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9437B1 - Online audit method and system for education facility safty certification - Google Patents

Online audit method and system for education facility safty certif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9437B1
KR102529437B1 KR1020230006814A KR20230006814A KR102529437B1 KR 102529437 B1 KR102529437 B1 KR 102529437B1 KR 1020230006814 A KR1020230006814 A KR 1020230006814A KR 20230006814 A KR20230006814 A KR 20230006814A KR 102529437 B1 KR102529437 B1 KR 102529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evaluation
specific
information
p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68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맹준호
김성중
박영빈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 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 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filed Critical 사단법인 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Priority to KR1020230006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43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4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육시설안전 인증 온라인 심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교육시설안전 인증 온라인 심사 방법은, 특정 교육시설로부터 자체 평가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자체 평가서에 포함된 건물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교육시설을 이루는 공간에 대한 평가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평가 페이지가, 상기 공간에 대한 심사를 수행하는 심사위원의 심사위원 전자기기에 표시되도록, 상기 평가 페이지를 상기 심사위원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심사위원 전자기기를 통해 입력된 상기 공간에 대한 평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교육시설에 대한 인증 심사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평가 페이지는, 상기 공간의 공간 타입에 매칭된 인증 심사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online examination method and system. Generating an evaluation page for a space constituting an educational facility, transmitting the evaluation page to an electronic device of an examiner so that the evaluation page is displayed on an electronic device of an examiner performing an evaluation of the space Step, receiving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space input through the judges' electronic device, and generating a certification review report for the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based on the evaluation information, wherein the evaluation page , may include authentication screening items matched to the space type of the space.

Figure R1020230006814
Figure R1020230006814

Description

교육시설안전 인증 온라인 심사 방법 및 시스템{ONLINE AUDIT METHOD AND SYSTEM FOR EDUCATION FACILITY SAFTY CERTIFICATION}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online screening method and system {ONLINE AUDIT METHOD AND SYSTEM FOR EDUCATION FACILITY SAFTY CERTIFICATION}

본 발명은, 교육시설안전 인증을 위한 취득을 위해 현장 심사와 연계하여 수행하기 위한 교육시설안전 인증 온라인 심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online examin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an on-site examination for acquisition of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전자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자동화 기기 등)의 보급이 대중화되었으며, 이에 따라 일상생활의 많은 부분에서 전자기기에 대한 의존도가 점차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As technology develops, the spread of electronic devices (eg, smart phones, tablet PCs, automated devices, etc.) has become popular, and accordingly, dependence on electronic devices is gradually increasing in many parts of daily life.

나아가, 전자기기의 대중화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의 발전을 촉진시켰으며, 이를 통해,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던 다양한 행위는, 점차적으로 온라인(on-line)으로 옮겨가고 있는 실정이다.Furthermore, the popularization of electronic devices has promoted the development of services based on the Internet, and through this, various activities performed offline are gradually moving to online (on-line).

특히, 스마트폰, 태블릿 PC의 발전 및 보급화에 따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업무의 수행을 돕는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으며, 그 활용도 또한 매우 높아지고 있다.In particular, with the development and popularization of smart phones and tablet PCs, services that help perform tasks are being developed regardless of location, and their utilization is also very high.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20-0049420호(건물 안전상태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는, 센서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그룹의 전자기기 마다에 서로 다른 건물 안전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49420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building safety status information) discloses a technology for providing different building safety status information to electronic devices of a user group based on sensor values.

이러한 추세에 따라, 사용자가 소유한 전자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를 이용하여, 교육시설안전 인증 심사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진행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In accordance with this trend, the need for a system that can systematically proceed and manage the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examination process using electronic devices (eg, smart phone, tablet PC) owned by the user is gradually increasing. .

따라서 본 발명은,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교육시설안전 인증 심사 프로세스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교육시설안전 인증 취득을 위한 온라인 심사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online screening method and system for acquiring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that can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proceed with the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screening process using electronic devices.

본 발명은, 온라인을 기반으로 교육시설안전 인증 심사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는 온라인 심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line screening method and system capable of conducting an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screening process based on online.

특히, 본 발명은 교육시설 에 대한 현장 심사와 연계하여 교육시설안전 인증 심사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는 온라인 심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line examination method and system capable of conducting an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examination process in connection with an on-site examinat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위에서 살펴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육시설안전 인증 온라인 심사 방법은, 특정 교육시설로부터 자체 평가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자체 평가서에 포함된 건물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교육시설을 이루는 공간에 대한 평가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평가 페이지가, 상기 공간에 대한 심사를 수행하는 심사위원의 심사위원 전자기기에 표시되도록, 상기 평가 페이지를 상기 심사위원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심사위원 전자기기를 통해 입력된 상기 공간에 대한 평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교육시설에 대한 인증 심사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평가 페이지는, 상기 공간의 공간 타입에 매칭된 인증 심사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iscussed above. An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online examin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a self-evaluation from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generating an evaluation page for a space constituting the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based on the build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lf-evaluation transmitting the evaluation page to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judge so that the evaluation page is displayed on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judge of the judge performing the evaluation of the space; Receiving evaluation information about a space and generating a certification review report for the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based on the evaluation information, wherein the evaluation page includes certification review items matched to the space type of the space. can include

나아가, 상기 건물 정보에는, 상기 교육시설을 이루는 복수의 공간 각각이 위치하는 건물의 건물명 정보, 층(floor) 정보 및 상기 공간 타입에 대한 공간 타입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평가 페이지는,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에 대해 생성될 수 있다. Furthermore, the building information includes building name information, floor information, and space type information for the space type of a building in which each of a plurality of spaces constituting the educational facility is located, and the evaluation page includes the plurality of spaces. Can be created for each space.

나아가, 상기 복수의 공간은, 제1 타입의 공간 및 상기 제1 타입의 공간과는 다른 제2 타입의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타입의 공간에 대한 평가 페이지와 상기 제2 타입의 공간에 대한 평가 페이지에는, 서로 다른 인증 심사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Furthermore, the plurality of spaces include a first type of space and a second type of space different from the first type of space, and an evaluation page for the first type of space and the second type of space are provided. On the evaluation page, different certification evaluation items may be included.

나아가, 상기 제1 타입의 공간은 복도이고, 상기 제2 타입의 공간은 교실인 경우, 상기 제1 타입의 공간에 대한 평가 페이지에는 복도 공간의 너비, 건물 이용자의 이동과 관련된 상기 인증 심사 항목이 포함되고, 상기 제2 타입의 공간에 대한 평가 페이지에는 출입문 손끼임 방지 장치 설치, 공간 내 사고 예방 구조물 설치 및 사고 발생시 응급 대응사항인 소화활동 관련된 상기 인증 심사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Furthermore, when the first type of space is a hallway and the second type of space is a classroom, the evaluation page for the first type of space includes the authentication screening items related to the width of the corridor space and the movement of building users. In addition, the evaluation page for the second type of space may include the certification examination items related to the installation of a hand-trap prevention device at the door, the installation of an accident prevention structure in the space, and firefighting activities, which are emergency response items in the event of an accident.

나아가, 상기 자체 평가서에는, 상기 특정 교육시설에 대한 현장 심사 선호 날짜와 관련된 일정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일정 정보 및 상기 공간 타입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심사위원을 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self-evaluation includes schedule information related to a preferred date for on-site screening for the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and assigns at least one judge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paces based on the schedule information and the space type information. An allocating step may be further included.

나아가, 상기 공간에 대한 평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심사위원이 배정된 배정 공간에 대한 평가 페이지에서 상기 인증 심사 항목에 대응되는 복수의 평가 항목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평가 항목을 상기 배정 공간에 대한 상기 평가 정보로서 수신할 수 있다. Furthermore, in the step of receiving the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space, based on selection of one of a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corresponding to the certification evaluation items on the evaluation page for the assigned space to which the judges are assigned, the selected An evaluation item may be received as the evaluation information for the assigned space.

나아가, 상기 배정 공간에 대한 평가 페이지에는, 상기 배정 공간과는 다른 공간에 매칭된 평가 정보를 호출하는 기능에 연계된 기능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다른 공간에 매칭된 평가 정보를 호출하여, 상기 배정 공간에 대한 평가 페이지에 출력하며, 상기 다른 공간은, 상기 배정 공간과 동일한 공간 타입을 갖을 수 있다. Furthermore, the evaluation page for the assignment space includes a function icon linked to a function for calling evaluation information matched to a space different from the assignment space, and when the function icon is selected, a function icon matched to the other space is included. Evaluation information is called and displayed on an evaluation page for the assigned space, and the other space may have the same space type as the assigned space.

나아가, 상기 건물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에 대응하는 공간 그래픽 객체를 포함하는 현황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현황 페이지에서 특정 공간에 대응하는 공간 그래픽 객체는, 상기 특정 공간에 대한 평가 완료 여부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시각적 외관으로 표시될 수 있다. Furthermore, based on the building information, further comprising generating a current status page including spatial graphic object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paces, wherein the spatial graphic objec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space in the current status page is Different visual appearances may be displayed based on whether or not the evaluation of the space has been completed.

나아가, 상기 특정 교육시설에 대한 상기 인증 심사 보고서는, 상기 특정 교육시설을 이루는 상기 복수의 공간 모두에 대해 상기 심사가 완료되는 것에 근거하여 생성될 수 있다. Furthermore, the certification review report for the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completion of the examination for all of the plurality of spaces constituting the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교육시설안전 인증 온라인 심사 시스템은, 특정 교육시설로부터 자체 평가서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자체 평가서에 포함된 건물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교육시설을 이루는 공간에 대한 평가 페이지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가 페이지가, 상기 공간에 대한 심사를 수행하는 심사위원의 심사위원 전자기기에 표시되도록, 상기 평가 페이지를 상기 심사위원 전자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심사위원 전자기기를 통해 입력된 상기 공간에 대한 평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평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공간을 포함한 상기 특정 교육시설에 대한 인증 심사 보고서를 생성하며, 상기 평가 페이지는, 상기 공간의 공간 타입에 매칭된 인증 심사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상기 인증을 신청한 신청그룹 및 인증을 관리하는 시스템 관리자 그룹 모두 실시간 확인, 상태 검증이 가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online scree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the self-evaluation from the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and the build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lf-evaluation, the evaluation page for the space constituting the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and a control unit that generates and transmits the evaluation page to the electronic device of judges so that the evaluation page is displayed on the electronic devices of judges of judges who evaluate the space, and Receives evaluation information about the space input through the member's electronic device, and based on the evaluation information, generates a certification examination report for the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including the space, and the evaluation page, the space of the space Authentication screening items matched to the type may be included. In addition, in this process, real-time confirmation and status verification may be possible for both the application group that applied for the certification and the system manager group that manages the certification.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교육시설안전 인증 온라인 심사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교육시설로부터 자체 평가서를 수신하며, 이를 통해 특정 교육시설에 대한 정보를 일일이 수집하지 않더라도, 정확한 정보에 근거하여 인증 심사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online examination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 a self-evaluation from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and through this, even if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is not collected individually, certification is based on accurate information. You can start the screening process.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교육시설안전 인증 온라인 심사 방법 및 시스템은, 자체 평가서에 포함된 건물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교육시설을 이루는 공간에 대한 평가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평가 페이지가, 상기 공간에 대한 심사를 수행하는 심사위원의 심사위원 전자기기에 표시되도록, 상기 평가 페이지를 상기 심사위원 전자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특정 교육시설에 현장 방문한 심사위원은, 평가 페이지로부터 공간 각각과 관련된 인증 심사 항목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를 참고하여, 공간 마다 서로 다른 인증 심사 항목을 기준으로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online examination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build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lf-evaluation, generates an evaluation page for a space constituting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and the evaluation page is located in the space. The evaluation p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judges' electronic devices so that they are displayed on the judges' electronic devices. Judges who visit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on-site can receive certification evaluation items related to each space from the evaluation page, and by referring to this, they can perform efficient and accurate evaluation based on different certification evaluation items for each space.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교육시설안전 인증 온라인 심사 방법 및 시스템은, 심사위원 전자기기를 통해 입력된 상기 공간에 대한 평가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복수의 심사위원들의 평가 정보를 신속하게 취합하고, 복수의 공간 각각을 기준으로 심시위원들의 평가 정보를 분류, 관리, 분석 및 이용하여 특정 교육시설에 대한 인증 심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online screening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evaluation information about the space input through the judges' electronic devices, quickly collects the evalua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judges, and By classifying, managing, analyzing, and using the evaluation information of the examination committee members on the basis of each space, the certification examination for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accurately.

나아가, 이러한 과정을 상기 인증을 신청한 신청그룹 및 인증을 관리하는 시스템 관리자 그룹 모두 실시간 확인, 상태 검증으로 공정하고 투명한 인증 심사가 가능할 수 있다.Furthermore, in this process, fair and transparent certification review may be possible through real-time confirmation and status verification of both the application group that applied for certification and the system manager group that manages certification.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교육시설안전 인증 온라인 심사 방법 및 시스템은, 상기 평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공간을 포함한 상기 특정 교육시설에 대한 인증 심사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인증 심사 보고서는, 특정 교육시설에 대한 안전 관리 현황을 체계적으로 학인 및 비교 가능하게끔 제공되고, 특정 교육시설에서는, 개선이 필요한 사항을 인식하고 보완할 수 있어, 교육시설에 대한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다. Furthermore, the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online examination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a certification examination report for the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including the space based on the evaluation information. This certification review report is provided to systematically review and compare the safety management status of specific educational facilities, and in specific educational facilities, it is possible to recognize and supplement matters that need improvement, thereby improving the safety of educational facilities. ca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인증 심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인증 심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 도 8,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시설안전 인증 온라인 심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1a, 도 11b, 도 11c 및 도 12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교육시설안전 인증 온라인 심사 서비스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사용자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online certification examin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nline certification examin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Figure 4, Figure 5, Figure 6, Figure 7, Figure 8, Figure 9 and 10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the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online examin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a, 11b, 11c and 12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 user environment in which a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online examination servic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together in consideration of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meanings or roles that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본 발명은, 교육시설안전 인증 온라인 심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교육시설은, 안전 확보를 위하여, 다양한 분야별(ex: 시설 안전 분야, 실내 환경 분야, 외부 환경 분야) 전문가에 의해 주기적으로 위험 요인에 대한 검사가 수행되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online examination method and system. In order to ensure safety, educational facilities are periodically inspected for risk factors by experts in various fields (ex: facility safety field, indoor environment field, external environment field).

특히, 교육시설 등의 안전 및 유지관리 등에 관한 법률에서는, 교육시설의 안전과 관련된 인증 심사 항목 및 심사 주기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교육시설의 안전 확보를 위해서는, 법률에서 제시되는 기준에 근거하여 주기적으로 안전 인증 심사가 수행되어야 한다. In particular, the Act on Safety and Maintenance of Educational Facilities, etc. presents standards for certification evaluation items and evaluation cycles related to the safety of educational facilities. Safety certification audits should be conducted periodically.

한편, 이러한 안전 인증 심사는, 각 분야별 전문가가 교육시설에 직접 방문하여 현장 심사를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교육시설에 대한 안전 인증 심사가 체계적이고 효율적이며 법률에서 제시하는 기준에 따라 엄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온라인과 현장 심사를 연계하는 교육시설안전 인증 심사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한다. On the other hand, such a safety certification review is performed by an expert in each field directly visiting an educational facility and conducting an on-site insp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e propose an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examination method and system that links online and on-site examinations so that safety certification examinations for educational facilities can be systematic, efficient, and strictly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s provided by the law.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교육시설안전 인증 온라인 인증 심사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시설안전 인증 온라인 인증 심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육시설안전 인증 온라인 인증 심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 도 8,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시설안전 인증 온라인 인증 심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고, 도 11a, 도 11b, 도 11c 및 도 12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교육시설안전 인증 온라인 심사 서비스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사용자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Hereinafter, the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online certification screening method and system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online certification examin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online certification examin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Figure 4, Figure 5, Figure 6, Figure 7, Figure 8, Figure 9 and Figur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a, 11b, 11c, and 12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n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online certification examination method, and FIG. 11a, FIG. 11b, FIG. These are conceptual diagrams to explain.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육시설안전 인증 온라인 심사 시스템(100)은, 통신부(110), 저장부(120) 및 제어부(1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 the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online examin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mmunication unit 110 , a storage unit 120 and a control unit 130 .

