'ㄷ'자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영역의 수직 단부가 역 'ㄷ'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잔교.
According to claim 4,
The first connector,
It is divided into a first region coupled to the end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and a second region coupled to the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frame based on the vertical center line,
The vertical end of the first region is formed in a 'c' shap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end of the second area is formed in an inverted 'c' shape, modular pi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세로프레임 각각은,
상기 단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제1 및 제2 프레임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제1 및 제2 영역 각각에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홀과 동일축 상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커넥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잔교.
According to claim 5,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frames,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frame holes penetrating the end,
The first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includes first and second connector holes formed on the same axis as the first and second frame hol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frame holes. Modular pi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프레임홀과 상기 제1 커넥터홀에 체결되는 제1 볼트; 및
상기 제2 프레임홀과 상기 제2 커넥터홀에 체결되는 제2 볼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잔교.
According to claim 6,
The connecting member is
a first bolt fastened to the first frame hole and the first connector hole; and
a second bolt fastened to the second frame hole and the second connector ho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odular pi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1 및 제2 데크의 일측 모서리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제1 가로프레임과 상기 제2 가로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제2 길이(L2)로 연장된 각재로 형성되고,
일측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3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잔교.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connector,
It is formed of a rectangular member extending in a second length (L2) to connect the first horizontal frame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from one edge of the first and second deck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ird groove formed concave inward on one side, modular pi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1 및 제2 가로프레임 각각의 단부에 결합되는 부분의 수직 단부가 'ㄷ'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잔교.
According to claim 8,
The second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end of the portion coupled to the end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frames is formed in a 'c' shape, modular pi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3 및 제4 프레임홀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3 커넥터홀에 체결되는 제3 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잔교.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member is
The modular pier further comprises a third bolt fastened to at least one of the third and fourth frame holes and the third connector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데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측 모서리에서 상기 모서리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직각 배치된 상기 제1 세로프레임 및 상기 제1 가로프레임 각각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3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잔교.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member is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ecks coupled to the end of each of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first horizontal frame disposed at right angl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corner at the other corner of the first and second decks 3 Modular pi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necto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커넥터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 각각으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제1 및 제2 서브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커넥터는 상기 모서리의 꼭지점에서 상기 제1 세로프레임 또는 상기 제2 세로프레임까지의 빈 공간에 대응하도록 제3 길이(L3)로 연장된 각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서브 커넥터는 상기 모서리의 꼭지점에서 상기 제1 가로프레임 또는 상기 제2 가로프레임까지의 빈공간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3 길이(L3)로 연장된 각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커넥터 각각은 일측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4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잔교.
According to claim 12,
The third connector,
Including first and second sub-connectors separately dispos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respectively;
The first sub-connector is formed of a rectangular member extending a third length (L3) to correspond to an empty space from the vertex of the corner to the first vertical frame or the second vertical frame,
The second sub-connector is formed of a rectangular member extending to the third length (L3) to correspond to an empty space from the vertex of the corner to the first horizontal frame or the second horizontal frame,
The modular pier,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ub-connectors includes a fourth groove formed concave inward from one side surfa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커넥터는,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절곡된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모서리의 꼭지점에서 상기 제1 세로프레임 및 상기 제1 가로프레임까지의 빈 공간에 대응하도록 제3 길이(L3)로 절곡 연장되거나, 상기 모서리의 꼭지점에서 상기 제2 세로프레임 및 상기 제2 가로프레임까지의 빈 공간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3 길이(L3)로 절곡 연장되고,
일측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4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잔교.
According to claim 12,
The third connector,
It is formed in an integral shape bent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It is bent and extended to a third length (L3) to correspond to the empty space from the vertex of the corner to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first horizontal frame, or the second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from the vertex of the corner. It is bent and extended to the third length (L3) to correspond to the empty space up to,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ourth groove formed concave inward on one side, modular pi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형 잔교는,
상기 제2 커넥터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가로프레임 및 상기 제2 가로프레임 사이의 빈 공간을 채우는 제1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잔교.
