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9537B1 - Korean-type hypocaust system - Google Patents

Korean-type hypocaus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9537B1
KR102529537B1 KR1020220162619A KR20220162619A KR102529537B1 KR 102529537 B1 KR102529537 B1 KR 102529537B1 KR 1020220162619 A KR1020220162619 A KR 1020220162619A KR 20220162619 A KR20220162619 A KR 20220162619A KR 102529537 B1 KR102529537 B1 KR 102529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ale
heat storage
heat
induction block
f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26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기억
Original Assignee
황기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기억 filed Critical 황기억
Priority to KR1020220162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53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5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6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24D5/1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with hot air led through heat-exchange ducts in the walls,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1/00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accumulated in storage ma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2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radiators
    • F24D19/0203Types of supporting means
    • F24D19/0213Floor mounted suppor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 F24D2220/2081Floor or wall heating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orean-type hypocaust system with improved heat storage, comprising: a fire hole for burning fuel to generate heat and smoke; a plurality of flue ridges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on a flue bottom and extending long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heat; a flue partitioned by the plurality of flue ridges and providing a moving passage for the heat and the smoke generated from the fire hole; a chimney communicating with the flue to discharge the smoke to the outside; a hypocaust stone supported by the plurality of flue ridges and heated by the heat passing through the flue; and heat storage induction blocks protruding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ue ridges, wherein the heat storage induction blocks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column having a right triangle or an obtuse triangle as the base thereof and can be interposed between the flue bottom and the hypocaust stone to support the hypocaust stone.

Description

축열성을 향상시킨 구들 시스템 {Korean-type hypocaust system}Gudle system with improved heat storage {Korean-type hypocaust system}

본 발명은 구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축열성을 향상시킨 구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her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here system having improved heat storage properties.

널리 알려져 있듯이, 온돌 난방은 선조(先祖)부터 전수되어 오는 우리 나라의 전통적인 난방 방식으로서, 아궁이의 연소열을 구들장과 방바닥에 전달하는 전도(傳導), 가열된 구들장/방바닥에서 방출될 열기를 방 전체에 퍼지게 하는 복사(輻射), 방 안의 공기를 위아래로 순환시켜 실내를 훈훈하게 하는 대류(對流)를 적절하게 이용하여 방을 효과적으로 난방할 수 있다. As is widely known, ondol heating is a traditional heating method in our country that has been handed down from our ancestors. You can effectively heat a room by appropriately using radiation that spreads in the room and convection that warms the room by circulating the air in the room up and down.

재래식 구들은 일반적으로 아궁이에서 연소되어 나온 열기(熱氣)를 고래로 공급하면서 고래 위에 깔린 구들장을 가열하게 되는데, 열기의 일부는 고래를 따라 이동하여 굴뚝을 통해 외부로 연기와 함께 배출된다. Conventional bulbs generally supply heat from the furnace to the whale while heating the gutuljang laid on the whale. Some of the heat moves along the whale and is discharged with smoke to the outside through the chimney.

이러한 종래의 재래식 구들은 전술되었듯이 고래 내부로 안내된 열기의 이동 경로가 짧아 열기를 구들장에 충분히 전달하지 못하고 빠른 속도로 빠져나가 상당한 열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As described above, these conventional spheres have a problem in that the movement path of the heat guided into the whale is short, so that the heat is not sufficiently transferred to the sphere and escapes at a high speed, resulting in significant heat loss.

특허문헌 1과 같이 구들의 열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방)고래는 지그재그 혹은 'ㄹ'자 형태로 형성되어 사행(蛇行) 유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는 열기 및/또는 연기의 유로 방향을 변경하는 부분에서 와류를 형성하여 유체의 정체와 함께 열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In order to increase the thermal efficiency of spheres as in Patent Document 1, (bang) whales are formed in a zigzag or 'ㄹ' shape to provide a meandering passage. This forms a vortex at the part where the flow direction of heat and/or smoke is changed, resulting in fluid stagnation and poor heat transfer.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0802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000802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고래둑의 측면에 배치된 축열 유도블록을 수단으로 하여 열기의 흐름을 완만한 유도하면서 열기를 축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ims to accumulate heat while inducing a gentle flow of heat by means of a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disposed on the side of a whalebank.

