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013B1 - 열전 소자 평가 장치 - Google Patents

열전 소자 평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013B1
KR102530013B1 KR1020190062770A KR20190062770A KR102530013B1 KR 102530013 B1 KR102530013 B1 KR 102530013B1 KR 1020190062770 A KR1020190062770 A KR 1020190062770A KR 20190062770 A KR20190062770 A KR 20190062770A KR 102530013 B1 KR102530013 B1 KR 102530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thermoelectric element
heat conduction
conduction block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6764A (ko
Inventor
최현우
박철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90062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013B1/ko
Publication of KR20200136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7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configuration of the cell or thermocouple forming the devi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Using Therm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 소자 평가 장치는 발열 부재와 상기 발열 부재와 대응하여 위치하는 냉각 부재, 상기 발열 부재와 상기 냉각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열전 소자, 상기 냉각 부재와 상기 열전 소자 사이에 위치하는 냉각부 열전도 블록, 상기 발열 부재와 상기 열전 소자 사이에 위치하는 발열부 열전도 블록, 및 상기 상기 발열부 열전도 블록, 상기 열전 소자, 상기 냉각부 열전도 블록 및 상기 냉각 부재에 하중을 가하는 가압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열전 소자 평가 장치{APPARATUS FOR EVALUATING THERMALELECTRIC MDEVICE}
본 발명은 열전 소자 평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내구성 평가를 위한 열전 소자 평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전 소자는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직접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소자로, 에너지 절감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잘 부응하는 소재이자 기술이다. 이것은 자동차, 우주 항공, 반도체, 바이오, 광학, 컴퓨터, 발전, 가전 제품 등 산업 전반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재료의 양단에 온도차가 발생하면 열 의존성을 갖는 전자 또는 홀과 같은 캐리어의 농도 차이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열전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열전 현상은 전기적 에너지를 생산하는 열전 발전과, 반대로 전기 공급에 의해 양단의 온도차를 유발하는 열전 냉각/가열로 구분될 수 있다.
열전 모듈은 홀이 이동하여 열에너지를 이동시키는 p형 열전 소자와 전자가 이동하여 열에너지를 이동시키는 n형 열전 소자로 이루어진 p-n 열전 소자 1쌍이 기본 단위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열전 모듈은 p형 열전 소자와 n형 열전 소자 사이를 연결하는 전극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열전 모듈은 열전 소자의 외부에 배치되어 전극 등의 구성요소를 외부와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고, 외부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요소로부터 열전 모듈을 보호하기 위해 기판을 구비할 수 있다.
열전 모듈은 통상적으로 고온 열원에 부착되어 반대편 냉각부와의 온도 차이를 통해 전력을 생산한다. 이와 관련하여 열전 모듈은 우수한 출력 및 효율이 요구되는데,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열전 소자의 출력 및 효율을 평가할 경우 열전 소자 한쪽에는 발열부를 위치시키고, 다른 한쪽에는 냉각부를 위치시킴으로써 열전 소자 양단에 강제적으로 온도 차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발열부는 일반적으로 카트리지 타입의 전기 저항 발열체와 고열전도성 금속 블록이 결합된 결합체이다. 이와 더불어 일반적으로 열전 소자의 평가 과정에서 효과적인 열전달을 위해, 발명부/발열부 열전도 블록/열전 소자/냉각부 열전달 블록/냉각부의 적층 집합체의 상하부에 인위적으로 하중을 인가한다.
이와 관련하여 수 시간 및 단발성 평가에는 문제가 없지만, 수천 시간 이상 연속 구동 또는 수천회 이상의 히팅 사이클이 필요한 장기 구동 내구성 평가에서 상기 발열체의 고장과 교체는 필연적으로 생길 수 있다. 이때, 발열체의 교체를 위해서는 하중 인가 부분을 해제해야 하는 구조이며, 이러한 해제 및 인가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 열전 소자의 내구성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열전 소자의 고온부에 열을 공급하는 발열체의 주기적인 고장에 따른 교체 시기에, 하중 인가 부분을 별도로 해제하지 않는 열전 소자 평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 소자 평가 장치는 발열 부재와 상기 발열 부재와 대응하여 위치하는 냉각 부재, 상기 발열 부재와 상기 냉각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열전 소자, 상기 냉각 부재와 상기 열전 소자 사이에 위치하는 냉각부 열전도 블록, 상기 발열 부재와 상기 열전 소자 사이에 위치하는 발열부 열전도 블록, 및 상기 발열부 열전도 블록, 상기 열전 소자, 상기 냉각부 열전도 블록 및 상기 냉각 부재에 하중을 가하는 가압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발열 부재는 상기 발열부 열전도 블록 상부에 접촉하는 카트리지 발열체, 상기 카트리지 발열체를 덮는 금속 블록, 및 상기 금속 블록과 상기 카트리지 발열체 및 상기 발열부 열전도 블록을 기계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블록 및 상기 발열부 전달 블록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카트리지 발열체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카트리지 발열체는 각각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고정 부재와 상기 복수의 카트리지 발열체는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가압 모듈은 상기 열전 소자, 상기 냉각부 열전도 블록 및 상기 냉각 부재를 장착하는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부 열전도 블록은 상기 열전 소자와 상기 프레임 부재를 덮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열전 소자 평가 장치는 상기 프레임 부재와 상기 발열부 열전도 블록 사이 및 상기 프레임 부재와 상기 냉각 부재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단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 모듈은 상기 발열부 열전도 블록, 상기 열전 소자, 상기 냉각부 열전도 블록 및 상기 냉각 부재를 장착하는 프레임 부재, 및 상기 프레임 부재의 단부에서 구부러진 벤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벤딩부와 상기 열전 소자 사이에 상기 발열부 열전도 블록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열전 소자 평가 장치는 상기 프레임 부재의 벤디부와 상기 발열부 열전도 블록 사이 및 상기 프레임 부재와 상기 냉각 부재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단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 발열체의 고장 시에 상기 고정 부재 및 상기 금속 블록의 해제를 통해 상기 카트리지 발열체를 교체할 수 있다.
