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964B1 - 암수동체 구조 커넥터 및 커넥터 감합 구조 - Google Patents

암수동체 구조 커넥터 및 커넥터 감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964B1
KR102528964B1 KR1020220126105A KR20220126105A KR102528964B1 KR 102528964 B1 KR102528964 B1 KR 102528964B1 KR 1020220126105 A KR1020220126105 A KR 1020220126105A KR 20220126105 A KR20220126105 A KR 20220126105A KR 102528964 B1 KR102528964 B1 KR 102528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itting
pin
spac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6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정일
이수주
김성진
이용구
천정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드웨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드웨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드웨이브
Priority to KR1020220126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9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964B1/ko
Priority to PCT/KR2023/012994 priority patent/WO202407599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84Hermaphroditic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8Contacts for sliding cooperation with identically-shaped contact, e.g. for hermaphroditic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수동체 구조 커넥터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넥터가 서로 대응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성되어 커넥터 간의 감합시 제1 영역의 감합부가 제2 영역의 감합 공간에 끼워져 삽입되고 제2 영역의 감합부가 제1 영역의 감합 공간에 끼워져 삽입되어 커넥터 간 감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암수동체 감합 구조의 커넥터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암수동체 구조 커넥터 및 커넥터 감합 구조{Hermaphroditic connector and connector mating structure}
본 발명은 암수동체 구조 커넥터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넥터가 서로 대응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성되어 커넥터 간의 감합시 제1 영역의 감합부가 제2 영역의 감합 공간에 끼워져 삽입되고 제2 영역의 감합부가 제1 영역의 감합 공간에 끼워져 삽입되어 커넥터 간 감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암수동체 감합 구조의 커넥터에 대한 것이다.
회로 기판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기판 대 기판 커넥터(BtB connector: board to board connector)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커넥터 간의 결합시 핀들 간에 정합을 통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져 기판과 기판 간의 전기적 신호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최근에는 확장형 컴퓨팅에 대한 수요로 인해 28Gbps, 56Gbps 또는 112Gbps 이상의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갖는 고속 신호 전송 커넥터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5G 및 6G 모바일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인 28GHz, 43GHz 대역 및 그 이상의 mmWave 대역이 실용화됨에 따라 이러한 고주파수 대역의 신호 전송에 적합한 커넥터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고속 고주파 신호 전송 커넥터의 경우, 높은 주파수의 전기 신호를 손실없이 정확하게 전송할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커넥터 간의 감합시 정합된 서로의 단자를 통해 고주파 특성을 충족시키면서 안정적으로 고속 신호 전송을 충족시킬 필요가 있다.
고주파 신호를 안정적으로 고속 전송하기 위해서는 커넥터 간의 감합 안정성과 신뢰성이 확보될 필요가 있다. 만약 커넥터 간의 감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지 못할 경우, 핀 접촉이 불안정하여 고주파 신호의 고속 전송에 오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서 커넥터의 제작 효율성을 도모하고,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 간의 구분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암수 동체 구조를 갖는 커넥터가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암수 동체 구조의 커넥터는, 하나의 커넥터가 플러그 및 리셉터클 기능을 갖기에 커넥터 종류의 구분없이 동일한 커넥터 간을 감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허나, 암수 동체 구조의 커넥터 경우, 암수 동체를 구현하기 위한 구조적 제한으로 인해 커넥터 간의 감합 견고성 및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고주파 신호를 안정적으로 고속 전송하기 위해 커넥터 간의 감합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커넥터 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커넥터 간의 감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지 못할 경우, 핀 접촉이 불안정하여 고주파 신호를 고속 전송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나아가서, 암수 동체 구조의 커넥터의 경우, 암수 동체를 구현하기 위한 구조적 제한으로 인해 커넥터 간의 감합 견고성 및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일실시예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제1 영역에 제1 콘택트부가 수직으로 배열되어 장착된 복수의 제1 핀과 상기 제2 영역에 제2 콘택트부가 수직으로 배열되어 장착된 복수의 제2 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1 핀의 일부를 수용하며, 상기 제1 핀의 제1 콘택트부 전방면이 노출되도록 측면 중단이 후방으로 함몰된 제1 감합부와; 상기 제1 감합부의 함몰 부위에 제2 감합부에 대응되는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감합부에 의해 일부가 둘러싸인 제1 감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2 핀의 일부를 수용하며, 상기 제2 핀의 제2 콘택트부 전방면이 노출되도록 전방이 개방된 제2 감합부와; 상기 제1 감합부에 대응되는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감합부의 전방을 포함하는 일부를 둘러싸는 제2 감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감합부는, 상기 제1 핀의 제1 콘택트부 높이에 대응되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핀의 제1 콘택트부를 수용하되, 전방이 개방되어 상기 제1 핀의 제1 콘택트부 전방면이 노출되는 제1 핀 수용 공간이 마련된 제1 핀 수용부; 및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핀 수용부의 길이방향 양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1 감합 공간의 길이방향 양측 끝단까지 연장된 감합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제1 감합 공간은, 상기 제1 핀 수용부와 상기 감합 돌기부에 둘러싸이고, 상기 제2 감합부에 대응되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이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감합부는, 상기 제2 핀의 제2 콘택트부 높이에 대응되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핀의 제2 콘택트부를 수용하되, 전방이 개방되어 상기 제2 핀의 제2 콘택트부 전방면이 노출되는 제2 핀 수용 공간이 마련된 제2 핀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제2 감합 공간은, 상기 제2 핀 수용부의 전방부와 길이방향 양측 끝단을 둘러싸고, 상기 제2 감합부에 대응되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이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제1 핀은, 굴곡된 반원형 형태로 휘어져 제1 방향으로 돌출되며, 수직으로 상기 제1 감합부에 수용되는 제1 콘택트부; 상기 제1 콘택트부의 하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부가 상기 제1 감합 공간에 위치되고 나머지 일부가 상기 하우징에 매립되는 제1 리드부; 및 상기 제1 리드부로부터 연장되며, 하면이 노출된 기판 실장 부위를 갖는 제1 테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핀은, 굴곡된 반원형 형태로 휘어져 제1 방향으로 돌출되며, 수직으로 상기 제2 감합부에 수용되는 제2 콘택트부; 상기 제2 콘택트부의 하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감합부의 하부 상의 상기 하우징에 매립되는 제2 리드부; 및 상기 제2 리드부로부터 연장되며, 하면이 노출된 기판 실장 부위를 갖는 제2 테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하우징은, 길이방향 양측에 상기 제1 핀 및 상기 제2 핀의 테일부 끝단 일부가 드러나도록 내측으로 함몰되어 개방된 컷 오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한걸음 더 나아가서 상기 하우징의 외곽을 둘러싸는 쉴드 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폭 방향으로 교번하여 배열되고, 각각의 상기 제1 영역에 복수의 상기 제1 핀이 배열되어 장착되고, 각각의 상기 제2 영역에 복수의 상기 제2 핀이 배열되어 장착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길이 방향으로 교번하여 배열되고, 각각의 상기 제1 영역에 복수의 상기 제1 핀이 배열되어 장착되고, 각각의 상기 제2 영역에 복수의 상기 제2 핀이 배열되어 장착될 수 있다.