덧붙여서, 본 발명은 구들장을 향해 열기의 흐름을 상향 유도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축열 확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reliably spread heat storage by inducing a flow of heat upward toward the gudeulja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축열성을 향상시킨 구들 시스템은 연료를 연소시켜 열기와 연기를 발생시키는 아궁이와; 고래바닥 상에 상호 이격 배치되고 열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뻗은 다수의 고래둑; 다수의 고래둑으로 구획되어 아궁이에서 발생된 열기와 연기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고래; 고래와 연통되어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굴뚝; 다수의 고래둑으로 지지되고, 고래를 통과하는 열기로 가열되는 구들장; 및 고래둑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축열 유도블록;을 포함하는데,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urnace system with improved heat storag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heat and smoke by burning fuel; A plurality of whale bank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bottom of the whale and extending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heat; A whale that is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whale banks and provides a passage for heat and smoke generated in the furnace; A chimney that communicates with the whale and discharges smoke to the outside; Gudeuljang supported by a number of whale banks and heated by heat passing through the whale; And a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protruding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halebank;

여기서, 축열 유도블록은 직각삼각형 혹은 둔각삼각형을 밑면으로 하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구들장을 지지할 수 있도록 고래바닥과 구들장 사이에 개재되되, 고래를 경유하는 열기의 흐름을 구들장과 고래의 내부를 향해 유도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상향 만곡면을 갖춘 전면과; 고래둑과의 사잇각을 둔각으로 설정하고 고래의 하류측에 대향하는 후면; 고래둑의 측면과 대면하게 배치되는 대향면; 및 축열 유도블록 내부에 밀폐 수용된 축열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olumn with a right triangle or an obtuse triangle as the bottom,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bottom of the whale and the Gudeuljang to support the Gudeuljang, and the flow of heat passing through the whale is directed toward the Gudeuljang and the inside of the whale. a front surface having an upwardly curved surface concavely formed to be induced; a rear surface facing the downstream side of the whale with an obtuse angle set between it and the whalebank; an opposing face disposed facing the side of the whalebank; and a heat storage material hermetically accommodated inside the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축열 유도블록은 상향 만곡면에 다수의 돌출핀을 돌출 형성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may protrude a plurality of protruding pins on an upwardly curved surface.

또한, 돌출핀은 축열 유도블록의 내부에 수용된 축열재까지 길이연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protruding pin may be extended to the heat storage material accommodated inside the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선택가능하기로, 돌출핀은 열전도성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Optionally, the protruding fins may be made of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은 축열 유도블록을 고래둑의 하류측 측면에 배치할 수 있다. Preferab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may be dispos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whalebank.

덧붙여서, 본 발명은 축열 유도블록을 고래의 하류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교호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at storage induction blocks may be alternately protru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downstream side of the whale.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구들장에 열기를 고루게 전도하는 한편 구들 내부에서 장시간 체류시켜 축열 효율을 높여 구들을 장시간 따듯하게 유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keep the spheres warm for a long time by increasing the heat storage efficiency by evenly conducting heat in the spheres and staying inside the spheres for a long time.

더욱이, 본 발명은 고래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교호적으로 돌출 형성된 축열 유도블록을 통해 열기와의 접촉 표면적을 넓혀 축열 효율을 높이면서 열기와 연기의 흐름이 정체없이 원활한 이동을 보장할 수 있다.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at storage efficiency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contact surface area with hot air through heat storage induction blocks formed alternately protruding along the length of the whale, while ensuring smooth flow of hot air and smoke without stagnation.

또한, 본 발명은 아궁이에서 멀리 떨어진 윗목에 축열 유도블록을 배치하여 윗목과 아랫목의 온도 차이를 최소화하여 난방을 오랜 시간 지속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heating can be continued for a long time by minimiz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necks by disposing the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on the upper neck far from the furnace.

