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841B1 -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설비 무인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설비 무인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4841B1
KR102334841B1 KR1020210053787A KR20210053787A KR102334841B1 KR 102334841 B1 KR102334841 B1 KR 102334841B1 KR 1020210053787 A KR1020210053787 A KR 1020210053787A KR 20210053787 A KR20210053787 A KR 20210053787A KR 102334841 B1 KR102334841 B1 KR 102334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controller
water
drum
fir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형
Original Assignee
(주)대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화 filed Critical (주)대화
Priority to KR1020210053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8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1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for buildings or installations in fire stor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08Water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62C2/246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 A62C2/247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26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put under pressure by means other than pressure gas, e.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0Pipe-line systems wet, i.e. containing extinguishing material even when not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8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V or radio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설비 무인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에 설치되어 있는 케이블티비 통신망을 활용하여 소방관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시스템 구축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성능의 저하 없이도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방설비 자체에 대한 관리,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쉼터는 물론 놀이터 등에서도 화재 발생시 소방설비가 제대로 작동하여 초기 진화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 피해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시켜 안전성을 강화시키도록 개선된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설비 무인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설비 무인감시 시스템{Firefighting equipment unmanned monitoring system for apartment buildings}
본 발명은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설비 무인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에 설치되어 있는 케이블티비 통신망을 활용하여 소방관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시스템 구축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성능의 저하 없이도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방설비 자체에 대한 관리,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쉼터는 물론 놀이터 등에서도 소화수 감시수단에 의하여 화재 발생시 소방설비가 제대로 더 잘 작동하고 필요한 후속조리를 빠르게 진행하도록 하므로 초기 진화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화재 피해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시켜 안전성을 강화시키도록 개선된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설비 무인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 등의 건물에는 화재가 발생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소화하는 소방시스템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소방시스템은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화재의 발생이 감지되면 경보장치를 작동시키거나 스프링클러 및 방화셔터 등을 작동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는 스프링클러 등의 소방설비부 등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화재 발생시 설정된 위치에서 소화수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도록 하도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을 갖는, 공동 주택의 각 가정에서는 해당 공동 주택의 각 가정에서의 화재에 취약한 정보가 전혀 없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이를 신속히 진압이 어려울뿐더러, 화재 진압 이후 차후 화재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기초 정보가 부족한 상태이다.