According to claim 1,
The modular p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odular pier further comprises a first block disposed above the second connector to fill the empty space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frame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형 잔교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3 커넥터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모서리의 꼭지점에서 상기 제1 세로프레임 및 상기 제1 가로프레임까지의 빈 공간 또는 상기 모서리의 꼭지점에서 상기 제2 세로프레임 및 상기 제2 가로프레임까지의 빈 공간을 채우는 제2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잔교.
According to claim 1,
The modular pier,
It is formed by b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It is disposed above the third connector and is an empty space from the vertex of the corner to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first horizontal frame or an empty space from the vertex of the corner to the second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block filling the, modular pier.
KR1020210133272A 2021-10-07 2021-10-07 Modular pier capable of realizing high girder height and long column spans KR1025302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272A KR102530279B1 (en) 2021-10-07 2021-10-07 Modular pier capable of realizing high girder height and long column sp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272A KR102530279B1 (en) 2021-10-07 2021-10-07 Modular pier capable of realizing high girder height and long column spa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0045A KR20230050045A (en) 2023-04-14
KR102530279B1 true KR102530279B1 (en) 2023-05-10

Family

ID=85946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3272A KR102530279B1 (en) 2021-10-07 2021-10-07 Modular pier capable of realizing high girder height and long column spa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027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0054A (en) * 1998-10-13 2000-04-25 Yamaha Motor Co Ltd Joint structure of built-up pontoon and joint metal fixture therefor
KR102041262B1 (en) * 2019-01-11 2019-11-07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Deck Assembly with Deck Clip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4128A (en) * 1996-08-09 1998-02-24 Sekisui Chem Co Ltd Connecting structure of unit type floor material
KR101213262B1 (en) 2010-06-15 2012-12-18 현대건설주식회사 Pier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pier structure
KR20200116874A (en) * 2020-09-22 2020-10-13 (주)네오테크 Prefabricated precast pi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0054A (en) * 1998-10-13 2000-04-25 Yamaha Motor Co Ltd Joint structure of built-up pontoon and joint metal fixture therefor
KR102041262B1 (en) * 2019-01-11 2019-11-07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Deck Assembly with Deck Cl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0045A (en) 2023-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60826B2 (en) Rigid structure of upper and lower composite members
KR102462488B1 (en) Precast slab with interrocking shear member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918681B1 (en) Wale beam
KR200402162Y1 (en) Temporary works bridge
KR20210082373A (en) Junction structure of concrete column and steel beam
KR100676627B1 (en) Shear reinforcement device arranged in the slab-column connection and the shear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the device
JP2016199861A (en) Pile foundation structure
JP2000282469A (en) Cut-beam type earth retaining timbering and pit excavation method
KR102403925B1 (en) A temporary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temporary bridge
US7090439B1 (en) Retaining wall construction element for railway installations
KR102530279B1 (en) Modular pier capable of realizing high girder height and long column spans
KR102433336B1 (en) Steel pipe girder with guide-plat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132338B1 (en) Steel Composite PSC Girder Including Arched Reinforcement
KR100725879B1 (en) Bridge reinforcing system using reinforcing beam
CN113585044A (en) Bridge structure
CN114075830A (en) Precast concrete's hasp spare and strut subassembly
JP5982143B2 (en) Reinforcing structure and reinforcing method for existing structure
KR101740004B1 (en) Box girder bridge construction and assembly using the same
CN218809982U (en) Gantry crane
JP2009091743A (en) Continuous i-beam bridge and structure near its intermediate supporting point
JP4479229B2 (en) Basic structure of the structure
CN210766841U (en) Underground pile foundation structure
KR102239773B1 (en) Modular type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N1128268C (en) Concrete foundation of high building
KR102025630B1 (en) Steel bridge with integrating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