본 발명은 종래의 구들 시스템에 구조적 변경없이도 고래둑의 측면에 삼각기둥 형상의 축열 유도블록을 배치함으로써 열손실을 줄이고 축열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heat loss and implement a heat storage function by arranging a triangular columnar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on the side of the whalebank without structural changes to the conventional sphere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열성을 향상시킨 구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열성을 향상시킨 구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로서, 고래의 배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축열성을 향상시킨 구들 시스템에 적용된 축열 유도블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축열성을 향상시킨 구들 시스템에 적용된 축열 유도블록의 다른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phere system with improved heat st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phere system with improved heat st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whales.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applied to the sphere system having improved heat st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applied to the sphere system having improved heat st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example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n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ber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and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some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구들은 아궁이에서 발생된 열기와 연기를 다수의 고래둑 사이에 형성된 다수의 고래를 통해 굴뚝으로 배기하는 것으로, 고래둑의 상측에 안착되고 고래를 통과하는 열기를 전달받아 구들장을 달구어 방을 따듯하게 데울 수 있다. 이러한 구들은 아궁이로부터 고래를 통해 굴뚝으로 열기를 쉽게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인해 열손실이 상당한 문제를 갖는다. Gudeul exhausts the heat and smoke generated from the furnace to the chimney through a plurality of whales formed between a plurality of whalebanks. there is. These spheres have a considerable heat loss problem due to the structure that can easily discharge heat from the furnace through the whale to the chimney.

이에, 구들장에 열기를 골고루 전달하면서 장시간 따듯하게 유지할 수 있는 개량된 구들이 필요하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improved spheres that can keep warm for a long time while evenly transferring heat to the sphe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축열성을 향상시킨 구들 시스템(이하 구들 시스템)은 축열 유도블록을 수단으로 하여 열기의 체류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기를 고르게 축열 확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sphere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phere system) with improved heat storag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not only extend the residence time of hot air by means of a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but also to evenly heat and spread the heat. .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구들 시스템은 아궁이(110)에서 생성된 열기와 연기를 다수의 고래둑(130) 사이로 형성된 다수의 고래(140)를 지나 굴뚝(16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데, 고래(140) 상측에 배치되어 고래를 경유하는 열기를 방바닥에 전달하는 구들장(170)을 포함한다. 1 to 3, the spher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asses the heat and smoke generated in the furnace 110 through a plurality of whales 140 formed between a plurality of whale banks 130 and passes through the chimney 160 to the outside. It is discharged to, and includes a gudeuljang 170 that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whale 140 and transmits heat passing through the whale to the floor of the room.

한편, 도면 상에 표기된 일점쇄선 화살표는 열기(와 연기)의 이동 경로를 의미한다. On the other hand, the one-dot chain arrow marked on the drawing means the movement path of hot air (and smoke).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듯이, 아궁이(110)는 장작, 석탄, 숯 등의 다양한 연료의 연소를 통해 열기(혹은 화열(火熱))를 발생시켜 고래(140)로 공급한다. 본 발명에 개시된 아궁이는 벽체(W) 내부에 연소 공간을 제공하는 함실식 아궁이일 수 있으며, 아궁이의 상부에 가마솥 등의 조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As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furnace 110 generates heat (or fire heat) through combustion of various fuels such as firewood, coal, and charcoal, and supplies it to the whale 140. The furnace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hamber type furnace that provides a combustion space inside the wall (W), and a cooking space such as a cauldron can be secured at the top of the furnace.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구들 시스템은 아궁이(110)에서 고래(140)를 향해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불목(120)을 배치하여 아궁기(110)에서 발생된 열기를 후술하는 여러 갈래의 고래(140)로 잘 빨려들어가면서 고르게 분배하여 공급할 수 있다. 도시되었듯이, 불목(120)은 아궁이(110)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불목 위에 위치된 방바닥(아랫목)은 매우 뜨거울 수 있으며 아궁이에서 멀리 떨어진 굴뚝 쪽에 위치된 방바닥(윗목)은 아랫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지근하게 가열될 수 있다. Moreover, the gudeu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ranges the firewood 120 formed obliquely upward toward the whale 140 in the furnace 110 to heat generated in the furnace 110, several whales 140 to be described later It can be supplied by being absorbed well and evenly distributed. As shown, since the fire wood 12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urnace 110, the floor (lower wood) located above the fire wood can be very hot, and the floor (upper wood) located on the side of the chimney farther from the fire wood is relatively It can be warmed to lukewarm.