특히, 소방설비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에도 소화수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경우를 대비하여 소화수 감지수단을 더 구비하므로 소방설비가 원활한 소방수 공급에 의하여 잘 작동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836117호(2018.03.02.), "공동주택 화재 안전관리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공동주택에 설치되어 있는 케이블티비 통신망을 활용하여 소방관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시스템 구축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성능의 저하 없이도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방설비 자체에 대한 관리,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쉼터는 물론 놀이터 등에서도 화재 발생시 소방설비가 제대로 작동하여 초기 진화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 피해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시켜 안전성을 강화시키고 소화수 감지수단을 더 구비하여 소방설비에 소방수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아니하는 경우 필요한 후속조치를 정확하고 빠르게 진행하도록 하여 화재진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개선된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설비 무인감시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관리실에 설치된 메인서버(100)와, 상기 메인서버(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티비신호를 수신하여 각 세대로 분배하는 케이블티비 분배유닛(200)과, 각 세대는 물론 공동주택의 공용구역이나 놀이터 및 주차장에 설치된 컨트롤러와 교신하여 화재감지 및 화재진압을 제어하는 화재제어기(300)를 포함하고;
각 세대 출입문(ODR) 외부 천정에는 소화탱크(TNK)가 내장되고, 상기 천정면에는 드럼하우징(HUS)이 고정되며, 상기 드럼하우징(HUS)의 내부에는 드럼(4100)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드럼하우징(HUS)의 일측단에는 상기 드럼(4100)을 회전시키는 드럼모터(4200)가 고정되며, 상기 드럼(4100)에는 방화판(4300)이 감기거나 풀리도록 구성되는데 방화판(4300)들의 양측단에는 힌지링크(4400)가 연결되어 방화판(4300)들이 접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방화판(4300) 상에는 분사관(4500)이 내장되며, 상기 분사관(4500)에는 분사구멍(4520)이 형성되어 상기 방화판(4300)의 전면에 대응되게 형성된 구멍을 통해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분사관(4500)들은 플렉시블호스(4600)와 연결되어 소화액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플렉시블호스(4600)는 상기 방화판(4300)을 상하로 관통하여 드럼(4100) 내부를 통해 타단에 형성된 로터리죠인트(4700)까지 연결되고, 상기 로터리죠인트(4700)를 매개로 하여 소화탱크(TNK)로부터 연장된 공급호스(4800)가 플렉시블호스(4600)와 서로 연결 접속되며, 상기 공급호스(4800)의 일부에는 공급펌프(4900)가 구비되고, 상기 공급펌프(4900) 및 드럼모터(4200)는 컨트롤러(CTRL)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컨트롤러(CTRL)는 화재제어기(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화재발생시 제어신호에 의해 이들을 구동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세대내 소화수를 공급하는 소화수관 혹은 공동구역이나 놀이터에서 소화수를 공급하는 소화수관 상에는 소화수감지기(700)를 더 설치하되, 상기 소화수감지기(700)는 수화수관 내부에 노출되게 배치되고 제1,2단자(712,714)를 구비한 수감지센서(710)와; 상기 수감지센서(710)의 일단에 고정되고 씰러(726)의 개재하에 상기 수감지센서(710)를 소화수관에 외부에서 내부로 나사체결하는 고정플랜지(720)와; 상기 수감지센서(710)의 타단에 구비되고 각각 제1,2단자(712,714)와 연결된 제1,2단자연결단(722,724)과; 상기 제1,2단자연결단(722,724)에 나사체결됨과 동시에 단자간 접속이 가능하도록 제1,2단자접속단(732,734)을 구비한 체결구(7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설비 무인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동주택에 설치되어 있는 케이블티비 통신망을 활용하여 소방관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시스템 구축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성능의 저하 없이도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방설비 자체에 대한 관리,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쉼터는 물론 놀이터 등에서도 화재 발생시 소방설비가 제대로 작동하여 초기 진화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 피해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시켜 안전성을 강화시키며 소화수 감지수단을 더 구비하여 소방설비가 원활한 소방수 공급과 소방수 공급이 원활하지 아니하는 경우는 빠르게 감지하고 필요한 후혹조치를 정확하게 진행시켜 화재진압이 잘 이루어지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휴게쉼터의 소화구현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놀이터의 소화구현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방화문유닛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계단참의 제연팬 구동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소화수관내 소화수 유무를 검출하는 소화수검출기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공동주택에 설치되어 있는 케이블티비 통신망을 활용하여 소방관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시스템 구축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성능의 저하 없이도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도 1의 예시와 같이, 관리실에 설치된 메인서버(100)와, 상기 메인서버(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티비신호를 수신하여 각 세대로 분배하는 케이블티비 분배유닛(200)과, 각 세대는 물론 공동주택의 공용구역이나 놀이터 및 주차장에 설치된 컨트롤러와 교신하여 화재감지 및 화재진압을 제어하는 화재제어기(3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메인서버(100)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소방서나 경찰서 등의 관공서 서버(미도시)와 연계되어 실시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티비 분배유닛(200)은 메인서버(100)와 연결되기 위해 메인서버(100)의 프리퀀서 바인더(110)와 통신하는 듀플렉스필터(210)와, 상기 듀플렉스필터(210)와 연결되어 신호를 증폭하는 메인엠플리파이어(220)와, 증폭된 신호를 여러 세대별로 분배하는 메인스플리터(230)와, 각 세대로 전송되는 신호를 증폭시키는 서브엠플리파이어(240)와, 각 세대에서 필요로 하는 채널 수에 맞춰 신호를 분배하는 서브스플리터(25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서브스플리터(250)에는 케이블티비(252), 관제실에서 음성을 각 세대로 직접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254) 등이 연결된다.
