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9560B1 - 공동주택의 소방용 화재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소방용 화재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9560B1
KR102529560B1 KR1020220036625A KR20220036625A KR102529560B1 KR 102529560 B1 KR102529560 B1 KR 102529560B1 KR 1020220036625 A KR1020220036625 A KR 1020220036625A KR 20220036625 A KR20220036625 A KR 20220036625A KR 102529560 B1 KR102529560 B1 KR 102529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weight
parts
fire extinguishing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6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기영
Original Assignee
(주)현대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대이엔지 filed Critical (주)현대이엔지
Priority to KR1020220036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5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 F16L3/0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and pressing it against a wall or other suppor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8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e.g. for remote indication
    • G01L19/086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e.g. for remote indication for remote ind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4Testing la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소방용 화재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등화관리를 상시 점검하여 화재시 비상대피 유로로를 안전하게 구성하여 인명사고를 막고, 화재감지와 관련된 소방시설의 작동불량 유무, 특히 스프링클러나 혹은 소화수를 공급하는 공급관로 상의 소화수 충전 유무를 주기적으로 자동으로 체크하고 제어하여 화재시 정상동작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공동주택의 소방용 화재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소방용 화재 감시 시스템{Fire monitoring system for firefighting in apartment houses}
본 발명은 소방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의 소방용 화재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등화관리를 상시 점검하여 화재시 비상대피 유로로를 안전하게 구성하여 인명사고를 막고, 화재감지와 관련된 소방시설의 작동불량 유무, 특히 스프링클러나 혹은 소화수를 공급하는 공급관로 상의 소화수 충전 유무를 주기적으로 자동으로 체크하고 제어하여 화재시 정상동작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공동주택의 소방용 화재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화재감지기, 화재수신기 등은 화재 발생 시화재를 감지하고 이를 경비실, 119 등의 외부 시설로 알리는 수단이다.
또한, 펌프부는 화재 진화에 사용되는 진화수를 저장한 후 필요시 개방함으로써 화재를 진압하는 용도로 구비되어 사용된다.
또한, 소방 스프링쿨러는 화재 발생시 이를 초기에 진압하기 위한 용도로 구비되며 건물의 천장에 주로 설치되어 화재로 인한 온도상승에 대응하여 스프링 쿨러가 구동됨으로써, 진화수를 화재 발생 지점으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에 따라, 상술한 화재감지기, 화재수신기, 펌프부 및 스프링쿨러 등을 수시로 점검해야 하고, 이는 건물에 거주하는 사람의 목숨과도 직결되는 중요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소방시설이 존재하지만, 화재감지기, 화재수신기, 펌프 및 소화부에 대한 점검 필요성을 사용자가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무분별한 소방 설비 점검에 따른 시간 및 비용 손실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소화수관에 소화수가 충전되어 있는 않은 상태에서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가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대처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없어 심각한 재산상, 인명상 피해가 야기된다.
특히, 공동주택에는 다수의 비상구안내등, 계단등, 출입구등 등이 설치되어 운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등들은 관리되지 않는 것이 보통이어서 화재 발생시 제대로 동작하지 못해 인명피해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2217555호(2021.02.15.)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공동주택의 등화관리를 상시 점검하여 화재시 비상대피 유로로를 안전하게 구성하여 인명사고를 막고, 화재감지와 관련된 소방시설의 작동불량 유무, 특히 스프링클러나 혹은 소화수를 공급하는 공급관로 상의 소화수 충전 유무를 주기적으로 자동으로 체크하고 제어하여 화재시 정상동작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공동주택의 소방용 화재 감시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소화전(100)에서 분기된 소화수관(200)이 세대 내부와 세대 외부의 계단참으로 배관되고, 세대 내부로 분기된 소화수관(200)에는 스프링클러(300)가 연결되며, 세대 외부의 계단참으로 분기된 소화수관(200)에는 계단참소화노즐(310)이 연결되고; 상기 소화전(100) 내부에서 소화수관(200)과 연결되는 분기공급관(510)의 단부에는 밸브관(520)이 접속되며, 상기 밸브관(520)에는 컨트롤러(110)가 연결되어 상기 밸브관(520)을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컨트롤러(110)는 관리서버(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관리서버(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되며, 각 컨트롤러(110)는 관리서버(400)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각 밸브관(520)은 고유번호가 할당되어 있어 컨트롤러(110)와 통신할 때 밸브관(520)이 구별되며, 상기 컨트롤러(110)는 각 동 지하층에 설비되고;
