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968B1 - Pdi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Pdi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968B1
KR102528968B1 KR1020210012866A KR20210012866A KR102528968B1 KR 102528968 B1 KR102528968 B1 KR 102528968B1 KR 1020210012866 A KR1020210012866 A KR 1020210012866A KR 20210012866 A KR20210012866 A KR 20210012866A KR 102528968 B1 KR102528968 B1 KR 102528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spection
guide
exterior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2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9625A (ko
Inventor
김종배
Original Assignee
케이앤피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앤피로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앤피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2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968B1/ko
Publication of KR20220109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9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01B11/2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by projecting a pattern, e.g. one or more lines, moiré fringes on the object
    • G01B11/2518Projection by scanning of the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DI(Pre-Delivery Inspection)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차량 입구, 차량 출구 및 상기 차량 입구와 차량 출구 사이에 있는 차량검사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차량검사공간을 경유하여 상기 차량 입구에 있는 출발지 및 상기 차량 출구에 있는 도착지 간의 왕복 경로를 포함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의 이동 과정 동안 복수의 정지 지점들 각각에서 상기 차량검사공간의 특정 방향을 향해 촬영하여 복수의 차량 부분 이미지들을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복수의 차량 부분 이미지들을 분석하여 차량의 외관에 존재하는 흠결을 검사하는 차량 외관 검사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PDI 검사 장치{Pre-Delivery Insp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PDI(Pre-Delivery Inspection) 검사 기술에 관한 것으로, 차량검사공간에 있는 차량의 외관을 촬영하여 차량 외관 검사를 신속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PDI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PDI(Pre-Delivery)는 차량을 출고하기 전 내/외관 검사 및 광택작업을 하는 사전 검사를 말한다.
PDI 센터에서의 작업은 세차와 검차, 정비 및 교환, 광택, 최종 점검의 다섯 가지 순서로 진행된다. 이때, 차에 생겼을지 모를 흠결을 찾아내는 게 PDI 센터의 몫이다. 출고 주문이 들어오면 PDI 공정이 시작되는 데, 우선 차를 닦는다. 차 바깥의 비닐 포장을 빠짐없이 제거한 뒤 고압 살수기로 말끔히 씻는다. 초벌 세차를 끝낸 뒤 중성 세제를 뿌려 비닐에서 묻은 끈끈이를 없앤 뒤 다시 한번 고압으로 닦아 낸다. 세차를 마치면 검차 과정에 들어간다. 검차 과정에서 차 둘레에 복수의 검사 인원들이 배치되어 육안으로 흠집이 생긴 부분을 일일이 찾아내어 스티커를 부착하고 검사 내역서를 수기로 작성하기 때문에 차량 색상이나 부위에 따라 잘 보이지 않는 부분의 흠집은 찾아내기 어려우며 검사 결과를 신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차량 출고 후 고객에게 인도되는 과정에서 발견된 흠집 등의 외관 결함에 대해 출고 전 또는 탁송 과정에서 생긴 것인지 정확히 알기 어려워 분쟁의 소지가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89295호 (2009.03.11)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검사공간에 있는 차량의 외관을 촬영하여 차량 외관 검사를 신속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PDI 검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검사공간을 