나아가서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는 상기의 암수동체 구조 커넥터이며, 상기 제1 커넥터의 제1 감합부는 상기 제2 커넥터의 제2 감합 공간에 대응되어 끼워져 삽입되고, 상기 제2 커넥터의 제2 감합부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제1 감합 공간에 키워져 삽입되어, 상기 제1 커넥터의 제1 핀의 제1 콘택트부와 상기 제2 커넥터의 제2 핀의 제2 콘택트부 간이 접촉되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제2 감합부는 상기 제2 커넥터의 제1 감합 공간에 대응되어 끼워져 삽입되고, 상기 제2 커넥터의 제1 감합부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제2 감합 공간에 대응되어 끼워져 삽입되어, 상기 제1 커넥터의 제2 핀의 제2 콘택트부와 상기 제2 커넥터의 제1 핀의 제1 콘택트부 간이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 간의 감합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커넥터 감합 구조를 통해 고주파 신호를 안정적으로 고속 전송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서로 대응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성되어 커넥터 간의 감합시 제1 영역의 감합부가 제2 영역의 감합 공간에 끼워져 삽입되고 제2 영역의 감합부가 제1 영역의 감합 공간에 끼워져 삽입되어 커넥터 간 감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암수동체 감합 구조를 가짐으로써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 간의 구분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면서, 암수 동체를 구현하기 위한 구조적 제한으로 인해 커넥터 간의 감합 견고성 및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나아가서 제1 영역의 제1 핀이 배열된 끝단 양측으로 감합 돌기부가 마련되고, 이에 대응하여 제2 영역의 제2 핀이 배열된 끝단 양측으로 돌기 감합 공간이 마련되어, 커넥터 간의 감합시 감합 돌기부가 돌기 감합 공간에 슬라이딩 삽입되면서 핀 간의 얼라인먼트가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아울러 커넥터 간의 감합 이후 감합 돌기부가 돌기 감합 공간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 체결됨으로써 외부 충격에도 커넥터 간에 감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핀 간의 접촉 정합에 대한 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위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암수동체 구조 커넥터의 주요 구성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실시예에 대한 상부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상기 도 1의 실시예에 대한 절단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암수동체 구조 커넥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상기 도 4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암수동체 구조 커넥터의 분리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상기 도 4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암수동체 구조 커넥터의 상부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상기 제1 실시예 따른 암수동체 구조 커넥터 간의 커넥터 감합을 위해 서로 대응시킨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상기 도 7의 실시예에 대한 절단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상기 제1 실시예 따른 암수동체 구조 커넥터 간 감합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상기 도 9의 실시예에 대한 절단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암수동체 구조 커넥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암수동체 구조 커넥터의 주요 구성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서로 대응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성되어 커넥터 간의 감합시 제1 영역의 감합부가 제2 영역의 감합 공간에 끼워져 삽입되고 제2 영역의 감합부가 제1 영역의 감합 공간에 끼워져 삽입되어 커넥터 간 감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암수동체 감합 구조를 갖는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주요 구성부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암수동체 구조 커넥터의 주요 구성부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2는 상기 도 1의 실시예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3의 (a)는 상기 도 1의 실시예에서 X1-X1' 부분 절단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3의 (b)는 상기 도 1의 실시예에서 Y1-Y1' 부분 절단 단면도를 도시한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는 본 발명에서 주요 구성부를 추출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주요 구성부 이외의 추가 구성에 대해서는 이후의 다른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하우징(110)은 제1 영역(A)과 제2 영역(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A)과 제2 영역(B) 각각은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110)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거나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영역(A)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1 핀(210)이 서로 이격되어 배열 장착되고, 제2 영역(B)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2 핀(250)이 서로 이격되어 배열 장착될 수 있다.
먼저 제1 영역(A)을 살펴보면, 제1 영역(A)은 제1 감합부(120)와 제1 감합 공간(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합부(120)는 하우징(110)의 바닥면(111)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제1 핀(21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감합부(120)에는 제1 핀(210)의 전방면이 노출되도록 측면 중단이 후방으로 함몰된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감합부(120)는 제1 핀 수용부(121)와 감합 돌기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핀 수용부(121)는 제1 핀(210)의 제1 콘택트부(211) 높이에 대응되어 제1 핀(210)의 제1 콘택트부(211)를 수용 가능하도록 하우징(110)의 바닥면(111)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핀 수용부(121)에는 복수의 제1 핀(210) 각각에 대응하여 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제1 핀 수용 공간(123)이 복수개 마련되며, 제1 핀 수용 공간(123)은 제1 감합 공간(130)을 향해 전방이 개방됨으로써 제1 핀(210)의 제1 콘택트부(211) 전방면이 노출될 수 있다.