다수의 고래(140)는 불목(120)으로부터 안내된 열기를 연도(150)로 빠져나가도록 돕는 이동 통로로서, 고래를 통과하는 열기에 의해 구들장(170)을 가열하여 방바닥을 데울 수 있다. 고래는 고래바닥(B)으로 지지되어 기립되어 있는 다수의 고래둑(130)으로 열기를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획된다. 고래둑(130)은 고래바닥(B) 위에 일정한 높이로 예컨대 벽돌, 흙 등으로 쌓아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래바닥은 고래의 바닥면으로 벽체 사이에 흙 또는 황토로 채워져 방의 기본적인 높이를 형성하게 된다. A plurality of whales 140 are moving passages that help to escape the heat guided from the firewood 120 to the flue 150, and the floor of the room can be heated by heating the Gudeuljang 170 by the heat passing through the whale. The whale is partitioned so that heat can be moved in a certain direction to a plurality of whale banks 130 supported by the whale bottom (B) and standing upright. The whale bank 130 may be formed by stacking, for example, bricks, soil, etc. at a certain height on the whale bottom (B). Here, the whale bottom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whale and is filled with soil or ocher between the walls to form the basic height of the room.

다수의 고래둑(130)은 열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아궁이(110)와 연도(150) 사이를 가로질러 길이 연장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 배치되며, 벽체(W)의 내측면에 비접촉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 고래둑(130)과 이에 인접한 타 고래둑(130) 사이에 고래(140)를 형성하며 고래둑 상에 구들장(170)을 얹어 놓는다. 다시 말하자면, 고래(140)는 열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고래바닥(B)과 구들장(170) 및 고래둑(130)으로 한정된 중공 형태를 갖는다. The plurality of whale banks 130 extend in length across the furnace 110 and the flue 150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he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may not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W. there is. A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whale 140 between one whale bank 130 and another whale bank 130 adjacent thereto, and puts a gudeuljang 170 on the whale bank. In other words, the whale 140 has a hollow shape limited to the whale bottom B, the gudeuljang 170, and the whale bank 130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heat.

또한, 굴뚝(160)은 연도(150)에 의해 고래(140)와 연통되되, 열기와 함께 탄화에 의해 형성된 연기를 배출하는 구성부재이다. In addition, the chimney 160 communicates with the whale 140 by way of the flue 150, and is a component that discharges smoke formed by carbonization together with heat.

구들장(170)은 얇고 넓은 돌판일 수 있으며, 앞서 기술되었듯이 고래둑(130) 상에 안착되어 설치된다. 아궁이(110)에서 발생된 열기가 고래(140)를 통과하면서 구들장(170)에 열을 전도되어 장시간 축적된다. 구들장에 축적된 열은 방바닥으로 전달되어 실내 난방을 구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구들장(170) 위에 소정의 두께로 방바닥(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Gudeuljang 170 may be a thin and wide stone plate, and as described above, it is seated and installed on the whale bank 130. While the heat generated in the furnace 110 passes through the whale 140, the heat is conducted to the gudeuljang 170 and accumulated for a long time. The heat accumulated in the Gudeuljang can be transferred to the floor of the room to realize indoor heating. In the present invention, a room floor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Gudeuljang 170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더욱이, 본 발명은 열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불목에서 연도로 갈수록 구들장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연도 부근의 구들장과 아궁이 부근에 구들장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도록 한다. Moreover,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thin thickness of the gudeuljang from the firewood to the flue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hot air so that the gudeuljang near the flue and the gudeuljang near the furnace can be heated uniformly as a whole.

특별하기로, 본 발명에 따른 구들 시스템은 고래둑(130)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축열 유도블록(180)을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spher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180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whale bank 130.

축열 유도블록(180)은 열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고래둑(130)의 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되, 바람직하기로는 고래를 구획하기 위해 상호 대향하는 고래둑의 두 측면에서 서로 접촉되지 않고 교호(交互)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축열 유도블록(180)은 고래둑(130)의 하류측 측면에 배치하여 윗목 근방에서 열기의 흐름을 지연시킬 수 있다.The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180 protrudes from the side of the whale bank 130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heat, preferably alternately without contacting each other on the two sides of the whale bank facing each other to partition the whale. protrusions can be formed. Preferably, the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180 is dispos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whale bank 130 to delay the flow of heat in the vicinity of the upper neck.

특히, 아궁이(110)와 연도(150)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 형성된 고래(140)에 흐르는 열기는 아궁이(110)와 연도(150)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의 양측에 위치한 고래(140)에 비해 그 이동경로가 짧고, 흐름 속도도 빨라 열기가 구들장에 충분히 전달하지 못하고 빠른 속도로 연도(150)로 빠져나가 상당한 열손실이 발생하게 되므로 아궁이(110)와 연도(150)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 형성된 고래(140)의 고래둑(130)에 축열 유도블록(180)을 형성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heat flowing through the whale 140 fo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urnace 110 and the flue 150 face each other is higher than that of the whale 140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furnace 110 and the flue 150 face each other. The movement path is short and the flow rate is fast, so the heat cannot be sufficiently transferred to the furnace and escapes to the flue 150 at high speed, resulting in significant heat loss. A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180 may be formed on the whale bank 130 of the formed whale 140.

