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054B1 - 이코노마이저를 통해 회수한 lng 엔진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 폐열 발전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코노마이저를 통해 회수한 lng 엔진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 폐열 발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054B1
KR102530054B1 KR1020220135912A KR20220135912A KR102530054B1 KR 102530054 B1 KR102530054 B1 KR 102530054B1 KR 1020220135912 A KR1020220135912 A KR 1020220135912A KR 20220135912 A KR20220135912 A KR 20220135912A KR 102530054 B1 KR102530054 B1 KR 102530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onomizer
heat
evaporator
ship
cond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5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생
임승택
김세규
서종범
문정현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20135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0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054B1/ko
Priority to PCT/KR2023/012408 priority patent/WO2024085408A1/ko
Priority to GBGB2404522.1A priority patent/GB202404522D0/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2Driving of auxiliaries from propulsion power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5/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devices driven thereby
    • F01D15/10Adaptations for driving, or combinations with, electric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3/0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 F01K23/02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 F01K23/06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01K23/1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with exhaust fluid of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9/00Plants characterised by condensers arranged or modified to co-operate with the engines
    • F01K9/02Arrangements or modifications of condensate or air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GHOT GAS OR COMBUSTION-PRODUCT POSITIVE-DISPLACEMENT ENGINE PLANTS; USE OF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5/00Profiting from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5/02Profiting from waste heat of exhaust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 B63J2002/125Heating; Cooling making use of waste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코노마이저를 통해 회수한 LNG 엔진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 폐열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LNG 엔진으로부터 발생되는 폐열을 이코노마이저를 통해 회수하여 이로부터 유출되는 고온 고압의 증기를 유기랭킨사이클의 증발기로 공급하여 전력을 생산하며, 위의 고온 고압의 증기 일부를 이용하여 LNG 엔진의 배기가스와 이코노마이저의 접촉면에 발생하는 그을음을 제거할 수 있는, 이코노마이저를 통해 회수한 LNG 엔진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 폐열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코노마이저를 통해 회수한 LNG 엔진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 폐열 발전시스템{SHIP WASTE HEAT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WASTE HEAT OF LNG ENGINE SHIP RECOVERED THROUGH ECONOMIZER}
본 발명은 이코노마이저를 통해 회수한 LNG 엔진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 폐열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LNG 엔진으로부터 발생되는 폐열을 이코노마이저를 통해 회수하여 이로부터 유출되는 고온 고압의 증기를 유기랭킨사이클의 증발기로 공급하여 전력을 생산하며, 위의 고온 고압의 증기 일부를 이용하여 LNG 엔진의 배기가스와 이코노마이저의 접촉면에 발생하는 그을음을 제거할 수 있는, 이코노마이저를 통해 회수한 LNG 엔진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 폐열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제해사기구(IMO)의 친환경 선박 실현의 일환으로 LNG와 같은 천연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엔진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보급화를 예비하고 있다. 