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287B1 - 무전원 스피커 장치 - Google Patents

무전원 스피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287B1
KR102528287B1 KR1020210154726A KR20210154726A KR102528287B1 KR 102528287 B1 KR102528287 B1 KR 102528287B1 KR 1020210154726 A KR1020210154726 A KR 1020210154726A KR 20210154726 A KR20210154726 A KR 20210154726A KR 102528287 B1 KR102528287 B1 KR 102528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base
electronic device
speaker device
cov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4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주
신다빈
Original Assignee
정성주
신다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주, 신다빈 filed Critical 정성주
Priority to KR1020210154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2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전원 스피커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제1 개구를 가지고, 내부에 음향 공간이 마련되는 베이스 및 상기 제1 개구를 덮도록 배치되고, 전자 장치가 거치되는 커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유닛은,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상기 음향 공간과 외부가 연결되도록 다공(porosity)을 가지는, 무전원 스피커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전원 스피커 장치{Non electric speaker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전원 스피커 장치에 관한 것이다.
태블릿PC, 스마트폰 등 휴대용 전자 장치가 급속도로 발전하여 휴대 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 상대방의 음성을 송수신하는 통화기능외에도 동영상 또는 TV시청, 음악 청취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의 다양한 기능 발전과 함께 사용자의 생활에 밀접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휴대용 전자 장치와 같이 소형화, 박형화된 기기에 장착된 스피커는 풍부한 음향을 출력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음향을 전달하는 사운드 처리 장치, 즉 스피커의 품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어폰 또는 별도의 음향 장치에 케이블을 연결하여 활용하거나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로 간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악세서리가 나오고 있으나, 휴대용 전자 장치에 내장된 스피커만으로는 음향이 작고 풍부하지 않고, 휴대용 전자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다수의 부품들이 요구되는 바, 휴대성이 저하되고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기적으로 충전 또는 전원 공급이 필요한 제품들이 대부분으로, 전자 장치의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원을 빨리 소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베이스와 커버 유닛을 구비하고, 내부에 음향 공간을 가지는 무전원 스피커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제1 개구를 가지고, 내부에 음향 공간이 마련되는 베이스 및 상기 제1 개구를 덮도록 배치되고, 전자 장치가 거치되는 커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유닛은,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상기 음향 공간과 외부가 연결되도록 다공(porosity)을 가지는 무전원 스피커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음향 공간의 표면에서 돌출되는 복수개의 돌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음향 공간의 부피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유닛은, 상기 다공이 높이 방향으로 연결되되, 랜덤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유닛은, 상기 다공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는 제1 구조물 및 상기 제1 구조물에 지지되며, 상기 전자 장치가 삽입되는 제2 구조물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전원 스피커 장치는, 베이스 및 커버 유닛을 구비하여 전자 장치를 거치하고, 전자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증폭시켜 출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무전원 스피커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스피커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무전원 스피커 장치의 커버 유닛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무전원 스피커 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스피커 장치의 음향 이동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무전원 스피커 장치(10)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스피커 장치(1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전원 스피커 장치(10)는 전자 장치(20)와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전원 스피커 장치(10)는 별도의 전원을 공급하지 않아도 작동이 가능하며, 설치가 간편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무전원 스피커 장치(10)는 내부에 음향 공간이 마련되는 베이스(110), 전자 장치(20)가 거치되는 커버 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바닥(111)과, 바닥(111)에서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112)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베이스(110)는 벽(112)에 의해서 정의되는 제1 개구(113)를 가지며, 제1 개구(113)에 커버 유닛(120)이 장착될 수 있다.
베이스(110)는 내측면에 복수개의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개의 돌기는 3D 텍스쳐(Texture)를 형성하며, 베이스(110)의 내측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인 실시예로 베이스(110)는 이웃하는 돌기에 의해서 형성되는 복수개의 그루브를 가질 수 있다. 복수개의 돌기와 그루브는 베이스(110)의 내면에 요철을 형성하므로, 음향이 일정한 지점이나 영역에 집중되지 않고 골고루 확산 분포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돌기는 베이스(110)의 바닥(111)에만 배치되거나, 베이스(110)의 벽(112)에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돌기는 베이스(110)의 바닥(111)과 벽(112)에 모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돌기가 베이스(110)의 바닥(111)과 벽(112) 모두 설치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바닥(111)은 제1 돌기(114), 제1 그루브(115)를 가질 수 있다. 벽(112)은 제2 돌기(114a), 제2 그루브(115a)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커버 유닛(120)과 결합되어 전자 장치(20)를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베이스(110)는 대략 원형 기둥 형상으로 제공되어 안정적으로 놓일 수 있고, 거치된 전자 장치(20)는 사용자의 정면을 향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 및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베이스(110)와 커버 유닛(120)이 원형 또는 원형 기둥 형상을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베이스(110)는 내부에 음향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110)는 내측에 음향이 공명하는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110)는 소정의 형상과 부피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정 면적과 두께를 가지는 혼(Horn) 구조일 수 있고, 모서리가 라운드(round) 가공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10)는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공간의 부피가 줄어들고, 상기 공간의 표면에서 돌출되는 복수개의 돌기를 가질 수 있다.