고래(140)의 내부 중공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축열 유도블록(180)을 지그재그 형태로 교차되게 배치함으로써, 열기는 축열 유도블록(180)의 전면(181)에 부딪히면서 와류 혹은 난류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고래 내에서의 체류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어 구들장에 열전달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By arranging the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180 in a zigzag patter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inner hollow of the whale 140, the hot air strikes the front surface 181 of the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180 and causes a vortex or turbulent flow, thereby causing the whale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residence time in the inside, so that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can be increased.

더욱 바람직하기로, 축열 유도블록(180)은 직각삼각형 혹은 둔각삼각형을 밑면으로 하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고래(140)의 상류측에 대향하는 전면(181)과, 고래(140)의 하류측에 대향하는 후면(182), 및 고래둑(130)의 측면과 대면하게 배치되는 대향면(183)을 포함한다. 여기서, 대향면(183)은 밑면의 빗변에 대응하는 일측면으로 고래둑(130)의 측면에 대면 접촉하게 배치되되, 바람직하기로 대향면과 고래둑의 측면을 일체로 결합 배치될 수도 있다.More preferably, the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18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olumn having a right triangle or an obtuse triangle as a base, and a front face 181 facing the upstream side of the whale 140 and the downstream side of the whale 140. It includes a rear surface 182 facing the , and a facing surface 183 disposed to face the side of the whalebank 130 . Here, the facing surface 183 is disposed in face-to-fac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whale bank 130 as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 hypotenuse of the bottom surface, but preferably, the opposite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whale bank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덧붙여서, 축열 유도블록(180)은 고래둑(130)의 높이와 상응하는 높이 크기를 갖춰 고래바닥(B)에 대해 구들장(170)의 저면을 접촉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180 is provided with a height size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whale bank 130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Gudeuljang 170 can be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whale bottom (B).

이로써, 본 발명은 축열 유도블록(180)에 의해 고래(140)의 내부 중공에서 열기의 사행 유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바, 전술된 바와 같이 열기의 체류시간 뿐만 아니라 열기와의 접촉기회를 향상시켜 열손실을 줄여 열효율성을 높이는 한편 축열 효과를 높여 구들장을 오랜 시간 따듯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rovide a meandering passage of heat in the inner hollow of the whale 140 by the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180, as described above, by improving the residence time of the heat as well as the opportunity to contact the heat It can reduce heat loss, increase thermal efficiency, and increase heat storage effect to keep the Gudeuljang warm for a long time.

특허문헌 1과 같이, 종래의 구들은 열기의 체류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해 지그재그 형태로 고래를 형성하도록 가이드둑과 확산둑을 'ㄹ'자 형상의 절곡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가이드둑과 가이드둑 사이로 열기를 빠르게 이송시켜 방바닥에 열전도 효율을 높이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하지만, 열기가 지그재그 형태의 고래를 이동하는 동안에 고래둑의 구석 부위에 구속 와류를 형성하고 재(이물질)가 적층되어 고화되는 문제를 갖는다. As in Patent Document 1, the conventional spheres are made of a 'D'-shaped bending structure of the guide dam and the diffusion dam to form a zigzag whale in order to extend the residence time of the heat, which is between the guide dam and the guide dam. The focus is on increasing the heat conduction efficiency on the floor by rapidly transporting heat. However, while the hot air moves the zigzag whale, confinement vortices are formed at the corners of the whalebank, and ashes (foreign matter) are stacked and solidified.