기존 디젤엔진의 경우 연료 가온을 위해 고온의 스팀 생산이 필요하며, 이와 같은 스팀은 선박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 폐열을 활용하여 열을 공급한다. 그러나 LNG를 연료로 활용하는 선박은 연료 가온이 불필요하며, 이는 곧 기존 디젤류 선박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 폐열보다 더 많은 폐열의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LNG 선박 메인엔진으로부터 발생된 고온의 배기가스를 고밀도의 안정된 물로 열교환하여 모듈화된 유기랭킨사이클 발전 설비의 열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물의 경우 밀도가 높고 잠열량이 크므로 배기열을 회수하는 과정에서 이코노마이저의 튜브 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국 특허 공개 제2012-0110709호 공보(발명의 명칭 : 폐열을 이용한 유기 랭킨 사이클 발전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상황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LNG 엔진으로부터 발생되는 배기가스의 열회수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코노마이저를 통해 회수한 LNG 엔진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 폐열 발전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너지 전환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코노마이저를 통해 회수한 LNG 엔진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 폐열 발전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이코노마이저를 통해 회수한 LNG 엔진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 폐열 발전시스템은 LNG 엔진 선박의 배기구 측에 설치된 이코노마이저(300)가 메인엔진으로부터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열원으로 사용하여 물을 열교환시켜 생성한 고온 고압의 증기를 열원으로 하고, 해수 열교환기(200)를 통해 열교환된 담수를 열침으로 하는 유기랭킨사이클(100)을 포함하는, 이코노마이저를 통해 회수한 LNG 엔진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 폐열 발전시스템으로서, 상기 유기랭킨사이클은 상기 이코노마이저에 의해 생성된 고온 고압의 증기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증발기(110); 상기 증발기에 의해 증발된 후 유출되는 냉매에 의해 회전되어 전력을 생산하는 터빈 발전기(120); 상기 해수 열교환기를 통해 열교환된 담수를 열침으로 사용하여 상기 터빈 발전기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를 액화시키는 응축기(130); 및 상기 응축기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를 압축시켜 상기 증발기로 제공하는 순환펌프(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이코노마이저를 통해 회수한 LNG 엔진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 폐열 발전시스템은 LNG 엔진 선박의 배기구 측에 설치된 이코노마이저(300)가 메인엔진으로부터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열원으로 사용하여 물을 열교환시켜 생성한 고온 고압의 증기를 열원으로 하고, 해수 열교환기(200)를 통해 열교환된 담수를 열침으로 하는 제1 유기랭킨사이클(100); 및 상기 제1 유기랭킨사이클에서 열원으로 사용된 후 배출되는 유체를 열원으로 하고, 상기 제1 유기랭킨사이클에서 열침으로 사용된 후 배출되는 담수를 열침으로 하는 제2 유기랭킨사이클(100′)을 포함하는, 이코노마이저를 통해 회수한 LNG 엔진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 폐열 발전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유기랭킨사이클은 상기 이코노마이저에 의해 생성된 고온 고압의 증기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증발기 1(110); 상기 증발기 1에 의해 증발된 후 유출되는 냉매에 의해 회전되어 전력을 생산하는 터빈 발전기 1(120); 상기 해수 열교환기를 통해 열교환된 담수를 열침으로 사용하여 상기 터빈 발전기 1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를 액화시키는 응축기 1(130); 및 상기 응축기 1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를 압축시켜 상기 증발기 1로 제공하는 순환펌프(14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유기랭킨사이클은 상기 증발기 1에서 열침으로 사용된 후 배출되는 유체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증발기 2(110′); 상기 증발기 2에 의해 증발된 후 유출되는 냉매에 의해 회전되어 전력을 생산하는 터빈 발전기 2(120′); 상기 응축기 1에서 열침으로 사용된 후 배출되는 유체를 열침으로 하여 상기 터빈 발전기 2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를 액화시키는 응축기 2(130′); 및 상기 응축기 2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를 압축시켜 상기 증발기 2로 제공하는 순환펌프(140′);를 포함하며, 상기 터빈 발전기 1로부터 유출되는 고온의 냉매로 상기 응축기 2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를 열교환시켜 상기 순환펌프(140′)로 제공하는 열교환기(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형태들에 의한 이코노마이저를 통해 회수한 LNG 엔진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 폐열 발전시스템은 상기 이코노마이저(300)에서 생성된 고온 고압의 증기 중 일부가 스팀 밸브(400)를 통해 배기가스와 상기 이코노마이저의 접촉면에 제공되어 그을음을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들에 의한 이코노마이저를 통해 회수한 LNG 엔진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 