경유하는 가이드를 아치 형상으로 형성하여 가이드의 이동 과정에서 복수의 차량 부분 이미지들을 생성하고 차량 부분 이미지 확대를 통해 정밀한 차량 외관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PDI 검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차량 부분 이미지들 분석을 통해 차량의 외관에 존재하는 흠결을 검사하고 흠결의 위치를 복수의 차량 부분 이미지들 각각에 수정 불가능 하게 기록하여 사후 점검을 수행할 수 있는 PDI 검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PDI(Pre-Delivery Inspectiom) 검사 장치는 차량 입구, 차량 출구 및 상기 차량 입구와 차량 출구 사이에 있는 차량검사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차량검사공간을 경유하여 상기 차량 입구에 있는 출발지 및 상기 차량 출구에 있는 도착지 간의 왕복 경로를 포함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의 이동 과정 동안 복수의 정지 지점들 각각에서 상기 차량검사공간의 특정 방향을 향해 촬영하여 복수의 차량 부분 이미지들을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복수의 차량 부분 이미지들을 분석하여 차량의 외관에 존재하는 흠결을 검사하는 차량 외관 검사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출발지 및 상기 도착지 간에 이동되면서 상기 차량의 정면, 양측면 및 후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아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출발지에서 상기 도착지까지 상기 차량의 전면, 상면 및 후면을 촬영하도록 형성되는 제1 가이드, 상기 출발지에서 상기 도착지까지 상기 차량의 좌면을 촬영하도록 형성되는 제2가이드, 및 상기 출발지에서 상기 도착지까지 상기 차량의 우면을 촬영하도록 형성되는 제3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인접한 정지 지점들 간에 있는 해당 차량 부분 이미지들이 서로 오버랩 영역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복수의 정지 지점들 중 하나에서 정지되면 상기 차량검사공간의 중심을 향하는 해당 카메라 각도를 산출하고 상기 해당 카메라 각도에서 상기 차량을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특정 차량 부분 이미지에서 상기 차량의 흠결이 검출되면 해당 차량 부분 이미지를 확대하여 상대적으로 정밀한 차량 외관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특정 차량 이미지가 확대되면 상기 차량에 대해 다른 파장 대역의 조명으로 상기 특정 차량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외관 검사모듈은 상기 흠결의 존재가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흠결의 위치를 상기 복수의 차량 부분 이미지들 각각에 수정 불가능 하게 기록하여 차량검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DI 검사 장치는 차량검사공간에 있는 차량의 외관을 촬영하여 차량 외관 검사를 신속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DI 검사 장치는 차량검사공간을 경유하는 가이드를 아치 형상으로 형성하여 가이드의 이동 과정에서 복수의 차량 부분 이미지들을 생성하고 차량 부분 이미지 확대를 통해 정밀한 차량 외관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DI 검사 장치는 복수의 차량 부분 이미지들 분석을 통해 차량의 외관에 존재하는 흠결을 검사하고 흠결의 위치를 복수의 차량 부분 이미지들 각각에 수정 불가능 하게 기록하여 사후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PDI 검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PDI 검사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PDI 검사 장치의 필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있는 카메라 모듈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DI 검사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PDI(Pre-Delivery Inspection) 검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PDI 검사 시스템(100)은 차량(110), PDI 검사 장치(130) 및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10)은 엔진에 의해 생산된 동력을 이용하여 승객이나 화물을 운반하는 교통수단으로서 대표적인 예로서 자동차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차량(110)은 자동차 제조공장에서 생산된 완성차를 TP수송 장비를 이용해 출고센터로 수송하기 전이나 고객에게 인도하기 전의 검사 대상에 해당할 수 있다.