통신부(110)는, 전자기기(10) 및 외부 서버(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and an external server (not shown).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5G(5th Generation Mobile Telecommunication ),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전자기기(10) 및 외부 서버(미도시)와 통신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Wireless LAN (WLAN), Wireless-Fidelity (Wi-Fi), 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Wireless Broadband (WiBro), WiMAX (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5th Generation Mobile Telecommunication (5G) , Bluetooth™,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 (Ultra-Wideband), ZigBe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Direct, Wireless USB (Wireless Universal) It can be made to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 and an external server (not shown) using at least one of Serial Bus) technologies.

여기에서, 전자기기(10)는 심사위원 계정 및 교육시설 계정 중 어느 하나가 로그인 된 전자기기(10)로,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 단말기이거나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전자기기(1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태블릿 PC,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있다. 일 예 로서 도 1에서는 전자기기가 이동 단말기인 스마트폰, 노트북 및 컴퓨터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 들에서 전자기기는 실질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전자기기 또는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인 컴퓨터 장치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자기기(10)는 단말기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Here, the electronic device 10 is the electronic device 10 to which any one of the judges' account and the educational facility account is logged in, and may be a fixed terminal implemented as a computer device or a mobile terminal. Examples of the electronic device 10 include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 tablet PC, a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s an example, FIG. 1 shows electronic devices in the form of mobile terminals, such as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nd a computer. or one of a variety of physical computer device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ser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device 10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terminal.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심사위원 계정”은, 심사위원의 사용자 계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심사위원(U)은, 교육시설에 대해 평가를 수행하는 사용자를 의미할 수 있다(도 1 참조). The “judges account”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derstood as a judge's user account. The judge U may mean a user who evaluates educational facilities (see FIG. 1).

그리고,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교육시설 계정”은, 교육시설과 관련된 계정으로, 교육시설과 관련된 사용자에 의해 로그인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육시설 계정은, 학교(ex: OO초) 계정이며, 학교에 재직중인 선생님에 의해 로그인 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ducational facility account”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ccount related to an educational facility and can be logged in by a user related to the educational facility. For example, an educational facility account is a school (ex: OO second) account, and may be logged in by a teacher working at the school.

본 발명에서 따른 교육시설안전 인증 온라인 심사 방법은, 교육시설 계정에서 자체 평가서를 업로드 하는 것을 시작으로, 교육시설에 대한 인증 심사 프로세스가 시작되며, 교육시설에 대한 인증 심사 프로세스에는, 심사위원이 교육시설에 직접 방문하여 현장 심사를 수행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In the online screening method for safety certificat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arting with uploading a self-evaluation report from an educational facility account, the certification screening process for educational facilities begins, and in the certification screening process for educational facilities, the judges conduct training This may include a visit to the facility to conduct an on-site audit.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사용자는, 심사위원 및 교육시설을 모두 지칭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계정에는, 심사위원 계정 및 교육시설 계정을 모두 지칭할 수 있다. As such, the user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refer to both judges and educational facilities. In addition, the user account may refer to both the judge's account and the educational facility's account.

다만, 이하에서는 용어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심사위원을 “사용자”로 명명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계정”, “심사위원”, “심사위원 계정”과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교육시설”은, “교육시설 계정”과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However, in the following, in order to avoid confusion of terms, the judges will be named and explained as “users”. In the present invention, “user”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user account”, “judge”, and “judge account”.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education facility”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education facility account”.

한편, 저장부(120)는 본 발명에 따른 교육시설안전 인증 온라인 심사 시스템(100)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torage unit 120 may stor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online screen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저장부(120)에는, “인증 심사 가이드 정보”가 존재할 수 있다. “인증 심사 가이드 정보”에는, 교육시설의 타입(ex: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등) 또는 교육시설을 이루는 공간 타입(ex: 교실, 교무실, 복도, 계단, 보건실, 전기실, 진로 상담실, 화장실, 컴퓨터실, 강당, 체육관, 과학실, 음악실, 시청각실, 교사 휴게실, 옥상, 급식실, 행정실, 도서실, 승강기(또는 엘리베이터), 전기실, 기계실 등) 각각에 매칭된 인증 심사 기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In the storage unit 120, "certification examination guide information" may exist. In the “certification review guide information”, the type of educational facility (ex: daycare center, kindergarten,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 university, etc.) or the type of space that makes up the educational facility (ex: classroom, office, hallway, stairs, health room, electrical room, Career counseling room, bathroom, computer room, auditorium, gymnasium, science room, music room, audio-visual room, teacher lounge, rooftop, lunch room, administrative office, library, elevator (or elevator), electrical room, machine room, etc.) can

구체적으로, 제1 타입의 공간(ex:복도)에는 제1 인증 심사 기준 정보가 매칭되어 있고, 제2 타입의 공간(ex: 교실)에는 제2 인증 심사 기준 정보가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authentication review standard information may be matched to the first type of space (eg, hallway), and the second certification review standard information may be matched to the second type of space (ex: classroom).

여기에서, 인증 심사 기준 정보는, 인증 심사 항목(ex: 출입문 손끼임 방지 장치 설치, 출입문 시창 설치, 출입문 돌출문 관리 등), 인증 심사 항목에 대응되는 점수 정보(ex: 양호-5점, 보통-3점, 미흡-1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Here, the certification review criteria information includes certification review items (ex: installation of door jamming prevention devices, door sight glass installation, door protruding door management, etc.), sco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certification review items (ex: good - 5 points, average -3 points, Insufficient -1 point).

한편, 제어부(130)는 본 발명에 따른 교육시설안전 인증 온라인 심사 시스템(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술한 통신부(110) 및 저장부(12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130 may perform overall control of the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online examin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3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storage unit 120 described above.

제어부(130)는, 제어부(130)는, 교육시설안전 인증 온라인 심사 시스템(100) 상에, 특정 교육시설 계정에 의해 자체 평가서가 업로드(upload)되는 것에 근거하여, 특정 교육시설에 대한 인증 심사 프로세스를 진행하여, 특정 교육시설에 대한 심사 결과 보고서(도 1에서 도면부호 600 참조) 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인증 심사 프로세스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The control unit 130 performs a certification examination for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on the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online examination system 100 based on a self-assessment being uploaded by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account. By proceeding with the process, an examination result report (refer to reference numeral 600 in FIG. 1) for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may be generated. Hereinafter, the certification review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 따른 교육시설안전 인증 온라인 심사 방법은, 특정 교육시설로부터 자체 평가서를 수신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S210, 도 2 참조). In the online screening method for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of receiving a self-evaluation from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may proceed (S210, see FIG. 2).

통신부(110)는, 교육시설 계정으로 로그인 된 교육시설의 전자기기(10)로부터, 교육시설과 관련된 자체 평가서를 수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receive a self-evaluation related to the educational facility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 of the educational facility logged into the educational facility account.

제어부(130)는 교육시설 계정으로부터 수신된 자체 평가서를, 교육시설 계정과 매칭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교육시설 계정으로부터 자체 평가서를 수신하고 저장부(120)에 저장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자체 평가서 등록” 또는 “자체 평가서 업로드(upload)”로 이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store the self-evaluation received from the educational facility account in the storage unit 120 by matching it with the educational facility account. In the present invention, a series of processes of receiving a self-evaluation form from an educational facility account and storing it in the storage unit 120 may be understood as “self-evaluation registration” or “self-evaluation upload”.

여기에서, “자체 평가서”는, 교육시설과 관련하여 자체적으로 평가된 평가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데이터, 파일, 문서 등으로 이해할 수 있다. Here, “self-assessment” can be understood as information, data, files, documents, etc. that include self-evaluated evaluation information in relation to educational facilities.

예를 들어, 자체 평가서에는, i) 건물 정보(또는 교육시설의 시설 현황 정보, ex: 건물명, 층수, 연면적, 준공연도, 안전 등급, 내진성능확보 유무, 석면 유무,), i) 내진시설현황 및 내진보강 관리 정보, ii) 정기 안전 점검표, iii) 전기, 승강기, 신재생 에너지, 가스, 소방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안전점검 유지관리 용역 점검 결과, iv) 안전점검의 날 체크리스트, v) 에어컨 종합 분해 세척, 에어컨 필터, 정화조 청소 및 물탱크 청소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청소 실시 증빙 서류, vi) 기계실 유지관리 매뉴얼, vii) 층별 실 배치도, vii) 층별 각층 피난안내도 및 viii) 학교안전사고 예방계획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self-assessment, i) building information (or facility status informat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ex: building name, number of floors, total floor area, year of completion, safety level, seismic performance secured, presence of asbestos,), i) earthquake-resistant facility status and seismic reinforcement management information, ii) regular safety checklist, iii) safety inspection maintenance service inspection result related to at least one of electricity, elevator, new renewable energy, gas, and firefighting, iv) safety inspection day checklist, v) air conditioner Documents proving cleaning performance related to at least one of comprehensive disassembly and cleaning, air conditioner filter cleaning, septic tank cleaning, and water tank cleaning, vi) machine room maintenance manual, vii) room layout plan by floor, vii) evacuation map by floor, and viii) school safety accident prevention At least one of the plans may be included.

여기에서, “건물 정보”에는, 건물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공간(실(室), Room, ex: 교실, 복도, 계단, 행정실, 체육관, 기숙사, 화장실, 가스시설실, 급식실 등)에 대한 “공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공간 정보는, 건물 정보에 포함되는 것으로, 건물 정보를 상위 개념, 공간 정보를 하위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건물 정보와 공간 정보를 서로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Here, in “building information”, “room, room, ex: classroom, hallway, stairs, administrative office, gymnasium, dormitory, toilet, gas facility room, cafeteria, etc.) constituting the building spatial inform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patial information is included in building information, and building information can be understood as an upper concept and space information as a lower concept.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building information and space information may be used interchangeably.

공간 정보에는, i) 공간이 위치한 건물 정보(ex: 건물명, “교사동”, “체육관동, “A”동), ii) 공간의 층수, iii) 공간의 공간명(또는 실이름), iv) 공간 타입((ex: 교실 타입, 복도 타입, 화장실 타입, 행정실 타입, 체육관 타입, 기숙사 타입, 가스시설실 타입, 급식실 타입 등), v) 공간 사이즈(또는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pace information includes i) building information where the space is located (ex: building name, “teacher building”, “gymnasium building, “A” building), ii) number of floors of the space, iii) space name (or real name) of the space, iv ) space type (ex: classroom type, hallway type, toilet type, administrative room type, gym type, dormitory type, gas facility room type, cafeteria type, etc.), v)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pace size (or area) there is.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교육시설 계정으로 로그인된 전자기기(10) 상에, 건물 정보(또는 공간 정보)를 입력(등록) 기능을 수행하는 공간 정보 등록 페이지(또는 건물 정보등록 페이지, 300)를 제공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 the controller 130 provides a spatial information registration page (or Building information registration page, 300) can be provided.

제어부(130)는, 교육시설 계정에, 서로 다른 건물(ex:”교사동”, “체육관동”, A, B) 각각의 공간 정보 등록 페이지(300)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1 건물(ex: “교사동”)에 대한 공간 정보 등록 페이지(300) 상에 입력되는 공간 정보를, 제1 건물과 매칭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제2 건물(ex: “체육관동”)에 대한 공간 정보 등록 페이지(300) 상에 입력되는 공간 정보를, 제2 건물과 매칭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30 may provide the spatial information registration page 300 of each of the different buildings (eg, “teaching building”, “gymnasium building”, A, B) to the educational facility account. The controller 130 may match spatial information input on the spatial information registration page 300 for the first building (eg, “Gyodong”) with the first building and store it in the storage unit 120 . 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may match spatial information input on the spatial information registration page 300 for the second building (ex: “gymnasium dong”) with the second building and store it in the storage unit 120. .

제어부(130)는, 교육시설 계정으로부터 공간 정보 등록 페이지(300)에 건물 정보(또는 공간 정보)가 입력되는 것에 근거하여, 교육시설 계정으로부터 건물 정보(공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건물 정보와 공간 정보를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receive building information (spatial information) from the educational facility account based on the input of building information (or space information) from the educational facility account to the spatial information registration page 300 . In the present invention, building information and space information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나아가, 제어부(130)는 교육시설 계정으로부터 현장 심사 선호 날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30)는 교육시설 계정으로 로그인된 전자기기(10) 상에, 현장 심사 선호 날짜를 입력 기능(ex: 달력 등)을 포함하는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controller 130 may receive on-site screening preference date information from an educational facility account. Although not shown, the controller 130 may provide a page including a function (ex: calendar, etc.) for inputting a preferred date for the on-site examination on the electronic device 10 logged in with the educational facility account.

본 발명에 따른 교육시설안전 인증 온라인 심사 방법은, 자체 평가서에 포함된 건물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교육시설을 이루는 공간에 대한 평가 페이지를 생성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S220, 도 2 참조).In the online screening method for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build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lf-evaluation, a process of generating an evaluation page for a space constituting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may be performed (S220, see FIG. 2).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자체 평가서에 포함된 교육시설의 건물 정보에 근거하여, 건물(ex:”교사동”, “체육관동”, A, B) 각각의 건물 현황 페이지(400)를 생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control unit 130, based on the building information of the educational facility included in the self-evaluation, the building status of each building (ex: “teacher building”, “gym hall building”, A, B) A page 400 may be created.

제어부(130)는, 제1 건물(A)과 관련된 공간 정보에 근거하여, 제1 건물(A)에 포함되는 적어도 복수의 공간(ex: “1층 복도 및 계단, “201 교실”, “401교실”)에 대응하는 공간 그래픽 객체(410, 420, 430)가 포함(표시)되도록, 제1 건물의 현황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Based on the spati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building (A),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at least a plurality of spaces (ex: “1st floor corridor and stairs, “201 classroom”, “401 classroom”) included in the first building (A). A current status page of the first building may be created so that the spatial graphic objects 410, 420, and 430 corresponding to "classroom" are included (displayed).

나아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자체 평가서에 포함된 건물 정보(또는 공간 정보)에 근거하여, 건물을 이루는 복수의 공간(ex: “1층 복도 및 계단”, “201 교실”) 각각의 평가 페이지(500)를 생성할 수 있다. Furthermore, as shown in FIG. 5, the control unit 130, based on the building information (or spac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lf-assessment, a plurality of spaces constituting the building (ex: “1st floor corridor and stairs”, “ 201 classroom”), each evaluation page 500 may be created.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공간(ex: “1층 복도 및 계단”)에 대응하는 평가 페이지를 제1 평가 페이지(500a)로 명명하고, 제2 공간(ex: “201 교실”)에 대응하는 평가 페이지를 제2 평가 페이지(500b)로 명명하여 설명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evaluation p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pace (ex: “corridor and stairs on the first floor”) is named the first evaluation page 500a, and the second space (ex: “201 classroom”) ) can be described by naming the evaluation p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valuation page 500b.

제어부(130)는, 특정 공간에 대응하는 평가 페이지(500)를, 특정 공간의 공간 타입에 매칭된 인증 심사 기준 정보에 근거하여 구성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configure the evaluation page 500 corresponding to a specific space based on authentication review criterion information matched to the space type of the specific space.

제어부(130)는 특정 공간의 공간 타입에 매칭된 심사 기준 정보에 근거하여, 평가 페이지(500) 상에, 복수의 인증 심사 항목(511, 512)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영역(510, 520)를 포함하는 평가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sets a plurality of areas 510 and 520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authentication examination items 511 and 512, respectively, on the evaluation page 500 based on the examination criterion information matched to the space type of the specific space. An evaluation list including can be output.