폐열 발전시스템은 상기 순환펌프(410)를 통해 상기 이코노마이저(300)로 공급되는 유체가 상기 메인엔진으로부터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열원으로 하는 제1 예열기(500) 및 제2 예열기(510)에 의해 예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들에 의한 이코노마이저를 통해 회수한 LNG 엔진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 폐열 발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해수 열교환기(200)는 순환펌프(210)에 의해 취수된 해수를 이용하여 열교환된 담수를 상기 응축기 1(130)에 열침으로 제공하며, 상기 응축기 1에서 열침으로 사용된 후 배출되는 담수가 상기 응축기 2(130′)에 열침으로 제공되며, 상기 응축기 2에서 열침으로 사용된 후 배출되는 담수는 상기 해수 열교환기에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이코노마이저를 통해 회수한 LNG 엔진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 폐열 발전시스템에 의하면, LNG 엔진 선박의 배기구 측에 설치된 이코노마이저(300)가 메인엔진으로부터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열원으로 사용하여 물을 열교환시켜 생성한 고온 고압의 증기를 열원으로 하고, 해수 열교환기(200)를 통해 열교환된 담수를 열침으로 하는 유기 랭킨 사이클을 포함하며, 순환펌프(410)를 통해 이코노마이저(300)로 공급되는 유체가 메인엔진으로부터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열원으로 하는 제1 예열기(500) 및 제2 예열기(510)에 의해 예열되도록 구성됨으로써, LNG 엔진으로부터 발생되는 배기가스의 열회수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이코노마이저를 통해 회수한 LNG 엔진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 폐열 발전시스템에 의하면, LNG 엔진 선박의 배기구 측에 설치된 이코노마이저(300)가 메인엔진으로부터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열원으로 사용하여 물을 열교환시켜 생성한 고온 고압의 증기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제1, 2 유기랭킨사이클을 직렬 연결하여 구성함으로써 에너지 전환을 극대화 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이코노마이저를 통해 회수한 LNG 엔진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 폐열 발전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이코노마이저를 통해 회수한 LNG 엔진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 폐열 발전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면에서 도시된 각 시스템에서, 몇몇 경우에서의 요소는 각각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상이한 참조 번호를 가져서 표현된 요소가 상이하거나 유사할 수가 있음을 시사할 수 있다. 그러나 요소는 상이한 구현을 가지고 본 명세서에서 보여지거나 기술된 시스템 중 몇몇 또는 전부와 작동할 수 있다. 도면에서 도시된 다양한 요소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어느 것이 제1 요소로 지칭되는지 및 어느 것이 제2 요소로 불리는지는 임의적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자료 또는 신호를 '전송', '전달' 또는 '제공'한다 함은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자료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것은 물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자료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이코노마이저를 통해 회수한 LNG 엔진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 폐열 발전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이코노마이저를 통해 회수한 LNG 엔진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 폐열 발전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랭킨사이클(100) 및 주변장치를 포함한다.
유기랭킨사이클(100)은 LNG 엔진 선박의 배기구 측에 설치된 이코노마이저(300)가 메인엔진으로부터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열원으로 사용하여 물을 열교환시켜 생성한 고온 고압의 증기를 열원으로 하고, 해수 열교환기(200)를 통해 열교환된 담수를 열침으로 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역할을 한다. 유기랭킨사이클(100)은 증발기(110), 터빈 발전기(120), 응축기(130) 및 순환펌프(140)를 포함한다.
증발기(110)는 LNG 선박의 배기구 측에 설치된 이코노마이저(300)에 의해 생성된 고온 고압의 증기를 열원으로 하여 냉매를 증발시키는 역할을 한다.
터빈 발전기(120)는 증발기(110)에 의해 증발된 후 유출되는 냉매에 의해 회전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역할을 하며, 유출되는 냉매에 의해 회전하는 터빈과 터빈의 회전 시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를 포함한다.
응축기(130)는 해수 열교환기(200)를 통해 열교환된 담수를 열침으로 사용하여 터빈 발전기(120)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를 액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순환펌프(140)는 응축기(130)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를 압축시켜 증발기(110)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주변 장치는 해수 열교환기(200), 순환펌프(210), 이코노마이저(300), 스팀 밸브(400), 제1 예열기(500), 제2 예열기(510) 및 순환펌프(410)를 포함한다.