상기 가압 모듈은, 상기 발열 부재, 상기 발열부 열전도 블록, 상기 열전 소자, 상기 냉각부 열전도 블록 및 상기 냉각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집합체의 적층 방향을 따라 하중을 가할 수 있다.
상기 가압 모듈은 상기 집합체를 장착하는 프레임 부재 및 상기 집합체에 하중을 인가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발열 부재의 반대편에 대응하는 상기 냉각 부재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발열체의 주기적인 고장에 따른 교체 시기에, 하중 인가 부분을 별도로 해제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열전 소자 평가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하중을 유지하면서 열전 소자의 장기 구동 내구성을 평가할 수 있다.
도 1은 비교예에 따른 열전 소자 평가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 소자 평가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열전 소자 평가 장치에서 단열 부재가 추가된 열전 소자 평가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 소자 평가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을 향하여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도 1은 비교예에 따른 열전 소자 평가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열전 소자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냉각 부재(12), 냉각부 열전도 블록(14), 피측정 열전 소자(16), 발열부 열전도 블록(18) 및 발열 부재(20)를 포함하는 집합체가 프레임 부재(1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열전 소자(16)는 양단에 형성된 온도 차이를 제벡 효과를 통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해 주는 소자이고, 도 1의 열전 소자 평가 장치는, 은 열전 소자(16)의 출력 및 효율을 평가하기 위해 열전 소자(16) 한쪽에 발열 부재(20)를 위치시키고, 다른 한 쪽에는 냉각 부재(12)를 위치시킨 구조를 갖는다.
이때, 냉각 부재(12), 냉각부 열전도 블록(14), 피측정 열전 소자(16), 발열부 열전도 블록(18) 및 발열 부재(20)가 적층되어 있는 방향, 즉 상하 수직 방향으로 하중이 인가되어 열전 소자 평가 과정에서 효과적인 열전달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열전 소자 평가 장치에서 수 시간 및 단발성 평가에는 문제가 없지만, 수천 시간 이상 연속 구동 또는 수천회 이상의 히팅 사이클이 필요한 장기 구동 내구성 평가에서 상기 발열체의 고장과 교체는 필연적으로 생긴다. 발열체의 교체를 위해서는 하중 인가 부분을 해제해야 하는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고하면, 평가 과정에서의 발열체(21)가 고장이 나면 고장난 발열체(21')를 교체하기 위해 열전 소자 평가 장치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중 인가부를 해제해야 하는데, 이러한 해제 및 인가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 열전 소자의 내구성이 감소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 소자 평가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열전 소자 평가 장치는 발열 부재(190), 발열 부재(190)와 대응하여 위치하는 냉각 부재(120), 발열 부재(190)와 냉각 부재(120) 사이에 위치하는 열전 소자(160), 냉각 부재(120)와 열전 소자(160) 사이에 위치하는 냉각부 열전도 블록(140), 발열 부재(190)와 열전 소자(160) 사이에 위치하는 발열부 열전도 블록(180), 및 가압 모듈(100)을 포함한다.