제1 개구(113)는 베이스(1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개구(113)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고, 제1 개구(113)의 직경은 커버 유닛(120)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제1 개구(113)는 베이스(110)의 하부면에서 상면으로 연장되는 벽(112)의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113)는 커버 유닛(120)이 접촉되는 베이스(110)와 경계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벽(112)은 설정된 두께를 가지고 바닥(111)에서 연장될 수 있다. 벽(112)은 설정된 높이로 베이스(110)의 하면에서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벽(112)은 베이스(110)와 제1 개구(113)를 연결하여 음향 공간을 형성하므로, 음향이 베이스(110)의 음향 공간에서 증폭되거나, 음향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벽(112)은 설정된 경사각을 가지고 제1 개구(113)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벽(112)이 경사를 가지므로, 음향 공간은 높이 방향을 따라 부피가 줄어 들 수 있다. 음향 공간의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으므로, 음향 공간으로 들어오는 음향은 더욱 풍성한 음향을 형성할 수 있다.
무전원 스피커 장치(10)는 베이스(110)에 구비된 벽(112)의 높이에 따라 음향의 공명 공간을 확보하고 전자 장치(20)에서 발생하는 음파를 반사 및 감쇄시킬 수 있다.
제1 돌기(114)는 베이스(110)의 바닥(111)의 표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돌기(114)가 대략 뿔 형상을 가지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그루브(115)는 이웃하는 제1 돌기(114)에 의해서 형성된다. 즉, 제1 그루브(115)의 외측에는 복수개의 제1 돌기(114)가 배치되며, 제1 돌기(114)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홈인 제1 그루브(115)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돌기(114)는 바닥(11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돌기(114)가 바닥(111)의 전체 면적에서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면과 같이 제1 돌기(114)가 바닥(111)의 전체 표면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균질하고 풍성한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제1 돌기(114)는 바닥에서 랜덤하게 배치되어 음향의 간섭과 증폭에 의해서 다양한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돌기(114)는 음향을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돌기(114)가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면과 같이 제1 돌기(114)가 모두 동일한 부피를 가지어, 균질하고 풍성한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제1 돌기(114)는 랜덤한 부피를 가지어 음향의 간섭과 증폭에 의해서 다양한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돌기(114)는 제1 곡률 반경(R1)을 가지고 일정 간격으로 베이스(110)의 내측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그루브(115)는 제2 곡률 반경(R2)을 가지고 복수개의 돌기들을 연결하도록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돌기(114a)는 베이스(110)의 벽(112)의 표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2 돌기(114a)가 대략 뿔 형상을 가지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그루브(115a)는 이웃하는 제2 돌기(114a)에 의해서 형성된다. 즉, 제2 그루브(115a)의 외측에는 복수개의 제2 돌기(114a)가 배치되며, 제2 돌기(114a)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홈인 제2 그루브(115a)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돌기(114a)는 벽(112)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2 돌기(114a)가 벽(112)의 전체 면적에서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면과 같이 제2 돌기(114a)가 벽(112)의 전체 표면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균질하고 풍성한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제2 돌기(114a)는 벽(112)에서 랜덤하게 배치되어 음향의 간섭과 증폭에 의해서 다양한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돌기(114a)는 음향을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2 돌기(114a)가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면과 같이 제2 돌기(114a)가 모두 동일한 부피를 가지어, 균질하고 풍성한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제2 돌기(114a)는 랜덤한 부피를 가지어 음향의 간섭과 증폭에 의해서 다양한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돌기(114a)는 제3 곡률 반경(R3)을 가지고 일정 간격으로 벽(112)의 내측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그루브(115a)는 제4 곡률 반경(R4)을 가지고 복수개의 돌기들을 연결하도록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돌기(114)와 제1 그루브(115)는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제1 곡률 반경(R1)은 제2 곡률 반경(R2)과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제1 곡률 반경(R1)은 제2 곡률 반경(R2)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돌기(114a)와 제2 그루브(115a)는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제3 곡률 반경(R3)은 제4 곡률 반경(R4)과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제3 곡률 반경(R3)은 제4 곡률 반경(R4)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돌기(114)와 제2 돌기(114a)는 동일한 형상과 동일한 돌출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그루브(115)와 제2 그루브(115a)도 동일한 형상과 함몰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돌기(114)와 제2 돌기(114a)는 서로 다른 형상과 돌출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그루브(115)와 제2 그루브(115a)도 다른 형상과 함몰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곡률 반경(R1)과 제3 곡률 반경(R3)은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일 수 있다. 