제어부(130)는, 평가 리스트에 포함된 특정 영역(510)에, i) 특정 인증 심사 항목(ex: “천장 부착물 고정 상태”, 511), ii) 상기 특정 인증 심사 항목에 대응되는 평가 항목(ex: “양호”, “미흡”, “해당 없음”, 512, 513, 514), iii) 상기 복수의 평가 항목 각각에 대응하는 체크 박스(512a, 513a, 514a), iv) 사진 첨부 기능에 대응하는 기능 아이콘(515) 및 v) 의견 정보 영역(516)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the specific area 510 included in the evaluation list, the control unit 130 sets i) a specific certification examination item (ex: “fixed state of the ceiling attachment”, 511), ii) an evaluation item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certification examination item ( ex: “Good”, “Insufficient”, “Not Applicable”, 512, 513, 514), iii) Check boxes (512a, 513a, 514a)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above, iv) Corresponding to the photo attachment function At least one of a function icon 515 and v) an opinion information area 516 may be included.

이 경우, 제어부(130)는, 공간 타입이 서로 다른 공간의 평가 페이지(또는 평가 리스트) 상에, 서로 다른 인증 심사 항목이 포함되도록, 평가 페이지(또는 평가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30 may configure the evaluation pages (or evaluation lists) such that different authentication screening items are included on evaluation pages (or evaluation lists) of spaces having different space types.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제1 타입의 공간(ex: 복도 및 계단)에 대응하는 평가 페이지(500a) 상에, 제1 인증 심사 기준 정보에 근거한 인증 심사 항목이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평가 페이지(500a)상에는, “천장 부착물 고정 상태”, “벽면 부착물 고정 상태”와 같은 인증 심사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타입의 공간(ex: 복도 및 계단)에 대응하는 평가 페이지(500a) 상에는, “복도 공간의 너비”, “건물 이용자의 이동 상태(예를 들어, 건물 이용자의 이동 편의와 관련된 시설 상태)”와 같은 인증 심사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In detail,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evaluation page 500a corresponding to the first type of space (eg, corridors and stairs) to include authentication examination items based on the first authentication examination criterion information. For example, as shown in (a) of FIG. 5, on the evaluation page 500a, certification examination items such as "fixed state of ceiling attachment" and "fixed state of wall attachment" may be included.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on the evaluation page 500a corresponding to the first type of space (eg, corridors and stairs), "width of corridor space", "moving state of building users (eg, building users Conditions of facilities related to the convenience of moving)” may be included in certification review items.

반면에, 제어부(130)는 제2 타입의 공간(ex: 교실)에 대응하는 평가 페이지(500b) 상에는, 제2 인증 심사 기준 정보에 근거한 인증 심사 항목이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평가 페이지(500b)상에는, “출입문 손끼임 방지장치 설치”, “출입문 set back, 시인성 스티커 설치”, “출입문 시창 설치”, “출입문 돌출문 관리”와 같은 인증 심사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타입의 공간(ex: 교실)에 대응하는 평가 페이지(500b) 상에는, “공간 내 사고 예방 구조물 설치”, “사고 발생시 응급 대응사항(예를 들어, 소화(fire extinguishing)활동을 위한 시설물 구비 또는 설치”와 같은 같은 인증 심사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evaluation page 500b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ype of space (eg, classroom) to include authentication examination items based on the second authentication examination criterion information. For example, as shown in (b) of FIG. 5, on the evaluation page 500b, “installation of hand-trap prevention device on door”, “installation of door set back, visibility sticker”, “installation of sight window on door”, “door Certification screening items such as “management of protruding doors” may be included.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on the evaluation page 500b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ype of space (ex: classroom), “installation of accident prevention structures in space”, “emergency response in case of an accident (for example, fire extinguishing ( Accreditation audit items such as “preparation or installation of facilities for fire extinguishing) activities” may be included.

나아가, 제어부(130)는, 건물 현황 페이지(400)와 공간 별 평가 페이지(500)를 서로 연계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건물 현황 페이지(400)에 포함된 특정 공간(ex: “1층 복도 및 계단”)에 대응하는 공간 그래픽 객체(410)에, 상기 특정 공간에 대응하는 평가 페이지(500a)가 링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controller 130 may link the building status page 400 and the space-by-space evaluation page 500 to each other. The control unit 130 assigns the spatial graphic object 410 corresponding to a specific space (ex: "first floor corridor and stairs") included in the building status page 400 to the evaluation page 500a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pace. can be configured to be linked.

제어부(130)는, 심사위원 계정에서 특정 공간에 대응하는 공간 그래픽 객체를 선택되는 것에 근거하여, 심사위원 계정으로부터 상기 특정 공간의 평가 페이지 출력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receive a request for outputting an evaluation page of the specific space from the judge's account based on the selection of a spatial graphic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pace in the judge's accoun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교육시설안전 인증 온라인 심사 방법은, 평가 페이지가, 공간에 대한 심사를 수행하는 심사위원의 심사위원 전자기기에 표시되도록, 평가 페이지를 심사위원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S230, 도 2).On the other hand, in the online screening method for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evaluation page to the judge's electronic device so that the evaluation page is displayed on the judge's electronic device for evaluating the space It can (S230, FIG. 2).

제어부(130)는, 특정 공간에 배정된 심사위원 계정으로부터, 특정 공간의 평가 페이지 출력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심사위원 계정의 심사위원 전자기기(10) 상에, 특정 공간의 평가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30, based on receiving a request for outputting the evaluation page of the specific space from the judge account assigned to the specific space, displays the evaluation page of the specific space on the judge electronic device 10 of the judge account. can provide.

제어부(130)는, 복수의 공간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심사위원 계정을 배정(할당 또는 매칭)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특정 공간과 상기 특정 공간에 배정된 심사위원 계정을 서로 매칭(또는 연계)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assign (assign or match) at least one judge account to each of a plurality of spaces. The controller 130 may match (or link) a specific space and judge accounts assigned to the specific space, and store them in the storage unit 120 .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심사위원 배정 기준 및 시스템 관리자의 설정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복수의 공간 각각에 대해 심사위원 계정을 배정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assign judge accounts to each of a plurality of spaces based on at least one of a preset judge assignment criterion and a setting of a system administrator.

저장부(120)에는. 공간 정보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심사위원 계정을 복수의 공간 각각에 배정하는 기준에 대한 심사위원 배정 기준 정보가 존재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이러한 심사위원 배정 기준 정보를, 외부 서버(ex: 인증심사기관 서버 등)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심사위원 배정 기준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공간 각각에 대해 심사위원 계정을 배정할 수 있다. In the storage unit 120. Judge assignment criterion information regarding criteria for allocating at least one judge account to each of a plurality of spaces based on space information may exist. The control unit 130 may receive the judge assignment criterion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server (eg, a certification examination authority server, etc.) and store it in the storage unit 120 . The controller 130 may assign judge accounts to each of a plurality of spaces based on the judge assignment criterion information.

이 경우, 제어부(130)는, 공간의 공간 타입에 근거하여 공간 마다 서로 다른 심사위원의 계정을 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제1 타입의 공간(ex: “복도 및 계단 타입)”에 대응하는 제1 공간에는, 제1 심사위원을 배정하고, 제2 타입의 공간(ex: “교실”)에 대응하는 제2 공간에는, 제2 심사위원 및 제3 심사위원을 배정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30 may assign different judges' accounts to each space based on the space type of the space. 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assigns a first judge to a first space corresponding to a first type of space (ex: “corridor and stair type)” and assigns a second type of space (ex: “corridor and stair type)”. In the second space corresponding to “classroom”), a second judge and a third judge can be assigned.

나아가, 제어부(130)는, 교육시설 계정으로부터 수신한 현장 심사 선호 날짜를 포함하는 일정 정보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공간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심사위원 계정을 배정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controller 130 may assign at least one judge account to each of a plurality of spaces based on schedule inform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preferred date for on-site evaluation received from an educational facility account.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특정 교육시설의 현장 심사 선호 날짜에 대응하는 날짜에, 다른 교육시설에 배정되지 않은 심사위원 계정을, 특정 교육시설을 이루는 공간에 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may assign judge accounts that are not assigned to other educational facilities to a space constituting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on a date corresponding to a preferred date for on-site screening of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특정 교육시설의 현장 심사 선호 날짜에 대응하는 날짜에, 상기 특정 교육시설과 동일 행정 구역에 위치하는 다른 교육시설에 배정된 심사위원 계정을, 상기 특정 교육시설을 이루는 공간에 배정할 수 있다. For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may assign a judge account assigned to another educational facility located in the same administrative district as the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on a date corresponding to the preferred date for on-site screening of the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It can be assigned to the space that makes up the facility.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교육시설안전 인증 온라인 심사 방법은, 심사위원 전자기기를 통해 입력된 공간에 대한 평가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S240, 도 2 참조).On the other hand, in the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online scree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of receiving evaluation information about the space input through the judges' electronic devices may proceed (S240, see FIG. 2).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평가 정보”는, 심사위원 계정이 배정된 배정 공간의 평가 페이지 상에, 심사위원 계정을 통해 입력되는 다양한 정보로 이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체적으로, 특정 공간(또는 배정 공간)에 대한 평가 정보에는, 특정 공간(또는 배정 공간)의 평가 페이지(500a)에서 체크(선택)된 체크 박스에 대응하는 평가 항목(ex: “양호” 또는 “미흡”), 사진 첨부 기능 아이콘(515)을 통해 첨부(또는 업로드)된 현장 사진(또는 평가 이미지 또는 현장 이미지), 의견 입력 영역(516)에 입력된 의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valuation information”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as various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judges account on the evaluation page of the assignment space to which the judges account is assigned. Specifically, in the evaluation information for a specific space (or assignment space), an evaluation item (ex: “Good ” or “insufficient”), a field photo (or evaluation image or field image) attached (or uploaded) through the photo attachment function icon 515, and opinion information entered in the opinion input area 516. can

제어부(130)는 특정 공간(ex: “1층 복도 및 계단)”의 평가 페이지(500a) 상에 입력되는 평가 정보를, 특정 공간(ex: “1층 복도 및 계단)에 매칭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특정 공간, 평가 정보 및 심사위원 계정을 서로 매칭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tches the evaluation information input on the evaluation page 500a of a specific space (ex: “corridor and stairs on the first floor)” to a specific space (ex: “corridor and stairs on the first floor) and stores it ( 120) can be stored.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30 may match and store the specific space, evaluation information, and judges' accounts in the storage unit 120 .

한편, 심사위원은, 지정된 날짜(예를 들어, 현장 심사 선호 날짜에 근거하여 지정된 날짜)에 교육시설에 방문하여, 특정 공간에 대한 현장 평가(또는 현장 심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장 심사를 수행하는 심사위원은, 평가 페이지 상에, 공간에 대한 평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Meanwhile, the judges may visit the educational facility on a designated date (eg, a designated date based on a preferred date for on-site evaluation) and perform an on-site evaluation (or on-site evaluation) for a specific space. In addition, the judges performing the on-site evaluation may input evaluation information about the space on the evaluation page.

예를 들어, 도 5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심사위원(ex: “김위원)”은, 제1 공간(ex: “1층 복도 및 계단)”에 대한 현장 평가를 수행하고, 제1 평가 페이지(500a) 상에, “천장 부착물 고정상태”에 대한 인증 심사 항목(511)과 관련하여, “양호”, “미흡” “해당없음” 각각에 대응하는 평가 항목(512, 513, 514)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체크 박스(ex: “양호”, 512a)를 선택함으로써, 평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심사위원은, 특정 평가 항목(511)에 대응하는 사진 첨부 기능 아이콘(515)을 선택하여, 특정 평가 항목과 관련된 현장 사진(이미지)을 평가 정보로서 입력(또는 첨부) 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a) of FIG. 5, the first judge (ex: “Won Kim)” performs an on-site evaluation of the first space (ex: “first floor corridor and stairs)” , On the first evaluation page 500a, evaluation items 512 and 513 corresponding to “good”, “insufficient” and “not applicable”, respectively, in relation to the certification examination item 511 for “fixed state of ceiling attachment” , 514), evaluation information may be input by selecting a check box (ex: “good”, 512a)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m. In addition, the first judge selects a photo attachment function icon 515 corresponding to a specific evaluation item 511 and inputs (or attaches) an on-site photo (image) related to a specific evaluation item as evaluation information. .

제어부(130)는, 심사위원 계정으로부터 특정 공간의 평가 페이지(500)에 입력된 평가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평가 정보를, 특정 공간 및 심사위원 계정과 매칭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receive evaluation information input to the evaluation page 500 of a specific space from the judges' account, match the received evaluation information with the specific space and the judge's account, and store it in the storage unit 120. there i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교육시설안전 인증 온라인 심사 방법은, 평가 정보에 기반하여, 공간을 포함한 특정 교육시설에 대한 인증 심사 보고서를 생성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S250, 도 2 참조).On the other hand, in the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online examin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evaluation information, a process of generating a certification examination report for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including a space may proceed (S250, see FIG. 2).

제어부(130)는 특정 교육시설에 대한 평가가 완료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교육시설에 대한 인증 심사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30 may generate a certification review report for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based on the completion of evaluation of the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제어부(130)는, 다양한 기준에 근거하여, 특정 교육시설에 대한 평가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evaluation of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has been completed based on various criteria.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특정 교육시설을 이루는 복수의 공간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평가 정보가 존재하는 것에 근거하여, 복수의 공간에 대한 평가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복수의 공간 모두에 대해, 적어도 한번의 평가가 수행된 경우, 특정 교육시설에 대한 평가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at evaluation of a plurality of spaces has been completed based on the existence of at least one piece of evaluation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spaces constituting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That is,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at the evaluation of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is completed when at least one evaluation is performed for all of a plurality of spaces.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특정 교육시설과 관련된 평가 정보의 수(數)가 기 설정된 수 이상인 것에 근거하여, 특정 교육시설에 대한 평가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신뢰도 있는 인증 심사 보고서의 근거가 되는 평가 정보 모집단이 획득되는 경우, 특정 교육시설에 대한 평가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For another example,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at the evaluation of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has been completed based on the fact that the number of pieces of evalu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number. That is,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at the evaluation of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is completed when an evaluation information population that is a basis for a reliable certification examination report is obtained.

또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수(數) 이상의 심사위원 계정으로부터 특정 교육시설과 관련된 평가 정보를 수신한 것에 근거하여, 특정 교육시설에 대한 평가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다양한 심사위원에 의해 특정 현장 시설의 현장 심사가 수행된 경우, 특정 교육시설에 대한 평가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For another example,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at the evaluation of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has been completed based on receiving evalu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from a predetermined number or more judges' accounts. That is, the control unit 130 may determine that the evaluation of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has been completed when an on-site examination of a specific on-site facility is performed by various judges.

또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특정 교육시설에 대한 현장 평가 및 심의위원들의 평가가 모두 완료된 경우, 특정 교육시설에 대한 평가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특정 교육시설에 매칭된 평가 정보를, 심의위원 계정에 제공하고, 상기 심의위원 게정으로부터 상기 평가 정보에 대한 확인 평가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근거하여, 특정 교육시설에 대한 평가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at the evaluation of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has been completed when both the on-site evaluation of the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and the evaluation by the deliberation members have been completed. The controller 130 provides evaluation information matched to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to the deliberation member's account, and based on receiving confirmation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evaluation information from the deliberation member's account, the evaluation of the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is completed. can be judged to be

한편, 제어부(130)는 특정 교육시설과 관련된 복수의 평가 정보를 가공하여,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특정 교육시설에 대한 인증 심사 보고서(또는 인증 심사 리포트, 600)를 생성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ler 130 may process a plurality of evaluation information related to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and generate a certification review report (or certification review report 600) for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as shown in FIG. 6 .

제어부(130)는, 평가 테이블(610) 및 현장 사진(6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증 심사 보고서(600)를 생성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generate a certification examination report 600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evaluation table 610 and the on-site photo 620 .