제1 핀(210)의 제1 콘택트부(211)는 수직으로 세워져 제1 핀 수용 공간(123) 상에 위치되면서 제1 핀 수용부(121)의 내측면과는 접촉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핀 수용 공간(123)을 통해 제1 핀(210)의 제1 콘택트부(211)는 커넥터 간의 감합시 상태 핀과의 접촉에 따라 후방으로 밀려 일정 수준 휘어지거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회복이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핀 수용부(121)를 통해 제1 핀(210)의 제1 콘택트부(211)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어 제1 핀(2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감합 돌기부(125)는 소정의 단면적을 가지고 하우징(110)의 바닥면(111)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1 핀 수용부(121)의 길이방향 양측 끝단으로부터 제1 감합 공간(130)의 길이방향 양측 끝단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감합 돌기부(125)는 제1 핀 수용부(121)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감합 공간(130)은 제1 감합부(120)의 측면으로 함몰된 공간에 마련되며, 제2 감합부(150)의 형태와 크기에 대응되는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감합 공간(130)은 제2 감합부(150)의 단면 크기와 높이 및 외면 형태에 대응되어 제2 감합부(150)를 수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감합 공간(130)은 길이방향 양측과 폭방향 일측이 제1 감합부(12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감합 공간(130)은 제1 감합부(120)에 의해 둘러싸여 하우징(110)의 바닥면(111)보다 높게 마련되는 제1 감합 상부 공간(131)과 하우징(110)의 바닥면이 일정 수준의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 감합 하부 공간(1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합 하부 공간(133)은 제2 감합부(150)의 상단부 단면 크기 및 외면 형태에 대응되어 하우징(110)의 바닥면이 함몰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1 영역(A)에 배열 장착되는 제1 핀(210)은 제1 콘택트부(211), 제1 리드부(213), 제1 테일부(2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콘택트부(211)는 상단부가 굴곡된 반원형 형태로 휘어져 일부가 제1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리드부(213)는 제1 콘택트부(211)의 하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테일부(215)는 제1 리드부(213)로부터 연장되어 외부로 노출된 기판 실장 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핀(210)의 제1 콘택트부(211)는 수직으로 세워져 제1 핀 수용부(121)에 수용되면서 전방면이 제1 감합 공간(130) 상으로 노출될 수 있다.
하우징(110)에는 제1 핀(210)의 제1 리드부(213)에 대응되어 하방으로 함몰된 제1 핀 리드부 장착홈(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핀 리드부 장착홈(미도시)은 제1 감합 공간(130)의 하부에 마련되며, 제1 핀(210)의 제1 리드부(213)는 하우징(110)의 제1 핀 리드부 장착홈(미도시)에 장착되면서 상면 일부가 제1 감합 공간(130)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핀(210)의 제1 리드부(213) 일부와 제1 테일부(215) 일부는 하우징(110) 내부에 삽입되거나 매립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 핀(210)이 배열된 상태에서 하우징(110)을 몰딩 공정으로 제작하여 하우징(110)의 제1 영역(A) 상에 제1 핀(210)의 제1 리드부(213) 일부와 제1 테일부(215) 일부가 매립됨으로써 제1 핀(210)이 하우징(110) 상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제1 핀(210)의 제1 테일부(215) 하면은 하우징(110)으로부터 노출되어 기판 실장 부위로 기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영역(B)을 살펴보면, 제2 영역(B)은 제2 감합부(150)와 제2 감합 공간(1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감합부(150)는 제2 핀 수용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핀 수용부(151)는 제2 핀(250)의 제2 콘택트부(251) 높이에 대응되어 제2 핀(250)의 제2 콘택트부(251)를 수용 가능하도록 하우징(110)의 바닥면(111)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핀 수용부(151)에는 복수의 제2 핀(250) 각각에 대응하여 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제2 핀 수용 공간(153)이 복수개 마련되며, 제2 핀 수용 공간(153)은 제2 감합 공간(160)을 향해 전방이 개방됨으로써 제2 핀(250)의 제2 콘택트부(251) 전방면이 노출될 수 있다.
