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084B1 - 디스플레이단말, 미러모듈 및 스마트미러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단말, 미러모듈 및 스마트미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084B1
KR102530084B1 KR1020210114111A KR20210114111A KR102530084B1 KR 102530084 B1 KR102530084 B1 KR 102530084B1 KR 1020210114111 A KR1020210114111 A KR 1020210114111A KR 20210114111 A KR20210114111 A KR 20210114111A KR 102530084 B1 KR102530084 B1 KR 102530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irror
module
terminal
ins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1650A (ko
Inventor
신민영
Original Assignee
아이콘에이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콘에이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콘에이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4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084B1/ko
Publication of KR20230031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1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2/00Hand, pocket, or shaving mi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단말, 미러모듈 및 스마트미러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터치 신호를 감지할 수 있고,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모듈;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지지하고 소정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디스플레이지지부, 상기 디스플레이지지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연장방향과 어긋나는 소정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인서트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바디; 음향을 발생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지지부에 배치되는 스피커; 외부 접속기기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인서트부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부의 반대측 단부에 제공되는 고정부; 및 상기 외부 접속기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인서트부에 배치되는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지지부와 상기 인서트부는 상기 두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외부 접속기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슬릿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단말, 미러모듈 및 스마트미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단말, 미러모듈 및 스마트미러장치{DISPLAY DEVICE, MIRROR MODULE AND SMART MIRROR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단말, 미러모듈 및 스마트미러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거울을 보고 화장 등을 하며, 태블릿, 모바일 단말기 등의 스마트기기를 별도로 파지하여 사용하거나 별도의 거치대를 구비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거울과 스마트기기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장치가 없어, 사용자는 거울을 보며 화장 등을 하면서 스마트 기기 등을 동시에 사용할 수 없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편의성 측면에서 불편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거울과 스마트기기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형성하여 사용자가 거울을 보면서 동시에 스마트기기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스마트기기를 거울과 분리하여 별도로 사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단말, 미러모듈 및 스마트미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터치 신호를 감지할 수 있고,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모듈;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지지하고 소정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디스플레이지지부, 상기 디스플레이지지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연장방향과 어긋나는 소정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인서트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바디; 음향을 발생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지지부에 배치되는 스피커; 외부 접속기기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인서트부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부의 반대측 단부에 제공되는 고정부; 및 상기 외부 접속기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인서트부에 배치되는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지지부와 상기 인서트부는 상기 두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외부 접속기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슬릿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단말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인식모듈; 및 상기 음성 신호 또는 상기 터치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제어하는 컨트롤모듈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단말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모듈은 보이스어시스턴트를 구현하는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단말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는, 상기 외부 접속기기와 체결되기 위한 자력을 제공하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단말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지지부와 상기 인서트부는 각각 상기 두께방향으로 서로 다른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인서트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지지부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단말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모듈은 소정의 폭으로 상기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연장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폭 방향의 길이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단말 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모듈은 소정의 폭으로 상기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연장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폭 방향의 길이보다 더 작게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단말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미러; 상기 미러를 지지하도록 상기 미러의 후면에 결합되는 미러플레이트, 상기 미러플레이트의 후방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미러플레이트의 후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배면커버, 및 상기 배면커버의 가장자리 일부로부터 요입형성되는 슬롯부를 포함하는 미러바디; 외부 도킹기기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슬롯부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는 