제어부(130)는, 복수의 인증 카테고리 각각에 대응하는 평가 테이블(610)을 포함하는 인증 심사 보고서(600)를 생성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30 may generate an authentication examination report 600 including an evaluation table 610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authentication categories.

여기에서, “인증 카테고리”는, 복수의 인증 심사 항목 중 동일 속성의 인증 심사 항목을 분류하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교육시설 인증 심사와 관련하여, “인증 카테고리”의 상위 개념이 존재하고, 상기 인증 카테고리에는 적어도 하나의 “인증 심사 항목”이 하위 개념으로 포함되어 존재할 수 있다. Here, "certification category" can be understood as a concept of classifying certification examination items having the same attribute among a plurality of certification examination items. In the present invention, in relation to educational facility certification examination, there is an upper concept of “certification category”, and at least one “certification examination item” may be included as a lower concept in the certification category.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시설안전(611)” 인증 카테고리에는, “구조안전(611a)” 및 “전기설비(611b)” 심사 인증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실내환경안전” 인증 카테고리에는, “안전대책” 및 “건축재료안전” 심사 인증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 the “facility safety 611” certification category may include “structural safety 611a” and “electric equipment 611b” examination certification items. For another example, although not shown, the "indoor environmental safety" certification category may include "safety measures" and "building material safety" examination certification items.

제어부(130)는, 제1 인증 카테고리 대응하는 평가 테이블 및 상기 제1 인증 카테고리와는 다른 제2 인증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평가 테이블을 포함하는 인증 심사 보고서(600)를 생성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generate an authentication examination report 600 including an evaluation table corresponding to a first authentication category and an evaluation table corresponding to a second authentication category different from the first authentication category.

한편, 제어부(130)는, 특정 교육시설에 매칭된 복수의 평가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인증 카테고리(ex: “시설안전”, 611)에 대응하는 평가 테이블(610)을 생성하고, 생성된 평가 테이블(610)을 포함하는 인증 심사 결과 보고서(600)에 생성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130 generates an evaluation table 610 corresponding to a specific certification category (ex: “facility safety”, 611) based on a plurality of evaluation information matched to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and the generated evaluation table It can be generated in the certification examination result report 600 including (610).

제어부(130)는, 특정 교육시설에 매칭된 복수의 평가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인증 카테고리(611)에 포함된 인증 심사 항목 각각을 기준으로, 건물 평가 점수 정보를 산출(계산)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calculate (calculate) building evaluation point information based on each certification review item included in the specific certification category 611 by using a plurality of pieces of evaluation information matched to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제1 건물(ex: A동, 612a)의 제1 인증 심사 항목(ex: “구조안전”, 611a)과 관련된 평가 정보에 근거하여, 제1 인증 심사 항목을 기준으로 하는, 제1 건물의 평가 점수 정보(ex:”58.67”, 613)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제1 건물(ex: A동, 612a)의 제2 인증 심사 항목(ex: “전기설비”, 611b)과 관련된 평가 정보에 근거하여, 제2 인증 심사 항목을 기준으로 하는 제1 건물의 평가 점수 정보(ex:”65.83”, 614)을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the first certification examination item based on evalu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certification examination item (ex: “structural safety”, 611a) of the first building (ex: Building A, 612a). Evaluation score information (ex: “58.67”, 613) of the first building, which is used as a standard, can be calculated.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based on the evalu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certification examination item (ex: “electrical equipment”, 611b) of the first building (ex: Building A, 612a), based on the second certification examination item evaluation score information (ex: “65.83”, 614) of the first building to be calculated.

나아가, 제어부(130)는, 특정 인증 카테고리(ex: “시설안전”, 611)를 기준으로, 건물 평가 점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제1 인증 심사 항목(611a) 및 제2 인증 심사 항목611b) 각각을 기준으로 하는 제1 건물의 평가 점수 정보 평균을 산출하고, 산출된 점수를, 특정 인증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하는 제1 건물의 평가 점수 정보(ex: “61.33”, 615)로 특정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controller 130 may calculate building evaluation score information based on a specific authentication category (eg, “facility safety”, 611).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calculates the average of the evaluation score information of the first building based on the first certification examination item 611a and the second certification examination item 611b, respectively, and converts the calculated score to a specific certification It can be specified with evaluation score information (ex: “61.33”, 615) of the first building based on the category.

나아가, 제어부(130)는 특정 카테고리(611)를 기준으로 하는 특정 교육시설의 평가 점수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하는 특정 교육시설의 평가 등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controller 130 may generate evaluation grade information of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based on a specific category based on evaluation score information of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based on the specific category 611 .

이 경우, 제어부(130)는, “특정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하는 특정 교육시설의 평가 점수 정보”를, 특정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하는 제1 건물(ex: A동, 612a) 및 제2 건물(ex: B동, 612b)의 평가 점수 정보(ex: “”61.33” 및 “31.67”)의 평균으로 산출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30 transmits "evaluation score information of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based on a specific category" to the first building (ex: Building A, 612a) and the second building (ex: Building A, 612a) based on the specific category. It can be calculated as the average of the evaluation score information (ex: “”61.33” and “31.67”) of Building B, 612b).

그리고, 제어부(130)는 특정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하는 특정 교육시설의 평가 점수 정보를, 특정 카테고리(611)에 매칭된 기 설정된 등급별 임계 점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특정 카테고리에 대한 특정 교육시설의 평가 등급 정보(ex: “최우수”, 616)를 획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compares evaluation score information of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based on a specific category with threshold score information for each grade matched to a specific category 611 to evaluate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for the specific category. Rating information (ex: “Best”, 616) can be obtained.

제어부(130)는, 산출된 평가 점수 정보 및 평가 등급 정보에 기반하여, 특정 인증 카테고리(611)에 대응하는 평가 테이블(610)을 생성하고, 상기 평가 테이블이 결과 보고서(600)에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30 generates an evaluation table 610 corresponding to a specific authentication category 611 based on the calculated evaluation score information and evaluation grade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evaluation table to be included in the result report 600. can do.

나아가, 제어부(130)는, 특정 교육시설과 관련된 평가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현장 사진 중 기 설정된 개수(ex: “3개”)를 특정하고, 특정된 현장 사진(620)이 결과 보고서(600) 상에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현장 사진을 특정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Furthermore, the control unit 130 specifies a preset number (ex: “three”) of a plurality of field photos included in the evaluation information related to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and the specified field photos 620 are included in the result report 600 ) can be controlled to be included in the phase. A detailed description of a method for specifying a field photograph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본 발명에서는, 심사위원이 교육시설에 직접 방문하여 현장 심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공간에 대한 심사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심사 현황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현장 심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현장 심사 기능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an on-site examination by visiting the educational facility by the judges, various on-site examination functions are provided to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perform the examination of the space and intuitively recognize the examination status. can provide Hereinafter, various on-site audit function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어부(130)는, 공간(또는 특정 교육시설)에 대한 평가 현황에 근거하여, 건물 현황 페이지(400)에 포함된 복수의 공간 그래픽 객체(410, 420, 430)의 시각적 외관을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도 4 참조). 본 발명에서, “건물 현황 페이지”는, “건물 페이지”, “현황 페이지” 또는 “평가 현황 페이지”와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display the visual appearance of the plurality of spatial graphic objects 410, 420, and 430 included in the building status page 400 differently based on the evaluation status of the space (or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Yes (see Figure 4). In the present invention, “building status page”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building page”, “current status page” or “evaluation status page”.

제어부(130)는 자체 평가서에 포함된 건물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공간 각각에 대응하는 공간 그래픽 객체를 포함하는 현황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현황 페이지에서 특정 공간에 대응하는 공간 그래픽 객체의 시각적 외관을, 상기 특정 공간에 대한 평가 완료 여부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시각적 외관으로 표시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create a current status page including spatial graphic objects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spaces based on the build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lf-assessment report. And, the control unit may display the visual appearance of a spatial graphic objec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space on the current status page as different visual appearances based on whether the evaluation of the specific space is completed.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특정 공간에 배정된 심사위원 계정으로부터의 평가 정보 수신 여부에 근거하여, 특정 공간에 대한 평가 현황을, 평가 미완료(또는 제1 현황) 및 평가 완료(또는 제2 현황)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the status of evaluation for a specific space based on whether or not evalu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an account of judges assigned to the specific space, evaluation incomplete (or first status) and evaluation completed (or second status). status) can be classified as one of them.

제어부(130)는 특정 공간에 배정된 심사위원 계정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평가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특정 공간에 대한 평가 현황을 “평가 미완료(또는 제1 현황)”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특정 공간에 대응하는 공간 그래픽 객체를 “평가 미완료(또는 제1 현황)”에 매칭된 제1 시각적 외관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201교실”에 대응하는 공간 그래픽 객체(420)를 제1 시각적 외관으로 표시할 수 있다. When evaluation information is not received from at least some of the judges' accounts assigned to the specific space,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e evaluation status of the specific space as “evaluation incomplete (or first status)”. 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may display a spatial graphic objec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space as a first visual appearance matched with “evaluation incomplete (or first statu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 the controller 130 may display the spatial graphic object 420 corresponding to “classroom 201” as the first visual appearance.

이와 달리, 제어부(130)는 특정 공간에 배정된 심사위원 계정 모두로부터 평가 정보를 수신한 것에 근거하여, 특정 공간에 대한 평가 현황을 “평가 완료(또는 제2 현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특정 공간에 대응하는 공간 그래픽 객체를 “평가 완료(또는 제2 현황)”현황에 매칭된 제2 시각적 외관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1충 복도 및 계단”에 대응하는 공간 그래픽 객체(410)를 제2 시각적 외관으로 표시할 수 있다. In contrast,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e evaluation status of a specific space as “evaluation complete (or second status)” based on receiving evaluation information from all judge accounts assigned to the specific space. 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may display a spatial graphic objec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space as a second visual appearance matched to the “evaluation completed (or second status)” statu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 the controller 130 may display the spatial graphic object 410 corresponding to “one level corridor and stairs” as the second visual appearance.

나아가, 제어부(130)는, 특정 건물을 이루는 복수의 공간에 대한 평가 현황에 근거하여, 건물 현황 페이지(400)에 포함된 건물 그래픽 객체(A, B)의 시각적 외관을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controller 130 may display the visual appearance of the building graphic objects A and B included in the building status page 400 differently based on the evaluation status of a plurality of spaces constituting a specific building.

제어부(130)는 특정 건물을 이루는 복수의 공간 모두에 대해 평가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 특정 건물에 대응하는 건물 그래픽 객체(A, B)를 “평가 미완료(또는 제1 현황)에 대응하는 제1 시각적 외관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건물 현황 페이지(400)의 일 영역 상에 “평가 미완료”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ex: 평가 진행률: 35%)를 표시할 수 있다. When evaluation is not completed for all of a plurality of spaces constituting a specific building, the control unit 130 sets the building graphic objects A and B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building to “first evaluation corresponding to incomplete evaluation (or first status)”. It can be indicated by visual appearance. Alternatively, guide information (ex: evaluation progress rate: 35%) guiding “evaluation incomplete” may be displayed on one area of the building status page 400 .

이와 달리, 제어부(130)는 특정 건물을 이루는 복수의 공간 모두에 대해 평가가 완료된 경우, 특정 건물에 대응하는 건물 그래픽 객체(A, B)를 “평가 완료(또는 제2 현황)에 대응하는 제2 시각적 외관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건물 현황 페이지(400)의 일 영역 상에 “평가 완료”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ex: 평가 진행률: 100%)를 표시할 수 있다. In contrast, when evaluation is completed for all of a plurality of spaces constituting a specific building, the control unit 130 assigns the building graphic objects A and B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building to "the first corresponding to the completion of evaluation (or the second status)". 2 Can be indicated by visual appearance. Alternatively, guidance information (ex: evaluation progress rate: 100%) guiding “evaluation completion” may be displayed on one area of the building status page 400 .

제어부(130)는, 심사위원 계정으로부터 평가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근거하여 특정 공간의 평가 현황이 “평가 미완료(제1 현황)”에서 “평가 완료(제2 현황)”으로 변경되는 경우, 특정 공간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의 시각적 외관을, 제1 시각적 외관에서 제2 시각적 외관으로 변경(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30, based on receiving the evaluation information from the judges account, when the evaluation status of a specific space is changed from “evaluation incomplete (first status)” to “evaluation complete (second status)”, the specific space The visual appearance of the graphic object corresponding to may be changed (or updated) from the first visual appearance to the second visual appearance.

나아가, 제어부(130)는, 특정 공간의 평가 현황이 “평가 완료(제2 현황)”이 됨에 따라, 특정 공간을 포함하는 건물의 평가 현황이 “평가 미완료(제1 현황)”에서 “평가 완료(제2 현황)”으로 변경되는 경우, 특정 건물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의 시각적 외관을, 1 시각적 외관에서 제2 시각적 외관으로 변경(또는 업데이트) 할 수 있다. Furthermore, as the evaluation status of the specific space becomes “evaluation complete (second status)”, the controller 130 changes the evaluation status of the building including the specific space from “evaluation incomplete (first status)” to “evaluation complete.” (Second Status)”, the visual appearance of the graphic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building may be changed (or updated) from the first visual appearance to the second visual appearance.

한편,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특정 공간과 공간 타입이 동일한 다른 공간에 매칭된 평가 정보를,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또는 저장부)로부터 호출하여, 특정 공간의 평가 페이지(ex: “201 교실”의 평가 페이지, 500b) 상에 출력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7 , the controller 130 calls evaluation information matched to another space having the same space type as the specific space from the system (or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evaluate the specific space. It can be printed on a page (ex: evaluation page of “201 classroom”, 500b).

심사위원은 복수의 공간에 대한 현장 심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심사위원은, 공간 타입이 동일한 복수의 공간에 대해, 동일한 인증 심사 항목에 근거하여 평가가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교육시설에서, 공간 타입이 동일한 복수의 공간의 시설 관리는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Judges may conduct on-site screening of multiple spaces. In addition, the judges may evaluate a plurality of spaces of the same space type based on the same certification examination items. And, in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facility management of a plurality of spaces having the same space type may be performed similarly.

이에, 본 발명에서는 공간 타입이 동일한 복수의 공간을 평가하는 심사위원이, 복수의 공간에 대해 일일이 평가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고, 효율적으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특정 공간에 대한 평가 수행 시, 특정 공간과 동일 타입의 다른 공간에 매칭된 평가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valuation of a specific space is solved so that judges who evaluate a plurality of spaces of the same space type can solve the hassle of individually entering evaluation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spaces and efficiently perform evaluation. When evaluation is performed, a function of using evaluation information matched to a specific space and another space of the same type may be provided.

이를 위해, 도 5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평가 페이지(500b)상에, 점수 가져오기 기능 아이콘(501)을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점수 가져오기 기능 아이콘”은, 평가 정보 호출(또는 출력 또는 참조 또는 로드) 기능 아이콘으로도 명명될 수 있다. To this end, as shown in (b) of FIG. 5 , the controller 130 may include a score import function icon 501 on the evaluation page 500b.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re import function icon” may also be named as an assessment information call (or output or reference or load) function icon.

이하에서는, 공간 타입이 “교실 타입”으로 동일한 “201교실”, “401 교실” 및 “402 교실”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classroom 201”, “classroom 401” and “classroom 402” having the same space type as “classroom type” will be described as examples.

제어부(130), 특정 공간(ex: “201 교실”)의 평가 페이지(500b)에 포함된 기능 아이콘(501)이 선택되는 것에 근거하여, 심사위원 계정으로부터, 다른 공간의 평가 정보 출력 요청(또는 다른 공간의 평가 정보 제공 요청 또는 다른 공간의 평가 정보 참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Based on the selection of the function icon 501 included in the evaluation page 500b of the control unit 130, a specific space (ex: “classroom 201”), a request to output evaluation information of another space from the judges account (or A request for providing evaluation information in another space or a request for referencing evaluation information in another space) may be received.