때문에, 케이블티비(252)를 통해 케이블방송사에서 전송하는 티비영상신호를 전송하는 것은 기본이고, 필요에 따라 관제실, 즉 메인서버(100)가 제공하는 비상영상도 전송하여 각 세대가 시청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뿐만 아니라, 스피커(254)는 기존 세대내 설치된 일반방송용 스피커를 서브스플리터(250)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것은 기존 일반방송용 스피커가 많이 노후화되고 불량인 경우가 많아 이를 서브스플리터(250)를 이용하게 되면 최상의 음질로 에러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화재 등 비상상황이 발생되면 메인서버(100)를 통해 각 세대로 스피커(254)를 통해 그 비상상황을 음성으로 설명할 수 있고, 혹은 영상이 확보된 경우 해당 영상을 직접 송출함으로써 비상상황을 세대 구성원들이 실시간으로 즉시 확인이 가능하고, 대피가 필요한 경우 안내에 따라 신속히 대피함으로써 인명피해를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케이블티비 분배유닛(200)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긴급상황을 메인서버(100)로 즉시 송신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예컨대 상기 서브스플리터(250)에는 세대비상버튼(260), E/L(엘리베이터)감시카메라(270), 옥상문감시카메라(280)가 더 연결되어 비상신호 혹은 촬영영상을 메인서버(100)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세대비상버튼(260)은 화재 뿐만 아니라, 세대내에서 긴급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이를 테면 노약자가 쓰러지거나 혹은 도둑이 침범했거나 어린아이가 사고를 일으켰거나 할 때 비상전화를 하기도 어려운 상황에서 눈에 잘 띄는 곳에 설치하여 누르기만 하면 자동으로 비상신호가 송신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E/L감시카메라(270)는 엘리베이터의 운행상태를 확인하고, 그 전방에서 일어나는 상황을 실시간 촬영하여 전송함으로써 화재시 계단참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즉시 파악하여 대피로를 유도할 때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물론, 촬영된 영상은 약 1개월 분량만 저장되고, 그 이후부터는 덮어쓰기 기능으로 실시간 저장되게 구성하면 메인서버(100)내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옥상문감시카메라(280)는 화재시 옥상으로 대비 안내할 수 있도록 옥상으로 통하는 길에서 발생되는 화재 상황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옥상문감시카메라(280)가 전송하는 영상정보는 대피상항을 체크하여 구조계획을 수립하는데에도 일조하게 된다.
아울러, 이렇게 전송된 영상중에 화재상황이 그대로 찍힌 경우에는 그 영상을 실시간으로 케이블티비(252)로 송출하면서 해당 장소가 어디임을 표시 및 음성출력하게 하여 그 위치를 피해 대피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한편, 화재제어기(300)에는 세대내소화전 컨트롤러(310), 공동구역 컨트롤러(320), 주차장 컨트롤러(330), 놀이터 컨트롤러(340)가 연결되어 감시, 제어된다.
이때, 세대내소화전 컨트롤러(310)는 세대내에 설치된 연기감지기 또는 열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를 받게 되면 경보를 울림과 동시에 이를 즉시 화재제어기(300)로 전송하여 메인서버(100)가 신호를 전송한 세대에서 화재가 발생했음을 인지하고 조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공동구역 컨트롤러(320)는 공동구역(쉼터, 휴게용 벤치 등)에 설치된 CCTV 영상을 화재제어기(300)로 전송하고, 외부에서 발생된 화재를 실시간 영상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공동구역 컨트롤러(320)는 도 2와 같이, 공동구역에 설치된 휴게쉼터(500)의 일측 포스트(51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스트(510) 한 쌍의 상단에는 차양(520)이 설치되는데, 상기 차양(520)은 방수천으로 형성되어 교체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포스트(510)의 하단은 'ㄷ'형상의 착좌대(530)에 고정되며, 상기 착좌대(530)의 하부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바퀴가 설치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때문에, 상기 휴게쉼터(500)는 이동형 쉼터를 구현하여 얼마든지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차양(520)의 하면에는 다수의 가로바(540)가 설치되고, 상기 가로바(540) 상에는 레일(54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레일(542)은 요홈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레일(542)에는 LED모듈(550)이 끼워져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레일(542)의 양측면에는 각각 +접점(T1)과 -접점(T2)이 편상으로 길게 부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접점(T1)과 -접점(T2)에는 전원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LED모듈(550)은 상기 레일(542)의 일측단면에서 측방으로 슬라이딩되게 끼워지는 모듈본체(552)를 포함한다. 상기 모듈본체(552)의 하면 중심에는 LED(554)가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모듈본체(552)의 양측면에는 각각 상기 +접점(T1)과 -접점(T2)에 접속되는 탄성단자(556)가 마련된다. 물론, 상기 탄성단자(556)는 각각 LED(554)의 +측과 -측에 연결되어 LED(554)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전원은 상용전원을 사용한다.