제2 핀(250)의 제2 콘택트부(251)는 수직으로 세워져 제2 핀 수용 공간(153) 상에 위치되면서 제2 핀 수용부(151)의 내측면과는 접촉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핀 수용 공간(153)을 통해 커넥터 간의 감합시 제2 핀(250)의 제2 콘텍트부(251)가 일정 수준 변형이 가능하면서, 제2 핀 수용부(151)를 통해 제2 핀(250)의 제2 콘택트부(251)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어 제2 핀(25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감합 공간(160)은 제1 감합부(120)의 형태와 크기에 대응되는 공간으로 제2 감합부(150)의 전방과 길이방향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감합 공간(160)은 제1 감합부(120)의 단면 크기와 높이 및 외면 형태에 대응되어 제1 감합부(120)를 수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감합 공간(160)은 제2 감합부(150)의 길이방향 양측과 폭방향 일측을 둘러싸며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2 감합 공간(160)은 제1 감합부(150)의 제1 핀 수용부(121)를 수용하는 핀 수용부 감합 공간(161, 163)과 돌기 감합 공간(16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감합 공간(160)의 핀 수용부 감합 공간은, 제1 핀 수용부(121)와 제2 핀 수용부(151)의 사이에 하우징(110)의 바닥면(111)보다 높게 마련되는 제2 감합 상부 공간(161)과 하우징(110)의 바닥면이 일정 수준의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2 감합 하부 공간(16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감합 하부 공간(163)은 제1 핀 수용부(121)의 상단부 단면 크기 및 외면 형태에 대응되어 하우징(110)의 바닥면이 함몰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2 감합 공간(160)의 돌기 감합 공간(165)은 하우징(110)의 바닥면이 일정 수준의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핀 수용부 감합 공간의 길이방향 양측 끝단으로부터 제2 핀 수용부(151)의 길이방향 양측 끝단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감합 공간(160)의 돌기 감합 공간(165)은 제1 감합부(120)의 감합 돌기부(125) 상단부 단면 크기 및 외면 형태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영역(B)에 배열 장착되는 제2 핀(250)은 제2 콘택트부(251), 제2 리드부(253), 제2 테일부(25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콘택트부(251)는 상단부가 굴곡된 반원형 형태로 휘어져 일부가 제1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리드부(253)는 제2 콘택트부(251)의 하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테일부(255)는 제2 리드부(253)로부터 연장되어 외부로 노출된 기판 실장 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핀(250)의 제2 콘택트부(251)는 수직으로 세워져 제2 핀 수용부(151)에 수용되면서 전방면이 제2 감합 공간(160) 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제2 핀(250)의 제2 리드부(253) 일부와 제2 테일부(255) 일부는 제2 핀 수용부(151) 하부 상의 하우징(110) 내부로 삽입되거나 매립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2 핀(250)이 배열된 상태에서 하우징(110)을 몰딩 공정으로 제작하여 하우징(210)의 제2 영역(B) 상에 제2 핀(250)의 제2 리드부(253) 일부와 제2 테일부(255) 일부가 매립됨으로써 제2 핀(250)이 하우징(110) 상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제2 핀(250)의 제2 테일부(255) 하면은 하우징(110)으로부터 노출되어 기판 실장 부위로 기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암수동체 감합 구조를 적용한 커넥터에 대하여 실시예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암수동체 구조 커넥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암수동체 구조 커넥터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5는 상기 도 4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암수동체 구조 커넥터의 분리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6은 상기 도 4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암수동체 구조 커넥터의 상부 평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0)는 하우징(110), 제1 핀(210), 제2 핀(250), 쉴드 셀(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앞서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한 암수동체 구조를 적용하여, 제1 영역(A)과 제2 영역(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A)은 제1 감합부(120)와 제1 감합 공간(130) 등을 포함하며, 제2 영역(B)은 제2 감합부(150)와 제2 감합 공간(1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A)에는 복수의 제1 핀(210)이 배열 장착되고, 제2 영역(B)에는 복수의 제2 핀(250)이 배열 장착될 수 있다.
제1 영역(A) 및 제2 영역(B)의 구조와 제1 핀(210) 및 제2 핀(250)의 장착 구조는 앞서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나아가서 하우징(110)에는 제1 핀(210) 및 제2 핀(250)의 테일부(155, 165) 끝단 일부가 외부에 드러나도록 폭 방향 양측에 내측으로 함몰되어 개방된 컷 오프 영역(117, 119)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커넥터(100)는 하우징(110) 외곽 둘레를 감싸는 쉴드 셀(300)을 구비하여 전자 방해 잡음(EMI)에 대한 차폐를 달성할 수 있다.
쉴드 셀(300)은 제1 및 제2 쉴드 벽부재(310, 320)와 제3 및 제4 쉴드 부재(330, 340)가 연결되어 하우징(110)을 둘러싸는 일체형 쉴드 셀(30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 방해 잡음(EMI) 차폐를 위해 하우징(110)을 둘러싸는 일체형 쉴드 셀(300)로 설명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제1 및 제2 쉴드 벽부재(310, 320)와 제3 및 제4 쉴드 부재(330, 340) 각각이 별도로 분리되어 하우징(110)에 결합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쉴드 벽부재(310)는 하우징(110)의 폭 방향 일측면(113)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1 쉴드 벽부재(310)는 하우징(110)의 일측면(113) 높이보다 더 큰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제2 쉴드 벽부재(320)는 제1 쉴드 벽부재(310)에 대향하여 하우징(110)의 폭 방향 타측면(115)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2 쉴드 벽부재(320)는 제1 쉴드 벽부재(310)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서 제2 쉴드 벽부재(320)는 하우징(110)의 폭 방향 측면(115)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서 제1 쉴드 벽부재(310)는 쉴드 벽부(311)와 쉴드 벽부(311)로부터 외측 방향을 향해 소정 각도 휘어져 연장된 감합 가이드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쉴드 벽부재(310)와 제2 쉴드 벽부재(320) 하부에는 하우징(110)에 장착된 제1 핀(210) 및 제2 핀(250)의 테일부에 대응되어 실장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시인 홈(318, 328)이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폭 방향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1 쉴드 벽부재(310)와 제2 쉴드 벽부재(320)의 중단 부위는 하우징(110)의 컷 오프 영역(117, 119)의 외측에 위치되며, 이에 따라 제1 쉴드 벽부재(310) 및 제2 쉴드 벽부재(320)와 하우징(110) 사이의 컷 오프 영역(117, 119)에는 개방된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컷 오프 영역(117, 119)을 구비함으로써 제1 핀 및 제2 핀(210, 250)의 기판 실장을 용이하게 도모하면서 동시에 제1 핀 및 제2 핀(210, 250)의 실장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제3 쉴드 부재(330)는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 일측에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3 쉴드 부재(330)는 하우징(110)의 일측 끝단 바닥면(111)에 안착되는 차폐면(331)과 하우징(110)의 일측 끝단 측면에 배치되는 쉴드 벽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쉴드 부재(320)는 차폐면(331)과 쉴드 벽부(333) 간이 절곡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쉴드 부재(330)의 차폐면(331)에는 상부로 연장된 결합 돌기(335)가 마련될 수 있다. 제3 쉴드 부재(330)의 결합 돌기(335)는 하우징(110)의 결합 홈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 돌기(335)의 배치 위치나 개수는 하우징(11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4 쉴드 부재(340)는 제3 쉴드 부재(330)에 대향하여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 타측에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4 쉴드 부재(340)는 제3 쉴드 부재(330)와 유사하게 차폐면(341)과 쉴드 벽부(343) 간이 절곡된 형태로 구성되어 하우징의 타측 끝단 바닥면에 차폐면(341)이 안착될 수 있다.