또한, 제2 곡률 반경(R2)과 제4 곡률 반경(R4)은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무전원 스피커 장치(10)는 벽(112)이 소정의 높이로 연장되므로, 제1 개구(113)가 베이스(110)의 바닥(111)에서 이격되게 배치된다. 또한, 베이스(110)는 벽(112)이 소정의 경사를 가지면서 연장되므로, 바닥(111)의 면적보다 제1 개구(113)의 개방 면적이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개구(113)는 제1 거리(D1)의 폭을 가지고, 베이스(110)의 바닥(111)은 제2 거리(D2)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제1 거리(D1)와 제2 거리(D2)는 서로 다른 거리로 설정되되, 제1 거리(D1)는 제2 거리(D1)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이격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이로써 무전원 스피커 장치(10)는 상대적으로 넓은 거리를 가지는 베이스(110)의 하부 공간으로 음향이 고르게 분포되고, 증폭된 음향이 베이스(110)의 하부면보다 적은 거리를 가지는 제1 개구(113)를 향해 출력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베이스(110)는 높이 방향을 따라 음향 공간의 부피가 줄어들 수 있다. 베이스(110)의 공명 공간에서 반사되는 음향은 공간의 부피가 줄어듬에 따라 상부로 유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전원 스피커 장치(10)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20)를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음향이 고르게 출력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무전원 스피커 장치(10)의 커버 유닛(120)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커버 유닛(120)은 베이스(110)의 제1 개구(113)를 덮도록 배치되며, 전자 장치(20)가 거치될 수 있다. 커버 유닛(120)은 베이스(110)의 상면에 접촉되어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유닛(120)은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상기 음향 공간과 외부가 연결되도록 다공(porosity)을 가질 수 있다.
커버 유닛(120)은 베이스(110)가 구성하는 음향 공간으로부터 음향이 고르게 출력되도록 베이스(110) 내부에서 반사 및 증폭된 음향을 외부로 출력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커버 유닛(120)은 제1 구조물(121), 제2 구조물(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조물(121)은 다공을 가지며, 베이스(110)에 지지될 수 있다. 제2 구조물(122)은 제1 구조물(121)에 지지되며, 전자 장치(20)가 삽입될 수 있다.
커버 유닛(120)은 음향을 직접적으로 출력하는 제1 구조물(121)과, 전자 장치(20)를 거치하도록 가이드하는 제2 구조물(122)을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커버 유닛(120)은 음향을 직접 출력할 수 있는 다공 구조를 가지고, 다공 구조에 직접 전자 장치(20)가 거치 될 수 있다.
제1 구조물(121)의 형상은 제1 개구(113)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조물(121)은 제1 개구(113)를 완전히 덮도록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110)에 조립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구조물(121)의 형상이 원형인 예를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설정 될 수 있다. 또한 제1 구조물(121)은 베이스(110)가 가지는 두께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구조물(121)은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상기 음향 공간과 외부가 연결되도록 다공(Porosity)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공(Porosity)은 높이 방향으로 연결되되, 랜덤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구조물(121)에 형성된 다공(Porosity)의 형상은 다공을 가지는 3차원 구조물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 구조물(121)에 형성된 다공(Porosity)의 형상은 허니콤(Honeycomb) 구조 또는 보로노이(Voronoi)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 구조물(121)은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다공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폴리우레탄 소재의 다공성 발포폼과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직물, 타공판 등일 수 있다.
무전원 스피커 장치(10)는 상술한 다공질의 소재를 적용함으로써, 전자 장치(20)의 음향을 효율적으로 방사시키고, 제1 구조물(121) 주변부에서 생성되는 음과 중심부에서 생성되는 음의 위상을 일치시킴으로써 전자 장치(20)에서 발생되는 음향의 현장감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구조물(121)은 베이스(110)의 상면을 완전히 커버함으로서 베이스(110)의 내측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커버 유닛(120)은 제1 구조물(121)에 지지되며 전자 장치(20)가 삽입되는 제2 구조물(12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구조물(121)은 제2 구조물(122)이 삽입되도록 적어도 일부 영역에 관통된 홀을 가질 수 있다. 제2 구조물(122)은 제1 구조물(121)의 관통구에 대응하는 제1 측부(L1) 및 제2 측부(L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측부(L1)와 제2 측부(L2)는 거치되는 전자 장치(2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구조물(122)은 설정된 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구조물(122)의 높이는 제1 구조물(121)의 높이와 같을 수 있다. 또한, 제2 구조물(122)의 높이는 제1 구조물(121)의 높이 보다 작게 설정되어, 제1 구조물(121)의 홈(미도시)에 제2 구조물(122)이 거치될 수 있다.