가압 모듈(100)은 발열 부재(190), 발열부 열전도 블록(180), 열전 소자(160), 냉각부 열전도 블록(140) 및 냉각 부재(120)를 포함하는 집합체의 적층 방향을 따라, 즉 상하 수직 방향으로 하중을 가할 수 있다. 발열부 열전도 블록(180), 열전 소자(160), 냉각부 열전도 블록(140) 및 냉각 부재(120)에 하중을 가할 수 있다. 이때, 가압 모듈(100)은 상기 집합체를 장착하는 프레임 부재(145) 및 상기 집합체에 하중을 인가하는 구동부(110)를 포함하고, 구동부(110)는 발열 부재(190)의 반대편에 대응하는 냉각 부재(120) 하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동부(110)의 배치를 통해 이후 설명하는 발열 부재(190) 및 카트리지 발열체(210)의 이동 용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열 부재(190)는 발열부 열전도 블록(180) 상부에 접촉하는 카트리지 발열체(210), 카트리지 발열체(210)를 덮는 금속 블록(200) 및 고정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220)는 금속 블록(200), 카트리지 발열체(210) 및 발열부 열전도 블록(180)를 기계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 부재(220)는 예를 들어 나사 결합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금속 블록(200)은 고열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고정 부재(220)와 카트리지 발열체(210)는 각각 복수개 형성되고, 복수의 고정 부재(220)와 복수의 카트리지 발열체(2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금속 블록(200) 및 발열부 열전도 블록(18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카트리지 발열체(210)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 발열체(210)는 홈이 형성된 발열부 열전도 블록(180) 상부면에 삽입되고, 금속 블록(200)이 카트리지 발열체(210)와 발열부 열전도 블록(180)을 동시에 덮을 수 있다. 이처럼 고열전도성 금속 블록(200)과 발열부 열전도 블록(180)에 카트리지 발열체(210)를 끼울 수 있도록 소정의 홈이 형성되면, 열 접촉 저항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장기 구동 평가 시, 금속 블록(200)과 카트리지 발열체(210)의 교체를 원활히 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압 모듈(100)은 발열부 열전도 블록(180)으로 덮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열부 열전도 블록(180)의 길이가 프레임 부재(145)의 폭과 같거나 길 수 있으며, 프레임 부재(145)의 상부면과 발열부 열전도 블록(180)이 접촉할 수 있다. 발열부 열전도 블록(180)은 열전 소자(160)와 프레임 부재(145)를 덮도록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열전 소자 평가 장치에서 하중이 인가되는 작용점을 발열부 열전도 블록(180)에 적용함으로써, 발열부 열전도 블록(180), 열전 소자(160), 냉각부 열전도 블록(140) 및 냉각 부재(120)의 집합체에만 하중이 인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열전 소자 평가 장치가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면, 장시간 평가하는 과정에서 카트리지 발열체(210)가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하중 인가를 유지한 상태에서 고정 부재(220) 및 금속 블록(200) 해제를 통해 쉽게 고장난 카트리지 발열체(210')를 교체할 수 있다. 즉, 가압 모듈(100)에서 하중을 인가하는 부분을 해제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열전 소자 평가 장치는 수천 시간 이상 구동 및 수천회 이상의 히팅 사이클이 인가되는 장기 구동 내구성 평가에 매우 적합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열전 소자 평가 장치에서 단열 부재가 추가된 열전 소자 평가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의 실시예는 도 2에서 설명한 열전 소자 평가 장치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서 설명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열전 소자 평가 장치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열전 소자 평가 장치는 프레임 부재(145)와 발열부 열전도 블록(180) 사이 및 프레임 부재(145)와 냉각 부재(120)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단열 부재(280a, 280b)를 더 포함한다. 단열 부재는 프레임 부재(145)와 발열부 열전도 블록(180)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단열 부재(280a)와, 프레임 부재(145)와 냉각 부재(120)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단열 부재(28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열 부재(280a, 280b)는 발열 부재(190)에서 발생한 열 및/또는 냉각 부재(120)에서 발생한 냉각열이 프레임 부재(145)로 이동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 소자 평가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의 실시예는 도 2에서 설명한 열전 소자 평가 장치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서 설명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열전 소자 평가 장치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발열부 열전도 블록(180)과 프레임 부재(145)와의 접촉을 최소화 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압 모듈(100)은 프레임 부재(145) 외에 프레임 부재(145)의 단부에서 구부러진 벤딩부(250)를 포함한다. 벤딩부(250)와 열전 소자(160) 사이에 발열부 열전도 블록(180)이 위치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도 프레임 부재(145)와 발열부 열전도 블록(180) 사이 및 프레임 부재(145)와 냉각 부재(120)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단열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가압 모듈
120: 냉각 부재
140: 냉각부 열전도 블록
160: 열전 소자
180: 발열부 열전도 블록
190: 발열 부재
200: 금속 블록
210: 카트리지 발열체
220: 고정 부재

Claims (11)

  1. 발열 부재와 상기 발열 부재와 대응하여 위치하는 냉각 부재,