도킹유지부; 및 상기 외부 도킹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슬롯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충전단자를 포함하는, 미러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킹유지부는, 상기 외부 도킹기기와 체결되기 위한 자력을 제공하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미러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단이 상기 충전단자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미러바디의 내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메인전선을 더 포함하는, 미러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미러모듈; 및 상기 미러모듈에 대하여 소정의 연장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도킹되는 디스플레이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단말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지지하고 상기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디스플레이지지부, 상기 디스플레이지지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연장방향과 어긋나는 소정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연장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인서트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바디; 상기 디스플레이지지부의 전면의 일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모듈; 상기 디스플레이지지부의 전면의 다른 일부에 배치되는 스피커; 상기 미러모듈과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인서트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고정부; 및 상기 미러모듈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의 일부에 배치되는 접속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지지부와 상기 인서트부는 소정의 두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미러모듈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슬릿을 제공하는, 스마트미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미러모듈은 미러; 상기 미러를 지지하도록 상기 미러의 후면에 결합되는 미러플레이트, 상기 미러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미러플레이트의 후면에 배치되는 배면커버 및 상기 배면커버의 가장자리 일부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연장형성되는 슬롯부를 포함하는 미러바디; 상기 디스플레이단말과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슬롯부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는 도킹유지부; 상기 디스플레이단말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도킹유지부의 일부에 배치되는 충전단자를 포함하는, 스마트미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와 상기 도킹유지부는 서로 선택적으로 체결 가능하게 구성되는, 스마트미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접속단자는 상기 충전단자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스마트미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단말은 상기 미러모듈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도킹되는, 스마트미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단말은 상기 미러모듈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도킹되는, 스마트미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거울과 스마트기기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형성하여 사용자가 거울을 보면서 동시에 스마트기기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기기가 거울에 대하여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도킹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기기를 거울과 분리하여 책상 등에 올려 놓거나 손으로 파지하여 별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미러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미러장치를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미러장치의 디스플레이단말과 미러모듈이 도킹되는 구성을 배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미러장치의 디스플레이단말과 미러모듈이 도킹된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미러장치의 디스플레이단말이 미러모듈로부터 분리되어 별도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미러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미러장치를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미러장치의 디스플레이단말과 미러모듈이 도킹되는 구성을 배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미러장치의 디스플레이단말이 미러모듈로부터 분리되어 별도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단말(100), 미러모듈(300) 및 스마트미러장치(1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마트미러장치(10)는 디스플레이단말(100) 및 미러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단말(100)은 사용자에게 영상과 음향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형 단말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단말(100)은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인터넷, 통신 등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보이스 어시스턴트(인공지능비서 플랫폼)와 연동하여 음악 재생, 날씨정보, 뉴스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와 연동하여 스피커(130)를 통해 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단말(100)은 소정의 연장방향으로 미러모듈(300)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도킹(docking)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단말(100)은 미러모듈(300)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도킹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디스플레이단말(100)이 미러모듈(300)의 좌우측 중 어느 하나 또는 좌우 양측에 모두 도킹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디스플레이단말(100)은 디스플레이바디(110), 디스플레이모듈(120), 인식모듈(미도시), 컨트롤모듈(미도시), 스피커(130), 고정부(140), 접속단자(150) 및 서브전선(17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바디(110)는 디스플레이단말(100)의 외부 몸체를 형성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바디(110)는 디스플레이지지부(111), 연결부(112) 및 인서트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지지부(111)는 디스플레이모듈(120)을 지지하고 소정의 연장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지지부(111)는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12)는 디스플레이지지부(111)의 일측 단부로부터 디스플레이지지부(111)의 연장방향과 어긋나는 소정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부(112)는 디스플레이지지부(111)의 연장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결부(112)는 미러모듈에 결합되었을 때 내측이 미러(310)의 가장자리의 일부, 일 예로 미러(310)의 좌우측 가장자리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인서트부(113)는 후술할 미러모듈(300)의 슬롯부(333)에 μ착 가능하게 결합(도킹)될 수 있다. 