제2 구조물(122)은 전자 장치(20)의 일부와 접촉되는 제1 면(S1)과 제2 면(S2)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구조물(122)은 상하단이 개방되고, 각각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면(S1)과 제2 면(S2)을 가질 수 있다. 제2 구조물(122)은 전자 장치(20)가 거치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동작을 보조할 수 있다. 이 때, 제1 면(S1)과 제2 면(S2)은 일반적인 유형의 전자 장치(20)의 일면이 접촉되어 거치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면(S1)은 전자 장치(20)의 전후면을 지지하고, 제2 면(S2)은 전자 장치(20)의 측면을 둘러싸 거치되는 전자 장치(20)를 안정적으로 잡아주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전자 장치(20)는 하단부가 베이스(110) 내측에 안착되고, 전자 장치(20)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2 구조물(122)은 전자 장치(20)와 접촉되는 제1 면(S1)이 일정 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면(S1)은 마주보는 한쌍의 면을 구비하고, 설정된 각도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제1 면(S1)이 가지는 기울기에 따라, 전자 장치(20)의 거치 각도가 조절 될 수 있으며, 무전원 스피커 장치(10)에서 방사되는 음향의 경로는 변동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커버 유닛(120)은 접착 수단을 이용하여 베이스(110)에 실링(sealing)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 수단은 실리콘, 스프레이 접착제, 에폭시 접착제 등 이와 균등한 것들을 이용할 수 있다. 커버 유닛(120)이 베이스(110)에 접착됨으로써, 밀폐된 공명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무전원 스피커 장치(10)는 적층 제조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 때, 무전원 스피커 장치(10)는 분리 결합이 필요하지 않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와 무전원 스피커 장치(10)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는 무전원 스피커 장치(10)에 삽입될 수 있다. 전자 장치(20)가 삽입되는 삽입부는 전자 장치(20)의 단면적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20)의 전면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커버 유닛(120)을 향해 수직으로 삽입되며, 전자 장치(20)의 하단부, 즉 음향 발생부는 베이스(110)의 내측 공명 공간에 안착될 수 있다.
무전원 스피커 장치(10)는 전자 장치(20)가 삽입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20)의 조작이 가능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의 음향 재생 기능을 활성화하게 되면, 전자 장치(20) 자체의 스피커로부터 음향이 발생되며, 발생된 음향은 진폭을 가지고 무전원 스피커 장치(10) 내부의 공명 공간에 전달될 수 있다. 전자 장치(20)에서 발생된 음향이 내부 벽면에 도달하면, 음의 반향(echo)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전원 스피커 장치(10)는 베이스(110) 내측에 돌기 및 그루브 등의 산란성 벽면을 구비하여, 음의 반향(echo)을 줄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스피커 장치(10)의 음향 이동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돌기 및 그루브가 구비되지 않은 공명 공간에서 음향이 이동하는 구조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의 (B)는 돌기 및 그루브가 구비된 공명 공간에서 음향이 이동하는 구조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이, 전자 장치(20)에서 발생된 음향의 직접음은 진폭을 가지고 공명 공간 내에서 전달될 수 있다. 이 때, 도달하는 벽면의 평면 형상에 따라 음의 확산 및 반사는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무전원 스피커 장치(10)는 내측 공명 공간에 구비된 3D 텍스쳐의 돌기 및 그루브가 서로 다른 경사각을 설정하여 음향이 한곳에 집중되지 않고 고르게 확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무전원 스피커 장치(10)는 음의 집점을 방지하고 풍부하고 균일한 음향 증폭이 가능하도록 일정한 각도를 적용하여 실제 오케스트라 또는 뮤지컬 극장과 같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무전원 스피커 장치(10)의 공명 공간에서 증폭된 음향은 다공(Porosity)을 가지는 커버 유닛(120)을 통하여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20) 자체 스피커에서 발생되는 음향과 무전원 스피커 장치(10)에서 공명된 음향은 외부로 방사 경로를 형성하는 커버 유닛(120)을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커버 유닛(120)이 가지는 보로노이(Voronoi) 구조는 음향이 단순히 직선 방향으로 출력되지 않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커버 유닛(120)을 통하여 출력되는 음향은 랜덤하게 방사되어 사용자에게 풍부한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무전원 스피커 장치(10)는 전자 장치(20)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상술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풍부한 음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전원 스피커 장치(10)는 베이스(110)에서 커버 유닛(120)을 통해 전자 장치(20)의 음향을 왜곡없이 음량을 증대시켜 출력할 수 있다.