이에,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고래둑(130)과 축열 유도블록(180)의 후면(182) 사이의 사잇각(θ)을 둔각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후면(182)과 고래둑(130) 사이에서 열기의 급격한 유로 변경을 미연에 방지하여 열기의 흐름을 완만하게 유도하여 구속 와류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후면과 고래둑의 교차되는 구석 부위에 이물질의 적층을 최소화하여 구들장과 고래둑에 열전달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물론, 축열 유도블록은 전면과 고래둑의 교차 부위에서도 열기를 고립 혹은 정체시키지 않고 원활하게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 특성은 연기를 굴뚝으로 확실하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돕는다. Therefore, 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ngle θ between the whale bank 130 and the rear surface 182 of the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180 is set to an obtuse angle, the opening between the rear surface 182 and the whale bank 130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confinement vortex by gently inducing the flow of heat by preventing rapid change of the flow path in advance, and to improve the heat transfer effect in the gutuljang and whalebank by minimizing the accumulation of foreign substances at the corner where the rear and whalebank intersect. can Of course, the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can induce the flow smoothly without isolating or stagnating the heat even at the intersection of the front and whalebanks. This structural feature helps ensure the escape of smoke through the chimney.

또한, 축열 유도블록(18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열기와 부딪히는 전면(181)에 오목하게 형성된 상향 만곡면(181a)을 구비한다. 다시 말하자면, 상향 만곡면(181a)은 축열 유도블록의 전면 하부에서 상부로 상향 만곡되게 경사져 있다. In addition, as shown, the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180 has an upwardly curved surface 181a concavely formed on the front surface 181 that encounters heat. In other words, the upwardly curved surface 181a is inclined to be upwardly curv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to the upper part.

상향 만곡면(181a)은 전술되었듯이 축열 유도블록(180)의 전면(181)에 슬로프(slope)를 주어 구들장(170)을 향해 열기의 자연스로운 흐름을 유도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는 축열 유도블록(180)의 전면에 부딪히는 열기의 진행방향을 상승 이동시키면서 고래의 중심을 향해 대향 배치된 타 고래둑으로 방향 전환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축열 유도블록(180)의 상향 만곡면(181a)에 의해 열기의 일부 흐름을 구들장의 저면에서 지연시켜 열전달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한편 열기를 정체없이 상호 대향하는 고래둑의 두 측면 사이에서 지그재그 방식으로 원활하게 우회시켜 가급적 넓은 면적에 열을 전달하거나 축열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upwardly curved surface 181a provides a structure capable of inducing a natural flow of heat toward the ball field 170 by giving a slope to the front surface 181 of the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180. This can change the direction of the hot air that hits the front of the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180 to another whale bank disposed opposite to the center of the whale while moving upward.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heat transfer by delaying some of the flow of heat from the bottom of the field by the upwardly curved surface 181a of the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180, while the two sides of the whale bank facing each other without stagnation of heat It is possible to transfer or store heat in a wide area as much as possible by smoothly detouring in a zigzag manner.

본 발명에서, 아궁이에서 발생된 열기는 고래(140)를 둘러싸는 고래둑(130), 구들장(170) 그리고 축열 유도블록(180)에 축열 확산되어 방바닥의 전체에 균일하게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축열 효율을 높여 구들을 장시간 따듯하게 유지하도록 축열 유도블록(180)에 열기를 축적할 수 있는 축열재(184)를 포함할 수 있다. 축열 유도블록(180)은 이의 내부에 축열재(184)를 밀폐 수용하는 수용공간(참조부호 없음)을 형성한다. 축열재(184)는 규사, 맥반석, 백반석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단독 혹은 혼합하여 입상 상태로 축열 유도블록의 수용공간에 충진될 수 있다. 축열재는 고래를 통과하는 열기로부터 열을 축적하여 오랫동안 저장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generated in the furnace is heat-storage and diffused to the whale bank 130, the ball field 170, and the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180 surrounding the whale 140, so that heat can be transferred uniformly to the entire floor of the room.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eat storage material 184 capable of accumulating heat in the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180 to keep the spheres warm for a long time by increasing heat storage efficiency. The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180 forms an accommodation space (no reference numeral) for sealingly accommodating the heat storage material 184 therein. The heat storage material 184 may be fill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in a granular state with at least one selected from silica sand, elvan stone, and alum stone alone or mixed. The thermal storage material can accumulate heat from the heat passing through the whale and store it for a long tim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들 시스템에 적용된 축열 유도블록의 다른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축열 유도블록은 도 3에 도시된 축열 유도블록의 변형예로서, 축열 유도블록의 전면 구조를 제외하고는 매우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명료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 배제할 것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applied to the spher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shown in FIG. 4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shown in FIG. 3 and has a very similar structure except for the front structure of the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Or a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excluded here.