제4 쉴드 부재(340)의 차폐면(341)에는 상방으로 연장된 결합 돌기(345)가 마련될 수 있다. 제4 쉴드 부재(340)의 결합 돌기(345)는 하우징(110)의 결합 홈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 돌기(345)의 배치 위치나 개수는 하우징(11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쉴 셀(300) 구조와 형태는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전체적으로 또는 일부가 변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암수동체 구조 커넥터 간의 감합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a, 100b) 간에 감합을 위해 서로 대응시킨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8의 (a)는 상기 도 7에서 제1 커넥터(100a)의 X2-X2' 부분과 제2 커넥터(100b)의 X3-X3' 부분의 절단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8의 (b)는 상기 도 7에서 제1 커넥터(100a)의 Y2-Y2' 부분과 제2 커넥터(100b)의 Y3-Y3' 부분의 절단 단면도를 도시한다.
상기 도 7 및 도 8과 같이 제1 커넥터(100a)와 제2 커넥터(100b)를 감합을 위해 서로 대응시켜 위치시키는데, 이때 제1 커넥터(100a)를 기준으로 제1 커넥터(100a)의 제1 영역에 구비된 제1 감합부(120a)를 제2 커넥터(100b)의 제2 감합 공간(160b)에 대응시키고, 제1 커넥터(100a)의 제2 영역에 구비된 제2 감합부(150a)를 제2 커넥터(100b)의 제1 감합 공간(150b)에 대응시켜 위치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커넥터(100a)와 제2 커넥터(100b)는 암수 동체 구조로서, 제2 커넥터(100b)를 기준으로 제1 커넥터(100a)를 대응시켜 위치시킬 수도 있다.
즉, 제1 커넥터(100a)와 제2 커넥터(100b)는 암수동체 구조로 동일한 구조를 갖기에 제1 커넥터(100a)와 제2 커넥터(100b) 중 어느 하나 커넥터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상대 커넥터의 제2 영역과 제1 영역에 각각 대응되게 된다.
또한 제1 커넥터(100a)의 제1 쉴드 벽부재(310a)를 제2 커넥터(100b)의 제2 쉴드 벽부재(320b)에 대응시키고, 제1 커넥터(100a)의 제2 쉴드 벽부재(320a)를 제2 커넥터(100b)의 제1 쉴드 벽부재(310b)에 대응시켜 위치시킬 수도 있다.
즉, 제1 커넥터(100a)에서 보다 큰 높이를 갖는 제1 쉴드 벽부재(310a)를 제2 커넥터(100b)에서 보다 작은 높이를 갖는 제2 쉴드 벽부재(320b)에 대응시켜 위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커넥터(100a)와 제2 커넥터(100b) 간을 대응시켜 위치시키고 감합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커넥터(100a)와 제2 커넥터(100b) 간의 감합에 따라 제1 커넥터(100a)의 제1 감합부(120a)는 제2 커넥터(100b)의 제2 감합 공간(160b)으로 슬라이딩 삽입되고, 제2 커넥터(100b)의 제2 감합부(150b)는 제1 커넥터(100a)의 제1 감합 공간(130a)으로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커넥터(100a)의 제1 영역과 제2 커넥터(100b)의 제2 영역 간 감합시, 제1 커넥터(100a)의 제1 감합부(120a)의 제1 핀 수용부(121a)는 제1 핀(210a)의 제1 콘택트부(211a)와 함께 제2 커넥터(100b)의 제2 감합 공간(160b)의 제2 감합 상부 공간(161b)을 거쳐서 제2 감합 하부 공간(163b)까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2 커넥터(100b)의 제2 감합부(150a)의 제2 핀 수용부(151b)는 제2 핀(250b)의 제2 콘택트부(251)와 함께 제1 커넥터(100a)의 제1 감합 공간(130a)의 제1 감합 상부 공간(131a)을 거쳐서 제2 감합 하부 공간(133a)까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1 커넥터(100a)의 제1 감합부(120a)의 감합 돌기부(125a)가 제2 커넥터(100b)의 제2 감합 공간(160b)의 돌기 감합 공간(165b)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면, 제1 커넥터(100a)의 제1 핀(210a)과 제2 커넥터(100b)의 제2 핀(250b) 간의 얼라인먼트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커넥터(100a)의 제1 영역과 제2 커넥터(100b)의 제2 영역 간이 감합되면서 감합 구조를 통해 핀 간의 얼라인먼트가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커넥터(100a)의 제2 영역과 제2 커넥터(100b)의 제1 영역 간이 감합되는데, 이는 앞서 설명한 구조가 반전된 미러 타입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나아가서 제1 커넥터(100a)와 제2 커넥터(100b) 간의 감합에 따라 제1 커넥터(100a)의 제1 쉴드 벽부재(310a)는 제2 커넥터(100b)의 제2 쉴드 벽부재(320b)와 면접촉 감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커넥터(100a)의 제1 쉴드 벽부재(310a)에 마련된 감합 가이드부(313a)의 안내를 받으면서 제2 커넥터(100b)의 제2 쉴드 벽부재(320b) 외측면이 제1 커넥터(100a)의 제1 쉴드 벽부재(310a) 내측면과 면접촉하여 슬라이딩 감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 커넥터(100b)의 제1 쉴드 벽부재(310b)와 제1 커넥터(100a)의 제2 쉴드 벽부재(320a) 간이 면적촉 감합되는데, 이 또한 앞서 설명한 구조와 반전된 미러 타입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9는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암수동체 구조 커넥터 간 감합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10의 (a)는 상기 도 9에서 X4-X4' 부분 절단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0의 (b)는 상기 도 9에서 Y4-Y4' 부분 절단 단면도를 도시한다.