인서트부(113)는 연결부(112)로부터 디스플레이지지부(111)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인서트부(113)는 디스플레이지지부(111)와 대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인서트부(113)는 소정의 폭으로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인서트부(113)의 연장방향으로의 길이는 폭 방향의 길이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인서트부(113)는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좌우방향의 길이는 상하방향의 폭의 길이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한편, 인서트부(113)가 삽입(도킹)되는 슬롯부(333) 역시 상술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지지부(111)와 인서트부(113)는 소정의 두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미러모듈(30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슬릿(S)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지지부(111)와 인서트부(113)는 각각 두께방향으로 서로 다른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인서트부(113)는 디스플레이지지부(111)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120)은 사용자의 터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식 패드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지지부(111)의 전면의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120)은 사용자의 음성 신호 또는 터치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디스플레이 모드(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등)를 실행하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모듈(120)은 보이스어시스턴트를 구현하는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드는 보이스어시스턴트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보이스어시스턴트 모드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 또는 터치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알고리즘, 예컨대 통상의 디스플레이모듈(120)의 보이스어시스턴트에서 구현 가능한 알고리즘 또는 서버로부터 해당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알고리즘 등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알고리즘에 의해 제공받는 정보는, 예를 들어 날씨 등의 생활 정보, 인물, 사물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보이스어시스턴트 모드에서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가 수신되면, 기 설정된 알고리즘을 통해, 날씨 정보, 뉴스 정보, 뮤직 정보, 보안 정보, 뷰티 콘텐츠 정보, 헬스케어 정보, 최신 트렌드 정보, 메이크업 정보, 헤어 및 네일 관련 정보 등이 스피커(130)를 통해 음성으로 제공되거나, 디스플레이모듈(120)의 디스플레이로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120)의 보이스어시스턴트는, 통상의 스마트홈 또는 loT 기술을 이용하여, 주변에 있는 전자제품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주변제품(조명, 욕실의 변기, 샤워기, 욕조의 온도, 물의 양 등)을 작동시키는 음성 신호를 본 발명에 제공하면, 보이스어시스턴트는 스마트홈 또는 loT 기술을 이용하여 음성명령을 통해 주변제품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변기의 물을 버려라”라는 음성 신호를 본 발명에 제공하면, 보이스어시스턴트는 스마트홈 또는 loT 기술을 이용하여 변기 내 수용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샤워기의 물 온도를 섭씨 39도에 맞춰줘” 또는 ”욕조의 물 온도를 섭씨 43도에 맞춰줘” 또는 ”욕실의 조명을 켜줘” 또는”욕실의 조명을 꺼줘”, ”욕실의 조명을 블루 색상으로 바꿔줘” 라는 등의 음성 신호를 본 발명에 제공하면, 보이스어시스턴트는 스마트홈 또는 loT 기술을 이용하여 조명, 샤워기의 물 온도 또는 물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보이스어시스턴트 기능은 마이크로폰을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단어나 문장으로 변환시키는 음성인식기술이 적용된 보이스어시스턴트(인공지능비서 플랫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보이스어시스턴트의 예시로는, 아마존의 '알렉사', 구글의 '어시스턴트', SK텔레콤의 '누구(NUGU)', 네이버의 '클로바' 등일 수 있다. 보이스어시스턴트 기능은,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신호로 처리하고, 기 설정된 알고리즘을 통해 인공지능비서 서비스로서 정보검색은 물론, 음악재생, 일정관리, 알람서비스 예약 안내 기능, 스피커(130) 작동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식모듈은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인식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인식모듈은 사용자의 음성 신호가 입력 가능한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모듈은 디스플레이모듈(12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감지된 터치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모듈(12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모듈은 인식모듈의 마이크로폰에서 감지된 음성 신호에 의해 보이스어시스턴트 기능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모듈(120)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120)은 소정의 폭으로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연장방향으로의 길이는 폭 방향의 길이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디스플레이모듈(120)은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좌우방향의 길이는 상하방향의 폭의 길이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한편, 디스플레이모듈(120) 및 디스플레이바디(110)의 디스플레이지지부(111)는 미러모듈(300)의 후술할 미러(310)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130)는 음향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지지부(111)의 전면의 다른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140)는 외부 접속기기(이하, 미러모듈(300)로 설명한다)와 체결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부(140)는 후술할 미러모듈의 도킹유지부(340)와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고정부(140)는 인서트부(113)에 있어서의 연결부(112)의 반대측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고정부(140)는 인서트부(113)의 연장방향의 끝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고정부(140)는 미러모듈의 도킹유지부(340)와 체결되기 위한 자력을 제공하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인서트부(113)의 연장방향의 끝 단부에 소정의 깊이로 장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접속단자(150)는 미러모듈(3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인서트부(113)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접속단자(150)는 후술할 미러모듈(300)의 충전단자(3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인서트부(113)의 고정부(140)의 상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단말(100) 내부에는 충전용 배터리(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단말(100)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커넥터 등을 통하여 충전용 배터리와 연결되는 서브전선(170)을 포함할 수 있다(도 5 참조).
미러모듈(300)은 사용자가 미러(310)를 통해 외모를 관찰할 수 있으며, 미러모듈(300)의 좌우측 중 어느 하나 또는 좌우 양측에는 디스플레이단말(100)이 도킹될 수 있다.
미러모듈(300)은 미러(310), 미러바디(330), 도킹유지부(340), 충전단자(350) 및 메인전선(360)를 포함할 수 있다.
미러(310)는 사용자가 외모를 관찰할 수 있는 거울일 수 있다.