공동주택 건축물의 각 동의 출입구에는 출입구등(10), 비상유도등(20), 계단등(30)이 구비되고, 상기 출입구등(10), 비상유도등(20), 계단등(30)의 기판에는 출입구등검지단(12), 비상유도등검지단(22), 계단등검지단(32)이 각각 탑재되며, 상기 출입구등검지단(12), 비상유도등검지단(22), 계단등검지단(32)은 각각 등화제어기(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등화제어기(40)는 관리서버(4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등화제어기(40)가 주기적으로 전기신호를 보내고, 각 검지단이 보내는 리턴신호 유무에 따라 해당 등기구는 정상 유무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분기공급관(510)의 밸브관(520) 전단에 수감지센서(120)를 나사체결하고, 상기 수감지센서(120)를 컨트롤러(11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분기공급관(510) 내부의 물 유무를 실시간 검출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수감지센서(120)는 내부가 비어 있고 상단 및 나사체결되는 하단이 개방되어 있는 센서하우징(122)과, 상기 센서하우징(122)의 내경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124)과, 상기 걸림턱(124)에 걸림되는 센서플랜지(126)를 갖고 수압에 따라 유동되는 유동자(128)와, 상기 유동자(128)의 하단면에 요입 형성되어 수압이 집중되도록 구비된 압력유도홈(130)과, 상기 유동자(128)의 상단면에 볼록하게 돌출된 반원형돌부(132)와, 상기 센서하우징(122)의 개방된 상단을 밀폐하도록 체결되는 센서커버(134)와, 상기 센서커버(234)의 내면에 밀착되고 상기 반원형돌부(132)가 접촉되었을 때 압력검출신호를 송신하는 압력센서(136)와, 상기 압력센서(136)와 컨트롤러(11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리드선(138)과, 상기 센서플랜지(126)와 센서커버(134)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유동자(128)를 탄성운동시키는 코일스프링(140)을 포함하며;
상기 소화수관(200)은 고정부재(600)를 통해 벽면(W)에 고정되되, 상기 고정부재(600)는 소화수관(200)을 벽면(W)에 앵커링하여 고정하는 한 쌍의 피착구(610)과, 상기 피착구(610) 사이에 후크고정식으로 고정되어 개재되면서 상기 소화수관(200)을 감싸 고정하는 신축구(620)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착구(610)는 벽면(W)에 접지되는 피착면부(612)와, 상기 피착면부(612)에서 경사연장된 경사면부(614)와, 상기 경사면부(614)의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616) 및 상기 피착면부(612)에서 수직연장된 후 다시 수직절곡된 후 하향연장되어 내부에 후크홈(HK)을 형성하는 걸림연장부(618)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구(620)는 소화수관(200)을 파지할 수 있는 반원형부(622)와, 상기 반원형부(622)의 양단에서 수직연장되어 상기 걸림연장부(618) 사이로 들어가 상기 후크홈(HK)에 후크결합되는 후크편부(6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소방용 화재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동주택의 등화관리를 상시 점검하여 화재시 비상대피 유로로를 안전하게 구성하여 인명사고를 막고, 화재감지와 관련된 소방시설의 작동불량 유무, 특히 스프링클러나 혹은 소화수를 공급하는 공급관로 상의 소화수 충전 유무를 주기적으로 자동으로 체크하고 제어하여 화재시 정상동작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밸브관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수감지센서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고정부재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소화수관 완충시트가 더 구비된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소방용 화재 감시 시스템은 도 1의 예시와 같이, 소화전(100)에서 분기된 소화수관(200)이 세대 내부와 세대 외부의 계단참으로 배관되고, 세대 내부로 분기된 소화수관(200)에는 스프링클러(300)가 연결되며, 세대 외부의 계단참으로 분기된 소화수관(200)에는 계단참소화노즐(310)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소화전(100) 내부에서 소화수관(200)과 연결되는 분기공급관(510)의 단부에는 밸브관(520)이 접속되며, 상기 밸브관(520)에는 컨트롤러(110)가 연결되어 상기 밸브관(520)을 개폐를 제어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컨트롤러(110)는 관리서버(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관리서버(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되며, 각 컨트롤러(110)는 관리서버(4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신호 송수신시 관리서버(400)가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제어가 용이하다.