제1 커넥터(100a)와 제2 커넥터(100b)가 감합되면, 제1 커넥터(100a)의 제1 영역은 제2 커넥터(100b)의 제2 영역과 감합되고, 제1 커넥터(100a)의 제2 영역은 제2 커넥터(100b)의 제1 영역과 감합된다.
제1 커넥터(100a)와 제2 커넥터(100b) 간의 감합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커넥터(100a)의 제1 감합부(120a)의 제1 핀 수용부(121a)는 제1 핀(210a)의 제1 콘택트부(211a)를 수용하면서, 제2 커넥터(100b)의 제2 감합 공간(160b)의 제2 감합 상부 공간(161b)과 제2 감합 하부 공간(163b)으로 삽입 감합된다.
또한 제2 커넥터(100b)의 제1 감합부(120b)의 제1 핀 수용부(121b)는 제1 핀(210b)의 제1 콘택트부(211b)를 수용하면서, 제1 커넥터(100a)의 제2 감합 공간(160a)의 제2 감합 상부 공간(161a)과 제2 감합 하부 공간(163a)으로 삽입 감합된다.
즉, 제1 커넥터(100a)의 제1 핀 수용부(121a)와 제2 커넥터(100b) 제1 핀 수용부(121b)는 서로 뒤집어진 상태로 후면이 마주보면서 감합된다. 그리고 제1 커넥터(100a)의 제2 감합 상부 공간(161a)과 제2 커넥터(100b)의 제2 감합 하부 공간(163b)은 서로 오버랩되고, 제1 커넥터(100a)의 제2 감합 하부 공간(163a)과 제2 커넥터(100b)의 제2 감합 상부 공간(161b)은 서로 오버랩된다.
제1 커넥터(100a)의 제2 감합부(150a)의 제2 핀 수용부(151a)는 제2 핀(250a)의 제2 콘택트부(251a)를 수용하면서, 제2 커넥터(100b)의 제1 감합 공간(130b)의 제1 감합 상부 공간(131b)과 제1 감합 하부 공간(133b)으로 삽입 감합된다.
또한 제2 커넥터(100b)의 제2 감합부(150b)의 제2 핀 수용부(151b)는 제2 핀(250b)의 제2 콘택트부(251b)를 수용하면서, 제1 커넥터(100a)의 제1 감합 공간(130a)의 제1 감합 상부 공간(131a)과 제1 감합 하부 공간(133a)으로 삽입 감합된다.
이와 같이 제1 커넥터(100a)의 제1 영역과 제2 커넥터(100b)의 제2 영역이 서로 대응되어 감합되고, 제1 커넥터(100a)의 제2 영역과 제2 커넥터(100b)의 제1 영역이 서로 대응되어 감합됨으로써, 제1 커넥터(100a)의 제1 핀(210a)의 제1 콘택트부(211a)와 제2 커넥터(100b)의 제2 핀(250b)의 제2 콘택트부(251b) 간에 접촉 정합이 이루어지고, 제1 커넥터(100a)의 제2 핀(250a)의 제2 콘택트부(251a)와 제2 커넥터(100b)의 제1 핀(210b)의 제1 콘택트부(211b) 간에 접촉 정합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제1 커넥터(100a)의 제1 감합부(120a)의 감합 돌기부(125a)는 제2 커넥터(100b)의 제2 감합 공간(160b)의 돌기 감합 공간(165b)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 감합되고, 제2 커넥터(100b)의 제1 감합부(120b)의 감합 돌기부(125b)는 제1 커넥터(100a)의 제2 감합 공간(160a)의 돌기 감합 공간(165a)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 감합된다.
제1 커넥터(100a)와 제2 커넥터(100b) 간에 감합 돌기부(125a, 125b)가 돌기 감합 공간(165a, 165b)에 끼워져 감합됨으로써, 외부 충격에도 제1 커넥터(100a)와 제2 커넥터(100b) 간에 감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핀 간의 접촉 정합에 대한 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다.
나아가서 제1 커넥터(100a)의 제1 쉴드 벽부재(310a)와 제2 커넥터(100b)의 제2 쉴드 벽부재(320b) 간에 면접촉 감합되고, 제1 커넥터(100a)의 제2 쉴드 벽부재(320a)와 제2 커넥터(100b)의 제1 쉴드 벽부재(310b) 간에 면접촉 감합되어, 이중 차폐 구조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의 주요 구성부를 유지하면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암수동체 구조 커넥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제2 실시예에서 커넥터(400)에는 쉴드 셀이 구비되지 않으며, 하우징(410) 상에 컷 오프 영역도 형성되지 않는다. 즉, 제2 실시예에서는 하우징(410)과 하우징(410)에 장착된 복수의 제1 핀(510) 및 복수의 제2 핀(550)으로 커넥터(400)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400)는 하우징(420) 상에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서로 대응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영역은 제1 감합부(420)와 제1 감합 공간(4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영역은 제2 감합부(450)와 제2 감합 공간(4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합 공간(430)은 제2 감합부(450)의 크기와 형태에 대응되는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감합 공간(460)은 제1 감합부(420)의 크기와 형태에 대응되는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영역에는 제1 핀(430)이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제2 영역에는 제2 핀(550)이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기본 구조를 유지하면서 부수적인 구성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나아가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복수의 제1 영역과 복수의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암수동체 구조 커넥터의 주요 구성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다.
상기 도 12의 실시예에서 하우징(610)에는 제1 영역(A1, A2)과 제2 영역(B1, B2)이 하우징(610)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교번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1 영역 A1과 제1 영역 A2 각각은 제1 감합부(620A1, 620A2)와 제1 감합 공간(630A1, 630A2)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영역 A1과 제1 영역 A2 각각에는 제1 핀(710A1, 710A2)이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열되어 장착될 수 있다.