특히, 상기 탄성단자(556)는 호형상, 즉 아크형상을 가져 탄성변형될 수 있게 구성되므로 상기 +접점(T1) 및 -접점(T2)과의 접속력을 항상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위치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준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 인해, 본 발명에 집중조명이 필요한 경우 집중조명이 요구되는 지점으로 다수의 LED(554)를 모아 배치시키면 좀더 강한 조명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조명이 설치되는 가로바(540)의 경우, 금속으로 제조되는데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사용되는 열악한 환경이므로 일반 페이트 도장으로는 부식되는 것을 막기 어렵다. 특히, 오래 사용시 도장이 들뜨면서 쉽게 벗겨져 부식되는데 이는 금속 표면과 도장면 사이의 앵커링 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까지 해결하면서 내수성, 방수성, 방습성까지 높일 수 있도록 상기 가로바(540)를 외부코팅액에 딥핑하여 외부코팅액으로 도포되게 한다.
이를 위한 외부코팅액은 세슘주석산화물(CsSnO)과 비스페놀계 에폭시수지가 1:9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원료 1ℓ에 질산리튬 4.5g, 10nm 이하의 입도를 갖는 폐유리분말 3.5g, 에폭시수지 200g, 메타크레졸 50g,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 100g, 송진 50g, 디시안디아미드(Dicyandiamide) 100g을 첨가한 주원료; 상기 주원료 90-95중량%와 물 5-10중량%를 혼합하여 조성된다.
여기에서, 세슘주석산화물은 적외선 차단율을 60%까지 증대시키며, 비스페놀계 에폭시수지를 사용하는 이유는 자외선(UV)에 대한 안정성이 뛰어나 차열성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질산리튬은 이온교환성을 증대시켜 분산안정성을 높이기 위함이고, 폐유리분말은 LED 광의 휘도를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아울러, 에폭시수지는 부착력과 고정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함이고, 메타크레졸은 피착면에서의 앵커링 기능을 통해 계면 분리를 억제하기 위해 첨가된다.
이 경우, 카르복실산과 송진은 표면의 미세 구조와 낮은 표면 에너지를 유도하여 소수성, 즉 발수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특히 카르복실산은 메탄산, 에탄산, 옥살산, 말론산, 팔미트산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으며; 올레아미드(Oleamide)는 슬립성을 강화시키고 균일 분산성을 좋게 하며, 글리콜-2-에틸헥사놀은 거품성을 억제하여 처리효율을 높인다.
그리고, 디시안디아미드는 소수화에 따른 발수특성을 초발수에 가깝게 증진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기 착좌대(530)의 내부에는 소화수저장탱크(560)가 내장되고, 상기 소화수저장탱크(560)에는 공급용 소화수관(HOS)이 연결되어 포스트(510)를 타고 공급펌프(570)를 거쳐 포스트(510) 상단부에 경사 배치된 소화노즐(580)에 연결된다.
또한, 포스트(510)의 최상단에는 감시카메라(590)가 설치되어 촬영영상을 실시간 화재제어기(300)로 송출하므로 화재 발생시 영상을 보고 판독한 메인서버(100)의 제어신호가 화재제어기(300)를 거쳐 공동구역 컨트롤러(320)로 전송되면, 공동구역 컨트롤러(320)는 공급펌프(570)를 구동시켜 소화노즐(580)을 통해 발화 주변으로 소화수를 분사하여 화재 진압에 참여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쉼터 겸 화재 대응시스템이 갖추어지기 때문에 보다 안전한 공동주택 거주가 가능하게 된다.
다른 한편, 주차장 컨트롤러(330)는 주차장내 특정지점에 장착되며, 주차장에 설치된 연기감지기 또는 열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를 받게 되면 경보를 울림과 동시에 이를 즉시 화재제어기(300)로 전송하여 메인서버(100)가 신호를 전송한 세대에서 화재가 발생했음을 인지하고 조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주차장 내부에도 CCTV를 설치하고, 촬상된 영상을 화재제어기(300)로 전송하여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놀이터 컨트롤러(340)는 놀이터에 설치된 도 3과 같은 가로등주(600) 상에 구비되고, 상기 가로등주(600)의 상단에는 가로등(610)이 설치되며, 상기 가로등주(600)의 내부 일측에는 소화수펌프(620)가 내장되고, 상기 가로등주(600)의 하단은 소화수탱크(630)의 상단면에 요입 형성된 고정홈(632) 상에 나사체결식으로 삽입 고정되며, 상기 소화수탱크(630)는 지중에 매립되고, 상기 소화수탱크(630)의 상면 일측에는 주입구가 마개(634)에 의해 밀폐되며, 상기 가로등주(600)의 상단부 둘레에는 분사노즐(640)이 설치되고, 상기 소화수탱크(630) 내부의 소화수를 소화수펌프(620)를 거쳐 분사노즐(640)로 공급하도록 마개(634)를 관통하여 배관된 소화수관(650)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가로등주(600)에도 CCTV(660)를 설치하고, 촬상된 영상을 화재제어기(300)로 전송하여 활용할 수 있다. 이것은 비단 화재발생시 뿐만 아니라, 어린이들을 외부인으로부터 보호하는 방범카메라 역할도 담당하게 된다.