뿐만 아니라, 공동주택의 각 동의 출입구에는 출입구등(10), 비상유도등(20), 계단등(30)이 구비되고, 이들 출입구등(10), 비상유도등(20), 계단등(30)의 기판에는 출입구등검지단(12), 비상유도등검지단(22), 계단등검지단(32)이 각각 탑재되며, 이들 출입구등검지단(12), 비상유도등검지단(22), 계단등검지단(32)은 각각 등화제어기(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등화제어기(40)는 관리서버(400)와 유선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등화제어기(40)는 다수의 세대가 묶여 있는 각 동의 지하층에 설비되며, 관리서버(4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문제 발생시 어느 동에서 문제가 발생되었는지를 관리서버(400)가 즉시 알 수 있다.
특히, 상기 출입구등검지단(12), 비상유도등검지단(22), 계단등검지단(32)에도 각각 고유번호가 할당되어 있고, 이는 등화제어기(40)와 통신하면서 확인되기 때문에 고장이 난 등기구를 실시간으로 즉시 검출이 가능하다.
즉, 등화제어기(40)는 주기적으로 전기신호를 보내고, 각 검지단이 리턴신호를 보내면 해당 등기구는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리턴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등기구 불량으로 보고, 등화제어기(40)는 즉시 관리서버(400)로 해당 신호를 송출하여 등기구를 관리자가 수리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렇게 되면, 주기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므로 화재 발생시 등기구 불량에 의해 비상탈출 유도 불량으로 인한 인명피해를 막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각 밸브관(520)은 고유번호가 할당되어 있어 컨트롤러(110)와 통신할 때 밸브관(520)을 별도 구별할 수 있으며, 컨트롤러(110)는 각 세대가 묶인 각 동 지하층에 설비된다.
이렇게 구성하는 이유는 각 세대의 계단참에는 소화설비가 없어 초기 화재진압 능력이 떨어지고 대피시 인명피해를 초래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며, 또한 소화수를 항상 공급하고 있을 경우 오동작 등에 의해 많은 문제가 발생하므로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분기공급관(510)까지만 소화수를 공급하고 있다가 화재 발생시에만 세대내 스프링클러(300)로 소화수를 공급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분기공급관(510)은 메인공급관(500)에서 분기되어 있으며, 메인공급관(500)을 통해 소화수가 상시 공급된다.
때문에, 사전에 소방설비인 소화수 공급장치를 점검하지 않으면 긴급 상황시 소화수를 쓸 수 없는 상황에 봉착하게 되고, 이것은 심각한 재산상, 인명상 피래를 초래하므로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시 점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자 한 것이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이다.
한편, 상기 밸브관(520)은 도 2의 예시와 같이, 평상시 분기공급관(510)에 차 있는 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특수설계된 밸브체로서, 바디(BD)와, 상기 바디(BD)의 일단에 형성되고 분기공급관(510)에 접속되는 접속단(5210)과, 상기 바디(BD)의 타단에 형성되고 소화수가 분사되는 배출단(5220)을 갖는 관상체로 구성된다.
상기 접속단(5210)은 플랜지(5212)와, 제1고정판(5214)과, 상기 제1고정판(5214)을 상기 플랜지(5212)에 연결 고정하는 다수의 리브(5216)와, 상기 제1고정판(5214)의 중심에 관통형성된 사각통공(5218)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리브들 사이에는 소화수가 통과할 수 있는 소화수통수공(WH)이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단(5210)과 간격을 두고 제2고정판(5230)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2고정판(5230)도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수의 리브에 의해 고정되며, 제2고정판(5230)의 중심에도 사각통공이 관통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고정판(5230)과 간격을 두고 일정반경을 갖는 제1걸림턱(524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걸림턱(5240)과 간격을 두고 더 큰 반경을 갖는 제2걸림턱(5250)이 더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걸림턱(5240)에는 제1마그넷(M1)이 접지된다.