PDI 검사 장치(130)는 차량(110)의 외관에 관한 흠결을 PDI(Pre-Delivery Inspection) 검사하고 검사 결과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PDI 검사 장치(130)는 차량(110)의 외관에 존재하는 흠결을 검사할 수 있다. 여기에서, PDI 검사 장치(130)는 차량 외관의 조립상태를 검사하여 이음새 부분의 단차가 없는지, 틈새의 균일도는 일정한지, 차량 외관의 밸런스는 정확한지를 확인할 수 있고 도장면이 고르지 않거나 혹시나 있을지 모르는 스크래치 및 유리의 흠집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PDI 검사 장치(130)는 차량(110)의 외관 검사에 필요한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DI 검사 장치(130)는 카메라 센서, 조명 센서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PDI 검사 장치(130)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이동가능한 형태로 구현되어 검사 과정에서 자유롭게 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다. 한편, PDI 검사 장치(130)는 차량(110)을 고정된 장소에 위치시키면 일렬의 검사 시나리오에 따라 다양한 항목에 대한 검사를 순차적 또는 동시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의 일 구성요소로 포함되어 동작할 수 있고, 그 결과를 통합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PDI 검사 장치(130)는 하우징 형태의 차량검사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차량(110)이 차량검사공간에 진입하면 차량검사공간에 위치하는 차량(110)에 대하여 이동하면서 차량(110)을 부분 촬영하여 촬영된 복수의 차량 부분 이미지들을 기초로 차량(110)의 외관 흠결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PDI 검사 장치(130)는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150)와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와 독립적으로 구현된 경우 PDI 검사 장치(130)는 데이터베이스(15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차량(110)의 외관에 관한 PDI 검사를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차량(110) 및 외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외관 PDI 검사를 위한 검사 규정 및 조건에 관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110)의 외관 PDI 검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PDI 검사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PDI 검사 장치(13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PDI 검사 장치(130)가 동작하는 과정에서의 각 단계들을 처리하는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그 과정 전반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PDI 검사 장치(13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PDI 검사 장치(13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rive)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PDI 검사 장치(13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PDI 검사 장치(130)는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PDI 검사 장치의 필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PDI 검사 장치(130)는 하우징(310), 가이드(330), 카메라 모듈(350), 차량 외관 검사모듈(370) 및 제어모듈(도면에 미표시함)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차량 입구, 차량 출구 및 차량 입구와 차량 출구 사이에 있는 차량검사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검사공간은 차량(110)의 외관에 관한 PDI 검사가 이루어지는 공간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310)은 일정 길이와 너비 및 높이를 가지며 차량(110)의 진입과 진출이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하우징(310)은 차량 입구와 차량 출구 사이에 일정길이 이상의 여유공간을 확보하여 차량검사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차량의 진입 및 진출에 지장이 없도록 입구 및 출구를 별도로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330)은 차량검사공간을 경유하여 차량 입구에 있는 출발지 및 차량 출구에 있는 도착지 간의 왕복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330)은 하우징(310)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차량검사공간을 중심으로 아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330)에는 차량검사공간에 있는 차량(110)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350)이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330)는 카메라 모듈(350)이 출발지 및 도착지 간에 이동되면서 차량(110)의 정면, 양측면 및 후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되,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차량(110)의 전면, 상면 및 후면을 촬영하도록 형성되는 제1 가이드(331),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차량(110)의 좌면을 촬영하도록 형성되는 제2 가이드(333) 및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차량(1100의 우면을 촬영하도록 형성되는 제3 가이드(33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및 제3 가이드(333,335)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330)는 제1 가이드(331)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제2 가이드(333)와 제3 가이드(335)가 연결되는 단일체로 형성하거나 또는 제1 가이드(331)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제2 가이드(333)와 제3 가이드(335)를 독립체로 배치할 수도 있다. 