미러바디(330)는 미러(3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미러(310)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미러바디(330)는 미러플레이트(331), 배면커버(332) 및 슬롯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미러플레이트(331)는 미러(310)를 지지하도록 미러(31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미러(310)의 형상과 대응되는 판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배면커버(332)는 미러플레이트(331)의 후방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미러플레이트(331)의 후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배면커버(332)는 미러(310) 또는 미러플레이트(331)보다 작은 반경 또는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미러플레이트(331)의 후방 둘레면를 따라 일정의 플랜지가 제공될 수 있으며, 플랜지에는 일 예로 링형의 조명(미도시)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거치부(334)는 미러모듈(300)을 벽에 고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홈 또는 돌기 등일 수 있다. 일 예로 거치부(334)를 벽에 부착된 걸이대(미도시)나 못에 걸어서 미러모듈(300)을 벽 등에 거치할 수 있다. 이러한 거치부(330)는 미러바디(330)의 배면측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거치부(330)는 미러플레이트(331)로부터 돌출되어 배면커버(332)를 관통하는 고정구로 형성될 수 있다.
슬롯부(333)는 디스플레이바디(110)의 인서트부(113)가 삽입(도킹)될 수 있도록 배면커버(332)의 가장자리의 일부로부터 요입(窯入)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슬롯부(333)가 배면커버(332)의 좌우측 중 어느 하나로부터 또는 좌우측 모두로부터 요입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도킹유지부(340)는 외부 도킹기기(이하 디스플레이단말(100)이라 설명한다)와 체결될 수 있도록 슬롯부(333)의 내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킹유지부(340)는 디스플레이단말(100)의 고정부(140)와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도킹유지부(340)는 디스플레이단말(100)의 고정부(140)와 체결되기 위한 자력을 제공하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는 장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충전단자(350)는 디스플레이단말(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슬롯부(333)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충전단자(350)는 디스플레이단말(100)의 접속단자(15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도킹유지부(340)의 상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전선(360)은 일단이 충전단자(350)와 연결되고, 타단이 미러바디(330)의 내부, 일 예로 미러바디(330)의 배면커버(332)의 하단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전선(360), 미러모듈(300)의 충전단자(350) 및 디스플레이모듈(120)의 접속단자(15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단말(100)의 배터리 등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메인전선(360)은 미러바디(330) 내부에서 전선클램프(335) 등에 정돈되도록 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스마트미러장치(10)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인하여, 본 실시예는 스마트미러장치(10)를 미러모듈(300)과 디스플레이단말(100)이 일체로 결합되도록 형성하여 사용자가 미러모듈(300)의 미러(31)를 통해 외모를 관찰하고 화장 등을 하면서 동시에 상술한 디스플레이단말(100)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단말(100)은 미러모듈(300)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도킹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단말(100)을 미러모듈(300)과 분리하여 디스플레이단말(100)을 책상 등에 올려 놓거나 손으로 파지하여 별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도 5 참조).
한편, 이러한 구성 이외에도,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미러장치(10)는 디스플레이단말(100)의 형상이 차이가 있으며, 디스플레이단말(100)이 미러모듈(300)에 상하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도킹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들과 비교하였을 때, 스마트미러장치(10)는 디스플레이단말(100)의 형상 및 디스플레이단말(100)이 미러모듈(300)에 상하방향으로 도킹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바, 이러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상술한 실시예들을 원용한다.