앞서 기술되었듯이, 축열 유도블록(180)은 직각삼각형(혹은 둔각 삼각형)을 밑면으로 하는 삼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래의 상류측에 대향하는 전면(181)과, 고래의 하류측에 대향하는 후면(182), 및 고래둑(130)의 측면과 대면하게 배치되는 대향면(183)을 포함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18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riangular prism having a right triangle (or obtuse triangle) as its base, and as shown in FIG. 1, the front face 181 facing the upstream side of the whale, It includes a rear surface 182 facing the downstream side of the whale, and an opposing surface 183 disposed facing the side of the whalebank 130.

더욱이, 축열 유도블록(180)은 전면(181) 상에, 바람직하기로는 오목하게 형성된 상향 만곡면(181a) 상에 다수의 돌출핀(185)을 돌출 형성할 수 있다. 돌출핀은 축열 유도블록의 전면, 바람직하기로는 상향 만곡면에 부딪히는 열기에 와류 혹은 난류를 생성하여 축열 유도블록의 전면에서 열기의 흐름을 지연시킬 수 있다.Furthermore, the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180 may protrude a plurality of protruding pins 185 on the front surface 181, preferably on the concave upwardly curved surface 181a. The protruding fins can generate vortices or turbulences in the hot air that hits the front surface of the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preferably an upwardly curved surface, thereby delaying the flow of hot air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선택가능하기로, 돌출핀(185)은 축열 유도블록(180)의 수용공간까지 길이연장되어 수용공간 내에 충진된 축열재에 빠르게 열을 전달하여 축열 효율을 시킬 수있다. 이에, 돌출핀은 열전도성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Optionally, the protruding pin 185 extends to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180 and quickly transfers heat to the heat storage material fi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o increase heat storage efficiency.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ding pin is made of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이상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축열성을 향상시킨 구들 시스템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amples, this i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sphere system with improved heat st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hat the modific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arified by the appended claims.

110 ----- 아궁이,
120 ----- 불목,
130 ----- 고래둑,
140 ----- 고래,
150 ----- 연도,
160 ----- 굴뚝,
170 ----- 구들장,
180 ----- 축열 유도블록,
B ----- 고래바닥,
W ----- 벽체.
110 ----- Furnace,
120 ----- Discord,
130 ----- Whalebank,
140 ----- Whale,
150 ----- year,
160 ----- Chimney,
170 ----- Gudeuljang,
180 -----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B ----- whale bottom,
W ----- Wall.

Claims (6)

연료를 연소시켜 열기와 연기를 발생시키는 아궁이(110)와;
고래바닥(B) 상에 상호 이격 배치되고 열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뻗은 다수의 고래둑(130);
상기 다수의 고래둑(130)으로 구획되어 상기 아궁이(110)에서 발생된 열기와 연기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고래(140);
상기 고래(140)와 연통되어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굴뚝(160);
상기 다수의 고래둑(130)으로 지지되고, 상기 고래(140)를 통과하는 열기로 가열되는 구들장(170); 및
상기 고래둑(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축열 유도블록(180);을 포함하는데,
상기 축열 유도블록(180)은 직각삼각형 혹은 둔각삼각형을 밑면으로 하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들장(170)을 지지할 수 있도록 고래바닥(B)과 상기 구들장(170)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고래(140)를 경유하는 열기의 흐름을 상기 구들장(170)과 상기 고래(140)의 내부를 향해 유도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상향 만곡면(181a)을 갖춘 전면(181)과;
상기 고래둑(130)과의 사이각(θ)을 둔각으로 설정하고 상기 고래(140)의 하류측에 대향하는 후면(182);
상기 고래둑(130)의 측면과 대면하게 배치되는 대향면(183); 및
상기 축열 유도블록 내부에 밀폐 수용된 축열재(184);를 구비하고, 상기 축열 유도블록(180)은 상기 상향 만곡면(181a) 상에 다수의 돌출핀(185)을 돌출 형성하되, 상기 돌출핀(185)은 열전도성 소재로 제작되는, 축열성을 향상시킨 구들 시스템.
A furnace 110 that burns fuel to generate heat and smoke;
A plurality of whale banks (13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whale bottom (B) and elongated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heat;
whales 140 partitioned into the plurality of whale banks 130 to provide passages for heat and smoke generated in the furnace 110;
A chimney 160 communicating with the whale 140 and discharging smoke to the outside;
Gudeuljang 170 supported by the plurality of whale banks 130 and heated by heat passing through the whale 140; and
It includes;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180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hale bank 130,
The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180 is formed in a column shape having a right triangle or an obtuse triangle as a bottom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bottom of the whale (B) and the Gudeuljang 170 to support the Gudeuljang 170,
a front surface 181 having an upwardly curved surface 181a concavely formed to guide the flow of heat passing through the whale 140 toward the inside of the Gudeuljang 170 and the whale 140;
a rear surface 182 facing the downstream side of the whale 140 and setting an angle θ between the whale bank 130 as an obtuse angle;
an opposing surface 183 disposed to face the side of the whale bank 130; and
and a heat storage material 184 hermetically accommodated inside the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wherein the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180 protrudes a plurality of protruding pins 185 on the upwardly curved surface 181a, the protruding pins (185) is a ball system with improved heat storage, made of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핀(185)은 상기 축열 유도블록(180)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축열재(184)까지 길이연장되는, 축열성을 향상시킨 구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truding pin 185 extends to the heat storage material 184 accommodated inside the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180, the sphere system with improved heat storag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열 유도블록(180)은 상기 고래둑(130)의 하류측 측면에 배치되는, 축열성을 향상시킨 구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180 is dispos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whale bank 130, the sphere system with improved heat storag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열 유도블록(180)은 상기 고래(140)의 하류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교호(交互)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축열성을 향상시킨 구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t storage induction block 180 is formed to protrude alternate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downstream side of the whale 140, the sphere system with improved heat storage.
KR1020220162619A 2022-11-29 2022-11-29 Korean-type hypocaust system KR1025295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2619A KR102529537B1 (en) 2022-11-29 2022-11-29 Korean-type hypocaus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2619A KR102529537B1 (en) 2022-11-29 2022-11-29 Korean-type hypocaus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9537B1 true KR102529537B1 (en) 2023-05-04