가이드(330)는 출발지와 도착지 간의 왕복 경로를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재(33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동부재(337)는 차량검사공간의 지면에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모터의 동력을 제공받아 가이드홈을 따라 가이드(330)를 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메라 모듈(350)은 가이드(330)의 이동 과정 동안 복수의 정지 지점들 각각에서 차량검사공간의 특정 방향을 향해 촬영하여 복수의 차량 부분 이미지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350)은 아치 형상의 가이드(330) 상에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카메라들이 배치되어 가이드(33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여기에서, 카메라 모듈(350)은 가이드(330)의 이동에 의해 출발지와 도착지 간에 이동하면서 차량검사공간에 있는 차량(110)의 정면, 양측면 및 후면을 부분 촬영하여 복수의 차량 부분 이미지들을 생성할 수 있다. 복수의 차량 부분 이미지들은 차량(110)의 외관에 관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카메라 모듈(350)은 27대의 카메라를 가이드(330)에 고정 배치할 수 있고, 카메라 대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카메라 해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350)은 차량의 길이 및 높이가 다른 차종에 기초하여 가이드(330)에 배치된 복수의 카메라들을 택일적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350)은 인접한 정지 지점들 간에 있는 해당 차량 부분 이미지들이 서로 오버랩 영역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350)은 복수의 정지 지점들 중 하나에서 정지되면 차량검사공간의 중심을 향하는 해당 카메라 각도를 산출하고 해당 카메라 각도에서 차량을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들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350)은 가이드(33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왕복 경로 상에 기설정된 복수의 정지 지점들에서 일정시간 정지하는 동안 차량검사공간에 있는 차량(110)을 촬영할 수 있다. 여기에서, 카메라 모듈(350)은 제1 가이드(331) 상에 고정 설치되는 카메라들을 통해 차량(110)의 전면, 상면 및 후면의 순으로 또는 후면, 상면 및 전면의 순으로 촬영할 수 있고, 제2 가이드(333) 상에 고정 설치되는 카메라들을 통해 차량(110)의 좌면을 부분 단위로 촬영할 수 있고, 제3 가이드(335) 상에 고정 설치되는 카메라들을 통해 차량(110)의 우면을 부분 단위로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350)은 차량검사공간의 중심 좌표와 해당 카메라 원점 좌표 사이의 직선 거리를 토대로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통해 카메라 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350)은 특정 차량 부분 이미지에서 차량(110)의 흠결이 검출되면 해당 차량 부분 이미지를 확대하여 상대적으로 정밀한 차량 외관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350)은 특정 차량 부분 이미지에서 차량(110)의 흠결이 검출되면 해당 차량 부분 이미지를 확대하여 확대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110)의 외관에 존재하는 미세 흠결까지도 크게 확대되어 쉽게 찾아낼 수 있다. 여기에서, 카메라 모듈(350)은 특정 차량 이미지가 확대되면 차량(110)에 대해 다른 파장 대역의 조명으로 특정 차량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카메라 모듈(350)은 하우징(310) 내 차량검사공간에 있는 차량(110)에 대하여 조명을 제공할 수 있는 조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재는 차량(110)이 차량검사공간에 진입하면 색온도를 가변하면서 차량검사공간을 중심으로 차량(110)에 대하여 스포트라이팅(Spot Lighting)을 제공할 수 있다. 조명부재는 차량검사공간의 중심을 향하여 조명을 제공하도록 차량(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LED(Light Emitting Diodes)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LED들은 가이드(330)를 따라 아치 형상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하우징(310)의 천장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LED들이 가이드(330) 상에 배치된 경우에는 카메라 각도에 맞춰 조명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복수의 LED들이 하우징(310)의 천장에 고정 설치된 경우에는 차량검사공간의 중심을 향하여 조명이 제공되도록 조명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조명부재는 카메라 모듈(350)에서 특정 차량 이미지의 확대 과정에서 차량(110)에 대해 다른 파장 대역의 조명으로 특정 차량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색온도를 변경하면서 차량(110)에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명부재는 복수의 LED의 색온도를 카메라 모듈(350)의 이미지 확대 단계에 따라 제1 기준온도에서 제2 기준온도까지 단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색온도는 광원의 색을 절대온도를 이용하여 숫자로 표기한 것을 말한다. 낮은 색온도의 켈빈수치는 빛의 색상이 붉은 색에 가깝고 높은 색온도의 켈빈수치는 파란색에 가까운 색상을 띠게 된다. 조명부재는 차량(110)의 색상을 고려하여 LED 조명의 색온도 변경 범위가 조절될 수 있다. LED 조명의 색온도가 달라지면 차량(110)에 입사하는 파장의 비율이 달라져 색보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조명부재는 차량검사공간 내 색보임이 잘 나타나도록 하기 위해서 차량(110)의 색상별 적합한 색온도 및 색온도의 가변 범위가 정해질 수 있다.