해수 열교환기(200)는 순환펌프(210)에 의해 취수된 해수를 이용하여 담수를 열교환 시켜 응축기(130)에 열침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순환펌프(210)는 해수를 취수하여 해수 열교환기(20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코노마이저(300)는 LNG 엔진 선박의 배기구 측에 설치되어 메인엔진으로부터 발생하는 400℃ 이상의 배기가스를 열원으로 사용하여 물을 열교환시켜서 고온 고압의 증기를 생성하고 이를 증발기(11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스팀 밸브(400)는 이코노마이저(300)에서 생성된 고온 고압의 증기 중 일부를 분기시키는 관에 설치되어 배기가스와 이코노마이저(300)의 접촉면에 축적되는 그을음 제거에 활용된다.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그을음은 이코노마이저(300)에 부착되고 이는 열용량 감소와 배기압의 압력손실과 같은 문제를 일으키며, 스팀 밸브(400)를 개방할 경우, 이코노마이저(300)로부터의 고온 고압의 증기 일부가 배기가스와 이코노마이저(300)의 접촉면에 제공되어 부착된 그을음이 제거된다. 이에 따라 그을음의 이코노마이저(300) 부착으로 인한 열용량 감소와 배기압의 압력 손실과 같은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제1 예열기(500)는 순환펌프(410)를 통해 이코노마이저(300)로 공급되는 유체를 메인엔진으로부터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열원으로 하여 예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 예열기(510)는 제1 예열기(500)를 통과한 유체를 배기가스를 열원으로 하여 예열시켜 이코노마이저(30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순환펌프(410)는 증발기(110)와 제1 예열기(500) 사이에서 유체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이코노마이저를 통해 회수한 LNG 엔진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 폐열 발전시스템에 의하면, LNG 엔진 선박의 배기구 측에 설치된 이코노마이저(300)가 메인엔진으로부터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열원으로 사용하여 물을 열교환시켜 생성한 고온 고압의 증기를 열원으로 하고, 해수 열교환기(200)를 통해 열교환된 담수를 열침으로 하는 유기 랭킨 사이클을 포함하며, 순환펌프(410)를 통해 이코노마이저(300)로 공급되는 유체가 메인엔진으로부터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열원으로 하는 제1 예열기(500) 및 제2 예열기(510)에 의해 예열되도록 구성됨으로써, LNG 엔진으로부터 발생되는 배기가스의 열회수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이코노마이저를 통해 회수한 LNG 엔진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 폐열 발전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이코노마이저를 통해 회수한 LNG 엔진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 폐열 발전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기랭킨사이클(100), 제2 유기랭킨사이클(100′) 및 주변장치를 포함한다.
제1 유기랭킨사이클(100)은 LNG 엔진 선박의 배기구 측에 설치된 이코노마이저(300)가 메인엔진으로부터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열원으로 사용하여 물을 열교환시켜 생성한 고온 고압의 증기를 열원으로 하고, 해수 열교환기(200)를 통해 열교환된 담수를 열침으로 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유기랭킨사이클(100)은 증발기 1(110), 터빈 발전기(120), 응축기 1(130) 및 순환펌프(140)를 포함한다.
증발기 1(110)은 LNG 선박의 배기구 측에 설치된 이코노마이저(300)에 의해 생성된 고온 고압의 증기를 열원으로 하여 냉매를 증발시키는 역할을 한다.
터빈 발전기(120)는 증발기 1(110)에 의해 증발된 후 유출되는 냉매에 의해 회전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역할을 하며, 유출되는 냉매에 의해 회전하는 터빈과 터빈의 회전 시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를 포함한다.
응축기 1(130)은 해수 열교환기(200)를 통해 열교환된 담수를 열침으로 사용하여 터빈 발전기(120)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를 액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순환펌프(140)는 응축기 1(130)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를 압축시켜 증발기 1(110)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유기랭킨사이클(100′)은 제1 유기랭킨사이클(100)의 증발기 1(110)에서 열원으로 사용된 후 배출되는 유체를 열원으로 하고, 제1 유기랭킨사이클(100)의 응축기 1(130)에서 열침으로 사용된 후 배출되는 담수를 열침으로 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유기랭킨사이클(100′)은 증발기 2(110′), 터빈 발전기 2(120′), 응축기 2(130′) 및 순환펌프(140′)를 포함한다.
증발기 2(110′)는 증발기 1(110)에서 열침으로 사용된 후 배출되는 유체를 열원으로 하여 냉매를 증발시키는 역할을 한다.
터빈 발전기 2(120′)는 증발기 2(110′)에 의해 증발된 후 유출되는 냉매에 의해 회전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역할을 하며, 유출되는 냉매에 의해 회전하는 터빈과 터빈의 회전 시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를 포함한다.