본 실시에에서 디스플레이모듈(120)은 소정의 폭으로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디스플레이모듈(120)의 연장방향으로의 길이는 디스플레이모듈(120)의 폭 방향의 길이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디스플레이모듈(120)은 좌우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하방향의 길이는 좌우방향의 폭의 길이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마찬가지로 인서트부(113) 역시 소정의 폭으로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인서트부(113)의 연장방향으로의 길이는 폭 방향의 길이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인서트부(113)는 좌우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하방향의 길이는 좌우방향의 폭의 길이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다르게 표현하면 인서트부(113)의 좌우방향의 폭의 길이는 상하방향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인서트부(113)가 삽입(도킹)되는 슬롯부(333) 역시 상술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단말(100)은 미러모듈(30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도킹될 수 있다. 따라서, 슬롯부(333)는 배면커버(332)의 상하측 중 어느 하나로부터 또는 상하측 모두로부터 요입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디스플레이단말(100)이 미러모듈(300)의 하측에 탈착 가능하게 도킹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한편, 디스플레이단말(100)의 고정부(140) 및 미러모듈(300) 슬롯부(333)의 도킹유지부(340)가 포함하는 자성체와 관련하여, 본 실시예에의 경우 인서트부(113) 및 슬롯부(333)의 좌우방향의 폭의 길이는 상하방향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고정부(140) 및 도킹유지부(340)의 자성체는 제1 실시예의 고정부(140) 및 도킹유지부(340)의 자성체보다 폭방향으로 더욱 길게 형성되어 강한 자력을 가지는 자성체가 요구될 수 있다. 이는, 제1 실시예의 경우 디스플레이단말(100)이 미러모듈(300)의 좌우측 중 어느 하나 또는 좌우 양측으로 도킹되므로, 디스플레이단말(100)의 인서트부(113)가 슬롯부(333)의 내측 하단부에 거치가 되는 형태로 결합이 될 수 있는 구성이나,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단말(100)이 미러모듈(300)의 하측에서 도킹되는 형태의 구성이므로, 디스플레이단말(100)이 하측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보다 강한 자성체로 고정부(140) 및 도킹유지부(340)를 형성하여 더욱 강한 자력으로 고정부(140) 및 인서트부(113)가 결합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 스마트미러장치 100: 디스플레이단말
110: 디스플레이바디 111: 디스플레이지지부
112: 연결부 113: 인서트부
120: 디스플레이모듈 130: 스피커
140: 고정부 150: 접속단자
170: 서브전선 300: 미러모듈
310: 미러 330: 미러바디
331: 미러플레이트 332: 배면커버
333: 슬롯부 334: 거치부
335: 전선클램프 340: 도킹유지부
350: 충전단자 360: 메인전선

Claims (18)

  1. 사용자의 터치 신호를 감지할 수 있고,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모듈;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지지하고 소정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디스플레이지지부, 상기 디스플레이지지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연장방향과 어긋나는 소정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인서트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바디;
    음향을 발생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지지부에 배치되는 스피커;
    외부 접속기기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인서트부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부의 반대측 단부에 제공되는 고정부; 및
    상기 외부 접속기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인서트부에 배치되는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지지부와 상기 인서트부는 상기 두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외부 접속기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슬릿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인식모듈; 및
    상기 음성 신호 또는 상기 터치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제어
    하는 컨트롤모듈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단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보이스어시스턴트를 구현하는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단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외부 접속기기와 체결되기 위한 자력을 제공하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단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지지부와 상기 인서트부는 각각 상기 두께방향으로 서로 다른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인서트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지지부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단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소정의 폭으로 상기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연장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폭 방향의 길이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단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소정의 폭으로 상기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연장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폭 방향의 길이보다 더 작게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단말.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미러를 포함하는 미러모듈; 및
    상기 미러모듈에 대하여 소정의 연장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도킹되는 디스플레이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단말은,
    디스플레이모듈을 지지하고 상기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디스플레이지지부, 상기 디스플레이지지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연장방향과 어긋나는 소정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연장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인서트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바디;
    상기 디스플레이지지부의 전면의 일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모듈;
    상기 디스플레이지지부의 전면의 다른 일부에 배치되는 스피커;
    상기 미러모듈과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인서트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고정부; 및
    상기 미러모듈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의 일부에 배치되는 접속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지지부와 상기 인서트부는 소정의 두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미러모듈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슬릿을 제공하고,
    상기 인서트부는, 상기 미러모듈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지지부는, 상기 미러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스마트미러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모듈은
    상기 미러를 지지하도록 상기 미러의 후면에 결합되는 미러플레이트, 상기 미러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미러플레이트의 후면에 배치되는 배면커버 및 상기 배면커버의 가장자리 일부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연장형성되는 슬롯부를 포함하는 미러바디;
    상기 디스플레이단말과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슬롯부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는 도킹유지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단말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도킹유지부의 일부에 배치되는 충전단자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미러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도킹유지부는 서로 선택적으로 체결 가능하게 구성되는,
    스마트미러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충전단자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스마트미러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단말은 상기 미러모듈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도킹되는,
    스마트미러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단말은 상기 미러모듈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도킹되는,
    스마트미러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유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단말과 체결되기 위한 자력을 제공하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스마트미러장치.
  18. 제 12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충전단자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미러바디의 내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메인전선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미러장치.