제2 영역 B1과 제2 영역 B2 각각은 제2 감합부(650B1, 650B2)와 제2 감합 공간(660B1, 660B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 A1과 제1 영역 A2 각각에 마련된 제1 감합부(620A1, 620A2)와 제1 감합 공간(630A1, 630A2) 및 제2 영역 B1과 제2 영역 B2 각각에 마련된 제2 감합부(650B1, 650B2)와 제2 감합 공간(660B1, 660B2)의 구체적 구성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를 통해 이해가 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도 12의 구조를 갖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감합시, 제1 커넥터의 제1 영역 A1, 제2 영역 B1, 제1 영역 A2 및 제2 영역 B2가 순차적으로 제2 커넥터의 제2 영역 B2, 제1 영역 A2, 제2 영역 B1 및 제1 영역 A1에 서로 대응되어 감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걸음 더 나아가서 상기 도 12에서는 하우징에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폭 방향으로 교번하여 배열되었으나, 이와 다르게 하우징에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길이방향으로 교번하여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에 폭 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교번하여 격자 형태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에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배열 형태에 맞춰서 하우징 상에 핀이 삽입 또는 매립되는 형태도 변형될 수 있다.
가령 제1 핀과 제2 핀의 리드부와 테일부가 하우징에 매립되는 형태가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도 있고, 또는 각 핀의 테일부가 리드부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기판 상에 수직하게 실장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 간의 감합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커넥터 감합 구조를 통해 고주파 신호를 안정적으로 고속 전송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서로 대응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성되어 커넥터 간의 감합시 제1 영역의 감합부가 제2 영역의 감합 공간에 끼워져 삽입되고 제2 영역의 감합부가 제1 영역의 감합 공간에 끼워져 삽입되어 커넥터 간 감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암수동체 감합 구조를 가짐으로써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 간의 구분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면서, 암수 동체를 구현하기 위한 구조적 제한으로 인해 커넥터 간의 감합 견고성 및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나아가서 제1 영역의 제1 핀이 배열된 끝단 양측으로 감합 돌기부가 마련되고, 이에 대응하여 제2 영역의 제2 핀이 배열된 끝단 양측으로 돌기 감합 공간이 마련되어, 커넥터 간의 감합시 감합 돌기부가 돌기 감합 공간에 슬라이딩 삽입되면서 핀 간의 얼라인먼트가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아울러 커넥터 간의 감합 이후 감합 돌기부가 돌기 감합 공간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 체결됨으로써 외부 충격에도 커넥터 간에 감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핀 간의 접촉 정합에 대한 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100a, 100b, 400 : 커넥터,
110, 110a, 110b, 410 : 하우징,
117, 117a, 117b, 119, 119a, 119b : 컷 오프 영역,
120, 120a, 120b, 420 : 제1 감합부,
121, 121a, 121b : 제1 핀 수용부,
125, 125a, 125b : 감합 돌기부,
130, 130a, 130b, 430 : 제1 감합 공간,
150, 150a, 150b, 450 : 제2 감합부,
151, 151a, 151b : 제2 핀 수용부,
160, 160a, 160b, 460 : 제2 감합 공간,
165, 165a, 165b : 돌기 감합 공간,
210, 210a, 210b, 510 : 제1 핀,
250, 250a, 250b, 550 : 제2 핀,
300 : 쉴드 셀,

Claims (11)

  1.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제1 영역에 제1 콘택트부가 수직으로 배열되어 장착된 복수의 제1 핀과 상기 제2 영역에 제2 콘택트부가 수직으로 배열되어 장착된 복수의 제2 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의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1 핀의 일부를 수용하며, 상기 제1 핀의 제1 콘택트부 전방면이 노출되도록 측면 중단이 후방으로 함몰되고 길이방향 양측 끝단 부위가 제2 감합 공간의 폭방향 길이에 대응되어 전방으로 연장된 제1 감합부와; 상기 제1 감합부의 함몰 부위에 제2 감합부에 대응되는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감합부에 의해 길이방향 양측 끝단과 후방이 둘러싸인 제1 감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2 핀의 일부를 수용하며, 상기 제2 핀의 제2 콘택트부 전방면이 노출되도록 전방이 개방된 제2 감합부와; 상기 제1 감합부에 대응되는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감합부의 전방과 상기 제2 감합부의 길이 방향 양측 끝단을 둘러싸며 형성된 제2 감합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합부는,
    상기 제1 핀의 제1 콘택트부 높이에 대응되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핀의 제1 콘택트부를 수용하되, 전방이 개방되어 상기 제1 핀의 제1 콘택트부 전방면이 노출되는 제1 핀 수용 공간이 마련된 제1 핀 수용부; 및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핀 수용부의 길이방향 양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1 감합 공간의 폭방향 길이에 대응되어 전방으로 연장된 감합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합 공간은,
    상기 제1 핀 수용부와 상기 감합 돌기부에 둘러싸이고, 상기 제2 감합부에 대응되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이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합부는,
    상기 제2 핀의 제2 콘택트부 높이에 대응되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핀의 제2 콘택트부를 수용하되, 전방이 개방되어 상기 제2 핀의 제2 콘택트부 전방면이 노출되는 제2 핀 수용 공간이 마련된 제2 핀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합 공간은,
    상기 제2 핀 수용부의 전방부와 길이방향 양측 끝단을 둘러싸고, 상기 제2 감합부에 대응되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이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핀은,
    굴곡된 반원형 형태로 휘어져 제1 방향으로 돌출되며, 수직으로 상기 제1 감합부에 수용되는 제1 콘택트부;
    상기 제1 콘택트부의 하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부가 상기 제1 감합 공간에 위치되고 나머지 일부가 상기 하우징에 매립되는 제1 리드부; 및
    상기 제1 리드부로부터 연장되며, 하면이 노출된 기판 실장 부위를 갖는 제1 테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핀은,
    굴곡된 반원형 형태로 휘어져 제1 방향으로 돌출되며, 수직으로 상기 제2 감합부에 수용되는 제2 콘택트부;
    상기 제2 콘택트부의 하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감합부의 하부 상의 상기 하우징에 매립되는 제2 리드부; 및
    상기 제2 리드부로부터 연장되며, 하면이 노출된 기판 실장 부위를 갖는 제2 테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길이방향 양측에 상기 제1 핀 및 상기 제2 핀의 테일부 끝단 일부가 드러나도록 내측으로 함몰되어 개방된 컷 오프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곽을 둘러싸는 쉴드 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폭 방향으로 교번하여 배열되고,