응축기 2(130′)는 응축기 1(130)에서 열침으로 사용된 후 배출되는 유체를 열침으로 하여 터빈 발전기 2(120′)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를 액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순환펌프(140′)는 응축기 2(130′)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를 압축시켜 증발기 2(110′)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주변 장치는 열교환기(600), 해수 열교환기(200), 순환펌프(210), 이코노마이저(300), 스팀 밸브(400), 제1 예열기(500), 제2 예열기(510) 및 순환펌프(410)를 포함한다.
열교환기(600)는 터빈 발전기 1(120)로부터 유출되는 고온의 냉매로 응축기 2(130′)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를 열교환시켜 순환펌프(140′)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냉매 열교환기(600)는 제2 유기랭킨사이클(100′)의 저온 냉매와 제1 유기랭킨사이클(100)의 고온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버려지는 에너지를 감축하며, 각 사이클의 응축기의 체적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해수 열교환기(200)는 순환펌프(210)에 의해 취수된 해수를 이용하여 담수를 열교환 시켜 응축기 1(130)에 열침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순환펌프(210)는 해수를 취수하여 해수 열교환기(20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코노마이저(300)는 LNG 엔진 선박의 배기구 측에 설치되어 메인엔진으로부터 발생하는 400℃ 이상의 배기가스를 열원으로 사용하여 물을 열교환시켜서 고온 고압의 증기를 생성하고 이를 증발기 1(11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스팀 밸브(400)는 이코노마이저(300)에서 생성된 고온 고압의 증기 중 일부를 분기시키는 관에 설치되어 배기가스와 이코노마이저(300)의 접촉면에 축적되는 그을음 제거에 활용된다.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그을음은 이코노마이저(300)에 부착되고 이는 열용량 감소와 배기압의 압력손실과 같은 문제를 일으키며, 스팀 밸브(400)를 개방할 경우, 이코노마이저(300)로부터의 고온 고압의 증기 일부가 배기가스와 이코노마이저(300)의 접촉면에 제공되어 부착된 그을음을 제거된다. 이에 따라 그을음의 이코노마이저(300) 부착으로 인한 열용량 감소와 배기압의 압력 손실과 같은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제1 예열기(500)는 순환펌프(410)를 통해 이코노마이저(300)로 공급되는 유체를 메인엔진으로부터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열원으로 하여 예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 예열기(510)는 제1 예열기(500)를 통과한 유체를 배기가스를 열원으로 하여 예열시켜 이코노마이저(30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순환펌프(410)는 증발기 2(110′)와 제1 예열기(500) 사이에서 유체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이코노마이저를 통해 회수한 LNG 엔진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 폐열 발전시스템에 의하면, LNG 엔진 선박의 배기구 측에 설치된 이코노마이저(300)가 메인엔진으로부터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열원으로 사용하여 물을 열교환시켜 생성한 고온 고압의 증기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제1, 2 유기랭킨사이클을 직렬 연결하여 구성함으로써 에너지 전환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는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으며,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유기랭킨사이클, 제1 유기랭킨사이클
110: 증발기, 증발기 1
120: 터빈 발전기, 터빈 발전기 1
130: 응축기, 응축기 1
140, 140′: 순환펌프
100′: 제2 유기랭킨사이클
110′: 증발기 2
120′: 터빈 발전기 2
130′: 응축기 2
200: 해수 열교환기
210: 순환펌프
600: 열교환기
300: 이코노마이즈
400: 스팀 밸브
410: 순환펌프
500: 제1 예열기
510: 제2 예열기

Claims (5)

  1. LNG 엔진 선박의 배기구 측에 설치된 이코노마이저(300)가 메인엔진으로부터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열원으로 사용하여 물을 열교환시켜 생성한 고온 고압의 증기를 열원으로 하고, 해수 열교환기(200)를 통해 열교환된 담수를 열침으로 하는 유기랭킨사이클(100)을 포함하는, 이코노마이저를 통해 회수한 LNG 엔진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 폐열 발전시스템으로서,
    상기 유기랭킨사이클은
    상기 이코노마이저에 의해 생성된 고온 고압의 증기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증발기(110);
    상기 증발기에 의해 증발된 후 유출되는 냉매에 의해 회전되어 전력을 생산하는 터빈 발전기(120);
    상기 해수 열교환기를 통해 열교환된 담수를 열침으로 사용하여 상기 터빈 발전기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를 액화시키는 응축기(130); 및
    상기 응축기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를 압축시켜 상기 증발기로 제공하는 순환펌프(140);를 포함하며,
    상기 증발기로부터 유출되는 유체를 상기 이코노마이저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4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코노마이저(300)에서 생성된 고온 고압의 증기 중 일부가 스팀 밸브(400)를 통해 배기가스와 상기 이코노마이저의 접촉면에 제공되어 그을음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선박 폐열 발전시스템.