KR1020210114111A 2021-08-27 2021-08-27 디스플레이단말, 미러모듈 및 스마트미러장치 KR102530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111A KR102530084B1 (ko) 2021-08-27 2021-08-27 디스플레이단말, 미러모듈 및 스마트미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111A KR102530084B1 (ko) 2021-08-27 2021-08-27 디스플레이단말, 미러모듈 및 스마트미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650A KR20230031650A (ko) 2023-03-07
KR102530084B1 true KR102530084B1 (ko) 2023-05-09

Family

ID=85513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111A KR102530084B1 (ko) 2021-08-27 2021-08-27 디스플레이단말, 미러모듈 및 스마트미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008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04416A1 (en) * 1999-03-22 2002-01-10 Ronald Baratono Combined rear view mirror and telephone
US20150380970A1 (en) 2014-06-26 2015-12-31 Nissan North America, Inc. Wireless charging assembly for a vehicle
KR101584021B1 (ko) * 2014-12-31 2016-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사이드 미러의 모바일 단말기 도킹 장치
CN106184000A (zh) 2016-07-05 2016-12-07 深圳市爱培科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汽车智能后视镜的语音控制方法及系统
KR200488463Y1 (ko) 2017-10-23 2019-02-08 강이안 모바일 기기 착탈형 화장품 케이스
US20190133345A1 (en) 2017-11-08 2019-05-09 Scale Development LLC Interactive Mirror Device
KR102193581B1 (ko) * 2020-02-11 2020-12-23 아이콘에이아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보이스 어시스턴트와 연동하는 스마트 메이크업 미러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478U (ko) * 2009-07-09 2011-01-17 변명구 거울을 구비한 휴대폰
KR20210088353A (ko) * 2020-01-06 2021-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04416A1 (en) * 1999-03-22 2002-01-10 Ronald Baratono Combined rear view mirror and telephone
US20150380970A1 (en) 2014-06-26 2015-12-31 Nissan North America, Inc. Wireless charging assembly for a vehicle
KR101584021B1 (ko) * 2014-12-31 2016-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사이드 미러의 모바일 단말기 도킹 장치
CN106184000A (zh) 2016-07-05 2016-12-07 深圳市爱培科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汽车智能后视镜的语音控制方法及系统
KR200488463Y1 (ko) 2017-10-23 2019-02-08 강이안 모바일 기기 착탈형 화장품 케이스
US20190133345A1 (en) 2017-11-08 2019-05-09 Scale Development LLC Interactive Mirror Device
KR102193581B1 (ko) * 2020-02-11 2020-12-23 아이콘에이아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보이스 어시스턴트와 연동하는 스마트 메이크업 미러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650A (ko)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7182B2 (en) Portable speaker system
US11109694B2 (en) Smart makeup mirror device having a display and integrating with an artificial intelligence voice assistant
US10356506B2 (en) Portable sound equipment
US20170149958A1 (en) Cross-Device Security Scheme for Tethered Devices
KR20190115962A (ko) 휴대용 음향기기
US10554002B2 (en) Electric conduction apparatus
TW201415113A (zh) 眼鏡之轉接器
EP3340645B1 (en) Ear unit for a portable sound device
KR20160016153A (ko) 이동 단말기
KR102462425B1 (ko) 스피커 모듈을 이용한 발수 구조를 가진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그의 수분 침투 감지 방법
KR102530084B1 (ko) 디스플레이단말, 미러모듈 및 스마트미러장치
KR20190143281A (ko) 안테나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02372B1 (ko) 인이어 마이크를 포함하는 헤드셋
US20210361089A1 (en) Smart makeup mirror device having a display and integrating with an artificial intelligence voice assistant
US10950217B1 (en) Acoustic quadrupole system for head mounted wearable device
EP4145848A1 (en) Smart sound mirror device integrated with ai assistant platform service and equipped with display
JP2008130616A (ja) 電気機器及び表示装置
KR101612672B1 (ko) 이어폰 겸용 휴대폰 케이스
CN209807287U (zh) 一种智能手环
CN210608638U (zh) 一种主动移动式船形充电座
US11166116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converting artwork or photographs into audio-enhanced exhibits
KR102528287B1 (ko) 무전원 스피커 장치
KR20230034910A (ko) 인공지능비서 플랫폼 서비스와 통합되고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스마트 사운드 미러 디바이스
IT201800003664U1 (it) occhiale con sistema e metodo di intrattenimento comunicazione rilevamento e diffusione audio capace di gestire i dati
IT201800009885A1 (it) occhiale con sistema e metodo di intrattenimento comunicazione rilevamento e diffusione audio capace di gestire i dat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