이 경우, 상기 제1마그넷(M1)은 원반형태로서 직경방향으로 절반을 기준삼아 서로 극성이 다른 마그넷으로서 도시상 상측 절반이 N극, 하측 절반이 S극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마그넷(M1)의 원중심에는 사각보스(BOS)가 고정되고, 상기 사각보스(BOS)의 단부는 상기 제2고정판(5230)의 중심에 형성된 사각통공을 관통한 뒤 제1,2고정판(5214,5230) 사이의 공간상에 위치되며, 또한 단부에는 제1스톱링(R1)이 고정되고, 상기 제1스톱링(R1)과 제2고정판(5230) 사이에는 상기 사각보스(BOS)에 끼워진 제1스프링(S1)이 개재된다.
따라서, 상기 제1마그넷(M1)은 기본적으로 상기 제1스프링(S1)에 의해 탄력적으로 제1걸림턱(5240)에 밀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마그넷(M2)의 원중심에는 사각형상의 안내로드(ROD)가 고정되고, 상기 안내로드(ROD)는 상기 사각보스(BOS)를 관통하여 상기 제1고정판(5214)의 사각통공(5218)에 끼워지며, 상기 사각통공(5218)에 끼워지지 않은 부분에 제2스톱링(R2)이 고정되고, 상기 제2스톱링(R2)과 제2고정판(5230) 사이에는 상기 사각보스(BOS)에 끼워진 제1스프링(S1)과 함께 제2스프링(S2)이 개재된다.
따라서, 상기 제2마그넷(M2)도 기본적으로 상기 제2스프링(S2)에 의해 탄력적으로 제2걸림턱(5250)에 밀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마그넷(M2)도 원반형태로서 직경방향으로 절반을 기준삼아 서로 극성이 다른 마그넷으로서 도시상 상측 절반이 N극, 하측 절반이 S극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1,2마그넷(M1,M2) 사이 공간의 바디(BD) 내주면에는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N극과 N극 사이 및 S극과 S극 사이에 각각 제1,2솔레노이드(SOL1,SOL2)가 고정된다.
상기 제1,2솔레노이드(SOL1,SOL2)는 합성수지로 된 호형상 부재(H) 둘레에 다수의 코일(C)을 감은 형태로서 통전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자기장의 방향이 바뀌는 기구이다.
즉, 암페어의 오른나사법칙에 따라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의해 코일의 양단에는 N극과 S극이 결정된다.
따라서, 예시와 같이 제1솔레노이드(SOL1)의 우측에 N극이 인가되게 하고 좌측에는 S극이 인가되도록 전류를 흘리고, 제2솔레노이드(SOL2)에는 우측에 S극, 좌측에 N극이 인가되도록 전류를 흘리게 되면 제1마그넷(M1)은 척력에 의해 제1걸림턱(5240)에 더욱 밀착되고, 제2마그넷(M2)은 인력에 의해 제2걸림턱(5250)에 더욱 더 밀착되게 되어 수압을 충분히 견디면서 이중 밀봉작용을 수행하여 소화수가 누출되지 않도록 안전성을 확보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반대로 작용하게 되면 제1,2솔레노이드(SOL1,SOL2)의 자극이 반대로 바뀌기 때문에 제1,2마그넷(M1,M2)이 각각 제1,2걸림턱(5240,5250)으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밀봉상태가 해제되어 소화수가 통과하여 배출단(5220)을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 경우는 컨트롤러(110)가 관리서버(400)로부터 몇층에서 화재가 발생했는지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제1,2솔레노이드(SOL1,SOL2)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제1,2마그넷(M1,M2)을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배출단(5220)에는 소화수의 분사효율을 높이기 위해 분사노즐(5260)이 나사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사노즐(5260)은 내부 중앙에 역삼각뿔 형상의 분배구(5262)가 고정되고, 그 둘레에 경사지게 다수의 분사공(5264)이 형성된다.