  2. LNG 엔진 선박의 배기구 측에 설치된 이코노마이저(300)가 메인엔진으로부터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열원으로 사용하여 물을 열교환시켜 생성한 고온 고압의 증기를 열원으로 하고, 해수 열교환기(200)를 통해 열교환된 담수를 열침으로 하는 제1 유기랭킨사이클(100); 및
    상기 제1 유기랭킨사이클에서 열원으로 사용된 후 배출되는 유체를 열원으로 하고, 상기 제1 유기랭킨사이클에서 열침으로 사용된 후 배출되는 담수를 열침으로 하는 제2 유기랭킨사이클(100′)을 포함하는, 이코노마이저를 통해 회수한 LNG 엔진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 폐열 발전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유기랭킨사이클은
    상기 이코노마이저에 의해 생성된 고온 고압의 증기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증발기 1(110);
    상기 증발기 1에 의해 증발된 후 유출되는 냉매에 의해 회전되어 전력을 생산하는 터빈 발전기 1(120);
    상기 해수 열교환기를 통해 열교환된 담수를 열침으로 사용하여 상기 터빈 발전기 1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를 액화시키는 응축기 1(130); 및
    상기 응축기 1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를 압축시켜 상기 증발기 1로 제공하는 순환펌프(14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유기랭킨사이클은
    상기 증발기 1에서 열침으로 사용된 후 배출되는 유체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증발기 2(110′);
    상기 증발기 2에 의해 증발된 후 유출되는 냉매에 의해 회전되어 전력을 생산하는 터빈 발전기 2(120′);
    상기 응축기 1에서 열침으로 사용된 후 배출되는 유체를 열침으로 하여 상기 터빈 발전기 2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를 액화시키는 응축기 2(130′); 및
    상기 응축기 2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를 압축시켜 상기 증발기 2로 제공하는 순환펌프(140′);를 포함하며,
    상기 터빈 발전기 1로부터 유출되는 고온의 냉매로 상기 응축기 2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를 열교환시켜 상기 순환펌프(140′)로 제공하는 열교환기(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증발기 2로부터 유출되는 유체를 상기 이코노마이저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410)를 더 포함하는 선박 폐열 발전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코노마이저(300)에서 생성된 고온 고압의 증기 중 일부가 스팀 밸브(400)를 통해 배기가스와 상기 이코노마이저의 접촉면에 제공되어 그을음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선박 폐열 발전시스템.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410)를 통해 상기 이코노마이저(300)로 공급되는 유체는 상기 메인엔진으로부터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열원으로 하는 제1 예열기(500) 및 제2 예열기(510)에 의해 예열되도록 구성된 선박 폐열 발전시스템.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열교환기(200)는 순환펌프(210)에 의해 취수된 해수를 이용하여 열교환된 담수를 상기 응축기 1(130)에 열침으로 제공하며,
    상기 응축기 1에서 열침으로 사용된 후 배출되는 담수가 상기 응축기 2(130′)에 열침으로 제공되며,
    상기 응축기 2에서 열침으로 사용된 후 배출되는 담수는 상기 해수 열교환기에 제공되도록 구성된 선박 폐열 발전시스템.