도 7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심사위원 계정으로부터, 상기 다른 공간의 평가 정보 출력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근거하여, 특정 공간(ex: “201 교실”)의 공간 타입과 동일한 다른 공간(ex: “401 교실” 및 “402교실”) 의 공간 항목(710, 720)을 포함하는 공간 리스트(700)를, 평가 페이지(500b)상에 제공할 수 있다. As shown in (a) of FIG. 7, the control unit 130, based on receiving a request for outputting evalua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space from the judges account, space of a specific space (ex: “Classroom 201”) A space list 700 including space items 710 and 720 of different spaces (eg, “classroom 401” and “classroom 402”) of the same type may be provided on the evaluation page 500b.

이 경우, 제어부(130)는, 특정 공간과 공간 타입이 동일한 다른 공간 중 평가 정보가 매칭된 공간의 공간 항목만을, 공간 리스트(700) 상에 포함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30 may include, on the space list 700, only space items of spaces whose evaluation information is matched among other spaces having the same space type as a specific space.

예를 들어, “201호 교실”과 공간 타입이 “교실 타입”으로 동일한 “401호 교실” 및 “402호 교실” 중 “401호 교실”에는 평가 정보가 매칭되어 있으나, “402호 교실”에는 평가 정보가 매칭되어 있지 않다고 가정하자, 제어부(130)는 “401호” 공간 항목(710)만을 포함하는 공간 리스트(700)를 심사위원 계정에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among “Classroom 401” and “Classroom 402” with the same space type as “Classroom 201”, evaluation information is matched for “Classroom 401”, but “Classroom 402” has the same evaluation information. Assuming that the evaluation information is not matched, the control unit 130 may provide the space list 700 including only the “No. 401” space item 710 to the judge's account.

나아가, 제어부(130)는, 특정 심사위원 계정으로부터, 다른 공간의 평가 정보 출력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근거하여, 특정 공간과 공간 타입이 동일한 다른 공간 중 상기 특정 심사위원 계정의 평가 정보가 매칭된 공간의 공간 항목만을, 공간 리스트(700) 상에 포함시킬 수 있다. Further, the control unit 130 may, based on receiving a request for outputting evaluation information of another space from a specific judge account, among other spaces having the same space type as the specific space, the space in which the evalu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judge account is matched. Only space items of can be included on the space list 700 .

예를 들어, “401호 교실”에는 제1 심사위원 계정의 평가 정보가 매칭되어 있고, “402호 교실”에는 제2 심사위원 계정의 평가 정보가 매칭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제어부(130)는, 제1 심사위원 계정으로부터 상기 다른 공간의 평가 정보 출력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근거하여, “401호” 공간 항목(710)만을 포함하는 공간 리스트(700)를 제1 심사위원 계정에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evalu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judge account is matched in “Classroom 401” and the evalu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judge account is matched in “Classroom 402”. The control unit 130, based on receiving a request for outputting the evalua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space from the first judge account, displays the space list 700 including only the “No. 401” space item 710 to the first judge account. can be provided to

즉, 공간 리스트(700) 상에 표시되는 항목은, 상기 특정 심사위원 계정이 배정된 다른 공간의 공간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That is, the items displayed on the space list 700 may include space items of other spaces to which the specific judge account is assigned.

한편, 제어부(130)는, 공간 리스트(700)에 포함된 공간 항목(710, 720) 중 어느 하나(ex: 710)가 선택되는 것에 근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또는 저장부)로부터, 선택된 공간 항목(710)에 대응되는 공간(ex: “401 교실”)에 매칭된 평가 정보를 수신(호출 또는 로드(load)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30, based on the selection of any one (ex: 710) of the space items 710 and 720 included in the space list 700, from the system (or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aluation information matched to a space (ex: “401 classroom”)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pace item 710 may be received (called or loaded).

그리고, 도 7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특정 공간(ex: “201 교실”)의 평가 페이지(500b) 상에, 선택된 공간 항목(710)에 대응되는 공간에 매칭된 평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01호 교실”에 대한 “출입문 손끼임 장지 설치” 인증 심사 항목에 대해 “양호” 평가 정보가 매칭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201 교실”에 대한 “출입문 손끼임 장지 설치” 인증 심사 항목(531)에 대응하는 복수의 평가 항목 중, “양호 항목(532)”에 대응하는 체크 박스(532a)에 체크 표시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nd, as shown in (b) of FIG. 7 , the control unit 130 places the spac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pace item 710 on the evaluation page 500b of a specific space (ex: “classroom 201”). Matched evaluation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For example, if “good” evaluation information is matched for the certification examination item “installation of door jamming device” for “classroom 401”,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hand jamming at door door” for “classroom 201”. Among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corresponding to the certification examination item 531 of "device installation", the check box 532a corresponding to the "good item 532" can be controlled to be checked.

한편, 제어부(130)는 특정 공간의 평가 페이지(500b) 상에, 다른 공간의 평가 정보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심사위원 계정으로부터 상기 평가 정보와는 다른 평가 정보가 입력되는 것에 근거하여, 특정 공간에 대한 평가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30, based on input of evaluation information different from the evaluation information from the judge's account in a state where evaluation information of another space is being displayed on the evaluation page 500b of a specific space, determines You can update evaluation information about space.

즉, 심사위원은, 특정 공간의 평가 페이지(500b) 상에, 다른 공간의 평가 정보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다른 공간의 평가 정보를 변경하는 것 만으로, 특정 공간에 대한 평가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That is, judges can conveniently evaluate a specific space by simply changing the evaluation information of another space while the evaluation information of another space is being displayed on the evaluation page 500b of the specific space. can do.

한편,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평가 페이지(500a)에서, 특정 심사 인증 항목(511)에 대응하는 특정 영역(510) 상에, 상기 특정 심사 인증 항목(511)에 대한 심사위원의 의견 정보 입력이 가능한 의견 정보 영역(516)을 포함시킬 수 있다(도 5의 (a) 참조).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evaluation of the judges for the specific examination certification item 511 on the specific area 510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examination certification item 511 in the evaluation page 500a. An opinion information area 516 in which opinion information can be input may be included (see (a) of FIG. 5).

심사위원은, 특정 심사 인증 항목(511)과 관련된 평가 수행 시, 자유롭게 입력하고 싶은 의견이 있는 경우, 상기 의견 정보 영역(516)에 의견을 입력함으로써, 의견 정보를 평가 정보로서 입력할 수 있다. If the judges have opinions that they want to freely input when performing evaluation related to the specific evaluation certification item 511, they can enter the opinion information as evaluation information by inputting their opinions in the opinion information area 516.

한편, 심사위원이, 복수의 인증 심사 항목 각각에 대해 의견 정보를 모두 입력하는 경우, 심사 시간이 증가하고, 심사위원은 업무에 피로를 느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심사 인증 항목에 대해 선택된 평가 항목과 연계하여 의견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judges input all the opinion informa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certification examination items, the examination time increases and the judges may feel fatigued at work.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unction of automatically providing opinion in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evaluation items selected for examination and certification items.

도 8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인증 심사 항목(810)에 대응되는 복수의 평가 항목(821, 822, 823)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평가 항목(예를 들어, “양호”, 821)에 매칭된 기본 의견 정보(ex: “출입문 손끼임 방지 장치의 설치 상태가 양호함”)를, 의견 정보 영역(830)상에 출력할 수 있다. As shown in (a) of FIG. 8, the control unit 130, whe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821, 822, and 823 corresponding to the certification examination item 810 is selected, the selected evaluation item ( For example, basic opinion information (ex: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device to prevent getting caught in the door is good”) matched with “Good” 821 can be output on the opinion information area 830 .

제어부(130)는 특정 평가 항목(또는 특정 평가 항목에 대응되는 체크 박스)가 선택되는 것에 근거하여, 저장부(120)에 존재하는 매칭 정보를 참조하여, 특정 평가 항목에 매칭된 기본 의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Based on the selection of a specific evaluation item (or a check box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evaluation item), the control unit 130 refers to matching information existing in the storage unit 120 to obtain basic opinion information matched to a specific evaluation item. You can check.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매칭 정보”에는, 평가 항목 각각 마다에 서로 다른 기본 의견 정보가 매칭되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기본 의견 정보는, 평가 항목과 관련된 인증 심사 항목이 서로 다른 것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의견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matching information”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different basic opinion information may be matched and present for each evaluation item. Such basic opinion information may consist of different opinion information based on different evaluation items and related certification examination items.

도 8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인증 심사 항목(ex: “출입문 손끼임 방지 장치 설치”)에 대응하는 제1 평가 항목(ex: “양호”)에는 제1 기본 의견 정보(ex: “출입문 손끼임 방지 장치의 설치 상태가 양호함”)가 매칭되어 있고, 제2 평가 항목(ex: “미흡”)에는 제2 기본 의견 정보(ex: “출입문 손끼임 방지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음”)가 매칭되어 존재할 수 있다. As shown in (b) of FIG. 8 , the first evaluation item (ex: “good”) corresponding to the first certification examination item (ex: “Installation of a device to prevent hand pinching at the door”) includes the first basic opinion information ( ex: “The installation of the door jamming prevention device is in good condition”) is matched, and the 2nd evaluation item (ex: “Insufficient”) is the 2nd basic opinion information (ex: “The door hand trapping prevention device is installed. does not exist”) may match and exist.

나아가,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 인증 심사 항목과는 다른 제2 인증 심사 항목에 대응하는 평가 항목에는, 상기 제1 기본 의견 정보 및 상기 제2 기본 의견 정보와는 다른 내용을 포함하는 기본 의견 정보가 매칭되어 존재할 수 있다. Furthermore, although not shown, an evaluation item corresponding to a second certification review item different from the first certification review item includes basic opinion informa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basic opin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basic opinion information. Opinion information may be matched and present.

한편, 제어부(130)는, 의견 정보 영역(830) 상에 기본 의견 정보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심사위원 계정으로부터 상기 기본 의견 정보와는 다른 기본 의견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근거하여, 특정 인증 심사 항목에 대한 기본 의견 정보를, 상기 다른 기본 의견으로 변경(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30, in a state where basic opinion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opinion information area 830, based on receiving basic opinion information different from the basic opinion information from the judge account, specific certification examination Basic opinion information on an item may be changed (or updated) to other basic opinions.

한편,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건물 현황 페이지 상에, 전체 동의 기능이 연계된 동의 기능 아이콘(401)이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4 ,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a consent function icon 401 linked with all consent functions to be included on the building status page.

제어부(130)는, 특정 심사위원 계정으로부터 상기 동의 기능 아이콘(401)에 대한 선택이 수신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심사위원 계정이 배정되지 않은 미배정 공간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상기 특정 심사위원 계정과 매칭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Based on the selection of the consent function icon 401 being received from a specific judge account, the control unit 130 transmits evaluation information on an unassigned space to which the specific judge account is not assigned, the specific judge account It can be matched with an account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

제어부(130)는, 상기 미배정 공간에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평가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심사위원 계정과 관련된 상기 미배정 공간의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generate evaluation information of the unallocated space related to a specific judge account based on at least one piece of evaluation information matched to the unallocated space.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상기 미배정 공간에 배정된 복수의 다른 심사위원 계정의 평가 정보에 대한 평균 점수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심사위원 계정과 관련된 상기 미배정 공간의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may generate evaluation information of the unassigned space related to the specific judge account based on an average score of evalua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other judge accounts assigned to the unassigned space. can

한편, 제어부(130)는, 특정 심사위원 계정에 의해, 상기 특정 심사위원 계정이 배정된 배정 공간에 대한 평가가 모두 완료된 것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심사위원 계정으로 로그인된 전자기기(10) 상에, 활성화된 동의 아이콘(401)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30, based on the completion of evaluation of the assigned space to which the specific judge account is assigned by the specific judge account, on the electronic device 10 logged in with the specific judge account. , the activated consent icon 401 can be controlled to be output.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특정 심사위원 계정의 배정 공간 중 적어도 일부에 평가 정보가 매칭되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특정 심사위원 계정으로 로그인된 전자기기(10) 상에는, 비활성화 상태의 동의 아이콘(401)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30, when evaluation information is matched and does not exist in at least a part of the assigned space of a specific judge account, on the electronic device 10 logged in with the specific judge account, the consent icon in an inactive state ( 401) can be controlled to be output.

이와 달리, 제어부(130)는 특정 심사위원 계정의 배정 공간 모두에 평가 정보가 매칭되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특정 심사위원 계정으로 로그인된 전자기기(10) 상에는, 활성화 상태의 동의 아이콘(401)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contrast, when evaluation information is matched and exists in all assigned spaces of a specific judge account, the control unit 130 displays an active consent icon 401 on the electronic device 10 logged in with the specific judge account. output can be controlled.

즉, 제어부(130)는 특정 심사위원 계정으로부터 상기 배정 공간에 대한 평가 정보를 모두 수신한 경우에만, 상기 동의 기능 아이콘(401)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That is, the controller 130 may activate the consent function icon 401 only when all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assigned space is received from a specific judge account.

한편,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평가 페이지(500)상에, i) 인증 심사 항목(ex: “천장 부착물 고정 상태”, 511), ii) 상기 인증 심사 항목에 대응되는 평가 항목(ex: “양호”, “미흡”, “해당없음”, 512, 513, 514) 및 iii) 상기 복수의 평가 항목 각각에 대응하는 체크 박스(512a, 513a, 514a)가 포함되도록 구성하여, 심사위원 계정에 제공할 수 있다(도 5의 (a) 참조).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30, on the evaluation page 500, i) certification examination items (ex: “fixed state of the ceiling attachment”, 511), ii) evaluation items corresponding to the certification examination items (ex: “Good”, “Insufficient”, “N/A”, 512, 513, 514) and iii) Check boxes 512a, 513a, and 514a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are included, and the evaluation is performed. It can be provided to the member account (see (a) in FIG. 5).

제어부(130)는, 평가 항목이, “점수 정보(ex: “5점”, “3점”) 및 “레벨 정보(ex: “양호”, “미흡”, “상(上)”, “중(中)”, “하(下)”)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레벨 정보는, 지표 정보, 등급 정보, 단계 정보 등으로 명명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that the evaluation items are “score information (ex: “5 points”, “3 points”) and “level information (ex: “good”, “insufficient”, “high”, “medium”). (middle)” or “lower (lower)”). In the present invention, level information may be named indicator information, grade information, step information, and the like.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인증 심사 항목 각각에, 서로 다른 점수가 배정 점수가 매칭되어 존재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different scores may be matched with assigned scores for each certification examination item.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인증 심사 항목(910)에는, 제1 배정 점수(ex: 9점, 910a))가 매칭되어 있고, 제2 인증 심사 항목(920)에는 제2 배정 점수(ex: 6점, 920a)가 매칭되어 존재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 a first allocation score (ex: 9 points, 910a) is matched with the first certification review item 910, and a second certification review item 920 is matched. 2 assignment points (ex: 6 points, 920a) may be matched.

제어부(130)는, 특정 인증 심사 항목의 평가 항목이 레벨 정보로 이루어진 경우, 심사위원 계정에서 선택한 평가 항목을, 특정 인증 심사 항목에 매칭된 배정 정수에 근거하여, 점수 정보로 환산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convert the evaluation item selected from the judge's account into score information based on the assigned integer matched to the specific certification review item, when the evaluation item of the specific authentication review item is composed of level information.

예를 들어, 제1 인증 심사 항목에 제1 평가 항목(ex: “양호”) 및 제2 평가 항목(ex: “미흡”)이 매칭되어 존재하고, 제1 심사위원 계정에서 제1 평가 항목을 선택하였다고 가정하자. 제어부(130)는, 제1 심사위원 계정에서 선택한 제1 평가 항목을, 제1 인증 심사 항목에 매칭된 배정 점수에 근거하여, 점수 정보(ex: ”9점”, 911)으로 환산할 수 있다. For example, a first evaluation item (ex: “Good”) and a second evaluation item (ex: “Insufficient”) are matched in the first certification review item, and the first evaluation item is selected from the first judge’s account. Suppose you choose The controller 130 may convert the first evaluation item selected from the first judge account into score information (ex: “9 points”, 911) based on the assigned score matched with the first certification review item. .