따라서, 소화수가 분사되면 소화수는 반경방향으로 확산되면서 넓은 반경에 걸쳐 신속하게 분사하므로 초기 화재진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덧붙여, 상기 호형상 부재(H)는 물속에 오래 노출되어 있는 관계로 내구성, 내부식성이 뛰어나야 하므로 특별히 그 표면에 스킨보호층을 형성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스킨보호층을 형성하기 위해 스킨도포액을 포함하며, 스킨도포액은 내구성과 내침식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피로메트리산 15중량부, 나노입도를 갖는 실리카-지르코니아 복합분체 20중량부, TCPP(Tris 2-chloropropyl phosphate) 15중량부, 6-브로모헥산산(6-bromohexanoic acid) 10중량부를 첨가 혼합한 혼합액이다.
이때, 피로메트리산은 열수축성을 억제하고 슬립성을 강화시켜 오염방지특성 강화, 내구성 증진, 내침식성 강화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실리카-지르코니아 복합분체는 다공성 실리카와 지르코니아의 표면활성 증대 특성을 활용하여 완충, 흡음, 방수 및 내수압특성을 강화시키며, 성분간 응집력을 높여 크랙발생을 억제하고 견고한 결합체를 유지하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TCPP는 내열성을 강화시키고 피로도를 낮춰 크랙, 파단이 생기지 않고 도포면이 장수명화를 유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6-브로모헥산산(6-bromohexanoic acid)은 산소의 흡습 침투를 막아 도장면의 크랙과 파단을 막아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첨가된다. 즉, 내수압특성과 내열성을 동시에 강화시킨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도 3의 예시와 같이, 분기공급관(510)의 밸브관(520) 전단에 수감지센서(120)를 더 설치하고, 상기 수감지센서(120)는 컨트롤러(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분기공급관(510) 내부에 물이 차 있는지 없는지를 실시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수감지센서(120)는 상기 분기공급관(510)을 관통하여 내부와 연통되도록 나사체결된다.
또한, 상기 수감지센서(120)는 내부가 비어 있고 상단 및 나사체결되는 하단이 개방되어 있는 센서하우징(122)과, 상기 센서하우징(122)의 내경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124)과, 상기 걸림턱(124)에 걸림되는 센서플랜지(126)를 갖고 수압에 따라 유동되는 유동자(128)와, 상기 유동자(128)의 하단면에 요입 형성되어 수압이 집중되도록 구비된 압력유도홈(130)과, 상기 유동자(128)의 상단면에 볼록하게 돌출된 반원형돌부(132)와, 상기 센서하우징(122)의 개방된 상단을 밀폐하도록 체결되는 센서커버(134)와, 상기 센서커버(234)의 내면에 밀착되고 상기 반원형돌부(132)가 접촉되었을 때 압력검출신호를 송신하는 압력센서(136)와, 상기 압력센서(136)와 컨트롤러(11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리드선(138)과, 상기 센서플랜지(126)와 센서커버(134)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유동자(128)를 탄성운동시키는 코일스프링(140)을 포함한다.
그리하여, 분기공급관(510) 상에 물이 차 있으면 수압을 받아 유동자(128)의 반원형돌부(132)가 압력센서(136)를 가압하고, 그 압력신호를 컨트롤러(110)가 수신하여 관리서버(400)로 송신함으로써 이상이 없다고 판단하게 된다.
그러나, 물이 차 있지 않으면 유동자(128)가 가압되지 않기 때문에 코일스프링(140)에 의해 밀려나면서 압력센서(136)를 가압하지 않게 되므로 압력신호가 없음을 컨트롤러(110)가 즉시 검출하고 이를 관리서버(400)로 송신함으로써 이상이 발생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이에 따라, 소방시설을 자동으로 상시 점검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도 4의 예시와 같이, 상기 소화수관(200)중 계단참으로 분기 배관된 소화수관(200)은 매설되지 않고, 언제든지 확장시공이 가능하고 쉽고 편리하게 배관할 수 있도록 별도의 고정부재(600)를 통해 계단참의 벽면(W)에 부착시공되는 방식으로 고정시공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부재(600)는 소화수관(200)을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피착구(610)과, 상기 피착구(610) 사이에 후크고정식으로 고정되어 개재되는 신축구(6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신축구(620)가 필요한 이유는 피착구(610)가 보통 금속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신축구(620)까지 금속재로 구성되어 피착구(610)와 일체를 이루게 되면 가압 고정시 소화수관(200)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거나 혹은 과압이 걸려 그 부위가 약해져 높은 수압을 받을 때 취약부가 터질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일부를 신축구(620)로 구성한다.