그리하여, CCTV(660)를 통해 주변에서의 화재가 발견된 경우, 메인서버(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화재제어기(300)는 놀이터 컨트롤러(340)를 제어하여 소화수펌프(620)를 구동시키고, 소화수를 흡입 토출시켜 분사노즐(640)로 하여금 화재 진압에 참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가로등(610)의 경우, 기존 램프형 가로등이 빗물에 노출될 경우 누전의 위험이 높고 등표면에 이물이 끼면 휘도가 떨어져 가로등으로서의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던 문제를 해결하도록 지붕형태로 맞대어진 스테인레스스틸 소재의 반사갓(612) 내벽면에 다수의 LED(614)를 배열하여 자동적으로 차양기능도 가져 눈, 비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서로 교차 조사되면서 빛의 빔이 형성되어 휘도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하게 되면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되며, 소비전력도 낮출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메인서버(100)에는 경비실 컨트롤러(CTRL)가 더 연결되어 외부차량의 출입을 통제함으로써 방범 기능을 강화시키는데 활용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의 번짐을 방지하도록 각 세대의 현관 외부 천정에는 도 4와 같은 방화문유닛(400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방화문유닛(4000)은 각 세대의 현관문(ODR) 외측 천정에 내장된 소화탱크(TNK)와, 상기 천정면에 고정된 드럼하우징(HUS)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소화탱크(TNK)에는 소화액이 채워지며, 소화액은 통상의 화재진압용 물이 아니라 불연특성을 갖는 소화기에 사용되는 액상의 소화제이다.
그리고, 상기 드럼하우징(HUS)의 내부에는 드럼(4100)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또한, 상기 드럼하우징(HUS)의 일측단에는 상기 드럼(4100)을 회전시키는 드럼모터(4200)가 고정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드럼(4100)에는 방화판(4300)이 감기거나 풀리도록 구성되는데, 방화판(4300)은 비교적 얇은 경량의 공지된 방화판이며, 방화판(4300)들의 양측단에는 힌지링크(4400)가 연결되어 방화판(4300)들이 접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상기 드럼(4100)에 감기기 쉽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방화판(4300) 상에는 분사관(4500)이 내장되고, 상기 분사관(4500)에는 분사구멍(4520)이 형성되어 상기 방화판(4300)의 전면에 대응되게 형성된 구멍을 통해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분사관(4500)들은 플렉시블호스(4600)와 연결되어 소화액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플렉시블호스(4600)는 상기 방화판(4300)을 상하로 관통하여 드럼(4100) 내부를 통해 타단에 형성된 로터리죠인트(4700)까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로터리죠인트(4700)를 매개로 하여 소화탱크(TNK)로부터 연장된 공급호스(4800)가 플렉시블호스(4600)와 서로 연결 접속된다.
이때, 상기 공급호스(4800)의 일부에는 공급펌프(4900)가 구비되고, 상기 공급펌프(4900) 및 드럼모터(4200)는 컨트롤러(CTRL)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컨트롤러(CTRL)는 화재제어기(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화재발생시 신속한 통제와 제어신호에 의해 이들을 구동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즉시에 드럼모터(4200)가 구동되면서 방화판(4300)이 펼쳐져 도시와 같은 형태로 세대 현관문(ODR)의 전방을 커버하여 화염이 번지는 것을 1차적으로 차단한다.