Family

ID=86379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2619A KR102529537B1 (en) 2022-11-29 2022-11-29 Korean-type hypocaus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53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6428A (en) * 2007-09-10 2009-03-13 이화종 Gudul : thermal conductive tunnel in the floor-heating system
KR101000802B1 (en) 2010-08-03 2010-12-13 김재명 Korean floor heating system
KR101689232B1 (en) * 2016-04-20 2017-01-02 이창민 Removable floor heating system using korean hypocaust
KR101917982B1 (en) * 2018-04-02 2018-11-13 문재남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with three heat flow line of Aja-Gora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6428A (en) * 2007-09-10 2009-03-13 이화종 Gudul : thermal conductive tunnel in the floor-heating system
KR101000802B1 (en) 2010-08-03 2010-12-13 김재명 Korean floor heating system
KR101689232B1 (en) * 2016-04-20 2017-01-02 이창민 Removable floor heating system using korean hypocaust
KR101917982B1 (en) * 2018-04-02 2018-11-13 문재남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with three heat flow line of Aja-Gora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61189A (en) Vortical flowaerothermodynamic heat exchanger
ES2689119T3 (en) Heat exchanger
KR20190138555A (en) Condensing boiler
US4413590A (en) Boiler for a heating system
KR102529537B1 (en) Korean-type hypocaust system
CN1618297A (en) Barbecue grill with enlarged firebox
KR20190138585A (en) Heat exchange pipe, heat exchanger unit using the same and condensing boiler using the same
KR101257738B1 (en) Structure of heat-storing plate of ondol
JP4167773B2 (en) Liquid heating device
KR102529531B1 (en) Korean-type hypocaust system
KR101390042B1 (en) Stove with a high-energy efficiency
KR101577813B1 (en) heating apparatus having fireplace and hypocaust heating
US3492986A (en) Directional beamed radiant heaters
KR20210006859A (en) A firewood boiler with rhombus-shaped heat sink to prevent fire
KR102642538B1 (en) High Performance High Efficiency Boiler
US7669535B2 (en) Boiler gas flow distribution fin apparatus and method
JP2000018729A (en) Heat exchanger with heat transfer fin
KR102641390B1 (en) Heat exchanger unit
KR820000558Y1 (en) Hot water boiler
FI105948B (en) Charging fireplace
FI81717C (en) BASTUUGN.
JP2528711B2 (en) Double bed fluidized bed boiler
US3070076A (en) Heating boiler
US2983235A (en) Furnace baffle
WO2012173363A2 (en) Firewood combustion device, and hot air blower and hot water boiler apparatus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