나아가, 제어부(130)는, 특정 인증 심사 항목에 매칭된 복수의 점수 정보(911, 912)에 근거하여, 특정 인증 심사 항목에 대한 전체 점수 정보(913)을 산출(계산 또는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복수의 점수 정보(911, 912)의 평균 점수를 계산하여 전체 점수 정보(913)를 획득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control unit 130 may calculate (calculate or obtain) total score information 913 for a specific certification examination item based on the plurality of score information 911 and 912 matched to the specific certification examination item. . 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may obtain total score information 913 by calculating an average score of a plurality of score information 911 and 912 .

한편,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사진 첨부 기능 아이콘(515)이 포함되도록 평가 페이지(500)를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복수의 인증 심사 항목 마다에 대응되는 사진 첨부 기능 아이콘(515)이 포함되도록, 평가 페이지(500)를 생성할 수 있다(도 5의 (a) 참조)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30 may configure the evaluation page 500 to include a photo attachment function icon 515 . The control unit 130 may create the evaluation page 500 so that a photo attachment function icon 515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certification examination items is included (see FIG. 5(a)).

제어부(130)는, 심사위원 계정에서, 상기 사진 첨부 기능 아이콘(515)을 선택하여, 특정 인증 심사 항목의 평가 기준이 되는 현장 사진을 업로드(첨부)하는 것에 근거하여, 상시 심사위원 계정으로부터 현장 사진을 수신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30 selects the photo attachment function icon 515 in the judges account to upload (attach) an on-site photo that is an evaluation criterion for a specific certification evaluation item, You can receive photos.

제어부(130)는, 상기 현장 사진을, 상기 현장 사진과 관련된 특정 교육시설, 특정 인증 심사 항목, 특정 공간 및 특정 심사위원 계정 중 적어도 하나와 매칭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30 may match the on-site photo with at least one of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a specific certification screening item, a specific space, and a specific judge account related to the on-site photo, and store it in the storage unit 120.

한편,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심사위원 계정으로부터, 특정 교육시설과 관련하여, 복수의 인증 심사 항목에 대한 현장 사진을 복수개(ex: 200개)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정 교육시설과 관련된 복수의 현장 사진 중 기 설정된 개수(ex: 3개)를 특정하고, 특정된 현장 사진(620)을 이용하여 인증 심사 보고서(600)를 생성할 수 있다(도 6 참조).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ex: 200) on-site photos for a plurality of certification examination items in relation to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may be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judges' accounts. In the present invention, a predetermined number (ex: 3) of a plurality of field photos related to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may be specified, and a certification examination report 600 may be generated using the specified field photos 620 (Fig. see 6).

이하에서는 용어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특정 교육시설과 관련된 복수의 현장 사진을, “후보 현장 사진”으로 명명하고, 상기 후보 현장 사진 중 특정된 사진을 “최종 현장 사진(또는 특정 현장 사진)”으로 명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in order to avoid confusion of terms, a plurality of field photos related to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are named “candidate field photos”, and a specific photo among the candidate field photos is referred to as “final field photo (or specific field photo)”. let it be named

즉, 제어부(130)는, 복수의 후보 현장 사진 중 기 설정된 개수의 최종 현장 사진을 특정하고, 특정된 최종 현장 사진이 인증 심사 보고서(600)에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at is, the controller 130 may specify a preset number of final site photos among a plurality of candidate site photos, and control the specified final site photos to be included in the certification examination report 600 .

이를 위해, 도 10의 (a)에 도시된 것과 같 이, 제어부(130)는 심사위원 계정으로 로그인된 전자기기(10) 상에, 사진 선택 기능 아이콘(1010a, 1020a)를 포함하는 인증 심사 항목 리스트(1000)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증 심사 항목 리스트(1000)”는, 교육시설에 대한 인증 심사 결과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일 수 있다. To this end, as shown in (a) of FIG. 10, the control unit 130 displays authentication screening items including photo selection function icons 1010a and 1020a on the electronic device 10 logged in with the judges account. List 1000 can b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ertification examination item list 1000” may be a list including certification examination result information for educational facilities.

제어부(130)는, 인증 심사 항목 리스트(1000)에, 인증 심사 항목(1020, 1020) 각각에 대응되는 사진 선택 기능 아이콘(1010a, 1020a)을 표시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display photo selection function icons 1010a and 1020a corresponding to the authentication examination items 1020 and 1020, respectively, in the authentication examination item list 1000.

제어부(130)는, 심사위원 계정으로부터 복수의 기능 아이콘(1010a, 1020a) 중 어느 하나(ex: 1020a)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것에 근거하여, 도 10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택된 기능 아이콘(ex: 1020a)에 대응되는 평가 항목에 매칭된 후보 현장 사진(1021, 1022, 1023, 1024)을 심사위원 계정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상기 후보 현장 사진(1021, 1022, 1023, 1024)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을, 심사위원 계정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based on receiving a selection for any one (ex: 1020a) of the plurality of function icons 1010a and 1020a from the judges account, as shown in (b) of FIG. 10, selects Candidate field photos (1021, 1022, 1023, 1024) matched to the evaluation item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icon (ex: 1020a) may be provided to the judge's account. Also, the controller 130 may receive a selection of at least one of the candidate on-site photos 1021, 1022, 1023, and 1024 from the judge's account.

제어부(130)는, 특정 후보 현장 사진에 대한 심사위원 계정의 선택을 카운팅(counting)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제1 후보 현장 사진에 대한 심사위원 계정의 선택을 수신하는 경우, 제1 후보 현장 사진에 대한 선택을 “0”에서 “1”로 카운팅 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count selections of judges' accounts for a specific candidate on-site photo. For example, when receiving the selection of the judge's account for the first candidate on-site photo, the controller 130 may count the selection on the first candidate on-site photo from “0” to “1”.

제어부(130)는, 복수의 후보 현장 사진에 대한 카운팅 결과에 근거하여, 카운팅 정보가 가장 높은 기 설정된 개수(ex: 3개)의 후보 현장 사진을, 최종 현장 사진으로 특정할 수 있다. Based on the counting result of the plurality of candidate site photos, the controller 130 may specify a predetermined number (eg: 3) of candidate site photos having the highest counting information as final site photos.

한편, 본 발명에서는, 교육시설안정 인증 온라인 심사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가 교육시설안정 인증 심사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서비스 페이지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정보 제공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service page provided by the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online examination system 100, the service page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examination. . Hereinafter, various methods for intuitively providing information to a user will be described.

도 1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교육시설안정 인증 온라인 심사의 진행 상황, 심사 결과 및 심사 결과에 따른 대응 방안 중 적어도 하나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서비스 페이지(또는 건물의 현황 페이지, 400)에 포함된 공간 그래픽 객체(410 내지 450)의 시각적 외관을 서로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1A, the control unit 130 allows the user to intuitively recognize at least one of the progress of the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online examination, the examination result, and a countermeasure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result, so that the service page (or Visual appearances of the spatial graphic objects 410 to 450 included in the building status page 400 may be displayed differently.

제어부(130)는, 특정 공간에 매칭된 심사위원 계정으로부터 수신된 평가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공간의 공간 속성에 따라, 특정 공간의 공간 그래픽 객체의 시각적 외관을, 복수의 시각적 외관 중 어느 하나로 표시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displays the visual appearance of a spatial graphic object in a specific space as one of a plurality of visual appearances according to the spatial attributes of the specific space, based on the evalu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judge account matched to the specific space. can do.

저장부(120)에는, 복수의 공간 속성 각각에 서로 다른 시각적 외관에 매칭되어 존재할 수 있다. 제1 공간 속성에는 제1 시각적 외관이 매칭되어 있고, 제2 공간 속성에는 제2 시각적 외관이 매칭되어 있고, 제3 공간 속성에는 제3 시각적 외관이 매칭되어 있고, 제4 공간 속성에는 제4 시각적 외관이 매칭되어 존재할 수 있다. In the storage unit 120, each of a plurality of spatial attributes may be matched with different visual appearances. The first spatial attribute is matched with the first visual appearance, the second spatial attribute is matched with the second visual appearance, the third spatial attribute is matched with the third visual appearance, and the fourth spatial attribute is matched with the fourth visual appearance. Appearances may match and exist.

제1 공간 속성 내지 제4 공간 속성은 미리 정의되어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4개의 공간 속성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지만, 공간 속성의 개수 및 정의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The first to fourth spatial attributes may be predefined.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ur spatial attributes are classified and described, but it is natural that the number and definition of spatial attributes can be variously made.

제1 공간 속성은 인증 심사(또는 평가)가 시작되지 않은 공간으로, 심사위원 계정으로부터 수신된 평가 정보가 존재하지 않은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공간 속성을 갖는 공간(예를 들어, “201교실”)의 공간 그래픽 객체(420)는 제1 시각적 외관(예를 들어, “회색” 또는 “흰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The first space attribute may be understood as a space in which certification review (or evaluation) has not started and evalu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judge account does not exist. As shown in FIG. 11, a spatial graphic object 420 of a space having a first spatial attribute (eg, “classroom 201”) has a first visual appearance (eg, “gray” or “white”). can be displayed as

제2 공간 속성 내지 제4 공간 속성은 인증 심사(또는 평가)가 진행되거나 완료된 공간으로, 심사위원 계정으로부터 수신된 평가 정보가 존재하며, 평가 정보에 근거한 공간 안전 심사 결과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The second space attribute to the fourth space attribute are spaces where certification screening (or evaluation) has been conducted or completed, evalu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judges' accounts exists, and space safety evaluation results based on the evaluation information can be classified.

제어부(130)는, 특정 공간에 대한 평가 정보로부터 특정 공간의 안전 심사 결과를, “양호(또는 제1 결과)”, “안전(또는 제2 결과)” 및 “미흡(또는 제3 결과)” 중 어느 하나로 특정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the safety examination result of the specific space from the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specific space as "Good (or first result)", "Safe (or second result)", and "Insufficient (or third result)". Any one of them can be specified.

제어부(130)는 다양한 방법에 근거하여 특정 공간의 안전 심사 결과를, 복수의 결과 중 어느 하나로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i) 특정 공간에 대한 평가 정보 중 “양호” 또는 “미흡”의 개수(예를 들어, “양호”에 대응하는 평가 정보의 개수가 일정 개수 이상인지 또는 “미흡”에 대응하는 평가 정보의 개수가 일정 개수 이상인지), ii) 평가 정보에 대응되는 가중치(예를 들어, 인증 심사 항목별 배점)에 근거한 점수 정보), iii) “미흡” 요인 해결 가능 주체(예를 들어, 특정 교육시설에서 “미흡”에 대응되는 인증 심사 항목에 대한 개선이 가능한지 아니면 특정 교육시설 외 외부 주체에 의해 개선이 가능한지) 중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특정 공간의 안전 심사 결과를, “양호(또는 제1 결과)”, “안전(또는 제2 결과)” 및 “미흡(또는 제3 결과)” 중 어느 하나로 특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may specify the safety examination result of a specific space as one of a plurality of results based on various methods. 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i) the number of “good” or “insufficient” evaluation information for a specific space (eg, whether the number of evalu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goo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number or “insufficient”). ” whether or not the number of evalu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certain number exceeds a certain number), ii) score information based on the weight corresponding to the evaluation information (eg, allocating points for each certification review item), iii) a subject capable of resolving the “insufficient” factor ( For example, whethe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ertification review item corresponding to “insufficiency” in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or whether it can be improved by an external entity other than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the safety review result of a specific space, It can be specified as one of “good (or first result)”, “safe (or second result)” and “poor (or third result)”.

한편, 제2 공간 속성은, 평가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된 공간 안전 심사 결과가 “양호” 상태에 대응되는 공간으로, 제어부(130)는 평가 정보에 근거하여 공간에 대한 공간 안전 심사 결과가 “양호”로 특정되면, 도 1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공간 속성을 갖는 공간(예를 들어, “401교실”)의 공간 그래픽 객체(430)를 제2 시각적 외관(예를 들어, “노란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space attribute is a space corresponding to a state in which the space safety examination result specified based on the evaluation information is “good”, and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that the space safety examination result for the space is “good” based on the evaluation information. ”, as shown in FIG. 11A, the spatial graphic object 430 of the space having the second spatial attribute (eg, “401 classroom”) is set to a second visual appearance (eg, “yellow”). ) can be displayed.

제3 공간 속성은, 평가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된 공간 안전 심사 결과가 “안전” 상태에 대응되는 공간으로, 제어부(130)는 평가 정보에 근거하여 공간에 대한 공간 안전 심사 결과가 “안전”으로 특정되면, 도 1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3 공간 속성을 갖는 공간(예를 들어, “203교실”)의 공간 그래픽 객체(440)를 제3 시각적 외관(예를 들어, “초록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The third spatial attribute is a space in which the space safety examination result specified based on the evaluation information corresponds to a “safe” state, and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that the space safety examination result for the space is “safe” based on the evaluation information. If specified, as shown in FIG. 11A, a spatial graphic object 440 in a space having a third spatial attribute (eg, “classroom 203”) has a third visual appearance (eg, “green”). can be displayed

제4 공간 속성은, 평가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된 공간 안전 심사 결과가 “미흡” 상태에 대응되는 공간으로, 제어부(130)는 평가 정보에 근거하여 공간에 대한 공간 안전 심사 결과가 “미흡”으로 특정되면, 도 1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4 공간 속성을 갖는 공간(예를 들어, “304교실”)의 공간 그래픽 객체(450)를 제4 시각적 외관(예를 들어, “빨간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The fourth spatial attribute is a space corresponding to a state in which the space safety examination result specified based on the evaluation information is “insufficient”, and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that the space safety examination result for the space is “insufficient” based on the evaluation information. If specified, as shown in FIG. 11A, a spatial graphic object 450 in a space having a fourth spatial attribute (eg, “classroom 304”) is set to a fourth visual appearance (eg, “red”). can be displayed

한편, 도 11a에서는, 제1 시각적 외관 내지 제4 시각적 외관의 색상이 서로 다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 시각적 외관 내지 제4 시각적 외관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각적 외관 내지 제4 시각적 외관은, 사용자가 1 공간 속성 내지 제4 공간 속성 각각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제1 공간 속성 내지 제4 공간 속성 각각에 대응되는 대표 키워드(ex: “심사 진행 전”, “양호”, “안전”, “미흡”)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시각적 외관 내지 제4 시각적 외관 중 적어도 하나는, 하이라이팅(highlighting) 표시가 이루어질 수 있다. Meanwhile, in FIG. 11A , the colors of the first to fourth visual appearances are shown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the first to fourth visual appearances may be made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first to fourth visual appearances are representative keyword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to fourth spatial attributes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each of the first to fourth spatial attributes ( ex: “Before review”, “Good”, “Safe”, “Insufficient”). For anothe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fourth visual appearances may be highlighted.