차량 외관 검사모듈(370)은 복수의 차량 부분 이미지들을 분석하여 차량의 외관에 존재하는 흠결을 검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 외관 검사모듈(370)은 흠결의 존재가 검출된 경우에는 흠결의 위치를 복수의 차량 부분 이미지들 각각에 수정 불가능 하게 기록하여 차량검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차량검사 데이터베이스는 차량 외관 검사모듈(370)의 내부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독립적인 데이터베이스(15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 외관 검사모듈(370)은 차량검사공간에 진입한 차량(110)의 외관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차량 외관 검사모듈(370)은 차량(110) 외관의 긁힘, 균열, 부서진 흔적, 흠집, 변색 등 외관 흠결을 검사할 수 있다. 차량 외관 검사모듈(370)은 가이드(330)의 이동 과정에서 카메라 모듈(340)을 통해 생성한 복수의 차량 부분 이미지들을 분석하여 차량(110)의 외관 어디에 어떤 흠결이 존재하는 지를 정확하고 빠르게 검사할 수 있다.
차량 외관 검사모듈(370)은 흠결의 존재가 검출된 특정 차량 부분 이미지를 차량검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 차량(110)의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 외관 검사모듈(370)은 차량(110)에 있는 전자식 또는 광학식 태그를 판독하여 차량(110)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는 차량 정보 검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정보 검출부재는 차량검사공간에 있는 차량(110)에 부착된 태그를 판독하여 차량(110)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 정보 검출부재는 차량 입구 또는 출구에, 또는 차량검사공간에 배치되어 차량(110)이 차량 입구를 통해 하우징(310) 내 차량검사공간으로 진입하거나 차량 출구를 통해 하우징(310) 내 차량검사공간에서 진출하는 과정에서 또는 차량검사공간에서 검사하는 과정에서 차량(110)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차량(110)에 부착된 태그에는 적어도 차량 종류(차종) 및 차량 색상을 포함하는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여기에서, 태그는 전자식 또는 광학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차량 정보 검출부재는 차량(110)에 전자식 태그가 부착된 경우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110)에 부착된 태그를 판독하여 차량의 정보를 검출하고, 차량(110)에 광학식 태그가 부착된 경우 광학적 스캐닝을 통해 차량(110)에 부착된 태그를 판독하여 차량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바코드 또는 QR 코드 스캔 방식인 경우에는 차량 정보 검출부재는 차량(110)에 부착된 태그를 스캔하여 태그에 기록된 차량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RFID 방식인 경우에는 차량 정보 검출부재는 차량(110)에 부착된 태그와 무선 통신을 통해서 태그로부터 차량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 외관 검사모듈(370)은 검출한 차량(110)의 정보와 함께 복수의 차량 부분 이미지들을 차량검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저장된 차량의 정보 및 복수의 차량 부분 이미지들을 기초로 사후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모듈은 PDI 검사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가이드(330), 카메라 모듈(350) 및 차량 외관 검사모듈(35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있는 카메라 모듈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350)은 물리적으로 인접한 카메라들 간에 오버랩 영역을 가지도록 가이드(330)의 형상을 따라 아치형으로 배치되어 복수의 차량 부분 이미지들을 생성하는 복수의 카메라들(350a~350g)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카메라들(350a~350g)은 촬영 각도가 차량검사공간의 중심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350)은 복수의 카메라들(350a~350g) 중 일부 카메라가 제1 가이드(331) 측에 배치되어 차량검사공간에 있는 차량(110)의 전면, 상면 및 후면 부분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350)은 복수의 카메라들(350a~350g) 중 다른 일부 카메라가 제2 가이드(333) 측에 배치되어 차량(110)의 좌면 부분을 촬영할 수 있고, 나머지 일부 카메라가 제3 가이드(335) 측에 배치되어 차량(110)의 우면 부분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350)은 차량 외관 검사모듈(370)에서 외관의 흠결이 검출된 경우에 해당 차량 부분 이미지를 확대하여 상대적으로 정밀한 차량 외관 검사를 수행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350)은 물리적으로 인접한 카메라들 간에 오버랩 영역의 크기가 줄어들도록 복수의 차량 부분 이미지들을 단계적으로 확대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 모듈(350)은 확대가 진행되면서 오버랩 영역의 크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차량 부분 이미지의 확대를 멈출 수 있다. 