이 경우, 상기 피착구(610)는 알루미늄합금으로 제조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신축구(620)는 합성고무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피착구(610)는 벽면(W)에 접지되는 피착면부(612)와, 상기 피착면부(612)에서 경사연장된 경사면부(614)와, 상기 경사면부(614)의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616) 및 상기 피착면부(612)에서 수직연장된 후 다시 수직절곡된 후 하향연장되어 내부에 후크홈(HK)을 형성하는 걸림연장부(618)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신축구(620)는 소화수관(200)을 파지할 수 있는 반원형부(622)와, 상기 반원형부(622)의 양단에서 수직연장되어 상기 걸림연장부(618) 사이로 들어가 상기 후크홈(HK)에 후크결합되는 후크편부(624)를 포함한다.
이렇게 고정부재(600)를 마련하게 되면 단순히 앵커(ANK)를 벽면(W)에 박아 넣기만 하는 것으로도 쉽고 편리하게 안정적으로 배관할 수 있어 시공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신축구(620)의 경우, 장수명화와 신축성 유지 및 내화성 확보를 위해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실리콘수지 30중량부, 질화규소 5중량부, 이산화티탄 5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성형하여 제조된다.
이때, ABS 수지는 고내열성, 고내구성 수지재료이며; 실리콘수지는 완충성, 신축성을 제공하기 위해 첨가되고; 질화규소는 가볍고 열팽창율이 적어 상온이나 고온에서 강도, 파괴에 대한 인성, 열충격 저항성, 내산화성, 내식성이 우수하고; 탄화규소는 내용해성·내용융성·내산화성 외에 열전도도가 크다. 그리고, 이산화티탄은 방열효율을 높이고, 전열면적을 넓히기 위해 첨가된다.
이 경우, 소화수관(200)이 벽면(W)과 접촉된 부분에서의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해 도 5와 같은 구조로 완충시트(7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완충시트(700)는 벽면(W)에 밀착되고, 앵커(ANK)가 앵커링될 때 벽면(W)에 피착되며, 그 전에 소화수관(200)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시트(700)도 상기 신축구(620)와 동일한 성분으로 성형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피착구(610)는 방수성, 오염방지성, 내구성을 가져야 하므로 다음과 같은 표면코팅제로 스프레이 코팅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표면코팅제는 투명한 폴리프로필렌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운모미분 5중량부, 메틸술포닉메탄 10중량부, 보로수소화나트륨 3.5중량부,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15중량부, 우레아 10중량부, 아인산염 10중량부, 글루코산염 5중량부, 소디움바이카보네이트 10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된다.
여기에서, 운모미분은 대표적인 차열제이며, 메틸술포닉메탄은 유연성을 유지하면서 크랙, 갈라짐을 억제하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보로수소화나트륨(Sodium borohydride)은 결합강도를 높여 내열성을 확보하면서, 발수성, 방습성, 방수성, 방오성을 강화시킨다.
또한,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은 내약품성, 전기적 절연특성, 비점착성, 방오성, 내열성, 마찰특성을 확보하여 열전도 억제력을 강화시킴으로써 차열특성을 증대시킨다.
아울러, 우레아는 공융점 형성에 따른 내열특성을 확보하여 방습성을 강화시킨다.
뿐만 아니라, 아인산염(Phosphites)은 내화학성과 내열에 따른 차열성을 강화시키면서 강도, 경도, 내마모도 향상에 따른 변형억제에 기여하게 되며, 글루코산염은 계면분리를 막아 고정력을 향상시키며 신축구(620)의 미끄럼짐성을 억제한다.
그리고, 소디움바이카보네이트는 폴리프로필렌의 높은 가교밀도로 인해 성형자유도를 높이면서 내구성, 방오성, 방수성을 강화시킨다.