무전원 스피커 장치(10)는 전자 장치(20)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필요가 없으며, 외부 전원에 연결되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다. 무전원 스피커 장치(10)는 별도의 전력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충전식 또는 별도의 보조 배터리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고, 장소의 제약 없이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무전원 스피커 장치(10)에서 커버 유닛(120)이 다수개의 경로들을 통해 음향을 가이드하여 출력함으로써, 음향의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다.
무전원 스피커 장치(10)에서 음량의 증가폭을 일정 범위 내에서 균일하게 유지시켜,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음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 무전원 스피커 장치
20: 전자 장치
110: 베이스
120: 커버 유닛

Claims (5)

  1. 제1 개구를 가지고, 내부에 음향 공간이 마련되는 베이스; 및
    상기 제1 개구를 덮도록 배치되고, 전자 장치가 거치되는 커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유닛은,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상기 음향 공간과 외부가 연결되도록 다공(porosity)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음향 공간의 표면에서 기 설정된 패턴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돌기를 가지고,
    상기 커버 유닛은,
    상기 다공이 높이 방향으로 연결되되 랜덤하게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는 제1 구조물; 및
    상기 제1 구조물에 지지되며, 상기 전자 장치가 삽입되는 제2 구조물;을 구비하는, 무전원 스피커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음향 공간의 부피가 줄어드는, 무전원 스피커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54726A 2021-11-11 2021-11-11 무전원 스피커 장치 KR102528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726A KR102528287B1 (ko) 2021-11-11 2021-11-11 무전원 스피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726A KR102528287B1 (ko) 2021-11-11 2021-11-11 무전원 스피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8287B1 true KR102528287B1 (ko) 2023-05-03

Family

ID=86380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4726A KR102528287B1 (ko) 2021-11-11 2021-11-11 무전원 스피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2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6866A (ja) * 2009-09-15 2011-03-31 Satoshi Miyauchi スピーカーエンクロージャー
KR20170000090A (ko) * 2015-06-23 2017-01-02 김주연 휴대용 단말기의 포장 케이스를 이용한 휴대용의 무동력 음향 증폭 스피커
KR101714583B1 (ko) * 2016-02-23 2017-03-09 구덕회 컵 오디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6866A (ja) * 2009-09-15 2011-03-31 Satoshi Miyauchi スピーカーエンクロージャー
KR20170000090A (ko) * 2015-06-23 2017-01-02 김주연 휴대용 단말기의 포장 케이스를 이용한 휴대용의 무동력 음향 증폭 스피커
KR101714583B1 (ko) * 2016-02-23 2017-03-09 구덕회 컵 오디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7992B2 (en) Mobile media device case/attachment for providing passive acoustic boosting
US9942640B2 (en) Sound output apparatus, sound output method and image display apparatus
JP7124709B2 (ja) ウエアラブルスピーカ及び再生装置
TWI832198B (zh) 聲學裝置
US20150122575A1 (en) Sound amplification box and sound amplific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TW201448611A (zh) 可攜式電子裝置
EP3646616A1 (en) Electro-acoustical transducer arrangements of a sound system
JP4123046B2 (ja) スピーカ装置
CN218450508U (zh) 一种电子设备
KR20150051129A (ko) 음향 증폭 상자 및 이를 구비하는 음향 증폭 장치
KR100576248B1 (ko) 음성 확대기
KR102528287B1 (ko) 무전원 스피커 장치
US10491984B2 (en) Speaker device
US20180249243A1 (en) Speaker device
US20180367892A1 (en) Vibration Diaphragm
JP2016005079A (ja) 携帯型端末用ケース
CN113727230A (zh) 聆听装置及其支架
JP7142198B2 (ja) スピーカ装置
CN210469629U (zh) 一种音箱
KR102419058B1 (ko) 핸드폰 거치대
KR100260419B1 (ko) 무지향스피커시스템을위한음향반사판장치
RU208001U1 (ru) Наушники с пространственным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ем звука
KR100258344B1 (ko) 무지향 스피커 시스템을 위한 스피커 캐비넷 장치
KR100260418B1 (ko) 무지향스피커시스템을위한음향반사판장치
CN214707992U (zh) 一种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