여기에서, 카메라 모듈(350)은 물리적으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카메라들을 통해 촬영된 복수의 촬영 이미지들 내의 오버랩 영역을 탐색하고 서로 오버랩(Overlap)되는 영역이 없도록 배율을 확대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350)은 복수의 촬영 이미지들 각각으로부터 복수 개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점 중 서로 대응하는 점들을 대응 쌍으로 결정하여 오버랩 영역을 탐색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350)은 특정 차량 이미지가 확대되면 차량(110)에 대해 다른 파장 대역의 조명으로 특정 차량 이미지를 생성하여 차량 외관 검사모듈(37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DI 검사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PDI 검사 장치(130)는 검사 대상 차량(110)이 하우징(310)의 차량 입구를 통해 차량검사공간에 진입하면 차량검사공간을 경유하여 가이드(330)를 이동시킬 수 있다(단계 S510). 또한, PDI 검사 장치(130)는 카메라 모듈(350)을 통해 가이드(330)의 이동 과정 동안 복수의 정지 지점들 각각에서 차량(110)의 외관을 촬영할 수 있다(단계 S520). 또한, PDI 검사 장치(130)는 카메라 모듈(350)을 통해 복수의 촬영 이미지들로부터 차량(110)의 전후면, 좌우면 및 상면의 외관 이미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차량 부분 이미지들을 생성할 수 있다(단계 S530).
또한, PDI 검사 장치(130)는 차량 외관 검사모듈(370)을 통해 복수의 차량 부분 이미지들을 분석하여 차량(110)의 외관에 존재하는 흠결을 검사할 수 있다(단계 S540). 또한, PDI 검사 장치(130)는 차량 외관 검사모듈(370)을 통해 흠결의 존재가 검출된 경우에는 흠결의 위치를 복수의 차량 부분 이미지들 각각에 수정 불가능 하게 기록하여 차량검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단계 S550).
일 실시예에서, PDI 검사 장치(130)는 차량검사공간에 아치형상으로 이동 가능한 가이드를 형성하고 가이드에 복수의 카메라들을 배치하여 차량검사공간에 있는 차량을 촬영하여 사각지대없이 차량의 외관에 관한 복수의 차량 부분 이미지들을 생성하고 복수의 차량 부분 이미지들을 분석하여 정밀한 차량 외관 검사를 수행할 수 있으며, 흠결의 위치를 복수의 차량 부분 이미지들 각각에 수정 불가능 하게 기록하여 차량검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차량의 외관에 관한 사후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PDI 검사 시스템
110: 차량 130: PDI 검사 장치
150: 데이터베이스
210: 프로세서 230: 메모리
250: 사용자 입출력부 270: 네트워크 입출력부
310: 하우징 330: 가이드
331: 제1 가이드 333: 제2 가이드
335: 제3 가이드 337: 이동부재
350: 카메라 모듈 350a~350g: 복수의 카메라들
370: 차량 외관 검사모듈

Claims (8)

  1. 차량 입구, 차량 출구 및 상기 차량 입구와 차량 출구 사이에 검사 차량이 위치할 수 있는 일정길이의 차량검사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차량검사공간을 경유하여 상기 차량 입구에 있는 출발지 및 상기 차량 출구에 있는 도착지 간의 왕복 경로를 포함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의 이동 과정 동안 복수의 정지 지점들 각각에서 상기 차량검사공간의 특정 방향을 향해 촬영하여 복수의 차량 부분 이미지들을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복수의 차량 부분 이미지들을 분석하여 차량의 외관에 존재하는 흠결을 검사하는 차량 외관 검사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는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출발지 및 상기 도착지 간에 이동되면서 상기 차량의 전면, 상면 및 후면을 촬영하도록 형성되는 제1 가이드, 상기 차량의 좌면을 촬영하도록 형성되는 제2가이드, 및 상기 차량의 우면을 촬영하도록 형성되는 제3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특정 차량 부분 이미지에서 상기 차량의 흠결이 검출되면 해당 차량 부분 이미지를 확대하여 상대적으로 정밀한 차량 외관 검사를 수행하고,
    상기 차량 외관 검사모듈은
    상기 흠결의 존재가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흠결의 위치를 상기 복수의 차량 부분 이미지들 각각에 수정 불가능 하게 기록하여 차량정보와 함께 차량검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해당 차량의 외관에 관한 사후 점검에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I (Pre-Delivery Inspection) 검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인접한 정지 지점들 간에 있는 해당 차량 부분 이미지들이 서로 오버랩 영역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I 검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복수의 정지 지점들 중 하나에서 정지되면 상기 차량검사공간의 중심을 향하는 해당 카메라 각도를 산출하고 상기 해당 카메라 각도에서 상기 차량을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I 검사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특정 차량 이미지가 확대되면 상기 차량에 대해 다른 파장 대역의 조명으로 상기 특정 차량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I 검사 장치.