그런 다음, 제어신호에 따라 공급펌프(4900)가 구동되고, 자명한 공지의 구성이기 때문에 설명하지 않은 밸브들이 개방되면서 플렉시블호스(4600)로 소화액이 공급되어 분사구멍(4520)을 통해 소화액이 방화판(4300) 전방으로 분출됨으로써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는데 도움을 주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계단참 제연 기능을 강화시키기 위해 도 5의 예시와 같이, 계단참에 설치된 제1,2창(W1,W2)을 고정하는 기존 크리센트를 전자식크리센트(CRC)로 바꾸고, 화재제어기(30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화재제어기(3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전자식크리센트(CRC)는 솔레노이드밸브 형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창(W1,W2)의 상부 공간인 벽면 상에는 로드실린더(RCY)가 고정되고, 상기 로드실린더(RCY)에는 래크로드(LKR)가 끼워져 슬라이딩될 수 있게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래크로드(LKR)의 일단은 창고정바(WFT)를 통해 제1창(W1)의 창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로드실린더(RCY)에 끼워진 후 피니언기어(PIN)와 래크-피니언 기어 결합을 이루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로드실린더(RCY)의 일부는 절개되고, 대응면에 고정된 출입모터(IOM)의 모터축에 고정된 피니언기어(PIN)가 절개된 부분을 통해 로드실린더(RCY) 내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인입되는 래크로드(LKR)와 기어결합하도록 초기 조립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출입모터(IOM)는 화재제어기(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하여 연기가 심하게 생성될 경우, 화재제어기(300)의 제어명령에 따라 전자식크리센트(CRC)가 개방되고, 이어 출입모터(IOM)가 구동되면서 래크로드(LKR)를 로드실린더(RCY) 내부로 인입시키면서 제1창(W1)을 당겨 창문을 개방시킴으로써 계단참에 쌓여가던 연기가 밖으로 빠지면서 제연되게 된다.
아울러, 세대내 소화수를 공급하는 소화수관 혹은 공동구역이나 놀이터에서 소화수를 공급하는 소화수관 상에는 도 6과 같은 소화수감지기(700)가 더 설치되고, 상기 소화수감지기(700)는 각 컨트롤러를 통해 화재제어기(300)로 검출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소화수감지기(700)는 수화수관 내부에 노출되게 배치되고 제1,2단자(712,714)를 구비한 수감지센서(710)와; 상기 수감지센서(710)의 일단에 고정되고 씰러(726)의 개재하에 상기 수감지센서(710)를 소화수관에 외부에서 내부로 나사체결하는 고정플랜지(720)와; 상기 수감지센서(710)의 타단에 구비되고 각각 제1,2단자(712,714)와 연결된 제1,2단자연결단(722,724)과; 상기 제1,2단자연결단(722,724)에 나사체결됨과 동시에 단자간 접속이 가능하도록 제1,2단자접속단(732,734)을 구비한 체결구(730)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상기 체결구(730)에서 인출된 제1,2단자접속단(732,734)과 연결된 리드선은 각 컨트롤러로 배선되어 소화수 분사시 소화수 유무를 체크할 수 있게 된다. 즉, 소화수를 분사하라고 제어명령이 떨어져 솔레노이드밸브가 개방되면서 소화수가 공급되거나 혹은 펌프가 구동되면서 소화수를 공급하여야 하는데 소화수가 공급될 경우에는 제1,2단자(712,714)가 통전되므로 정상 검출신호를 송신하고, 소화수가 공급되지 않을 경우에는 통전되지 않으므로 불량 검출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즉시에 소화수 공급 불량 유무를 확인할 수 있고, 빠른 조치가 가능하게 된다.
100: 메인서버
200: 케이블티비 분배유닛
300: 화재제어기
400: 경비실 컨트롤러

Claims (1)

  1. 관리실에 설치된 메인서버(100)와, 상기 메인서버(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티비신호를 수신하여 각 세대로 분배하는 케이블티비 분배유닛(200)과, 각 세대는 물론 공동주택의 공용구역이나 놀이터 및 주차장에 설치된 컨트롤러와 교신하여 화재감지 및 화재진압을 제어하는 화재제어기(300)를 포함하고; 각 세대 출입문(ODR) 외부 천정에는 소화탱크(TNK)가 내장되고, 상기 천정면에는 드럼하우징(HUS)이 고정되며, 상기 드럼하우징(HUS)의 내부에는 드럼(4100)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드럼하우징(HUS)의 일측단에는 상기 드럼(4100)을 회전시키는 드럼모터(4200)가 고정되며, 상기 드럼(4100)에는 방화판(4300)이 감기거나 풀리도록 구성되는데 방화판(4300)들의 양측단에는 힌지링크(4400)가 연결되어 방화판(4300)들이 접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방화판(4300) 