KR1020220135912A 2022-10-20 2022-10-20 이코노마이저를 통해 회수한 lng 엔진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 폐열 발전시스템 KR102530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912A KR102530054B1 (ko) 2022-10-20 2022-10-20 이코노마이저를 통해 회수한 lng 엔진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 폐열 발전시스템
PCT/KR2023/012408 WO2024085408A1 (ko) 2022-10-20 2023-08-22 이코노마이저를 통해 회수한 lng 엔진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 폐열 발전시스템
GBGB2404522.1A GB202404522D0 (en) 2022-10-20 2023-08-22 Iasr not publish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912A KR102530054B1 (ko) 2022-10-20 2022-10-20 이코노마이저를 통해 회수한 lng 엔진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 폐열 발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0054B1 true KR102530054B1 (ko) 2023-05-09

Family

ID=86408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5912A KR102530054B1 (ko) 2022-10-20 2022-10-20 이코노마이저를 통해 회수한 lng 엔진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 폐열 발전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530054B1 (ko)
GB (1) GB202404522D0 (ko)
WO (1) WO202408540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5408A1 (ko) * 2022-10-20 2024-04-2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이코노마이저를 통해 회수한 lng 엔진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 폐열 발전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0709A (ko) 2011-03-30 2012-10-1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폐열을 이용한 유기 랭킨 사이클 발전 시스템
KR20140042323A (ko) * 2012-09-28 2014-04-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에너지 절감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9541A (ja) * 2011-01-17 2012-08-09 Mitsubishi Heavy Ind Ltd 排熱回収発電装置および船舶
KR101310964B1 (ko) * 2011-09-22 2013-09-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에너지 절감 장치
KR101356005B1 (ko) * 2012-03-09 2014-01-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에너지 절감장치
JP6194274B2 (ja) * 2014-04-04 2017-09-0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排熱回収システム及び排熱回収方法
KR102530054B1 (ko) * 2022-10-20 2023-05-0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이코노마이저를 통해 회수한 lng 엔진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 폐열 발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0709A (ko) 2011-03-30 2012-10-1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폐열을 이용한 유기 랭킨 사이클 발전 시스템
KR20140042323A (ko) * 2012-09-28 2014-04-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에너지 절감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5408A1 (ko) * 2022-10-20 2024-04-2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이코노마이저를 통해 회수한 lng 엔진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 폐열 발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85408A1 (ko) 2024-04-25
GB202404522D0 (en) 2024-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sen et al. A study of industrial steam process heating through exergy analysis
JP2012149541A (ja) 排熱回収発電装置および船舶
Wołowicz et al. Feedwater repowering of 800 MW supercritical steam power plant.
CN104481697A (zh) 一种燃气、柴油及超临界二氧化碳发电船舶动力驱动系统
KR102011859B1 (ko)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에너지 절감시스템
KR102530054B1 (ko) 이코노마이저를 통해 회수한 lng 엔진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 폐열 발전시스템
Medica-Viola et al. Analysis of low-power steam turbine with one extraction for marine applications
CN105257426A (zh) 一种利用s-co2和orc联合循环的船舶柴油机尾气余热发电系统
CN107780985A (zh) 一种超临界一次分流式纵向三级朗肯循环发电系统
CN107725130A (zh) 一种超临界二次分流式纵向三级朗肯循环发电系统
CN107829790A (zh) 一种超临界加热式纵向三级朗肯循环发电系统
KR101006304B1 (ko)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발전 시스템
KR101247772B1 (ko) 유기 랭킨 사이클을 이용한 선박의 발전장치
CN109356676A (zh) Lng动力船用燃料气化及冷热电三联供给系统及方法
CN113279830A (zh) 一种热电联供的船舶柴油机蒸汽朗肯系统
KR20140072579A (ko) 폐열 회수 가능한 선박용 동력 장치
CN102865112B (zh) 背热循环发电及多级背热循环发电及多联产系统
KR20130040320A (ko)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청수 생산 설비
KR101419009B1 (ko) 복합화력발전설비를 구비한 엘엔지 재기화 설비
KR102530053B1 (ko)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 폐열 발전 시스템
KR102439397B1 (ko) 신규 일체형 ifv를 기반으로 한 lng 동력 선박 냉 에너지 활용 시스템
CN110107368B (zh) 蒸汽冷凝方法、蒸汽冷凝系统及发电系统
CN209976590U (zh) 蒸汽冷凝系统及发电系统
CN210317417U (zh) 一种燃煤发电系统
KR20140085003A (ko)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에너지 절감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