100: 소화전 200: 소화수관
300: 스프링클러 400: 관리서버
500: 메인공급관

Claims (1)

  1. 소화전(100)에서 분기된 소화수관(200)이 세대 내부와 세대 외부의 계단참으로 배관되고, 세대 내부로 분기된 소화수관(200)에는 스프링클러(300)가 연결되며, 세대 외부의 계단참으로 분기된 소화수관(200)에는 계단참소화노즐(310)이 연결되고; 상기 소화전(100) 내부에서 소화수관(200)과 연결되는 분기공급관(510)의 단부에는 밸브관(520)이 접속되며, 상기 밸브관(520)에는 컨트롤러(110)가 연결되어 상기 밸브관(520)을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컨트롤러(110)는 관리서버(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관리서버(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되며, 각 컨트롤러(110)는 관리서버(400)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각 밸브관(520)은 고유번호가 할당되어 있어 컨트롤러(110)와 통신할 때 밸브관(520)이 구별되며, 상기 컨트롤러(110)는 각 동 지하층에 설비되고; 공동주택 건축물의 각 동의 출입구에는 출입구등(10), 비상유도등(20), 계단등(30)이 구비되고, 상기 출입구등(10), 비상유도등(20), 계단등(30)의 기판에는 출입구등검지단(12), 비상유도등검지단(22), 계단등검지단(32)이 각각 탑재되며, 상기 출입구등검지단(12), 비상유도등검지단(22), 계단등검지단(32)은 각각 등화제어기(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등화제어기(40)는 관리서버(4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등화제어기(40)가 주기적으로 전기신호를 보내고, 각 검지단이 보내는 리턴신호 유무에 따라 해당 등기구는 정상 유무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분기공급관(510)의 밸브관(520) 전단에 수감지센서(120)를 나사체결하고, 상기 수감지센서(120)를 컨트롤러(11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분기공급관(510) 내부의 물 유무를 실시간 검출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수감지센서(120)는 내부가 비어 있고 상단 및 나사체결되는 하단이 개방되어 있는 센서하우징(122)과, 상기 센서하우징(122)의 내경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124)과, 상기 걸림턱(124)에 걸림되는 센서플랜지(126)를 갖고 수압에 따라 유동되는 유동자(128)와, 상기 유동자(128)의 하단면에 요입 형성되어 수압이 집중되도록 구비된 압력유도홈(130)과, 상기 유동자(128)의 상단면에 볼록하게 돌출된 반원형돌부(132)와, 상기 센서하우징(122)의 개방된 상단을 밀폐하도록 체결되는 센서커버(134)와, 상기 센서커버(134)의 내면에 밀착되고 상기 반원형돌부(132)가 접촉되었을 때 압력검출신호를 송신하는 압력센서(136)와, 상기 압력센서(136)와 컨트롤러(11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리드선(138)과, 상기 센서플랜지(126)와 센서커버(134)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유동자(128)를 탄성운동시키는 코일스프링(140)을 포함하며; 상기 소화수관(200)은 고정부재(600)를 통해 벽면(W)에 고정되되, 상기 고정부재(600)는 소화수관(200)을 벽면(W)에 앵커링하여 고정하는 한 쌍의 피착구(610)과, 상기 피착구(610) 사이에 후크고정식으로 고정되어 개재되면서 상기 소화수관(200)을 감싸 고정하는 신축구(620)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착구(610)는 벽면(W)에 접지되는 피착면부(612)와, 상기 피착면부(612)에서 경사연장된 경사면부(614)와, 상기 경사면부(614)의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616) 및 상기 피착면부(612)에서 수직연장된 후 다시 수직절곡된 후 하향연장되어 내부에 후크홈(HK)을 형성하는 걸림연장부(618)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구(620)는 소화수관(200)을 파지할 수 있는 반원형부(622)와, 상기 반원형부(622)의 양단에서 수직연장되어 상기 걸림연장부(618) 사이로 들어가 상기 후크홈(HK)에 후크결합되는 후크편부(624)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소방용 화재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소화수관(200)과 벽면(W) 사이에는 완충시트(700)를 더 구비하되, 상기 완충시트(700)는 벽면(W)에 밀착되고, 앵커(ANK)가 앵커링될 때 벽면(W)에 피착되며, 그 전에 소화수관(200)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피착구(610)는 알루미늄합금으로 제조되며, 상기 신축구(620)는 합성고무로 제조되되,
    상기 신축구(620)는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실리콘수지 30중량부, 질화규소 5중량부, 이산화티탄 5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성형하여 제조되고,
    상기 피착구(610)는 투명한 폴리프로필렌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운모미분 5중량부, 메틸술포닉메탄 10중량부, 보로수소화나트륨 3.5중량부,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15중량부, 우레아 10중량부, 아인산염 10중량부, 글루코산염 5중량부, 소디움바이카보네이트 10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된 표면코팅제로 스프레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소방용 화재 감시 시스템.