상에는 분사관(4500)이 내장되며, 상기 분사관(4500)에는 분사구멍(4520)이 형성되어 상기 방화판(4300)의 전면에 대응되게 형성된 구멍을 통해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분사관(4500)들은 플렉시블호스(4600)와 연결되어 소화액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플렉시블호스(4600)는 상기 방화판(4300)을 상하로 관통하여 드럼(4100) 내부를 통해 타단에 형성된 로터리죠인트(4700)까지 연결되고, 상기 로터리죠인트(4700)를 매개로 하여 소화탱크(TNK)로부터 연장된 공급호스(4800)가 플렉시블호스(4600)와 서로 연결 접속되며, 상기 공급호스(4800)의 일부에는 공급펌프(4900)가 구비되고, 상기 공급펌프(4900) 및 드럼모터(4200)는 컨트롤러(CTRL)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컨트롤러(CTRL)는 화재제어기(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화재발생시 제어신호에 의해 이들을 구동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세대내 소화수를 공급하는 소화수관 혹은 공동구역이나 놀이터에서 소화수를 공급하는 소화수관 상에는 소화수감지기(700)를 더 설치하되, 상기 소화수감지기(700)는 수화수관 내부에 노출되게 배치되고 제1,2단자(712,714)를 구비한 수감지센서(710)와; 상기 수감지센서(710)의 일단에 고정되고 씰러(726)의 개재하에 상기 수감지센서(710)를 소화수관에 외부에서 내부로 나사체결하는 고정플랜지(720)와; 상기 수감지센서(710)의 타단에 구비되고 각각 제1,2단자(712,714)와 연결된 제1,2단자연결단(722,724)과; 상기 제1,2단자연결단(722,724)에 나사체결됨과 동시에 단자간 접속이 가능하도록 제1,2단자접속단(732,734)을 구비한 체결구(730)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설비 무인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화재제어기(300)에 연결된 공동구역 컨트롤러(320)는 공동구역에 설치된 휴게쉼터(500)의 일측 포스트(510)에 구비되고, 상기 포스트(510) 한 쌍의 상단에는 차양(520)이 설치되며, 상기 차양(520)은 방수천으로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510)의 하단은 'ㄷ'형상의 착좌대(530)에 고정되며, 상기 착좌대(530)의 하부에는 바퀴가 설치되어 움직일 수 있고, 상기 차양(520)의 하면에는 다수의 가로바(540)가 설치되며, 상기 가로바(540) 상에는 요홈 형태의 레일(542)이 포함되고, 상기 레일(542)에는 LED모듈(550)이 끼워져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레일(542)의 양측면에는 각각 +접점(T1)과 -접점(T2)이 편상으로 길게 부착 고정되고, 상기 +접점(T1)과 -접점(T2)에는 전원이 연결되며, 상기 LED모듈(550)은 상기 레일(542)의 일측단면에서 측방으로 슬라이딩되게 끼워지는 모듈본체(552)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본체(552)의 하면 중심에는 LED(554)가 고정되며, 상기 모듈본체(552)의 양측면에는 각각 상기 +접점(T1)과 -접점(T2)에 접속되는 아크형상의 탄성단자(556)가 마련되고, 상기 착좌대(530)의 내부에는 소화수저장탱크(560)가 내장되며, 상기 소화수저장탱크(560)에는 공급용 소화수관(HOS)이 연결되어 포스트(510)를 타고 공급펌프(570)를 거쳐 포스트(510) 상단부에 경사 배치된 소화노즐(580)에 연결되고, 포스트(510)의 최상단에는 감시카메라(590)가 설치되어 촬영영상을 실시간 화재제어기(300)로 송출하여 화재 발생시 영상을 보고 판독한 메인서버(100)가 공동구역 컨트롤러(320)를 제어하여 공급펌프(570)를 구동시키고 소화노즐(580)을 통해 발화 주변으로 소화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화재제어기(300)에 연결된 놀이터 컨트롤러(340)는 놀이터에 설치된 가로등주(600) 상에 구비되고, 상기 가로등주(600)의 상단에는 가로등(610)이 설치되며, 상기 가로등주(600)의 내부 일측에는 소화수펌프(620)가 내장되고, 상기 가로등주(600)의 하단은 소화수탱크(630)의 상단면에 요입 형성된 고정홈(632) 상에 나사체결식으로 삽입 고정되며, 상기 소화수탱크(630)는 지중에 매립되고, 상기 소화수탱크(630)의 상면 일측에는 주입구가 마개(634)에 의해 밀폐되며, 상기 가로등주(600)의 상단부 둘레에는 분사노즐(640)이 설치되고, 상기 소화수탱크(630) 내부의 소화수를 소화수펌프(620)를 거쳐 분사노즐(640)로 공급하도록 마개(634)를 관통하여 배관된 소화수관(650)을 포함하며, 상기 가로등주(600)에는 CCTV(660)가 더 설치되어 촬상된 영상을 화재제어기(3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지붕형태로 맞대어진 스테인레스스틸 소재의 반사갓(612) 내벽면에 다수의 LED(614)를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설비 무인감시 시스템.