    각각의 상기 제1 영역에 복수의 상기 제1 핀이 배열되어 장착되고, 각각의 상기 제2 영역에 복수의 상기 제2 핀이 배열되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길이 방향으로 교번하여 배열되고,
    각각의 상기 제1 영역에 복수의 상기 제1 핀이 배열되어 장착되고, 각각의 상기 제2 영역에 복수의 상기 제2 핀이 배열되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는 제 1 항의 커넥터이며,
    상기 제1 커넥터의 제1 감합부는 상기 제2 커넥터의 제2 감합 공간에 대응되어 끼워져 삽입되고, 상기 제2 커넥터의 제2 감합부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제1 감합 공간에 키워져 삽입되어, 상기 제1 커넥터의 제1 핀의 제1 콘택트부와 상기 제2 커넥터의 제2 핀의 제2 콘택트부 간이 접촉되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제2 감합부는 상기 제2 커넥터의 제1 감합 공간에 대응되어 끼워져 삽입되고, 상기 제2 커넥터의 제1 감합부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제2 감합 공간에 대응되어 끼워져 삽입되어, 상기 제1 커넥터의 제2 핀의 제2 콘택트부와 상기 제2 커넥터의 제1 핀의 제1 콘택트부 간이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감합 구조.
KR1020220126105A 2022-10-04 2022-10-04 암수동체 구조 커넥터 및 커넥터 감합 구조 KR102528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105A KR102528964B1 (ko) 2022-10-04 2022-10-04 암수동체 구조 커넥터 및 커넥터 감합 구조
PCT/KR2023/012994 WO2024075996A1 (ko) 2022-10-04 2023-08-31 암수동체 구조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105A KR102528964B1 (ko) 2022-10-04 2022-10-04 암수동체 구조 커넥터 및 커넥터 감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8964B1 true KR102528964B1 (ko) 2023-05-03

Family

ID=86380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105A KR102528964B1 (ko) 2022-10-04 2022-10-04 암수동체 구조 커넥터 및 커넥터 감합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28964B1 (ko)
WO (1) WO20240759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5996A1 (ko) * 2022-10-04 2024-04-11 주식회사 위드웨이브 암수동체 구조 커넥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1985A (en) * 1991-08-08 1992-11-10 Robinson Nugent, Inc. Board to board interconnect
JP2001307846A (ja) * 2000-04-21 2001-11-0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雌雄同体コネクタ
KR20030065344A (ko) * 2002-01-29 2003-08-06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게이지의 사용에 의하여 접촉 단자의 평평함을 쉽게점검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표면-장착 가능한 커넥터 및게이지
JP2008071517A (ja) * 2006-09-12 2008-03-2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US20130260587A1 (en) * 2012-04-03 2013-10-03 Aces Electronics Co., Ltd. Board-to-board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8964B1 (ko) * 2022-10-04 2023-05-03 주식회사 위드웨이브 암수동체 구조 커넥터 및 커넥터 감합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1985A (en) * 1991-08-08 1992-11-10 Robinson Nugent, Inc. Board to board interconnect
JP2001307846A (ja) * 2000-04-21 2001-11-0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雌雄同体コネクタ
KR20030065344A (ko) * 2002-01-29 2003-08-06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게이지의 사용에 의하여 접촉 단자의 평평함을 쉽게점검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표면-장착 가능한 커넥터 및게이지
JP2008071517A (ja) * 2006-09-12 2008-03-2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US20130260587A1 (en) * 2012-04-03 2013-10-03 Aces Electronics Co., Ltd. Board-to-board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5996A1 (ko) * 2022-10-04 2024-04-11 주식회사 위드웨이브 암수동체 구조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75996A1 (ko) 2024-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6025B2 (en) Compact electrical connector
US11450979B2 (en) Receptacle connector with alignment features
US1171590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fool-proof function
US9912111B2 (en)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7402084B2 (en) Compatible electrical connector
US6305978B1 (en) Low profile mini coaxial cable connector
US8961235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mating member having anti-mismating portion for preventing incorrect insertion
US7083465B2 (en) Serial ATA interface connector with low profiled cable connector
US7708600B2 (en) Compatible electrical connector
US7744418B2 (en) Upright electrical connector
US10490959B2 (en)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with embedded member for positioning conductive substrate
US11495905B2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US20090142962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 arrangement
US10777952B2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US20170288352A1 (en)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TW202036988A (zh) 連接器
KR102528964B1 (ko) 암수동체 구조 커넥터 및 커넥터 감합 구조
CN112072403B (zh) 电连接器
US8488926B2 (en) Photoelectric connector assembly with a lens member having lenses at opposite faces thereof
US7845960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receiving an electrical card assembly
US6551116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dielectric spacer
KR102487036B1 (ko) 고속 고주파 신호 전송 커넥터
US11545792B2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with grounding members having integrated first and second curved contact portions for effective ground connections
US20230099327A1 (en)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CN214254925U (zh) 电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