KR1020220036625A 2022-03-24 2022-03-24 공동주택의 소방용 화재 감시 시스템 KR102529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625A KR102529560B1 (ko) 2022-03-24 2022-03-24 공동주택의 소방용 화재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625A KR102529560B1 (ko) 2022-03-24 2022-03-24 공동주택의 소방용 화재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9560B1 true KR102529560B1 (ko) 2023-05-10

Family

ID=86385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6625A KR102529560B1 (ko) 2022-03-24 2022-03-24 공동주택의 소방용 화재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56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9857A (ko) * 2005-09-09 2007-03-15 올라이트라이프주식회사 무선통신 유도등 점검 시스템
KR101657195B1 (ko) * 2016-04-28 2016-09-19 (주)유원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소방용 관창 클램핑 장치
KR102110790B1 (ko) * 2019-08-28 2020-05-14 (주)케이제이종합감리 공동주택 소방전기통신을 이용한 소방관리 시스템
KR102217555B1 (ko) 2020-04-16 2021-02-19 (주)대경기술단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KR102334841B1 (ko) * 2021-04-26 2021-12-03 (주)대화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설비 무인감시 시스템
KR102336285B1 (ko) * 2021-04-20 2021-12-08 (주)유진씨엔이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초기 소화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9857A (ko) * 2005-09-09 2007-03-15 올라이트라이프주식회사 무선통신 유도등 점검 시스템
KR101657195B1 (ko) * 2016-04-28 2016-09-19 (주)유원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소방용 관창 클램핑 장치
KR102110790B1 (ko) * 2019-08-28 2020-05-14 (주)케이제이종합감리 공동주택 소방전기통신을 이용한 소방관리 시스템
KR102217555B1 (ko) 2020-04-16 2021-02-19 (주)대경기술단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KR102336285B1 (ko) * 2021-04-20 2021-12-08 (주)유진씨엔이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초기 소화시스템
KR102334841B1 (ko) * 2021-04-26 2021-12-03 (주)대화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설비 무인감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8023B2 (en) Releasing control unit for a residential fire protection system
KR102273403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관리 시스템
US10876646B2 (en) Leak detection and prevention device
KR102397133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에 대비한 소방 안전 자동화시스템
KR102369026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374201B1 (ko) 공동주택의 소방배관 시스템
KR102384551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알림시스템
KR102448818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관리 시스템
KR102529560B1 (ko) 공동주택의 소방용 화재 감시 시스템
KR102420385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 안전 시스템
KR102369691B1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관리시스템
KR102529677B1 (ko)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자동 제어시스템
KR102529561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시설 감시 시스템
KR102530289B1 (ko)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이상 유무 점검 시스템
US11013942B2 (en) Pressure maintenance device with automatic switchover for use in a fire protection sprinkler system, and a related method
KR101856677B1 (ko)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 용수 자동 제어시스템
KR102439692B1 (ko) 공동주택의 소방용 진화장비 구축 시스템
KR102528169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서 자동신고 시스템
KR102439420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배관 고정시스템
KR102421935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 안전 관리시스템
KR102480719B1 (ko) 공동주택의 방화 스프링클러 자동화 운용시스템
KR102451550B1 (ko) Ai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소방 안전관리 시스템
KR102437305B1 (ko)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화재발생 알림 안전교육 소방시스템
US10487480B2 (en) Water leak detection and prevention device
KR102528168B1 (ko)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자동 소방급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