한편, 특정 공간 그래픽 객체의 시각적 외관은, 특정 공간에 대한 안전 인증 심사가 진행되는 것에 근거하여,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특정 공간에 배정된 심사위원 계정으로부터 평가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특정 공간 그래픽 객체를 제1 시각적 외관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특정 공간에 배정된 제1 심사위원의 계정으로부터 평가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평가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공간의 공간 안전 심사 결과를 “양호”으로 특정한 경우, 특정 공간 그래픽 객체를 제1 시각적 외관에서 제2 시각적 외관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특정 공간에 배정된 제2 심사위원 계정으로부터 평가 정보를 더 수신하고, 제1 심사위원 계정 및 제2 심사위원 계정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평가 정보 모두에 근거하여 특정 공간의 공간 안전 심사 결과를 “안전”으로 특정한 경우, 특정 공간 그래픽 객체를 제2 시각적 외관에서 제3 시각적 외관으로 변경할 수 있다.Meanwhile, the visual appearance of a graphic object in a specific space may be changed based on the progress of a safety certification examination for a specific space. For example, when evaluation information is not received from a judge account assigned to a specific space, the controller 130 may display a graphic object of a specific space as a first visual appearance. In addition, when the control unit 130 receives evaluation information from the account of the first judge assigned to the specific space and specifies the space safety evaluation result of the specific space as “good” based on the received evaluation information, the specific space graphic An object may be changed from a first visual appearance to a second visual appearance. 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further receives evaluation information from the second judge account assigned to the specific space, and the space of the specific space based on both the evalu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each of the first judge account and the second judge account. When the safety review result is specified as “safe”, the specific spatial graphic object may be changed from the second visual appearance to the third visual appearance.

한편, 제어부(130)는, 특정 교육시설(또는 건물)을 이루는 복수의 공간 중 적어도 하나의 공간의 용도(예를 들어, 공간이 “교실”인지 “복도”인지 등) 및 안전 심사 결과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도 1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공간 그래픽 상에 공간 용도 정보 및 공간 안전 심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the purpose of at least one space among a plurality of spaces constituting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or building) (eg, whether the space is a “classroom” or “corridor”) and safety screening results to the user. As shown in FIG. 11B, at least one of space usage information and space safety review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space graphic so that can be intuitively recognized.

여기에서, 공간 용도 정보는, 공간의 용도를 표현하는 정보로, 공간 타입에 따른 공간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pace use information is information expressing the use of the space, and may include space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a space type.

그리고, 공간 안전 심사 정보는, 공간에 대한 심사위원의 평가에 근거하여, 공간에서 “미흡”에 대응하는 인증 심사 항목 또는 “양호”에 대응하는 인증 심사 항목을 나타내는 인증 심사 항목 이미지 정보로 이해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pace safety review information can be understood as certification review item image information indicating a certification review item corresponding to “insufficient” or a certification review item corresponding to “good” in the space based on the judges' evaluation of the space. can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저장부(120)에는, 공간 타입(ex: 교실 타입, 복도 타입, 화장실 타입, 행정실 타입, 체육관 타입, 기숙사 타입, 가스시설실 타입, 급식실 타입, 운동장 타입 등) 별 대표 이미지 정보(1210, 1220, 1230)이 매칭되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실 타입”에는 “교실 이미지 정보(1210)”가 매칭되어 있고, “복도 타입”에는 “복도 이미지 정보(1220)”가 매칭되어 있고, “운동장 타입”에는 “운동장 이미지 정보(1230)”가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As shown in FIG. 12, the storage unit 120 has a space type (ex: classroom type, hallway type, bathroom type, administrative room type, gym type, dormitory type, gas facility room type, cafeteria type, playground type, etc.) The star representative image information 1210, 1220, and 1230 may be matched and present. For example, “classroom image information 1210” is matched with “classroom type”, “corridor image information 1220” is matched with “corridor type”, and “playground image information (playground image information 1220)” is matched with “playground type” 1230)” may be matched.

그리고, 저장부(120)에는 공간 타입별 인증 심사 항목과 관련된 인증 심사 항목 이미지가 매칭되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실 타입”에는, “교실 출입문 손끼임 방지 장치 설치”에 대응되는 이미지(1211), “소화기 설치 및 유지 관리 설치”에 대응되는 이미지(1212)가 매칭되어 존재할 수 있다. “복도 타입”에는, “피난유도 등의 설치 및 관리 상태”에 대응되는 이미지(1221), “옥내 소화전 유지 관리 상태”에 대응되는 이미지(1222)가 매칭되어 존재할 수 있다. “운동장 타입”에는, “체육 기구 전도방지 조치 확인”에 대응되는 이미지(1231), “운동장 마감재 관리 점검 확인”에 대응되는 이미지(1232)가 매칭되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인증 심사 항목 이미지는, 인증 심사 항목의 “양호”상태에 대응되는 이미지일 수 있다. 즉, 인증 심사 항목에 대해 교육시설에서 지켜야 하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uthentication examination item images related to authentication examination items for each space type may be matched and present in the storage unit 120 . For example, in “classroom type”, an image 1211 corresponding to “installation of a device to prevent hand pinching at a classroom door” and an image 1212 corresponding to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fire extinguishers” may be matched and present. In “corridor type”, an image 1221 corresponding to “installation and management state of evacuation guidance, etc.” and an image 1222 corresponding to “indoor fire hydrant maintenance state” may be matched and present. In “playground type”, an image 1231 corresponding to “confirm measures to prevent tipping of sports equipment” and an image 1232 corresponding to “check management of playground finishing materials” may be matched and present. The certification examination item image may be an image corresponding to a “good” state of the authentication examination item. That is, the conditions to be observed in educational facilities may be included for the certification examination items.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특정 공간의 용도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특정 공간 그래픽 객체 상에, 특정 공간의 공간 타입에 매칭된 공간 타입 이미지 정보를 오버랩하여 표시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30 may overlap and display space type image information matched to the space type of a specific space on the graphic object of the specific space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 use of the specific space.

나아가,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특정 공간에 대한 심사위원의 평가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특정 공간 그래픽 객체 상에, 특정 공간의 공간 타입에 매칭된 인증 심사 항목 이미지 및 현장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오버랩하여 표시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control unit 130 may, on a graphic object of a specific space, at least one of the authentication screening item image and the on-site image matched to the space type of the specific space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 evaluation of the judges for the specific space. One can be displayed overlapping.

여기에서, 현장 이미지는, 특정 공간에 배정된 심사위원이 촬영한 특정 공간의 현장 사진으로 이해될 수 있다. Here, the on-site image may be understood as an on-site photo of a specific space taken by judges assigned to the specific space.

제어부(130)는 평가 정보와 함께 심사위원 계정으로부터 현장 이미지를 수신하면, 특정 공간과 현장 이미지를 서로 매칭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When the controller 130 receives the site image from the judge's account together with the evaluation information, the controller 130 may match the specific space and the site image to each other and store the image in the storage unit 120 .

이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특정 공간에 대해 개선해야 하는 사항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특정 공간에 대한 평가 정보가 “미흡”에 해당하는 인증 심사 항목의 인증 심사 항목 이미지 정보 및 현장 이미지 정보를 비교하여 표시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30 provides image information of authentication examination items for which evaluation information on a specific space corresponds to “insufficient”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items to be improved in a specific space, and On-site image information can be compared and displayed.

예를 들어, “401 교실”의 공간 그래픽 객체(430)에는, “401 교실”의 대한 평가 정보 중 미흡에 해당하는 인증 심사 항목의 인증 심사 항목 이미지 및 현장 이미지 정보를, “401 교실”의 공간 그래픽 객체(430)에 오버랩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space graphic object 430 of “Classroom 401”, among the evaluation information for “Classroom 401,” certification screening item images and on-site image information of certification screening items that are insufficient are included in the space of “Classroom 401.” It can overlap the graphic object 430.

한편, 도 11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서비스 페이지에 포함된 복수의 공간 그래픽 객체(410 내지 450) 중 특정 공간 그래픽 객체(450)에 대한 마우스 오버(Mouse hover, 이하에서는 “사용자 선택”이라 명명하여 설명)가 이루어지면, 특정 공간(ex: “304 교실”)의 공간 대표 이미지, 인증 심사 항목 이미지, 현장 사진(이하, 현장 이미지로 명명하여 설명) 중 적어도 하나를 서비스 페이지 상에 표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1C, the controller 130 may mouse over a specific spatial graphic object 450 among a plurality of spatial graphic objects 410 to 450 included in the service pa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user When the description by naming “selection”) is made, at least one of the space representative image of the specific space (ex: “Classroom 304”), the image of the certification screening item, and the site photo (hereinafter, named and described as the site image) is displayed on the service page. can be displayed on

이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특정 공간에 대한 “양호” 및 “미흡” 평가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양호”에 대응되는 인증 심사 항목 이미지와, “미흡”에 대응되는 인증 심사 항목 이미지(또는 현장 이미지)가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30 may intuitively recognize the evaluation of “Good” and “Insufficient” for a specific space, so that the image of the authentication examination item corresponding to “Good” and the authentication corresponding to “Insufficient” Screening item images (or field images) can be displayed separately.

예를 들어, “304 교실”의 공간 그래픽 객체(450)에 대한 사용자 선택이 이루어지면, 제어부(130)는 “304 교실”의 공간 그래픽 객체(450)의 주변에, “교실 타입”에 매칭된 인증 심사 항목 이미지(451 내지 457)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양호”에 대응되는 인증 심사 항목 이미지(451, 452, 453, 455)의 외곽(또는 테두리)는 실선으로 표시하고, “미흡”에 대응되는 인증 심사 항목 이미지(454, 456, 457)의 외곽(또는 테두리)는 점선으로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user selects the spatial graphic object 450 of “classroom 304”, the control unit 130 matches the “classroom type” around the spatial graphic object 450 of “classroom 304”. Authentication screening item images 451 to 457 may be displayed.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30 displays the outer edges (or borders) of the authentication examination item images 451, 452, 453, and 455 corresponding to “good” as solid lines, and displays the authentication examination item image corresponding to “insufficient” ( 454, 456, 457) may be displayed as a dotted line.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양호”에 대응되는 인증 심사 항목 이미지(451, 452, 453, 455)는 컬러(color) 이미지로 표시하고, “미흡”에 대응되는 인증 심사 항목 이미지(454, 456, 457)는 흑백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For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displays the authentication examination item images 451, 452, 453, and 455 corresponding to “good” as color images, and the authentication examination item image corresponding to “insufficient” ( 454, 456, 457) can be displayed as a black and white image.

한편,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서비스 페이지(400) 상에서, 특정 교육시설(또는 건물)을 이루는 복수의 공간 각각에 대한 공간 정보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공간 정보를 반영하여 공간 그래픽 객체를 구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130 creates a spatial graphic object by reflecting spatial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spatial informa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spaces constituting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or building) on the service page 400. can be configured.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공간 정보는, i) 공간이 위치한 건물 정보(ex: 건물명, “교사동”, “체육관동, “A”동), ii) 공간의 층수, iii) 공간의 공간명(또는 실이름), iv) 공간 타입((ex: 교실 타입, 복도 타입, 화장실 타입, 행정실 타입, 체육관 타입, 기숙사 타입, 가스시설실 타입, 급식실 타입 등), v) 공간 사이즈(또는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patial information includes: i) building information where the space is located (ex: building name, “Gyodong”, “gymnasium dong, “A” building), ii) number of floors of the space, iii) space name of the space (or room name), iv) space type (ex: classroom type, hallway type, bathroom type, administrative room type, gymnasium type, dormitory type, gas facility room type, cafeteria type, etc.), v) space size (or area) at least may contain one.

제어부(130)는, 공간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공간 그래픽 객체 각각의 사이즈(size), 오버랩되는 이미지를 서로 다르게 결정(구성)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differently determine (configure) the siz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patial graphic objects and overlapping images based on the spatial information.

제어부(130)는, 공간 사이즈 정보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공간 그래픽 객체 각각의 사이즈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공간은 제1 면적 정보를 갖고, 제2 공간은 제2 면적보다 작은 제2 면적 정보를 갖는다고 가정하자. 제어부(130)는 제1 공간의 공간 그래픽 객체를, 제2 공간의 공간 그래픽 객체보다 크게 표시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display the siz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patial graphic objects differently so as to correspond to the spatial size information.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space has first area information and the second space has second area information smaller than the second area. The controller 130 may display a spatial graphic object in the first space larger than a spatial graphic object in the second space.

그리고, 제어부(130)는 공간 타입에 대응되는 공간 대표 이미지를, 공간 그래픽 객체에 오버랩하여 표시할 수 있다. 공간 대표 이미지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may overlap and display a space representative image corresponding to the space type to the space graphic object. Since the space representative image has been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본 발명에서는 메타버스(metaverse)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교육시설안전 인증 심사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examination to the user by using a metaverse.

제어부(130)는, 특정 교육시설에 대한 건물 정보 및 공간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교육시설에 대한 가상 현실을 구성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configure a virtual reality for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based on building information and spac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건물 정보”에는, 건물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공간(실(室), Room, ex: 교실, 복도, 계단, 행정실, 체육관, 기숙사, 화장실, 가스시설실, 급식실 등)에 대한 “공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공간 정보는, 건물 정보에 포함되는 것으로, 건물 정보를 상위 개념, 공간 정보를 하위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건물 정보와 공간 정보를 서로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building information”, at least one space constituting the building (room, ex: classroom, hallway, stairs, administrative office, gymnasium, dormitory, toilet, gas facility room, cafeteria, etc.) It can include “spatial information” about In the present invention, spatial information is included in building information, and building information can be understood as an upper concept and space information as a lower concept.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building information and space information may be used interchangeably.

공간 정보에는, i) 공간이 위치한 건물 정보(ex: 건물명, “교사동”, “체육관동, “A”동), ii) 공간의 층수, iii) 공간의 공간명(또는 실이름), iv) 공간 타입((ex: 교실 타입, 복도 타입, 화장실 타입, 행정실 타입, 체육관 타입, 기숙사 타입, 가스시설실 타입, 급식실 타입 등), v) 공간 사이즈(또는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pace information includes i) building information where the space is located (ex: building name, “teacher building”, “gymnasium building, “A” building), ii) number of floors of the space, iii) space name (or real name) of the space, iv ) space type (ex: classroom type, hallway type, toilet type, administrative room type, gym type, dormitory type, gas facility room type, cafeteria type, etc.), v)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pace size (or area) there is.

제어부(130)는, 특정 공간에 대응되는 가상 공간(또는 가상 공간의 주변)에 사용자(또는 사용자에 대응되는 디지털 휴먼 또는 아바타)가 위치하면, 사용자가 특정 공간에 대한 안전 인증 심사 결과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인증 심사 항목에 대응되는 객체 주변에, 인증 심사 결과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When a user (or a digital human or avatar corresponding to the user) is located in a virtual space corresponding to a specific space (or around the virtual space), the controller 130 intuitively displays the safety certification examination result for the specific space. In order to check, certification examination result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around an object corresponding to a certification examination item.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출입문 손끼임 방지장치” 주변에, “출입문 손끼임 방지장치 설치” 인증 항목에 대응되는 평가 정보(예를 들어, “미흡” 또는 현장 사진)을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may display evalu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insufficient” or on-site photos) corresponding to the authentication item “installation of hand-trap prevention device for door” around the “hand-trap prevention device for door”. there is.

나아가, 제어부(130)는, “미흡”에 대응되는 객체를 하이라이팅으로 강조 표시하고, 사용자 액션(예를 들어, 객체 선택 또는 상세 정보 제공 요청)등이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미흡”에 대응되는 인증 심사 항목, 미흡으로 평가된 원인 정보, 개선을 위한 가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controller 130 highlights the object corresponding to “insufficient” by highlighting, and when there is a user action (eg, object selection or detailed information provision request), the controller 130 displays “insufficient” At least one of a certification examination item corresponding to ”, cause information evaluated as insufficient, and guide information for improvement may be provided to the user.