    상기 발열 부재와 상기 냉각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열전 소자,
    상기 냉각 부재와 상기 열전 소자 사이에 위치하는 냉각부 열전도 블록,
    상기 발열 부재와 상기 열전 소자 사이에 위치하는 발열부 열전도 블록, 및
    상기 발열부 열전도 블록, 상기 열전 소자, 상기 냉각부 열전도 블록 및 상기 냉각 부재를 포함하는 집합체에 하중을 가하는 가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 모듈은 상기 냉각 부재의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가압 모듈은 상기 집합체를 장착하는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부 열전도 블록은 상기 열전 소자와 상기 프레임 부재를 덮도록 위치하는 열전 소자 평가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발열 부재는
    상기 발열부 열전도 블록 상부에 접촉하는 카트리지 발열체,
    상기 카트리지 발열체를 덮는 금속 블록, 및
    상기 금속 블록과 상기 카트리지 발열체 및 상기 발열부 열전도 블록을 기계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열전 소자 평가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금속 블록 및 상기 발열부 열전도 블록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카트리지 발열체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홈이 형성된 열전 소자 평가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카트리지 발열체는 각각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고정 부재와 상기 복수의 카트리지 발열체는 교대로 배열되는 열전 소자 평가 장치.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프레임 부재와 상기 발열부 열전도 블록 사이 및 상기 프레임 부재와 상기 냉각 부재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단열 부재를 더 포함하는 열전 소자 평가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가압 모듈은 상기 프레임 부재의 단부에서 구부러진 벤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벤딩부와 상기 열전 소자 사이에 상기 발열부 열전도 블록이 위치하는 열전 소자 평가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프레임 부재의 벤딩부와 상기 발열부 열전도 블록 사이 및 상기 프레임 부재와 상기 냉각 부재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단열 부재를 더 포함하는 열전 소자 평가 장치.
  9. 제2항에서,
    상기 카트리지 발열체의 고장 시에 상기 고정 부재 및 상기 금속 블록의 해제를 통해 상기 카트리지 발열체를 교체하는 열전 소자 평가 장치.
  10. 제1항에서,
    상기 가압 모듈은 상기 집합체의 적층 방향을 따라 하중을 가하는 열전 소자 평가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가압 모듈은 상기 집합체에 하중을 인가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발열 부재의 반대편에 대응하는 상기 냉각 부재 하단에 위치하는 열전 소자 평가 장치.
KR1020190062770A 2019-05-28 2019-05-28 열전 소자 평가 장치 KR102530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770A KR102530013B1 (ko) 2019-05-28 2019-05-28 열전 소자 평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770A KR102530013B1 (ko) 2019-05-28 2019-05-28 열전 소자 평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764A KR20200136764A (ko) 2020-12-08
KR102530013B1 true KR102530013B1 (ko) 2023-05-04

Family

ID=73779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770A KR102530013B1 (ko) 2019-05-28 2019-05-28 열전 소자 평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00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710B1 (ko) * 2016-12-20 2017-12-04 주식회사 블루시스 열전소자의 발전 및 냉각효율 평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86706A (ja) * 1990-04-02 1991-12-17 Teinen Kogyo Kk 弁当箱と発熱カートリッジ
KR101980217B1 (ko) * 2016-11-28 2019-05-21 한국기계연구원 열전소자의 신뢰성 평가 장치 및 평가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710B1 (ko) * 2016-12-20 2017-12-04 주식회사 블루시스 열전소자의 발전 및 냉각효율 평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764A (ko)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42676A1 (en) Thermoelectr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U2008344797B2 (en) Thermoelectric device
US3208877A (en) Thermoelectric panels
WO2018025567A1 (ja) 電池モジュール
JP2012204129A (ja) 組電池
JPWO2015045602A1 (ja) 熱電モジュール
US9412929B2 (en) Thermoelectric conversion module
JP2006319262A (ja) 熱電変換モジュール
JP6321223B2 (ja) 熱電組立体における熱電装置用の絶縁体及びコネクタ
KR102530013B1 (ko) 열전 소자 평가 장치
KR100737347B1 (ko) 피티씨 소자를 이용한 발열장치
JP2007184416A (ja) 熱電変換モジュール
JP2013004837A (ja) 熱電発電装置
JP2015050164A (ja) 電池モジュール
KR20200021842A (ko) 열전 모듈
KR20100003494A (ko) 플렉시블 열전도체 밴드 와이어를 이용한 열전냉각장치
JP2010021410A (ja) サーモモジュール
KR102055687B1 (ko) 유연 열전소자의 통합성능 평가 장치 및 방법
JP5180614B2 (ja) 熱電変換装置
JP3404841B2 (ja) 熱電変換装置
KR102444852B1 (ko) 열전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JP2009206332A (ja) 熱電素子装置
JP2000124509A (ja) 熱電モジュールジャケット、熱電加熱冷却装置、熱電モジュールジャケットの製造方法、及び熱電加熱冷却装置の製造方法
KR102423607B1 (ko) 열전 모듈
KR102180178B1 (ko) IoT 디바이스의 전원 공급용 열전 발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