KR1020210053787A 2021-04-26 2021-04-26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설비 무인감시 시스템 KR102334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787A KR102334841B1 (ko) 2021-04-26 2021-04-26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설비 무인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787A KR102334841B1 (ko) 2021-04-26 2021-04-26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설비 무인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4841B1 true KR102334841B1 (ko) 2021-12-03

Family

ID=78866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787A KR102334841B1 (ko) 2021-04-26 2021-04-26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설비 무인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8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8899B1 (ko) 2022-11-14 2023-05-04 (주)천도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정보통신망 무인 감시 시스템
KR102529561B1 (ko) * 2022-03-24 2023-05-10 (주)현대이엔지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시설 감시 시스템
KR102529560B1 (ko) * 2022-03-24 2023-05-10 (주)현대이엔지 공동주택의 소방용 화재 감시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2550B1 (ko) * 2016-09-29 2017-07-27 양희준 공동주택의 화재 대피실 방화 장치
KR101836117B1 (ko) 2017-08-04 2018-03-08 (주)경문기술단 공동주택 화재 안전관리 시스템
KR101836848B1 (ko) * 2016-11-02 2018-03-09 주식회사 아이비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전기시설을 이용한 소방감지용 템퍼스위치
KR101994223B1 (ko) * 2019-01-18 2019-07-01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차열 성능을 강화한 방화셔터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2550B1 (ko) * 2016-09-29 2017-07-27 양희준 공동주택의 화재 대피실 방화 장치
KR101836848B1 (ko) * 2016-11-02 2018-03-09 주식회사 아이비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전기시설을 이용한 소방감지용 템퍼스위치
KR101836117B1 (ko) 2017-08-04 2018-03-08 (주)경문기술단 공동주택 화재 안전관리 시스템
KR101994223B1 (ko) * 2019-01-18 2019-07-01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차열 성능을 강화한 방화셔터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9561B1 (ko) * 2022-03-24 2023-05-10 (주)현대이엔지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시설 감시 시스템
KR102529560B1 (ko) * 2022-03-24 2023-05-10 (주)현대이엔지 공동주택의 소방용 화재 감시 시스템
KR102528899B1 (ko) 2022-11-14 2023-05-04 (주)천도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정보통신망 무인 감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7884B1 (ko)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무인점검 시스템
KR102336285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초기 소화시스템
KR102334841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설비 무인감시 시스템
KR102288684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화재진압 소방 자동 시스템
KR102382265B1 (ko) 공동주택 화재시 인공지능(ai)을 이용한 화재 조기진압 시스템
KR102359417B1 (ko) 공동주택의 소방 배수 관리시스템
KR102297352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설비 감시 시스템
KR102342089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화재감지 소방 시스템
CN110665159B (zh) 一种高层建筑消防系统
KR102298795B1 (ko) 공동주택의 화재위치 자동검출 시스템
KR102342092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설비 관리시스템
KR102298796B1 (ko) 공동주택의 화재장소 추적 시스템
KR20190023580A (ko) 터널 내 사고 감시, 화재 방재, 및 피난자 구제가 가능한 터널 통합 방재 시스템
KR20190024856A (ko) 터널 내 사고 감시, 화재 방재, 및 피난자 구제가 가능한 터널 통합 방재 시스템
KR102323983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 자동 제연 시스템
CN111956996B (zh) 消防系统
KR102369693B1 (ko) 공동주택의 소방 제연 자동 제어시스템
KR102301515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옥상문 자동개방 제어시스템
KR102298154B1 (ko) 공동주택의 화재 발생시 소방피난시설 시스템
KR102348673B1 (ko) 공동주택의 원격통신장치를 이용한 소방관리 시스템
KR102334812B1 (ko) 공동주택의 화재 발생시 소방 대피시스템
KR102297350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시설 통합관리 시스템
KR102371817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자동 피난 유도 시스템
KR102301505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공동현관문 제어시스템
KR102335285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안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