  8. 삭제
KR1020210012866A 2021-01-29 2021-01-29 Pdi 검사 장치 KR102528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866A KR102528968B1 (ko) 2021-01-29 2021-01-29 Pdi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866A KR102528968B1 (ko) 2021-01-29 2021-01-29 Pdi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625A KR20220109625A (ko) 2022-08-05
KR102528968B1 true KR102528968B1 (ko) 2023-05-08

Family

ID=82826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866A KR102528968B1 (ko) 2021-01-29 2021-01-29 Pdi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96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6855A (ja) * 1998-11-12 2000-05-26 Fuji Photo Film Co Ltd 光情報記録媒体の欠陥検査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欠陥サイズ決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5559B2 (ja) * 1994-09-14 2001-07-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表面欠陥検査装置
JP3204444B2 (ja) * 1996-06-26 2001-09-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表面欠陥検査装置
KR100332030B1 (ko) * 1999-09-30 2002-04-10 이계안 차체 검사장치
KR100889295B1 (ko) 2008-01-22 2009-03-17 손영호 차량운영 및 피디아이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6855A (ja) * 1998-11-12 2000-05-26 Fuji Photo Film Co Ltd 光情報記録媒体の欠陥検査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欠陥サイズ決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625A (ko) 2022-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9783B1 (ko) 제품 결함 이미지 원격 학습을 통한 비전 검사 시스템
US8284396B2 (en) System and device for the optical inspection of glass panels
EP1943502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inspecting a composite structure for defects
US80504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feature of a workpiece
EP3164723B1 (en) Method for defect detection in work pieces
KR102108956B1 (ko) 인공지능을 활용한 머신비전 모듈형 소프트웨어를 갖는 머신비전 검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110031914A (ko) 광학적 모양 및 위치 측정을 위한 구조-광 시스템의 정확한 이미지 획득 방법
US7283224B1 (en) Face lighting for edge location in catalytic converter inspection
CN106303509A (zh) 相机子组合件灰尘及缺陷检测系统及方法
KR102528968B1 (ko) Pdi 검사 장치
KR102528974B1 (ko) Pdi 검사 장치
KR102528963B1 (ko) Pdi 검사 장치
KR102273936B1 (ko) Pdi 검사 장치
KR102528958B1 (ko) Pdi 검사 장치
TW201534903A (zh) 物件檢測方法及裝置
US20230222646A1 (en) Automated visual-inspection system
US20120050523A1 (en) Method of inspecting an optical fiber junction
CN201266177Y (zh) 一种复合式自动光学检测设备
JP2001266125A (ja) 基板検査装置
KR101870718B1 (ko) 이물질을 판별하는 광학 장치 및 그 방법
WO2022130843A1 (ja) 外観検査方法、外観検査装置、構造体に対する加工方法および装置
JP6553581B2 (ja) 光コネクタ端面検査装置とその合焦画像データ取得方法
Bel’kov et al. Automated system for finding flaws in optical components
KR102202469B1 (ko) 외관 검사 장치
JP2008175682A (ja) 微細形状高さ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