나아가,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특정 공간에 대응되는 가상 공간(또는 가상 공간의 주변)에 위치하면, 특정 공간에 매칭된 복수의 인증 심사 항목 중 “미흡”에 대응되는 인증 심사 항목들을 모아서 한번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미흡”에 대응되는 객체를 한번에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특정 공간에서 개선해야 하는 안전 인증 항목을 종합적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Furthermore, when the user is located in a virtual space (or around the virtual space) corresponding to a specific space, the controller 130 collects authentication evaluation items corresponding to “insufficient” among a plurality of authentication evaluation items matched to the specific space, and collects them at once. can provide 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may allow the user to comprehensively check safety certification items to be improved in a specific space by providing the user with objects corresponding to “insufficiency” at once.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교육시설안전 인증 온라인 심사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교육시설로부터 자체 평가서를 수신하며, 이를 통해 특정 교육시설에 대한 정보를 일일이 수집하지 않더라도, 정확한 정보에 근거하여 인증 심사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online examination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 a self-evaluation from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and through this, even if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is not collected individually, certification is based on accurate information. You can start the screening process.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교육시설안전 인증 온라인 심사 방법 및 시스템은, 자체 평가서에 포함된 건물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교육시설을 이루는 공간에 대한 평가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평가 페이지가, 상기 공간에 대한 심사를 수행하는 심사위원의 심사위원 전자기기에 표시되도록, 상기 평가 페이지를 상기 심사위원 전자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특정 교육시설에 현장 방문한 심사위원은, 평가 페이지로부터 공간 각각과 관련된 인증 심사 항목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를 참고하여, 공간 마다 서로 다른 인증 심사 항목을 기준으로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online examination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build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lf-evaluation, generates an evaluation page for a space constituting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and the evaluation page is located in the space. The evaluation p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judges' electronic devices so that they are displayed on the judges' electronic devices. Judges who visit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on-site can receive certification evaluation items related to each space from the evaluation page, and by referring to this, they can perform efficient and accurate evaluation based on different certification evaluation items for each space.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교육시설안전 인증 온라인 심사 방법 및 시스템은, 심사위원 전자기기를 통해 입력된 상기 공간에 대한 평가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복수의 심사위원들의 평가 정보를 신속하게 취합하고, 복수의 공간 각각을 기준으로 심시위원들의 평가 정보를 분류, 관리, 분석 및 이용하여 특정 교육시설에 대한 인증 심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online screening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evaluation information about the space input through the judges' electronic devices, quickly collects the evalua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judges, and By classifying, managing, analyzing, and using the evaluation information of the examination committee members on the basis of each space, the certification examination for a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accurately.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교육시설안전 인증 온라인 심사 방법 및 시스템은, 상기 평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공간을 포함한 상기 특정 교육시설에 대한 인증 심사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인증 심사 보고서는, 특정 교육시설에 대한 안전 관리 현황을 체계적으로 학인 및 비교 가능하게끔 제공되고, 특정 교육시설에서는, 개선이 필요한 사항을 인식하고 보완할 수 있어, 교육시설에 대한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다. Furthermore, the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online examination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a certification examination report for the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including the space based on the evaluation information. This certification review report is provided to systematically review and compare the safety management status of specific educational facilities, and in specific educational facilities, it is possible to recognize and supplement matters that need improvement, thereby improving the safety of educational facilities. can

한편, 위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컴퓨터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실행되며, 이러한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매체에 저장 가능한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executed by one or more processes in a computer and can be implemented as a program that can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나아가, 위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명령어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프로그램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r instructions in a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rogram.

한편,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Hard Disk Drive (HDD), Solid State Disk (SSD), Silicon Disk Drive (SDD),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there is

나아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저장소를 포함하며 전자기기가 통신을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서버 또는 클라우드 저장소일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터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서버 또는 클라우드 저장소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Furthermore,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a server or cloud storage that includes storage and can be accessed by electronic devices through communication. In this case, the computer may download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a server or cloud storage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컴퓨터는 프로세서, 즉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처리장치)가 탑재된 전자기기로서, 그 종류에 대하여 특별한 한정을 두지 않는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computer is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processor, that is,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its type.

한편,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통신부를 통해, 특정 교육시설의 교육시설 전자기기로 부터, 상기 특정 교육시설을 이루는 건물의 건물 정보, 상기 건물의 층(floor) 정보 및 상기 건물을 이루는 복수의 공간의 공간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자체 평가서를 수신하는 단계;
제어부에 의해, 상기 자체 평가서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공간마다에 대응되는 공간 그래픽 객체를 포함하는 건물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공간 그래픽 객체들 각각에 연계되는 공간 별 평가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공간 중 특정 공간에 배정된 심사위원의 심사위원 전자기기에서, 상기 공간 그래픽 객체 중 상기 특정 공간에 대응되는 공간 그래픽 객체가 선택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심사위원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특정 공간의 평가 페이지 출력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출력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공간의 평가 페이지가 상기 심사위원 전자기기에 표시되도록, 상기 특정 공간의 평가 페이지를 상기 심사위원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특정 공간의 평가 페이지를 통해 상기 특정 공간에 대한 상기 심사위원의 평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평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공간을 포함하는 상기 특정 교육시설에 대한 인증 심사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공간의 평가 페이지에는, 상기 특정 공간의 공간 타입에 매칭된 인증 심사 항목 및 상기 특정 공간의 평가에 이용되는 기능 아이콘이 포함되고,
상기 기능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특정 공간과는 다른 공간에 매칭된 평가 정보가 호출되어 상기 특정 공간의 평가 페이지 상에 표시되고,
상기 다른 공간은, 상기 특정 공간과 공간 타입이 동일하고, 상기 특정 공간에 배정된 심사위원과 동일한 심사위원이 배정된 공간이고,
상기 다른 공간에 매칭된 평가 정보는, 상기 다른 공간의 평가 페이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심사위원의 평가 정보이고,
상기 다른 공간의 평가 페이지에는, 상기 특정 공간의 평가 페이지에 포함된 인증 심사 항목과 동일한 인증 심사 항목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시설안전 인증 온라인 심사 방법.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from the educational facility electronic device of the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the building information of the building constituting the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the floor information of the building, and the space type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paces constituting the building itself. receiving an evaluation;
generating, by a controller, a building page including space graphic object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paces, based on the self-evaluation report;
generating, by the controller, an evaluation page for each space associated with each of the spatial graphic objects;
Based on the selection of a spatial graphic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pace from among the spatial graphic objects from the judges' electronic devices assigned to a specific space among the plurality of spaces by the control unit, the judge's electronic device is selected. receiving a request for outputting an evaluation page of the specific space from;
transmitting, by the control unit, the evaluation page of the specific space to the electronic device of judges based on the output request so that the evaluation page of the specific space is displayed on the electronic device of judges;
receiving, by the control unit, evaluation information of the judges for the specific space through an evaluation page of the specific space; and
Generating, by the control unit, a certification examination report for the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including the specific space based on the evaluation information;
The evaluation page of the specific space includes authentication screening items matched to the space type of the specific space and function icons used for evaluation of the specific space;
When the function icon is selected, evaluation information matched to a space different from the specific space is called and displayed on an evaluation page of the specific space;
The other space is a space that has the same space type as the specific space and is assigned the same judges as those assigned to the specific space;
The evaluation information matched to the other space is the evaluation information of the judges received through the evaluation page of the other space,
The evaluation page of the other space includes the same certification examination items as the certification examination items included in the evaluation page of the specific spa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간은,
제1 타입의 공간 및 상기 제1 타입의 공간과는 다른 제2 타입의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타입의 공간에 대한 평가 페이지와 상기 제2 타입의 공간에 대한 평가 페이지에는, 서로 다른 인증 심사 항목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시설안전 인증 온라인 심사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spaces,
A space of a first type and a space of a second type different from the space of the first type,
The evaluation page for the first type of space and the evaluation page for the second type of space include different certification examination item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입의 공간은 복도이고,
상기 제2 타입의 공간은 교실인 경우,
상기 제1 타입의 공간에 대한 평가 페이지에는 상기 복도의 너비 및 상기 건물의 이용자의 이동과 관련된 상기 인증 심사 항목이 포함되고,
상기 제2 타입의 공간에 대한 평가 페이지에는 출입문 손끼임 방지 장치 설치, 상기 공간 내 사고 예방 구조물 설치 및 사고 발생시 응급 대응 사항과 관련된 상기 인증 심사 항목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시설안전 인증 온라인 심사 방법.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type of space is a corridor,
If the second type of space is a classroom,
The evaluation page for the first type of space includes the authentication review items related to the width of the corridor and the movement of users of the building;
The evaluation page for the second type of space includes the certification examination items related to the installation of a door jamming prevention device, the installation of an accident prevention structure in the space, and emergency response in the event of an accident. metho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체 평가서에는, 상기 특정 교육시설에 대한 현장 심사 선호 날짜와 관련된 일정 정보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일정 정보 및 상기 공간 타입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심사위원을 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시설안전 인증 온라인 심사 방법.
According to claim 4,
The self-assessment further includes schedule information related to a preferred date for on-site screening for the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and allocating, by the control unit, at least one judge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paces based on the schedule information and the space type inform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공간에 대한 상기 심사위원의 평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심사위원이 배정된 배정 공간에 대한 평가 페이지에서 상기 인증 심사 항목에 대응되는 복수의 평가 항목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평가 항목을 상기 배정 공간에 대한 상기 평가 정보로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시설안전 인증 온라인 심사 방법.
According to claim 5,
In the step of receiving the evaluation information of the judges for the specific space,
Receiving the selected evaluation item as the evaluation information for the assigned space based on selection of one of a plurality of evaluation items corresponding to the certification evaluation item on the evaluation page for the assigned space to which the judge is assigned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online screen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 페이지에서 상기 특정 공간에 대응하는 공간 그래픽 객체는,
상기 특정 공간에 대한 평가 완료 여부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시각적 외관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시설안전 인증 온라인 심사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pace graphic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pace on the building page,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online screen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displayed in a different visual appearance based on whether the evaluation for the specific space is complet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교육시설에 대한 상기 인증 심사 보고서는,
상기 특정 교육시설을 이루는 상기 복수의 공간 모두에 대해 상기 심사가 완료되는 것에 근거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시설안전 인증 온라인 심사 방법.
According to claim 8,
The certification review report for the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An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online examin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generated based on the completion of the examination for all of the plurality of spaces constituting the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특정 교육시설의 교육시설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특정 교육시설을 이루는 건물의 건물 정보, 상기 건물의 층(floor) 정보 및 상기 건물을 이루는 복수의 공간의 공간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자체 평가서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자체 평가서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공간마다에 대응되는 공간 그래픽 객체를 포함하는 건물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공간 그래픽 객체들 각각에 연계되는 공간 별 평가 페이지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교육시설의 심사를 수행하는 심사위원의 심사위원 전자기기에서 상기 건물 페이지에 포함된 상기 공간 그래픽 객체 중 특정 공간에 대응되는 공간 그래픽 객체가 선택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심사위원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특정 공간의 평가 페이지 출력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출력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공간의 평가 페이지가 상기 심사위원의 심사위원 전자기기에 표시되도록, 상기 특정 공간의 평가 페이지를 상기 심사위원 전자기기로 전송하며,
상기 특정 공간의 평가 페이지에는, 상기 특정 공간의 공간 타입에 매칭된 인증 심사 항목 및 상기 특정 공간의 평가에 이용되는 기능 아이콘이 포함되고,
상기 기능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특정 공간과는 다른 공간에 매칭된 평가 정보가 호출되어 상기 특정 공간의 평가 페이지 상에 표시되고,
상기 다른 공간은, 상기 특정 공간과 공간 타입이 동일하고, 상기 특정 공간에 배정된 심사위원과 동일한 심사위원이 배정된 공간이고,
상기 다른 공간에 매칭된 평가 정보는, 상기 다른 공간의 평가 페이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심사위원의 평가 정보이고,
상기 다른 공간의 평가 페이지에는, 상기 특정 공간의 평가 페이지에 포함된 인증 심사 항목과 동일한 인증 심사 항목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시설안전 인증 온라인 심사 시스템.
A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a self-evaluation including building information of a building constituting the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floor information of the building, and space type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spaces constituting the building, from the educational facility electronic device of the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 and
Based on the self-assessment, creating a building page including spatial graphic object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paces;
A control unit generating an evaluation page for each space associated with each of the spatial graphic objects;
The control unit,
Based on the selection of a space graphic objec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space from among the space graphic objects included in the building page in the judge electronic device of the judge performing the evaluation of the specific educational facility, the judge electronic device Receive a request for outputting an evaluation page in a specific space,
Transmitting the evaluation page of the specific space to the judge's electronic device so that the evaluation page of the specific space is displayed on the judge's electronic device of the judge based on the output request;
The evaluation page of the specific space includes authentication screening items matched to the space type of the specific space and function icons used for evaluation of the specific space;
When the function icon is selected, evaluation information matched to a space different from the specific space is called and displayed on an evaluation page of the specific space;
The other space is a space that has the same space type as the specific space and is assigned the same judges as those assigned to the specific space;
The evaluation information matched to the other space is the evaluation information of the judges received through the evaluation page of the other space,
An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online examin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evaluation page of the other space includes the same certification examination items as those included in the evaluation page of the specific space.
KR1020230006814A 2023-01-17 2023-01-17 Online audit method and system for education facility safty certification KR1025294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6814A KR102529437B1 (en) 2023-01-17 2023-01-17 Online audit method and system for education facility safty certif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6814A KR102529437B1 (en) 2023-01-17 2023-01-17 Online audit method and system for education facility safty certif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9437B1 true KR102529437B1 (en) 2023-05-04

Family

ID=86379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6814A KR102529437B1 (en) 2023-01-17 2023-01-17 Online audit method and system for education facility safty certif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43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4979A (en) * 2015-09-21 2017-03-30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Mobile pc-based device equipped with building safety inspections and precision diagnostics app
KR20180059059A (en) * 2016-11-25 2018-06-04 (주)지홈 An industrial safety menagemnt service system using QR code For Claasified user
KR102421223B1 (en) * 2022-05-24 2022-07-14 송예식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serious accident in idustrial site
KR20220151263A (en) * 2021-05-06 2022-11-15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SAFETY INSPECTION SYSTEM FOR STRUCTURE USING SMART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4979A (en) * 2015-09-21 2017-03-30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Mobile pc-based device equipped with building safety inspections and precision diagnostics app
KR20180059059A (en) * 2016-11-25 2018-06-04 (주)지홈 An industrial safety menagemnt service system using QR code For Claasified user
KR20220151263A (en) * 2021-05-06 2022-11-15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SAFETY INSPECTION SYSTEM FOR STRUCTURE USING SMART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THe SAME
KR102421223B1 (en) * 2022-05-24 2022-07-14 송예식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serious accident in idustrial si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ong et al. Modeling occupancy and behavior for better building design and operation—A critical review
Woo et al. Virtual retrofit model for aging commercial buildings in a smart grid environment
CN102043401B (en) Intra-area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and intra-area environmental control method
Abuimara et al. Towards occupant-centric simulation-aided building design: a case study
Mridha Living in an apartment
Dorrah et al. Integrated multi-objective optimization and agent-based building occupancy modeling for space layout planning
US20170030607A1 (en) Environment control system
Akanmu et al. Automated checking of building component accessibility for maintenance
KR101276672B1 (en) Intelligent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system based on location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Ceccarini et al. A data visualization exploration to facilitate a sustainable usage of premises in a smart campus context
Hamida et al. Post occupancy evaluation of adaptively reused buildings: case study of an office building in Saudi Arabia
KR20210106821A (en) Interior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ior service
KR102529437B1 (en) Online audit method and system for education facility safty certification
Zhang et al. Ex-ante online risk assessment for building emergency evacuation through multimedia data
Shen A BIM-based Pre-occupancy Evaluation Platform (PEP) for facilitating designer-client communication in the early design stage
KR20220147817A (en) Simulation training and evaluation system for fire fighting activity on-scene command system
US118102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ublic housing evaluation
Hassanain et al. An assessment of users’ satisfaction with a smart building on university campus through post-occupancy evaluation
Hatoum et al. Lean methods to improve end user satisfaction in higher education buildings
KR20140122093A (en) Assessment apparatus of living quality for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 living space and method thereof
Park et al. Integration of fire safety and building design
KR102059579B1 (en)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report of disaster occurrence
Adama et al. Towards examining the social implications of technology adoption on the well-being of facilities management professionals
KR102046072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diagonostic assessment of old building
Kährik Tackling social exclusion in European neighbourhoods: experiences and lessons from the NEHOM proj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